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503A - Terminal,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tents adaptation - Google Patents

Terminal,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tents adap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503A
KR20060064503A KR1020050078621A KR20050078621A KR20060064503A KR 20060064503 A KR20060064503 A KR 20060064503A KR 1020050078621 A KR1020050078621 A KR 1020050078621A KR 20050078621 A KR20050078621 A KR 20050078621A KR 20060064503 A KR20060064503 A KR 20060064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data file
server system
content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6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66400B1 (en
Inventor
김우식
김도형
김선자
김흥남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1/288,811 priority Critical patent/US7720888B2/en
Publication of KR20060064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5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4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변환을 지원할 수 있는 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통신 단말의 프로토콜 구조에서,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서버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단말과의 데이터 파일의 공유를 지원하고, 적응화 계층은 통신 단말에서의 데이터 파일의 이용을 위한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고,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은 시스템 호출을 수용하여 상기 적응화 계층으로 전달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upporting content conversion. In the protocol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supports sharing of a data file with a server system and at least one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the adaptation layer provides content for use of the data fil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 the translation and the virtual file system layer accepts system calls and passes them to the adaptation layer.

컨텐츠 변환, 분산 파일 시스템 Content Conversion, Distributed File System

Description

컨텐츠 변환을 지원하는 통신 단말, 서버 시스템 및 그 변환 방법 {TERMINAL,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TENTS ADAPTATION}Communication terminal, server system that supports content conversion and its conversion method {TERMINAL,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TENTS ADAP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과 서버 시스템 사이의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rv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과 서버 시스템의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tocol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rv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구조를 탑재한 통신 단말과 서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rver system equipped with a protoco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을 위한 마운트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unting process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convers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 결과 생성된 데이터 프레임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6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data frame generated as a result of content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컨텐츠 변환을 지원하는 통신 단말, 서버 시스템 및 그 변환 방법 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서버 시스템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양한 단말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변환을 지원하는 통신 단말, 서버 시스템 및 그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a server system and a conversion method for supporting content convers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a server system, and a method for converting the content, which support content conversion, so that content stored in the server system can be shared by various terminals.

일반적으로 하나의 통신 단말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시스템 호출(system call)을 체계적으로 처리하고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파일 시스템이 존재하며, 이를 로컬 파일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로컬 파일 시스템은 해당 통신 단말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저장 장치에만 파일을 저장하게 된다. 그러나, 로컬 파일 시스템은 저장 장치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저장되었던 모든 데이터를 손실하게 되며, 다른 통신 단말의 사용자 또는 다른 통신 단말과의 데이터 공유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Generally, one communication terminal has one file system for systematically processing system calls and providing data, which is called a local file system. The local file system can be used only by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file is stored only in a storage device physically connected thereto. However, the local file system loses all stored data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storage device, and it is difficult to share data with a user of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or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개인이 사용하는 통신 단말의 종류 및 수가 증가하고, 통신 단말이 접속된 통신망의 환경이 다양화되고, 통신 단말의 기능이 복합화됨에 따라서 통신 단말 간의 데이터 공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유무선 인터넷 인구의 폭발적 증가, MPEG-4, ASF 등 다종의 미디어 파일의 출현, 접속 기기별 다양한 품질의 파일 요구 및 고해상도 미디어 파일로 인한 스토리지의 대형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동일 컨텐츠를 다종의 미디어 파일로 보관하는 것은 통신 단말뿐만 아니라 이와 연동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의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공유 및 동기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각 통신 단말에 적합한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기술의 필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다.As the type and number of communication terminals used by individuals increase, the environment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onnected is diversified, and the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ompounded, the necessity of data sharing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explosive growth of the wired and wireless Internet population, the emergence of a variety of media files such as MPEG-4 and ASF, the demand for various quality files for each connected device, and the increase of storage due to the high resolution media files have resulted in the expansion of various media files. Storing to cause a waste of resources not only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but also of a server system that provides a service in connection with it. In order to prevent this,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for sharing and synchronizing data, and together with the need for a technology for converting data into a form suitable for each communication terminal.

현재,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를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공유하는 기술로서 마이크로 소프트의 로밍 프로파일(roanming profile) 기술이 있다. 이는 한 도메인으로 묶여진 데스크탑 컴퓨터들 중 어느 데스크탑에 접속하더라도 개인 데이터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윈도우즈 프로그램이 설치된 데스크탑 컴퓨터에서만 사용될 수 있으므로, 파일 공유를 위한 환경이 제한되어 다양한 소프트웨어 환경, 하드웨어 환경 및 통신 환경을 가진 모바일 단말에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통신 단말의 특성을 반영하여 데이터 동기화 및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유용한 일이며, 데이터를 통신 단말에서 이용할 수 있는 최적의 형태로 변환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Currently, there is Microsoft's roanming profile technology as a technology for sharing user's personal data on desktop computers. This provides access to personal data on any of the desktop computers bound to a domain. However, since it can be used only on a desktop computer on which the Windows program is installed, the environment for file sharing is limited, and thus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mobile terminal having various software environments, hardware environments,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s. Therefore, it is very useful to provide a data synchronization and sharing servic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 is also important to convert the data into an optimal form that can be us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컨텐츠가 이용되는 통신 단말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하는 컨텐츠 변환을 지원하는 통신 단말, 서버 시스템 및 그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terminal, a server system and a method for converting the content to support the content conversion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컨텐츠 변환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의 프로토콜 구조가 제공된다. 이 통신 단말 및 서버 시스템의 프로토콜 구조는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 적응화 계층 및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을 포함한다.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서버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단말과의 데이터 파일의 공유를 지원하고, 적응화 계층은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통신 단말에서의 데이터 파일의 이용을 위한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며,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은 적응화 계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시스템 호출을 수용하여 상기 적응화 계층으로 전달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ocol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content conversion is provided. The protocol structure of this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er system includes a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an adaptation layer and a virtual file system layer.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supports the sharing of data files with at least one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the adaptation layer is located on top of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Performs content conversion for use, the virtual file system layer is located on top of the adaptation layer and accepts system calls and delivers them to the adaptation laye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컨텐츠 변환을 지원하는 통신 단말이 제공된다. 이 통신 단말은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부, 적응화 계층부 및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부를 포함한다.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부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서버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단말과의 데이터 파일의 공유를 지원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적응화 계층부는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통신 단말에서의 데이터 파일의 이용을 위한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는 적응화 계층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그리고,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부는 적응화 계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시스템 호출을 수용하여 상기 적응화 계층으로 전달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a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content conversion is provided.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distributed file system hierarchy, an adaptation hierarchy and a virtual file system hierarchy.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unit supports a protocol of a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that supports sharing of a data file with a server system and at least one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he adaptation layer is located on top of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and supports a protocol of the adaptation layer that performs content conversion for use of data files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virtual file system layer unit is located above the adaptation layer and supports a protocol of the virtual file system layer that accepts system calls and delivers them to the adaptation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과 데이터 파일을 공유하는 서버 시스템의 컨텐츠 변환 방법이 제공된다. 먼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에 대하여 분산 파일 시스템 기반의 마운트 포인트를 생성하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마운트 포인트를 통한 데이터 파일의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다음, 통신 단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통신 단말이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통신 단말이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 파일에 대한 컨텐츠 변환 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한다. 그리고, 데이터 파일의 변환 정보를 상기 데이터 파일과 함께 저장하여 다른 통신 단말의 파일 공유에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conversion method of a server system for sharing a data file with at least on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via a network. First, a distributed file system based mount point is generated for at least on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a data file through the mount point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perform content conversion based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I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not perform content conversion, after the content conversion of the data file, Transmi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n, the conversion information of the data file is stored together with the data file and provided to the file sharing of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서버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단말과 데이터 파일을 공유하는 통신 단말의 컨텐츠 변환 방법이 제공된다. 먼저,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통신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파일의 목록 및 해당 파일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파일 접근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파일을 전송받는다. 그리고, 전송받은 데이터 파일에 대한 컨텐츠 변환을 수행한 후, 데이터 파일의 변환 결과를 상기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 단말은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파일의 변환을 위한 변환 유닛을 수신하여 내부의 프로토콜 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conversion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sharing a data file with a server system and at least one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network. First, a list of files availabl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file are received from a server system, and a data file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ceived file access path. After performing content conversion on the received data file, the data fil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system. 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receive a conversion unit for conversion of the data file from the server system and apply it to the internal protocol structu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모듈(module)이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시스템을 변경이나 플러그인 가능하도록 구성한 블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즉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있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 다. 명세서에서 기술한 "컨텐츠(contents)"란 서버 시스템과 통신 단말이 공유하는 이미지 파일, 문서 파일, 동영상 파일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파일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block configured to change or plug in a system of hardware or software", that is, a unit or block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in hardware or software. All. As used herein, the term "contents" refers to various types of data files including image files, document files, and video files shared by the server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을 지원하는 통신 단말, 서버 시스템 및 그 변환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 communication terminal, a server system, and a conversion method for supporting content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과 서버 시스템 사이의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rv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20)은 무선 개인 근거리 통신망(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3세대 무선 통신망,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및 다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 시스템(10)과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통신 단말(20) 및 서버 시스템(10)은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시스템끼리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동일하게 보이는 파일 접근 공간을 제공해 주는 분산 파일 시스템(DFS, distributed file system) 기반의 동일한 프로토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100)은 휴대폰,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및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비롯한 다양한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프로토콜 구조 중 응용 계층(400)이 구비되지 않은 프로토콜 구조를 이용하여 단순히 파일의 저장 및 공유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communication terminal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 third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reless device. It is connected to the server system 10 via 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and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the server system 10 are physically different system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network, and provide the same protocol based on a distributed file system (DFS) that provides a file access space that looks the same to a user. Has a structu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ing a mobile phone, a laptop computer, a desktop computer,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However, the server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imply function as a system for storing and sharing files using a protocol structure without the application layer 400 among the protocol structures shown in FIG. 1. hav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과 서버 시스템의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은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Ⅰ), 적응화 계층(Ⅱ),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Ⅲ) 및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Ⅳ)을 포함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tocol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rv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I), an adaptation layer (II), a virtual file system layer (III), and an application layer (IV). .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Ⅰ)은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단말들끼리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데이터의 공유 및 동기화를 제공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 기술을 수용한다. 그리고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Ⅰ)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파일 시스템 드라이버(미도시)를 수용한다.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Ⅰ)은 다수의 통신 단말과 서버 시스템 사이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므로, 권한 있는 통신 단말 또는 사용자만의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증 및 데이터 암호화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Ⅰ)은 통신 단말의 모든 사용자에게 특정한 ID를 부여하거나, 사용자의 확인은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Ⅰ)은 특정 통신 단말 또는 사용자가 어느 파일 또는 디렉토리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를 설정 및 분류한다.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I) adopts a distributed file system technology in which physically different terminals connect to a network to provide data sharing and synchronization.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I accommodates various file system drivers (not shown) for providing services to users. Sinc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I) is intended to support content sharing between multip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server systems, it supports user authentication and data encryption to allow access to only authorized communication terminals or users. . For example,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I may assign a specific ID to all user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user's confirmation may use an encrypted password.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I sets and classifies how much authority a particular communication terminal or user has to which file or directory.

또한,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Ⅰ)은 통신 단말이 접속되어 있던 통신망과의 연결이 끊어진 상태에서도 통신망에 접속된 상태에서만 접근 가능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비연결 연산(disconnected operation) 기능을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통신망과 접속된 상태에서 통신 단말은 작업하고자 하는 자원을 서버로부터 복사하여 저장해 두었다가 통신망과 재접속되었을 때, 작업이 이루어진 결과물을 서버로 업데이트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다수의 통신 단말 및 서버 시스템이 공유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자료 일관성(data consistency)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I) supports a disconnected operation function that allows a user to access a resource that is accessible only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even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connected. . To this end, in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pies and stores the resources to be worked on from the server, and when it is reconnected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updates the result of the work to the server. Through this process, data consistency can be achieved with respect to data shared by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er systems.

적응화 계층(Ⅱ)은 컨텐츠를 이용하는 통신 단말(20)의 특성, 통신 단말(20)이 현재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적합하게 컨텐츠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각 통신 단말에 적합한 최적화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적응화 계층(Ⅱ)은 통신 단말(20)의 응용 계층(Ⅳ)에서 이루어지는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Ⅰ)에의 접근을 위한 모든 시스템 호출(system call)을 가로채서 컨텐츠 변환을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Ⅰ)에 전달한다. 적응화 계층(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3에서 적응화 계층의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적응화 계층부(Ⅱ) 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adaptation layer (II) performs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using the cont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currently connected, and the user's characteristics, thereby making it suitable for each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generate optimized content in real time. The adaptation layer (II) intercepts all system calls for access to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I) in the application layer (IV)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to perform data processing for content conversion and distribution. Pass to file system layer (Ⅰ). The adaptation layer II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daptation layer unit II implementing the protocol of the adaptation layer in FIG. 3.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Ⅲ)은 응용 계층으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시스템 호출을 처리하는 추상화된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수행한다.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Ⅲ)은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Ⅰ)과 운영 체제 사이의 작업을 개념화함으로써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서로 다른 구현이 쉽도록 해 준다.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Ⅲ)은 사용자와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어떤 파일이 무슨 파일 시스템에 속해 있는지에 대한 인식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플로피 디스크나, CO-ROM 등을 포함한 모든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려는 요청이 생기면, 이 요청은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Ⅲ)에 전해지고,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Ⅲ)은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Ⅰ) 내의 알맞은 파일 시스템 드라이버로 이를 전송해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시스템 호출은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Ⅲ)으로부터 적응화 계층(Ⅱ)을 통하여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Ⅰ)으로 전송된다.The virtual file system layer III performs the function of an abstracted interface that handles all system calls originating from the application layer. The virtual file system layer (III) conceptualizes the work between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I) and the operating system to facilitate different implementations on various operating systems. The virtual file system layer III processes users and processes in general so that they can be used without knowing which file belongs to which file system. That is, when a request is made to use all file systems including floppy disks, CO-ROMs, etc., the request is sent to the virtual file system layer III, and the virtual file system layer III is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I. Send it to the appropriate file system driver i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system calls are sent from the virtual file system layer III to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I via the adaptation layer II.

응용 계층(Ⅳ)은 다양한 응용들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들과 특정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MP3 재생기, 이미지 뷰어, 화상 통신 프로그램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layer IV contains protocols for supporting various applications and programs designed to perform specific services. This may include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such as an MP3 player, an image viewer, and a video communication program.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구조를 탑재한 통신 단말과 서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및 서버 시스템은 위에서 기술한 계층의 프로토콜을 각각 구현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부(100), 적응화 계층부(200),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부(300) 및 응용 계층부(400)를 포함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rver system equipped with a protoco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unit 100, an adaptation layer unit 200, and a virtual file system layer that each implement the protocol of the layer described above. The unit 300 and the application layer unit 400 is included.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부(100),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부(300) 및 응용 계층부(400)는 위에서 설명한 도 2에 나타낸 프로토콜 구조를 각각 구현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unit 100, the virtual file system layer unit 300, and the application layer unit 400 each implement a function of implementing the protocol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2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화 계층부(300)는 단말 프로파일(210), 제어 모듈(220), 컨텐츠 변환 모듈(230)을 포함하며, 컨텐츠 변환 모듈(230)은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변환을 수행하는 이미지 변환 유닛(231) 및 문서 변환 유닛(232)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adaptation layer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profile 210, a control module 220, and a content conversion module 230. Includes an image conversion unit 231 and a document conversion unit 232 for performing appropriate convers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ontent.

단말 프로파일(210)은 통신 단말(20)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단말 프로파일(210)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통신 단말(20)에 할당된 IP 어드레스, 통신 단말(20)의 사용자 ID 및 해당 사용자의 그룹 ID 등의 통신 단말(20) 자체에 할당된 정보들이 저장된다. 그리고 단말 프로파일(210)에는 디스플레이의 크기, 해상도, 지원 색상,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의 클럭, 메모리 정보, 사운드 카드 사양 등을 비롯한 통신 단말(20)의 하드웨어 관련 사항이 저장된다. 또한, 단말 프로파일(210)에는 현재 통신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의 접속 정보 즉, 통신망의 종류, 컨텐츠의 비트 전송율, 가용 채널의 대역폭, 데이터 전송 에러율 등의 정보가 저장되며, 컨텐츠 변환 모듈(230)에 포함된 변환 유닛(231, 232)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단말 프로파일(210)에는 통신 단말(2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의 명칭 및 버전 정보, 설치된 코덱 정보 등의 소프트웨어 관련 사항이 저장된다.The terminal profile 210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terminal profile 210 stores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itself such as an IP address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for data communication, a user I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a group ID of the corresponding user. do. In addition, the terminal profile 210 stores hardware-related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including a display size, a resolution, a support color, a clock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emory information, a sound card specification, and the like. . In addition, the terminal profile 210 stores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currently connected, that is, the type of communication network, the bit rate of the content, the bandwidth of the available channel, the data transmission error rate, and the lik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version units 231 and 232 included in the C1) is stored. The terminal profile 210 stores software related matters such as name and versio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installed codec information.

통신 단말(20) 내의 단말 프로파일(210)은 이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마운트 포인트의 생성시에 제어 모듈(220)의 제어에 의하여 서버 시스템(10)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정보를 수신한 서버 시스템(10)은 각 통신 단말(20)별로 구분하여 프로토콜 구조 내의 단말 프로파일(210)에 통신 단말(20) 관련 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이후의 컨텐츠 변환에 이용한다. 여기서, 통신망 관련 정보는 통신 단말(20)과 관련된 다른 정보들에 비하여 빈번하게 변동되는 정보이므로, 통신 단말(20)은 주기적으로 단말 프로파일(210)에 저장된 통신망 관련 정보를 갱신하여야 한다.The terminal profile 210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stores such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system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220 when the mount point is generated. The server system 10 receiving the information stores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related information in the terminal profile 210 in the protocol structure by dividing the information into each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use the same for later content conversion. Here, since the communication network related information is information which is frequently changed compared with o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should periodically update the communication network 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profile 210.

제어 모듈(220)은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부(300)를 통하여 전송되는 응용 계층부(400)에서 발생된 각종 파일 및 디렉토리 관련 시스템 호출을 수신하여 컨텐츠 변환을 위한 데이터 처리를 제어한다. 제어 모듈(220)은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부(100)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컨텐츠 변환 모듈(230)로 해당 시스템 호출의 내용을 전달하여 응용 계층부(400)에서 요청한 작업의 처리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 모듈(220)은 서버 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통신 단말(20)에서 이용 가능한 최적의 형태로 변환하기 위하여 필요한 변환 유닛(231, 232)을 호출하여, 컨텐츠를 요청한 통신 단말(20)에서의 이용에 적합한 형태로 컨텐츠가 변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응용 계층부(400)를 통하여 이미지 뷰어의 구동을 요청하는 시스템 호출이 전송된 경우, 제어 모듈(220)은 이미지 변환 유닛(232)을 호출하여 컨텐츠 변환을 제어한다.The control module 220 receives various file and directory related system calls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layer unit 400 transmitted through the virtual file system layer unit 300 to control data processing for content conversion. The control module 220 serves as an interface of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unit 100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system call to the content conversion module 230 to control the processing of the work requested by the application layer unit 400. . The control module 220 calls the conversion units 231 and 232 necessary for converting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system 10 into an optimal form availabl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to request the conten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 The content may be transformed into a form suitable for use in 20). That is, when a system call for driving the image view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application layer unit 400, the control module 220 calls the image conversion unit 232 to control content conversion.

컨텐츠 변환 모듈(230)은 단말 프로파일(210)을 참조하여 통신 단말(20)이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컨텐츠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변환 모듈(230) 내의 이미지 변환 유닛(231) 및 문서 변환 유닛(232)이 직접적인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며, 통신 단말(20) 내의 적응화 계층부(200)와 서버 시스템(10) 내의 적응화 계층부(200)가 상호 정보를 교환하여 적절한 형태의 컨텐츠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content conversion module 230 converts the content into a content that can be us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with reference to the terminal profile 210. The image conversion unit 231 and the document conversion unit 232 in the content conversion module 230 perform direct content conversion, and the adaptation layer unit 200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the adaptation layer unit in the server system 10 are provided. The 200 exchanges information with each other so that an appropriate form of content conversion can be made.

즉, 서버 시스템(10)이 통신 단말(20)로부터 이미지 파일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통신 단말(20)로부터 수신한 단말 관련 정보를 기초로 하여 판단한 결과 해당 이미지 파일이 통신 단말(20)에서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 시스템(10)의 제어 모듈(220)은 컨텐츠 변환 모듈(230)과 자원 접근 요청, 자원 변경 요청, 자원 전달 요청 메시지의 교환을 통하여 이미지 변환 유닛(231)을 호출하여 해당 이미지 파일을 통신 단말(20)에서 이용 가능한 최적의 형태로 변환되도록 한다.That is, the server system 10 receives a request for the transmission of an image file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based on the terminal-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determines that the image file i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If not suitable for the use of the control module 220 of the server system 10, the image conversion unit 231 through the exchange of resource access request, resource change request, resource delivery request message with the content conversion module 230 The image file is converted into an optimal form availabl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by calling.

이미지 변환 유닛(231)은 단말 프로파일(210)에 저장된 정보 중 통신 단말(20)의 디스플레이의 크기, 지원 색상, 해상도 정보, 통신 단말(2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의 포맷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이미지를 변경하고, 이때 통신 단말(20)이 현재 접속되어 있는 통신 채널의 상태 정보를 부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The image conversion unit 231 is based on the size of the display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support color, the resolution information, and the format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amo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profile 210. The image can be changed, and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can additionally use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channel to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currently connected.

문서 변환 유닛(232)은 단말 프로파일(210)에 저장된 정보 중 통신 단말(2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문서 데이터의 포맷 정보 및 응용 프로그램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적절한 형태로 문서를 변환하고, 이때 통신 단말(20)이 현재 접속되어 있는 통신 채널의 상태 정보를 부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The document conversion unit 232 converts the document into an appropriate form based on the format information and the application program information of the document data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amo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profile 210, and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terminal Status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channel to which the 20 is currently connected can be additionally u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변환 모듈(230)에 이미지 변환 유닛(231)과 문서 변환 유닛(232)의 두 종류의 변환 유닛이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서버 시스템(10)은 통신 단말(20)에서 요청한 컨텐츠를 이용하는 응용 서비스에 필요한 변환 유닛을 전송하여 줄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통신 단말(20)은 프로토콜 구조 내의 컨텐츠 변환 모듈(230)에 변환 유닛을 추가 설치하여 이후의 컨텐츠 변환에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conversion module 230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two types of conversion units, an image conversion unit 231 and a document conversion unit 232, but the server system 1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terminal 20. Can transmit a conversion unit required for an application service using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receives the additional installation unit to the content conversion module 230 in the protocol structure to be used for the next content conversion can do.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을 위한 마운트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산 파일 시스템 기반의 동일한 프로토콜 구조를 갖는 서버 시스템(10)과 다수의 통신 단말(20)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경우, 각 통신 주체(10, 20) 내에 저장된 컨텐츠의 공유 및 동기화를 위해서는 각 통신 단말(20)이 다른 통신 단말(20) 또는 서버 시스템(10) 내에 저장된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인 마운트 포인트를 생성하는 마운트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도 4는 이러한 마운트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unting process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when the server system 10 having the same protocol structure based on a distributed file system 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20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contents stored in each communication entity 10 and 20. In order to share and synchronize, the mounting process of generating a mount point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each communication terminal 20 can access contents stored in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20 or the server system 10 must be preceded.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is mounting process.

서버 시스템(10)에 저장된 컨텐츠에 접근하고자 하는 통신 단말(20)은 서버 시스템(10)에 대하여 인증을 요청한다(S401).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at wants to access the content stored in the server system 10 requests the server system 10 for authentication (S401).

서버 시스템(10)은 프로토콜 내부의 단말 프로파일(210)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인증을 요청한 통신 단말(20)에 대하여 서버 시스템(10) 내에 저장된 컨텐츠에 접근할 권한이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사용자 인증 및 그룹 인증을 통하여 서버 시스템(10)은 통신 단말(2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파일 공유를 위한 경로 생성 과정인 마운트 여부를 결정한다(S402). 이와 같은 과정은 서버 시스템(10)의 프로토콜 구조 중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100)에서 이루어진다.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profile 210 in the protocol, the server system 10 determines wheth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at has requested authentication is authorized to access contents stored in the server system 10. Check. Through user authentication and group authentication, the server system 10 performs authentication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determines whether to mount, which is a path generation process for file sharing (S402). This process is performed in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100 of the protocol structure of the server system 10.

서버 시스템(10)으로부터 인증 완료의 신호를 수신한 통신 단말(20)은 단말 프로파일(210)에 저장된 통신 단말의 하드웨어 관련 정보, 소프트웨어 관련 정보 및 응용 프로그램 관련 정보들을 서버 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S403). 이들 정보를 수신한 서버 시스템(10)은 적응화 계층부(200) 내의 단말 프로파일(210)에 동일한 분산 파일 시스템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있는 각 통신 단말별로 이들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한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at has received the authentication completion signal from the server system 10 transmits hardware related information, software related information, and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d in the terminal profile 210 to the server system 10. (S403). The server system 10 receiving these information classifies and stores these information for each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profile 210 in the adaptation layer unit 200 via the same distributed file system.

서버 시스템(10)은 각 통신 단말(20)로부터 수신하여 단말 프로파일(210)에 저장된 정보 중 해당 통신 단말(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정보 및 설치된 변환 유닛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인증을 요청한 통신 단말(20)에서의 컨텐츠 이용에 필요한 변환 유닛이 모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4).The server system 10 receives a request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based on the application program information stored in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the conversion unit information installed i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profile 210, and requests for authentication. In step S404, it is determined whether all the conversion units necessary for the use of the content exist.

필요한 변환 유닛 중 일부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서버 시스템(10)은 해당 통신 단말(20)에 마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변환 유닛을 전송한다(S405). 변환 유닛을 수신한 통신 단말(20)은 이를 설치하여 내부의 프로토콜 구조에 적용시킴으로써 컨텐츠 변환을 위한 준비를 수행한다. 이때, 통신 단말(20) 내부의 컨텐츠 변환 모듈(230) 정보가 변경되었으므로, 서버 시스템(10)은 단말 프로파일(210)에 저장된 해당 통신 단말(20) 관련 정보를 갱신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some of the necessary conversion units do not exist, the server system 10 transmits the conversion unit determined not to be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S405).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receiving the conversion unit installs it and applies it to the internal protocol structure to prepare for content conversion. In this case, since the content conversion module 230 information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has been changed, the server system 10 updates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20 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profile 210.

통신 단말(20)에서의 컨텐츠 변환을 위한 모듈 설치가 종료되면, 서버 시스템(10)은 통신 단말(20)의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는 전체 데이터 파일 정보 중에서 해당 통신 단말(20)에서 지원 가능한 형태의 파일만을 선별하는 필터링을 수행한다. 서버 시스템(10)은 필터링 결과 해당 통신 단말(20)에서 이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파일의 목록과 해당 파일이 저장된 디렉토리 정보를 생성한다(S406).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의 기능이 부가되어 있는 휴대폰의 경우, 서버 시스템(10)은 내부의 저장부에 저장된 MP3 파일을 추출하여 그 목록을 생성하고, 목록에 포함된 MP3 파일과 해당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module for the content conversion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finished, the server system 10 is a form that can be support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of the entire data file information that can be shared by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Perform filtering to filter only files in. The server system 10 generates a list of files determined to be available to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directory information in which the corresponding files are stored as a result of the filtering (S406).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to which the function of an MP3 player is added, the server system 10 extracts an MP3 file stored in an internal storage unit and generates a list, and stores the MP3 file included in the list and the corresponding file. Directory information can be matched.

필터링 결과 얻어진 파일 및 디렉토리 목록을 기초로 하여 서버 시스템(10)은 파일 접근 경로를 명시하는 디렉토리 인덱스를 이용하여 마운트 포인트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 단말(10)로 전송한다(S407, S408).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 시스템(10) 및 통신 단말(20)은 분산 파일 시스템 기반의 프로토콜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각 통신 주체(10, 20)가 다른 통신 주체(10, 2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운용 규칙에 따라 디렉토리 이름을 생성하여 서버 시스템(10) 내에 저장된 컨텐츠가 해당 통신 단말(20) 내에 저장된 컨텐츠인 것처럼 인식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를 통하여 마운트 포인트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On the basis of the list of files and directories obtained as a result of the filtering, the server system 10 generates a mount point using a directory index that specifies a file access path, and transmits the mount poin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 (S407 and S408). Since the server system 1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 a distributed file system-based protocol structure, each communication subject 10 and 20 is stored in another communication subject 10 and 20. In order to be able to access the content is created by generating a directory nam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t operating rules through the process as shown in Figure 4, the content stored in the server system 10 is the content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process of creating a mount point must be accompanied by data processing to be recognized as if it were.

이와 같이 마운트 포인트 생성 과정을 거쳐 통신 단말(20)로 전송된 정보는 통신 단말(20)의 프로토콜 구조 내의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부(100) 내의 파일 시스템 드라이버에서의 데이터 처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rough the mount point generation process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data processing in the file system driver in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unit 100 in the protocol structur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신 단말(20)에 필요한 변환 모듈의 전송이 필터링 이전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서버 시스템(10)은 단말 프로파일(210)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통신 단말(20)에서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목록을 추출하는 필터링 과정(S406) 이후에 목록에 포함된 파일의 처리에 필요한 변환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404), 필요한 변환 유닛을 통신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시스템(10)은 마운트 포인트 생성 후 통신 단말(20)로부터 파일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통신 단말(20)에서의 최적의 컨텐츠 이용을 위하여 필요한 컨텐츠 변환 모듈을 전송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of the conversion module required f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efore filtering, the server system 10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profile 210,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20 After the filtering process (S406) of extracting a list of the available content at step (S406), it is determined whether a conversion unit necessary for processing a file included in the list is installed (S404), and the necessary conversion unit is determin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Can be sent to. In addition, when a file transfer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after the mount point is generated, the server system 10 may transmit a content conversion module necessary for optimal use of the content in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20.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마운트 과정에서는 서버 시스템(10)은 통신 단말(20)로 파일 목록과 디렉토리 목록만이 전달되며, 실제 통신 단말(20)에서 특정 파일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면, 서버 시스템(10)으로부터 실제 파일의 복사본이 통신 단말(20)로 전송되며, 이때 컨텐츠 변환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은 접근 파일에 대한 변경이 없는 읽기 전용 모드(read only mode)로 파일에 접근하는 경우와 통신 단말(20) 측에서의 접근 파일에 대한 변경이 가능한 쓰기 모드(write mode)로 파일에 접근하는 경우의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되어 처리될 수 있으며, 이때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는 주체가 달라진다.In the mounting process as shown in FIG. 4, the server system 10 transmits only a file list and a directory lis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When the access is made to a specific file in the actual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server system A copy of the actual file is transmitted from the 10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at which time content conversion is performed. In the content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rite mode in which a file is accessed in a read-only mode without a change to an access file and a change to an access file 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can be made. ) Can be classified and processed in two ways when files are accessed, and the subject that performs content conversion differs.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20) 및 서버 시스템(10)에서의 컨텐츠 변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Hereinafter, content conversion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the server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content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통신 단말(20)에 디스플레이된 마운트 과정에서 수신한 파일 및 디렉토리 목록에서 특정한 파일을 선택하면, 통신 단말(20)은 서버 시스템(10)으로 해당 컨텐츠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501).As shown in FIG. 5,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file from a list of files and directories received in the mounting process displayed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server system 10. The signal requesting to transmit is transmitted (S501).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한 서버 시스템(10)은 프로토콜 구조 내의 단말 프로파일(210)을 참조하여 해당 통신 단말(20)에서 컨텐츠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02). 즉, 통신 단말(20)에서의 파일 접근 방식이 쓰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통신 단말(20)이 쓰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통신 단말(20)이 컨텐츠의 변환없이 원래의 상태대로 컨텐츠를 전송하여 줄 것을 서버 시스템(10)으로 요청할 수도 있다.The server system 10 receiving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conversion is set in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20 with reference to the terminal profile 210 in the protocol structure (S502).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le access metho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set to the write mode. In this case, even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set to the write mode,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may request the server system 10 to transmit the content as it is without changing the content.

통신 단말(20)에서 컨텐츠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서버 시스템(10)은 컨텐츠 변환 처리를 거치지 않고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의 복사본을 통신 단말(20)로 전송한다(S503).When the content conversion is set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server system 10 transmits a copy of the file stored in the storag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without undergoing content conversion processing (S503).

통신 단말(20)에서의 컨텐츠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즉 읽기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서버 시스템(10)은 마운트 과정에서 수신하여 단말 프 로파일(210)에 저장해 둔 단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변환을 수행한 후, 변환된 컨텐츠를 통신 단말로 전송한다(S504, S506). 서버 시스템(10)은 통신 단말(20)의 하드웨어 사양 정보, 통신망 관련 정보 등을 기초로 하여 통신 단말(20)에서 자원의 낭비없이 최적의 형태로 파일의 이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컨텐츠의 변환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의 경우에는 서버 시스템(10)은 통신 단말(20)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지원 색상 수에 따라서 원본 이미지를 재조정하여 전송한다. 동영상 파일의 경우에는 이미지와 마찬가지로 통신 단말(20)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지원 색상, 재생 속도, 인코딩 방식 등을 변경하여 컨텐츠를 변환한 후 통신 단말(20)로 전송한다. 동영상 파일의 전송시, 필요한 경우에 통신 단말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서 스트림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 conversion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set not to be performed, that is, in the read mode, the server system 10 is based on the terminal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in the mounting process and stored in the terminal profile 210. After the content conversion is performed, the converted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S504 and S506). The server system 10 converts content so that the file can be used in an optimal form without wasting resources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on the basis of hardware specific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related information, etc.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do.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image file, the server system 10 readjusts and transmits the original image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the number of supported colors. In the case of a video file, the content is converted and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after changing the resolution, the support color, the playback speed, the encoding method, and the like of the display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in the same manner as the image. When transmitting a video file, if necessary, it can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stream according to the hardware specific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이때, 서버 시스템(10)은 통신 단말(20)이 현재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의 대역폭 정보, 전송 비트율, 전송 에러율 정보를 기초로 하여 부호화 방식을 변경하거나 파일 자체의 용량을 변경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Bro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던 통신 단말(20)이 사용자의 위치 변경으로 인하여 CDMA 네트워크(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network)에 접속되면, 두 네트워크의 대역폭 차이를 고려하여 해당 컨텐츠의 화질 또는 음질 등을 낮추는 변환을 수행한 후 통신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10)에서 이루어진 컨텐츠 변환 관련 정보는 변환 이력(adaptation history)으로서 해당 파일과 함께 저장된다.In this case, the server system 10 may change the encoding scheme or change the capacity of the file itself based on the bandwidth information, transmission bit rate, and transmission error rat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currently connected. For example, when a communication terminal 20 connected to a WiBro network is connected to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network (CDMA network) due to a change in a user's location, the image quality or sound quality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bandwidth differences between the two networks. After performing the conversion to lower the transmiss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content conversion related information made in the server system 10 is stored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file as adaptation history.

통신 단말(20)에서의 컨텐츠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된 경우, 즉 쓰기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통신 단말(20)은 서버 시스템(10)으로부터 전송한 파일 의 복사본을 이용하여 직접 컨텐츠 변환을 수행한다(S505). 통신 단말(20)의 적응화 계층(200)은 전송받은 파일의 형태에 적합한 변환 유닛(231, 232)을 호출하여 단말 프로파일(210)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텐츠의 변환을 직접 수행한다. 통신 단말(20)에서 이루어지는 컨텐츠 변환을 위한 데이터 처리는 서버 시스템(10)에서 이루어지는 컨텐츠 변환 과정과 동일하다. 다만, 이 경우에는 서버 시스템(10)으로부터의 컨텐츠 전송이 이루어진 후의 컨텐츠 변환 과정이므로, 통신 단말(20)이 현재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 관련 정보는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content conversion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set to be performed, that is, in the write mode,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directly performs content conversion using a copy of the file transmitted from the server system 10 ( S505). The adaptation layer 200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directly converts the content based on the terminal profile 210 information by calling the conversion units 231 and 232 suitable for the type of the received file. The data processing for content conversion perform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the same as the content conversion process performed in the server system 10.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content conversion process after the content transmission from the server system 10 is made, the communication network related information to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currently connected may not be used.

통신 단말(20)에서 수행된 컨텐츠 변환 과정에서 서버 시스템(10)으로부터 전송된 파일에 대한 변경 정보는 서버 시스템(10)으로 전송되고(S507), 전송된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파일에 대한 컨텐츠 변환 처리가 수행되거나 변환 이력으로서 해당 파일과 함께 저장된다(S508).The change information on the file transmitted from the server system 10 in the content conversion process perform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system 10 (S507), and the content of the file using the transmitted change information. The conversion process is performed or stored together with the file as a conversion history (S508).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변환 결과 생성된 데이터 프레임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6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data frame generated as a result of content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버 시스템(10) 또는 특정한 하나의 통신 단말(20)에서 이루어진 컨텐츠 변환 결과 이루어진 데이터 파일의 변경을 동일한 프로토콜 구조를 갖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다른 통신 단말(20)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버 시스템(10)과 통신 단말(20)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 프레임 양식의 변경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 변환을 거친 파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프레임 형식을 갖는 구조로 생성된다.Modification of the data file resulting from the content conversion made in the server system 10 or one specific communication terminal 20 can be shared with a plurality of other communication terminals 20 having the same protocol structure and connected through a network. In order to change the format of the data frame exchanged between the server system 1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To this end, the file that has undergone content conversion is generated in a structure having a data frame format as shown in FIG. 6.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부(610)는 주소 필드와 함께 변환된 파일을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한다. 트레일러(630)는 생성된 데이터 프레임의 끝 부분으로서 서버 시스템(10) 및 통신 단말(20)에서의 오류 검사를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der portion 610 of the data frame includes application program information supporting the converted file along with the address field. The trailer 630 may include information for error checking in the server system 1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as the end of the generated data frame.

데이터 필드(620)는 파일의 내용, 형식, 그 변환 이력을 포함한다. 내용은 해당 파일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 그 자체를 말한다. 형식은 내용을 표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파일 포맷으로 표현하기 위한 구조 정보이다. 예를 들어, 문서 파일의 경우에는 DOC 타입이 형식이 되고, DOC 타입에 담겨진 글이 내용이 된다. 내용과 형식은 미리 설정되어 있지 않고, 통신 단말(20)과 변환된 파일 타입의 조합에 따른 컨텐츠 변환 결과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The data field 620 includes the contents of the file, the format, and the conversion history thereof. The content is the content that the file wants to convey itself. The format is structure information for expressing in a specific file format for expressing cont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document files, the DOC type is the format, and the text contained in the DOC type is the content. The content and format are not set in advance, and may be changed based on the content conversion resul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the converted file type.

변환 이력에는 서버 시스템(10) 또는 통신 단말(20)에서 이루어진 컨텐츠 변환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DOC 포맷의 문서가 TXT 포맷의 문서만을 지원하는 통신 단말(20)에 전송되어 컨텐츠 변환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DOC 포맷에서 TXT 포맷으로의 파일 포맷의 변경 정보가 변환 이력에 포함되어 서버 시스템(10)으로 전송된다. 서버 시스템(10)은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변환 이력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컨텐츠에 동일한 변환을 수행하여 파일의 변경을 수행한다.The conversion history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conversion made in the server system 10 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For example, when a document in DOC format is transmitted to a communication terminal 20 supporting only a document in TXT format and content conversion is performed, change information of a file format from DOC format to TXT format is included in the conversion history so as to include a server system. Is sent to (10). The server system 10 changes the file by performing the same conversion on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based on the conversion histor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fram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 단말의 특성을 반영한 컨텐츠의 자동 변환이 가능하며, 변환된 컨텐츠를 동일한 프로토콜 구조를 갖는 다양한 통신 단말들이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 conversion of content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possible, and the converted contents can be easily shared by various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the same protocol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컨텐츠 변환을 위한 별도의 계층을 구비한 프로토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상위 계층의 변경없이 최적화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opting a protocol structure having a separate layer for content conversion, optimized content can be generated in real time without changing the upper layer.

Claims (19)

컨텐츠 변환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의 프로토콜 구조에 있어서,In the protocol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device that supports content conversion,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서버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단말과의 데이터 파일의 공유를 지원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A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supporting sharing of a data file with a server system and at least one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network; 상기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통신 단말에서의 데이터 파일의 이용을 위한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는 적응화 계층; 및An adaptation layer located above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and performing content conversion for use of a data fil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적응화 계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시스템 호출을 수용하여 상기 적응화 계층으로 전달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프로토콜 구조.Located on top of the adaptation layer, the protocol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virtual file system layer that accepts and delivers system calls to the adaptation layer. 컨텐츠 변환을 지원하는 통신 단말에 있어서,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content conversion,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서버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단말과의 데이터 파일의 공유를 지원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부;A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unit supporting a protocol of a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supporting sharing of a data file with at least one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rv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상기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통신 단말에서의 데이터 파일의 이용을 위한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는 적응화 계층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적응화 계층부; 및An adaptation layer unit located above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and supporting an adaptation layer protocol for performing content conversion for use of a data fil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적응화 계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시스템 호출을 수용하여 상기 적응화 계층으로 전달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And a virtual file system layer unit located above the adaptation layer, the virtual file system layer unit supporting a protocol of a virtual file system layer that receives a system call and delivers the system call to the adaptation lay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적응화 계층부는The adaptation layer unit 상기 통신 단말의 식별자 정보, 하드웨어 정보 및 소프트웨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프로파일;A terminal profile that stores at least one of identifier information, hardware information, and softwar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데이터 파일을 상기 통신 단말에서 이용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 모듈; 및A content conversion module for converting a data file into a form usabl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단말 프로파일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컨텐츠 변환 모듈을 호출하여 데이터 파일의 변환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And a control module that calls the content conversion module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profile to control conversion of a data fil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단말 프로파일은The terminal profile is 상기 통신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의 종류, 가용 채널의 대역폭, 데이터 전송 속도, 데이터 전송 에러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는 통신 단말.A communication terminal for storing at least one information of the type of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he bandwidth of the available channel, the data transmission rate, the data transmission error rat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컨텐츠 변환 모듈은The content conversion module 상기 데이터 파일의 포맷을 기초로 하여 상기 포맷별로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And at least one conversion unit for performing content conversion for each of the formats based on the format of the data file. 분산 파일 시스템 기반의 컨텐츠 변환을 지원하는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In a server system supporting content conversion based on distributed file system,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단말과의 데이터 파일의 공유를 지원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부;A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unit supporting a protocol of a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supporting sharing of a data file with at least one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network; 상기 분산 파일 시스템 계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통신 단말에서의 데이터 파일의 이용을 위한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는 적응화 계층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적응화 계층부; 및An adaptation layer unit located above the distributed file system layer and supporting an adaptation layer protocol for performing content conversion for use of a data fil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적응화 계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시스템 호출을 수용하여 상기 적응화 계층으로 전달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 계층부를 포함하는 서버 시스템.Located on top of the adaptation layer, the server system including a virtual file system layer unit for supporting a protocol of a virtual file system layer for accepting system calls to the adaptation lay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적응화 계층부는The adaptation layer unit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해당 통신 단말의 식별자 정보, 하드웨어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 및 통신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통신 단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말 프로파일;A terminal profile for storing at least one of identifier information, hardware information, softwa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d from at least on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network for each communication terminal;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상기 통신 단말에서 이용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 모듈; 및A content conversion module for converting a data file stored in a memory unit into a form usabl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단말 프로파일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컨텐츠 변환 모듈을 호출하여 데이터 파일의 변환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시스템.And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conversion of the data file by calling the content conversion module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profil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컨텐츠 변환 모듈은The content conversion module 상기 데이터 파일의 포맷을 기초로 하여 상기 포맷별로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 유닛을 포함하는 서버 시스템.And at least one conversion unit for performing content conversion for each of the formats based on the format of the data file.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적응화 계층부는The adaptation layer unit 상기 단말 프로파일에 저장된 통신망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는 서버 시스템.A server system for performing content conversion by referr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profil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적응화 계층부는The adaptation layer unit 상기 컨텐츠 변환된 데이터 파일과 상기 데이터 파일에 대한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시스템.And a server system for storing the content-converted data file and the conversion information for the data file.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과 데이터 파일을 공유하는 서버 시스템의 컨텐츠 변환 방법에 있어서,In the content conversion method of the server system for sharing a data file with at least on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via a network, 적어도 하나의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분산 파일 시스템 기반의 마운트 포인트를 생성하는 단계;Creating a distributed file system based mount point for at least on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마운트 포인트를 통한 데이터 파일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a data file via the mount point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통신 단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통신 단말이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perform content conversion based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상기 통신 단말이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 파일에 대한 컨텐츠 변환 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I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not to perform content conversion, transmitting the content fil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the content conversion; And 상기 데이터 파일의 변환 정보를 상기 데이터 파일과 함께 저장하여 다른 통신 단말의 파일 공유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Storing the conversion information of the data file together with the data file and providing the same to a file sharing of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마운트 포인트 생성 단계는The mount point creation step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단말의 식별자 정보, 하드웨어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 및 통신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t least one of identifier information, hardware information, softwa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수신한 상기 단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통신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데이터 파일의 목록 및 해당 파일이 저장된 디렉토리의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Generating a list of data files availabl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list of directories in which the files are stored based on the received terminal information; And 상기 생성된 목록을 상기 서버 시스템 내의 하나의 디렉토리에 연결시켜 상기 통신 단말의 데이터 파일의 접근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목록과 접근 경로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Connecting the generated list to a directory in the server system to generate an access path of a data fil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list and the access path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서버 시스템은The server system 상기 데이터 파일의 전송을 요청한 상기 통신 단말의 하드웨어 정보 및 소프트웨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데이터 파일의 변환을 수행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And converting the data file on the basis of hardware information and softwar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has requested the data file transmission.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상기 서버 시스템은The server system 상기 통신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의 종류, 가용 채널의 대역폭, 데이터 전송 속도, 데이터 전송 에러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데이터 파일의 변환을 수행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And converting the data file based on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f a type of 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a bandwidth of an available channel, a data transmission rate, and a data transmission error rate.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통신 단말이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I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perform content conversion, 상기 데이터 파일의 복사본을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통신 단말에서의 컨텐츠 변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And transmitting a copy of the data fil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ovide a content conversion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서버 시스템이 상기 통신 단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데이터 파일의 컨텐츠 변환에 필요한 변환 유닛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변환 유닛을 상기 통신 단 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And extracting, by the server system, conversion unit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ent conversion of the data file based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conversion uni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상기 서버 시스템은 상기 통신 단말에서 이루어진 컨텐츠 변환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The server system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content conversion result mad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서버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단말과 데이터 파일을 공유하는 통신 단말의 컨텐츠 변환 방법에 있어서,In the content convers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sharing a data file with a server system and at least one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via a network, 상기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통신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파일의 목록 및 해당 파일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list of files availabl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ccess path information for the files from the server system; 상기 수신한 파일 접근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파일을 전송받는 단계;Receiving a data file through the received file access path; 상기 전송받은 데이터 파일에 대한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및Performing content conversion on the received data file; And 상기 데이터 파일의 변환 결과를 상기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And transmitting the conversion result of the data file to the server system.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파일의 변환을 위한 변환 유닛을 수신하여 내부의 프로토콜 구조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변환 방법.Receiving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data file from the server system and applying it to an internal protocol structure.
KR1020050078621A 2004-12-08 2005-08-26 Terminal,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tents adaptation KR1006664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88,811 US7720888B2 (en) 2004-12-08 2005-11-28 Contents conversion communication terminal, server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037 2004-12-08
KR20040103037 2004-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503A true KR20060064503A (en) 2006-06-13
KR100666400B1 KR100666400B1 (en) 2007-01-09

Family

ID=3716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621A KR100666400B1 (en) 2004-12-08 2005-08-26 Terminal,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tents adap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400B1 (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676B1 (en) * 2006-10-12 2008-03-18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Offering system of unification contents and methode thereof
KR100862359B1 (en) * 2007-06-27 2008-10-13 와이즈와이어즈(주)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conversing contents according to network status
WO2011127263A3 (en) * 2010-04-07 2012-01-26 Limelight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content objects
US8539079B2 (en) 2011-09-26 2013-09-17 Limelight Networks, Inc. Edge-based resource spin-up for cloud computing
KR20140013257A (en) * 2012-07-23 201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745239B2 (en) 2010-04-07 2014-06-03 Limelight Networks, Inc. Edge-based resource spin-up for cloud computing
CN103888527A (en) * 2014-03-13 2014-06-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Data sharing method and device
KR101485610B1 (en) * 2008-11-27 2015-01-22 주식회사 케이티 Distributed content delivery system based on network awareness and method thereof
KR101491638B1 (en) * 2012-11-15 2015-02-09 (주)씨디네트웍스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according to network type
KR101492687B1 (en) * 2012-06-29 2015-02-24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n-screen service using virtual aggregation gateway
US9069821B2 (en) 2012-04-23 2015-06-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processing files in storage system and data server using the method
US9705743B2 (en) 2014-03-13 2017-07-11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data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580B1 (en) * 2000-12-30 2006-05-0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Method and System for Direct Data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KR100439187B1 (en) * 2001-12-24 2004-07-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ing one-stop information in mobile personalized
KR100873788B1 (en) * 2002-06-27 2008-12-15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configuring a multimedia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and a method of multimedia content service using the same
KR20040012311A (en) * 2002-08-02 2004-02-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ontents Shar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by Presence Information in Wireless Network
KR100625656B1 (en) * 2003-12-29 2006-09-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Sharing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676B1 (en) * 2006-10-12 2008-03-18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Offering system of unification contents and methode thereof
KR100862359B1 (en) * 2007-06-27 2008-10-13 와이즈와이어즈(주)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conversing contents according to network status
KR101485610B1 (en) * 2008-11-27 2015-01-22 주식회사 케이티 Distributed content delivery system based on network awareness and method thereof
US8972493B2 (en) 2010-04-07 2015-03-03 Limelight Networks, Inc. Cloud delivery with reusable resource indicator
WO2011127263A3 (en) * 2010-04-07 2012-01-26 Limelight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content objects
US8745239B2 (en) 2010-04-07 2014-06-03 Limelight Networks, Inc. Edge-based resource spin-up for cloud computing
US8880587B2 (en) 2010-04-07 2014-11-04 Limelight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content objects
US8539079B2 (en) 2011-09-26 2013-09-17 Limelight Networks, Inc. Edge-based resource spin-up for cloud computing
US9069821B2 (en) 2012-04-23 2015-06-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processing files in storage system and data server using the method
KR101492687B1 (en) * 2012-06-29 2015-02-24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n-screen service using virtual aggregation gateway
KR20140013257A (en) * 2012-07-23 201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91638B1 (en) * 2012-11-15 2015-02-09 (주)씨디네트웍스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according to network type
CN103888527A (en) * 2014-03-13 2014-06-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Data sharing method and device
US9705743B2 (en) 2014-03-13 2017-07-11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data
RU2636687C2 (en) * 2014-03-13 2017-11-27 Сяоми Инк. Method and device for data sha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400B1 (en) 200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400B1 (en) Terminal,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tents adaptation
US7720888B2 (en) Contents conversion communication terminal, server system, and method
US9516456B2 (en) Virtual linking using a wireless device
US20110252088A1 (en) System for providing policy based content service in a mobile network
US8346966B1 (en) Transparent file system access for wide area network file system acceleration
US5915096A (en) Network browsing system and method
KR20050094424A (en) System and method for rendering content on multiple devices
CN103051663A (en) Proxy caching in a photosharing peer-to-peer network to improve guest image viewing performance
CN101304360A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ization of user digital terminal
EP1548614B1 (en) Storage service
US20020102965A1 (en) Wireless information exchange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1698334B (en) Network service method and system of dual reverse proxy between intranet and extranet
KR20010079176A (en)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auto syncronization program that autosyncronize Internet contents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 and method for data syncronization
JP2003141002A (en) Url length conversion system and program
US20080270512A1 (en) Virtual network projec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projection sources and method thereof
CN1656479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data
US7508786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data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ing packet data communication
US2010016180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CN114866854A (en) Video access mode dynamic allocation metho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2043924B (en) Fil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6252385A (en) Hardware resource providing system
WO2023051096A1 (en) Method for accessing resources, and electronic device
KR20040073630A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among CDNSPs
KR20020011621A (en) System for Common Ownership and Access for Storage area Using Computers Connected to the Internet
KR2017002439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server according to file system ev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