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2311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2311A
KR20060032311A KR20040081214A KR20040081214A KR20060032311A KR 20060032311 A KR20060032311 A KR 20060032311A KR 20040081214 A KR20040081214 A KR 20040081214A KR 20040081214 A KR20040081214 A KR 20040081214A KR 20060032311 A KR20060032311 A KR 20060032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ed terminal
unique identifier
pco
ims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8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81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2311A/ko
Publication of KR20060032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311A/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망을 외부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게이트 웨이 노드에서, 확장된 프로토콜 옵션을 통해 착신호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과의 호 연결을 요청하기 위해 프로토콜 형상 옵션(PCO)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PCO에 상기 착신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고유한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착신 단말의 ID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착신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를 상기 착신 단말로 향하는 첫 번째 데이터 패킷에 실어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착신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형상 옵션(PCO)을 가지는 데이터 패킷을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을 서비스하는 상기 이동망의 서비스 노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서비스 노드를 통해 상기 IP 패킷을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GGSN에 IMSI와 고정 IP주소에 대한 메핑 테이블을 운용자가 설정 없이, 수신된 IP 패킷에 실려 오는 착신 단말의 IMSI를 이용하여 착신 호를 제공할 수 있고, 다수의 가입자가 고정 IP를 사용할 경우 상기 매핑 테이블이 커지므로 원하는 특정 IMSI에 해당하는 IP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GPRS, GGSN, PCO, IMSI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서비스 방법.{The Service method for terminating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종래의 GPRS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발신호의 PDP활성화 동작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착신호의 절차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PCO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단말의 IMSI값을 포함한 호 발신 절차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 패킷에 IMSI 포함 시 착신 절차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측 GGSN의 호 발신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측 GGSN의 호 착신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접속망(Radio Acess Network)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확장된 PCO(Protocol Configuration Option)에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fier)를 미리 설정하여 단말로 착신 호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 데이터 등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망 구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이루어짐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 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보다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기존의 회선 교환 기반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에서 발전된 일반 패킷무선서비스인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가 개발되었다. 상기 GPRS와 같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있어 사용자의 주요 목적은 무선 PC(Personal Computer)의 파일 전송, 전자 메일의 제출 및 수신 및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p: WWW)을 통한 인터넷 검색과 같은 종래의 인터넷 기초 응용을 이용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GPRS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GPRS 시스템은 특정 서비스를 원하는 이동단말(User Element: UE)들 부분과 무선 엑세스(Radio Access)부분, 그리고 핵심망(Core Network)부분으로 구분된다. 상기 무선 엑세스 부분은 기지국과 무선망 제어기(Radio Acess Network)(105)를 포함하며, 상기 핵심 망부분은 서빙 GPRS 서포트 노드(Service GPRS Support Node: 이하 SGSN이라 한다.)(110)와 게이트웨이 GPRS 서포트 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이하 GGSN이라 한다.)(120)를 포함한다. 이 동단말 사용자는 상기 UMTS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PDN: Packet Data Network)(130)의 데이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SGSN(110)은 관리 영역 안에 있는 이동단말이 보내는 또는 이동단말로 향하는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GPRS의 서빙 노드로서, 이동단말의 패킷 모드에 대한 이동성 관리 컨텍스트(Mobile Management context)를 설정함으로써 이동단말의 패킷 모드 데이터 서비스 관리를 담당한다. 즉, SGSN(110)이 수행하는 기능에는 패킷 라우팅 및 전달, 이동성 관리(attach, detach, location management), 논리적 링크 관리, 그리고 인증 및 과금 등이 포함된다. 즉, GPRS 망에서는 패킷 단말의 이동성 처리 및 등록과 인증 지원을 위해 SGSN과 GGSN 사이에 새로운 터널링 프로토콜인 GTP을 도입하고 있다. 그리고, SGSN(110)는 GGSN(120)과 PDP 컨텍스트를 설정하고 GTP(GPRS Tunneling Protocol) 터널링을 이용하여 SDU(Service Data Unit)를 전달한다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120)은 GPRS 백본(backbone) 네트워크와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Packet Data Network) 사이에 위치하여, PDN과 직접 접속하는 GPRS 게이트웨이 노드이다. GPRS는 SGSN(110)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유지함으로써 터널링 및 IP(Internet Protocol) 라우팅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라우팅 정보는 이동단말의 패킷 모드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SGSN(110)으로 SDU(Service Data Unit)를 터널링 하기 위해 사용된다. SGSN(110)으로부터 전달된 패킷은 GGSN(120)을 통해 적절한 PDP(Packet Data Protocol) 형식으로 바뀌어 상대방 PDN(130)으로 보내진다. 외부 PDN(130)으로부터 전달된 패킷은 그 반대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GGSN(120)은 외부 PDN에서 유효한 주소와 GSM 네트워크에서 유효한 주소 사이에서의 변환을 주로 담당한다. GPRS 시스템은 외부 PDN으로부터 받은 패킷을 이동단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현재 이동단말을 관리하고 있는 SGSN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GGSN(120)이 보유한 데이터베이스(PDP 컨텍스트라 칭함)는 사용자 프로파일과 함께 사용자의 현재 SGSN 정보를 같이 저장한다. 이밖에, GGSN(120)의 주요 기능으로는 ISP 또는 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와의 접속 서비스를 위해 이동단말에 IP 주소 할당 및 관리, PPP(Point-to-Point Protocol) 생성, 종단 및 릴레이, 스크리닝(screening) 기능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SGSN(110)과 GGSN(120) 사이에는 다대다(many-to-many)관계가 성립된다.
외부망에서 단말로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GGSN(120)은 단말에 대한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fier)와 고정 IP주소(static IP address)의 매핑 테이블을 미리 구축해놓고, 수신된 IP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메핑 테이블로부터 해당 IMSI값을 찾는다.
HLR(Home Location Register)(115)는 가입자 IP 정보와 단말의 위치에 따라 해당 지역을 서비스하고 있는 SGSN 정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입자의 IP 정보로는 고정 IP와, 동적 IP등이 해당된다. 상기 HLR(115)은 상기 IMSI에 해당하는 단말을 서비스하는 SGSN(110)의 주소를 구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은 운용자가 착신 호를 위하여 GGSN에 IMSI와 고정 IP 주소에 대한 메핑 테이블을 구축해야 하 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또한, 많은 가입자가 고정 IP를 사용할 경우 상기 메핑 테이블의 크기가 커지므로 원하는 특정 IMSI에 해당하는 IP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 호를 위하여 GGSN의 IMSI와 고정 IP 주소에 대한 메핑 테이블 없이 착신 호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신호를 지원하기 위해서 IMSI정보를 포함하는 확장된 PCO(Protocol Configuration Option)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망을 외부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게이트 웨이 노드에서, 확장된 프로토콜 옵션을 통해 착신호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과의 호 연결을 요청하기 위해 프로토콜 형상 옵션(PCO)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PCO에 상기 착신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고유한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착신 단말의 ID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착신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를 상기 착신 단말로 향하는 첫 번째 데이터 패킷에 실어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동망을 외부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게이트 웨이 노드에서, 확장된 프로토콜 옵션을 통해 착신호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착신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형상 옵션(PCO)을 가지는 데이터 패킷을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을 서비스하는 상기 이동망의 서비스 노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서비스 노드를 통해 상기 IP 패킷을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이동 단말이 패킷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일반적인 절차를 설명하겠다.
도 2는 일반적인 발신호의 PDP활성화 동작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200)은 210단계에서 SGSN(202)으로 외부 서버와의 접속을 위한 PDP 연결 요청 메시지(Acticve PDP Context Request: APCQ)를 보낸다. 이때 상기 APCQ에는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담은 PCO(Protocol Configuration Option)를 포함한다.
240단계에서 상기 SGSN(202)은 상기 APCQ에 응답하여 특정 GGSN(204)를 지정하는APN(Acess Point Name)을 포함하는 생성 PDP 연결 요청(Create PDP Context Request: CPCQ) 메시지를 GGSN(204)으로 전송한다. 상기 SGSN(202)은 상기 PDP 연결 요청에 대해 접속 가능한 다수의 GGSN들 중 상기 APN이 요구하는 특정 GGSN(204)과의 GTP터널을 생성한다. 상기 APN는 상기 SGSN(202)으로부터 상기 GGSN(204)으로 특정 서비스를 위한 패킷을 전송할 경로 즉, GTP터널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상기 GGSN(204)은 250단계에서 상기 CPCQ에 응답하는 생성 PDP 연결 응답메시지(Create PDP Context Response: CPCR)를 상기 SGSN(202)으로 보낸다. 그러면, 상기 SGSN(202)는 260단계에서 상기 CPCR에 응답하여 PDP 연결 수락 메시지(Activate PDP Context Accept: APCA)를 이동단말(200)로 보낸다. 상기 PDP연결 수락 메시지에도 상기 APN 및 PCO이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230단계 내지 260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이동단말(200)과 GGSN(204)간의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PDP활성화를 통해 GTP 터널이 설정된다. 상기 경로가 설정되면, 270단계에서 상기 단말(200)은 외부 망과의 IP 패킷 통신을 요청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일반적인 착신호의 절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10단계에서 IP 패킷을 수신한 GGSN(306)은 320단계에서 상기 IP패킷의 목적지 IP 주소(destination IP address)를 가지고, 자신이 구비하고 있는 IMSI와 고정 IP의 매핑테이블을 통해 상기 목적지 IP주소에 해당하는 IMSI 값을 찾는다. 표 1은 상기 매핑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static IP IMSI
165.233.213.23 450050209955148
.... ....
.... ....

330단계에서 상기 GGSN(306)은 상기 찾은 IMSI 값을 담아 해당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SGSN 주소를 문의하는 GPRS를 위한 라우팅 정보 (Routing Info For GPRS)메시지를 HLR(304)로 전송한다.
340단계에서 상기 HLR(304)은 상기 IMSI를 통해 상기 해당 단말을 서비스하는 SGSN을 찾고, 상기 SGSN의 주소를 포함하는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Routing Info For GPRS Ack)를 상기 GGSN(306)으로 전송한다.
350단계에서 상기 GGSN(306)은 상기 SGSN의 주소로 PDU통고요청(Protocol Data Unit Notification Request)메시지를 전송한다. 360단계에서 상기 SGNS은 상 기 PDU통고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PDU통고응답(PDU Notification Response)메시지를 상기 GGSN(306)으로 전송하고, 370단계에서 PDP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단말(300)로 전송한다. 이후, 308단계에서 상기 단말(300)과 상기 GGSN(306)간에 PDP활성화 요청 절차가 진행된다.
도 3과 같이, GGSN(306)이 IP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IP 패킷의 목적지 주소에 대응되는 IMSI 정보를 가지고 있는 테이블을 통해 해당 단말을 찾아야, 상기 수신된 IP 패킷을 해당 단말로 전송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착신 호 서비스를 위하여, 착신 단말의 IMSI를 전달하기 위한 확장된 PCO 구조를 사용한다. 상기 PCO는 착신 단말의 IMSI값을 제공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추가한다. 상기 PCO를 통해 PDP활성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GGSN은 메핑 테이블 없이 수신 IP 패킷을 전달할 해당 단말을 찾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PCO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PCO(430)는 프로토콜의 타입(432)과, 길이(434), 프로토콜 형상정보(436)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PCO(430)의 octet 4에서 octet v에는 프로토콜 별 형상 옵션의 내용으로써 형상 프로토콜 옵션 목록(432)을 포함하고, octet w+1부터 octet z에는 추가적인 파라미터 리스트(440)를 포함한다.
상기 추가적인 파라미터 리스트(440)는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서 전달될 필요가 있는 값들이 포함된다. 현재는 P-CSCF(Proxy Call State Control Function)주소, IM(IP-based Multimedia) CN(Core Network) Subsystem Signaling Flag, (Domain Name System: DNS) 서버 주소, Policy Control rejection code가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추가적인 파라미터 목록(440)에는 특정 APN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컨테이너(container) ID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IP주소인 홈 서버 주소를 포함하는 필드가 다음과 같이 추가된다.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및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접속되는 운반자를 나타내는 콘테이너 ID로는 하기 <표 2>와 같은 0001H~0004H값들이 정의되어 있다. 착신 단말의 IMSI 값을 제공하기 위한 호스트 IMSI값을 의미하는 "terminating Mobile ID"를 0005H에 할당하고, 해당 콘텐츠에 착신 단말의 IMSI값을 넣는다.
하기, 표 2는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로 방향으로 전송되는 PCO의 컨테이너 ID값과 그에 따른 contents 의미를 보여준다.
PCO(MS to network direction)
container ID contents 의미
0001H P-CSCF Adress Request
0002H IM CN Subsystem Signaling Flag
0003H DNS SERVER ADDRESS request
0004H Not Supported
0005H Terminating Mobile ID

즉, A 단말에서 B 단말로 호 설정을 수행 할 경우, 상기 GGSN이 발신 단말(A)로부터 CPCQ를 전송받으면, 상기 COCQ 내의 PCO에 착신단말(B)의 IMSI 값을 제공하기 위한 호스트 IMSI값(tenminating monile ID)의 전달을 나타내는 값(0005H)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GGSN은 상기 PCO에 0005H가 설정된 경우, 상기 GGSN은 상기 PCO의 컨텐츠에 포함된 IMSI값을 저장해 두었다가, PDP 활성화 절차를 수행한 후, 발신 단말(A)에서 외부망으로 나가는 최초의 IP 패킷에 상기 GGSN에서 저장하고 있는 착신단말(B)의 IMSI값을 실어 준다.
한편, 착신 시 상기 GGSN에서 수신된 IP 패킷에 포함된 PCO정보를 이용하여 IMSI값이 들어 있으면, 상기 IMSI를 이용하여 해당단말을 서비스하는 SGSN 주소를 찾아서 해당 SGSN에 상기 IP 패킷을 전달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단말의 IMSI값을 포함한 호 발신 절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단말(500)은 510단계에서 SGSN(502)으로 외부 서버와의 접속을 위한 PDP 연결 요청 메시지(Acticve PDP Context Request: APCQ)에 착신단말의 IMSI를 포함하는 PCO를 실어 보낸다.
520단계에서 상기 SGSN(502)은 상기 APCQ에 응답하여 상기 PCO와, APN을 포함하는 생성 PDP 연결 요청 메시지를 GGSN(504)으로 전송한다. 상기 SGSN(502)은 상기 PDP 연결 요청에 대해 다수의 GGSN들 중 상기 APN이 요구하는 특정 GGSN(504)과의 GTP터널을 생성한다. 상기 APN는 상기 SGSN(502)으로부터 상기 GGSN(504)으로 특정 서비스를 위한 패킷을 전송할 경로 즉, GTP터널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525단계에서 상기 GGSN(504)은 상기 CPCQ 메시지의 PCO에 상기 IMSI 값을 삽입한다.
상기 GGSN(504)은 530단계에서 상기 APN을 지정하여 생성 PDP 연결 응답메시지(CPCR)에 실어 상기 SGSN(502)으로 보낸다. 그러면, 상기 SGSN(502)는 540단계에 서 상기 CPCR에 응답하여 PDP 연결 수락 메시지(APCA)를 이동단말(500)로 보낸다. 상기 PDP 연결 수락 메시지 또한 상기 APN 및 PCO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510단계 내지 550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이동단말(500)과 GGSN(504)간의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PDP활성화를 통해 GTP 터널 경로가 설정되면, 560단계에서 상기 GGSN(504)는 상기 단말(500)에서 외부망으로 나가는 최초의 IP 패킷에 상기 저장한 IMSI 값을 실어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 패킷에 IMSI 포함 시 착신 절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10단계에서 IMSI값이 포함되어 있는 IP 패킷을 수신한 GGSN(606)은 620단계에서 상기 IP 패킷의 IMSI 값을 저장한다.
630단계에서 상기 GGSN(606)은 상기 IMSI 값을 담은 GPRS를 위한 라우팅 정보(Routing Info For GPRS)메시지를 HLR(304)로 전송하여, 상기 IMSI에 따라 해당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SGSN 주소를 문의한다.
640단계에서 상기 HLR(604)은 상기 IMSI를 통해 상기 단말을 서비스하는 SGSN(602)을 찾고, 상기 SGSN의 주소를 포함하는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Routing Info For GPRS Ack)를 상기 GGSN(606)으로 전송한다.
650단계에서 상기 GGSN(606)은 상기 SGSN(602)의 주소로 PDU통고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660단계에서 상기 SGSN(602)은 상기 PDU통고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PDU 통고응답메시지를 상기 GGSN(606)으로 전송하고, 670단계에서 PDP활성화 요청메시지를 단말(600)로 전송한다. 이후, 608단계에서 상기 단말(600)과 상기 GGSN(606)간에 PDP활성화 요청 절차가 진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GGSN이 호 발신 시 PCO에 'IMSI 값'이 포함된 PDP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IMSI값을 저장하고, 착신 단말로 전송하고자 하는 첫 번째 IP 패킷에 상기 IMSI값을 실어 전송한다. 그러면, GGSN은 IMSI와 단말의 고정 IP주소를 매핑한 테이블을 미리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상기 IMSI가 포함된 IP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IMSI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로 상기 IP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측 GGSN의 호 발신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0단계에서 GGSN은 단말의 PDP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PDP 활성화 요청 메시지에는 PCO 및 APN이 포함된다.
710단계에서 상기 GGSN은 상기 PCO에 추가적인 파라미터 리스트 상의 컨테이너 ID들 중 'Terminaing mobile ID'를 의미하는 값이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된 IMSI를 저장한다.
720단계에서 상기 GGSN은 상기 IMSI 값을 착신 단말로 향하는 첫 번째 IP 패킷에 상기 IMSI를 실어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측 GGSN의 호 착신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0단계에서 GGSN은 착신 단말의 IMSI가 포함된 IP 패킷을 수신한다.
810단계에서 GGSN은 상기 수신된 IMSI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을 서비스하는 SGSN을 문의한다. 820단계에서 GGSN은 상기 문의결과 검색된 SGSN을 통해 상기 IP 패킷을 해당 단말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GGSN에 IMSI와 고정 IP주소에 대한 메핑 테이블을 운용자가 설정 없이, 수신된 IP 패킷에 실려 오는 착신 단말의 IMSI를 이용하여 착신 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가입자가 고정 IP를 사용할 경우 상기 매핑 테이블이 커지므로 원하는 특정 IMSI에 해당하는 IP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영자가 신규 가입자의 고정 IP를 이용하게 되면 직접 IMSI와 IP를 관리하는 매핑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을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이동망을 외부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게이트 웨이 노드에서, 확장된 프로토콜 옵션을 통해 착신호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과의 호 연결을 요청하기 위해 프로토콜 형상 옵션(PCO)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PCO에 상기 착신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고유한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착신 단말의 ID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착신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를 상기 착신 단말로 향하는 첫 번째 데이터 패킷에 실어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O는,
    상기 착신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를 포함함을 의미하는 미리정해진 값의 콘테이너 식별자와, 상기 착신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를 저장하는 컨텐츠 필드로 이루어진 파라미터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한 식별자는,
    상기 착신 단말의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f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이동망을 외부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게이트 웨이 노드에서, 확장된 프로토콜 옵션을 통해 착신호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착신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형상 옵션(PCO)을 가지는 데이터 패킷을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을 서비스하는 상기 이동망의 서비스 노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서비스 노드를 통해 상기 IP 패킷을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PCO는,
    착신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를 포함함을 의미하는 미리정해진 값의 콘테이너 식별자와, 상기 착신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를 저장하는 컨텐츠 필드로 이루어진 파라미터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한 식별자는,
    상기 착신 단말의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f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20040081214A 2004-10-12 2004-10-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서비스 방법. KR20060032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81214A KR20060032311A (ko) 2004-10-12 2004-10-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81214A KR20060032311A (ko) 2004-10-12 2004-10-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311A true KR20060032311A (ko) 2006-04-17

Family

ID=3714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81214A KR20060032311A (ko) 2004-10-12 2004-10-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23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0106B2 (ja) Gprs加入者による多数のインタネットサービスプロバイダの選択
FI105743B (fi) Menetelmä multimediaviestien välittämiseksi ja multimediaviestien välitysjärjestelmä
US6636491B1 (en) Access control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EP1156626B1 (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 equipment and packet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I110975B (fi) Huijaamisen estäminen tietoliikennejärjestelmissä
JP3811064B2 (ja) 認証方法及びシステム
US7751379B2 (en) IP mobility mechanism for a packet radio network
CA2383897C (en) Facilitating data transmission
US20020061756A1 (en) Paging co-ordination in telecommunication networks
EP178617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acket mobile-terminated calls using dynamic IP
US9584466B2 (en) Method of establishing an IP connection in a mobile network and various corresponding equipment items
KR101117941B1 (ko)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 네트워크 내에서의 데이터 세션 재시도 메카니즘의 커스텀화
US20030214929A1 (en) Technique for IP communication among wireless devices
US20080153484A1 (en) Quality of service improvement in mobile networks
EP3753230B1 (en) Redirection handling
JP2002543677A (ja) 異種ネットワーク間の相互動作用仮想番号計画
KR2006003231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서비스 방법.
JP2008079087A (ja) 通信サーバ、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1479064B1 (ko) 무선 패킷 서비스망에서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과부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442435B1 (ko) Gprs 망에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방법
KR20050093271A (ko) 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apn 별로 패킷 서비스초기 접속 주소를 단말에 지정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422909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無線制御装置及びローカル交換機
WO200103009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hin client data communications using r-data messages on cellular digital circuit switched bear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