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6271A -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6271A
KR20060006271A KR1020040055196A KR20040055196A KR20060006271A KR 20060006271 A KR20060006271 A KR 20060006271A KR 1020040055196 A KR1020040055196 A KR 1020040055196A KR 20040055196 A KR20040055196 A KR 20040055196A KR 20060006271 A KR20060006271 A KR 20060006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ubscriber
mobile communication
section
shor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7808B1 (ko
Inventor
서광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808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80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위치 기반 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측 사용자로부터의 도보/지하철/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등록받은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 정보를 탐색하여 해당 이동 경로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해당 구간상의 지도/주소/POI/경로 안내용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며, 가입자가 도보 구간 또는/및 지하철 구간과 같은 보다 정확한 지리 정보와 경로 정보를 획득하여 선택적으로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 거리를 빠른 시간 내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음.
도보 구간,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 지리 정보, 이동 경로, 테마별 POI 정보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Method for furnishing the GIS data using pedestrian path and subway route in mobile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LBS/GIS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중 도보 길 안내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중 도보/지하철 길 안내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중 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x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보/지하철/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메뉴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이동통신 단말기 11 : 기지국
12 : 기지국 제어기 13 : 이동통신 교환기
14 : SMS 센터 15 : PDSN
16 : HLR 17 : LBS/GIS 서버
18 : 지도 DB 19 : 주소/POI DB
20 : 경로 안내용 DB 21 : 가입자 DB
22 : 지하철 DB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위치 기반 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측 사용자로부터의 도보/지하철/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등록받은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 정보를 탐색하여 해당 이동 경로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해당 구간상의 지도/주소/POI/경로 안내용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 기술과 연계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이하 "LBS"라 함) 기술 및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이하 "GIS"라 함) 기술의 발전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사람이나 물건의 위치, 주변 정보 및 이동 경로를 안내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위치 기반 지리 정보 제공 서비스로는 위치 조회 서비스, 주변 건물/도로 정보 검색 서비스, 친구 찾기 서비스, 대중 교통 수단 검색 서비스, 경로(출발지/경유지/목적지) 안내 서비스 등이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지리 정보 제공 서버(LBS/GIS 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예; GPS 위성신호, 접속 기지국 정보 등)를 수집하여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측위 모듈(일명 PDE; Position Determination Entity)과, 상기 측위 모듈에서 파악한 가입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각종 지리 정보(예; 지도, 경로 탐색 정보, 주소, 관심 지점(POI; Point Of Interest, 이하 "POI"라 함) 등)(일명 GIS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지리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가입자가 낯선 지역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지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이동 경로 제공 서비스를 요청함에 따라, 가입자의 현재 위치(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로 정보 주변 POI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예; "50M 전방에서 좌회전 하세요" 등) 등과 같은 지리 정보만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가입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지도 및 경로 안내 정보를 참조하면서 해당 목적지까지 자신의 승용차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종래 기술은 가입자의 이동 경로 제공 요청에 따라 승용차 등과 같은 이동 수단을 대상으로 하는 도로 정보(예; "테헤란로" 등), 주변 POI 정보(예; 은행, 학교 등), 경로 안내 정보(예; "50M 전방에서 좌회전 하세요" 등) 등과 같은 단순한 지리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가입자에게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로의 이동에 필요한 승용차 기반의 단순 지리 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해당 가입자가 도보 구간 및 지하철 운행 구간과 같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최단 거리 및 최소 소요 시간이 걸리는 구간 등과 같은 유용한 지리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가입자의 이동 경로 제공 요청에 따라 이 가입자에게 출발지, 목적지 및 이동 경로를 임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로의 최단 경로 및 그에 따른 도보 구간 및 지하철 운행 구간에 상응하는 지리 정보를 제공하고, 이 가입자가 도보와 지하철 탑승을 통하여 목적지까지 제대로 이동 할 수 있도록 각 도보 구간 및 지하철 운행 구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 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측 사용자로부터의 도보/지하철/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등록받은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 정보를 탐색하여 해당 이동 경로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해당 구간상의 지도/주소/POI/경로 안내용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위치 기반 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도보/지하철 길 안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으면 해당 가입자 정보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목적지 정보 검색이 요청되면 요청 사항을 검색하여 출발지/목적지 정보 검색 결과를 반환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결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가입자의 출발지/목적지 정보로 등록하는 제 3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수단에 따른 경로 정보 확인을 요청받으면 상기 제 3 단계에서 등록한 출발지/목적지 정보를 참조하여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을 탐색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확인한 가입자 정보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정보를 통하여 상기 제 4 단계에서 탐색한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에 따른 상기 가입자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산출한 후에 반환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결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수단이 결정되면 상기 가입자의 이동 경로로 등록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확인한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참조하면서 상기 가입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 4 단계에서 탐색한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 상의 지리 정보, 이동 경로 정보, 특정 이벤트 발생 사실을 지속적으로 추출한 후에 반환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으면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지도/POI 정보를 추출한 후에 반환하는 제 8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설정한 특정 POI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가입자의 테마 POI 정보로 등록하는 제 9 단계;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9 단계에서 등록한 테마 POI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POI간의 최단 이동 경로를 탐색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제 10 단계에서 탐색한 POI간의 최단 이동 경로에 상응하는 지시 사항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반환하는 제 11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LBS/GIS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LBS/GIS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은,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11)과 기지국 제어기(12)와 이동통신 교환기(13)와 SMS 센터(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4)와 PDSN(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5)와 HLR(홈 위치 레지스터)(16)와 LBS/GIS 서버(17)와 지도 DB(18)와 주소/POI DB(19)와 경로 안내용 DB(20)와 가입자 DB(21) 및 지하철 DB(22)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PS 좌표값(예; 위도/경도) 또는 현재 접속한 기지국의 셀 아이디(Cell ID) 등을 LBS/GIS 서버(17)로 전송하여 현재 위치 정보 확인을 요구하고, 그에 따라 LBS/GIS 서버(17)로부터 지도 상에 정합된 현재 위치점 등을 통하여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일명 "도보/지하철/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라 일컬어지는 프로그램을 LBS/GIS 서버(17)로부터 다운로드받아 탑재하며,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가입자에게 출발지/목적지/경로 선택 메뉴 등과 같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LBS/GIS 서버 (17)간에 송수신한 각종 지리 정보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SMS 센터(14)는 LBS/GIS 서버(17)로부터 전송 요청받은 단문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 LBS/GIS 서버(17)는 이동통신 단말기측 가입자가 지하철 운행 구간 중 목적지역에 도착하는 경우에 SMS 센터(14)를 통하여 지하철 목적지역 도착 사실 단문 메시지를 가입자에게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HLR(16)은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LBS/GIS 서버(17)로부터의 가입자 위치 정보 확인 요청에 따라 해당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즉, 가입자 DB(21)에는 일명 "도보/지하철/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HLR(16)에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 모두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도 DB(18)에는 지도 데이터(예; 축척 레벨별 전국 지도,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상세 지도, 고속도로, 국도, 시설물 아이콘 등 등)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주소/POI DB(19)에는 주소/POI 데이터(예; 시/구/동의 명칭, 각 POI의 명칭/위치좌표 등) 등이 검색 항목별로 저장되어 있다. 즉, 주소 검색용 데이터, 지번 검색용 데이터 및 명칭 검색용 데이터, 상세 정보 조회용 데이터 등이 검색 항목별로 분류되어 있다.
상기 경로 안내용 DB(20)에는 가입자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로의 이동 지시 사항 관련 데이터(예; 회전 정보, 로타리 정보, 고속도로 진입/진출 정보 등) 와 그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예; "50M 전방에서 좌회전입니다" 등) 등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가입자 DB(21)에는 "도보/지하철/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의 정보(예; 가입자가 기 지정한 등록 지점, 최근 등록한 지점, 환경 설정 정보(예; 도보 속도, 음성 안내 지원 여부, 진동 지원 여부, 궤적 표시 여부, 평면/입체 지도 정보, 아바타 정보 등) 등)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지하철 DB(22)에는 지하철 정보(지하철 노선별 정보, 지하철 운행 구간별 소요 시간, 환승역간 이동 소요 시간, 지하철 탑승 대기 시간 등)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LBS/GIS 서버(17)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파악한 위치 정보(예; GPS 위성신호, 접속 기지국 정보 등)를 수집하여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의 지리 정보 요청(예; 현재 위치 확인 요청, 주변 시설물 정보 확인 요청, 출발지/목적지 선택에 따른 최단 경로 확인 요청, 이동 경로 탐색 요청, 도보 구간 및 지하철 운행 구간별 세부 정보(소요 시간, 거리 등) 안내 요청, 테마별 주변 시설물 경로 탐색 요청, 모의 주행 요청 등)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지리 정보를 제공한다.
도 2, 도 3a 내지 도 3c,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며, 도 5a 내지 도 5x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보/지하철/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메뉴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을 도 5a 내지 도 5x에 도시되어 있는 "도보/지하철/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메뉴" 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중 도보 길 안내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이 "도보 길 안내 서비스"는 가입자가 별도로 출발지를 선택하지 않아도 되고, 가입자가 목적지만을 선택하며, 그에 따라 가입자에게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최단 도보 구간에 상응하는 지도/POI 정보 및 그에 따른 이동 경로 지시 사항(예; "50M 전방에서 우회전 하세요", "표지판"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도보 길 안내 서비스"는 "도보/지하철/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메뉴"에 익숙하지 않은 가입자에게 쉽고, 편리하게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짧은 거리의 도보 구간을 안내받고자 하는 가입자에게 해당 지리 정보를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도보 길 안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는다(200). 여기서, 가입자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의 "도보/지하철/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메뉴" 중 "1. 이지 나비"를 선택하여 도보 길 안내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며, 해당 요청 사항이 LBS/GIS 서버(17)로 전송된다.
그러면, 가입자 DB(21)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고, 공지의 측위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201).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본 서비스가 종료될 때까지 현재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LBS/GIS 서버(17)로 전송하며, 그에 따라 이 LBS/GIS 서버(17)가 지속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측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201" 과정에서 확인한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출발지 정보로 등록한다(202).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출발지는 GPS로 현위치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며, 목적지만 설정하시면 도보용 길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와 같은 안내 문구가 화면에 표시된다. 이러한 안내 문구는 본 서비스 초기 접속 시에 1회 표시되며, 2회 접속 시부터는 표시되지 않는다.
그런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목적지 정보 검색을 요청받는다(203).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1. 장소명으로 검색", "2. 주소로 검색", "3. 지하철역 검색"과 같은 목적지 정보 검색창이 화면에 표시되며, 그에 따라, 가입자가 검색을 원하는 문구(예; "한미" 등)를 해당 검색창에 입력하여 그에 상응하는 목적지 정보 전송을 요청한다. 이러한 목적지 정보 검색창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해당 카테고리별로 검색을 요청함으로써, LBS/GIS 서버(17)에서의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의 검색 결과 리스트 개수를 줄여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지도 DB(18) 및 주소/POI DB(19)를 통하여 해당 검색 요청 사항을 검색한 후에, 이동통신 단말기로 목적지 정보 검색 결과를 전송한다(204).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목적지 정보 검색 결과(예; "[한미] 서울 서초구..", "[한미] 부산 강서구.." 등)가 표시된다. 그에 따라 가입자는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에 상응하는 목적지 정보를 선택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 목적지 정보를 설정하여 LBS/GIS 서버(17)로 전송하는 것이다(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1. 목적지로 설정하기").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2. 목적지 지도보기"를 통하여 가입자의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도 상의 지점에 기 등록되어 있는 아바타가 표시되며, 가입자가 이 아바타를 이동시켜 목적지 정보를 더욱 세밀하게 보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설정한 목적지 정보를 수신받아, 이 목적지 정보를 등록한다(205).
그런 후, 상기 "202" 과정에서 등록한 출발지 정보 및 상기 "205" 과정에서 등록한 목적지 정보를 참조하여 최단 도보 구간을 탐색한다(206).
그런 후, 상기 "201" 과정에서 확인한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참조하면서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한 결과(이동 경로)에 따른 상기 "206" 과정에서 탐색한 최단 도보 구간 상의 지도/POI/경로 안내용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추출한다(207).
그런 후, 상기 "207" 과정에서 추출한 지도/POI/경로 안내용 데이터를 지속 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208).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수신한 지도/POI/경로 안내용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정합하여 지속적으로 표시한다(209).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지도", "POI",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점에 표시되는 아바타", "이동 방향 지시 화살표", "10M 전방에서 좌회전 표시판"과 같은 화면 데이터가 표시되며, "10M 전방에서 좌회전 하세요"와 같은 음성 데이터가 출력된다.
한편, 상기 "201" 과정에서 확인한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참조하면서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한 결과, 이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 경우(예: 이동통신 단말기(10)가 GPS 수신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GPS 수신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GPS 수신이 가능한 지역이나 건물 밖에서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와 같은 GPS 수신 불능 사실을 통보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중 도보/지하철 길 안내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이 "도보/지하철 길 안내 서비스"는 가입자가 출발지, 목적지 및 이동 수단에 따른 경로 등을 다양하게 선택하며, 그에 따라 가입자에게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필요한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에 상응하는 지도/POI 정보 및 그에 따른 이동 경로 지시 사항(예; "50M 전방에서 우회전 하세요", "표지판"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도보/지하철 길 안내 서비스"는 "도보/지하철/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메뉴"에 익숙한 가입자에게 다양한 이동 경로 정보를 제공하며, 가입자가 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도보/지하철 길 안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는다(300). 여기서, 가입자는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의 "도보/지하철/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메뉴" 중 "1. 매니아 나비"를 선택하여 도보/지하철 길 안내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며, 해당 요청 사항이 LBS/GIS 서버(17)로 전송된다.
그러면, 가입자 DB(21)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고, 지하철 DB(22)를 통하여 지하철 정보를 확인하고, 공지의 측위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301).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본 서비스가 종료될 때까지 현재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LBS/GIS 서버(17)로 전송하며, 그에 따라 이 LBS/GIS 서버(17)가 지속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측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출발지 정보 검색을 요청받는다(302).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1. 현위치 선택" 및 "2. 특정위치 선택" 메뉴가 표시되며, 그에 따라, 가입자가 해당 메뉴를 선택한다.
이 때, 가입자가 "1. 현위치 선택"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201" 과정에서 확인한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가 출발지 정보로 등록되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는 도 5d에 도시되어 있는 "현위치 조회" 창이 표시된다.
한편, 가입자가 "2. 특정위치 선택" 메뉴를 선택하면 도 5d에 도시되어 있는 "1. 장소명으로 검색", "2. 주소로 검색", "3. 지하철역 검색"과 같은 출발지 정보 검색창이 화면에 표시되며, 그에 따라, 가입자가 검색을 원하는 문구(예; "한미" 등)를 해당 검색창에 입력하여 그에 상응하는 출발지 정보 전송을 요청한다.
이러한 출발지 정보 검색창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해당 카테고리별로 검색을 요청함으로써, LBS/GIS 서버(17)에서의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의 검색 결과 리스트를 줄여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지도 DB(18) 및 주소/POI DB(19)를 통하여 해당 검색 요청 사항을 검색한 후에, 이동통신 단말기로 출발지 정보 검색 결과를 전송한다(303).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d에 도시되어 있는 출발지 정보 검색 결과(예; "[한미] 서울 서초구..", "[한미] 부산 강서구.." 등)가 표시된다. 그에 따라 가입자는 출발지에 상응하는 출발지 정보를 선택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 출발지 정보를 설정하여 LBS/GIS 서버(17)로 전송하는 것이다(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1. 출발지로 설정하기").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d에 도시되어 있는 "2. 출발지 지도보기"를 통하여 가입자의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도 상의 지점에 기 등록되어 있는 아바타가 표시되며, 가입자가 이 아바타를 이동시켜 출발지 정보를 더욱 세밀하게 보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설정한 출발지 정보를 수신받아, 이 출발지 정보를 등록한다(304).
그리고 나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목적지 정보 검색을 요청받는다(305).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e에 도시되어 있는 "1. 장소명으로 검색", "2. 주소로 검색", "3. 지하철역 검색"과 같은 목적지 정보 검색창이 화면에 표시되며, 그에 따라, 가입자가 검색을 원하는 문구(예; "한미" 등)를 해당 검색창에 입력하여 그에 상응하는 목적지 정보 전송을 요청한다.
한편, 가입자 DB(21)에는 가입자가 본 서비스를 이용했을 때의 해당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 해당 정보는 최근에 이 가입자가 등록했던 출발지/목적지/이동 경로 정보, 사전에 등록해 두었던 특정 지점 정보 등이다.
즉, 상기 가입자는 자신이 기 등록해 두었던 정보,도 5e에 도시되어 있는 "2. 최근리스트검색" 메뉴, "3. 등록지점검색" 메뉴, "4.주변시설물검색" 메뉴, "5.친구검색" 메뉴를 통하여 목적지 정보 검색을 요청할 수도 있다.
도 5f에는 "최근리스트검색" 메뉴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g에는 "등록지점검색" 메뉴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5h에는 "주변시설물검색" 메뉴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i에는 "친구검색" 메뉴가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지 정보 검색창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해당 카테고리별로 검색을 요청함으로써, LBS/GIS 서버(17)에서의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의 검색 결과 리스트를 줄여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지도 DB(18), 주소/POI DB(19) 및 가입자 DB(21)를 통하여 해당 검색 요청 사항을 검색한 후에, 이동통신 단말기로 목적지 정보 검색 결과를 전송한다(306).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e에 도시되어 있는 출발지 정보 검색 결과(예; "[한미] 서울 중구 서린동", "[한미] 부산 강서구.." 등)가 표시된다. 그에 따라 가입자는 목적지에 상응하는 목저지 정보를 선택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 목적지 정보를 설정하여 LBS/GIS 서버(17)로 전송하는 것이다(도 5e에 도시되어 있는 "1. 목적지로 설정하기").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e에 도시되어 있는 "2. 목적지 지도보기"를 통하여 가입자의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도 상의 지점에 기 등록되어 있는 아바타가 표시되며, 가입자가 이 아바타를 이동시켜 목적지 정보를 더욱 세밀하게 보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설정한 목적지 정보를 수신받아, 이 목적지 정보를 등록한다(307).
그리고 나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이동 수단에 따른 경로 정보 확인을 요청받는다(308).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j에 도시되어 있는 "1.도보", "2.도보+지하철"과 같은 이동 수단에 따른 경로 선택창이 화면에 표시되며, 그에 따라, 가입자가 목적지까지로의 이동 수단을 선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설정시키며, 그에 상응하는 경로 정보 전송을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설정한 경로 정보 확인 요청 사항을 판별하여 해당 이동 수단을 파악한다(309).
상기 이동 수단 파악 결과(309),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설정한 경로 정보 확인 요청 사항이 도보에 대한 사항이면 상기 "304" 과정에서 등록한 출발지 정보 및 상기 "307" 과정에서 등록한 목적지 정보를 참조하여 최단 도보 구간을 탐색한다(310).
그런 후, 상기 "301" 과정에서 확인한 가입자 정보 중 도보 속도 설정 정보를 통하여 상기 "310" 과정에서 탐색한 최단 도보 구간의 이동 경로 정보(예; 소요 시간, 이동 거리, 도보 구간명 등)을 산출한다(311). 여기서, 소요 시간은 도 5x에 도시되어 있는 "길안내환경설정" 메뉴를 통하여 가입자가 사전에 등록해 두었던 "도보속도"에 따라 이동거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산출되는 것이다. 도 5v에 도시되어 있는 "도보속도" 중 "표준"은 4km/h이고, "빠르게"는 5km/h이고, "느리게"는 5km/h이다.
그런 후, 상기 "311" 과정에서 산출한 최단 도보 구간의 이동 경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312).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j에 도시되어 있는 "예상 소요 시간: 45분, 이동거리:5km, 경로:현위치명->서린동" 등과 같은 최단 도보 구간의 이동 경로 정보가 표시된다. 그에 따라 가입자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보에 따른 이동 경로를 선택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 이동 경로 정보를 설정하여 LBS/GIS 서버(17)로 전송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 수단 파악 결과(309),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설정한 경로 정보 확인 요청 사항이 도보 및 지하철에 대한 사항이면 상기 "304" 과정에서 등록한 출발지 정보 및 상기 "307" 과정에서 등록한 목적지 정보를 참조하여 최단 도보 구간 및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을 탐색한다(313).
그런 후, 상기 "301" 과정에서 확인한 가입자 정보 중 도보 속도 설정 정보 및 상기 "301" 과정에서 확인한 지하철 정보를 통하여 상기 "313" 과정에서 탐색한 최단 도보 구간 및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의 이동 경로 정보(예; 소요 시간, 이동 거리, 도보 구간명, 지하철 운행 구간명(해당 노선별 지하철역명) 등)을 산출한다(314). 여기서, 소요 시간은 도 5x에 도시되어 있는 "길안내환경설정" 메뉴를 통하여 가입자가 사전에 등록해 두었던 "도보속도" 및 지하철 DB(22)에 저장되어 있는 지하철 노선별 정보, 지하철 운행 구간별 소요 시간, 환승역간 이동 소용 시간, 지하철 탑승 대기 시간 등에 따라 이동거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산출되는 것이다.
그런 후, 상기 "314" 과정에서 산출한 최단 도보 구간 및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의 이동 경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315).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j에 도시되어 있는 "예상 소요 시간: 35분, 이동거리:25km, 경로: ①도보: 현위치명->서초역, ②지하철:서초역(2호선)->광화문역(5호선), ③도보:광화문역(5호선)->서린동)" 등과 같은 최단 도보 구간 및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의 이동 경로 정보가 표시된다. 그에 따라 가입자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보 및 지하철에 따른 이동 경로를 선택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 이동 경로 정보를 설정하여 LBS/GIS 서버(17)로 전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설정한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신받아, 이 이동 경로 정보를 등록한다(316). 이하, 가입자가 이동 경로 정보를 "도보+지하철"로 등록시킨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런 후, 상기 "301" 과정에서 확인한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참조하면서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이동 경로)를 지속적으로 파악한다(317).
상기 가입자 현재 위치 파악 결과(317),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313" 과정에서 탐색한 최단 도보 구간 중 특정 지점이면 이 지점 주변의 지리 정보(지도/POI/경로 안내용 데이터)를 추출한다(318).
그런 후, 상기 "318" 과정에서 추출한 지도/POI/경로 안내용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319).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수신한 지도/POI/경로 안내용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정합하여 지속적으로 표시한다(320).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k에 도시되어 있는 "지도", "POI",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점에 표시되는 아바타", "이동 방향 화살표", "10M 전방에서 좌회전 표시판"과 같은 화면 데이터가 표시되며, "10M 전방에서 좌회전 하세요"와 같은 음성 데이터가 출력된다.
한편, 상기 가입자 현재 위치 파악 결과(317),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313" 과정에서 탐색한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 중 특정 지하철 출발역이면 이 출발역으로부터 목적지역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예; 출발역명, 경유역명, 목적지역명 및 소요 시간 등)을 산출한다(321).
그런 후, 상기 "321" 과정에서 산출한 출발역/목적지역 경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322).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기 "320" 과정에서의 지도/POI/경로 안내용 데이터 표시를 중지하고, 상기 수신한 출발역/목적지역 경로 정보를 표시한 다(323).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l에 도시되어 있는 "대중교통연계구간입니다","서초역(2호선)->교대역(3호선)->종로3가역(3호선)->광화문역(5호선), 예상 소요시간:25분, 총 13 정거장" 등과 같은 출발역/목적지역 경로 정보가 화면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가입자 현재 위치 파악 결과(317),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313" 과정에서 탐색한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 중 특정 목적지역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목적지역 도착 사실을 통보한다(324).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m에 도시되어 있는 "목적지에 도착하였습니다"와 같은 문자 메시지가 표시된다.
한편, 상기 가입자 현재 위치 파악 결과(317),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313" 과정에서 탐색한 이동 경로(최단 도보 구간 및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을 벗어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경로 이탈 사실을 통보한다(325). 그에 따라, 가입자가 경로 이탈 사실을 인지하여 해당 구간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m에 도시되어 있는 "경로 이탈"이라는 문구가 표시되거나 "경로 이탈 되었습니다"와 같은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며, 그에 따라, 가입자가 경로 이탈 사실을 인지하여 도 5k에 도시되어 있는 "1.경로재탐색" 메뉴를 선택하여 경로 재탐색을 요청하거나 이러한 경로 재탐색 요청이 일정시간동안 없으면 자동으로 경로를 재탐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복귀한 위치)를 참조하여 최단 도보 구간 및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을 재탐색한다(326).
그런 후, 상기 "326" 과정에서 재탐색한 최단 도보 구간 및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 상의 지리 정보(지도/POI/경로 안내용 데이터)를 추출한다(327).
그런 후, 상기 "327" 과정에서 추출한 지도/POI/경로 안내용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328).
한편, 상기 가입자 현재 위치 파악 결과(317),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 경우(예: 이동통신 단말기(10)가 GPS 수신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GPS 수신 불능 사실을 통보한다(329).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m에 도시되어 있는 "GPS 수신불량"과 같은 GPS 수신 불능 사실 통보 메시지가 표시된다.
부가적으로, 가입자가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 5k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전체경로보기" 메뉴에 대한 기능을 제공한다. 즉, 가입자가 출발지, 목적지 및 이동 경로를 선택한 후에 "전체경로보기" 메뉴를 선택하며,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전체 이동 경로에 상응하는 지도/주소/POI 데이터 전송을 LBS/GIS 서버(17)로 요청한다. 그러면, 이 LBS/GIS 서버(17)는 도 5o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요청 사항에 상응하는 지도/주소/POI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 이미지 파일은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 상에 모두 표시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가입자가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시뮬레이션 해 볼 수 있도록, 도 5k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의주행" 메뉴에 대한 기능을 제공한다. 즉, 가입자가 출발지, 목적지 및 이동 경로를 선택한 후에 "모의주행" 메뉴를 선택하 며,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해당 이동 경로에 상응하는 모의주행 결과 전송을 LBS/GIS 서버(17)로 요청한다. 그러면, 이 LBS/GIS 서버(17)는 도 5p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요청 사항에 상응하는 모의 주행 결과(예; 아바타를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로 이동시키면서 해당 경로 표시 등)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 때, 모의 주행 중에는 음성 및 진동을 통한 경로 안내는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지리 정보 및 이동 경로 정보가 표시되는 중에 본 서비스를 중지시키는 기능, 일명 도 5k에 도시되어 있는 "2.대기모드로 전환" 메뉴에 대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 "2.대기모드로 전환" 기능이 선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수행 중인 본 서비스 관련 정보(지리/주소/POI/경로 안내용 데이터 등)가 저장된 후에 프로그램이 종료되며, 도 5n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서비스 프로그램이 재수행될 때에 저장되었던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서비스 기능이 재개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지리 정보 및 이동 경로 정보가 표시되는 중에 공지의 통신 기능, 즉 도 5k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전화걸기" 메뉴에 대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 "3. 전화걸기" 메뉴가 선택되면 본 서비스가 일시 중지되며, 공지의 전화 걸기 기능이 수행된다. 한편, 본 서비스 수행 중에 공지의 전화 받기 기능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입자가 지하철에 탑승하여 가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 중에 다양한 지하철 관련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가입자가 도 5q에 도 시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의 "도보/지하철/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메뉴" 중 "4. 써브웨이 나비"를 선택하고, "1.지하철 경로 안내"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목적지역을 선택하면 이 가입자가 현재 위치한 지하철역부터 목적지역까지의 지하철 노선 정보, 소요 시간 등과 같은 지하철 정보가 제공된다. 그리고, 가입자가 도 5r에 도시되어 있는 "2. 지하철 블로그"를 선택하면 "지역별 블로그"와 같이 각 노선별 블로그 커뮤니티 항목이 표시된다. 그리고, 가입자가 도 5r에 도시되어 있는 "3. 지하철 미팅"을 선택하면 이 가입자가 현재 위치한 지하철역 또는 가장 가까운 주변역 등에서 지하철 미팅을 신청한 가입자와의 만남을 주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중 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이 "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는 가입자가 출발지, 목적지 및 이동 경로를 선택하지 않으며, 가입자에게 현재 위치한 지역 주변의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특정 POI들의 지리 정보 및 그에 따른 이동 경로 지시 사항(예;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거리가 가장 가까운 POI부터 가장 먼 POI까지의 이동 방향 화살표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는 가입자에게 현재 위치한 지역에 대한 특정 POI들을 카테고리별로 그 이동 경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가입자가 관심을 두고 있는 POI 모두를 빠른 시간 내에 방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는다(400). 여기서, 가입자는 도 5s에 도시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의 "도보/지하철/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메뉴" 중 "1. 테마 나비"를 선택하여 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며, 해당 요청 사항이 LBS/GIS 서버(17)로 전송된다.
그러면, 공지의 측위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401).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본 서비스가 종료될 때까지 현재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LBS/GIS 서버(17)로 전송하며, 그에 따라 이 LBS/GIS 서버(17)가 지속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측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그런 후, 상기 "401" 과정에서 확인한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참조하여 주변의 지리 정보(지도/주소/POI 데이터)를 추출한다(402).
그런 후, 상기 "402" 과정에서 추출한 지리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403).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수신한 지도/주소/POI 데이터를 정합하여 표시한다(404).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s에 도시되어 있는 "지도", "POI",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점에 표시되는 아바타" 등이 표시된다. 그에 따라, 가입자가 도 5t에 도시되어 있는 "분류별 지도보기" 메뉴를 선택하여 그 중에서 자신이 관심을 두고 있는(이동하고자 하는) 동일한 카테고리별 POI("1.음식점/편의점", "2.PC방/노래방". "3.은행/증권". "4.병원/약국", "5.학교/학원" 등)를 선택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가입자가 선택한 POI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POI 모두를 활성화시킨다(405). 여기서, POI 활성화란 도 5t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입자가 선택한 POI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POI 모두가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POI와 구별될 수 있도록 화면 상에서 볼록 튀어나오도록 보이게 하거나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POI 모두를 화면 상에서 사리지게 하는 것이다.
그런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기 "405" 과정에서 활성화시킨 POI를 테마별 POI 정보로 설정하여 LBS/GIS 서버(17)로 전송한다(406).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설정한 테마별 POI 정보를 수신받아, 이 테마별 POI 정보를 등록한다(407).
그런 후, 상기 "401" 과정에서 확인한 가입자의 현재 위치 및 상기 "407" 과정에서 등록한 테마별 POI 정보를 참조하여 최단 POI 이동 경로를 탐색한다(408). 여기서, 최단 POI 이동 경로란 가입자가 선택한 카테고리별 POI 중 현재 위치에서 가장 거리가 가까운 POI부터 경유 POI를 거쳐 가장 거리가 먼 POI까지 최단 소요 시간이 걸리는 이동 경로를 말한다.
그런 후, 상기 "408" 과정에서 탐색한 최단 POI 이동 경로에 상응하는 지시 사항(예; 각 POI간의 이동 지시 화살표 등)을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409).
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수신한 최단 POI 이동 경로에 상응 하는 지시 사항을 표시한다(410).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t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입자가 "1.음식점/편의점"을 선택한 경우에는 현재 위치에서 가장 거리가 가까운 "한식 전문점"부터 "우동 전문점" 및 "서초 불고기집"을 거쳐 가장 거리가 먼 "서울식당"까지의 이동 방향 지시 화살표가 표시된다. 그에 따라, 가입자는 해당 이동 방향 지시 화살표를 참조하면서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음식점" 모두를 빠른 시간 내에 방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가입자가 위치한 현재 지역 주변의 지도/주소/POI 데이터를 표시한 상태에서, 가입자의 "분류별 지도보기" 메뉴 선택을 통하여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POI 모두를 활성화시킨 후에 가입자가 선택하는 특정 POI에 대한 최단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도 5s에 도시되어 있는 "지도", "POI",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점에 표시되는 아바타" 등이 표시된 상태에서, 가입자가 도 5u에 도시되어 있는 "분류별 지도보기" 메뉴를 선택하여 그 중에서 자신이 관심을 두고 있는(이동하고자 하는) 동일한 카테고리별 POI("1.음식점/편의점", "2.PC방/노래방". "3.은행/증권". "4.병원/약국", "5.학교/학원" 등)를 선택한다.
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가입자가 선택한 POI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POI 모두를 활성화시키며, 가입자가 도 5u에 도시되어 있는 활성화된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모든 POI 중 목적지 POI를 선택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 목적지 POI 정보를 설정하여 LBS/GIS 서버(17)로 전송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u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목적지 POI 선택" 메 뉴창이 화면에 표시되며, 가입자가 "1.음식점/편의점"을 선택한 상태에서 "1.서울식당"을 목적지 POI 정보로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설정한 목적지 POI 정보를 수신받아, 이 목적지 POI 정보를 등록한다.
그런 후, 상기 "401" 과정에서 확인한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등록한 목적지 POI 정보를 참조하여 최단 이동 경로를 탐색한 후에 이 최단 이동 경로에 상응하는 이동 지시 사항(예; 이동 방향 지시 화살표 등) 및 목적지 POI 간략 정보 등을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수신한 이동 지시 사항 및 목적지 POI 간략 정보 등을 표시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도 5u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위치한 지점부터 목적지 POI("서울식당")까지의 이동 방향 지시 화살표 및 해당 목적지("서울식당")에 대한 간략 정보(예: 주소, 전화번호 등) 등이 표시된다.
도 5v 및 도 5x에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도보/지하철/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메뉴 중 환경 설정 메뉴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가입자는 도 5v 및 도 5x에 도시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의 "도보/지하철/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메뉴" 중 "5. 환경 설정"을 선택하여 환경 설정 정보 등록을 요청하며, 해당 요청 사항이 LBS/GIS 서버(17)로 전송된다.
이 LBS/GIS 서버(17)는 수신한 환경 설정 정보 요청 사항을 가입자 DB(21)에 저장시켜 해당 가입자의 서비스 요청 사항에 따른 지리 정보를 제공하는데 관련 참조 정보로 이용한다.
즉, 가입자가 도 5v에 도시되어 있는 "도보속도"를 "표준"으로 설정해 두었으면 가입자로부터의 최단 도보 구간에 대한 이동 경로 정보 산출 요청에 따라 이 가입자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총거리를 이 도보속도를 기준으로 그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가입자에게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데 "음성 지원 여부", "진동 지원 여부" 및 "궤적 표시 여부", "평면 지도 데이터 표시", "입체 지도 데이터 표시" 및 해당 가입자의 "아바타 설정" 등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보 구간 또는/및 지하철 운행 구간을 연계한 지리 정보 및 이동 경로 정보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도보 구간과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 특히 버스 등과 같은 대중적인 이동 수단을 연계한 지리 정보 및 이동 경로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대중 교통 수단을 연계한 지리 정보 및 이동 경로 정보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기술자는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원리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 등과 같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다양한 이동 경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가입자가 보다 정확한 지리 정보와 경로 정보를 획득하여 선택적으로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 거리를 빠른 시간 내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입자가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에 대한 지리 정보를 통하여 이동하는 중에 이 가입자의 위치를 파악한 결과에 따라 출발역/목적지역 경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목적지역 도착 사실을 통보하거나 경로 이탈 사실을 통보하기 때문에 가입자가 현재 위치한 장소에서의 정확한 지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정확한 지리 정보 및 지시 사항에 따라 목적지까지 제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입자에게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POI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현재 위치한 장소 주변의 동일 카테고리별 POI간의 최단 이동 경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가입자가 음식점 등과 같은 동일한 업종 등을 갖는 POI 정보를 한 눈에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현재 위치한 장소 주변의 각 POI 모두를 빠른 시간 내에 방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이동통신 단말기로 위치 기반 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도보/지하철 길 안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으면 해당 가입자 정보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목적지 정보 검색이 요청되면 요청 사항을 검색하여 출발지/목적지 정보 검색 결과를 반환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결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가입자의 출발지/목적지 정보로 등록하는 제 3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수단에 따른 경로 정보 확인을 요청받으면 상기 제 3 단계에서 등록한 출발지/목적지 정보를 참조하여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을 탐색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확인한 가입자 정보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정보를 통하여 상기 제 4 단계에서 탐색한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에 따른 상기 가입자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산출한 후에 반환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결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수단이 결정되면 상기 가입자의 이동 경로로 등록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확인한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참조하면서 상기 가 입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 4 단계에서 탐색한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 상의 지리 정보, 이동 경로 정보, 특정 이벤트 발생 사실을 지속적으로 추출한 후에 반환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출발지/목적지 정보는 장소명, 주소명 및 지하철역명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목적지 정보는 상기 가입자가 기 설정시킨 특정 지점, 최근 서비스 이용 지점, 주변 POI 정보, 타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제 2 단계에 반환된 출발지/목적지 정보 검색 결과에 상응하는 지도 상의 위치 정보를 가입자가 고려하여 임의적으로 보정시킨 출발지/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가입자의 출발지/목적지 정보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측 가입자가 기 설정시킨 도보 속도, 특정 지점, 최근 서비스 이용 지점, 음성 안내 지원 여부, 진동 지원 여부, 평면/입체 지도 표시 정보, 아바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 교통 수단 정보는, 대중 교통 수단의 노선별 정보, 대중 교통 수단의 운행 구간별 소요 시간, 대중 교통 수단의 환승 정거장간 이동 소요 시간, 대중 교통 수단의 탑승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확인한 가입자 정보 중 도보 속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정보 중 대중 교통 수단의 노선별 정보, 대중 교통 수단의 운행 구간별 소요 시간, 대중 교통 수단의 환승 정거장간 이동 소요 시간, 대중 교통 수단의 탑승 대기 시간을 통하여 상기 제 4 단계에서 탐색한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에 따른 상기 가입자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 정보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이동 거리 및 도보 구간 중의 경로명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 중의 정거장역 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 또는 상기 제 7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가입자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전체 경로 정보 확인을 요청받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제 4 단계에서 탐색한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 상의 지도/주소/POI/경로용 안내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 또는 상기 제 7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가입자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전체 경로 모의 주행 정보 확인을 요청받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특정 표시자를 상기 제 4 단계에서 탐색한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 상에 정합시켜 순차적으로 이동시킨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에서,
    가입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제 4 단계에서 탐색한 최단 도보 구간 중 특정 지점이면 해당 지점 주변의 지도/주소/POI/경로 안내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리 정보를 추출한 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에서,
    가입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제 4 단계에서 탐색한 최단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 중 특정 출발 정거장이면 해당 출발 정거장부터 목적지 정거장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추출한 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에서,
    가입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제 4 단계에서 탐색한 최단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 중 특정 목적지 정거장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목적지 정거장 도착 사실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에서,
    가입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제 4 단계에서 탐색한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을 벗어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경로 이탈 사실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경로 이탈 사실을 통보한 후에, 상기 가입자의 복귀 위치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등록한 목적지 정보를 참조하여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을 재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재탐색한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 상의 지도/주소/POI/경로 안내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리 정보를 추출한 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으면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지도/POI 정보를 추출한 후에 반환하는 제 8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설정한 특정 POI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가입자의 테마 POI 정보로 등록하는 제 9 단계;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9 단계에서 등록한 테마 POI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POI간의 최단 이동 경로를 탐색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제 10 단계에서 탐색한 POI간의 최단 이동 경로에 상응하는 지시 사항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반환하는 제 11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 단계에서,
    상기 제 9 단계에서 등록한 테마 POI 정보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POI 중 가입자의 현재 위치에 가장 거리가 가까운 POI부터 인근 경유 POI를 거쳐 가장 거리가 먼 POI까지 최단 소요 시간이 걸리는 이동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으면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지도/POI 정보를 추출한 후에 반환하는 제 8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설정한 특정 POI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가입자의 목적지 POI 정보로 등록하는 제 9 단계;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9 단계에서 등록한 목적지 POI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 POI까지의 최단 이동 경로를 탐색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제 10 단계에서 탐색한 최단 이동 경로에 상응하는 지시 사항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반환하는 제 11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19. IP망에 연결된 위치 기반 지리 정보 제공 서버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도보/지하철 길 안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으면 해당 가입자 정보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목적지 정보 검색이 요청되면 요청 사항을 검색하여 출발지/목적지 정보 검색 결과를 반환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결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가입자의 출발지/목적지 정보로 등록하는 제 3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수단에 따른 경로 정보 확인을 요청받으면 상기 제 3 단계에서 등록한 출발지/목적지 정보를 참조하여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을 탐색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확인한 가입자 정보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정보를 통하여 상기 제 4 단계에서 탐색한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대중 교통 수단 운행 구간에 따른 상기 가입자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산출한 후에 반환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결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수단이 결정되면 상기 가입자의 이동 경로로 등록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확인한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참조하면서 상기 가입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 4 단계에서 탐색한 최단 도보 구간 또는/및 최단 지하철 운행 구간 상의 지리 정보, 이동 경로 정보, 특정 이벤트 발생 사실을 지속적으로 추출한 후에 반환하는 제 7 단계
    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으면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지도/POI 정보를 추출한 후에 반환하는 제 8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설정한 특정 POI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가입자의 테마 POI 정보로 등록하는 제 9 단계;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9 단계에서 등록한 테마 POI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POI간의 최단 이동 경로를 탐색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제 10 단계에서 탐색한 POI간의 최단 이동 경로에 상응하는 지시 사항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반환하는 제 11 단계
    를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테마별 POI 길 안내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으면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가입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지도/POI 정보를 추출한 후에 반환하는 제 8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설정한 특정 POI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가입자의 목적지 POI 정보로 등록하는 제 9 단계;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9 단계에서 등록한 목적지 POI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가입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 POI까지의 최단 이동 경로를 탐색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제 10 단계에서 탐색한 최단 이동 경로에 상응하는 지시 사항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반환하는 제 11 단계
    를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55196A 2004-07-15 2004-07-15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KR100627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196A KR100627808B1 (ko) 2004-07-15 2004-07-15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196A KR100627808B1 (ko) 2004-07-15 2004-07-15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271A true KR20060006271A (ko) 2006-01-19
KR100627808B1 KR100627808B1 (ko) 2006-09-25

Family

ID=37117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196A KR100627808B1 (ko) 2004-07-15 2004-07-15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808B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499B1 (ko) * 2004-10-11 2007-02-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화번호를 이용한 목적지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WO2007120397A1 (en) * 2006-03-27 2007-10-25 Microsoft Corporation Transit-coordinated local search
KR100849944B1 (ko) * 2006-11-15 2008-08-04 주식회사 로지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철역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WO2009108458A3 (en) * 2008-02-26 2009-10-22 Microsoft Corporation Learning transportation modes from raw gps data
WO2009145438A1 (ko) * 2008-03-31 2009-12-03 팅크웨어(주) 가상 poi를 이용한 맵의 광고 방법 및 시스템
WO2011021899A3 (en) * 2009-08-21 2011-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anaging, and sharing moving path
KR101101973B1 (ko) * 2009-12-31 2012-01-02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내비게이션과 휴대 전자기기의 서버와 클라이언트 연동 방법
KR101255029B1 (ko) * 2011-07-26 2013-04-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US8966121B2 (en) 2008-03-03 2015-02-24 Microsoft Corporation Client-side management of domain name information
US8972177B2 (en) 2008-02-26 2015-03-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for logging life experiences using geographic cues
US9009177B2 (en) 2009-09-25 2015-04-14 Microsoft Corporation Recommending points of interests in a region
US9063226B2 (en) 2009-01-14 2015-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spatial outliers in a location entity dataset
US9261376B2 (en) 2010-02-24 2016-02-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oute computation based on route-oriented vehicle trajectories
US9536146B2 (en) 2011-12-21 2017-0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rmine spatiotemporal causal interactions in data
US9593957B2 (en) 2010-06-04 2017-03-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arching similar trajectories by locations
US9754226B2 (en) 2011-12-13 2017-09-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rban computing of route-oriented vehicles
KR20180069409A (ko) *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목적지 안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텔레매틱스 서버
US10288433B2 (en) 2010-02-25 2019-05-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p-matching for low-sampling-rate GPS trajectories
KR102139583B1 (ko) * 2019-07-05 2020-07-29 팜펌 주식회사 약국매칭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약국매칭서비스 시스템
KR20210004800A (ko) * 2020-01-09 2021-01-13 팜펌 주식회사 약국매칭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약국매칭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496B1 (ko) 2010-06-30 2012-03-30 엔에이치엔(주)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이동 소요 시간을 계산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271541B1 (ko) 2011-10-24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길 찾기 방법
KR102216467B1 (ko) 2014-08-07 2021-02-17 티맵모빌리티 주식회사 주변 정류장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15061B1 (ko) 2018-10-25 2021-02-10 티맵모빌리티 주식회사 주변 정류장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499B1 (ko) * 2004-10-11 2007-02-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화번호를 이용한 목적지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WO2007120397A1 (en) * 2006-03-27 2007-10-25 Microsoft Corporation Transit-coordinated local search
US7571050B2 (en) 2006-03-27 2009-08-04 Microsoft Corporation Transit-coordinated local search
KR100849944B1 (ko) * 2006-11-15 2008-08-04 주식회사 로지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철역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US8315959B2 (en) 2008-02-26 2012-11-20 Microsoft Corporation Learning transportation modes from raw GPS data
WO2009108458A3 (en) * 2008-02-26 2009-10-22 Microsoft Corporation Learning transportation modes from raw gps data
US9683858B2 (en) 2008-02-26 2017-06-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earning transportation modes from raw GPS data
US8972177B2 (en) 2008-02-26 2015-03-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for logging life experiences using geographic cues
US8015144B2 (en) 2008-02-26 2011-09-06 Microsoft Corporation Learning transportation modes from raw GPS data
US8966121B2 (en) 2008-03-03 2015-02-24 Microsoft Corporation Client-side management of domain name information
KR100997873B1 (ko) * 2008-03-31 2010-12-02 팅크웨어(주) 가상 poi를 이용한 맵의 광고 방법 및 시스템
WO2009145438A1 (ko) * 2008-03-31 2009-12-03 팅크웨어(주) 가상 poi를 이용한 맵의 광고 방법 및 시스템
US9063226B2 (en) 2009-01-14 2015-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spatial outliers in a location entity dataset
WO2011021899A3 (en) * 2009-08-21 2011-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anaging, and sharing moving path
US9009177B2 (en) 2009-09-25 2015-04-14 Microsoft Corporation Recommending points of interests in a region
US9501577B2 (en) 2009-09-25 2016-11-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commending points of interests in a region
KR101101973B1 (ko) * 2009-12-31 2012-01-02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내비게이션과 휴대 전자기기의 서버와 클라이언트 연동 방법
US9261376B2 (en) 2010-02-24 2016-02-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oute computation based on route-oriented vehicle trajectories
US10288433B2 (en) 2010-02-25 2019-05-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p-matching for low-sampling-rate GPS trajectories
US9593957B2 (en) 2010-06-04 2017-03-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arching similar trajectories by locations
US10571288B2 (en) 2010-06-04 2020-02-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arching similar trajectories by locations
KR101255029B1 (ko) * 2011-07-26 2013-04-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US9754226B2 (en) 2011-12-13 2017-09-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rban computing of route-oriented vehicles
US9536146B2 (en) 2011-12-21 2017-0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rmine spatiotemporal causal interactions in data
KR20180069409A (ko) *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목적지 안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텔레매틱스 서버
KR102139583B1 (ko) * 2019-07-05 2020-07-29 팜펌 주식회사 약국매칭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약국매칭서비스 시스템
KR20210004800A (ko) * 2020-01-09 2021-01-13 팜펌 주식회사 약국매칭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약국매칭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808B1 (ko) 2006-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808B1 (ko)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EP2972087B1 (en) Navigation system with dynamic updat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590949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
US8244454B2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US8428869B2 (en) Context enabled address selection
CN100507450C (zh) 导航设备和服务器设备
US9677903B2 (en) Selected driver notification of transitory roadtrip events
US20090299620A1 (en) Method for searching routes of a portable terminal
JP2002357444A (ja) 移動端末を使用した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10063825A (ko) 관심지점 데이터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서버 장치 및 방법
WO2009080074A1 (en) Navigation device & method
JP4619319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経路探索サーバ
US20080306685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exploiting idle times of a navigation system
KR100712828B1 (ko)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대리운전시스템 및 이의 방법
JP4163741B1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探索方法
KR100906242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검색 네비게이션 단말기, 그 입력 방법 및 검색방법
KR20020001369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0601863B1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82139A (ko) 개인 교통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3591456B2 (ja)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
JP3049064U (ja) 歩行者用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TW201232305A (en) Method of communicating content to a user, mobile computing apparatus, and content delivery system
JP3049063U (ja) 歩行者用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758058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1099821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