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5076A -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5076A
KR20060065076A KR1020040103807A KR20040103807A KR20060065076A KR 20060065076 A KR20060065076 A KR 20060065076A KR 1020040103807 A KR1020040103807 A KR 1020040103807A KR 20040103807 A KR20040103807 A KR 20040103807A KR 20060065076 A KR20060065076 A KR 20060065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server
information
clien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수 filed Critical 강민수
Priority to KR1020040103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5076A/ko
Publication of KR20060065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정보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와 접속되는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콘텐츠에 포함되며, 링크가 미 설정된 키워드들 중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되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구비하는 등록 콘텐츠 DB, 및 콘텐츠에 포함되는 키워드들 중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되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구비하는 등록 콘텐츠 DB, 및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키워드를 등록 콘텐츠 DB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인터넷 주소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서버를 구비한다. 이러한 정보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별도의 링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통상의 콘텐츠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키워드에 대한 정보, 및 링크를 제공하고 이와 연관된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를 구비하는 다수의 콘텐츠 서버와 연동되어 운용됨으로서 클라이언트에 다양한 콘텐츠와 이에 연관된 정보 및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링크, 콘텐츠, 키워드, 서버

Description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방법{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도 1은 인터넷에 기반한 주소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클라이언트가 URL 체계에 따라 접속한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하는 웹페이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와 도 3b는 각각 하이퍼 링크가 설정된 웹페이지의 소스 코드(source code)와 소스 코드에 대한 웹페이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록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a ∼ 80n : 클라이언트 100 : 서버
110 : 처리서버 111 : 단어 추출부
112 : 키워드 비교부 113 : 키워드 등록부
120 : 정보 DB 130 : 등록 콘텐츠 DB
140 : 키워드 DB 200 : 정보제공 서버
본 발명은 인터넷에 기반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웹페이지에 표시된 콘텐츠를 구성하는 키워드들 중 별도의 링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키워드에 대한 정보와 링크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수익모델을 창출하기 위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다수의 클라이언트(client)와 이들 클라이언트들을 연결하는 서버(server), 및 이들 클라이언트들과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network)를 기본 단위로 하여 구성되며, 이와 같은 기본 단위의 네트워크들이 상호 접속됨으로서 거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네트워크에서 각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통해 서로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며, 클라이언트를 운용하는 사용 자는 웹브라우저(web-browser)(예컨데 인터넷 익스플로러, 넷스케이프등)를 로드한 후, 주소창에 IP 주소를 기입함으로서 원하는 서버나 클라이언트에 접속하게 된다.
도 1은 인터넷에 기반한 주소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사용자는 클라이언트(2)를 통해 웹브라우저를 구동하고, 구동된 웹브라우저에 마련된 주소창에 문자로 이루어진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며, DNS서버(1)는 이를 IP 주소로 바꾸어 클라이언트(2)로 피드백한다. 클라이언트(2)는 DNS 서버(1)로부터 얻은 IP 주소를 통해 원하는 웹사이트로 접속하게 된다. IP 주소는 255를 넘지않는 숫자들로 이루어진 4개의 그룹으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이러한 숫자체계를 통해 원하는 서버(미도시)나 다른 클라이언트에 접속하는 일은 매우 번거롭고 어려울 수 있는 바, 대다수의 웹 브라우저에는 IP 대신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을 통해 접속하도록 하고 있으며, 도메인 네임은 URL(uniform resource locator)체계에 의해 작성되고 있다. URL 체계는 인터넷에서 파일, 뉴스그룹과 같은 각종 자원을 표시하기 위한 표준화된 논리 주소체계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토콜(http, ftp등), 서버의 이름과 주소,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의 위치, 파일 이름으로 구성된다.
예컨데, URL 체계에 따른 인터넷 주소는 "http://www.abc.co.kr"과 같은 문자로 표현되며, IP 주소는 192.168.0.1과 같은 숫자로 표현된다. 이와 같은 URL 체계는 인터넷이 최초 구현된 영어권 국가에서 마련되었으며, 한글, 중국어, 및 일본어와 같은 비 영어권 국가에서는 자국의 언어를 영어로 표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현제 주소창에 자국어를 기입하고, 자국어에 따라 기입된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DNS 서버도 보급되고 있다.
도 2는 클라이언트(1)가 URL 체계에 따라 접속한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하는 웹페이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웹페이지는 별도의 링크(link)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웹페이지로서, 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contents)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콘텐츠는 콘텐츠의 이해를 돕기위한 이미지와,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텍스트를 위주로 구성되며, 이들 텍스트는 다수의 단어로 구성된다. 텍스트를 구성하는 단어들 중 별도의 링크, 예컨데 하이퍼 링크(hyper link)가 설정되지 않은 단어는 사용자가 더블 클릭(double click)하여도 이에 대한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는다. 이들 단어 중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단어(예컨데, "비만", "웰빙", "국제 비만테스크 포스"등)에 대해 하이퍼링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단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이하, 웹페이지에 나타난 단어들 중, 사용자가 정보를 얻고자 하는 단어를 키워드라 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51에 기재된 국제비만테스크포스(IOTF)나 참조부호 52 ∼ 55에 기재된 키워드들은 통상의 사용자가 단어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웹사이트에 접속하고자 하는 욕구가 발생할 수 있는 반면, 서버(1)에서 이에 대한 별도의 하이퍼 링크를 설정해 두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이러한 키워드에 대한 정보나 관련 웹사이트에 접속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a와 도 3b는 각각 하이퍼 링크가 설정된 웹페이지의 소스 코드(source code)와 소스 코드에 대한 웹페이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a는 웹페이지가 HTML 로 작성된 경우의 소스 코드를 나타낸다. 도면에 서 소스 코드는 1 ∼ 14 라인에 걸쳐 작성되어 있으며, 이들 소스 코드를 각 라인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라인 1에 도시된 <html>은 웹페이지를 작성한 소스 코드가 HTML에 의해 작성되었음을 의미하는 태그(tag)를 나타낸다. 태그는 웹페이지를 만들때 웹페이지에 부가할 특정한 기능, 이미지나 텍스트의 형태, 및 하이퍼링크를 처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다수의 명령어들을 의미한다. 라인 2에 도시된 <head>는 html 문서의 머리말을 나타내며, 라인 4 에 도시된 </head>는 머리말의 종료를 나타낸다. 라인 3에는 웹페이지에 대한 제목이 "광개토의 홈페이지"임을 나타내고, 라인 5는 html 문서의 몸통을 나타낸다. 라인 5에 도시된 background="welcome.gif"는 welcome.gif라는 이미지를 웹페이지의 바탕화면으로 사용함을 나타낸다.
라인 6과 라인 12에 기재된 <CENTER>는 라인 6 ∼ 라인 12 사이에 포함되는 문자나 이미지를 중앙 정렬함을 의미한다. 라인 7에는 웹페이지의 중앙에 포함될 문구를 나타내며, 도면에서는 "저희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문구가 웹페이지에 표시되게 된다. 여기서, 태그 h1과 /h1은 문구를 구성하는 각 글자의 크기를 지정하는 태그로서 html 문서가 표시할 수 있는 문자의 크기를 h1으로 설정함을 나타낸다. html 문서에서 작성 가능한 문자의 크기는 h1 ∼ h6 중 선택할 수 있다.
도면에서 라인 8에 도시된 태그 <hr>은 가로줄을 넣는 태그를 나타낸다. 이 에 따라, 라인 7에 도시된 "저희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의 문구에는 밑줄이 표시된다. 라인 10에 표시된 태그 <p>는 새로운 문단을 시작함을 나타내며, 라인 11에는 마우스의 더블 클릭에 응답하여 문구 "야후 코리아"와 웹사이트 "http://kr.yahoo.com 간에 하이퍼 링크를 수행하기 위한 태그가 도시되어 있다. 라인 11에 도시된 태그 <a>는 하이퍼 링크의 설정을 나타내고, </a>는 하이퍼 링크의 설정 종료를 나타내며, href="http://kr.yahoo.com"과 문구 "야후 코리아"를 하이퍼 링크 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유저가 마우스를 사용하여 "야후 코리아"라는 문구를 더블 클릭 시, http://kr.yahoo.com에 접속할 수 있게된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소스 코드에 의해 실제 컴퓨터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welcome", "저희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와 같은 문구는 모니터의 중심부에 정렬되어 표시되며, 하이퍼 링크가 설정된 문구 "야후 코리아"는 문구에 밑줄이 추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한 웹페이지에서 유저는 "야후 코리아"라는 문구 이외의 문구나 단어에 대해서는 하이퍼 링크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유저는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하이퍼 링크로 접속하는 것 이외에는 다른 정보를 얻을 수 없다. 도 3a와 도 3b는 하이퍼 링크의 설정을 이해하기 쉽도록 간단한 예를 들었으나, 실제 웹페이지에는 뉴스나 각종 정보가 포함되며, 이들 뉴스나 정보에 포함된 키워드에 대해 별도의 하이퍼 링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한 유저는 추가적인 정보나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 즉, 별도의 링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키워드에 대한 정보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측에서 클라이언트로 일방향 전송만 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얻거나, 원하는 키워드에 대해 링크된 웹사이트로 접속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링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통상의 콘텐츠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키워드에 대한 정보, 및 링크를 제공하고 이와 연관된 수익모델을 제공할 수 있는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링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키워드를 유저가 선택시, 키워드를 선택한 유저가 해당 키워드를 구매하고, 구매한 키워드에 대한 정보제공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유저가 키워드를 구입 시, 구입한 키워드에 대해 제공되는 비용의 비율에 따라 동일 키워드를 다른 유저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와 접속되는 정보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에 포함되며, 링크가 미 설정된 키워드들 중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되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구비하는 등록 콘텐츠 DB, 및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키워드를 상기 등록 콘텐츠 DB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인터넷 주소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서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구비하는 정보제공 서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구비하는 정보제공 DB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는, 상기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 D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키워드가 상기 키워드 DB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키워드 구매를 위한 구매안내 메세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가 상기 등록 콘텐츠 DB에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 구매를 위한 구매안내 메세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문구에 대한 복합단어 분해를 수행하는 단어추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단어추출부에서 추출된 단어를 상기 키워드 DB에 구비되는 키워드와 비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키워드를 판단하는 키워드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전송하기 위한 DNS(Domain Name Server)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클라이언트가 콘텐츠에서 선택한 단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콘텐츠 서버,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구비하는 등록 콘텐츠 DB, 및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를 제공받고, 이를 토대로 상기 등록 콘텐츠 DB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검색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로 공급하는 서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텐츠 서버에 의해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구비하는 정보제공 서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요청된 키워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정보제공 서버에 미비된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한 구매 안내메세지를 상기 콘텐츠 서버로 공급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는 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요청된 키워드에 대한 인터넷 주소가 상기 등록 콘텐츠 DB에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한 구매 안내 메세지를 상기 콘텐츠 서버로 공급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는 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키워드를 구비하는 키워드 DB, 및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되는 단어를 상기 키워드 DB에 구비되는 키워드와 비교하여 동일한 키워드를 선택하는 키워드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워드 비교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키워드의 문장에 대한 복합단어 분해를 수행하는 단어추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와 접속되는 정보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에서 선택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구비하는 정보 DB, 및 상기 키워드에 대해 기 등록된 사업자의 확률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의 제공 빈도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제공 빈도에 따라 상기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구비하는 등록 콘텐츠 D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 DB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키워드가 상기 키워드 DB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키워드 구매를 위한 구매안내 메세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한 키워드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는, 상기 키워드에 대한 복합명사 분해를 수행하는 단어추출부, 상기 단어추출부에서 추출된 단어를 기 마련되는 키워드와 비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키워드를 판단하는 키워드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클라이언트에서 선택된 텍스트를 제공받기 위한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상기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며, 상기 플러그-인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된 텍스트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서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구비하는 정보 DB, 및 상기 키워드에 대해 기 등록된 사업자의 확률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의 제공 빈도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제공 빈도에 따라 상기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구비하는 등록 콘텐츠 D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 DB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키워드가 상기 키워드 DB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키워드 구매를 위한 구매안내 메세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한 키워드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는, 상기 키워드에 대한 복합명사 분해를 수행하는 단어추출부, 상기 단어추출부에서 추출된 단어를 기 마련되는 키워드와 비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키워드를 판단하는 키워드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클라이언트에서 선택된 텍스트를 제공받기 위한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상기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며, 상기 플러그-인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된 텍스트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는 콘텐츠 서버, 상기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구비하는 등록 콘텐츠 DB, 및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를 제공받고, 이를 토대로 상기 등록 콘텐츠 DB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검색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로 공급하는 서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텐츠 서버에 의해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구비하는 정보제공 서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키워드를 구비하는 키워드 DB, 상 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되는 단어를 상기 키워드 DB에 구비되는 키워드와 비교하여 동일한 키워드를 선택하는 키워드 비교부, 상기 키워드 비교부에서 선택된 키워드에 대해 기 등록된 사업자의 확률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의 제공 빈도를 설정하는 확률처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키워드가 상기 키워드 DB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키워드 구매를 위한 구매안내 메세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한 키워드 등록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서버에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정보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웹페이지상에 표시된 단어들 중 제2서버의 웹페이지에 대한 링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어를 키워드로서 선택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선택된 상기 키워드에 대한 정보옵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정보옵션에 따라 상기 키워드를 상기 제1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서버로 제공된 키워드에 설정된 정보옵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키워드로서 선택하는 단계는, 마우스를 통해 상기 웹페이지상에 표시된 단어중 소망하는 단어를 드래그(drag)하여 블록으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블록 지정된 단어에 대해 상기 정보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옵션이 설정된 단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옵션은, 상기 키워드에 연관된 웹사이트 정보, 커뮤니티, 정보, 및 뉴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웹사이트 정보는, 상기 웹사이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링크 시키기 위한 인터넷 주소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옵션에서 상기 웹사이트 정보가 선택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링크된 웹사이트로 접속된다.
상기 제1서버로 제공된 키워드에 설정된 정보옵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키워드에 대한 복합단어 분해를 수행하여 키워드를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키워드와,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설정된 정보옵션을 토대로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서버로 제공된 키워드에 설정된 정보옵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상기 제1서버에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키워드를 상기 제1서버로 등록하기 위한 등록안내 메세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서버로 제공된 키워드에 설정된 정보옵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에 대해 설정된 정보옵션이 상기 키워드에 대한 인터넷 주소정보이고, 상기 제1서버에 이 키워드에 대한 인터넷 주소정보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서버는 상기 키워드에 대한 등록안내 메세지를 상기 클라이인트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키워드에 대해 기 등록된 사업자의 확률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의 제공 빈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서버, 및 상기 제1서버와 네트워크로 접속되는 제2서버를 구비하는 정보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콘텐츠에서 선택된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서버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웹페이지상에 표시된 단어들 중 제3서버의 웹페이지에 대한 링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어를 선택 후, 이에 대한 정보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정보옵션이 설정된 단어를 상기 제1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단어에 대한 복합단어 분해를 수행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서버에서 추출되고 제공되는 키워드에 설정된 정보옵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2서버에서 상기 제1서버로 제공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정보옵션을 설정하는 단계는, 마우스를 통해 상기 웹페이지상에 표시된 단어중 소망하는 단어를 드래그(drag)하여 블록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지정된 단어에 대해 상기 정보옵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옵션은, 상기 키워드에 연관된 웹사이트 정보, 커뮤니티, 정보, 및 뉴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웹사이트 정보는, 상기 웹사이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링크 시키기 위한 인터넷 주소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옵션에서 상기 웹사이트 정보가 선택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링크된 웹사이트로 접속된다.
상기 제1서버로 제공된 키워드에 설정된 정보옵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키워드와,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설정된 정보옵션을 토대로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서버로 제공된 키워드에 설정된 정보옵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2서버에서 상기 제1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제2서버로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상기 제2서버에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서버로부터 요청된 키워드를 상기 제2서버로 등록하기 위한 등록안내 메세지를 상기 상기 제2서버에서 상기 제1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제1서버는 이를 클라이언트로 제공한다.
상기 제1서버에서 추출되고 제공되는 키워드에 설정된 정보옵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2서버에서 상기 제1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에 대해 설정된 정보옵션이 상기 키워드에 대한 인터넷 주소정보이고, 상기 제2서버에 이 키워드에 대한 인터넷 주소정보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서버는 상기 키워드에 대한 등록안내 메세지를 상기 제1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제1서버는 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키워드에 대해 기 등록된 사업자의 확률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의 제공 빈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웹서핑 중, 웹문서에 기재된 단어들 중 관련정보를 얻고자 하는 단어(이하, 키워드라 한다)또는 이 단어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더블 클릭시, 선택된 키워드(도면에서는 "요요현상"이 도시됨) 또는 문자열(상기에서는 "요요현상은"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제공되며, 서버는 해당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제공한다.
이때, 클라이언트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 휴대폰 및 기타 유무선 네트워크로 상기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서버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키워드에 대응되는 도메인 네임, IP 주소일 수 있으며, 이미지, 사운드(sound), 텍스트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된 콘텐츠일 수가 있다. 여기서, 키워드에 대응되는 도메인 네임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에 상기 키워드를 구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상 키워드를 등록한 키워드 등록자가 지정한 소정의 도메인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미지, 사운드, 텍스트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된 콘텐츠도 상기 키워드 등록자가 입력하거나 지정한 콘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방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인터넷 뿐 아니라 자신의 클라이언트에서 편집, 및 열람중인 문서상에서 관련정보를 얻고자 하는 단어를 더블 클릭하여 선택하고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함으로서 자신이 원하는 관련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클라이언트에서 워드패드(word pad), 노트패드(note pad), 아래아 한글이나 MS 워드 프로세서 프로그램을 구동 중 관련정보를 얻고자 하는 키워드를 선택하고, 이에 대한 관련정보를 얻고자 할때는, 선택된 키워드를 클라이언트에 마련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 Network Interface Card)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포함되어야 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플러그-인(plug-in) 프로그램일 수도 있지만, MS 워드 등과 같이 특정한 프로그램에 내장되어 상기 특정한 프로그램에서만 자동하는 서브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이하, 설명과 기술(description)의 편의를 위하여 플러그-인 프로그램으로 대표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거나, 서버와 제휴관계에 있는 콘텐츠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와 접속시, 클라이언트의 플러그-인 프로그램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클라이언트의 문서작성 프로그램에서 키워드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키워드를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여야 한다.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에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설치 여부를 문의한 뒤, 사용자의 동의하에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된다.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문서작성 프로그램상에 표현된 텍스트에 대해 사용자가 더블 클릭시, 더블 클릭된 대상이 텍스트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텍스트인 경우에만 서버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80a ∼ 80n)와 접속되는 서버(100)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서버(100)와 접속되는 정보제공 서버(200)를 구비한다. 서버(100)는 정보 DB(120), 등록 콘텐츠 DB(130), 키워드 DB(140), 및 이들 DB(120 ∼ 140)와 접속되는 처리서버(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서버(100)내에 DNS(Domain Name Server)(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NS(150)가 서버(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경우에 클라이언트(80a ∼ 80n)는 URL 체계에 따른 도메인 네임을 주소창에 입력하여 이를 DNS(150)로 전송하게 된다.
예컨데 DNS(150)는 클라이언트(80a ∼ 80n)로부터 "http://www.abc.co.kr"과 같은 문자열을 수신 시, 이에 대응되는 숫자 체계의 IP 주소(예컨데 92.158.0.1)를 클라이언트(80a ∼ 80n)로 전송한다. 즉, DNS(150)는 클라이언트에서 요청되는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클라이언트(80a ∼ 80n 중 어느 하나)에 제공하게 되며, DNS(150)가 서버(100)의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80a ∼ 80n)와 서버(10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클라이언트(80a ∼ 80n)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장치를 구비하는 본체(미도시), 및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는 퍼스널 컴퓨터와, PDA, 노트북 컴퓨터, 및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가 될 수 있다. 열거된 장치 이외에도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장치들은 클라이언트(80a ∼ 80n)가 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모바일 장치인 경우, 클라이언트는 억세스 포인트(Acess Point : AP)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언급되고 설명되는 네트워크(NETWORK)는 유무선망을 말한다.
한편, 클라이언트(80a ∼ 80n)가 퍼스널 컴퓨터이고, 클라이언트(80a ∼ 80n)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도 2와 같은 콘텐츠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클라이언트(80a ∼ 80n)의 사용자는 콘텐츠에서 마우스(미도시)의 커서(cursor)를 원하는 단어로 이동하고, 마우스의 좌측 버튼을 눌러 블록 지정을 한 후, 원하는 단어에 대한 정보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본 발명에서의 마우스는 임의의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의 대표적인 일례로 기술되며, 본 발명의 사상은 마우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우스의 우측 버튼을 누를 때 나타나는 정보옵션은, 단어와 관련된 웹사이트로 접속하는 옵션, 단어와 관련된 정보를 얻는 옵션, 및 해당 단어에 대한 검색 사이트(예컨데, 엠파스, 구글등)로 접속하는 옵션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는 서버에 마련되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단어나 문구에 마우스의 포인터(pointer)가 접근 후, 마우스를 클릭할때 자동으로 팝업창이 표시되도록 콘텐츠를 작성하거나, 서버(100)에서 이와같은 기능을 하는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80a ∼ 80n)로 전송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의 일 예로서, 웹사이트에서 플래시 동영상을 재생시에 클라이언트(80a ∼ 80n)가 이를 재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 서버에서 프로그램의 설치 여부를 판단 하여, 클라이언트(80a ∼ 80n)로 제공되는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플레이어(macro media flash player) 프로그램이 있다.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플레이어(macro media flash player)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80a ∼ 80n)가 인터넷에 최초 접속되거나, 마이크로소프트社의 MSN(예컨데 www.msn.co.kr)과 같은 포털 사이트에 접속시, 이들 포털 사이트의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게 다운로드 여부를 질의하며,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클라이언트(80a ∼ 80n)에 설치된다.
본 발명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정보옵션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구동하는 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80a ∼ 80n)에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예시된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플레이어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80a ∼ 80n)가 MSN 웹사이트에 접속시, 웹사이트에서 구동되는 플래시(flash) 영상을 클라이언트(80a ∼ 80n)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에 운영체제를 설치 후, 최초로 인터넷에 접속하면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플레이어 프로그램의 설치 여부를 묻는 것을 볼 수 있다.
정보 DB(120)는 서버(100)에서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한 각종 콘텐츠를 저장한다. 저장되는 콘텐츠는 교육, 금융, 광고, 여행, 건강, 및 뉴스와 같은 다양한 카테고리에 따라 각 카테고리별로 저장되며, 카테고리는 서버(100)를 구축하고자 하는 사업자에 의해 더 추가될 수 있다. 정보 DB(120)에 저장되는 콘텐츠는 텍스트 위주의 콘텐츠, 이미지 위주의 콘텐츠 및 플래시(flash)를 이용한 동영상 위주의 콘텐츠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DB(120)는 서버(100)에 콘텐츠를 등록하고자 하는 사업자들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아 저장토록 함으로서 서버(100)의 운영을 통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은 유무선 인터넷 상의 콘텐츠의 통상적인 일례로 볼 수 있으며, 대다수의 콘텐츠는 문자로 된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이러한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는 콘텐츠를 텍스트 포함 콘텐츠라 명명한다. 이러한 텍스트 포함 콘텐츠의 텍스트는 브라우저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읽힐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특단의 경우에는 이미지나 영상 등의 내용을 지칭하는 메타태크의 한 내용으로서 나타난다. 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특별한 선택이 없으면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것이 통상적이다. 상기 텍스트 포함 콘텐츠의 대표적인 것들이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는 웹문서, 워드 프로세서 등이 작성한 문서, pdf 형식의 문서 등과 같이 출력이나 디스플레이를 위한 문서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2는 상기 텍스트 포함 콘텐츠의 한 예를 보여 주고 있다.
등록 콘텐츠 DB(130)는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특정한 키워드를 등록할 때, 상기 등록되는 키워드와 관련된 인터넷 주소(웹페이지/웹사이트 주소, 도메인 네임, 유무선 네트워크 상의 임의의 식별 주소 등과 같은 일체의 접속 정보를 제공해 주는 수단을 포함한다.), 광고 문구, 제공 정보, 전화번호 등과 같은 상기 서버(100)에 키워드와 함께 관련지어 등록되는 콘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DB를 말한다. 인터넷 주소는 URL 체계에 따른 도메인 네임이나, 숫자 체계를 갖는 IP 주소일 수 있으며, 양자를 모두 구비할 수도 있다. 등록 콘텐츠 DB(130)가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를 모두 구비하는 경우 DNS(150)는 클라이언트(80a ∼ 80n)로부터 요청되는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DB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등록 콘텐츠 DB(130)를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등록 콘텐츠 DB(130)는 서버(100)에 특정 키워드를 등록하고자 하는 업체나 개인의 상기 특정 키워드 별로 관리될 수도 있는 명칭, 주소, 등록 조건 등의 각종 부가적인 정보를 입수받아 저장 관리할 수도 있다. 즉, 이들 등록 콘텐츠 DB(130)은 항상 등록되는 키워드와 매칭되게 되어 있다.
등록되는 키워드는 키워드 DB(140)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등록된 각 키워드에는 등록 콘텐츠가 매칭되어 있다. 상기 키워드 DB는 상기 등록 콘텐츠 DB(130)과 물리적으로나 개념적으로 하나의 DB를 형성하고 있을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분리하여 설명한다. 즉,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등록 키워드와 상기 등록 콘텐츠를 연결하는 매개 변수(예를 들면 각 키워드별 고유번호 등)가 있을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단어 "웰빙(55)"에 대해 개인이나 업체가 이 키워드에 대한 등록을 원할 경우, 등록 콘텐츠 DB(130)는 키워드 "웰빙(55)"과, 이 키워드에 대해 링크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개인이나 업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넷 주소를 구비함으로서, 클라이언트(80a ∼ 80n)에서 웹페이지상의 키워드 "웰빙"의 선택시, 클라이언트가 접속할 웹사이트의 인터넷 주소를 처리서버(110)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키워드 DB(140)는 개인, 업체, 및 관공서로부터의 등록 요청에 따른 키워드가 등록된다. 처리서버(110)는 클라이언트(80a ∼ 80n)에서 선택된 단어에 대해 이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키워드를 키워드 DB(140)에 등록된 키워드와 비교함으로서 클라이언트(80a ∼ 80n)에 제공할 정보 및 링크할 웹사이트의 인터넷 주소정보를 판단한다.
또한, 처리서버(110)는 클라이언트(80a ∼ 80n)에서 요청된 단어에 대한 키 워드가 키워드 DB(14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 등록된 키워드에 대한 구매를 권유하는 메세지를 클라이언트(80a ∼ 80n)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데, "웰빙(55)" 이라는 단어가 등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키워드에 대해 링크된 웹사이트와 관련정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키워드의 등록을 원하시면 "www.abc.co.kr"로 접속하여 주십시오."와 같은 형태의 메세지를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처리서버(110)는 단어추출부(111), 키워드 비교부(112), 및 키워드 등록부(113)를 갖는다. 단어추출부(111)는 클라이언트(80a ∼ 80n)에서 요청되어 서버(100)로 전송된 단어를 포함하는 문자열 등에서 본 발명의 키워드에 대응되는 핵심어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작업을 진행한다.
상기 도 4에서 예를 든 "요요현상은"이라는 문자열이 있는 경우 단어 추출부는 조사에 해당하는"은"을 배제시킴과 동시에 가장 긴 문자열인 "요요현상"을 추출할 수 있으며(제1추출), 다시 이를 복합명사 분해를 하여 "요요"와 "현상"으로 분리해 낼 수 있다.(제2 추출) 이때, 제1추출된 핵심어 및/또는 제2추출된 핵심어를 키워드로 판단하여 키워드 비교부(112)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은"에 해당하는 것으로 핵심어가 될 수 없는 것으로 접미사, 접두사, 및 조사 등이 있을 수 있다. 만약 "사랑했다"라는 문자열이나, "아름다운"이라는 문자열처럼 용언 또는 용언의 변화형이 문자열로 선택되는 경우, 단어추출부는 상기 용언 또는 용언의 변화형의 기본형(상기에서는 "사랑하다", "아름답다") 또는 대응명사(상기에서는 "사랑", "아름다움")을 추출해 낼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어추출부(111)는 전자사전과 같은 DB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80a ∼ 80n)로부터 요청된 키워드가 한글인 경우, 한글 전자사전과 요청된 키워드를 비교하여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키워드를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클라이언트(80a ∼ 80n)로부터 요청된 키워드가 영어인 경우 영어 전자사전을 참조하여 명사의 경우 복수형, 동사의 경우 시제의 변화, 형용사 급(최상급 등)의 변화에 대응되는 단수형, 현재형 동사, 원급 형용사 등을 클라이언트(80a ∼ 80n)가 원하는 키워드로 판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키워드의 판단 기준은 "명사(noun)"를 우선으로 한다. 이에 따라, 단어추출부(111)는 키워드 DB(140)에 저장하고자 하는 키워드에 대해 한글, 영어, 및 기타 서비스 하고자 하는 국가의 언어에 대한 전자사전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키워드 비교부(112)는 단어추출부(111)에서 추출된 키워드와 키워드 DB(140)에 저장된 키워드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에 따라 처리서버(110)는 등록 콘텐츠 DB(130)나 정보 DB(120)에 억세스 하여 해당되는 인터넷 주소나 키워드에 대한 관련정보를 클라이언트(80a ∼ 80n)로 제공한다. 즉, 처리서버(110)는 클라이언트(80a ∼ 80n)에서 요청된 키워드와, 키워드에 대해 설정된 정보옵션을 참조하여 인터넷 주소나 키워드에 대한 관련정보를 클라이언트(80a ∼ 80n)로 제공한다.
키워드 등록부(113)는 클라이언트(80a ∼ 80n)에서 서버(100)로 요청된 단어에 대한 인터넷 주소나 관련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에 대한 구매를 권유하는 메세지를 구비한다. 메세지는 단순한 텍스트 형태부터 동영상, 및 플래시 애니메이션(flash animation)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키워드 등록부(113)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와 같은 저장매체나, 램(RAM)과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정보제공 서버(200)는 서버(100)에서 추가로 필요로 하 는 정보, 예컨데 일반 뉴스, 스포츠 뉴스, 날씨정보, 주가 변동현황등 시간에 따라 수시로 변동되는 정보나, 저작권 또는 저작물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 콘텐츠를 공급한다. 즉, 정보제공 서버(200)는 서버(100)에 구축하기 어려운 콘텐츠나 시간에 따른 변동이 큰 정보를 서버(10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서버(100)는 클라이언트(80a ∼ 80n)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텍스트 포함 콘텐츠는 본 발명의 콘텐츠 서버에서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단어 추출부와 키워드 비교부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텍스트 포함 콘텐츠에서 키워드들을 추출해 낼 수 있거나, 상기 텍스트 포함 콘텐츠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하나 이상 지정할 수 있다.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방식은 상기 텍스트 포함 콘텐츠를 입력받아, 이를 처리(복합명사 분해, 기본형으로의 변환, 최빈어 추출 등의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거칠 수 있다.)하여, 어휘 사전DB나 별도의 키워드DB와 비교함으로써,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처리한 단어들을 어휘 사전DB나 별도의 키워드DB들에 등재된 단어들과 비교함으로써, 그 공통성이 인정되는 단어들 또는 사전에 설정된 중요성이 인정되는 키워드 단어들과 일치성이 있을 때, 그 단어들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추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 2에서 추출될 수 있는 단어들은 국제비만태스크포스(51), 인스턴트식품(52), 자동차(53), 컴퓨터(54), 웰빙(55)등 뿐만 아니라, 비만, 질병, 음식 등과 같은 다른 단어들도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 포함 콘텐츠를 최초로 생성하는 자 또는 가공 또는 전송 하는 자가 상기 텍스트 포함 콘텐츠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대응시킬 수 있다. 즉, 도 2에 나온 상기 텍스트 포함 콘텐츠를 예로 들면, 이 상기 텍스트 포함 콘텐츠를 생성하는 자 또는 가공 또는 전송하는 자가 "비만", "웰빙(55)", "식습관", "운동부족", "인스턴트식품(52), 다이어트, 운동요법 등과 같은 키워드들을 상기 상기 텍스트 포함 콘텐츠에 대응시킬 수 있다. 이러한 대응시키는 키워드들은 상기 텍스트 포함 콘텐츠에 나와 있는 키워드일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키워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서버(100)은 상기 텍스트 포함 콘텐츠에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때, 상기 키워드 DB(14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상기 서버(100)이 상기 상기 텍스트 포함 콘텐츠에서 추출한 키워드 및/또는 상기 상기 텍스트 포함 콘텐츠에 대응되는 키워드들이 상기 키워드 DB(140)에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들 키워드들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선별하여 상기 텍스트 포함 콘텐츠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2에 나타난 상기 텍스트 포함 콘텐츠의 하부에 상기 서버의 상기 키워드 DB(14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키워드를 나열해 줄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13에 잘 나나타 있다. 이때, 이들 키워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 및 이들 키워드를 사용자가 등록할 수 있음도 함께 공지해 줄 수 있다. 물론, 이때, 상기 키워드별로 등록 비용 등의 등록 조건을 함께 부가하여 공지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등록 콘텐츠의 직간접 노출과 관련하여, 상기 키워드가 노출 확률 및/또는 노출 순위가 중요한데, 이들에 관한 정보 또한 상기 키워드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도 13에 잘 나타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상기 키워드를 클릭하여, 상기 키워드를 등록할 수 있는 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창은 상기 서버(100)이 관리하에 있거나, 상기 서버와 관련된 제3의 서버가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 서버(10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서버(100)은 상기 사용자의 키워드 선택 정보를 인수받아(특히,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클릭하고 상기 서버(100)에 접속한 경우, 상기 키워드를 등록할 수 있기 위한 조건을 제시하고, 사용자의 승락 정보를 얻어 상기 키워드를 등록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등록될 키워드에 자신의 웹사이트 주소를 포함한 자신이 선정하는 문구를 포함하는 등록 콘텐츠를 작성하여 상기 서버(100)에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는 이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키워드 DB(140)을 갱신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직접 전송이 아닌 방식인 상기 서버의 관리자에게 별도로 등록 콘텐츠를 전송하여 상기 관리자가 상기 전송 받은 등록 콘텐츠를 상기 키워드 DB에 반영하여, 상기 키워드 DB를 갱신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록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 6과 그 기능이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부재에 대한 설명은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정보제공 시스템과 그 구성이 유사하되, 서버(100)내에 플러그-인 처리부(150)와 키워드 및 사업자 정보 DB(160)를 더 구비하며, 처리서버(110)내에 확률 처리부(113)를 구 비하는 것을 차이점으로 한다. 이에 따라, 참조부호 "120", "130", 및 처리서버(110)내의 참조부호 "111", "11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키워드 등록부(113)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80a ∼ 80n)에서 키워드에 대한 정보 요청시, 키워드 및 사용자 정보 DB(160)에 요청된 키워드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클라이언트(80a ∼ 80n)에 해당 키워드의 구매를 권유하는 메세지를 전송한다. 예컨데, 클라이언트(80a ∼ 80n)에서 요청된 키워드 "요요현상"이 키워드 및 사용자 정보 DB(160)에 구비되지 않았다면, 키워드 등록부(113)는 아래의 표 1과 같은 메세지를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콘텐츠와 함께 클라이언트(80a ∼ 80n)에 전송할 수 있다.
고객님께서 요청한 키워드 "요요현상"에 대한 URL정보, 및 관련정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키워드의 구매를 원하시면 확인 키를 눌러 주세요 [확인] [취소]
사용자는 서버(100)측에서 제공한 메세지에 따라 해당 키워드를 구매할 수 있으며, 구매한 키워드에 대한 관련정보, 예컨데 URL정보, 광고, 관련지식을 서버(100)측에 제공함으로서 자신이 하고자 하는 사업을 할 수 있게된다. 서버(100)는 키워드를 구매한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가 URL 정보인 경우, 이를 등록 콘텐츠 DB(13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키워드 등록부(113)는 표 1에 나타난 것 이외에 동영상이나 이미지를 이용하여 키워드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키워드의 구매를 권유할 수 있다.
키워드 및 사업자정보 DB(160)는 키워드와, 키워드를 구매한 사업자에 대한 확률정보가 결합된 정보를 구비한다. 확률정보는 하나의 키워드에 대해 구매를 원하는 사업자가 여럿인 경우, 각 사업자가 동일 키워드를 공유하되, 키워드에 대한 구매액이 가장 큰 사업자에 대한 정보가 클라이언트(80a ∼ 80n)에 제공되는 기회를 증가시키는 변수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아래의 표 2는 동일 키워드에 대한 확률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80a ∼ 80n)에 제공되는 정보의 빈도를 나타낸다.
키워드 A사 B사 C사 D사 요요현상 50% 30% 10% 10%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키워드 "요요현상"에 대해 A ∼ D社가 모두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80a ∼ 80n)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키워드 "요요현상"에 대해 A사는 50%의 확률로 클라이언트(80a ∼ 80n)에 정보를 제공하고, B사는 30%, C와 D사는 각각 10%의 확률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확률정보는 각 사업자가 서버(100)로부터 구매한 키워드의 가격에 따라 확률이 변경될 수 있다. 확률처리부(114)는 클라이언트(80a ∼ 80n)로부터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키워드 및 사업자정보 DB(160)로부터 해당 키워드에 대한 확률정보를 토대로 클라이언트(80a ∼ 80n)에 각 사업자별로 할당된 확률에 의해 키워드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키워드에 대한 관련정보는 앞서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정보 DB(80a ∼ 80n)에서 제공하는 각종 콘텐츠(예컨데, 교육, 금융, 광고, 여행, 건강, 및 뉴스등), 키워드에 대응되는 사업자의 웹사이트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이들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플러그-인 처리부(150)는 서버(100)에 접속한 클라이언트(80a ∼ 80n)에 키워드 추출을 위한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클라이언트(80a ∼ 80n)에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있지 않은 경우, 클라이언트(80a ∼ 80n)에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전송 및 설치한다. 통상, 플러그-인 프로그램의 설치는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클라이언트(80a ∼ 80n)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그 첫번째 기능이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웹문서나 일반 문서상에서 더블 클릭에 의해 선택한 키워드를 상기 서버(100) 또는 콘텐츠 서버(400a)로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마우스 또는 기타 포인팅 디바이스의 더블클릭을 인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웹문서 또는 일반 워드 프로세서로 작성된 문서에서 더블클릭은 그 마우스 커서가 놓여 있는 위치의 문자열(뛰어쓰기가 없는 문자열로 통상 어절인 경우가 많다)을 선택하게 되어 있는데, 상기 플러그-인 프로그램는 그 선택된 문자열을 인식하여 그 문자열을 직접 또는 가공처리한 문자열을 상기 서버(100) 또는 콘텐츠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인 프로그램의 두번째 기능이 상기 서버(100) 또는 콘텐츠 서버(400a)로부터의 응답을 조절하는 기능이다. 상기 서버 또는 콘텐츠 서버는 전송받은 문자열에 상응하는 응답을 하게 된다. 상기 응답으로는 상기 문자열을 상기 키워드 DB와 비교하여 등록된 키워드와 일치하거나 관련성이 있을 경우, 상기 키워드 DB상의 등록 키워드에 해당하는 등록 콘텐츠 DB(130) 상의 콘텐츠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등록 콘텐츠는 상기 인터넷 상의 주소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 상에는 상기 인터넷 상의 주소에 해당하는 웹사이트 등이 보이게 된다. 또한, 상기 등록콘텐츠는 상기 키워드 등록자가 등록해 놓은 광고 문구나 기타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응하는 응답은 상기 문자열에 대한 각종 검색 결과일 수 있으며, 각종 검색은 사전, 백과사전, 지식, 업체, 상품, 위치/지역, 뉴스, 이미지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100) 또는 콘텐츠 서버(400a)로부터의 응답의 종류 및 그 응답이 디스플레이되는 양식을 선택하거나 지정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 또는 콘텐츠 서버로부터의 응답 중 인터넷 상의 주소만이 전송되게 되게 요청하거나, 전송된 각종 응답 중에서 필터링(filtering)할 수도 있다(이는 특히 플러그-인 프로그램 창의 내부에서 상기 응답이 실행되는 경우 더욱 그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사전이나 백과사전만을 검색하도록 요청하거나, 전송된 응답 중에서 이들만을 필터링하여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에 디스플레이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상기 응답이 디스플레이되는 양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응답이 별도의 웹브라우저 창에서 실행되거나(열리거나), 자신의 프로그램 창 내에서 실행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에 대한 등록자가 복수인이 있을 경우, 상기 복수인이 등록한 등록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디스플레이하는 양식을 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플러그-인 프로그램는 사용자의 화면에 전혀 나타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마치 웹브라우저처럼 각종 정보를 자신의 창 내에서 디스플레이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플러그-인 프로그램의 세번째 기능은 상기 더블클릭된 문자열 또는 소정의 입력 받은 문자열의 상기 키워드 DB(140)로의 등록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해 주는 것이다. 즉, 상기 플러그-인 프로그램는 더블클릭을 인지하고, 입수된 문자열을 상기 서버(100)또는 콘텐츠 서버(400a)로 전송한 다음, 그 문자열 또는 그 문자열에서 추출한 키워드가 상기 키워드 등록 DB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고,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키워드 등록이 복수개로 허용되고, 그 여석이 남아 있을 경우, 상기 문자열 또는 그 문자열에서 추출한 키워드가 등록될 수 있음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상기 플러그-인 프로그램는 이러한 등록 가능성의 표시에는 등록 조건 및 등록 순위에 대한 표시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등록 조건 및 등록 순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100) 또는 콘텐츠 서버(400a) 또는 기타 서버(500)등으로부터 입수 받을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플러그-인 프로그램의 기능과 작동 양식은 하기에서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정보제공 시스템은 서버(500)가 클라이언트(310a ∼ 310n)와 직접 접속되지 않고 콘텐츠 서버(400a ∼ 400n)를 통해 접속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정보제공 시스템에서는 서버(100)에서 클라이언트(80a ∼ 80n)로 콘텐츠를 제공하고, 콘텐츠를 제공받은 클라이언트(80a ∼ 80n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키워드를 선택하여 이에 대한 정보옵션을 설정 후 이를 서버(100)로 전송시, 서버(100)가 이에 대응되는 정보, 인터넷 주소등을 제공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500)는 콘텐츠 서버(400a ∼ 400n)에게 키워드에 대한 정보와 인터넷 주소만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서버(500)와 접속되는 콘텐츠 서버(400a ∼ 400n)는 클라이언트(310a ∼ 310n)로부터 전송되는 단어나 문구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여 이를 서버(5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서버(500)로 제공한 키워드에 대한 정보나 인터넷 주소를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지 못할때, 해당 키워드에 대한 구매안내 메세지를 클라이언트(310a ∼ 310n)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키워드 및 사업자정보 DB(430a)와 키워드 등록부(413a)는 키워드 판단을 위해 각각의 콘텐츠 서버(400a ∼ 400n)에 마련된다.
도시된 정보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310a ∼ 310n)와 접속되는 복수개의 콘텐츠 서버(400a ∼ 400n)와, 이들 콘텐츠 서버(400a ∼ 400n)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접속되는 서버(500), 및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서버(500)와 접속되는 정보제공 서버(60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서버(500)는 정보 DB(530), 및 주소 DB(520)를 구비하며, 각각의 콘텐츠 서버(400a ∼ 400n)는 키워드 및 사업자정보 DB(430a)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 구성에 따라 클라이언트(310a ∼ 310n)에 IP 주소를 제공하기 위한 DNS(450)는 각 콘텐츠 서버(400a ∼ 400n)에 구비될 수 있다. DNS(450)는 콘텐츠 서버(400a ∼ 400n)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DNS(450)가 콘텐츠 서버 (400a ∼ 400n)의 외부에 마련될 때는 클라이언트(310a ∼ 310n)와 콘텐츠 서버(400a ∼ 400n) 사이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클라이언트(310a ∼ 310n)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장치를 구비하는 본체(미도시)와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는 퍼스널 컴퓨터, PDA, 노트북 컴퓨터, 및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가 될 수 있다. 열거된 장치 이외에도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장치들은 클라이언트(310a ∼ 310n)가 될 수 있으며, 앞서 도 6에 도시되고 언급된 바와 기능 및 역할이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310a ∼ 310n)에서 정보옵션을 설정시, 정보옵션 설정을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이 서버(500)가 아닌 콘텐츠 서버(400a ∼ 400n)를 통해 제공되는 차이점을 갖는다. 이하, 도 6과 중복 설명되는 부분은 생략하도록 한다.
콘텐츠 서버(400a ∼ 400n)는 포털 사이트, 업체, 및 개인이 운영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콘텐츠 서버(400a ∼ 400n)는 서버(500)의 운용자와 기 약정된 서버만이 서버(500)와 접속되도록 구성되며, DNS(4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500)는 클라이언트(310a ∼ 310n)와 직접 접속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콘텐츠 서버(400a ∼ 400n)는 단어추출부(411a), 키워드 비교부(412a), 키워드 등록부(413a), 및 키워드 및 사업자정보 DB(430a)를 구비한다.
서버(500)는 콘텐츠 서버(400a ∼ 400n)와 네트워크(NETWORK)로 접속되며, 콘텐츠 서버(400a ∼ 400n)에서 제공되는 키워드에 대한 정보, 및 인터넷 주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서버(500)는 주소 DB(520), 정보 DB(530), 및 처리서버(500)를 구비한다. 주소 DB(520)는 콘텐츠 서버(400a ∼ 400n)로부터 제공된 키워 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콘텐츠 서버(400a ∼ 400n)로 피드백하며, 정보 DB(530)는 콘텐츠 서버(400a ∼ 400n)로부터 제공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 예컨데, 교육, 금융, 광고, 여행, 건강, 및 뉴스에 대한 콘텐츠나 정보를 제공한다. 처리서버(500)는 콘텐츠 서버(400a ∼ 400n)로부터 전송되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나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나 정보가 있으면 이를 콘텐츠 서버(400a ∼ 400n)로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키워드를 콘텐츠 서버로 반송한다. 콘텐츠 서버(400a ∼ 400n)는 서버(500)로 전송한 키워드가 반송 시, 키워드 등록부(413a)에 마련된 구매 안내 메세지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이하, 도 6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 8과 그 기능이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부재에 대한 설명은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도시된 정보제공 시스템은 서버(500)가 클라이언트(310a ∼ 310n)와 직접 접속되지 않고 콘텐츠 서버(400a ∼ 400n)를 통해 접속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정보제공 시스템에서는 서버(100)에서 클라이언트(80a ∼ 80n)로 콘텐츠를 제공하고, 콘텐츠를 제공받은 클라이언트(80a ∼ 80n)가 소정의 키워드를 선택하여 이에 대한 정보옵션을 설정 후 이를 서버(100)로 전송시, 서버(100)가 이에 대응되는 정보, 인터넷 주소등을 제공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500)는 콘텐츠 서버(400a ∼ 400n)에 키워드에 대한 정보, 인터넷 주소, 및 기 등록된 사업자의 확률정보를 콘텐츠 서버(400a ∼ 400n)로 제공하며, 콘텐츠 서버(400a ∼ 400n)가 이 를 토대로 클라이언트(310a ∼ 310n)에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도면에서 콘텐츠 서버(400a ∼ 400n)는 도 8과 비교하여 클라이언트(310a ∼ 310n)에 플러그-인 프로그램의 설치를 담당하는 플러그-인 처리부(440a), 키워드와,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에 대한 확률정보를 구비하는 키워드 및 사업자정보 DB(430a), 및 확률처리부(414a)를 더 포함한다. 플러그-인 처리부(440a)는 콘텐츠 서버(400a ∼ 400n)와 접속하는 클라이언트(310a ∼ 310n)에 플러그-인 프로그램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클라이언트(310a ∼ 310n)에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클라이언트(310a ∼ 310n)에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전송 및 실행한다. 키워드 및 사업자정보 DB(430a)는 키워드를 구매한 사업자의 확률정보 및 확률정보에 따른 키워드에 대한 정보가 결합되어 기록된다.
여기서,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310a ∼ 310n)의 사용자가 웹문서나 일반 문서상에서 더블 클릭에 의해 선택한 키워드를 콘텐츠 서버(400a ∼ 400n)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업자의 확률정보는 사업자가 해당 키워드를 서버(500)로 부터 구매시, 제공된 액수에 따라 변경된다. 이는 상기한 표 2에 예시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낸다.
먼저, 클라이언트(80a ∼ 80n)의 사용자는 서버(100)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제공받고, 제공된 콘텐츠에서 원하는 키워드를 선택한다(S710). 키워드의 선택은 사용자가 마우스(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는 터치패드, 펜마우스 등의 임의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대표하여 마우스로 설명한다.)를 통해 원하는 단어, 또는 원하는 단어를 포함하는 문구를 드래그(drag)하여 블록 지정을 하고, 블록 지정된 단어나 문구에 대해 정보옵션을 설정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 외에, 사용자가 블록 지정을 하지 않고 직접 클릭(click)함으로서 정보옵션을 위한 팝업창이 마우스 커서의 일 측면에 표시될 수 있다. 서버(10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80a ∼ 80n)의 마우스를 통해 이와 같은 정보옵션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단어가 마우스의 클릭에 응답하도록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서버(100)에서 이와같은 기능을 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80a ∼ 80n)로 다운로드 하고, 클라이언트(80a ∼ 80n)에서 이를 실행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는 서버(100)에서 클라이언트(80a ∼ 80n)의 프로그램 설치여부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80a ∼ 80n)에서 선택된 단어가 웹서핑(web serffing)중인 웹페이지 이외에 다른 웹페이지로 연결해주는 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클라이언트(80a ∼ 80n)는 선택한 단어가 링크된 단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720), 판단결과 링크된 단어이면 링크가 설정된 해당 웹페이지로 자동 접속하게 된다(S725). 반대로 링크가 설정되지 않은 단어인 경우 클라이언트(80a ∼ 80n)는 선택된 단어에 대해 정보옵션을 설정하고(S730), 정보옵션이 설정된 단어를 처리서버(110)로 전송한다(S740). 처리서버(110)는 클라이언트(80a ∼ 80n)로부터 제공된 단어에서 키워드를 찾아낸다(S750). 클라이언트(80a ∼ 80n)에서 제공된 단어는 단일 명사일 수도 있으나, 클라이언트(80a ∼ 80n)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 라 조사나 접미사, 및 접두사가 추가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단어추출부(111)는 클라이언트(80a ∼ 80n)로부터 전송된 단어를 기 마련되는 전자사전(예컨데 국어사전 및 영어사전등)과 비교하여 단어를 추출함으로서 클라이언트(80a ∼ 80n)에서 요청한 단어에 대한 정확한 키워드를 추출한다. 여기서, 정보옵션은 클라이언트(80a ∼ 80n)에서 선택된 단어에 대한 교육, 금융, 광고, 여행, 건강, 및 뉴스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처리서버(100)는 추출된 키워드에 대한 정보옵션이 링크(link)인 경우 등록 콘텐츠 DB(130)에 등록한 업체중 키워드에 대응되는 업체의 웹사이트를 클라이언트와 접속시킨다(S765). 만일 정보옵션이 검색(search)인 경우(S770), 처리서버(100)는 클라이언트(80a ∼ 80n중 어느 하나)를 기 설정된 검색 사이트나 포털 사이트로 접속시킨다(S775). 이때, 처리서버(100)는 검색 사이트나 포털 사이트로 접속시, 키워드를 함께 보낸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80a ∼ 80n)는 서버(100)로 제공한 단어에 대한 키워드를 검색 사이트나 포털 사이트에서 별도로 타이핑하여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마지막으로 정보옵션이 정보(information)인 경우에(S780) 처리서버(110)는 정보 DB(120)를 검색하여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제공한다(S790).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낸다.
먼저, 클라이언트(310a ∼ 310n)의 사용자는 콘텐츠 서버(400a ∼ 400n)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제공받고, 제공된 콘텐츠를 브라우징 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한 다음, 표시된 콘텐츠에서 원하는 단어를 선택한다(S810). 이때, 단어의 선택 은 마우스를 드래그하여 단어에 대해 블록 지정을 하거나, 마우스의 좌측 버튼을 소망하는 단어에 대고 클릭함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310a ∼ 310n중 어느 하나)는 선택한 단어가 타 웹사이트로 링크된 단어인지를 판단한다(S820). 통상 타 웹사이트에 링크된 단어는 단어에 부여된 색상이나 형태가 일반 텍스트와 다르게 표시되며, 사용자가 마우스로 이를 선택시 자동으로 링크된 웹사이트로 접속하기 위한 도메인 네임이 부여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310a ∼ 310n)에서 선택된 단어에 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클라이언트(310a ∼ 310n)는 링크가 설정된 웹사이트로 접속되며(S825), 반대의 경우 클라이언트(310a ∼ 310n)의 사용자는 해당 단어에 대해 정보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S830). 정보옵션은 클라이언트(310a ∼ 310n)에서 단어가 선택된 이후, 선택된 단어에 대한 관련 웹사이트 접속, 검색 및 관련 정보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310a ∼ 310n)에서 정보옵션이 설정된 단어는 콘텐츠 서버(400a ∼ 400n)로 전송되며(S840), 콘텐츠 서버(400a ∼ 400n)는 클라이언트(310a ∼ 310n)에서 전송된 단어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추출한다(S850). 이에 따라, 콘텐츠 서버(400a ∼ 400n)에 마련되는 웹서버(410a)에는 단어추출부(411a), 키워드 비교부(412a)등이 마련된다. 단어추출부(411a)는 클라이언트(310a ∼ 310n)에서 전송된 단어에 대해 복합명사 분해를 수행하거나, 전송된 단어에 부가된 접미사, 접두사, 및 조사등을 절단함으로서 클라이언트(310a ∼ 310n)로부터 전송된 단어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한다. 키워드 비교부(412a)는 콘텐츠 서버(400a ∼ 400n)에 구비되는 키워드 및 사업자 정보 DB(430a)에 등록된 키워드와 단어추출부에서 추출된 단어를 비교함으로서 해당 키워드가 등록된 키워드인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해당 키워드가 등록된 키워드이고 단어에 설정된 정보옵션이 링크인 경우(S860) 콘텐츠 서버(400a ∼ 400n)는 서버(500)로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요청한다(S865). 판단결과 해당 키워드가 키워드 및 사업자정보 DB(430a)에 등록된 키워드이고 단어에 설정된 정보옵션이 검색인 경우(S870), 콘텐츠 서버(400a ∼ 400n)는 클라이언트(310a ∼ 310n)를 검색사이트로 접속시킨다(S875). 이때, 콘텐츠 서버(400a ∼ 400n)는 클라이언트(310a ∼ 310n)를 검색 사이트에 접속시, 검색 사이트에 미리 키워드를 제공함으로서 클라이언트(310a ∼ 310n)가 검색 사이트에 접속한 이후 키워드를 기입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키워드가 키워드 및 사업자정보 DB(430a)에 등록된 키워드이고 단어에 설정된 정보옵션이 정보인 경우(S880), 콘텐츠 서버(400a ∼ 400n)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서버(500)에 요청한다(S890). 마지막으로, 콘텐츠 서버(400a ∼ 400n)는 클라이언트(310a ∼ 310n)에서 콘텐츠 서버(400a ∼ 400n)로 전송된 단어에 대한 키워드가 키워드 및 사업자정보 DB(430a)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키워드에 대한 구매 안내 메세지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낸다.
먼저, 클라이언트(310a ∼ 310n)가 콘텐츠 서버(400a ∼ 400n)에 접속 시, 콘텐츠 서버(400a ∼ 400n)는 키워드를 전송하는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클라이언트(310a ∼ 310n)에 설치 여부를 판단한다(S902). 클라이언트(310a ∼ 310n)에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콘텐츠 서버(400a ∼ 400n)는 플러그- 인 처리부(440a)를 통해 클라이언트(310a ∼ 310n)에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전송된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310a ∼ 310n)에서 실행하여 설치한다(S903). 다음으로, 클라이언트(310a ∼ 310n)에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웹서핑 중(S904) 웹문서 상에서 소망하는 키워드를 선택하는 경우(S905),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웹문서를 구성하는 단어들 중 더블 클릭된 단어에 링크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910). 링크의 설정 여부는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웹문서에 대한 html 소스 코드를 분석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참고로, html 소스코드에서 링크된 단어의 형태는 도 3a에 도시된 라인 11에 예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링크된 단어가 있으면 이를 해당 URL로 링크하고, 그렇지 않으면 콘텐츠 서버(400a ∼ 400n)에 마련되는 처리서버(410a)에서 키워드 및 사업자정보 DB(430a)에 기 마련된 키워드 인지를 판단한다(S912). 판단결과, 키워드 및 사업자정보 DB(430a)에 기 마련되어 있는 키워드인 경우 해당 사업자가 제공한 콘텐츠, URL, 및 기타 정보를 클라이언트(310a ∼ 310n)에 제공한다(S913). 판단결과, 키워드 및 사업자정보 DB(430a)에 기 마련되어 있는 키워드가 아닌 경우, 키워드 등록부(413a)는 클라이언트(310a ∼ 310n)에 선택된 키워드를 구매할 것을 권유하는 메세지(예컨데 텍스트, 동영상, 및 정지영상 형태의 메세지)를 전송한다(S913). 클라이언트(310a ∼ 310n)측에서 키워드 구매를 수락하는 경우, 키워드 등록부(413a)는 클라이언트(310a ∼ 310n)가 해당 키워드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거나, 해당 키워드를 구매할 수 있는 웹사이트로 안내한다.
한편, 사용자가 웹서핑 중이 아니라 자신의 클라이언트(310a ∼ 310n)에서 문서작업을 수행할때, 문서작성 프로그램에서 키워드를 선택하는 경우(S906), 클라이언트(310a ∼ 310n)에 기 설치된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문서작성 프로그램상에 표현된 텍스트들 중 사용자가 더블 클릭한 텍스트를 추출하고(S907), 추출된 텍스트를 콘텐츠 서버(400a ∼ 400n)로 전송하며(S908), 콘텐츠 서버()로 전송된 텍스트는 S912단계로 진행되어 처리된다. 여기서, 도 11은 콘텐츠 서버(400a ∼ 400n)를 통해 클라이언트(310a ∼ 310n)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클라이언트(80a ∼ 80n)와 서버(1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접속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는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중복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며, 도 8에 도시된 서버(100), 서버(100)내에 키워드 및 사업자정보 DB(160), 처리서버(110), 및 플러그-인 처리부(150)를 구비하는 정보제공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혀둔다.
이상에서는 클라이언트에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나 콘텐츠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서버(100 또는 500, 이하 생략함)나 콘텐츠서버에서 별도의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80a ∼ 80n 또는 310a ∼ 310n, 이하 생략함)에 전송 및 설치하지 않고도 사용자에게 정보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나 콘텐츠 서버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소정의 html 코드 등의 코드를 더 추가함으로서 가능하다. 추가되는 html 코드는 사용자의 마우스 더블-클릭에 응답하여 해당 키워드를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아래의 표 3에 그 일 예를 나타내도록 한다.
1 <html> 2 <head> 3 <script> 4 function search () { 5 serch page ="abc.co.kr/serch/all.htnl"; 6 if{NSnav} { 7 txt = document.getSelection(); 8 txt = txt.text 9 } 10 txt=txt.replace{/^\s*,''}.replace{/\s*$/, ''}; 11 if (txt.indexOf(' ')==-1 && event.srcElenet.name !='q'){ 12 if(!Nsnave) document.selection.empty(); 13 if(txt>'')location.href=searchpage+'?z=A&q='+txt'; 14 } 15 } 16 var NSnav=(navigator.appName=='Netscape')?1:0; 17 if (NSnav)document.captureEvent{Event.DBLCLICK}; 18 document.ondbclick=search; 19 </script> 20 </head>
여기서, "abc.co.kr"는 서버에 대한 도메인을 나타낸다. 상기한 html 코드를 각 라인별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라인 4는 서치 함수를 정의한 것으로서 클라이언트가 웹페이지에서 소망하는 키워드를 더블 클릭 시, 라인 5에 나타난 "abc.co.kr"에 키워드를 전송하는 코드를 나타낸다.
라인 6 ∼ 라인 9는 사용자 인터넷 브라우저의 종류(익스플로러, 넷스케이프 및 이들 각각에 대한 버전(version))에 따라 사용자가 더블 클릭한 위치의 텍스트를 가져오는 방법이 틀리므로 해당 브라우저에 따라 방식을 달리하여 텍스트를 가져오기 위한 코드를 나타낸다. 라인 8은 사용자가 선택한 텍스트를 txt 변수에 입력하기 위한 코드를 나타내며, 라인 13은 사용자의 웹브라우저의 시작 페이지를 abc.co.kr, 즉 서버의 도메인으로 변경하고 txt 변수에 입력된 단어를 매개변수로 하여 보내기 위한 코드를 나타낸다.
라인 16은 사용자의 웹브라우저의 종류 및 버전을 얻는 코드를 나타내며, 라인 18 은 사용자가 웹서핑중인 웹페이지에서 키워드에 더블 클릭을 수행 시, 라인 4에서 정의된 서치함수를 수행하는 코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코드를 서버(abc.co.kr), 또는 서버와 제휴관계에 있는 콘텐츠서버에 구비되는 콘텐츠에 추가함으로서 서버나 콘텐츠서버에서 별도의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에 전송 및 설치하지 않고도 사용자에게 정보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일부 또는 전부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링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통상의 콘텐츠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키워드에 대한 정보, 및 링크를 제공하고 이와 연관된 수익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를 구비하는 다수의 콘텐츠 서버와 연동되어 운용됨으로서 클라이언트에 다양한 콘텐츠와 이에 연관된 정보 및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링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키워드를 사업자에게 판매하고, 판매된 키워드를 여러 사업자가 공유함으로서 다양한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콘텐츠 업체와 제휴하여 키워드에 대한 각종 정보를 각 콘텐츠 업체가 일부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터넷에 접속한 다수의 유저에게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널리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47)

  1.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와 접속되는 정보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에 포함되며, 링크가 미 설정된 키워드들 중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되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구비하는 등록 콘텐츠 DB; 및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키워드를 상기 등록 콘텐츠 DB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인터넷 주소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구비하는 정보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구비하는 정보제공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키워드가 상기 키워드 DB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키워드 구매를 위한 구매안내 메세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가 상기 등록 콘텐츠 DB에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 구매를 위한 구매안내 메세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문구에 대한 복합단어 분해를 수행하는 단어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단어추출부에서 추출된 단어를 상기 키워드 DB에 구비되는 키워드와 비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키워드를 판단하는 키워드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전송하기 위한 DNS(Domain Name Serv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10. 클라이언트가 콘텐츠에서 선택한 단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콘텐츠 서버;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구비하는 등록 콘텐츠 DB; 및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를 제공받고, 이를 토대로 상기 등록 콘텐츠 DB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검색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로 공급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 의해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구비하는 정보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요청된 키워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정보제공 서버에 미비된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한 구매 안내메세지를 상기 콘텐츠 서버로 공급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는 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요청된 키워드에 대한 인터넷 주소가 상기 등록 콘텐츠 DB에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한 구매 안내 메세지를 상기 콘텐츠 서버로 공급하며, 상기 콘텐츠 서버는 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키워드를 구비하는 키워드 DB; 및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되는 단어를 상기 키워드 DB에 구비되는 키워드와 비교하여 동일한 키워드를 선택하는 키워드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비교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키워드의 문장에 대한 복합단어 분해를 수행하는 단어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16.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와 접속되는 정보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에서 선택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구비하는 정보 DB; 및
    상기 키워드에 대해 기 등록된 사업자의 확률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의 제공 빈도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제공 빈도에 따라 상기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구비하는 등록 콘텐츠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키워드가 상기 키워드 DB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키워드 구매를 위한 구매안내 메세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한 키워드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키워드에 대한 복합명사 분해를 수행하는 단어추출부;
    상기 단어추출부에서 추출된 단어를 기 마련되는 키워드와 비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키워드를 판단하는 키워드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21. 클라이언트에서 선택된 텍스트를 제공받기 위한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상기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며, 상기 플러그-인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된 텍스트에서 키워 드를 추출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서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구비하는 정보 DB; 및
    상기 키워드에 대해 기 등록된 사업자의 확률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의 제공 빈도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제공 빈도에 따라 상기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구비하는 등록 콘텐츠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키워드가 상기 키워드 DB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키워드 구매를 위한 구매안내 메세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한 키워드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키워드에 대한 복합명사 분해를 수행하는 단어추출부;
    상기 단어추출부에서 추출된 단어를 기 마련되는 키워드와 비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키워드를 판단하는 키워드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26. 클라이언트에서 선택된 텍스트를 제공받기 위한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상기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며, 상기 플러그-인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된 텍스트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는 콘텐츠 서버;
    상기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구비하는 등록 콘텐츠 DB; 및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를 제공받고, 이를 토대로 상기 등록 콘텐츠 DB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를 검색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로 공급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 의해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구비하는 정보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키워드를 구비하는 키워드 DB;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되는 단어를 상기 키워드 DB에 구비되는 키워드와 비교하여 동일한 키워드를 선택하는 키워드 비교부;
    상기 키워드 비교부에서 선택된 키워드에 대해 기 등록된 사업자의 확률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의 제공 빈도를 설정하는 확률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키워드가 상기 키워드 DB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키워드 구매를 위한 구매안내 메세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한 키워드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30.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서버에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정보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웹페이지상에 표시된 단어들 중 제2서버의 웹페이지에 대한 링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어를 키워드로서 선택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선택된 상기 키워드에 대한 정보옵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정보옵션에 따라 상기 키워드를 상기 제1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서버로 제공된 키워드에 설정된 정보옵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로서 선택하는 단계는,
    마우스를 통해 상기 웹페이지상에 표시된 단어중 소망하는 단어를 드래그(drag)하여 블록으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블록 지정된 단어에 대해 상기 정보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옵션이 설정된 단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옵션은,
    상기 키워드에 연관된 웹사이트 정보, 커뮤니티, 정보, 및 뉴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웹사이트 정보는,
    상기 웹사이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링크 시키기 위한 인터넷 주소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옵션에서 상기 웹사이트 정보가 선택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링크된 웹사이트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로 제공된 키워드에 설정된 정보옵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키워드에 대한 복합단어 분해를 수행하여 키워드를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키워드와,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설정된 정보옵션을 토대로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로 제공된 키워드에 설정된 정보옵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상기 제1서버에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키워드를 상기 제1서버로 등록하기 위한 등록안내 메세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로 제공된 키워드에 설정된 정보옵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에 대해 설정된 정보옵션이 상기 키워드에 대한 인터넷 주소정보이고, 상기 제1서버에 이 키워드에 대한 인터넷 주소정보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서버는 상기 키워드에 대한 등록안내 메세지를 상기 클라이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38.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키워드에 대해 기 등록된 사업자의 확률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의 제공 빈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39.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서버, 및 상기 제1서버와 네트워크로 접속되는 제2서버를 구비하는 정보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콘텐츠에서 선택된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서버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웹페이지상에 표시된 단어들 중 제3서버의 웹페이지에 대한 링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어를 선택 후, 이에 대한 정보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정보옵션이 설정된 단어를 상기 제1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단어에 대한 복합단어 분해를 수행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서버에서 추출되고 제공되는 키워드에 설정된 정보옵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2서버에서 상기 제1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옵션을 설정하는 단계는,
    마우스를 통해 상기 웹페이지상에 표시된 단어중 소망하는 단어를 드래그(drag)하여 블록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지정된 단어에 대해 상기 정보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옵션은,
    상기 키워드에 연관된 웹사이트 정보, 커뮤니티, 정보, 및 뉴스 중 어느 하 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웹사이트 정보는,
    상기 웹사이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링크 시키기 위한 인터넷 주소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옵션에서 상기 웹사이트 정보가 선택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링크된 웹사이트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4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로 제공된 키워드에 설정된 정보옵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키워드와,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설정된 정보옵션을 토대로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45.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로 제공된 키워드에 설정된 정보옵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2서버에서 상기 제1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제2서버로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상기 제2서버에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서버로부터 요청된 키워드를 상기 제2서버로 등록하기 위한 등록안내 메세지를 상기 상기 제2서버에서 상기 제1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제1서버는 이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46.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에서 추출되고 제공되는 키워드에 설정된 정보옵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2서버에서 상기 제1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에 대해 설정된 정보옵션이 상기 키워드에 대한 인터넷 주소정보이고, 상기 제2서버에 이 키워드에 대한 인터넷 주소정보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서버는 상기 키워드에 대한 등록안내 메세지를 상기 제1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제1서버는 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47.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키워드에 대해 기 등록된 사업자의 확률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의 제공 빈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KR1020040103807A 2004-12-09 2004-12-09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방법 KR20060065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807A KR20060065076A (ko) 2004-12-09 2004-12-09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807A KR20060065076A (ko) 2004-12-09 2004-12-09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076A true KR20060065076A (ko) 2006-06-14

Family

ID=3716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807A KR20060065076A (ko) 2004-12-09 2004-12-09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50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4399B1 (ko) 정보 액세스 지원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7516154B2 (en) Cross language advertising
JP5538532B2 (ja) コミュニティ交流の意味解析を使用するアドバイザ・アシスタント
KR101128921B1 (ko) 다의적 문자의 명확화
US9218414B2 (en) System,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a search engine based on multi-document summarization
US20090287471A1 (en) Support for international search terms - translate as you search
JP5096619B2 (ja) ホームページ統合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JPH11328076A (ja) インターネットへのアクセ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6688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web searching
US20140164296A1 (en) Chatbot system and method with entity-relevant content from entity
JP2008529179A (ja) 自然言語によってモバイル情報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2880711A (zh) 浏览器地址栏中输入数据的处理方法和处理装置
US20030110210A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JP5185891B2 (ja) 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
JP5108272B2 (ja) 共同翻訳装置
KR100495034B1 (ko) 인포박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06123A (ko)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방법
JP2008015611A (ja) 情報検索支援プログラム、情報検索支援装置
WO2001095151A1 (fr) Dispositif de transfert de donnees
JP2007034464A (ja) 広告コンテンツ提示システム、広告コンテンツ提示プログラム
KR20060017300A (ko)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방법
KR101499685B1 (ko) 키워드 트리 제공 방법
KR20060065076A (ko)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방법
KR20090095939A (ko) 검색결과 출력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727082B1 (ko) 모바일 브라우저에서의 무선 인터넷 주소 정보 획득 장치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