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088A - Battery power managemen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Battery power managemen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088A
KR20050117088A KR1020040042277A KR20040042277A KR20050117088A KR 20050117088 A KR20050117088 A KR 20050117088A KR 1020040042277 A KR1020040042277 A KR 1020040042277A KR 20040042277 A KR20040042277 A KR 20040042277A KR 20050117088 A KR20050117088 A KR 20050117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charg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2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86702B1 (en
Inventor
윤광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2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702B1/en
Publication of KR2005011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0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70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9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switching to a backup pow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의 사용 용도를 그 남은 용량에 따라 구분하여, 용량이 충분할 경우에는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의 이용이 가능하게 하고, 소정 용량 이하에서는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의 이용을 차단하여, 긴급 상황 시 통화 기능을 위한 최소한의 전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지정된 배터리를 인에이블 시키는 배터리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 제어부를 통해 인에이블된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단말기에 공급하거나 전원 충전을 제어하는 전원 관리부와; 상기 전원 관리부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와; 상기 배터리 제어부에 의해 배터리 충전을 위한 직류 전원을 상기 전원 충전부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충전부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전류에 의해 순차적으로 충전되게 접속한 복수의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use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remaining capacity, and if the capacity is sufficient, it is possible to use the entertainment program, and below the predetermined capacity to block the use of the entertainment program, at least for the emergency call function A battery power management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ecure a power suppl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battery controller for enabling a designated battery according to a service program to be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ower manager for stably supplying power output from the battery enabled through the battery controller to the terminal or controlling power charging; A power charger for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under control of the power manager;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DC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to the power charging unit by the battery control unit; It can be achieved by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ies connected to be sequentially charged by the charging current applied through the power charging unit.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관리 장치{BATTERY POWER MANAGEMEN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BATTERY POWER MANAGEMEN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사용 용도를 그 남은 용량에 따라 구분하여, 용량이 충분할 경우에는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의 이용이 가능하게 하고, 소정 용량 이하에서는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의 이용을 차단하여, 긴급 상황 시 통화 기능을 위한 최소한의 전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ower managemen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the use of the battery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maining capacity, and when the capacity is sufficient, it is possible to use the entertainment progra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ower management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blocks use and secures minimum power for a call func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일반적으로, 현재 휴대용 기기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장치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코덱(Codec), 보코더, 이동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하나의 칩으로 구현한 주프로세서(MSM : Mobile Station Modem) 칩을 구비하고 있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device among current portable devices, includes a microprocessor, a codec, a vocoder, and a mobile station modem (MSM) chip that implements an interface func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in one chip. Doing.

이때, 상기 MSM칩에는 3개의 ADC 회로를 더 포함하고 있는데, 각 ADC 회로는 각각 온도 및 배터리 용량, 그리고 고전력 검출(High power Detecting)을 위한 용도로 사용중이다.In this case, the MSM chip further includes three ADC circuits, each of which is used for temperature, battery capacity, and high power detection.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량 표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의 방전 상태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몇 개의 막대를 이용해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즉, 만충 상태일 때는 세 개의 막대가 모두 표시되고, 약간 방전된 상태에서는 두 개의 막대만 표시되며, 거의 방전되었을 경우에는 한 개의 막대가 표시되는 것이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displayed using several bars so as to intuitively know the discharge state of the battery. That is, all three bars are displayed when the battery is in a full state, and only two bars are displayed when the battery is slightly discharged, and one bar is displayed when the battery is almost discharged.

즉, 종래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으로부터 배터리의 연결 여부를 검출한 후, 배터리가 연결된 것이 확인되면 MSM(3)에서 정확한 전압을 검출할 수 있도록, 전압 분할부(2)를 통해 적절한 전압으로 떨어뜨려 에이디 변환된 값을 MSM(3)으로 전송한다.That is,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 after detecting whether the battery is connected from the socket 1, if it is confirmed that the battery is connected, the voltage division unit 2 may detect the correct voltage in the MSM 3. And drop the appropriate voltage to the MSM (3).

그러면, MSM(3)은 그 정확한 레벨을 인식한 후 그 레벨에 해당하는 막대 모양의 배터리 바를 디스플레이부(5)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 여기서, 설명이 생략된 데이터 버퍼부(4)는 매시간 마다 바뀔 필요가 없는 배터리 바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해 두는 역할을 한다. Then, the MSM 3 recognizes the correct level and displays the bar-shaped battery bar corresponding to the level through the display unit 5. Here, the data buffer unit 4, which has not been described, serves to temporarily store data of the battery bar that does not need to be changed every hour.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남은 배터리 용량을 표시할 뿐으로,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가 흑백과 음성 데이터 중심의 서비스에서, 칼라와 무선 인터넷 중심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엔터테인먼트 서비스)로 바뀌면서 전원 사용량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막상 통화 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때는 배터리의 전원이 모두 소진되어 통화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only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is displayed, and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ntly changed from black and white and voice data oriented services to color and wireless internet oriented multimedia services (entertainment services), power consumption has been increased. Increasingly,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telephone call func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ll the power of the battery is exhausted and the call cannot be mad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배터리의 사용 용도를 그 남은 용량에 따라 구분하여, 용량이 충분할 경우에는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의 이용이 가능하게 하고, 소정 용량 이하에서는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의 이용을 차단하여, 긴급 상황 시 통화 기능을 위한 최소한의 전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관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use of the battery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maining capacity, and when the capacity is sufficient, the entertainment program can be us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power managemen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blocks the use of an entertainment program, thereby ensuring a minimum power for a call function in an emergency.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적으로 구분된 두 개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지정된 배터리를 인에이블 시키는 배터리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 제어부를 통해 인에이블된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단말기에 공급하거나 전원 충전을 제어하는 전원 관리부와; 상기 전원 관리부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와; 상기 배터리 제어부에 의해 배터리 충전을 위한 직류 전원을 상기 전원 충전부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충전부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전류에 의해 순차적으로 충전되게 접속한 복수의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wo internally divided batteries, comprising: a battery controller for enabling a battery designated according to a service program to be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ower manager for stably supplying power output from the battery enabled through the battery controller to the terminal or controlling power charging; A power charger for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under control of the power manager;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DC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to the power charging unit by the battery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batteries connected to be sequentially charged by the charging current applied through the power charg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지정된 배터리를 인에이블 시키는 배터리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어 각 배터리(BAT1, BAT2)의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와; 상기 각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다른 배터리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다이오드와; 상기 각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단말기에 공급하고, 상기 배터리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통화 기능과 관계없는 기능 이용 시 단말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ontrol unit for enabling a specified battery according to the service program to be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lurality of switches that are turned on / off by an enable signal output from the battery controller to output power of each battery BAT1 and BAT2; A plurality of diodes for preventing the power output from each battery from being applied to another battery; And receiving a power output from each of the batteries and supplying it to the terminal, and by using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battery control unit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terminal when using a function not related to a call function. It is don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배터리의 남은 용량에 따라 구분하여, 용량이 충분할 경우에는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및 단말기에서 가능한 모든 서비스 프로그램의 이용이 가능하게 하고, 남은 용량이 소정 용량 이하가 될 경우에는 통화 서비스만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긴급 상황 시 통화를 위한 최소한 전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전원 관리 장치의 제공을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services availab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and if the capacity is sufficient, it is possible to use the entertainment service and all the service programs available in the terminal, and the remaining capacity become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capacity. To provide a battery power management device so that only the call service can be used, so that at least emergency power can be secured in an emergency situ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하나의 배터리를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두 개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현재 쓰이고 있는 방식에서 배터리를 내부적으로 두 개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dividing one battery currently used in hardware or software two. In other words, the battery is divided into two internally in the current method.

이때, 상기 내부적으로 두 개로 나눈 배터리는 편의상 BAT1, BAT2로 구분하여 표시하지만 사실상 하나의 배터리이며, 하드웨어적으로 구분할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구분된 배터리(BAT1, BAT2) 사이에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충전 시 혹은 사용 시, 배터리2(BAT2)의 전하가 배터리1(BAT1)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battery divided into two internally is divided into BAT1 and BAT2 for convenience, but is actually one battery, and when divided into hardware, as shown in FIG. 2, diodes are divided between the respective batteries BAT1 and BAT2. In order to prevent the charge of the battery 2 (BAT2) is not transferred to the battery 1 (BAT1) during charging or use.

여기서, 상기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의 용량을 용도에 따라 한정하여 사용할 때의 충전을 위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배터리2(BAT2)는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위한 용도로 사용하고, 배터리1(BAT1)은 통화기능을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물론, 회선의 변경 및 소프트웨어 설정에 의해 그 반대로 용도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charging when the capacity of the battery is limited according to the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battery 2 (BAT2) is used for entertainment services, and the battery 1 (BAT1) is used for the call function. Of course, the use can be set and used in reverse by changing the line and setting the software.

따라서, 배터리를 충전할 경우에는 배터리1(BAT1)이 완충이 된 다음 배터리2(BAT2)를 충전하게 되며, 다이오드에 의해 배터리2(BAT2)에서 배터리1(BAT1)으로 역 전류가 형성되지 않는다.Therefore, when the battery is charged, the battery 1 BAT1 is fully charged and then the battery 2 BAT2 is charged, and a reverse current is not formed from the battery 2 BAT2 to the battery 1 BAT1 by the diode.

도2를 참조하면 배터리 제어부(101)는 현재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할 배터리를 인에이블 시키며, 전원 관리부(102)는 상기 배터리 제어부(101)를 통해 인에이블된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단말기에 공급하거나 전원 충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전원 충전부(103)는 상기 전원 관리부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고, 전원 공급부(104)는 배터리 제어부(101)에 의해 배터리 충전을 위한 직류 전원을 상기 전원 충전부(103)에 공급한다.Referring to FIG. 2, the battery control unit 101 enables a battery to be used according to a service program to be used at present, and the power manager 102 stabilizes the power output from the battery that is enabled through the battery control unit 101. Supply power to the terminal or control power charging, the power charging unit 103 charges the power to the battery under the control of the power management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104 to charge the battery by the battery control unit 101. DC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charging unit 103.

이때, 상기 도2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과정을 중심으로 한 블록 구성을 보인 것이고, 하기의 도3은 상기와 같이 충전된 배터리의 전원을 단말기에 공급하기 위한 과정을 중심으로 한 블록 구성을 보인 것이다.At this time, Figure 2 shows a block configuration centering on the process for charging the battery, Figure 3 below shows a block configuration centering on the process for supplying the power of the charged battery to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

즉,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의 용량을 용도에 따라 한정하여 사용할 때의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상기 도2에서 배터리를 충전할 경우에는 배터리1(BAT1)을 통해 배터리2(BAT2)가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아울러 충전된 전류를 방전(단말기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제어부(101)의 제어를 받아 온/오프되는 스위치(SW1, SW2)와 다이오드를 통해 전원 관리부(102)를 거쳐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a terminal when the capacity of the battery is limited according to the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The battery 2 (BAT2) is configured to be charged through the BAT1, but in addition, the switches SW1 and SW2 that are turned on /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battery control unit 101 in order to discharge (charge the terminal) the charged current; It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terminal via the power management unit 102 through the diod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상기 도3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제어 메뉴에서 엔터테인먼트 메뉴를 선택할 시, L1을 1로 L2를 0으로 해 전원 관리부(102)에서 배터리1(BAT1)의 전류를 단말기에 공급하고, 엔터테인먼트 사용이 끝날 시 L1을 0, L2를 1로 해 배터리2(BAT2)의 전류를 단말기에 공급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entertainment menu is selected from the control menu of the terminal, the current of the battery 1 (BAT1) is supplied from the power management unit 102 to the terminal by setting L1 to 1 and L2 to 0. Set L1 to 0 and L2 to 1 to supply the battery 2 (BAT2) current to the terminal.

이때, 배터리 제어부(101)에서 C1을 통해 전원 관리부(102)에 통화와 상관없는 곳에 전류공급을 차단하는 명령을 내리고, 배터리1(BAT1)의 용량이 소정 용량 이하로 떨어질 때, 배터리 제어부(101) 자체적으로 통화 기능을 제외한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제한한다. At this time, when the battery control unit 101 commands the power management unit 102 to cut off the current supply to the power management unit 102 through a C1, the battery control unit 101 when the capacity of the battery 1 (BAT1) falls below a predetermined capacity. ) Limits entertainment functions by itself except for call functions.

그 후 배터리2(BAT2)를 사용하게 되며 디스플레이 상에는 배터리1(BAT1) 충전 메시지가 뜨고, P2 지점의 다이오드 두 개(D1,D2)는 각각 서로 다른 배터리로 흐르는 역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After that, the battery 2 (BAT2) is used, and the battery 1 (BAT1) charge message appears on the display, and the two diodes (D1, D2) at the P2 point are used to block reverse current flowing to different batteries. do.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관리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배터리의 남은 용량에 따라 구분하여, 용량이 충분할 경우에는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및 단말기에서 가능한 모든 서비스 프로그램의 이용이 가능하게 하고, 남은 용량이 소정 용량 이하가 될 경우에는 통화 서비스만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긴급 상황 시 통화를 위한 최소한 전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power management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services availab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If the remaining capacity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capacity, only the call service can be used, so that there is an effect of ensuring at least power for a call in an emergency.

도 1은 종래 막대 그래프를 이용한 배터리 잔량 표시 방법을 보인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attery remaining amount display method using a conventional bar graph.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의 용량을 용도에 따라 한정하여 사용할 때의 충전을 위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charging when using a limited capacity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의 용량을 용도에 따라 한정하여 사용할 때의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rminal when the capacity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use to limit the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1 : 배터리 제어부 102 : 전원 관리부101: battery control unit 102: power management unit

103 : 전원 충전부 104 : 전원 공급부103: power charging unit 104: power supply

SW1,SW2 : 스위치 D1,D2 : 다이오드SW1, SW2: Switch D1, D2: Diode

BAT1,BAT2 : 내부 배터리BAT1, BAT2: Internal Battery

Claims (3)

내부적으로 구분된 두 개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wo internally divided batterie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지정된 배터리를 인에이블 시키는 배터리 제어부와;A battery control unit for enabling a designated battery according to a service program to be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배터리 제어부를 통해 인에이블된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단말기에 공급하거나 전원 충전을 제어하는 전원 관리부와;A power manager for stably supplying power output from the battery enabled through the battery controller to the terminal or controlling power charging; 상기 전원 관리부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와;A power charger for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under control of the power manager; 상기 배터리 제어부에 의해 배터리 충전을 위한 직류 전원을 상기 전원 충전부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DC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to the power charging unit by the battery control unit; 상기 전원 충전부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전류에 의해 순차적으로 충전되게 접속한 복수의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관리 장치.And a plurality of batteries connected to be sequentially charged by a charging current applied through the power charg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사이에는 충전 방향에 대하여 역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관리 장치.The battery power management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ode for preventing a current flowing in a 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a charging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batteries. 내부적으로 구분된 두 개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wo internally divided batterie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지정된 배터리를 인에이블 시키는 배터리 제어부와;A battery control unit for enabling a designated battery according to a service program to be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배터리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어 각 배터리(BAT1, BAT2)의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와;A plurality of switches that are turned on / off by an enable signal output from the battery controller to output power of each battery BAT1 and BAT2; 상기 각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다른 배터리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다이오드와;A plurality of diodes for preventing the power output from each battery from being applied to another battery; 상기 각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단말기에 공급하고, 상기 배터리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통화 기능과 관계없는 기능 이용 시 단말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관리 장치.And receiving a power output from each of the batteries and supplying it to the terminal, and by using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battery control unit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terminal when using a function not related to a call function. A battery power management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40042277A 2004-06-09 2004-06-09 Battery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0867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277A KR101086702B1 (en) 2004-06-09 2004-06-09 Battery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277A KR101086702B1 (en) 2004-06-09 2004-06-09 Battery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088A true KR20050117088A (en) 2005-12-14
KR101086702B1 KR101086702B1 (en) 2011-11-25

Family

ID=3729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277A KR101086702B1 (en) 2004-06-09 2004-06-09 Battery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70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4768A (en) * 2010-01-18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798371B2 (en) 2013-06-05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display method thereof
US10324767B2 (en) 2013-06-05 2019-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battery information by electronic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4768A (en) * 2010-01-18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798371B2 (en) 2013-06-05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display method thereof
US10324767B2 (en) 2013-06-05 2019-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battery information by electronic device
US10768681B2 (en) 2013-06-05 202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display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702B1 (en)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9800B2 (en) Method for power management of a smart phone
US7493148B2 (en) Battery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apparatus using an ear-microphone jack
JP2002044876A (en) Battery type device
CN101378558A (en) Mobile telephone set for intelligent double-battery electric power system
CN112165140B (en)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power supply equipment
EP2063616A1 (en) Method for performing display in cell phone and cell phone thereof
JP2007185034A (en) Charge control device
JP2004078881A (en) Circuit and operation system for integrated interface betwe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radio communication
JP4230264B2 (en) Electronic device power supply system
JP2004159382A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086702B1 (en) Battery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349254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EP1086521B1 (en) Two-wire multi-rate battery charger
EP197100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recharging and discharging in a portable terminal
CN101630852A (en) Mobile phone capable of selecting to be connected with computer for charge or data transmission
JP2006148997A (en)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KR100798884B1 (en) Charge apparatus for battery and method thereof
US20040004463A1 (en) Power-on device
KR20030009775A (en) Method for saving battery reduce capacity by controlling power supply in call mode of image mobile phone
CN111527663A (en) Charging loop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200800281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charging
KR100802614B1 (en) Battery capacity display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2320333A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charging function
CN113452099A (en) Discharg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0379616B1 (en) Backup Battery Power Circuit Of Mibile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