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6450A - Wake-up system using delay - Google Patents

Wake-up system using de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450A
KR20060056450A KR1020040095300A KR20040095300A KR20060056450A KR 20060056450 A KR20060056450 A KR 20060056450A KR 1020040095300 A KR1020040095300 A KR 1020040095300A KR 20040095300 A KR20040095300 A KR 20040095300A KR 20060056450 A KR20060056450 A KR 20060056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ake
delay
unit
corre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3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31882B1 (en
Inventor
권용일
박타준
김중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5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882B1/en
Publication of KR20060056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4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8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2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오토메이션, 공장자동화 등을 위한 제품에 적용되는 웨이크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ke-up system applied to products for home automation, factory automation, etc.

본 발명의 딜레이를 이용한 웨이크업 시스템는, 송신기 및 수신기에 동일한 구조의 수동 코럴레이터를 각각 적용하고, 수신기에서, 복수의 펄스신호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펄스신호의 간격으로 지연후 합성시키도록 구현함으로써,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대해 수신기가 저전력으로 응답하여 웨이크업 할 수 있다.The wake-up system using the de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pplying a passive correlator having the same structure to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nd synthesizing a wake-up signal including a plurality of pulse signals after a delay at intervals of a pulse signal at a receiver. As a result, the receiver may wake up in response to the wake-up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at low power.

무선 송수신기, 웨이크업, 코럴레이션, 매치드 SAW 필터, 타임스위치, 지연Radio Transceiver, Wake-Up, Coralation, Matched SAW Filter, Time Switch, Delay

Description

딜레이를 이용한 웨이크업 시스템{WAKE-UP SYSTEM USING DELAY}Wake-up system using delay {WAKE-UP SYSTEM USING DELAY}

도 1은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ke-up system of a conventional radio transceiv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wake-up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수동 코럴레이터의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rst and second passive correla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웨이크업 신호 파형도이다.4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wakeup signal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de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웨이크업신호 생성부 120 : 제1 수동 코럴레이터110: wake-up signal generation unit 120: first manual correlator

210 : 제2 수동 코럴레이터 220 : 타임 스위치210: second manual correlator 220: time switch

230 : 지연부 240 : AC/DC 변환부230: delay unit 240: AC / DC converter

250 : 웨이크업 스위칭부 260 : 제어부250: wake-up switching unit 260: control unit

ANT1 : 송신 안테나 ANT2 : 수신 안테나ANT1: transmitting antenna ANT2: receiving antenna

SW1 : 제1 스위치 SW2 : 제2 스위치SW1: first switch SW2: second switch

PS : 전원부 PS: Power

본 발명은 홈 오토메이션, 공장자동화 등을 위한 제품에 적용되는 웨이크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기 및 수신기에 동일한 구조의 수동 코럴레이터를 각각 적용하고, 수신기에서, 복수의 펄스신호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펄스신호의 간격으로 지연후 합성시키도록 구현함으로써,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대해 수신기가 저전력으로 응답하여 웨이크업 할 수 있는 딜레이를 이용한 웨이크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keup system applied to a product for home automation, factory automation, and the like. In particular, a wake-up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pulse signals in a receiver by applying a passive correlator having the same structure to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respective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ke-up system using a delay that enables a receiver to wake up in response to a wake-up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tter at low power by implementing the signal to be synthesized after delaying at intervals of pulse signals.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의 효용성이 증가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유선과 무선을 통합한 형태의 연결망이 구축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저속, 저가, 저전력의 무선통신 분야의 기술 규격에 대한 요구사항이 제기되고 있다.In general, as the uti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increases, various types of connection networks in which wires and wireless are integrated are being constructed, and thus, requirements for technical specifications in the field of low-speed, low-cost,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are being raised.

이러한 저전력을 구현하는 방법중의 하나는,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서 웨이크업 되는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것이다. 그런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서 웨이크업 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동작하여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와,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가 자신의 웨이크업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동작이 수행되어야 한다.One of the methods for implementing such a low power is to operate in a power saving mode in which the user wakes up with a wake-up signal in the sleep mode. However, in order to wake up by the wakeup signal, an operation for periodically checking whether the wakeup signal is received and whether the received wakeup signal is its own wakeup signal should be performed.

이와 같이, 웨이크업에 필요한 확인 동작을 위해서, 많은 능동소자 및 회로가 동작하여야 하므로 많은 전력소비가 수반되는데, 이러한 전력소비를 줄일 필요 가 있다.As described above, for the confirmation operation required for wake-up, many active elements and circuits must be operated, and thus a lot of power consumption is required, and this power consumption needs to be reduced.

이러한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중의 하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One of such wake-up systems of the wireless transceiv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ke-up system of a conventional radio transceiver.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은 수신기의 웨이크업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10)와, 상기 송신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송신 처리부(20)와, 슬립모드에서 반복적으로 대기모드로 전환되어 자신의 웨이크업 신호의 수신여부의 확인을 제어하고, 수신되는 신호가 자신의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웨이크업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40)와, 상기 수신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수신신호를 수신받아 소정의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수신 제어부(40)로 제공하는 수신 처리부(30)로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wake-up system of a wireless transceiver includes a transmission controller 10 for controlling a wake-up of a receiver, and a transmission processo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wake-up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controller 10. 20) and the reception control unit 40 which repeatedly switches from the sleep mode to the standby mode to control whether the user receives the wakeup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signal is his or her signal to control the wakeup. And a receiving processor 30 which receives the received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receiving controller 40 and performs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and provides the received signal to the receiving controller 40.

이러한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에서의 웨이크업 과정은, 송신제어부(10)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면, 상기 송신 처리부(20)가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In the conventional wake-up process in the wireless transceiver, when the transmission controller 10 controls the transmission of the wake-up signal, the transmission processor 20 generates and transmits the wake-up signal.

이때, 슬립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수신제어부(40)가 웨이크업 신호의 확인을 제어하면, 상기 수신 처리부(30)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 과정과, 복조과정을 통해서 수신된 신호가 자신의 웨이크업 신호인지를 확인하고, 자신의 웨이크업 신호이면 웨이크업되고, 자신의 웨이크업 신호가 아닐 경우에 는 다시 슬립모드로 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In this case, when the reception control unit 40 switches from the sleep mode to the standby mode and controls the confirmation of the wake-up signal,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30 is amplified and filtered and received through the demodulation process. It checks whether the signal is its own wake-up signal. If it is its wake-up signal, it wakes up, and if it is not its wake-up signal, it repeatedly performs the operation of going back to the sleep mode.

이와 같이,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은 웨이크업을 위해서, 수신신호를 복조 등의 신호처리를 하기 위해서, 믹서나 발진기 등 능동 소자 및 회로가 동작하여야 하므로, 소비전력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wake-up system of the wireless transceiver has a problem in that power consumption is high because active elements such as a mixer or an oscillator and a circuit must be operated in order to wake up the signal and perform signal processing such as demodul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송신기 및 수신기에 동일한 구조의 수동 코럴레이터를 각각 적용하고, 수신기에서, 복수의 펄스신호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펄스신호의 간격으로 지연후 합성시키도록 구현함으로써,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대해 수신기가 저전력으로 응답하여 웨이크업 할 수 있는 딜레이를 이용한 웨이크업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apply a passive correlator having the same structure to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respectively, and in a receiver, a wake-up signal including a plurality of pulse signals is divided into pulse interval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ke-up system using a delay that enables a receiver to wake up in response to a wake-up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tter at low power.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딜레이를 이용한 웨이크업 시스템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ke-up system using the delay of the present invention

송신기와 수신기로 이루어진 웨이크업 시스템에 있어서,In a wake-up system consisting of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상기 송신기는,The transmitter,

사전에 설정된 시간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펄스신호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웨이크업신호 생성부;A wake-up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wake-up signal including a plurality of pulse signals having a preset time interval;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시키는 제1 수동 코럴레이터; 및A first passive correlator for correlating and encoding the wakeup signal; And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에 의해 부호화된 송신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고,A transmission antenna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transmission signal encoded by the first passive correlator,

상기 수신기는,The receiver,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A receiving antenna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antenna;

제1 및 제2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first and second power sources;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와 구조적으로 매칭되고, 상기 수신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코럴레이션하여 복호화시키는 제2 수동 코럴레이터;A second passive correlator structurally matched with the first passive correlator and corre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receiving antenna;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에 연결된 입력단과, 복수의 출력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제1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입력단을 사전에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복수의 출력단에 사전에 설정된 순서로 순차적으로 스위칭시켜,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로부터의 신호를 출력하는 타임 스위치;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passive correlator and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receiving first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sequentially switching the input terminals to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 time switch for outputting a signal from the second passive correlator;

상기 타임 스위치의 복수의 출력단 각각으로부터의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켜 합성하는 지연부;A delay unit configured to delay and synthesize signals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f the time switch by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지연부로부터의 신호를 직류 스위칭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변환부; 및An AC / DC converter converting a signal from the delay unit into a DC switching voltage; And

상기 AC/DC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스위칭전압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제2 전원을 수신기의 웨이크업 전압으로 공급하는 웨이크업 스위칭부A wake-up switching unit which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a DC switching voltage output from the AC / DC converter, and supplies a second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a wake-up voltage of the receiver.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딜레이를 이용한 웨이크업 시스템.Wake-up system using a dela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In the drawing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wake-up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딜레이를 이용한 웨이크업 시스템은 송신기와 수신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송신기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T1)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펄스신호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SWK)를 생성하는 웨이크업신호 생성부(110)와, 상기 웨이크업 신호(SWK)를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시키는 제1 수동 코럴레이터(120)와,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20)에 의해 부호화된 송신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ANT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 wakeup system using a d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The transmitter includes a wakeup signal SWK including a plurality of pulse signals having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1. A wake-up signal generation unit 110 for generating a signal, a first passive correlator 120 for correlating and encoding the wake-up signal SWK, and transmission encoded by the first manual correlator 120. And a transmit antenna ANT1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signal.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 안테나(ANT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ANT2)와, 제1 및 제2 전원(V1,V2)을 공급하는 전원부(PS)와,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20)와 구조적으로 매칭되고, 상기 수신 안테나(ANT2)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코럴레이션하여 복호화시키는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와,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에 연결된 입력단(IN)과, 복수의 출력단(OUT1~OUTn)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PS)로부터의 제1 전원(V1)을 공급받고, 상기 입력단(IN)을 사전에 설정된 시간(T1)간격으로 복수의 출력단(OUT1~OUTn)에 사전에 설정된 순서로 순차적으로 스위칭시켜,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로부터의 신호를 출력하는 타임 스위치(220)와, 상기 타임 스위치(220)의 복수의 출력단 각각으로부터의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켜 합성하는 지연부(230)와, 상기 지연부(230)로부터의 신호를 직류 스위칭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변환부(240)와, 상기 AC/DC 변환부(24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스위칭전압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되어, 상기 전원부(PS)로부터의 제2 전원(V2)을 수신기의 웨이크업 전압으로 공급하는 웨이크업 스위칭부(250)를 포함한다.The receiver includes a receiving antenna ANT2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antenna ANT1, a power supply unit PS for supplying first and second power supplies V1 and V2, and the first passive correlator ( A second passive correlator 210 that is structurally matched to 120 and correlates and decodes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receiving antenna ANT2, and an input terminal IN connected to the second passive correlator 210; And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UT1 to OUTn, and are supplied with the first power source V1 from the power supply unit PS, and the input terminal IN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UT1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1. Time switch 220 to sequentially switch in the order set in advance in the " OUTn " to output a signal from the second manual correlator 210, and a signal from each of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f the time switch 220. Delay unit 230 for delaying and synthesizing by a predetermined time and AC / DC converter 240 for converting the signal from the delay unit 230 to a DC switching voltage, and on / off switching in accordance with the DC switching voltage output from the AC / DC converter 240, It includes a wake-up switching unit 250 for supplying a second power supply (V2) from the power supply unit PS to the wake-up voltage of the receiver.

또한, 본 발명의 웨이크업 시스템의 수신기는 상기 웨이크업 스위칭부(250)를 통해 웨이크업 전압이 공급되면, 제1 및 제2 스위칭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260)와, 상기 제어부(260)로부터의 제1 스위칭 신호(SS1)에 따라, 상기 전원부(PS)에서 상기 타임 스위치(220)로 공급되는 제1 전원(V1)을 오프시키는 제1 스위치(SW1)와, 상기 수신 안테나(ANT2)와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를 항시 연결하고, 상기 제어부(260)부터의 제2 스위칭 신호(SW2)에 따라 상기 수신 안테나(ANT2)와 수신신호처리부(270)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SW2)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ceiver of the wake-up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ke-up voltage is supplied through the wake-up switching unit 250, the control unit 260 for supplying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260 According to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of the first switch (SW1) for turning off the first power supply (V1)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PS) to the time switch 220, and the receiving antenna (ANT2) and A second switch connecting the second passive correlator 210 at all times and connecting the receiving antenna ANT2 and the receiving signal processor 270 according to the second switching signal SW2 from the controller 260. SW2) is further included.

상기 웨이크업신호 생성부(110)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발생부(111)와, 상기 신호발생부(111)로부터의 신호를 송신에 필요한 전력으로 증폭하 는 전력증폭기(112)를 포함한다.The wakeup signal generator 110 may include a signal generator 111 that generates the wakeup signal, and a power amplifier 112 that amplifies a signal from the signal generator 111 into power required for transmission. Include.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수동 코럴레이터의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rst and second passive correla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수동 코럴레이터(120,210)는 서로 구조적으로 매칭되는 동일한 구조의 매치드 SAW 필터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매치드 SAW 필터는, 압전기판상에 형성되는 매치드 SAW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매치드 SAW 필터는 입력신호(Sin)를 SAW로 변환하는 SAW 입력 전극부(321)와, 상기 SAW 입력 전극부(321)로부터의 SAW신호를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 또는 복호화시키는 부호화/복호화 전극부(322)와, 상기 전극부(322)로부터의 SAW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신호(Sout)를 제공하는 SAW 출력 전극부(32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and second passive correlators 120 and 210 are formed of matched SAW filters having the same structure that are structurally matched with each other. Such matched SAW filters are matched SAWs formed on piezoelectric plates. The matched SAW filter includes a SAW input electrode unit 321 for converting an input signal Sin to SAW, and a SAW signal from the SAW input electrode unit 321 to correlate and encode or decode the SAW input electrode unit 321. An encoding / decoding electrode unit 322 and a SAW output electrode unit 323 for converting the SAW signal from the electrode unit 322 into an electrical signal to provide an output signal Sout.

여기서, 상기 전극부(322)는 압전기판상에 소정의 도전성 선형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1 전극(322A)과, 상기 제1 전극(322A)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전극(322A)과 나란하게 소정의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2 전극(322B)과, 상기 제1 전극(322A)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322B)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전극지(f1)와, 상기 제2 전극(322B)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322A) 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 전극지(f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지(f1,f2)가 서로 맞물린 빗살구조로 이루어지며, 각 제1 전극지(f1)와 이에 대응되는 제2 전극지(f2)가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부호화/복호화 전극(ce11~ce14)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electrode portion 322 is parallel to the first electrode 322A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electrode 322A and the first electrode 322A formed of a predetermined conductive linear pattern on the piezoelectric plate. A second electrode 322B formed of a predetermined conductive pattern,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fingers f1 formed of a conductive pattern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322A and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322B,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fingers f2 connected to a second electrode 322B and formed of a conductive pattern formed in a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322A,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fingers f1 and f2 It is composed of a comb-tooth structure meshed with each other, each of the first electrode finger f1 and the second electrode finger f2 corresponding thereto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irs of encoding / decoding electrodes (ce11 ~ ce14).

또한, 상기 지연부(230)는 상기 타임 스위치(220)의 복수의 출력단(OUT1~OUTn)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타임 스위치(220)로부터의 각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시간(T1)의 정수배 만큼 각각 지연시키는 복수의 신호지연부(SD1~SDn)와, 상기 복수의 신호지연부(SD1~SDn)로부터의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AC/DC 변환부(240)로 출력하는 합성부(Σ)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지연부(SD1~SDn)는 상기 타임 스위치(220)의 출력단(OUT1~OUTn)과 입력단(IN)과의 스위칭온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연시간이 짧아지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delay unit 23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UT1 to OUTn of the time switch 220, and each signal from the time switch 220 is an integer multiple of a predetermined time T1. A plurality of signal delay units SD1 to SDn for delaying each, and a combining unit Σ for synthesizing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signal delay units SD1 to SDn and outputting them to the AC / DC converter 240.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ignal delay units SD1 to SDn are configured to shorten the delay time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switching-on order of the output terminals OUT1 to OUTn and the input terminal IN of the time switch 22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웨이크업 신호 파형도이다.4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wakeup signal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de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SWK는 웨이크업 신호로서, 이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간격을 갖는 복수의 펄스신호를 포함한다. 그리고, SSD1,SSD2 및 SSD3은 3개의 제1 내지 제3 신호지연부(SD1~SD3)에 의한 펄스신호의 각 지연을 상태를 보이고 있다.In Fig. 4, SWK is a wakeup signal,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pulse signals having a preset time interval. The SSD1, SSD2, and SSD3 show respective delays of the pulse signals by the three first to third signal delay units SD1 to SD3.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이크업 시스템에서, 먼저, 송신기의 웨이크업신호 생성부(110)에서는 웨이크업 신호(SWK)를 생성하는데, 이때, 상기 웨이크업신호 생성부(110)에서 생성되는 웨이크업 신호(SWK)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을 갖는 복수의 펄스를 갖는 펄스이다.Referring to FIG. 2, in the wakeup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wakeup signal generator 110 of a transmitter generates a wakeup signal SWK, which is generated by the wakeup signal generator 110. The wakeup signal SWK is a pulse having a plurality of pulses having a preset time.

구체적으로는, 상기 웨이크업신호 생성부(110)의 신호 발생부(111)가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고, 이 웨이크업 신호는 전력증폭기(112)에 의해서 송신에 필요한 전력으로 증폭된다.Specifically, the signal generator 111 of the wakeup signal generator 110 generates a wakeup signal, and the wakeup signal is amplified by the power amplifier 112 to power necessary for transmission.

그 다음,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수동 코럴레이터(120)에서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SWK)를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시키고, 이 부호화된 송신신호(STX)는 송신 안테나(ANT1)를 통해서 무선 송신된다. Next, referring to FIGS. 2 and 3, in the first passive correlato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ke-up signal SWK is correlated and encoded, and the encoded transmission signal STX is a transmission antenna ( Wireless transmission via ANT1).

여기서,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20)에서 웨이크업신호가 부호화되므로, 이와 동일한 구조의 코럴레이터가 수신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수신기에서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게 된다.Here, since the wakeup signal is encoded by the first passive correlator 120, when the correlator having the same structure is applied to the receiver, the receiver can decode the wakeup signal.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2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매치드 SAW 필터로 이루어는 경우, 상기 웨이크업신호 생성부(110)로부터의 웨이크업신호(SWK)는 SAW 입력 전극부(321)에 의해 SAW신호로 변환되고, 이어서, 전극부(322)는 상기 SAW 입력 전극부(321)로부터의 SAW신호를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시킨다. 이후, 상기 부호화/복호화 전극부(322)로부터의 SAW 신호는 SAW 출력 전극부(323)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송신 안테나(ANT1)로 출력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first passive correlator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hen the first passive correlator 120 includes a matched SAW filter as shown in FIG. 3, The wakeup signal SWK from the wakeup signal generating unit 110 is converted into a SAW signal by the SAW input electrode unit 321, and then the electrode unit 322 is separated from the SAW input electrode unit 321. SAW signals are correlated and encoded. Thereafter, the SAW signal from the encoding / decoding electrode unit 322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the SAW output electrode unit 323 and output to the transmission antenna ANT1.

여기서,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320)의 부호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수동 코럴레이터(120)에 의해서 입력되는 신호를 매치드 SAW 필터의 복수의 전극쌍(CE11~CE14)에 따라 부호화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지(f1) 다음에 제2 전극지(f2)가 배치되는 경우를 "1"이라고 하고, 그 반대의 배치를 "0"라고 하면, 도 3의 부호화/복호화 전극부(322)는 "0,1,0,0"으로 부호화를 수행한다.Herein, the encoding process of the first passive correlator 320 will be described. A plurality of electrode pairs CE11 to CE14 of the SAW filter matched with the signal input by the first passive correlato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ncoded according to. For example, a case where the second electrode finger f2 is disposed after the first electrode finger f1 is referred to as "1", and the opposite arrangement is referred to as "0", where the encoding / decoding electrode of FIG. The unit 322 performs encoding with "0,1,0,0".

이와 같이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웨이크업 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process in which the receiver, which receives the wakeup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wakes up.

도 2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수신 안테나(ANT2)를 통해 상기 송신 안테나(ANT1)에서 송신된 신호가 수신되고, 이때, 본 발명의 제2 코럴레이터(210)는 상기 수신 안테나(ANT2)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코럴레이션하여 복호화시킨다.2 and 4,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antenna ANT1 is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antenna ANT2, and at this time, the second correlator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eived from the receiving antenna ANT2. Correlate and decode the received signal.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20)와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가 구조적으로 매칭된 동일한 구조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는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20)에 의해 부호화된 신호를 정상적으로 복호화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passive correlator 120 and the second passive correlator 210 have the same structurally matched structure, the second manual correlator 210 may be configured as the first passive correlator ( The signal encoded by 120 may be normally decode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서,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SAW 입력 전극부(321)에 의해 SAW신호로 변환되고, 계속해서, 부호화/복호화 전극부(322)는 상기 SAW 입력 전극부(321)로부터의 SAW신호를, 상기 부호화/복호화 전극 부(322)의 코럴레이션과 동일한 코럴레이션을 수행하여 복호화시킨다. 이후, 상기 부호화/복호화 전극부(322)로부터의 SAW 신호는 SAW 출력 전극부(323)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2 and 3, the second manual correlator 2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 3, the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manual correlator 210 is a SAW input electrode unit 321. The SAW signal is converted into an SAW signal, and then the encoding / decoding electrode unit 322 correlates the SAW signal from the SAW input electrode unit 321 with the same correlation as that of the encoding / decoding electrode unit 322. Decode by running Thereafter, the SAW signal from the encoding / decoding electrode unit 322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the SAW output electrode unit 323.

여기서,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의 복호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가 입력되는 신호를 매치드 SAW 필터의 복수의 전극쌍(CE11~CE14)에 따라 복호화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지(f1) 다음에 제2 전극지(f2)가 배치되는 경우를 "1"이라고 하고, 그 반대의 배치를 "0"라고 하면, 도 4의 복호화 전극부(222)는 "0,1,0,0"으로 복호화를 수행하고, 이는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20)에서의 부호화에 매칭된다.Here, the decoding process of the second passive correlator 210 will be described. The signal input by the second passive correlator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put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irs CE11 to CE14 of the matched SAW filter. For example, when the second electrode finger f2 is disposed after the first electrode finger f1, the first electrode finger f1 is referred to as "1", and the opposite arrangement is referred to as "0". The decoding electrode unit 222 performs decoding with "0,1,0,0", which matches the encoding in the first passive correlator 120.

그 다음, 본 발명의 타임 스위치(220)는, 상기 전원부(PS)로부터의 제1 전원(V1)을 공급받고,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에 연결된 입력단(IN)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복수의 출력단(OUT1~OUTn)중의 하나로 출력하는데, 여기서, 상기 타임 스위치(220)는 상기 입력단(IN)을 복수의 출력단(OUT1~OUTn)중 하나에 순차적으로 스위칭시켜 연결하고, 이때, 스위칭 시간은 사전에 설정된 시간(T1)간격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펄스신호의 시간간격과 동일하다. Next, the time switch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first power source V1 from the power supply unit PS and is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 connected to the second manual correlator 210. , And outputs to one of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UT1 to OUTn, wherein the time switch 220 sequentially switches the input terminal IN to one of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UT1 to OUTn, and at this time, The switching time is a preset time T1 interval, which is equal to the time interval of the pulse signal included in the wakeup signal.

이에 따라, 상기 타임스위치(220)는 상기 입력단(IN)을 통해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로부터의 신호를 복수의 출력단으로 출력단을 상기 시간간격으로 바꿔가면서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타임 스위치(220)는 상기 입력단(IN)을 출 력단 OUT1, OUT2, OUT3,..,OUTn-1 및 OUTn으로 사전에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스위칭하며, 여기서, 사전에 설정된 시간은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펄스신호의 간격과 동일하다.Accordingly, the time switch 220 outputs the signal from the second manual correlator 210 to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while changing the output terminal at the time interval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 For example, the time switch 220 sequentially switches the input terminal I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o the output terminals OUT1, OUT2, OUT3, .., OUTn-1, and OUTn, where a predetermined time is set. Is equal to the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pulse signals included in the wake-up signal.

그 다음, 본 발명의 지연부(230)는 상기 타임 스위치(220)의 복수의 출력단 각각으로부터의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켜 합성하는데, 즉, 상기 지연부(230)의 복수의 신호지연부(SD1~SDn)는 상기 타임 스위치(220)의 복수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타임 스위치(220)로부터의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시간(T1)의 정수배 만큼 각각 지연시키고, 이후, 상기 지연부(230)의 합성부(Σ)는 상기 복수의 신호지연부(SD1~SDn)로부터의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AC/DC 변환부(240)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시간(T1)의 정수배라는 것은 펄스신호의 시간간격인 T1의 1배시간(T1), T1의 2배시간(T2) 및 T1의 3배시간(T3) 등에 해당된다.Next, the delay unit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delays and synthesizes the signals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f the time switch 220 by a predetermined time, that is, the plurality of signal delays of the delay unit 230. The units SD1 to SDn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f the time switch 220, respectively, to delay the signal from the time switch 220 by an integer multiple of a preset time T1, and thereafter, the delay. The synthesizing unit Σ of the unit 230 synthesizes the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signal delay units SD1 to SDn and outputs the synthesized signals to the AC / DC converter 240. Here, the integer multiple of the time T1 corresponds to one time T1 of T1, two times T2 of T1, three times T3 of T1, and so on, which is the time interval of the pulse signal.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복수의 신호지연부(SD1~SDn)는 단계적으로 지연시간이 짧아지도록 이루어지는데, 상기 지연부(230)가 3개의 제1 내지 제3 신호지연부(SD1~SD3)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신호지연부(SD1)는 상기 펄스신호의 시간간격(T1)의 3배 시간(T3)만큼 딜레이하고, 제2 신호지연부(SD2)는 상기 펄스신호의 시간간격(T1)의 2배 시간(T2)만큼 딜레이하고, 제3 신호지연부(SD3)는 상기 펄스신호의 시간간격(T1)의 1배 시간(T1)만큼 딜레이한다.In detail, referring to FIG. 4, the plurality of signal delay units SD1 to SDn are configured to shorten a delay time step by step, and the delay unit 230 includes three first to third signals. When the delay units SD1 to SD3 are included, the first signal delay unit SD1 delays by three times the time T3 of the time interval T1 of the pulse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delay unit SD2 The second signal delay unit SD3 delays by one time T1 of the time interval T1 of the pulse signal, and the third signal delay unit SD3 delays by one time T1 of the time interval T1 of the pulse signal.

이와 같이, 각 신호지연부의 딜레이에 의해서 펄스신호는 동일한 시점에서 위상 동기되어 출력되므로, 이러한 신호들이 상기 합성부(Σ)에서 합성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기가 큰 신호가 출력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ulse signal is output in phase synchronization at the same time point by the delay of each signal delay unit, when these signals are synthesized by the combining unit Σ, a large signal is output as shown in FIG.

그 다음, 본 발명의 AC/DC 변환부(300)는, 상기 지연부(230)로부터의 신호를 직류 스위칭 전압(VSW)으로 변환하는데, 여기서, 직류 스위칭 전압(VSW)은 스위칭에 필요한 충분한 크기의 전압이 된다.Next, the AC / DC convert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signal from the delay unit 230 into a DC switching voltage VSW, where the DC switching voltage VSW is a sufficient magnitude necessary for switching. Becomes the voltage of.

그 다음, 상기 웨이크업 스위칭부(250)는 상기 AC/DC 변환부(24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스위칭전압(VSW)에 따라 스위칭온되어 상기 전원부(PS)로부터의 제2 전원(V2)을 수신기의 웨이크전압으로 출력한다.Next, the wake-up switching unit 250 is switched on according to the DC switching voltage VSW output from the AC / DC converter 240 to receive the second power supply V2 from the power supply unit PS. Output at the wake voltage of.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웨이크업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부호화 과정에 매칭되어 수신기의 복호화가 수행되고, 이러한 복호화된 신호가 타임스위치 및 지연부에 의해서 동일한 위상의 복수의 펄스신호를 합성시켜, 본 발명의 지연부(23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웨이크업을 위한 스위칭에 필요한 큰 신호로 출력되고, 이 큰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직류 스위칭 전압(VSW)으로 변환되어, 상기 스위칭부를 온시켜 수신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수신기가 웨이크업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wake-up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coding of the receiver is performed by matching the encoding process of the transmitter, and the decoded signal synthesizes a plurality of pulse signals of the same phase by a time switch and a delay unit, The signal output from the delay unit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utput as a large signal necessary for switching for wake-up, and this large signal is converted into a DC switching voltage (VSW) as described above to turn on the switching unit. The receiver wakes up by powering up the recei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의 제어부(260)는 상기 웨이크업 스위칭부(250)를 통해 제2 전원(V2)이 웨이크업전압으로 공급되면 제1 및 제2 스위칭 신호 (SS1,SS2)를 제1 및 제2 스위치(SW1,SW2)로 각각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SW1)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SS1)에 따라 상기 전원부(PS)에서 상기 타임지연부(220)로 공급되는 제1 전원(V1)을 오프시켜 상기 타임스위치(22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60 of th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signals SS1 and SS2 when the second power supply V2 is supplied to the wakeup voltage through the wakeup switching unit 250. Supply to the 1st and 2nd switches SW1 and SW2,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first switch SW1 turns off the first power V1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PS to the time delay unit 220 according to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to turn off the time switch 220. ) Is stopped.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스위치(SW2)는 상기 수신 안테나(ANT2)와 상기 타임스위치(220)가 항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상기 제어부(260)로부터의 제2 스위칭 신호(SS2)에 따라 상기 수신 안테나(ANT2)와 수신신호처리부(270)와의 연결상태로 스위칭시켜, 이후, 상기 수신 안테나(ANT2)로부터의 신호가 수신신호처리부(270)로 입력되어 수신처리가 이루어진다.At the same time, the second switch SW2 receives the state in which the reception antenna ANT2 and the time switch 220 are always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econd switching signal SS2 from the controller 260. After switching to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antenna ANT2 and the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270, a signal from the reception antenna ANT2 is input to the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270 to perform reception processing.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송수신기에 각각 매칭된 코럴레이터를 적용하고, 지연을 통해 복수의 펄스신호의 위상을 동일하게 하여 크기가 큰 신호를 제공하여 웨이크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웨이크업을 위한 소비전력을 낮출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pply a correlator matched to each transceiver, and to wake up by providing a signal having a large size by equalizing the phase of the plurality of pulse signals through the delay, The power consumption for the up can be lower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홈 오토메이션, 공장자동화 등을 위한 제품에 적용되는 웨이크업 시스템에서, 송신기 및 수신기에 동일한 구조의 수동 코럴레이터를 각각 적용하고, 수신기에서, 복수의 펄스신호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 호를 펄스신호의 간격으로 지연후 합성시키도록 구현함으로써,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대해 수신기가 저전력으로 응답하여 웨이크업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wake-up system applied to products for home automation, factory automation, etc., each of the passive correlator having the same structure is applied to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nd the receiver includes a plurality of pulse signals. By implementing the wake-up signal to be synthesized after the delay at intervals of the pulse signal, the receiver can wake up in response to the wake-up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at low power.

Claims (6)

송신기와 수신기로 이루어진 웨이크업 시스템에 있어서,In a wake-up system consisting of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상기 송신기는,The transmitter, 사전에 설정된 시간(T1)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펄스신호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SWK)를 생성하는 웨이크업신호 생성부(110);A wake-up signal generator 110 for generating a wake-up signal SWK including a plurality of pulse signals having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1; 상기 웨이크업 신호(SWK)를 코럴레이션하여 부호화시키는 제1 수동 코럴레이터(120); 및A first passive correlator (120) for correlating and encoding the wakeup signal (SWK); And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20)에 의해 부호화된 송신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ANT1)를 포함하고,A transmission antenna ANT1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transmission signal encoded by the first passive correlator 120, 상기 수신기는,The receiver, 상기 송신 안테나(ANT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ANT2);A receiving antenna (ANT2)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antenna (ANT1); 제1 및 제2 전원(V1,V2)을 공급하는 전원부(PS);A power supply unit PS supplying first and second power supplies V1 and V2;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120)와 구조적으로 매칭되고, 상기 수신 안테나(ANT2)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코럴레이션하여 복호화시키는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A second passive correlator 210 structurally matched with the first passive correlator 120 and corre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receiving antenna ANT2;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에 연결된 입력단(IN)과, 복수의 출력단(OUT1~OUTn)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PS)로부터의 제1 전원(V1)을 공급받고, 상기 입력단(IN)을 사전에 설정된 시간(T1)간격으로 복수의 출력단(OUT1~OUTn)에 사전에 설정된 순서로 순차적으로 스위칭시켜,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로부터의 신 호를 출력하는 타임 스위치(220);An input terminal IN connected to the second passive correlator 210 and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UT1 to OUTn, and receive a first power V1 from the power supply unit PS, and receive the input terminal IN. ) Is sequentially switched to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UT1 ~ OUTn) in a predetermined order at intervals of a predetermined time (T1), the time switch 220 for outputting the signal from the second manual correlator 210 ); 상기 타임 스위치(220)의 복수의 출력단 각각으로부터의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켜 합성하는 지연부(230);A delay unit 230 for delaying and synthesizing signals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f the time switch 220 by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지연부(230)로부터의 신호를 직류 스위칭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변환부(240); 및An AC / DC converter 240 for converting a signal from the delay unit 230 into a DC switching voltage; And 상기 AC/DC 변환부(24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스위칭전압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되어, 상기 전원부(PS)로부터의 제2 전원(V2)을 수신기의 웨이크업 전압으로 공급하는 웨이크업 스위칭부(250)A wake-up switching unit which is switched on / off according to a DC switching voltage output from the AC / DC converter 240 to supply a second power supply V2 from the power supply unit PS to a wakeup voltage of a receiver. 250)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딜레이를 이용한 웨이크업 시스템.Wake-up system using a dela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시스템의 수신기는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receiver of the wake up system is 상기 웨이크업 스위칭부(250)를 통해 웨이크업 전압이 공급되면, 제1 및 제2 스위칭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260);A controller 260 for supplying first and second switching signals when a wake-up voltage is supplied through the wake-up switching unit 250; 상기 제어부(260)로부터의 제1 스위칭 신호(SS1)에 따라, 상기 전원부(PS)에서 상기 타임 스위치(220)로 공급되는 제1 전원(V1)을 오프시키는 제1 스위치(SW1); 및A first switch (SW1) for turning off the first power (V1)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PS) to the time switch (220) according to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from the controller (260); And 상기 수신 안테나(ANT2)와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210)를 항시 연결하고, 상기 제어부(260)부터의 제2 스위칭 신호(SW2)에 따라 상기 수신 안테나(ANT2)와 수신신호처리부(270)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SW2)The receiving antenna ANT2 and the second passive correlator 210 are always connected, and the receiving antenna ANT2 and the receiving signal processor 270 according to the second switching signal SW2 from the controller 260. Second switch (SW2) connecting th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딜레이를 이용한 웨이크업 시스템.Wake-up system using a dela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신호 생성부(110)는 The wakeup signal generating unit 110 of claim 1,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발생부(111); 및A signal generator 111 generating the wakeup signal; And 상기 신호발생부(111)로부터의 신호를 송신에 필요한 전력으로 증폭하는 전력증폭기(112)Power amplifier 112 for amplifying the signal from the signal generator 111 to the power required for transmissio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딜레이를 이용한 웨이크업 시스템.Wake-up system using a dela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manual correlator is 매치드 SAW 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딜레이를 이용한 웨이크업 시스템.Wake-up system using a dela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atched SAW fil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동 코럴레이터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manual correlator is 상기 제1 수동 코럴레이터와 구조적으로 매칭되는 매치드 SAW 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딜레이를 이용한 웨이크업 시스템.And a matched SAW filter structurally matched with the first passive correl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23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lay unit 230 상기 타임 스위치(220)의 복수의 출력단(OUT1~OUTn)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타임 스위치(220)로부터의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시간(T1)의 정수배 만큼 각각 지연시키는 복수의 신호지연부(SD1~SDn); 및A plurality of signal delay units SD1 connected to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UT1 to OUTn of the time switch 220 and respectively delaying a signal from the time switch 220 by an integer multiple of a preset time T1. ~ SDn); And 상기 복수의 신호지연부(SD1~SDn)로부터의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AC/DC 변환부(240)로 출력하는 합성부(Σ)를 포함하고,A synthesizer Σ for synthesizing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signal delay units SD1 to SDn and outputting the synthesized signal to the AC / DC converter 240; 상기 복수의 신호지연부(SD1~SDn)는 상기 타임 스위치(220)의 출력단(OUT1~OUTn)과 입력단(IN)과의 스위칭온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연시간이 짧아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딜레이를 이용한 웨이크업 시스템.The plurality of signal delay units SD1 to SDn may be configured so that delay times are sequentially shortened according to the switching-on order of the output terminals OUT1 to OUTn and the input terminal IN of the time switch 220. Wake-up system.
KR1020040095300A 2004-11-19 2004-11-19 Wake-Up System with Delay KR1006318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300A KR100631882B1 (en) 2004-11-19 2004-11-19 Wake-Up System with De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300A KR100631882B1 (en) 2004-11-19 2004-11-19 Wake-Up System with De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450A true KR20060056450A (en) 2006-05-24
KR100631882B1 KR100631882B1 (en) 2006-10-09

Family

ID=3715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300A KR100631882B1 (en) 2004-11-19 2004-11-19 Wake-Up System with De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8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6214A (en) * 2018-12-21 2020-06-30 杭州登虹科技有限公司 Low-power-consumption wireless visual doorbell sleep time difference awakening optimization sche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6214A (en) * 2018-12-21 2020-06-30 杭州登虹科技有限公司 Low-power-consumption wireless visual doorbell sleep time difference awakening optimization scheme
CN111356214B (en) * 2018-12-21 2023-08-04 杭州登虹科技有限公司 Low-power consumption wireless visible doorbell sleep time difference awakening optimiz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1882B1 (en)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576B1 (en) Energy-saving receiver assembly for the wireless reception of data
CN1817067B (en) Interface for lamp operating units with low standby losses
US20060101298A1 (en) Wake-up system using oscillation
WO2014166204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HK10578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mmunication/communication suppression mod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WI533604B (en) Transmitter and monitor system employing same
US7324800B2 (en) Wake-up system with passive correlators
CN102484853A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O2002033844A3 (en) Communications systems
TW200513835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0631882B1 (en) Wake-Up System with Delay
JP2006229558A (en) Active radio tag and its driving method
WO2005006675A3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8448877A (en) A kind of communication means of Switching Power Supply and its secondary side to primary side
JP2015228665A (en) Remote control power units
JP2007104325A (en) Non-contact communication device
KR100616633B1 (en) Wake-up system using correlation
KR100587007B1 (en) Wake-up system of wireless transceiver
KR20050113646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a umts/gsm/edge combined radio station
KR101304301B1 (en) Wireless broadcasting receiver by low power
JP3135030U (en) Linked power supply device
CN102550115A (en) Wireless device, wireless apparatus using same, and wireless system
JP2005502229A5 (en)
KR100638656B1 (en) Wake-up apparatus of non return to zero type
KR100435557B1 (en) Method for supplying power of an rf-module, particularly concerned with controlling a power supply of the rf-module by using an ld signal of a pll and a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