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6212A -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a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212A
KR20060056212A KR1020040103890A KR20040103890A KR20060056212A KR 20060056212 A KR20060056212 A KR 20060056212A KR 1020040103890 A KR1020040103890 A KR 1020040103890A KR 20040103890 A KR20040103890 A KR 20040103890A KR 20060056212 A KR20060056212 A KR 20060056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subchannels
handover
ofd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8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범
박상환
김호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3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6212A/en
Publication of KR20060056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2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정적인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over method and syste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stable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에서는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시 호 절단율을 낮추고, 신호대 잡음비를 줄여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고, 인접 셀에 간섭 등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reduce call cut-off rate, reduce signal-to-noise ratio, improve communication quality, and reduce the effects of interference on adjacent ce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OFDMA scheme.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OFDMA 방식의 단말과 상기 단말과 통신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의 안정적인 통신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단말과 시 상기 단말이 특정 영역에 위치할 시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의 각각의 데이터 전송 영역 중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기 위한 설정된 특정 영역에서 분산 부반송파 할당 방식으로 부채널들을 설정하고, 상기 영역에 설정된 부채널들 중 할당 가능한 부채널 비율 내에서 상기 부채널들을 상기 단말에 할당한다.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a stabl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n OFDM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The system sets subchannels in a distributed subcarrier allocation scheme in a specific region configured for allocating to the terminal among downlink and uplink data transmission regions wh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are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The subchannels are allocated to the terminal within an assignable subchannel ratio among the subchannels set in the region.

OFDMA, 주파수 재사용 계수OFDMA, Frequency Reuse Factor

Description

직교 주파수 다중 접속 방식의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A} TECHNICAL AND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A             

도 1은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셀룰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재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a frequency reuse scheme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OFDMA scheme;

도 2는 서로 다른 기지국에서 다수의 직교 주파수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부채널을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2 illustrates an example of configuring one subchannel using a plurality of orthogonal frequencies in different base station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OFDMA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ownlink frame in an OFDM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OFDMA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의 부채널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bchannel allocation method of an uplink in an OFDM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OFDMA 시스템에서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5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FDMA system;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에서 단말들에게 상향 및 하향 링크의 부채널 할당을 위한 제어 흐름도.
6 is a control flowchart for subchannel allocation of uplink and downlink from a base station to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통상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한 장소 등에 구애받지 않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방식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왔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방법이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다. 상기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은 음성 통신에서부터 시작되어 현재에는 비교적 고속의 데이터까지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왔다. 이와 같이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발전은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데이터 전송의 요구와 함께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기인한다. 이러한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은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현재에는 제3세대(3G) 이동통신 시스템의 표준이 대부분 확정되어 상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In general,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fers to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to perform communication regardless of a specific place using a terminal. Suc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users using various multiple access schemes. A typical metho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cheme.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 has been developed to process data at a relatively high speed, beginning with voice communication. As such, the development of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is caused by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with the demand for faster data transmission by users.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has been commercializ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most standards of 3G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ve been decided.

그런데, 상기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에서 사용되는 제한된 자원으로 인하여 더 이상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한계에 이르렀다는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데이터의 전송률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분야에서는 보다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However, due to the limited resources used in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mit for transmitting data at high speed is reached. Nevertheless, the transmission rate of data required by users continues to increase. Therefore, in the field of wireless communication, various researches 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transmit data at a higher speed.

상기한 연구의 한 방향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OFDMA"라 함)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 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OFDMA 방식은 직교성을 가지는 주파수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채널을 구성하고, 각 사용자들에게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채널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그러면 OFDMA 방식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In one direction of the above-described resear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a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OFDMA") scheme. In the OFDMA scheme, a plurality of channels are formed using frequencies having orthogonality, and at least one or more channels are allocated to each user to transmit data. Next,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in the OFDMA scheme will be briefly described.

OFDMA 방식에서 통신은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부채널을 할당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즉, 특정한 시간 내에서 상향 링크의 시간과 하향 링크의 시간을 구분하고, 상기 시간 내에서 각 사용자마다 상기한 채널을 할당하여 통신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OFDMA를 기반으로 하는 셀룰라 이동통신 방식에서는 가용 주파수의 운용 방법에 따라 크게 두 가지의 운용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가용 주파수의 운용 방법이란, 주파수 재사용 계수(Frequency Reuse Factor)에 따른 방법을 의미한다. 그러면 먼저 가장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첫 번째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첫 번째 방법은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3 또는 7과 같이 1보다 큰 값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높게 사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In the OFDMA scheme, communication uses a scheme of allocating subchannels of uplink and downlink. That is, the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dividing the uplink time and the downlink time within a specific time and allocating the channel for each user within the time. In addition, in the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he OFDMA, two types of operation methods may be largely classified according to an operation method of available frequencies. The available frequency operating method means a method according to a frequency reuse factor. Let's look first at the first and most common way. The first method uses a frequency reuse factor greater than 1, such as 3 or 7. The reason why the frequency reuse coefficient should be used as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셀룰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재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frequency reuse scheme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OFDMA scheme.

기지국들(100, 110, 120, 130, 140, 150, 160)은 하나의 셀을 이루며, 각기 다른 주파수들을 사용한다. 즉, 하나의 기지국은 전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들 중 1/3만을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도 1에서 각 기지국들은 캐리어 인덱스(Carrier Index)의 1/3을 사용하고 있다. 즉, 전체 캐리어 인덱스들이 n1+n2+n3라 가정할 때, 그 중 하나의 영역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상기 기지국(100)의 인접한 기지국들(110, 120, 130, 140, 150, 160)과 함께 살펴보면, 인접한 기지국들(110, 120, 130, 140, 150, 160)은 상기 기지국(100)이 사용하지 않는 캐리어 인덱스의 주파수들을 사용한다.The base stations 100, 110, 120, 130, 140, 150, and 160 form one cell and use different frequencies. That is, one base station uses only 1/3 of all available frequencies. In FIG. 1, each base station uses 1/3 of a carrier index. That is, assuming that all carrier indices are n 1 + n 2 + n 3 , only one region of the carrier indices is configured to be used. Looking at this together with the adjacent base stations (110, 120, 130, 140, 150, 160) of the base station 100, adjacent base stations (110, 120, 130, 140, 150, 160) is the base station 100 Use frequencies of unused carrier index.

이와 같이 각 기지국들에서 서로 다른 캐리어 인덱스를 가지는 주파수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각 기지국들간 간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같이 전체 사용 가능한 주파수를 1/3로 나누어 사용하는 경우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3이 된다. 즉, 상기한 방법을 기초로 하여 셀룰라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주파수 재사용 계수는 3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기지국들이 이론적인 셀 구조를 가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주파수 재사용 계수는 3 ~ 7의 값을 가지게 된다.As such, by using a frequency having a different carrier index in each base station, interference between each base station can be effectively reduced. As shown in FIG. 1, the frequency reuse factor is 3 when the total usable frequency is divided by 1/3. That is, in the case of configuring a cellular system based on the above method, the frequency reuse coefficient generally has a value greater than three. This is because, as shown in FIG. 1, it is difficult for all base stations to have a theoretical cell structure. Therefore, in general, the frequency reuse coefficient has a value of 3 to 7.

이와 같이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3 ~ 7의 값을 가지는 경우 모든 주파수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소정 기지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캐리어 인덱스의 개수는 수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 또는 전송률을 의미한다. 따라서 캐리어 인덱스의 숫자가 줄어드는 경우 수용할 수 있는 사용자가 제한되거나 또는 전송률에 제한을 받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에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3 ~ 7의 값을 가지는 경우에 셀 가장자리(Cell Boundary)에서도 신호 대 잡음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As such, when the frequency reuse factor has a value of 3 to 7, there is a problem that all frequencies cannot be used. The number of carrier indices that can be used in a given base station means the number of users or transmission rate that can be accommodated. Therefore, when the number of carrier indexes decrea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users that can be accommodated or the transmission rate are limi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frequency reuse coefficient has a value of 3 to 7,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ignal-to-noise ratio is excellent even at the cell edge.                         

다음으로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1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1인 경우 상기 도 1에서 각 기지국들은 모든 캐리어 인덱스의 주파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1로 사용하면,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1로 사용하는 경우에 셀 가장자리에 위치한 단말들은 신호대 잡음비가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을 가진다. 즉,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1로 사용하는 경우에 셀에 근접한 단말들은 통신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셀 가장자리에서는 성능이 나빠지거나 또는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Next, a method of using the frequency reuse coefficient as 1 will be described. When the frequency reuse factor is 1, each base station in FIG. 1 may use frequencies of all carrier indexes. As described above, using the frequency reuse factor of 1 has an advantage of efficiently using frequency resources. However, when the frequency reuse coefficient is used as 1, the terminals located at the edge of the cell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 signal-to-noise ratio is significantly lowered. That is, when the frequency reuse coefficient is used as 1, terminals close to the cell may not be a big problem for communication. However,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or communication may not be possible at the cell edge.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종래에 OFDMA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3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경우에 대하여 대부분 논의가 이루어졌었다. 그러나, 최근 IEEE 802.16 표준 회의 등에서는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1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Due to this problem, in the conventional OFDMA system, the case where the frequency reuse coefficient has a value of 3 or more has been mostly discussed. However, a lot of discussions have recently been made on how to use the frequency reuse factor as 1 in the IEEE 802.16 standard conference.

다른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핸드오버(Handover)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핸드오버는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MS : Mobile Station)이 기지국과 기지국 사이를 이동하더라도 통신을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핸드오버는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와 소프터 핸드오버(softer handover) 및 하드 핸드오버(hard handover)의 3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dopts the concept of handover (Handover) to secure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This handover refers to a mobile station (MS) that performs communication so that communication can continue to be maintained even when moving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Such handover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oft handover, softer handover, and hard handover.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는 통신 중인 단말이 기지국간 이동 시 양쪽 기지국의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중간 과정을 거쳐 목표한 타겟 기지국(Target BS)으로 호 를 연결시켜 주는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소프터 핸드오버는 상술한 소프트 핸드오버와 유사한 방식이나, 동일한 기지국 내에서 이루어진다는 차이를 가진다. 즉, 소프터 핸드오버란, 상기 기지국 내의 섹터들 내를 이동하는 경우 기지국이 단말에 대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소프터 핸드오버는 기지국이 섹터형 기지국인 경우에 가능한 방식이다.The soft handover refers to a method in which a terminal in communication connects a call to a target target BS through an intermediate process of simultaneously receiving signals of both base stations when moving between base stations. Softer handover is also similar to the soft handover described above, but with the difference that it is within the same base station. That is, softer handover is a method in which a base station provides a soft handover to a terminal when moving in sectors within the base station. Softer handover is therefore possible if the base station is a sector type base station.

이와 달리 하드 핸드오버는 통신 중인 단말이 기지국간을 이동할 경우 통신을 유지하고 있던 소스 기지국(source BS)의 호를 순간적으로 절단하고, 향후 통신을 수행할 목표 기지국(target BS)으로 호를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재연결하는 방식을 의미한다.Hard handover, on the other hand, when a terminal in communication moves between base stations, it instantaneously disconnects the call of the source BS maintaining the communication and makes a call to the target BS to perform the communication as soon as possible. It means reconnecting in time.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연구가 이루어지는 방향은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1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OFDMA 시스템에서는 핸드오버 시 하드 핸드오버 방법이 고려되어 왔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면, 셀의 가장자리 부근에 위치한 단말들은 하드 핸드오버 시 낮은 신호대 잡음비(SINR)가 낮아지므로, 성능 열화를 겪게 되거나 또는 호 절단율(call drop rate)이 높아져서 통신 시스템의 안정성이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면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urrent research direction is a method of using a frequency reuse factor of 1. In addition, in the OFDMA system, a hard handover method has been considered during handover. Therefore, when the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this manner, terminals located near the edge of the cell have a low signal-to-noise ratio (SINR) during hard handover, and thus suffer from performance degradation or a high call drop rate. It can act as a factor of deterioration in stability.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서로 다른 기지국에서 다수의 직교 주파수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부채널을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llustrates an example of configuring one subchannel using a plurality of orthogonal frequencies in different base stations.

상기 도 2에서는 특정 기지국 A의 셀에서 하나의 부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직교 주파수들과 다른 기지국 B의 셀에서 하나의 부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직교 주파 수들을 도시하고 있다.2 illustrates orthogonal frequencies for allocating one subchannel in a cell of a specific base station A and orthogonal frequencies for allocating one subchannel in a cell of another base station B.

상기 기지국 A의 셀에서 표시된 부분은 전체 직교 주파수들 중에서 하나의 부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다수의 직교 주파수들을 도시한 것이다. OFDMA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부채널을 할당할 경우 순차적으로 직교 주파수들을 할당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랜덤하게 또는 단말에 의해 보고된 정보에 의거하여 다수의 직교 주파수들을 하나의 부채널로 할당한다. 따라서 기지국 B의 셀에서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직교 주파수들이 하나의 부채널을 구성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부채널이 구성되어 각각 단말에 할당된 경우 두 단말이 각각 기지국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여 두 단말간 근접한 경우 두 단말은 참조부호 210 및 220과 같이 서로 동일한 직교 주파수가 각각 할당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일치하는 직교 주파수간에는 매우 심각한 간섭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통신 품질이 저하되거나 또는 통신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The portion indicated in the cell of the base station A shows a plurality of orthogonal frequencies for allocating one subchannel among all orthogonal frequencies. In the OFDMA system, when allocating one subchannel, orthogonal frequencies may be sequentially allocated. However, in general, a plurality of orthogonal frequencies are allocated to one subchannel at random or based on information reported by the UE. Accordingly, orthogonal frequencies form one subchannel in the same manner in the cell of base station B. However, when the subchannels are configured and assigned to the respective terminal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wo terminals are located in the edge region of the base station and are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the two orthogonal frequencies are allocated to each other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s 210 and 220. . Then, very serious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matching orthogonal frequencies, which may result in deterioration of communication quality or inability to communicate.

또한 상기한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Power Control)를 사용할 경우 셀 가장자리의 사용자는 높은 전력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되므로 주변의 다른 셀의 사용자들에게 큰 간섭신호를 주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control (Power Control) is used in the above system, the user at the edge of the cell transmits data with high power, thereby causing a large interference signal to users of other cells in the vicinity.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하드 핸드오버의 경우에 가장 큰 문제점은 인접 셀 사용자에 할당된 동일한 주파수에 의한 간섭 때문에 발생하는 낮은 신호 대 간섭 전력 비(SIR)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쉽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은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1 보다 큰 값, 즉 3 혹은 7로 설정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을 사용할 경우 인접 셀 혹은 섹터에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특별한 셀 배치 계획(cell planning)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인접 셀 간에 같은 주파수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주파수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만일 기지국을 신설하거나 증축하는 데에도 매우 큰 부담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iggest problem in the case of hard handover is the low signal-to-interference power ratio (SIR) caused by the interference by the same frequency assigned to the neighbor cell user. The easiest way to solve this problem is to set the frequency reuse factor to a value greater than 1, that is, 3 or 7. Then, as described above, interference from adjacent cells can be reduced. However, this approach requires special cell planning to ensure that adjacent cells or sectors use different frequencies. In addition, frequency efficiency is significantly reduced because the same frequency cannot be used between adjacent cell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acts as a very big burden even when establishing or expanding a base station.

따라서 셀 배치 계획을 크게 요구하지 않으면서 주파수 재사용률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러한 시스템에서 데이터(voice & Data)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capable of increasing frequency reuse rate without requiring a large cell deployment plan, and a method for performing voice & data communication in such a system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data transmission efficienc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OFDMA sche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시 신호대 잡음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a signal-to-noise ratio during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OFDMA sche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communication qua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OFDMA sche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셀에 간섭 등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and the like on adjacent ce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OFDMA schem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OFDMA 방식의 단말들과 상기 단말들과 통신하는 기지국과 기지국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단말이 핸드오버 시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의 각각의 데이터 전송 영역 중 상기 핸드오버 단말에게 할당하기 위한 설정된 특정 영역을 분산 부반송파 할당 방식으로 상기 핸드오버 단말에 할당할 부채널들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핸드오버 단말에게 할당할 영역에 설정된 부채널들 중 할당 가능한 부채널 비율 내에서 상기 부채널들을 상기 핸드오버 단말에게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method for providing a handover of the terminal in a base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base station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and the OFDMA scheme, Setting, by the terminal, subchannels to be allocated to the handover terminal in a distributed subcarrier allocation scheme in a specific subregion allocated to the handover terminal among downlink and uplink data transmission regions; And allocating the subchannels to the handover terminal within an assignable subchannel ratio among subchannels set in an area to be allocated to the handov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단말들 중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하지 않은 단말을 위해 상기 데이터 전송 영역 중 나머지 영역을 분산 부반송파 할당 방식으로 부채널들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단말에게 상기 부채널들을 할당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thod performed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etting the sub-channels in the distributed subcarrier allocation scheme for the remaining areas of the data transmission area for the terminal not located in the handover area of the terminal, and the handov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llocating the subchannels to a terminal that does not perform the operation.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OFDMA 방식의 단말과 상기 단말과 통신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 중에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할 시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의 각각의 데이터 전송 영역 중 핸드오버 단말에게 할당하기 위한 설정된 특정 영역에서 분산 부반송파 할당 방식으로 부채널들을 설정하고, 상기 영역에 설정된 부채널들 중 할당 가능한 부채널 비율 내에서 상기 부채널들을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중인 단말에 할당한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the base station of the system for providing a handover of th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base station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and the OFDMA scheme, the base stati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When the UE is located in the handover area during the execution of the UE, subchannels are set by using a distributed subcarrier allocation scheme in a specific area set for allocating to the handover terminal in each of the downlink and uplink data transmission areas. The subchannels are allocated to a terminal performing the handover within an assignable subchannel ratio among the set subchannels.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들 중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하지 않은 단말을 위해 상기 데이터 전송 영역 중 나머지 영역을 분산 부반송파 할당 방식으로 부채널들을 설정하고,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단말에게 상기 부채널들을 할당하는 과정을 더 수행한다.Further, the base station sets subchannels in a distributed subcarrier allocation scheme for the remaining areas of the data transmission area for a terminal not located in the handover area among the terminals, and provides the subchannels to the terminal that does not perform the handover. The process of allocating them is further perform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메시지 또는 신호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are many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messages or signals, which are provided to aid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는 셀 계획(cell planning) 없이도 하드 핸드오프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으며, 호 차단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의 데이터 전송 영역 중 일부에서 실제적으로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1보다 큰 값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moothly performing hard handoff without cell planning and reducing call blocking rat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by using a frequency reuse factor of more than 1 in a part of downlink and uplink data transmission regions.

그러면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며, 본 발명에서 사용될 용어들에 대하여 정의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using the OFDMA scheme will be described, and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OFDMA 통신 시스템은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에서 각 사용자에게 특정 부반송파의 집합인 부채널을 단위로 자원을 할당한다. 이때 부채널을 구성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6 OFDMA 방식의 하향 링크에서 부채널을 구성하는 방법은 PUSC, FUSC, optional-FUSC, AMC permutation 등의 방법이 있다. 또한 상향 링크에서는 PUSC, optional-PUSC, AMC permutation 등의 방법이 있다. 상기 AMC permutation을 제외한 다른 모든 부채널 할당 방법들은 기본적으로 전체 주파수 영역에 랜덤하게 분산되어 있는 부반송파들을 하나의 부채널에 할당하여 부채널을 할당받는 각 사용자에게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주도록 하고 있다. 상향 링크의 경우 채널 추정의 용이성을 위해서 부채널을 구성할 때 부반송파를 특정 단위로 묶은 후 그 단위를 바탕으로 부채널을 구성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IEEE 802.16 OFDMA 방식의 상향링크에서 PUSC 부반송파 할당 방식은 전체 부반송파들을 주파수-시간 축을 4 반송파 x 3 심볼로 구성된 타일로 나누고 이러한 타일들을 랜덤한 방식으로 선택하여 부채널을 구성한다. 이하에서 부채널을 설명함에 있어서 부반송파는 부반송파의 블록으로 대체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The OFDMA communication system allocates resources in units of subchannels, which are sets of specific subcarriers, to each user in uplink and downlink. In this case, there may be various ways of configuring the subchannels. For example, a method of configuring a subchannel in the downlink of the IEEE 802.16 OFDMA scheme includes a method such as PUSC, FUSC, optional-FUSC, AMC permutation, and the like. In the uplink, there are methods such as PUSC, optional-PUSC, and AMC permutation. All other subchannel allocation methods except AMC permutation basically allocate subcarriers randomly distributed in the entire frequency domain to one subchannel to give frequency diversity gain to each user who is allocated the subchannel. In case of uplink, subcarriers are grouped into specific units when subchannels are configured for ease of channel estimation, and then subchannels are configured based on the units. For example, in the uplink of the IEEE 802.16 OFDMA scheme, the PUSC subcarrier allocation scheme divides all subcarriers into tiles consisting of 4 carriers x 3 symbols on the frequency-time axis and randomly selects these tiles to configure a subchanne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subchannel,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subcarrier can be replaced with a block of the subcarrier.

또한 전체 부반송파들을 각 부채널로 나누는 방법은 각 부채널 구성 방법에 따라 정해진 수식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때 수식에는 셀마다 서로 다른 부채널이 만들어지도록 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이 파라미터는 여러 가지 이름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셀 ID"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은 부채널 구성 방법들을 통칭 "분산 부반송파 할당 방법"이라 부르기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of dividing all subcarriers into subchannels is performed through a formula determined according to each subchannel configuration method. In this case, the formula includes a parameter for generating different subchannels for each cell. This parameter may have various name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referred to as "cell ID". In addition, subchannel configuration methods as described above will be referred to collectively as "distributed subcarrier allocation method."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도 2는 이러한 분산 부반송파 할당 방식으로 할당된 부채널을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배치를 예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에서 두 기지국의 셀 A, B는 서로 다른 셀 ID를 가진다. 또한 앞서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채널에 할당된 부반송파 중에서 두 개의 부반송파에서 충돌이 발생한다.FIG. 2 described in the prior art shows an example of arrangement of subcarriers constituting a subchannel allocated by such a distributed subcarrier allocation scheme. In FIG. 2, cells A and B of two base stations have different cell IDs.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collisions occur in two subcarriers among subcarriers allocated to one subchannel.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은 부채널 관점에서 볼 때 한 사용자에게 할당된 부채널들의 부반송파와 인접 셀에서 할당된 전체 부채널들의 부반송파간의 충돌 수에 의해 결정된다. 분산 부반송파 할당 방법에서는 부채널을 구성하는 부반송파가 전체 주파수 영역에 랜덤하게 분포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셀 안의 부채널간 충돌 혹은 간섭은 평균적으로 특정 부채널에 관계없이 할당된 부채널의 개수에 의존하게 된다.The interference from the neighboring cell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collisions between the subcarriers of the subchannels assigned to a user and the subcarriers of the total subchannels allocated in the neighboring cell from the subchannel point of view. In the distributed subcarrier allocation method, since subcarriers constituting subchannels are randomly distributed in the entire frequency domain, collisions or interferences between subchannels in different cells depend on the number of subchannels allocated regardless of a specific subchannel on average. .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들에게 분산 부반송파 할당 방법을 사용하여 부채널을 할당할 경우 할당되는 전체 부채널의 개수를 제한함으로써 인접 셀로부터 오는 간섭 전력의 양을 조절한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bchannels are allocated to UEs for handover using a distributed subcarrier allocation method, the amount of interference power from neighbor cells is controlled by limiting the total number of subchannels allocated. Thi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모든 부채널이 할당되는 경우에서 각 부채널이 겪는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 전력을 I라 가정하자. 그러면 전체 부채널 중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할 단말들에게 할당할 영역을 미리 결정하고, 이 영역에서 1/M만이 할당되는 경우의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 전력은 모든 부채널에서 동일하게 근사적으로 I/M이 된다. 따라서 인접 셀들의 하드 핸드오버 사용자들이 상기한 바와 같은 분산 부반송파 할당 방법을 사용하는 공통 영역을 할당받고 이 영역에서 부채널의 전체 할당 개수를 조절하면 안정적인 하드 핸드오버가 가능한 신호 대 간섭 잡음 전력 비를 가지고 통신을 할 수 있다.그런데 이와 같이 채널을 할당하는 경우에도 확률적으로 부반송파간 중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원인은 전체 부반송파를 분산 부반송파 할당방식을 이용하여 할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좀 더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부반송파 대역을 미리 결정된 몇 개의 대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도 2b와 같이 전체 부반송파를 미리 결정된 3개의 대역으로 구분한다. 부반송파 대역을 3개의 대역으로 구분하면, 전체 부반송파를 이용하여 부채널을 이용하는 방식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먼저 핸드오버 상황에 존재하거나 또는 핸드오버 확률이 높거나 또는 원거리에 위치하여 채널 상황이 나쁜 단말들에게 할당하기 위한 부반송파들은 상위로부터 특정 영역으로 수신된다. 이러한 특정 영역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로 구성한다면, 3개의 영역이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3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3개로 구분된 영역들(230A, 230B, 230C) 중 선택된 영역에서만 부채널을 구성한다. 상기 도 2b에서는 230A 영역이 선택된 경우로 가정하였다. 이와 같이 230A 영역이 선택되면, 기지국은 선택된 영역에서 부채널을 조합한다. 즉,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거리 영역은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3이 되고, 근거리 영역에서는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1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는 원거리 및 근거리 영역으로 구분하지 않ㄱ, 핸드오버의 확률로 구분할 수도 있으며, 수신되는 채널의 상황 또는 수신 오류율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Assume that I is the interference power from neighboring cells experienced by each subchannel when all subchannels are allocated. Then, an area to be allocated to UEs to perform hard handover is determined in advance among all subchannels, and the interference power from neighbor cells when only 1 / M is allocated in this area is approximately equal to I in all subchannels. / M Therefore, if hard handover users of neighboring cells are allocated a common region using the distributed subcarrier alloc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and adjust the total number of subchannel allocations in this region, the signal-to-interference noise power ratio for stable hard handover can be achieved. However, even if the channel is allocated in this way, subcarrier overlap may occur.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ll subcarriers are allocated using a distributed subcarrier allocation scheme. Therefore, we propose a way to improve this more effective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dividing a subcarrier band into several predetermined bands. That is, as shown in FIG. 2B, the entire subcarriers are divided into three predetermined bands. If the subcarrier band is divided into three bands, the subcarrier band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method of using a subchannel using all subcarriers. First, subcarriers that exist in a handover situation or have a high handover probability or are located at a long distance and are allocated to terminals having a bad channel situation are received from a higher level to a specific region. If the specific area is composed of three as shown in Fig. 2B, it is the same as the case where the three areas use the frequency reuse coefficient of three. Therefore, the subchannel is configured only in the selected area among the three divided areas 230A, 230B, and 230C. In FIG. 2B, it is assumed that the 230A region is selected. When the area 230A is selected as such, the base station combines subchannels in the selected area. That i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frequency reuse factor is 3 in the far region and the frequency reuse factor is 1 in the short range. This may be classified by the probability of handover, not divided into the far and near regions, and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of the received channel or the reception error rate.

상기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영역(230A)의 부반송파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채널을 구성할 때, 상기 선택된 부반송파들내에서 분산 부반송파 할당 방법을 사용하여 부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b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굳이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인접한 기지국에서는 동일한 부반송파에 대하여 원거리 영역에 위치하거나 또는 핸드오버를 수행 중이거나 또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확률이 높은 단말들에게 할당되는 부채널은 다른 영역들(230B, 230C)의 부반송파들을 이용하여 전송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속된 부반송파들로 하나의 부채널을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런데 인접한 부반송파들을 이용하는 경우 대체로 채널 환경에 따른 제약이 유사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분산 부반송파 할당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산 부반송파 할당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하나의 부채널은 230A-a, 230A-b, …, 230A-n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B, when configuring one channel using subcarriers of the first region 230A, a subchannel may be configured using a distributed subcarrier allocation method within the selected subcarriers. However, if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2b it may not necessarily need to use this method. This is because, in an adjacent base station, a subchannel allocated to UEs located in a far-field region or performing a handover or having a high probability of performing a handover on the same subcarrier uses subcarriers of other regions 230B and 230C. Because it transmits. Therefore, one subchannel may be configured by successive subcarriers.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djacent subcarriers, a restriction due to a channel environment may occur in general, and thus, a distributed subcarrier allocation method may be us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2B, in the case of using the distributed subcarrier allocation method, one subchannel includes 230A-a, 230A-b,... It can be configured as 230A-n.

이와 같이 원거리 영역에 위치하거나 또는 핸드오버를 수행 중이거나 또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확률이 높은 단말들에게 할당되는 부채널이 1/n로 구성되면, 사기 구성된 채널은 나머지 단말들에게 할당되는 영역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반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역의 채널 구성 방법이 달라지게 된다. 이를 도 2c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If the subchannel allocated to the UEs located in the remote area, performing handover, or having a high probability of performing a handover is configured as 1 / n, the fraud-configured channel is also allocated to the remaining terminals. Should be used equally. Therefore, the channel configuration method of the area for transmitting general data is different.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C.

도 2c는 일반 단말 또는 근거리 영역의 단말에게 할당하기 위한 부반송파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채널을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도시한 경우이다. 도 2c와 같이 일반 단말 또는 근거리 영역의 단말에게 할당되는 부반송파들은 상기 원거리 영역 또는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에게 할당되지 않는 영역의 부반송파들을 이용하여 부채널을 구성한다. 상기 나머지 부반송파들을 이용하여 부채널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분산 부반송파 할당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채널 구성 방법이다. 따라서 상기 도 2c에서는 분산 부반송파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채널을 구성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2C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one channel is configured using subcarriers for allocating to a general terminal or a terminal in a short range region. As shown in FIG. 2C, subcarriers allocated to a general terminal or a terminal in a short range region configure a subchannel using subcarriers in a region not allocated to the remote region or a terminal performing handover. When a subchannel is configured using the remaining subcarriers, a distributed subcarrier allocation scheme is more preferable. Accordingly, FIG. 2C illustrates a case of configuring a channel using a distributed subcarrier allocation scheme.

또 다른 예로서, 인접한 기지국의 수가 많고, 그 기지국들간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의 수가 많은 경우에 부반송파들을 약간씩 중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도 2d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number of adjacent base stations is large and the number of terminals performing handover between the base stations is large, the subcarriers may be configured to overlap slightly. This ca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D.

상기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부반송파의 개수를 n+1개로 가정할 때, 제1기지국에 할당하는 부반송파를 참조부호 240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제2기지국에 할당하는 부반송파를 참조부호 241로 도시하였으며, 제3기지국에 할당하는 부반송파를 242로 도시하였으며, 제n기지국에 할당하는 부반송파를 참조부호 24n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부반송파들은 소정 부분씩 중첩되는 부분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약간씩 부반송파가 중첩되더라도 인접한 기지국들의 수가 많기 때문에 실제로 중첩되는 기지국에 인접한 단말에게만 상기 중첩되는 영역의 부반송파들을 가지는 채널을 할당하지 않는다면 실제로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할 때, 핸드오버 영역 또는 원거리 영역 또는 핸드오버 가능성이 높은 단말들에게 할당하지 않는 부반송파들은 앞의 도 2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부채널을 구성한다. 그리고 도 2d와 같은 형태로 핸드오버 영역 또는 원거리 영역 또는 핸드오버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단말에게 할당되는 부반송파들을 이용하여 부채널을 구성할 때, 분산 부반송파 할당 방법을 이용하여 부채널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인접한 부반송파들을 이용하여 부채널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D, assuming that the total number of subcarriers is n + 1, the subcarriers allocated to the first base station are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24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subcarriers allocated to the second base station are shown by reference numeral 241, the subcarriers allocated to the third base station are shown by 242, and the subcarriers allocated to the n base station are shown by reference numeral 24n. As shown in FIG. 2D, each subcarrier has a portion overlapping with a predetermined portion. Even though the subcarriers overlap slightly, the number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is large, so that a large problem does not occur unless a channel having subcarriers in the overlapping region is allocated only to a terminal adjacent to the base station that is actually overlapping. In this configuration, the subcarriers that are not allocated to the handover region, the remote region, or the terminals with high handover possibility configure the subchannel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C. In addition, when configuring a subchannel using subcarriers allocated to a handover region, a remote region, or a terminal having a high probability of handover, the subchannel may be configured using a distributed subcarrier allocation method. In addition, subchannels may be configured using adjacent subcarriers.

그러면 이러한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OFDMA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OFDMA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프레임의 구성 및 할당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ownlink frame in an OFDM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allocation method of a downlink frame in an OFDM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 링크의 채널은 프리앰블(301)과 MAP 정보(302)와 데이터 전송 영역(310, 320)을 가진다. 상기 하향 링크 프레임의 첫 심볼은 대개 프리앰블(301)로 시작한다. 따라서 각 단말(사용자)은 프리앰블로부터 하향링크의 동기를 획득한다. 그리고 프리앰블 다음의 몇 개의 심볼들은 각 단말에게 상향 및 하향 부채널 할당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MAP 정보(302)가 송신된다. 그런 후 데이터 전송 영역(310, 320)이 존재한다. 상기 도 3에서는 MAP 정보(302)가 송신된 이후 X개의 심볼들을 핸드오버 영역 부채널들(310)로 설정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핸드오버 영역 또는 원거리 영역 또는 핸드오버 확률이 높은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에게만 할당하기 위한 핸드오버 영역 부채널들(310)을 구비한다. 상기 핸드오버 영역 부채널들(310)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1보다 큰 수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핸드오버 영역 부채널들(310)의 이후에는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단말들에게 할당할 일반 사용자 영역 부채널들(320)을 가진다. 상기 일반 사용자 영역 부채널들(320)은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1로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일반 사용자 영역 부채널들(320)의 자원은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1로 하여 부채널들을 구성하고, 각 단말들에게 자원이 할당된다. As shown in FIG. 3, the downlink channel has a preamble 301, MAP information 302, and data transmission regions 310 and 320. The first symbol of the downlink frame usually begins with the preamble 301. Accordingly, each terminal (user) obtains downlink synchronization from the preamble. In addition, MAP information 302 for transmitting uplink and downlink sub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to each user equipment is transmitted for several symbols following the preamble. Thereafter, data transmission areas 310 and 320 exist. 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X symbols are set to the handover region subchannels 310 after the MAP information 302 is transmitted.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handover region subchannels 310 for allocating only to terminals located in a handover region, a remote region, or a region having a high handover probability. In the handover region subchannels 310, a frequency reuse factor greater than 1 is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handover area subchannels 310, the mobile station subchannels 310 have general user area subchannels 320 to be allocated to terminals that do not perform handover. The general user region subchannels 320 use a frequency reuse factor of one. Accordingly, the resources of the general user area subchannels 320 constitute subchannels with a frequency reuse factor of 1, and resources are allocated to the respective terminals.                     

반면에 상기 핸드오버 영역 부채널들(310)은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1보다 큰 수이기 때문에 핸드오버에 사용되는 부채널들(311)과 핸드오버에 사용되지 않는 부채널들(312)이 존재한다. 핸드오버 영역 부채널들(310)은 전체 할당 가능한 부채널들 중 일부만 할당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 3에서는 각 부채널들은 도 2b 및 도 2d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부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 전에 설명한 방법을 이용하여도 하나의 부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handover region subchannels 310 have a frequency reuse coefficient greater than 1, there are subchannels 311 used for handover and subchannels 312 not used for handover. . The handover region subchannels 310 allocate only a portion of all assignable subchannels. In addition, in FIG. 3, each of the subchannels may configure a subchannel through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B and 2D. In addition, one subchannel may be configured using the method described previously.

이와 같이 핸드오버 영역 부채널들(310)의 심볼 개수(M) 및 핸드오버 영역 부채널들(310) 중에서 핸드오버 단말에게 할당할 가능한 부채널들(311)의 비율(R)은 시스템 운용 시 통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비율이란, 도 2d와 같은 방법으로 구성할 경우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핸드오버 사용자의 비율 및 셀 가장자리에서의 신호 및 간섭 잡음 비에 대한 통계를 일정 기간 누적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할 수 있다.As such, the ratio R of the number of symbols M of the handover region subchannels 310 and the subchannels 311 that can be allocated to the handover terminal among the handover region subchannels 310 is determined when the system is operated. Can be determined statistically. That is, the ratio is a method used when the method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2D. The ratio of the handover user's ratio and the signal and interference noise ratio at the cell edge may be accumul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determined using the same. .

이상에서 설명한 도 3에서는 핸드오버 영역 부채널들(310) 이후에 일반 사용자 영역 부채널들(320)을 가지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순서는 바뀌어도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2가지 영역의 부채널들을 구비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FIG. 3, the general user area subchannels 320 are included after the handover area subchannels 310. However, this order does not matter much if changed. However, if the subchannels of two regions are provid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다음으로 상향 링크의 부채널 할당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OFDMA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의 부채널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OFDMA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의 부채널 할당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 기로 한다.Next, an uplink subchannel alloc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an uplink in an OFDM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uplink subchannel allocation method in an OFDM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상향 링크에서는 첫 번째 심볼부터 시작되는 제어 심볼 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 심볼 영역은 ranging을 위한 심볼, HARQ의 응답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영역 등으로 구성된다. 그 이후 영역은 일반 사용자 영역 부채널들(410)이 존재한다. 상기 일반 사용자 영역 부채널들(410)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1로 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사용자들에게 할당되는 부채널들이다. 따라서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단말들은 일반 사용자 영역 부채널들(410)이 할당되어 상향 링크로 송신한다. 반면에 상기 일반 사용자 영역 부채널들(410) 이후에 위치한 핸드오버 영역 부채널들(420)은 전체 부채널이 사용되지 않고,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만이 사용된다.The uplink includes a control symbol region starting from the first symbol. The control symbol region includes a symbol for ranging, an region for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of HARQ, and the like. Thereafter, there are general user area subchannels 410 in the area.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the general user region subchannels 410 are subchannels allocated to users who do not perform a handover with a frequency reuse factor of 1. Accordingly, terminals that do not perform handover are allocated general user area subchannels 410 and transmit on the uplink. On the other hand, the handover region subchannels 420 located after the general user region subchannels 410 do not use the entire subchannel, and only some of them are us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이와 같이 핸드오버 단말들에게 일부의 부채널을 할당함으로써 전체적인 관점에서 동일한 주파수 자원이 할당될 수 있는 확률을 낮출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 전체 대역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such, by allocating some subchannels to the handover terminal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allocating the same frequency resource from an overall perspectiv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ntire band can be utilized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frequency reuse factor.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는 OFDMA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된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의 동작 및 OFDMA 시스템 전체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OFDMA system including a base station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ntire OFDMA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상기 OFDMA 시스템은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소정 영역들(510, 520, 530)을 가지는 각 기지국들(511, 521, 53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 기지국들(511, 521, 531)은 기지국 제어기(500)와 연결되며, 상기 기지국 제어기(500)와 제어신호 및 서비스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에는 앞에서 상술한 제한 채널 인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채널 인자의 결정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살피기로 한다. 그리고, 기지국들(511, 521, 531)은 핸드오버 되는 단말들의 통계 값들을 기지국 제어기(50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OFDMA system includes base stations 511, 521, and 531 having predetermined regions 510, 520, and 530 that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In addition, each of the base stations 511, 521, and 531 is connected to a base station controller 500, and transmits / receives a control signal and serviced data wit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500. In this case, the control signal may include the above-mentioned restriction channel factors,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channel factor will be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base stations 511, 521, and 531 may deliver statistical values of terminals to be handed over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500.

따라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50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값들을 이용하여 제한 채널 인자를 생성하며, 각 단말로 제공되는 각각의 서비스들을 분류하며, 상위 또는 하위의 기지국들(511, 521, 531)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을 스위칭 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500)는 필요한 경우 핸드오버의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500)의 상위에 유선망과 연결되기 위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도 5에서는 PDNS을 도시하지 않고, 유선망(540)으로 총칭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유선망(540)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5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음성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VoIP 제공 서버(560)와 연결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base station controller 500 generates the restricted channel factor by using the valu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respective services provided to each terminal, and selects from the upper or lower base stations 511, 521, and 531. Switch incoming traffic. The base station controller 500 performs handover control if necessary. In addition, a packet data service node (PDSN)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500 to be connected to a wired network. In FIG. 5, the PDNS is not illustrated, but is collectively configured as a wired network 540. The wired network 540 may be connected to a data server 550 providing a data service, and may be connected to a VoIP providing server 560 for providing voice communication.

상기 데이터 서버(550)는 일반적인 인터넷 서버가 될 수도 있으며, 영화 또는 음악 또는 방송 등의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이다. 물론, 검색 및 게임을 위한 서버일 수도 있다. 그리고 VoIP 제공 서버(560)는 음성 서비스를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 서비스 제공 업자들에 따라 다른 이름 또는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으나, IP 형태의 패킷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서버를 모두 총칭한다. 또한 3G 시스템에서 개발되고 있는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PTT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server 550 may be a general Internet server, and may be a server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data services such as movies, music, or broadcasting. Of course, it could also be a server for searching and gaming. In addition, the VoIP providing server 560 is a server for converting and providing a voice service into packet data. The VoIP providing server 560 may have a different name or different configuration depending on service providers, but may provide a server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in an IP type packet. All are generic. It may also include a PTT server that provides a PTT service being developed in the 3G system.                     

따라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500)는 송수신 데이터를 유선망(540)의 규격에 맞추어 전송하고 수신하며, 기지국과 통신경로를 통해 통신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500)는 OFDMA 프레임의 특정 영역에 설정된 부반송파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특정 부반송파는 특정 영역에 포함된 상기 이동에 대해 인접된 기지국과 서로 구분되어 사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부반송파의 할당 및 관리 기능을 상기 기지국 제어기(500)에서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시스템 구성시 기지국 제어기(500)는 한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인접된 기지국간 서로 다른 기지국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기지국 제어기간의 통신을 통해 각각의 기지국 제어기에서 관리하는 기지국에 대해 서로 다른 부반송파가 할당 될 수 있도록 조정한다.(그림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Therefore, the base station controller 50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the wired network 540, and performs a communication function through 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500 manages a subcarrier set in a specific region of an OFDMA frame. Since the specific subcarrier should be able to be used separately from adjacent base stations for the movement included in a specific area, the subcarrier allocation and management functions can be integrated and performed by the base station controller 500. In the system configuration, whe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500 includes one or more base stations and different base station controllers are configured, different subcarriers may be allocated to base stations managed by each base station controller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controllers. Adjust it so that it is not shown.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500)와 통신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기지국내에 구비된 전송장치를 통해(그림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이동단말과 물리규격에 맞추어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과 데이타를 송수신한다. 이때, 각 기지국들은 해당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한 단말로 부채널을 할당할 경우에 상술한 도 2b 내지 도 2d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부채널을 구성하고, 이를 할당한다. A base station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500.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performs a conn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not shown in the figure),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terminal. In this case, each base station configures a subchannel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b to 2d when allocating a subchannel to a terminal located in an area of the base station, and allocates the subchannel.

시스템 관리 단말(501)은 시스템 변경 또는 상태관리를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시스템 관리 단말(501)은 기지국 제어기(500)에 연결되며 기지국 제어기(500)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시스템 제어 명령을 송수신 한다. 시스템 운용자는 상기 시스템 관리 단말을 통해 부반송파의 할당 명령을 전달하고, 그 수행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유선망(540)은 기지국제어기 또는 그 상위의 교환기(그림에 도 시되어 있지 않음)와 연결되어 호 설정 및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그 상위의 회선 교환기(PSTN)와 데이터 통신망(IP망)을 포함한다.The system management terminal 501 performs a function for system change or state manag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management terminal 501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500 and monitors the state of the base station controller 500 and transmits and receives system control commands. The system operator may transmit a subcarrier allocation command through the system management terminal and receive a result of the execution. The wired network 540 is connected to a base station controller or an upper switch (not shown) to perform call setup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he upper circuit switch (PSTN) and data communication network (IP network).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 제어기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들에게 제한 채널 인자를 생성하여 전송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 제어기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들에게 제한 채널 인자를 생성하여 전송 시의 제어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FIG. 6 is a control flowchart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restricted channel factor to terminals performing handover in a base station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6, a control proces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restricted channel factor to terminals performing a handover in a base station controll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기지국 제어기(500)는 610단계에서 기지국들로부터 핸드오버 자료를 수집한다. 이러한 자료의 수집은 미리 결정된 주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기지국 제어기(500)가 필요한 경우 요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기지국들로부터 핸드오버 자료를 수집이 완료되면, 620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별 제한 채널 인자를 생성한다. 상기 기지국별 제한 채널 인자는 핸드오버 단말의 수와 전송할 데이터의 양 등에 따라 구성할 수 있으며, 인접하는 기지국들의 형태에도 구애받는다. 즉, 인접한 기지국의 숫자가 적고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의 수가 적은 경우라면, 제한 채널 인자는 작은 값을 가진다. 즉,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작은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반대의 경우라면,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큰 값을 사용해야 한다.The base station controller 500 collects handover data from the base stations in step 610. The collection of such data may be at predetermined intervals or may be required if the base station controller 500 is required. When the handover data is collected from each base st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620 to generate the restricted channel factor for each base station. The limiting channel factor for each base station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handover terminals and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and is also dependent on the types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That is, if the number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is small and the number of terminals performing handover is small, the limited channel factor has a small value. That is, the frequency reuse coefficient can be used as a small value. However, in the opposite case, a value with a large frequency reuse factor should be used.

이와 같이 기지국별 제한 채널 인자를 생성한 이후에 상기 생성된 값을 각 기지국별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앞의 도 2b 내지 도 2d와 같은 방법으로 채널을 설정하고, 도 3 및 도 4와 같이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에 할당할 채널들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후 기지국 제어기(500)는 630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 제어모 드를 수행한다.After generating the restriction channel factor for each base station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ted value is transmitted for each base station. Through this, the channel is set in the same manner as in FIGS. 2B to 2D, and the channels to be allocated to the downlink and the uplink can be generated as shown in FIGS. 3 and 4. After that, the base station controller 500 proceeds to step 630 to perform the base station control mode.

여기서 기지국 제어모드란, 각 기지국에서 서비스받는 단말들에게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위의 유선망(540)을 통해 데이터 서버(550) 또는 VoIP 제공 서버(560)을 통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모드란, 앞에서 설명한 주파수 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2가지 동작이 함께 수행되는 과정을 기지국 제어모드라 칭하였다.
Here, the base station control mode includes a process of providing a service through the data server 550 or the VoIP providing server 560 through the wired network 540 of the data provided to the serviced terminal in each base station.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control mode includes a control process for making the most efficient use of the aforementioned frequency resources.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se two operations together is called a base station control mod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OFDMA 통신 시스템에서 하드 핸드오버를 제공할 때,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various services while efficiently using frequency resources when providing hard handover in an OFDMA communication system.

Claims (2)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nd base station controller,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다수의 기지국과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기지국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인접한 기지국간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며, 각 기지국들은 통신중인 단말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이 특정 영역에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가 다른 부채널을 할당하여 상기 특정 영역에 있는 단말들에게 전송하는 신호들간 충돌을 낮추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The base station controller transmits and receives control information to and from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t least some of the base stations use the same frequency between adjacent base stations, each base station provides a service according to a communicating terminal, and the terminal is located in a specific area.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subcarrier allocates another subchannel to reduce collisions between signals transmitted to terminals in the specific region.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in a base station controller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다수의 기지국과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과,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with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상기 기지국들 중 서로 인접하며,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각 기지국들이 통신중인 단말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며,And providing a service according to a terminal in which each of the base sta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nd using the same frequency ar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상기 서비스를 제공 시, When providing the above service, 여기서 상기 전송 전력을 상기 단말이 특정 영역에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가 다른 부채널을 할당하여 상기 특정 영역에 있는 단말들에게 전송하는 신호들간 충돌을 낮추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Here, the transmission power is distinguished from when the terminal is in a specific region and when it is not, so that at least one subcarrier allocates another subchannel to reduce collisions between signals transmitted to the terminals in the specific region. Said method.
KR1020040103890A 2004-11-19 2004-11-19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a KR200600562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890A KR20060056212A (en) 2004-11-19 2004-11-19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890A KR20060056212A (en) 2004-11-19 2004-11-19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212A true KR20060056212A (en) 2006-05-24

Family

ID=3715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890A KR20060056212A (en) 2004-11-19 2004-11-19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6212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945B1 (en) * 2005-10-12 2007-05-07 엘지노텔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Sub-channel In The OFDMA System
KR101528175B1 (en) * 2008-02-21 2015-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of uplink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31795B2 (en) 2010-01-18 2016-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ecoding method based on multiple cells and multiple us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945B1 (en) * 2005-10-12 2007-05-07 엘지노텔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Sub-channel In The OFDMA System
KR101528175B1 (en) * 2008-02-21 2015-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of uplink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31795B2 (en) 2010-01-18 2016-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ecoding method based on multiple cells and multiple us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4787B1 (en) Improved radio resource allocation mechanism
JP4834326B2 (en)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using power planning for OFDM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K1997334T3 (en) Measuring supported dynamic frequency re-use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s
KR1009095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oft handoff for reverse link through frequency re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17485B1 (en) Uplink soft handoff support in umts tdd systems for efficient uplink power and rate control
JP419173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0511554B1 (en) Method for comprising and assigning forwarding channel o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requency division duplex
JP2006141038A (en) Handover method and system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50249322A1 (en) Methods for terminal assisted coordinated radio serving and interference avoidance in OFDM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60126546A1 (en) Enhanced hybrid duplexing technology-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77450B1 (en) Method and arragement for minimizing intracell interferenec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EP1931089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050117445A (en) Handover method in a of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OREIRA et al. Silva
JP2009194919A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allocating wireless resources
JP4348298B2 (en) Radio resource management method
US9094095B2 (en) Support of plural bandwidth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2010538583A (en) Dynamic on / off spectrum connection scheme to increase spectral efficiency
EP2822320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base station
US855423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transmitter
KR20060056212A (en)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a
Kriengchaiyapruk et al. Adaptive switching point allocation in TD/CDMA systems
EP1944987A1 (en) A method for allocation of radio resources in multi cell communication networks, a base station and a multi cell communication network therefor
KR20060056141A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a
KR200600561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