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039A - Electronic karte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nic kart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039A
KR20060045039A KR1020050026728A KR20050026728A KR20060045039A KR 20060045039 A KR20060045039 A KR 20060045039A KR 1020050026728 A KR1020050026728 A KR 1020050026728A KR 20050026728 A KR20050026728 A KR 20050026728A KR 20060045039 A KR20060045039 A KR 20060045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isplayed
key
screen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히로유끼 유야마
다까오 쯔다
가즈시 다께다
마사오 곤도오
시게루 오노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45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0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eth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병명의 입력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다.This invention makes it easy to input an illness.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수단(2)에 전자 카르테를 표시하고, 입력 수단(1)에 의한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표시된 전자 카르 테에 입력 데이터를 반영시키고, 입력 데이터를 반영시킨 전자 카르 테를 기억 수단(3)에 기억시키는 제어 수단(4)을 구비한다. 입력 수단(1)은 소정 영역 내에 배열되고, 선택 가능한 상병명에 관한 코드 번호 또는 상병명에 관한 문자열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표시되는 복수의 입력 키와, 상기 입력 키에 표시되는 전체 항목을 상병명에 관한 코드 번호 또는 상병명에 관한 문자열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버튼을 구비한 터치 패널로 구성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art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2, the input data is reflected on the displayed electronic cart based on the input operation by the input means 1, and the electronic Carte is reflected. The control means 4 which stores in the memory means 3 is provided. The input means 1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ea and correlates a plurality of input keys in which any one of a code number relating to a selectable corporal name or a character string relating to a corporal name is displayed, and an entire item displayed on the input key. And a touch panel having a switch button for switching to either a code number relating to a name or a character string relating to a corporal name.

상병명, 전자 카르테, 입력 키, 전환 버튼, 진료 정보 Sick name, e-carte, enter key, toggle button, medical information

Description

전자 카르테 장치{ELECTRONIC KARTE DEVICE}Electronic Carte device {ELECTRONIC KARTE DEVICE}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카르테 시스템의 개략을 도시하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n electronic car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2a는 도1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텐키 영역의 초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FIG. 2A is a diagram showing an initial screen of a tenkey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FIG.

도2b는 도1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이제부터 진찰을 개시하고자 하는 환자의 전자 카르테를 나타내는 도면.FIG. 2B is a view showing an electronic carte of a patient who is going to start medical examination from now o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FIG.

도3은 "S" 키가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입력란(키패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input field (keypad screen) indicating a state in which the "S" key is operated.

도4는 도3의 입력란에서 1 "주요 질환"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키보드 입력 화면.4 is a keyboard input screen displayed by manipulating 1 "major disease" in the input box of FIG.

도5는 도3의 입력란에서 2 "문진(問診)"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문진 화면.Fig. 5 is a paperweight screen displayed by manipulating 2 " paperweight " in the input box of Fig.3.

도6은 도3의 입력란에서 2 "문진"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입력란을 나타내는 도면.FIG. 6 is a diagram showing a text box displayed by operating 2 "Confirmations" in the text box of FIG.

도7은 도6에서, 1 "발열"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입력란을 나타내는 도면.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input box displayed by operating one "heating" in FIG. 6; FIG.

도8a는 텐키 영역에서, "O"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8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items have been changed by operating the " O " key in the ten-key area.

도8b는 도8a의 입력란에서, "화상 진단"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화상 진단 결과 입력" 화면.FIG. 8B is a "image diagnosis result input"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image diagnosis" key in the input box of FIG. 8A;

도8c는 화상 진단이 2 이상인 경우에 표시되는 "검사 실시일 선택" 화면.Fig. 8C is a "test execution day selection" screen displayed when the image diagnosis is 2 or more.

도8d는 도8a의 입력란에서, "소견"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8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item has been changed by operating the " remark " key in the input box of FIG. 8A;

도8e는 도8a의 입력란에서, "개별적 소견"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8E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items have been changed by operating the " individual opinion " key in the input box of Fig. 8A;

도9a는 도8d의 입력란에서, "전신적 소견" 키를 조작함으로써 "바이탈 사인" 화면.FIG. 9A is a "vitamin sign" screen by operating the "systemic finding" key in the input box of FIG. 8D; FIG.

도9b는 도8e의 입력란에서, "경부(頸部)"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경부" 화면.Fig. 9B is a "neck"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a "neck" key in the input box of Fig. 8E;

도10은 텐키 영역에서, "A" 키를 조작하여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item is changed by operating the "A" key in the ten key area;

도11은 텐키 영역에서, "A"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상병명 관리" 화면.Fig. 11 is a " patient name management "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 A " key in the ten key area;

도12는 도10의 입력란에서, "상병명" 을 조작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operating "sickness name" in the input box of FIG. 10; FIG.

도13a는 도12의 입력란에서, 1 "빈용(頻用) 검색" 을 조작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3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operating one " free search " in the input box of FIG.

도13b는 도13a에 나타내는 입력란에서, 키워드를 조작함으로써 팝업 표시되 는 키워드 입력 검색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Fig. 13B is a diagram showing a keyword input search screen popped up by operating a keyword in the input box shown in Fig. 13A;

도14a는 도13의 입력란에서, 텐키 중 어느 것을 조작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4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operating any of the tenkeys in the input box of Fig. 13;

도14b는 도14a에 나타내는 입력란으로부터의 상병명의 입력이 완료됨으로써 변경되는 텐키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최종 결정 화면.FIG. 14B is a final decision screen showing display contents of a ten key changed by completion of input of a sickness name from the input field shown in FIG. 14A; FIG.

도14c는 도14a에 나타내는 입력란에서, 2 "분류 검색" 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 10의 대분류에 해당하는 문자열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4C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ntent of the tenkey is converted into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major classification of ICD 10 by operating 2 "classification search" in the input box shown in FIG. 14A;

도14d는 도14c에 나타내는 입력란에서, F1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 10의 대분류에 해당하는 코드 번호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4D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ntent of the tenkey is switched to the cod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major classification of ICD 10 by operating F1 in the input field shown in FIG. 14C;

도14e는 도14c에 나타내는 입력란에서, 9 "순환기계" 를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 10의 중분류에 해당하는 문자열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4E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ntent of the tenkey is converted into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middle classification of ICD 10 by operating 9 "circulation machines" in the input box shown in Fig. 14C;

도14f는 도14e에 나타내는 입력란에서, F1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 10의 중분류에 해당하는 코드 번호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4F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ntent of the tenkey is switched to the cod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middle classification of ICD 10 by operating F1 in the input box shown in Fig. 14E.

도14g는 도14e에 나타내는 입력란에서, 2 "만성 류마티스성 심질환" 를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 10의 소분류에 해당하는 문자열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4G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ntent of Tenkey is converted into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a subclass of ICD 10 by operating 2 "chronic rheumatic heart disease" in the input box shown in Fig. 14E.

도14h는 도14g에 나타내는 입력란에서, F1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 10의 소분류에 해당하는 코드 번호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4H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ntent of the tenkey is switched to the cod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ubclass of ICD 10 by operating F1 in the input field shown in Fig. 14G.

도14i는 도14g에 나타내는 입력란에서, 2 "류마티스성 승모판 질환" 를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 10의 상병명에 해당하는 문자열로 전환된 상태를 나 타내는 도면.Fig. 14I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ntent of Tenkey is converted into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name of a disease in ICD 10 by manipulating 2 "rheumatic mitral valve disease" in the input field shown in Fig. 14G.

도14j는 도14i에 나타내는 입력란에서, F1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 10의 상병명에 해당하는 코드 번호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4J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ntent of Tenkey is switched to the cod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ame of the sickness of ICD 10 by operating F1 in the input box shown in Fig. 14I.

도14k는 도12에 나타내는 화면에서, 4 "급성 질환"이 선택됨으로써 전자 카르테에 자동 입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4K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4 "acute diseases" are automatically entered into the electronic cart by the screen shown in Fig. 12;

도14l은 도14k에 나타내는 화면에서, 종료 예정일이 입력된 상병명에 대하여 정료 예정일이 경과함으로써 표시되는 경고 다이알로그를 나타내는 도면.Fig. 14L is a diagram showing a warning dialog displayed when the scheduled date of termination has elapsed with respect to the name of a sick in which the scheduled date of termination has been entered on the screen shown in Fig. 14K;

도14m은 도14a에 나타내는 화면에서, 3 "병명"이 선택됨으로써 전자 카르테에 표시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Fig. 14M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cart by selecting three "bottle names" on the screen shown in Fig. 14A.

도15는 도14의 입력란에서, "수식어" 키를 조작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operating a " formula " key in the input box of FIG.

도16은 도15의 입력란에서, 1 "50음" 을 선택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selecting 1 " 50 sounds " in the input box of FIG.

도17은 도16의 입력란에서, 1 "접두어" 를 선택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selecting 1 "prefix" in the input box of FIG.

도18은 도17의 입력란에서, "아행" 을 선택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selecting "row" in the input box of FIG.

도19는 도18의 입력란에서, 1 "아" 를 선택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9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selecting " A " in the input box of Fig. 18;

도20은 도10의 "전귀(轉歸)" 키를 선택하여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being switched by selecting the "return" key of FIG.

도21은 텐키에서, "P" 키를 조작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2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operating the "P" key in the ten key;

도22는 도21의 입력란에서, "내복(內服)", "돈복(頓服)", "외용(外用)", "주(注射)"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의약품 선택" 화면.FIG. 22 is a screen for selecting a “drug” displayed by operating the “inner clothing”, “pig suit”, “foreign use”, and “main” keys in the input box of FIG. 21;

도23은 도22의 입력란에서, 약효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23 is a view showing a state switched to be selected for each drug in the input box of FIG. 22; FIG.

도24는 도22의 입력란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의약품명를 선택 가능하게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24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ug name can finally be selected from the display contents of the input box in Fig. 22;

도25는 도24의 입력란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복용 시기에 관한 내용으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25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switching from display contents of the input box of FIG. 24 to contents relating to the taking time; FIG.

도26은 도22의 "의약품 선택 화면"에서, "DO"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DO 리스크" 화면.FIG. 26 is a "DO risk"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a "DO" key in the "drug selection screen" in FIG.

도27a는 도22의 "의약품 선택 화면"에서, "약속"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약속 처방 세트" 화면.Fig. 27A is a "drug prescription set"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drug appointment" key in the "drug selection screen" in Fig. 22;

도27b는 약속 처방을 등록하는 화면.Fig. 27B is a screen for registering an appointment prescription.

도27c는 약속 처방을 입력하는 화면.Fig. 27C is a screen for inputting an appointment prescription.

도28은, 초기 화면에서 표시되는 "수진 리스트"화면.Fig. 28 is a "fingerprint list" screen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도29는, 전자 카르테의 날짜 입력시에 표시되는 캘린더 화면.Fig. 29 is a calendar screen displayed at the time of date input of an electronic carte.

도30은 도28의 화면에서, "환자 검색"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환자 검색" 화면.30 is a "patient search"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patient search" key in the screen of FIG.

도31은 표시 장치에 전자 카르테를 표시시킨 상태에서의 진찰 상태를 나타내는 약도.Fig. 3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ination state in a state where an electronic cart is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도32는 도21의 화면에서, "처치"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처치 전표" 화면.32 is a "treat slip"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treat" key on the screen of FIG.

도33은 도21의 화면에서, "수술"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수술 전표" 화면.33 is a "surgical slip"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surgical" key on the screen of FIG.

도34는 도21의 입력란에서, "화상"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화상 진단 세트 리스트" 화면.FIG. 34 is a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image" key in the input box of FIG.

도35는 화상 진단 세트를 등록하기 위한 화면.35 is a screen for registering an image diagnosis set.

도36은 화상 진단 세트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36 is a screen for inputting an image diagnosis set.

도37은 도35의 "화상 진단 세트 등록" 화면에서, "신규 작성", "수정"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변경된 텐키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Fig. 37 is a diagram showing a ten-key area in which the display contents of numeric keys are changed by operating the " create new " and " modify " buttons on the " image diagnosis set registration " screen of Fig. 35;

도38은 도37의 화면에서, "부위"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Fig. 38 is a screen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items have been changed by operating the " part " key in the screen of Fig. 37;

도39는 도37의 화면에서, "방향"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Fig. 39 is a screen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items have been changed by operating the " direction " key in the screen of Fig. 37;

도40은 도37의 화면에서, "필름"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Fig. 40 is a screen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items have been changed by operating the " film " key in the screen of Fig. 37;

도41은 도37의 화면에서, "약제"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Fig. 41 is a screen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items have been changed by operating the "drug" key in the screen of Fig. 37;

도42는 도37의 화면에서, "재료"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Fig. 42 is a screen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items have been changed by operating the " material " key in the screen of Fig. 37;

도43은 도21에 나타내는 입력란에서, "지도"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FIG. 43 is a screen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items have been changed by operating the " map " key in the input box shown in FIG.

도44는 도21에 나타내는 입력란에서, 1 내지 8 중 어느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FIG. 44 is a screen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item is changed by operating any of keys 1 to 8 in the input box shown in FIG. 21;

도45는 도21에 나타내는 입력란에서, "영양 지도"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지도분의 일람표.FIG. 45 is a list of map portions displayed by operating the "nutrition map" key in the input field shown in FIG.

도46은 텐키 영역의 "O" 키를 조작하여 표시된 입력란에서, "세마"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세마" 화면.Figure 46 is a "sema"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a "sema" key in an input field displayed by operating "O" key in the ten-key area.

도47은 치료에서, 환자에게 투약하는 의약품을 선택하는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Fig. 47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in the case of selecting a medicine to be administered to a patient in the treatment;

도48은 검사 결과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48 is a flowchart showing inspection result display processing;

도49는 검사 결과를 시계열로 일람표로서 표시한 화면.Fig. 49 is a screen displaying the inspection results in a table in time series.

도50은 그래프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50 is a flowchart showing graph display processing;

도51은 도50에 나타내는 그래프 표시 처리에 의해 얻어진 그래프.FIG. 51 is a graph obtained by the graph display process shown in FIG. 50;

도52는 처방 체크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52 is a flowchart showing prescription check processing.

도53a는 상호 작용과 적응증에 대하여 문제 있다고 판단된 경우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화면.Fig. 53A is a screen showing the display conte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interaction and indications.

도53b는 의약품 정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Fig. 53B is a diagram showing a drug information screen.

도54는 도21에 나타내는 화면에서, 8 "검사" 키를 조작함으로써 팝업 표시되는 검사 세트 일람 화면.Fig. 54 is a list of inspection sets displayed on the screen shown in Fig. 21 by populating 8 " inspection "keys;

도55는 도54에 나타내는 검사 세트 일람 화면을 표시시킨 상태에서, 숫자 키를 조작함으로써 전환된 검사 항목 표시 화면.Fig. 55 is a test item display screen switched by operating a numeric key while displaying the test set list screen shown in Fig. 54;

도56은 도21에 나타내는 화면에서, 9 "화상" 키를 조작함으로써 팝업 표시되는 화상 진단 세트 일람 화면.FIG. 56 is an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pop-up displayed by operating 9 " image " keys on the screen shown in FIG.

도57은 도56에 나타내는 화상 진단 세트 일람 화면을 표시시킨 상태에서, 숫자 키를 조작함으로써 전환된 화상 진단 항목 표시 화면.57 is an image diagnosis item display screen switched by operating a numeric key in a state where the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shown in FIG. 56 is displayed;

도58은 전자 카르테와는 별도의 윈도우로 표시되는 바인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Fig. 58 is a view showing a binder screen displayed in a window separate from the electronic carte.

도59는 도58에 나타내는 바인더 화면에서, "환자 검색"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환자 검색 화면.Fig. 59 is a patient search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 patient search " key in the binder screen shown in Fig. 58;

도60은 도581에 나타내는 바인더 화면에서, "카르테 전송"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전송처 선택 화면.Fig. 60 is a transfer destination selection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a " Carte transfer " button in the binder screen shown in Fig. 581;

도61은 인쇄 지시 및 인쇄 다이알로그를 표시한 상태에서의 텐키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Fig. 61 is a diagram showing a ten-key area in a state where a print instruction and a print dialog are displayed;

도62는 도61의 화면에서, 숫자 키의 의료 문서를 선택함으로써 표시된 "인쇄 범위"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인쇄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Fig. 62 is a diagram showing a printing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 printing range " displayed on the screen of Fig. 61 by selecting a medical document of numeric keys;

도63은 도61의 화면에서, "인쇄"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의료 문서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Fig. 63 is a diagram showing a medical document selection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 printing " key on the screen of Fig. 61;

도64는 도63의 화면에서, 의료 문서를 선택함으로써 표시되는 위저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FIG. 64 shows a wizard screen displayed by selecting a medical document on the screen of FIG. 63; FIG.

도65는 도64의 화면에서, "카르테"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카르테 정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FIG. 65 shows a Carte information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Carte" button on the screen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입력 장치1: input device

2 : 표시 장치2: display device

3 : 기억 장치3: storage device

4 : 제어 장치4: control device

5 : 이력란5: History column

6 : 환자란6: patient

7 : 입력란7: field

8 : 입력 확인란8: input check box

9 : 입력 확정란(확정 표시부)9: input confirmation column (confirmation display)

10 : 텐키 영역10: Tenkey area

11 : 메뉴 영역11: menu area

[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0-298693호 공보[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298693

본 발명은 전자 카르테 장치, 특히 전자 카르테에 상병명(傷病名)을 입력할 때의 입력 키의 표시 내용에 특징을 갖는 전자 카르테 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carte device, particularly an electronic carte devic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display content of an input key when inputting an illness name into the electronic carte.

종래, 전자 카르테 장치로서 진료 정보 입력 화면의 입력란에서 입력된 진료 정보를 상기 입력란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명에 대응시켜 기억하고, 진료 정보를 그 진료 정보명으로 정하는 표시 태양으로 카르테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 전자 카르테 장치에 의하면, 그 진료 정보 입력 화면내에서 진료 정보명이 선택되면, 상기 진료 정보명의 입력란이 진료 정보 입력 화면내에 설정된다. 또 설정된 입력란에서 진료 정보가 확정 입력되면, 상기 진료 정보가 그 진료 정보명으로 결정되는 의사 카르테 양식으로 진료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된다.Conventionally, as an electronic Carte device, medical information inputted in an input field of a medical information input screen is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medical information names corresponding to the input fields, and the medical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Carte screen in a display mode that defines the medical information information. There are som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According to this electronic carte device, when the treatment information name is selected in the treatment information input screen, the input field of the treatment information name is set in the treatment information input screen. In addition, when the treatment information is inputted in the set input field, the treatmen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treatment information input screen in a doctor Carte form determined by the treatment information name.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0-29869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298693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자 카르테 장치에서는 진료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란에서 왼쪽을 클릭하여, 표시된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입력을 희망하는 내용으로 범위를 좁혀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병명을 특정하는 경우와 같이, 몇번이나 항목을 좁혀 나갈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매우 번거로워진다. 또 일반적으로 상병명에 관한 ICD 코드가 사용되는 수가 많아져 이 코드를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한 구성도 요망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carte apparatus, when inputting medical information, the range is narrowed down to the contents which are desired to be input sequentially by clicking the left side in the corresponding column and selecting the displayed item. For this reason, when it is necessary to narrow down an item several times, such as when specifying an illness name, it becomes very troublesome. In addition, in general, ICD codes relating to corporal names are used more and more, and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e for effectively using these codes.

그래서, 본 발명은 상병명의 입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전자 카르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n,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electronic carte device which can input an illness name easily.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표시 수단에 전자 카르테를 표시하고,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표시된 전자 카르텔에 입력 제이터를 반영시키고, 입력 데이터를 반영시킨 전자 카르테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전자 카르테 장치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 electronic cart which displays an electronic carte on the display means, reflects an input data on the displayed electronic cartel based on an input operation by the input means, and reflects the input data. An electronic carte device comprising control means for storing a memory in a storage means,

상기 입력 수단은 소정 영역 내에 배열되고, 선택 가능한 상병명에 관한 코드 번호 또는 상병명에 관한 문자열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표시되는 복수의 입력 키와, 상기 입력 키에 표시되는 전체 항목을, 상병명에 관한 코드 번호 또는 상병명에 관한 문자열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버튼을 구비한 터치 패널로 구성하고,The input means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ea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keys in which any one of a code number relating to a selectable corporal name or a character string relating to a corporal name is displayed, and an entire item displayed on the input key. Comprising a touch panel having a switch button for switching to any one of the code number related to or the string associated with the name of the sickness,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터치 패널에서 상병명 입력을 하는 경우, 상기 입력 키에 표시된 어느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항목을 하위의 항목으로 전환하는 한편, 입력 키에 표시된 어느 계층의 항목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전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입력 키에서의 표시 내용을, 상병명에 관한 코드 번호 또는 상병명에 관한 문자열 중 어느 하나로 전환 가능하게 한 것이다.When the corpus name is input on the touch panel, the control means sequentially selects an item displayed on the input key, thereby sequentially converting the displayed item to a lower item, while an item of any hierarchy displayed on the input key. By operating the switch button in this displayed state, the display content on the input key can be switched to either a code number relating to a sickness name or a character string about a sickness name.

이 구성에 의해, 상명에 관한 코드 번호 또는 문자열 중 어느 항목부터라도 상병명을 좁혀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좁혀 행하는 과정에서 어떤 표시 형식으로도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상병명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name of the illness can be narrowed down from any item of the code number or the character string related to the trade name.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can be switched to any display format in the narrow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pecify the name of the illness.

여기에서, 상병명에 관한 코드 번호로서는 ICD-10 코드(세계 보건 기구(WHO)에 의해 정해진 "질명 및 관계 보건 문제의 국제 통계 분류 제10회 수정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Tenth Reviso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병명에 관한 문자열은 상병명에 관한 코드 번호에 대응한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Here, the code number for the sickness name is the ICD-10 code ("The 10th Amendment of the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set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enth Revison), etc. In addition, the string for the corporal name must correspond to the code number for the corporal name.

상기 입력 수단은 상병명의 범위를 좁히기 위한 검색 수단을 구비하고,The input means is provided with a search means for narrowing the scope of the illness;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색 키가 조작됨으로써, 검색 화면을 표시시키고, 상병명에 관한 코드 번호 또는 상병명에 관한 문자열 중 어느것에서도 검색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입력되는 코드 번호 또는 문자열이 부분적인 것이어도 그 범위에서 검색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means displays the search screen by operating the search key, and makes it possible to search any of the code number relating to the sickness name or the character string related to the sickness name, and even if the code number or the character string to be input is partial. It is preferable to make it searchable in the range.

이 구성에 의해, 부분적인 기억을 실마리로 상병명을 좁일 수가 있고, 상기 입력 키에서의 표시 항목의 변경에 의한 효과와 더불어 검색의 효율을 매우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This configuration makes it possible to narrow the name of sickness with partial memory as a clue, and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earch as well as the effect of changing the display item in the input key.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according to an accompanying drawing.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카르테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 전자 카르테 시스템은 입력 장치(1), 표시 장치(2), 기억 장치(3) 및 제어 장치(4)로 구성되어 있다.1 shows an electronic car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is electronic carte system is composed of an input device 1, a display device 2, a storage device 3, and a control device 4.

입력 장치(1)는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입력 장치는 모두 후술하는 입력란(7)만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고,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은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키보드, 마우스 등은 특별히 필요한 것은 아니고, 터치 패널에 표시한 키패드로 조작을 집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input device 1 is composed of a keyboard, a mouse, a keypad, a touch panel, and the like. However, all input devices can be performed using only the input box 7 mentioned later, and a keyboard, a mouse, a touch panel, etc. may be selected arbitrarily by a user. A keyboard, a mouse, and the like are not particularly required, and operations can be concentrated using a keypad displayed on a touch panel.

표시 장치(2)는 액정 모니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일부 또는 전부가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 장치(2)에는 초기 화면으로서 우측 하단에 입력란(7)으로서 도2a에 나타내는 키패드 화면(텐키 영역(10))이 표시되고, "수지 리스트"화면(도28)이 자동 표시된다. 입력란(7)이 우측 아래에 표시됨으로써 환자와 대면하면서 의사가 한쪽 손으로 간단히 입력할 수 있는 데다가 환자 및 의사의 쌍방이 다른 란을 보기 쉽게 되어 있다. 단, 입력란(7)의 표시 위치는 의사가 왼손잡이인 경우를 상정하여 화면의 좌측 아래에 표시하는 등, 임의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입력란(7)에는, 도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0에서 9까지의 숫자 키, 도트 키 ".", "UNDO" 키, 취소 키 "C", 스크롤 키 "UP", "DOWN", "ENTER" 키, 펑션 키(F1 내지 F4), "S" 키, "O" 키, "A" 키, "P" 키가 포함된다. 초기 화면에서는 숫자 키의 1 "←" 키, 2 "카르테 표시" 키, 3 "→" 키, UP 키, DOWN 키가 조작 가능해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키에 대해서는 텐키 영역(10)에 표시된 조작 가능한 영역을 의미하고, 버튼에 대해서는 그 이외의 다이알로그에서의 조작 가능한 영역을 의미한다.The display device 2 is made of a liquid crystal monitor or the like, and part or all of the display device is made of a touch panel. On the display device 2, the keypad screen (tenkey area 10) shown in Fig. 2A is displayed on the lower right side as the initial screen as the input field 7, and the "resin list" screen (Fig. 28) is automatically displayed. The input field 7 is displayed on the lower right side so that the doctor can easily input with one hand while facing the patient, and both the patient and the doctor easily see different fields. However, the display position of the input field 7 can be set to an arbitrary position, assuming that the doctor is left-handed, and displayed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screen. Number key, dot key ".", "UNDO" key, cancel key "C", scroll key "UP", "DOWN", "ENTER" key, function keys (F1 to F4), "S" key, " O "key," A "key and" P "key. In the initial screen, 1 "←" key, 2 "Carte display" key, 3 "→" key, UP key and DOWN key of the numeric keys can be operated.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key means the operable area displayed on the ten key area 10, and the button means the operable area in other dialogs.

입력란(7)에서, 2 "카르테 표시" 키를 조작하면, 이제부터 진료를 개시하고자 하는 환자의 전자 카르테가 표시된다. 즉, 표시 화면에는 도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란(7) 이외의 영역에 이력란(5), 환자란(6), 및 입력 확정란(9)이 각각 표시된다. 또, 입력란(7)에서의 입력에 의해 입력 확인란(8)이 표시된다. 이력란(5), 환자란(6)는 화면의 좌측, 입력 확인란(8), 입력 확정란(9)은 화면의 우 측, 입력란(7)의 위쪽에 각각 표시된다. 이 때, 5 "진료" 키를 조작하면 표시되어 있는 전자 카르테가 입력 가능한 상태로 저환된다.In the input field 7, when the 2 " carte display " keys are operated, the electronic carte of the patient who wishes to start the treatment from now on is displayed. That is, as shown in FIG. 2B, the history column 5, the patient column 6, and the input confirmation column 9 are displayed in regions other than the input field 7 respectively. In addition, an input check box 8 is displayed by the input in the input field 7. The history column 5, the patient column 6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the input check box 8, the input confirmation column 9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and above the input field 7, respectively. At this time, by operating the 5 " Clinic " key, the displayed electronic cart is saved in a state in which it can be input.

이력란(5)에는 전번 진료에서의 진료 내용, 검사 결과, 처방 등이 표시된다. 도2b에서는 흉부 뢴트겐의 촬영 화상, 진찰 내용, 검사 결과, 처방 내용 등이 표시되어 있다. 의사는 이 이력란(5)을 참조하면서 진찰을 진행할 수가 있다. 또, 이력란(5)의 아래쪽에는 화살표 키("←", "→") 가 표시되고, 이력란을 좌우로 페이지를 넘겨 표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실제로 페이지를 넘기는 것과 같은 표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페이지 넘김 기능을 마련함으로써 종래의 스크롤 바를 이용한 것에 비하여 매우 보기 쉬워진다.In the history column (5), the contents of treatment, test results, prescriptions, etc. at the previous treatment are displayed. In Fig. 2B, a photographic image of the chest roentgen, contents of examination, examination results, prescription contents, and the like are displayed. The doctor can proceed to the examination while referring to this history column (5). Further, arrow keys (" " " and " &quot; &quot;) ar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history field 5, an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isplay by turning pages in the history column from side to sid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display such as actually turning a page. By providing the page turning function in this way, it becomes much easier to see compared to using a conventional scroll bar.

환자란(6)에는 환자에 관한 정보, 즉, 환자의 성명, 생년월일, 연령, 성별, 주소, 병력 등이 표시된다.In the patient column 6,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that is, the name, date of birth, age, sex, address, medical history, etc. of the patient is displayed.

입력란(7)은 텐키 영역(10)과 메뉴 영역(11)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뉴 영역(11)에는 텐키 영역(10)에서의 조작에 따라 해당하는 내용이 표시된다.The input field 7 is composed of a ten key area 10 and a menu area 11. The menu area 11 displays corresponding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in the ten key area 10.

텐키 영역(10)에서, "S" 키가 조작되면 진찰시에 환자로부터 들어야 할 진찰 내용이 복수의 항목으로 분할되어 순차 표시된다. 표시되는 항목은 미리 후술하는 각 마우스에 기억시킨 내용을 소정 순서에 따라 관련 그룹별로 순서를 바꾼 것이다.In the ten-key area 10, when the "S" key is operated, the examination contents to be heard from the patient at the time of examination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tems and displayed sequentially. The items to be displayed are the order in which the contents stored in the mice described later are stored in order of the related groups in a predetermined order.

구체적으로, 도3에 입력란(7)의 표시 항목을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숫자 키의 1 "주요 질환" 키, 2 "문진" 키, "UNDO" 키, 취소 키 "C", 펑션 키(F1 내지 F4: 문진표), "S" 키, "O" 키, "A" 키, "P" 키만이 조작 가능하다.Specifically, the display item of the input box 7 is shown in FIG. Here, 1 "major disease" key, 2 "check-up" key, "UNDO" key, cancel key "C", function key (F1 to F4: question mark), "S" key, "O" key, " Only A "key and" P "key can be operated.

여기에서, 도3에 나타내는 입력란(7)의 숫자 키에서 1 "주요 질환"을 조작하면, 도4에 나타내는 키보드 입력 화면이 별도의 윈도우로 표시되고,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 등(주요 질환)을 키보드로 직접 입력 가능해진다. 이미 진료 전에 환자가 기입한 문진표의 내용이 접수에서 입력되어 있는 경우는 "문진표" 키를 조작함으로써 문진표의 내용을 불러내어 카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키보드로 입력한 데이터는 "등록" 키를 조작함으로써 등록하고, "호출" 키를 조작함으로써 등록한 내용을 불러내는 것이 가능하다.Here, when one "major disease" is operated from the numeric keys of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3, the keyboard input screen shown in FIG. 4 is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and the symptoms or the like (major disease) that the patient complains of are displayed. You can type directly on the keyboard. If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already filled out by the patient before the examination have been entered at the reception, it is possible to call up and copy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by operating the "question mark" key. The data input by the keyboard can be registered by operating the "register" key, and the registered contents can be called out by operating the "call" key.

도3에 나타내는 입력란(7)의 숫자 키에서 2 "문진"을 조작하면, 도5에 나타내는 "문진" 화면이 별도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또 입력란(7)에는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숫자 키에 증상에 관한 항목이 표시된다. 또한 조작할 수 없는 키에 대해서는 흐린색으로 표시된다(화면상에서는 그물친 표시). 여기에서 예를 들면 1 "발열"을 조작하면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숫자 키에서의 표시 내용이 선택한 증상이 언제부터인지를 나타내는 내용으로 변화된다. 또, "SKIP" 키가 표시되고, 필요없다고 판단한 항목은 입력을 생략할 수가 있다. 이 때, "문진" 화면에는 "발열"을 선택한 경우에 필요해지는 문진 내용, 즉, "언제부터", "어느 정도", "오한 유무"와 같이 각 항목이 표시되고, 현재 입력 중인 항목이 강조 표시된다. 따라서, 무엇을 입력하면 되는지를 한 눈에 알 수 있고, 또한 불필요한 항목을 그 자리에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two "Contacts" are operated with the numeric keys of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3, the "Contacts" screen shown in FIG. 5 is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In the input field 7, an item relating to a symptom is displayed on each numeric key as shown in FIG. Also, keys that cannot be operated are displayed in dim color (meshed on the screen). For example, when one " fever " is operated, as shown in Fig. 7, the display content on each numeric key is changed to the content indicating when the selected symptom starts. In addition, the "SKIP" key is displayed, and the entry determined as unnecessary can be omitted. At this time, the "Paper" screen displays the items required when selecting "Fever", that is, "from when", "to some extent", "with or without chills", and the current item is highlighted. Is displayed. Therefore, what can be input at a glance can be seen at a glance, and it becomes possible to judge unnecessary items on the spot.

이와 같이 하여,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의 입력이 종료될 때마다 "ENTER" 키를 조작하여 입력 확정란(9)에 표시시킨다. 입력 미스를 한 경우, "UNDO" 키를 조 작함으로써 입력전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가 있다. 예를 들면, "S" 키를 조작하여 주요 질환을 입력하는 경우, "UNDO" 키를 조작하면, 순차적으로, 어떤 입력 단계든지 복귀 가능하다. 또, 주요 질환의 입력을 완료하고 "ENTER" 키를 조작한 후, "O" 키를 조작한 경우이더라도 "UNDO" 키를 조작하면 주요 질환 입력 상태로 복귀시킬 수가 있다. 단, "O" 키를 조작한 후 입력이 개시되어 버리면 "UNDO" 키를 조작하여도 소견 입력에서의 복귀가 가능할 뿐이며, 주요 질환 입력으로 복귀하지 않는다.In this way, whenever the input of the symptom appealed by the patient is finished, the "ENTER" key is operated to display in the input confirmation column 9. If an input is missed, the "UNDO" key can be used to return to the state before the input. For example, when a major disease is input by operating the "S" key, any input step can be sequentially returned by operating the "UNDO" key. In addition, even when the "O" key is operated after completing the input of the main disease and operating the "ENTER" key,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main disease input state by operating the "UNDO" key. However, if the input is start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O" key, it is possible to return from the input only by operating the "UNDO" key, and does not return to the main disease input.

텐키 영역(10)에서 "O" 키를 조작하면 도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란(7)의 표시 항목이 변경된다.When the "O" key is operated in the ten key area 10, the display item of the input box 7 is changed as shown in Fig. 8A.

결과 미입력의 화상 진단이 있는 경우, "화상" 키가 유효 키로서 조작 가능한 상태로 표시된다. 결과 미입력의 화상 진단이 하나이면 도8b에 나타내는 "화상 진단 결과 입력" 화면이 별도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또, 결과 미입력의 화상 진단이 2 이상이면 도8c에 나타내는 "검사 실시일 선택" 화면이 표시되고, 어느 것이든 선택되면 마찬가지로 도8b에 나타내는 "화상 진단 결과 입력" 화면이 별도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화상 진단 결과 입력" 화면에서 "화상 취득" 버튼을 조작하면 "화상 취득" 화면이 표시되고, 화상의 필름이 읽어 들여진다(단, 필름 스캐너를 사용하여 화상을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화상 취득" 화면을 닫으면, "화상 진단 결과 입력" 화면에 취득된 화상이 표시된다. 의사는 표시된 화상을 보고 소견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에는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s a result, when there is an image diagnosis with no input, the " image " key is displayed in an operable state as a valid key. If there is only one image diagnosis without input, the " image diagnosis result input " screen shown in Fig. 8B is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In addition, if the result of non-input image diagnosis is 2 or more, the "Inspection execution date selection" screen shown in FIG. 8C is displayed, and when either is selected, the "Image diagnosis result input" screen shown in FIG. 8B is similarly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 By operating the "Image acquisition" button on the "Image diagnosis result input" screen, the "Image acquisition" screen is displayed, and the film of an image is read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acquire an image using a film scanner). Then, when the "image acquisition" screen is closed, the acquired image is displayed on the "image diagnosis result input" screen. The doctor can view the displayed image and enter the findings. It is possible to use a keyboard for input.

도8a에 나타내는 입력란(7)에서 1 "소견" 키를 조작하여 도8d에 나타내는 바 와 같이 항목 표시를 전환하고, "프리 워드" 키를 조작하면, 도4에 나타내는 "키보드 입력" 화면이 별도의 윈도우로 표시되고, 키보드에 의한 문자 입력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과거에 동일한 소견(환자 구별은 하지 않는다)이 입력되어 있으면 학습란의 "호출" 키를 조작하여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키보드로 입력된 데이터는 "등록" 키를 조작함으로써 등록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8A, by operating the 1 " remark " key to switch the item display as shown in Fig.8D, and operating the " free word " key, the " keyboard input " It is displayed in the window, and the character input by the keyboard becomes possible. In this case, if the same findings (no patient distinction) have been input in the past, the call can be made by operating the "call" key in the learning field. It is also possible to register data input via the keyboard by operating the "register" key.

도8d에 나타내는 입력란(7)에 표시된 "전신적 소견" 키를 조작하면, 도9a에 나타내는 "바이탈 사인" 화면이 표시되고, 전신에 관한 소견 입력용의 각 항목을 입력 가능해진다.When the " systemic finding " key displayed 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8D is operated, the " vital sign " screen shown in Fig. 9A is displayed, and each item for inputting opinions regarding the whole body can be entered.

각 입력 항목에는 체크 박스가 마련되고, 펜이나 마우스 등에 의해 해당하는 쪽을 체크하는 것 만으로 입력이 완료된다.Each input item is provided with a check box, and the input is completed simply by checking the corresponding side with a pen or a mouse.

또, 도8d에 나타내는 입력란(7)에 표시된 "개별적 소견" 키를 조작하면 도8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되는 항목이 신체의 각 부위를 나타내는 내용으로 전환된다. 이 화면에서 예를 들면 "경부" 키를 조작하면, 도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부" 화면이 표시되므로 표시된 각 항목의 체크 박스를 체크하면 된다.In addition, when the "individual finding" key displayed 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8D is operated, the displayed items are switched to the contents indicating the respective parts of the body as shown in FIG. 8E. For example, when the "neck" key is operated on this screen, the "neck" screen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9B, so that the check boxes of each displayed item may be checked.

또한, 입력 방식 패턴으로서는 상기 체크 박스 외에 수치 입력 등을 들 수 있다. 또, 체크 박스의 선택 항목의 명칭 및 수에 대해서는 자유로이 설정 가능하다.In addition, as an input system pattern, numerical input etc. besides the said check box are mentioned. In addition, the name and number of selection items of a check box can be set freely.

텐키 영역(10)에서 "A" 키를 조작하면, 숫자 키의 표시가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된다. 또, 도11에 나타내는 "상병명 관리" 화면이 별도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입력란(7)에서 1 "상병명" 키를 조작하면 숫자 키가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되고, 상병명을 5종류의 다른 방법에 의해 검색 가능해진다. 즉, 숫자 키에는 1 "빈용 검색", 2 "분류 검색", 3 "키워드", 4 "급성 질환", 5 "만성 질환"으로 표시되고, 어느 것을 선택하여 상병명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When the "A" key is operated in the ten key area 10, the display of the numeric keys is switched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 patient name management " screen shown in Fig. 11 is displayed in another window. When one of the " corruption name " keys is operated in the input field 7, the numeric keys are switched as shown in Fig. 12, and the corporal name can be searched by five different methods. That is, the numeric keys are represented by 1 "Frequency Search", 2 "Classification Search", 3 "Keywords", 4 "Acute Diseases" and 5 "Chronic Diseases". have.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지만, 1 "빈용 검색" 키를 조작하면 도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숫자 키가 빈용 상병명으로 전환되고, 여기에서 해당하는 상병명을 선택하면 도13a로부터 선택된 상병명이 "상병명 관리" 화면으로 표시된다. 2 "분류 검색" 키를 조작하면 ICD 10에서 정해져 있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의 순으로 상병명을 좁혀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어떤 계층에서 표시되어 있는 경우라도 F1에 표시된 ICD 10(상병명)을 조작함으로써 ICD 10의 코드 번호와, 대응하는 일본어 표시(문자열)의 어느 한 쪽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3 "키워드" 키를 조작하면 도13b에 나타내는 키워드 입력 검색 화면이 팝업 표시되므로 이 화면에서 키워드 등을 입력하여 상병명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4 "급성 질환" 키를 조작하면 급성 질환으로서 분류한 상병명이 각 숫자 키로 표시되고, 5 "만성 질환" 키를 조작하면 반성 질환으로서 분류한 상병명이 각 숫자 키로 표시된다.Although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 free search " key is operated, as shown in Fig. 13A, the numeric keys are switched to the poor hospital name, and if the corresponding sick name is selected here, the name of the sick person selected from FIG. Is displayed on the screen. 2 By operating the "Category search" key, the name of the illness can be narrowed down in the order of the major, medium, and small classifications specified in ICD 10. Even if it is displayed in any hierarchy, it is possible to switch to either the code number of ICD 10 and the corresponding Japanese display (string) by operating ICD 10 (corruption name) displayed in F1. When the " keyword " key is operated, the keyword input search screen shown in Fig. 13B is popped up, so that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name of the sickness by inputting a keyword or the like on this screen. When operating the "acute disease" key, the name of the sickness classified as an acute disease is indicated by each numeric key. When operating the "chronic disease" key, the name of the sickness classified as a chronic disease is displayed by each numeric key.

이와 같이 하여 상병명이 선택되고, "상병명 관리" 화면으로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란(7)이 도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되고, 1 "재발" 또는 2 "의심" 키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상병명 관리" 화면의 "재발"란에서는 초기값이 공백이고, "재발" 키를 조작함으로써, 재발 문자가 표시되고, 또 한번 조 작함으로써 공백으로 복귀된다.In this way, when the name of the illness is selected, and the input to the "management of illness name" screen is completed, the input field 7 is switched as shown in Fig. 14A, and one "relapse" or two "suspect" keys can be selected. . For example, in the "Relapse" column of the "Portrait Disease Management" screen, the initial value is blank, and by operating the "Relapse" key, the recurrence character is displayed, and the operation is returned to the blank.

또, 도14a에 나타내는 입력란(7)에서 "수식어" 키를 조작하면 표시되는 항목은 도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되고, 1 "50음" 키 또는 2 "키워드" 키에 의한 수식어의 검색이 가능해진다. 1 "50음" 키 또는 2 "키워드" 키 중, "50음" 키를 선택하면 입력란(7)은 도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되고, 입력하는 수식어의 삽입 위치(1 "접두어" 또는 2 "접미어")를 선택 가능해진다. 이 경우, 수식어의 삽입 위치를 선택하면 입력란(7)의 표시가 도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환된다. 그래서 도17에서 1 "아행"을 선택하고, 도18에서 1 "아"를 선택함으로써 도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식어가 일람 표시되므로, 해당되는 것을 선택하면 된다. 수식어는 이미 입력한 상병명의 전후 어느 선택된 장소에 삽입된다. 수식어를 잘못 입력했을 경우에는 도15에 나타내는 "삭제" 키를 조작함으로써 선택한 수식어를 표시시키고, 해당하는 수식어가 표시된 키를 조작하면 그 수식어를 소거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 modifier word " key is operated 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14A, the displayed items are switched as shown in FIG. 15, and the modifiers can be searched by one " 50 tone " key or 2 " keyword " keys. Become. When one of the "50 tone" keys or the "keyword" key is selected, the input field 7 is switched as shown in Fig. 16, and the insertion position (1 "prefix" or 2 ") of the modifier to be input is selected. Suffix ") becomes selectable. In this case, when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modifier is selected, the display of the input field 7 is converted as shown in FIG. Therefore, as shown in Fig. 19, by selecting one "row" in Fig. 17 and one "a" in Fig. 18, a list of modifiers is displayed. The modifier is inserted at a selected location before or after the already entered sickness name. In the case of incorrect input of a modifier, the selected modifier can be displayed by operating the " delete " key shown in FIG. 15, and the modifier can be deleted by operating the key on which the modifier is displayed.

상병명에 관한 입력후, 도14a에 나타내는 "결정" 키를 조작하면, 상병명의 개시일에는 관찰일이 자동 입력되고, 텐키 영역(10)의 표시가 도10에 나타내는 내용으로 전환된다. 전귀 입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3 "전귀" 키를 조작하면 된다. 이에 따라, 입력란(7)의 각 키의 표시가 도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귀에 관한 항목으로 전환되므로 어느 항목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된다.When the "determination" key shown in FIG. 14A is operated after the input regarding the illness name, the observation date is automatically input at the start date of the illness name, and the display of the ten key area 10 is switched to the contents shown in FIG. If it is necessary to enter the previous command,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3 "backward" keys. As a result, as shown in Fig. 20, the display of each key in the input field 7 is switched to the item relating to the previous step, so that any item may be selected and entered.

이와 같이, 의사의 진찰 입력을 상병명에서 시작되어 최종적인 전귀까지의 거의 모두를 입력란(7)에서의 입력 처리에 의해 완료할 수가 있다.In this way, the doctor's consultation input can be completed by the input processing in the input field 7 starting from the illness name and ending with the final ear.

텐키 영역(10)에서 "P" 키를 조작하면, 표시 항목이 도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되고, 투약, 진료 계획, 치료, 지도(환자에게의 교육 등)의 앞으로의 치료 계획에 관한 각 항목을 입력 가능해진다.When the "P" key is operated in the ten key area 10, the display items are switched as shown in Fig. 21, and each item relating to the future treatment plan of medication, treatment plan, treatment, instruction (education to the patient, etc.). Can be input.

도21에 나타내는 입력란(7)에서 1 내지 3의 투약, 4의 주사에 관한 어느 키를 조작하면 도22에 나타내는 "아행" 내지 "와행"으로 표시되는 50음 선택 키, "DO" 키, "약속" 키 등으로 이루어지는 "의약품 선택" 화면으로 전환된다. 의약품명을 알 수 있는 경우에는 50음 선택 키에 의해 선택할 수가 있다. 단, 의약품명이 아니라 약효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은 예를 들면 도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면 된다.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21, when any key relating to the dosage of 1 to 3 and the injection of 4 is operated, the 50 tone selection key indicated by " a row " to " wa row ", " DO " key, "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Drug selection" screen, such as an appointment "key. If the drug name is known, it can be selected by the 50 tone selection key. However, it is possible to select by drug efficacy, not the name of the drug. In this cas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change the display content of a numeric key as shown in FIG.

키 조작에 의해, 의약품의 범위를 좁히고, 결과적으로 도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약품명을 표시시켜 해당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의약품 선택 후에 숫자 키 및 "ENTER" 키의 조작에 의해 용량을 입력한다. 이 때, 도2b에 나타내는 입력 확인란(8)에 미리 의약품마다 용량을 표시하므로 변경이 없으면 "ENTER" 키만을 조작한다. 그리고, 용량을 입력하고, 그림 22에 나타내는 "ENTER 용법" 키를 선택하면,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도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용 기간에 관한 내용으로 변환된다. 초기 표시에서는 종래부터 의사에 의해 카르테의 기재에 자주 사용되고 있는 기호가 표시된다. 이 화면에서는 화살표 키의 조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순차적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용법을 선택하면 표시 내용은 다시 투여 일수로 변환된다. 투여 일수를 선택함으로써 용법 입력이 완료되어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도시되지 않은 최종 결정 화면(도시하지 않음)으로 변환된다.By the key operation, the range of the medicine can be narrowed, and as a result, as shown in Fig. 24, the medicine name can be displayed and the corresponding one can be selected. After drug selection, the dose is entered by operation of the numeric keys and the "ENTER" key. At this time, since the dose is displayed for each medicine in advance in the input check box 8 shown in Fig. 2B, only the " ENTER " When the dose is input and the " ENTER usage " key shown in Fig. 22 is selected, the displayed contents of the numeric keys are converted into the contents regarding the taking period as shown in FIG. In an initial display, the symbol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for description of Carte by the doctor conventionally is displayed. On this screen, the display contents can be changed sequentially by the operation of the arrow keys. Once the usage is chosen, the display is converted back to the number of days administered. By selecting the dosing days, the usage input is completed and the display contents of the numeric keys are converted into a final decision screen (not shown), not shown.

입력한 처방에 잘못 등이 없으면, 상기 최종 결정 화면에서 "ENTER" 키를 조작함으로써 내용을 확정한다. 수정, 삭제가 필요하면 "수정" 키, "삭제" 키를 조작하면 된다. 이러한 키 조작에 의해 이미 입력한 약품명이 숫자 키로 표시되므로 해당하는 약품명을 조작함으로써 내용의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해진다. 또한, 새로이 의약품을 추가하는 경우에는 "추가" 키를 조작하면 된다.If there is no mistake in the input prescription, the contents are confirmed by operating the "ENTER" key in the final decision screen. If you need to modify or delete it, you can operate the "Modify" key and "Delete" key. Since the medicine name already entered by the key operation is displayed by the numeric keys, the contents can be corrected and deleted by manipulating the corresponding medicine name. In addition, when adding a new medicine, the "Add" key can be operated.

이미, 이력으로서 남아 있는 처방 데이터와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22에 나타내는 "DO" 키를 조작하면, 도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하는 데이터(DO 리스트)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데이터는 신규 입력했을 때에 자동적으로 이력 데이터로서 등록된 것이다.In the case where the same prescription data as the history has already been used, the corresponding data (DO list) can be called as shown in FIG. 26 by operating the "DO" key shown in FIG. This data is automatically registered as history data when a new input is made.

또, 예를 들면 유행 중인 감기 등, 미리 정해진 의약품을 처방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처방하는 의약품을 등록해 두고, "약속" 키를 조작함으로써, 등록한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약속" 키를 조작하면 도27a에 나타내는 "약속 처방 세트" 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에서 약속 처방 세트(여기에서는 고혈압과 감기에 관한 약속 처방이 표시되어 있다)를 선택함으로써, 미리 작성한 처방을 호출할 수 있다. 처방 세트의 작성은 도27b에 나타내는 "약속 처방 세트 등록" 화면부터 행한다. 이 화면에서는 상부에 "내복" 키, "돈복" 키 등이 마련되고, 어느 것을 선택함으로써 해당하는 처방의 일람이 그 아래쪽에 표시된다. 상기 "약속 처방 세트 등록" 화면에서 "신규" 버튼이나 "수정" 버튼 등을 조작하면, 도2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란(7)과 일체화된 "약속 처방 세트 입력" 화면이 표시되므로 여기에서 약속 처방의 신규 입력이나 수정 등을 행한다.In addition, when prescribing a predetermined medicine, such as a col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gister the medicine prescribed in advance and operate the "promise" key to call up the registered data. That is, by operating the "appointment" key,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set" screen shown in Fig. 27A is displayed. By selecting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set (here, the prescription for hypertension and cold) is displayed on this screen, the prescription prepared in advance can be called up. The prescription set is created from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set registration" screen shown in FIG. 27B. In this screen, an "underwear" key, a "pistol" key, and the like are provided at the top, and a list of the corresponding prescriptions is displayed at the bottom by selecting either. When the "New" button or the "Modify" button is operated in the "Register appointment set" screen, as shown in Fig. 27C, the "Promise prescription set input" screen integrated with the input box 7 is displayed. New input or correction is performed.

도2b에 나타내는 입력 확인란(8)에는 입력란(7)에서 입력된 진료 내용, 처방 내용 등이 표시되고, 일단 입력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the input check box 8 shown in Fig. 2B, the medical contents, the prescription contents, etc. inputted in the input field 7 are displayed,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input contents once.

도2b에 나타내는 입력 확인란(9)에는 이번 진료에서 입력되고, 입력 확인란(8)에 표시된 진료 내용이나 처방 내용 중, 확정된 것이 표시되는 것 외에 검사 결과 등이 표시된다.The input check box 9 shown in Fig. 2B is input at this time of treatment, and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and the like are displayed in addition to the confirmation of the treatment contents and the prescription contents displayed on the input check box 8.

도2a에 나타내는 초기 화면이 표시되면 도28에 나타내는 "수진 리스트" 화면이 자동 표시된다. "수진 리스트" 화면이 자동 표시된다. "수진 리스트" 화면에는 "No", "접수 시각", "대기(대기 시간)", "환자 ID", "성명", "연령", "상태", "문진", "초/재", "지불" 의 각 열로 이루어지는 수진 리스트가 일람 표시된다. "No"는 접수부터 정보를 받은 순으로 할당되는 번호를 나타낸다. "접수 시각"은 환자가 접수를 마친 시각이 표시되어 있다. 또, "대기(대기 시간)"은 "접수 시각"에서 현재까지의 경과 시각이 표시되어 있다. 의사는 이 시간을 참고로 하여 대기 시간이 너무 길어지지 않도록 신경쓸 수가 있다. "상태"에는 진찰 대기 등, 각 환자의 현재 상태가 표시된다. "문진"에는 진찰전에 각 환자의 문진이 이루어지고, 본 시스템으로의 입력이 완료되어 있는지 여부가 "○"(입력 완료) 또는 "×"(미입력)로 표시된다. "초/재"에는 각 환자가 초진인가(초), 이전에 진찰을 받은 적이 있는가(재)가 표시된다.When the initial screen shown in Fig. 2A is displayed, the " determination list " screen shown in Fig. 28 is automatically displayed. The "Recipient List" screen is displayed automatically. The "List of Patients" screen includes "No", "Reception Time", "Standby (Standby Time)", "Patient ID", "Name", "Age", "Status", "Confirmation", "Second / Refresh", A list of banks consisting of columns of "Payment" is displayed. "No" represents a number assigned in the order of receiving the information from the reception. "Reception time" indicates the time when the patient has completed the reception. In addition, "wait (wait time)" shows the elapsed time from "reception time" to the present. Your doctor may use this time as a reference to worry about not getting too long. "Status" displays the current status of each patient, such as waiting for a consultation. In the "Contact Questionnaire", each patient's questionnaire is made before the examination, and whether or not the input to the present system is completed is indicated by "○" (input completion) or "×" (not input). "Seconds / Ashes" indicates whether each patient is first visited (seconds) or whether he or she has been consulted before (seconds).

또, "수진 리스트" 화면에는 "일자", "오늘", "대기 종료 합계", "중단"의 각 항목 외에 "캘린더" 버튼, "환자 검색" 버튼, "카르테 표시" 버튼, "진료 종료" 버튼, "로그 오프" 버튼, "환경 설정" 버튼, "바인더" 버튼이 표시된다. "캘린더"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도29에 나타내는 캘린더를 별도의 윈도우로 표시할 수 있다. 캘린더에서 원하는 일자를 선택함으로써, 선택한 날의 수진 리스트를 표시할 수가 있다. 이 캘린더는 일자 입력이 필요해지는 모든 경우에 이용 가능하다. 또, "수신 리스트" 화면에 표시한 환자의 전자 카르테를 표시시킨 경우, 해당하는 환자명이 표시된 행을 선택하여 "카르테 표시" 키를 조작하면 된다. 또, "환자 검색" 버튼을 조작하여 "수진 리스트" 화면을 닫고, 도30에 나타내는 "환자 검색" 화면을 표시시켜 환자의 성명이나 환자 ID 등을 환자를 특정 가능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조작하면 해당하는 환자의 일람표를 표시시킬 수가 있다. 검색 결과의 일람표에 표시된 환자의 전자 카르테를 표시시키는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당하는 환자명이 표시된 행을 선택하여 "카르테 표시" 버튼을 조작하면 된다. 또한 카르테 표시는 텐키 영역(10)에서의 조작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items such as "Date", "Today", "Standby End", and "Stop", the "Calendar" button, "Patient Search" button, "Carte Display" button, and "End of Care" Button, "log off" button, "configuration" button and "binder" button are displayed. By operating the " calendar " button, the calendar shown in Fig. 29 can be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By selecting the desired date in the calendar, a list of the numbers of the selected days can be displayed. This calendar is available in all cases where date input is required. In addition, when the electronic Carte of the patient displayed on the "list of reception" screen is displayed, it is sufficient to select the row in which the corresponding patient name is displayed and operate the "Carte display" key. In addition, by operating the "Patient Search" button, the "Patient List" screen is closed, and the "Patient Search" screen shown in FIG. 30 is displayed, and the patient's name, patient ID, etc. can be inputted, and the "Search" By operating the button, the corresponding patient list can be displayed. In the case where the electronic Carte of the patient displayed in the list of search results is displayed, the row of the corresponding patient name is select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nd the "Carte display" button may be operated. In addition, Carte's display can be performed by operation in the tenkey area | region 10. FIG.

도2a에 나타내는 1 "←" 키를 조작하면, 표시되는 카르테의 내용은 현재 표시 중인 카르테로부터 하나 앞의 환자의 것으로 전환된다. 또 3 "→" 키를 선택하면 현재 표시 중인 카르테로부터 하나 뒤의 환자의 것으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진료가 끝난 환자의 카르테 내용을 다시 보거나 뢴트겐 촬영, 점수 등으로 시간이 걸리는 경우에는 다음 환자의 진찰로 이행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the 1 " " key shown in Fig. 2A is operated, the contents of the displayed cartes are switched to those of the patient before one from the cartes currently displayed. Selecting the 3 "" keys also switches to the patient's back from the currently displayed Cart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next patient's examination when the contents of the patient's care are reviewed again, or when it takes time by taking a roentgen, a score, or the like.

도21에 나타내는 입력란(7)에서, 1 "처치" 키를 조작하면, 도32에 나타내는 "처치 전표" 화면이 표시되고, 처치에 관한 의료 행위를 일람할 수가 있다. 의료 행위의 일람은 초진부터의 처치 내용이 시계열로 표시된다. 또, 이 화면에서 처치 내용, 처치에서 사용한 의약품 및 재료를 선택할 수가 있다.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21, when one " treatment " key is operated, the " treat slip " screen shown in Fig. 32 is displayed, and the medical actions related to the treatment can be listed. In the medical activity list, the contents of treatment from the first visit are displayed in time series. In this screen, you can select the contents of the treatment, the medicines and ingredients used in the treatment.

또, 도21에 나타내는 입력란(7)에서 7 "수술" 키를 조작하면 도33에 나타내는 "수술 전표" 화면이 표시되고, 수술에 관한 의료 행위의 일람을 표시시켜 수술에 사용한 의약품, 주사 및 재료를 선택할 수가 있다.In addition, when seven "operation" keys are operated 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21, the "surgical slip" screen shown in FIG. 33 is displayed, and a list of medical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is displayed, and the medicines, injections and materials used in the operation are shown. Can be selected.

미리 정해진 복수 항목의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실시하는 검사 항목을 등록해 두고, "검사" 키를 조작함으로써 등록한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1에 나타내는 입력란(7)에서 9 "검사" 키를 조작하면 상기 "약속 처방 세트 리스트" 화면과 동일한 "검사 세트 리스트" 화면(도시하지 않음)이 표시된다. "검사 세트 리스트" 화면에서 해당하는 세트 명칭을 선택함으로써, 선택한 내용을 전자 카르테에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검사 세트 리스트" 화면에서의 표시 내용은 상기 "약속 처방 세트 등록" 화면과 동일한 "검사 세트 등록" 화면(도시하지 않음에서 신규 입력하거나 수정하거나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inspect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items, it is possible to call up the registered data by registering the inspection item to be performed in advance and operating the "inspection" key. When the 9 " inspection " key is operated 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21, the " inspection set list " By selecting the corresponding set name in the "Inspection set list" screen, the selected contents can be reflected in the electronic cart. The display contents in the "test set list" screen may be newly entered or modified in the "test set registration" screen (not shown) which is the same as the "medical prescription set registration" screen.

도21에 나타내는 입력란(7)에서, 9 "화상" 키를 조작하면, 도34에 나타내는 "화상 진단 세트 리스트" 화면이 표시된다. "화상 진단 세트 리스트" 화면에서, 해당하는 세트 명칭을 선택함으로써, 선택한 내용이 전자 카르테에 반영된다. "화상 진단 세트 리스트" 화면에서의 표시 내용은 도35에 나타내는 "화상 진단 세트 등록" 화면에서 신규 입력하거나 수정하거나 할 수 있다. "화상 진단 세트 등록" 화면은 분류 버튼, 일람표, 그 밖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류 버튼은 "X선 단순" 버튼, "X선 조영" 버튼 등, 촬영의 종류에 따른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X선 단순" 버튼을 조작하면 X선 단순 촬영에 관하여 이미 등록되어 있는 세트 명칭의 일람이 표시되고, 수정하고자 하는 세트를 선택하여 "수정"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내용의 수정이 가능해진다. 또, 그 밖의 버튼은 "신규 작성" 버튼, "수정" 버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리스트에 해당하는 것이 없는 경우, 새로이 등록하는 경우, 등록한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 밖의 버튼의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도36에 나타내는 "화상 진단 세트 입력" 화면으로 전환하여 소정의 입력을 행할 수 있다.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21, when the "image" key is operated, the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shown in FIG. 34 is displayed. In the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by selecting the corresponding set name, the selected contents are reflected in the electronic cart. The display contents on the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can be newly entered or corrected on the "image diagnosis set registration" screen shown in FIG. The "image diagnosis set registration" screen is composed of a classification button, a list and other buttons. The classification butt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type of shooting, such as an "X-ray simple" button and an "X-ray contrast" button. For example, when operating the "X-ray simple" button, a list of set names already registered for X-ray simple shooting is displayed, and contents can be modified by selecting a set to be modified and operating the "edit" button. Become. The other buttons are composed of a "new creation" button, a "modification" button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re is nothing corresponding to the list, when registering newly, and when changing registered contents, by operating any of the other buttons,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image diagnosis set input" screen shown in FIG. Input can be performed.

"화상 진단 세트 등록" 화면에서, "신규 작성" 버튼을 조작하면 입력란(7)의 각 키의 표시가 도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진단 입력 시에 필요해지는 각 항목으로 변경된다. 1 "부위" 키를 조작하면 도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체의 각 부위를 나타내는 내용으로 변경된다. 또, 2 "방향" 키를 조작하면 도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 방향을 나타내는 내용으로 변경된다. 또 3 "필름" 키를 조작하면, 도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항목으로 변경되므로 사이즈를 선택하여 텐키로 매수를 입력한 후, 분획 수를 입력함으로써 필름의 형식을 선택할 수가 있다. 분획 수를 입력한 후, "ENTER" 키를 조작하지 않으면, 복수의 필름에 대하여 연속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4 "약제" 키를 조작하면 텐키의 표시 내용이 도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제의 종별을 선택 가능한 항목으로 변경된다. 그래서 약제의 종별을 선택하고, 변경된 화면에서 약제를 선택하고, 다시 변경된 화면에서 용량을 입력함으로써 약제의 종별 등을 선택할 수가 있다. 용량을 입력한 후, "ENTER" 키를 조작하지 않으면 연속 입력할 수 있는 점은 상기 필름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5 "재료" 키를 조작하면 도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진단에 사용하는 재료(기구)로 이루어지는 내용으로 변경된다. 어떤 재료를 선 택하여 수량을 입력함으로써 화상 진단에 사용하는 재료의 종류 및 수량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ENTER" 키를 조작하지 않으면 연속 입력 가능하다. 또한, 수정 등이 있는 경우에는 "신규 작성" 버튼, "추가" 버튼, 및 "삭제" 버튼을 조작하여 신규 작성,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In the " image diagnosis set registration " screen, when the " new creation " button is operated, the display of each key in the input field 7 is changed to each item necessary for image diagnosis input as shown in FIG. Operation of the " part " key changes contents indicating the parts of the body as shown in FIG. The operation of the two " direction " keys is changed to the contents indicating the shoot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In addition, when the 3 " film " key is operated, it changes to an item indicating the size of the film as shown in Fig. 40. Therefore, the format of the film can be selected by selecting the size, entering the number of sheets with the tenkey, and then entering the number of fractions. After inputting the fraction number,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input a plurality of films without operating the "ENTER" key. When the 4 " pharmaceutical " key is operated, the displayed content of the ten key is changed to an item which can select the type of drug,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type of the medicine can be selected by selecting the type of the medicine, selecting the medicine on the changed screen, and inputting the dose again on the changed screen. After inputting the capacity, the point which can be continuously inputted without operating an "ENTER" key is the same as that of the said film. In addition, when the 5 " material " key is operated, the content is changed to the content composed of a material (mechanism) used for image diagnosis as shown in FIG. By selecting a material and inputting the quantity,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type and quantity of the material used for the image diagnosis. In this case, as in the above, continuous input can be performed without operating the "ENTER" key. In addition, when there is a correction or the like, new creation, addition, and deletion are possible by operating a "new creation" button, an "add" button, and a "delete" button.

도21에 나타내는 입력란(7)에서, 9 "지도" 키를 조작하면 입력란(7)의 각 키의 표시가 도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도의 분류를 나타내는 내용으로 변경된다. 지도의 분류는 예를 들면, 복약, 영양, 생활, 운동, 공중 위생·감염 방지, 재택, 약학적 관리, 기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표시된 1 내지 8중 어느 하나의 키를 조작하면 입력란(7)의 각 키의 표시가 다시 도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된다. 여기에서 "지도문" 키를 조작하면 텐키가 조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어떤 텐키를 조작하면, 별도의 윈도우로 지도문의 일람표가 표시된다. 도45는 "영양 지도"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지도문의 예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등록되어 있는 지도문을 텐키로 선택 가능해진다. 또한 도21에서, "진료 계획" 키를 조작하면 도4에 나타내는 "키보드 입력" 화면이 표시되므로 키보드를 사용하여 진료 화면의 입력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21, when the 9 " map " key is operated, the display of each key of the input field 7 is changed to the contents indicat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map as shown in FIG. The classification of the map consists of, for example, medication, nutrition, life, exercise, public health and infection prevention, home care, pharmaceutical management, and the like. Here, when any of the displayed keys 1 to 8 is operated, the display of each key of the input field 7 is changed again as shown in FIG. By operating the "map door" key here, the tenkey can be operated. When a certain tenkey is operated, a list of map statements is displayed in another window. 45 shows an example of the map text displayed by operating the "nutrition map" key. Thereby, the registered map text can be selected by Tenkey. In Fig. 21, when the " Care Plan " key is operated, the " keyboard input " screen shown in Fig. 4 is displayed, so that it is possible to input the treatment screen using the keyboard.

기억 장치(3)는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약품 마스크, 상병명 마스크, 의료 행위 마스크, 검색 메뉴 마스터 등의 각종 마스터, 진찰록 테이블 등의 각종 테이블에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데이터가 각각 저장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emory device 3 stores data as shown below in various tables such as a medicine mask, a sickness mask, a medical action mask, a search menu master, and a table of medical examination tables. .

의약품 마스터에는 의약품(약제)에 관한 데이터, 예를 들면 의약품명, 의약품 코드 번호, 약효 등이 기억되어 있다. 그런데, 병원에 따라 취급하는 의약품이 다르나. 그래서, 의약품 마스터에서는 취급하는 의약품에 플러그를 세워 참조 가능한 의약품의 좁힘을 행한다. 이에 따라 공통된 의약품 마스터를 사용하여 각 병원별로 의약품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가 있다. 또, 데이터를 좁힘으로써 검색이나 표시를 고속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medicine master stores data on the medicine (pharmaceutical), for example, the name of the medicine, the drug code number, and the medicine. By the way, do you have different medicines depending on the hospital? Therefore, the medicine master plugs the medicine to be handled to narrow down the medicine for reference. As a result, a common drug master can be used to build a database of drugs for each hospital. Further, by narrowing the data, it is possible to search and display at high speed.

병명 마스터에는 증상에 관한 항목(증상 항목)이 기억되어 있다.In the disease master, items related to symptoms (symptom items) are stored.

의료 행위 마스터에는 각 의약품의 복용 방법(복용 시기, 복용 수 등)이나 부위에 관한 항목, 즉, 신체의 어디의 증상인지를 나타내는 항목(부위 항목) 등, 의료 행위에 필요한 내용이 기억되어 있다.The medical practice master stores the contents necessary for medical practice, such as items related to the method (time of administration, number of doses) and sites of each medicine, that is, items indicating the symptoms of the body (site items).

검색 메뉴 마스터에는 50음 선택, 아이우에오 선택 등의 검색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The search menu master stores data for selecting a type of search such as 50 sound selection and Aiueo selection.

진찰록 테이블에는 도2b의 입력 확정란(9)에서 확정된 정보가 기억되게 된다.The information confirmed in the input confirmation column 9 of Fig. 2B is stored in the medical examination table.

결과 테이블에는, 검사 위탁선(검사 회사) 등에서의 검사 결과가 인터넷, ED(플로피 디스크), CD-ROM 등의 전자 매체를 개재하여 취득된다.In the result table, inspection results from an inspection consignor (inspection company) and the like are obtained via electronic media such as the Internet, ED (floppy disk), CD-ROM, and the like.

제어 장치(4)는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키패드 접수 제어부, 입력 키패드 표시 제어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trol apparatus 4 is comprised from an input keypad acceptance control part, an input keypad display control part, etc. As shown in FIG.

입력 키패드 접수부는 터치 패널이나 키 패드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진행 상황 로그를 남김과 동시에 표시 장치(2)의 입력 버퍼 화면(임시 표시부)으로의 표시를 제어한다.The input keypad receiving unit controls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2 on the input buffer screen (temporary display unit) while leaving a progress log on the basis of the input signal from the touch panel or the keypad.

입력 패드 표시 제어부는 상기 진행 상황 로그에 기초하여 입력란(7)과 메뉴 윈도우 화면의 표시 제어를 한다. 입력란(7)에서는 진행 상황 로그를 파악하여 메뉴 구성 테이블에서 상황에 맞는 메뉴 내용을 표시한다.The input pad display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of the input box 7 and the menu window screen based on the progress log. Input field (7) captures the progress log and displays context menu contents in a menu configuration table.

메뉴 구성 테이블은 입력란(7)에서 입력하는 항목이 용법, 약품명, 부위 등, 다방면에 걸치기 때문에 각종 마스터에 직접 억세스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이 테이블로 호출하여 표시 처리에 이용한다. 메뉴 구성 테이블로서는 예를 들면 대응하는 마스터 파일명, 키 사용 유무, 메뉴 항목 수, 메뉴 영역(11)의 표시 유무 등이 포함된다.In the menu structure table, since the items inputted in the input field 7 are multifaceted such as usage, drug name, site, etc., various types of masters are not directly accessed, but are called once in this table and used for display processing. The menu configuration table includes, for example, the corresponding master file name, the use of keys, the number of menu item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play of the menu area 11, and the like.

이어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카르테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operation | movement of the electronic carte system which consists of the said structure is demonstrated.

도2a에 나타내는 초기 화면에서는 표시 영역(2)의 우측 하단에 입력란(7)이 표시되므로 진찰을 하는 경우에는 5 "진찰" 키를 조작함으로써 진찰이 끝나지 않은 환자 중, 접수 번호(No)의 가장 작은 환자의 전자 카르테를 표시시킨다. 지금부터 진찰하려고 하는 환자의 것이 아니면 화살표 키를 조작하여 도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하는 전자 카르테를 변경한다. 또, 리스트가 자동적으로 일람 표시되므로 이 수진 리스트에서 해당하는 환자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된 전자 카르테에서는 환자란(6)에 그 환자의 생년월일, 주소 등의 개인 정보가 표시되는 것 외에 과거의 카르테가 있으면, 이력란(5)에 그 내용이 표시된다. 단, 환자에게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항목 등에 대해서는 초기 표시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초기 표시가 바람직하지 않은 항목(암, 감염증, 성병 등)에 대해서는 별도로 탭 키를 마련하여 이 탭 키를 조작했을 경우에만 표시 가능 하게 하면 된다.In the initial screen shown in Fig. 2A, the input field 7 is displayed at the lower right of the display area 2, so that in the case of the examination, the operation number 5 of the patients whose examination has not been completed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5 " diagnosis " key. Mark the electronic carte of a small patient. If it is not the patient to be examined from now on, the electronic key to be displayed is changed as shown in Fig. 28 by operating the arrow keys. In addition, since the list is automatically displayed,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the corresponding patient from the list of visits. In the displayed electronic carte, the patient column 6 display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date of birth and the address of the patient, and if there is a past carte, the contents thereof are displayed in the history column 5. However, it is preferable not to initially display the item etc. which are not desirable to show to a patient. For example, a tab key may be separately provided for an item whose initial display is not desirable (cancer, infectious disease,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etc.) and may be displayed only when this tab key is operated.

또, 과거의 카르테 이외에 검사 결과가 있는 경우, 그 검사 결과를 자동적으로 팝업 표시하여 도48에 나타내는 검사 결과 표시 처리를 한다.If there is a test result other than the past Carte, the test result is automatically popped up to perform the test result display process shown in FIG.

검사 결과 표시 처리에서는 우선, 검사 위탁처(검사 회사)로부터 인터넷 등을 통하여 전송되고, 기억 장치(3)의 결과 테이블에 자동적으로 취득한 검사 결과를 읽어 들인다(스텝 S100). 단, 검사 결과는 플로피 디스크(FD), DE-ROM 등의 전자 매체로부터 결과 테이블로 읽어 들이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inspection result display process, first, the inspection result,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inspection entrustment destination (inspection company) via the Internet or the like, is automatically read into the result table of the storage device 3 (step S100). However, the test result may be read into the result table from an electronic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FD) or a DE-ROM.

또, 검사 마스터로부터 상기 검사 결과에 대응하는 검사 항목에 관한 기준값을 읽어 들인다(스텝 S101). 그리고, 읽어 들인 검사 결과와 기준값(상한값 및 하한값)을 비교한다(스텝 S102). 그리고, 비교한 결과를 화면에 팝업 표시한다(스텝 S103). 이 경우, 검사 결과가 기준값을 벗어나면 이상이라고 판단하고, 이상만을 강조(예를 들면 적색) 표시한다.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 하한값을 밑도는 경우 "↓"를 각각 표시한다. 여기에서, 카르테에 전기하는 항목이 선택된다(스텝 S104). 그 항목에 대한 검사 결과를 카르테에 전기한다(스텝 S105). 카르테로의 전기 항목은 예를 들면, 검사 항목의 각각에 체크 박스를 마련하고, 체크된 항목만을 전기하면 된다. 이 경우, 초기 설정을 예를 들면, "이상값만의 체크", "모두 체크", "체크하지 않음"의 세가지에서 선택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또한, 정상값이어도 전번 검사 결과로부터의 변화가 큰 것이나 이상값이어도 그다지 걱정할 필요가 없는 것도 있기 때문에 전기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Moreover, the reference value regarding the inspec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said inspection result is read from an inspection master (step S101). Then, the read test result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upper limit value and lower limit value) (step S102). The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is popped up on the screen (step S103). In this case, if the inspection result is out of the reference value, it is judged to be abnormal, and only the abnormality is highlighted (for example, red). When the upper limit value is exceeded, "↑" is displayed and when the lower limit value is lowered, "↓" is displayed respectively. Here, an item to be posted to Carte is selected (step S104). The inspection result about the item is posted to Carte (step S105). As for the electric item of Cartero, for example, a check box is provided in each of the inspection items, and only the checked items need to be posted. In this case, the initial setting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checking only an abnormal value", "checking all", and "not checking". Moreover, even if it is a normal value, even if the change from a previous test result is large and an abnormal value does not need to worry so much, it is possible to select an electric item.

(진찰 입력)(Medical input)

진찰하고자 하는 환자의 전자 카르테가 표시되면, 도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2)를 사이에 두고 의사와 환자가 마주 하고 표시시킨 전자 카르테를 참조하면서 진찰을 진행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입력란(7)은 화면의 우측 아래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환자도 전자 카르테의 내용을 보기 쉽게 표시 내용을 보면서 진찰을 진행할 수가 있다.When the electronic Carte of the patient to be examined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31, the examination can be proceeded while referring to the electronic Carte which the doctor and the patient faced and displayed with the display device 2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is case, since the input field 7 is display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screen, the patient can also proceed to the examination while viewing the displayed contents so that the contents of the electronic cart can be easily seen.

진찰 내용의 입력에서는 입력란(7)의 "S" 키를 조작하여 입력란(7)을 도3에 나타내는 내용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이미 문진표의 내용이 등록되어 있는 것이면 "문진표" 키를 조작함으로써 해당하는 문진 내용을 전자 카르테에 카피한다. 문진 내용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1 "주요 질환" 키를 조작하고, 도4에 나타내는 "키보드 입력" 화면을 표시시켜 키보드에 의해 주요 질환(환자의 호소)의 입력을 한다.In the input of the examination contents, the "S" key of the input field 7 is operated to switch the input field 7 to the content shown in FIG. If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are already registered, the corresponding questionnaire contents are copied to the electronic cart by operating the "question mark" key. If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are not registered, 1 the "major disease" key is operated, and the "keyboard input" screen shown in Fig. 4 is displayed to input the main disease (patient appeal) by the keyboard.

주요 질환의 입력이 종료되면, "OK" 키를 조작하여 "키보드 입력" 화면을 닫는다. 이어서, 2 "문진" 키를 조작하여 입력 확인란(8)인 "문진" 화면을 표시시킨다. 이 때, 입력란(7)의 숫자 키의 표시가 도6에 나타내는 증상 입력을 위한 내용으로 변경된다. 그래서 입력란(7)에 표시된 각 증상으로부터 해당하는 것을 선택한다. 해당하는 것이 없으면 화살표 키로 표시 내용을 변경한다.When the input of major diseases is finished, the "OK" key is operated to close the "Keyboard input" screen. Then, the 2 "Contact" key is operated to display the "Contact" screen which is the input check box 8. At this time, the display of the numeric keys of the input field 7 is changed to the content for symptom input shown in FIG. Thus, the corresponding one is selected from each symptom displayed in the input box (7). If none exist, change the display with the arrow keys.

증상이 입력되면, "문진" 화면에는 그 내용이 표시됨과 동시에 입력된 증상에 대하여 필요한 문진 내용이 모두 표시된다. 예를 들면 증상에 "발열"이 선택된 경우에는 "문진" 화면에는 "발열", "언제부터", "어느 정도", "오한 유무"라고 표시되고, "발열"의 입력이 완료되어 있으므로 다음에 입력이 필요해지는 "언제부터" 의 항목이 강조 표시된다. 따라서, 무엇을 입력하면 되는지를 한 눈에 알 수 있다. 또, 입력란(7)의 표시 내용이 증상에서 시기에 관한 것으로 변경된다. 또한, 그 항목의 입력이 필요하지 않으면 "SKIP" 키를 조작하여 다음 항목으로 이행할 수가 있다. 이 때, 강조 표시되는 항목이 변경된다. 그 후 순차 변경되는 입력란(7)의 표시 내용에 따라 입력한다. 이에 따라 진찰에서 필요로 하는 항목을 빠짐없이 모두 입력할 수가 있다.When the symptom is input, the "Contact Us" screen displays the contents and all necessary questionnaire contents for the entered symptom are displayed. For example, if "fever" is selected as a symptom, "fever", "from when", "to some extent" and "with or without chills" are displayed on the "Confirmation" screen. The entry "from when" is required for input is highlighted. Therefore, you can see at a glance what to enter. In addition, the display content of the input field 7 changes from symptom to time. In addition, if input of the item is not necessary, the "SKIP" key can be operated to move to the next item. At this time, the highlighted item is changed. Input is made according to the display content of the input field 7 which is changed sequentially after that. As a result, all the items required for medical examination can be entered.

진찰 결과의 모든 입력이 완료되면, "문진" 화면에서의 표시 내용을 확인하여 필요에 따라 정정을 한다. 그리고, 정정 및 확인이 종료되면, "ENTER" 키를 조작한다. 이에 따라 "문진" 화면에서의 표시 내용이 소거되어 입력 확정란(9)에 표시되어 입력 내용이 카르테에 반영된다.When all the input of the examination result is completed, check the display on the "Contact Us" screen and correct as necessary. When the correction and confirmation are finished, the "ENTER" key is operated. Thereby, the display contents on the "Contact Us" screen are erased and displayed in the input confirmation column 9, and the input contents are reflected in the carte.

(소견 입력)(Input comment)

진찰 내용의 입력이 종료되면, 입력란(7)의 "O" 키를 조작함으로써 소견 즉, 의사가 인정하는 증상의 입력을 한다. "O" 키를 조작하면 입력란(7)의 표시 항목이 소견 입력용으로 전환되고, 도8a에 나타내는 입력란(7)에는 1 "소견", 2 "검사", 3 "화상", 4 "세마", 5 "검사력"의 각 키가 표시된다.When the input of the examination contents is completed, the finding, that is, the symptom recognized by the doctor is input by operating the "O" key of the input field 7. By operating the "O" key, the display items in the input field 7 are switched for input of opinions, and 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8A, 1 "research", 2 "inspection", 3 "image", 4 "sema" 5 Each key of "Testing force" is displayed.

1 "소견" 키를 선택하면, 입력란(7)의 표시 항목이 도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신적 소견" 키 및 "개별적 소견" 키로 변경된다.1 When the "remarks" key is selected, the display items in the input field 7 are changed to "systemic remarks" keys and "individual remarks" keys as shown in Fig. 8D.

"전신적 소견" 키를 조작하면 도9a에 나타내는 "바이탈 사인 다이알로그" 화면이 별도의 윈도우로 표시되므로 순차 각 항목의 체크 박스 중 어느 것을 펜이나 마우스로 체크하면 된다.By operating the "systemic findings" key, the "Vital Sign Dialog" screen shown in Fig. 9A is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so that any one of the check boxes of each item can be sequentially checked with a pen or a mouse.

또, "개별적 소견" 키를 조작하면 입력란(7)의 각 숫자 키는 신체의 부위를 나타내는 표시로 변경되므로 해당하는 부위를 조작하여 "소견 입력" 화면을 표시시키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표시된 각 항목의 체크 박스를 체크하면 된다. 예를 들면 "경부"를 조작하면, "소견 입력" 화면으로서 도9b에 나타내는 "경부" 화면이 별도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경부" 화면에서는 경부 시진(視診)란과 경부 촉진란이 있고, 각각 갑상선 비대, 경부 임파종 비대, 이하선 비대("유", "무"의 체크 박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의 각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사는 각 항목의 체크 박스 중 어느 것을 펜이나 마우스에 의해 체크하면 된다.In addition, when the "individual opinion" key is operated, each numeric key in the input field 7 is changed to a display indicating a part of the body, so that the corresponding input is operated to display the "input input" screen, and as shown above, Just check the checkbox. For example, when the "neck" is operated, the "neck" screen shown in Fig. 9B is displayed as another window as the "remark input" screen. In the "cervical" screen, there is a cervical examination column and a cervical palpation column, each of which consists of thyroid hypertrophy, cervical lymphoma hypertrophy, parotid hypertrophy (consists of check boxes of "Yes", "None", etc.). It is. The doctor can check any of the check boxes of each item with a pen or a mouse.

2 "검사" 키를 선택하면 실시 완료된 검사 결과가 일람 표시된다. 그리고, 표시된 검사 결과는 수동 입력 또는 자동 입력에 의해 전자 카르테의 해당 개소(입력 확인란)에 반영시킨다.2 Select the "Inspection" key to display a list of the completed inspection results. And the displayed test result is reflected in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put check box) of an electronic cart by manual input or automatic input.

3 "화상 진단" 키를 조작하면, 뢴트겐 등으로 촬영한 화상이 있으면 별도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의사는 표시된 화상에 기초하여 증상의 판단을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다음 세마 화면을 표시시켜 환자를 위한 설명용으로서 이용한다.3 When the "Image Diagnosis" key is operated, if there is an image taken by Roentgen or the like, a separate window is displayed. The doctor judges the symptoms on the basis of the displayed image and displays the next semaphore screen as needed for use as an explanation for the patient.

4 "세마" 키를 조작하면, 도46에 나타내는 "세마" 화면이 표시된다. "세마" 화면에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신체 부위 화상이 표시되므로 그 중에서 환자의 질환 부위의 화상을 선택하면 화상이 편집란으로 확대 표시된다. 펜,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화상에 부위, 증상 등을 써 넣고, "카르테에 부착" 버튼을 조작하면 화상이 전자 카르테에 축소된 사이즈로 표시된다. 또, "화상" 키를 조작하면, "화상 진단 결과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 "화상 진단 결과 입력" 화면의 "화상 취득" 버튼을 조작하면, "화상 취득" 화면이 표시되고, 화상 파일이 읽어 들여진다. 단, 화상 데이터는 필름 스캐너를 사용하여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상 취득" 화면을 닫으면, "화상 진단 결과 입력" 화면에 취득된 화상이 표시되고, 이 화상을 참조하면서 화상 진단 결과를 입력할 수가 있다. 화상 진단 결과의 입력 후, "화상 진단 결과 입력" 화면의 "닫기" 버튼을 조작하면 입력 내용이 전자 카르테에 표시된다. 또, 전자 카르테에 표시된 화상을 더블 클릭하면 "세마" 화면의 편집란에 해당 화상이 확대 표시된다. 이에 따라 펜, 마우스 등을 사용하여 화상을 지시하고, 질환 부위를 환자에게 알기 쉽게 설명할 수가 있다.4 When the "sema" key is operated, the "sema" screen shown in FIG. 46 is displayed. Since a plurality of body part images registered in advance are displayed on the "sema" screen, when an image of a disease part of a patient is selected from among them, the image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an edit field. When a part, symptom, etc. are written in an image using a pen, a mouse, or the like, and an “Attach to Carte” button is operated, the image is displayed in a reduced size on the electronic cart. If the "image" key is operated, the "image diagnosis result input" screen is displayed. By operating the "Acquire Image" button on the "Image Diagnostic Result Input" screen, the "Acquire Image" screen is displayed and the image file is read. However, image data can also be acquired using a film scanner. When the "Image acquisition" screen is closed, the acquired image is displayed on the "Image diagnosis result input" screen, and the image diagnosis result can be input while referring to this image. After inputting the image diagnosis result, when the "Close" button of the "Image diagnosis result input" screen is operated, the inpu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cart. When the image displayed on the electronic cart is double-clicked, the image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edit field of the "sema" screen. Accordingly, an image can be instructed using a pen, a mouse, or the like, and the disease site can be easily explained to the patient.

5 "검사력" 키를 조작하면, 지난번 검사 결과가 일람 표시된다. 이 경우, 표시된 일람표에서 검사 항목을 선택하고(여기에서는 최대 5항목까지 선택 가능), 검사 결과를 시계열 표시 또는 그래프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표시를 희망하는 검사 결과를 선택하고, 숫자 키에 표시되는 "시계열 표시" 또는 "그래프 표시"를 조작하면 다음과 같이 형식을 바꾸어 표시시킬 수가 있다.5 When the "Test Force" key is operated, the last test result is displayed. In this case, the inspection item can be selected from the displayed list (up to five items can be selected here), and the inspection result can be displayed in time series or graph display. That is, by selecting the test result desired for display and operating "time series display" or "graph display" displayed on the numeric keys, the format can be changed and displayed as follows.

"시계열 표시" 를 조작하면, 도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한 각 검사 항목에 대하여 날짜로 이루어지는 일람표에 검사 결과의 수치가 표시된다. "그래프 표시"를 조작하면 도50에 나타내는 그래프 표시 처리가 개시된다.When " time series display " is operated, the numerical value of the inspection result is displayed in a list consisting of dates for each selected inspection item as shown in FIG. By operating "graph display", the graph display processing shown in FIG. 50 is started.

그래프 표시 처리에서는 우선, 검사 마우스로부터 해당하는 검사 항목의 기준값을 좁히고(스텝 S110), 눈금 표시값을 산출한다(스텝 S111). 그리고, 산출한 눈금 표시값에 기초하여 그래프상에 눈금을 표시한다(스텝 S112). 이 경우, 검사 기준값의 상한값 및 하한값의 표시 위치를 검사 항목의 차이에 불구하고 동일한 위 치로 한다. 그리고, 검사 항목이 복수이면 각 검사 항목의 검사 기준값의 상한값 및 하한값을 병렬하여 표시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검사 항목의 정상 범위의 폭을 맞추어 표시할 수가 있다. 계속해서, 검사 결과를 그래프상에 표시한다(스텝 S113).In the graph display process, first, the reference value of the corresponding inspection item is narrowed from the inspection mouse (step S110), and the scale display value is calculated (step S111). Then, the scale is displayed on the graph based on the calculated scale display value (step S112). In this cas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upper limit value 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inspection reference value is the same position despi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spection items. And if there are a plurality of inspection items, the upper limit value 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inspection reference value of each inspection item are displayed in parallel. Thereby, the width | variety of the normal range of a some inspection item can be matched and displayed. Subsequently, the inspection result is displayed on the graph (step S113).

도51에 검사 결과를 그래프 표시한 예를 나타낸다. 이 그래프에서는 검사 항목 A, B가 좌측란 2열로 표시되고, 각 감사 항목의 검사 기준값의 상한값 및 하한값이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4회에 걸치는 검사 결과가 꺾음선 그래프로 표시되어 있다. 검사 항목과 꺾음선 그래프는 각 검사 항목마다 색으로 구분되어 있고, 어느 결과가 어느 검사에 의한 것인지를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검사 항목이 복수가 되어도 정상 범위의 폭이 맞추어 표시되어 있고, 또한 검사 결과가 꺽은선 그래프 등으로 표시되므로 각 검사 결과의 변화 경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으며, 또한 검사값이 정상 범위인지 여부의 판단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 그래프를 참조하면서 환자에게 설명하면 시각적으로 알기 쉽기 때문에 인폼드 콘센트에 유효한 도구가 된다.Fig. 5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est results are graphically displayed. In this graph, the inspection items A and B are shown by 2 columns of the left column, and the upper limit value 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inspection reference value of each audit item are displayed in the same position. And the test result over four times is shown by the broken line graph. The inspection item and the broken line graph are color-coded for each inspection item, and it is possible to know at a glance which results are due to which inspection. In this way, even if there are a plurality of test items, the width of the normal range is matched and displayed, and the test results are displayed in a line graph or the like, so that the tendency of change of each test result can be easily identified.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fore, explaining the graph to the patient with reference to the graph makes it an effective tool for informed outlets because it is visually understandable.

또, 각 꺽은선 그래프에 대응한 검사 항목의 명칭이 표시되는 부분에 마우스를 이동시키면, 이 검사 항목에 대응하는 진찰 기준 등이 팝업 표시된다. 예를 들면 헤모글로빈 HbAlc 상에서 왼쪽 클릭하면 혈당이 정상화되어 있어도 HbAlc가 정상값이 될 때까지의 시간적인 어긋남이 있으므로, 그것을 나타내는 표시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의사는 필요에 따라 각 검사 항목의 진찰 기준 등, 검사 결과의 판단 등에서 주의해야 하는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으므로, 일부러 서적을 조사하거나 잘못된 어드바이스를 하거나 하는 일이 없어져 매우 편리하다.Moreover, when a mouse is moved to the part which shows the name of the test | inspection item corresponding to each broken line graph, the consultation criteria etc. corresponding to this test | inspection item are popped up. For example, when left-clicking on hemoglobin HbAlc, even if blood sugar is normalized, there is a time lag until HbAlc reaches a normal value, and thus a display indicating that is made. Therefore, the doctor can display information to be careful in determining the examination result, such as the examination criteria of each inspection item, if necessary, and thus it is very convenient that the user does not deliberately examine the book or make an incorrect advice.

(어세스먼트 입력)(Insert input)

소견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란(7)의 "A" 키를 조작함으로써, 어세스먼트 입력, 즉, 증상에 대한 진단 내용의 입력을 한다.When the input of the findings is completed, by inputting the "A" key in the input field 7, the input of the assessment, that is, the diagnosis content for the symptom is input.

어세스먼트 입력에서는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상병명" 키, 2 "의견·소견" 키, 3 "전기" 키, 4 "수정" 키, 5 "삭제" 키가 표시되므로 필요한 항목을 선택하여 조작한다.As shown in Fig. 10, as shown in Fig. 10, 1 " sickness name " key, 2 " feedback " key, 3 " electric " key, 4 " modify " key and 5 " delete " key are selected. To operate.

"상병명" 키를 조작하면, 숫자 키에는 1 "빈용 검색", 2 "분류 검색", 3 "키워드", 4 "급성 질환", 5 "만성 질환", 6 "후보 상병명"의 각 표시로 변경된다. 검색 방법이 선택되면 선택한 방법에 따라 검색된다.When operating the "Sickness" key, the numeric keys display 1 "Frequency Search", 2 "Classification Search", 3 "Keywords", 4 "Acute Diseases", 5 "Chronic Diseases", and 6 "Candidate Diseases". Is changed to If a search method is selected, it is searched according to the selected method.

1 "빈용 검색" 키를 조작했을 경우, 숫자 키의 표시가 빈용되어 있는 상병명(빈용 상병명)으로 변경된다. 즉, 1 "감모(感冒)", 2 "2형 당뇨병"… 등과 같이 표시되므로, 그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선택한다. 또한, 빈용 상병명은 과거에 의사가 결정한 상병명을 카운트하고, 그 빈도가 높은 순으로 순서를 바꾼 것이 숫자 키의 1부터 차례로 표시된다.1 When the "Frequency Search" key is operated, the display of the numeric keys is changed to the common sickness name (Frequency sickness name). That is, 1 "feel", 2 "type 2 diabetes"... And the like is selected from among them. In addition, the poor sickness name counts the sickness name determined by the doctor in the past, and the order of the frequent sickness names is displayed in order from one of the numeric keys.

2 "분류 검색" 키를 조작했을 경우, 숫자 키의 표시 항목이 도14c에 나타내는 ICD 10의 대분류에 해당하는 문자열(또는 도14d에 나타내는 ICD 10 코드 번호)로 전환된다. 해당하는 대분류에 대응하는 문자열(여기에서는 일본어에 의해 표현된 대분류에 대응하는 단어)이 표시된 숫자 키(9 "순환기계")가 조작되면, 각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은 도14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된 대분류에 속하는 중분류에 대응하는 문자열(또는 도14f에 나타내는 ICD 10 코드 번호)로 전환된다. 또, 표시된 문자열에서 해당하는 숫자 키(2 "만성 류마티스성 신질환")을 선택하면, 각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은 도14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된 중분류에 속하는 소분류에 대응하는 문자열(또는 도14h에 나타내는 ICD 10 코드 번호)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병명을 좁힐 수가 있고, 최종적으로 도14i(또는 도14j에 나타내는 ICD 10 코드 번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병명을 선택 가능한 표시로 전환하여 상병명을 특정할 수가 있다. 즉, 의사는 대체적인 예상을 하면서 용이하게 상병명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F1 키에 ICD 10(분류)라고 표시되고, 이 키를 조작함으로써 각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을 문자열 또는 코드 번호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키의 조작은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중 어느 것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라도 행할 수 있고, 대응하는 표기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코드 번호의 경우, 표시 문자수가 적기 때문에 숫자 키이더라도 충분히 인식하기 위운 사이즈로 전체 문자를 표시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어느 계층까지는 코드 번호로 기억하고 있는 경우, 코드 번호에 따라 상병명의 좁힘을 진행하고, 그 이후는 문자열로 전환하고, 상병명을 특정하여 행할 수 있는 등, 매우 효율이 좋은 입력이 가능해진다.2 When the "Classification Search" key is operated, the display item of the numeric keys is switched to a character string (or ICD 10 code number shown in Fig. 14D) corresponding to the major classification of ICD 10 shown in Fig. 14C. When the numeric keys (9 " circulators ") in which the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ajor classification (here, the word corresponding to the major classification represented by Japanese) are displayed are operated, the display contents of each numeric key are selected as shown in Fig. 14E. The character string (or ICD 10 code number shown in Fig. 14F) corresponding to the subclass belonging to the major category is switched. When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2 "chronic rheumatic renal disease")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character string, the display contents of each numeric key are displayed in the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subclass belonging to the selected subclass as shown in Fig. 14G (or as shown in Fig. 14H). ICD 10 code number). In this manner, the name of the illness can be narrowed, and finally, as shown in FIG. 14I (or ICD 10 code number shown in FIG. 14J), the illness name can be switched to a selectable display so that the illness name can be specified. That is, the doctor can easily specify the name of the illness while making a general expectation. In addition, ICD 10 (classification) is displayed on the F1 key, and by operating this key,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display contents of each numeric key to either a character string or a code number. This key can be operated even when any of the major, medium, and minor categories is displayed, and can be changed to the corresponding notation. In the case of the code number, the number of display characters is small, so that even if the number keys are used, the entire characters can be displayed in a size sufficient to be recognized. Therefore, when a code number is stored up to a certain hierarchy, narrowing of the name of the illn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de number, and after that, it is possible to input a very efficient input such as switching to a character string and specifying the name of the illness. .

3 "키워드" 키를 조작했을 경우, 도13b에 나타내는 키워드 입력 검색 화면이 팝업 표시된다. 키워드 또는 ICD 10 코드를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입력한 키워드 또는 ICD 10 코드를 포함하는 상병명의 일람표가 표시된다. 즉, 키워드만, ICD 10 코드만, 또는 키워드와 ICD 10 코드의 양쪽을 포함하는 상처 병명 을 검색할 수가 있다. 도13b에는 키워드로서 고혈압증만을 입력하여 검색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When the " keyword " key is operated, the keyword input search screen shown in Fig. 13B is popped up. By inputting a keyword or ICD 10 code and operating a search button, a list of sicknesses containing the entered keyword or ICD 10 code is displayed. That is, you can search for a wound disease name that contains only keywords, only ICD 10 codes, or both keywords and ICD 10 codes. Fig. 13B shows an example in which only hypertension is entered and searched as a keyword.

4 "급성 질환" 키를 조작했을 경우, 숫자 키에 표시되는 항목은 급성 질환에 관한 상병명이 되고, 5 "만성 질환" 키를 조작했을 경우, 만성 질환에 관한 상병명이 된다. 또, 표시되는 상병명은 상기 "빈용 검색" 키를 조작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빈용 상병명에서 차례로 숫자 키의 1부터 차례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급성 질환과 만성 질환으로 구분했으므로 의사에게 있어서 판단하기 쉬운 상병명으로 일괄할 수가 있고, 표시 가능한 상병명의 수를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숫자 키에는 사용 빈도가 높은 것부터 차례로 표시되므로 상병명의 특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When the "acute disease" key is operated, the item displayed on the numeric keys becomes a disease name for an acute disease, and when the 5 "chronic disease" key is operated, it becomes a disease name for a chronic disease. Incidentally, the displayed sickness name is displayed in order from the 1st number key in order in the poor sickness nam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operating the "Facility search" key. In this way, since it is divided into acute disease and chronic disease, it can be collectively classified into a common disease name that can be easily judged by a doctor, and it becomes possible to narrow the number of disease names that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since the numeric keys are displayed in order from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the name of the illness can be easily specified.

또한, 6 "후보 상병명" 키는 처방된 약품에 대한 적응증 상병명의 일람표를 표시시키기 위한 것이다. 처방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처방된 약품에 적응증 상병명이 없는 경우에는 그레이 표시되어 조작 불능 상태가 된다.In addition, the 6 "candidate sickness" key is for displaying a list of indication sicknesses for prescribed medications. If it is not prescribed or if the prescribed drug does not have an indication disease, it is grayed out and becomes inoperable.

이와 같이 하여 각 키를 조작하여 상병명이 특정되면,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재발", "재연", "의심"으로 전환된다.In this way, when a corridor name is specified by operating each key, the display contents of the numeric keys are switched to "recurrence", "replay", and "suspect".

질병이 재발, 재연 또는 의심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 것이라면 "재발", "재연" 또는 "의심"을 조작함으로써 카르테 내용에 반영시킨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수식어의 입력을 한다. 동일한 상병명이더라도 만성이나 급성 등의 차이가 있어 치료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If the disease is one of recurrence, recurrence, or suspicion, it is reflected in the Carte content by manipulating "relapse", "replay", or "doubt". Then, a modifier is input as necessary. Even if the same disease name is chronic or acute difference because the treatment method is different.

수식어의 입력에서는 입력란(7)에서 "50음" 키 또는 "키워드" 키 중 어느 것 을 선택한다.In the input of the modifier, the input field 7 selects either a "50 tone" key or a "keyword" key.

"50음" 키가 조작되면,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1 "접두어", 2 "접미어"로 전환된다. 어느 한 쪽을 선택하면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50음의 각 자음의 행(아행, 가행…)으로 전환된다. 어느 것을 선택하면,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각 모음의 단(아, 이, 우, 에, 오)로 전환된다. 또한 어느 것을 선택하면 선두 문자가 특정되고, 특정한 문자로 시작되는 수식어의 일람표가 표시된다. 표시된 수식어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선택한다. 일람표로서 여기에서는 1 내지 9의 숫자 키에 대응하는 9개의 수식어를 표시할 수 있을 뿐이므로 9를 초과하는 수의 수식어가 있는 경우에는 "UP" 키 또는 "DOWN"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내용을 전환하여 선택할 수가 있다.When the "50 tone" key is operated, the display contents of the numeric keys are switched to 1 "prefix" and 2 "suffix". When either one is selected, the display contents of the numeric keys are switched to the rows of each 50 consonants (a line, a line…). When either is selected, the display contents of the numeric keys are switched to the stages of each vowel (a, e, right, e, o). If any one is selected, the first character is specified, and a list of modifiers starting with the specific character is displayed. Select one of the displayed modifiers. As a list, only nine modifiers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s 1 to 9 can be displayed here. When there are more than nine modifiers, the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operating the "UP" key or the "DOWN" key. Can be selected.

"50음" 키의 조작에서는 숫자 키에 일람 표시하는 수가 9개로 제한되고, 또한 표시하는 스페이스(표시 필드)는 전자 카르테의 내용 부분을 크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필요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operation of the " 50 tone " key, the number of lists to be displayed on the numeric keys is limited to nine, and the space (display field) to be displayed is preferably minimized so that the content portion of the electronic cart can be displayed large.

"키워드" 키가 조작되면, 키워드 선택 화면이 표시되므로, 키보드에 의해 문자 등을 입력하고, "검색" 키 또는 "ENTER" 키를 조작하면 해당하는 수식어가 표시되므로(키워드를 도중까지 입력했을 경우, 해당하는 수식어가 일람표로서 표시된다), 희망하는 수식어를 선택하면 된다.When the "Keyword" key is operated, the keyword selection screen is displayed. When a character or the like is input by the keyboard and the "Search" key or the "ENTER" key is operated, the corresponding modifier is displayed (when the keyword is entered halfway). , The corresponding modifier is displayed as a list), and the desired modifier can be selected.

또한, 입력란에서 "영숫자" 키를 조작하면, 숫자나 알파벳에 의한 검색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전술한 "50음" 키를 조작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숫자 키에 숫자 및 알파벳을 표시시켜 선택하도록 하면 된다.In addition, by operating the "alphanumeric" key in the input box, it is possible to search by number or alphabet. In this case, the numbers and the alphabet may be displayed and selected on the numeric keys as in the case of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50 notes" key.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입력 방법에 의하면, 숫자 키의 조작을 중심으로 하여 빈용되고 있는 상병명을 간단히 선택할 수가 있다.In this mann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input method, it is possible to easily select a common disease name mainly on the operation of the numeric keys.

또, "분류 검색" 키를 조작했을 경우, 대, 중, 소분류의 순으로 좁혀 상병명을 선택할 수가 있다. 각 분류는 세계 보건 기구(WHO)에 의해 정해진 "질병 및 관계 보건 문제의 국제 통계 분류 제10회 수정"(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e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Tenth Revison: ICD-10)의 각 분류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재발 의심의 입력, 수식어의 입력 등, 상기와 같은 입력을 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classification search" key is operated, the name of the illness can be selected by narrowing down the order of large, medium and small. Each classification corresponds to each classification in the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e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Tenth Revison (ICD-10), as defin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 shall do it. Then, the above-described input is performed, such as input of suspicion of recurrence and input of a modifier.

도 14i에서, 상병명의 입력(선택)이 완료되면, 도14b에 나타내는 최종 결정 화면으로 전환되므로 여기에서 입력한 상병명이 1 "주병명", 2 "부병명", 3 "병명"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1 "주병명"이란, 주로 환자의 치료 또는 검사에 대한 필요성에 기초하여 보험 케어의 에피소드의 최후에 진단된 병태를 말하고, 입원의 계기가 된 병명, 의료 자원을 가장 투입한 병명, 퇴원 서머리의 주병이 해당한다. 또, 2 "부병명"이란, 입원시의 병발증(倂發症)이나 입원 후의 속발증(續發症)이 해당한다. 또, 3 "병명"이란, 주병명, 부병명 중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 것이 해당된다.In FIG. 14I, when the input (selection) of the sickness name is completed,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final decision screen shown in FIG. 14B, so that the sickness name entered here corresponds to any one of 1 "major disease name", 2 "minor disease names", and 3 "disease names". Choose whether or not. Here, 1 "main disease name" refers to a condition diagnosed at the end of the episode of insurance care mainly based on the need for treatment or examination of the patient, the name of the disease that caused the hospitalization, the name of the hospital most committed to medical care, and discharge from hospital. For example, at the head of the summit. In addition, 2 "side disease names" correspond to the onset at the time of hospitalization and the onset of after hospitalization. In addition, 3 "a disease name" does not correspond to either a main disease name or a secondary disease name.

이와 같이 하여 주병명 등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입력한 상병명에 대하여 치료의 개시일이 자동 입력된다. 자동 입력된 날짜를 수정하는 경우에는 "개시일 수정" 키를 조작하여 개시일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this way, when the main disease name or the like is selected, the start date of treatment is automatically input to the entered disease name. In the case of correcting the date automatically inpu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tart date by operating the "modify start date" key.

또, 도14a에 나타내는 화면에서, 1 "의심" 키가 선택되거나, 도14b에 나타내 는 범위에서 3 "병명"이 선택되거나 또는 도12에 나타내는 화면에서, 4 "급성 질환"이 선택되면, 전자 카르테에는 도14k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종료 예정일과 전기가 입력된다. 종료 예정일을 자동 입력하는 것은, 의심의 경우, 그 후의 진찰에서 상병명이 특정되어 의심인 채로 남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또, 병명의 경우, 주병명, 부병명 등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 보조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또, 급성 질환의 경우, 일정 기간을 경과하면, 급성이 아니라 만성 취급이 되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여 종료 예정일이 입력된 상병명에 대해서는, 그 후, 종료 예정일이 경과하여도 확정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전기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14l에 나타내는 경고 다이알로그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전기 기재(前記記載))되지 않고 방치된 채로 남는 일이 없어 의사가 확인할 수가 있다. 또, 의사 회계 등을 확실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병명이 선택된 경우에는 도14m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카르테에는 눈에 띠지 않도록 옅게 표시된다. 이에 따라 나중에 이 전자 카르테를 보았을 경우, 주병명이나 부병명의 구별을 할 수가 있고, 주로 무엇을 위한 치료였는지를 잘못하는 일이 없다.In addition, if one "suspect" key is selected in the screen shown in Fig. 14A, three "disease names" are selected in the range shown in Fig. 14B, or four "acute diseases" are selected in the screen shown in Fig. 12, In Carte, the scheduled end date and electricity are automatically input as shown in Fig. 14K. The reason for automatically entering the end date is that, in the case of doubt, the name of the illness is specified in subsequent medical examinations, and it does not remain as a doubt.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a disease name, it is an auxiliary which does not correspond to any of the main disease name and the secondary disease name.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an acute disease, it is appropriate to be treated chronically rather than acutely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case of the sickness name in which the scheduled end date has been input in this manner, a warning dialog shown in FIG. 14L is displayed when the scheduled end date has not yet been determined or has not been entered. As a result, the doctor can confirm without leaving the device unattended. Moreover, it becomes possible to reliably perform pseudo accounting. In the case where the disease name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4M, the electronic cart is lightly displayed so as to be inconspicuous. As a result, when the electronic carte is later seen, the main or secondary names can be distinguished, and there is no mistake in what the treatment is mainly for.

또, 전귀는 증상이 변화했을 경우에 입력한다. 입력 항목은 입력란(7)의 숫자 키에 표시되고, 해당하는 것을 조작함으로써 카르테에 반영된다. 또, 종료일의 입력에서는 "캘린더" 키를 조작함으로써 캘린더를 표시시켜 날짜를 간단히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ront ear is input when a symptom changes. The input items are displayed on the numeric keys of the input box 7 and reflected in the cartes by manipulating the corresponding items. In the input of the end date, the calendar can be displayed to easily specify the date by operating the "Calendar" key.

(치료 계획 입력)(Enter treatment plan)

어세스먼트 입력이 종료되면, 입력란(7)의 "P" 키를 조작함으로써 치료 계획 입력, 치료, 환자에게의 교육 등의 앞으로의 치료 계획에 관한 입력을 한다. 여기에서는 각 숫자 키에는 1 "내복", 2 "돈복", 3 "외용", 4 "주사", 5 "자기 주사", 6 "처치", 7 "수술", 8 "검사", 9 "화상"이 표시된다.When the input of the assay is completed, the "P" key of the input field 7 is operated to input the treatment plan, such as treatment plan input, treatment, and education to the patient. Here, each numeric key contains 1 "underwear", 2 "piggy", 3 "outer", 4 "injection", 5 "self-injection", 6 "treatment", 7 "surgery", 8 "inspection", 9 "images" Is displayed.

환자에게 투약하는 의약품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도47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 행할 수가 있다.When selecting a medicine to be administered to a patient, i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우선, 도21에 나타내는 화면에서, 해당하는 키(1 "내복", 2 "돈복", 3 "외용", 4 "주사", 5 "자기 주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스텝 S1), 선택의 대상을 좁힌다. 이 키 조작에 의해 도22에 나타내는 화면으로 변경되므로 DO 처방 또는 약속 처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 이력 데이터에 남겨져 있는 처방전과 동일한 처방을 하는 경우에는 "DO" 키를 조작하고, 유행 중인 감기 등, 결정된 의약품을 처방하는 경우에는 "약속" 키를 조작한다. 이에 따라 처방하는 의약품의 일람이 메뉴 영역(11)로서 리스트 표시된다(스텝 S12). 그래서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해당하는 의약품을 선택하면(스텝 S13), 간단히 입력 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또, 투약일수에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4), 변경이 있으면 스텝 S9로 이행하고, 변경이 없으면 스텝 S10으로 이행한다.First, on the screen shown in Fig. 21, a corresponding key (any one of 1 " inner ", 2 " money ", 3 " outer ", 4 " injection ", 5 " self-scanning " Narrow your choices. This key operation changes to the screen shown in Fig. 22, so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O prescription or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is made (step S2). In the case of prescribing the same prescription as the one left in the history data, the "DO" key is operated, and in the case of prescribing a determined medicine such as a cold, the "promise" key is operated. The list of medicines prescribed by this is displayed as a menu area 11 (step S12). Therefore, if a corresponding medicine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list (step S13), input operation can be performed simply.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number of medication days (step S14). If there is a chang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9, and if there is no chang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

또, DO 처방 또는 약속 처방 중 어느 것도 아닌 경우에는 일반 검색을 한다. 여기에서는 50음 선택 키를 조작하여 해당하는 의약품을 특정한다(스텝 S3). 예를 들면, 문자 "이"를 선택하는 경우, 도22에서 "아"를 조작하고, 표시 내용을 "아" 내지 "오"로 전환하여 "이"를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50음 선택 키의 조작에 의해 최초의 문자를 특정하면, 그 문자에서 시작되는 의약품명이, 예를 들면,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스트 표시되므로(스텝 S4), 표시된 것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선택한다(스텝 S5). 표시된 리스트의 의약품이 많은 경우에는 2번째의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리스트 표시되는 수를 좁힐 수가 있다.In addition, if neither DO prescription nor appointment prescription is used, a general search is performed. Here, the corresponding medicine is specified by operating the 50 tone selection key (step S3). For example, in the case of selecting the letter "Y", "O" is operated in Fig. 22, and the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from "A" to "O" to select "Y". When the first letter is specified by the operation of the 50 tone selection key, the drug names starting from the letter are displayed as a lis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step S4). (Step S5). If there are many medicines on the displayed list, the number displayed on the list can be narrowed by entering the second character.

처방하는 의약품이 특정되면, 용량을 입력한다(스텝 S6). 용량의 입력은 텐키로 수치 입력함으로써 행한다. 또, 용량이 결정되면, 선택하는 의약품의 추가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7), 추가가 있으면 상기 스텝 S1로 되돌아가 상기 처리를 반복하고, 추가가 없으면 용법을 입력한다(스텝 S8).When the medicine to be prescribed is specified, the dose is input (step S6). The input of the capacitance is performed by numerical input using the tenkey. If the dose is determ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addition of the medicine to be selected (step S7). If there is an addition, the flow returns to the step S1 and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and if no addition is made, the usage is input (step S8).

용법의 입력에서는 입력란(7)의 표시 내용을 도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고, 종래, 종이 카르테에서의 입력에 사용하였던 기호를 이용 가능하게 한다.In the input of the usage, the display content of the input field 7 is changed as shown in Fig. 25, and the symbol used for the input in the paper cart is conventionally available.

구체적으로, 숫자 키 1에 나타내는 기호는 "분3 식후", 즉, 아침·점심·저녁의 매 식후에 복용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숫자 키 2에 나타내는 기호는 "분3 시 직후", 즉, 아침·점심·저녁의 매 식후 30분 이내에 복용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숫자 키 3에 나타내는 기호는 "분2 아침·저녁", 즉, 아침·저녁의 식후에 복용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숫자 키 4에 나타내는 기호는 "분1 자기 전", 즉, 취침 전에 복용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숫자 키 5에 나타내는 기호는 "분3 식간", 즉, 아침·점심 사이, 점심·저녁 사이, 저녁·아침 사이의 각 식간에 복용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숫자 키 6에 나타내는 기호는 "분1 아침", 즉, 기상 후 복용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Specifically, the symbol shown by the numeric key 1 means that the meal should be taken after "minute 3 meals", that is, after every meal in the morning, lunch and dinner. The symbol shown in the numeric keys 2 means that "must be taken immediately after 3 minutes", that is, within 30 minutes after each meal in the morning, lunch and evening. The symbol shown by the number key 3 means "minute 2 morning and evening", ie, it should be taken after breakfast and evening meals. The symbol indicated by the numeric key 4 means "to take a minute before going to bed", that is, to be taken before bedtime. The symbol shown by the number key 5 means "minute 3 meals", ie, between meals between breakfast and lunch, between lunch and dinner, and between dinner and breakfast. The symbol shown in the numeric key 6 means "minute 1 morning", that is, to be taken after waking up.

이와 같이, 종래 종이 카르테의 입력에 사용하였던 기호를 사용하도록 하였으므로 종이 카르테에서 전자 카르테로 원활하게 이행할 수가 있다. 또한 용법이 입력되면 투여일수를 입력한다(스텝 S9) 투여일수의 입력에서는 텐키로 수치 입력하는 것 외에 별도로 캘린더를 표시시키고, 표시된 날짜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캘린더에는 휴진일 등을 등록해 두면 휴진 중 등에 의약품이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환자가 내원하는 일정을 확인하기 쉬워진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ymbol used in the input of the conventional paper cart is used, it is possible to smoothly transition from the paper cart to the electronic cart. In addition, when the usage is input, the number of administration days is input (step S9). In addition to inputting numerical values using the ten keys, the calendar can be displayed separately and inputted by directly operating the displayed date. If you register a holiday on the calendar, you can prevent the problem of falling medicine during the holiday. Moreover, it becomes easy to confirm the schedule which a patient visits.

그 후, 선택 내용을 입력 확정란(9)에 표시하여(스텝 S10), 내용을 결정한다(스텝 S11).Thereafter, the selected contents are displayed in the input confirmation column 9 (step S10), and the contents are determined (step S11).

*분류*Classification 정보Information 정보원Information 병명 Disease 병명Disease 진단Diagnosis 과거의 병명Past illness 병력case history 상태 condition 과거에 처방한 약Past prescription 병력case history 현재 투여하고 있는 약Current medication 병력case history 상병명 금기(알레르기 등)Corporal name contraindications (allergies, etc.) 문진표, 병력Questionnaire 부위part 소견opinion 증상Symptom 문진paperweight 제한 limit 임신, 수유부Pregnancy, lactation 문진표, 소견Questionnaire 소아Infant 문진표, 소견Questionnaire

추론 검색의 결과, 의약품을 30종류 이하로 범위를 좁힐 수 있으면 선택 가능한 수량이라고 판단하고, 리스트 표시하여 선택시킨다. 또, 의약품이 30종류 이하로 범위를 좁힐 수가 없는 경우에는 선택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다시 일반 검색을 하여 의약품을 좁힌다. 그리고, 범위를 좁힌 의약품의 리스트에서 해당하는 것을 선택한다.As a result of the inference search, if the range of medicines can be narrowed down to 30 or less, it is determined that the quantity is selectable, and a list is displayed for selection. In addition, when the medicine cannot be narrowed down to 30 or less types, it takes time to select. Therefore, the medicine is searched again to narrow the medicine. Then, the corresponding one is selected from the list of the narrowed medicines.

또, 상기 일반 검색에서는 상기 50음 선택 외에 약효별 검색, 성분별 검색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general search,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search by drug effect and the search by ingredient in addition to the 50 sounds.

이와 같이 하여 의약품이 결정되면, 결정 내용에 따라 의약품의 오더를 하는데, 그 때, 약품 금기 등의 처방 체크 처리를 한다.When the medicine is determined in this way, the medicine is order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decision. At that time, prescription check processing such as drug contraindication is performed.

즉, 오더된 의약품의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방 체크용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상호 작용(동시에 처방해서는 안되는 의약품), 상병명 금기(상병명에 대하여 처방해서는 안되는 의약품), 연령 제한(어느 연령에서는 처방해서는 안되는 의약품) 등, 처방해도 되는지 여부의 모든 항목에 대하여 체크한다. 그 결과, 문제가 있는 의약품에 대해서는 대체 약품의 검색을 한다.That is, based on the prescription data of the ordered medicine, the interaction (the medicine that should not be prescribed at the same time), the sickness taboo (the medicine that should not be prescribed for the sickness name), the age restriction (at which age Check all items such as whether or not you can prescribe. As a result, alternative medicines are searched for in question.

상세하게는, 도5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응증(適應症; 스텝 S120), 상병명 금기(스텝 S121), 상용량(스텝 S122), 연령 제한(스텝 S123), 임부 수유부(스텝 S124), 상호 작용(스텝 S125), 배합 변화(스텝 S126), 용량용법(스텝 S127), 약제종별(스텝 S128)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체크한다. 체크 효과는 레벨 0 내지 3으로 색 분류하여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문제가 없으면 레벨 0, 요주의, 즉, 금기이면 레벨 1(적), 주의이면 레벨 2(청), 기타, 즉, 주의할 정도는 아니지만, 문제 가능성이 있으면 레벨 3(자)로 하고 있다.In detail, as shown in FIG. 52, an indication (step S120), an illness name contraindication (step S121), an upper dose (step S122), an age restriction (step S123), a pregnant lactating woman (step S124), and interaction ( Step S125), the compounding change (step S126), the dose application method (step S127), and the drug type (step S128) are sequentially checked. Check effects are displayed by color classification at levels 0 to 3. Here, if there is no problem, level 0, attention, that is, contraindication, level 1 (red), attention, level 2 (blue), other, that is, not careful, but level 3 (child) if there is a problem. .

적응증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의 효능, 효과와 환자의 상병명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The indication check checks whether the patient's disease name matches the efficacy and effect of the prescribed medication.

병명 금기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이 환자의 증상에 대하여 악영향을 주지 않는지 체크한다. 처방된 약품이 현병력, 기병력의 상병명과 금기의 관계에 있으면, 레벨 1로 투약 표시하고, 주의 관계에 있으면 레벨 2로 투약 표시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저혈압증의 환자에 대하여 고혈압증의 약(혈압을 내리는 약)의 투여가 방지된다.The contraindications for disease name checks are to ensure that the prescribed medication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patient's symptoms. If the prescribed medication is in contraindication to current illness and cavalry, it is administered at level 1, and at attention, level 2 is indicated. This prevents, for example, administration of a hypertensive drug (a drug for lowering blood pressure) to a patient with hypotension.

상용량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의 용량이 통상의 복용량인지 체크한다. 즉, 약품의 용량을 보험 상용량으로 판단하여, 보험 상용량의 범위 내가 아니면 레벨 1로 투약 표시한다. 또한 적응 상병명이 일치하는 상용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그 데이터에서도 판단하여 범위내이면 레벨 2로 투약 표시한다. 단, 환자 단위 또는 의사 단위에서 상용량 체크가 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용량은 내복약에서는 1일량으로 판단하고, 돈복약(頓服藥), 주사약에서는 1회량으로 판단한다. 단, 외용약에서는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정보없음으로 표시한다. 또, 처방하는 약품에 체중의 차이에 의한 제한이 있는 경우, 처방량을 체중으로 나눈 값으로 판단한다. 소아에 대해서는 성인 상용량에서 산출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입력 실수로 10배 투여" 등의 사고가 방지된다.The normal dose check checks whether the prescribed dose is the usual dose. In other words, the dose of the drug is determined as the insured dose, and if not within the range of the insured dose, the medication is indicated as level 1. If there is a constant dose data that matches the adaptive disease name, it is also determined by the data, and if it is within the range, the medication is displayed at level 2.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set so that the upper dose check is not performed in the patient unit or the doctor unit. In addition, the normal dose is determined to be one day in internal medicine, and in one dose in pig medicine (약 服藥), injection. However, since it cannot be judged by external medicine, it is indicated as no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there is a restriction by the difference in weight in the medicine to prescribe, it is determined by the value divided by the prescription amount. For children, it is calculated from the normal adult dose. Thus, for example, an accident such as "10 times administration by mistake of input" is prevented.

연령 제한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이 연령 제한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연령 제한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레벨 1로 투여 표시한다. 또, 젖먹이, 유아, 소아 또는 고령자에 대하여 투여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신생아에게는 투여할 수 없는 약이나 소아 또는 고열자에게 투여하는 경우에는 레벨 2로 투약 표시한다.The age limit check determines whether a prescribed drug meets the age limit. If the age limit is not met, the dose is indicated as level 1. In addition, it is judged whether it can be administered to infants, infants, children or the elderly, and the dosage is indicated as level 2 when the drug is not administered to newborns or when administered to children or high fever.

임부 수유부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이 임부, 수유부에 대하여 투여 가능한지 체크한다. 임부나 수유부에게는 투여할 수 없는 약이 체크된다.Pregnant and lactating mothers check to see if the prescribed medications can be administered to pregnant and lactating mothers. Drugs that cannot be administered to pregnant or lactating women are checked.

상호 작용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이 동시에 복용하여도 문제없는지 체크한다. 이 경우, 과거 카르테에 포함되는 현재 복용 중인 약품도 체크 대상이 된다. 환자가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품과, 이제부처 처방하고자 하는 약품과의 사이에 금기 관계가 있으면 레벨 1로 투약 표시하고, 주의 관계가 있으면 레벨 2로 투약 표시한다. 이에 따라 약품 사이에서 효과가 길항(拮抗)한다, 상반된다 등의 이유로 병용할 수 없는 조합을 체크할 수가 있다.The interaction check checks that the prescribed medications do not cause problems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medicines that are currently being included in the past cartes will also be checked. If there is a contraindication between the drug the patient is currently taking and the drug he or she is now prescribing, dose is indicated at level 1, and if there is a caution relationship, dose is indicated at level 2. Thereby, the combination which cannot be used together can be checked for the reason that an effect antagonizes, opposes, etc. among drugs.

배합 변화 체크에서는 처방된 주사 약품이 혼합 가능한지 체크한다. 주사약은 복수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때의 침전, 변색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조합을 체크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호 작용 체크와 마찬가지로 금기의 관계가 있으면 레벨 1, 주의 관계에 있으면 레벨 2에서 투약 표시한다.The formulation change check checks to see if the prescribed injection medication can be mixed. Injectable drugs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plural kinds, and the combination causing problems such as precipitation and discoloration at that time can be checked. In this case, as in the interaction check, the medication is displayed at level 1 if there is a contraindication, or at level 2 if there is an attention relationship.

용량 용법 체크에서는 내복, 돈복약의 용량과 용법, 불균등시에 용량이 합치되는지 체크한다. 내복약이나 돈복약에서 용량과 용법이 합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레벨 1에서 투약 표시한다. 또, 내복약에서 불균등 포장하기 때문에 용량이 합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레벨 1에서 투약 표시한다. 또한, 1일의 분할수를 체크하여 범위내에 없는 경우에도 레벨 1에서 투약 표시한다. 이에 따라 "정제 1정을 1일 3회 매식 후" 등의 입력 미스를 방지할 수가 있다.The dose usage check checks whether the doses and dosages of the oral and anti-drug drugs are consistent at the time of disparity. If the dosage and usage do not match within the internal or anti-drug drug, the dosage is indicated at level 1. In addition, even if the dosage does not match because of uneven packaging in the oral medicine, the dosage is displayed at level 1. In addition, the number of divisions per day is checked and the medication is displayed at level 1 even if it is not within the range. Thereby, input misses, such as "after tableting 1 tablet 3 times a day", can be prevented.

약제 종별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이 마약, 독약, 향정신약이 아닌지 체크한다. 마약, 독약, 향정신약이면 레벨 3에서 투약 표시한다. 또, 상세 표시에는 마, 독, 극, 향 등의 마크를 출력한다.The drug classification check checks whether the prescribed drug is not a drug, poison, or psychotropic drug. Drugs, poisons, and psychotropic drugs will be marked at level 3. Also, marks such as hemp, poison, pole, and incense are output to the detailed display.

이상과 같이 하여 오더된 의약품에 대하여 여러가지 체크가 이루지는데, 이러한 체크가 이루어진 결과,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별도의 윈도우로 그것을 표시시킨다. 도53a는 상호 작용과 적응증에 대하여 문제있다고 판단된 경우의 표시 내용을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리스모던 캡슐과 스파라정 사이에 상호 작용(금기)이 있고, 스파라정에서 외상의 이차 감염 등의 적응증에 감염성 장염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적응증에서 문제가 있기 때문에 그것이 팝업 표시되어 있다. 또, 스파라정에 대해서는 대체 약품이 검색되고, 선택된 후부가 표시되어 있다.Various checks are made on the medicines ordered as described abov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roblem as a result of such checks, it is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53A shows the display contents when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interaction and the indication. In this case, there is an interaction between the lismode capsule and the sparse tablet, and it is popped up because there is a problem in the indication because the sparse tablet does not contain infectious enteritis. In addition, alternative medicines are searched for sparse tablets and the selected rear part is displayed.

또, 도53b에 나타내는 의약품 정보 화면에서, 각 약품의 정보를 표시시킬 수가 있다. 의약품 정보 화면에서는 선택한 약품의 사진 및 정보가 표시되고, 그 아래쪽에는 전술한 각 체크 항목에 대응하는 버튼이 표시된다. 각 버튼은 전술한 각 레벨에 따른 색채가 되고, 의사는 한눈에 체크 결과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of each medicine can be displayed on the medicine information screen shown in FIG. 53B. In the medicine information screen, a picture an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medicine is displayed, and a butt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forementioned check items is displayed below. Each button is colored according to each level described above, and the doctor can determine the check result at a glance.

구체적으로, 상용량 버튼을 조작했을 경우, 선택한 약품에 대한 적응증명·증상, 용법, (처방하는) 최소(량), 최대(량), 단위, 연령 하한, 연령 상한이 일람표로서 표시된다. 적응증명·증상(치크 항목) 단위에서, 좌측 2열의 예외란에 체크를 함으로써 체크 대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좌측의 제외란에 체크를 하면 그 의사의 경우, 어느 환자라도 그 약품의 체크가 제외된다. 한편, 우측의 제외란에 체크를 하면 그 환자에 대해서만 그 약품의 체크가 제외된다. 이와 같이 의사 단위 또는 환자 단위에서 체크를 제외할 수 있으므로 실정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어느 환자라면 부작용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면 본래라면 처방할 수 없는 약품이더라도 처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의사의 체크 제외는 지문 인증 등에서 의사라고 확인된 경우에만 행할 수 있고, 체크를 제외하는 것이 기록되고, 나중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Specifically, when the normal dose button is operated, the indications, symptoms, usage, (prescribed) minimum (quantity), maximum (quantity), unit, lower age limit, and upper age limit for the selected drug are displayed as a list. In units of indications and symptoms (cheek items), a check is made in the exception column in the left two columns so as to escape from the object of check. If the check box on the left is checked, the doctor will remove the drug from any patient. On the other hand, if the check box on the right is checked, the medicine is only checked for the patient. As such, the check can be excluded from the physician unit or the patient unit, so that appropriate responses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situation.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a patient is unlikely to cause side effects, it is possible to prescribe even a drug that cannot be prescribed. In addition, the check removal of the doctor can be performed only when it is confirmed as a doctor by fingerprint authentication or the like. It is recorded that the check is excluded and can be confirmed later.

의사는 체크 결과에 기초하여 약품을 투여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다음과 같이 하여 대체 약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If the physician determines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administer the dru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heck, the physician may select an alternative drug as follows.

즉, 대체 약품의 검색에서는 오더된 의약품의 명칭, 용량, 및 용법에 기초하여 변경 후보 선택을 한다. 변경 후보는 미리 의약품의 명칭, 용량, 및 용법의 3항목에 대응시켜 대체 가능한 의약품의 명칭, 용량, 및 용법이 데이터 베이스로서 축적되어 있다. 그리고, 처방 체크 방법에서 처방할 수 없는 의약품이라고 판단된 경우, 그 명칭 뿐만 아니라 용량 및 용법을 대응시켜 대체 가능한 의약품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대체 약품의 용량이나 용법을 틀리지 않고 대체 전의 의약품에 대응시킨 적절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대체 약품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일람표로서 표시되고, 그 중에서 선태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대체약의 조건으로서는 용법이 같고, 상용량으로 미리 설정된 값이 사용되고 있는 것 등으로 하면 된다.That is, in the search for an alternative medicine, the candidate for change is selected based on the name, dose, and usage of the ordered medicine. The candidate for change has previously accumulated the name, dose, and usage of a drug that can be replaced in correspondence with three items of the name, dosage, and usage of the medicine as a databa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dicine cannot be prescribed by the prescription checking method, it is possible to display a medicine which can be replaced by not only its name but also a dose and a usage. For this reason, it can be set as the suitable thing which responded to the medicine before replacement, without mistakeping the dose or usage of the replacement medicine. In the case w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alternative drugs, they may be displayed as a list and may be selected from among them. The conditions for the alternative medicine may be the same, and the values set in advance at the normal dose may be used.

또한, 대체 약품의 선택에서는 상기 의약품 정보 화면에서 "대체 약품"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일람표를 표시시키고, 그 중에서 선택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대체 약품이 존재하지 않으면 "대체 약품" 버튼을 조작할 수 없도록 무효로 한다.In the selection of an alternative medicine, a list may be displayed by operating the "Alternative medicine" button on the drug information screen, and may be selected from among them. In this case, it is invalidated that the "alternative drug" button cannot be operated unless an alternative drug exists.

도21에 나타내는 입력란(7)에서, 8 "검색" 키를 조작하면 도5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록이 완료된 검사 항목의 세트 메뉴, 즉, 검사 세트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숫자 키를 조작하여 검사 세트를 선택하면, 검사 세트 일람 화면이 도55에 나타내는 검사 항목 표시 화면으로 전환된다. 검사 항목 표시 화면에서는 생화학, 혈액학, 뇨, 분변 등의 분류마다 필요한 검사 항목이 각각 일람 표시되어 있고, 선택된 검사 세트에 따라 미리 기본이 되는 검사 항목이 체크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체크를 하거나, 빼거나 함으로써 검사 항목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검사 항목이 확정되면, "OK" 버튼을 조작하여 실시하는 검사 항목을 카르테에 기재한다.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21, when the 8 " search " key is operated, as shown in Fig. 54, a set menu of the registered inspection items, that is, a test set list screen is displayed. Here, when the inspection set is selected by operating the numeric keys, the inspection set list screen is switched to the inspection item display screen shown in FIG. On the test item display screen, necessary test items are displayed for each classification of biochemistry, hematology, urine, feces, etc., and basic test items are check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elected test set. It is possible to select inspection items by subtracting or subtracting. When the inspection item is confirmed, the inspection item to be performed by operating the "OK" button is described in Carte.

도21에 나타내는 입력란(7)에서, 9 "화상" 키를 조작하면 도5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록이 완료된 화상 진단 항목의 세트 메뉴, 즉, 화상 진단 세트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숫자 키를 조작하여 화상 진단 세트를 선택하면, 화상 진단 세트 일람 화면이 도57에 나타내는 화상 진단 항목 표시 화면으로 전환된다. 화상 진단 항목 표시 화면에서는 촬영 방법, 촬영 부위, 촬영 방향, 필름 등의 분류마다 필요한 화상 진단 항목이 각각 일람 표시되어 있고, 선택된 화상 진단 세트에 따라 미리 기본이 되는 화상 진단 항목이 체크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체크를 하거나, 빼거나 함으로써 화상 진단 항목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 진단 항목이 확정되면, "OK" 버튼을 조작하여 실시하는 화상 진단 항목을 카르테에 기재한다. 도57에서는 X선 단순 촬영으로서 흉부를,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대각 1장을 사용하여 촬영하는 항목이 선택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화상 진단세트 일람 화면에서 선택된 내용에서 오더되어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21, when the "image" key is operated, a set menu of registered image diagnosis items, that is, an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Here, when the image diagnosis set is selected by operating the numeric keys, the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is switched to the image diagnosis item display screen shown in FIG. On the image diagnosis item display screen, image diagnosis items necessary for each classification such as a photographing method, a photographing site, a photographing direction, and a film are displayed in a list, and a basic image diagnosis item is check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elected image diagnosis set. It is possible to select an image diagnosis item by checking or subtracting as necessary. When the image diagnosis item is confirmed, the image diagnosis item to be performed by operating the "OK" button is described in Carte. In Fig. 57, an item of photographing the chest using one diagonal diagonally from the front to the rear is selected as X-ray simple imaging. Then, the image is ordered from the contents selected on the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and photographing is performed.

이상과 같이 하여 "S" 내지 "P" 키를 조작함으로써 카르테의 작성에 필요해지는 전체 항목을 빠짐없이 신속하게 입력할 수가 있다.By operating the "S " to " P " key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quickly input all the items required for the creation of the cartes.

또, 필요에 따라, 전자 카르테 내에 표시된 "바인더" 버튼을 조작하여 도58에 나타내는 바인더 화면을 표시시키고, 스캐너로 읽어 들인 데이터 등의 취득 데이터를 관련화하여 둘 수가 있다. 또한 취득 데이터는 일단, 카르테 데이터 베이스 내의 바인더 공유 폴더 내에 격납된다.If necessary, the binder screen shown in the electronic cart can be operated to display the binder screen shown in Fig. 58, and acquired data such as data read by a scanner can be associated with each other. Further, the acquired data is once stored in a binder shared folder in the cartes database.

취득 데이터의 관련화에서는 우선, 바인더 화면에서 "환자 검색" 키를 조작하여 도59에 나타내는 환자 검색 화면을 표시시켜 환자 검색을 하여 등록처를 특정한다. 환자 검색 화면에서는 진찰일, 환자 ID, 성명, 생년월일, 성별로 검색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바인더 화면의 초기 상태에서는 현재 열려 있는 전자 카르테의 환자가 표시되므로 이 전자 카르테로의 관련화라면 환자 검색은 불필요하다.In associating the acquired data, first, the patient search screen shown in Fig. 59 is displayed by operating the "patient search" key on the binder screen to perform patient search to specify the registration destination. In the patient search screen, a search can be performed by examination date, patient ID, name, date of birth, and sex. In addition, in the initial state of the binder screen, the patient of the electronic Carte that is currently open is displayed, so that the patient search is unnecessary if the electronic Cartero is related.

환자가 특정되면, 상기 바인더 화면에 환자 ID 및 성명이 표시되므로 "추가"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데이터 취득 화면을 표시시킨다. 데이터의 취득는 파일 또는 스캐너 중 어느 것이어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텍스트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만의 취급으로 하고 있고, 취득한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는 내용 참조 화면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When the patient is specified, the patient ID and name are displayed on the binder screen, so that the data acquisition screen is displayed by operating the "add" button. The data can be acquired by either a file or a scanner. Here, only text data and image data are handled, and the acquired data can be confirmed on a content reference screen (not shown).

데이터가 취득되면, 취득 순서에 따라 기록일 및 내용의 일람표로서 표시된다. 취득한 데이터는 해당 행을 클릭하여 반전시킨 상태에서 "참조"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표시시킬 수 있으며, "삭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삭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When data is acquired, it is displayed as a list of recording dates and contents in the order of acquisition. The acquired data can be displayed by operating the " reference " button while the corresponding row is clicked and inverted, and can be deleted by operating the " delete " button.

또한, 취득 데이터는 "카르테 반전"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그 환자의 전자 카르테에 하이퍼링크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카르테 전송" 버튼을 조작하면, 도60에 나타내는 전송처 선택 화면이 표시되고, S(진찰 입력), O(소견 입력), A(어세스먼트 입력), P(치료 계획 입력) 중 어느 화면으로라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취득한 데이터가 전자 카르테의 해당 항목 내에 하이퍼 텍스트로서 부착되고, 이 하이퍼 텍스트를 클릭하는 것 만으로 취득한 데이터를 참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acquired data can be set to a hyperlink to the electronic Carte of the patient by operating the "reverse Carte" button. That is, when the "Carte transfer" button is operated, the transfer destination selection screen shown in Fig. 60 is displayed, and any of S (doctor input), O (remark input), A (assessment input), and P (treatment plan input) is displayed. It is possible to set even the screen. In this way, the acquired data is attached as hypertext in the corresponding item of the electronic carte, and it becomes possible to refer to the acquired data only by clicking this hypertext.

또한, 취득 데이터의 삭제, 카르테로의 전송은 의사에게만 권한이 주어진다. 즉, 지문 인증 등으로 의사라고 확인된 경우에만 이 처리를 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단, 추가에 대해서는 의사 뿐만 아니라, 다른 직원이라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eletion of the acquired data and the transfer to Cartero are authorized only by the doctor. In other words, this process can be performed onl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intention is determined by fingerprint authentication or the like. However, the addition can be performed not only by the doctor but also by other staff members.

또, 취득 데이터 중, 전송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전송" 버튼이 무효, 즉, 조작 불능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어느 환자의 X선 촬영 화상 데이터가 잘못하여 다른 환자의 전자 카르테와 관련화된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취득 데이터로서 파일에 보존하는 데이터는 그 보존 시에 검사 결과 등의 환자 특유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환자 ID와 함께 보존해 두고, 어떤 환자의 전자 카르테로 전송할 때, 전자 카르테의 환자 ID와 전송하고자 하는 취득 데이터의 환자 ID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면 된다.Moreover, among the acquired data, the "transfer" button is set to be invalid, i.e., incapable of operation. As a resul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that an X-ray image data of one patient is wrongly associated with an electronic carte of another patient. In this case, the data stored in the file as the acquired data is stored with the patient ID for the patient-specific data such as the test result at the time of the storag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determine whether the patient ID of the acquisition data to be matched.

또, 빈번하게 사용하는 문장이나 처방 등은 미리 등록해 둘 수가 있다(학습 기능). 예를 들면, 처방 내용을 학습 버퍼로서 기억해 두고, 필요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시켜 사용한다. 이 경우, 입력란(7)의 각 숫자 키에 대응하도록 9개로 해 두면 입력시에 입력란(7)만의 조작으로 완료할 수가 있다. 각 키에 등록 내용의 일부를 표시하거나 학습 버퍼의 내용을 별도의 윈도우로 표시하여 직접 조작 등을 함으로써 전자 카르테에 반영시키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Frequently used sentences and prescriptions can be registered in advance (learning function). For example, the prescription contents are stored as a learning buffer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s needed for use. In this case, by setting nine pieces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numeric keys of the input field 7, the operation of only the input field 7 can be completed at the time of input. It is also possible to reflect a portion of the registered contents on each key or to display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buffer in a separate window and directly reflect the contents to the electronic cart.

또, 숫자 키로 표시시키는 항목에서 유사한 단어를 표시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선택 대상으로 하는 명칭을 공통되는 숫자로 그룹화하고, 숫자 키에는 공통되는 문자와 그룹화한 단어의 수로 이루어지는 1차 산택어를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해당하는 1차 선택어를 선택함으로써 그룹화한 각 단어를 2차 선택어로 하여 각 숫자 키에 표시시키도록 하면 된다. 또, 필요에 따라 3차 선택어 등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된다.When it is necessary to display similar words in an item to be displayed by a numeric key, the names to be selected are grouped into a common number, and the numeric key displays a primary acidic word composed of common characters and the number of grouped words. You may make it allow. Then, by selecting the corresponding primary selection word, each grouped word may be displayed on each numeric key as the secondary selection word. Moreover, you may provide a 3rd selective word etc. as needed.

예를 들면, 의약품에서는 다음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우 비슷한 것이 다수 있다. 그래서, 1차 선택어로서 각 숫자 키에 "콜트(2)", "콜드(3)", "코르히(4)"라고 표시시킨다. 그리고, 어느 것을 선택함으로써 정식 명칭을 각 숫자 키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 "콜드(3)"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각 숫자 키에는 2차 선택어로서 "콜드닌정", "콜드린정", "콜드린 과립"으로 표시시키고, 그 중에서 선택시키도록 한다.For example, many drugs are very similar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Thus, as the primary selection word, each numeric key is " colt 2 ", " cold 3 ", " Korch 4 ". And, by selecting either one, the official name is displayed on each numeric key. Specifically, when "cold (3)" is selected, each numeric key is designated as "cold nitrile tablet", "cold tablet", "cold grain" as a secondary selection word, and is selected from them.

이와 같이, 1차 산택어를 마련하여 유사한 탄어를 그룹화하여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유사한 틀리기 쉬운 부분을 커다란 문자로 표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선택했을 때, 가장 틀리기 쉬운 부분에 주의하여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2차 선택어에 유사 부분이 있으면, 1차 선택어를 별도 표시하고, 1차 산택어를 제외한 부분("닌정", "린정", "인과립")만을 각 숫자 키에 각각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In this way, the primary acidic language is provided so that similar bullets are grouped and displayed, so that similar false parts can be displayed in large letters. Therefore, when it selects, it becomes possible to select carefully by the part which is easy to be wrong. In this case, if there are similar parts in the secondary selection word, the primary selection word is displayed separately, and only the portions except for the first picked word ("Ninjeong", "Linjung", "Granule") are displayed on each numeric key. You may do so.

또, 의약품의 경우, 선두 3문자로 대부분을 적정수(숫자 키에서 표시 가능한 9 이하)로 그룹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숫자 키의 사이즈를 3문자 정도 표시시켜 시인 용이한 크기로 하면 좋아진다. 따라서, 텐키 영역(10)을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case of medicines, most of the first three characters can be grouped into appropriate numbers (9 or less that can be displayed by the numeric keys). For this reason, it is good to display about three letters in size of each numeric key and to make it easy to see. Accordingly, the ten key region 10 can be compactly configured.

또, 그룹화한 단어의 합계를 괄호( )내에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다른 유사한 단어가 존재하는 것을 한 눈에 이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sum of the grouped words is displayed in parenthese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at other similar words exist at a glance.

특히, 상기 그룹화에 의한 표시 방법은 50음 검색의 경우에 유효하다. 즉, 의약품을 50음 검색하는 경우, 유사한 명칭이 많아 선택하기 어렵지만, 그룹화함으로써 키보드에서 선두 1문자를 입력하는 것 만으로도, 숫자 키에 많은 의약품의 명칭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숫자 키에 50음의 각 자음 행(아행, 가행…)을 표시시키고, 어느 것을 선택하여 자음의 행을 특정하는 것 만으로도 원하는 의약품의 명칭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각 자음의 단(아, 이, 우, 에, 오)을 입력하면, 키보드에서 선두 1문자를 입력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즉, 숫자 키에서의 조작만으로 원하는 의약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particular, the grouping display method is effective in the case of a 50-tone search. In other words, when searching 50 medicines, there are many similar names and it is difficult to select them. However, by grouping, the names of many medicines can be displayed on the numeric keys only by inputting the first character on the keyboar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50 consonant lines (a line, a line ...) is displayed on the numeric keys, and the name of the desired medicine can be displayed simply by selecting any of them to specify the lines of the consonants. Subsequently, inputting the stages (a, y, right, e, o) of each consonant produces the same effect as when the first character is input from the keyboar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elect a desired medicine only by operation on the numeric keys.

이와 같이, 의약품을 그룹화함으로써, 원하는 의약품의 선택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way, by grouping medicines,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select a desired medicine.

또, 진단서나 소개장 등, 문서를 인쇄하는 경우에는, 도61에 나타내는 "문서 작성" 키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문서를 간단히 작성할 수가 있다.In addition, when printing a document such as a medical certificate or a letter of introduction, a desired document can be easily created by operating the "document creation" key shown in FIG.

즉, "문서 작성" 키의 조작에 의해 각 숫자 키에는 인쇄 가능한 의료 문서명이 각각 표시된다. 해당하는 것을 선택하면, 각 숫자 키에 "인쇄 범위", 1 "오늘분", 2 "전날분+오늘분"이라고 표시가 되어 인쇄 범위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느 것이 조작되면 도62에 나타내는 인쇄 화면이 표시되고, 날짜 지정란에서는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항목이 선택된 상태가 된다. 날짜 지정의 경우는 캘린더 버튼을 조작하여 캘린더를 표시시키면서 개시일 및 종료일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인쇄 범위란에서 인쇄하는 범위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That is, the printable medical document name is displayed on each numeric key by the operation of the "document creation" key. If a corresponding one is selected, "printing range", 1 "today" and 2 "previous day + today" are displayed on each numeric key to specify the printing range. When either operation is performed, the print screen shown in Fig. 62 is displayed, and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is selected in the date designation column. In the case of date designation, a start date and an end date can be input while displaying a calendar by operating a calendar button. Moreover,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the range to print in the printing range column.

이와 같이, 인쇄 범위가 특정되면, 도61의 화면으로 되돌아가 "인쇄" 키를 조작하면, 이번에는 도63에 나타내는 의료 문서 선택 화면이 표시되고, 이하, 위저드에 따라 입력하여 가면 원하는 서류를 작성하여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inting range is specified, the screen returns to the screen of FIG. 61, and the "Print" key is operated. This time, the medical document selection screen shown in FIG. 63 is displayed. Printing is possible.

이 때, 표시되는 위저드 화면(도64 참조)에서 "카르테" 버튼을 조작하면, 도6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옆에 해당하는 전자 카르테에 기재한 항목이 시계열로 열거된 카르테 정보 윈도우(화면)로서 표시된다(도65에서는 최신의 카르테 정보가 최상부에 표시된다). 따라서, 카피 기능을 사용하여 작성 문서에 카르테 정보를 간단히 취득할 수가 있다. 즉, 카르테 정보 화면에서 카피하고자 하는 행을 클릭하여 선택하면, 선택 행이 플래시되어 위저드 화면의 해당란에 텍스트 입력된다.At this time, when the "Carte" button is operated on the displayed wizard screen (refer to Fig. 64), as shown in Fig. 65, the items described in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cart are listed as time-sensitive Carte information windows (screens). (In FIG. 65, the latest Carte information is displayed at the top).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obtain Carte information in the created document by using the copy function. In other words, when a row to be copied is selected by clicking on the Carte information screen, the selected row is flashed and text is input in the corresponding column of the wizard screen.

또, 위저드 화면에서 새로이 작성한 데이터는 학습란의 "등록"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등록한 데이터는 등록할 때에 열려 있는 위저드 화면과 관련지어 기억되고, 관련지은 위저드 화면에서만 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등록한 데이터는 학습란의 "호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일람 표시되고, 그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선택하여 재이용할 수 있다.The newly created data on the wizard screen can be registered by operating the "register" button in the learning field. The registered data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wizard screen opened at the time of registration, and the associated data can be opened only in the wizard screen. In addition, the registered data is displayed in a list by operating the "call" button in the learning field, and a corresponding one can be selected and reused.

또한, "인쇄" 키를 조작했을 경우, 의료 문서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하였으나, 이것 대신에 숫자 키로 직접 선택하는 의료 문서명을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페이지 보내기 등은 숫자 키의 표시를 변경함으로써 대응한다. 이것에 따르면, 입력 작업을 모두 숫자 키로 행할 수가 있어 효율적으로 의료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when the "Print" key is operated, the medical document selection screen is displayed. Alternatively, the medical document name selected directly by the numeric keys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page sending or the like is responded by changing the display of the numeric keys. According to this, all input work can be performed with a numeric key, and it becomes possible to create a medical document efficiently.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키로 선택하는 항목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한정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상병명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 키에 표시되는 항목은 코드 번호 또는 문자열 중의 어느 것이라도 선택할 수 있고, 상병명의 범위를 좁히는 과정에서, 표시 내용을 남기는 다른쪽으로 변경 가능하므로, 매우 효율적으로 상병명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tems selected by the input keys are displayed sequential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nd quickly specify the name of the illness using the limited space. In addition, the item displayed on the input key can be selected from either a code number or a character string, and can be changed to the other side leaving the display contents in the process of narrowing the name of the illness, so that the illness can be identified very efficiently. .

Claims (2)

표시 수단에 전가 카르테를 표시하고,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조작에 근거하여, 표시된 전자 카르테에 입력 데이터를 반영시키고, 입력 카르테를 반영시킨 전자 카르테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전자 카르테 장치에 있어서,The electronic carte device provided with the control means which displays an imputation carte on a display means, reflects input data to the displayed electronic carte based on the input operation by an input means, and stores the electronic carte which reflected the input carte in a storage means. To 상기 입력 수단은 소정 영역 내에 배열되고, 선택 가능한 상병명에 관한 코드 번호 또는 상병명에 관한 문자열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표시되는 복수의 입력 키와, 상기 입력 키에 표시되는 전체 항목을, 상병명에 관한 코드 번호 또는 상병명에 관한 문자열 중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버튼을 구비한 터치 패널로 구성하고,The input means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ea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keys in which any one of a code number relating to a selectable corporal name or a character string relating to a corporal name is displayed, and an entire item displayed on the input key. A touch panel having a switch button for switching to either a code number relating to a character string or a character string relating to a corporal name,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터치 패널에서 상병명 입력을 하는 경우, 상기 입력 키에 표시된 어느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항목을 하위의 항목으로 전환하는 한편, 입력 키에 표시된 어느 계층의 항목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전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입력 키에서의 표시 내용을 상병명에 관한 코드 번호 또는 상병명에 관한 문자열 중의 어느 하나로 전환 가능한 전자 카르테 장치.When the corpus name is input on the touch panel, the control means selects an item displayed on the input key to switch sequentially displayed items to lower items, while an item of a hierarchy displayed on the input key The electronic carte device which can switch the display content in the said input key to either the code number regarding a sickness name, or the character string about a sickness name by operating the said switch button in the display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상병명의 범위를 좁히기 위한 검색 키를 구비하고,An inpu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input means comprises a search key for narrowing the scope of the illness.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색 키가 조작됨으로써 검색 화면을 표시시키고, 상병명에 관한 코드 번호 또는 상병명에 관한 문자열 중의 어느 것으로도 검색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입력되는 코드 번호 또는 문자열이 부분적이더라도, 그 범위에서 검색 가능하게 하는 전자 카르테 장치.The control means displays the search screen by operating the search key, enables not only to search for any of the code number relating to the sickness name or the character string related to the sickness name, but also if the code number or the character string to be input is partial, Electronic Carte device that makes it searchable in that range.
KR1020050026728A 2004-03-31 2005-03-30 Electronic karte device KR2006004503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3918A JP4462983B2 (en) 2004-03-31 2004-03-31 Electronic medical record device
JPJP-P-2004-00103918 2004-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039A true KR20060045039A (en) 2006-05-16

Family

ID=3532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728A KR20060045039A (en) 2004-03-31 2005-03-30 Electronic karte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462983B2 (en)
KR (1) KR2006004503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6143A (en) * 2017-12-14 2019-06-27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5359B (en) * 2013-06-03 2016-05-11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A kind of gesture is switched the mthods, systems and devices of chart ranks
JP6279959B2 (en) * 2014-04-01 2018-02-14 横河電機株式会社 Radiotherapy inform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6143A (en) * 2017-12-14 2019-06-27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62983B2 (en) 2010-05-12
JP2005292965A (en)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1383B2 (e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JP5279982B2 (en) Electronic medical record device
US20070055550A1 (en) Personal transportable healthcare data base
JP2005316967A (en) Electronic medical chart device
JP4786210B2 (en) Electronic medical record device
JP4087873B2 (e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JP2004126894A (en) Medicine determination support system and medicine determination support program
KR20060045077A (en) Medical office-work processing apparatus
JP2001350840A (en) Method for supplying medical information and system for the same
KR20060045039A (en) Electronic karte device
KR20060045400A (en) Electronic chart device
JP2010044783A (en) Icd code providing device
JP2005107603A (en) Icd code applying device
JP2003016182A (en) System and program for supporting nursing
KR20060045399A (en) Electronic chart device
KR20060045042A (en) Electronic karte device
JP2021064161A (en) Medication counseling support device, medication counseling support method, and medication counseling support program
KR20060045395A (en) Electronic medical chart device
JP3076336B1 (en) Electronic medical management system
JPH0944566A (en) Medical work sheet generation system
JP4601277B2 (en) Prescription check device
JP2001005903A (en) Electronic medical treatment management system
Lee et al. Assessing how well electronic nursing records reflect changes in the nursing profession's scope of practice in Korea
JP2005316970A (en) Electronic medical chart system
JP4610219B2 (e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