KR20060085039A -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ing reverse frequency multiplexing - Google Patents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ing reverse frequency multiplex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5039A
KR20060085039A KR1020050005948A KR20050005948A KR20060085039A KR 20060085039 A KR20060085039 A KR 20060085039A KR 1020050005948 A KR1020050005948 A KR 1020050005948A KR 20050005948 A KR20050005948 A KR 20050005948A KR 20060085039 A KR20060085039 A KR 20060085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reverse
base station
conversion
rep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9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80300B1 (en
Inventor
유기한
이규화
박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05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300B1/en
Publication of KR20060085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0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3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47L11/16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용량 증대를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역방향 신호를 다중화하여 신호간 간섭을 최소화하고 기지국의 용량을 늘리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국과 순방향 기준 주파수 및 역방향 기준 주파수로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순방향 기준 주파수를 통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역방향 변환 주파수를 통한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이동국과는 상기 순방향 기준 주파수 및 상기 역방향 기준 주파수로 통신을 수행하는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여기서,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는 상기 역방향 기준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함-를 포함하되, 상기 역방향 기준 주파수 및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는 미리 정해진 역방향 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에 의하면 중계기에서 발생되는 역방향 단말 신호를 분산시킴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increasing base station capac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signals by increasing multiplexing of reverse signals and increasing capacity of a base station. Receives a signal through the forward reference frequency from the base station and a base station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station at a forward reference frequency and a reverse reference frequency and transmits a signal through a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to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with the forward reference frequency and A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for communicating at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wherein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uses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wherein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and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are predetermined reverse frequency ban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verse multiplexed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system performance by distributing reverse terminal signals generated from a repeater.

기지국 용량, 역방향 다중화, 핸드오프, 간섭,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Base station capacity, reverse multiplexing, handoff, interference,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Description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ing reverse frequency multiplexing}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ing reverse frequency multiplexing}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지국의 송수신 신호의 주파수 배치도. 1A and 1B are frequency diagrams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순방향 송수신 신호의 주파수 배치도.2A and 2B are frequency diagrams of a forward / receive signal in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성도 및 주파수 예시도. 3 is a block diagram and a frequency diagram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성도 및 주파수 예시도. Figure 4 is a block diagram and a frequency diagram of a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성도 및 주파수 예시도. 5 is a block diagram and a frequency diagram of a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에서의 다수의 중계기가 있을 경우의 예시도.6 is an exemplary diagram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epeaters in a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0, 400, 500, 600 : 기지국300, 400, 500, 600: base station

310 : ICS 중계기310: ICS repeater

320, 330, 420, 430, 520, 530, 601, 602, 611, 621, 631 : 이동국320, 330, 420, 430, 520, 530, 601, 602, 611, 621, 631: mobile station

410, 510, 610, 620, 630 :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410, 510, 610, 620, 630: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본 발명은 기지국 용량 증대를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역방향 신호를 다중화하여 신호간 간섭을 최소화하고 기지국의 용량을 늘리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increasing base station capac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signals by increasing multiplexing of reverse signals and increasing capacity of a base sta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기지국에서 단말기로의 방향을 '순방향(forward)'이라 하고,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의 방향을 '역방향(reverse)'이라 한다. 기지국에서 단말기 간에 사용되는 순방향 주파수 대역과 단말기에서 기지국 간에 사용되는 역방향 주파수 대역을 서로 다르게 하여 2중 무선 채널을 사용한다. 이러한 주파수 분리는 단말기 수신기에 대한 단말기 송신 신호의 회송이나 간섭 없이 송신기와 수신기의 동시사용을 가능하게 된다.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direction from a base station to a terminal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forward', and a direction from a terminal to a base station is referred to as a 'reverse'. A dual radio channel is used by differentiating a forward frequency band used between terminals in a base station and a reverse frequency band used between base stations in a terminal. This frequency separation enables simultaneous use of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without the transmission or interference of terminal transmission signals to the terminal receiver.

또한, 이동 통신 시스템 설계에 있어서 주어진 대역폭에서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를 최대화하면서 통화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각 단말기의 송신 전력이 최소한의 신호 대 간섭비를 가지고 기지국에 도달되도록 제어되면 시스템의 용량이 최대가 된다. In addition, it is very importa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sign to keep the call quality constant while maximizing the number of users who can simultaneously talk in a given bandwidth. The capacity of the system is maximized when the transmit power of each terminal is controlled to reach the base station with a minimum signal-to-interference ratio.

하지만, CDMA 시스템에서는 같은 주파수를 공유하기 때문에 다른 단말기의 신호는 잡음으로 작용하여 호가 늘어날수록 다른 단말기 신호에 의해 잡음이 늘어나는 효과를 가지게 되므로 기지국 용량은 줄어든다. 또 잡음이 증가할수록 단말기는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복호화를 하기 위해 자신의 신호크기를 증가시킨다. 즉, 기지국에 수신되는 단말기의 송신 전력이 너무 낮으면, 비트 오류율이 너무 높아서 좋은 품질의 통화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기지국의 수신 전력이 너무 높으면 단말기의 통화 품질은 좋아지지만 같은 채널을 사용하고 있는 다른 단말기에 대한 간섭이 증가하게 된다. 이것이 타 단말기에는 더 큰 잡음으로 작용하여 통화품질을 열화시키는 주요 요인이 된다.However, in the CDMA system, since the same frequency is shared, signals of other terminals act as noise, and as the number of calls increases, noise is increased by other terminal signals, thereby reducing base station capacity. In addition, as the noise increases, the terminal increases its signal size to perform decoding that can maintain performance. That is, if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terminal received at the base station is too low, the bit error rate is too high to expect a good quality call. In addition, if the recept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is too high, the call quality of the terminal is improved, but interference with other terminals using the same channel is increased. This acts as a loud noise to other terminals, which is a major factor in degrading call quality.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계기에서 발생되는 역방향 단말 신호를 분산시킴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that can improve the system performance by dispersing the reverse terminal signal generated in the repeat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잡음 레벨이 줄어들기 때문에 신호를 복호화하기 위해 단말기 송신 전력을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말기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capable of reducing terminal power consump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terminal transmission power to decode a signal because the noise level is reduc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채널에 신호가 집중되지 않고 분배되므로 기지국에 외부 잡음 신호 발생시 다른 채널에 할당된 신호는 문제없이 복호화할 수 있는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capable of decoding a signal allocated to another channel without causing a problem when an external noise signal is generated in the base station because the signal is not concentrated in one channe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계기에서 입출력 격리도(isolation)를 확보하기 위하여 ICS(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중계기나 대역변환중계기를 사용하는데 역방향은 주파수가 다르기 때문에 격리도가 문제 되지 않아 순방향만 동작시킴으로써 기능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n 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ICS) repeater or a band-conversion repeater to secure input and output isolation in the repea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that can be simplifi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계기와 기지국 호를 구분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망 관리가 가능하고 기존에 중계기에서는 위치 확인이 불가능하나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위치확인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tinguish between a repeater and a base station call, so that efficient network management is possible, and in the existing repeater, location identification is impossible, but a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that can be used in a positioning system using the proposed method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계기와 기지국 사이의 지연시간만 보상하면 되므로 모뎀의 window 크기를 줄임으로써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that can increase efficiency by reducing the window size of a modem because only the delay time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base station needs to be compensated.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국과 순방향 기준 주파수 및 역방향 기준 주파수로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순방향 기준 주파수를 통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역방향 변환 주파수를 통한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이동국과는 상기 순방향 기준 주파수 및 상기 역방향 기준 주파수로 통신을 수행하는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여기서,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는 상기 역방향 기준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 함-를 포함하되, 상기 역방향 기준 주파수 및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는 미리 정해진 역방향 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station communicating with a mobile station at a forward reference frequency and a reverse reference frequency and receiving a signal through the forward reference frequency from the base station and a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to the base station A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which transmits a signal through and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station at the forward reference frequency and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wherein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uses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and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provide a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which is within a predetermined reverse frequency band.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는 둘 이상 존재하고 각각의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의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가 서로 다르며 각각의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상기 역방향 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may be present in two or more,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of each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each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may be characterized in being within the predetermined reverse frequency band.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국과 순방향 기준 주파수 및 역방향 기준 주파수로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순방향 기준 주파수를 통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역방향 변환 주파수를 통한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이동국과는 순방향 변환 주파수 및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로 통신을 수행하는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여기서,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는 상기 역방향 기준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고, 상기 순방향 변환 주파수는 상기 순방향 기준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함-를 포함하되, 상기 순방향 기준 주파수 및 상기 순방향 변환 주파수는 미리 정해진 순방향 주파수 대역 내에 있고 상기 역방향 기준 주파수 및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는 미리 정해진 역방향 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station communicating with a mobile station at a forward reference frequency and a reverse reference frequency and receiving a signal through the forward reference frequency from the base station and performing a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to the base station A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that transmits a signal through the mobile station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station at a forward conversion frequency and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wherein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uses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and the forward conversion frequency Uses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forward reference frequency, wherein the forward reference frequency and the forward conversion frequency are within a predetermined forward frequency band and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and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are predetermined inverse directions. It provides backward multiplexing mobile re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requency band.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는 둘 이상 존재하고 각각의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의 상기 순방향 변환 주파수 및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 수가 서로 다르며 각각의 상기 순방향 변환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상기 순방향 주파수 대역 내에 있고 각각의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상기 역방향 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dvantageously, said at least one reverse frequency translating repeater is present and wherein said forward translating frequency and said reverse translating frequency of each reverse frequency translating repeater are different and each said forward translating frequency is within said predetermined forward frequency band and each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may be within the predetermined reverse frequency ban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와 상기 이동국 간의 통신은 하드 핸드오프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하드 핸드오프는 압축 모드를 이용한 핸드오프일 수 있고, 상기 하드 핸드오프는 NCHO(Network Controlled Handoff; 네트워크 관리 핸드오프), MAHO(Mobile Assisted Handoff; 단말기 보조관리 핸드오프) 또는 MCHO(Mobile Controlled Handoff; 단말기 관리 핸드오프) 일 수 있으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의 상기 기준 주파수 또는 상기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의 상기 출력 주파수에 서로 독립적으로 튜닝되는 2개의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verse frequency translating repeater and the mobile station may utilize hard handoff. The hard handoff may be a handoff using a compression mode, and the hard handoff may be a Network Controlled Handoff (NCHO), a Mobile Assisted Handoff (MAHO) or a Mobile Controlled Handoff (MCHO). Terminal management handoff), and the mobile station may include two transceivers tun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o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base station or the output frequency of the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지국의 송수신 신호의 주파수 배치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혼선을 방지하고 간섭을 방지하여 송신기와 수신기의 동시사용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에 주파수 분리를 하고 있다. 기지국에서 중계기 간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인 Tx와 중계기에서 기지국 간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인 Rx는 일정 크기의 주파수 만큼 떨어져 있다. 통상적으로 Tx와 Rx의 주파수 대역은 30MHz 정도이다. 여기서, Tx와 Rx가 떨어져 있는 일정 크기의 주파수 크기를 주파수 분리 특성치라고 하고, 이 값은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45MHz이고, PCS(개인휴대통신) 시스템에서는 90MHz이다. 1A and 1B are frequency diagrams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 1A, frequency separation is performed because interference and interference can be prevented to enable simultaneous use of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The frequency band Tx used between the repeaters in the base station and the frequency band Rx used between the base stations in the repeater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frequency. Typically, the frequency bands of Tx and Rx are about 30 MHz. In this case, the frequency amplitud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where Tx and Rx are separated is called a frequency separation characteristic value, which is 45 MHz in a cellular system and 90 MHz in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PCS) system.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에서 순방향 신호의 주파수와 역방향 신호의 주파수는 서로 주파수 대역 특성치의 크기만큼 차이가 나도록 일대일로 매핑되어 있다. 기준 주파수를 f1이라고 가정할 때, 기지국에서 중계기 간에 순방향으로 Tx 대역에서 f1에 대응하는 fT1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있다면, 중계기에서 기지국 간에 역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주파수는 Rx 대역에서 f1에 대응하는 fR1를 사용하게 되며, fT1과 fR1은 주파수 대역 특성치만큼 차이가 나고 일대일로 매핑된다. 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frequency of the forward signal and the frequency of the reverse signal are mapped one-to-one so as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the magnitude of the frequency band characteristic value. Assuming that the reference frequency is f1, if the base station is transmitting a signal using a frequency of f T1 corresponding to f1 in the Tx band in the forward direction between the repeaters, the frequency used by the repeater to transmit the signal in the reverse dire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s is In the Rx band, f R1 corresponding to f1 is used, and f T1 and f R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frequency band characteristics and are mapped one-to-one.

또한, 도 1b를 참조하면, Tx 대역에서 fT1, fT2의 2가지 주파수를 가지고 기지국에서 중계기 간에 순방향 신호를 전송하고 있다면, 각각 Rx 대역에서 fT1, fT2에 일대일로 상응하는 주파수인 fR1, fR2를 가지고 중계기에서 기지국 간에 역방향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B, if a base station transmits a forward signal between repeaters with two frequencies f T1 and f T2 in a Tx band, f, which is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f T1 and f T2 in a Rx band, respectively, With R1 , f R2 , the repeater transmits the reverse signal between the base stations.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순방향 송수신 신호의 주파수 배치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기지국에서 중계기 간에 사용되는 주 파수 대역인 Tx의 범위 내에 포함된 fT1을 가지고 다수의 중계기에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각 중계기는 중계기에서 기지국 간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인 Rx에 포함되어 있는 주파수로, fT1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fR1 이외에도 fR2, fR3, fR4 등의 주파수를 가지고 하나의 기지국에 신호를 전송한다. 2A and 2B are frequency diagrams of forward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s at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A, a base station transmits signals to a plurality of repeaters with f T1 included in a range of Tx, which is a frequency band used between repeaters in a base station. Each repeater is a frequency included in Rx, which is a frequency band used between base stations in a repeater, and has a frequency of f R2 , f R3 , f R4, etc. in addition to f R1 corresponding to f T1 one-to-one to a base station. send.

즉, 도 1a에서 도시된 종래 기술과 달리 Tx 대역의 주파수인 fT1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fR1 만을 역방향 신호의 주파수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fR1 이외에도 동일한 Rx 대역에 포함되는 다른 주파수인 fR2, fR3, fR4 등의 주파수도 중계기에서 기지국 간에 사용되는 역방향 신호의 주파수가 될 수 있다.That is, unlike the prior art illustrated in FIG. 1A, instead of using only f R1 corresponding to one-to-one to f T1 , which is a frequency of the Tx band, as the frequency of the reverse signal, f R2 is another frequency included in the same Rx band in addition to f R1. The frequencies f, R3 and f R4 may also be frequencies of reverse signals used between base stations in the repeater.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Tx 대역에서 fT1, fT2의 2가지 주파수를 가지고 기지국에서 중계기 간에 순방향 신호를 전송하고 있더라도, 각 중계기는 중계기에서 기지국 간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인 Rx에 포함되어 있는 주파수로 fR1, fR2 이외에도 fR3, fR4 등의 주파수를 가지고 하나의 기지국에 신호를 전송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2b, even if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forward signal between the repeaters in the base station with two frequencies f T1 , f T2 in the Tx band, each repeater is included in Rx, which is a frequency band used between the base stations in the repeater In addition to f R1 and f R2 ,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one base station with a frequency such as f R3 and f R4 .

여기서, 기지국의 트렌시버는 수신한 역방향 다중 입력 신호를 각각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NCO에 의해 동일한 기저밴드(baseband)로 천이시켜 각각의 신호를 판별하여 복호화함으로써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Here, the transceiver of the base station transitions the received reverse multiple input signals to the same baseband by NCO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thereby discriminating and decoding each signal to enable communication.

따라서, 종래 기술의 경우 같은 주파수를 공유함으로 인해 다른 중계기에서의 신호가 잡음으로 작용하여 호가 늘어날수록 다른 중계기에서의 신호에 의해 잡음이 늘어나는 효과가 발생하고 결국 기지국 용량이 줄어드는 것과는 달리, 하나의 기지국과 통신하는 각 중계기에서 기지국으로의 역방향 신호 주파수가 서로 달라서 다중화되는 바 잡음으로 작용하는 비율이 줄어들어 기지국 용량이 줄어들지 않는 효과가 발생한다. Therefore, in the prior art, since the signal from another repeater acts as a noise due to shar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call increases, the noise is increased by the signal from the other repeater and the base station capacity decreases. Because the frequency of the reverse signal from each repeater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to the base stat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ate of noise reduction is reduced, resulting in the effect that the capacity of the base station is not reduced.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성도 및 주파수 예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중계기(310)는 기지국(300)이나 이동국(330)의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 때 중계기(310)는 ICS(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중계기이어서, 입력된 신호와 출력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로 비교, 분석하여 발진 성분을 제거한다. 따라서, 기지국(300)이 이동국(320)과 f1의 기준 주파수를 가지고 통신하는 경우에 기지국(300)이 중계기(310)와도 여전히 f1 주파수를 가지고 통신을 하게 되고, 중계기(310)가 이동국(330)과 통신을 하는 경우에도 f1 주파수를 가지고 통신을 하게 된다.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and an exemplary frequency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general repeater 3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responsible for amplify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of the base station 300 or the mobile station 330. At this time, the repeater 310 is an ICS (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repeater,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by digital signal processing to remove the oscillation component. Therefore, when the base station 300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station 320 at a reference frequency of f1, the base station 300 still communicates with the repeater 310 at the f1 frequency, and the repeater 310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station 330. ) Also communicates with the f1 frequency.

즉, 기지국(300)과 중계기(310) 간에 통신에 있어서 기준 주파수를 f1이라 하고, f1에 상응하는 순방향 신호의 주파수를 fT1, f1에 상응하는 역방향 신호의 주파수를 fR1이라 한다. 순방향의 fT1과 역방향의 fR1의 주파수를 가지고 기지국(300)과 중계기(310), 기지국(300)과 이동국(320), 중계기(310)와 이동국(330) 간의 통신이 모두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지국(300)의 입장에서는 각 중계기(310) 및 이동국(320)이 같은 주파수를 공유하고 있는 바 같은 주파수를 가진 다른 신호는 잡음으로 작용하게 되어 기지국 용량이 줄어들게 된다.That is,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300 and the repeater 310, the reference frequency is f1, and the frequency of the forward signal corresponding to f1 is f T1 and the frequency of the reverse signal corresponding to f1 is f R1 .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300 and the repeater 310, the base station 300 and the mobile station 320, the repeater 310 and the mobile station 330 is performed at the frequencies f T1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f R1 in the reverse direction. Therefore, since the repeater 310 and the mobile station 320 share the same frequency from the standpoint of the base station 300, other signals having the same frequency act as noise, thereby reducing the base station capacity.

또한,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하면 기지국의 기준 주파수가 f1인 경우에 기지국에 DU(Donor Unit; 주 중계장치)이 있어 중계기로 전송하는 주파수를 f2로 변환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중계기에서는 f2의 주파수로 수신한 신호를 f1의 주파수로 변환하여 이동국에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에서도 기지국과 중계기 간에는 f2라는 주파수로 통신을 수행하는 바 이동국과 통신하는 주파수인 f1과는 달라졌지만, 각 중계기 간에는 여전히 순방향 신호의 주파수가 f2이고 역방향 신호의 주파수는 f2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주파수이므로 기지국 용량이 줄어드는 점에서는 별 차이가 없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when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base station is f1, the base station has a DU (Donor Unit), which converts the frequency transmitted to the repeater to f2,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frequency of f2 in the repeater. A system converts a received signal into a frequency f1 and transmits it to a mobile station. Here,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communicate with the frequency f2,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f1, which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station, but the frequency of the forward signal is still f2 and the frequency of the reverse signal is one-to-one corresponding to f2. Therefore, there is no difference in terms of decreasing base station capacity.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성도 및 주파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은 기지국(400) 및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410)로 구성된다. 4 is a block diagram and a frequency diagram of a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includes a base station 400 and a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410.

기지국(400)은 이동국 또는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410)와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410)는 기지국(400) 또는 이동국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증폭하고 이동국 또는 기지국(400)으로 전송한다. Base station 400 communicates with a mobile station or reverse frequency translating repeater 410. The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410 receives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400 or the mobile station, amplifies it,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mobile station or the base station 400.

이 때 기지국(400)에서의 기준 주파수를 f1이라고 할 때 기지국(400)에서 이동국 또는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410) 간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Tx에서 f1에 상응하는 주파수를 순방향 기준 주파수 fT1이라고 하고, 이동국에서 기지국(400) 간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Rx에서 f1에 상응하는 주파수를 역방향 기준 주파수 fR1 이라고 한다. 또한,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410)는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410)에서 기지국(400) 간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주파수 대역 Rx에서 f1에 상응하는 역방향 기준 주파수 fR1이 아닌 역방향 변환 주파수 fR2로 역방향 신호 주파수를 변환시킨다. 그리고 역방향 변환 주파수 fR2를 사용하여 기지국(400)으로 송신한다. In this case, when the reference frequency at the base station 400 is f1, the frequency corresponding to f1 in the frequency band Tx used between the mobile station or the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410 at the base station 400 is referred to as the forward reference frequency f T1 . The frequency corresponding to f1 in the frequency band Rx used between the base stations 400 in the mobile station is called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f R1 . In addition, the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410 uses the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410 in the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410, the base station 400 is a reverse signal at the reverse frequency f f R2 rather than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f R1 corresponding to f1 in the frequency band Rx. Convert frequency. And it transmits to the base station 400 using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f R2 .

따라서, 기지국(400)에서는 이동국으로부터는 역방향 기준 주파수 fR1를 통한 역방향 신호를 수신하고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410)로부터는 역방향 변환 주파수 fR2를 통한 역방향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바, 2개 이상의 역방향 신호를 입력받는다. 즉, 역방향 신호가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게 되므로 같은 주파수를 공유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잡음 또는 간섭 효과가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기지국 용량이 증가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base station 400 receives the reverse signal through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f R1 from the mobile station and receives the reverse signal through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f R2 from the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410. Receive a signal. That is, since the reverse signals use different frequencies, noise or interference effects caused by sharing the same frequency are reduced, thereby increasing base station capacity.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성도 및 주파수 예시도이다. 여기서, 기지국(500),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510) 및 이동국(520, 530)에 요구되는 사항이 있다. 기지국(500)과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510) 간에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통신 중 주파수의 변화에서도 통신이 끊기지 아니하도록 하드 핸드오프가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5 is a block diagram and a frequency diagram of a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re is a requirement for the base station 500, the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510, and the mobile stations 520, 530. Since the same frequency is not used between the base station 500 and the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510, the hard handoff should be possible so that the communication is not interrupted even when the frequency is changed during th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tiple Access;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 서는 한 사업자의 모든 기지국이 같은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어 핸드오프시 주파수를 변환하지 않는 소프트 핸드오프가 가능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소프트 핸드오프란, 이동국이 기지국들 간의 경계부에 있을 때 즉, 홈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벗어나 인접 기지국의 커버리지로 진입하려 할 때, 통화 주파수를 변경하지 않고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처음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과 동시에 송수신하다가, 홈 기지국의 신호 감도가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그 기지국과의 연결은 끊고 나머지 기지국을 통하여 통화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에 반해, 하드 핸드오프는 현재 기지국과 인접 기지국에서의 주파수가 서로 달라 동시에 송수신이 불가능하여 현재 기지국에서의 통신을 끊고 인접 기지국으로 새로이 통신을 연결하는 방법이다. 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it is well known that all base stations of an operator can use the same frequency, so that soft handoff without frequency conversion is possible during handoff. Soft handoff is when the mobile station i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base stations, i.e., when it leaves the coverage of the home base station and enters the coverage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simultaneously using the same frequency without changing the talk frequency,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when the signal sensitivity of the home base station falls below the reference value, the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disconnected and the call can be maintained through the remaining base stations. On the other hand, the hard handoff is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new communication to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because the current base station and the neighboring base sta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cannot transmit and receive simultaneously.

인접 기지국들 간의 사용 주파수가 상이한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 홈 기지국의 특정 통화 주파수를 사용하던 이동국이 그와 동일한 통화 주파수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인접 기지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소프트 핸드오프가 적용될 수 없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프를 행하여야 한다. There is a case where the use frequencies between neighboring base stations are different, in which case soft handoff cannot be applied when a mobile station using a specific talk frequency of the home base station moves to a neighbor base station not having the same talk frequency. In this case, hard handoff must be performed between frequencies.

상술한 핸드오프의 제어 방식으로 NCHO(Network Controlled Handoff; 네트워크 관리 핸드오프), MAHO(Mobile Assisted Handoff; 단말기 보조관리 핸드오프), 그리고 MCHO(Mobile Controlled Handoff; 단말기 관리 핸드오프)의 세가지 유형이 있다. NCHO는 기지국을 포함한 네트워크가 단말기로부터 무선 채널 품질을 관리하는 방식으로서, 무선 채널 품질이 임계값(threshold) 이하로 떨어져서 단말기의 핸드오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네트워크가 단말로 핸드오프를 지시한다. MAHO 방식 은 현재 단말이 위치하는 셀의 기지국과 그 인접 기지국의 무선 채널 품질을 단말이 측정하여 기지국에게 주기적으로 이를 알려주고, 기지국이 단말의 핸드오프 필요여부를 결정하여 핸드오프가 필요한 경우 단말로 핸드오프를 지시한다. 여기서, 핸드오프 필요여부는 무선 채널 품질, 현재 및 인접 기지국의 트래픽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핸드오프가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 노드가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MCHO는 단말이 무선 채널의 품질을 측정하여 핸드오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이 핸드오프를 시도하여 수행하는 방식으로, 핸드오프 요청 메시지는 후보 기지국으로 직접 전달되는데, 단말이 기지국에게 무선 채널 품질을 알려줄 필요가 없으므로 신호 처리 부하가 줄어들고 핸드오프 처리시간이 다른 방식이 비해 매우 짧다. There are three types of handoff control methods described above: Network Controlled Handoff (NCHO), Mobile Assisted Handoff (MAHO), and Mobile Controlled Handoff (MCHO). . NCHO is a method in which a network including a base station manages radio channel quality from a terminal. When the radio channel quality falls below a threshold and the handoff of the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necessary, the network instructs the terminal to handoff. The MAHO method measures the radio channel quality of the base station and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of the cell where the terminal is currently located and informs the base station periodically. Instructs off. Here, whether handoff is required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radio channel quality, current and traffic conditions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and the like, when a handoff is required, the network node performs handoff. When the MCHO determines that handoff is necessary by measuring the quality of a radio channel, the UE attempts to perform a handoff, and a handoff request message is directly transmitted to a candidate base station. There is no need to inform the quality, which reduces the signal processing load and the handoff processing time is very short compared to other methods.

따라서,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동국은 상술한 NCHO, MAHO 또는 MCHO 방식에 의한 핸드오프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이면 된다. Therefore, the mobile station constituting the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handoff by the above-described NCHO, MAHO or MCHO system.

또한,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에서 하드 핸드오프를 구현하기 위하여 압축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압축 모드를 이용하여 단일 수신기 구조를 가지는 이동국은, 순방향 링크인 경우 핸드오프 상황에서, 현재 연결 중인 주파수를 f1, 인접 기지국의 새로운 주파수를 f2라고 할 때, 새로운 주파수인 f2의 신호 세기를 탐색할 수 있게 된다. 즉, 트랜스미션 갭 구간 동안에는 현재 통화 설정 중인 f1의 주파수를 끊고 주파수를 f2로 바꿔 f2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 후, 트랜스미션 갭 구간이 끝나면서 다시 f1 주파수의 통화 채널을 복조할 수 있다. 이동국은 핸드오프 상황 발생시 현재의 통화 설정을 완전히 차단하기 전에 순방향 링크의 새로운 주파수 f2를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f2의 동기 채널 및 공통 파일롯 채널을 이용하여 타켓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순방향 링크의 동기를 획득할 수 있어, 현재의 통화 설정을 끊고 새로운 주파수 f2로 하드 핸드오프를 하더라도 순방향 링크의 통화 단절이 생기지 않게 된다. In addition, a compression mode may be used to implement hard handoff in a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The mobile station having a single receiver structure using the compression mode searches for the signal strength of the new frequency f2 when the current link is f1 and the new frequency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s f2 in the handoff situation in the forward link. It becomes possible. That is, during the transmission gap period, the frequency of f1 currently being established on the call is cut off and the frequency is changed to f2 to measure the signal strength of f2. After the transmission gap period ends, the communication channel of the frequency f1 can be demodulated again. The mobile station is able to monitor the new frequency f2 of the forward link before completely blocking the current call setup in case of a handoff situation, and acquire the synchronization of the forward link transmitted from the target base station using the sync channel and common pilot channel of f2. Thus, breaking the current call setup and performing a hard handoff at the new frequency f2 will not cause a disconnection of the forward link.

또한,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동국에서 하드 핸드오프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중 수신기를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 dual receiver may be used to implement hard handoff in a mobile station constituting a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이중 수신기란, 제1 송수신기와 연결된 제1 안테나와 제2 송수신기와 연결된 제2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송수신기 및 제2 송수신기는 송신 및 수신에 관해서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다. 제1 송수신기가 제1 안테나를 통하여 현재 통신중인 기지국과 기준 주파수로 연결되어 있는 동안 제2 송수신기가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인접 기지국의 주파수를 검색할 수 있으며, 현재 통신중인 기지국에서의 신호의 세기가 특정 값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제2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인접 기지국과 다른 주파수로 통신이 계속 이어지는 것이 가능하므로 하드 핸드오프가 가능하다. The dual receiver includes a first antenna connected to a first transceiver and a second antenna connected to a second transceiver, and the first transceiver and the second transceiver are operabl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ith respect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While the first transceiver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currently communicating through the first antenna at a reference frequency, the second transceiver may search for the frequency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through the second antenna, and the strength of the signal at the base station currently communicating is When lowered below a certain value, it is possible to continue communication with a neighboring base station at a different frequency by using the second transceiver, thereby enabling hard handoff.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면 하드 핸드오프가 가능해지고, 따라서 도 5에서 기지국(500)이 이동국(520)과 통신을 하는 주파수 FA1과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510)가 이동국(530)과 통신을 하는 주파수 FA2가 달라도 된다. 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hard handoff is possible, and thus, in FIG. 5, the frequency FA1 at which the base station 500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station 520 and the frequency at which the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510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station 530 are illustrated in FIG. 5. FA2 may be different.

즉, 기지국(500)에서 이동국(520)과는 FA1에 대응하는 순방향 기준 주파수 fT1, 역방향 기준 주파수 fR1로 통신을 수행하고, 기지국(500)에서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510)과는 FA1에 대응하는 순방향 기준 주파수 fT1, FA2에 대응하는 역방향 변환 주파수 fR2로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510)에서 이동국(530)과는 FA2에 대응하는 순방향 변환 주파수 fT2, 역방향 변환 주파수 fR2로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기지국(500)에서는 순방향 신호의 주파수는 fT1 하나이고, 역방향 신호의 주파수는 fR1, fR2의 2개 이어서 역방향 신호 주파수의 다중화가 이루어진다. That is, the base station 500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station 520 at the forward reference frequency f T1 and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f R1 corresponding to FA1, and the base station 500 communicates with the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lay 510 at FA1. Communication is performed at the inverse transform frequency f R2 corresponding to the forward reference frequency f T1 and FA2. In addition, the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510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station 530 at the forward conversion frequency f T2 and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f R2 corresponding to FA2. At this time, in the base station 500, the frequency of the forward signal is one f T1 , the frequency of the reverse signal is two of f R1 and f R2 , followed by multiplexing of the reverse signal frequency.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에서의 다수의 중계기가 있을 경우의 예시도이다. 6 is an exemplary view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epeaters in a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600)이 직접 통신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 이동국(601, 602)에 대해서는 기지국(600)이 직접 순방향 기준 주파수 fT1 및 역방향 기준 주파수 fR1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각 중계기(610, 620, 630)에 의해 확장된 셀 커버리지 내에서 각 중계기(610, 620, 630)와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국(611, 621, 631)도 역시 순방향 기준 주파수 fT1 및 역방향 기준 주파수 fR1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다만, 기지국(600)에 수신되는 각 중계기(610, 620, 630)의 신호에 사용되는 역방향 변환 주파수는 각각 fR2, fR3, fR4로 차이가 난 다. Referring to FIG. 6, for the mobile stations 601 and 602 within a range in which the base station 600 can provide a direct communication service, the base station 600 communicates directly using the forward reference frequency f T1 and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f R1 . Do this. In addition, the mobile stations 611, 621, and 631 that communicate with each repeater 610, 620, and 630 within the cell coverage extended by the repeaters 610, 620, and 630 are also forward reference frequencies f T1 and the reverse reference. Communicate using frequency f R1 . However,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ies used for the signals of the repeaters 610, 620, and 630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600 differ from each other by f R2 , f R3 , and f R4 .

즉, 기지국에서는 초기 설정된 주파수로 이동국과 통화를 하고, 중계기에서도 초기 설정된 주파수로 이동국과 통화를 한다. 그러나 중계기에서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시 역방향 주파수를 다른 주파수로 변동시킴으로 인해 기지국의 입장에서는 순방향은 하나의 주파수로 송신하고, 역방향은 다수의 주파수로 수신한다. That is, the base station talks to the mobile station at the initially set frequency, and the repeater talks to the mobile station at the initially set frequency. However, when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repeater to the base station, since the reverse frequency is changed to another frequency, the forward direction is transmitted at one frequency and the reverse direction is received at multiple frequencies.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에 의하면 중계기에서 발생되는 역방향 단말 신호를 분산시킴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ystem performance by dispersing the reverse terminal signal generated in the repeater.

잡음 레벨이 줄어들기 때문에 신호를 복호화하기 위해 단말 송신 전력을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말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noise level is reduced,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terminal transmission power to decode the signal, thereby reducing the terminal power consumption.

한 채널에 신호가 집중되지 않고 분배되므로 기지국에 외부 잡음 신호 발생시 다른 채널에 할당된 신호는 문제없이 복호화할 수 있다.Since the signal is distributed without being concentrated on one channel, when an external noise signal is generated at the base station, a signal allocated to another channel can be decoded without a problem.

중계기에서 입출력 격리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ICS 중계기나 대역변환중계기를 사용하는데 이 경우 순방향, 역방향에 모두 동작해야 하나 제안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역방향은 주파수가 다르기 때문에 격리도가 문제 되지 않아 순방향만 동 작시킴으로써 기능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ecure I / O isolation in the repeater, ICS repeater or band conversion repeater should be used. In this case, both forward and reverse operation should be performed. Can be simplified.

중계기와 기지국 호를 구분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망 관리가 가능하고 기존에 중계기에서는 위치 확인이 불가능하나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위치확인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The network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repeater and the base station, so efficient network management is possible. In the existing repeater, the position confirmation is impossible, but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for the positioning system.

기존에는 중계기에 대한 지연시간에 의해 모뎀의 window 크기를 크게 할당해야 하나 제안된 방법에서는 중계기와 기지국 사이의 지연시간만 보상하면 되므로 window 크기를 줄임으로써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Conventionally, the window size of the modem should be largely allocated by the delay time for the repeater. However, the proposed method only needs to compensate for the delay time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base station,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by reducing the window size.

Claims (8)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이동국과 순방향 기준 주파수 및 역방향 기준 주파수로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및A base sta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station at a forward reference frequency and a reverse reference frequency; And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순방향 기준 주파수를 통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역방향 변환 주파수를 통한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이동국과는 상기 순방향 기준 주파수 및 상기 역방향 기준 주파수로 통신을 수행하는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여기서,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는 상기 역방향 기준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함-를 포함하되,A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for receiving a signal on the forward reference frequency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ting a signal on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to the base sta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station at the forward reference frequency and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wherein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comprises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상기 역방향 기준 주파수 및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는 미리 정해진 역방향 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And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and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are within a predetermined reverse frequency ban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는 둘 이상 존재하고 각각의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의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가 서로 다르며 각각의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상기 역방향 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And said at least two reverse frequency translating repeaters are different, said reverse translating frequencies of each reverse frequency translating repeater are different, and each said reverse translating frequency is within said predetermined reverse frequency band.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이동국과 순방향 기준 주파수 및 역방향 기준 주파수로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및A base sta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station at a forward reference frequency and a reverse reference frequency; And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순방향 기준 주파수를 통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역방향 변환 주파수를 통한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이동국과는 순방향 변환 주파수 및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로 통신을 수행하는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여기서,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는 상기 역방향 기준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고, 상기 순방향 변환 주파수는 상기 순방향 기준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함-를 포함하되,A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for receiving a signal through the forward reference frequency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ting a signal through a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to the base sta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station at a forward conversion frequency and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wherein the A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uses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and the forward conversion frequency uses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forward reference frequency; 상기 순방향 기준 주파수 및 상기 순방향 변환 주파수는 미리 정해진 순방향 주파수 대역 내에 있고 상기 역방향 기준 주파수 및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는 미리 정해진 역방향 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And wherein the forward reference frequency and the forward transform frequency are within a predetermined forward frequency band and the reverse reference frequency and the reverse transform frequency are within a predetermined reverse frequency band.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는 둘 이상 존재하고 각각의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의 상기 순방향 변환 주파수 및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가 서로 다르며 각각의 상기 순방향 변환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상기 순방향 주파수 대역 내에 있고 각각의 상기 역방향 변환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상기 역방향 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The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is present in two or more and each of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and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y of each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is different and each forward conversion frequency is within the predetermined forward frequency band and each of the reverse conversion frequencies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everse frequency band.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와 상기 이동국 간의 통신은 하드 핸드오프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verse frequency translating repeater and the mobile station uses hard handoff.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핸드오프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ard handoff is 압축 모드를 이용한 핸드오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Reverse multiplex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off using the compression mo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핸드오프는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ard handoff is NCHO(Network Controlled Handoff; 네트워크 관리 핸드오프), MAHO(Mobile Assisted Handoff; 단말기 보조관리 핸드오프) 또는 MCHO(Mobile Controlled Handoff; 단말기 관리 핸드오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A reverse multiplexed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Network Controlled Handoff (NCHO), Mobile Assisted Handoff (MAHO) or Mobile Controlled Handoff (MCHO).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6. The mobile station of claim 5, wherein the mobile station 상기 기지국의 상기 기준 주파수 또는 상기 역방향 주파수 변환 중계기의 상기 출력 주파수에 서로 독립적으로 튜닝되는 2개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다중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And two transceivers tun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o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base station or the output frequency of the revers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KR1020050005948A 2005-01-21 2005-01-21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ing reverse frequency multiplexing KR1006803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948A KR100680300B1 (en) 2005-01-21 2005-01-21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ing reverse frequency multiplex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948A KR100680300B1 (en) 2005-01-21 2005-01-21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ing reverse frequency multiplex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039A true KR20060085039A (en) 2006-07-26
KR100680300B1 KR100680300B1 (en) 2007-02-07

Family

ID=3717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948A KR100680300B1 (en) 2005-01-21 2005-01-21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ing reverse frequency multiplex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300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457A (en) * 2000-08-18 2002-02-25 김대기 Multi-frequency converting repeater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300B1 (en) 200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4940B1 (en) Rf repeaters for time division duplex cordless telephone system
US6741837B1 (en) Interference avoidanc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KR100243425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forward traffic channel power control for CDMA Wiredless Local Loop System
EP2040496B1 (en) Cellular network based on relay station and spac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method
US5809422A (en) Distributed micro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6370356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1543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one cell to cover multiple areas
US8244259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lay station to forward downlink signal
US6246886B1 (en)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digital wireless network in a dual mode wireless system
KR101904591B1 (en) Methods and network nodes for communication between a first network node and a second network node over a twisted pair wire
KR100493685B1 (en) Base station device for selecting communication channel
US7539516B2 (en)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US20080214221A1 (en) Radio Base Station System
KR20000049246A (en) Dual mode symmetric/asymmetric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KR20010107015A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radio signals in pico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EP0976277B1 (en) Method of facilitating transmission level measurement, and base station
JP3960593B2 (en) Handoff method, mobile terminal
KR100680300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ing reverse frequency multiplexing
KR100692654B1 (en) Network system using frequency converted through multistage
KR100543786B1 (en) A Frequency Band Convertable Relay For Mobile Communication
JP3080204B2 (en) Channel switching method during communication of spread spectrum mobile communication
JP2009188497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283076B1 (en) Cdma donor base-station apparatus operating remote base-station
KR101001020B1 (en) Repeater apparatus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networks
EP1455460B1 (en) Improved portab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