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174A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key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key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174A
KR20060011174A KR1020040059873A KR20040059873A KR20060011174A KR 20060011174 A KR20060011174 A KR 20060011174A KR 1020040059873 A KR1020040059873 A KR 1020040059873A KR 20040059873 A KR20040059873 A KR 20040059873A KR 20060011174 A KR20060011174 A KR 20060011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input
key input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8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59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1174A/en
Publication of KR20060011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1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의 키 입력 장치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key input device thereof.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 등에서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터치패드)과 선택(눌림)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돔 스위치)을 입력장치(키패드)에 구비하여, 일반적인 키 입력을 처리함은 물론 터치패드를 이용한 필기체 인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의 키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ns (touch pad) for detecting a contact and a means (dome switch) for detecting a selection (pr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like in the input device (keypad), as well as processing a general key inpu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key input device for provid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using a touch pad.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3. Summary of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접촉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접촉 좌표 신호를 제어 수단으로 전달하고, 키 입력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 필기체 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전달받은 입력 신호에 따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전달받은 접촉 좌표 신호의 궤적을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필기체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독한 후 출력 수단을 통하여 출력시키기 위한 상기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해독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출력 수단을 포함함.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input means for detecting a contact and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contact coordinate signal to a control means, and detecting a key input and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input signal to the control means; Storage means for storing a cursive recognition program;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means, decode the trajectory of the contact coordinat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means us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then output the means. The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through; And said output means for outputting said decrypted result under control of said control means.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 등에 이용됨.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무선통신단말기, 터치패드, 접촉 감지, 필기체 인식, 듀얼 모드 키 입력Wireless terminal, touch pad, touch detection, handwriting recognition, dual mode keystrokes

Description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의 키 입력 장치{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key input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key input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키 입력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mode key in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키 입력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중 입력장치(키패드)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2A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input device (keypa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mode key in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키 입력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중 입력장치(키패드)의 다른 실시예 상세 구성도,2b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nput device (keypad) amo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mode key in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듀얼 모드 키 입력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3 is a flow chart of an embodiment of a dual mode key input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듀얼 모드 키 입력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ual mode key input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듀얼 모드 키 입력 방법 중 메모 기능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mo function of a dual mode key input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1 : 무선송수신장치 12 : 연산/제어장치11: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12: operation / control device

13 : 코덱(CODEC) 14 : 저장장치13: codec 14: storage device

15 : 음성출력장치(스피커) 16 : 표시장치(LCD)15: audio output device (speaker) 16: display device (LCD)

17 : 입력장치(키패드) 18 : 음성입력장치(마이크)17: input device (keypad) 18: voice input device (microphone)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의 키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단말기 등에서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터치패드)과 선택(눌림)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돔 스위치)을 입력장치(키패드)에 구비하여, 일반적인 키 입력을 처리함은 물론 터치패드를 이용한 필기체 인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의 키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key input device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input a means (touch pad) for detecting a contact and a means (dome switch) for detecting a selection (pr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key input device provided in a device (keypad) for processing a general key input as well as provid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using a touchpad.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단말기란 이동통신단말기, 개인휴대통신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CS), a personal digital terminal (PDA), a smart phone,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T-2000), wireless communication while carrying an individual such as a wireless LAN terminal Say this is possible terminal.

무선통신단말기의 이점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통화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동성에 최대 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성으로 인하여 무선통신 가입자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근래에는 무선통신단말기가 일반인에게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There may be various advantag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but above all, it is said that the greatest advantage is in the mobility provided to the user who is calling. Due to this mobility, the number of wireless communication subscribers has increased exponentially, and in recent year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re wide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일반적으로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거나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키패드를 통한 입력이 필요하다. 이 때, 일반적인 키패드는 돔 스위치 형태로서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한다.In general, an input through a keypad is required to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selecting a menu or writing a text mess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a general keypad is a dome switch type, and a key input signal is generated by pressing a button.

그런데, 종래에는 무선통신단말기의 제조사마다 키패드의 배열 및 문자의 입력 방식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키패드의 배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문자메시지 등을 입력하고자 하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글의 경우에는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여러번의 키 입력(초성, 중성, 종성)이 필요하고, 영문 또는 숫자로 입력 모드를 변환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모드 변환 키를 입력하여야 했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였다.However, conventionally, since the arrangement of the keypad and the input method of the characters are different for each manufactur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 user who is not familiar with the arrangement of the keypad has a very inconvenient problem when trying to input a text message. In addition, in the case of Hangul, it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a number of key inputs (superiority, neutrality, and finality) are required in order to input a single letter, and a mode conversion key must be input in order to convert the input mode to English or numbers. .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한국공개특허공보 2003. 11. 20 공개)(이하, 제 1 선행기술이라 함)"이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 10-2003-0088795 호에 개시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solving such a problem, "A key input method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shed on Nov. 20, 2003)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prior art ")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s. No. 10-2003-0088795.

상기 제 1 선행기술은 이동통신단말기에 키 입력 수단으로 터치 패드를 구비하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폴더 또는 플립을 열면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사용자 메뉴의 실행 또는 검색 키 데이터를 터치 패드를 통하여 입력받아 처리함으로써, 별도의 키 버튼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단말기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prior art includes a touch pad as a key input mean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puts execution or search key data of a user menu displayed through a display unit when a user opens a folder or flip through the touch pad. By receiving and processing,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key butt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그러나, 상기 제 1 선행기술은 별도의 키 버튼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단말 기 두께를 줄일 수는 있겠으나, 문자 등의 입력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메뉴 선택과 같이 선택 종류가 적은 기능을 수행하는 데는 무리가 없으나, 문자의 경우에는 그 입력이 매우 복잡하고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first prior art does not have a separate key butt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devic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put of characters and the like is very inconvenient. That is, it is not unreasonable to perform a function with fewer kinds of selections such as menu selection, but in the case of characters, the input is very complicated and inconvenient.

또한,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한국공개특허공보 2003. 5. 9 등록)(이하, 제 2 선행기술이라 함)"이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 10-2003-0035226 호에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registere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3/9/2003)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prior 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35226. Is disclosed.

상기 제 2 선행기술은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를 분리시켜, 터치패드의 입력영역을 대폭 넓히고, 입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숫자, 약정문자 및 필기체 문자를 입력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마우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The second prior art separates the touch pad from the display unit, greatly widens the input area of the touch pad, and enables input processing of numbers, contract letters, and handwritten characters according to selection of an input mode, and can be utilized as a mouse. Technology.

그러나, 상기 제 2 선행기술은 모든 입력이 단일한 터치패드에서 이루어지므로 숫자, 약정문자 및 필기체 문자를 입력할 때마다 입력모드를 변환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second prior art, since all the inputs are made in a single touch pa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input mode must be changed every time the numbers, contract letters, and handwritten characters are input.

따라서, 메뉴 선택 등과 같은 기능은 종래와 같이 키 입력(누름)에 의하여 수행하면서도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식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method of easily inputting characters while performing functions such as menu selection by key input (pressing) as in the related ar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단말기 등에서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터치패드)과 선택(눌림)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돔 스위치)을 입력장치(키패드)에 구비하여, 일반적인 키 입력을 처리함은 물론 터치패드를 이용한 필기체 인식 기능을 제공하 기 위한,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의 키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meet the above requirements, and means for detecting a touch (touch pad) and a means for detecting a selection (pr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like (dome switch).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key input device for provid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using a touchpad as well as processing general key input.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무선통신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상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 스위치; 및 상기 돔 스위치 상단에 구비되며, 접촉 위치에 상응하는 접촉 좌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key input devi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dome switch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key input signal by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touch pad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ome switch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act coordinate signal corresponding to a contact position.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돔 스위치와 터치패드 사이에 구비되며, 키 입력 신호 또는 접촉 좌표 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발광하기 위한 발광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dome switch and the touch pa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ght emitting means for emitting light when a key input signal or a contact coordinate signal is genera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무선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접촉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접촉 좌표 신호를 제어 수단으로 전달하고, 키 입력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 필기체 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전달받은 입력 신호에 따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전달받은 접촉 좌표 신호의 궤적을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필기체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해독한 후 출력 수단을 통하여 출력시키기 위한 상기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해독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detecting a contact and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coordinate coordinate signal to the control means, and for detecting a key input to transmit the corresponding input signal to the control means Input means; Storage means for storing a cursive recognition program;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means, decode the trajectory of the contact coordinat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means us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then output the means. The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through; And th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decrypted resul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키 입력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듀얼 모드 키 입력 장치가 구비된 무선통신단말기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mode key in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mode key input dev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키 입력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장치(11),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를 구동시키고 제어하며, 입력장치(키패드)(17)를 통하여 입력받은 키 입력 신호에 따라 상응하는 동작(예를 들어, 화면 출력, 호 연결, 메뉴 이동/설정 등)을 수행하는 한편, 상기 입력장치(키패드)(17)를 통하여 입력받은 접촉 좌표 신호의 궤적(필기체)을 저장장치(14)에 저장되어 있는 필기체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자(또는 숫자 등)로 해독한 후 표시장치(LCD)(16)를 통하여 출력시키기 위한 연산/제어장치(12), 상기 연산/제어장치(12)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선송수신장치(11)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출력장치(스피커)(15)로 출력하고, 음성입력장치(마이크)(18)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을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연산/제어장치(12)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송수신장치(11)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하기 위한 코덱(CODEC)(13),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파일 시스템(이미지, 캐릭터, 아이콘), 및 필기체 인식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14), 상기 코덱(CODEC)(13)으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장치(스피커)(15), 상기 연산/제어장치(12)의 제어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장치(LCD)(16), 접촉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접촉 좌표 신호를 연산/제어장치(12)로 전달하고, 버튼(키)의 선택(눌림)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키 입력 신호(전화번호 입력 신호, 문자 입력 신호, 메뉴 선택 신호 등)를 연산/제어장치(12)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장치(키패드)(17),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코덱(CODEC)(13)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성입력장치(마이크)(18)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mode key in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nd controls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1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relessly through an antenna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a key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device (keypad) 17, a corresponding operation (for example, screen output, call connection, menu movement / setting, etc.) is performed, while the input device (keypad) ( 17) the trace (cursive) of the contact coordinat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ecoding us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14 into letters (or numbers, etc.) and then through the display device (LCD) 16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and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for outputt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11 is converted into voice and output to the voice output device (speaker) 15. And voice Codec (13) for converting the voice received from the device (microphone) 18 into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11), the wireless A voice for outputting a voice received from the storage device 14 for storing a program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 file system (image, character, icon), a handwriting recognition program, and the like, and the codec 13 An output device (speaker) 15, a display device (LCD) 16 for outputting a scree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and a touch coordinate signal corresponding to a touch detected to calculate a corresponding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and detects the selection (press) of the button (key)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key input signal (telephone number input signal, character input signal, menu selection signal, etc.) to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Input device (keypad) 17 to make sound Force received and a voice input device (microphone) 18 for transmission to the codec (CODEC) (13).

이 때, 상기 입력장치(키패드)(17)는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터치패드)과 선택(눌림)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돔 스위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키패드)(17)의 입력은 손이나 펜 등으로 필기체를 입력하는 동작과 특정 키(버튼)를 선택하는(누르는) 동작으로 구분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키패드)(1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device (keypad) 17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means (touch pad) for detecting contact and means (dome switch) for detecting selection (pressing). In addition, the input of the input device (keypad) 17 is divided into an operation of inputting a handwritten object with a hand or a pen and selecting (pressing) a specific key (button). To this end, the input device (keypad) 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키 입력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중 입력장치(키패드)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2A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input device (keypa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mode key in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키패드 )(17)는 돔 스위치(21) 및 터치패드(2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A, an input device (keypad) 1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me switch 21 and a touchpad 23.

상기 돔 스위치(21)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상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상기 연산/제어장치(12)로 전달한다. The dome switch 21 transmits a corresponding key input signal to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by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터치패드(23)는 키패드 상에서 접촉 위치를 감지하고, 그에 상응하는 접촉 좌표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23)의 상단은 평면의 형태이되, 하단에 구비된 키(버튼)의 눌림을 상기 돔 스위치(21)에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연질의 재료로 구현되며, 각 키(버튼)에 씌여지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가 프린트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패드(23)를 이용하여 필기체의 문자(또는 숫자 등) 또는 메모를 입력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버튼)의 배열을 무시한 전체 영역을 이용한다.The touch pad 23 senses a contact position on the keypad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contact coordinate signal. In addition, the top of the touch pad 23 is in the form of a flat, provided at the bottom In order to transmit the pressing of the key (button) to the dome switch 21, it is embodied in a soft material, and numbers, letters, or symbols written on each key (button) are printed. In addition, when inputting a letter (or number) or a memo of a cursive handwriting using the touch pad 23, the entire area ignoring the arrangement of keys (buttons) is used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터치패드(23)는 바람직하게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입력하며, 손가락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돔 스위치(21)는 키의 눌림을 감지할 수 있을 만큼의 압력(손가락으로 누르는 힘)이 전달되면 일반적인 키패드와 동일하게 동작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ouch pad 23 is preferably input using a stylus pen and a finger. In addition, the dome switch 21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a normal keypad when a pressure (a pressing force with a finger) is transmitted enough to sense a press of a key.

한편,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키 입력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중 입력장치(키패드)의 다른 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2B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nput device (keypa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mode key in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키패드)는 돔 스위치(25), EL 시트(26), 및 터치패드(27)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B, an input device (key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me switch 25, an EL sheet 26, and a touchpad 27.

상기 돔 스위치(25)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상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상기 연산/제어장치(12)로 전달한다. The dome switch 25 transmits a corresponding key input signal to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by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터치패드(27)는 키패드 상에서 접촉 위치를 감지하고, 그에 상응하는 접촉 좌표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23)의 상단은 평면의 형태이되, 하단에 구비된 키(버튼)의 눌림을 상기 돔 스위치(21)에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연질의 재료로 구현되며, 각 키(버튼)에 씌여지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는 EL 시트(26)에서 발생되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패드(27)를 이용하여 필기체의 문자(또는 숫자 등) 또는 메모를 입력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버튼)의 배열을 무시한 전체 영역을 이용한다.The touch pad 27 senses a contact position on the keypad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contact coordinate signal. In addition, the top of the touch pad 23 is in the form of a flat, provided at the bottom In order to transmit the pressing of the key (button) to the dome switch 21, it is implemented with a soft material, and the numbers, letters, or symbols written on each key (button) transmit the light generated by the EL sheet 26. It is implemented transparently. In addition, when inputting a letter (or number) or a memo of a cursive handwriting using the touch pad 27, the entire area ignoring the arrangement of keys (buttons) is used as shown in FIG.

상기 EL 시트(26)는 전기발광(EL : Electro Luminescence)을 응용한 유연성을 지닌 초박막 형태의 평면광원으로서, 연산/제어장치(12)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키 입력시에 빛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EL 시트(26)는 연산/제어장치(12)의 제어에 따라 폴더가 열렸을 때, 사용자가 터치패드(27)에 접촉하였을 때, 또는 사용자가 돔 스위치(25)를 눌렀을 때 등과 같은 경우에 빛을 발생시킨다. 이 과정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EL 시트(26) 대신에 발광 다이오드(LED)를 빛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The EL sheet 26 is a planar light source in the form of an ultra-thin film having flexibility by applying electroluminescence (EL), and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to generate light upon key input. That is, the EL sheet 26 is such as when a folder is opened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when the user contacts the touch pad 27, when the user presses the dome switch 25, or the like. In the case of light. Since this process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stead of the EL sheet 26, a light emitting diode (LED) can also be used as a means for generating light.

한편, 상기 연산/제어장치(12)는 상기 입력장치(키패드)(17)를 통하여 입력받은 접촉 좌표 신호의 궤적(필기체)을 저장장치(14)에 저장하고 있는 필기체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자(또는 숫자 등)로 해독한 후 표시장치(LCD)(16)를 통하여 출력시킨다. 이러한 필기체 인식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필기체 인식 모드를 설정하여야 한다. 즉, 필기체 인식 모드를 설정하면 문자메시지 입력, 주소록 입력, 주소록 검색 등에서 필기체 인식을 통한 문자 입력이 가능해지고, 필기체 인 식 모드를 설정하지 않으면 종래와 같이 키(버튼) 선택(누름)에 의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필기체 인식 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문자 또는 숫자 등의 입력이 필요한 기능에서 자동적으로 설정되고 그 이외의 기능에서는 자동적으로 해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uses a handwriting recognition program that stores the trajectory (handwriting) of the contact coordinat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device (keypad) 17 in the storage device 14 to display the character ( Or a number, etc.), and outputs the same through a display device (LCD) 16. In order to use the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first, a handwriting recognition mode must be set. That is, if the handwriting recognition mode is set, character input through handwriting recognition is possible in text message input, address book input, address book search, and the like. Can be entered. In this case, the handwriting recognition mode may be implemented to be automatically set in a function requiring input of a letter or a number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automatically released in other functions.

또한, 상기 연산/제어장치(12)는 입력장치(키패드)(17)를 통하여 입력받은 메모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장치(키패드)(17)로부터 전달받은 접촉 좌표 신호의 궤적을 이미지로 변환하여 화면상에 출력시킬 수 있으며, 화면상에 출력시킨 이미지를 저장장치(14)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converts the trajectory of the contact coordinate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keypad) 17 into an image according to a memo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device (keypad) 17. The image may be output on the screen, and the image output on the scree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14.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체적인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Referring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overall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듀얼 모드 키 입력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ual mode key input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듀얼 모드 키 입력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필기체 인식 모드가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 때, 필기체 인식 모드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문자 메시지 작성, 주소록 작성, 전화번호 입력 등과 같이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또는 숫자 등)의 입력이 필요할 경우에 자동 설정되며, 그 외의 경우에는 자동 해제된다.First, in order to execute the dual mode key input function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writing recognition mode should be set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t this time, the handwriting recognition mode is automatically set when input of characters (or numbers, etc.) using a keypad is required, such as text message writing, address book writing, telephone number input, etc.,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이와 같이 필기체 인식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단문메시지 작성, 주소록 작성, 전화번호 입력 등의 과정을 수행하는 도중에, 입력장치(키패드)(17)가 손가락, 펜 등의 접촉을 감지하면(301), 접촉 위치에 상응하는 접촉 좌표 신호를 연속적으로 연산/제어장치(12)로 전달한다(302).When the input device (keypad) 17 detects a touch of a finger, a pen, or the like while performing a short message, an address book, or a phone number while the handwriting recognition mode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is performed. The contact coordinat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s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302).

그러면, 상기 연산/제어장치(12)는 입력장치(키패드)(17)로부터 전달받은 접촉 좌표 신호의 궤적을 필기체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자(또는 숫자 등)로 해독한 후(303), 표시장치(LCD)(16)를 통하여 출력(미리보기)시킨다(304). 이 때, 필기체를 인식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상용화된 제품이나 추후에 개발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Then,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decodes the trajectory of the contact coordinate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keypad) 17 into a letter (or number) us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program (303), and then displays the display device. Output (preview) through (LCD) 16 (304). In this case, as a program for recognizing the handwriting,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or a product developed later may be used.

한편, 상기 연산/제어장치(12)는 입력장치(키패드)(17)를 통하여 입력받은 메모 요청 신호에 따라 입력장치(키패드)(17)로부터 전달받은 접촉 좌표 신호의 궤적을 이미지로 변환하여 화면상에 출력시키고, 화면상에 출력시킨 이미지를 저장장치(14)에 저장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장치(키패드)(17) 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접촉한 궤적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지(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여 화면상에 출력시키는 한편,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장치에 저장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converts the trajectory of the contact coordinate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keypad) 17 into an image according to a memo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device (keypad) 17, and displays a screen. And a function of storing the image output on the screen in the storage device 14. That is, as shown in FIG. 5, a user's touch on the input device (keypad) 17 using a finger or a stylus pen or the like is converted into an image (graphic data) as shown in " 51 "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for storing in the storage device at the request of the user.

또한, 상기 연산/제어장치(12)는 입력장치(키패드)(17)를 통하여 입력받은 접촉 좌표 신호를 이용하여 마우스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산/제어장치(12)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마우스 모드로 동작하며, 마우스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연속적인 접촉 좌표 신호의 궤적에 따라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고, 기설정된 시간 안에 접촉했다 떼는 동작을 클릭 또는 더블 클릭으로 인식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may execute a mouse function by using the contact coordinat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device (keypad) 17. That is,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operates in the mouse mode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When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operates in the mouse mode, the movement of the cursor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rajectory of the continuous contact coordinate signal, and the contact is mad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release action is recognized as a click or double click.

상기 "301" 내지 "304" 과정은 필기체 인식 모드가 해제될 때까지 반복 수행되며, 수행 도중 어느 때라도 입력장치(키패드)(17)가 특정 키(버튼)의 눌림을 감지하면 그에 상응하는 키 입력 신호(키 입력 인터럽트)를 연산/제어장치(12)로 전 달하고, 상기 연산/제어장치(12)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키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예를 들어, 화면 출력, 호 연결, 메뉴 이동/설정 등)을 수행하게 된다.The process of "301" to "304"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handwriting recognition mode is released. When the input device (keypad) 17 detects the pressing of a specific key (button) at any time during the execution, the corresponding key input is performed. A signal (key input interrupt)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and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key input signal (for example, screen output, call connection, and menu movement) as in the prior art. / Settings, etc.).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 등에서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터치패드)과 선택(눌림)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돔 스위치)을 입력장치(키패드)에 구비하여, 일반적인 키 입력을 처리함은 물론 터치패드를 이용한 필기체 인식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키패드의 배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문자(또는 숫자 등)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ns (touch pad) for detecting contact and a means (dome switch) for detecting a touch (dome switc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like to process a general key input. In addition, by provid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using a touch pad, a user who is not familiar with the arrangement of the keypad may conveniently enter letters (or numbers).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 등에서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터치패드)과 선택(눌림)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돔 스위치)을 입력장치(키패드)에 구비하여, 일반적인 키 입력 및 터치패드를 이용한 필기체 인식 기능을 제공함은 물론 터치패드를 이용한 메모 기능을 더 제공함으로써, 항상 소지하고 다니는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메모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device (keypad) is provided with a means (touch pad) for detecting a contact (dome switch) for detecting a contact (dome switc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general key input and touch pad By provid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using the touch pad as well as by providing a memo function using the touch pad, there is an effect that you can easily take notes anytime, anywher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always carried.

Claims (7)

무선통신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에 있어서,In the key input devi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상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 스위치; 및A dome switch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key input signal by an externally applied pressure; And 상기 돔 스위치 상단에 구비되며, 접촉 위치에 상응하는 접촉 좌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터치패드A touch pad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ome switch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act coordinate signal corresponding to a contact position;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Key input devi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돔 스위치와 터치패드 사이에 구비되며, 키 입력 신호 또는 접촉 좌표 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발광하기 위한 발광 수단Light emitt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dome switch and the touch pad, for emitting light when a key input signal or a contact coordinate signal is generated 을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Key input devic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발광 수단은,The light emitting means, 전계 발광(EL : ElectroLuminiscence)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Key input devi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luminescence (EL: ElectroLuminiscence) shee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발광 수단은,The light emitting means, 발광 다이오드(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Key input devi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무선통신단말기에 있어서,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접촉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접촉 좌표 신호를 제어 수단으로 전달하고, 키 입력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Input means for detecting a contact and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coordinate coordinate signal to the control means, and detecting a key input and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input signal to the control means; 필기체 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수단;Storage means for storing a cursive recognition program;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전달받은 입력 신호에 따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전달받은 접촉 좌표 신호의 궤적을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필기체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독한 후 출력 수단을 통하여 출력시키기 위한 상기 제어 수단; 및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means, decode the trajectory of the contact coordinat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means us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then output the means. The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through; And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해독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출력 수단Th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decrypted resul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을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어 수단은,The control means,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메모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접촉 좌표 신호의 궤적을 이미지로 변환한 후 상기 출력 수단을 통하여 출력시키고,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And converting the trajectory of the contact coordinate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means into an image according to the memo request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outputting the image through the output means, and storing the trace in the storage mean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상기 입력 수단은,The input means,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패드와 선택(눌림)을 감지하기 위한 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touch pad for sensing a contact and a dome switch for sensing a selection.
KR1020040059873A 2004-07-29 2004-07-29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key input device KR200600111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873A KR20060011174A (en) 2004-07-29 2004-07-29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key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873A KR20060011174A (en) 2004-07-29 2004-07-29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key inpu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174A true KR20060011174A (en) 2006-02-03

Family

ID=3712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873A KR20060011174A (en) 2004-07-29 2004-07-29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key inpu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1174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520B1 (en) * 2006-06-26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Interface Method Based on Keypad Touch and Mobile Device thereof
KR100725521B1 (en) 2006-08-16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pad and method of list scroll thereof
KR100816095B1 (en) * 2006-07-26 2008-03-24 엠텍비젼 주식회사 Optical input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859318B1 (en) * 2007-01-04 2008-09-19 에이디반도체(주) Two-stage switch using capacitance sensor and mechanical contactor switch
KR100890135B1 (en) * 2007-11-15 2009-03-20 주식회사 게임빌 The device for controlling a key input event of a game
WO2009026167A3 (en) * 2007-08-17 2009-05-22 Palm Inc Sensor-keypad combination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KR100927439B1 (en) * 2007-08-24 2009-11-19 (주)에이트리 Electronic device and letter input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0974660B1 (en) * 2008-05-20 2010-08-09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nput mode
KR101128803B1 (en) * 2006-05-03 2012-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processing input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panel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803B1 (en) * 2006-05-03 2012-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processing input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panel
KR100701520B1 (en) * 2006-06-26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Interface Method Based on Keypad Touch and Mobile Device thereof
KR100816095B1 (en) * 2006-07-26 2008-03-24 엠텍비젼 주식회사 Optical input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725521B1 (en) 2006-08-16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pad and method of list scroll thereof
KR100859318B1 (en) * 2007-01-04 2008-09-19 에이디반도체(주) Two-stage switch using capacitance sensor and mechanical contactor switch
WO2009026167A3 (en) * 2007-08-17 2009-05-22 Palm Inc Sensor-keypad combination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KR100927439B1 (en) * 2007-08-24 2009-11-19 (주)에이트리 Electronic device and letter input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0890135B1 (en) * 2007-11-15 2009-03-20 주식회사 게임빌 The device for controlling a key input event of a game
KR100974660B1 (en) * 2008-05-20 2010-08-09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nput m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663B1 (en) Method for batch processing of command using pattern recognition of panel input i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17821B1 (en) User interfacing apparatus and method
US8797192B2 (en) Virtual keypad input device
JP5371371B2 (en) Mobile terminal and character display program
KR101115467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keyboard
JP2004213269A (en) Character input device
US9104247B2 (en) Virtual keypad input device
US20070229650A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US20080238877A1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KR20060011174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key input device
KR20100015165A (en) A user interface system using a touch screen pad
US2009010492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entering data on such a device
US20060088143A1 (en) Communications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of providing notes
KR100640504B1 (en) App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icstic recognizing of hand held devices
KR100640402B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variably displaying in difference area with screen electronic touch interfaces window according to input interface mode
KR20060003612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input character preview function
CN110914795A (en) Writing board, writing board assembly and writing method of writing board
JP2013168762A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KR100735662B1 (en) Method for definition pattern i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35708B1 (en) Method for definition command using ac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6074716A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JP6388063B2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ontrol program
JP6191724B2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ontrol program
JP2001242998A (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JP6605921B2 (en) Software keyboard program,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