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176A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using different protocol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using different protoc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5176A
KR20060035176A KR1020040084541A KR20040084541A KR20060035176A KR 20060035176 A KR20060035176 A KR 20060035176A KR 1020040084541 A KR1020040084541 A KR 1020040084541A KR 20040084541 A KR20040084541 A KR 20040084541A KR 20060035176 A KR20060035176 A KR 20060035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tandard
lncp
upnp
control poin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5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4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5176A/en
Publication of KR20060035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1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 내에 상이한 규격의 네트워크가 동시에 존재하는 환경이 구축된 경우 IP 규격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다른 규격의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컨트롤포인트(111), 미디어 서버(112) 및 미디어 플레이어(113)를 포함하여 UPnP 기반의 홈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IP 네트워크(110)와, 냉장고, 전자레인지, 세탁기, 에어컨 등의 LnCP 디바이스(200)를 포함하여 LnCP 기반의 홈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LnCP 네트워크(120)와, IP 기반의 컨트롤포인트(111)가 LnCP 디바이스(2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LnCP 디바이스(200)를 UPnP 베이직 디바이스 내의 임베디드(embedded) 디바이스로 모델링하고 상기 LnCP 디바이스(200)와 UPnP 컨트롤포인트(111)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해당 규격(UPnP, LnCP)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terogeneous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control a network of another standard in an IP standard-based network when an environment in which a network of different standards exist simultaneously in a home is constructed.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ncluding the control point 111, media server 112 and media player 113, IP network 110 supporting UPnP-based home networking, refrigerators, microwave ovens, washing machines, air conditioners, etc. The LnCP device 200, including the LnCP device 200, supports LnCP-based home networking, and the IP-based control point 111 may control the LnCP device 200. An LnCP-UPnP bridge device 130 for modeling as an embedded device in the UPnP basic device and converting data transmitted between the LnCP device 200 and the UPnP control point 111 into data of a corresponding standard (UPnP, LnCP).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configuration.

Description

이종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USING DIFFERENT PROTOCOL} Heterogeneous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USING DIFFERENT PROTOCOL}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LnCP 디바이스 서비스를 위한 신호 흐름도. 2 is a signal flow diagram for LnCP device service in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 정보에 대한 XML 문서의 예시도.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XML document for device inform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서 디바이스 서비스를 위한 XML 문서의 예시도. 4 illustrates an XML document for a device servi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5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6은 도5에서 명세 전송 단계의 동작 순서도. 6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the specification transmission step in FIG.

도7은 도5에서 주소 해제 후 새로운 명세 전송 단계의 동작 순서도. 7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 new specification transmission step after address release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UPnP 네트워크 111 : 컨트롤포인트(CP) 110: UPnP network 111: control point (CP)

120 : LnCP 네트워크 121~127,200 : LnCP 디바이스 120: LnCP network 121-127,200: LnCP device

130 :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 130: LnCP-UPnP Bridge Device

본 발명은 홈 네트워킹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종 네트워크 제어 시스 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ome network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heterogeneous network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PnPRM Device Architecture 1.0은 분산 및 개방 네트워킹 구조를 기반으로, IP 기술을 사용하여 홈 네트워크 내의 각 가전 제품들이 중앙 집중의 관리를 받지 않고 대신 피어투피어 (seamless peer to peer)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한다. UPnP RM Device Architecture 1.0 is based on a distributed and open networking architecture that uses IP technology to enable each consumer appliance in the home network to be peerless to peer networking instead of centrally managed.

UPnP 네트워크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컨트롤포인트(CP)와,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디바이스(Device)들로 이루어져 있다. The UPnP network consists of a control point (CP) that controls the device and a device that provides a service.

UPnP 네트워크에서 사용자는 컨트롤포인트(CP)가 제공해주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각종 디바이스들을 찾아내고(discovery, description), 제어(control)하고 이벤트(eventing)를 받을 수 있다. In the UPnP network, the user can find (discovery, description), control (control) and receive events through the interface provided by the control point (CP).

UPnP 디바이스는 구동 시에 자신의 서비스 명세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로 기술하고, UPnP 컨트롤포인트(CP)가 디바이스 발견 후 이를 해석함으로써 디바이스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The UPnP device describes its service description in the form of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at the time of operation, and provides the user with an interface according to the device by UPnP control point (CP) interpreting the device after discovery.

한편,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같은 가전제품과 전등, 가스 경보기, 스탠드, 보일러 등에서는 제품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8Bit 이하의 비교적 저기능의 마이컴을 채용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washing machines, microwave ovens, and the like, lamps, gas alarms, stands, boilers, etc. generally employs a relatively low-performance microcomputer of 8Bit or less.

이러한 제품들로 구성된 네트워크(Living Network)에서는 원격 제어나 동작상태의 모니터링 등과 같은 소규모의 데이터 전송이 주요 통신 목표이기 때문에 개인 컴퓨터(PC)나 멀티미디어 계열의 제품들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와는 달리 최소한의 자원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규약이 필요하다. In the network consisting of these products, small data transmissions such as remote control and operation monitoring are the main communication targets, so unlike a network consisting of PCs or multimedia products, A protocol is needed to communicate using resources.

LG전자는 가정 내에 설치된 가전기기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규약으로 LnCP(Living network Control Protocol)를 개발하였다.LG Electronics has developed LnCP (Living Network Control Protocol) as a protocol for providing Internet services to home appliances installed in homes.

LnCP(Living network Control Protocol)는 비교적 저가의 마이컴을 채용하는 가정 네트워크 내의 제품들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선의 연결방법, 제어/이벤트 메시지 정의 및 신호 흐름의 순서를 정의하고, 이 제품들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규격이다. The Living Network Control Protocol (LnCP) defines the method of connecting signal lines, defining control / event messages, and the order of signal flow for communication between products in a home network employing a relatively low-cost microcomputer. It is a communication standard to provide.

일반적으로 LnCP 기반의 네트워크에서는 댁내 백색 가전들에 대해 전력선 기반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In general, LnCP-based networks support power line-based communication for home white goods.

또한, 홈 네트워크 기술 표준안으로 HnCP(Home Network Control Protocol)이 제안되었다. HNCP 표준안은 전력선통신을 하는 가전제품의 명령어 체계 및 주변부품과의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있다. In addition, Home Network Control Protocol (HnCP) has been proposed as a home network technical standard. The HNCP standard defines the command system and communication protocols for peripherals for consumer electronics with power line communication.

그러나, 종래에는 하나의 네트워크에 다수의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경우 상호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서 하나의 통신규격을 지원하여야 한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when a plurality of devices are connected to one network, one communication standard must be supporte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each other.

만일, 기존의 디바이스와 상이한 통신규격에 따라 제어되는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 기존에 연결된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함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If a device controlled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tandard different from an existing device is connected to a network,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home network system cannot be integrated into a single network becaus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the network are not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정 내에 상이한 규격의 네트워크가 동시에 존재하는 환경이 구축된 경우 IP 규격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다른 규격의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창안한 이종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terogeneous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network of another standard in an IP standard based network when an environment in which different standards exist simultaneously in a home is constructed to improve a conventional problem.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홈 네트워크와 제1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규격의 디바이스와, 상기 홈 네트워크와 제2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에 탑재되어 상기 제1,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컨트롤포인트(CP)와, 상기 컨트롤포인트(CP)가 제1 통신규격의 디바이스에 탑재된 경우를 가정할 때 자신을 제1 통신규격의 베이직 디바이스로 모델링하고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를 상기 베이직 디바이스 내의 임베디드 디바이스(embedded device)로 모델링을 XML 문서로 작성하여 상기 컨트롤포인트에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포인트와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호 인식할 수 있는 규격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브리지 디바이스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of a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a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with a home network, and a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a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with a home network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a home network system including a device, the control point (CP) and the control point (CP) mounted on the device of the first or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to control the device of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Assuming that it is mounted on a device of the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model itself as a basic device of the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and create a second document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as an embedded device in the basic device as an XML document. Provide the control point and mutually recognize data transmitted between the control point and the devi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It comprises a bridge device means for converting into data of a specified standard.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홈 네트워크와 제1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컨트롤포인트(CP)를 탑재하는 제1 통신규격의 디바이스와, 상기 홈 네트워크와 제2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와, 상기 컨트롤포인트(CP)와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호 인식할 수 있는 규격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브리지 디바이스 수단을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 법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 수단이 자신을 제1 통신규격의 베이직 디바이스로 모델링하고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를 베이직 디바이스 내의 임베디드 디바이스(embedded device)로 모델링하여 XML 문서로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 수단이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수신하여 상기 XML 문서 내의 해당 상태변수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컨트롤포인트(CP)가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XML 문서를 수신하여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 수단이 컨트롤포인트로부터 전송된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액션을 제2 통신규격에 적합하게 변환하여 상기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 수단이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액션 응답에 의거하여 해당 상태변수를 갱신하고 이를 컨트롤포인트에 응답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of the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that is equipped with a control point (CP)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and a home network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he device in the home network, and the home A bridge that converts data transmitted between a device of a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accordance with a network and a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and between the control point CP and the devi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into data of a mutually recognizable standard. In a control method of a home network system including device means, the bridge device means models itself as a basic device of the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and a devi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as an embedded device in the basic device. Writing to an XML document, and the bridge device means Receiving a state of operation of a device and updating a corresponding state variable in the XML document, receiving, by the control point, the XML document from the bridge device, and obtaining device information of a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Converting, by the bridge device means, a control action for a device of a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transmitted from a control point according to a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control action to a devi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And updating the corresponding state variable based on the action response sent from the communication standard device and responding to the control point.

상기에서 제1 통신규격은 UPnP 기반의 통신규격, 제2 통신규격은 LnCP 또는 HnCP 기반의 통신규격을 적용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may be UPnP-based communication standar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may be LnCP or HnCP-based communication standard.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는 가정 내에 IP 네트워크와 LnCP 네트워크가 동시에 존재하는 환경의 경우 IP 기반의 UPnP 컨트롤 포인트(CP)가 LnCP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P-based UPnP control point (CP) controls an LnCP device in an environment where both an IP network and an LnCP network exist in a home.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LnCP 네트워크 내의 LnCP 디바이스가 네트워 크에 빈번하게 추가/삭제되거나(Plug In/Out의 경우) 파워 온/오프(Power On/Off)되는 환경에서도 LnCP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nCP device is stably controlled even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LnCP device in the LnCP network is frequently added / deleted to the network (in the case of Plug In / Out) or power on / off. An operation to perform will be describ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포인트(111), 미디어 서버(112) 및 미디어 플레이어(113)를 포함하여 UPnP 기반의 홈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IP 네트워크(110)와, 냉장고, 전자레인지, 세탁기, 에어컨 등의 LnCP 디바이스(121~127)를 포함하여 LnCP 기반의 홈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LnCP 네트워크(120)와, IP 기반의 컨트롤포인트(111)가 LnCP 디바이스(121~127)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LnCP 디바이스(121~127)를 UPnP 베이직 디바이스 내의 임베디드(embedded) 디바이스로 모델링하고 상기 LnCP 디바이스(121~127)와 UPnP 컨트롤포인트(111)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해당 규격(UPnP, LnCP)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which includes a control point 111, a media server 112, and a media player 113 to support UPnP-based home networking. LnCP network 120 that supports LnCP-based home networking, including IP network 110, LnCP devices 121 to 127 such as refrigerators, microwaves, washing machines, air conditioners, and IP-based control points 111 The LnCP devices 121 to 127 are modeled as embedded devices in the UPnP basic device, and the LnCP devices 121 to 127 and the UPnP control point 111 are controlled to control the LnCP devices 121 to 127. It comprises a LnCP-UPnP bridge device 130 for converting the data transmitted between the data to the standard (UPnP, LnCP) data.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도2의 신호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시 LnCP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된 XML 문서에 명시된 LnCP 디바이스 및 서비스 내용에 따라 초기화하는 단계(S201)와, LnCP 디바이스의 추가/제거 이벤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S202)와, 상기 이벤트가 수신되여 상태변수 "DeviceExit"를 갱신하는 단계(S203)와, 상기 상태변수 갱신 이벤트를 UPnP 컨트롤포인트(111)에 전송하는 단계(S204)와, 상기 컨트롤포인트(111)의 파워 온을 위한 UPnP 액션을 수신하여 추가된 LnCP 디바이스에서 해당 액션을 수행시키는 단계(S205,S206)와, 상기 액션 수행에 따른 응답이 수신되면 상태변수 "PowerEnabled"를 갱신하고 그 상태변수 갱신 이벤트를 상기 컨트롤포인트(111)에게 전송하는 단계(S207~S209)와, LnCP 디바이스로부터 파워 온/오프 이벤트가 전송되어 오는지 확인하는 단계(S210)와, 상기 단계(S210)에서 이벤트가 전송되어 오면 해당 상태변수를 갱신하고 그 상태변수 갱신 이벤트를 컨트롤포인트(111)에게 전송하는 단계(S211,S212)를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As shown in the signal flow diagram of FIG. 2, the bridge device 130 initializes according to the LnCP device and service contents specified in the XML document transmitted from the LnCP device at operation (S201), and the addition / removal of the LnCP device. Checking whether an event is received (S202), updating the state variable “DeviceExit” by receiving the event (S203), and transmitting the state variable update event to the UPnP control point 111 (S204). And receiving the UPnP action for power-on of the control point 111 and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action in the added LnCP device (S205, S206), and when the response according to the action is received, the state variable "PowerEnabled". And updating the state variable update event to the control point 111 (S207 to S209), and checking whether a power on / off event is transmitted from the LnCP device. In step S210, and when the event is transmitted in the step S210, it is configured to perform steps S211 and S212 of updating the corresponding state variable and transmitting the state variable update event to the control point 111.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에서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UPnP 컨트롤포인트(111)가 상기 LnCP 디바이스(121~127)를 제어할 수 있도록 UPnP 디바이스(112,113)와 저사양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탑재한 LnCP 디바이스(121~127)의 경계에 위치하여 브리지 서비스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is a LnCP device (121 ~ 113) equipped with a UPnP device (112, 113) and a low specification microcomputer so that the UPnP control point 111 can control the LnCP devices (121 ~ 127) It is located at the boundary of 127 to provide a bridge service.

상기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자신이 서비스하는 디바이스 유형을 UPnP 베이직(Basic) 디바이스로 모델링하여 UPnP 컨트롤포인트(111)에게 알린다.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notifies the UPnP control point 111 by modeling the device type it serves as a UPnP basic device.

이는 서비스 모델이 표준화되지 않은 디바이스를 UPnP 디바이스로서 인식할 수 있도록 UPnP 포럼(Forum)에서 정의한 UPnP 베이직 디바이스를 적용하는 것이다. This applies the UPnP basic device defined by the UPnP Forum so that the service model can recognize non-standardized devices as UPnP devices.

예를 들어,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자신을 UPnP 베이직 디바이스 유형으로 명시한 XML 정보 즉, 도3의 "urn:schemas-upnp-org:device:Basic:1"(311)과 같이 명시한 XML 정보를 로딩하여 UPnP 컨트롤포인트(111)에게 알린다. For example,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is XML information that specifies itself as the UPnP basic device type, that is, the XML that is specified as "urn: schemas-upnp-org: device: Basic: 1" (311) of FIG. The information is loaded and notified to the UPnP control point 111.

그리고, 상기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LnCP 네트워크(120)에 존재하는 각 LnCP 디바이스(121~127)를 UPnP 베이직 디바이스 내의 임베디드(embedded) 디바이스로서 모델링한다. In addition,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models each LnCP device 121 to 127 present in the LnCP network 120 as an embedded device in the UPnP basic device.

즉,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LnCP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각각의 LnCP 디바이스(121~127)를 UPnP 베이직 디바이스의 임베디드 디바이스로 XML 문서에 명시하여 UPnP 컨트롤포인트(111)에게 알린다. That is,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informs the UPnP control point 111 by specifying each LnCP device 121 to 127 present in the LnCP network as an embedded device of the UPnP basic device in an XML document.

예를 들면, UPnP 베이직 디바이스의 임베디드 디바이스로 명시된 LnCP 디바이스의 XML 정보는 도3의 "urn:schemas-upnp-org:device:WasherDrumDevice:1"(312) 및 "urn:schemas-upnp-org:device:LightDevice:1"(313)과 같이 명시한다. 이는 "드럼세탁기"와 "전등"을 UPnP 베이직 디바이스의 임베디드 디바이스로 서비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For example, the XML information of an LnCP device specified as an embedded device of a UPnP basic device is shown in "urn: schemas-upnp-org: device: WasherDrumDevice: 1" (312) and "urn: schemas-upnp-org: device" of FIG. : LightDevice: 1 "(313). This shows that "Drum Washer" and "Light" are being serviced as embedded devices in UPnP Basic devices.

또한,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자신의 존재를 UPnP 베이직 디바이스로 명시하고 그 내부의 임베디드 디바이스 정보에 LnCP 네트워크(120) 내에 존재하는 디바이스(121~127)의 유형을 도3과 같이 XML로 작성하는 것은 물론 서비스 정보를 도4의 예시도와 같이 XML로 작성하여 UPnP 명세(description) 단계에서 UPnP 컨트롤포인트(111)에게 알린다. In addition,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specifies its existence as a UPnP basic device and the type of devices 121 to 127 present in the LnCP network 120 in the embedded device information therein,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service information is written in XML as illustrated in FIG. 4 and notified to the UPnP control point 111 in the UPnP description step.

도4에서 도면 부호 "411","412"는 파워 온(power on), 상태변수를 알리는 서비스 상태정보이다. In FIG. 4, reference numerals 411 and 412 denote service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power on and state variables.

그런데, LnCP 네트워크(120) 내에 존재하는 디바이스의 종류가 소형 생활가전 기기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플러그 인/아웃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때마다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가 XML 형태의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동적으로 구성하여 시스템 재 구동한다면 사용자는 재 구동 타임에 안정적인 브리지 서비스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However, when the type of device existing in the LnCP network 120 is a small household appliance, the situation where the plug-in / out is frequently caused by the user occurs frequently. In this case,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is an XML-type device. If configuration information is dynamically configured and the system is restarted, the user cannot expect stable bridge service at the restart time.

이를 개선하기 위해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LnCP 네트워크(120) 내의 디바이스(121~127)가 빈번하게 플러그 인/아웃되는 동적인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효율적 구조를 제공하여야 한다.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should provide an efficient structure that can stably operate even in a dynamic environment in which devices 121 to 127 in the LnCP network 120 are frequently plugged in and out.

이를 위한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의 동작을 도2의 신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for this purpo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ignal flow diagram of FIG.

우선,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각 디바이스 유형 별로 임베디드 디바이스를 구성하여 초기에 구동시킨다.(S201) 이는 도4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각 디바이스의 서비스 명세 내에 'DeviceExist'라는 상태변수를 포함하여 LnCP 네트워크(120) 내의 디바이스 존재 여부를 동적으로 반영하는 것이다. First,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configures and initially drives an embedded device for each device type (S201). As shown in FIG. 4,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sets a state variable called 'DeviceExist' in the service specification of each device. It is to dynamically reflect whether the device exists in the LnCP network 120.

이후,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LnCP 디바이스(200)로부터 네트워크에 추가됨을 알리는 LnCP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태변수 'DeviceExist'를 'yes'로 세트(set)하여 갱신한다(S202,S203). Thereafter, when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receives the LnCP event indicating that the LnCP device is added to the network,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sets and updates the state variable 'DeviceExist' to 'yes' (S202 and S203).

이때,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상태정보 갱신 이벤트를 UPnP 컨트롤포인트(111)로 전송한다.(S204)At this time,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transmits a status information update event to the UPnP control point 111 (S204).

이에 따라, UPnP 컨트롤포인트(111)는 각 임베디드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변수 'DeviceExist'를 조회하여 해당 임베디드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PnP control point 111 may determine whether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interface of the embedded device by querying the state variable 'DeviceExist' for each embedded device.

예로, 사용자가 LnCP 디바이스(200)에 대해 파워온을 설정하면 UPnP 컨트롤포인트(111)는 상기 LnCP 디바이스(200)에 대한 UPnP 'power on' 액션을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에 전송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the power-on for the LnCP device 200, the UPnP control point 111 transmits a UPnP 'power on' action for the LnCP device 200 to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이때,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UPnP 컨트롤포인트(111)로부터 특정 임베디드 디바이스에 대한 UPnP 액션을 수신하면 LnCP 제어 메시지로 변환한 후 LnCP 네트워크(120) 내의 해당 LnCP 디바이스(200)로 송신하는 브리지 기능을 수행한다.(S205,S206) In this case, when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receives a UPnP action for a specific embedded device from the UPnP control point 111,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converts the LnCP control message and transmits the LnCP device 200 to the corresponding LnCP device 200 in the LnCP network 120. Perform the bridge function (S205, S206).

예로,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UPnP 컨트롤포인트(111)로부터 수신된 UPnP power on 액션을 LnCP power on 액션으로 변환하여 LnCP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For example,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converts the UPnP power on action received from the UPnP control point 111 into an LnCP power on action and transmits it to the LnCP device 200.

이후,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LnCP 디바이스(121)로부터 제어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해당 상태변수를 갱신하고 UPnP 액션에 대한 UPnP 응답 메시지로 변환하여 UPnP 컨트롤포인트(111)로 송신한다.(S207~S209) When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receives a response to the control message from the LnCP device 121,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updates the corresponding state variable, converts it into a UPnP response message for the UPnP action, and transmits it to the UPnP control point 111. (S207-S209)

상기에서 LnCP 디바이스(200)에 대한 파워 온을 가정하였으므로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상기 LnCP 디바이스(200)의 LnCP 액션 응답에 대해 상태변수 "PowerEnabled"를 갱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UPnP 액션 응답을 UPnP 컨트롤포인트(111)로 전송한다. Since the power-on for the LnCP device 200 is assumed above,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updates the state variable "PowerEnabled" with respect to the LnCP action response of the LnCP device 200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UPnP action response. Transmit to UPnP Control Point (111).

만일, LnCP 네트워크(120) 내의 디바이스(200)는 리모콘 등의 자체 제어 조작에 의해 상태가 변경되었을 경우 해당 상태 변경 이벤트를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에 전송한다.(S210) If the state of the device 200 in the LnCP network 120 is changed by a self-control operation such as a remote controller, the device 200 transmits a corresponding state change event to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S210).

이때, 상기에서 파워 온을 가정하였으므로 파워 오프 상태로 변경되었다면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LnCP 디바이스(200)로부터 LnCP 이벤트를 수신 하면 상태변수 "PowerEnabled"를 갱신한다.(S211) At this time, when the power-on state is assumed in the above, if the power-off state is changed,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receives the LnCP event from the LnCP device 200 and updates the state variable "PowerEnabled" (S211).

이에 따라,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LnCP 디바이스(200)의 파워가 오프되어 상태변수("PowerEnabled")가 갱신되었음을 알리는 이벤트를 UPnP 컨트롤포인트(111)에 전송한다. Accordingly,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transmits an event to the UPnP control point 111 indicating that the LnCP device 200 is powered off to update the state variable (“PowerEnabled”).

따라서,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LnCP 네트워크(120)에 존재하는 LnCP 디바이스(200)의 정보와 UPnP 액션에 따른 상기 LnCP 디바이스(200)의 동작 상태를 UPnP 컨트롤포인트(111)에 제공함으로써 UPnP 컨트롤포인트(111)가 LnCP 디바이스(2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performs the above operation to control the UPnP control of the information of the LnCP device 200 existing in the LnCP network 120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LnCP device 200 according to the UPnP action. The point 111 provides the UPnP control point 111 to control the LnCP device 200.

한편,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130)를 구현하는 경우 인터넷을 통해 LnCP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when the LnCP-UPnP bridge device 130 is implemented to perform the above operation, a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LnCP device through the Interne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하기 설명에서는 LnCP 디바이스 제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LnCP device control will be described.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인터넷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LnCP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와, 홈 네트워크 내의 상기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에 대한 명세 정보를 보관하며 웹 상에서 사용자가 접속하여 인증된 경우 해당 명세 정보를 제공하는 접속 서버(UServer : UPnP Server)(530)와, 명세 정보 내의 주소 정보를 도메인 네임(domain name)으로 변경하고 상기 접속 서버(530)에 접속하여 인증되면 상기 명세 정보를 전송하여 보관시킨 후 상기 접속서버(530)와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 와, 이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의 요청에 의해 그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를 상기 접속서버(530)에 연결시키며 상기 접속서버(530)로부터 확인한 디바이스의 도메인 네임 기반의 프리젠테이션 URL을 이용하여 원격의 기기(540)로부터 접속되는 경우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디바이스로 연결시키는 홈 게이트웨이(52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rein, an LnCP-UPnP bridge device 510 for providing a LnCP device control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and a home network. An access server (UServer: UPnP Server) 530 that stores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in the network and provides the corresponding specification information when a user accesses and authenticates on the web, and address information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LnCP-UPnP bridge device 510 to change the domain name (domain name) and to connect to the access server 530,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stored and then disconnected from the access server 530 and authenticated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connects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to the connection server 530 at the request of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When connected from the remote device 540 using the domain name-based presentation URL of the identified device, and comprises a home gateway 520 to connect to the corresponding device in the home network.

상기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는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 1.0 표준(514)을 기반으로 브리지 디바이스를 UPnP 디바이스로 알리기 위한 DCP(Device Control Protocol) 기능(513)과, 도메인 네임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 클라이언트 기능(512)과, 디바이스 명세(description) 정보를 외부의 접속서버(530)로 제공하는 발견(discovery) 확장 기능(511)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may control a device using a device control protocol (DCP) function 513 for notifying a bridge device to a UPnP device based on the UPnP device architecture 1.0 standard 514 and a domain name. Dynamic domain name service client function 512, and discovery extension function 511 for providing device description information to an external access server 530.

상기와 같이 구성한 실시 예의 시스템에 대한 동작을 도6과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system of the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5에서 원격의 기기(540)는 데스크탑 피씨, 노트북 피씨, PDA, 이동 통신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트북 피씨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n FIG. 5, the remote device 540 may be configured a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desktop PC, a notebook PC, a PDA,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ptop PC will be described.

우선,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는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면서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 1.0의 발견 단계에서 자신의 존재를 광고(advertise)하여 접속서버(530)와의 발견 연동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First, while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is present in the home network,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advertises its existence in the discovery phase of the UPnP device architecture 1.0 to perform a discovery interworking function with the access server 530.

이때, 명세(description) 정보 내의 URL 기반의 주소 정보가 NAT 사용으로 인한 사설 주소 정보일 경우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는 홈 게이트웨이(520)의 NAT 모듈로부터 공인 주소 정보를 획득하여 명세 정보 내의 주소 정보를 공인 주소 정보로 대치한다. 즉, 명세 정보 내의 URL 기반의 주소 정보가 IP 주소인 경우 특히, NAT 사용으로 인한 사설 주소 정보일 경우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는 홈 게이트웨이(520)의 NAT 모듈로부터 공인 주소정보(공인 주소, 포트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명세 정보 내의 IP 주소와 포트번호를 각각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도메인 네임(domain name)과 상기 홈 게이트웨이(520)로부터 할당받은 공인 포트번호로 변경한다. 여기서, 도메인 네임은 디바이스 모델과 홈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친숙한 이름으로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URL-based address information in the description information is private address information due to the use of NAT,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obtains public address information from the NAT module of the home gateway 520 to display the public address information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Replace address information with public address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URL-based address information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is an IP address, especially when the private address information is due to the use of NAT,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receives public address information (public address) from the NAT module of the home gateway 520. Port number) and change the IP address and port number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into a domain name for the corresponding device and an authorized port number assigned from the home gateway 520, respectively. Here, the domain name may be provided as a user-friendly name by configuring the device model and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home network.

이후,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는 접속서버(530)로의 연결을 설정하여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인증한 후 자신의 명세 정보를 상기 접속서버(530)로 전송한다. Thereafter,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establishes a connection to the access server 530 to authenticate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s its spec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ccess server 530.

이후, 상기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는 접속서버(530)로 명세 정보를 전송하고 그 접속서버(530)와의 연결을 해제시킨다. Thereafter,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transmits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ccess server 530 and releases the connection with the access server 530.

이에 따라, 접속서버(530)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검색 키로 하는 홈넷바인드(HomeNetBind) 테이블 정보를 기반으로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로부터 전송된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구분하여 관리하게 된다. 여기서, 홈넷바인드 테이블은 서버로의 사용자 인증 정보, 서버로의 디바이스 인증정보,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포함하며, 삽입(Insert), 삭제(Delete), 조회(Retrieve) 기능을 이용하여 관리한 다. Accordingly, the access server 530 classifies and manages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based on HomeNetBind table information using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 a search key. Here, the homenet bind table includes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devi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The homenet bind table is managed using an insert, delete, and retrieve function.

이후, 사용자는 노트북 피씨(540)를 이용하여 접속서버(530)에 접속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접속서버(530)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사용자 인증정보(username)는 상기 접속서버(530) 내의 홈넷바인드 테이블의 검색키로 사용되어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가 접속서버(530)로 인증 단계를 거칠 때 전송하는 인증 정보와 함께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검색하는데 이용된다. Thereafter, the user accesses the access server 530 using the notebook PC 540 and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At this time,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ername) used when accessing the access server 530 is used as a search key of the homenet bind table in the access server 530 so that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authenticates with the access server 530. It is used to retrieve the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along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when passing through the step.

이후,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사용자는 명세 정보 내의 도메인 네임 기반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URL을 확인하고 현재 제어하려는 디바이스의 해당 도메인 네임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LnCP 디바이스에 연결하여 제어하게 된다. Subsequently, if the user authentication succeeds, the user checks the presentation URL based on the domain name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connects to the corresponding LnCP device in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corresponding domain name of the device to be controlled currently.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의 클라이언트 기능을 구비하여 도메인 네임을 미리 생성하며, 접속서버(530)는 상기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의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의 클라이언트 기능을 처리하기 위해 DNS 서버 기능 및 도메인 네임 생성 인터페이스를 직접 제공한다. 하지만, 구현에 따라서는 외부 서비스가 제공하는 DNS 서버 기능 및 도메인 네임 생성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In other word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has a client function of dynamic domain name service to generate a domain name in advance, and the access server 530 is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In order to handle the client functions of the dynamic domain name service, the DNS server function and domain name generation interface are provided directly. However,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DNS server function and domain name generation interface provided by the external service may be used.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와 접속서버(530) 간의 네트워킹 과정은 명세(Description), 홈네트워크 연결(HomeNetworkBind), 원격제어(RemoteControl)의 3단계로 동작되는데, 이를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ing process between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and the access server 530 is operated in three stages of description, home network connection, and remote control.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step is as follows.

상기 명세(decription) 단계는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가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접속서버(530)에게 알려주는 단계로서, UPnP 디바이스가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에 따라 도6의 동작 순서도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The description step is a step in which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informs the access server 530 of the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It i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UPnP device uses a private address and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It performs the same operation as the operation flowchart of 6.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는 사설 주소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홈 게이트웨이(520)의 NAT 모듈로부터 공인 주소를 획득하여 명세 정보 내의 주소 정보(IP 주소, 포트번호)를 변환함에 있어서, 사설 주소를 해당 디바이스에 부여된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하고 포트번호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520)로부터 획득한 공인 포트번호로 변환한다. 이때, 홈 게이트웨이(520)가 UPnP IGD(Internet Gateway Device)라면 AddPortMapping 액션을 이용하여 공인 주소를 부여받으며, UPnP IGD가 아닌 일반 게이트웨이라면 텔넷(telnet) 통신을 이용하여 공인 주소를 부여받는다. When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uses a private address,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obtains a public address from the NAT module of the home gateway 520 and converts the address information (IP address, port number)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It converts the domain name assigned to the device and converts the port number into the authorized port number obtained from the home gateway 520. At this time, if the home gateway 520 is an UPnP IGD (Internet Gateway Device), the public address is given using the AddPortMapping action. If the home gateway 520 is a general gateway other than the UPnP IGD, the public gateway is given a public address using telnet communication.

상기 홈네트워크 연결(HomeNetworkBind) 단계는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가 알려준 명세 정보 중 사용자 인증 정보를 검색키로 하는 홈넷바인드(HomeNetBind) 테이블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속한 홈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디바이스의 명세 정보를 구분하여 발견하는 단계이다. 이는 홈 네트워크 외부의 원격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노트북 피씨(540)를 이용하여 접속서버(530)에 접속한 후 사용자 인증을 성공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 식별 기반으로 구분된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조회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home network connection (HomeNetworkBind) step is the specification of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home network to which the user belongs based on the HomeNetBind table information that uses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 the search key from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It is a step of dividing and discovering information. This means that a user remotely located outside the home network accesses the access server 530 using the notebook PC 540 and succeeds in user authentication, thereby inquiring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in the home network classified based on user identification. Means that.

상기 원격제어(RomoteControl) 단계는 원격에서 조회한 디바이스 명세 내의 도메인 네임 기반의 프리젠테이션 URL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UPnP 디 바이스에 접속하여 그 디바이스를 직접 제어하는 단계이다. The remote control step is to directly control a device by accessing a corresponding UPnP device in a home network by using a presentation URL based on a domain name in a device specification that is remotely queried.

그런데, 사업자가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할 때 사용자측에서 일정 기간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이용하지 않으면 IPv4 주소 부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주소를 해제(release)한다. However, when a service provider provides a home network, the user releases an address in order to alleviate the IPv4 address shortage problem if the user does not use the network connec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만일, 홈 게이트웨이가 사용하는 공인 주소가 일정한 휴지 기간이 경과되어 해제된 후 새로운 공인 주소를 할당받았을 경우,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는 그 변경된 주소를 DNS 서버로 알려야 한다. 즉, 홈 네트워크 내의 UPnP 디바이스의 사설 주소를 이용할 경우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는 도메인 네임과 공인 포트값으로 변환하지만, 만일 주소가 해제된 후 새로운 주소로 변경되는 경우라면 DNS 서버에 그 변경된 공인 주소를 재전송하여야 하는데 이를 도7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f the public address used by the home gateway has been assigned a new public address after a certain idle period has been released,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should inform the DNS server of the changed address. That is, when using the private address of the UPnP device in the home network,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converts the domain name and the public port value, but if the address is changed to a new address after the address is released, the changed address is changed in the DNS server. The public address should be retransmitt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flowchart of FIG. 7.

우선, 공인주소가 해제된 경우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하는 홈 게이트웨이(520)가 UPnP IGD라면 새로 부여된 공인 주소값을 UPnP 이벤트를 이용하여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로 알리게 된다. First, when the public address is released, if the home gateway 520 serving the home network is the UPnP IGD, the newly provided public address value is notified to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using the UPnP event.

이때,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는 홈 게이트웨이(520)로부터 변경된 공인 주소값을 이벤트로 받는 경우, DNS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 네임에 대한 변경된 공인 주소값을 전송한다. At this time, when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receives the changed public address value from the home gateway 520 as an event,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transmits the changed public address value for the domain name registered in the DNS server.

또한, 상기에서 LnCP-UPnP 브리지 디바이스(510)가 접속서버(530)와의 연결이 해제된 후 새로운 공인 주소가 할당되는 경우 DNS 서버 내의 도메인 네임에 대한 공인 주소값을 변경하는 과정만을 설명하였으나,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명 세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접속서버(530)로 연결하여 인증한 후 변경된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전송한다. In addition, in the above, when the LnCP-UPnP bridge device 510 is allocated a new public address after the connection with the access server 530 is released, only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ublic address value for the domain name in the DNS server has been described. Even when the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in the network is changed, the changed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after authentication by connecting to the access server 530.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정 내에 다양한 통신 규격의 네트워크가 구축되어도 하나의 홈 네트워크로 통합할 수 있음으로 다양한 유형의 가전 및 가정자동화(Home Automation) 장치를 하나의 통합 리모콘 수단을 이용하여 단일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grated into a single home network even if a network of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is built in a home, and thus, various types of home appliances and home automation devices can be integrated using one integrated remote control mean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trolled in a single way.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 규격의 네트워크 구축에 대해 IP 기반의 브리지 디바이스를 확장할 수 있음으로 향후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통신규격의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IP-based bridge device for the network construction of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can achieve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devices of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over the Internet in the future.

Claims (9)

홈 네트워크와 제1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규격의 디바이스와, A device of a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a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with a home network; 상기 홈 네트워크와 제2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home network system comprising a devi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ccordance with a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with the home network, 상기 제1 또는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에 탑재되어 상기 제1,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컨트롤포인트(CP)와, A control point (CP) mounted on the device of the first or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to control the device of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상기 컨트롤포인트(CP)가 제1 통신규격의 디바이스에 탑재된 경우를 가정할 때 상기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컨트롤포인트(CP)에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포인트와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호 인식할 수 있는 규격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브리지 디바이스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Assuming that the control point CP is mounted on the device of the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is provided to the control point CP and between the control point and the devi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And a bridge device means for converting the transmitted data into data of a mutually recognizable standard. 제1항에 있어서, 브리지 디바이스 수단은 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bridge device means 자신을 제1 통신규격의 베이직 디바이스로 모델링하고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를 베이직 디바이스 내의 임베디드 디바이스(embedded device)로 모델링하여 컨트롤포인트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Heterogeneous network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eling itself as a basic device of the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and the devi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as an embedded device (embedded device) in the basic device to provide to the control point. 제2항에 있어서, 디바이스 모델링은 XML로 작성한 문서에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The heterogeneous network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evice modeling is included in a document written in XML. 제1항에 있어서, 제1 통신규격은 UPnP 기반의 통신규격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The heterogeneous network control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is a UPnP-based communication standard. 제1항에 있어서, 제2 통신규격은 LnCP 또는 HnCP 기반의 통신규격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The heterogeneous network control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is an LnCP or HnCP-based communication standard. 홈 네트워크와 제1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컨트롤포인트(CP)를 탑재하는 제1 통신규격의 디바이스와, 상기 홈 네트워크와 제2 통신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와, 상기 컨트롤포인트(CP)와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호 인식할 수 있는 규격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브리지 디바이스 수단을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device of a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with a home network, and includes a control point (CP) for controlling a device in the home network,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with the home network. And a bridge device means for converting data transmitted between the devi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and the control point (CP) and the devi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into data of a standard that can be mutually recognized. In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 수단이 자신을 제1 통신규격의 베이직 디바이스로 모델링하고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를 베이직 디바이스 내의 임베디드 디바이스(embedded device)로 모델링하는 단계와, The bridge device means modeling itself as a basic device of a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and a device of a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as an embedded device in the basic device;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 수단이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수신하여 해당 상태변수를 갱신하는 단계와, Receiving, by the bridge device means, an operation state of a device of a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and updating a corresponding state variable; 상기 컨트롤포인트(CP)가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를 발견하여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The control point (CP) discovering the bridge device to obtain device information of a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 수단이 컨트롤포인트로부터 전송된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액션을 제2 통신규격에 적합하게 변환하여 상기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Converting, by the bridge device means, the control action for the devi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point according to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and transmitting the device to the devi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 수단이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액션 응답에 의거하여 해당 상태변수를 갱신하고 이를 컨트롤포인트에 응답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제어 방법. And the bridge device means is configured to update a corresponding state variable based on an action response transmitted from a device of a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and respond to the control point. 제6항에 있어서, 제1 통신규격은 UPnP 기반의 통신규격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is a UPnP-based communication standard. 제6항에 있어서, 제2 통신규격은 LnCP 또는 HnCP 기반의 통신규격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is an LnCP or HnCP-based communication standard.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컨트롤포인트와 브리지 디바이스 수단간 및 브리지 디바이스 수단과 제2 통신규격의 디바이스간의 전송 정보는 XML로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제어 방법.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between the control point and the bridge device means and between the bridge device means and the devi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in XML.
KR1020040084541A 2004-10-21 2004-10-2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using different protocol KR200600351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541A KR20060035176A (en) 2004-10-21 2004-10-2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using different protoc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541A KR20060035176A (en) 2004-10-21 2004-10-2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using different protoc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176A true KR20060035176A (en) 2006-04-26

Family

ID=3714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541A KR20060035176A (en) 2004-10-21 2004-10-2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using different protoc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517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032B1 (en) * 2005-09-30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n entity not according to UPnP as UPnP device or content
KR101397478B1 (en) * 2012-11-15 2014-05-20 아이리얼 주식회사 Interworking middleware structure for home network system
KR20160068274A (en) * 2014-12-05 2016-06-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sharing multimedia, and network bridge system operat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09350A2 (en) * 2000-07-26 2002-01-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rver-based multi-standard home network bridging
KR20030062732A (en) * 2002-01-18 2003-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verting protoco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of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KR20040048525A (en) * 2002-12-03 2004-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niversal plug and play power line communication adapter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0065571A (en) * 2001-12-06 2004-07-2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Havi-upnp bridg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09350A2 (en) * 2000-07-26 2002-01-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rver-based multi-standard home network bridging
KR20040065571A (en) * 2001-12-06 2004-07-2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Havi-upnp bridging
KR20030062732A (en) * 2002-01-18 2003-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verting protoco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of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KR20040048525A (en) * 2002-12-03 2004-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niversal plug and play power line communication adapter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032B1 (en) * 2005-09-30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n entity not according to UPnP as UPnP device or content
KR101397478B1 (en) * 2012-11-15 2014-05-20 아이리얼 주식회사 Interworking middleware structure for home network system
KR20160068274A (en) * 2014-12-05 2016-06-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sharing multimedia, and network bridge system opera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5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 information via network
KR100474485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ub-network in home-network
KR100474483B1 (en) Aparatus for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via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100717166B1 (en) Service framework for A Home network
EP2847962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tocol adaptation
KR100637080B1 (en) Service framework for A Home network
KR100729758B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IP based network system
CN101218797A (en) House gateway system for household network service
JP2003337772A (en) Device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service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for
KR20020064847A (en)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with device in home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20080033932A (en) Method for remotely accessing a local area network, and switching nod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20020035645A (en) Server-based multi-standard home network bridging
CN101383789B (en) Household gateway device, system and method implementing access to and controlling household network
JP479900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050078541A (en) Protocol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home network devices
KR20050079480A (en) Upnp based on rg system for home network service
KR20060035176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using different protocol
KR20060035177A (en) Service information updat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using different protocol
KR101714794B1 (en) System for controlling home device using multimedia terminal supported DLNA and thereof method
KR20040054040A (en) System and method for cooperation service between information appliances supporting heterogenous control middleware in homenetwork environment
KR20060001550A (en) Upnp device controlling method using internet
JP4515489B2 (e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R100492543B1 (en)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in home network
CN101785246B (en) Method of receiving/transmitting event message, controlled device, and control point
KR20050046998A (en)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in home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