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8240A -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8240A
KR20060028240A KR1020040077314A KR20040077314A KR20060028240A KR 20060028240 A KR20060028240 A KR 20060028240A KR 1020040077314 A KR1020040077314 A KR 1020040077314A KR 20040077314 A KR20040077314 A KR 20040077314A KR 20060028240 A KR20060028240 A KR 20060028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editing
source file
sec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민
정영우
장완호
Original Assignee
(주)잉카엔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잉카엔트웍스 filed Critical (주)잉카엔트웍스
Priority to KR1020040077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8240A/ko
Publication of KR20060028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원 파일과 가사 정보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가사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된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은 소정의 음원 파일과 가사 정보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단계(상기 편집 구간은 상기 가사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됨) 및 상기 지정된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원 파일에 동기화된 가사 정보를 통해 간편하게 음원을 편집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음원 편집, 가사 정보, 동기화, 편집 구간, DRM

Description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EDITING A SOUND SOURCE AND APPARATUS OF ENABL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파일에 동기화된 가사 정보를 통해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지정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파형 정보를 통해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지정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된 음원 파일에 대한 음원 편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된 음원 파일을 복호화하여 음원을 편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된 음원 파일에 편집 구간 정보를 삽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0 : 음원 편집 장치
801 : 동기화 수행부
802 : 편집 구간 지정부
803 : 음원 파일 편집부
804 : 전송부
본 발명은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원 파일과 가사 정보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가사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된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MP3 파일 등과 같은 음원 파일을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PD: Portable Device)로 다운로드하여 음악을 청취하는 방식의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음원 파일 중 자신이 듣고 싶은 특정 부분만을 편집하여 청취하고자 하거나 또는 이렇게 편집된 음원 파일을 자신의 휴대폰 등의 개인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여 벨소리나 통화 연결음, 통화시 배경음악 등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에서는 편집 구간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음원 파일을 반드시 재생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음원 파일이 재생되고 있는 도중에 편집 시작 위치와 편집 종료 위치를 지정해야 했기 때문에 편집 구간을 정확히 지정하기가 어려웠다. 그 결과, 자신이 원하지 않는 부분이 편집 구간에 속하게 되거나, 여러 차례의 시도 후에나 편집 구간을 지정할 수 있게 되어 불필요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으로 피날레, 앙코르 등과 같은 작곡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도 존재하였으나, 이러한 작곡 프로그램들은 그 사용법이 까다로워 사용자가 음원 편집을 간단히 수행할 수 없을 뿐더러, 주파수별 또는 악기별로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방식을 따르고 있었기 때문에, 음원 파일의 특정 구간을 지정하고 그 구간만을 편집하여 청취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와는 괴리가 있었다.
이에,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편집 구간을 쉽고 정확하게 지정하여 음원을 간편하게 편집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이 요청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음원 파일에 동기화된 가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편집 구간을 쉽고 정확하게 지정하여 음원을 간편하게 편집할 수 있는 새로운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는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파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편집 구간을 쉽고 정확하게 지정하여 음원을 간편하게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는 사용자가 음원 파일을 재생할 필요없이 빠르고 간편하게 음원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는 사용자가 가사 정보 또는 파형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 시작 위치와 편집 종료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편집 구간이 지정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는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된 음원 파일의 보안을 철저히 유지하면서도 간편하게 음원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는 둘 이상의 음원 파일에 대하여도 각각의 음원을 정확하게 편집하여 간편하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 음원의 특정 부분을 하나의 음원으로 편집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은 소정의 음원 파일과 가사 정보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단계(상기 편집 구간은 상기 가사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됨) 및 상기 지정된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단계(상기 편집 구간은 상기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파형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됨) 및 상기 지정된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음원 파일이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된 음원 파일인 경우,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음원 파일을 복호화하여 상기 지정된 편집 구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편집 구간을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음원 파일이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된 음원 파일인 경우,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지정된 편집 구간에 대응하는 편집 구간 정보를 상기 음원 파일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장치는 소정의 음원 파일과 가사 정보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수행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편집 구간 지정부(상기 편집 구간은 상기 가사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됨) 및 상기 지정된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음원 파일 편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개인 휴대 단말기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또한, 데이터 동기화(synchronization)라 함은 개인용 정보 처리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양방향 통신을 통한 데이터 일관성(consistency) 유지는 물론,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소정의 데이터 또는 파일을 상기 개인용 정보 처리기로 전송하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2)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에 접속하고, 자신이 원하는 음원 파일 또는 가사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2)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은 음원 파일 및 가사 정보의 다운로드가 가능한 인터넷 웹 사이트 또는 그 웹 사이트를 운영하는 운영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2)상에서 동작하는 소정의 음원 편집 장치(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음원 편집 장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음원 파일과 가사 정보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지정하여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사 정보를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으로부터 다운로드 받거나, 이와 달리 가사 정보를 직접 생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편집 구간은 상기 가사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2)에 개인 휴대 단말기(103)를 연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편집된 음원 파일을 개인 휴대 단말기(103)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개인 휴대 단말기(103)가 휴대폰인 경우, 상기 편집된 음원 파일은 휴대폰의 벨소리 등으로 활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벨소리 제공 업체가 제공하는 정형화된 벨소리가 아닌 자신이 원하는 구간이 정확히 편집된 벨소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달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상에서 동작하는 소정의 음원 편집 장치(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음원 편집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음원 파일과 가사 정보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지정하여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이렇게 편집된 음원 파일을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2)로 전송하거나 이와 달리 직접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103)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2) 또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상에서 동작하는 소정의 음원 편집 장치(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201)에서 상기 음원 편집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원 파일과 가사 정보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음원 편집 장치는 1) 워터마킹(watermarking)을 이용하여 상기 가사 정보에 시간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음원 파일 및 가사 정보 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거나, 2) 상기 음원 파일에 포함된 태그 정보에 시간 정보 및 상기 가사 정보와 연관된 문자열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음원 파일 및 가사 정보 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거나, 3) 상기 가사 정보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상기 음원 파일 및 가사 정보 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S202)에서 상기 음원 편집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가사 정보의 제1 부분을 편집 시작 위치로 지정받고, 단계(S203)에서 상기 가사 정보의 제2 부분을 편집 종료 위치로 지정받으며,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은 상기 편집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편집 종료 위치에 이르는 구간으로 지정된다. 상기 음원 편집 장치의 편집 방법은 스톱워치 혹은 디지털 신호와 같은 형태로 제공되는 시간 정보를 토대로 하거나 혹은 음원 파일의 파형에 따라 시각적으로 나타나는 형태, 혹은 시간 정보와 파형을 조합한 형식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음원 파일의 특정 구간을 태그 정보나 포인터를 사용하여 지정하고 이 를 음원 파일의 일부에 지정해 주거나 또는 별도의 메타 데이터를 통해 인덱싱(indexing)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편집중인 혹은 편집된 음원은 상기 가사 정보와의 동기화 과정에서 시간차가 발생할 수가 있으며, 또한 편집 과정에서 사용자의 실수로 시간차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세 조정을 위한 미세 조정기(fine tuner) 기능을 통한 시간 조정 혹은 동기화 시간차의 조정을 보다 상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파일에 동기화된 가사 정보를 통해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지정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음원 편집 장치는 음원 파일의 재생 시간(301)에 따른 가사 정보(302)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는 이렇게 제공된 가사 정보(302)의 특정 부분을 편집 시작 위치(303) 또는 편집 종료 위치(304)로 지정할 수 있다.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은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은 편집 시작 위치(303)로부터 편집 종료 위치(304)에 이르는 구간이며, 도 3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편집 시작 위치(303)로 지정된 "항상 너의 곁에서 널 지켜줄거야"라는 부분부터 편집 종료 위치(304)로 지정된 "이 순간을 잊지 않을께"라는 부분에 이르는 구간이 편집 구간으로 지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음원 파일에 동기화된 가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편집 구간을 쉽게 지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가사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 시작 위치와 편집 종료 위치를 지정할 수 있어 정확한 편집 구간이 지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계(S204)에서 상기 음원 편집 장치는 상기와 같이 지정된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음원 파일을 편집한다. 상기 음원 편집 장치가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상에서 동작하는 경우, 단계(S205)에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개인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편집된 음원 파일을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개인 휴대 단말기가 휴대폰인 경우, 상기 편집된 음원 파일은 휴대폰의 벨소리 등으로 활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벨소리 제공 업체가 제공하는 정형화된 벨소리가 아닌 자신이 원하는 구간이 정확히 편집된 벨소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음원 편집 장치가 컨텐츠 제공 시스템상에서 동작하는 경우, 단계(S205)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편집된 음원 파일을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이와 달리 직접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는 둘 이상의 음원 파일에 대하여도 각각의 음원을 정확하게 편집하여 간편하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 음원의 특정 부분을 하나의 음원으로 편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장치는 단계(S201)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1 음원 파일과 제1 가사 정보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또는 순서를 달리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2 음원 파일과 제2 가사 정보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장치는 단계(S202) 및 단계(S203)에서 상 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음원 파일에 대한 제1 편집 구간을 지정받고, 다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음원 파일에 대한 제2 편집 구간을 지정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편집 구간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가사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장치는 단계(S204)에서 상기 제1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음원 파일을 편집하고, 상기 제2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음원 파일을 편집한 후, 상기 편집된 제1 및 제2 음원 파일을 통합하여 여러 음원의 특정 부분을 하나의 음원으로 편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둘 이상의 음원 파일에 대하여도 각각의 음원을 정확하게 편집하여 간편하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 음원의 특정 부분을 하나의 음원으로 편집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음원 파일에 동기화된 가사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 구간을 지정하는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집 구간은 상기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파형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될 수도 있는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파형 정보를 이용하는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장치는 단계(S202)에서 사용자로부터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파형 정보의 제1 부분을 편집 시작 위치로 지정받고, 단계(S203)에서 상기 파형 정보의 제2 부분을 편집 종료 위치로 지정받으며,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은 상기 편집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편집 종료 위치에 이르는 구간으로 지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파형 정보를 통해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지정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장치는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파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는 이렇게 제공된 파형 정보의 특정 부분을 편집 시작 위치(401) 또는 편집 종료 위치(402)로 지정할 수 있다.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은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은 편집 시작 위치(401)로부터 편집 종료 위치(402)에 이르는 구간이며, 일례로 사람의 음성에 따른 파형 정보는 그 높낮이가 크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사용자는 사람의 음성 부분을 파형 정보를 통해 인식하여 편집 구간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파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편집 구간을 쉽게 지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파형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 시작 위치와 편집 종료 위치를 지정할 수 있어 정확한 편집 구간이 지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는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파형 정보를 이용하여 둘 이상의 음원 파일에 대하여도 각각의 음원을 정확하게 편집하여 간편하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음원의 특정 부분을 하나의 음원으로 편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장치는 단계(S202) 및 단계(S203)에서 사용자로부터 제1 음원 파일에 대한 제1 편집 구간을 지정받고, 다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 2 음원 파일에 대한 제2 편집 구간을 지정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편집 구간은 각각 상기 제1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제1 파형 정보 및 상기 제2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제2 파형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장치는 단계(S204)에서 상기 제1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음원 파일을 편집하고, 상기 제2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음원 파일을 편집한 후, 상기 편집된 제1 및 제2 음원 파일을 통합하여 여러 음원의 특정 부분을 하나의 음원으로 편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파형 정보를 이용하여 둘 이상의 음원 파일에 대하여도 각각의 음원을 정확하게 편집하여 간편하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음원의 특정 부분을 하나의 음원으로 편집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음원에 편집 구간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이를 통합하여 편집하는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장치는 단계(S202) 및 단계(S203)에서 사용자로부터 음원 파일에 대한 복수개의 편집 구간을 지정받고, 단계(S204)에서 상기 지정된 복수개의 편집 구간을 통합하여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와 같이 편집된 음원 파일을 휴대폰의 벨소리 등으로 활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음원에 포함된 하나의 연속 구간만이 아니라 분리된 복수의 구간이 통합된 벨소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편집된 음 원 파일에 음성, 효과음, 또는 음성 메일(TTS(Text To Speech) 기능을 포함) 등을 삽입하여 상기 음원 파일을 재편집하는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지정한 편집 구간에 맞도록 편집된 음원에 소정의 메시지 등을 삽입하여 재편집된 음원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개인 휴대 단말기의 각종 배경음 또는 휴대폰의 벨소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된 음원 파일의 보안을 철저히 유지하면서도 간편하게 음원을 편집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근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음원 파일의 무단 사용을 막아 저작권 관련 당사자들의 이익과 권리를 보호해 주는 기술과 서비스를 의미하는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된 음원 파일을 제공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라 함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비롯한 디지털 컨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저작권 관련 당사자들의 이익과 권리를 보호해 주는 기술과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불법복제를 막고 사용료 부과와 결제대행 등 컨텐츠의 생성에서 유통·관리까지를 일괄적으로 지원하는 기술이다. 여기에는 적법한 사용자만 컨텐츠를 사용하고 적절한 요금을 지불하도록 만드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기술, 저작권 승인과 집행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보안기술, 지불ㅇ결제기술이 모두 포함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된 음원 파일에 대한 음원 편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장치는 단계(S204)에서 음원 파일을 편집함에 있어, 단계(S501) 내지 단계(S503)을 수행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단계(S504)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단계(S501) 내지 단계(S503)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음원 편집 장치는 단계(S501)에서 편집 구간이 지정된 음원 파일을 소정의 복호화 모듈을 통해 복호화하여 단계(S502)에서 상기 지정된 편집 구간을 추출해내고, 단계(S503)에서 상기 추출된 편집 구간을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계(S205)에서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개인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여 상기와 같이 복호화되어 편집된 후 재차 암호화된 음원 파일을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에서 설명한 암호화된 음원 파일을 복호화하여 음원을 편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음원 파일의 복호화, 편집 구간 추출, 편집 구간 암호화의 과정을 통해 편집된 음원 파일을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개인 휴대 단말기가 휴대폰인 경우, 상기 음원 파일은 휴대폰의 벨소리 등으로 활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벨소리 제공 업체가 제공하는 정형화된 벨소리가 아닌 자신이 원하는 구간이 정확히 편집된 벨소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저작권 관리 (DRM)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된 음원 파일의 보안을 철저히 유지하면서도 간편하게 음원을 편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원 편집 장치는 단계(S501) 내지 단계(S503)을 대신하여 단계(S504)를 수행할 수도 있는데, 상기 음원 편집 장치는 단계(S504)에서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편집 구간에 대응하는 편집 구간 정보를 음원 파일에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암호화된 음원 파일을 재가공하지 않으면서도 편집 구간 정보만을 상기 암호화된 음원 파일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음원 파일이 편집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에서 설명한 암호화된 음원 파일에 편집 구간 정보를 삽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편집 구간에 대응하는 편집 구간 정보를 음원 파일에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편집된 음원 파일을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편집 구간 정보는 벨소리 구간 정보일 수 있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많은 종류의 휴대폰들은 MP3 파일 등과 같은 음원 파일의 재생 기능을 갖추고 있고, 대부분의 휴대폰 사용자는 자신이 자주 청취하는 음원을 휴대폰의 벨소리로 지정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벨소리 구간 정보가 삽입된 음원 파일을 휴대폰으로 전송하면, 휴대폰에 원 음원 파일과 별도로 벨소리 파일(편집된 음원 파일)을 저장할 필요가 없게 되어 휴대폰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암호화된 음원 파일을 복호화하여 편집 구간을 추출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음으로 인해 음원 보안에 있어 더욱 철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장치(800)는 동기화 수행부(801), 편집 구간 지정부(802), 음원 파일 편집부(803) 및 전송부(8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동기화 수행부(80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원 파일과 가사 정보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한다. 이 경우, 동기화 수행부(801)는 1) 워터마킹(watermarking)을 이용하여 상기 가사 정보에 시간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음원 파일 및 가사 정보 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거나, 2) 상기 음원 파일에 포함된 태그 정보에 시간 정보 및 상기 가사 정보와 연관된 문자열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음원 파일 및 가사 정보 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거나, 3) 상기 가사 정보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상기 음원 파일 및 가사 정보 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편집 구간 지정부(802)는 사용자로부터 가사 정보의 제1 부분을 편집 시작 위치로 지정받고, 상기 가사 정보의 제2 부분을 편집 종료 위치로 지정받으며,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상기 편집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편집 종료 위치에 이르는 구간으로 지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파일에 동기화된 가사 정보를 통해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지정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에 대하여는 본 명세서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음원 파일 편집부(803)는 상기와 같이 지정된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음원 파일을 편집한다. 음원 편집 장치(800)가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상에서 동작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개인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연결되면 전송부(804)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편집된 음원 파일을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개인 휴대 단말기가 휴대폰인 경우, 상기 편집된 음원 파일은 휴 대폰의 벨소리 등으로 활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벨소리 제공 업체가 제공하는 정형화된 벨소리가 아닌 자신이 원하는 구간이 정확히 편집된 벨소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음원 편집 장치(800)가 컨텐츠 제공 시스템상에서 동작하는 경우, 전송부(804)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편집된 음원 파일을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이와 달리 직접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음원 파일에 동기화된 가사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 구간을 지정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집 구간은 상기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파형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될 수도 있는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파형 정보를 이용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편집 구간 지정부(802)는 사용자로부터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파형 정보의 제1 부분을 편집 시작 위치로 지정받고, 상기 파형 정보의 제2 부분을 편집 종료 위치로 지정받으며,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상기 편집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편집 종료 위치에 이르는 구간으로 지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파형 정보를 통해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지정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에 대하여는 본 명세서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된 음원 파일의 보안을 철저히 유지하면서도 간편하게 음원을 편집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파일 편집부(803)는 음원 파일을 편집함에 있어, 단계(S501) 내지 단계(S503)을 수행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단계(S504)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단계(S501) 내지 단계(S503)에 대하여 설명하면, 음원 파일 편집부(803)는 단계(S501)에서 편집 구간이 지정된 음원 파일을 소정의 복호화 모듈을 통해 복호화하여 단계(S502)에서 상기 지정된 편집 구간을 추출해내고, 단계(S503)에서 상기 추출된 편집 구간을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에서 설명한 암호화된 음원 파일을 복호화하여 음원을 편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에 대하여는 본 명세서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음원 파일 편집부(803)는 단계(S501) 내지 단계(S503)을 대신하여 단계(S504)를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음원 파일 편집부(803)는 단계(S504)에서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편집 구간에 대응하는 편집 구간 정보를 음원 파일에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암호화된 음원 파일을 재가공하지 않으면서도 편집 구간 정보만을 상기 암호화된 음원 파일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음원 파일이 편집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에서 설명한 암호화된 음원 파일에 편집 구간 정보를 삽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에 대하여는 본 명세서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9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920)과 롬(ROM: Read Only Memory)(9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9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9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920) 및 롬(9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9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9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9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9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9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9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9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 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음원 파일에 동기화된 가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편집 구간을 쉽고 정확하게 지정하여 음원을 간편하게 편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파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편집 구간을 쉽고 정확하게 지정하여 음원을 간편하게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음원 파일을 재생할 필요없이 빠르고 간편하게 음원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가사 정보 또는 파형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 시작 위치와 편집 종료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편집 구간이 지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된 음원 파일의 보안을 철저히 유지하면서도 간편하게 음원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둘 이상의 음원 파일에 대하여도 각각의 음원을 정확하게 편집하여 간편하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 음원의 특정 부분을 하나의 음원으로 편집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8)

  1.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음원 파일과 가사 정보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단계 - 상기 편집 구간은 상기 가사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됨 -; 및
    상기 지정된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사 정보의 제1 부분을 편집 시작 위치로 지정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사 정보의 제2 부분을 편집 종료 위치로 지정받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 구간은 상기 편집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편집 종료 위치에 이르는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상기 단계는
    제1 음원 파일과 제1 가사 정보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제2 음원 파일과 제2 가사 정보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음원 파일에 대한 제1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단계 - 상기 제1 편집 구간은 상기 제1 가사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됨 -;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음원 파일에 대한 제2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단계 - 상기 제2 편집 구간은 상기 제2 가사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됨 -
    를 포함하며,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단계;
    상기 제2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된 제1 및 제2 음원 파일을 통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4.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단계 ?? 상기 편집 구간은 상기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파형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됨 -; 및
    상기 지정된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파형 정보의 제1 부분을 편집 시작 위치로 지정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파형 정보의 제2 부분을 편집 종료 위치로 지정받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 구간은 상기 편집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편집 종료 위치에 이르는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음원 파일에 대한 제1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단계 - 상기 제1 편집 구간은 상기 제1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제1 파형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됨 -;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음원 파일에 대한 제2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단계 ?? 상기 제2 편집 구간은 상기 제2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제2 파형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단계;
    상기 제2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된 제1 및 제2 음원 파일을 통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상기 단계는
    스톱워치 또는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제공되는 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상기 단계는
    상기 편집 구간을 태그 정보나 포인터를 사용하여 상기 음원 파일의 일부에 지정해 주거나 또는 별도의 메타 데이터를 통해 인덱싱(index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중인 음원 파일 또는 상기 편집된 음원 파일에 대하여 미세 조정기 (fine tuner)를 통한 시간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복수개의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단계이고,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지정된 복수개의 편집 구간을 통합하여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11.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음성, 효과음, 또는 음성 메일을 상기 편집된 음원 파일에 삽입하여 상기 음원 파일을 재편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12.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파일이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된 음원 파일인 경우,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음원 파일을 복호화하여 상기 지정된 편집 구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편집 구간을 암호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13.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파일이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된 음원 파일인 경우,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지정된 편집 구간에 대응하는 편집 구간 정보를 상기 음원 파일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5. 음원을 편집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음원 파일과 가사 정보간 재생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수행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편집 구간 지정부 - 상기 편집 구간은 상기 가사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됨 -; 및
    상기 지정된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음원 파일 편 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장치.
  16. 음원을 편집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음원 파일에 대한 편집 구간을 지정받는 편집 구간 지정부 - 상기 편집 구간은 상기 음원 파일의 재생에 따른 파형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됨 -; 및
    상기 지정된 편집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음원 파일 편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파일이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된 음원 파일인 경우,
    상기 음원 파일 편집부는 상기 음원 파일을 복호화하여 상기 지정된 편집 구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편집 구간을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장치.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파일이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된 음원 파일인 경우,
    상기 음원 파일 편집부는 상기 지정된 편집 구간에 대응하는 편집 구간 정보를 상기 음원 파일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장치.
KR1020040077314A 2004-09-24 2004-09-24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28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314A KR20060028240A (ko) 2004-09-24 2004-09-24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314A KR20060028240A (ko) 2004-09-24 2004-09-24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240A true KR20060028240A (ko) 2006-03-29

Family

ID=3713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314A KR20060028240A (ko) 2004-09-24 2004-09-24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8240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928B1 (ko) * 2005-05-20 2007-02-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Drm을 이용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
KR100704701B1 (ko) * 2005-05-20 2007-04-0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Drm을 이용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 편집 방법및 장치
WO2008086288A1 (en) * 2007-01-07 2008-07-17 Apple Inc. Creating and purchasing ringtones
KR20080103621A (ko) * 2007-03-13 2008-11-2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이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방법
KR101282946B1 (ko) * 2006-07-19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프리뷰를 제공하는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314271B1 (ko) * 2006-07-25 2013-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69458B1 (ko) * 2012-02-07 2014-03-06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장치 및 방법
CN104079948A (zh) * 2014-06-30 2014-10-01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生成铃声文件的方法及装置
KR101482739B1 (ko) * 2012-07-17 2015-01-15 문봉진 음원 편곡 서비스 방법 및 음원 편곡 서비스 시스템
WO2017082507A1 (ko) * 2015-11-12 2017-05-18 이준호 음원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13937A (ko) * 2018-07-31 2020-02-10 네이버 주식회사 음원 필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928B1 (ko) * 2005-05-20 2007-02-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Drm을 이용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
KR100704701B1 (ko) * 2005-05-20 2007-04-0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Drm을 이용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 편집 방법및 장치
KR101282946B1 (ko) * 2006-07-19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프리뷰를 제공하는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314271B1 (ko) * 2006-07-25 2013-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08086288A1 (en) * 2007-01-07 2008-07-17 Apple Inc. Creating and purchasing ringtones
KR20080103621A (ko) * 2007-03-13 2008-11-2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이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방법
KR101369458B1 (ko) * 2012-02-07 2014-03-06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82739B1 (ko) * 2012-07-17 2015-01-15 문봉진 음원 편곡 서비스 방법 및 음원 편곡 서비스 시스템
CN104079948A (zh) * 2014-06-30 2014-10-01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生成铃声文件的方法及装置
CN104079948B (zh) * 2014-06-30 2017-09-29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生成铃声文件的方法及装置
WO2017082507A1 (ko) * 2015-11-12 2017-05-18 이준호 음원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13937A (ko) * 2018-07-31 2020-02-10 네이버 주식회사 음원 필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5334B1 (en) Mixed content for a communications device
US810868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EP1973303A1 (en) Music file editing system
KR100785070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콘텐츠 재생 방법 및장치
US20080167954A1 (en) Contents Reproducing Device, Contents Processing Device, Contents Distribution Server, Contents Reproducing Method, Contents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050092688A (ko) 통합 멀티미디어 파일 포맷 구조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RU2421806C2 (ru) Способ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клиентскому устройству лицензи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й зашифрованному содержимому, и система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цифровыми правами, использующая этот способ
JP2004350320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ト用の安全配布システム
JP200212326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7480314B2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data via communication network
KR20060028240A (ko)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
KR100834978B1 (ko) 자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Egidi et al. Bringing multimedia contents into MP3 files
CN106657255A (zh) 文件共享的方法、装置和终端设备
KR100741482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개인용정보 처리기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030637A (ko) 음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6060604A (zh) 基于bhd文件实现数字权限管理播放的方法及系统
WO2007119893A1 (en) Method of providing caption information and system thereof
JP2007333851A (ja) 音声合成方法、音声合成装置、音声合成プログラム、音声合成配信システム
WO2001045083A1 (fr) Procede et machine de traitement des donnees, et support de stockage de programmes
KR100740490B1 (ko)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멀티미디어 파일 재생기
KR100778016B1 (ko) 멀티미디어 파일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채용한 멀티미디어 파일 제공 서버
JP2002073051A (ja) データ再生端末装置
KR101058732B1 (ko) 디지털 워터마킹을 이용한 디알엠(drm) 컨텐츠의 제공방법,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749731B1 (ko) 무선 단말기에 암호화된 멀티미디어 파일과 미리 재생하기키를 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