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920A - Locking release system - Google Patents

Locking releas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920A
KR20060064920A KR1020040103606A KR20040103606A KR20060064920A KR 20060064920 A KR20060064920 A KR 20060064920A KR 1020040103606 A KR1020040103606 A KR 1020040103606A KR 20040103606 A KR20040103606 A KR 20040103606A KR 20060064920 A KR20060064920 A KR 20060064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password
communication terminal
user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38025B1 (en
Inventor
김주현
정일동
강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3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025B1/en
Publication of KR20060064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9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0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 해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인에게 잠금 장치의 비밀번호를 노출시킴 없이 제공하여 잠금 장치를 해제하도록 하는 잠금 해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lock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locking system for providing a unlocking device by exposing a password of the locking device to another person without exposing it.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 시스템은 사용자부터 입력된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비밀번호와 비밀번호의 설정명령을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잠금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비밀번호 전송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비밀번호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소정의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해제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해제정보의 해제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잠금 장치 및;The un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password input from a user, transmits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password and a setting command of the password to the locking device, and includes the password according to a password transmission command from the user.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password information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a predetermined door, receiving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ing the setting command; And storing the password, comparing the password included in the releas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previously stored password, and performing a release command of the rel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o open the door. Apparatus and;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비밀번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비밀번호와 해제명령을 포함하는 해제정보를 상기 잠금 장치로 송신하는 제2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진다.And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eives the password information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the release information including the password and the release command to the locking device.

Description

잠금 해제 시스템{LOCKING RELEASE SYSTEM} Lock release system {LOCKING RELEASE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ck releas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1.

도 3은 도 1의 잠금장치의 구성도이다.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locking device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of a lock releas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20: 이동통신 단말기 40: 잠금 장치10, 2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locking device

11: 입력부 12: 표시부11: input unit 12: display unit

13: 저장부 14: 음성 처리부13: storage unit 14: voice processing unit

16: RF 무선부 17: 적외선 송수신부16: RF wireless unit 17: infrared transceiver

18: 제어부18: control unit

본 발명은 잠금 해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인에게 잠금 장치의 비밀번호를 노출시킴 없이 제공하여 잠금 장치를 해제하도록 하는 잠금 해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lock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locking system for providing a unlocking device by exposing a password of the locking device to another person without exposing it.

요즈음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보안성과 편리성이 뛰어난 잠금 장치를 많이 사용한다. 종래의 기계식 잠금 장치는 점차 디지털식이나 더 나아가 지문과 같은 생체 인식이 가능한 잠금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잠금 장치는 통상 도어락(door locker)이라 칭하기도 한다. These days I use a lot of security and convenience locks in my home or offic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Conventional mechanical locking devices are gradually being developed into digital or even biometric locking devices such as fingerprints. Such a lock is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a door locker.

이러한 도어락 방식에는 비밀번호 입력인식이나 지문인식, 홍채인식, 음성인식 등 다양한 방식들이 있으며, 예컨대 비밀번호 입력과 지문인식 등의 두 가지 인식방법이 결합된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The door lock method has various methods such as password input recognition, fingerprint recognition, iris recognition, and voice recognition.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two recognition methods such as a password input and a fingerprint recognition may be used.

특히, 현재 도어락 방식으로 비밀번호 입력방식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 도어락 방식은 사용자(소유자)가 복수의 숫자로 이루어진 비밀번호를 잠금 장치에 저장하여 설정하고, 이후에는 잠금 장치는 설정된 비밀번호와 입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password input method is widely used as a door lock method. In this door lock method, a user (owner) stores and sets a passwor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numbers in a lock device, and the lock device then opens the door by comparing the set password with the input password.

이러한 비밀번호 입력방식은 비밀번호를 알고 있는 사용자(들)에 의해서만 도어를 개방하게 되므로, 이 사용자(들)가 외출 중일 때 타인이 이 사용자의 집에 방문하게 된 경우, 사용자가 타인을 집안에 들어가도록 하려면, 비밀번호를 알려주어야만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This password input method will only open the door by the user (s) who knows the password, so that if the user (s) is out of the house when someone visits this user's house, To do this, you have to provide a passwor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s password is exposed to other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잠금 장치의 비밀번호를 알려주나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 해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nlocking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tell the password of the lock device, but not to be exposed to others.

또한, 본 발명은 타인에게 송신된 비밀번호의 사용에 소정의 제한을 설정되도록 하여 타인에게 비밀번호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 해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nlocking system in which a predetermined restriction is set on the use of a password transmitted to another person so that information on the password is not stored to the other person.

또한, 본 발명은 직접적인 비밀번호의 입력이 요구되지 않는 무선통신방식에 따른 잠금 해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nlocking system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at does not require direct password input.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 시스템은 사용자부터 입력된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비밀번호와 비밀번호의 설정명령을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잠금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비밀번호 전송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비밀번호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소정의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해제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해제정보의 해제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잠금 장치 및;The un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password input from a user, transmits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password and a setting command of the password to the locking device, and includes the password according to a password transmission command from the user.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password information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a predetermined door, receiving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ing the setting command; And storing the password, comparing the password included in the releas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previously stored password, and performing a release command of the rel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o open the door. Apparatus and;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비밀번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비밀번호와 해제명령을 포함하는 해제정보를 상기 잠금 장치로 송신하는 제2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진다.And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eives the password information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the release information including the password and the release command to the locking device.

이때,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비밀번호정보의 수신만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eferably displays only the reception of the password information.

또한, 상기 비밀번호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제한명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assword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a usage restriction command of the password set by the user.

또한, 상기 사용제한명령은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횟수 또는 사용시간에 대한 제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usage restriction command preferably includes a restriction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or the time of use of the password.

또한,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제한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를 사용한 후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eferably deleted after using the password in accordance with the usage restriction command.

또한,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대한 요청을 상기 잠금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잠금 장치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여,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비밀번호정보를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phone number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request for the phone number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to the locking device. The lock device transmits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efore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password information. Preferably, the user checks the user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잠금 장치 간의 통신 및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잠금 장치 간의 통신은 적외선 무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ocking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ocking device are preferably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or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인 잠금 해제 방법은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의 비밀번호 전송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비밀번호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비밀번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비밀번호와 해제명령을 포함하는 해제정보를 상기 잠금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잠금 장치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해제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해제정보의 해제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unlock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ransmitting, by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ssword information including the password to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password transmission command from a user; Receiving, by the terminal, the password information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release information including the password and a release command to the locking device; and by the locking device,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Comparing the password included in the releas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with a previously stored password, and performing the release command of the rel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o open the door.

이때, 상기 비밀번호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제한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제한명령에 따라 사용한 후 삭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password information includes a usage restriction command of the password set by the user, and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econd mobile terminal using the password according to the usage restriction command and deleting the password. desirable.

또한,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대한 요청을 상기 잠금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잠금 장치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전화번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의해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비밀번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phone number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may include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a request for the phone number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to the locking device. And transmitting, by the locking device, the phone number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ing, by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hone number by the phone numb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onnecting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user identifies the user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fore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password information.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비밀번호정보의 수신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by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ly reception of the password informa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 20)에 의한 잠금 장치(40)의 비밀번호 설정 및 잠금 해제와, 이동통신 단말기(10), (20) 간에 이동통신망(50)을 통한 비밀번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ck releas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unlocking system includes a password setting and unlocking of the lock device 40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20,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20. Passwords are sent and received.

자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잠금 장치(40)의 정당한 소유자 및/또는 사용자(이하, 사용자 라 함)의 소유로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사용하여 소정의 비밀번호 등을 잠금 장치(40)에 설정하고, 이후로는 추가적인 비밀번호의 설정 없이 단순한 비밀번호의 잠금 장치(40)로의 송신만으로 소정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In detai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owned by a legitimate owner and / or us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ser) of the locking device 40, and the user locks a predetermined password or the lik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nce set in the device 40, the door can be opened by simply sending the password to the lock device 40 without setting an additional password.

이동통신 단말기(20)는 상술된 사용자가 아닌 타인의 것으로서, 사용자의 집(30)에 방문하였을 때, 사용자가 집(30) 안에 없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이 수신된 비밀번호를 잠금장치(40)로 송신하여, 도어를 개방하여 집(30)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a person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user, and when the user visits the user's home 30, the user receives a password from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hen the user is not in the home 30. , By transmitting the received password to the lock device 40, the door can be opened to enter the house (30).

또한, 잠금장치(40)는 집(30)의 소정의 도어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비밀번호를 저장하여 설정하고, 타인의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도어를 개방하거나 개방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locking device 40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door or the like of the house 30, and stores and sets the password received from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password received from anoth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Do not open or open the door by comparing the stored password.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 20)와 잠금장치(40) 간의 통신은 무선통신이 바람직하여, 예를 들면 적외선 무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근거리에서 통신의 정확성이 높고 별도의 통신망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Her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20) and the lock device 40 is preferably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using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or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high accuracy of communication at a short distance and separate communication network There is no need to use.

이동 통신망(50)은 이동통신 단말기(10), (20)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로서, 소정의 기지국들(미도시)과, 이동통신사 시스템들(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is a network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20.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is a generic term that includes predetermined base stations (not shown), mobile carrier systems (not shown), and the like. Used.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동 통신망(50)을 통한 무선통신과, 적외선 무선 통신이 모두 가능한 단말기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예시되고 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20)도 동일한 구조를 지닌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 20)는 그 통신 방식에 따른 CDMA, GSM 등의 단말기와, PDA인 개인휴대단말기 등을 포괄하는 이동성을 지닌 통신 기기를 의미한다. 2 is a block diag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1. As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a terminal capable of both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Alth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illustra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lso has the same structure. 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20 refer to 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obility that includes terminals such as CDMA and GSM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and personal portable terminals such as PDAs.

자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포함하며, 그에 따른 데이터를 제어부(18)로 송신하는 입력부(11)와, 제어부(18)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및/또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출하는 표시부(12)와, 각종 데이터 및/또는 메시지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13)와, 음성 신호의 출력 및 생성을 수행하는 음성 처리부(14)와, 이동통신망(50)과 안테나(16)를 통하여 무선이동통신을 수행하는 RF 무선부(15)와, 잠금장치(40)와 적외선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적외선 송수신부(17) 및, 상술된 장치들을 제어하여, 잠금 장치(40)와의 통신 및 이동통신망(50)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18)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부(13)는 사용자가 잠금 장치(4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제어부(18)는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적외선 송수신부(17) 대신에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In detai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the input unit 11 for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 unit 18, and predetermined data and / or messages from the control unit 18. A display unit 12 for receiving and expressing to a user, a storage unit 13 for storing various data and / or messages, a voice processor 14 for outputting and generating a voice sig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And the RF radio unit 15 for perform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hrough the antenna 16 and the infrared transmission / receiving unit 17 for performing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locking device 40 and the above-described devices. And a control unit 18 for communicating with the device 40 and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Here, the storage unit 13 may store an application program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operate the locking device 40, and the control unit 18 may read and execute the stored application program. In addition, a communication device for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installed instead of the above-described infrared transceiver 17.

도 3은 도 1의 잠금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 20)와 적외선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이다.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locking device of FIG. 1. As shown, the locking device 40 is a device capable of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20).

자세하게는, 잠금장치(40)는 소정의 데이터를, 예를 들면 비밀번호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41)와, 사용자가 해제 입력을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잠금해제버튼(42)과,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도어 잠금부(43)와, 사용자 및/또는 타인이 집(30) 내의 사람을 호출하기 위한 부저(44)와, 이동통신 단말기(10, 20)와 적외선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외선 송수신부(45) 및, 상술된 장치들을 제어하며 수동적 잠금 및 해제와, 이동통신 단말기(10, 20)와의 통신에 의한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제어부(46)를 포함한다. 여기서, 잠금해제버튼(42)은 집(30) 내부에 장착되고, 부저(44)는 집(30) 외부에 장착된다. In detail, the locking device 40 includes a storage unit 41 for storing predetermined data, for example, a password, a lock release button 42 for allowing a user to manually perform a release input, and a door. A door lock 43 for locking and releasing, a buzzer 44 for calling a person in a house 30 by a user and / or another person, and an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20. Infrared transceiver 45 for controlling, and a control unit 46 for controlling the above-described devices to perform manual locking and unlocking, and to lock and unlock the door by th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20). Here, the release button 42 is mounted inside the house 30, the buzzer 44 is mounted outside the house (3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of a lock releas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41)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를 위한 설정정보를 잠금장치(40)로 송신한다. 자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입력 부(11)를 통하여 설정정보를 입력받고, 제어부(18)는 입력된 설정정보를 입력부(11)로부터 전송받아, 저장부(13)에 저장하고, 적외선 송수신부(17)를 제어하여 입력된 설정정보를 적외선 신호로 잠금장치(40)로 송신한다. 이때, 설정정보는 잠금장치(40)의 개폐를 위한 비밀번호와, 비밀번호의 설정명령을 적어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설정정보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도록 하여, 이후의 단계(S43 및 S44)에서 잠금장치(40)가 타인의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이 전화번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In step S4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for the password input by the user to the locking device 40. In detail, the setting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control unit 18 receives the input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input unit 11, and stores the sett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13. The infrared transmitter / receiver 17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input setting information to the locker 40 as an infrared signal. In this case,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a passwor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cking device 40 and a setting command of the password. In addition,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o that the lock device 40 transmits the telephone numb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of another person in the following steps S43 and S44. Do it.

단계(S42)에서, 잠금장치(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즉, 잠금장치(40)의 적외선 송수신부(45)는 설정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46)는 수신된 설정정보를 적외선 송수신부(45)로부터 전송받아 설정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의 설정명령에 따라 저장부(41)에 비밀번호를 저장함으로써 비밀번호의 설정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46)는 설정정보에 포함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화번호도 저장부(41)에 저장한다. In step S42, the locking device 40 receives and stores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at is, the infrared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45 of the locking device 40 receives th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46 receives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infrared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45 to the setting command of the password included in the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ly, the password setting step is performed by storing the password in the storage unit 41. At this time, the controller 46 also stores the 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cluded in the sett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41.

단계(S43)에서, 타인이 사용자의 집(30)에 방문하여, 잠금장치(40)의 부저(44)를 누름으로써 사용자를 호출하나, 이 호출에도 어떠한 응답이 없는 경우, 타인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비밀번호를 획득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화번호를 이동통신 단말기(20)를 사용하여 잠금장치(40)에 요청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제어부(18)는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 요청에 대한 입력을 입력부(11)를 통하여 전송받아 이 요청을 적외선 송수신부(17)를 통하여 잠금장치(40)로 송신한다. In step S43, another person visits the user's home 30 and calls the user by pressing the buzzer 44 of the lock 40, but if there is no response to the call, the other person moves the user. In order to obtain a passwor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mobile device 20 requests the lock device 40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8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receives an input for the telephone number reques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1 and transmits the request to the locking device 40 through the infrared transceiver 17. .

단계(S44)에서, 잠금장치(40)는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 요청에 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화번호를 송신한다. 즉, 제어부(46)는 적외선 송수신부(45)를 통하여 전화번호 요청을 수신하고, 저장부(41)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판독하여 적외선 송수신부(45)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송신한다. 이때, 만약 타인이 이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화번호를 알고 있는 경우에는 이 단계(S43, S44)는 생략될 수 있다. In step S44, the locking device 40 transmit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response to the telephone number request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at is, the controller 46 receives the telephone number request through the infrared transceiver 45, reads the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storage 41, and transmits the telephone numb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rough the infrared transceiver 45. do. At this time, if another person already know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is step (S43, S44) can be omitted.

단계(S45)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제어부(18)는 적외선 송수신부(17)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타인에 의한 통화 기능 입력을 입력부(11)를 통하여 입력받아 RF 무선부(15)를 통하여 이동통신망(5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와의 통화를 수행한다. 이 단계(S45)에서의 통화는 사용자가 타인의 신분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사용자(즉, 타인)와 통화를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만약 타인이 이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화번호를 알고 있는 경우에는 잠금장치(40)로부터 전화번호를 수신하지 않아도 되므로, 바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와의 통화가 수행되면 된다. In step S45, the control unit 18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receive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infrared transceiver 17, and inputs a call function input by another user to the input unit 11. It receives the input through the RF wireless unit 15 to conn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performs a call with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call in step S45 is for the user to confirm the identity of another person, and can be made by the user making a call with the user (ie, another pers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t this time, if another person already know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receive the phone number from the lock device 40, if a call with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immediately performed do.

단계(S46)에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통하여 타인과 통화한 이후에, 잠금장치(40)의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비밀번호정보를 RF 무선부(15)를 통하여 이동통신망(50)에 의해 타인의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송신하고, 이에 타인은 이동통신 단말기(20)를 통하여 비밀번호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비밀번호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또는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비밀번호의 사용제한명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사용제한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의 사용시간 및/또는 사용횟수에 대한 것으로서, 사용시간은 타인의 이동통신 단말기(20)에 비밀번호가 수신된 때 또는 잠금장치(40)로 하기의 단계(S47)에서 처음으로 해제정보를 송신한 때 등을 시작 시각으로 하는 타인이 비밀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횟수는 타인이 수신된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잠금장치(40)로 하여금 도어를 개방하도록 하는 횟수를 의미한다. In step S46, after the user calls the other pers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password information including the password of the lock device 4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 through the RF wireless unit 15. By transmit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of the other person, the other person receives the password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In this case, the password information may include a command for limiting use of the password that is selected or automatically determined by the user. The usage restriction command is for the use time and / or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password input by the user, and the use time is the following step when the password is received 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of another person or with the lock device 40. The time when the release time is transmitted for the first time in step S47 means that another person can use the password. In additi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means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lock device 40 opens the door by using a password received by another person.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가 비밀번호정보를 수신한 때, 제어부(18)는 이 수신된 비밀번호정보를 저장부(13)에 저장하며, 표시부(12)를 통하여서 잠금장치(40)의 비밀번호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하였음을 표시부(12)를 통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는 실제의 비밀번호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여 타인에게 실제의 비밀번호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표시 제한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receives the password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8 stores the received password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13,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e lock device 40 through the display unit 12 Via the display unit 12 that the received from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8 does not display the actual password so that the actual password is not exposed to others. Such display restriction can be easily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gram.

단계(S47)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제어부(18)는 사용자로부터의 해제명령을 입력부(11)를 통하여 입력받은 후,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해제명령을 포함하는 해제정보를 적외선 송수신부(17)를 통하여 잠금 장치(40)에 송신한다. 이에, 잠금 장치(40)는 적외선 송수신부(45)를 통하여 해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41)에 저장한다. In step S47, the control unit 18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receives a release comman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1, and then releases the release information including the pre-stored password and the release command from the infrared transceiver unit ( 17) to the locking device 40. Thus, the locking device 40 receives the release information through the infrared transceiver 45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41.

단계(S48)에서, 잠금장치(40)의 제어부(46)는 해제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만약 일치하면 단계(S50)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49)로 진행한다. In step S48, the control unit 46 of the locking device 40 compares the password included in the unlocking information with the password set by the pre-stored user, and if there is a match, proceeds to step S50; Proceed to S49).

단계(S49)에서, 잠금장치(40)의 제어부(46)는 해제명령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때 잠금장치(40)는 해제명령의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타인에게 알릴 수 있다. In step S49, the controller 46 of the locking device 40 does not perform a release command. In this case, the locking device 40 may notify others that the release command has not been performed.

단계(S50)에서, 잠금장치(40)의 제어부(46)는 해제명령에 따라 도어잠금부(43)로 하여금 도어를 개방하도록 한다. In step S50, the control unit 46 of the locking device 40 causes the door locking unit 43 to open the door according to the release command.

단계(S51)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제어부(18)는 저장부(11)에 저장된 사용제한명령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없으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52)로 진행한다. In step S51, the control unit 18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checks whether there is a usage restriction comm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 if not, ends, otherwise proceeds to step S52.

단계(S52)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제어부(18)는 사용제한명령을 판독하여, 현재의 상태가 사용제한에 해당되면 저장부(13)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삭제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제어부(18)는 현재의 상태가 사용시간 제한이나 사용횟수 제한에 해당하는지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사용제한에 해당되면 비밀번호를 삭제함으로써 타인이 부당하게 사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현재의 상태가 사용제한에 해당되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제어부(18)는 단계(S47) 내지 (S50)의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S52, the control unit 18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reads the usage restriction command and deletes the passwor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when the current state corresponds to the usage restric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18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continuously observes whether the current state corresponds to the usage time limit or the usage frequency limit. If the usage limit is reached, the controller 18 deletes the password to prevent another person from using it unfairly. do. At this time, if the current state does not correspond to the usage restriction, the control unit 18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may repeatedly perform the steps (S47) to (S50).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잠금 장치의 비밀번호를 알려주나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잠금 장치를 해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of such a configuration has an effect that allows the user to tell the password of the lock device to release the lock device while not being exposed to others.

또한, 본 발명은 타인에게 송신된 비밀번호의 사용에 소정의 제한을 설정되 도록 하여 타인에게 비밀번호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tting a predetermined limit on the use of the password sent to the other person so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password is not stored to the other person.

또한, 본 발명은 직접적인 비밀번호의 입력이 요구되지 않도록 하여 편리성과 보안성을 성취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chieving convenience and security by not requiring a direct password input.

Claims (11)

사용자부터 입력된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비밀번호와 비밀번호의 설정명령을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잠금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비밀번호 전송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비밀번호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Storing a password inputted from a user, transmitting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password and a setting command of the password to a lock device, and transmitting password information including the passwor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password transmission command from the user;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to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소정의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해제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해제정보의 해제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잠금 장치 및;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a predetermined door, receives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password according to the setting command, and compares the password with the password included in the releas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lock device for comparing the pre-stored password, and performing the release command of the rel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o open the door;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비밀번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비밀번호와 해제명령을 포함하는 해제정보를 상기 잠금 장치로 송신하는 제2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시스템.And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the password information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o transmit the release information including the password and the release command to the locking device. .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비밀번호정보의 수신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시스템.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ly displays reception of the password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밀번호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제한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시스템. The password information unloc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mand to limit the use of the password set by the user.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사용제한명령은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횟수 또는 사용시간에 대한 제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시스템. The use restriction command is a lock releas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estriction on the number of times or the use time of the password.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제한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를 사용한 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시스템.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letes the password after using the password according to the usage restriction comman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대한 요청을 상기 잠금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잠금 장치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여,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비밀번호정보를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시스템.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a telephone number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request for the telephone number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to the locking device, and the lock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user before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password information. Unloc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confirm the user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잠금 장치 간의 통신 및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잠금 장치 간의 통신은 적외선 무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시스템.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ocking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ocking device are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or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의 비밀번호 전송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비밀번호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Transmitting, by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ssword information including the password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password transmission command from the user;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비밀번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비밀번호와 해제명령을 포함하는 해제정보를 상기 잠금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Receiving, by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assword information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release information including the password and a release command to the locking device; 상기 잠금 장치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해제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해제정 보의 해제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방법.Comparing the password included in the releas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previously stored password, and performing the release command of the rel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o open the door; Unlock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비밀번호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제한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제한명령에 따라 사용한 후 삭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방법. The password information includes a usage restriction command of the password set by the user, and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econd mobile terminal using the password according to the usage restriction command and deleting the password. To unlock.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대한 요청을 상기 잠금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잠금 장치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전화번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의해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비밀번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방법.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a phone number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ransmitting, by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request for the phone number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to the locking device; And transmitting, by the locking device, the phone number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ing, by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hone number by the phone number.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throug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fore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password information.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비밀번호정보의 수신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방법.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only the reception of the password information by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40103606A 2004-12-09 2004-12-09 Locking release system KR1006380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606A KR100638025B1 (en) 2004-12-09 2004-12-09 Locking releas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606A KR100638025B1 (en) 2004-12-09 2004-12-09 Locking releas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920A true KR20060064920A (en) 2006-06-14
KR100638025B1 KR100638025B1 (en) 2006-10-23

Family

ID=3716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606A KR100638025B1 (en) 2004-12-09 2004-12-09 Locking releas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02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4843A1 (en) * 2006-07-07 2008-01-10 Doo Man Im Electric door lock device
KR100795587B1 (en) * 2006-10-26 2008-01-2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terminal for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recoding medium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959B1 (en) * 2013-02-12 2019-09-10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using door lock
KR101722900B1 (en) * 2015-08-05 2017-04-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Door lock system capable of setting a temporary passwor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4843A1 (en) * 2006-07-07 2008-01-10 Doo Man Im Electric door lock device
KR100795587B1 (en) * 2006-10-26 2008-01-2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terminal for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recoding mediu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8025B1 (en) 200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956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US7627904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locking function
CN113643459A (en) Remote control unlocking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and Bluetooth intelligent lock
KR20040068342A (en) Access control system
KR101019629B1 (en) Doorlock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mobile equipment
JP2000002029A (en) Electronic lock system
KR100638025B1 (en) Locking release system
KR20070014859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lock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KR101155694B1 (en) Method for authenticate in/out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4581230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344303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KR101255733B1 (en) Method of generating cyber key and system for the same
JP2002300637A (en) Lock control system
JP2003253940A (en) Keyless entry system
KR100484438B1 (en) Remote locking method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374029B1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us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of mobile wireless terminal
KR1004550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ertificates Using Mobile Phone
KR20040022573A (en) Phone service in locke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447328B1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locker and method thereof
KR100312231B1 (en) Lock function establishment/release method for mobile radio telephone
KR20030050583A (en) System and method for locking and unlocking door using mobile phone
JP2005094450A (en) Electronic equipment
JPH02250532A (en) Radio telephone system
KR20100130676A (en) A digital door system using rfid
JP2006077471A (en) Entry and leaving room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