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6217A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6217A
KR20050106217A KR1020040031384A KR20040031384A KR20050106217A KR 20050106217 A KR20050106217 A KR 20050106217A KR 1020040031384 A KR1020040031384 A KR 1020040031384A KR 20040031384 A KR20040031384 A KR 20040031384A KR 20050106217 A KR20050106217 A KR 20050106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ler
key
unit
mapping information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3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1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6217A/en
Publication of KR20050106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217A/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0Packing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21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f natural origin; Derivatives thereof
    • D21H17/24Polysaccharides
    • D21H17/28Starch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4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47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 D21H17/49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bound to nitrogen
    • D21H17/51Triazines, e.g. melamin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40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being non-planar, e.g. crêped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22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disinfecting, antiseptic, or corrosion-inhibiting paper antistatic, antioxygenic pa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제어기능키 및 다수의 조작키를 구비한 리모콘으로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리모콘의 적어도 하나의 키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리모콘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리모콘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리모콘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탈착된 상태에서의 통상의 키입력값에 대한 제1매핑정보와, 상기 제1매핑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키입력값에 대하여 상이하게 매핑되는 제2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매핑정보저장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리모콘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지 아니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매핑정보에 따라 상기 리모콘의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리모콘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매핑정보에 따라 상기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생산원가를 절감시키고 리모콘을 사용하는 사용자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리모콘을 통해 기능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main body including a display unit and operable with a remote control having a control function key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the display device being provided on the main body such that at least one key of the remote control is exposed to the outside. An accommodation unit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mote control unit;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remote controll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Storing first mapping information on a normal key input value in a state where the remote controller is detached from the accommodating unit, and second mapping information mapped differently on the first mapping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key input value. A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ote controller is no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the sensing unit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mapping information, and indicates that the remote controll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If it is determine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econd mapping informa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reduce production costs and easily control functions through a remote controller regardless of a distance from a user who uses the remote controller.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제어기능키 및 다수의 조작키를 구비한 리모콘으로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원가를 절감시키고 리모콘을 사용하는 사용자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리모콘을 통해 기능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main body including a display unit, and which can be operated by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control function key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he function of which can be easily adjusted using a remote controller regardless of a dist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5)와 스피커(3)를 포함하며, 전원키와 다수의 제어기능키(10)의 조작을 통해 전원의 온/오프 및 디스플레이 영상의 농도나 색채, 또는 사운드 크기 등을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전원키 및 제어기능키들(1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1)에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general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unit 5 and a speaker 3, and the power is turned on and off and the display image is controlled by operating a power key and a plurality of control function keys 10. The density, color, or sound volume may be adjusted. The power key and the control function keys 10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1 of the display apparatus.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요구상황에 따라 원거리에서 기능조절이 필요한 경우, 장치의 본체(1)에 마련된 상기 제어기능키들(10)을 통해 기능을 조절하는데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display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adjust the function through the control function keys 10 provided in the main body 1 of the device when the function is required to be remotely located according to a user's requirement.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리모트콘트롤러(20)(이하 리모콘이라 함)를 마련하고 상기 리모콘(20)의 신호송신부(22)와 본체(1)의 리모콘신호수신부(12)를 통해 적외선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사용자가 리모콘(2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편리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remote controller 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mote controller) is generally provided, and the signal transmitter 22 of the remote controller 20 and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12 of the main body 1 are provided. By transmitting /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through the user,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conveniently adjust the 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20.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원 및 제어기능키(10)들이 본체(1)에 마련될 뿐 아니라 리모콘(20)에도 각각 마련됨으로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근접된 거리에서 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리모콘을 사용하지 않게 되며 리모콘을 오랜 시간 사용하지 않아 분실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is not only provided with the power and control function keys 10 on the main body 1 but also on the remote controller 20, thereby causing a cost increase and using the display device at a close distanc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mote control is not used and it is easy to lose the remote control for a long tim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원가를 절감시키고 리모콘을 사용하는 사용자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리모콘을 통해 기능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which can reduce production costs and easily adjust functions via a remote controller regardless of a distance from a user who uses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제어기능키 및 다수의 조작키를 구비한 리모콘으로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리모콘의 적어도 하나의 키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리모콘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리모콘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리모콘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탈착된 상태에서의 통상의 키입력값에 대한 제1매핑정보와, 상기 제1매핑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키입력값에 대하여 상이하게 매핑되는 제2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매핑정보저장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리모콘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지 아니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매핑정보에 따라 상기 리모콘의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리모콘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매핑정보에 따라 상기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The object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display unit, the display device operable by a remote control having a control function key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provided in the main body so that at least one key of the remote control is exposed to the outside An accommodation unit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mote control unit;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remote controll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Storing first mapping information on a normal key input value in a state where the remote controller is detached from the accommodating unit, and second mapping information mapped differently on the first mapping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key input value. A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ote controller is no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the sensing unit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mapping information, and indicates that the remote controll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If it is determined, the display apparatus may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econd mapping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노출된 키의 입력값이 상기 제어기능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매핑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o store the information mapped so that the input value of the exposed key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function key.

여기서,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리모콘으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내장리모콘신호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리모콘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리모콘에 의해 가압되어 가압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receiver further includes a built-in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and outputs to the control unit; Preferably, the sensing unit includes a switch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unit to press the remote controller to generate a pressurized signal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accommodated.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 상단에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키가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되도록 상기 리모콘의 일부 영역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것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ccommodation portion is provided to accommodate a partial region of the remote control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at least one key is exposed to the user's field of view.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리모콘에 마련되어 키 입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리모콘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ensing unit includes an output terminal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key input signal, and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when receiving the remote control unit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to output.

또한, 상기 제어기능키는, 전원키와, 메뉴 선택키와, Exit키와, (+)키 및 (-)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function key preferably includes a power key, a menu selection key, an Exit key, a (+) key, and a (-) key.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제어 기능키 및 다수의 조작키를 구비한 리모콘으로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이 탈착된 상태에서의 통상의 키입력값에 대한 제1매핑정보와, 상기 제1매핑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키입력값에 대하여 상이하게 매핑되는 제2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에 상기 리모콘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수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이 수용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제1매핑정보에 따라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이 수용된 경우, 상기 제2매핑정보에 따라 상기 리모콘의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a main body including a display panel, which can be operated by a remote control having a control function key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Storing first mapping information on a normal key input value in a detached state, and second mapping information mapped differently on the first mapping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key input value; Detecting whether an area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If the remote controller is not accommodated,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mapping information; When the remote control is accommodate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mapping information is performed by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여기서, 상기 제2매핑정보는, 소정의 상기 키 입력이 상기 제어기능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매핑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mapping information may include storing information mapped to the predetermined key input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function key.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 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in a conventional display apparatus o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presentativel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Only the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구성 및 리모콘이 수용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와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3)와 리모콘(20)을 원거리에서 사용할 때 리모콘(20)으부터의 적외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콘신호수신부(12)를 포함하는 본체(1)와, 본체(1)의 측면 상단에 마련되어 소정의 키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리모콘(20)의 일부 영역을 수용하는 수용부(30)와, 수용부(30)에 마련되어 리모콘(20)이 수용되는 경우 리모콘(20)에 의해 가압되어 가압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34)와, 수용부(30)에 마련되어 리모콘(20)이 수용된 상태에서 리모콘(20)으부터의 적외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내장리모콘신호수신부(32)와, 사용자의 키 조작을 통해 해당하는 적외선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신부(22)를 포함하는 리모콘(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ate in which the remote controller is accommodated will be described below. As shown in the figur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20 when the display unit 5 for displaying an image, the speaker 3 for outputting sound, and the remote controller 20 are used at a distance. A main body 1 including 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12 for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and an accommodating part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 to accommodate a partial region of the remote control 20 so that a predetermined key is exposed to the outside. 30 and a switch 34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30 to press the remote controller 20 to generate a pressurized signal when the remote controller 20 is accommodated, and a remote control 20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30. Remote control 20 including a built-in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32 for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20 in the received state, and a signal transmitter 22 for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infrared signal through a user's key operation. ).

여기서 리모콘(20)은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기능키와, 그 밖에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숫자키 및 음소거 선택키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는 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기능키는 전원키와, 메뉴선태키와, (+)키와 (-)키 및 Exit키 등을 포함한다. 이에, 리모콘(20)은 사용자가 상기 다양한 키 중 소정의 키를 선택한 경우, 이에 해당하는 적외선신호를 신호송신부(22)를 통해 송신한다. Here, the remote controller 20 includes a control function key for adjusting the 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other keys hav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a numeric key and a mute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hannel. Key, menu selection key, (+) key, (-) key and Exit key. Thus,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key among the various keys, the remote controller 20 transmits an infrared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hrough the signal transmitter 2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모콘(20)이 본체(1)의 수용부(30)에 수용되기 위해 본체(1)의 상단 방향에서 하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여기서, 본 도면에서는 수용부(30)에 리모콘(20)이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구성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은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체(1)의 수용부(30)에 리모콘(20)의 적어도 하나의 키를 외부로 노출시켜 수용되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마련이 가능하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수용부가 본체(1)의 우측의 상단부에 마련되지만, 리모콘(20)의 적어도 하나의 키를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리모콘(20)을 수용할 수 있는 위치라면 본체(1)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controller 20 is slidably inserted from the top direction to the bottom direction of the main body 1 so that the remote controller 2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30 of the main body 1. Here, although the remote controller 2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30 in the drawing in the sliding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side, this is only one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20 to the receiving unit 30 of the main body 1 If the configuration is accommodated by exposing at least one key to the outside can be provid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although 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1 in this figure, the main body if the position to accommodate the remote control 20 so that the user can see by exposing at least one key of the remote control 20 to the outside. It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of (1).

도 3은 도 2의 리모콘이 수용된 상태의 수용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도면과 같이, 본체(1)의 수용부(30)에 슬라이딩 수용된 리모콘(20)은 소정의 키(예를 들어 전원키와 숫자1키와 숫자4키와 숫자7키 및 (-)키)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가시 위치에 배치된다.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part in a state where the remote controller of FIG. 2 is accommodat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remote control 20 sliding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30 of the main body 1 has a predetermined key (for example, a power key, a number 1 key, a number 4 key, a number 7 key, and a (-) key).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placed in the user's visible position.

도 4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부터 사운드 및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부(50)와, 스피커(3)와, 스피커(3)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사운드신호를 처리하는 사운드처리부(44)와, 디스플레이부(5)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5)에 영상으로 표시 하도록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처리부(42)와, 영상처리부(42)로부터의 영상신호와 후술할 OSD생성부(40)로부터 출력되는 OSD메뉴화면신호를 믹싱하여 소정의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믹서(46)를 포함한다.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e figure,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sound signal to output sound to the signal input unit 50, the speaker 3, and the speaker 3, which receives sound and image signals from the outside. The sound processor 44, the display unit 5, the image processor 42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the video signal to the display unit 5 as an image, and the video signal from the image processor 42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A mixer 46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video signal by mixing the OSD menu screen signal output from the OSD generation unit 40 to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리모콘(20)과, 리모콘(20)으로부터의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신호수신부(12)와, 수용부(30)에 마련되어 리모콘신호수신부(12)와 같은 기능을 하는 내장리모콘신호수신부(32)와, 수용부(30)에 마련되어 리모콘(20)의 수용여부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34)와, 리모콘(20)의 키입력값에 대한 제1매핑정보(68)와 제2매핑정보(69)를 저장하는 매핑정보저장부(67)와,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을 조절하기 위해 작동상태 등을 디스플레이부(5)에 표시하기위한 OSD메뉴화면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OSD생성부(30)와, 스위치(3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리모콘(20)이 수용부(30)에 수용되지 아니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매핑정보(68)에 따라 리모콘(20)의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리모콘(20)이 수용부(30)에 수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매핑정보(69)에 따라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영상처리부(42)와 사운드처리부(44) 및 OSD생성부(40)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unit 20 for the user to operate the display device,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2 for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20, the receiving unit 30 remote control The built-in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32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signal receiver 12, a switch 34 provided in the receiver 30 and generating a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remote controller 20 is accommodated, and the remote controller 20 The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67 for storing the first mapping information 68 and the second mapping information 69 for the key input value, and an operation state or the like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First mapping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ote control unit 20 is no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30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OSD generating unit 30 and the switch 34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OSD menu screen for display. According to (68),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2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ote controller 2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30, the image processor 42, the sound processor 44, and the OSD are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econd mapping information 69. And a controller 60 for controlling the generator 40 and the like.

신호 입력부(50)는 외부로부터 사운드 및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부분으로써,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텔레비전 장치인 경우에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안테나로부터의 방송신호를 선국하는 튜너와, 튜너로부터의 중간주파수신호를 증폭하여 사운드처리부(44)와 영상처리부(42)로 각각 영상신호와 사운드신호를 출력하는 IF증폭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컴퓨터용 모니터인 경우에는 컴퓨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사운드처리부(44)와 영상처리부(42)로 각각 영상신호와 사운드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텔레비전 기능과 모니터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신호 입력부(50)는 상기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등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에서 입력받는 신호에 따라 처리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The signal input unit 50 is a part for receiving sound and video signals from the outside. When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levision device, an antenna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 tuner for tuning the broadcast signal from the antenna, and a tuner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IF amplifier for outputting an image signal and a sound signal to the sound processor 44 and the image processor 42 by amplifying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f the case,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 monitor The computer may have a configuration of receiving a signal from a computer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and a sound signal to the sound processor 44 and the image processor 42, respectively.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oth a television function and a monitor function, the signal input unit 50 includes all of the above configurations, and has a configuration that the display device can process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리모콘(20)은 전원키와 (+)키와 (-)키와 메뉴선택키와 Exit키를 포함하는 제어기능키와 다수의 숫자키 등을 가지며, 각 키에 해당하는 적외선신호를 신호송신부(22)를 통해 무선 송출한다.The remote controller 20 has a control function key including a power key, a (+) key, a (-) key, a menu selection key, and an exit key,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the like, and an infrared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key. 22) wireless transmission.

리모콘신호수신부(12) 및 내장리모콘신호수신부(32)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른 리모콘(20)으로부터의 적외선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60)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60)로 출력한다. 여기서 리모콘신호수신부(12)는 본체(1)의 외부에 마련되어, 수용부(30)로부터 탈착된 리모콘(20)을 원거리에서 조작할 때 송신되는 리모콘신호를 수신하며(도 1참조), 내장리모콘신호수신부(32)는 수용부(30)에 마련되어, 리모콘(20)이 수용부(30)에 수용된 상태에서의 조작을 통한 리모콘신호를 수신한다(도 3참조). 이때, 리모콘(20)이 수용부(30)에 수용된 상태에서의 송신하는 리모콘신호가 리모콘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타 장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내장리모콘신호수신부(32)를 수용부(32)가 아닌 다른 곳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며, 구성에 따라서는 내장리모콘신호수신부(32)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하나의 리모콘신호수신부(12)를 통해 리모콘(20)이 수용부(30)에 수용된 상태에서의 리모콘신호도 수신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2 and the built-in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32 receive an infrared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20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convert the signal into a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control unit 60, and control the control unit 60. Output Here,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12 is provided outside the main body 1, and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when the remote controller 20 detached from the receiving unit 30 is operated at a long distance (see FIG. 1). The signal receiving unit 32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unit 30 to receive a remote control signal through an operation in a state where the remote controller 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30 (see FIG. 3).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32, the built-in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32 within the range that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remote control 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30 does not affect other devices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remote control.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lace other than), and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the remote control unit 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30 through on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12 without separately providing a built-in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32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o receive a remote control signal from.

스위치(34)는 수용부(30)에 마련되어 리모콘(20)이 수용되는 경우 리모콘(20)에 의해 가압되어 가압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60)로 출력한다. The switch 34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unit 30, when the remote controller 20 is accommodated, the switch 34 is pressed by the remote controller 20 to generate a pressure signal and output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60.

매핑정보저장부(67)는, 리모콘(20)이 수용부(30)로부터 탈착된 상태에서의 통상의 키입력값에 대한 정보인 제1매핑정보(68)와, 제1매핑정보(68)와 적어도 하나의 키입력값에 대하여 상이하게 매핑되는 정보로써, 리모콘(20)이 수용부(30)에 수용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키들(전원키와 숫자1키와 숫자4키와 숫자7키 및 (-)키)의 입력값이 제어기능키(전원키와 (+)키와 (-)키와 메뉴선택키와 Exit(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매핑된 정보인 제2매핑정보(69)를 포함한다.The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67 may include first mapping information 68 and first mapping information 68 which are information on a normal key input value when the remote controller 20 is detached from the accommodation unit 30. And differently mapped information on at least one key input value, the key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remote controller 2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30 (power key, number 1 key, number 4 key, and number 7 key). And the second mapping information, in which input values of the (-) key are mapped to perform functions corresponding to control function keys (power key, (+) key, (-) key, menu selection key, and exit key). (69).

OSD생성부(4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상의 농도나 색채, 또는 사운드 크기 등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선택메뉴와 기능조절메뉴를 OSD메뉴화면으로 생성하여 출력한다.The OSD generation unit 40 generates and outputs a function selection menu and a function adjustment menu for adjusting the density, color, or sound volume of the display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 on the OSD menu screen.

제어부(60)는, 스위치(3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리모콘(20)이 수용부(30)에 수용되지 아니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매핑정보(68)에 따라 리모콘신호수신부(12)를 통한 리모콘(20)의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리모콘(20)이 수용부(30)에 수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매핑정보(69)에 따라 내장리모콘신호수신부(32)를 통한 키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 즉, OSD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부(5)에 표시하거나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영상처리부(42)와 사운드처리부(44) 및 OSD생성부(40) 등을 제어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ote controller 20 is no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30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the switch 34, the controller 60 controls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12 according to the first mapping information 68. The remote control unit 20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20, and when the remote controller 20 is determined to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30, the built-in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32 according to the second mapping information 69. The image processing unit 42, the sound processing unit 44, and the OSD generating unit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signal through the OSD, such as displaying an OSD menu screen on the display unit 5 or adjusting a sound volume. 40 and so 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리모콘(20)은 키 입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26)를 더 포함하며, 수용부(30)에 마련되어 리모콘(20)이 수용부(30)에 수용되는 경우 출력단자(26)에 접속되어 리모콘(20)으로부터의 키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60)로 출력하는 접속단자(36)를 포함한다. 5 i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controller 20 further includes an output terminal 26 for outputting a key input signal, provided in the receiving unit 30, the remote control 20 is the receiving unit 30 )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26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36 for receiving a key input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20 and outputting it to the control unit 60.

제어부(60)는 출력단자(26)와 접속단자(36)가 접속되어 리모콘(20)으로부터의 키입력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리모콘(20)이 수용부(30)에 수용되었다고 판단하고, 제2매핑정보(69)에 따라 접속단자(36)를 통해 입력되는 키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 즉, OSD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부(5)에 표시하거나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영상처리부(42)와 사운드처리부(44) 및 OSD생성부(40) 등을 제어한다. 이때, 출력단자(26)와 접속단자(36)가 접속되지 아니한 경우, 제1매핑정보(68)에 따라 리모콘신호수신부(12)를 통한 리모콘(20)의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영상처리부(42)와 사운드처리부(44) 및 OSD생성부(40) 등을 제어한다. When the output terminal 26 and the connection terminal 36 are connected to receive the key input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20, the controller 60 determines that the remote controller 2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30. 2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36 according to the mapping information 69, that is, displaying an OSD menu screen on the display unit 5 or adjusting a sound volume. The image processor 42, the sound processor 44, the OSD generator 40, and the like are controlled. In this case, when the output terminal 26 and the connection terminal 36 are not connected,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20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12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mapping information 68. The image processor 42, the sound processor 44, the OSD generator 40, and the like are controll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흐름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매핑정보저장부(67)에 제1매핑정보(68)와 제2매핑정보(69)를 저장한다(S10). 사용자에 의해 리모콘(20)이 수용부(30)에 수용되었는지를 감지한다(S20). 이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모콘(20)이 수용부(30)에 수용되는 경우 리모콘(20)에 의해 가압되어 발생되는 스위치(34)의 가압신호나, 리모콘(20)이 수용부(30)에 수용되는 경우 출력단자(26)와 접속단자(36)의 접속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부(60)에서 감지한다. 이때, 리모콘(20)이 수용되지 아니한 경우, 제어부(60)는 제1매핑정보(68)에 따라 리모콘(20)의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 즉, OSD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부(5)에 표시하거나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S30). 이때, 리모콘(20)이 수용부(30)에 수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매핑정보(69)에 따라 리모콘(20)의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 즉, OSD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부(5)상에 표시하거나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영상처리부(42)와 사운드처리부(44) 및 OSD생성부(40) 등을 제어한다(S40). The control flow of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s follows. First, the first mapping information 68 and the second mapping information 69 are stored in the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67 (S10). It is detected by the user whether the remote control 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30 (S20).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when the remote controller 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30, the pressing signal of the switch 34 generated by being pressed by the remote controller 20 or the remote controller 20 is the receiving unit. When accommodated in the 30, the control unit 60 detects the signal generated by the connection of the output terminal 26 and the connection terminal 36. In this case, when the remote controller 20 is not accommodated, the controller 60 display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20, that is, the OSD menu screen on the display unit 5 according to the first mapping information 68. It performs a function such as displaying 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ound (S30). 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ote controller 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30,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20 according to the second mapping information 69, that is, display the OSD menu screen 5 The image processor 42, the sound processor 44, the OSD generator 40, and the like are controlled to perform a function of displaying on the screen 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ound (S40).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래와 같이 일반적으로 리모콘(20)을 통해 원거리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조작이 가능하며, 수용부(30)에 수용된 상태의 리모콘(20)을 통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조작이 가능하다. Through such a process,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capable of operating the display apparatus at a long distance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20 as in the related art, and is also display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20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30. Function operation of the device is possible.

여기서, 본 발명은 무선 신호를 송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는 리모콘(20)이 수용부(30)에 수용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리모콘(20)의 키입력값을 본래의 기능과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매핑하는 구성을 보이나, 본체(1)의 전면부에 마련되는 유선 전면 키패드(예를 들면 도1의 전원키 및 제어기능키들(10))를 탈 시켜 디스플레이 본체(1)의 다른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조작 편의에 따라 키입력값을 본래의 기능과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매핑하여 사용하는 등 당업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put value of the remote controller 20 performs a function different from the original func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remote controller 20 for operating the display device by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30. Although it is shown that the configuration to map, the wired front keypad (for example, the power key and control function keys 10 of FIG. 1) provid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 is removed and attached to another position of the display main body 1. Even in the case of having a configuration that can be used by the user,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such as mapping and using a key input value to perform a function different from the original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이를 통해, 전원 및 제어기능키(10)들을 장치의 본체(1)와 리모콘(20)에도 각각 마련함으로 발생되는 원가상승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근접한 거리에서 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리모콘(20)을 수용부(30)에 삽입하여 노출된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종래의 본체(1)에 마련되었던 전원 및 제어기능키(10)들의 동일한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리모콘(20)을 오랜 시간 사용하지 않아 분실하기 쉽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용부(30)에 리모콘(20)을 삽입하여 사용하기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원거리에서 일반적인 리모콘(20) 조작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This solves the problem of cost increase caused by providing power and control function keys 10 to the main body 1 and the remote controller 20 of the device, respectively, and when the user mainly uses the display device at a close distance. By inserting the remote controller 20 into the receiving unit 30, the same function of the power and the control function keys 10 provided in the main body 1 can be conveniently used by using a predetermined key exposed. The problem that it is easy to lose by not using (20) for a long time can be solved. In addition,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insert the remote controller 20 into the accommodation unit 30, the user can operate the func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through a general remote controller 20 operation from a long distan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원가를 절감시키고 리모콘을 사용하는 사용자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리모콘을 통해 기능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reduce production costs and easily adjust a function through a remote controller regardless of a distance from a user who uses the remote controller.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리모콘을 수용시키기 전 상태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before accommodating a remote controller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리모콘이 수용된 상태의 수용부분 확대 사시도,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remote controller of FIG. 2 is accommoda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6 is a control flowchart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본체 5 : 디스플레이부 1 body 5 display unit

3 : 스피커 20 : 리모콘 3: speaker 20: remote control

22 : 신호송신부 30 : 수용부22: signal transmitter 30: receiver

32 : 내장리모콘신호수신부 34 : 스위치32: built-in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34: switch

40 : OSD생성부 42 : 영상처리부40: OSD generation unit 42: Image processing unit

44 : 사운드처리부 46 : 믹서44: sound processor 46: mixer

60 : 제어부 67 : 매핑정보저장부 60: control unit 67: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68 : 제1매핑정보 69 : 제2매핑정보68: first mapping information 69: second mapping information

Claims (8)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제어기능키 및 다수의 조작키를 구비한 리모콘으로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main body including a display unit, and which can be operated by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control function key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리모콘의 적어도 하나의 키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리모콘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수용하는 수용부와;An accommodation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mote control unit so that at least one key of the remote control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리모콘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remote controll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상기 리모콘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탈착된 상태에서의 통상의 키입력값에 대한 제1매핑정보와, 상기 제1매핑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키입력값에 대하여 상이하게 매핑되는 제2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매핑정보저장부와;Storing first mapping information on a normal key input value in a state where the remote controller is detached from the accommodating unit, and second mapping information mapped differently on the first mapping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key input value. A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리모콘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지 아니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매핑정보에 따라 상기 리모콘의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리모콘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매핑정보에 따라 상기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ote controller is no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the sensing unit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mapping information, and indicates that the remote controll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And if it is determined, the controller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econd mapping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매핑정보는,The second mapping information, 상기 노출된 키의 입력값이 상기 제어기능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매핑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display information mapped such that an input value of the exposed key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function key.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리모콘으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내장리모콘신호수신부를 더 포함하며;A built-in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n infrared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d output the received infrared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감지부는,The detection unit,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리모콘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리모콘에 의해 가압되어 가압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switch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nd configured to pressurize by the remote controller to generate a pressurized signal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accommodate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수용부는,The receiving portion, 상기 본체의 측면 상단에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키가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되도록 상기 리모콘의 일부 영역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remote control so that at least one key is exposed to the user's field of view.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감지부는, The detection unit, 상기 리모콘에 마련되어 키 입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리모콘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 output terminal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key input signal; and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when receiving the remote control unit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and output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제어기능키는,The control function key, 전원키와, 메뉴선택키와, Exit키와, (+)키 및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nd a power key, a menu selection key, an exit key, a (+) key, and a (-) key.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제어 기능키 및 다수의 조작키를 구비한 리모콘으로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a main body including a display panel, which can be operated by a remote control having a control function key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상기 리모콘이 탈착된 상태에서의 통상의 키입력값에 대한 제1매핑정보와, 상기 제1매핑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키입력값에 대하여 상이하게 매핑되는 제2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Storing first mapping information on a normal key input value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detached, and second mapping information mapped differently on the first mapping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key input value; 상기 본체에 상기 리모콘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수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와;Detecting whether an area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상기 리모콘이 수용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제1매핑정보에 따라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와;If the remote controller is not accommodated,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mapping information; 상기 리모콘이 수용된 경우, 상기 제2매핑정보에 따라 상기 리모콘의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And if the remote controller is accommodated,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second mapping information.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2매핑정보는,The second mapping information, 소정의 상기 키 입력이 상기 제어기능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매핑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And storing the mapped information such that the predetermined key input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function key.
KR1020040031384A 2004-05-04 2004-05-04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501062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384A KR20050106217A (en) 2004-05-04 2004-05-04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384A KR20050106217A (en) 2004-05-04 2004-05-04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217A true KR20050106217A (en) 2005-11-09

Family

ID=3728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384A KR20050106217A (en) 2004-05-04 2004-05-04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621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012B1 (en) * 2006-11-02 2008-03-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Tv having body key input part which is same transmitting method of remote controller
US10789043B2 (en) 2017-08-31 2020-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KR20230123240A (en) * 2022-02-16 2023-08-2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taverse stretahable display controller linked to and image prov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012B1 (en) * 2006-11-02 2008-03-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Tv having body key input part which is same transmitting method of remote controller
US10789043B2 (en) 2017-08-31 2020-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KR20230123240A (en) * 2022-02-16 2023-08-2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taverse stretahable display controller linked to and image prov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3087A (en) Screen overlay device for outputting cursor coordinates based on movement of a pointing device and an on-screen display relating to a menu and a method therefor
US7224410B1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a television receiver with user programmable means
KR100744184B1 (en) Display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090136060A1 (en) Audio output control device and audio output control method
JP2003067073A (en) Information processor
US20050210503A1 (en) Remote control unit guide display
KR20050106217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804493A2 (en) A remote control for a display device
JP2008306509A (en) Display device
US6995809B1 (en) Automatic channel memory device
KR100793798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ultiple user interface picture
KR20100027882A (en) Remoc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079596B1 (en) Remote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And Remote Control Method
KR20110058348A (en) Broadcast receiver controlled by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space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814299B2 (en) TV receiver
JPH09233567A (en) Intelligent remote controller
KR20030026134A (en) Display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ing the same
KR100661363B1 (en) Television
KR19990027033A (en) How to Define Input Keys for Your TV
KR100201500B1 (en) Directions for use guide method of a television
JP2002118794A (en) Receiver
KR1005647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KR101315238B1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system for the same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040068443A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signal thereof
KR1005312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 Scroll with Remote Controller of Video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