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9105A -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serving se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serving se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9105A
KR20060079105A KR1020050132320A KR20050132320A KR20060079105A KR 20060079105 A KR20060079105 A KR 20060079105A KR 1020050132320 A KR1020050132320 A KR 1020050132320A KR 20050132320 A KR20050132320 A KR 20050132320A KR 20060079105 A KR20060079105 A KR 20060079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serving sector
value
strength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23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00986B1 (en
Inventor
아닐 아기왈
수드히르 쿠마르 바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79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1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9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섹터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서빙 섹터를 효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불필요한 서빙 섹터의 전환 및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serving se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prevent unnecessary switching of the serving sector and waste of resources by efficiently selecting the serving sector.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서빙 섹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액티브 셋의 섹터로부터 수신되는 파일럿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서빙 섹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상기 액티브 셋의 섹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의 차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차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선택 파라미터들을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갱신된 선택 파라미터들과 비교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액티브 섹터들로부터 최적의 서빙 섹터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determining a serving sector using a sig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the method comprising: measuring the strength of a pilot signal received from a sector of an active set; Calculating a difference in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ctor of the active set, updating the selection parameters by comparing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updating the updated selection parameters and comparison parameters. And determining an optimal serving sector from the active sectors.

셀, 서빙 섹터, 서빙 섹터 결정, 액티브 섹터, 이동통신 시스템. Cell, serving sector, serving sector determination, active sect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섹터 선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SERVING SE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serving se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SERVING SE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셀룰라 구조를 가지는 일반적인 CDMA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구성 및 단말의 위치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of a general CDM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cellular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CDMA 통신 시스템에서 최적의 섹터를 결정하기 위한 단말의 제어 흐름도,2 is a control flowchart of a terminal for determining an optimal sector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선택 파라미터를 갱신하기 위한 과정의 제어 흐름도,3 is a control flowchart of a process for updating a selection parame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단말에서 최적의 섹터를 선택할 시 제어 흐름도,4 is a control flowchart of selecting an optimal sector in an acc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단말의 내부 블록 구성도,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acc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섹터 선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 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섹터(serving sector)의 선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secto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serving se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통상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시스템이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위치에 제약받지 않으면서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을 말한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초기 음성 위주의 시스템에서 점차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하였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중 CDMA 통신 시스템에서 HDR이라 불리우는 1xEV-DO 시스템과, 1xEV-DV 시스템 등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어 상용화의 단계에 이르렀다.Typically, a representative syste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c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fers to a system developed to provide a user to communicate without being restricted by a loc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evolved from an initial voice oriented system to a system for providing data service gradually. As such, various systems, such as 1xEV-DO system, called HDR, and 1xEV-DV system,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상기한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은 제한된 자원인 직교 부호를 사용하여 사용자들을 구분하며, 이를 통해 음성 서비스 또는/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제한된 자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보다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기지국 범위인 셀을 섹터 단위로 구분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The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istinguishes users using orthogonal codes, which are limited resources, thereby providing voice services and / or data services. Since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limited resources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ovide faster data service to more users, a techniqu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by dividing a cell, which is a range of one base station, into sector units has been developed and used.

따라서 일반적인 CDMA 통신 시스템은 여러 개의 기지국들로 구성되는 셀들을 가지며, 하나의 기지국은 다시 여러 개의 섹터로 분할된다. 그러므로 특정한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한 단말은 주로 자신이 위치한 섹터를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 AT)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셀 또는 섹터에 속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을 수행하는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둘 이상의 셀 또는 섹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 공될 트래픽은 각 섹터로 라우팅 된다. 그 결과 액세스 단말은 자신이 속한 모든 액티브 셀 또는 섹터들로부터 트래픽을 수신한다.Therefore, a typical CDMA communication system has cells composed of several base stations, and one base station is divided into several sectors. Therefore, a terminal located in an area of a specific base station communicates with the network mainly through a sector in which the terminal is located. In this case, an access terminal (AT) may belong to one or more cells or sectors to perform communic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communicating with two or more cells or sectors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erforming communication, traffic to be provided to a user is routed to each sector. As a result, the access terminal receives traffic from all active cells or sectors to which it belongs.

도 1은 셀룰라 구조를 가지는 일반적인 CDMA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구성 및 단말의 위치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셀룰라 구조를 가지는 일반적인 CDMA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들의 형상과 단말의 위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of a general CDM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cellular structure. Hereinafter, the shape of the base stations and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of a general CDM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cellular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상기 도 1에서는 제1기지국(BS1)(110)과 제2기지국(BS2)(120) 및 제3기지국(BS3)(130)을 도시하였다. 상기 각 기지국들(110, 120, 130)은 각각 3개의 섹터들을 가지며, 제1기지국(110)은 X1, Y1, Z1의 섹터를 가지고, 제2기지국(120)은 X2, Y2, Z2의 섹터를 가지며, 제3기지국(130)은 X3, Y3, Z3의 섹터를 가진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AT)(101)은 제1기지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X1에 속하면서 Y1과의 경계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다.In FIG. 1, a first base station BS1 110, a second base station BS2 120, and a third base station BS3 130 are illustrated. Each of the base stations 110, 120, and 130 has three sectors, respectively, the first base station 110 has a sector of X1, Y1, and Z1,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20 has a sector of X2, Y2, and Z2. The third base station 130 has sectors of X3, Y3, and Z3. As shown in FIG. 1, the access terminal (AT) 101 is located at the edge of the first base station, and belongs to X1 and is located at the boundary with Y1.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101)이 위치할 경우 단말은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소프트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경우 적어도 2개의 섹터 또는 그 이상의 섹터들로부터 동일한 신호들이 수신된다. 이는 동일한 데이터가 서로 다른 섹터로 라우팅되어 결국 상기 액세스 단말(101)로 전달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access terminal 101 is located, the terminal may be located in a handover area. Therefore, in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n soft handover is performed, the same signals are received from at least two sectors or more sectors. This means that the same data is routed to different sectors and eventually delivered to the access terminal 101.

한편, 고속의 데이터율을 가지는 DMA 데이터 통신 시스템들인 1XEV-DV 또는 1XEV-DO 또는 HSDA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트래픽의 순방향 링크 출력을 최대화하기 위해 하나의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하나의 섹터로만 라우팅 한다. 즉, 하나의 액세스 단말로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액세스 단말은 계 속하여 모든 액티브 섹터들을 검사하고, 그 중에서 최적의 서빙 섹터(serving sector)를 선택한 후 이를 네트워크에 알려야 한다. 그러면 네트워크는 액세스 단말이 알려온 최적의 서빙 섹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최적의 서빙 섹터 선택을 '사이트 선택 전송 다이버시티(site selection transmission diversity)'라고도 한다.On the other hand, in a system such as 1XEV-DV or 1XEV-DO or HSDA, which are high-speed data rate DMA data communication systems, only one sector is routed when data is transmitted to one terminal to maximize the forward link output of data traffic. . That is, data is transmitted to only one access terminal. Therefore, the access terminal must continue to check all active sectors, select the optimal serving sector among them, and notify the network. The network then transmits the data to the optimal serving sector known by the access terminal. This optimal serving sector selection is also referred to as 'site selection transmission diversity'.

상기 최적의 서빙 섹터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최근에 알려진 접근 방법에 따르면, 액세스 단말은 모든 액티브 섹터들 중에서 세기가 가장 큰 순방향 링크 신호를 가진 서빙 섹터를 선택하여 이를 피드백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에 알린다.According to an approach recently known as a method of selecting the optimal serving sector, the access terminal selects a serving sector having the strongest forward link signal among all active sectors and informs the network through a feedback channel.

그러면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단말이 서빙 섹터의 선택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Next, a process of selecting a serving sector by an access terminal i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단계 1 : 액세스 단말은 모든 액티브 섹터의 순방향 링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모니터링 한다.Step 1: The access terminal measures and monitors the strength of the forward link signal of all active sectors.

단계 2 : 액세스 단말은 모든 액티브 섹터의 순방향 링크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서빙 섹터를 결정한다. 이때, 가장 큰 세기의 순방향 링크 신호를 가진 섹터가 서빙 섹터로 선택된다.Step 2: The access terminal determines the serving sector by comparing the strengths of the forward link signals of all active sectors. At this time, the sector with the forward link signal of the greatest strength is selected as the serving sector.

단계 3 : 액세스 단말은 피드백 채널을 통해 상기 선택된 서빙 섹터를 네트워크에 알린다.Step 3: The access terminal informs the network of the selected serving sector via a feedback channel.

이러한 과정은 모든 액티브 섹터의 순방향 신호의 세기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반복된다.This process is repeated continuously to monitor the strength of the forward signal of all active sectors.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매 시점마다 액티브 섹터의 순방향 세기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로 알림으로써 섹터간의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서빙 섹터의 전환이 일어날 때마다, 액세스 단말로 전송될 데이터가 해당 섹터의 데이터 큐(queue)로 전송되어야 한다. 따라서 액세스 단말은 데이터 큐가 준비될 때까지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서빙 섹터의 빠른 전환은 심각한 네트워크 오버헤드나 액세스 단말에 데이터의 불연속 전송(outage)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특정 시간에 파일럿 세기에 기초하여 서빙 섹터가 선택되는 경우, 잘못된 신호 세기 산출이나 서지(surge)로 인해 파일럿 세기가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서빙 섹터를 선택한 이후에 상기 섹터로부터 수신되는 유효 신호 세기는 감소하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고려하지 않고 빠르게 서빙 섹터를 전환함으로써 데이터의 불연속 전송이나, 비정상적인 서빙 섹터의 선택 등으로 인하여 통신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칠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sector-to-sector switching is performed quickly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forward strength of the active sector at each time point and notifying the network. Therefore, whenever switching of the serving sector occurs,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access terminal must be transmitted to the data queue of the sector. Thus, the access terminal cannot receive data until the data queue is ready. This fast switching of serving sectors causes severe network overhead or discontinuous transmission of data to the access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serving sector is selected based on the pilot strength at a specific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ilot strength is high due to incorrect signal strength calculation or surge. In this case, after selecting a serving sector, the effective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sector is reduced. That is, by switching the serving sector quickly without considering the above-mentioned points, it may adversely affect the communication quality due to the discontinuous transmission of data or the selection of an abnormal serving secto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확한 서빙 섹터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the correct serving sect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빙 섹터 선택의 오류로 인하여 발생하는 네트워크의 불필요한 전환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unnecessary switching of a network caused by an error in serving sector sel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서빙 섹터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serving sector so as to stably transmit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빙 섹터의 빈번한 교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method for preventing frequent replacement of a serving sec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의 처리율을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throughput of a network.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서빙 섹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서빙 섹터 및 액티브 셋의 섹터로부터 수신되는 파일럿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와, 서빙 섹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상기 액티브 셋의 섹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의 차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차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선택 파라미터들을 갱신하며, 상기 갱신된 선택 파라미터들과 비교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액티브 섹터들로부터 최적의 서빙 섹터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파라미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s a device for determining a serving sector using a sig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pilot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sector and the active set of sectors Calculates a difference between a measurement unit and a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a serving sector and a signal received from a sector of the active set, and compares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o update the selection parameters;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n optimal serving sector from the active sectors using the updated selection parameters and comparison parameters, and a memory for storing the parameters.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서빙 섹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액티브 셋의 섹터로부터 수신되는 파일럿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서빙 섹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상기 액티브 셋의 섹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의 차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차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선택 파라미터들을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갱신된 선택 파라미터들과 비교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액티브 섹터들로부터 최적의 서빙 섹터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s a method for determining a serving sector using a sig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comprising the steps of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pilot signal received from the sector of the active set, and from the serving sector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ctor of the active set; updating the selection parameters by comparing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Determining the optimal serving sector from the active sectors using the parameters and the comparison parameter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 및 상세 내용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이 이용되는 환경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종래의 고속 전송을 수행하는 데이터율의 CDMA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CDMA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셀 1(Cell 1), 셀 2(Cell 2), 및 셀 3(Cell 3)으로 총 3개의 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각 셀은 3개의 섹터를 포함하며, 그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액세스 단말(101)은 3개의 액티브 섹터 X1, Y1, 및 Z3와 통신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현재 서빙 섹터는 X1이라 가정한다. 따라서 액세스 단말(101)로 제공될 데이터 트래픽은 기지국 BS1으로부터 섹터 X1로 라우팅되어 섹터 X1에서 액세스 단말 A로 전송된다.Before describing the various aspects and details of the invention, it will be useful to describe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invention is used. A CDMA system of a data rate for performing a conventional high speed transfer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CDMA system illustrated in FIG. 1 includes three cells, namely, Cell 1, Cell 2, and Cell 3. Each cell also includes three sectors, the description of which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assumed here that the access terminal 101 communicates with three active sectors X1, Y1, and Z3. And it is assumed that the current serving sector is X1. Therefore, data traffic to be provided to the access terminal 101 is routed from the base station BS1 to the sector X1 and transmitted from the sector X1 to the access terminal A.

따라서 액세스 단말 A는 액티브 섹터 X1, Y1, 및 Z3의 순방향 링크 신호 세기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이때 어느 시점에서, 섹터 Z3의 순방향 신호 세기가 가장 강하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액세스 단말은 즉시 섹터 Z3 섹터를 선택하고 이를 네트워크에 알릴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 트래픽은 제3기지국(130)의 섹터 Z3 로 라우팅되어 전달되며, 그리고 나서 섹터 Z3에서 액세스 단말 A로 전송된다.Thus, access terminal A continuously monitors the forward link signal strength of active sectors X1, Y1, and Z3. At this point, it is assumed that the forward signal strength of sector Z3 is the strongest. The access terminal will then immediately select sector Z3 sector and inform the network. Thus, the data traffic is routed and forwarded to sector Z3 of the third base station 130, which is then sent to access terminal A in sector Z3.

그런 후 어느 시점에서 섹터 X1이 가장 강한 순방향 링크 신호를 가지게 되면, 액세스 단말(101)은 섹터 X1을 서빙 섹터로 선택했게 된다. 그리고, 다음 시점에서는 다시 섹터 Z3가 가장 강한 순방향 링크 신호를 가지게 된다. 몇 분 후에는, 섹터 X1이 가장 강한 순방향 링크 신호를 가지게 될 경우 두 개 이상의 섹터들 사이에서 빠른 전환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서빙 섹터의 전환이 일어날 때마다, 액세스 단말(101)로 전송될 데이터가 해당 섹터의 데이터 큐에 전송되어야 한다. 그 결과, 바람직하지 않은 빠른 전환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Then, at some point, when sector X1 has the strongest forward link signal, access terminal 101 selects sector X1 as the serving sector. Next time, sector Z3 again has the strongest forward link signal. After a few minut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fast switch between two or more sectors will occur if sector X1 has the strongest forward link signal. Whenever switching of serving sectors occurs in this manner,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access terminal 101 must be transmitted to the data queue of the sector. As a result, undesirable fast switching occurs.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CDMA 통신 시스템에서 최적의 섹터를 결정하기 위한 단말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CDMA 통신 시스테멩서 최적의 섹터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2 is a control flowchart of a terminal for determining an optimal sector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control flow for determining an optimal sector for a CDM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서는 액세스 단말에 대해 사이트 선택 전송 다이버시티를 구현하기 위해 최적의 서빙 섹터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과정은 액세스 단말에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CDMA 시스템 중 HDR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경우, 액세스 단말이 접속 상태인 동안, 즉 액세스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동안 각 HDR 시스템의 각 슬롯에서 후술되는 과정이 한번씩 이루어진다.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ncludes a process of determining an optimal serving sector to implement site select transmit diversity for an access terminal. This process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at the access terminal. When operating in an HDR system of a CDMA system, the following procedure is performed once in each slot of each HDR system while the access terminal is in a connected state, that is,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access network.

액세스 단말은 200단계에서 상기 루틴을 처음으로 시작하며, 201단계에서 액세스 단말은 액티브 파일럿 세트에서 각 섹터의 순방향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액세스 단말은 또한 현재 서빙 섹터의 순방향 링크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그런 후 상기 액세스 단말은 202단계에서 각 섹터에 대한 섹터 선택 파라미터들을 갱신한다. 이러한 갱신은 액티브 셋의 각 섹터들에 대하여 타이밍 및 신호 레벨의 히스테리시스를 이용한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액세스 단말은 203단계로 진행하여 각 섹터들에 대한 선택 파라미터 값들에 근거하여 최적의 서빙 섹터를 선택한다. 이때, 하나 이상의 서빙 섹터 후보가 있는 경우, 액세스 단말은 최적의 서빙 섹터를 식별하기 위해 비교 파라미터를 이용한다. 이러한 비교 파라미터를 이용하는 것은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런 후 액세스 단말은 2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과정을 종료한다.The access terminal starts the routine for the first time in step 200, and in step 201 the access terminal measures the forward signal strength of each sector in the active pilot set. The access terminal also measures the forward link signal strength of the current serving sector. The access terminal then updates the sector selection parameters for each sector in step 202. This update uses hysteresis of timing and signal levels for each sector of the active set.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n step 203, the access terminal selects an optimal serving sector based on selection parameter values for each sector. At this time, if there is more than one serving sector candidate, the access terminal uses the comparison parameter to identify the optimal serving sector. The use of such comparison parameter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The access terminal then proceeds to step 204 to terminate the proces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선택 파라미터를 갱신하기 위한 과정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택 파라미터 갱신을 위한 제어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3 is a control flowchart of a process for updating a selection parame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control process for updating a selection para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상기 도 3을 설명하기에 앞서 HDR 시스템의 각 슬롯에서 측정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갱신이 이루어지는 선택 파라미터들은 하기와 같은 값들을 가진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FIG. 3, the selection parameters that are updated by using the signal strength measured in each slot of the HDR system have the following values.

(1) DIFF : 액티브 세트의 한 섹터와 현재 서빙 섹터의 순방향 링크 신호 세기 간의 차를 나타낸다.(1) DIFF: Indic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rward link signal strength of one sector of the active set and the current serving sector.

(2) SELECTION_COUNT : 이 파라미터는 DIFF 값이 TH_STRENGTH 값 보다 더 큰 횟수를 나타낸다. 상기 파라미터는 후술할 FADING_CNT가 0이고, DIFF 값이 TH_STRENGTH 값 보다 클 때 증가된다. 해당 섹터의 파라미터가 0에서 0이 아닌 값으로 변할 때 즉, 값이 증가할 때마다 해당 섹터가 서빙 섹터의 후보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라미터는 최적의 서빙 섹터가 선택된 후에 리셋 된다.(2) SELECTION_COUNT: This parameter indicates the number of times the DIFF value is larger than the TH_STRENGTH value. The parameter is increased when FADING_C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0 and the DIFF value is larger than the TH_STRENGTH value. When a parameter of a corresponding sector changes from 0 to a non-zero value, that is, whenever the value increases, the corresponding sector becomes a candidate of a serving sector. The parameter is also reset after the optimal serving sector is selected.

(3) FADING_COUNT : 이 파라미터는 서빙 섹터 후보가 되는 섹터에 대해, DIFF 값이 TH_STRENGTH 값 보다 작은 횟수를 나타낸다. 상기 파라미터는 SELECTION_COUNT 값이 0이 아니고, DIFF 값이 TH_STRENGTH 값 보다 작을 때 증가된다. 상기 파라미터 또한 최적의 서빙 섹터가 선택된 후에 리셋 된다.(3) FADING_COUNT: This parameter indicates the number of times the DIFF value is smaller than the TH_STRENGTH value for the sector serving as the serving sector candidate. The parameter is incremented when the SELECTION_COUNT value is not zero and the DIFF value is less than the TH_STRENGTH value. The parameter is also reset after the optimal serving sector is selected.

그러면 상기한 값들에 근거하여 최적의 서빙 섹터를 찾기 위한 선택 파라미터의 갱신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Next, an update process of the selection parameter for finding an optimal serving sector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bove values.

단말은 300단계에서 최적의 서빙 섹터를 찾기 위한 선택 파라미터의 갱신 과정을 시작하고, 301단계로 진행하여 액티브 세트의 섹터의 순방향 링크 신호 세기와 현재 서빙 섹터의 순방향 링크 신호 세기 사이의 차를 계산한다. 즉, 액세스 단말은 j번째 액티브 섹터에 대한 DIFF 값을 계산한다. 그런 후 액세스 단말은 3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j번째 섹터의 DIFF 값이 임계(TH_STRENGTH) 값보다 더 큰지 아닌지를 검사한다. 상기 302단계의 검사결과 DIFF 값이 TH_STRENGTH 값 보다 크면, 상기 과정은 단계 30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06단계로 진행한다.In step 300, the terminal starts the process of updating the selection parameter for finding the optimal serving sector. In step 301, the terminal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rward link signal strength of the sector of the active set and the forward link signal strength of the current serving sector. . That is, the access terminal calculates the DIFF value for the jth active sector. The access terminal then proceeds to step 302 to check whether the DIFF value of the jth sector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_STRENGTH. If the check result DIFF value of step 302 is greater than the TH_STRENGTH valu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03, otherwise, proceeds to step 306.

먼저 303단계로 진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액세스 단말은 303단계에서 섹터의 FADING_COUNT 값이 0인지 아닌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FADING_COUNT 값이 0이면, 30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05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304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액세스 단말은 해당 섹터의 SELECTION_COUNT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섹터에 대한 DIFF 값을 저장한 후 상기 과정은 단계 310으로 진행하여 상기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에 상기 305단계로 진행하면, 액세스 단말은 섹터의 FADING_COUNT 값을 0으로 리셋 시키고, 3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과정을 종료한다.First, the case proceeding to step 303 will be described. The access terminal checks whether the FADING_COUNT value of the sector is 0 in step 303. If the FADING_COUNT value is 0, the flow proceeds to step 304, otherwise proceeds to step 305. First, in step 304, the access terminal increases the SELECTION_COUNT value of the sector, stores the DIFF value for the sector,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10 to end the process. On the other hand, if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05, the access terminal resets the FADING_COUNT value of the sector to 0, and proceeds to step 310 to end the process.

한편, 상기 302단계에서 306단계로 진행하면, 액세스 단말은 SELECTION_COUNT 값이 0인지 아닌지 검사한다. 상기 306단계의 검사결과 SELECTION_COUNT 값이 0이면, 3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루틴을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proceeding from step 302 to step 306, the access terminal checks whether the SELECTION_COUNT value is zero. If the SELECTION_COUNT value is 0 in step 306, the routine proceeds to step 310 and ends the routine.

반면에 상기 306단계의 검사결과 SELECTION_COUNT 값이 0이 아니면, 액세스 단말은 307단계로 진행하여 섹터의 해당 섹터의 FADING_COUNT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308로 진행한다. 상기 액세스 단말은 308단계로 진행하면, 섹터의 FADING_COUNT 값이 MAX_FADING_COUNT 값과 동일한지 아닌지 검사한다. 상기 308단계의 검사결과 FADING_COUNT 값이 MAX_FADING_COUNT 값과 동일하면, 상기 과정은 단계 309로 진행고, 그렇지 않으면, 3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루틴을 종료한다. 상기 액세스 단말은 309단계로 진행하면, 섹터의 FADING_COUNT의 값을 리셋 시키고 섹터의 SELECTION_COUNT 값을 PENALTY_COUNT 값만큼 감소시킨 후 3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루틴을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result of the check in step 306, the SELECTION_COUNT value is not 0, the access terminal proceeds to step 307 to increase the FADING_COUNT value of the sector of the sector, and proceeds to 308. In step 308, the access terminal checks whether the FADING_COUNT value of the sector is equal to the MAX_FADING_COUNT value. If the FADING_COUNT value in step 308 is equal to the MAX_FADING_COUNT valu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09;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10 to end the routine. In step 309, the access terminal resets the FADING_COUNT value of the sector, decreases the SELECTION_COUNT value of the sector by the PENALTY_COUNT value, and proceeds to step 310 to end the routine.

이상에서 상술한 과정은 도 2의 선택 파라미터의 갱신을 위한 과정들이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2의 203단계인 최적의 섹터 선택을 위한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The above-described processes are processes for updating the selection parameter of FIG. 2. Next, a process for optimal sector selection, step 203 of FIG. 2,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단말에서 최적의 섹터를 선택할 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섹터 선택 시 제어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도 4에서 설명하는 과정은 최적의 서빙 섹터를 식별하기 위해 각 HDR 슬롯마 다 이루어짐에 유의해야 한다.4 is a control flowchart of selecting an optimal sector in an acc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control process for selecting an optimal s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Before describing FIG. 4,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ocess described in FIG. 4 is performed for each HDR slot in order to identify an optimal serving sector.

상기 도 4의 과정은 400단계에서 시작되며, 액세스 단말은 상기 도 4의 루틴이 시작되면 401단계로 진행하여 SELECTION_COUNT 값이 MAX_SELECTION_COUNT 값과 동일한 섹터를 결정한다. 즉, 액세스 단말은 상기 결정된 섹터들로부터 최적의 서빙 섹터를 선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액세스 단말은 401단계의 동작을 수행한 이후 4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결정된 섹터들로부터 최적의 서빙 섹터를 선택하기 위해 비교 변수들을 이용한다. 상기 결정된 섹터들로부터 최적의 서빙 섹터를 식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비교 파라미터들이 이용된다.The process of FIG. 4 begins in step 400, and when the routine of FIG. 4 starts, the access terminal proceeds to step 401 to determine a sector whose SELECTION_COUNT value is equal to the MAX_SELECTION_COUNT value. In other words, the access terminal selects an optimal serving sector from the determined sectors. Accordingly, the access terminal proceeds to step 402 after performing operation 401 and uses comparison variables to select an optimal serving sector from the determined sectors. The following comparison parameters are used to identify the optimal serving sector from the determined sectors.

- DRC Lock 비트 정보 : 상기 정보는 1X EVDO 시스템에서만 이용된다. 상기 비트는 액티브 세트에서 모든 섹터들로부터 수신된다. 정보는 역방향 링크의 신뢰도를 나타낸다. 단계 401에서 결정된 섹터로부터 수신된 DRC Lock 비트는 '0'이면, 즉, 역방향 링크가 신뢰성이 없으면, 이 섹터의 표시를 해제한다.DRC Lock bi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is used only in the 1X EVDO system. The bit is received from all sectors in the active set. The information indicates the reliability of the reverse link. If the DRC Lock bit received from the sector determined in step 401 is '0', i.e., if the reverse link is unreliable, this sector is unmarked.

여기서, 액티브 셋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결정된 섹터 각각에 대해 파일럿 신호 세기의 가중 평균을 계산한다. 최대 가중 평균값을 가지는 섹터가 최적의 서빙 섹터로 선택된다. 파일롯 신호 세기의 가중 평균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을 수행한다.Here, a weighted average of pilot signal strengths is calculated for each sector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for the active set. The sector with the largest weighted average value is selected as the optimal serving sector. The weighted average of the pilot signal strengths is calcul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quation 1 below.

Figure 112005077441079-PAT00001
Figure 112005077441079-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Wi는 i번째 DIFF 값에 할당된 가중치이며, i/MAX_SELECTION_COUNT와 동일하며, DIFFi는 DIFF의 i번째 값이다.In Equation 1, W i is a weight assigned to an i th DIFF value, and is equal to i / MAX_SELECTION_COUNT, and DIFF i is an i th value of DIFF.

상기한 과정을 통해 최적의 섹터를 식별한 후 액세스 단말은 403단계로 진행하여 액티브 셋의 모든 섹터에 대한 FADING_COUNT 값 및 SELECTION_COUNT 값을 리셋하고, 4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과정을 종료한다.After identifying the optimal sector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access terminal proceeds to step 403 to reset the FADING_COUNT and SELECTION_COUNT values for all sectors of the active set, and proceeds to step 404 to end the process.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Next, a device for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단말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cc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액세스 단말의 무선부(520)는 내부에 듀플렉서(521)와 RF 수신부(522) 및 RF 송신부(523)를 포함한다. 상기 듀플렉서(521)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경로를 구별하며,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RF 수신부(522)로 출력하고, RF 송신부(523)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안테나(ANT)로 출력한다. RF 수신부(522)는 수신된 무선 신호를 기저대역의 신호로 하강 변환하여 모뎀(533)로 출력한다. 또한 RF 수신부(522)는 수신된 신호 중 일부를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531)로 출력한다. 상기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531)는 각 섹터 또는 셀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신호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511)로 출력한다. RF 송신부(523)는 모뎀(533)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송신할 신호의 대역으로 대역 상승 변환한 후 이를 듀플렉서(521)로 출력한다.The radio 520 of the access terminal includes a duplexer 521, an RF receiver 522, and an RF transmitter 523 therein. The duplexer 521 distinguishes a path between a transmission signal and a reception signal, outpu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NT to the RF receiver 522, and outpu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RF transmitter 523 to the antenna ANT. Will output The RF receiver 522 down-converts the received radio signal into a baseband signal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modem 533. In addition, the RF receiver 522 outputs a part of the received signal to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measuring unit 531.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measuring unit 531 measures the received strength of the pilot signal received from each sector or cell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511. The RF transmitter 523 band-up convert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odem 533 into the band of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then outputs the converted signal to the duplexer 521.

모뎀(533)은 수신된 신호의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고, 제어부(511) 또는 표시부(545)로 출력한다. 또한 모뎀(533)은 송신할 데이터 또는 셀 선택 신호 등의 메시지를 부호화 및 변조하여 RF 송신부(523)로 출력한다. 따라서 모뎀(533)은 변조 및 복조와 부호화 및 복호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모뎀은 하나의 단일 칩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동영상 등의 데이터 처리를 위해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모뎀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modem 533 demodulates and decodes the received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511 or the display 545. In addition, the modem 533 encodes and modulates a message such as data to be transmitted or a cell selection signal and outputs the same to the RF transmitter 523. Accordingly, the modem 533 performs modulation and demodulation, and encoding and decoding operations. Such a modem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chip or two or more different modems for data processing such as a video.

제어부(511)는 무선부(520)의 전반적인 제어 및 모뎀(533)의 제어를 수행하며, 특정 제어 데이터들을 메모리(543)에 저장하거나 또는 메모리(543)로부터 데이터를 독취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11)는 앞에서 상술한 도 2, 도 3 및 도 4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531)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 정보와 메모리(543)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최적의 섹터 선택의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511)는 그 밖에 액세스 단말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의 제어를 수행한다.The controller 511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wireless unit 520 and control of the modem 533, and stores specific control data in the memory 543 or reads data from the memory 543 to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 Accordingly, the controller 511 performs the control operations of FIGS. 2, 3, and 4 described above. That is, the optimal sector selection is controlled by using the strength information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measuring unit 531 and parameters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543. The control unit 511 controls other operations performed in the access terminal.

키 입력부(541)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511)로 제공한다. 이러한 키 입력부(541)는 키 매트릭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터치 스크린 또는 음성 신호를 특정한 명령과 매칭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메모리(543)는 본 발명에 따른 파라미터를 저장하며, 액세스 단말의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가 저장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511)에서 제어 동작 시 발생되는 제어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545)는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판넬(LCD)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진동 모터, 발광 다이오드 등 의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key input unit 541 generates a key signal input by the user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511. The key input unit 541 may be configured in a key metric structure, or may be configured to use a touch screen or a voice signal by matching a specific command. The memory 543 stores parame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access terminal and various data stored by the user, and temporarily stores control data generated during a control operation in the controller 511. have. The display unit 545 may be generally configur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545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by using a device such as a vibration motor and a light emitting diode.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여 섹터를 선택하는 경우에 정확한 서빙 섹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네트워크의 전환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서빙 섹터의 빈번한 교체를 방지하며, 네트워크의 처리율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tor is selecte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n accurate serving sector can be selected, and thus, unnecessary switching of the network can be prevented, thereby stably transmitting data. In addition, this prevents frequent replacement of the serving sector and increases the throughput of the network.

Claims (8)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서빙 섹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determining a serving sector using a sig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the method comprising: 액티브 셋의 섹터로부터 수신되는 파일럿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pilot signal received from the sector of the active set; 서빙 섹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상기 액티브 셋의 섹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의 차를 계산하는 과정과,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sector and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ctor of the active set; 상기 계산된 차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선택 파라미터들을 갱신하는 과정과,Updating the selection parameters by comparing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상기 갱신된 선택 파라미터들과 비교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액티브 섹터들로부터 최적의 서빙 섹터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섹터 선택 방법.And determining an optimal serving sector from active sectors by using the updated selection parameters and comparison paramet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파라미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lection parameter, 상기 차의 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파라미터와,A parameter that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value of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상기 차의 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섹터 선택 방법.And a parameter fo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파라미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mparison parameter, 역방향 신호의 신뢰도를 근거로 결정된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섹터 선택 방법.A serving sector selection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determined based on the reliability of the reverse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서빙 섹터 결정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etermining the optimal serving sector is: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되는 가중치 평균이 최대인 섹터를 최적의 서빙 섹터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섹터 선택 방법.A method of selecting a serving se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a sector having a maximum weight average calculated as in Equation 2 is determined as an optimal serving sector.
Figure 112005077441079-PAT00002
Figure 112005077441079-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Wi는 i번째 DIFF 값에 할당된 가중치이며, i/MAX_SELECTION_COUNT와 동일하며, DIFFi는 DIFF의 i번째 값이다. 또한 DIFF는 서빙 섹터의 신호 세기와 i번째 섹터의 수신 신호 세기의 차를 의미한다.In Equation 2, W i is a weight assigned to an i th DIFF value, and is equal to i / MAX_SELECTION_COUNT, and DIFF i is an i th value of DIFF. DIFF also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serving sector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i-th sector.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서빙 섹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serving sector using a sig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the apparatus comprising: 서빙 섹터 및 액티브 셋의 섹터로부터 수신되는 파일럿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수신 신호 세기 측정부와,A received signal strength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a pilot signal received from a serving sector and an active set of sectors; 서빙 섹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상기 액티브 셋의 섹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의 차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차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선택 파라미터들을 갱신하며, 상기 갱신된 선택 파라미터들과 비교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액티브 섹터들로부터 최적의 서빙 섹터를 결정하는 제어부와,Calculate a difference between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sector and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ctor of the active set, update the selection parameters by comparing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update the selected selection parameter.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n optimal serving sector from the active sectors using the parameters and the comparison parameters; 상기 파라미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섹터 선택 장치.And a memory for storing the parameter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파라미터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lection parameter, 상기 차의 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파라미터와,A parameter that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value of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상기 차의 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섹터 선택 장치.And a parameter fo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파라미터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mparison parameter, 역방향 신호의 신뢰도를 근거로 결정된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섹터 선택 장치.Serving sector selection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determined based on the reliability of the reverse sign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최적의 서빙 섹터 결정 시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되는 가중치 평균이 최대인 섹터를 최적의 서빙 섹터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섹터 선택 장치.The apparatus for selecting a serving se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when determining the optimal serving sector, a sector having a maximum weight average calculated as in Equation 3 is determined as an optimal serving sector.
Figure 112005077441079-PAT00003
Figure 112005077441079-PAT00003
상기 <수학식 3>에서 Wi는 i번째 DIFF 값에 할당된 가중치이며, i/MAX_SELECTION_COUNT와 동일하며, DIFFi는 DIFF의 i번째 값이다. 또한 DIFF는 서빙 섹터의 신호 세기와 i번째 섹터의 수신 신호 세기의 차를 의미한다.In Equation 3, W i is a weight assigned to the i-th DIFF value, the same as i / MAX_SELECTION_COUNT, and DIFF i is the i-th value of DIFF. DIFF also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serving sector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i-th sector.
KR1020050132320A 2004-12-31 2005-12-28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serving se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30098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1483MU2004 2004-12-31
IN1483/CHE/2004 2004-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105A true KR20060079105A (en) 2006-07-05
KR101300986B1 KR101300986B1 (en) 2013-08-27

Family

ID=3717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2320A KR101300986B1 (en) 2004-12-31 2005-12-28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serving se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98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876B1 (en) * 2006-12-13 2013-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ing in a wireless system
CN116887406A (en) * 2023-08-04 2023-10-13 中国联合网络通信有限公司深圳市分公司 Signal coverage method and system based on reconfigurable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3171B (en) * 1996-02-20 1999-04-3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ciding on cell exchan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291279B1 (en) * 1998-05-15 2001-06-01 박종섭 Device for controlling digital auto gain
US6680925B2 (en) * 2001-10-16 2004-01-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best serving sector in a CDMA data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876B1 (en) * 2006-12-13 2013-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ing in a wireless system
CN116887406A (en) * 2023-08-04 2023-10-13 中国联合网络通信有限公司深圳市分公司 Signal coverage method and system based on reconfigurable antenna
CN116887406B (en) * 2023-08-04 2024-02-09 中国联合网络通信有限公司深圳市分公司 Signal coverage method and system based on reconfigurable 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986B1 (en)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9859B2 (en) Best-cell amendment method for amending hysteresis margin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gestion
JP487520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reverse common signal channel in a wireless system
US7054631B2 (en) Enhancement of soft handoff in a mobile wireless network through the use of dynamic information feedback from mobile users
US6985752B2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threshold set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in
US7136665B2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US10142007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EP1549097A1 (en) Radio bas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352337B1 (en) Configuration of hs-dsch serving cell change improvements
US200601401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ell selection
JP2002232929A (en) Hand-over control method,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ler
JP4934218B2 (en) Automatic processing of neighboring cells
KR2010009728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mode changing in multi antenna system considering channel environment
KR20050099629A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electable frame dur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1672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site ranking fact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H06335051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hand-off of mobile radio communication of cellular system
JP2005136616A (en) Handoff control method and radio device using same
US73530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eam selection in a mobile handset
US6947746B2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mobile sta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2031886A1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handover executing method in the same
US20050020273A1 (en) Adaptive dual-mode reverse link scheduling method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s
KR1013009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serving se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271829B1 (en) Radio communications system, radio communications method, radio relay, and radio terminal
US200601712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serving se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416597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KR100842610B1 (en) Method for flow control on radio link between utran and ue in um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