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6318A - 오비에스에이아이에서의 이1/티1 링크 활용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오비에스에이아이에서의 이1/티1 링크 활용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6318A
KR20060036318A KR1020040085492A KR20040085492A KR20060036318A KR 20060036318 A KR20060036318 A KR 20060036318A KR 1020040085492 A KR1020040085492 A KR 1020040085492A KR 20040085492 A KR20040085492 A KR 20040085492A KR 20060036318 A KR20060036318 A KR 20060036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obsai
traffic
base statio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6318A/ko
Priority to US11/248,261 priority patent/US20060089173A1/en
Priority to CNA2005101161336A priority patent/CN1767673A/zh
Publication of KR20060036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2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and access point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RF 처리와 기저대역 처리를 수행하는 OBSAI 기지국과; 상기 OBSAI 기지국의 신호를 입력받아 밴드패스 필터링을 수행하는 밴드패스 필터와; 상기 밴드패스 필터의 출력을 입력받아 트래픽 양을 측정하는 트래픽 측정부와; 상기 트래픽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각각의 인터페이스 링크에 필요한 양 만큼 링크 양을 할당해주고 연결해주는 링크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OBSAI에서 제안하는 오픈 기지국의 BSC나 RNC 등과 연결되는 lub or A-bis 인터페이스의 E1/T1 링크를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하나의 기지국에 동시에 여러 종류의 서비스 가입자가 접속할 때 여러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효율적으로 링크를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오비에스에이아이에서의 이1/티1 링크 활용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of E1/T1 link in OBSAI}
도 1은 일반적인 OBSAI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OBSAI 기지국 11 : 제어부
12 : 원격 RF 처리부 13 : RF 처리부
14 : 베이스 밴드 처리부 15 : 전송부
16 : 전원 20 : 밴드패스 필터
30 : 트래픽 측정부 40 : 링크 컨트롤러
본 발명은 OBSAI(Open Base Station Architecture Initiative)에서의 E1/T1(European transmission service level 1 / Telephone Level 1) 링크 활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OBSAI에서 제안하는 오픈 기지국(open Base Transceiver Station, open BTS)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나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과 연결되는 lub or A-bis 인터페이스의 E1/T1 링크를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하나의 기지국(BTS)에 동시에 여러 종류의 서비스 가입자가 접속할 때 여러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효율적으로 링크를 활용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BSAI는 주요 선두 기지국 공급 업체, 모듈 및 컴포넌트 제조업체들이 기지국 아키텍처에 대한 표준화를 위해 구성한 모임이다. 이러한 OBSAI는 기지국 구조에 대한 내부 인터페이스 규격 및 전송, 제어, 베이스 밴드, 라디오를 포함하는 모듈 규격 모두를 공동으로 만드는 100여개 통신 회사의 포럼이다. 그리고 OBSAI는 모듈 간의 내부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본 모듈 방식 아키텍처와 상세 사양을 정의함으로써, 기존에는 새로운 기지국 제품을 만들 때 많은 개발 노력과 비용이 들었지만 이를 실질적으로 절감시켜 줄 수 있는 셀 방식 기지국 시장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OBSAI에서의 기지국 표준화 활동에 의해 현재 일부 사양(Specification)이 완료된 상태이다. OBSAI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큰 목적중의 하나는 기지국과 이동 단말(Mobile Station, MS)간의 여러 가지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하나의 기지국으로 수용하고, 하나의 기지국으로 여러 가지 서비스의 BSC 또는 RNC 어디에나 접속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OBSAI의 블록구성도이다.
그래서 라디오(RADIO) 모듈은 RF(Radio Frequency) 전송(Transceiver), RF 증폭(Amplification) 및 디지털 베이스 밴드 신호와 아날로그 RF 신호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RF 모듈은 기지국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PROCESSING) 모듈은 채널 모뎀 세트를 제공하고,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에서의 베이스 밴드(Baseband)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트랜스포트(TRANSPORT) 모듈은 외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표준 기지국 내부 인터페이스 사이의 적응(Adaptation)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CONTROL) 모듈은 기지국에서의 주 제어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 모듈은 모든 기지국의 기능을 제어하고, 기지국을 감시하며, 기지국의 상태와 실행을 기지국 관리 장치(Base Station Manager) 또는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에 보고한다.
한편 RP1(Reference Point 1, 레퍼런스 포인트 1), RP2, RP3은 오픈 인터페이스(Open Interface)이다.
그래서 RP1은 제어, 실행, 상태, 알람 신호를 서로 교환하고, RP1 사양 문서(RP1 specification document)에서 정의된 프로토콜로 제어 모듈과 클럭 블록 및 다른 기지국 블록들 사이에서의 데이터 교환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RP1은 클럭과 동기 신호의 교환을 위한 공개, 표준 인터페이스를 규정한다.
또한 RP2는 RP2 사양 문서에서 정의된 프로토콜로 트랜스포트 모듈과 베이스밴드 블록 사이의 사용자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게 한다.
또한 RP3은 RP3 사양 문서에서 정의된 프로토콜로 베이스 밴드 블록과 RF 블록 사이에서 에어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데이터와 고속 제어 데이터의 교환을 수행하게 한다.
그리고 기지국 또는 node-B는 BSC 또는 RNC와 E1/T1 링크로 접속되어 있는데, OBSAI 규격에서 보면 RF 블록과 트랜스포트 블록에서 다양한 외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External Network interface)를 제공해준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라디오 부분(Radio part)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와 연결되는 에어 인터페이스인데 800(cellular), 900(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1800(GSM-Europe),1800(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Korea), 1900(US PCS(United States of americ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2100(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등 어떤 서비스와도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트랜스포트 파트(transport part)는 BSC나 RNC 등과 연결되는 lub or A-bis 인터페이스인데, 이는 E1/T1 링크로 연결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본 발명에서 제시할 서비스인 하나의 기지국으로 동시에 여러 가지 서비스의 가입자와 접속시키려 한다면, 기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한 것처럼 BSC와 RNC 등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해당하는 E1/T1 링크를 중복해서 설치해 주어야 하는데, 일일이 링크를 설치해 주게 되면 많은 수의 링크가 필요하게 되고, 비용적으로 낭비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동통신 망에서 기지국의 수가 증가할수록 상당한 수의 E1/T1 링크를 연결해 주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OBSAI에서 제안하는 오픈 기지국의 BSC나 RNC 등과 연결되는 lub or A-bis 인터페이스의 E1/T1 링크를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하나의 기지국에 동시에 여러 종류의 서비스 가입자가 접속할 때 여러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효율적으로 링크를 활용할 수 있는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장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RF 처리와 기저대역 처리를 수행하는 OBSAI 기지국과; 상기 OBSAI 기지국의 신호를 입력받아 밴드패스 필터링을 수행하는 밴드패스 필터와; 상기 밴드패스 필터의 출력을 입력받아 트래픽 양을 측정하는 트래픽 측정부와; 상기 트래픽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각각의 인터페이스 링크에 필요한 양 만큼 링크 양을 할당해주고 연결해주는 링크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 밴드패스 필터링을 수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후 트래픽을 측정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후 측정된 트래픽을 참조하여 링크를 할당하고 연결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장치 및 그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RF 처리와 기저대역 처리를 수행하는 OBSAI 기지국(10)과; 상기 OBSAI 기지국(10)의 신호를 입력받아 밴드패스 필터링(Bandpass Filtering)을 수행하는 밴드패스 필터(20)와; 상기 밴드패스 필터(20)의 출력을 입력받아 트래픽 양을 측정하는 트래픽 측정부(30)와; 상기 트래픽 측정부(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각각의 인터페이스 링크에 필요한 양 만큼 링크 양을 할당해주고 연결해주는 링크 컨트롤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OBSAI 기지국(10)은, 상기 OBSAI 기지국(10)의 동작을 RP1에서 제어하는 제어부(11)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고,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원격 RF 처리부(12)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고, 상기 원격 RF 처리부(12)에서 수신된 RP3에서 RF 신호를 처리하는 RF 처리부(13)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고, 상기 RF 처리부(13)와 연결되어 RP2에서 베이스 밴드 처리를 수행하는 베이스 밴드 처리부(14)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고, 상기 베이스 밴드 처리부(14)와 연결되어 상기 링크 컨트롤러(40)와 E1/T1 링크를 연결하는 전송부(15)와; 상기 OBSAI 기지국(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OBSAI 기지국(10)은, 800(cellular) 또는 900(GSM) 또는 1800(GSM-Europe) 또는 1800(CDMA Korea) 또는 1900(US PCS) 또는 2100(WCDMA) MHz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는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트래픽 측정부(30)는, 각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별 트래픽 양이 변화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그 변화되는 트래픽 양을 측정하여 상기 링크 컨트롤러(40)에서의 링크 양 할당에 이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링크 컨트롤러(40)는, 상기 트래픽 측정부(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VP/VC(Virtual Path / Virtual Channel) 값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리시켜 링크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링크 컨트롤러(40)는, 링크 연결시 RNC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링크 컨트롤러(40)는, 링크 연결시 BSC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 수신하는 제 1 단계(ST11)와; 상기 제 1 단계 후 밴드패스 필터링을 수행하는 제 2 단계(ST12)와; 상기 제 2 단계 후 트래픽을 측정하는 제 3 단계(ST13)와; 상기 제 3 단계 후 측정된 트래픽을 참조하여 링크를 할당하고 연결시키는 제 4 단계(ST14)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에서 제 1 단계는, 800(cellular) 또는 900(GSM) 또는 1800(GSM-Europe) 또는 1800(CDMA Korea) 또는 1900(US PCS) 또는 2100(WCDMA) MHz 주파수 대역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는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 후 각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별 트래픽 양이 변화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그 변화되는 트래픽 양을 측정하여 상기 제 4 단계에서의 링크 양 할당에 이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 4 단계는, 상기 제 3 단계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VP/VC 값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리시켜 링크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 4 단계는, 링크 연결시 RNC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 4 단계는, 링크 연결시 BSC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장치 및 그 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OBSAI에서 제안하는 오픈 기지국의 BSC나 RNC 등과 연결되는 lub or A-bis 인터페이스의 E1/T1 링크를 효율적으로 배분하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OBSAI 기지국(10)에서 제어부(11)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RF 처리와 기저대역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1)는 원격 RF 처리부(12), RF 처리부(13), 베이스 밴드 처리부(14), 전송부(15), 전원(16)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원격 RF 처리부(12), RF 처리부(13), 베이스 밴드 처리부(14), 전송부(15)에 클럭을 공급한다.
그리고 OBSAI 기지국(10)에서 원격 RF 처리부(12)는 OBSAI 기지국(10)의 동작을 RP1에서 제어한다.
그리고 원격 RF 처리부(12)는 제어부(11)의 제어를 받고 클럭을 공급받으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원격 RF 처리부(12)는 800(cellular) 또는 900(GSM) 또는 1800(GSM-Europe) 또는 1800(CDMA Korea) 또는 1900(US PCS) 또는 2100(WCDMA) MHz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는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받을 수 있다.
또한 OBSAI 기지국(10)에서 RF 처리부(13)는 제어부(11)의 제어를 받고 클럭을 공급받으며, 원격 RF 처리부(12)에서 수신된 RP3에서 RF 신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RP3은 RF 처리부(13)와 베이스 밴드 처리부(14) 사이의 신호 전송에 사용된다.
또한 OBSAI 기지국(10)에서 베이스 밴드 처리부(14)는 제어부(11)의 제어를 받고 클럭을 공급받으며, RF 처리부(13)와 연결되어 RP2에서 베이스 밴드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RP2는 베이스 밴드 처리부(14)와 전송부(15) 사이의 신호 전송에 사용된다.
또한 OBSAI 기지국(10)에서 전송부(15)는 제어부(11)의 제어를 받고 클럭을 공급받으며, 베이스 밴드 처리부(14)와 연결되어 링크 컨트롤러(40)와 E1/T1 링크를 연결한다.
전원(16)은 OBSAI 기지국(10)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밴드패스 필터(20)는 OBSAI 기지국(10)의 신호를 입력받아 밴드패스 필터링(Bandpass Filtering)을 수행한다.
또한 트래픽 측정부(30)는 밴드패스 필터(20)의 출력을 입력받아 트래픽 양을 측정한다. 이러한 트래픽 측정부(30)는 각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별 트래픽 양이 변화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그 변화되는 트래픽 양을 측정하여 링크 컨트롤러(40)에서의 링크 양 할당에 이용되도록 한다.
또한 링크 컨트롤러(40)는 트래픽 측정부(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각각의 인터페이스 링크에 필요한 양 만큼 링크 양을 할당해주고 연결해준다. 그리고 링크 컨트롤러(40)는 트래픽 측정부(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VP/VC(Virtual Path / Virtual Channel) 값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리시켜 링크를 연결시키게 된다. 또한 링크 컨트롤러(40)는 링크 연결시 RNC 또는 BSC를 포함한 각종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나의 기지국(10)으로 동시에 여러 종류의 서비스 가입자를 수용하면서 원격 RF 처리부(12)를 통해 들어오는 RF(radio frequency) 대역의 각종 신호들을 밴드패스 필터(20)로 걸러낸다.
이때 각 밴드패스 필터(20)는 800(cellular), 900(GSM), 1800(GSM-Europe), 1800(CDMA Korea), 1900(US PCS), 2100(WCDMA) 등 각종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는 단말기 가입자로부터 오는 신호들을 각 주파수 대역에 맞게 설정하여 걸러내게 된다.
그리고 트래픽 측정부(traffic amount estimator)(30)에서는 각 주파수 대역당 트래픽이 얼마나 되는지를 측정하고, 그 값을 실시간으로 링크 컨트롤러(40)로 보내주게 된다.
그러면 링크 컨트롤러(40)에서는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E1/T1 링크의 할당량을 결정하여 관련 E1/T1 링크의 연결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결정에 의해 각 서비스의 링크가 필요로 하는 양에 맞게 E1/T1 링크를 연결해 주게 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E1/T1 링크로도 모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되며, RNC 또는 BSC가 분기되는 지점 앞에서 VP/VC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리하여 보내게 된다.
예를 들면, 각 서비스를 사용하는 가입자의 통화량이 다음과 같은 비율로 정해졌다고 가정하고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밴드패스 필터(20)에서 걸러진 각 대역별 트래픽 양을 트래픽 측정부(30)에 서 확인해서 800(cellular) : 900(GSM) : 1900(US PCS) : 2100(WCDMA) = 2 : 3 : 5 : 9 의 비율임을 확인했다고 하자.
그러면 링크 컨트롤러(40)에서는 각 비율에 맞게 E1/T1 링크를 할당해주게 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E1/T1 링크로 동일한 라인에서 동시에 각 서비스별 데이터를 보낼 수 있으며, E1/T1 링크를 최대한 BSC와 RNC의 분기점까지 끌고 와서 VP/VC 값을 기준으로 각 서비스별 데이터를 분리시켜서 보내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OBSAI에서 제안하는 오픈 기지국의 BSC나 RNC 등과 연결되는 lub or A-bis 인터페이스의 E1/T1 링크를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하나의 기지국에 동시에 여러 종류의 서비스 가입자가 접속할 때 여러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효율적으로 링크를 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장치 및 그 방법은 하나의 기지국으로 800(cellular), 900(GSM), 1800(GSM-Europe), 1800(CDMA Korea), 1900(US PCS), 2100(WCDMA) 등 여러 종류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맞게 일일이 lub or A-bis 인터페이스 링크를 연결해 주지 않아도 되고, 트래픽 양이 적어서 잘 활용되지 않는 E1/T1 링크도 잘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밴드패스 필터를 이용하여 들어오는 트래픽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고, 그 트래픽 양을 미리 측정하여 특정 서비스 링크에 트래픽이 몰리게 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링크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Claims (13)

  1.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RF 처리와 기저대역 처리를 수행하는 OBSAI 기지국과;
    상기 OBSAI 기지국의 신호를 입력받아 밴드패스 필터링을 수행하는 밴드패스 필터와;
    상기 밴드패스 필터의 출력을 입력받아 트래픽 양을 측정하는 트래픽 측정부와;
    상기 트래픽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각각의 인터페이스 링크에 필요한 양 만큼 링크 양을 할당해주고 연결해주는 링크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BSAI 기지국은,
    상기 OBSAI 기지국의 동작을 RP1에서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원격 RF 처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상기 원격 RF 처리부에서 수신된 RP3에서 RF 신호를 처리하는 RF 처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상기 RF 처리부와 연결되어 RP2에서 베이스 밴드 처리를 수행하는 베이스 밴드 처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상기 베이스 밴드 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링크 컨트롤러와 E1/T1 링크를 연결하는 전송부와;
    상기 OBSAI 기지국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BSAI 기지국은,
    800(cellular) 또는 900(GSM) 또는 1800(GSM-Europe) 또는 1800(CDMA Korea) 또는 1900(US PCS) 또는 2100(WCDMA) MHz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는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측정부는,
    각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별 트래픽 양이 변화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그 변화되는 트래픽 양을 측정하여 상기 링크 컨트롤러에서의 링크 양 할당에 이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컨트롤러는,
    상기 트래픽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VP/VC 값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리시켜 링크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컨트롤러는,
    링크 연결시 RNC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컨트롤러는,
    링크 연결시 BSC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장치.
  8.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 밴드패스 필터링을 수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후 트래픽을 측정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후 측정된 트래픽을 참조하여 링크를 할당하고 연결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800(cellular) 또는 900(GSM) 또는 1800(GSM-Europe) 또는 1800(CDMA Korea) 또는 1900(US PCS) 또는 2100(WCDMA) MHz 주파수 대역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는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 후 각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별 트래픽 양이 변화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그 변화되는 트래픽 양을 측정하여 상기 제 4 단계에서의 링크 양 할당에 이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3 단계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VP/VC 값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리시켜 링크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링크 연결시 RNC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방법.
  13.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링크 연결시 BSC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SAI에서의 E1/T1 링크 활용 방법.
KR1020040085492A 2004-10-25 2004-10-25 오비에스에이아이에서의 이1/티1 링크 활용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36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492A KR20060036318A (ko) 2004-10-25 2004-10-25 오비에스에이아이에서의 이1/티1 링크 활용 장치 및 그 방법
US11/248,261 US20060089173A1 (en) 2004-10-25 2005-10-13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trunk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NA2005101161336A CN1767673A (zh) 2004-10-25 2005-10-25 利用移动通信系统中中继线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492A KR20060036318A (ko) 2004-10-25 2004-10-25 오비에스에이아이에서의 이1/티1 링크 활용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318A true KR20060036318A (ko) 2006-04-28

Family

ID=3620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492A KR20060036318A (ko) 2004-10-25 2004-10-25 오비에스에이아이에서의 이1/티1 링크 활용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089173A1 (ko)
KR (1) KR20060036318A (ko)
CN (1) CN17676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3588B2 (en) * 2006-02-03 2015-02-10 Broadcom Corporation Mobile network with packet data network backhaul
CN101202974B (zh) * 2006-12-15 2011-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制式基站互通的系统、基站及方法
CN103621035B (zh) 2011-06-09 2017-06-23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处理标准化格式的数字信号的分布式天线系统接口
CN104883157B (zh) * 2015-05-18 2017-12-01 华侨大学 一种可变子带数字滤波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3578B2 (ja) * 1989-02-21 1998-08-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
US5410733A (en) * 1993-02-11 1995-04-25 Nokia Mobile Phones Ltd.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measurement useful in a mobile telephone system having mobile assisted handoff capability
DE69636918T2 (de) * 1995-09-20 2007-12-06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Zugriffsverfahren, Mobilstation und Basisstation für CDMA-Mobilkommunikationssystem
FI972592A (fi) * 1997-06-17 1998-12-18 Nokia Telecommunications Oy Synkronointimenetelmä
KR100276815B1 (ko) * 1998-11-25 2001-01-15 김대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변환중계 및 하드핸드 오프를 위한기지국내 캐리어 변환장치
US6879845B2 (en) * 2000-12-01 2005-04-12 Hitachi,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beam direction-variable antenna
US7013143B2 (en) * 2003-04-30 2006-03-14 Motorola, Inc. HARQ ACK/NAK coding for a communication device during soft hando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89173A1 (en) 2006-04-27
CN1767673A (zh)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1845A (en) Allocation of bandwidth to calls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600707A (en) Wireless channel setup using low bandwidth network for selecting high bandwidth data bearer channel of another network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US5642348A (en) Access director interface for narrowband/broadband information distribution network
EP1033041B1 (en) Subscriber terminal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NO981333D0 (no) Mobilkommunikasjonssystem, samt fremgangsmåte for etablering av en datasamtale
AU2002256839A1 (en) A method for transfering connection parameters from a first mobile station to a second mobile station
US6301475B1 (en) Procedure for limiting the mobility area of a terminal device in a wireless local loop
US7848467B2 (en) Signal processing system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0576943C (zh) 对于在经压缩的畅通信道上处理的呼叫的适应性呼叫准入控制
CN101959254B (zh) 收发数据的方法、装置及传输数据的系统
KR20060036318A (ko) 오비에스에이아이에서의 이1/티1 링크 활용 장치 및 그 방법
CN106937265A (zh) 一种舰船通信的方法和装置
JPH06506580A (ja) Isdnチャネルのデ−インタリーブに用いる遅延回路
US6438372B1 (en) System for the observation of traffic
CN1097991C (zh) 无线通信网络中占用时隙的方法
CN100461803C (zh) 基于e1电路的话务保护方法
KR100258148B1 (ko) 덱트(dect)방식의무선교환기에서기지국간베어러핸드오버처리방법
KR100221837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채널모뎀 이용상태 표시장치
GB2322490A (en) Calibrating the gain of receiver units for a central terminal of a communications system using a reference signal
KR0162767B1 (ko) 직렬통신 경로의 다중채널 데이터 처리를 위한 병행 처리장치
CN115967966A (zh) 一种中继覆盖系统及其多通道时延平衡方法
KR100366539B1 (ko) Pcs 시스템에서의 rf 파워 출력이 없는 기지국을이용한 호 서비스 방법
EP1033049A1 (en) Calibration of subscriber terminal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KR20000001854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 기지국의 동적채널 카드 제어방법
Frankenstein Land station and mobile station equipment for a cellular system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