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950A - System and method of breaking call in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of breaking call in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5950A
KR20060035950A KR1020040084357A KR20040084357A KR20060035950A KR 20060035950 A KR20060035950 A KR 20060035950A KR 1020040084357 A KR1020040084357 A KR 1020040084357A KR 20040084357 A KR20040084357 A KR 20040084357A KR 20060035950 A KR20060035950 A KR 20060035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 blocking
terminal
blocking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58138B1 (en
Inventor
송경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4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138B1/en
Publication of KR20060035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9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1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6Registration at serving network Location Register, VLR or user mobility server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설정에 따라 소정 위치에서 소정 시간동안 무선 단말기의 호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호 차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blocking system and method for a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ll blocking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blocking a call of a wireless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ccording to a user setting.

무선 단말기, 학교, 호 차단Wireless terminal, school, call blocking

Description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BREAKING CALL IN MOBILE TERMINAL}System and method for call blocking of wireless terminals {SYSTEM AND METHOD OF BREAKING CALL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ll blocking system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을 위한 위치 및 시간 설정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cation and time setting procedure for call blocking of a wireless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방법의 흐름도.3 is a flowchart of a call blocking method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호 차단을 위한 위치설정 메뉴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호 차단을 위한 시간설정 메뉴화면을 예시한 도면.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sition setting menu screen for call blocking, and FIG.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ime setting menu screen for call blocking.

도 5는 호 차단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의 호 차단 위치로의 이동예를 도시한 도면.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movement of a call blocking service subscriber station to a call blocking posi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70: 무선 단말기 20: 기지국10,70: wireless terminal 20: base station

30: 이동통신 교환국 40: 홈 위치 레지스터30: mobile switching center 40: home location register

50: 호 차단 관리서버 100: 호 차단 시스템50: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100: call blocking system

200: 학교200: school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설정에 따라 소정 위치에서 소정 시간동안 무선 단말기의 호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호 차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blocking system and method for a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ll blocking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blocking a call of a wireless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ccording to a user setting.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무선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Recently, wireless terminals have been widely u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이 무선단말기는 상대방과의 통화뿐만 아니라, 문자 메시지, 인터넷, 이메일, 게임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도 제공되어 특히 젊은 연령층(중,고등학생 등)에서 그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The wireless terminal provides not only a call with the other party but also various additional services such as text messaging, the Internet, e-mail, and games, and its use is exploding, especially in young age group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하지만, 이러한 학생층에서의 무선 단말기의 사용증가는 학교에서도 이어져 수업중 친구와의 통화, 문자 메시지 작성, 게임 이용 등으로 인하여 학교생활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However, the increase in the use of wireless terminals in the student group has continued in school, causing many problems in school life due to phone calls, text messages, and game use.

이에 따라, 학부모들은 학교에서의 휴대폰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휴대폰 구매를 자재시키거나 그 사용을 제한하려 하고 있다. 또한, 학교에서는 수업중에 학생들의 휴대폰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더욱이 일부 학교에서는 휴대폰의 교내 반입 자체를 금지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Accordingly, parents are seeking to restrict or restrict the purchase of mobile phones in order to prevent their use at school. In addition, the school encourages students to turn off their mobile phones during class, and some schools prohibit mobile phones.

그러나, 이러한 제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생들은 휴대폰을 교내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더욱이 무조건적으로 휴대폰의 사용을 억제시킬 경우에는 차후의 정보화 사회로의 진입에 장애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양 측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However, despite these sanctions, students are still using mobile phones on campus, and if they unconditionally curb their use of mobile phones, they may not be able to enter the information society. There is a need for alternativ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교내 수업중에는 발호/착호를 차단시키는 반면에 쉬는시간, 점심시간 등과 같은 비수업중에는 발호/착호를 차단해제시키도록 함으로써, 교내에서의 수업중 휴대폰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학생들의 정보통신 이용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by blocking the call / call during the class, while the non-class, such as during breaks, lunch breaks to call / call off the use of the cell phone in the classroo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ll blocking system and method for a wireless terminal which can prevent and satisfy students' desire for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가 기설정된 호 차단 위치에 위치등록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호 차단 관리서버; 및 호 차단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호 차단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호 차단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호를 차단 및 차단해제하는 홈 위치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all blocking system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confirmed that the wireless terminal is registered in a preset call blocking position,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for providing call blocking tim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which stores location information of a call blocking service subscriber terminal and blocks and releases a call of the wireless terminal based on the call blocking tim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도중에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상기 호 차단 관리서버로 호를 연결시키는 이동통신 교환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호 차단 관리서버는 상기 상대측 단말기와 호가 연결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호가 차단되어 있음을 알리는 안내멘트를 상기 상대측 단말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tation for connecting a call to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pposite terminal during the call blocking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is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nnouncement that the call is blocked is characterized in that to send to the opposite terminal.

또한, 상기 상대측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호가 차단해제되면 상기 호 차단 관리서버는 상기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상대측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상대측 단말기가 위치한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상기 무선 단말기가 통화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SMS 센터와 연동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call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leas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terminal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and calls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tation where the counterpart terminal is locat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deliver a text message in conjunction with the SMS center.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방법은, (ⅰ) 호 차단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가 기설정된 호 차단 위치에 위치등록된 것으로 확인되면, 현재 시간이 기설정된 호 차단시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ⅱ) 상기 현재 시간이 기설정된 호 차단시간이면 상기 단말기의 호를 차단시키고 호 차단시간이 아니면 상기 단말기의 호를 차단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ll blocking method of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 determining that the terminal of the call blocking service subscriber is registered at a preset call blocking position,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time is a preset call blocking time; And (ii) blocking the call of the terminal if the current time is a preset call blocking time, and disconnecting the call of the terminal if the call blocking time is not.

또한, 상기 단말기의 호 차단 도중에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상기 단말기의 호 차단해제후 상기 상대측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의 호 차단해제를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pposite terminal during the call blocking of the terminal, after the call is released from the terminal, a message indicating the call release of the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opposite terminal.

또한, 상기 호 차단위치 및 상기 호 차단시간은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ll blocking position and the call blocking ti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hangeab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을 위한 위치 및 시간 설정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a는 호 차단을 위한 위치설정 메뉴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호 차단을 위한 시간설정 메뉴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호 차단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의 호 차단 위치로의 이동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ll blocking system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cation and time setting procedure for call blocking of a wireless terminal. 3 is a flowchart of a call blocking method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sition setting menu screen for call blocking, and FIG.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ime setting menu screen for call blockin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movement of a call blocking service subscriber station to a call blocking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호 차단 서비스 가입자가 학생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 명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aking the case that the call blocking service subscriber is a student as an example.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시스템(100)은 무선 단말기(10), 기지국(20), 이동통신 교환국(30), 홈 위치 레지스터(40), 및 호 차단 관리서버(5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all blocking system 100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10, a base station 20,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30, a home location register 40, and a call blocking. It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50).

무선 단말기(10)는 상대방과의 통화, 문자 메시지, 인터넷, 이메일, 게임 등이 가능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본 발명에서 무선 단말기(10)는 호 차단 서비스 가입자, 즉 학생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70)는 후술되는 것과 같이 무선 단말기(10)의 호 차단 시간중에 문자 메시지를 보내거나 전화를 건 상대측 무선 단말기를 의미한다.The wireless terminal 10 is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alking with the other party, texting, internet, email, games,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erminal 10 refers to a call blocking service subscriber, that is, a student's terminal. As described below, the wireless terminal 70 refers to a wireless terminal on the opposite side that sends a text message or makes a call during the call blocking time of the wireless terminal 10.

기지국(20)은 무선 단말기와 이동통신 교환국 사이에 위치하여 무선 링크와 유선 링크에 적합하도록 신호 포맷을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일반적인 기지국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무선 단말기(10)와 이동통신 교환국(30) 사이에서 기능하고 있다. The base station 20 is a general base station located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tation, and serves to change the signal format to be suitable for the wireless link and the wired link.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erminal 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30 It is functioning between.

이동통신 교환국(30)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일반 전화망, 동일 또는 다른 이동 통신망에 있는 다른 이동통신 교환국 사이의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접속점을 구성하는 자동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무선 단말기(10)의 호 차단 도중에 상대측 단말기(70)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호 차단 관리서버(50)로 호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30 is an automatic system for configuring an access point for user traffic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general telephone network, or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tation in the same or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f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ther terminal 70 on the way, it functions to connect a call to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50.

홈 위치 레지스터(40)는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망 내에서의 고정점에 위치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입자급 정보, 위치 정보 등을 관리하는 망 내 데이터 베이스 기능을 갖는 레지스터로서, 호 차단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10)가 기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호 차단 위치에 위치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호 차단 위치에 위치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말기(10)에 대한 호 차단 시간정보를 호 차단 관리서버(50)에 요구하고 그로부터 제공된 호 차단 시간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10)의 호를 선택적으로 차단 및 차단해제시킨다.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 is a register having a database function in the network that manages subscriber leve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etc. for providing a service to a wireless terminal at a fixed point in the network. When the terminal 10 confirms whether the location is registered at a predetermined call blocking position, and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10 is registered in the call blocking position, the call blocking time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10 is determined by a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 50) selectively block and unblock the call of the wireless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call blocking time provided therefrom.

또한, 이 홈 위치 레지스터(40)는 무선 단말기(10)의 호 차단 도중에 전화를 건 무선단말기(70)에 대하여 무선 단말기(10)의 호 차단이 해제되면 호 차단 관리서버(50)의 지시에 의해 상기 호 차단 관리서버(50)로 발신측 단말기(70)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home position register 40 is instructed by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50 when the call blocking of the wireless terminal 10 is released to the wireless terminal 70 making the call during the call blocking of the wireless terminal 10. By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70 to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50.

호 차단 관리서버(50)는 다수의 호 차단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또한 각 가입자 정보에는 해당 가입자 단말기의 호 차단 위치 및 시간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홈 위치 레지스터(40)로부터의 소정 단말기에 대한 호 차단 시간정보 요구시 홈 위치 레지스터(40)에 해당 단말기의 호 차단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50 stores a plurality of call blocking service subscriber information, and each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es call block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so that the predetermined terminal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 can be obtained. When the call blocking time information is requested, the call loc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is provided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

또한, 이 호 차단 관리서버(50)는 무선 단말기(10)의 호 차단 도중에 상대측 단말기(70)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이동통신 교환국(30)에 의해 무선 단말기(70)의 호가 연결되어 무선 단말기(10)가 현재 호 차단중이라는 것을 알리는 소정의 안내멘트를 송출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10)의 호 차단이 해제되면, 홈 위치 레지스터(40)에 발신측 단말기(70)의 위치정보를 요구하여 그로부터 제공된 발신측 단말기(70)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기(10)의 호 차단이 해제되어 통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SMS 센터(도시하지 않음)와 연동하여 발신측 단 말기(70)가 위치한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달한다. In addition,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50 is connected to the call of the wireless terminal 70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30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70 during the call blocking of the wireless terminal 10. 10) sends a predetermined announcement indicating that the call is currently blocked. When the call blocking of the wireless terminal 10 is released, the mobile terminal 10 requests the home position register 40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70 an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70 provided therefrom. The call block of 10) is released and transmits a text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all is possi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in which the calling terminal 70 is located in association with an SMS center (not shown).

호 차단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10)의 호 차단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10)의 가입자인 학생(또는 학부모)가 호 차단 위치를 학교로 기설정한 상태에서 무선 단말기(10)가 기지국(20), 이동통신 교환국(30)을 통해 홈 위치 레지스터(40)에 의해 학교에 위치등록된 것으로 확인되면, 홈 위치 레지스터(40)는 호 차단 관리서버(50)에 무선 단말기(10)의 호 차단 시간정보를 요구하고 이 호 차단 관리서버(50)로부터 제공된 호 차단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기(10)의 호를 차단한다.In the call blocking service of the call blocking service subscriber terminal 10, the base station 20, the wireless terminal 10, the student (or parent) who is a subscriber of the wireless terminal 10 preset the call blocking position to the school; When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 is confirmed to be registered in the school by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30,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 calls the call blocking tim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 to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50. Request and block the call of the wireless terminal 10 based on the call blocking tim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50.

또한, 무선 단말기(10)의 호 차단 도중에 착신되는 호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10)의 호 차단 도중에 상대측 단말기(70)로부터 전화가 걸려 오면 이동통신 교환국(30)에 의해 호 차단 관리서버(50)로 단말기(70)의 호가 연결되어 호 차단 관리서버(50)는 무선 단말기(10)가 호 차단 도중이라는 것을 알리는 소정의 안내멘트를 송출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10)의 호 차단 해제시간이 되면, 호 차단 관리서버(50)는 홈 위치 레지스터(40)에 무선 단말기(10)의 호 차단해제를 지시하고 발신측 단말기(70)의 위치정보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의해, 홈 위치 레지스터(40)가 발신측 단말기(7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면, 호 차단 관리서버(50)는 SMS 센터와 연동하여 무선 단말기(10)가 호 차단해제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소정의 문자메시지를 발신측 단말기(70)가 위치한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달한다. Further, in a call that is received during the call blocking of the wireless terminal 10,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70 during the call blocking of the wireless terminal 10,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50 is controll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30. The call of the terminal 70 is connected to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50 sends a predetermined announcement indicating that the wireless terminal 10 is in the middle of the call blocking. When the call blocking release time of the wireless terminal 10 is reached,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50 instructs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 to release the call blocking of the wireless terminal 10 and the position of the calling terminal 70. Ask for information. By this request, when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70,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50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SMS center to inform that the wireless terminal 10 has been released. The predetermined tex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where the calling terminal 70 is located.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방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을 위한 위치 및 시간 설정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Next, a call blocking method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cation and time setting procedure for call blocking of a wireless terminal. 3 is a flowchart of a call blocking method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호 차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호 차단 관리서버(50)에 가입자 단말기(10)의 호 차단 위치 및 시간을 설정하여야 한다.As shown in FIG. 2, in order to use a call blocking service, a call blocking position and time of a subscriber station 10 must first be set in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50.

먼저, 무선 인터넷을 통해 호 차단 관리서버(50)에 접속한 상태에서 호 차단 위치를 선택한다(S10). First, the call blocking position is selecte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50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S10).

여기서, 호 차단 서비스 가입자가 학생인 경우에는 호 차단 위치를 도 4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소정의 학교로 선택할 수 있다. 도 4a에서, 학교선택 메뉴에는 다수의 학교가 예시되어 있어 그 중에서 호 차단 서비스 가입자의 학교를 선택하면 된다.Here, when the call blocking service subscriber is a student, the call blocking position may be selected as a predetermined school as shown in FIG. 4A. In FIG. 4A, a plurality of schools are illustrated in the school selection menu, and the school of the call blocking service subscriber may be selected from among them.

다음, 선택된 호 차단 위치에서 소정 시간(예를 들면, 수업시간)에 호가 차단될 수 있도록 호 차단 시간을 도 4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S11). 도 4b에서, 호 차단 시간은 20분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즉 20분간의 쉬는시간에는 호 차단을 해제시키고, 40분 동안의 수업시간에는 호를 차단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이 시간설정은 가입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Next, the call blocking time may be set as shown in FIG. 4B so that the call may be blocked at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class time) at the selected call blocking position (S11). In FIG. 4B, it can be seen that the call blocking time is set at 20 minute intervals, that is, the call blocking can be canceled at a break of 20 minutes, and the call can be blocked at a class time of 40 minutes. Of course, this time setting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ubscriber's setting.

이렇게 호 차단 위치 및 시간 설정이 완료되면,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무선 단말기(10)의 호가 차단 및 차단해제될 수 있다. When the call blocking position and time setting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call of the wireless terminal 10 may be blocked and released in the same manner as shown in FIG. 3.

도 3에서, 무선 단말기(10)가 기설정된 호 차단 위치에 위치등록되면, 즉 호 차단 서비스 가입자가 학생인 경우에 이 학생이 기설정된 호 차단 위치, 예를 들어 학교(200)에 등교하면(도 5 참조)(단계S20), 홈 위치 레지스터(40)에 의해 무선 단 말기(10)가 학교(200)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어서 현재시간이 호 차단시간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30). In FIG. 3, when the wireless terminal 10 is registered at a preset call blocking position, that is, when the call blocking service subscriber is a student, the student attends the preset call blocking position, for example, the school 200 ( 5 (step S20), it is confirmed by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 that the wireless terminal 10 is located in the school 200, and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time is a call blocking time (S30).

이 호 차단시간 판단에 있어서, 홈 위치 레지스터(40)가 호 차단 관리서버(50)에 호 차단 시간정보를 요구하면, 이 요구에 응답하여 호 차단 관리서버(50)는 해당 가입자의 호 차단시간 정보를 홈 위치 레지스터(40)에 제공한다.In the call blocking time determination, when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 requests call blocking time information from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50,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50 responds to the request to call blocking time of the subscriber.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

이것에 의해, 호 차단 가입자가 기설정한 호 차단시간이 되면, 즉 수업시간이 되면(S30에서 "Y"), 홈 위치 레지스터(40)에 의해 무선 단말기(10)의 호가 차단된다(S40). 이렇게 무선 단말기(10)의 호가 차단된 상태에서는 발/착신이 불가능하여 수업중 휴대폰 사용을 억제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call blocking subscriber reaches the preset call blocking time, that is, when it is the class time (“Y” in S30), the call of the wireless terminal 10 is blocked by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 (S40). . In this state, when the call of the wireless terminal 10 is blocked, the incoming / outgoing call is impossible and the use of the mobile phone during the class can be suppressed.

또한, 이 때 상대측 단말기(70)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이동통신 교환국(30)에 의해 호 차단 관리서버(50)로 호가 연결되어 무선 단말기(10)가 현재 호 차단중이라는 것을 알리는 소정의 안내멘트(예를 들면, "지금은 수업중입니다. 착신이 가능한 시간이 되면 연락을 드리겠습니다")가 송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pposite terminal 70, a call is connected to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50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30 to inform the wireless terminal 10 that the call is currently being blocked. (For example, "I'm in class now. I'll get back to you when it's available.")

다음, 호 차단 해제시간이 되면, 즉 쉬는 시간이 되면(S30에서 "N"), 홈 위치 레지스터(40)에 의해 무선 단말기(10)의 호가 차단해제된다(S50). 이렇게 무선 단말기(10)의 호가 차단해제된 시간동안은 무선 단말기(10)의 발/착신이 가능하여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Next, when the call blocking release time is reached, that is, when it is a rest time (“N” in S30), the call of the wireless terminal 10 is released by the home position register 40 (S50). Thus, during the time when the call of the wireless terminal 10 is released, the wireless terminal 10 can be called / received and the mobile phone can be used.

다음, 무선 단말기(10)의 호 차단 도중에 상대측 단말기(70)로부터 전화가 걸려왔던 경우(즉, 단계(S60)에서 "Y")에는, 호 차단 관리서버(50)는 홈 위치 레지스터(40)로부터 발신측 단말기(70)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발신측 단말기(70)가 위 치한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무선 단말기(10)가 통화가능하다는 문자 메시지를 SMS 센터와 연동하여 전송한다(S70).Next,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70 during the call blocking of the wireless terminal 10 (that is, "Y" in step S60),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50 sets the home position register 40.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70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mobile terminal switching location 70 is sent to send a text message that the mobile terminal 10 is available in conjunction with the SMS center (S70).

이상의 설명에서는 호 차단 위치가 학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회사, 관공서 등에서와 같이 업무 및 회의중에는 호를 차단시키고 점심시간 등에는 호를 차단해제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call blocking location is a school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t can be applied to blocking a call during work and meetings and to unblock a call during lunch, such as in a company or a public office. Will understan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교내 수업중에는 발호/착호를 차단시키는 반면에 쉬는시간, 점심시간 등과 같은 비수업중에는 발호/착호를 차단해제시키도록 함으로써, 교내에서의 수업중 휴대폰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학생들의 정보통신 이용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blocking the call / call during the class, while the non-class, such as break, lunch, etc. to block the call / call, you can prevent the use of the mobile phone in class At the same time, students can meet the desire to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참고하여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거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Claims (6)

무선 단말기가 기설정된 호 차단 위치에 위치등록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호 차단 관리서버; 및A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for providing call blocking tim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wireless terminal is registered in a preset call blocking position; And 호 차단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호 차단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호 차단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호를 차단 및 차단해제하는 홈 위치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시스템.Location information of a call blocking service subscriber terminal is stored, and comprises a home location register for blocking and releasing a call of the wireless terminal based on the call blocking tim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Call blocking system of th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도중에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상기 호 차단 관리서버로 호를 연결시키는 이동통신 교환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호 차단 관리서버는 상기 상대측 단말기와 호가 연결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호가 차단되어 있음을 알리는 안내멘트를 상기 상대측 단말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시스템.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tation for connecting a call to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pposite terminal during the call blocking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a call announcement to inform the counterpart terminal that the call of the wireless terminal is blocked.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호가 차단해제되면 상기 호 차단 관리서버는 상기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상대측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상대측 단말기가 위치한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상기 무선 단말기가 통화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SMS 센터와 연동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시스템.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 or 2, wherein, when the call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leas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call blocking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terminal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and locates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a text message informing that the wireless terminal is available for communication to the switching center in association with an SMS center. (ⅰ) 호 차단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가 기설정된 호 차단 위치에 위치등록된 것으로 확인되면, 현재 시간이 기설정된 호 차단시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Iii) if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of the call blocking service subscriber is registered at a preset call blocking position,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time is a preset call blocking time; And (ⅱ) 상기 현재 시간이 기설정된 호 차단시간이면 상기 단말기의 호를 차단시키고 호 차단시간이 아니면 상기 단말기의 호를 차단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방법.(Ii) blocking the call of the terminal if the current time is a preset call blocking time, and disconnecting the call of the terminal if not the call blocking tim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호 차단 도중에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상기 단말기의 호 차단해제후 상기 상대측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의 호 차단해제를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방법.5. The wireless terminal of claim 4, wherein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pposite terminal during the call blocking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transmits a text message indicating the release of the call blocking to the opposite terminal after the call is released. Call blocking metho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호 차단위치 및 상기 호 차단시간은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호 차단 방법.5. The call blocking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all blocking position and the call blocking time are changeable.
KR1020040084357A 2004-10-21 2004-10-21 System and method of breaking call in mobile terminal KR1006581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357A KR100658138B1 (en) 2004-10-21 2004-10-21 System and method of breaking call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357A KR100658138B1 (en) 2004-10-21 2004-10-21 System and method of breaking call in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950A true KR20060035950A (en) 2006-04-27
KR100658138B1 KR100658138B1 (en) 2006-12-14

Family

ID=37144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357A KR100658138B1 (en) 2004-10-21 2004-10-21 System and method of breaking call in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1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374B1 (en) * 2008-12-31 2011-01-13 주식회사 케이티 Call processing method in Intelligent Network and System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374B1 (en) * 2008-12-31 2011-01-13 주식회사 케이티 Call processing method in Intelligent Network and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138B1 (en)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61722T3 (en) A method of remotely chang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s device
ES2244108T3 (en) ONLINE MODIF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0932973B1 (en) Local time manager
JP2005531228A (en) User selectable status notific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JP20051369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to-mobile video capability to network
US20070286353A1 (en) Congestion control method, subscriber terminal used in the congestion control method, disaster system, and core network
KR100420396B1 (en) Method for Displaying State of Selected-User 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simply Transmitting Message
KR100658138B1 (en) System and method of breaking call in mobile terminal
KR20030093038A (en) Recipient's situation mode service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US20050286701A1 (en) Call attempt handl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030073627A (en) Caller identification providing method for the unfinished call of mobile phone
KR100640473B1 (en) Method for auto transmission a message in mobile phone
KR100603049B1 (en) Lettering Service Method
KR20050044190A (en) Method for proffering automatic link service of mobile user's phone page by using network
KR101048826B1 (en) Text message auto respons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59998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ll Connecting Service Using by Both SMS Message Transmission
KR1008667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origination information of restricted call termination in multi-number service
KR101060097B1 (en) How to automatically notify overseas roaming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003420B1 (en) Device and the Method for sending and conforming the state information of mobile phone receiver by using short message services
KR100411564B1 (en) Method for keeping Short Message and system thereof
KR20050039213A (en) Method for proffering status notice service of mobile user by using network
KR10057979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f Message Arrival Alar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0549685B1 (e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Memorizing Calling Party Number and Method Therefor
KR100532329B1 (en) Method for providing originator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13979B1 (en) Method for message service of selective storing message in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telecommunicaton terminal and method according to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