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9362A - Method for training photograph technique for digital camera - Google Patents

Method for training photograph technique for digital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362A
KR20060019362A KR1020040068004A KR20040068004A KR20060019362A KR 20060019362 A KR20060019362 A KR 20060019362A KR 1020040068004 A KR1020040068004 A KR 1020040068004A KR 20040068004 A KR20040068004 A KR 20040068004A KR 20060019362 A KR20060019362 A KR 20060019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gital camera
screen
button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0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80402B1 (en
Inventor
전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8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402B1/en
Publication of KR20060019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3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4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술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learning a photographing technique of a digital camera.

종래에는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는 방법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사용법이 기재된 매뉴얼을 보면서 사용법을 익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촬영 기술 학습 게임을 저장하고, 사용자는 상기 학습 게임을 하면서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법을 재미있게 습득할 수가 있다. 학습 게임 방법으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화면에 사용자 레벨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레벨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디지털 카메라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가 하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보면서 한 영상을 촬영하면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촬영 상태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학습 게임을 하면서 재미있게 촬영 기술을 습득하고 향상시킬 수가 있다. 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learn how to use a digital camera, the user needs to learn how to use the manual while viewing the manua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shooting technology learning game in a digital camera, and a user can learn how to use the digital camera in a fun way while playing the learning game. As a learning game method, a user level menu is displayed on a screen of a digital camera, when a user selects one of the user levels, a corresponding video is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digital camera, and the user watches a video displayed on the bottom surface. When one image is captured, the photographing state of the captured image is evaluated, and the result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fore, the user can have fun learning and improving the shooting skills while playing a learning game.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술 학습 방법{Method for training photograph technique for digital camera}{Method for training photograph technique for digital camera}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igital camera for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digital camera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the digital camera shown in FIG.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술 학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learning a photographing technique of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레벨 메뉴의 일 예를 보여준다. FIG. 5 shows an example of a user level menu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screen shown in FIG. 2.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촬영씬 레벨 메뉴이 일 예를 보여준다.FIG. 6 shows an example of a shooting scene level menu displayed on the LCD screen shown in FIG. 2.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촬영 메뉴의 일 예를 보여준다.FIG. 7 shows an example of a shooting menu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screen shown in FIG. 2.

도 8은 도 4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평가 결과의 일 예가 도 2에 도시된 액 정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보여준다. FIG. 8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example of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image captured in FIG. 4 is displayed on the LCD screen shown in FIG. 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디지털 카메라, 111; 셔터 버튼101; Digital camera, 111; Shutter button

121; 플래쉬, 131; 전원 버튼121; Flash, 131; Power button

141; 랜즈부, 211; 액정 화면141; Lens section, 211; LCD screen

221; 줌 버튼, 231; 메뉴 버튼221; Zoom button, 231; Menu button

241; 방향 버튼들, 251; 완료 버튼241; Direction buttons, 251; Finish button

261; 학습 버튼261; Learning button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카메라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 기술을 쉽게 습득할 수 있게 해주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술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learning a photography technique of a digital camera that enables a person who is not familiar with the digital camera to easily acquire a photography technique using the digital camera.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한 영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바꾸어 전자장치에 기록함으로써 필름 없이도 수백여 장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이며, 외장형 저장 장치로서 메모리칩이나 플로피디스크를 사용하며, 촬영한 후에는 퍼스널 컴퓨터와 연결하여 파일형태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현상, 인화, 확대과정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A digital camera is a camera that can take hundreds of photos without using film by converting the captured image into digital data and recording it on an electronic device.It uses a memory chip or floppy disk as an external storage device and connects it to a personal computer after shooting. To send it as a file. As such, it is rapidly spreading to the general public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developing, printing, and expanding processes.

그런데, 디지털 카메라를 처음으로 사용하게될 경우에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촬영 기술을 익히기 위해서는 인터넷을 통하여 촬영 정보를 습득하거나, 사진 촬영에 관련된 전문 서적을 이용하거나, 자신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외부 물체를 직접 촬영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However, when using a digital camera for the first time, in order to learn the shooting technology for a digital camera, it is necessary to acquire shooting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use a professional book related to photography, or directly use an external object by using a camera. Most of the shooting was.

이와 같이, 기존의 방법으로 촬영 기법을 익히는 데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촬영 기법에 대한 이론과 실제 촬영 방법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또한 이론을 알고서도 실제 촬영 상황에서는 촬영에 대한 적절한 값(화이트 밸런스, 노출, 셔터 스피드 등)을 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수동 기능이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고서도 촬영 기법을 잘 몰라서 자동 기능에 맞추어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As such,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learn the conventional shooting techniques, and there is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theory of the shooting technique and the actual shooting method. (White balance, exposure, shutter speed, etc.) is often difficult to determine. In addition, even with a digital camera equipped with a manual function, many people do not know the shooting technique and use it automatically.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촬영 기술을 알려주는 학습 게임을 저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학습 게임을 하면서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술을 쉽고 재미있게 습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술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rning method of digital camera shooting technology for storing a learning game informing the shooting technology in the digital camera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fun to acquire the shooting technology of the digital camera while playing the learning game. There is this.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사용자에게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술을 학습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화면에 사용자 레벨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레벨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한 영상을 촬영하면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촬영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및 (d)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한 평가 결과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술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CLAIMS 1. A method for learning a digital camera photographing technique, the method comprising: (a) displaying a user level menu on a screen of the digital camera; (b) if a user selects one of the user levels, displaying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screen; (c) evaluating a photographing state of the photographed image when the user photographs an image of the video; And (d) displaying a result of evaluating the captured image on the screen.

바람직하기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동영상과 함께 조리개값을 설정하기 위한 위한 조리개 키, 셔터 스피드를 설정하기 위한 셔터 스피드 키, ISO를 설정하기 위한 ISO 키, 화이트 밸런스를 설정하기 위한 화이트 밸런스 키, 플래쉬를 설정하기 위한 플래쉬 키를 상기 화면에 표시한다.Preferably, in the step (b), an aperture key for setting an aperture value, a shutter speed key for setting a shutter speed, an ISO key for setting an ISO, and a white balance for setting a white balance in the step (b). A flash key for setting keys and flashes is displayed on the screen.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b) 단계는 (b-1)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레벨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촬영 씬 레벨 메뉴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b-2) 사용자가 상기 촬영 씬 레벨 메뉴를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된 학습 버튼이 온되었지 확인하는 단계, (a-2) 상기 학습 버튼이 온되었면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된 줌 버튼과 셔터 버튼을 학습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a-3)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된 메뉴 버튼을 온시키면 상기 화면에 사용자 레벨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step (b) includes (b-1) displaying a shooting scene level menu on the screen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user levels, and (b-2) the user taking the shooting scene. If the level menu is selected, a corresponding video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step (a) may include (a-1) checking whether a learning button provided in the digital camera is turned on. Setting the zoom button and the shutter button provided in the digital camera to the learning mode when the learning button is turned on; and (a-3) when the user turns on the menu button provided in the digital camera, Displaying a level menu.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1)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셔터 버 튼(111), 영상을 촬영할 때 광을 발사하는 플래시(121), 카메라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131) 및 외부 빛을 조절하여 통과시키는 렌즈부(141)를 전면과 상부에 구비한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igital camera for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digital camera 101 includes a shutter button 111 for capturing an image, a flash 121 for emitting light when capturing an image, and an on / off power of the camera. The power button 131 and the lens unit 141 for adjusting and passing the external light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the top.

디지털 카메라(101)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digital camera 101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1.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1)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1)의 후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화면(211), 줌 버튼(221), 학습 메뉴를 액정 화면(211)에 디스플레이(display)시키기 위한 메뉴 버튼(231), 액정 화면(211)에 디스플레이된 학습 메뉴 중에서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 버튼들(241),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완료 버튼(251), 및 학습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학습 버튼(261)이 구비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 요소들만을 도시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digital camera 101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2, a liquid crystal display 211 displaying an image on a rear surface of the digital camera 101, a zoom button 221, and a menu button 231 for displaying a learning menu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211. , Direction buttons 241 for moving the cursor to select one of the learning menus displayed on the LCD screen 211, a completion button 251 for selecting a menu, and learning for selecting a learning mode. A button 261 is provided. 2 illustrates only the minimum components for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having other functions as necessary.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1)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1)는 렌즈부(211)를 통해서 입력되는 영상을 아날로그 데이터로써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311),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321), 상기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31), 디지털 신호 및 학습 게임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34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 입력을 받아서 제어부(361)로 전달하는 키 입력부(351) 및 상기 키 입력을 받아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액정 화면(도 2의 211)에 표시하거 나 메모리(341)에 저장된 학습 게임을 액정 화면(도 2의 211)에 표시하고,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311),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321)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331)의 동자을 제어하는 제어부(361)를 구비한다. 3 is a block diagram of the digital camera 101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3, the digital camera 101 includes an analog signal processor 311 for outputting an image input through the lens unit 211 as analog data, and an analog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analog data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ting the digital signal. 321, a digital signal processor 331 for processing the digital signal, a memory 341 for storing digital signals and a learning game program, and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key input input by a user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key input to the controller 361 ( 351) and the key input to display the photographed image on the liquid crystal screen 211 of FIG. 2 or to display a learning game stored in the memory 341 on the liquid crystal screen 211 of FIG. 311), a control unit 361 for controlling the pupils of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321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3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1)의 촬영 기술 학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1)의 촬영 기술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tographing technique learning method of the digital camera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graphing technique learning method of the digital camera 101 illustrated in FIG.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1)의 촬영 기술 학습 방법은 제1 내지 제6 단계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photographing technique learning method of the digital camera 101 includes first to sixth steps.

제1 단계로써, 디지털 카메라(101)가 학습 모드로 설정되면(405), 즉, 사용자가 학습 버튼(도 2의 201)을 온(on)시키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줌 버튼(도 2의 221)과 셔터 버튼(도 1의 111)을 학습 모드로 변환한다(411). 즉, 학습 버튼(도 2의 261)이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셔터 버튼(도 1의 111)을 누르더라도 렌즈부(도 1의 141)가 동작하지 않고 액정 화면(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의 한 장면이 찍히게 된다. 또한, 학습 버튼(도 2의 261)이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줌 버튼(도 2의 221)을 누르더라도 광학 줌이 실행되지 않고 액정 화면(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에 대한 줌 기능을 수행한다. As a first step, when the digital camera 101 is set to the learning mode (405), that is, when the user turns on the learning button 201 of FIG. 2, the control unit 361 of FIG. 221 of FIG. 2 and the shutter button 111 of FIG. 1 are converted to the learning mode (411). That is, even when the user presses the shutter button (111 of FIG. 1) while the learning button (261 of FIG. 2) is selected, the lens unit (141 of FIG. 1) is not displayed and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screen (211 of FIG. 2). A scene from the video is shot.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presses the zoom button (221 in FIG. 2) while the learning button (261 in FIG. 2) is selected, optical zoom is not performed and the zoom function for the video displayed on the LCD screen (211 in FIG. 2) is performed. Perform.

학습 버튼(도 2의 261)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는 제어부(도 3의 361)는 셔터 버튼(도 1의 111)과 줌 버튼(도 2의 221)을 광학 모드로 설정한다(407). 즉, 광학 모드에서 셔터 버튼(도 1의 111)이 눌려지면 렌즈부(도 1의 141)가 동작하여 외부 영상이 찍히고, 줌 버튼(도 2의 221)이 눌려지면 외부 영상에 대한 줌 기능이 수행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learning button 261 of FIG. 2 is turned off, the controller 361 of FIG. 3 sets the shutter button 111 of FIG. 1 and the zoom button 221 of FIG. 2 to the optical mode (407). . That is, when the shutter button (111 in FIG. 1) is pressed in the optical mode, the lens unit (141 in FIG. 1) operates to take an external image, and when the zoom button (221 in FIG. 2) is pressed, the zoom function for the external image is performed. Is performed.

제2 단계로써, 사용자가 메뉴 버튼(231)을 온시키면(415), 제어부(도 3의 361)는 액정 화면(도 2의 211)에 사용자 레벨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급 키(511), 중급 키(521), 고급(프로페셔널) 키(531)가 액정 화면(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사용자 레벨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방향 버튼들(도 2의 241)을 사용하여 액정 화면(도 2의 211)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며, 자신이 원하는 레벨에 커서를 이동시켜 놓고 완료 버튼(도 2의 251)을 누르면 해당되는 사용자 레벨이 선택된다. 사용자 레벨 메뉴는 필요에 따라서는 더 세분될 수도 있고, 1가지 또는 2가지 레벨로 설정될 수도 있다. As a second step, when the user turns on the menu button 231 (415), the control unit 361 of FIG. 3 displays the user level menu on the liquid crystal screen 211 of FIG.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beginner key 511, the intermediate key 521, and the advanced (professional) key 531 ar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screen (211 of FIG. 2). In order to select a user level, the user moves the cursor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211 of FIG. 2) using the direction buttons (241 of FIG. 2), moves the cursor to a level desired by the user, and finishes the button (of FIG. 2). Press 251 to select the corresponding user level. The user level menu may be further subdivided as necessary and may be set to one or two levels.

제3 단계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레벨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면(425), 제어부(도 3의 361)는 촬영 씬(scene) 레벨 메뉴를 액정 화면(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개의 촬영 씬 레벨 키들(611)이 액정 화면(211)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촬영 씬 레벨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방향 버튼들(도 2의 241)을 사용하여 액정 화면(도 2의 211)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며, 자신이 원하는 레벨에 커서를 이동시켜 놓고 완료 버튼(도 2의 251)을 누르면 해당되는 촬영 씬 레벨이 선택된다. 촬영 씬 레벨 메뉴는 필요에 따라 더 세분될 수도 있고, 10개 이하로 설정될 수도 있다. As a third step,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user level menus (425), the controller (361 of FIG. 3) displays the shooting scene level menu on the liquid crystal screen (211 of FIG. 2). That is, as shown in FIG. 6, ten photographic scene level keys 611 ar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screen 211. In order to select the shooting scene level, the user moves the cursor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211 of FIG. 2) by using the direction buttons (241 of FIG. 2), moves the cursor to the level desired by the user, and finishes the button (FIG. 2). Press 251) to select the corresponding shooting scene level. The shooting scene level menu may be further subdivided as necessary or may be set to 10 or less.

제4 단계로써, 사용자가 촬영 씬 레벨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면(435), 제어부(도 3의 361)는 그에 해당하는 동영상 및 촬영값 설정 메뉴를 액정 화면(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액정 화면(도 2의 211)에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면서 액정 화면(도 2의 211)의 일측에 촬영값 설정 키들(도 7의 711∼751)이 디스플레이된다. 촬영값 설정 키들은 조리개 키(711), 셔터 스피드 키(721),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키(731),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키(741), 플래쉬 키(751)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촬영값 설정 키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방향키들(도 2의 241)을 사용하여 액정 화면(도 2의 211)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킨다. 이 때 촬영값 설정 키들(도 7의 711∼751) 중 하나에 커서가 멈추면, 그에 해당하는 서브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As a fourth step,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photographing scene level menus (435), the controller (361 of FIG. 3) displays a corresponding video and photographing value setting menu on the liquid crystal screen (211 of FIG. 2). That is, while the moving image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screen (211 of FIG. 2), the photographing value setting keys (711 to 751 of FIG. 7) are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liquid crystal screen (211 of FIG. 2). The photographing value setting keys include an aperture key 711, a shutter speed key 721, an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ISO) key 731, a white balance key 741, and a flash key 751. In order to select the photographing value setting key, the user moves the cursor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211 of FIG. 2) using the direction keys 241 of FIG. 2. At this time, if the cursor stops at one of the photographing value setting keys (711 to 751 in Fig. 7), the corresponding submenu is displayed.

조리개 키(711)의 서브 메뉴는 2.8, 4.8, 6.7 등을 포함하며, 셔터 스피드 키(721)의 서브 메뉴는 초, 초, 초, 초 등을 포함하며, ISO 키(731)의 서브 메뉴는 자동, 100, 200, 400 등을 포함하며, 화이트 밸런스 키(741)의 서브 메뉴는 자동, 태양광, 흐림, 백열등, 형광등 등을 포함하며, 플래쉬 키(751)의 서브 메뉴는 자동, 발광금지, 강제발광 등을 포함한다. 촬영값 설정 메뉴의 서브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방향키들(도 2의 241)을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켜서 원하는 서브 메뉴에서 멈춘 다음 완료키(도 2의 251)를 누르면 해당하는 서브 메뉴가 선택된다. The submenu of the iris key 711 includes 2.8, 4.8, 6.7, and the like, the submenu of the shutter speed key 721 includes seconds, seconds, seconds, seconds, etc., and the submenu of the ISO key 731 Auto, 100, 200, 400, etc. The sub-menu of the white balance key 741 includes auto, sunlight, cloudy, incandescent, fluorescent, etc., and the sub-key of the flash key 751 is auto, flash off. , Forced light emission, and the like. In order to select a sub menu of the photographing value setting menu, the cursor is moved using the direction keys 241 of FIG. 2 to stop at a desired sub menu, and then a corresponding sub menu is selected by pressing a completion key (251 of FIG. 2).

제5 단계로써, 사용자가 촬영값 설정 키들을 모두 선택하면(445), 제어부(도 3의 361)는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의 촬영 모드를 선택된 촬영값들로 설정한다(451). As a fifth step, when the user selects all the photographing value setting keys (445), the controller (361 of FIG. 3) sets the photographing mode of the digital camera (101 of FIG. 1) to the selected photographing values (451).

제6 단계로써, 사용자가 액정 화면(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보다가 셔터 버튼(도 1의 111)을 누르면 상기 설정된 촬영값들에 의해 선택된 영상이 촬영되며, 제어부(도 3의 361)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평가하고 점수를 메긴 다 음 액정 화면(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한다. 예컨대, 제어부(도 3의 36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70" 이라는 점수와 "영상이 흔들렸네요", "셔터 스피드를 조절해보세요", "반셔터를 이용해 초점을 맞추세요" 등의 촬영에 대한 평가를 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도 3의 361)는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메모리(도 3의 341) 또는 제어부(도 3의 361)에 저장된 최고의 촬영 조건과 비교함으로써 촬영된 영상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셔터 버튼(도 1의 111)을 누를 때 흔들림 센서(미도시)에 의해 많이 흔들린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영상이 흔들린 것으로 간주하여 영상이 흔들렸다는 평가 내용을 액정 화면(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한다. As a sixth step, when the user views the video displayed on the LCD screen 211 and presses the shutter button 111 of FIG. 1, an image selected by the set photographing values is captured, and the controller (see FIG. 3). 361 evaluates and scores the photographed image and displays it on the LCD screen (211 of FIG. 2).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controller (361 of FIG. 3) has a score of "70", "image is shaken", "adjust the shutter speed", "use the shutter button halfway", and so on. The evaluation of the photographing is displayed on the LCD screen. The controller 361 of FIG. 3 performs evaluation of the captured image by compar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user with the best photographing condition stored in the memory 341 or 361 of FIG. 3. For example, when a user detects a lot of shaking by a shake sensor (not shown) when the user presses the shutter button (111 of FIG. 1), the controller (361 of FIG. 3) considers the image to be shaken and displays the evaluation content that the image is shaken.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211 of FIG. 2).

사용자는 상기 촬영 평가에 따라 기 설정된 촬영값을 변경한 후에 만족스런 점수가 나올 때까지 촬영을 반복하다가 만족스런 점수가 나오면 촬영 씬 레벨을 높여가면서 또 사용자 레벨을 높여가면서 촬영을 반복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를 이용한 촬영 기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After changing the preset shooting value according to the shooting evaluation, the user repeats shooting until a satisfactory score is reached, and when the satisfactory score is obtained, the user increases the shooting scene level and repeats the shooting while raising the user level. The imaging technique using 101 in FIG. 1 can be improved.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점수 및 레벨에 따라 기능 구현에 차별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점수가 낮은 사람은 줌 기능이 단초점 내지는 3배 정도로 제한을 두고, 점수가 높은 사람은 10배줌 이상도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Basically, it is desirable to discriminate in implementing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score and level of the user. For example, people with low scores may be limited to single or three times the zoom, while those with high scores may be able to zoom more than 10 times.

본 발명의 학습 게임을 진행하기 전에 디지털 카메라가 사용자에게 특정한 미션(mission)을 부여하고, 사용자는 상기 미션에 따라 촬영을 수행하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미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2 단계 내지 제6 단계를 수행해 가는 가운데 자신도 모르게 촬영 기술이 향상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Before proceeding with the learning g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gital camera may assign a specific mission to a user, and the user may perform a shooting according to the mission. In this case, as the user performs the second to sixth steps to perform the mission, the user may know that the photographing technique is improved without knowledge.                     

본 발명의 학습 방법은 디지털 카메라 뿐만 아니라 약간의 변형으로 게임 기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The lear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not only to digital cameras but also to game devices with some modifications.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nd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invention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or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from this, 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에 학습 게임을 저장하고, 사용자는 학습 게임에 따라 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보면서 촬영값들을 설정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에 대한 평가에 따라 반복적인 촬영을 함으로써 사용자는 게임을 즐기면서 자신의 촬영 기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game is stored in the digital camera (101 in FIG. 1), and the user sets the shooting values while watching the video displayed on the LCD screen according to the learning game, and shoots the image. By repeatedly shooting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the image, the user can improve his shooting skills while playing a game.

Claims (8)

사용자에게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술을 학습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the user to learn the shooting skills of the digital camera, (a)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화면에 사용자 레벨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a) displaying a user level menu on a screen of the digital camera; (b)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레벨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b) if a user selects one of the user levels, displaying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screen; (c)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한 영상을 촬영하면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촬영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및(c) evaluating a photographing state of the photographed image when the user photographs an image of the video; And (d)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한 평가 결과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술 학습 방법.and (d) displaying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captured image on the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사용자 레벨 메뉴는 초급, 중급 및 고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술 학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level menu of the step (a) comprises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동영상과 함께 조리개값을 설정하기 위한 위한 조리개 키, 셔터 스피드를 설정하기 위한 셔터 스피드 키, ISO를 설정하기 위한 ISO 키, 화이트 밸런스를 설정하기 위한 화이트 밸런스 키, 플래쉬를 설정하기 위한 플래쉬 키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술 학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step (b), an aperture key for setting an aperture value, a shutter speed key for setting a shutter speed, an ISO key for setting an ISO, and a white balance for setting an aperture value together with the video in step (b). And displaying a white balance key and a flash key for setting the flash on the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방향 버튼들 및 완료 버튼을 구비하며, 사용자는 상기 방향 버튼들을 사용하여 상기 화면상에서 커서를 사방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완료 버튼을 사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술 학습 방법.The digital camera of claim 1, wherein the digital camera comprises direction buttons and a completion button, and a user moves the cursor on the screen using the direction buttons, and selects a desired function using the completion button. Method of learning a shooting technique of a digital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평가 결과로써 점수와 평가 내용을 함께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술 학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core and the evaluation contents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screen as the evaluation result of step (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b) (b-1)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레벨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촬영 씬 레벨 메뉴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b-1) displaying a shooting scene level menu on the screen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user levels; And (b-2) 사용자가 상기 촬영 씬 레벨 메뉴를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술 학습 방법.and (b-2) when the user selects the shooting scene level menu, displaying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shooting scene level menu on the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a) (a-1)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된 학습 버튼이 온되었지 확인하는 단계;(a-1) checking whether a learning button provided in the digital camera is turned on; (a-2) 상기 학습 버튼이 온되었면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된 줌 버튼과 셔터 버튼을 학습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a-2) setting the zoom button and the shutter button provided in the digital camera to a learning mode when the learning button is turned on; And (a-3)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된 메뉴 버튼을 온시키면 상기 화면에 사용자 레벨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술 학습 방법.and (a-3) displaying a user level menu on the screen when the user turns on the menu button provided in the digital camer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버튼이 오프되어 있으면, 상기 줌 버튼과 셔터 버튼을 광학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술 학습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zoom button and the shutter button are set to an optical mode when the learning button is off.
KR1020040068004A 2004-08-27 2004-08-27 Method for training photograph technique for digital camera KR1010804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004A KR101080402B1 (en) 2004-08-27 2004-08-27 Method for training photograph technique for digital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004A KR101080402B1 (en) 2004-08-27 2004-08-27 Method for training photograph technique for digital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362A true KR20060019362A (en) 2006-03-03
KR101080402B1 KR101080402B1 (en) 2011-11-04

Family

ID=3712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004A KR101080402B1 (en) 2004-08-27 2004-08-27 Method for training photograph technique for digital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402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531A (en) * 2009-02-26 2010-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shot setting
US8558801B2 (en) 2007-12-20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8922518B2 (en) 2007-12-20 2014-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9055209B2 (en) 2008-04-22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to provide user interface to display menu related to image to be photographe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10503376B2 (en) 2007-12-20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n image and control guides displayed on a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4624B1 (en) 2000-11-13 2005-07-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aptive and learning setting selection process for imaging devic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8801B2 (en) 2007-12-20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8922518B2 (en) 2007-12-20 2014-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9250778B2 (en) 2007-12-20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9411502B2 (en) 2007-12-20 2016-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9778832B2 (en) 2007-12-20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9933927B2 (en) 2007-12-20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10481779B2 (en) 2007-12-20 2019-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10503376B2 (en) 2007-12-20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n image and control guides displayed on a display
US10901590B2 (en) 2007-12-20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9055209B2 (en) 2008-04-22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to provide user interface to display menu related to image to be photographe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10606456B2 (en) 2008-04-22 202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to provide user interface to display menu related to image to be photographe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applying the same
KR20100097531A (en) * 2009-02-26 2010-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shot set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402B1 (en)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3753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37458B1 (en) Imag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medium
US20160373646A1 (en) Imaging device for capturing self-portrait images
JP4468956B2 (en) Camera that records continuous images
US8477993B2 (en) Image taking apparatus and image taking method
US20110176039A1 (en) Digital camer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050237411A1 (en) Camera and control method for camera
US8558935B2 (en) Scene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cene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5180684A1 (en) Mobile terminal-based shooting simulation teaching method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JP5533053B2 (en) Camera, camera control program, and shooting teaching method
JP5400486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KR101080402B1 (en) Method for training photograph technique for digital camera
JP4717840B2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228110A (en) Digital camera
US20060044453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JP4368783B2 (en) Imaging device
JP2001045355A (en) Photographing device and group photographic image forming method
JP5451197B2 (en) Imaging device
JP6761228B2 (en) Display devices and their control methods, programs, and storage media
JP2006222900A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US11533439B2 (en) Multi capture settings of multi light parameters for automatically capturing multiple exposures in digital camera and method
JP2005117478A (en) Electronic camera, and control program for the electronic camera
JP6724527B2 (en) Imaging device, imag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0577388B1 (en) Standard grid display device for digital camera and method for the same
JP2005348298A (en) Digital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