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019A - Safety steering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s - Google Patents

Safety steering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019A
KR20050111019A KR1020040036031A KR20040036031A KR20050111019A KR 20050111019 A KR20050111019 A KR 20050111019A KR 1020040036031 A KR1020040036031 A KR 1020040036031A KR 20040036031 A KR20040036031 A KR 20040036031A KR 20050111019 A KR20050111019 A KR 20050111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eering
safety distance
driving
trail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0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00165B1 (en
Inventor
정용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6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165B1/en
Publication of KR20050111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0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16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5Active steering aids, e.g. helping the driver by actively influencing the steering system after environment evaluation
    • B62D15/0255Automatic changing of lane, e.g. for passing another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5Active steering aids, e.g. helping the driver by actively influencing the steering system after environment evaluation
    • B62D15/026Active steering aids, e.g. helping the driver by actively influencing the steering system after environment evaluation combined with automatic distance control, i.e. electronic tow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66Overtaking, changing l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5Optical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 중 운전자의 차선 변경 의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통상적인 주행에서 이루어지는 차선 변경의 시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주행 중인 차량의 속도와, 차량이 운행중인 도로 정보를 매개로 안전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차선 변경을 시도하고 있는 차선 내에서 상기 단계에서 산출된 안전거리 내에 후행 차량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안전거리 내에 후행 차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후행 차량과의 상대속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상대속도를 기 설정된 값과 대비하여 후행 차량과의 상대속도차가 차선 변경이 안전한 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운전자의 차선 변경의 의지가 있는 경우에, 후행 차량이 없거나 후행 차량과의 이격 거리가 안전거리를 초과하거나, 후행 차량과의 상대속도차가 안전한 차선 변경이 가능한 범위로 판단되는 경우, 통상의 파워 스티어링 모드로서 조타각에 비례하여 보조 조향력이 제공되는 단계와; 운전자의 차선 변경의 의지가 있는 경우에, 후행 차량과의 이격거리가 안전거리 미만이면서 후행 차량과의 상대속도차가 안전한 차선 변경이 불가능한 범위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조향 보조력이 저하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한 차선 변경을 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rmining a driver's willingness to change lanes while driving; Determining whether the lane change is made during normal driving; Calculating a safety distance based on a speed of a vehicle driving the vehicle and road information on which the vehicle is drive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trailing vehicle within the safety distance calculated in the step in the lane that is attempting to change the lane; Calculating a relative speed with the trailing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iling vehicle is within the safety distance in the step; Comparing the calculated relative speed with a preset value to determine whether a difference in relative speed with a trailing vehicle is within a safe lane change; If the driver is willing to change lanes, if there is no trailing vehicle, or if the distance from the trailing vehicle exceeds the safety distance, or if the relative speed difference with the trailing vehicle is determined to be within a safe lane change range, normal power steering Providing auxiliary steering force in proportion to the steering angle as a mode; If the driver is willing to change lane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railing vehicle is less than the safety distance and the relative speed difference with the trailing vehicle is within a range where a safe lane cannot be changed, a warning signal is generated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Wow; Outputting a control signal such that steering assistance force generated in the driving motor of the power steering device is lowered; It provides a steering control method of a vehicle for a safe lane change comprising a.

Description

안전한 차선 변경을 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제어방법{SAFETY STEERING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S} Steering control method of vehicle for safe lane change {SAFETY STEERING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S}

본 발명은 안전한 차선 변경을 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 중인 차량이 차선을 변경하고자 할 때 후행 차량과의 이격거리 및 상대속도에 고려하여 차선변경 주행이 안전하지 않은 경우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을 증대시켜 차선 변경을 억제할 수 있는 안전한 차선 변경을 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control method of a vehicle for a safe lane change,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driving vehicle changes lanes in consideration of a separation distance and a relative speed with a trailing vehicle, the lane change driving is not safe.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control method of a vehicle for safe lane change that can suppress a lane change by increasing an operation force of a steering wheel.

도로상에 주행 중인 차량이 차선을 변경하고 자 할 때에는 통상 운전자는 사이드미러를 통해 좌우 측방에서 후행하는 차량의 존재 유무와, 후행 차량간의 이격 거리등을 육안으로 판단한 후,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여 차선을 변경한다. When a vehicle driving on the road wants to change lanes, a driver usually visually determines whether a vehicle is trailing from left and right through side mirrors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railing vehicles. Manipulate the wheel to change lanes.

그러나 상기와 같이 주행 중 차선변경을 위한 조작을 할 때, 사이드미러를 통해 반사되는 영상을 육안으로 판단하여 안전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사이드미러를 통해 감각적으로 판단되는 이격거리와 실제 이격거리 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판단착오로 인한 사고의 위험이 있다.However, when the operation for changing lanes while driving as described above, judging whether the image reflected through the side mirror is visually determined whether the safety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paration distance and the actual separation distance sensationally determined by the side mirror. There is a risk of accidents due to judgment and error.

특히, 차량의 상대속도가 높은 경우 사이드미러를 통한 판단만으로는 판단의 어려움이 있어 순간적인 판단착오로 인한 사고의 위험성 크다. In particular, when the relative speed of the vehicle is high, the judgment through the side mirror alone makes it difficult to make a judgment.

더불어, 야간 주행의 경우에는 사이드미러를 통해 반사되는 후행 차량의 불빛으로 인해 후행 차량간의 이격거리 및 후행 차량의 상대속도를 판단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night driving,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ollowing vehicles and the relative speed of the following vehicle due to the light of the trailing vehicle reflected through the side mirror.

이와 같이 운전자의 운전경험에만 의존하는 종래의 차선변경 주행은 운전자의 경험과 컨디션에 크게 좌우되는 바, 운전자와 탑승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As such, the conventional lane change driving, which relies only on the driver's driving experience, is highly dependent on the driver's experience and condition, and thus, a method for protecting driver and passenger's safety is required.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주행 중인 차량이 차선을 변경하고자 할 때 후행 차량과의 이격거리 및 상대속도에 고려하여 차선변경 주행이 안전하지 않은 경우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을 증대시켜 차선 변경을 억제할 수 있는 안전한 차선 변경을 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change the lane by increas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steering wheel when the lane change driving is not safe in consideration of the separation distance and the relative speed with the trailing vehicle when the driving vehicle to change lan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ring control method of a vehicle for a safe lane change that can be suppres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행 중 운전자의 차선 변경 의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통상적인 주행에서 이루어지는 차선 변경의 시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주행 중인 차량의 속도와, 차량이 운행중인 도로 정보를 매개로 안전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매개로 안전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차선 변경을 시도하고 있는 차선 내에서 상기 단계에서 산출된 안전거리 내에 후행 차량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안전거리 내에 후행 차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후행 차량과의 상대속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상대속도를 기 설정된 값과 대비하여 후행 차량과의 속도차가 차선 변경이 안전한 정도의 속도차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운전자의 차선 변경의 의지가 있는 경우에, 후행 차량이 없거나 후행 차량과의 이격 거리가 안전거리를 초과하거나, 후행 차량과의 상대속도차가 안전한 차선 변경이 가능한 범위로 판단되는 경우, 통상의 파워 스티어링 모드로서 조타각에 비례하여 보조 조향력이 제공되는 단계와; 운전자의 차선 변경의 의지가 있는 경우에, 후행 차량과의 이격거리가 안전거리 미만이면서 후행 차량과의 상대속도차가 안전한 차선 변경이 불가능한 범위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조향 보조력이 저하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한 차선 변경을 위한 스티어링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the driver's willingness to change lanes while driving to achieve the above object; Determining whether the lane change is made during normal driving; Calculating a safety distance based on the speed of the vehicle being driven and the road information on which the vehicle is running;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trailing vehicle within the safety distance calculated in the step in the lane that is attempting to change the lane; Calculating a relative speed with the trailing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iling vehicle is within the safety distance in the step; Comparing the calculated relative speed with a preset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speed difference with the following vehicle is a speed difference that a lane change is safe; If the driver is willing to change lanes, if there is no trailing vehicle, or if the distance from the trailing vehicle exceeds the safety distance, or if the relative speed difference with the trailing vehicle is determined to be within a safe lane change range, normal power steering Providing auxiliary steering force in proportion to the steering angle as a mode; If the driver is willing to change lane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railing vehicle is less than the safety distance and the relative speed difference with the trailing vehicle is within a range where a safe lane cannot be changed, a warning signal is generated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Wow; It provides a steering control method for a safe lane change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steering assistance force generated in the drive motor of the power steering device is reduced.

한편, 통상적인 주행에서 이루어지는 차선 변경의 시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비상 경고등 감지부를 통해 비상 경고등이 온 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전방 CCD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통해 차량의 전방에 불규칙한 패턴의 장애물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단계들에서 비상 경고등이 온 된 상태이거나, 차량 전방에 불규칙한 패턴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상의 파워 스티어링 모드로서 조타각에 비례하여 보조 조향력이 제공된다. 이러한, 통상적인 주행에서 이루어지는 차선 변경의 시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주행 중 운전자의 차선 변경 의지를 판단하는 단계의 선행 단계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에 속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ttempt to change lanes made in the normal driving, determining whether the emergency warning light is on through the emergency warning light detec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irregular pattern of obstacles in front of the vehicle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front CCD camera; In the above steps,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warning light is turned on or there is an irregular pattern in front of the vehicle In this case, auxiliary steering force is provided in proportion to the steering angle as a normal power steering mod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is is an attempt to change lanes in the normal driving may be performed as a preceding step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river's willingness to change lanes during driving, and the change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a system for implementing a vehicle steer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차 스티어링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스티어링 조타각 센서(10; SAS, Steering Angle Sensor)와, 리어 초음파 센서(20)와, 방향 지시등 감지부(30), 비상 경고등 감지부(40)와, 휠 스피드 센서(50)와, 전방 CCD 카메라(60), 파워 스티어링 유닛(70), 제어부(80), GPS 수신부(85), 경고음 발생수단(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vehicle steering control method, steering steering angle sensor 10 (SAS, Steering Angle Sensor), rear ultrasonic sensor 20, the turn signal detector 30 Emergency warning light detection unit 40, wheel speed sensor 50, front CCD camera 60, power steering unit 70, control unit 80, GPS receiver 85, warning sound generating means 9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먼저 스티어링 조타각 센서(10)는 차량 스티어링 핸들의 조타각을 감지하고, 이를 일정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80)에 출력한다. First, the steering steering angle sensor 10 detects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converts the steering angle into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same to the controller 80.

리어 초음파 센서(20)는 리어 범퍼의 모서리, 중간부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고, 반사된 초음파가 수신정보를 통해 좌우 차선에 후행 차량이 있는 지 및 후행 차량이 있다면 이격 거리가 얼마인지를 감지하여, 이를 일정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80)에 출력한다. 한편, 리어 초음파 센서(20)에 의해 감지되는 후행 차량과의 이격 거리에 관한 정보는 제어부(80)에서 연산과정을 통해 후행 차량과의 상대속도를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The rear ultrasonic sensor 20 is installed at the corners and middle portions of the rear bump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reflected ultrasonic waves detect whether there is a trailing vehicle in the left and right lanes through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if there is a trailing vehicle, how far apart the vehicle is. , And converts it into a constant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80. 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separation distance with the trailing vehicle detected by the rear ultrasonic sensor 20 is used by the controller 80 to detect the relative speed with the trailing vehicle through a calculation process.

방향 지시등 감지부(30)는 제어부(80)에 연결되어 방향 지시등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제어부(80)에 출력하고,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 제어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The turn signal detector 3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0 to output on / off information of the turn signal switch to the control unit 80, and is connected to the on / off control unit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control unit 80.

비상 경고등 감지부(40)는 제어부(80)에 연결되어 비상 경고등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제어부(80)에 출력한다. The emergency warning light detecting unit 4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0 and outputs on / off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warning light switch to the control unit 80.

휠 스피드 센서(50)는 자동차 바퀴에 설치되어 바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이를 일정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80)에 출력한다. The wheel speed sensor 50 is installed on the wheel of the vehicle to detec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heel, converts it into a constant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80.

전방 CCD 카메라(60)는 자동차 전방으로 설치되어 주행로에 차선이외에 불규칙한 패턴(방지턱, 폐기물, 비닐 등)이 있는 지 감지한다. CCD 카메라(60)는 촬영되는 영상이 CCD 반도체 소자에 저장되어 필요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카메라로서, CCD 카메라(60)와 제어부(80) 사이에는 CCD 카메라(60)를 통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를 일정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영상처리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러한 영상처리장치는 CCD 카메라(60)에 내장될 수 있으며 별도의 회로 또는 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다. The front CCD camera 6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vehicle and detects whether there are irregular patterns (blocks, waste, vinyl, etc.) besides the lanes on the road. The CCD camera 60 is a camera formed so that the captured image can be stored in the CCD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ed when necessary. The CCD camera 60 stores image data input through the CCD camera 60 between the CCD camera 60 and the controller 80.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not shown) for processing and converting the same into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is output. Such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built in the CCD camera 60 and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circuit or device.

파워 스티어링 유닛(70)은 스티어링 조타각 센서(10)에 의해 감지되는 스티어링 휠 조타각에 따라 핸들에 조향 보조력을 제공함으로써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을 가볍게 하는 장치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파워 스티어링 유닛(70)으로 전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Electronic Power Steering apparatus)를 구비한다. 전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스티어링 조타각 센서(10)에 의해 감지되는 조타각에 비례하여 콘트롤러(72)에 의해 모터(74)의 구동력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의지대로 스티어링 휠이 가볍게 조작되도록 한다. The power steering unit 70 is a device that lightens the steering force of the steering wheel by providing steering assistance to the handle according to the steering wheel steering angle sensed by the steering steering angle sensor 10. The embodiment described herein includes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s the power steering unit 70. The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control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74 by the controller 72 in proportion to the steering angle sensed by the steering steering angle sensor 10 so that the steering wheel is lightly operated as the driver desires.

GPS 수신부(85)는 GPS 정보를 받아 자동차가 주행하고 있는 도로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제어부(80)에 전기적 신호로 출력한다. GPS 수신부(85)는 별개의 장치로서 제어부(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80)내에 내장될 수 있다.제어부(80)는 GPS 수신부(85)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로부터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가 일반도로인지 고속도로인지 등 도로 상황을 인식하여 제어정보로서 이용한다. The GPS receiver 85 receives GPS information and receives information on a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and outputs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ler 80. The GPS receiver 8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80 as a separate device and may be embedded in the controller 80. The controller 80 may drive a vehicle from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GPS receiver 85. It recognizes road conditions such as general road or highway and uses them as control information.

제어부(80)는, 스티어링 조타각 센서(10), 리어 초음파 센서(20), 방향 지시등 감지부(30), 비상 경고등 감지부(40), 휠 스피드 센서(50), 전방 CCD 카메라(60), GPS 수신부(85)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안전하게 차선 변경을 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방향 지시등 감지부(30), 파워 스티어링 유닛(70), 경고음 발생수단(90)을 제어한다. 제어부(80)가 상기 구성요소들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안전한 차선변경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어로직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도 3 참조).The controller 80 includes a steering steering angle sensor 10, a rear ultrasonic sensor 20, a turn signal detector 30, an emergency warning light detector 40, a wheel speed sensor 50, and a front CCD camera 60. By using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GPS receiver 8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can safely change lanes,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turn signal detector 30, the power steering unit 70, warning sound generating means Control 90. The control logic for allowing the controller 80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components and to perform a safe lane change driving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see FIG. 3).

이하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steer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제어 방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 a vehicle steer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quentially illustrated.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은 점화 스위치(ignition switch)가 작동하면서 엔진이 구동하기 시작하면 초기화 되어진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itialized when the engine starts running with the ignition switch operating.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차의 스티어링 제어 방법이 시작되면(S10), 스티어링 조타각 센서(10), 방향 지시등 감지부(30), 전방 CCD 카메라(6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차선 변경 의지를 판단한다(S20).As shown in FIG. 2, when the steering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rted (S10), the steering steering angle sensor 10, the turn signal detector 30, and the signal detected by the front CCD camera 60 are used. The driver's willingness to change lanes is determined (S20).

일측 방향 지시등 스위치가 온 되면서 스티어링 휠이 그 방향으로 조타되는 경우 제어부(80)는 운전자 그 방향으로 차선 변경 주행을 시도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방향 지시등 스위치의 온 정보가 운전자의 차선 변경 의지를 판단하는 유용한 정보가 되나, 방향 지시등을 켜지 않은 상태로 차선을 변경하는 일부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고려할 때, 방향 지시등이 온 되면서 스티어링 휠이 조타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스티어링 휠이 조타되면서 CCD 카메라(60)를 통해 인식되는 차선과 자동차의 주행방향을 고려하여 차량이 차선에 대해 일정한 기울기로 근접하는 경우에도 운전자가 차선 변경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steering wheel is steered in the direction while the one-way indicator switch is turned on,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that the driver attempts to change lanes in the direction. At this time, the turn on of the turn signal switch is useful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driver's willingness to change lanes, but considering the driving habits of some drivers who change lanes without turning on the turn signals, the steering wheel is steered as the turn signal turns on. In addition, when the steering wheel is steered and the vehicle recognizes the lane and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s determined by the CCD camera 60,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attempting to change the lane even when the vehicle is approaching a certain slope with respect to the lane. It is desirable to.

이때, 상기 단계에서 운전자가 차선 변경의 의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통상의 파워 스티어링 모드(S15)로 유지하고, 다시 운전자의 차선 변경의지를 판단하는 순환 고리를 이룬다. At this time, when the driver determines that there is no willingness to change lanes, the driver maintains the normal power steering mode (S15) and forms a circular loop for determining the driver's willingness to change lanes.

상기 단계에서 운전자가 차선 변경의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비상 경고등 감지부(40)에서 감지된 신호와, 전방 CCD 카메라(6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위급한 상황에서 차선변경이 시도되는지, 아니면 통상의 주행상태에서 차선변경이 시도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If it is determined in this step that the driver is willing to change lanes, the control unit may use the signal detected by the emergency warning light detecting unit 40 and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front CCD camera 60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ane change is attempted or whether the lane change is attempted in a normal driving state (S30).

도 3 은 이와 같이 차선변경이 통상적 주행상태에서 시도되고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로직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운전자가 비상 경고등을 온 시키는 경우 차량이 위급한 상황에서 신속한 차선 변경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므로, 이 단계에서 비상 경고등이 온 된 것으로 판단되면(S32), 통상의 파워 스티어링 모드(S15)에서 파워 스티어링 유닛에서 제공하는 조작 보조력에 의해 가벼운 조작감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할 수 있게 하고, 제어로직은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 다시 운전자의 차선 변경 의지를 판단하는 순환고리를 이룬다. FIG. 3 illustrates a control logic for determining whether a lane change is being attempted in a normal driving state 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the drawing, when the driver turns on an emergency warning light, a rapid lane change is performed in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vehic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warning light is turned on at this stage (S32), the steering wheel can be operated with a light feeling of operation by the operation assistance force provided by the power steering unit in the normal power steering mode (S15). The control logic then returns to the initial stage and again forms a loop to determine the driver's willingness to change lanes.

또한, 차량 전방에 방지턱, 폐기물 등의 불규칙한 패턴이 있는 경우에도 차량은 주행 차선을 변경할 위급한 상황에 있는 것이므로(S34), 이 경우에도 통상의 파워 스티어링 모드(S15)에서 파워 스티어링 유닛에서 제공하는 조작 보조력에 의해 가벼운 조작감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할 수 있게 하고, 제어로직은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 다시 운전자의 차선 변경 의지를 판단하는 순환고리를 이룬다(S34). In addition, even when there are irregular patterns such as bumps and wastes in front of the vehicle, the vehicle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to change the driving lane (S34). In this case, the power steering unit is provided in the normal power steering mode (S15). The operation assistance force enables the steering wheel to be operated with a light feeling of operation, and the control logic returns to the initial stage and forms a circular loop for determining the driver's willingness to change lanes (S34).

이어서, 상기 단계에서 차선 변경이 통상적인 주행상태에서 시도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브 루틴에 의해 안전거리가 산출된다(S40). Subsequent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ane change is attempted in the normal driving state in the above step, the safety distance is calculated by the subroutine (S40).

도 4를 참조하면, 안전거리 산출 제어로직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거리 산출 제어로직은 GPS 수신부(85)를 통해 입력되는 도로 정보와, 휠 스피드 센서(50)에서 감지된 차량의 속도 정보에 의해 안전한 차선 변경에 필요한 안전거리(Ls)가 산출된다. 4, an example of the safety distance calculation control logic is shown. As shown in the figure, the safety distance calculation control logic is a safety distance (Ls) required for a safe lane change by roa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GPS receiver 85 and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tected by the wheel speed sensor 50. ) Is calculated.

안전거리(Ls)는 운행 차량의 속도와 도로 상황 및 주행속도에 따른 정지속도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이 제시하는 안전거리에 관한 권고를 참조하여 안전거리 계산한다. The safety distance Ls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ed of the driving vehicle and the stopping speed according to the road conditions and the driving speed.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safety distance with reference to the recommendation on the safety distance proposed by the Road Traffic Safety Authority.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은 일반도로의 경우 속도 수치에서 15를 뺀 수치의 m 정도로 유지하고, 시속 80km/h 이상이거나 고속도로의 경우 주행속도의 수치를 그대로 m 로 나타낸 수치 정도의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권고안과 함께 후행 차량과의 거리가 20m 이상인 경우 후행 차량의 운전자가 대응하기에 충분한 거리이므로, 이상의 두 가지 기준에서 안전거리를 계산한다. 이때 기 설정되어 비교의 기준이 되는 20m 를 비교 기준 안전거리 Ls' 로 지칭한다. 이러한 안전거리 산출방식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Korea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shall maintain the m distance of the speed value minus 15 in the case of general roads and maintain a safe distance of 80 km / h or more and express the driving speed as m in the case of expressways. It is suggested that it is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tance to the trailing vehicle is more than 20m with this recommendation, since the distance of the driver of the trailing vehicle is sufficient to respond, the safety distance is calculated based on the above two criteria. At this time, 20m, which is previously set as a reference for comparison, is referred to as a reference safety distance Ls'. This safe distance calculation metho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안전 거리 산출 단계(S40)는, 휠 스피드 센서(50)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의해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를 인지하는 단계(S41)에서 현재 차량의 주행속도를 인식하고, 도로 정보 인식 단계(S42)에서, GPS 수신부(85)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도로가 일반도로인지 고속도로인지를 판단한다. In the safety distance calculation step S40, in step S41 of recognizing the current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heel speed sensor 50, the driving speed of the current vehicle is recognized, and the road information recognition step S42. In the abov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en is a general road or a highway using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GPS receiver 85.

만약,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도로가 고속도로이거나, 운행 차량의 속도가 80km/h 이상인 경우(S43), 주행속도의 수치를 그대로 m 로 나타낸 수치가 연산된 안전거리가 되고(S44), 만약,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도로가 일반도로이고, 운행 차량의 속도가 80km/h 미만인 경우, 주행속도의 수치에서 15를 뺀 수치의 m 가 연산된 안전거리가 된다(S45). 예컨대, 고속도로이거나 운행차량의 속도가 90km/h 인 경우, 연산된 안전거리는 90m 가 되고, 일반도로에서 운행차량의 속도가 70km/h 인 경우, 연산된 안전거리는 55 m 가 된다. 이와 같이 연산된 안전거리를 La 라 지칭한다. I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en is a highway or the speed of the driving vehicle is 80 km / h or more (S43), the numerical value expressed in m as the driving speed is the calculated safety distance (S44). When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operated is a general road and the speed of the driving vehicle is less than 80 km / h, m of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15 from the value of the driving speed becomes a calculated safety distance (S45). For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or the driving vehicle is 90km / h, the calculated safety distance is 90m, and when the speed of the driving vehicle is 70km / h on a general road, the calculated safety distance is 55m. The safety distance calculated in this way is referred to as La.

이와 같이 기 설정된 로직에 따라 연산된 안전거리(La)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연산로직은 당업자의 입장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당연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logic used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safety distance La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reset logic may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어서, 이와 같이 연산된 안전거리 La 는 기 설정된 비교기준 안전거리 Ls' 와 비교하여(S46), La<Ls' 인 경우 연산된 안전거리 La 가 안전거리 Ls 가 되고(S47), La≥Ls'인 경우 비교기준 안전거리 Ls' 가 안전거리 Ls 가 된다(S48).Subsequently, the calculated safety distance La is compared with the preset comparison reference safety distance Ls' (S46), and when La <Ls', the calculated safety distance La becomes the safety distance Ls (S47), and La≥Ls'. If the reference standard safety distance Ls' becomes the safety distance Ls (S48).

상기 단계에서 안전거리가 계산되면, 리어 초음판 센서(20)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차선 변경을 시도하고 있는 주행 차선에서 안전거리 내에 후행 차량이 있는 지 여부가 판단된다(S50). 후행 차량과의 거리 Lb 는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When the safety distance is calculated in this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trailing vehicle within the safety distance in the driving lane in which the vehicle is trying to change lanes using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rear ultrasonic sensor 20 (S50). The distance Lb from the trailing vehicle is calculated as follows.

Lb=C*t/2Lb = C * t / 2

즉, 초음파 센서에서 송신되었거나 반사되어 수신되는 시점까지의 소요시간 (t)에 초음파의 속도(C; 일반적 조건에서 C는 340m/s 임)를 곱한 값을 반으로 나눈값이다. That is, it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required time (t) from the ultrasonic sensor to the point at which it is transmitted or received by multiplying the speed of the ultrasonic wave (C; in general conditions, C is 340 m / s).

만약, 안전거리 내에 후행 차량이 없다면, 통상의 파워 스티어링 모드(S15)에서 파워 스티어링 유닛에서 제공하는 조작 보조력에 의해 가벼운 조작감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여 차선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안전거리 내에 후행 차량이 있다면, 리어 초음파 센서(20)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의해 후행 차량과의 상대속도가 산출된다(S60). If there is no trailing vehicle within the safety distance, the lane may be changed by operating the steering wheel with a light feeling of operation by the operation assistance force provided by the power steering unit in the normal power steering mode S15. However, if there is a trailing vehicle within the safety distance, the relative speed with the trailing vehicle is calc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rear ultrasonic sensor 20 (S60).

도 5 는 후행 차량과의 상대속도 연산 단계(S60)에서 상대속도가 산출되는 제어로직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5 shows an example of control logic in which a relative speed is calculated in a relative speed calculation step S60 with a trailing vehicle.

즉, 송신된 초음파가 반사되어 수신된 시점을 거리 측정 시점으로 하여, T1 시점에 후행 차량의 거리(L1)를 측정하고(S62), 소정의 주기 후 T2 시점에 후행 차량과의 거리(L2)를 측정하여(S64),That is, the distance L1 of the trailing vehicle is measured at the time point T1 by using the time point at which the transmitted ultrasonic wave is reflected and received (S62), and the distance L2 with the trailing vehicle at the time point T2 after the predetermined period. By measuring (S64),

Vr = (L1-L2)/(T1 과 T2 사이의 시간차)로 산출될 수 있다(S66). It can be calculated as Vr = (L1-L2) / (time difference between T1 and T2) (S66).

이와 같이 차선 변경이 시도되고 있는 차선을 주행하고 있는 후행 차량과의 상대속도가 산출되면, 상대속도차가 기 설정된 값 이상 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70). 본 명세서에서는 설정된 상대속도의 차가 15km/h 이상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즉, 주행 차량이 후행 차량보다 15km/h 이상 빠른 경우에만 안전한 차선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lative speed with the trailing vehicle driving in the lane where the lane change is being attempted is calcul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lative speed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value (s70).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ase in which the difference of the set relative speed is 15 km / h or more is illustrated. That is, only when the driving vehicle is 15km / h or more faster than the trailing vehicle, it is set as a safe lane change.

상기 판단단계에서, 주행 차량이 후행 차량보다 15km/h 이상 빨라 안전한 차선 변경이 가능한 경우에는 통상의 파워 스티어링 모드에서 파워 스티어링 유닛에서 제공하는 조작 보조력에 의해 가벼운 조작감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여 차선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주행 차량과 후행 차량의 상대속도 차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이여서, 안전한 차선 변경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는 경고음 발생수단(90)을 제어해 경고음을 발하여 운전자에게 차선 변경에 위험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리고(S80),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콘트롤러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보조 조작력을 저하시킨다(S90). 즉,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는 데 필요한 조작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주행 차선 변경을 위해 스티어링 휠을 조타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In the determining step, when the driving vehicle is 15km / h or more faster than the trailing vehicle and a safe lane change is possible, the steering wheel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steering wheel with a light operation feeling by the operation assistance provided by the power steering unit in the normal power steering mode. You can change it. However, if the relativ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vehicle and the trailing vehicle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safe lane change is impossibl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warning sound generating means 90 to emit a warning sound and may cause the driver to change lanes. Informs that it can be (S80), by in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of the power steering device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to lower the auxiliary operating force (S90). In other words, increasing the operating force required to operate the steering wheel prevents the driver from steering the steering wheel for driving lane changes.

이어서, 스티어링 조타각 센서(10)에서 감지되는 조타각 정보에 의해 운전자가 차선 변경 시도를 중지한 것으로 판단하면, 통상의 파워 스티어링 모드로 순환하여 제어로직이 반복된다. Subsequently, if it is determined by the steering angl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teering steering angle sensor 10 that the driver has stopped the lane change attempt, the control logic is repeated by circulating in the normal power steering mode.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중인 차량이 차선을 변경하고자 할 때 후행 차량과의 이격거리 및 상대속도에 고려하여 차선변경 주행이 안전하지 않은 경우, 운전자가 차선 변경이 위험한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을 증대시켜 차선 변경을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차선 변경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riving vehicle attempts to change lanes, when the lane change driving is not safe in consideration of a separation distance and a relative speed with a trailing vehicle, the driver may recognize that the lane change is dangerous.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lane change by increas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steering whee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risk of collision that may occur when changing the lane.

도 1 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ering control system of a vehicle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한 차선 변경을 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steering control method of a vehicle for safely changing la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통상적인 주행에서 이루어지는 차선 변경의 시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lane change attempt is made in the normal driving shown in FIG. 2.

도 4 는 도 2 에 도시된 안전거리를 산출하는 제어로직을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ntrol logic for calculating the safety distance shown in FIG. 2.

도 5 는 도 2 에 도시된 후행 차량과의 상대속도의 차를 산출하는 제어로직을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in detail a control logic for calculating a difference in relative speed with a trailing vehicle shown in FIG. 2.

Claims (5)

주행 중 운전자의 차선 변경 의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the driver's willingness to change lanes while driving; 통상적인 주행에서 이루어지는 차선 변경의 시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lane change is made during normal driving; 주행 중인 차량의 속도와, 차량이 운행중인 도로 정보를 매개로 안전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Calculating a safety distance based on a speed of a vehicle driving the vehicle and road information on which the vehicle is driven; 차선 변경을 시도하고 있는 차선 내에서 상기 단계에서 산출된 안전거리 내에 후행 차량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trailing vehicle within the safety distance calculated in the step in the lane that is attempting to change the lane; 상기 단계에서 안전거리 내에 후행 차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후행 차량과의 상대속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Calculating a relative speed with the trailing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iling vehicle is within the safety distance in the step; 상기 산출된 상대속도를 기 설정된 값과 대비하여 후행 차량과의 상대속도차가 차선 변경이 안전한 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Comparing the calculated relative speed with a preset value to determine whether a lane change is within a safe range for a relative speed difference with a following vehicle; 운전자의 차선 변경의 의지가 있는 경우에, 후행 차량이 없거나 후행 차량과의 이격 거리가 안전거리를 초과하거나, 후행 차량과의 상대속도차가 안전한 차선 변경이 가능한 범위로 판단되는 경우, 통상의 파워 스티어링 모드로서 조타각에 비례하여 보조 조향력이 제공되는 단계; If the driver is willing to change lanes, if there is no trailing vehicle, or if the distance from the trailing vehicle exceeds the safety distance, or if the relative speed difference with the trailing vehicle is determined to be within a safe lane change range, normal power steering Providing a secondary steering force in proportion to the steering angle as a mode; 운전자의 차선 변경의 의지가 있는 경우에, 후행 차량과의 이격거리가 안전거리 미만이면서 후행 차량과의 상대속도차가 안전한 차선 변경이 불가능한 범위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조향 보조력이 저하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한 차선 변경을 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제어방법. If the driver is willing to change lane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railing vehicle is less than the safety distance and the relative speed difference with the trailing vehicle is within a range where a safe lane cannot be changed, a warning signal is generated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Wow; Outputting a control signal such that steering assistance force generated in the driving motor of the power steering device is lowered; Steering control method of a vehicle for a safe lane chang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주행 중 운전자의 차선 변경 의지를 판단하는 단계는,The step of determining the driver's willingness to change lanes while driving 방향 지시등 감지부에서 방향 지시등이 온 되지 않은 경우로 인식되는 경우에도, 스티어링 조타각 센서로부터 스티어링 휠이 조타되는 정보가 입력되고, 전방 CCD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로부터 주행 차량이 차선에 일정한 기울기로 근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선 변경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한 차선 변경을 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제어방법.Even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turn signal is not turned on by the turn signal detecting unit, information for steering the steering wheel is input from the steering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driving vehicle has a constant slope to the lane from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front CCD camera. Steering control method of a vehicle for a safe lane change,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to be determined to approach the lane chang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상적인 주행에서 이루어지는 차선 변경의 시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lane change is made in the normal driving, 비상 경고등 감지부를 통해 비상 경고등이 온 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Determining whether the emergency warning light is on by using the emergency warning light detecting unit; 전방 CCD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통해 차량의 전방에 불규칙한 패턴의 장애물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irregular pattern of obstacles in front of the vehicle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front CCD camera, 상기 단계들에서 비상 경고등이 온 된 상태이거나, 차량 전방에 불규칙한 패턴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상의 파워 스티어링 모드로서 조타각에 비례하여 보조 조향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한 차선 변경을 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제어방법.In the above step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warning light is turned on or there is an irregular pattern in front of the vehicle, the auxiliary steering force is provided in proportion to the steering angle as a normal power steering mode. How to control steering.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전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는,The step of calculating the safety distance, 휠 스피드 센서를 이용하여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를 인식하는 단계와,Using the wheel speed sensor to recognize the speed of the vehicle being driven; GPS 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로부터 도로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Recognizing road information from information input from a GPS receiver; 상기 단계들에서 인식된 속도와, 도로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로직에 따라 연산된 안전거리(La)를 산출하는 단계와,Calculating a safety distance La calcul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ogic according to the speed and road information recognized in the above steps; 상기 연산된 안전거리 La를 기 설정된 비교의 기준이 되는 안전거리 Ls' 와 비교하는 단계와, Comparing the calculated safety distance La with a safety distance Ls' which is a reference for a preset comparison; 상기 비교 단계에서 La 가 Ls' 미만 경우 안전거리 Ls 는 La 로 결정되고, La 가 Ls' 이상인 경우 안전거리 Ls 는 Ls' 로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한 차선 변경을 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제어방법.The safety distance Ls is determined as La when La is less than Ls' in the comparing step, and the safety distance Ls is determined as Ls' when La is more than Ls'. Steering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후행 차량과의 상대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The step of calculating the relative speed with the trailing vehicle, 리어 초음파 센서에서 송신되어 후행차량에서 반사되는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Using the receiv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ar ultrasonic sensor and reflected from the following vehicle, 최초 시점(T1)에서 반사된 신호에 의해 측정되는 제1 이격거리(L1)를 측정하는 단계와,Measuring a first separation distance L1 measured by a signal reflected at an initial time point T1; 일정 시간 경과후 소정 시점(T2)에서 반사된 신호에 의해 측정되는 제2 이격거리(L2)를 측정하는 단계와,Measuring a second separation distance L2 measured by a signal reflected at a predetermined time T2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상기 측정된 이격거리를 (L1-L2)/(T1과 T2 의 시간차)로 연산하여 상대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한 차선 변경을 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제어방법. Calculating relative speed by calculating the measured separation distance as (L1-L2) / (time difference between T1 and T2).
KR1020040036031A 2004-05-20 2004-05-20 Safety steering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s KR1006001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031A KR100600165B1 (en) 2004-05-20 2004-05-20 Safety steering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031A KR100600165B1 (en) 2004-05-20 2004-05-20 Safety steering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019A true KR20050111019A (en) 2005-11-24
KR100600165B1 KR100600165B1 (en) 2006-07-13

Family

ID=3728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031A KR100600165B1 (en) 2004-05-20 2004-05-20 Safety steering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165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195B1 (en) * 2008-12-04 2013-04-08 주식회사 만도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Steering
KR101356203B1 (en) * 2008-07-07 201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ytomomous travelling controll system
KR101382279B1 (en) * 2008-11-24 2014-04-08 현대자동차(주) A lane maintenance control system using a variable determination reference
US9014919B2 (en) 2013-04-11 2015-04-2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hange of lane
KR20150067496A (en) * 2013-12-10 2015-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Vehicle for Improving Lane Change Safety
KR20170031917A (en) *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만도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tracking and Apparatus thereof
KR20170112692A (en) * 2016-04-01 2017-10-12 주식회사 디젠 Lane change guiding system device
KR20180065547A (en) * 2016-12-08 2018-06-18 홍경오 Apparatus for preventing vehicle collision and meht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8569338A (en) * 2017-03-14 2018-09-2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Lane changing device includes the system and method for the lane changing device
US10501114B2 (en) 2016-01-08 2019-12-10 Lg Electronics Inc. Steering input apparatus and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042B1 (en) * 2006-06-29 2012-05-02 주식회사 만도 Active Front Steering Apparatus by Using Navigation system and Steering Feature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485352B1 (en) * 2018-04-11 2023-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pparatus,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hanging automatically operable range thereof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203B1 (en) * 2008-07-07 201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ytomomous travelling controll system
KR101382279B1 (en) * 2008-11-24 2014-04-08 현대자동차(주) A lane maintenance control system using a variable determination reference
KR101251195B1 (en) * 2008-12-04 2013-04-08 주식회사 만도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Steering
US9014919B2 (en) 2013-04-11 2015-04-2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hange of lane
KR20150067496A (en) * 2013-12-10 2015-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Vehicle for Improving Lane Change Safety
KR20170031917A (en) *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만도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tracking and Apparatus thereof
US10501114B2 (en) 2016-01-08 2019-12-10 Lg Electronics Inc. Steering input apparatus and vehicle
KR20170112692A (en) * 2016-04-01 2017-10-12 주식회사 디젠 Lane change guiding system device
KR20180065547A (en) * 2016-12-08 2018-06-18 홍경오 Apparatus for preventing vehicle collision and meht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8569338A (en) * 2017-03-14 2018-09-2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Lane changing device includes the system and method for the lane changing device
CN108569338B (en) * 2017-03-14 2021-09-1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Lane changing apparatus,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0165B1 (en)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419B1 (en) Sensor integration based pedestrian detection and pedestrian collision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
US10065656B2 (en) Autonomous driving device and vehicle control device
KR101996418B1 (en) Sensor integration based pedestrian detection and pedestrian collision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
US78938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avoiding a collision in a lane change maneuver of a vehicle
US7375620B2 (en) Speed-sensitive rear obstacle detection and avoidance system
JP43098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vehicle collision
KR101478068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collision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020094545A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to be kept in a lane and a method thereof
KR100600165B1 (en) Safety steering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s
JP6524129B2 (en) Driving support device
JP2017151703A (en) Automatic driving device
JP2006331323A (en) Vehicle deviation alarm device
KR101917827B1 (en) Device for detecting offensive diriving
KR102199743B1 (en)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lind spot image
CN113895433B (en) Forward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through sensor angle adjustment
US10926778B2 (en) Autonomous vehicle control device
KR20220128507A (e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Vehicle having the same
JP2017151704A (en) Automatic driving device
JP2006195729A (en) Alarming device for vehicle
JPH09263200A (en) Alarm device for vehicle
JP2004310525A (en) Vehicular image processor
US10752259B2 (en) Back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ntrol system therefor
JP7361117B2 (en) Vehicle speed control device
JP4973953B2 (en) Driver state determination device and driver state determination method
KR100523573B1 (en) Warning apparatus of traffic lane esc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