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2267A - Clip wearable type slave display unit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Clip wearable type slave display unit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2267A
KR20050112267A KR1020040037204A KR20040037204A KR20050112267A KR 20050112267 A KR20050112267 A KR 20050112267A KR 1020040037204 A KR1020040037204 A KR 1020040037204A KR 20040037204 A KR20040037204 A KR 20040037204A KR 20050112267 A KR20050112267 A KR 20050112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display device
auxiliary display
main body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2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창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7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2267A/en
Publication of KR20050112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267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magnify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휴대 장치의 클립 착용형 보조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보조 표시 장치는 휴대 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와 유선으로 연결된 보조 표시 장치; 및 상기 보조 표시 장치의 저면에 제공되어 상기 보조 표시 장치를 착용하게 하는 클립으로 구성된다. Disclosed is a clip worn auxiliary display device of a portable device. The disclosed secondary display device includes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main body; An auxiliary display device wired to the main body; And a clip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to wear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Description

휴대 장치의 클립 착용형 보조 표시 장치{CLIP WEARABLE TYPE SLAVE DISPLAY UNIT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lip-on secondary display device for mobile devices {CLIP WEARABLE TYPE SLAVE DISPLAY UNIT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카메라 폰, 게임 폰, 인터넷 폰, 디지털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는 휴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체나 가방 또는 주머니 등에 착용하여 편리하게 원하는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클립 착용형 보조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cellular 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hand-held phones (HHPs), camera phones, game phones, Internet phones, digital communication devices,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p wear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which is worn on a bag or a pocket and used to conveniently confirm desired displayed information.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The term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a conventional concept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ou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while carrying. Such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trending toward miniaturization, slimness, grip, and light weight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are moving toward a multi-mediaization direction to pursue more various functions. In particular, more and more portable terminals will be used for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multifunction, and versatility, and will be modified to adapt to various multimedia environments or the Internet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commonly used anywhere in the world, men and women, and is being recognized as a necessity to carry around at all times.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appearance. For examp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classified as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communication devices depending on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as a bar-type, the flip-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flip is rotatably configured by the hinge device in the bar-type housing, the folder-type communication device is It is meant that the folder in a single bar-shaped housing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nnected and folded by a hinge device.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In additio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may be classified into either a neck wearable type or a wrist wear type according to a wearable position or a manner of wearing. A necklace-type communication device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around a neck using a string, and a wrist-wear type communication device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around a wrist.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classified into a rotation-type or sliding-typ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 rotation-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rotatably connected and opened while remaining facing each other, and the sliding-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eans. The variously classified communication devices listed above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In addition,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es are being converted into structures capable of communicating high-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is, as the needs of consumers increase, the service will be provid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high speed data.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Currently, camera lenses have been adopted in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nd transmission of video signals and the like has been mad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In gener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equipped with a camera lens module as an external type or a built-in type to perform a video call with a counterpart or photograph a desired subject.

그러나, 종래의 휴대 장치는 본체에 고정식으로 장착되거나, 본체에 회전 또는 스윙 타입으로 장착되는 표시 장치를 통해서만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휴대 장치 본체를 가방이나 주머니에 휴대한 경우, 사용자는 필수적으로 본체를 가방이나 주머니에서 꺼내어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device ha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check the displayed information only through the display device fixedly mounted on the main body or mounted on the main body in a rotation or swing type. That is, when the portable device main body is carried in a bag or a pocket, the user necessarily takes the main body out of the bag or pocket and checks the displayed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소형화에 유리한 클립 착용형 보조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ip worn auxiliary display device, which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ing a main bod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벨트 또는 가방이나 주머니 등에 착용하기에 편리한 클립 착용형 보조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ip wear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which is convenient to be worn on a belt or a bag or a pocke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방이나 주머니에 클립형으로 착용하여 휴대하거나 디스플레이된 원하는 정보는 손쉽게 확인하기에 편리한 클립 착용형 보조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ip-wearing auxiliary display device which is convenient to easily carry or display desired information displayed on a bag or pocket by carrying it in a clip.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device,

본체;main body;

상기 본체와 유선으로 연결된 보조 표시 장치; 및An auxiliary display device wired to the main body; And

상기 보조 표시 장치의 저면에 제공되어 상기 보조 표시 장치를 착용하게 하는 클립으로 구성된다. And a clip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to wear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유선(150)으로 연결된 보조 표시 장치(200)와, 상기 보조 표시 장치(200) 저면(202)에 장착된 클립(1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선(150)은 연성 재질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1M 이상의 길이로 제공된다. 상기 유선(150)의 길이는 사용자의 상의 주머니와 가방에 보관된 휴대 장치 본체(100)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정해진다. 물론, 상기 유선(150)의 길이는 1M 이상 또는 그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1 to 4,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body 100, an auxiliary display device 20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by wires 150, and a bottom surface 202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200. It is composed of a clip 170 mounted on the). The wire 150 is made of a soft material, preferably provided with a length of at least 1M. The length of the wire 150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upper pocket and the portable device body 100 stored in the bag. Of course, the length of the wire 150 may be configured to more than 1M or less.

상기 본체(100)는 그의 상면에 스피커 장치(110)와, 상기 스피커 장치(110)와 이웃하는 주 표시 장치(112)와, 상기 주 표시 장치(112)와 이웃하는 다수 개의 키들이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114)가 배치되고, 그의 하단에 인터페이스 콘넥터가 장착된다. 상기 공지의 인터페이스 콘넥터는 미도시된다.The main body 100 includes a speaker device 110, a main display device 112 adjacent to the speaker device 110, and a plurality of keys adjacent to the main display device 112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keypad 114 is disposed, and an interface connector is mounted at the bottom thereof. The known interface connector is not shown.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170)은 고정단(172)과, 자유단(176)과, 상기 고정단(172)과 상기 자유단(176) 사이에 제공된 절곡부(174)로 구성된다. 상기 클립(170)은 신체의 벨트, 상의 또는 하의 주머니, 또는 가방이나 지갑 등에 상기 보조 표시 장치(200)를 착용시키는 장치로서,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됨과 아울러 자체적으로 탄성을 보유한 형상으로 제공된다.2 to 4, the clip 170 has a fixed end 172, a free end 176, and a ben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ixed end 172 and the free end 176 ( 174). The clip 170 is a device for attaching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200 to a belt, a top or bottom pocket of a body, a bag or a wallet, etc., and is formed of a metal or plastic material and has an elastic shape on its own. .

상기 절곡부(174)는 상기 보조 표시 장치(200)의 저면(202)과 근접하거나 접촉하게 제공되고, 특히 상기 저면(202)쪽으로 탄성을 제공하게 되며, 착용 시에 걸림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자유단(176)은 상기 절곡부(174)의 경사 방향과는 반대의 경사 방향, 즉, 상기 저면(202)에서 멀어지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벨트나 주머니 등의 착용이 편리하게 한다.The bent portion 174 is provided in close proximity to or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202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200, and in particular, provides the elasticity toward the bottom surface 202, and serves as a locking function when worn. In addition, the free end 176 extends in an inclined direction opposite to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bent portion 174, that is, in an inclined direction away from the bottom 202, to facilitate wearing of a belt or a pocket.

상기 클립(170)은 상기 보조 표시 장치의 저면(202)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클립(170)은 상기 고정 단(172)을 소정의 각도 이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저면(202)에 조립하여 회전성으로 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The clip 17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surface 202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or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ssembl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lip 17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assembling the fixing end 172 to the bottom surface 202 to be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된 주 표시 장치 이외에 보조 표시 장치를 구비하여 본체 소형화에 유리하고, 본체를 가방이나 백 등에 넣고, 별도의 보조 표시 장치를 주머니나 벨트 등의 외부에 착용가능하게 됨으로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원하는 정보를 확인하기가 용이한 이점을 달성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miniaturizing the main body by providing an auxiliary display device in addition to the main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device. The main body is placed in a bag, a bag, or the like. By being able to wear outside of the, the user has achieved the advantage of easily identifying the desired informatio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착용형 보조 표시 장치가 연결된 휴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device to which a clip wear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is connect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착용형 보조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ip worn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립 착용형 보조 표시 장치에 채용된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ip employed in a clip worn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휴대 장치에 있어서,In a portable device, 본체(100);Main body 100; 상기 본체(100)와 유선(150)으로 연결된 보조 표시 장치(200); 및An auxiliary display device 20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by a wire 150; And 상기 보조 표시 장치의 저면(202)에 제공되어 상기 보조 표시 장치(200)를 착용하게 하는 클립(170)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클립 착용형 보조 표시 장치.And a clip (170) provided on the bottom (202)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to wear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2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170)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lip 170 is 상기 보조 표시 장치의 저면(202) 일단에 구속된 고정단(172);A fixed end 172 constrained to one end of a bottom surface 202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상기 보조 표시 장치의 저면(202) 타단에서 상기 저면(202)에서 점차적으로 멀어지게 연장되어 상기 타단쪽으로 탄성력이 향하는 자유단(176); 및A free end 176 extending gradually from the other end of the bottom 202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to the bottom 202 so that an elastic force is directed toward the other end; And 상기 고정단(172)과 자유단(176) 사이에서 상기 저면(202)쪽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착용 상태를 유지시키는 절곡부(174)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클립 착용형 보조 표시 장치.Clip-shaped auxiliary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portion 174 is formed between the fixed end 172 and the free end 176 to be bent toward the bottom surface 202 to maintain the wearing stat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클립 착용형 보조 표시 장치.2. The clip wear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clip is made of a metal or plastic material.
KR1020040037204A 2004-05-25 2004-05-25 Clip wearable type slave display unit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501122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204A KR20050112267A (en) 2004-05-25 2004-05-25 Clip wearable type slave display unit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204A KR20050112267A (en) 2004-05-25 2004-05-25 Clip wearable type slave display unit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267A true KR20050112267A (en) 2005-11-30

Family

ID=3728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204A KR20050112267A (en) 2004-05-25 2004-05-25 Clip wearable type slave display unit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226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410B1 (en)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KR100703495B1 (en) Bi-directional sliding-type portable phone
KR100678162B1 (en) Sliding and folding combination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90088B1 (en) Sliding sw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100713483B1 (en) Sliding-type mobile phone using flexible material
KR100689468B1 (en) Sliding/swing type mobile phone
KR100678041B1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with sliding/rotational hinge means
KR100663550B1 (en) Folding tyoe portable telephone
KR100640342B1 (en) Swing-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with step-compensated mechanism
KR20050054367A (en) Ear wearable-type teltphone
KR100689433B1 (en) Sliding/folding combination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inge unit thereof
KR100539934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30067B1 (en) Dual hinge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pda
KR100640388B1 (en) Portable telephone with touch key
KR20050041647A (en) Swing-type portable digital telephone and swing hinge device thereof
KR100703509B1 (en) Sliding type portable telephone with game function
KR100678265B1 (en) Semi-automatic sw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20050112267A (en) Clip wearable type slave display unit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06223B1 (en) Portable phone
KR101058654B1 (en) Two Way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101110448B1 (en) Hinge device for folder-type/bar-type portable telephone
KR101119342B1 (en) Mobile phone with folding-type receiver
KR100532272B1 (en)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100605874B1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module
KR200364949Y1 (e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