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9253A -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9253A
KR20060079253A KR1020067009057A KR20067009057A KR20060079253A KR 20060079253 A KR20060079253 A KR 20060079253A KR 1020067009057 A KR1020067009057 A KR 1020067009057A KR 20067009057 A KR20067009057 A KR 20067009057A KR 20060079253 A KR20060079253 A KR 20060079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terminal
base station
data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0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리유키 후쿠이
미치아키 다카노
아키히로 시부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9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9253A/en
Publication of KR2006007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2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3Point-to-multi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communication method which can be realized in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base station (2) and one or more terminals existing in a service area covered by the base station (2). When an NAK signal indicating reception failure is returned from the base station (2) to a terminal (1) whose transmission allowable time assigned has expired, the terminal (1) autonomously transmits the re- transmission data without performing a transmission request.

Description

통신 방법, 단말 및 기지국{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복수(하나를 포함함)의 단말로 구성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실현 가능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오류 정정 기술로서 재송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ethod that can be realiz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osed of at least one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one), and more particularly,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executing retransmission control as an error correction technique. It is about a method.

이하, 종래 기술로서,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그 기지국이 커버하는 서비스 영역에 존재하는 복수(하나를 포함함)의 단말을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되고 있는 일반적인 통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s a prior art, general communication processing performed in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one) existing in the service area covered by the base station will be described.

예컨대, 기지국은, 데이터 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복수의 단말 중에서 송신 허가를 부여하는 단말을 선택하는 기능, 이른바 스케줄링 기능을 갖고, 단말은 기본적으로 그 스케줄링에 따라서 데이터 송신을 한다.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has a function of selecting a terminal granting transmission permission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transmitting a data transmission request, a so-called scheduling function, and the terminal basically transmits data in accordance with the scheduling.

여기서, 상기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비특허문헌 1 참조). 우선,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발생한 단말은, 기지국에 대하여 데이터의 송신 요구를 한다. 이 때, 송신 요구로서 단말이 기지국에 대하여 통지하는 정보로 서는, 예컨대, 버퍼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량, 단말이 출력 가능한 송신파워 등이 생각된다. 한편, 기지국에서는, 송신 요구로서 보내져 온 정보, 또한 각 단말이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의 예측 채널 품질 및 자국에 있어서의 수신시의 허용 간섭 레벨 등에 근거하여, 송신 허가를 부여하는 단말을 선택하고, 송신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할당 신호를 회신한다. 이 때, 기지국은, 단말이 선택 가능한 최대의 송신 비트수, 즉, 전송 속도(Rate)와, 송신 허가 시간(Time)을 단말에 통지한다. Here,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ee Non-Patent Document 1). First, a terminal having data to be transmitted requests a base station to transmit data.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that the terminal notifies the base station as the transmission request is, for example, the amount of data stored in the buffer, the transmission power that the terminal can output,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base station selects the terminal granting the transmission permission based on the information sent as the transmission request, the predicted channel quality when each terminal transmits data, the allowable interference level at the reception by the local station, and the like. The assignment signal is returned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request.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notifies the terminal of the maximum number of transmission bits selectable by the terminal, that is, the transmission rate (Rate) and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Time).

그리고, 할당 신호에 의해서 선택된 단말은, 수취한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송신을 한다. 이 때, 단말은 송신 허가 시간 내에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The terminal selected by the allocation signal then transmits data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terminal transmits data within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또한, 3GPP에서는, 물리레이어에서의 재송 제어(ARQ:Automatic Repeat reQuest)가 검토되어 있고(비특허문헌 2 참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취한 기지국이, 수신 성공의 경우에는 ACK 신호를 회신하고, 수신 실패의 경우에는 NAK 신호를 회신한다. 그리고, 단말에서는, NAK 신호를 수신한 경우, 재송을 하기 전에 다시 송신 요구를 송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신호를 수신 후, 동일 데이터를 다시 기지국에 대하여 재송한다. Furthermore, in 3GPP, retransmission control (ARQ: Automatic Repeat reQuest) in the physical layer has been examined (see Non-Patent Document 2), and the base station that has received data from the terminal returns an ACK signal when the reception is successful. In case of a reception failure, a NAK signal is returned. When the NAK signal is received, the terminal transmits a transmission request again before retransmission, receives the allocation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n retransmits the same data to the base station.

[비특허문헌 1][Non-Patent Document 1]

3GPP TR25.896 V1.0.0, 7.1.2.2, 7.1.2.33GPP TR25.896 V1.0.0, 7.1.2.2, 7.1.2.3

[비특허문헌 2][Non-Patent Document 2]

3GPP TR25.896 V1.0.0, 7.23GPP TR25.896 V1.0.0, 7.2

그러나, 상술한 문헌에 기재된 통신 방법에 있어서는, 단말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그 데이터가 재송 데이터이더라도 반드시 기지국에 대하여 송 신 요구를 하고, 그 응답으로서 할당 신호를 수취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재송 데이터의 송신이 늦어, 다른 데이터가 이미 기지국에서 정확하게 수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위 레이어에 데이터 그룹을 보낼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ommunication method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document, when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even if the data is retransmission data, it is necessary to make a transmission request to the base station and receive an allocation signal as a respons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ransmission of retransmission data is late, and even though other data is already correctly received at the base station, the data group cannot be sent to the upper layer.

또한, NAK 신호를 반송한 기지국에서는, 수신 실패로 된 데이터를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재송된 데이터와의 합성에 사용하기 위해서 수신 실패시의 데이터를 버퍼링한다. 그 때문에, 데이터의 재송에 지연이 발생하면, 버퍼를 사용하는 시간이 길어져, 버퍼 사용 효율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carrying the NAK signal buffers the data upon reception failure for use in synthesizing with the retransmitted data, rather than discarding the data that has failed reception. Therefore, when a delay occurs in retransmission of dat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to use the buffer becomes long, and the buffer use efficiency deteriorates.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재송 데이터의 송신의 지연을 개선함으로써, 기지국에서의 버퍼 사용 효율을 향상 가능한 통신 방법, 또한, 당해 통신 방법을 실행하는 단말 및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improving the buffer use efficiency at a base station by improving the delay of retransmission of retransmission data, and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which execute the communication method. have.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그 기지국이 커버하는 서비스 영역에 존재하는 복수(하나를 포함함)의 단말을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실현 가능한 통신 방법으로서, 예컨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실패를 나타내는 NAK 신호가 회신되고, 또한 당해 NAK 신호가 회신된 단말에 할당된 송신 허가 시간이 종료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단말이, 자율적으로 재송 데이터를 송신하는 재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method which can be realized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t least one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one) existing in a service area covered by the base station, is described. When the NAK signal indicating the reception failure is return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allocated to the terminal to which the NAK signal is returned is expired, the terminal includes a retransmission step of autonomously transmitting retransmission data. It features.

본 발명에 의하면, 기지국으로부터 NAK 신호가 회신되고, 또한 단말에 할당된 송신 허가 시간이 종료되어 있는 경우에도, 자율적으로 재송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했다. 이에 따라, 재송시에 송신 요구의 송신 및 할당 신호의 수신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재송 데이터의 송신시에 발생하는 지연 시간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지연 시간을 저감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수신에 실패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를 사용하는 시간도 줄어들기 때문에, 버퍼 사용 효율이 대폭 향상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NAK signal is return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allocated to the terminal has expired, retransmission data is autonomously transmitted. Thereby, compared with the prior art which performs the process regarding transmission of a transmission request and reception of an allocation signal at the time of retransmission, the delay time which arises at the time of transmission of retransmission data can be reduced significantly. In addition, since the delay time can be reduced, the time for using the buffer for storing the data that has failed to be received is also reduced, which greatly improves the buffer usage efficiency.

도 1은 실시예 1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method of Embodiment 1,

도 2는 실시예 1의 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실시예 2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3 is a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method of Example 2;

도 4는 실시예 2의 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of Embodiment 2;

도 5는 실시예 3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5 is a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6은 실시예 4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6 is a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7은 실시예 4의 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of Embodiment 4. FIG.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 단말 및 기지국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communication method,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Example.

도 1은 실시예 1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여기서는, 재송 데이터를 단말이 자율적으로 송신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예 컨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그 기지국이 커버하는 서비스 영역에 존재하는 복수(하나를 포함함)의 단말을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을 상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단말이 5개의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shows a case where the terminal autonomously transmits retransmission data.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one) existing in the service area covered by the base station is assumed. In this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ase where the terminal transmits five transmission data will be described.

우선, 송신해야 할 데이터(도시의 5개의 송신 데이터)가 발생한 단말에서는,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1). 이 때, 송신 요구 신호로서 단말이 기지국에 대하여 통지하는 정보로서는, 예컨대, 버퍼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량, 단말의 출력 가능한 송신파워 등이 생각된다. First, a terminal in which data to be transmitted (five transmission data in the figure) has occurred transmits 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base station (step S1). At this time, a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as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for example, the amount of data stored in the buffer, the transmission power that the terminal can output, and the like are considered.

한편, 기지국에서는, 상기 송신 요구 신호로서 보내져 온 정보, 각 단말이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의 예측 채널 품질, 및 자국에 있어서의 수신시의 허용 간섭 레벨 등에 근거하여, 송신 허가를 부여하는 단말을 선택하여, 송신 요구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할당 신호를 회신한다(단계 S2). 이 때, 기지국은, 단말이 선택 가능한 최대의 송신 비트수, 즉, 전송 속도(Rate)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기간을 나타내는 송신 허가 시간(Time)을 단말에 통지한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station selects a terminal to grant the transmission permission based on the information sent as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he predicted channel quality when each terminal transmits data, the allowable interference level at the reception by the local station, and the like. The assignment signal is returned as a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step S2).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notifies the terminal of the maximum number of transmission bits selectable by the terminal, that is, a transmission rate (Rate) and a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Time) indicating a period in which data can be transmitted.

그 후, 단말에서는, 상기 송신 허가 시간 내에서, 예컨대, 4개의 데이터를 송신하고(단계 S3∼S6), 단말에서 4개의 데이터를 수취한 기지국에서는, 수신 성공의 경우에는 ACK 신호를 회신하고, 수신 실패의 경우에는 NAK 신호를 회신한다. 도 1에서는, 첫번째 데이터, 두번째 데이터 및 네번째의 데이터가 수신에 성공하여, 세번째 데이터가 수신에 실패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기지국에서는, ACK 신호, ACK 신호, NAK 신호, ACK 신호의 순서대로 응답 신호를 반송한다(단계 S7∼S10). Thereafter, the terminal transmits, for example, four data within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steps S3 to S6), and the base station that has received four data from the terminal returns an ACK signal in the case of successful reception, In case of a reception failure, a NAK signal is returned.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data, the second data, and the fourth data succeeded in receiving, and the third data failed in receiving. Therefore, the base station carries the response signal in the order of the ACK signal, the ACK signal, the NAK signal, and the ACK signal (steps S7 to S10).

다음에, 단말은, 세번째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NAK 신호를 수신했기 때문에, 재송 제어에 의해 세번째 데이터를 재송하지만, 본 실시예의 재송 제어에서는, 종래와 같이 다시 송신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일 없이, 자율적으로 상기 세번째 데이터를 재송한다(단계 S11). 도 1에서는, 네번째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ACK 신호를 수신한 직후에 세번째 데이터를 재송하고, 그 응답으로서 ACK 신호를 수신하고 있다(단계 S13). Next, since the terminal receives the NAK signal as a response signal to the third data, the third data is retransmitted by retransmission control. However, in the retransmission control of the present embodiment, without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again as before, The third data is retransmitted autonomously (step S11). In Fig. 1, the third data is retransmitted immediately after receiving the ACK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ourth data, and the ACK signal is received as a response (step S13).

또한, 세번째 데이터를 재송후, 단말은, 다섯번째의 데이터가 미송신인 채로 남아 있기 때문에,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단계 S12), 그 응답으로서 할당 신호를 수신 후(단계 S14), 다섯번째의 데이터를 송신하고(단계 S15), 그 응답으로서 ACK 신호를 수신하고 있다(단계 S16). In addition, after retransmitting the third data, since the fifth data remains untransmitted, the terminal transmits 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base station (step S12), after receiving the assignment signal as a response (step S14), The fifth data is transmitted (step S15), and an ACK signal is received as a response (step S16).

도 2는, 상기 통신 방법을 실현 가능한, 본 실시예의 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단말(1)은 버퍼(11)와 송신 요구 판단부(12)와 송신부(13)와 수신부(14)와 할당 수신부(15)와 송신 시간 판단부(16)와 송신 데이터 판단 및 자율 송신부(17)와 송신 데이터 생성부(18)와 ACK/NAK 수신부(19)를 구비하고, 기지국(2)은 수신부(21)와 요구 수신 및 스케줄링부(22)와 송신부(23)와 수신 처리부(24)와 버퍼(25)를 구비한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can realize the above-mentioned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terminal 1 includes a buffer 11, a transmission request determining unit 12, a transmitting unit 13, and a receiving unit ( 14, an assignment receiving unit 15, a transmission time determining unit 16, a transmitting data determining and autonomous transmitting unit 17, a transmitting data generating unit 18, and an ACK / NAK receiving unit 19, and a base station 2 The receiver 21 includes a receiving unit 21, a request receiving and scheduling unit 22, a transmitting unit 23, a receiving processing unit 24, and a buffer 25.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단말(1)에서는, 상위 레이어로부터 도착한 데이터를 버퍼(11)에서 저 장하고, 송신 요구 판단부(12)가 여기에 저장된 데이터량으로부터 송신 요구의 유무를 판단한다. 또, 송신 요구 판단부(12)는, 항상, 송신 허가 시간 내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 시간 판단부(16)로부터 취득하고, 이것을 송신 요구의 유무의 판단에 이용한다. 그리고, 송신 요구를 하는 경우에는, 송신 요구 신호를 송신부(13)를 경유하여 기지국(2)에 대하여 송신한다. First, the terminal 1 stores the data arriving from the upper layer in the buffer 11, and the transmission request determination unit 12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amount of data stored therein. Moreover, the transmission request determination part 12 always acquires the information which shows whether it is in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from the transmission time determination part 16, and uses thi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ransmission request. When a transmission request is made,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2 via the transmission unit 13.

다음에, 할당 수신부(15)에서는, 수신부(14)를 경유하여 할당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는, 수신한 할당 정보를 해독하고, 그 해독 결과를 송신 시간 판단부(16)에 통지한다. 송신 시간 판단부(16)에서는, 할당된 송신 허가 시간을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송신 요구 판단부(12) 및 송신 데이터 판단 및 자율 송신부(17)에 통지한다. Next, the allocation receiving unit 15 receives the allocation signal via the receiving unit 14. Here, the received allocation information is decrypted and the decryption result is notified to the transmission time determining unit 16. The transmission time determination unit 16 determines the allocated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and notifies the transmission request determination unit 12 and the transmission data determination and autonomous transmission unit 17 of the determination result.

다음에, 송신 데이터 판단 및 자율 송신부(17)에서는, 송신 허가 시간 내에 버퍼(11)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데이터를 송신 데이터 생성부(18)에 전송한다. 송신 데이터 생성부(18)에서는, 오류 정정용의 부호화 등의 송신 처리를 한 뒤에, 생성한 송신 데이터를 송신부(13)를 경유하여 기지국(2)에 대하여 송신한다. Next, the transmission data determination and autonomous transmission unit 17 acquires data from the buffer 11 within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and transfers the acquired data to the transmission data generation unit 18. The transmission data generation unit 18 transmits the generated transmission data to the base station 2 via the transmission unit 13 after performing transmission processing such as encoding for error correction.

다음에,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서 ACK/NAK 신호를 수신한 경우, ACK/NAK 수신부(19)에서는, 수신한 ACK/NAK 신호를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를 송신 데이터 판단 및 자율 송신부(17)에 통지한다. Next, when an ACK / NAK signal is received as a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data, the ACK / NAK reception unit 19 analyzes the received ACK / NAK signal and transmits the analysis result to the transmission data determination and autonomous transmission unit 17. Notify

다음에, 송신 데이터 판단 및 자율 송신부(17)에서는, 상기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신규 데이터를 송신할 것인지(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 재송 데이터를 송 신할 것인지(NAK 신호를 수신한 경우)를 판단한다. 그리고, 신규 데이터를 송신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송신 허가 시간 내이면, 버퍼(11)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여, 취득한 데이터를 송신 데이터 생성부(18)에 전송하고, 송신 허가 시간 외이면, 다시 송신 요구를 하도록 지시한다. 한편, 재송 데이터를 송신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송신 허가 시간 외이더라도, 송신 요구를 하는 일없이, 재송 데이터를 자율적으로 송신한다. 또한, 송신 데이터 판단 및 자율 송신부(17)에서는, 재송 데이터를 자율적으로 송신하는 경우, 그 취지를 송신 요구 판단부(12)에 통지하여, 송신 요구 신호의 송신을 막는다. 이에 따라, 송신 요구를 하지 않고, 곧 재송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Next, the transmission data determination and autonomous transmission unit 17 decides whether to transmit new data (when an ACK signal is received) or retransmission data (when a NAK signal is receiv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o judg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ew data is to be transmitted, the data is acquired from the buffer 11 if it is within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and the acquired data is transferred to the transmission data generation unit 18. Instruct them to.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transmission data is to be transmitted, the retransmission data is autonomously transmitted without making a transmission request even if it is outside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data determination and autonomous transmission unit 17 notifies the transmission request determination unit 12 when the retransmission data is autonomously transmitted, and prevents transmission of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In this way, retransmission data can be transmitted immediately without making a transmission request.

한편, 기지국(2)에서는, 수신부(21)를 경유하여 송신 요구 신호를 수취하고, 요구 수신 및 스케줄링부(22)가 그 송신 요구 신호를 평가하여, 그 결과로서 할당 신호를 송신부(23) 경유로 단말(1)에 통지한다. 또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 처리부(24)가 소정의 수신 처리를 하여, 수신 결과(성공/실패)를 ACK/NAK 신호로 반송한다. 이 때, 수신에 성공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즉시 상위 레이어에 전송하고, 한편, 수신에 실패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동일 데이터가 재송되어 온 경우에 합성을 하기 위해, 버퍼(25)에 저장한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station 2 receives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via the reception unit 21, the request reception and scheduling unit 22 evaluates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and as a result passes the allocation signal via the transmission unit 23. The terminal 1 is notified. In addition, when data is received,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24 performs predetermined reception processing, and returns the reception result (success / failure) as an ACK / NAK signal. At this time, data that has been successfully received is immediately transferred to the upper layer, while data that failed to be received is stored in the buffer 25 for composition when the same data is retransmitt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지국으로부터 NAK 신호가 회신되고, 또한 단말에 할당된 송신 허가 시간이 종료되어 있는 경우에도, 송신 요구 신호의 송신 및 할당 신호의 수신에 관한 처리를 하는 일없이, 자율적으로 재송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했다. 이에 따라, 재송시에 송신 요구의 송신 및 할당 신호의 수신 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재송 데이터의 송신시에 발생하는 지연 시간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지연 시간을 저감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수신에 실패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를 사용하는 시간도 줄어들기 때문에, 버퍼 사용 효율이 대폭 향상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when the NAK signal is return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allocated to the terminal has expired, the processing of the transmission of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and the reception of the allocation signal are not performed. It is assumed that autonomous transmission data is transmitted. As a result, compared with the prior art which performs processing related to the transmission of the transmission request and the reception of the allocation signal at the time of retransmission, the delay time occurring at the time of transmission of retransmission data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delay time can be reduced, the time for using the buffer for storing the data that has failed to be received is also reduced, which greatly improves the buffer usage efficiency.

다음에, 실시예 2의 통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 2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먼저 설명한 실시예 1과 다른 처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Next, the communication method of Example 2 is demonstrated.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of Embodiment 2.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processing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S9의 처리에서 NAK 신호를 수신한 단말이, NAK 신호의 수신시로부터, 미리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규정해 놓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재송 데이터를 송신한다(단계 S21). 이 재송 제어는, 실시예 1에 있어서 기재한 처리와 마찬가지로,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송신 요구 신호나 할당 신호의 교환을 하는 일없이, 자율적으로 재송 데이터를 송신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NAK signal in the process of step S9 transmits retransmission data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d from the reception of the NAK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in advance (step S21). . This retransmission control transmits the retransmission data autonomously, similarly to the processing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without exchanging 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or an assignment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도 4는, 상기 통신 방법을 실현 가능한, 본 실시예의 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단말(1a)은 제어부(31)와 송신 데이터 판단 및 자율 송신부(17a)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고, 기지국(2a)은 제어부(32)와 수신 처리부(24a)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설명한 실시예 1과 다른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can realize the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terminal 1a includes a control unit 31 and a transmission data determination and autonomous transmitter 17a. The base station 2a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32 and a reception processing unit 24a.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opera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단말(1a) 및 기지국(2a)의 제어부(31, 32)는, 송신 데이터의 송수신보다도 전에 제어 정보의 교환을 하여, 미리 자율 송신용의 타이밍을 규정한다. 단말(1a)의 제어부(31)에서는, 규정된 일정 시간을 송신 데이터 판단 및 자율 송신부(17)에 통지한다. 그리고, 송신 데이터 판단 및 자율 송신부(17a)에서는, 재송 데이터를 송신한다고 판단한 경우, 송신 허가 시간 외이더라도, 송신 요구를 하지 않고, NAK 신호의 수신시로부터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재송 데이터를 자율적으로 송신한다. The control units 31 and 32 of the terminal 1a and the base station 2a exchange control information prior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ransmission data, and predetermine timing for autonomous transmission in advance. The control part 31 of the terminal 1a notifies the transmission data determination and autonomous transmission part 17 of the prescribed fixed time. When the transmission data determination and autonomous transmission unit 17a determines that the retransmission data is to be transmitted, the retransmission data is autonomously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reception of the NAK signal without making a transmission request even if it is outside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Send by

한편, 기지국(2a)의 제어부(32)에서는, 수신 처리부(24a)에서의 수신 동작을, NAK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상기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시작하도록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32 of the base station 2a controls the reception operation in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24a to start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ransmitting the NAK signal.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재송 데이터를 자율적으로 송신하는 타이밍을, NAK 신호의 수신시로부터 특정의 일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으로 하는 것으로 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NAK 신호의 송신으로부터 일정 시간후에 재송 데이터의 수신 동작을 하면 되어, 수신기로서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소비량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ming of autonomously transmitting retransmission data is assumed to be a time point when a specific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reception of the NAK signal. As a result, the base station only need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receiving the retransmitted data after a certain time from the transmission of the NAK signal, so that the function as the receiver can be efficiently used, and thus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greatly reduced.

또, 상기 일정 시간은, 기지국 및 단말에서 모두 동일한 값이 인식되어 있는 것이면 어떻게 규정하더라도 좋고, 기지국-단말 사이에서 사전에 통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또한, 구체적인 값을 통신하지 않고, 미리 기억된 시간을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defined as long as the same value is recognized by both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or may be communicated in adv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nd the time stored in advance without communicating specific values. It may be used.

다음에, 실시예 3의 통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 3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먼저 설명한 실시예 2와 다른 처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의 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에 대해서는, 먼저 설명한 실시예 2의 도 4와 마찬가지다. Next,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of Embodiment 3.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processing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imilar to that of FIG. 4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1a)에 대하여 NAK 신호를 송신한 기지국이 단말(1a) 로부터의 자율 송신을 예측하고, 그 예측 시간대를 피하여 별도 송신 요구 신호를 송신하여 온 다른 단말에 대하여 송신 허가를 부여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base station that has transmitted the NAK signal to the terminal 1a predicts autonomous transmission from the terminal 1a, and grants transmission permission to the other terminal that has transmitted a separat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by avoiding the prediction period. Grant.

예컨대, 단말(1a)에 대하여 NAK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재송 데이터를 수신하기까지의 동안에, 다른 단말로부터 송신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단계 S31), 또한 단말(1a)의 송신 허가 시간이 종료되어 있는 경우, 기지국(2a)에서는, NAK 신호의 송신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재송 데이터가 보내져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For example, while transmitting the NAK signal to the terminal 1a and receiving the retransmission data,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another terminal (step S31), and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of the terminal 1a is terminated.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2a can predict that retransmission data is sent after a lapse of time from the transmission of the NAK signal.

또한, 단말(1a)에 대하여 NAK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재송 데이터를 수신하기까지의 동안에, 가령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하여 송신 허가 시간을 할당하게 되면, 단말(1a)로부터의 송신과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의 송신이 서로 간섭하여, 수신 실패로 될 가능성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is allocated to the other terminal, for example, from the transmission of the NAK signal to the terminal 1a until the retransmission data is received, the transmission from the terminal 1a and the transmission from the other terminal are perform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ransmissions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cause a reception failure.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지국(2a)의 요구 수신 및 스케줄링부(22)가, 상기 예측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단말에 할당하는 송신 허가 시간을, 재송 데이터의 송신 시간대와 겹치지 않도록 늦춘다. 구체적으로는, 할당 신호를 이용하여, 통상의 전송 속도와 송신 허가 시간 길이에 덧붙여, 송신 개시 시간을 더 통지한다(단계 S32). 또, 이 송신 개시 시간은, 할당 신호의 수신으로부터의 상대적인 시간이라도 좋고, 기지국(2a)과 상기 다른 단말이 공유할 수 있는 절대적인 시간이라도 좋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request receiving and scheduling unit 22 of the base station 2a delays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allocated to the other terminal based on the prediction so as not to overlap the transmission time zone of the retransmission data. Specifically, in addition to the normal transmission speed and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length, the transmission start time is further notified by using the allocation signal (step S32). In addition, this transmission start time may be a relative time from reception of an allocation signal, or may be an absolute time which can be shared by the base station 2a and the other terminal.

그리고, 송신 허가 시간의 할당을 받은 상기 다른 단말에서는, 지정의 송신 개시 시간까지는 데이터 송신을 하지 않고, 지정 시간으로 되고 나서 송신 허가 시간 길이의 데이터를 송신한다(단계 S33∼S36). 구체적으로는, 상기 다른 단말의 할당 수신부(15)가 송신 개시 시간을 해석하고, 또한, 송신 시간 판단부(16)가 당해 해석 결과를 고려하여 송신 데이터 판단 및 자율 송신부(17a) 및 송신 요구 판단부(12)를 제어한다. Then, the other terminal that has been assigned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does not transmit data until the designated transmission start time, but transmits data having a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length after the designated time (steps S33 to S36). Specifically, the allocation receiving unit 15 of the other terminal analyzes the transmission start time, and the transmission time determination unit 16 determines the transmission data determination and the autonomous transmission unit 17a and the transmission request determin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nalysis result. The unit 12 is controll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지국이, NAK 신호의 송신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데이터 송신원의 단말로부터 재송 데이터가 송신되어 오는 것을 예측하고, 그 예측되는 시간대에는 다른 단말로의 송신 허가 시간의 할당을 제한하는 것으로 했다. 이에 따라, 재송 데이터와 다른 단말로부터의 송신 데이터 사이의 간섭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실패의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station predicts that retransmissio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of the data transmission source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transmission of the NAK signal, and during the estimated time period, We decided to limit allocation. As a result, since interference between retransmission data and transmission data from another terminal can be avoided, the probability of reception failure can be reduced.

다음에, 실시예 4의 통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 4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먼저 설명한 실시예 1과 다른 처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Next,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of Embodiment 4.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processing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세번째 데이터의 재송을 자율 송신으로 실행하지만, 이 때, 부호화율을 변경한다. 도 6에서는, 일례로서, 초기 송신시의 부호화율을 1/2로 규정하고, 재송시의 부호화율을 1/4로 규정한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타임 슬롯으로 세번째 데이터를 송신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세번째 데이터를 송신한다(단계 S41, S4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performs retransmission of the third data as described above by autonomous transmission, but at this time, the coding rate is changed. In FIG. 6, as an example, the code rate at the time of initial transmission is prescribed | regulated as 1/2, and the code rate at the time of retransmission is prescribed | regulated as 1/4. 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hird data is transmitted in one time slot,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data is transmitted using two time slots (steps S41 and S42).

도 7은, 상기 통신 방법을 실현 가능한, 본 실시예의 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단말(1b)은 송신 데이터 판단 및 자율 송신부(17b)와 송신 데이터 생성부(18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고, 기지국(2b)은 수신 처리부(24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설명한 실시예 1과 다른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of this embodiment, which can realize the above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terminal 1b includes a transmission data determination and autonomous transmission unit 17b and a transmission data generation unit 18b. In this configuration, the base station 2b includes a reception processing unit 24b.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opera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단말(1b)의 송신 데이터 판단 및 자율 송신부(17b)는 송신 데이터 생성부(18b)에 부호화율의 정보를 통지한다. 송신 데이터 생성부(18b)는, 통지된 부호화율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에 대해 오류 정정 부호화 처리를 한다. 또, 부호화율의 정보는 신규 데이터/재송에 관계없이 항상 통지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재송시에만 통지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한편, 기지국(2b)의 수신 처리부(24b)는 규정된 부호화율에 근거하여 수신 신호에 대하여 오류 정정 복호화를 한다. The transmission data determination and autonomous transmission unit 17b of the terminal 1b notifies the transmission data generation unit 18b of the coding rate information. The transmission data generation unit 18b performs error correction encoding processing on the transmission data based on the notified coding rate. Moreover, the information of the coding rate may be always informed regardless of new data / retransmission, or may be notified only at the time of retransmission. On the other hand,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24b of the base station 2b performs error correction decoding on the received signal based on the prescribed coding rat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재송시의 오류 정정용의 부호화율을 초기 송신시의 부호화율보다도 낮게 하는 것으로 했다. 부호화율을 낮게 한 것에 의해, 세번째 데이터의 수신 및 복조시의 내잡음성능, 내간섭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효과를 이용함으로써, 재송시와 초기 송신시에 동일한 목표 오류율을 설정한 경우에, 재송시의 송신 전력을 초기 송신시의 송신 전력보다도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단말의 데이터 송신에 부여하는 간섭량을 저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code rate for error correction during retransmission is made lower than the code rate for initial transmission. By lowering the coding rate, the noise resistance and the interference performance during the reception and demodulation of the third data can be improved. By utilizing this effect, when the same target error rate is set at the time of retransmission and initial transmission, the transmission power at the time of retransmission can be set lower than the transmission power at the time of initial transmission. Therefore, the amount of interference applied to data transmission of another terminal can be reduc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복수(하나를 포함함)의 단말로 구성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유용하며, 특히, 당해 무선통신 시스템의 오류 정정 기술로서 재송 제어를 채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osed of at least one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one), and particularly, retransmission control as an error correction techniqu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t is suitable for the case of adoption.

Claims (9)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그 기지국이 커버하는 서비스 영역에 존재하는 복수(하나를 포함함)의 단말을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실현 가능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A communication method which can be realized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t least one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one) which exist in a service area covered by the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실패를 나타내는 NAK 신호가 회신되고, 또한 그NAK 신호가 회신된 단말에 할당된 송신 허가 시간이 종료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단말이, 송신 요구를 행하지 않고 자율적으로 재송 데이터를 송신하는 재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When the NAK signal indicating a reception failure is return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allocated to the terminal to which the NAK signal is returned has expired, the terminal automatically transmits retransmission data without making a transmission request. And a retransmission ste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재송 단계에서는, NAK 신호가 회신된 단말이, 당해 NAK 신호의 수신시로부터,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규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송신 요구를 행하지 않고 자율적으로 재송 데이터를 송신하고, In the retransmission step, the terminal to which the NAK signal is returned, autonomously transmits retransmission data without making a transmission request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reception of the NAK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은, 재송 데이터의 수신 동작을, NAK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상기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And the base station starts the reception operation of the retransmission data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ransmitting the NAK signa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단말에 대하여 NAK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재송 데이터를 수신하기까지의 동안에 다른 단말로부터 송신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NAK 신호가 회신된 단말의 송신 허가 시간이 종료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이, 재송 데이터의 송신 시간대를 예측하고, 그 예측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단말로 할당할 송신 허가 시간을 재송 데이터의 송신 시간대와 겹치지 않도록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If the transmission request time is received from the other terminal while transmitting the NAK signal to the terminal until receiving the retransmission data, and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of the terminal to which the NAK signal is returned has expired, the base station, And a transmission time period of the retransmission data is predicted, and based on the prediction,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to be allocated to the other terminal is delay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transmission time range of the retransmission dat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재송 단계에서는, 재송시의 오류 정정용의 부호화율을 초기 송신시의 부호화율보다도 낮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And in the retransmission step, a code rate for error correction upon retransmission is lower than a code rate upon initial transmission. 기지국과 함께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에 있어서, In the terminal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with a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실패를 나타내는 NAK 신호가 회신되고, 또한 송신 허가 시간이 종료되어 있는 경우에, 송신 요구를 행하지 않고 자율적으로 재송 데이터를 송신하는 자율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And an autonomous transmission means for autonomously transmitting retransmission data without making a transmission request when a NAK signal indicating a reception failure is return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has expired.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자율 송신 수단은, 상기 NAK 신호의 수신시로부터,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규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송신 요구를 행하지 않고 자율적으로 재송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And said autonomous transmission means autonomously transmits retransmission data without making a transmission request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reception of said NAK signal with said base station.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자율 송신 수단은, 재송시의 오류 정정용의 부호화율을 초기 송신시의 부호화율보다도 낮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said autonomous transmission means makes the code rate for error correction at the time of retransmission lower than the code rate at the time of initial transmission. 자국(自局)이 커버하는 서비스 영역에 존재하는 복수(하나를 포함함)의 단말과 함께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A base station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one) existing in a service area covered by a local station, 재송 데이터의 수신 동작을, 수신 실패를 나타내는 NAK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상기 단말과의 사이에서 규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개시하는 수신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And a reception processing means for starting the reception operation of the retransmitted data after transmitting a NAK signal indicating a reception failure,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prescribed by the terminal has elapsed.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특정 단말에 대하여 NAK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재송 데이터를 수신하기까지의 동안에 다른 단말로부터 송신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NAK 신호가 회신된 단말의 송신 허가 시간이 종료되어 있는 경우에, 재송 데이터의 송신 시간대를 예측하고, 그 예측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단말로 할당할 송신 허가 시간을 재송 데이터의 송신 시간대와 겹치지 않도록 지연시키는 스케줄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Transmission of retransmission data when 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another terminal until the NAK signal is transmitted to a specific terminal and until retransmission data is received, and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of the terminal to which the NAK signal is returned has expired. And a scheduling means for predicting a time zone and delaying the transmission permission time to be allocated to the other terminal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transmission time zone of retransmitted data based on the prediction.
KR1020067009057A 2006-05-10 2003-11-11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KR200600792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9057A KR20060079253A (en) 2006-05-10 2003-11-11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9057A KR20060079253A (en) 2006-05-10 2003-11-11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203A Division KR100905355B1 (en) 2006-05-11 2003-11-11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of terminal, and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253A true KR20060079253A (en) 2006-07-05

Family

ID=3717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057A KR20060079253A (en) 2006-05-10 2003-11-11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925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9228B2 (en) Supporting uplink transmissions
JP4275667B2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EP1557968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witching between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HARQ retransmission modes
EP1557967B1 (en) Method of HARQ retransmission timing control
KR100459557B1 (en) Method for allocating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channel number for indicating state information of data in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ommunication system
EP1545040B1 (en) HARQ protocol with synchronous retransmissions
EP2787673B1 (en) Interference limitation for retransmissions
JP4549344B2 (en) Method, base station, remote station and system for HSDPA communication
EP1583272B1 (en) Interference limitation for uplink retransmissions
JP4768283B2 (en) Retransmission control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EP159424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on a HARQ process in an enhanced uplink dedicated channel
KR2008004467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660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14933A (en) Apparaut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of packe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harq
KR100905355B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of terminal, and terminal
KR2007010188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 node b scheduling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60079253A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JP5323185B2 (en) Terminal switching method,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03018207A (en) Method for improving outgoing traffic channel transmission delay time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transmis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