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6263A - 잠금수단을 갖는 이동패널을 이용한 개구부 폐쇄장치 및이를 포함한 자동차 - Google Patents

잠금수단을 갖는 이동패널을 이용한 개구부 폐쇄장치 및이를 포함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263A
KR20060056263A KR1020050111067A KR20050111067A KR20060056263A KR 20060056263 A KR20060056263 A KR 20060056263A KR 1020050111067 A KR1020050111067 A KR 1020050111067A KR 20050111067 A KR20050111067 A KR 20050111067A KR 20060056263 A KR20060056263 A KR 20060056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lane
bolt
support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카엘 컨텐트
니콜라스 데스토우치스
Original Assignee
와곤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곤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와곤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06005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9/00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J1/00 - B60J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 E05D15/1047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 E05D2015/1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transversely orientated track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4Actuation thereof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05Y2201/412Function thereof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고정어셈블리(1)및 그 고정어셈블리(1)에 고착된 최소하나의 지지 및/또는 가이드요소(11)에 탑재된 최소 하나의 이동 패널(2)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패널(2)는 상기 고정어셈블리(1)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 2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1 활주 평면내에서 활주가능하며, 상기 고정 어셈블리(1)내에 제공된 개구부를 폐쇄하거나 릴리이스 할 수 있으며, 폐쇄위치에서 그자신 상기 제 2 평면내에 있는, 자동차의 차체에 제공된 개구부를 폐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패널(2)가 상기 지지 및/또는 가이드 요소(11)중 하나에 형성된 키피(111)와 맞물리는 볼트(21)을 포함하는 잠금수단을 가지며, 상기 키피(111)은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위치에서 해재위치로 이동이 상기 이동패널(2)의 상기 제 2 평면에서 상기 제 1 평면으로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수반하도록 최소하나의 램프(ramp)(111a) (111b)를 가짐을 특징으로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개구부폐쇄장치, 고정어셈블리, 이동패널

Description

잠금수단을 갖는 이동패널을 이용한 개구부 폐쇄장치 및 이를 포함한 자동차{DEVICE FOR CLOSING AN APERTURE USING A MOBILE PANEL, WITH LOCKING MEANS PARTICIPATING IN THE DISPLACEMENT OF THE PANEL, AND RELATED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폐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폐쇄장치의 이동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잠금장치 및 이에 결합되는 작동수단의 작용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폐쇄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폐쇄장치에 합치되는 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폐쇄장치에 합치되는 핸들의 일특정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폐쇄장치에 합치되는 가이드레일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폐쇄장치에 합치되는 보상가이드 슈의 개략도이다.
도 10내지 12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폐쇄장치에 합치되는 밀폐구의 변형 실시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폐쇄장치에 합치되는 포스트의 일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내의 개구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자동차 차체내에 제공된 개구부를 폐쇄시키는 장치로서 이들 장치에 제공된 개구부를 릴리이스하거나 닫을수 있는 이동 활주부를 갖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터카 다용도자동차, 로리, 버스 또는 레일웨이 캐리지 같은 자동차에서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하여는 창문을 부가하고 연결 프레임으로 제자리에 고정시킨다.
연결프레임은 내부부품과 외부부품을 가지며, 이들은 유리 및 차량본체에 제공된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밀폐트림으로 동시에 파지하게 되어 있다.
유리창을 개폐시키는 가장 보편적인 기술은 측면도어의 격실 또는 케이싱으로 침투해 들어가거나 이로부터 돌출되게 함으로써 그 자신의 평면내에서 수직으로 이동시키게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기술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즉, 작동 및 구동수단이 무겁고 복잡할뿐 아니라 조립하기가 성가신것이다. 그결과 도어는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되고 그결과 자동차내부의 활용 공간이 손해를 보게된다.(특히 운신하기에)
더욱이 제조단가가 높으며 밀폐에 관련한 문제도 야기되는 것이다.
보수유지 또한 복잡한 것이다.
덧붙여서 미학 및 인간공학적인 측면에서도 제약이 따르게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다음 기술이 제안된 적이 있었다.(EP-0778 168 및 EP-0 857 844 참조).
상기 발명에 제안된 폐쇄장치(이하, "플러쉬(Flush)" 개구부라 한다.)는 고정어셈블리와 이 고정 어셈블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이동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품은 필요한 이동성을 제공하고 자동차의 내부와 대향하는 고정부의 표면에 부가되는 기능요소로서 상기 고정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있다.
이같은 종류의 "플러쉬" 개구부는 자동차와 독립적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자동차 본체에 있는 하우징에 부가될 수 있다.
또한 특히 EP 1 022 172 에 기술된 발명에 따라 예를들어 도어의 하부에 접 착시킴으로써 고정될 수 도 있다.
이에따라 앞서 기술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의 대부분이 해소될수 있는 것이다.
미학적으로 말해서 상기 "플러쉬"개구부는 외측에서 볼때 프레임이 필요없는 차체와 동일 수준의 스무드한 외관을 갖는다.
상기 이동부는 예를들어 틸팅(tilting)이나 슬라이딩( sliding)으로 이동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이하 후자의 경우(즉, 슬라이딩, 활주)에 대하여 기술한다.
투명패널로 구성되는 이동부를 활주시키기 위하여, 기능수단은 이동패널에 의해 폐쇄되는 개구부의 어느측면에, 개구부의 고정어셈블리에 고정탑재된 제 1 및 제 2 가이드레일을 포함한 가이드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패널은 그 레일상에 탑재되어 하나(또는 그이상)의 개구위치와 개구부에 반대되고 이로부터 이탈(연결차단)되는 중간 연결차단 위치사이의 활주 평면내에서 길이방향으로 활주(슬라이딩)한다.
특정기술에 의하면, 관절수단이 상기 패널과 가이드레일을 이어주며 이에 따 라 개구부와 대향하고 그 개구부로부터 횡적으로 되돌리는 그 중간 이탈위치와
상기 개구부에 장확히 합치되어 있는 폐쇄(닫힘) 위치 사이에서
상기 패널의 횡적으로 변위 될 수 있게 한다.
이같은 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패널이 상기 고정어셈블리에의해 형성된 평면으로부터(폐쇄위치) 본질적으로 평행한 활주 평면으로, 그리고 그 역의 방향으로 이동 될 수 있는 것이다.
이같은 주 방향 변위의 이동해체 및 정확한 횡방향 합치는 특히 폐쇄를 견고히하면서 패널이 자동차에 따라(즉 측면에 평행하게) 열수있게하고 패널이 개구부에 정확히 합치된다는 잇점이 있다.
택킹운동(tacking movement) 형태의 2가지 운동을 결합시키는 제안이 있었으며, 이에 따르면 이동부의 운동 끝에 그 이동부의 끝가장자리가 개구부의 평면내에 있게된다(그후 이동부는 폐쇄(잠금)평면과 활주 평면사이에서 "교차(crosswise)"하게된다).
그후 행해지는것 모두는 보다 견고한 폐쇄를 위해 수동으로 그 인접단을 되돌리는 것이다.
이 발명은 보다 상세히는 이같은 형태의 폐쇄기구로서 그 변경 및 개선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이 발명은 개방 및/또는 폐쇄 운동이 고정 어셈블리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내에서 개방위치와 중간 이탈위치사이의 변위(y) 및 이 평행한 평면내에서의 변위(x) 를 포함하는 모든 폐쇄장치에 보다 폭넓게 응용될수 있는 것이다.
택킹운동을 하는 장치에 관련하여 특히 견고성 및 미관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들 문제와는 별도로, 이들 폐쇄기구는 일반적으로 고정이 불충분하다. 사용자는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패널을 압압만 한 후 자동차에 들어가기 위해 이를 활주시키도록 힘을 가한다.
따라서 특정 침해방지수단(anti-intrusion means)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따라 장치구성이 보다 복잡하게되고 결과적으로 비용증대를 초래하는 것이다.
더욱이 종래의 문제점 해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잠금수단을 사용하기 위해 보다 능동적인 단계를 필요로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즉, 통상의 잠금수단은 종종 아주 인체공학적이거나 실용적이지 않아 특히 예를들어 잠금을 위해 비트는 것 같은 부가적인 노력을 요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기술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패널을 사용하고, 이패널을 개폐시키는 동작 및 폐쇄위치로의 잠금 동작이 간단한 개구부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견지에 의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종래의 것보다 보다 효과적이며 보다 간단한 침입방지 수단을 갖는 개구부 폐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잠금이 보다 신뢰성이 있고 보다 노력이 덜드는 개구부 폐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하기가 간단하고 도어나 자동차에 탑재하기가 쉬운 개구부 폐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본 발명자에 의해 이미 개발된 "플러쉬" 개구부의 모든 잇점, 즉
- 미려한 외관
- 인체 공학적 측면
- 제조의 용이성 및 낮은 제조단가
- 어셈블리의 용이성 및 낮은 제조단가
를 모두 갖는 개구부 폐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들은 자동차 차체에 제공된 개구부를 폐쇄하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이루어 질수 있는바, 이 장치는, 고정 어셈블리와 그 고정어셈블리에 고착된 최소하나의 지지 및/ 또는 가이드 요소에 탑재된 최소하나의 이동 패널을 포함하며,
이동 패널은,
상기 고정어셈블리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 2 평면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제 1 활주 평면 내에서 활주 가능하며
상기 고정어셈블리에 제공된 개구부를 폐쇄또는 릴리이스 할수 있으며,
폐쇄위치에서 그 자신 상기 제 2 평면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동패널은
상기 지지 및/또는 가이드요소중 하나에 형성된 키퍼(keeper)와 맞물리는 볼트를 포함하는 잠금수단(locking means)을 탑재하며,
상기 키퍼는 상기 잠금수단이 잠금위치(locked position)에서 해제위치(unlocked position)로 이동함이
상기 이동패널이 상기 제 2 평면으로부터 제 1 평면으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의 이동을 수반 하도록 최소하나의 램프를 가진다.
이 방법에서, 개방시 폐쇄위치에서 이탈위치로
그리고 폐쇄시는 그 반대위치로 상기 이동패널의 변위에 직접 수반되는 잠금수단이 얻어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패널을 개방시키는 장치취급조작은 자동적 으로 장치를 해제하는 단계 및 장치를 활주 평면 내에서 이동시키는 단계를 수반하며, 패널에 의해 개구부를 완전히 폐쇄시키는 단계는 시스템적으로 그 장치를 잠그는 단계(locking)를 포함한다.
따라서 장치를 잠그고/해제하기 위해 특별한 작동을 해야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활주패널의 가장자리와 고정어셈블리의 가장자리 사이의 공기 갭( air gap) 이 감소되어 플러쉬 개구부의 미관 및 인체공학 측면을 개선 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가지 바람직한 해결책에 의하면, 상기 잠금 수단은 잠금/해제시, 상기 이동패널의 활주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이동패널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성이 있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상기 패널면에 평행한 평면내에서 행동을 수행하며, 이같은 행동은 패널을 개구부로부터 이동시키거나 개구부로 도로 닫을때와 같은 방법으로 패널을 변위시키기위해 상기 패널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패널에 미치게된다.
이에따라 개구부취급이 아주 실용적이고도 능률적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잠금수단은, 잠금위치에서 상기 고정어셈블리에 의해 이루어지는 평면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패널이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키퍼상에 스톱(stop)을 형성하도록 하는 확고한 차단수단(blocking means)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특별한 부가적인 부품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상기 패널이 폐쇄위치 에 있을 때 마다 작동시 특히 간단하고 효율적인 침입방지 수단(anti-intrusion means)이 얻어진다.
한가지 이익적인 해결책에 의하면, 상기 볼트는 상기 패널이 활주위치에 있을때 상기 지지 및/또는 가이드 요소와 맞물린다.
이같이 하여 상기 볼트는 패널을 폐쇄 잠금 위치로 안내하는 기능 및 개구부를 따라 패널이 활주할 때 패널을 안내하는 것을 도와주는 기능의 2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본 장치는 이익적으로 상기 잠금 수단을 다시 잠금 위치로 되돌리는 탄성 복귀수단을 포함한다.
이에따라 폐쇄되는 개구부의 프레임내에 패널이 재치될때 잠금위치로의 패널의 복귀가 신뢰도있게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각각이 키퍼와 결합된 각 패널의 어느 측면상에 2개의 지지 및/가이드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수단은 각 키퍼를 위한 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 방법으로 상기 패널은 각 가이드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혹은 거의 동 일한 발명)으로 변위될수 있다.
예를들어 2개의 키퍼/볼트 시스템이 본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고 이동패널이 수평적으로 변위되는 경우 패널의 상부 및 하부에 대하여 이상적인 이동을 얻을수 있다.
이경우, 상기 장치는 각 볼트에 대하여 하나씩 구비되는 2개의 작동 핸들을 포함하며, 이들 핸들은 조작자가 한손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서로 근접되게 탑재되어 진다.
이에따라 장치를 취급하기가 용이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치는 하우징내에 정확히 합치되어 있는 안착위치와 하우징외부의 파지 위치사이에서 이동성이 있는, 상기 잠금수단의 작동을 위한 최소 하나의 핸들을 포함한다.
이에따라 자동차의 탑승객 공간내부로 상기 장치의 공간 필요성이 감소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작동 핸들은 상기 안착위치로의 복귀를 위한 복귀 수단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이익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장치 및/ 또는 가이드 요소는 상기 패널의 중간위치에 상기 볼트(들)가 내장될수 있는 캐치를 형성하는 최소하나의 하우징을 갖는다.
이같이 배열함으로써 활주 패널을 갑자기 예기치 않게 닫을때의 사용자의 안전성을 더 높힐수 있다.
사실상, 자동차가 급정지시 캐치가 없으면 패널이 고정어셈블리에 가까운 위치로 갑자기 활주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손 또는 팔에 상해를 입힐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캐치 시스템은 이같은 상황을 피하게 할수 있는 것이다.
분명히 여러개의 캐치를 제공하여 패널이 유지되는 다른 개방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가지 이익적인 해법에 의하면, 상기 이동패널은 상기 지지 및/또는 가이드요소(들)내에 활주 하도록된 최소하나의 가이드슈(shoe)를 구비하며, 이들 슈의 최소 일부는 가요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같은 종류의 가이드 슈는 가이드 요소상에 일어날수 있는 어떠한 움직임도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이렇게 구성된 상기 가이드슈는 보다 복잡한 현상의 가이드요소를 사용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슈는 탄성계수가 낮은 플라스틱 재질로된 부쉬(bush) 로 둘러싸인 탄성물질로 코팅된 축에 의해 상기 이동패널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슈의 가요성(탄성)은 가이드 요소에서 완벽하게 활주하는 능력을 보존하면서, 가이드 요소에서의 어떠한 결점 및/ 또는 복잡한 형상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어셈블리는 폐쇄위치에서 이동 패널이 지지되게 하는 밀폐구(seal)을 포함하며,
이 밀폐구는 밀폐립(sealing lip)을 이루는 최소하나의 부품과 상기 립(lip)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신장하는 최소하나의 튜브부를 포함한다.
양호한 수밀성(水密性)이외에도, 이같은 종류의 밀폐구는 립과 같이 개구부를 둘러싸는 튜브요소에 의해 방음효과가 제공되게 한다.
이경우 상기 립은 상기 튜브부에 구비되는 것이 이익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립은 상기 패널이 상기 립상에서
그리고 상기 튜브부상에서 지지되는 방법으로 상기 튜브부의 측면에서 신장하는 것이 좋다.
상기 패널이 폐쇄될때 상기 밀폐구의 2 부품이 역활을 하도록 하는 것은 이 방법으로 확고히 될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고정어셈블리는 폐쇄 방향으로 상기 이동패널의 선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이 수용수단은 상기 선단부의 변위충격을 흡수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같이 하여 상기 패널과 수용 수단사이의 접촉충격을 완화시킬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시 보다 좋은 느낌을 가질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이에따라 상기 부품들은 서로서로에 대한 반복적인 마찰로인해 때이른 마모나 마멸되는 것을 지연시킬수 있는 것이다.
이경우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최소하나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기술한 바와같은 폐쇄장치를 갖춘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및 잇점은 이하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그 변형예로부터 보다 명확할 것이며,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결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리는 특히 슬라이딩 패널에 의해 운반되는 잠금볼트의 사용과 잠금위치에서 열림위치로 혹은 열림위치에서 잠금위치로의 상기 볼트의 이동이 폐쇄평면에서 그 폐쇄평면으로부터 되돌아온 평면으로 혹은 그 역으로 패널을 변화시킴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키퍼를 갖는 특정 레일의 사용을 기초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 차체에 제공된 개구부를 폐쇄시키는 장치는 그 하부 및 상부에 설치된 레일(11)을 따라 할주가능한 이동패널(2)가 탑재된 고정어셈블리(1)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유니트는 예를 들어 창문과 같은 패널(2);
상기 패널(2)가 고정되며 예를들어 플라스틱재질등으로 된 프레임(25);
상기 패널(2)와 프레임(25) 사이에 삽입되는 밀폐구(251);
후술되는 잠금수단;
상기 잠금수단이 작동할수 있도록 하고 최소 하나의 제어로드(control rod)(22)를 은폐하도록 상기 패널(2)상에 탑재된 마스크(26);
도 9에 관련하여 기술되는 바와 같은 형태의 활주 가이드슈(sliding guide shoes)(24); 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유니트는 구성부품이 서로 체결되어지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상기 이동패널(2)은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 어셈블리(11)의 평면내에 있는 폐쇄위치와, 상기 고정어셈블리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내에 있는 활주위치의 2가지 위치에 있을수 있으며, 상기 활주위치에서 상기 이동패널은 자동차의 내측으로(도 4 및 5의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패널은 레일(11)에 제공된(혹은 그 끝단중 하나에 부가된) 키퍼(keeper)(111)와 맞물리도록 의도된 잠금볼트(locking bolt)(21)에 의해 폐쇄평면으로부터 활주평면으로 이동된다.
이 볼트(21)는 이동패널(2)상에서 활주하는 로드(22)에 장착되며, 볼트(21)의 반대단에는 볼트가 작동되게 하는 핸들(23)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기구는 상기 볼트를 잠그고/해제 하기 위한 운동이 상기 이동패널의 평면에 평행하고 활주방향에 수직인 방향이 되도록 탑재되어야 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패널은 수평적으로 이동되며, 상기 볼트 잠금/해제 운동은 상기 이동패널(2)를 따라 상기 핸들(23)을 수직으로 변환시킴으로서 얻어진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키퍼(111)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볼트(21)의 가이드부(211)를 안내하는 한쌍의 램프(ramp)(111a)(111b)를 갖는다. 즉, 볼트(21)의 상승변위동안(도 4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상기 볼트는 램프(111a)상을 활주하고 점차적으로 이동시키며, 결과적으로 이동패널을 레일(11)을 따른 활주평면으로 되게 한다. 그후 상기 볼트는 레일(11)의 수직방향 슬라이더내에 있게되고, 그후 패널을 활주시키는데 있어서 안내위치를 갖게된다.
상기 볼트의 하강 변위동안, 다시 말해서 상기 이동패널이 상기 볼트가 상기 키퍼(111)에 수직 방향인 위치로 될때, 상기 볼트는 램프(111b) 상에서 활주하고 이에 따라 상기 볼트와 패널은 다시 고정어셈블리(1)의 평면으로 향하게 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패널은 개구부내에 결합되어 있으며 그결과 상기 고정어셈블리의 평면으로부터 앞서 이동된 경우에만 활주되게 되어 있다. 사실상 상기 개구부가 폐쇄된 동안, 상기 볼트는 패널을 그 폐쇄위치로 안내하 고 그리하여 볼트가 상기 키퍼로 부터 해제되지 않는한 활주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볼트는 침해방지 수단을 구성한다.
사실상,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볼트(21)은 볼트가 잠금위치에 있을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있게하는 노즈(nose)(212)를 갖는다.
이 위치에서, 노즈(212)는, 만일 자동차의 외부로부터 상기 이동패널에 추력(推力)이 가해져서 이동패널이 활주위치로 되게 하면(침해시도의 상황) 레일(11)의벽에 대하여 접촉되게 하고 키퍼(111)의 벽에 대하여 보다 정밀하게 하는 스톱(stop)을 형성한다.
또한 볼트(21)는 키퍼(111)에 반대 위치에 있을때 자동적으로 잠김위치로 되고, 그래서 볼트(21) 및 로드(22)를 안내하기 위한 고정 부쉬(패널(2)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음)사이에 탑재된 스프링(222)의 작용을 받게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패널을 해제(unbolt) 시키는 핸들(23)의 작용이 스프링(222)의 복귀력에 대하여 발휘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핸들(23)은 로드(22)에 구비되어 있으며 그 신장에 있어서 로드(22)에 대하여 고정위치로 되게한다.
변형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핸들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이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핸들(23)은 베이스(내부로 로드(22)가 뻗어있는)에 제공된 하우징(231)내로 정확히 합치되는 안착위치(parked position)와 하우징(231) 외부에 있는 파지위치(graspable position)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은 탄성복귀수단은 핸들(23)을 그 안착위치로 되돌아가게 한다.
나아가, 도 2 및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볼트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키퍼시스템은 기구의 상부 및 하부에 장착될수 있다.
핸들(23)은 시스템의 각각과 관련되어 있다.
이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로드(22)는 상기 핸들이 서로서로 부근에서 장착되고, 이들이 함께 한팔로 작동될수 있는 크기로 된다.
더욱이, 상기 레일(11)은 상기 볼트가 상기 개구부의 폐쇄위치와 완전히 개방된 위치 사이의 하나이상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패널을 차단시키는 것을 도울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11)의 안내 슬라이더 저면이 2개의 리세스(112)(도 8 참조)를 가지며, 이 내부에 볼트의 안내부(211)가 안착되며 이에 의해 패널의 활주가 차단된다(그후 패널의 활주를 계속하기 위해서는 관련 핸들을 작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동패널은 패널의 활주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과 맞물리게 되어있는 탄성가이드슈(guide shoes)(24)를 갖는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들 가이드슈들은 이들을 이동패널에 연결시키는 축(241) 을 포함하며, 이 축은 레일내에 활주하는 그 끝단이 탄성 재질(242)로 코팅되어 있으며 그 자신 탄성계수가 낮은 플라스틱 재질로 된 부쉬(243)으로 둘러싸여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폐쇄기구에 합치되게 하기 위한 특정 밀폐수단이 제공된다.
이들 밀폐수단은 이동패널이 폐쇄위치에 있을때 그 이동 패널에 의해 약간 분쇄되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 의하면, 립(lip)(고압밀봉 및 특히 수밀성(水密性)을 견고히 하는 기능을 제공함) 및 그 립에 평행하게 신장하는 튜브부(저압밀봉 및 소음차단 효과를 제공함)를 갖는다.
도 10에 도시된 제 1변형 실시예에 의하면, 밀폐구(3)은 밀폐구가 상기 고정어셈블리에 체결되게 하는 체결영역을 갖는 경성 베이스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밀폐구는 하부에서 튜브요소가 평행하게 신장하는 립(31)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립(31)은 이동패널(2)이 폐쇄위치에 있을때만 이동패널(2)과 접촉하고, 그 패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립을 통해 튜브요소로 전달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제 2 변형 실시예에 의하면, 밀폐구(3)은 패널(2)의 폐쇄위치에서 패널(2)이 립과 튜브요소 모두에 압력을 가할수 있도록, 튜브요소(32)의 측면에서 신장하는 립(31)과 함께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제 3변형에 의하면, 립(31)은 튜브요소(32)의 신장부를 이루는 중공립이며, 립의 내부체적 튜브요소의 내부체적과 연결된다.
도 13에 도시된 다른 특징에 의하면, 레일(11)은 신장되어 이동패널이 폐쇄될때 그 이동패널의 선단부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포스트(post)(도 1의 부분(113)에 해당함)를 형성하며, 이에따라(주위를 상기 패널이 선회하여 패널의 뒷부분이 폐쇄평면으로 다시 돌아가게 하는)선회스톱 및 패널의 선단부에 미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결합수단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들 충격흡수수단은 상기 포스트와 이동 패널 사이에 (폐쇄위치에서)삽입될수 있도록 위치된 베어링(4)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그 조작이 간편하고 보다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그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인체공학적으로나 심미적으로 우수한 것이다.

Claims (17)

  1. 고정어셈블리(1)와 그 고정어셈블리(1)에 고착된 최소하나의 지지 및/ 또는 가이드 요소(11)에 탑재된 최소 하나의 이동패널(2)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패널은, 상기 고정어셈블리(1)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 2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1평면내에서 활강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어셈블리에 제공된 개구부를 폐쇄하거나 릴리이스 할수 있으며,
    그 자신 폐쇄위치에서는 상기 제 2 평면내에 위치하는, 자동차 차체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패널은 상기 지지 및/ 또는 가이드요소(11)중 하나에 형성된 키퍼(keeper)(111)와 맞물리고, 상기 이동패널(2)의 활주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패널(2)에 평행한 최소하나의 볼트(21)을 포함하는 짐금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키퍼(111)은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의 이동이 상기 이동패널(2)의 상기 제 2 평면으로부터 제 1 평면으로, 그리고 그 역 방향으로의 이동을 수반하도록 최소하나의 램프(111a), (111b)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잠금위치에서,
    상기 고정어셈블리(1)에 의해 정해지는 상기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패널(2)의 변위를 방지하도록 상기 키퍼(111)상에 스톱(stop)을 형성하도록 된 확고한 블록킹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21)은 상기패널(2)의 활주위치에서 상기 지지 및/또는 가이드요소(11)과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을 다시 잠금위치로 되돌려보내는 탄성 복귀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2항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어느면에 각각 키퍼(111)과 결합된 2개의 지지 및/또는 가이드 요소(11)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각 볼트(21)에 하나씩 구비된 2개의 작동핸들(23)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은 한손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서로 근접되게 배치되어 있음을 특 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내지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231)내에 정확히 합치되는 안착위치(parked position)와 상기 하우징(231) 바깥쪽의 파지가능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기 잠금수단을 작동시키는 최소하나의 핸들(2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핸들(23)에는 상기 안착위치로 되돌리는 복귀수단이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항내지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및/또는 가이드 요소(들)(11)은 상기 패널(2)의 중간위치에 상기 볼트(21)가 내장 될 수 있고 캐치(catch) 를 형성하는 최소 하나의 하우징(1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항 내지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패널(2)는 상기 지지 및/ 또는 가이드 요소(들)(11)에 활주 할수 있도록 된 최소 하나의 가이드 슈(24)를 탑재하며, 상기 가이드슈의 최소 일부는 가요성 재질로된 상기 지지 및/또는 가이드 요소(들)(11)에서 활주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슈(12)는 마찰계수가 낮은 플라스틱재질로된 부쉬(bush)(243)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탄성물질(242)로 코팅된 축(241)에 의해
    상기 이동패널(2)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항내지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이동패널이 폐쇄위치에서 지지되도록 밀폐구(3)을 가지며, 상기 밀폐구(3)은 밀폐립(sealing lip)(31)을 이루는 최소하나의 부분 및 그 립(31)에 평행하게 신장하는 최소하나의 튜브부(3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립(31)은 상기 튜브부(3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2항 또는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립(31)은 상기 패널(2)가 상기 랩(31)상 및 상기 튜브부(32)상에서 지지되도록 상기 튜브부(32)의 측면에서 신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항내지 1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어셈블리(1)은 상기 이동패널(2)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폐쇄방향으로, 상기 수용수단은
    상기 선단부의 변위로 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 수단은 최소하나의 베어링(4)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고정어셈블리(1)과 그 고정어셈블리(1)에 고착된 최소하나의 지지 및/또는 가이드요소(11)에 탑재된 최소하나의 이동패널(2)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패널은, 상기 고정어셈블리(1)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 2 평면에 평행한 제 1 활주 평면에서 활주 할수 있으며,
    상기 고정 어셈블리(1)에 제공된 개구부를 폐쇄 또는 릴리이스 할수 있으며, 그 자신 폐쇄위치에서 상기 제 2 평면내에 위치하는 자동차 본체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최소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이동패널(2)는 상기 지지 및/또는 가이드 요소(11)중 하나에 형성된 키퍼(111)과 맞물리고, 상기 이동패널(2)의 활주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패널(2)에 평행한 최소하나의 볼트(21)을 포함하는 잠금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키퍼(111)은 최소하나의 램프(111a, 111b)를 가짐으로써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의 이동이 상기 이동패널(2)의 상기 제 2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평면으로, 그 역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수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50111067A 2004-11-19 2005-11-19 잠금수단을 갖는 이동패널을 이용한 개구부 폐쇄장치 및이를 포함한 자동차 KR200600562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12319 2004-11-19
FR0412319A FR2878281B1 (fr) 2004-11-19 2004-11-19 Dispositif d'obturation d'une baie a l'aide d'un panneau m0bile, a moyens de verrouillage participant au deplacement du panneau, et vehicule correspond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263A true KR20060056263A (ko) 2006-05-24

Family

ID=34950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067A KR20060056263A (ko) 2004-11-19 2005-11-19 잠금수단을 갖는 이동패널을 이용한 개구부 폐쇄장치 및이를 포함한 자동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659247B1 (ko)
KR (1) KR20060056263A (ko)
FR (1) FR28782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728B1 (ko) 2006-12-08 2008-02-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플러쉬 윈도우 조작핸들구조
KR100803824B1 (ko) 2006-12-11 2008-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글라스도어기구
KR100879671B1 (ko) 2007-10-05 2009-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가능한 작동 글래스 설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6132B1 (fr) * 2006-10-18 2011-08-10 Advanced Comfort Systems France SAS - ACS France Dispositif de verrouillage à poignée poussoir et levier pour panneau coulissant, dispositif d'obturation et vé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s.
FR2907482A1 (fr) * 2006-10-18 2008-04-25 Wagon Sas Dispositif de verrouillage a cremaillere pour panneau coulissant de vehicule automobile, dispositif d'obturation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s
FR2908147B1 (fr) * 2006-11-07 2008-12-26 Wagon Sas Dispositif de verrouillage a poignee rotative et levier pivotant pour panneau coulissant, dispositif d'obturation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s
FR2910519B1 (fr) * 2006-12-22 2009-01-23 Wagon Sas Dispositif d'obturation d'une baie menagee dans la carrosserie d'un vehicule a pion mobile formant pene, et vehicule correspondant.
FR2925095A1 (fr) 2007-12-18 2009-06-19 Wagon Sas Dispositif d'obturation d'une baie a l'aide d'un panneau mobile, a rampe de verrouillage, et vehicule correspondant
BE1021688B1 (fr) 2013-05-28 2016-01-08 Agc Glass Europe Vitrage coulissant.
FR3018475A1 (fr) * 2014-03-12 2015-09-18 Acs France Sas Dispositif d'obturation d'une baie d'un vehicule automobile a panneau coulissant, a double commande, et vehicule correspondant.
EP3382132B1 (en) * 2015-12-16 2022-07-13 AGC Inc. Device for windows
CN105464531B (zh) * 2015-12-30 2017-07-14 佛山市艾臣智能门窗科技有限公司 二重锁紧同步开闭式防撬推拉窗
CN206290172U (zh) * 2016-08-25 2017-06-30 深圳市美雅洁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超声喷淋清洗消毒烘干装置的活动门系统
CN106362987A (zh) * 2016-08-26 2017-02-01 深圳市美雅洁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超声喷淋清洗消毒烘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1186B1 (fr) * 1998-07-16 2000-09-22 Wagon Automotive Dispositif d'obturation d'une baie menagee dans la carrosserie d'un vehicule, a poignee rotative
FR2782298B1 (fr) * 1998-08-12 2001-03-30 Wagon Automotive Dispositif d'obturation d'une baie de vehicule, joint d'etancheite et procede de montage correspondants
FR2854351B1 (fr) * 2002-10-11 2007-02-23 Wagon Automotive Snc Dispositif d'obturation d'une baie menagee dans la carrosserie d'un vehicule automobile, a panneau mobile pivotant
FR2849093B1 (fr) * 2002-12-23 2005-02-18 Wagon Automotive Snc Dispositif d'obturation d'une baie menagee dans un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corresponda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728B1 (ko) 2006-12-08 2008-02-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플러쉬 윈도우 조작핸들구조
KR100803824B1 (ko) 2006-12-11 2008-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글라스도어기구
KR100879671B1 (ko) 2007-10-05 2009-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가능한 작동 글래스 설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78281B1 (fr) 2008-10-03
EP1659247B1 (fr) 2013-11-06
EP1659247A1 (fr) 2006-05-24
FR2878281A1 (fr) 200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6263A (ko) 잠금수단을 갖는 이동패널을 이용한 개구부 폐쇄장치 및이를 포함한 자동차
KR102104888B1 (ko) 차량용 오토 플러쉬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US7422268B2 (en) Sliding door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US8186103B2 (en) Sliding window assembly
US8196974B2 (en) Vehicle door latch assembly
US7029038B2 (en) Egress window latching mechanism
US20060059783A1 (en) Sliding door for a motor vehicle
EP1653026A2 (en) Latch assembly
AU2019380871A1 (en) Vehicle Door System
CN108312933B (zh) 车辆背门
KR20080054614A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상단 롤러 구조
JP4307345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全開ストッパ構造
KR100440285B1 (ko) 차량의 슬라이딩도어 안전장치
JP5068141B2 (ja) 係止ボルトおよび限界停止部を有する開口を閉鎖する装置、および対応する自動車
JP2004168294A (ja) 自動車のための取外し可能なルーフ
JPH057056Y2 (ko)
JP2006069312A (ja) 小型車両におけるフロントウィンド
CN219711278U (zh) 门板铰链以及门板铰链组件
JP4631592B2 (ja) 穴閉鎖プラグ
EP0924371A1 (en) Door system with locking mechanism
JP2002274182A (ja) サンルーフ装置
JPH0834240A (ja) サンシェードの停止、係止装置
KR20210055828A (ko) 차량의 슬라이딩/스윙 복합도어
JPH039455Y2 (ko)
JP3452453B2 (ja) 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