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836A - Method for trademark search including similarity decision and trademark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trademark search including similarity decision and trademark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836A
KR20050103836A KR1020040029248A KR20040029248A KR20050103836A KR 20050103836 A KR20050103836 A KR 20050103836A KR 1020040029248 A KR1020040029248 A KR 1020040029248A KR 20040029248 A KR20040029248 A KR 20040029248A KR 20050103836 A KR20050103836 A KR 20050103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demark
similarity
product
registration
jud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2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주)광개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개토연구소 filed Critical (주)광개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40029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3836A/en
Publication of KR2005010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836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25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 B65D2585/36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specific products
    • B65D2585/366Pizz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상표의 유사성 여부를 포함하는 검색을 수행하고 및 그 상표의 등록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상표의 유사 판단 과정 및 유사성의 정도를 언어 공학 기술을 활용하여 수치화하며, 이를 보고서로 작성하여 출원인에게 제시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표 등록 요건의 충족 여부를 사전에 점검하여, 상표 출원 전에 등록 가능성 여부를 점검해 볼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erforming a search including the similarity of trademarks on the Internet, an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registration of the trademarks, and more specifically, to quantify the similarity of trademarks and the degree of similarity using language engineering technolog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checking the possibility of registration before trademark application by checking in advance whether the trademark registration requirement is satisfied, including preparing a report and presenting it to the applicant.

Description

유사성 판단을 포함하는 상표 검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표 정보 시스템{Method for trademark search including similarity decision and trademark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Method for trademark search including similarity decision and trademark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서 상표의 검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차용한 상표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상표 유사 판단 과정을 포함하는 상표 검색 방법과 상기 방법을 적용한 상표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demark retrieval method on a network and a trademark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demark retrieval method including a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process and a trademark information system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다.The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현재 인터넷 상에서 상표, 서비스표 기타 표장(이하 ‘상표’라는 말로 통칭한다. 즉, 법률적으로 상표, 서비스표, 업무표장, 단체표장, 증명표 등은 구분되지만 특별한 언급이 없는 이상 기술(description)의 편의상 상표라는 말로 이들을 통칭한다. 상표권도 마찬가지이다.)에 대한 출원시스템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들 시스템은 오프라인 상의 상표 출원 과정을 온라인화한 것에 불과하다. 즉, 접속자가 상표를 입력하고, 지정 상품(기술상의 편의상 ‘지정 서비스업’을 포함하여 지정 상품으로 통칭한다.)을 선택하면 이를 전자 문서 방식으로 출원서를 작성하여 특허청의 전자출원시스템을 활용하여 출원을 대행해 주는 것이다. 이는 오프라인 상의 상표 출원 방식으로 단순히 온라인화한 것일 뿐 상표 등록 출원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상표 등록 요건에 대한 사전 판단 과정이 결여되어 있어, 출원인이 출원하려는 상표가 상표법 상의 등록 요건을 충족하고 있는지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전혀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다.First, trademarks, service marks, and other marks (collectively, the term 'trademarks') on the Internet, namely, trademarks, service marks, business marks, collective marks, and proof marks are classified by law, but unless otherwise stated, descriptio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re is an application system for trademarks. However, these systems are only online processes of the trademark application process on-line. That is, when a visitor enters a trademark and selects a designated product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designated product including 'designated service industry' for technical convenience), the applicant prepares an application by electronic document method and uses the electronic application system of the KIPO. It is on behalf of. This is simply an online application of trademarks on-line, and lacks a preliminary judgment on the most important trademark registration requirements in the trademark registration application process. It does not provide any information at all.

둘째, 브랜드 네이밍 과정에서 브랜드를 자동으로 발생시키는 프로그램이 나와 있으나 이는 랜덤함수를 사용하여 무작위로 브랜드를 발생시키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등록 가능성 또는 타인이 동일 또는 유사한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는 지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전혀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해서 수동으로 검색해 보아야 했다. Second, there is a program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a brand during the brand naming process, but it is not only at the level of randomly generating a brand using a random function, but also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registration or whether another person uses the same or similar brand. It didn't provide any dictionary information, so I had to search for it manually.

셋째, 상표 검색 과정에서 유사 상표를 찾을 때, 유사 판단 과정이 내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유사 상표들이 일률적으로 나오나, 대상 상표와 얼마나 유사한지에 대한 수치화 된 정보나, 카테고리화 된 정보가 전혀 제공되지 못하고 있거나 그 판단의 근거가 나와 있지 않다. 즉, 상표 유사 판단 과정에서 전적으로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유사성에 대한 근거 자료가 언어 공학(language engineering or language science)적으로 분석되어 체계적으로 제공되지 못하였다.Third, when searching for similar trademarks in the trademark search process, similar trademarks are uniformly generated by a computer program with a similar judgment process, but no quantified information or categorized information about how similar to the target trademark is provided at all. Or there is no basis for that judgment. In other words, not only the subjective judgment is entirely dependent on the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process, but the evidence data on similarity cannot be systematically provided by analyzing language engineering or language scien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상표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언어 공학적 과정 및 이를 위한 각종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상품 유사성 판단 엔진(200-1), 상표 유사성 판단 엔진(100-1), 식별력이 없는 부분을 추출하는 엔진 및 2개 국어 이상이 개입될 때의 언어 처리 시스템을 포함한 상표 가공 과정, 상표 DB, 보고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First, it is about the linguistic engineering process and various systems for determining the similarity of trademarks. Specifically, a trademark processing process including a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engine 200-1, a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engine 100-1, an engine for extracting a part without identification, and a language processing system when two or more languages are involved, Trademark DB, reporting system.

둘째, 상표의 등록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일체의 과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이다. 세부적으로는 각종 등록 요건을 처리하기 위한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400-1) 및 각종 DB, 보고 시스템 및 등록 가능성 처리 프로세서에 대한 것이다.Secondly, it is an all-in-one process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registration of a trademark and a system therefor. In more detail, it relates to a registerability determination engine 400-1 for processing various registration requirements, various DBs, a reporting system, and a registerability processing processor.

용어의 정의Definition of Terms

네트워크(1000)란 유, 무선 통신망을 가리킨다.The network 1000 refers to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오프라인(offline)은 온라인(online)의 (상대)반대개념으로서 네트워크(1000) 상에 접속되지 않는 상태를 가리킨다.Offline refers to the state of not being connected on the network 1000 as a (relative) opposite concept of online.

온라인(online)은 네트워크(1000)에 접속 가능한 모든 형태의 네트워크(1000) 터미널(mobile, 지리정보시스템, 통신위성을 이용한 송,수신 장치 등의 위성수신장치 등을 포함) 환경을 포괄적으로 정의한다.Online comprehensively defines the environment of all types of network 1000 terminals (including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satellite receivers such as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s using communication satellit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network 1000. .

오프라인 매체(offline media)란 물질적 형상을 가진 매체로서, 비디오 자료, 테이프 자료, 도서를 포함하는 종이 매체 자료 등과 같은 아날로그(analog) 기록 매체 자료와 플로피 디스크(FDD), 씨디(CD-ROM),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광자기 디스크(MOD), 하드 디스크(HDD), 램(RAM), 롬(ROM), 팩(pack), 포토 매스크(photo mask) 등과 같은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로 사용되는 임의의 장치를 말한다.Offline media are physically shaped media, which include analog recording media such as video, tape, and paper media including books, floppy disks (FDDs), CDs (CD-ROMs), Used as digital data storage media such as digital video discs (DVD), magneto-optical discs (MOD), hard disks (HDDs), RAM, ROMs, packs, photo masks, etc. Refers to any device.

연동(synchronization)이란 컴퓨터 사용자에게 온라인 상호간 또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의 디지털 콘텐츠가 상호작용(interaction)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의 콘텐츠가 연결(connection), 결합(synthesis), 병합(composition), 정보의 교환(exchange) 재구성(reorganization) 또는 전송(transfer)하는 과정을 통해 컴퓨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방식을 말한다.Synchronization means that computer users interact with each other online or with online and offline digital content so that the online and offline content can be connected, combined, merged, and exchanged. A method provided to a computer user through a process of reorganization or transfer.

컴퓨터 사용자(computer user)란 컴퓨터를 사용하는 자를 말하며, 본 발명에서 컴퓨터란 PC, PDA, 노트북(notebook), 팜탑(palm top), e북(e-book), 워크 스테이션(work station), 미니 컴퓨터(mini computer), 슈퍼 컴퓨터(super computer), 핸드폰(cellular phone, mobile phone), 호출기(beeper), 게임기(game machine, 예를 들면 SONY사의 Play Station등), 디지털 TV등 중앙처리장치(CPU) 또는 중앙처리장치가 내장된 주기기에 별도로 부착하여 물리적인 통신 단말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보조 장치로서 수치처리장치(NPU)를 내장하고 있는 장치 등, 유선, 무선을 불문하고 네트워크(10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 수신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임의의 기계를 말한다.A computer user refers to a user who uses a comput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refers to a PC, a PDA, a notebook, a palm top, an e-book, a work station, a mini Central processing unit (CPU) such as computer (mini computer), super computer, cellular phone (mobile phone), pager (beeper), game machine (e.g., Sony Play Station, etc.), digital TV Or a separate device attached to a built-in central processing unit to perform a function as a physical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 device including a numerical processing unit (NPU), whether wired or wireless. ) Is an arbitrary machine with the function to send and receive data by

내부 기억 장치(inner memory device)란 내부 저장 장치(inner storing device) 와 보조기억장치(Auxiliary Storage Device) 중 읽고 쓰기가 가능한 매체를 포괄적으로 정의한 개념으로서 크게 전, 자기적 기록 방식의 매체, HDD, RAM 또는 ROM과 같은 휘발성, 비휘발성 기억 장치, CD-RW와 같은 광학적 기록 방식의 기기 중 읽고 쓰기가 가능하고 컴퓨터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장치 (device)를 말한다.The internal memory device is a concept that comprehensively defines the media that can be read and written among the internal storage device and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y devices such as RAM or ROM, and optical recording devices such as CD-RW are devices that can be read and written and mounted in a computer.

상표 : 본 발명에서 상표란 주로 상표와 서비스표를 그 주 대상으로 하나, 광의적으로는 상표, 서비스표, 단체표장, 업무 표장 등 표지에 관계된 법률에서 정의되는 임의의 식별 표지 및 상호 등 상법에서 정의되는 식별 표지, 부정경쟁방지법에서 정의되는 식별 표지, 증명표, 상품의 모델명, 기타 자타상품식별의 목적으로 쓰이는 일체의 표지 및 웹사이트 주소(하부 사이트 주소를 포함한다), 아이콘, 이미지, 심볼(symbol), 소리 상표, 슬로건, 제스처, 광고 중의 특정한 장면, 특정한 소리, CM송, CF 등의 일체의 식별 목적을 가지고 쓰이거나 식별의 기능을 가지면서 사용되는 콘텐츠 및 이들 각각을 결합한 것 중의 어느 하나 또는2이상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의 법률은 표장과 관계된 대한민국, 제 외국의 법률 또는 조약을 말한다. 이들 표장 중에서 상표가 사회적으로 큰 비중을 가지면서 다루어지는 현실과 기술(description)의 편의상 별도의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상표”라는 말로 표장을 대신할 수 있다.Trademark: In the present invention, a trademark mainly includes a trademark and a service mark, but is broadly defined in commercial law such as any identification mark and trade name defined in a law related to a mark such as a trademark, a service mark, a collective mark, a business mark, etc. Identification mark, identification mark as defined by the Anti-Competition Law, identification mark, model name of the product, any cover and website address (including sub-site address) us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other products, icons, images, symbols ), Sound labels, slogans, gestures, specific scenes in advertising, specific sounds, CM songs, CFs, etc. Contents used for any purpose of identification or having the function of identification, or any combination thereof We say thing corresponding to two or more. The above law refers to the laws or treatie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related to the emblem. Among these marks, "trademarks" may be substituted for "trademarks" unless there is a special mention for the convenience of reality and description, which is handled by the socially significant weight of trademarks.

지정상품 : 본 발명에서 지정상품이란 지정 상품 또는 지정 서비스업을 그 주 대상으로 하나, 광의로는 표장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지정 상품, 지정 서비스업, 업무, 영업 등의 표장과 관련된 대한민국, 제 외국의 법률 또는 조약에서 규정하고 있는 각 표장의 대상으로 지정된 것 또는 상품학 상의 상품 또는 서비스업,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명칭, 업종명 중1개 또는2이상을 말한다. 이들 표장의 대상 중에서는 지정 상품이란 말로 대한민국 상표법에서 기술되고 있는 점 및 기술(description)의 편의상 별도의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지정 상품”이라는 말로 표장의 대상을 대신할 수 있다.Designated goods: In the present invention, designated goods are designated goods or designated services business as their main targets, but broadly related laws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related to marks of designated goods, designated services, business, business, etc. Or one or two or more of those designated for the purposes of each mark as provided for in the Treaty, the name of the goods or services in the field of merchandise, the names of the goods or services that are socially accepted, or the type of business. The term "designated product" may be substituted for the term "designated product" unless otherwise specifi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point and description described in the Korean Trademark Act.

즉, 서비스표가 관계될 때에는 상표는 서비스표, 상품 또는 지정 상품은 서비스업 또는 지정 서비스업, 상표 DB는 서비스표 DB(상표 DB가 서비스업 DB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 상품의 명칭은 서비스업의 명칭 등과 같이 상표 관련 자리에 서비스표를 대응시키는 구조는 취한다. 이는 기술(description)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 취지는 대한민국 상표법 제2조 제3항의 “서비스표·단체표장 및 업무표장에 관하여는 이 법에서 특별히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이 법 중 상표에 관한 규정을 적용한다.”의 취지와 동일하다. That is, when a service mark is involved, a trademark is a service mark, a product or a designated product is a service industry or a designated service industry, and a trademark DB is a service mark DB (except when the trademark DB includes a service industry DB.), And the name of the product is a name of a service business. The structure of mapping a service mark to a trademark related position is taken.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Regulations concerning Trademarks in this Act, except as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this Act concerning service marks, collective marks and business marks” in Article 2, paragraph 3 of the Korean Trademark Act. Is applied ”.

출원인 등 : 본 발명 사상이 적용되는 전 영역에서 상표의 유사성, 등록 가능성을 판단에 관여하는 자를 실제 출원 여부와 관계없이 통칭하여 “출원인 또는 출원인 등”으로 표현한다. 다만, 명세서에서 출원인/출원인 등과 관계하여 상대방이 특정되거나 명시되어 나와있는 경우에는 그 상대방을 제외한 자를 말한다.Applicant, etc .: Any person involved in judging the similarity and registration possibility of a trademark in all areas to whic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applicant or applicant",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actual application. However, when the other party is specified or specified in relation to the applicant / applicant in the specification, it refers to a person excluding the other party.

상표 DB : 상표 DB란 본 발명에서 상표와 관련된 일체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DB를 말한다. 상표 DB는 국내 또는 국외의 등록, 출원, 소멸, 미출원 상표 및 그 상표에 관련된 일체의 정보를 담고 있는 DB로, 상표에 관한 권리 상태를 포함한 일체의 정보, 그 상표를 사용하는 상품에 관한 일체의 정보, 출원인 등 주체에 관한 일체의 정보, 그 상표에 관한 서지 사항, 특허청, 법원 등과의 관계에서 진행되는 절차, 처리 내용 등에 관한 일체의 정보, 본 발명 사상의 실행 또는 관련 주체가 상표에 대하여 가공한 일체의 내부 또는 외부 정보, 그 상표의 가공(2-3)에 대한 일체의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담고 있는 DB를 말한다. 특허청의 등록 또는 출원 상표에 대한 일체의 DB는 본 발명 상의 상표 DB의 한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광의적으로 상표 DB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DB를 포함할 수 있다.Trademark DB: The trademark DB refers to a DB having any information related to a trademark in the present invention. Trademark DB is a database containing domestic or foreign registered, filed, extinguished, unapplied trademarks and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ademarks.All trademarks including the right of trademark rights and any product using the trademarks. Information on the subject, such as the applicant, any information on the trademark, bibliographic matters on the trademark, any proceedings in relation to the Patent Office, the Court, etc. Refers to a DB containing some or all of the processed internal or external information, or any information about the processing of the trademark (2-3). Any DB for a registered or filed trademark of the JPO may be a component of the trademark DB in the present invention. Broadly, the trademark DB may include a DB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전체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전체적 구성Overall composition

본 발명 사상에 대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1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서 또는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시스템 상에서 상표와 관련된 유사 판단, 등록 가능성 판단 과정에 대한 지원을 하므로, 각 컴퓨터는 유무선 네트워크(1000)에 연결되어 있다. 시스템 서버(1-1)는 유사 판단 등의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중심에 있으며 그 기능에 따라 상표 유사성 판단 시스템(100), 상품 유사서 판단 시스템(200), 유사성 판단 시스템(300),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400)으로 나뉜다. 물론, 하나의 시스템 서버가 상기의 2 이상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각각의 기능을 하는 시스템 서버에는 그 기능을 하기 위한 엔진과 DB(상표 DB(700), 회원 DB(710), 기타 각종 DB(750))가 있으며, 시스템의 내부 또는 외부를 관리하는 관리 시스템(1100)이 존재한다. 또한, 이 시스템 서버(1-1)에는 출원인, 회원 또는 고객(또는 그들의 컴퓨터)(800)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은 개인일 수도 있지만 특허 법률 사무소(810) 또는 법무 법인 기타 법적 주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출원인, 회원, 고객들은 휴대형 컴퓨터(820)으로도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시스템 서버(1-1)은 외부 기관 서버(840), 특허청 서버(1200), 외국 특허청 서버(1210), 국내외 고객사 서버(830, 840) 또는/및 국 내외 관세청 서버 등의 각종 외부 서버(122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들 각각의 서버에는 그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자료 DB(750)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an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process related to a trademark on a network or a system interworking with the network, each computer is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network 1000. The system server 1-1 is at the center of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such as similarity judgment, and according to the function, the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system 100, the product similarity judgment system 200, the similarity judgment system 300, and the possibility of registration It is divided into a judgment system 400. Of course, one system server may perform two or more functions simultaneously. Each function system server has an engine and a DB (trademark DB 700, member DB 710, and various other DBs 750) for performing the function, and a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the internal or external of the system ( 1100). In addition, the system server 1-1 is connected to the applicant, member or customer (or their computer) 800, which may be an individual but may be a patent law firm 810 or a legal entity or other legal entity. . Applicants, members, and customers may also be connected to portable computer 820. The system server 1-1 may include various external servers 1220 such as an external agency server 840, a patent office server 1200, a foreign patent office server 1210, domestic and overseas customer company servers 830 and 840, and / or domestic and foreign customs office servers. ) May be connected to the Each of these servers may include various data DBs 750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server.

관리 시스템(1100)Management system (1100)

본 발명 사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관리 시스템의 도입은 필수적이다. 관리 시스템이란 웹 서비스를 회원 또는 접속자에게 제공해 주는 통상의 네트워크(1000) 상의 유무상 서비스 제공자와 대동소이한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리 시스템이 수행하는 기능은, 회원의 가입, 계정 관리, 약관 관련 일체의 과정 등 회원 관련 기능, 본 발명의 실시의 각 과정에서 결합될 수 있는 과금 또는 결제 관련 기능, 각종 자료의 저장과 백업(backup)기능 등의 시스템 통합 관리 기능, 외부 서버와의 통신 기능, 보안 기타 웹 서비스를 위한 일체의 부가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 관리 시스템이다.Introduction of a management system is essential in the course of carrying out some or all of the inventive idea. The management system is composed of processes similar to those of a free and paid service provider on a normal network 1000 that provides a web service to a member or a visitor.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management system include member-related functions such as membership registration, account management, and all procedures related to terms and conditions, billing or payment-related functions that can be combined in each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age and backup of various materials ( The management system is in charge of system integrated management functions such as backup) function, communication with external servers, and any additional functions for security and web services.

또한, 각각의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1)회원 가입과 회원 인증 과정을 거쳐서(또는 회원 가입 없이 서비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는 경우 포함하여) 개개의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가상 공간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방법, 2) 각 시스템의 기능 또는 DB의 일부 또는 전부를 온라인/오프라인 매체를 통하여 각 사용자(800)의 컴퓨터에 내장하고,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각각의 시스템의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통상 웹 서비스의 형태로 이루어 지고, 후자의 형태는 웹 연동 솔루션의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통상의 기술 분야에 속하므로, 언급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cess each system, 1) a method of accessing and using a virtual space that provides individual services through membership registration and membership authentication process (or including some or all of the services without membership registration), 2) there may be a method of embedding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each system or DB into the computer of each user 800 through an online / offline medium, and using the functions of each system in conjunction with a network. The former is usually in the form of a web service, the latter can be in the form of a web interworking solution. Detailed configuration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general technical field, and thus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본 발명에 사용되는 DBDB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DB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 DB들은 크게 상표 DB, 상품 DB, 자료 DB, 각 시스템 별 DB, 기타 본 시스템 관련 DB, 또는/및 외부 DB 등이 있다.DB is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se databases generally include trademark DB, product DB, data DB, DB for each system, other DB related to this system, and / or external DB.

상표 DB는 용어의 정의에서 설명한 내용을 포함하며, 특히 등록 상표 DB(710-1)(이 등록 상표 DB에는 등록 공고된 상표에 대한 일체의 사항-상표, 지정 상품, 권리자 및 권리 관계, 출원인, 대리인 등에 대한 정보, 일체의 서지 사항, 심판 관계, 출원 경과 등 그 등록된 상표에 관한 일체의 내용이 등록 상표 DB의 내용이 될 수 있다. 이는 출원 중 상표 DB와, 거절 상표 DB에도 동일하다.), 출원 중 상표 DB(710-2), 거절 상표 DB(710-3), 유사 상표 DB(710-4), 유명 상표 DB(710-5), 공보 DB(710-6), 기타 특허청 자료 DB(710-7) 또는/및 관련 DB(710-8)가 그 주된 내용이 될 수 있다. 상표 DB는 출처로 보면 특허청에 기인한 것과 특허청과 관계없는 것(가령, 고객의 상표 DB, 미등록 미출원 상표 DB 등)이 있을 수 있다.The trademark DB includes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finition of terminology, in particular, the registered trademark DB 710-1 (this trademark DB includes any matters relating to the registered trademarks—trademarks, designated products, owners and rights relations, applicants, Any information about the registered trademark, such as information on the agent, any bibliographic information, judgment relations, or the progress of the application, may be the contents of the registered trademark DB, which is the same for the trademark DB and the rejected trademark DB in the application. ), Pending trademark DB (710-2), rejected trademark DB (710-3), similar trademark DB (710-4), famous trademark DB (710-5), publication DB (710-6), and other patent office materials The main contents may be DB 710-7 and / or related DB 710-8. As a source, a trademark DB may be derived from a patent office and may be unrelated to the patent office (for example, a customer's trademark DB, an unregistered trademark DB, etc.).

상품 DB에는 특허청의 상품류구분/구분 DB(720-1)(이에는 구분류 및 신분류(NICE) 분류가 있을 수 있다.), 외국의 상품 분류 DB(720-2) HS 코드 DB(720-3), 상품 사전 및 기타 상품 분류 DB(720-4), 유사 상품 DB(720-5) 등이 있을 수 있다. 각 상품 분류 체계가 저장되면 그 자체로 DB가 된다. 또한, 각 상품 분류 체계 사이의 관계를 지어 주는 것이 매칭 엔진(720-6)이 있다. 즉, 구분류와 신분류의 관계를 맺어 놓은 자료가 대한민국 특허청에 있는데, 이 관계성을 자동으로 처리해 주는 것이 매칭 엔진의 한 예가 된다.The merchandise DB includes the product classification / classification DB 720-1 of the Patent Office (this may include classification and NICE classification), foreign product classification DB 720-2, HS code DB 720 -3), a product dictionary and other product classification DB 720-4, a similar product DB 720-5, and the like. When each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is stored, it becomes a DB by itself. In addition, there is a matching engine 720-6 for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each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In other words, the Korean Patent Office has data that has a relationship between classification and new classification. An example of a matching engine is to automatically process this relationship.

자료 DB에는 사전 등과 같은 상표 가공 관련 DB(730-1), 심판/소송/판례 자료 DB(730-2), 정형 DB(730-3)(730-3), 비정$형 DB(730-4)(730-4) 등이 있을 수 있다.The data DB includes trademark processing-related DB (730-1) such as dictionaries, judgment / litigation / precedent data DB (730-2), orthopedic DB (730-3) (730-3), and non-standard DB (730-4). 730-4).

각 시스템 별 DB(745)에는 각 시스템 별로 그 시스템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DB들이 있다. 이들 DB에 대한 상세한 것은 각 시스템의 설명 부분에 있다. 유사성 판단 시스템 관련 DB(745-1),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 관련 DB(745-2) 등이 있을 수 있다.Each system DB 745 has DBs for performing the purpose of the system for each system. The details of these databases are in the description of each system. There may be a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related DB 745-1, a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system related DB 745-2, and the like.

외부 DB(740)에는 관세청 등록 상표 DB(740-1), 해외 상표 DB(740-2), 각 국가별 등록 상표, 출원 중인 상표, 기타 상표 DB 또는 관련 DB(740-3), 기타 외부 DB(740-4) 등이 있을 수 있다.The external DB 740 includes a customs office registered trademark DB 740-1, an overseas trademark DB 740-2, a registered trademark of each country, a pending trademark, other trademark DB or related DB 740-3, and other external DB. (740-4) and the like.

기타 본 시스템 관련 DB(746)으로는 회원 DB(746-1), 경쟁사 DB(746-2), 각 등록 요건 판단 규칙 DB(746-3), 각 등록 요건 자료 DB(746-4), 식별력 없는 요소 DB(746-5) 등이 있을 수 있다.Other system related DBs (746) include member DB (746-1), competitor DB (746-2), each registration requirement determination rule DB (746-3), each registration requirement data DB (746-4), identification power Element DB 746-5 may be missing.

유사성 판단 시스템(300/1-1)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300 / 1-1)

개념과 필요성Concept and Necessity

유사성 판단 시스템(300/1-1)이라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상표의 유사성을 판단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체의 시스템을 말한다. 유사성 판단 시스템(300/1-1)은 크게 상품 유사성 판단 시스템(200/1-1)과 상품 유사성 판단 시스템(200/1-1)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므로 유사성 판단 시스템(300/1-1)에 대한 서술은 상표 유사성 판단 시스템(100/1-1)과 상품 유사성 판단 시스템(200/1-1)으로 나누어서 설명한다.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300 / 1-1 refers to any system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similarity of trademarks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300 / 1-1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200 / 1-1 and a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200 / 1-1.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300 / 1-1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100 / 1-1 and the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200 / 1-1.

이는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라도 지정 상품이 다른 경우 그 상표가 일반 수요자의 기준으로 보아 출처의 오인 혼동이 없으면 전체적으로 유사하지 않다고 보는 관행과 부합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상품 유사성 판단(5-2)이라는 등의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상표 유사성 판단(5-1)이란 말 속에는 상품 유사성 판단(5-2)을 전제로 한다.This is consistent with the practice that, even if the same or similar trademarks are different, if the designated product is different, the trademarks are not entirely similar unless there is a misunderstanding of the source on the basis of the general consumer.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such as the product similarity judgment (5-2), the word similarity judgment (5-1) is based on the product similarity judgment (5-2).

상표 유사성 판단 시스템(100/1-1)은 1) 하드웨어 및 네트워크(1000), 2) 소프트웨어 및 각종 DB로 구성된다.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100 / 1-1 is composed of 1) hardware and network 1000, 2) software and various DBs.

외부의 제 3자가 상표 유사성 판단(5-1) 판단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데 이때, 외부와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400/1-1)은 1) 상표 유사성 판단 시스템(100/1-1)이 존재하는 서버, 2) 적어도 1개 이상의 사용자(출원인, 고객, 회원 등) 단말기, 3)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1000)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An external third party may access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5-1) determination system. In this case, the external an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system 400 / 1-1 may be configured to: 1)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100 / 1-1 may be used. Existing server, 2) at least one user (applicant, customer, member, etc.) terminal, and 3) a network 1000 system connecting them.

상표의 유사성 판단은 1) 상표의 등록 요건 판단, 2) 상표의 권리 범위 판단 및 이들 양자와 관련되거나, 이들의 하부 개념에 포함되는 행위, 절차, 요건, 규정 등에 필수적이다.Determination of trademark similarity is essential for 1) determining the registration requirements of a trademark, 2) determining the scope of a trademark's rights, and the actions, procedures, requirements, and regulations that relate to, or are included in, sub-concepts thereof.

상표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사실상, 법률상 각종 기준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기준은 각국의 법제 또는 각국의 판단 주체(통상 상표 관련 행정 기관 또는 사법 기관이 됨)의 내부적 또는 관행적 기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현재, 대한민국 특허청은 외관, 칭호, 관념 등을 주요 판단 요소로 하여 표장을 전체적으로 대비하여 유사성을 판단한다는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대법원도 나름의 기준으로 유사성을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절대적인 기준이 아닌 상대적인 기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사성 판단 시스템(300/1-1)은 절대적 유사성을 지양하고 대비 대상 상표들이 얼마나 유사한 지를 수학적, 통계적, 언어학적 모델에 근거하여 유사성의 정도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 중의 하나로 한다.The criteria for judging trademark similarity may, in fact, be a variety of legal standards, which may be based on the internal or customary standards of each country's legislation or national judiciary (typically becoming an administrative or judicial body for trademarks). can be different. At present,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takes the attitude of judging the similarity by using the appearance, title, idea, etc. as the main judgment factors, and the Supreme Court also judges the similarity on its own basis. However, they are all relative standards, not absolute standards. Therefore,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300 / 1-1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avoid absolute similarity and to derive the degree of similarity based on mathematical, statistical and linguistic models on how similar the target brands are.

상표 유사성 판단 시스템(100/1-1)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100 / 1-1)

상표 유사성 판단 시스템(100/1-1)이란 대상 상표가 다른 상표와 유사한지를 판단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본 시스템에는 1) 상표 유사성을 판단하는 상표 유사성 판단 엔진(100-1), 2)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 DB, 3) 대상 상표를 상표 유사성 판단 엔진(100-1)에 입력하는 상표 입력 시스템(2-1)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상표 유사성 판단 시스템(100/1-1)에 유사성 판단 결과 출력 시스템(300-4), 보고서 작성 시스템(300-5) 또는 온라인 전자 출원 시스템(300-6)이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상품 유사성 판단 시스템(200/1-1)에서도 동일하며, 상표와 상품의 양자를 포함하는 유사성 판단 시스템(300/1-1)에서도 동일하다.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100 / 1-1 refers to a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a target trademark is similar to other trademarks. The system includes 1) a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engine 100-1 for determining trademark similarity, 2) a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DB, and 3) a trademark input system for inputting a target trademark to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engine 100-1 (2). -1) essentially. In addition,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result output system 300-4, the report preparation system 300-5, or the online electronic filing system 300-6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100 / 1-1. . The same is true in the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200 / 1-1, and the same in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300 / 1-1 including both a trademark and a product.

상표 유사성 판단 엔진(100-1)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Engine (100-1)

상표 유사성 판단 엔진(100-1)은 상표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DB)으로 구성된다. 그 프로그램들은 인공지능이론, 언어 공학, 수학적 모델링 기법, 기타 상표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한 전산학적 방법론을 실행하는 각종 이론 및 적용 등과 관련되어 있다.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engine 100-1 is composed of various programs and a database DB for determining trademark similarity. The programs relate to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AI theory, linguistic engineering, mathematical modeling techniques, and other computational methodologies for determining brand similarity.

상표 유사성 판단 엔진(100-1)은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rule)의 형성 모듈,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의 적용 모듈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 DB(100-2)와 상호 작용한다.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engine 100-1 is configured as a module for forming a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and an application module for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100-2, and is mutually related to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DB 100-2. Works.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 형성 프로세서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100-2) Formation Processor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 형성 기본 과정Basic process of forming the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rule (100-2)

상표의 유사성을 컴퓨터가 자동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이 필요하다.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은 상표 유사성을 인정하는 규칙과 상표 유사성을 부정하는 규칙의 2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이 규칙은 크게 3가지 과정을 통해서 형성된다. In order for the computer to automatically determine the similarity of trademarks,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100-2 is required. The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rule 100-2 may be of two kinds: a rule that recognizes trademark similarity and a rule that denies trademark similarity. This rule is largely formed through three processes.

첫째,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군의 임의 설정 단계이다. 이는 사람이 임의로 상표 유사성 판단을 위한 예비 규칙들의 집합을 설정하는 방식이다. 가령, 사람이 문자 상표에서 “ㄱ”과 “ㄱㄱ” 또는 이와 유사한 상표 구성 요소라고 규칙화하는 것이 이 예가 된다. 이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들은 각각이 고유 인식 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 적용될 경우 각각의 규칙에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First, it is an arbitrary setting step of the rule similarity judgment rule group. This is how a person arbitrarily sets a set of preliminary rules for determining trademark similarity. For example, a person may rule out “a” and “a” or similar trademark elements in a letter trademark. Each of thes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s 100-2 ha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nd if applied in practice, each rule may be weighted.

둘째, 상표 유사성이 판단된 자료들을 통하여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들이 얼마나 잘 적용되는 가에 대한 판단을 하는 단계이다. 즉, 상표 유사성이 인정되는 각 상표 쌍에 대해서 1) 어느 상표 유사성 인정 규칙이 잘 적용되었는가 및 어느 상표 유사성 부정 규칙이 잘못 적용되었는가를 파악해 내고, 2) 이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어느 규칙이 얼마만한 빈도 또는 비중으로 옳게 또는 틀리게 적용되었는가 파악해 낼 수 있다. 또한, 상표 유사성이 부정되는 각 상표 쌍에 대해서 1) 어느 상표 유사성 부정 규칙이 잘 적용되었는가 및 어느 상표 유사성 인정 규칙이 잘못 적용되었는가를 파악해 내고, 2) 이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어느 규칙이 얼마만한 빈도 또는 비중으로 옳게 또는 틀리게 적용되었는가 파악해 낼 수 있다.Second, it is a step of judging how well the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rule 100-2 is applied through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data. In other words, for each trademark pair for which trademark similarity is recognized, 1) determine which trademark similarity recognition rules are applied well and which trademark similarity fraud rules are applied incorrectly, and 2) statistically process them to determine how often Or you can figure out whether it was applied correctly or incorrectly by weight. In addition, for each trademark pair whose trademark similarity is denied, 1) identify which trademark similarity fraud rules were applied and which trademark similarity recognition rules were applied incorrectly, and 2) statistically process them to determine how often Or you can figure out whether it was applied correctly or incorrectly by weight.

상표 유사성이 판단된 자료들을 유사 상표 DB(710-4)라 하며, 이들의 예로 다음 것들을 들 수 있다. 1)법적으로 유사함이 확정된 상표들(확정된 국내외 판례에 근거하는 것들, 특허청 기타 상표에 대한 공적 기관에서 유사여부를 판단한 상표), 2)국내 외의 특허청 기타 행정 기관이 내부 자료 또는 내부 심사 참고용으로 만든 국내외의 유사상표사례집 등 일정한 법적 지위가 부여되지는 않지만 상표 유사성에 대하여 공적으로 또는 사적으로 판단한 자료들, 3) 국내외의 어휘사전이나 상호편/인명편 전화번호부, 특허청의 출원 또는 등록된 상표DB 등과 같이 일정한 순서로(가나다, 알파벳 순서 등 언어체계에 기반한 순서)로 배열된 자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유사상표DB(710-4)가 될 수 있다. 통상 각국의 특허청에는 유사한 상표들에 대한 모음집이 있는 것이 통상이다. 대한민국 특허청에 존재하는 자료를 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사상표 또는 유사어휘의 모음집은 실무상으로 표장의 상표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해 도움 자료의 예시가 된다. 비록 그 유사 판단에 법적 구속력은 존재하지 않지만 상표 유사성의 판단에 대한 중요한 척도가 됨과 동시에 본 발명에서는 이들 자료가 있는 경우, 이를 상표 유사성 판단 프로그램의 학습용 자료로 채용할 수 있다.Materials for which trademark similarity is judged are called similar trademark DB 710-4, and the following are examples. 1) Trademarks that are legally similar (trademarks based on establish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ecedents, trademarks judged by the public office for the Patent Office or other trademarks), and 2) Internal or internal examination by the Patent Office or other administrative agencies in or outside Korea. Documents not publicly or privately judged for trademark similarity, such as domestic and foreign similar trademark casebooks made for reference purposes; 3) Vocabulary or domestic / local phonebooks, applications or registrations issued b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Some or all of the data arranged in a certain order (such as alphabetical order, alphabetical order, etc.) may be similar trademark DB 710-4. It is common for patent offices in each country to have a collection of similar trademarks. Referring to the data existing in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s an example. Similar trademarks or collections of similar vocabulary are, in practice, examples of helpful materials to determine trademark similarity in a mark. Although there is no legal binding force in the similarity judgment, it is an important measure for the judgment of trademark similarity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se materials can be used as learning materials for the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program.

셋째,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들 각각에 가중치 결정하는 단계이다. 각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이 동일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그러므로, 각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이 얼마나 잘 적용되는가에 대한 정도를 나타내는 가중치가 결정될 필요가 있다.Third, a weight is determined for each of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s 100-2. Naturally, each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rule 100-2 does not have the same weight. Therefore, weights indicating how well each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100-2 is applied need to be determined.

이를 수학적 표현으로 간략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This can be briefly expressed as a mathematical expression as follows.

유사성의 정도 = sum{i 번째 유사성 판단 규칙의 적용 정도* 이 규칙의 가중치}The degree of similarity = sum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the ith similarity judgment rule * the weight of this rule}

대량 DB의 활용을 통한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 형성Formation of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rule (100-2) through the use of mass DB

상표 유사성이 판단된 대량의 DB를 활용하여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을 추출해 낼 수 있다. 유사상표집(국외의 대응물을 포함), 국어 사전이나 업종별 전화번호부와 같이 일련의 규칙하에 나열된 텍스트 자료 등은 대량의 DB의 예가 된다. 이 DB에는 심사, 심판, 소송 과정에서 유사성 여부가 판단된 상표들이 그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100-2 may be extracted by using a large amount of DB for which trademark similarity is determined. Similar trademarks (including foreign counterparts), textual materials listed under a set of rules, such as national dictionaries or industry directories, are examples of large databases. In this database, trademarks that have been judged for similarity during the examination, judgment, and litigation process may be components.

유사상표집과 같은 유사성에 대한 판단이 되어 있는 대량의 DB에서 통계학적 방법을 통하여 언어학적 특성을 임의로 추출해 낼 수 있다. 이는 전산 통계학 상의 통상의 패턴 추출 기법을 통하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 패턴 추출 기법을 통하여 수학적으로 의미 있는 패턴이나 규칙 또는 수학적으로 의미 없더라도 그 입력된 자료의 속성에 의해 의미 있는 패턴이나 규칙들을 다수 찾아 낼 수 있다. 이들 찾아낸 패턴이나 규칙은 유사성 판단 규칙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 패턴이나 규칙이 얼마나 자주 적용되는가(즉, 반복성의 정도) 등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Linguistic characteristics can be arbitrarily extracted through statistical methods in large databases that are judged for similarities such as similar trademarks.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conventional pattern extraction techniques in computational statistics. Through this pattern extraction technique, many meaningful patterns or rules can be found by the attributes of the input data even if they are not meaningful or mathematically meaningful. These found patterns or rules may form part of a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and may be weighted according to how often the pattern or rule is applied (ie, the degree of repeatability).

본 대량 DB를 활용한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 형성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forming the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rule 100-2 using this mass DB is as follows.

첫째, 대량 DB를 유사성 판단 규칙 형성 모듈에 입력하는 단계이다. 이때 입력은 유사 상표 쌍으로 만들어 입력할 수도 있다.First, a step of inputting a large DB into the similarity decision rule forming module. In this case, the input may be input by making a similar trademark pair.

둘째, 유사성 판단 규칙 형성 모듈에서 전산 통계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의미 있는 패턴이나 규칙을 찾아내는 단계이다. 물론, 이 경우 간략한 패턴이나 규칙을 먼저 제시하고, 그 패턴이나 규칙 자체가 얼마나 잘 적용되는가 또는 그 패턴이나 규칙의 하부 구성 패턴이나 규칙을 발견해 내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패턴이나 규칙의 가중치가 결정될 수도 있다.The second step is to find meaningful patterns or rules in the similarity decision rule forming module using computational statistical methods. Of course, in this case, a simple pattern or rule may be presented first, and then, how well the pattern or rule itself is applied, or a substructure pattern or rule of the pattern or rule may be found. In this process, the weight of the pattern or rule may be determined.

셋째, 추출해 낸 패턴이나 규칙을 구조화하는 단계이다. 즉, 패턴이나 규칙을 분류하여 규칙의 구조를 상위 하위 카테고리 별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사람이 할 수도 있으며, 유사 판단에 대한 실무적, 언어학적 구조와 대비하여 추출된 패턴이나 규칙을 선별해 낼 수도 있다.Third, structure the extracted pattern or rule.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rule may be configured by upper sub category by classifying a pattern or a rule. This process can be done by humans, or they can select patterns or rules extracted against the practical and linguistic structure of similar judgment.

넷째, 추출된 패턴이나 규칙을 다른 유사 상표 DB를 통하여 그 적용의 일반성 여부를 검토하는 단계이다. 특히, 심사, 심판, 소송 등에서 판단된 구체적인 예를 통하여 패턴이나 규칙의 적용성 정도를 파악해 낼 수 있다. Fourthly, the extracted pattern or rule is reviewed for generality of its application through another similar trademark DB.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egree of applicability of the pattern or rule through specific examples determined in the examination, judgment, litigation, and the like.

상기의 과정은 유사성이 부정되는 예를 모은 DB에 대해서도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서 나오는 것은 유사성을 부정하는 패턴 또는 규칙에 대한 것이다. 이 부정하는 규칙 또한 유사성 판단 규칙 DB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The above process can also be performed for a database of examples in which similarity is denied. What comes out of this process is a pattern or rule that denies similarity. This denying rule may also form part of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DB.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 형성 모듈의 개선Improvement of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100-2) Formation Module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 형성 모듈은 개선이 가능하다. 개선은 크게 다음 3가지 축이 있다.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100-2 forming module can be improved. The improvement is largely three axis.

첫째는 상표 유사성이 판단된 새로운 자료들을 추가로 입력하여 각 규칙의 적용 여부를 따져서 상기의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의 가중치를 변경하는 것이다.The first is to change the weight of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100-2) by additionally inputting new data determined trademark similarity, whether or not to apply each rule.

둘째는 새로운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것이다. 추가하는 경우는 상기의 3 단계로 구성되는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 형성 과정을 그대로 따를 수 있다. 삭제하는 경우는 그 삭제되는 규칙의 가중치를 0으로 두거나, 삭제된 상태에서 상기의 3단계로 구성되는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 형성 과정을 그대로 따를 수 있다.The second is to add or delete a new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rule 100-2. In the case of add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100-2 consisting of the above three steps may be followed. In the case of deletion, the weight of the deleted rule may be set to 0, or the deleted process may follow the process of forming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100-2, which is composed of the above three steps.

셋째,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들이 각 상표들의 특성에 의존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각 상표를 특정한 속성을 기준으로 그룹화하고, 그 그룹 내에서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의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대비되는 상표가 특정한 그 그룹에 속하는 경우 일반적인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과 독립적, 우선적, 또는 가중 평균적(일반 규칙 적용과 속성별 규칙 적용을 가중 평균하는 등의 방식으로)으로 그 그룹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반영하여 상표 유사성 판단(5-1)을 할 수 있다.Third,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s 100-2 depen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rademark. That is, each trademark may be grouped based on a specific attribute, and the weight of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100-2 within the group may be determined. In this case, if the contrasting trademark belongs to that particular group, then that group belongs to that group in an independent, preferential, or weighted average (by weighting averaging general rule application and attribute rule application, etc.). The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5-1) can be made by reflecting the weight.

상표 유사성 판단 과정의 일반화와 직접 대비와 간접 대비Generalization, direct and indirect preparation of the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process

유사 판단에는 본질적으로 2가지 판단 과정이 있다. There are essentially two judgment processes for similar judgment.

하나는 대비되는2상표(또는n개의 상표의 유사 여부가 문제시 될 때도 본질적으로2개 상표의 대비 쌍으로 환원할 수 있다. 대비 쌍의 개수는 최대한 nC2가 되나, 1개의 상표를 중심으로 문제시되는 상표를 대비시킨다면, 2상표 대비 구조가 된다.)에서 직접 상표 유사성을 판단하는 과정이며, 이 과정을 ‘직접대비과정’이라 정의한다. One can essentially reduce the two trademarks (or similarity of n trademarks) to the contrast pairs of the two trademarks. The number of contrast pairs will be at most nC2, but if the problem is centered around one trademark, If you contrast the trademark, it is the process of judging the trademark similarity directly.) This process is defined as 'direct preparation process'.

다른 하나는 각 상표에서 속성을 추출하거나, 수치를 대응시킨 다음, 이들 속성이나 수치 값을 기준으로 문제시되는 각 상표의 유사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를 ‘간접대비과정’이라 칭한다.The other is the process of extracting attributes from each trademark or matching the numerical values, and then determining the similarity of each trademark in question based on these attributes or numerical values. This is called an indirect contrast process.

간접대비과정은 다수의 상표들에 대해 속성 또는 수치 값을 부여한 DB를 만들어 저장할 수 있으며, 대용량의 상표 또는 문제시되는 DB자료를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직접대비과정은1:1의 직접적인 대비를 하므로 문제시 되는 양 상표의 대비과정에 대한 비교함수의 적용 과정을 좀더 상세히,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각각에 대해 설명한다.The indirect preparation process can create and store a database that gives attributes or numerical values to a number of trademarks, and has the advantage of processing large amounts of trademarks or problematic DB data at once. The direct contrast process provides a direct contrast of 1: 1, so that the application of the comparison function to the contrast process of the two brands in question can be observed in more detail and directly. Each will be described below.

직접대비과정Direct preparation course

C를 직접대비요소함수벡터라 하며, C=C(T1,T2) = [C1(T1, T2), C2(T1, T2), … Cn(T1, T2)], (단, T1, T2는 본 엔진에 입력되는 상표)로 정의된다. C1, C2, …,Cn은 직접대비요소함수가 된다. 직접대비함수B=B(C) = SIGTC(Wi*Ci)로 정의되며, Wi는 가중치이다. 이때, 직접대비함수벡터C가 정의될 수 있는데, C=C(C) = [C1(C1), C2(C2), …, Cn(Cn)]이 된다. 이 과정을 거치면 양 상표T1, T2에 대하여B값 또는C값이 대응되어 정해지며, 이 값(기준벡터일 수 있다, 이하 같다)들을 기준과 비교함으로써 상표의 유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C is called a direct contrast element function vector, and C = C (T1, T2) = [C1 (T1, T2), C2 (T1, T2),... Cn (T1, T2)], where T1 and T2 are trademarks entered into the engine. C1, C2,... , Cn is the direct contrast factor function. The direct contrast function B = B (C) = SIGTC (Wi * Ci), where Wi is the weight. At this time, the direct contrast function vector C may be defined, where C = C (C) = [C1 (C1), C2 (C2),... , Cn (Cn)]. Through this process, a B value or a C value is determined to correspond to both trademarks T1 and T2, and the similarity of the trademarks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se values (which may be a reference vector or the same) with the reference.

간접대비과정Indirect Preparation Process

X를 간접대비요소벡터라 하며, X=X(T) = [X1(T), X2(T), …, Xn(T)], (단T은 본 엔진에 입력되는 상표이다)로 정의된다. X1, X2, …,Xn은 간접대비요소함수가 된다. 간접대비함수Y=Y(X) = SIGTX(Wi*Xi)로 정의되며, Wi는 가중치이다. 이때, 간접대비함수벡터Z가 정의될 수 있는데, Z=Z(X) = [W1*Z1(X1), W2*Z2(X2), …, Wn*Zn(Xn)]이 된다. 이 과정을 거치면 상표T에 대하여Y값 또는Z값(기준벡터일 수 있다)이 대응되어 정해지며, 이들을 비교함으로써 상표의 유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X is called an indirect contrast element vector, where X = X (T) = [X1 (T), X2 (T),... , Xn (T)] and (where T is a trademark input to the engine). X1, X2,... , Xn becomes the indirect contrast factor function. The indirect contrast function is defined as Y = Y (X) = SIGTX (Wi * Xi), where Wi is the weight. At this time, the indirect contrast function vector Z may be defined, where Z = Z (X) = [W1 * Z1 (X1), W2 * Z2 (X2),... , Wn * Zn (Xn)]. Through this process, the Y value or the Z value (which may be a reference vector) is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trademark T, and the similarity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m.

가중치의 결정Determination of weight

가중치(가중치벡터(n이2이상인 경우)일 수 있으며, 벡터를 구성하는 각 가중치가 가중치 함수일 수 있다. 이상, 이하 동일하다.)를 결정하여야, 문제시 되는 각 상표 또는 대비되는 상표에 대하여 대비함수 또는 대비함수벡터를 확정된다. 그러므로, 가중치의 결정이 유사판단의 핵심이 된다. 가중치의 결정하는 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The weight (which can be a weight vector (if n is 2 or more), and each weight constituting the vector may be a weight function, is the same above) is then determined to prepare for each trademark in question or a contrasting trademark. Determine a function or contrast function vector. Therefore, the determination of weight is the key to similarity judgment. How to determine the weight is largely as follows.

첫째, 유사 상표 DB(710-4)를 입력하여 학습 과정을 거쳐 결정하는 방법이 있다. 학습 과정에서 사용되는 알고리듬은 인공지능기술(더 많은 정확한 자료의 입력에 의해서 가중치가 개선되는 결과가 발생하는 일체의 기술을 말한다.)과 기타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각종 알고리듬을 포함한다.First, there is a method of determining through a learning process by inputting a similar brand DB (710-4). Algorithms used in the learning process includ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which refer to any technique that results in improved weights due to the input of more accurate data) and other algorithms consistent with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둘째, 가중치를 사람이 임의로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Second, there is a method of inputting a weight arbitrarily by a person.

셋째, 학습과정과 사람의 입력과정을 복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특히, 초기 가중치의 결정과 일정한 상표 영역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분리하여 본 발명 사상을 적용할 때 더욱 유용하다. 즉, 초기 가중치는 임의로 입력되나 이후 발생하는 각종 유사판단 사례를 입력함으로써 가중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개선할 수 있으며, 가중치를 매 순간마다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기의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 형성 모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Third, there is a method of using a combination of a learning process and a human input process. This is especially useful when determining the initial weights and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 to separate trademark areas. That is, the initial weight may be arbitrarily input, but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weight may be improved by inputting various similar judgment cases occurring thereafter, and the weight may be determined at each moment. This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100-2 forming module.

직접대비요소함수Direct Contrast Factor Function

대비되는 양 상표의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각 상표를 대비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직접대비요소함수가 된다.In order to determine the similarity of the two trademarks in contrast, each trademark may be contrasted from various points of view, each of which is a direct contrast factor function.

간접대비요소함수Indirect Contrast Factor Function

하나의 상표에 대해서 어떤 분석과정을 거쳐서 속성을 추출하거나, 수치 값을 대응시킬 때 그 추출 과정 또는 수치값 대응 과정이 간접대비요소함수가 될 수 있다. When a property is extracted through an analysis process or a numerical value is mapped to a trademark, the extraction process or the numerical value matching process may be an indirect contrast factor function.

규칙 DBRule DB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이 결정 나면 그 규칙은 DB로 저장, 관리 된다. 각각의 규칙에는 그 규칙에 대한 가중치가 부여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특정한 조건 또는 상표 속성 하에서만 적용되는 규칙이 있을 수 있다.Once the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rule 100-2 is determined, the rule is stored and managed in a DB. Each rule may be weighted for that rule, and there may be rules that apply only under certain conditions or trademark attributes.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의 적용 프로세서Processor applied to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rule 100-2

상표 유사성 규칙 DB가 있는 경우, 특정한 2 이상의 대상 상표에 대하여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을 적용할 수 있다. 그 적용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If there is a trademark similarity rule DB,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100-2 may be applied to two or more target trademarks. The steps of its application are as follows.

첫째, 대상 상표의 처리 단계이다. 그 대상 상표를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 DB(100-2)가 적용될 수 있게끔(기타 본 발명의 다른 판단 엔진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공, 분할, 분석, 변형, 한글화 또는 요부 추출 등의 처리(이하, “상표의 가공(2-3)”이라 한다. 이는 특히 결합 상표의 처리에서 더욱 중요하다) 과정을 거쳐서 규칙 DB가 적용될 수 있게 한다. 즉, 규칙 DB는 일정한 함수의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그 함수에 입력이 될 수 있는 형태로 상표를 가공한다는 것이다.First is the processing of the target trademark. Allow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DB 100-2 to be applied (including allowing other determination engin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cess) the target trademark. Processing, segmentation, analysis, transformation, localization or extracting of essential parts, etc. Rule DB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demark processing (2-3)”, which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processing of combined trademarks) allows the rule DB to be applied. That is, the rule DB has a form of a function, which is to process the trademark into a form that can be input to the function.

둘째, 각 규칙의 적용 단계이다. 다양한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을 대상 상표에 적용하여 그 규칙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출력한다.Second is the application stage of each rule. Various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s 100-2 are applied to the target trademarks to determine whether the rules are applied, and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s output.

셋째, 규칙의 적용 여부 판단 결과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표 유사성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Third, the weight is applied to the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rule is applied to final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rademark similarity.

상표 유사성 여부는 수학적으로 C(T1, T2) = sum(Ri(T1, T2)*W(Ri))로 표현할 수 있다. C는 상표 유사성 판단(5-1) 함수이며, Ri는 각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이며, W(Ri)는 규칙 Ri에 대한 가중치이다. 이때, 규칙 Ri가 상표군의 특정한 속성에 의존적일 수 있다. 이 경우, 가중치는 W{Ri(Gj)}로 표현될 수 있는데, G는 특정한 속성을 가지는 상표군이며, W{Ri(Gj는)} 상표가 특정한 j 속성에 해당할 때의 Ri의 가중치를 말한다.Trademark similarity can be mathematically expressed as C (T1, T2) = sum (Ri (T1, T2) * W (Ri)). C is a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5-1 function, Ri is each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rule 100-2, and W (Ri) is a weight for the rule Ri. At this time, the rule Ri may be dependent on the specific attribute of the trademark group. In this case, the weight may be expressed as W {Ri (Gj)}, where G is a trademark group having a specific attribute, and W {Ri (Gj)} denotes the weight of Ri when the trademark corresponds to a specific j attribute. Say.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의 적용과 상표 유사성 판단(5-1) 근거 보고Application of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rule (100-2) and reporting evidence of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5-1)

상표 유사성의 판단에 대한 근거 자료가 제시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사용자 또는 기타 관계자에게 출력해 줄 필요가 있게 된다. 이 출력을 상표 유사성 판단(5-1) 근거 보고라 하며, 이에는 1) 각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의 적용의 여부, 2) 그 규칙의 가중치, 3) 그 규칙의 형성 근거, 4) 각종 규칙이 적용된 경우 이들 규칙으로부터 상표 유사성 판단(5-1)이 나오게 되는 단계별 과정, 5) 각 가중치들이 적용된 경우에서의 통계적 처리 결과 들 중에서 하나 또는 2 이상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유사성 판단 결과 출력 시스템(300-4) 또는 보고서 작성 시스템(300-5)가 된다.Evidence for the determination of trademark similarity needs to be presented and needs to be output to users or other parties. This output is referred to as the basis of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5-1), which includes 1) whether each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rule 100-2 is applied, 2) the weight of the rule, 3) the basis of the rule's formation, 4) When various rules are applied, one or more of the statistical processing results in the case where each weight is applied. Performing this process results in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result output system 300-4 or report generation system 300-5.

대상 상표의 입력Input of target trademark

개념 및 필요성Concept and Necessity

상표는 각국의 법제마다 다르게 정의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상표법은 기호, 문자, 도형 또는 이들의 결합 또는 이들 각각에 색채를 결합한 것으로 상표의 구성 요소를 정의하고 있다. 이들 구성 요소 중 본 발명 사상에서 유사 판단의 자료가 되는 것은 1) 기호나 문자로서 국내 또는 외국의 언어나 기호의 표현 체계 내에서 들어 온 것(이에는 그림 이미지를 OCR(광학문자인식) 프로그램을 통하여 컴퓨터가 인식한 문자를 포함한다.), 2) 대상 상표를 보고 사람이 판단하여 입력한 자료(원 안에 “하늘 천”자가 그려져 있는 경우 사람이 입력한 “天”또는 “천”, 이미지로 존재하는 상표를 보고 그 상표로부터 인식되는 문자를 입력한 것(TIFFANY가 들어가 있는 이미지를 보고, TIFFANY, tiffany, 또는 티파니 등과 같이 사람의 인식 체계하에 들어온 것을 문자로 표현한 것 등) 또는 새 그림을 보고 도형의 의미를 “새”라고 관념의 입력란에 입력하는 것 등), 3) 출원 또는 검색하려는 자가 자기가 출원 또는 검색하려는 상표의 구성 요소 중 “소리(sound)”해당 부분을 문자로 표현한 것 등이 컴퓨터로 처리하는 상표 유 판단 시스템의 입력 대상 상표가 된다.Trademarks are defined differently in each country's legislation, and the Korean trademark law defines the elements of a trademark by combining colors with symbols, letters, figures, or a combination thereof or each of them. Among these components, the material of similar judgment in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 a symbol or a character that is imported into a domestic or foreign language or symbol expression system (the image is converted into an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Computer-recognized characters.), 2) The data entered by the person judged by the target trademark (if there are “heavenly sky” characters drawn in the circle, the image of “天” or “heaven” entered by the person) Seeing an existing trademark and entering characters recognized from that trademark (such as an image containing TIFFANY, a textual representation of something under human recognition, such as TIFFANY, tiffany, or Tiffany) or a new picture Inputting the meaning of a figure into an input field of the notion of “new”, etc.), or 3) a member of a trademark that he / she intends to file or search for (Sound) "is such a representation that is part of the character input system determines the destination of the Trademarks oil processed by computer.

대상 상표의 가공(2-3)Processing (2-3) of target trademark

대상 상표의 성격 및 상표 유사성 판단 엔진(100-1)의 입력 상표의 속성에 따라 가공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target trademark and the attributes of the input trademark of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engine 100-1, processing may include the following.

첫째, 한글화 또는 언어 통일화 작업이다. 예를 들면 “티파니”와 “Tiffany”의 상표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통일화 작업(한글화는 언어 통일화 중에서 한글로 통일하는 특수한 경우를 말한다. 이하 한글화라는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 논리는 다른 언어로 통일하는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이 필요하다. 이 경우 Tiffany에 대해서 한글화 작업이 필요하다. 이 한글화 작업은 후술하는 영어의 한글화 편에서 상술하였다.First, it is the work of localization or language unification. For example, to determine the trademark similarity between “Tiffany” and “Tiffany”, the unification work of language (Hangulization refers to a special case of unification of language unification into Korean. Essentially the same as unifying). In this case, we need to localize the Tiffany. This localization work has been described in the section on English localization described later.

물론, 언어 통일화 과정 없이 작업할 수도 있다. 즉, Tiffany가 있는 경우 그 자체로서 판단하거나, 한글로 바꾸어서 판단할 수도 있으며, 양자를 동시에 다 할 수도 있다. 물론, 한글과 영문으로 된(예를 들면 상단에는 티파니, 하단에는 Tiffany로 구성된 상표)의 경우에는 둘 다 판단해야 함이 원칙이다.Of course, you can work without language unification. In other words, if there is Tiffany, it can be judged by itself, or it can be determined by changing to Hangul, or both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Of course, in the case of Korean and English (for example, a trademark consisting of Tiffany at the top and Tiffany at the bottom), both should be judged.

둘째, 각 상표를 규칙 DB를 직접 적용시킬 수 있게끔 가공하는 것을 말한다. 가령, 규칙이 자음과 모음의 배열의 순서인 경우, 티파니 또는 Tiffany의 한글화된 것을 자음과 모음으로 순서를 지켜서 나누는 것이 그 한 예가 된다.Second, processing each trademark so that the rule DB can be applied directly. For example, if the rule is an arrangement of consonants and vowels, an example would be to divide Tiffany or Tiffany's Korean characters into consonants and vowels in order.

셋째, 상표가 결합 상표인 경우, 각 상표에서 식별력 있는 것(요부)들만을 추출하는 가공 과정을 거칠 수 있다.Third, when a trademark is a combined trademark, it may be processed to extract only the distinguishing ones from each trademark.

넷째, 대상 상표의 가공(2-3)에는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체계로의 변환이 있을 수 있다.Fourth, the processing (2-3) of the target trademark can be converted into a system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computer.

다섯째, 각 판단 프로세서에서의 전제로서 상표 구성 요소가 어떤 언어체계로 되어 있는지를 먼저 판단할 수 있다. 국어로만, 외국어로만, 국어와 외국어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외국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내부적으로 한글화 과정을 밟거나, 출원인 등에게 대응되는 한글 발음의 입력을 요구할 수도 있다. 물론, 외국어 자체로 진행할 수도 있다. 한글과 영문이 상하로 병기된 상표의 경우, 그 양자에 대해서 각각 유사성의 판단을 하는 것이 대한민국 특허청의 입장임을 고려할 때, 한글 따로, 외국어 따로 본 발명의 판단 프로세서를 진행시킬 수 있다. 이는 특히, 외국어의 의미나 발음이 병기된 한글과 관련성이 없는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예를 들면 상단에 “tiffany” 하단에 “티파니” 표기가 있는 경우처럼 상호 관련성이 있는 경우에는 양자 중 어느 하나만 또는 둘 다에 대해 각종 판단 프로세서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상단에 “파브”가 있고 하단에 “SAMSUNG”이 있는 경우처럼 관련성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 양자에 대해 모두 각종 판단 프로세서를 진행해야 한다.Fifth, as a premise in each judgment processor, it is possible to first determine which language system the trademark component is in. There may be a combination of a Korean and a foreign language only in the Korean language. When a foreign language is included, an internaliz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internally, or an applicant may request input of a Hangul pronunci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nt. Of course, you can also proceed in a foreign language itself. In the case of a trademark in which both Korean and English are written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considering that it is the position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the determination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ceed separately from Korean and foreign languages.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the meaning or pronunciation of a foreign language is not related to the written Hangul. For example, if there is a correlation, such as when there is a "tiffany" notation at the top of the "tiffany" at the top,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various decision processors for either or both. However, if there is no relevance or lack, such as the case of "fab" at the top and "SAMSUNG" at the bottom,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various judgment processors for both.

대한민국 특허청의 상표 DB에는 대상 상표의 한글화 또는 일정 수준에서 가공이 된 상태로 외부에 공개되어 있다.The trademark DB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is open to the public in the state of being localized or processed at a certain level.

식별력 없는 요소 DB(746-5)Discrete Element DB (746-5)

식별력이 없는 요소는 상표 유사성 판단(5-1)에서 비교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표를 구성하는 요소 중 식별력이 없는 요소를 제거하는 등의 방식으로 식별력 있는 요소만을 추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 식별력 없는 요소를 찾아내는 방법을 설명한다.Elements without discernment are not subject to comparison in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5-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tract only the distinguishing elements in such a manner as to remove the non-identifying elements among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trademark. Hereinafter, a method of finding an element without discernment will be described.

상호 DB를 통한 식별력이 없는 상표 구성 요소 발견 과정Unidentifiable trademark component discovery process through mutual DB

기업 또는 사업자들의 상호에 관한 자료가 축적되어 있는 상호편 전화번호부 DB, 업종별 전화번호부 DB, 등록된 사업자 DB (이하 이들을 ‘상호 관련 DB 등’라 한다.) 등을 분석하면 관용 명칭 또는 식별력이 없는 다수의 음절, 어절, 단어 등을 찾아낼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식별력 없는 요소는 식별력 없는 요소 DB의 한 구성 내용이 된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이 한다.Analyzing mutual phone book DB, business phone book DB, and registered company DB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errelated DB') where data on company or business companies are accumulated, have no common name or discernment You can find many syllables, words, words, and more. The non-identifiable element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becomes a component of the DB with no discriminating element. This process is as follows.

첫째, 상호 관련 DB에서 상호를 불러 온다. 이때, 상호 관련 DB는 한 종류일 수 있지만, 복수 개 또는 복수 종류의 DB일 수도 있다.First, retrieve each other from the related DB. At this time, although there may be one type of mutually related DB, there may be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types of DB.

둘째, 상호의 분절을 행한다. 분절이란 상호가2이상의 의미 있는 어구의 조합인지 여부를 먼저 판단한 다음, 이 경우 그 상호를 구성하는 문자를 최소한의 의미를 가지는2이상의 어구들의 결합으로 보아, 그 각각의 어구를 추출해 내고 이를 DB에 저장한다.. 이때, 의미가 있는지의 여부는 국어사전 등의 각종 사전, 약어사전 등의 약어 기타, 일반적인 업계의 관용어(토목 건설업 등의 약자로 쓰이는 ‘토건, ‘건업’ 등)도 의미 있는 어구를 찾아내는데 기준 자료로 쓰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상호는2종류 이상의 분절이 가능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2이상 종류의 분절 쌍을 모두 독립적으로 DB에 저장할 수도 있으며, 내부의 특별한 기준이 있는 경우, 각 분절 쌍에 대하여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DB에 저장할 수도 있다.Second, they perform a mutual segment. Segment means to first determine whether a mutual name is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eaningful phrases, and in this case, the characters constituting the name are regarded as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phrases having minimum meanings, and extract each of the phrases. At this time, whether or not the meaning is meaningful is a variety of dictionaries such as Korean dictionaries, abbreviations such as abbreviation dictionaries, etc. Other idioms of general industry (eg, 'construction,' building ', etc., abbreviated as civil construction industry)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 identify In addition, one mutual name may be capable of two or more types of segments. In this case, two or more types of segment pairs may be stored independently in a DB. When there is a special internal standard, DBs may be assigned to different segment pairs by assigning different weights to each segment pair. Can also be stored in

셋째, 분절한 DB를 소팅(sorting) 또는 카운팅(counting)등의 처리를 하여 특정한 음절, 어절, 단어 등이 반복되는 정도, 빈도, 횟수 등을 독립적 또는 상호군별로 상호군과 관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상호군이 건설관련상호의 경우, 건설관련 상호에 자주 쓰이는 상호의 구성요소를 찾을 수 있다.Third, the segmented DB can be sorted or counted to store the degree, frequency, and frequency of repetition of specific syllables, words, words, etc. independently or in groups. . In other words, if the mutual group is a construction related mutual, it is possible to find a mutual component that is often used in the construction related trade.

넷째, 반복되는 정도, 빈도, 횟수 등을 내부적으로 주어진 기준과 비교하여 그 기준을 넘는 경우 식별력이 없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 기준은 전체 상호에 대해서 일률적으로 주어질 수 있지만, 각 상호군별로 상이하게 주어질 수도 있다.Fourth, the degree of repetition, frequency, number of times, and the like can be compared internally with a given criterion to identify that there is no discernment. The criteria may be given uniformly for the entire trade name, but may be given differently for each trade group.

이 과정을 거치면 상표 중에서 식별력이 없는 부분을 추출해 낼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the non-identifiable part of the trademark can be extracted.

전화번호부 중 업종별 전화번호부를 사용하면 특정한 업종에서 식별력이 없는 요소를 추출해 낼 수 있다. 식별력 없는 요소를 추출하는 것은 상호편 전화번호부 DB를 활용하는 것과 원칙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업종별 전화번호부를 통해 찾아 낼 수 있는 것은 특정한 상위 또는 하위 업종별 또는 업종군에서 식별력이 없는 상표 구성 요소를 찾을 수 있다. 가령 의료업에서"의원" 등은 식별력이 없다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위 또는 하위 업종별 또는 업종군과 그 업종과 대응 관계를 맺어 줄 때, 이들과 지정 서비스업과 1:1, n:1, 1:n의 대응 관계를 성립시킬 수 있다. 이 대응 과정을 거치면 특정한 상위 또는 하위 업종별 또는 업종군에 대응하는 지정 서비스업에 대하여 식별력이 없는 상표 구성 요소를 찾을 수 있다.Industry-specific phonebooks can be used to extract indistinguishable elements from specific industries. Extracting non-identifiable elements is in principle the same as using a mutual directory DB. However, what can be found through the sector-specific telephone directory can be found in the trademark components that are not identifiable in a particular upper or lower sector or sector. For example, in the medical industry, "doctors" can identify information that is indistinguishable. In this case, when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etween the upper or lower industry type or the industry type group and the industry type,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1: 1, n: 1, 1: n may be established with the designated service industry. This response process may identify trademark components that are indistinguishable for the designated service sector corresponding to a particular higher or lower sector or sector.

상표 DB를 통한 식별력 없는 요소 발견 과정Identification process without identification through trademark DB

상기의 식별력이 없는 상호를 분석하는 과정을 상표 DB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표는 전제 상표 모두 또는 각 류별, 군 지정 상품별 또는 기타 일정한 그룹 단위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분석에 입력되는 상표는 등록상표, 출원중인 상표 기타 상표권과 관계하여 일정한 속성을 가지는 그룹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과정을 거처면, 전체적으로, 각 류별, 군별, 지정 상품별 식별력이 없거나 부족한 요소를 찾아 낼 수 있다. 이 과정에 입력되는 상표 DB에는 등록 상표 DB(710-1)뿐만 아니라 출원 중 상표 DB(710-1) 및 거절 결정된 상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DB도 될 수 있다. 특히, 거절 결정된 상표 DB만을 통해서 추출한 식별력 없는 요소에는 다른 DB를 통해서 발견한 식별력 없는 요소보다 가중치를 더 줄 수도 있다. 이는 특히 결합 상표에서 기술적 표정에 관한 규정(상표법 제 6조 제1항 제3호)을 적용하여 거절 결정 된 것을 모은 DB에서 추출한 식별력 없는 요소에는 더욱 큰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The process of analyzing the above non-identifiable trade names can also be applied to the trademark DB. At this time, the trademark may be processed in all of the premise trademark, or by each class, group designation product or other unit group. In addition, a trademark entered in the analysis may be a group having certain attributes in relation to a registered trademark, a pending trademark, or a trademark. Through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identify elements that are not or lacking in identification by category, group, and designated product. The trademark DB input in this process may be not only a registered trademark DB 710-1 but also a DB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a pending trademark DB 710-1 and a rejected trademark. In particular, the non-identifiable element extracted only through the rejected trademark DB may be given more weight than the non-identifiable element found through other DBs. In particular, a greater weight can be given to non-identifiable elements extracted from a database that has been rejected by applying the regulation on technical expressions (Article 6, Paragraph 1, No. 3 of the Trademark Act).

이들 식별력이 없는 요소들은 식별력이 없는 요소 DB로 저장 된다. 이 DB에는 지정 상품, 군 또는 류와 결합할 때만 식별력이 없는 요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se non-identifying elements are stored in the non-identifying element DB. This DB may contain information about elements that are not discernible only when combined with designated goods, groups or classes.

결합 상표의 문제Problem of Combo Label

개념 및 문제의 소재Concept and material of problem

2이상의 상표 구성 요소로 분해할 수 있는 상표를 결합상표라 한다. 결합 상표는 통상 다수의 구성 요소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그 결합의 강도 및 식별력 있는 부분을 추출해 내는 것이 문제시된다. 결합 상표에는 일체불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분리하여 파악하는 것이 부자연스럽지 않는 한 분리 관찰한다는 것이 판례의 태도이기 때문에 결합 상표의 요소별로 분리하는 것은 중요성을 지닌다. 다음은 결합 상표가 주어질 때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어떻게 분리하는가에 대한 프로세서이다.Trademarks that can be decomposed into two or more trademark components are called combined trademarks. Since a bond is usually a combination of a number of components, it is problematic to extract the strength and discernible portion of the bond. Since it is the precedent of a separate observer, unless it is unnatural to separate and identify it, it is important to separate it by the elements of the combined trademark. The following is a processor on how the system automatically separates when a binding label is given.

요부 추출 엔진Lumbar extraction engine

요부 추출 엔진이란 결합 상표에서 식별력 있는 부분을 추출해 내는 엔진을 말하며, 다름과 같은 구성 및 절차를 가진다.The main part extraction engine refers to an engine that extracts the distinguishing part from the combined trademark, and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and procedure.

분리 단계Separation steps

결합 상표가 있을 때 우선 그 구성 요소로 분리하는 것이 선결 과제이다. 자연어 처리 기법상에서 주어진 결합 상표의 문자 부분을 절단 규칙을 활용하여 절단한다. 절단 규칙의 한 기준으로 형태소별 분리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것이 형태소 분석 엔진이다.When there is a trade mark, the first task is to separate it into its components. In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 the character part of a given combined trademark is cut using the cutting rule. Morphological separation may be a criterion of the cutting rule. What this requires is a morphological analysis engine.

형태소 분석 엔진을 통하여 상표 구성 요소를 분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한다. 첫째, 형태소 분석 엔진에 결합 상표가 입력되는 단계이다. 이때 결합 상표가 띄어쓰기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1) 그 띄어 쓴 단위가 분리 요소가 될 수 있거나, 2) 띄어 쓴 단위 내에서 다시 형태소를 분리할 수 있다.The process of separating trademark components through the stemming engine is as follows. First, the binding trademark is input to the stemming engine. In this case, when the combined trademark is spaced, 1) the spaced unit may be a separate element, or 2) the morpheme may be separated again within the spaced unit.

둘째, 형태소별로 분리했을 경우 또는 기타의 기준으로 분리했을 경우 복수개의 절단 집합이 나올 수 있다. 이 절단 집합을 그 결합 상표와 관련 지어서 저장한다. 추후에 결합 상표의 식별력 또는 유사 판단을 할 경우 그 복수개의 절단 집합마다 그 집합을 구성하는 개개의 절단된 부분으로 식별력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Second, when the morphemes are separated by each other or by other criteria, a plurality of cut sets may be generated. This cutting set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binding label. In the case of determining discrimination or similarity of the combined trademark later,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crimination power can be judged by the individual cut parts constituting the se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ut sets.

식별력 없는 부분의 제거 단계Elimination of non-identifiable parts

통상 사용되는 주식회사, 상사, 조합 등(외국어로 된 대응 요소 포함)는 식별력이 없어 제거한다. 이런 식별력이 없는 것에 대한 DB는 전화번호부 DB의 분석을 통하여 공통성이 높은 요소를 추출한 것을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식별력 없는 요소 DB를 활용할 수 있다.Commonly used stock companies, firms, unions, etc. (including foreign language counterparts) should be removed because they are not discernible. The DB for the lack of such discrimination power can utilize the extracted elements with high common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hone book DB. At this time, it can utilize the element DB without identification.

사전에 나오는 동사나 형용사 또는 이들의 변형된 형태(용언의 변화, derivative 등)는 원칙적으로 식별력이 없다고 볼 수도 있으며, 이는 특히 기술적 표장 규정을 적용할 때 더욱 그러할 수 있다. 이는 특히, 그 결합 상표를 구성하는 다른 부분이 식별력이 없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고 할 수 있다.The verbs and adjectives in the dictionary or their modified forms (changes in verbs, derivatives, etc.) may in principle be indistinguishable, especially when applying the technical labeling rules.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the other parts of the combined trademark are not discernible.

명사나 사전 DB에 없는 절단된 부분은 원칙적으로 제거하지 않고, 차후의 등록 가능성 판단 과정으로 넘어 간다. 절단된 부분이 지정 상품과의 관계에서 보통명칭 또는 관용명칭이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의 식별력 유무는 후술하는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400/1-1)의 결정에 의한다. 지리적 명칭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도 동일하다. Truncated parts that are not in the nouns or the dictionary DB are not removed in principle, and the process proceeds to a later registration decision process. The cut part may be a common name or a common name in relation to the designated produc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iscrimination power thereof is determined by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system 400 / 1-1 described later. The same is true when geographical names are combined.

형용사적 문자와 결합하여 구성된 상표에서 형용사적 문자를 제거하고 남은 것을 요부로 판단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emaining part after removing the adjective letter from the trademark formed by combining the adjective letter.

식별력 없는 요소 DBElement DB without discernment

전화번호부나 웹사이트 주소 기타 인명과 상호 DB를 절단 규칙을 통하여 절단한 다음 각 절단 요소의 발생 빈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발생 빈도가 일정한 내부 기준보다 높은 것에 대해서는 식별력 없는 요소가 되고, 이것이 저장된 것이 식별력 없는 요소 DB가 된다. 통상 ㈜, Co, www, co.kr 등은 식별력이 없다.You can cut the phone book, website address, or other personal names and business names through the cutting rules, and then check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ach cutting element. At this time, the occurrence frequency is higher than a certain internal standard, it becomes an element without discrimination, and this stored becomes the element DB without discrimination. Normally, Co, www, com, etc. do not have discriminating power.

상표 DB(국내 또는 국외의 출원된 것, 등록된 것 모두 포함)를 그 상표를 사용하는 지정 상품과 연관 지어, 그 지정 상품이 속하는 류 단위, 군단 위, 또는 그 지정 상품 그 자체를 기준으로 하여 분석할 수 있다. 즉, 상표 DB의 각 상표를 절단하여, 특정한 지정 상품, 그 지정 상품이 속하는 군, 그 지정 상품이 속하는 류 또는 상품 전체에 대하여 특정한 절단 요소의 발생 빈도를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그 절단 요소가 특정한 지정 상품, 그 지정 상품이 속하는 군, 그 지정 상품이 속하는 류 또는 상품 전체에 대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빈도로 나오는 경우는 식별력이 없다고 본다. 이 식별력 없는 요소를 그 지정 상품, 그 지정 상품이 속하는 군, 그 지정 상품이 속하는 류 또는 상품 전체에 대하여 관계성을 맺은 상태로 저장하여 식별력 없는 요소 DB를 구성한다. 제과류, 가정 용품 등에 대해서 “홈”/”home” 등은 식별력이 없을 수 있다.Associate a trademark DB (including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pplications and registered ones) with a designated product that uses that trademark and, on the basis of the classification unit, corps unit, or the designated product itself to which the designated product belongs; Can be analyzed. That is, by cutting each trademark of the trademark DB,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specific cutting element can be examined for the specific designated product, the group to which the designated product belongs, the class to which the designated product belongs, or the whole product. At this time,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no discrimination when the cutting element appears at a frequency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tandard with respect to a specific designated product, a group to which the designated product belongs, a class belonging to the designated product, or the whole product. The non-identifiable element is stored in a relational state with respect to the designated product, the group to which the designated product belongs, the class to which the designated product belongs, or the whole product, thereby forming an element DB without discrimination. “Home” / ”home” etc. may not be discernible for confectionery and household items.

일반인의 주의력으로 보아 통상 식별력이 없다고 인정되는 것도 식별력 없는 요소 DB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판례 또는 심판을 통하여 식별력이 부정되는 것도 사전 또는 사후적으로 식별력 없는 요소 DB에 추가될 수 있다.The fact that a person's attention is not usually discriminated by the public's attention can also be a factorless DB. In addition, the fact that discrimination is denied through precedent or judgment may be added to the element DB without discrimination before or after.

요부 추출Lumbar extract

결합 상표에서 식별력 없는 부분을 제거하고 남은 상표의 식별력 있는 부분을 요부라 한다. 이 각각의 요부가 상표 유사 판단 및 등록 가능성 판단의 대상이 될 수 있다.The non-identifiable part of the combined trademark is removed and the distinguished part of the remaining trademark is called the main part. Each of these points can be subject to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and registration possibility judgment.

언어 처리 시스템Language processing system

개념 및 필요성Concept and Necessity

대한민국에 출원되고 있는 상표도 그 구성 요소로서 외국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각국마다 그 나라의 국어 이외의 요소가 상표 구성 요소로 포함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때, 본 발명 사상이 적용되는 나라가 본국이라 했을 때, 그 본국에는 본국어가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그 본국어의 언어 체계와 다른 나라의 언어 체계가 상표 구성 요소가 되는 경우에서 외국어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description)의 편의상 대한민국에서 본 발명이 실시된다는 가정하에서 서술한다. 그러므로, 국어 또는 한국어라는 말로서 본국어를 대표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영어라는 말로서 본국어 이외의 언어인 제반 외국어를 대표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본국어는 국어가 되고, 외국어는 영어, 일어, 프랑스어, 중국어 등이 될 수 있다.Trademarks filed in the Republic of Korea often contain foreign languages as a component. This is similar to the fact that each country includes non-Korean elements as trademark elements. In this case, when the countr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the home country, the native language may correspond to the home country, and when the language system of the native language and the language system of another country become trademark components, the problem of foreign language Occurs. It is described herein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practiced in the Republic of Korea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refore, the word "Korean" or "Korean" is used to represent the native language, and the word "English" is used to represent all foreign languages other than the native language. In the case of Korea, the native language may be Korean, and the foreign language may be English, Japanese, French, Chinese, etc.

언어 처리 시스템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The necessity of the language processing system is as follows.

첫째, 상표 유사 판단의 문제이다.First, it is a matter of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이 과정을 확장하면 각종 상표 DB에서 상표를 구성하는 국어(외국어를 기준으로 유사성 등을 판단하는 예외적인 경우) 또는 외국어에 대해서 언어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일반화하면 본 발명에서 상표 관련하여 각종 판단 과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사전 및 기타 요소들에서도 언어 처리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즉, 언어의 통일 또는 관련성을 맺어 주는 언어 처리 과정이 있어야 컴퓨터는 비로서 유사판단을 할 수 있게 된다.If this process is extended, language processing is required for the national language constituting the trademark in various trademark DBs (exceptional case for determining similarity based on foreign language) or foreign language. In general, language processing is also required in various dictionaries and other elements used in various judgment processes related to trademark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the language can be judged similarly only when there is a language processing process that unites or relates the language.

둘째, 등록 가능성 판단에서 문제 시 된다.Second, it will be a problem in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registration.

셋째, 본질적으로 컴퓨터는 사고 능력이 없으므로, 처리의 기준을 통일시켜 줄 때에만(관련성을 맺어 주는 정보가 있는 경우, 그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통일성을 가지게 된다.) 컴퓨터는 각종 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 사상이 적용되는 일부 또는 전부의 과정에 언어 처리 시스템이 문제시 되게 된다.Thirdly, because computers are inherently incapable of thinking, they are only able to perform various processes only when the standard of processing is unified (when there is relevant information, it is uniform based on the information). do. Therefore, the language processing system becomes a problem in some or all of the process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특징Characteristic

상표의 구성 요소가 외국어를 포함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When a trademark component includes a foreign language, it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첫째, 외관이 상이하다는 점이다. 즉, King과 왕과 王은 관념적으로는 유사할 지라도 외관상으로는 완전히 틀리다. 역으로, 외관이 다르지만 관념이 유사할 수 있다. 그리고, “tiffany”와 “티파니”처럼 외관이 다를지라도 칭호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상표에 2 종류 이상의 언어 표현이 있을 수 있다.First, the appearance is different. That is, King, king, and wang are similar in concept but are completely different in appearance. Conversely, the appearance may be different but the concept is similar. And even if the appearance is different, such as "tiffany" and "tiffany", the title may be the same or similar. There may also be two or more language expressions in a trademark.

둘째, 그 외국어가 포함된 표장의 외국어 부분을 보고 칭호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칭호는 국어로 일정 정도의1:1대응성을 가지게끔 국어로 표기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1:1대응성이란 “CHANEL”에 “샤넬”을 대응하는 것처럼 하나의 외국어에 대해 하나의 국어를 소리 나는 대로 또는 읽는 대로 대응시킬 수 있음을 말한다. 일정 정도의 대응성이란, “CHANEL”에 “샤넬”이라 발음할 수도 있지만, “사넬” 또는 “차넬” 등으로도 발음할 수 있기에 하나의 외국어에 대해서1이상의 국어의 대응을 허용하지만, 이들 대응 국어들이 큰 차이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한 외국어를 표상한다는 것임을 말한다. Second, the title can be generated by looking at the foreign language part of the emblem containing the foreign language, and the title can be written in Korean so that it has a certain degree of 1: 1 correspondence in the Korean language. One-to-one correspondence means that one language can be matched to a foreign language as spoken or read, as in the case of “CHANEL” to “CHANEL”. Although a certain degree of correspondence can be pronounced as "CHANEL" in "CHANEL", it can also be pronounced as "SANEL" or "CHANEL", so one or more languages can be corresponded to a foreign language. It is said that Koreans represent the same foreign language without a big difference.

셋째, 외국어가 사전에 포함된 단어이거나, 단어의 일부이거나, 단어들의 조합으로 된 경우에는 그 사전에 존재하는 발음기호 또는 한글-로마자(외국어) 표기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Third, when a foreign language is a word included in a dictionary, a part of a word, or a combination of words, a phonetic symbol or a Hangul-Roman (foreign language) notation existing in the dictionary may be used.

영어의 한글화English of Korean

표장의 유사성을 판단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외관과 칭호이다. 이때, 표장을 구성하는 언어가 다를 경우 외관의 유사성의 문제는 크게 줄어들며, 칭호와 관념의 문제가 크게 대두된다. 여기서는 칭호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관념 유사의 문제는 번역 또는 국어-영어(한영, 영한) 사전을 조회함으로써 해결할 수도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다루지 않는다. 영어의 한글화는 한글을 기준으로 유사성 등을 판단한다는 말이다. 다만, 영어를 한글로 대응시키는 과정의 역 과정을 거치면 한글을 영어로 바꿀 수도 있고, 이때는 영어를 기준으로 유사 판단 등을 하게 된다.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similarity of labels are appearance and title. At this time, if the language constituting the emblem is different, the problem of similarity of appearance is greatly reduced, and the problem of title and concept is raised. This section focuses on the issue of title. The idea of analogy is not addressed here because it can be solved by looking up a translation or a Korean-English (Korean-English) dictionary. The Korean language of English determines similarity based on Korean language. However, if you go through the reverse process of mapping English to Korean, you can change Korean to English. In this case, similar judgments are made based on English.

영어에 대한 칭호는 1개 이상의 국어로 대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영어와 국어가 비교의 대상이 될 때 주로 칭호가 비교의 중심이 되고, 칭호 비교를 위하여 음성 대 음성 비교 및 음성 해당 문자 대 문자 비교가 있을 수 있다. 통상 음성의 비교는 영어 표장과 국어 표장의 음성 데이터를 특정한 기준 하에 비교하여 유사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문자 비교는 영어에 대응하는 칭호를 국어 문자화하여 비교하는 것이다. 국어 문자화되면 국어와 국어의 비교 문제로 환원되므로, 영어를 어떻게 국어 문자화시킬 것인가가 문제된다.Titles in English may correspond to one or more languages. Therefore, when English and Korean are to be compared, titles are mainly the center of comparison, and there may be a voice-to-speech comparison and a corresponding character-to-text comparison for voice comparison. Normally, the comparison of voice is to compare the voice data of the English emblem and the Korean emblem under specific criteria to determine similarity. Character comparison is to compare the titles corresponding to English with the Korean characters. If the Korean character is converted into a comparison problem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Korean language, it is a question how to translate the English language into Korean.

국제 음성 기호의 이용Use of International Speech Symbols

상표를 구성하는 영어로 된 요소가 사전에 있는 단어이거나, 사전에 있는 단어의 조합인 경우(상표를 구성하는 일부가 사전에 있는 단어인 경우 그 사전에 있는 한도에서) 통상 그 사전에 있는 발음 기호를 기준으로 이에 대응하여 국어 문자화시킬 수 있다. 각국의 문자체계 및 발음 체계에 따라 발음 기호 하나에 각국 문자나 음소 하나를 완전히 대응시킬 수는 없을 수도 있지만, 통상1:1대응이 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그 나라의 언어체계하에서 그 특정한 발음 기호를 읽는 법이 존재하는 경우, 그 읽는 법에 대응하는 발음 기호 또는 기호군 대 한글 발음 표기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를 구현해 주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DB가 발음 기호 한글 대응 DB이다.Phonetic symbols in the dictionary if the English element of the trademark is a word in a dictionary or a combination of words in the dictionary (to the extent that the part of the trademark is a word in the dictionary) Based on this, the Korean character can be converted accordingly. Depending on the letter system and phonetic system of each country, it may not be possible to completely correspond to each phonetic character or phoneme to one phonetic symbol. That is, when there is a method of reading the specific phonetic symbol under the language system of the country, it is possible to match the phonetic symbol or symbol group to Korean phonetic notation corresponding to the reading method. The DB us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is is the phonetic alphabet corresponding DB.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그 국가 또는 그 국가의 공공단체, 학술단체 또는 기타 표준을 정할 권한을 가진 곳에서 정하는 영어에 대한 그 국가의 언어 체계에 바탕한 표기법이 존재한다. 이들 표기법을 활용하면 각 영어 자체 또는 영어의 발음 기호에 상응하는 국어 표기를 대응시킬 수 있다. 즉, 이 경우에 필요한 DB는 크게 사전 DB와 표기법DB가 있다. In most countries, there is a notation based on the country's linguistic system of English, which is defined by the country or its authority to establish public, academic or other standards. By using these notations, the Korean language can be mapped to correspond to each English itself or the phonetic symbols of the English language. In other words, the DB required in this case is largely a dictionary DB and a notation DB.

한글로마자표기법 이용Using Hangul Romanization

각국은 자국인의 이름, 명칭 기타 자국어로 된 말을2이상의 외국어로 표기하는 표기법체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통상이다. 그 예가 한글로마자표기법이며, 이에 상응하는 영어한글표기법이 미국에 존재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 표기법에 대해서는 국가 표준화된 것, 사실상의 표준인 것, 개인 또는 특정 단체가 만든 것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활용한다.Each country usually has a notational system in which the names, names and other words of its own nationality are written in two or more foreign languages. An example is the Hangul alphabetic notation, and the corresponding English Hangul notation exists in the United States. There may be several such notations, such as national standardized, de facto standard, made by an individual or a specific organiz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some or all of them.

최근접 어휘 음성 기호 이용Use nearest vocabulary phonetic symbols

사전에 없는 영어이지만 그 영어를 구성하는 일부가 사전에 존재하는 단어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우, 그 영어에 대해서 국어 문자를 대응시킬 수 있다. 그 영어의 부분이 사전에 존재하는 한 단어의 부분만이 아니라 2이상의 단어의 부분이 되는 경우 그 각각의 사전의 일부에 대응하는 발음 기호 등을 기준으로2이상의 국어 문자화할 수 있다. 상기는2이상의 일부가 영어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 과정에서 영어가 전부 처리되지 않고 일부가 남은 경우는 한글로마자표기법을 활용하거나, 파닉스(Phonics)기법, 기타 남은 부분과 가장 근접한 사전에 있는 단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활용하여 국어로 전환하여 표기할 수 있다.If the English is not in the dictionary but a part of the English language constitutes a part of the word existing in the dictionary, the Korean characters can be mapped to the English language. When the part of the English becomes part of two or more words instead of a part of one word existing in the dictionary, two or more Korean characters may be formed based on phonetic symbols and the like corresponding to a part of each dictionary.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wo or more portions are present in English. In this process, if English is not fully processed and part is left, it can be converted into Korean language by using the Hangul alphabet notation, or by using phonics or other parts of the dictionary closest to the rest. Can be.

분절 기호를 사용하는 방법How to use segment symbols

다수의 영어(영어 일반을 대표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사전 및 국어 사전에서 발음 단위(음절 등)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통상 음절 표시는 가운데방점(본 명세서에서는 표기상 가운데 방점은 “ㆍ”을 사용한다.), 띄어쓰기 기타 임의의 식별 수단을 통하여 일정한 단위의 철자 그룹이 하나의 발음 단위가 됨을 표시한다.Many English (used to represent English in general) are sometimes marked with phonetic units (syllables, etc.) in dictionaries and Korean dictionaries. In general, syllables indicate that the center point (in this specification, the center point in the notation uses “·”), spacing, or any other means of identification means that a spelling group of a certain unit becomes a pronunciation unit.

가령 identify이란 단어가 있는 경우 i den ㆍti ㆍfy 이란 분절 기호 표시가 있는 경우, 이 분절 기호에 대응하는 발음 기호 표시도 분절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가령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표기일 수 있다. [ai ㆍden ㆍti ㆍfai] 이 경우, 분절된 철자인, I, den, ti, fy등을 분절 철차 그룹이라 하고, 발음 기호인 ai, den, fi, fai 등을 분절 발음이라 칭하며 서술한다.For example, if there is a word "identify", if there is a segment symbol "i den" ti "fy", the phonetic symbol corresponding to this segment symbol is often segmented. For example, the following notation may be used. [ai, den, ti, fai] In this case, the segmented spells I, den, ti, fy, etc. are referred to as the segmentation order group, and the phonetic symbols ai, den, fi, fai, etc. are referred to as segment pronunciation. .

분절 발음에 대응하여 한국어 발음 표시를 할 수 있다. 가령, [ai]에 [아이], [den]에 [덴], [ti]에 [티], [fai]에 [파이]를 대응할 수 있다. 이들 [아이] 등을 “분절 발음 표기 대응 한국어 발음 표기”라 칭한다.Korean pronunciation may be displayed in response to segmental pronunciation. For example, [ai] can correspond to [child], [den] to [den], [ti] to [ti], and [fai] to [pie]. These [ai] etc. are called "fractional pronunciation notation Korean pronunciation notation".

영어 단어의 분절 절차 표시, 분절 발음 및 분절 발음 표시 대응 한국어 발음 표기를 가지고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면 영어로 된 표기와 한글로 된 표기 사이의 대응 관계를 얻을 수 있다.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notation and Korean notation can be obtained by following the following process with Korean phonetic notation.

첫째, 분절 표시가 되어 있는 영어 사전에서 복수개의 단어를 발음과 함께 추출한다. 분절 철자 그룹과 그 분절 발음 표기와의 대응 관계를 유지하면서 분절 철자 그룹별로 소팅(sorting)한다. 이 과정을 거치면 영어 단어를 구성하고 있는 각종 분절 철자 그룹들을 찾을 수 있으며, 이들 그룹별로 해당하는 발음 표시를 찾을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분절 철자가 그룹이 다른 발음이 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통계에 의한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분절 발음 표기가 2가지 발음이 나고, 그 각각이 분석된 자료의 의하면 70%대 30%의 비율로 나왔다면 하나의 분절 철자 그룹에 2가지 분절 발음 표기를 대응시키고, 그 각각에 70%와 30%라는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물론 가중치를 무시하고 50%대 50%로 할 수도 있다.)First, a plurality of words are extracted together with a pronunciation from an English dictionary marked with segments. Sort by each segment spelling group while maintain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egment spelling group and its segmentation notation. Through this process, you can find the various spelling groups that make up the English words, and find the corresponding phonetic marks for each group. In this case, the same segment spelling may have different pronunciations in the group, in which case a weight based on statistics may be applied. That is, if one segment pronunciation notation has two pronunciations, and each of them is in the ratio of 70% to 30% according to the analyzed data, the two segment pronunciation notations correspond to one segment spelling group, You can assign weights of 70% and 30% (of course, you can ignore 50 and 50%).

둘째, 분절 발음 표기에 한국어 발음 표기를 대응할 수 있다. 분절 발음 표기를 구성하는 음성 기호에 한국어 자모를 대응할 수도 있고, 발음 표기 자체에 한국어 음절을 대응시킬 수 있다.Second, the Korean pronunciation may be corresponded to the segmentation notation. The Korean alphabet may correspond to a phonetic symbol constituting the segmental phonetic notation, or the Korean syllable may correspond to the phonetic notation itself.

셋째, 상기의 과정을 거치면 각각의 분절 철자 그룹과 분절 발음 표기 및 그 한국어 발음 표기를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분절 그룹이 2가지 이상 발음으로 나온다면 그 각각에 대하여 한국어 발음 표기를 대응할 수 있으며, 가중치는 따라 갈 수 있다. 이 최종적인 표기를 “분절 철자 그룹 대응 한국어 표기”라 한다.Third, through the above process, it is possible to correspond to each segment spelling group, segment pronunciation notation, and its Korean pronunciation notation. In this case, if the segment group has two or more pronunciations, the Korean phonetic notation may b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m, and the weight may follow. This final notation is called "segment spelling group corresponding Korean notation".

하나의 상표의 구성 요소로서 영어로 된 표기가 있는 경우 이 분절 철자 그룹 대응 한국어 표기를 응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If there is an English notation as a component of a trademark, the application of this segmental spelling group corresponding Korean notation is as follows.

첫째, 영어를 분절 철자 그룹을 최대한 다수 포함하도록 분절한다.(물론, 이 때 영어 사전(인명 사전 포함)을 활용하여 그 영어 표기 중에서 단어를 가장 긴 단어부터 찾아 내어 단어 단위로 1차 분절을 할 수도 있다.) 분절한 분절 철자 그룹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기로 바꾼다. 복수개의 방식으로 분절할 수 있는 경우 복수개의 대응 한국어 표기로 나올 수 있다. 물론, 이때 가중치(확률에 기반한)가 부여될 대응 한국어 표시로 출력할 수도 있다.First, segment your English to include as many segmented spelling groups as possible. (Of course, you can use the English dictionary (including the human dictionary) to find the longest word in the English notation and make the first segment by word. It may be changed to Korean notation corresponding to the segmented segment spelling group. If it is possible to segment in a plurality of ways, it may come out in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Korean notation. Of course, it may also be output in the corresponding Korean display to which the weight (based on the probability) will be given.

기타 대응 관계를 이용하는 방법How to use other correspondence

기타 발음과 문자를 대응하는 규칙을 활용할 수도 있다. 프린스턴 리뷰 출판사에서 발간된 word smart에는 각 영어 단어의 발음을 나름의 독특한 표기 체계를 통하여 표기하고 있다. 이처럼 각 언어별로 소리를 표현하는 새로운 임의의 표기 체계를 구상해 낼 수 있으며, 이들 표기 체계로 표기된 것들을 상표 유사 판단의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You can also use other pronunciation and character matching rules. Word smart, published by Princeton Review Publishers, displays the pronunciation of each English word in its own unique system of notation. As such, a new arbitrary notation system can be conceived for expressing sounds for each language, and those marked with these notation systems can be targeted for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대응의 일반화 및 상기 발명 사상의 적용Generalization of Correspondence and Application of the Invention Idea

상기의 방법들을 이용하면 음성을 매개로 하여 영어로 된 상표의 칭호 부분을 그 칭호에 해당하는 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등의 표기법으로 대응시킬 수 있다.By using the above methods, the title portion of the trademark in English can be mapped using the phonetic notation of Korean, Japanese, and French.

첫째, 영어인 경우 그 자리에 다른 영어가 대응될 수 있고, 한국어 자리에 번역 또는 변환을 원하는 나라의 국어가 대응될 수도 있다. 즉, 미국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미국에 출원된 일본어를 포함하는 상표인 경우 영어 자리에 일본어, 한국어 자리에 미국의 국어인 영어가 들어갈 수 있다.First, in the case of English, other English may correspond to the place, and the Korean language of the country to be translated or converted may correspond to the place of Korean. That is, in the case of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ited States, in the case of a trademark including a Japanese filed in the United States, English, Japanese, and Korean, English may be entered in Korean.

둘째, 상기의 발명 사상을 적용하기 위해 어느 나라의 언어인가를 파악하는 과정이 결합될 수 있다.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등은 그 언어 체계를 구성하는 표기가 다르므로 큰 문제가 없으나 알파벳을 표기체계로 하는 경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각 언어의 표기 체계상의 특징(가령 독일어의 경우 움라우트 표시 등)이 있는 경우 그 나라를 특정 지을 수 있다. 그리고, 나라를 특정 짓기 어려운 경우에는 본 발명 사상이 적용되는 국가에서 그 표기 체계(여기서는 알파벳)를 사용하는 언어의 최빈 순으로(가령 대한민국의 경우라면 알파벳을 사용하는 경우는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순일 것이다.)하여 국가를 특정지을 수 있다. Second, the process of figuring out which language is used to apply the above invention idea can be combined. Korean, Japanese, Chinese, etc. are not a big problem because the notation of the language system is different, but if the alphabet is a notation system may cause problems. It can specify a country if there is a characteristic of each language's writing system (eg umlaut markings in German). If it is difficult to specify a country, the country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as the least frequent order of languages using the notational system (here, alphabet) (for example, English, French, German if the alphabet is used in Korea). To specify a country.

언어 관련 문제의 소재 및 해결 방법Where and how to solve language-related issues

현재 외국어 또는 외국의 문자 체제로 표시되는 상표가 다수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현상이다. 언어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곳에서 문제시되며 그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언어 처리가 이미 가정된 상태일 수 있다.At present, a number of trademarks in foreign languages or foreign character systems are used, which is a universal phenomenon worldwide. Problems related to language are as follows, and the solution is as follows. 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in, language processing may already be assumed.

상표 DB 구축Trademark DB establishment

상표 DB를 구축할 때 외국어로 된 상표는 선택적으로 한글화하여 구축할 수 있다. 즉, 이는 상표의 외관을 보고 그 발음을 표기할 수 있는데 그 표기 체계를 한글로 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에서는 영어로 된 상표 구성 요소를 그 구성 요소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한글 표기를 함께 저장한다.When building a trademark DB, a trademark in a foreign language can be selectively constructed in Korean. In other words, it can look at the appearance of the trademark and can write the pronunciation of the trademark can be written in Korean.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stores a trademark component in English with the Hangul notation written as it is spoken.

상표 유사성 판단(5-1)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5-1)

유사성을 판단할 때 외국어로 된 상표는 한글화하여 한글 대 한글로 판단하거나, 외국어대 외국어로 판단할 수 있다. 그 외국어 상표에 대해서 특허청 등의 공무원이 상표의 입력 과정에서 한글화한 것이 있다면 그것을 우선적으로 참고할 수 있다. 한글 대 한글로 판단하는 경우 하나의 외국어 상표에 대해서 다양한 한글 발음 표기가 가능하므로, 이들 각각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외국어에 대하여 각 한글 발음 표기를 적시하고 그 표기 하에서의 유사성 판단 과정을 진행 할 수 있다.In determining similarity, a trademark in a foreign language may be translated into Korean and Hangul, or may be judged as a foreign language or a foreign language. If any foreign language trademark has been translated into Korean by an official such as the KIPO, it may be consulted first. When judging from Hangul versus Hangul, various Korean pronunciations of one foreign language trademark can be written, and thus, each of them can be determined. At this time, the pronunciation of each Hangul pronunciation for a foreign language can be timed and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under that notation.

등록 가능성 판단Registration possibility judgment

보통 명칭, 관용 명칭, 지리적 명칭 등을 DB로 저장할 때 영어를 포함한 주요 외국어 표기를 병기하거나, 본 발명이 사용되는 나라의 입장에서 본 주요 외국어 표기를 병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외국어로 된 상표가 있는 경우 이를 한글화하여 상표 DB와 판단하거나, 외국어대 외국어로 판단할 수 있다.When storing a common name, a conventional name, a geographical name, etc. in a DB, the main foreign language notation including English may be written in parallel, or the main foreign language notation viewed from the viewpoint of the country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may be stored in parallel. If there is a trademark in a foreign language, it can be judged by the Korean language by the Korean language, or judged from foreign language to foreign language.

식별력 없는 구성 요소Unidentifiable component

식별력 없는 구성 요소 중 외국어로 된 것들이 있을 수 있다. 가령, Co. Ltd 등이 그러하며, 이들은 식별력 없는 구성 요소로서 식별력 없는 구성 요소 DB로 저장될 수 있다.There may be some non-identifying components in foreign languages. For example, Co. Ltd, etc., these may be stored as non-identifying components DB as non-identifying components.

상품 유사성 판단 시스템(200/1-1)Product similarity judgment system (200 / 1-1)

도입Introduction

통상 표장이 유사하더라도 지정 상품이나 지정 서비스업 등 기타 그 표장을 사용하는 대상이 유사하지 않으면, 상표법 또는 부정경쟁방지법 등의 표장과 관련된 법체계에서 일정한 법률적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지정 상품 등의 동일과 유사를 함께 다룬다. 다만, 각국 특허청/특허상표청에서는 상품 분류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고, 국제적으로는 NICE분류 체계가 다수국가에서 채용되고 있다.In general, although similar marks are similar, certain legal effects may not occur in the legal system related to the mark such as trademark law or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law, if the object using the mark is not simila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and the like of designated goods are dealt with together. However, each country's Patent Office and Patent and Trademark Office establish standards for product classification, and NICE classification system is adopted in many countries internationally.

지정 상품의 유사성은 각국의 법체계 및 판례, 심사 실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판단이 되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각국의 심사 실무 상의 상품 분류 체계의 적용, NICE 분류 체계, 또는 상품학 상의 분류 체계 중 하나 또는 2이상을 고려하여 판단한다.The principle of similarity between designated products is to be a judgment that considers each country's legal system, precedents and examination practices.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judging by considering one or two or more of the application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goods in the examination practice of each country, the NICE classification system, or the classification of merchandise.

상품 유사성 판단 엔진(200-1)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Engine 200-1

개념과 필요성Concept and Necessity

상품 유사성 판단 엔진(200-1)이란 상품의 유사 여부(서비스업의 유사 여부를 포함한다.) 및 상품과 서비스업의 유사 여부(통상 이를 대한민국 상표 업계에서는 “동종성”의 문제로 파악한다.)를 판단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DB)으로 구성된다. 그 프로그램들은 인공지능이론, 언어 공학, 수학적 모델링 기법, 기타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한 전산학적 방법론을 실행하는 각종 이론 및 적용 등과 관련되어 있다. The product similarity judgment engine 200-1 refers to the similarity of a product (including similarity of service industry) and the similarity of a product and a service industry (which is generally regarded as a problem of “homogeneity” in the Korean trademark industry). It consists of various programs and a database (DB) for judgment. The programs relate to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ory, linguistic engineering, mathematical modeling techniques, and other computational methodologies to determine similarities.

외부의 제 3자가 상품 유사성 판단 시스템(200/1-1)에 접근할 수 있는데 이때, 외부와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400/1-1)은 1) 상품 유사성 판단 시스템(200/1-1)이 존재하는 서버, 2) 적어도 1개 이상의 사용자(출원인, 고객, 회원 등) 단말기, 3)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1000)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An external third party may access the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200 / 1-1. At this time, the external an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system 400 / 1-1 may use the following information: 1) the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200 / 1-1. This server consists of 2) at least one user (applicant, customer, member, etc.) terminal, 3) a network 1000 system connecting them.

상품 유사성 판단 엔진(200-1)은 유사성 판단 규칙(rule)의 형성 모듈, 상품 DB(770), 유사성 판단 규칙의 적용 모듈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 DB과 상호 작용한다.The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engine 200-1 is configured as a module for forming a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a product DB 770, and an application module for applying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and interact with the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DB.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200-2)의 형성 방법How to Form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200-2

상품의 유사성을 컴퓨터가 자동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200-2)이 필요하다.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200-2)을 만드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을 수 있다.In order for the computer to automatically determine the similarity of the goods, the product similarity judgment rule 200-2 is required. There are three ways to make the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200-2.

첫째, 특허청 등의 상표 관련 행정 기관 등에서 지정 상품, 지정 서비스업 또는 NICE등 입법화 또는 행정의 편의상 사전에 설정해 놓은 각종 분류 체계를 활용하는 방법이다.First, it is a method that utilizes various classification systems set in advance for the convenience of legislation or administration such as designated products, designated services, or NICE by trademark-related administrative agencies such as the Patent Office.

둘째, 상품학 상의 분류 체계, HS 코드 분류 체계 또는 기타 상품 분류 체계를 활용하는 방법이다.Second, the merchandise classification system, the HS code classification system, or other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s.

셋째, 대법원 등의 사법 기관 및 상표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행정 기관의 판단 자료를 활용하는 방법이다.Third, judicial organizations such as the Supreme Court and administrative agencies in charge of trademarks are used.

넷째, 상기의 3 방법 중 하나 또는 2 이상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이다.Fourthly, one or two or more of the above three methods are integrated.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200-2)군 설정 단계Stage of similarity judgment rule 200-2

규칙군의 종류Type of Rule Group

첫째,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200-2)군의 임의 설정 단계이다. 이 규칙군은 크게 3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First, a random setting step of the product similarity judgment rule 200-2. This rule group consists of three major groups.

1) 일반적 기준으로, 가령 대한민국 상표법 상 상품 분류 기준표 하에서 “류가 다르면 비유사 상품이다. 동일류의 동일군에 속하는 상품은 유사상품이다.” 등과 같은 것이 이에 해당한다.1) As a general rule, for example, under the Product Classification Criteria Table under the Korean Trademark Act, “A different kind is a dissimilar product. Product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of the same class are similar products. ”

2) 구체적 기준으로, 대법원 등의 사법 기관 및 상표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행정 기관이 판단해 놓은 구체적인 예를 활용하여 특정한 지정 상품간의 유사성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이불과 전기 이불에 대하여 대법원이 비유사라고 판단한 것이 있다면 특정한 지정 상품인 이불과 전기 이불은 비유사라고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2) As a concrete standard, it is a method to determine the similarity between specific designated products by using specific examples determined by the judiciary agency such as the Supreme Court and the administrative agency in charge of trademark affairs. For example, if the Supreme Court judges that a futon and an electric futon are dissimilar, then certain designated commodities, futon and electric futon, may be dissimilar.

3) 상기의 양자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불과 전기 이불이 비유사라면, 이불이 속해 있는 특정류의 특정군의 다른 상품들과 전기이불이 속해 있는 특정류의 특정군의 다른 상품들은 비유사라고 임시 설정을 하는 등이다. 3) A new standard can be set by combining the above. For example, if a futon and an electric futon are dissimilar, other goods in a certain group of the particular class to which the futon belongs to and other commodities in a specific group of the particular class to which the electric blanket belongs are set similarly.

규칙군의 확장Expansion of Rule Group

상기의 논리를 확장하면 다음과 같다.Expanding the above logic is as follows.

일반적 기준으로 상품학상 분류, NICE분류, 기타 임의의 분류 체계상의 분류에서 일정 단계 이상의 상위 분류에 속하는 비유사 상품으로 파악하고, 일정 단계 이하의 하위 분류에 속하는 것을 유사 상품으로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 분류 기준은 국내 또는 국외의 분류를 가질 수 있다.In general, it is a method of identifying similar products belonging to a lower class below a certain level in product classification, NICE classification, or any other classification system, and identifying similar products belonging to a lower level below a certain level. This classification criterion may have a domestic or foreign classification.

직업은 통상 그 직업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미국에는 직업이 약30만개 정도로 세분화되어 분류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약 5만개 정도로 분류되고 있다. 이때, 직업 분류와 지정 서비스업의 분류에 대한 대응 관계를 만들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직업 분류는 지정 서비스업의 유사성 판단에 쓰일 수 있다. 즉, 특정한 지정 서비스업의 유사성이 문제 시 되는 경우, 그 지정 서비스업과 대응 관계에 있는 직업 또는 직업군이 동일, 유사하거나 공통된 부분이 많은 경우 이 사실은 지정 서비스업의 유사성 판단의 한 근거가 될 수 있다.A job is usually closely related to the services it provides. In the United States, there are about 300,000 occupations classified and classified, and the Republic of Korea is classified into about 50,000. In this case,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may be made between the classification of the occupation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designated service industry, and in this case, the occupation classification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similarity of the designated service industry. In other words, if the similarity of a specific designated service industry is a problem, this fact may be the basis for determining the similarity of the designated service industry when the occupation or occupational group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service industry has the same, similar or common parts. .

2) 구체적 기준은 일반적 기준을 존중하되 대법원 등의 사법 기관 및 상표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행정 기관이 판단해 놓은 구체적인 예를 활용하여 일반적 기준을 적용할 때 발생하는 구체적 불합치성을 보충하여 줄 수 있다. 즉, 기준의 적용은 일반적 기준을 먼저 적용하되, 그 일반적 기준만으로 결론을 내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 기준이 있는 지를 검토해 보고, 구체적 기준이 없는 경우 일반적 기준대로 결론을 출력해 낼 수 있다.2) Specific standards should respect general standards, but can supplement specific inconsistencies that occur when applying general standards by using specific examples determined by law enforcement agencies such as the Supreme Court and administrative agencies in charge of trademark-related work. . In other words, the application of the standard is to apply the general standard first, and not to conclude with the general standard alone,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specific standard, and to output the conclusion according to the general standard if there is no specific standard.

즉,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200-2)군 설정 단계에서는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200-2)군 설정하고, 이 규칙에 어긋나는 예외적인 구체적 예를 찾아내어 양자를 DB로 저장, 관리, 적용하는 것이 핵심이다.That is, in the step of setting the similarity judgment rule 200-2 group, it is necessary to set the similarity judgment rule 200-2 group, and to find an exceptional specific example that is inconsistent with this rule, and to store, manage, and apply them as a DB. It is the key.

거리 가중치Distance weights

상표법에 상품류 구분은 유사성을 판단하는 근거가 아니라고 명문화시키고 있으나, 그 구분표는 수십 년간의 심사 실무를 바탕으로 한 상품 유사성 여부에 대한 지식이 반영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 유사성을 자동적으로 파악할 때 이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를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의 한 방법이 거리 가중치 방법이다. 특정한 상품이 구분표 상에서 존재하는 위치는 1) 류분류 단위 내, 2) 군 분류 단위내, 3) 군 내부에서의 구체적인 위치이다. 또한, 군 분류 내부에서도 유사성이 높은 상품들은 가까운 곳에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하나의 군 내부에 있는 지정 상품의 개수는 많을 수도 있고, 몇 개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많은 경우는 그만큼 세분화된 상품이 존재한다는 것이며, 시장도 그만큼 크거나 커지고 있음을 반증한다 하겠다. 그러므로, 특정한 상품의 유사성을 판단할 때 그 양 상품이 떨어져 있는 거리를 조사하는 방식을 택할 수 있다. 즉, 군 내부에서도 양 상품이 떨어져 있는 거리가 멀면 상대적으로 비유사성이 높을 수 있고, 류 내부에서도 군과 군 사이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The trademark law stipulates that classification of products is not a basis for judging similarity, but the classification table reflects knowledge of product similarity based on decades of examination practi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tively use this product classification / classification table DB 720-1 when automatically identifying product similarity, one of which is the distance weighting method. The location of a particular product on the classification table is 1) within the classification unit, 2) within the group classification unit, and 3) within the group. In addition, products with high similarity are often located close to the military classification. In addition, the number of designated products in one group may be large or may not be many. In many cases, there is a commodity segmentation, and this proves that the market is bigger or bigger. Therefore, when judging the similarity of a particular product, one may choose to exa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roducts. In other words, if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roducts in the group is far apart, the relative dissimilarity may be high, and may also be applied between the group within the group.

상품 분류표/분류표 DB(720-7) 상에서의 양 상품 사이의 거리 = sum{(최상위 분류 기준 간의 거리*최상위 분류기준에 대한 가중치)+ (최하위 분류 기준 간의 거리*최하위 분류기준에 대한 가중치 + (최상위 분류 기준 내에서의 거리*최하위 분류기준 내에 대한 가중치)} Distance between two products on the merchandise taxonomy / categorization DB 720-7 = sum {(distance between the highest classifiers * weight for the highest classifier) + (distance between the lowest classifiers * weight for the lowest classifier + (Distance within top class * weights within bottom class)}

각 가중치는 변동될 수 있으며, 심사, 심판, 소송 등에서 도출된 구체적인 판단 결과를 반영하여 수정될 수 있다.Each weight may vary and may be modified to reflect the specific judgment result derived from the examination, judgment, litigation, and the like.

구분류와 신분류(NICE)분류의 동시 활용Simultaneous Use of Classification and NICE Classification

거리를 활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대비 대상이 되는 지정 상품이 있는 경우, 이 상품을 신분류와 구분류에서 유사 판단 기준을 적용하여 동시에 유사판단을 해 볼 수 있다. 구분류 상에서도 상품 사이의 거리가 가깝고, 신분류 상에서도 상품 사이의 거리가 가깝다면 이는 상품의 유사성의 정도가 그렇지 않은 것보다 통계적으로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신분류와 구분류 상에서 상품 유사 판단 기준의 적용 여부(예를 들면 동일 군 내부인가 여부 등)나 거리를 확인하고, 양 분류 사이의 거리의 종합 또는 각 분류 기준에 일정한 가중치를 부여한(신분류에 60%, 구분류에 40% 등) 거리의 총합이 작을수록 상품의 유사성이 더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Using distance can also be used in the following ways. If there is a designated product to be prepared, this product can be judged at the same time by applying similar judgment criteria in the new classification and classificatio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roducts is close on the classifica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roducts on the new classification, it can be judged that the degree of similarity of the products i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the products. That is, whether or not the product similarity criterion is applied (for example, whether it is in the same group) or the distance on the new classification and the classification, the total of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lassifications or a certain weight is given to each classification criterion (new The smaller the sum of distances (60% for classification and 40% for classification), the higher the similarity of goods.

이 개념을 다른 상품 분류 기준으로도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S코드를 기준으로 하여 양 상품 사이의 거리나 유사성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구분류, 신분류 등과의 거리의 총합 또는 각 분류 기준에 일정한 가중치를 부여한 거리의 총합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상품의 유사성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지정 서비스업과는 직업 분류 사전 또는 직업 연감 등과 같은 직업 분류 체계와 대응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concept can be extended to other product classification criteria. For example, you can check the distance or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wo products on the basis of HS code, and calculate the total of distances between classifications, new classifications, etc., or the total distances given a certain weight to each classification criteria. The degree of similarity of the product can be determined. Designated services can be matched with a occupational classification system, such as a occupational classification dictionary or occupational yearbook.

상품 분류표/분류표 DB(720-7)의 구분류와 NICE 분류가 있는 경우 특정한 상품의 연결 또는 대응 관계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구분류 상에서의 각종 판례, 심판 등에서 유사 판단한 정보를 NICE 분류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If there is a classification of the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 classification table DB (720-7) and the NICE classification, there may be a connection or correspondence of a specific product. Using this, information similarly judged by various precedents and judgments on the classification can be applied to the NICE classification.

가중치 설정 단계Weight setting step

둘째, 이 경우 또 다른 판례 등에서 이들 양 군의 상품들이 유사하다고 판단 내린 자료가 있는 경우 즉, 군 대 군에서 유사 또는 비유사의 판단에 대해 반대의 판례 등이 있는 경우에는 그 군 대 군의 유사성 판단에 대해 가중치(0~1, 상반되는 판례 또는 판단의 개수를 반영하여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를 설정하는 방법 등이 쓰일 수 있다.Second, in this case, when there is data that the products of these two groups are judged to be similar in another case, that is, when there is a case against the judgment of similar or dissimilarity in the military group, the similarity of the group is determined. For example, a method of setting weights (0 to 1, weights may be set by reflecting the number of conflicting cases or judgments) may be used.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품의 유사 여부에 대하여 판단된 자료가 있는 경우, 1) 그 대비되는 각 상품이 속한 군을 확인하고, 그 양 군에 속해 있는 각각의 상품들에 대하여 판례 등에서 판단한 자료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예를 들어 이불이 속하는 군의 지정 상품이 10개라 하고, 전기 이불이 속하는 군의 지정 상품이 20개라 하면, 10*20개의 상품 군의 조합이 나오며, 판례 등의 판단 자료에서 이들 200개의 상품 쌍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2) 판단 자료가 있는 경우, 유사성을 긍정한 것과 부정한 것의 개수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유사성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예를 든다면 200개의 쌍 중에서 5개의 쌍에 대한 비교 자료가 있는 경우, 그 5개 중에서 1개는 유사성을 긍정하고 4개가 유사성을 부정하는 것이었다면 그 군 대 군의 상품에 대해 유사성의 판단에 0.2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 등이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If there is data judged on the similarity of goods, 1) check the group to which each product is compared, and check whether there is any data judged by precedent etc. for each product belonging to both groups, For example, if there are 10 designated commodities in the group to which the futon belongs, and if there are 20 designated commodities in the group to which the futon belongs, then a combination of 10 * 20 commodity groups will be produced. 2) If there is judgment data, the number of positive and negative similarities can be identified and weighted based on the similarity (for example, 5 out of 200 pairs). If there is a comparison of pairs of dogs, one of the five affirms similarity and four deny the similarity. A method of giving such values.)

상기의 논리를 확장하면 다음과 같다.Expanding the above logic is as follows.

대한민국 상표 심사 기준에 따르면 류가 다르면 유사하지 않다고 보고, 동일 류 내에서 군이 같으면 유사하다고 보아 심사를 진행한다. 다만, 판례 등은 거래 사회의 구체적 실태를 반영하여 일반수요자의 주의력으로 출처의 오인 혼동이 발생하느냐의 여부로 유사 여부를 판단한다는 입장이다.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Korean trademark examination, if the classification is different, they are not similar, and if they are the same within the same classification, they are considered similar. However, the case is judged by the general consumer's attention to reflect the specific status of the trading society to determine the similarity by whether misunderstanding of the source occurs.

이 경우, 1) 같은 분류 체계 하에서의 동일 상위 분류(예를 들면 상품 류구분) 하에서 수평 단계로 존재하는 다른 하위 분류 의 관계를 가지는 경우(예를 들면 류는 동일하고 군이 다른 경우), 2) (지정) 상품과 관련성이 큰 (지정) 서비스업의 관계인 경우, 3) 다른 분류 체계하에서의 양 상품의 경우와 상품과 서비스업의 경우 등에 대해서도 상기의 논리가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1)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subclasses that exist in the horizontal level under the same higher class (for example, classification of goods) under the same classification system (for example, classes are the same and different groups), 2) (3) In the case of a relationship between a (designated) service industry that is highly related to a (designated) product, and 3) the above logic may also apply to the case of both goods under different classification schemes, and in the case of goods and services.

특정한 비교 대상(예를 들면 A 상품군과 a 서비스업군 )의 유사성 여부에 대한 일반적인 규칙을 설정하는 단계와 이 규칙이 얼마나 잘 적용되는가에 대한 분석, 검증 등의 과정을 거쳐서 이 규칙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Establish weights for these rules by setting general rules for similarity between specific comparison targets (e.g., product A and service sector), and analyzing and verifying how well they apply. The steps can be performed.

필요한 DBDB required

상품 유사성 판단(5-2)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DB가 필요하다.The following DB is required for product similarity judgment (5-2).

첫째, 지정 상품 및 지정 서비스업에 대한 DB(구분류, 신분류 DB 포함), HS 코드/코드 DB(720-3) 상의 상품 분류 DB, 상품학상의 상품 분류 DB, 직업 분류 DB 등 상품과 서비스업에 대한 DB가 필요하다. First, to the product and service industry, such as the DB (including classification and new classification DB) for the designated product and the designated service industry, the product classification DB on the HS code / code DB 720-3, the merchandise product classification DB, and the occupation classification DB. DB is required.

둘째, 심사, 심판, 소송 등에서 유사성이 인정되거나, 부정되는 특정한 상품, 상품군 (서비스업, 서비스업 군 및 상품과 서비스업)에 대한 정보가 반영되어 있는 DB이다. 이때, 심사, 심판, 각 단계의 소송 등의 각 판단에 대해 가중치가 다르게 적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대법원 판례에 나타난 판단의 가중치가 심사 단계에 나타난 판단의 가중치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Second, it is a DB that reflects information on a particular product or product group (service industry, service industry, and product and service industry) that are recognized or denied similarity in the examination, judgment, litigation, etc. In this case, weights may be differently applied to each judgment such as an examination, a judgment, and a lawsuit at each stage. In other words, the weight of the judgment shown in the Supreme Court case may be different.

셋째,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200-2)에 관한 DB이다. 본 DB에는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200-2)에 관한 내용과 그 규칙에 반하는 구체적인 실제 예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다. 이들 규칙에는 그 규칙을 적용하는 공식 및 그 규칙의 적용에 대한 가중치가 부여되어 있을 수 있다.Third, it is a DB related to the product similarity judgment rule 200-2. This DB may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200-2 and specific practical examples contrary to the rule. These rules may be weighted for the formulas that apply them and the application of those rules.

첫째의 DB를 최협의 상품 DB가 되고, 첫째와 둘째까지 포함하는 경우 광의의 상품 DB, 상기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최광의의 상품 DB가 된다. 본 명세서의 서술에서 상품 DB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서술의 편의상 최광의 개념으로 상품 DB라는 용어를 사용한다.The first DB is the narrowest product DB, and if the first and second are included, the broadest product DB is the broadest product DB.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oduct DB uses the term product DB as the broadest concept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without special mention.

상품 유사성 판단(5-2) 프로세서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5-2) Processor

상품 유사성 판단(5-2)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The product similarity judgment (5-2) method is as follows.

기본적 과정Basic course

첫째, 상품의 특정 과정이다. 통상의 상표 출원의 경우에는 지정 상품의 지정 과정이 이에 해당되나, 굳이 출원을 전제하지 않아도 상품의 특정은 가능하게 된다. 상품의 특정을 위한 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First is the specific process of goods. In the case of a normal trademark application, the designation process of the designated product corresponds to this, but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product without presuming the application. The methods for specifying the goods can be largely as follows.

상품 분류표/분류표 DB(720-7)를 본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류-군-상품 세목 등으로 순서를 밟아 가면서 상품을 특정하는 방법이다.It provides a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 classification table DB (720-7) to the user of this system to specify the product while going through the order, such as class-gun-product details.

2) 키워드나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입력하게 하고, 이와 최적으로 매칭(matching)되는 상품을 단수 또는 복수 개 또는 그 상품이 속하는 상품류, 상품 군을 단수 또는 복수 개 보여 주어 사용자의 최종 선택을 입력 받는 방법이다.2) Enter a keyword or a product desired by the user, and display the singular or plural products or the product or group of products to which the product is optimally matched and input the final selection of the user. How to receive.

3) 상품 분류표/분류표 DB(720-7)와는 다른 상품 분류표/분류표 DB(720-7)를 제공해 주고(가령 HS 코드/코드 DB(720-3) 분류표 등) 이 분류표와 상품 분류표/분류표 DB(720-7)를 매칭시키는 방법으로 상품을 특정할 수 있다.3) Provide a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 classification table DB (720-7) different from the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 classification table DB (720-7) (for example, HS code / code DB (720-3) classification table, etc.) The product may be specified by matching the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 classification table DB 720-7 with the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둘째, 특정된 상품을 상품 유사성 판단 엔진(200-1)에 문의한다. 이 문의 과정은 개개 상품의 특정 과정에서 일어날 수도 있지만, 모든 상품이 특정되고 난 다음에 일어날 수도 있다. 상품 유사성 판단 엔진(200-1)은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200-2)에 관한 DB에 문의하여, 그 특정된 상품과 동일성 또는 유사성인 인정되는 상품 또는 관련 서비스업을 검색한다. 이 과정은 상표 유사성 판단(5-1)과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행하여 질 수 있다. 즉, 상품의 특정 순간에 이미 또는 그 이전에 상표 유사성 판단(5-1)을 먼저 해 놓고 그 유사성이 인정되는 상표에 대하여 그 상표의 지정 상품의 범위 내에서 상품 유사성 판단(5-2)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품의 유사성 판단에 선행하여 상표의 유사성 판단이 있을 수 있지만, 상품의 유사성 판단을 먼저 할 수도 있다.Second, the specified product is referred to the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engine 200-1. This inquiry process may occur during the specific process of an individual product, but may also occur after all products have been specified. The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engine 200-1 queries the DB regarding the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200-2, and searches for a recognized product or related service business that is identical or similar to the specified product. This process can be done together with or independently of the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5-1. That is, a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5-1) is made before or at a specific moment of the product first, and a product similarity judgment (5-2) is performed within a range of the designated product of the trademark for a trademark whose similarity is recognized. You may. In addition, although there may be a similarity determination of the trademark prior to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of the merchandise,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of the merchandise may be performed first.

셋째,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200-2)에 의거하여 상품 DB를 조회하여 특정된 상품의 유사성을 판단한다. Third, the product DB is queried based on the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200-2 to determine the similarity of the specified product.

확장 과정Extension process

상품의 특정 과정에서 각종 추천이 일어날 수 있다. 추천이란 사용자가 상품을 1개 또는 복수 개 선택했을 경우, 유사 상품, 관련된 상품 또는 지정 서비스업을 사용자에게 추천해 줄 수 있다. 추천의 기준은 1)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유사 범위에 있는 각종 지정 상품 또는 지정 서비스업, 2) 그 상품을 선택한 자들이 다른 어떤 상품이나 지정 서비스업을 선택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반영한 지정 상품 또는 지정 서비스업이다. Various recommendations may occur in the specific process of the product. When the user selects one or more products, the recommendation may recommend similar products, related products, or designated service businesses to the user. The criteria for recommendation are: 1) various designated goods or designated services within similar ranges of the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and 2) designated goods or designated services, reflecting information on which other products or designated services are selected by those who select the product. .

상표와 상품의 유사성 판단 규칙의 형성 및 갱신 과정Formation and Renewal Process of Rules for Determining Similarity between Trademark and Product

상표와 상품의 유사성 판단 규칙의 형성 및 갱신 과정을 도 4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forming and updating the rule of similarity between the trademark and the produ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첫째, 유사 상표집/유사 상표 DB(710-4) 또는 유사 상표 관련 각종 DB(710-4a)를 바탕으로 하여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을 추출(4-2)하거나,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을 입력(4-1)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의 가중치가 설정된다.(4-3) 이는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 DB를 형성한다.(4-4)First, a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rule is extracted (4-2) based on a similar trademark collection / similar trademark DB (710-4) or various DBs related to similar trademarks (710-4a) or a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rule is input (4). The weight of the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rule is set in the manner of processing by -1). (4-3) This forms the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rule DB. (4-4)

둘째, 유사 상품집/유사 상품 DB(720-5) 또는 유사 상품 관련 각종 DB(720-5a)를 바탕으로 하여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을 추출(4-6)하거나,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을 입력(4-5)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의 가중치가 설정된다.(4-7) 이는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 DB를 형성한다.(4-8)Second, the product similarity judgment rule is extracted based on the similar product collection / similar product DB 720-5 or the various DBs related to the similar product 720-4a (4-6), or the product similarity judgment rule is input (4). The weight of the product similarity judgment rule is set in such a manner as to process the product similarity rule. (4-7) This forms a product similarity judgment rule DB. (4-8)

셋째, 이 규칙을 갱신 엔진에 입력한다. 이 때 갱신 엔진에는 심사/심결/판례 자료(4-10), 특허청 공고 자료(4-11), 거절 결정된 자료(4-12) 또는/및 기타 자료(4-13)이 입력된다. 갱신 엔진은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선택적으로 갱신된 가중치를 포함하는) 갱신된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 DB(760), 갱신된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 DB(770)을 생성하며, 상표 DB, 상품 DB등 기타 관련 DB를 갱신한다.Third, enter this rule into the update engine. At this time, the update engine enters the examination / decision / preceding data (4-10), the JPO announcement data (4-11), the rejected data (4-12) or / and other data (4-13). Based on these data, the update engine generates an updated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rule DB 760 (including an optionally updated weight) and an updated product similarity judgment rule DB 770, and includes a trademark DB, a product DB, and the like. Update other related DBs.

유사성 판단 프로세서Similarity Determination Processor

유사성 판단 프로세서는 다음과 같다.The similarity determination processor is as follows.

상표/상품 입력 단계(2-1)Trademark / Product Entry Steps (2-1)

상표와 상품을 입력(2-2)한다. 입력은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다.Enter your trademark and merchandise (2-2). There are two ways to input.

첫째는 사람이 직접 입력하는 것이다. 사람은 도형 등이 결합된 상표에서 그 상표의 칭호 등을 문자로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되는 방식은 하나의 상표에 대해서 여러 가지가 존재할 수 있으며, 그 각각에 대하여 유효한 입력으로 보고 판단한다.The first is that human input. A person may enter a title or the like of the trademark in letters in a trademark in which figures and the like are combined. In this case, there may be several ways of inputting one trademark, and each of them is determined to be a valid input.

둘째, DB에서 읽어 들여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문자 부분에 대한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대한민국 특허청이 제공하는 DB에는 상표의 이미지 자료와 연계하여 문자 부분에 대한 정보가 있다.)에는 그 문자 부분을 자동으로 받아들여 입력하고, 없는 경우에는 상표 이미지 자료로부터 OCR(광학문자인식)의 방법을 통하여 문자 부분을 인식할 수 있다.Second, it reads from DB and inputs automatically. In this case, if the information on the character part is added (the DB provided b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has information on the character part in connection with the image data of the trademark), the character part is automatically accepted and entered. The letter portion can be recognized from the trademark image data through the method of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처리 단계(2-3)Processing step (2-3)

유사성 판단은 크게 상품 유사성 판단(5-2)과 상표 유사성 판단(5-1)이 있으므로, 이들을 동시에 처리하거나, 둘 중에서 어느 하나를 먼저 판단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양자는 내부적 처리의 순서만이 다를 뿐으로, 외부적으로 관찰되는 결과는 동일할 수 있다. 통상 지정 상품은 지정 상품 목록에서 지정되는 경우가 많고, 심사 기준 상 일괄적인 처리 규정(특허청 심사 기준에 있는 류가 다르면 비유사 상품으로, 군이 동일하면 유사상품으로 추정하여 처리하는 것 등)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품 유사성 판단(5-2)을 먼저 하는 것이 자료 처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이와는 반대 순서로 상표의 유사성에 대한 검색을 먼저하고 상품의 유사성을 검색하는 방법이 있다. 이하 분설한다.Similarity judgment is largely a product similarity judgment (5-2) and a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5-1), so they can be processed at the same time, or a method of judging either one first. Both differ only in the order of internal processing, and the results observed externally may be identical. Usually, designated products are often designated from the list of designated products, and the batch processing regulations (such as non-like products if the classification in the JPO's examination criteria are different, and presumed to be similar products if the groups are the same) Since there may be cases, making the product similarity judgment 5-2 first can reduce the amount of data processing. On the contrary, there is a method of searching for similarity of trademarks first and searching for similarity of goods. Powder it below.

일방 문제와 쌍방 문제Unilateral and bilateral

하나의 상표에 대해서 불특정 다수(주로 DB)의 상표와 비교하여 유사 판단, 등록 가능성 판단을 하는 것을 일방 문제라 한다. 주로, 출원, 심사, 이의신청, 무효 심판 등에서 문제시 된다. 이에 대해 쌍방 문제란 하나의 상표를 특정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표와 비교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 일방 문제를 기준으로 서술한다.It is called one-sided problem to judge similarity and possibility of registration in comparison with a trademark of an unspecified majority (mainly DB) about one trademark. This is mainly a matter of application, examination, objection or invalidity judgment. In this regard, both problems refer to the comparison of one trademark with one or more specified trademarks. Hereinafter, it describes based on one problem.

상품 우선 처리 과정(상품 가공 과정(2-3))Product priority processing (product processing process (2-3))

첫째, 대상 상표와 특정된 지정 상품을 읽어 들이는 단계이다. 다수의 지정 상품이 있는 경우는 개개의 상품에 대해서 상기 및 후술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그 지정 상품을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와 대조한다. 그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에 있는 상품인 경우에는 그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의 상품과 동일성을 확인하고, 없는 상품인 경우에는 상품류 구분표에서 최근접 하는 상품을 찾아 내는 “법정 지정 상품화 과정”을 거친다.The first step is to read the target trademark and the specified designated produc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esignated products, the above and subsequent steps are repeated for each product. The designated product is compared with the product classification / division table DB 720-1. If the product is in the product classification / classification table DB 720-1, check the identity with the product in the product classification / classification table DB 720-1. It goes through a "statute-designated commodification process" to find the nearest product.

둘째, 그 특정한 지정 상품 또는 법정 지정 상품화 과정을 거친 지정 상품과 유사성이 인정되는 상품 인정되는 상품들을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에서 확정한다.Second, a product that is recognized similarity with a specific designated product or a designated product that has undergone a legally designated commercialization process is determined in the product classification / division table DB 720-1.

셋째, 유사성이 인정되는 상품들에 대하여 상품 DB를 검색한다. 여기에서 상품 DB란 특허청에 기인한 것으로 출원 공개 중 또는 등록된 상표(또는 등록 후 소멸된 지 1년이 되지 않은 상표(이는 대한민국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8호 때문임)와 그 상표의 지정 상품을 관계 지어 저장해 놓은 DB를 말한다. 그 DB가 특허청의 내부에 있든지 외부에 있든 지를 불문한다. 검색을 통하여 유사성이 인정되는 그 각각의 상품에 대하여 그 상품을 지정 상품으로 하고 있는 기존의 상표를 추출해 낸다. 이 과정을 거치면 유사성이 인정되는 상품에 대하여 그 각각의 상품과 상표를 구성요소로 하는 “기존 상표 쌍”이 만들어 진다.Third, the product DB is searched for products that are recognized for similarity. Here, the product DB is due to the Office of Patent and Trademarks, which are trademarks that have been disclosed or registered (or which have not expired after one year of registration) (due to Article 7, paragraph 1, 8 of the Korean Trademark Act) and their trademarks. It refers to a database in which a designated product is stored in relation to it, whether the DB is inside or outside the KIPO. Extraction of Trademarks This process creates “existing pairs of trademarks”, each of which is a component of a product and a trademark for which similarity is recognized.

넷째, 대상 상표와 기존 상표의 유사성에 대해서 상표 유사성 판단 시스템(100/1-1)을 통해서 판단한다. 상품의 유사성은 이미 판단된 상태이므로, 상표의 유사성만이 문제시 된다.Fourth, the similarity between the target trademark and the existing trademark is determined through the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100 / 1-1. Since the similarity of the goods has already been determined, only the similarities of the trademarks matter.

다섯째, 결과를 취합한다. 대상 상표와 기존 상표 쌍 전부에 대하여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유사성 판단 시스템(300/1-1)의 처리 방식에 따라 DB에 저장한다. 기존 상표 쌍 중 단 하나 만에 대해서도 유사한 경우 유사하다는 결과를 출력해야 하며, 유사성의 판단이 일정한 수준을 넘는 경우(내부적 기준이 70%라면 그 판단된 유사성의 정도가 70%를 넘는 경우) 그 수준을 넘는 모든 자료에 대하여 유사성이 높은 것부터 출력해 줄 수 있다. Fifth, collect the results. The target trademark is compared with all existing trademark pairs, and the comparison result is stored in the DB according to the processing method of the similarity judgment system 300 / 1-1. If only one of the existing trademark pairs is similar, the result should be similar, and if the judgment of similarity is above a certain level (if the internal standard is 70%, the determined degree of similarity is above 70%). For all data that exceed, you can print from the one with the highest similarity.

상표 우선 처리 과정Brand Priority Process

첫째, 대상 상표와 특정된 지정 상품을 읽어 들이는 단계이다.The first step is to read the target trademark and the specified designated product.

둘째, 대상 상표와 유사성이 인정되는 상표들을 상표 DB에서 추출해 낸다. 이때 유사성의 정도가 높은 상표부터 배열할 수 있다.Second, trademarks that are recognized for similarity with the target trademark are extracted from the trademark DB. At this time, it can be arranged from a trademark having a high degree of similarity.

셋째, 유사성이 인정되는 상표들에 대하여 그 상표들의 지정 상품을 추출한다. 유사성이 인정되는 상표에 대하여 그 각각의 상품과 상표를 구성요소로 하는 “기존 상표 쌍”이 만들어 진다.Third, the designated products of the trademarks are extracted for the trademarks that are recognized for similarity. For trademarks that are recognized for similarity, "existing pairs of trademarks" are created, each of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oduct and trademark.

넷째, 대상 상표의 지정 상품과 상품의 유사성 판단을 상품 유사성 판단 시스템(200/1-1)을 통해서 판단한다. 상표의 유사성은 이미 판단된 상태이므로, 상품의 유사성만이 문제시 된다.Fourth, the similarity judgment between the designated product of the target trademark and the product is determined through the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200 / 1-1. Since the similarity of the trademark has already been determined, only the similarity of the product matters.

다섯째, 결과를 취합한다. 대상 상표의 지정 상품과 기존 상표의 지정 상품 전부에 대하여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유사성 판단 시스템(300/1-1)의 처리 방식에 따라 DB에 저장한다. 기존 상표 쌍 중 단 하나 만에 대해서도 유사한 경우 유사하다는 결과를 출력해야 하며, 유사성의 판단이 일정한 수준을 넘는 경우(내부적 기준이 70%라면 그 판단된 유사성의 정도가 70%를 넘는 경우) 그 수준을 넘는 모든 자료에 대하여 유사성이 높은 것부터 출력해 줄 수 있다.Fifth, collect the results. The designated product of the target trademark is compared with all the designated products of the existing trademark, and the comparison result is stored in the DB according to the processing method of the similarity judgment system 300 / 1-1. If only one of the existing trademark pairs is similar, the result should be similar, and if the judgment of similarity is above a certain level (if the internal standard is 70%, the determined degree of similarity is above 70%). For all data that exceed, you can print from the one with the highest similarity.

기타 문제Miscellaneous issue

출원인의 동일성 여부Applicant's identity

출원인이 동일한 경우에는 1상표 1출원주의의 문제가 아닌 한 유사성의 판단은 불필요하다. 그러므로, 상표의 유사 검색에서 출원인 또는 권리자에 대한 정보가 처음부터 문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별론으로 하고, 출원인 또는 권리자가 특정되어 있는 경우 유사성 판단 자료에서 출원인이 동일한 경우는 제외하고 상기의 처리 과정을 진행한다.If the applicants are the same, the determination of similarity is unnecessary unless it is a matter of trademark 1 application. Therefore, if the information on the applicant or the owner is not a problem from the beginning in the similarity search of the trademark, the process is described separately.If the applicant or the owner is specified, the above processing is performed except when the applicant is the same in the similarity judgment data do.

다수의 지정 상품이 있는 경우When there are a lot of designated products

다수의 지정 상품이 있는 경우 논리적으로는 하나의 지정 상품이 있는 경우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나, 몇몇 특정한 상황하에서는 처리의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이를 위해서 지정 상품이 복수개인 경우 그 지정 상품이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에서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가 및 그 배치의 속성(동일류의 동일군인가 등)을 판단할 수 있다.When there are a number of designated products, they are logically essentially the same as when there is a designated product, but under some specific circumstances there are ways to speed up the processing. To this e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esignated product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re the designated products are arranged in the product classification / division table DB 720-1 and the attributes (such as the same group of the same class) of the arrangement.

첫째, 특허청 등에서 내부적인 심사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지정 상품의 유사성이 인정되는 최소 그룹 단위의 처리이다. 즉, 지정 상품이 동일한 최소 그룹 단위에 속하는 경우, 그 최소 그룹 단위를 하나의 상품처럼 취급하여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다.First, it is the processing of the smallest group unit where the similarity of the designated product, which is the basis of internal examination by the KIPO, is recognized. That is, when the designated product belongs to the same minimum group unit, the minimum group unit can be treated as one product and processed at once.

둘째, 지정 상품들의 최소 그룹 단위가 다른 경우에는 그 최소 그룹 단위별로 전술한 첫 번째 과정을 진행한다.Second, if the minimum group units of the designated products are different, the first proces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for each of the minimum group units.

법정 지정 상품화 과정Statutory Commercialization Process

법정 지정 상품화 과정이란, 출원인 등이 법정된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에 있는 상품을 특정한 것이 아니라, 임의로 자신의 지정 상품을 입력하는 경우, 이 상품을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에 있는 법정된 지정 상품으로 바꾸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은 대한민국 상표법 제10조 제1항과 관련되어 있으며, 제 외국의 상표법 중에서 동일 취지의 규정이 있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이 과정은 출원인 등이 네트워크(1000) 상에서 상표를 검색하거나, 출원 과정에서 다수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에서 상품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지정 상품을 특정하는 것(선택 방식)이 아니라, 출원인 등이 스스로 지정 상품을 입력하는 경우에 지정 상품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더욱 유용하다.The court-designated merchandising process refers to a merchandise classification / delimitation table when an applicant or the like inputs his / her designated product arbitrarily, rather than specifying a product in a legal merchandise classification / delimitation table DB 720-1. It refers to a process of changing to a statutory designated product in the DB 720-1. This process is related to Article 10, paragraph 1 of the Korean Trademark Act and applies even if the foreign trademark law has the same purpose. This process may occur during the filing process, or the applicant may search for a trademark on the network 1000. In particular, instead of specifying the designated product by selecting a product in the product classification / division table DB 720-1 (selection method), the applicant automatically inputs the designated product when the applicant inputs the designated product. More useful in the extraction process.

첫째, 출원인 등이 입력한 지정한 상품이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 상의 상품인 지를 확인한다.First, it is checked whether the designated product inputted by the applicant or the like is a product on the product classification / division table DB 720-1.

둘째,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 상의 상품이 아닌 경우, 출원인 등이 입력한 상품과 최근접 한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 상의 상품을 찾는다. 찾는 방법은 1) 상품 DB 또는 상품학 사전에서 입력한 상품이 위치하는 곳을 찾아 내고, 그 위치하는 곳의 상위 카테고리의 상품 분류나 그와 동등한 카테고리 내에 있는 다른 상품과 동일, 유사 또는 공통된 부분이 특정한 기준 이상이 되는 상품을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에서 찾는다. 2) 출원인이 입력한 상품이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 상의 지정 상품의 상위 개념일 경우에는(가령 “신발”은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 상에는 존재하지 않고, 그 대신 축구화, 테니스화 등의 구체적인 하부 카테고리 상품이 있다.) 상품 DB 또는 상품학 사전 상에서 출원인이 입력한 상품을 상위 분류로 하는 카테고리를 찾아 내고, 그 카테고리 내의 상품들과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 상의 상품과 대조시키거나, 그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를 출원인 등에게 제시한다.Second, if the product is not on the merchandise classification / classification table DB 720-1, the merchandise entered by the applicant, etc. and the nearest merchandise on the merchandise classification / classification table DB 720-1 are searched for. The method of finding is to find the place where the inputted product is located in the product DB or the product science dictionary, and the same, similar or common part is identified with the product category of the upper category of the place where the product is located or other products in the equivalent category. The product which is higher than the standard is searched in the product classification / classification table DB 720-1. 2) If the product entered by the applicant is a higher concept of the designated product on the merchandise classification / classification table DB 720-1 (for example, "shoes" is not present on the merchandise classification / classification table DB 720-1). Instead, there are specific sub-category products such as soccer shoes, tennis shoes, etc.) Finding a category with a higher classification of the product entered by the applicant in the product DB or the product science dictionary, and classifying / dividing the products within the category with the products Contrast with the goods on the table DB 720-1, or present the product classification / division table DB 720-1 to the applicant or the like.

셋째, 출원인이 지정 상품을 선택하고 확인하는 단계이다. Third, the applicant selects and confirms the designated product.

결과 출력 단계(300-4)Result output step (300-4)

유사성 판단의 표현Representation of Similarity Judgment

상표의 유사성은 상품의 유사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상표와 지정 상품이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유사성 판단 과정을 진행한다. 문제시되는 양 상표가 오인 혼동의 가능성이 있기 위해서는 상표가 동일 유사하고, 상품이 동일 유사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유사성 판단에 대한 판단의 자료 구조 또는 그 자료 구조가 드러나는 방식 또는 그 자료 구조를 창출하기 위한 유사성 판단의 처리 및 그 처리의 결과를 표현하는 1, 2, 3 또는 N차원 매트릭스(matrix, 행렬)를 생각할 수 있다.Since the similarity between trademarks is closely related to the similarity between products, if there is a trademark and a designated product,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process proceeds as follows. In order to be confused with both trademarks in question, the trademarks must be similar and similar. Therefore, one, two, three, or N-dimensional matrices expressing the data structure of the judgment on the similarity judgment or the manner in which the data structure is revealed or the processing of the similarity judgment to create the data structure and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 Can be thought of.

1차원 매트릭스1-dimensional matrix

1차원 매트릭스란 상표 또는 상품 중 어느 하나만의 유사성 여부만을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즉, 문제시되는 상표나 상품이 있는 경우, 이 상표나 상품과 가장 유사한 상표나 상품부터 유사성이 떨어지는 상표나 상품을 논리적 차원에서 1열로 배열할 수 있다. 각각의 배열을 구성하는 요소에는 유사성에 대한 근거 자료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The one-dimensional matrix refers to determining only the similarity of only one of the trademark or the product. In other words, if there is a trademark or product in question, the trademark or product that is most similar to the trademark or product may be arranged in one column on a logical level. The elements that make up each array may contain evidence of similarity.

근거 자료에는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유사성 판단 규칙, 규칙에 대한 예외의 적용 여부 및 그 예외와 관련된 판례 등의 자료, 각종 통계값 기타 유사성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각종 부가 자료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 근거 자료에 대한 사용자의 출력 요청이 있는 경우, 이 근거 자료를 리포트 형식으로 사용자에게 별도로 출력해 줄 수 있다. Evidence data may include essential similarity judgment rules, whether or not exceptions are applied to the rules, precedents related to the exceptions, and various additional data that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various statistical values and similarities. In addition, when a user requests a printout of the evidence, the evidence may be separately output to the user in a report form.

2차원 매트릭스Two-dimensional matrix

2차원 매트릭스는 상표와 상품의 유사성을 동시에 파악하는 전체적인 유사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맨 좌측 맨 위에는 문제시되는 특정 상표와 가장 유사한 상표 및 그 지정 상품과 가장 유사한 지정 상품이, 맨 우측 맨 밑에는 그 반대가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그 사이에는 각 축의 속성에 따라 유사성이 큰 것부터 작은 것으로 배열이 나올 수 있다.) 이 각각의 배열을 구성하는 요소에는 유사성 판단에 대한 근거 자료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The two-dimensional matrix refers to determining overall similarity that simultaneously identifies similarities between trademark and product. At the top left, there may be the trademarks most similar to the particular trademark in question, and the designated products most similar to the designated goods, and vice versa, arranged at the bottom right of the right. Small arrays can result in arrays.) The elements that make up each array can be combined with supporting evidence for similarity judgments.

3차원 매트릭스3D Matrix

3차원 매트릭스는 상품과 지정 서비스업의 견련성 또는 관계성이 문제시될 때 사용될 수 있다. 즉, 특정한 지정 상품이 다른 상품과의 유사성의 문제를 포함하여, 특정한 지정 서비스업과의 밀접한 견련성을 가지는 경우 그 지정 서비스업과의 유사성 여부도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높이 방향의 개념 축이 들어간 3차원적인 유사성 파악이 필요하게 된다.Three-dimensional matrices can be used when there is a question of the tightness or relationship of goods and services. That is, when a specific designated produc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a specific designated service industry, including a similarity problem with another product, the similarity with the designated service industry needs to be considered toget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three-dimensional similarity with the concept axis in the height direction.

n차원 매트릭스n-dimensional matrix

상품 분류 기준(서비스업 분류 기준)이 다른 것을 사용하거나, 상표나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200-2)의 특정한 일부만을 적용하거나, 규칙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각 규칙의 가중치를 변경하면서 유사성을 판단하는 경우에는 3차원 이상의 매트릭스가 필요하게 된다. 다만, 이 경우에도 논리적인 처리 방법은 상기와 동일하다.In case of using different product classification criteria (service industry classification criteria), applying only a specific part of the trademark or product similarity judgment rule 200-2, or determining the similarity by changing the weight of each rule in some or all of the rules. The matrix requires three or more dimensions. In this case, however, the logical processing method is the same as above.

종합적 판단 표현Comprehensive judgment expression

상기의 각 차원 매트릭스 표현에서 상표와 상품에 대한 유사성의 종합적 판단 결과를 유사한 정도의 순서로 종합적으로 표현 가능하다. 이 종합적 표현에는 유사함에 대한 수치적(80% 유사 등) 또는 단계적 표현(동일, 아주 유사, 상당히 유사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각 표현에 출원인 등이 클릭 등의 작용을 하면 그 판단의 근거 자료를 출력해 줄 수 있다. 또한, 비교 대상의 상대방 상표에 대한 정보도 그 상대방 상표를 표시하는 일체의 표현 수단(그 상표 이미지 자체, 그 상표에 대한 고유 번호(출원번호, 일련번호, 등록번호 등), 기타 그 상표와 1:1 대응하는 임의의 수단)에 클릭 등의 작용을 하는 경우 그 상표에 대한 일체의 정보를 DB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해 줄 수 있다.In the above dimensional matrix representations,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judgment of the similarity between the trademark and the product can be collectively expressed in the order of similarity. There may be numerical (80% similar, etc.) or gradual expressions (identical, very similar, highly similar, etc.) of similarity in this comprehensive expression. Can print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n the counterpart trademark to be compared also includes any expression means for displaying the counterpart trademark (the trademark image itself, a unique number (application number, serial number, registration number, etc.) for the trademark, and other trademarks thereof. : 1 In the case of acting as a click on any corresponding means), any information on the trademark can be extracted from the DB and output.

보고서 작성 시스템(300-5)Report Writing System (300-5)

유사성 판단 결과의 보고서 작성 시스템은 유사성 판단 결과의 출력을 어떻게 표현해 주는 것과 관련된 일체의 시스템이다. 지정 상품이 1개이면 상기와 같이 표현해 주면 되고, 2개 이상의 지정 상품이 선택된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결과를 출력해 줄 수 있다.The reporting system of the similarity judgment result is any system related to how the output of the similarity judgment result is expressed. If there is only one designated product, it can be expressed as above. If two or more designated products are selected, the result can be output as follows.

첫째, 유사성에 대한 종합적 판단 결과 유사성이 낮은 것부터 차례로 출력해 줄 수 있다.First, as a result of comprehensive judgment on the similarity, the similarity can be output in descending order.

둘째, 유사성 여부 판단의 근거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의 요구 또는 디폴트로 출력해 줄 수 있다. 유사성 판단 엔진은 각 유사성 판단 규칙의 적용 과정에서 그 규칙이 입력되는 상표 및 상품에 얼마나 잘 적용되는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정리하여 제시해 줄 수 있다. Second, the result of the basis of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can be output as the user's request or default.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engine may present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how well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is applied to the trademarks and products to be input during the application of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rule.

셋째, 유사성이 일정 정도 이상 인정되는 기존 상표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해 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1) 출원번호, 등록번호 등 임의의 고유 식별자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특허청의 DB에 문의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거나, 2) 기존 상표에 대한 정보가 상표 DB 등에 있는 경우 이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2)번의 경우 상표 DB의 내용과 특허청의 내용이 다를 수 있으므로, 특허청 DB에 문의하여 확인 후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Third, if there is an existing trademark that the similarity is recognized to a certain degree or more, information about this can be presented to the user. To this end, 1) an arbitrary number of unique identifiers such as an application number and registration number can be used to inquire in real time to the DB of the KIPO, or 2) if information on an existing trademark is found in a trademark DB, th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from this. Can provide. In the case of 2), the contents of the trademark DB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JPO, so it may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after checking with the JPO DB.

상표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400/1-1)Trademark Registration Possibilities Determination System (400 / 1-1)

개념과 필요성Concept and Necessity

특정한 상표 등록 출원에 대하여 등록 요건의 충족 여부를 컴퓨터 기술로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심사하여 등록 가능성에 대한 판단 및 그 판단에 대한 근거 정보를 제공해 주는 시스템을 상표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400/1-1)이라 한다.A trademark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system (400 / 1-1) that provides a system for automatically and semi-automatically examining whether or not a registration requirement is satisfied for a particular trademark registration application by providing a judgment on the possibility of registration and the basis for the determination. This is called.

대한민국 특허청에서 상표 등록 출원 대비 상표 등록율이 약 30%에 불과하며(1999년 통계), 약 70%의 상표 등록 출원 중 상당한 출원이 등록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출원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Korean Patent Office, the trademark registration rate is only about 30% compared to the trademark registration application (1999 statistics), and about 70% of the trademark registration applications are filed with a considerable number of applications that do not meet the registration requirements.

상표 등록 요건의 판단은 고도의 법률적 판단이며, 판단자의 주관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본 발명은 그들의 판단에 대한 근거 자료 내지 반박 근거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법률 일반에 대한 전문 지식이 부족한 사용자들 수준에서 검색의 편리성을 도와주며, 등록 여부가 아닌 등록 가능성에 대한 1차적 또는2차적 판단을 해 주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해 준다.The judgment of trademark registration requirements is a high level legal judgment and cannot be ruled out by the judg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provide evidence or refusal evidence for their judgment, but also help the convenience of searching at the level of users who lack expertise in general law, Make a first or second judgment about this, saving you time and money.

상표 등록 요건은 각국의 법제마다 다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상표법을 기준으로 기술하되, 각국이 다른 법제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본질적으로 등록 요건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표와 지정 상품의 유사판단은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기술한다. 즉, 각국의 상표법은 아래에서 기술하는 상표 등록 요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국의 법제하에서는 다음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상표의 등록 가능성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Trademark registration requirements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the trademark law of Korea and Japan, and even if each country has a different legislation, essentially including similar judgments of trademarks and designated products constituting a part of the registration requirements. That is, each country's trademark law includes some or all of the trademark registration requirements described below. Under the laws of each country, some or all of the following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trademark registration.

상표 등록 가능성 판단 프로세서(400/1-1)Trademark Registration Probability Determination Processor (400 / 1-1)

도 5와 도 6을 중심으로 유사 판단/등록 가능성 판단 과정을 설명하면 간단히 다음과 같다.The similarity determination / registration determin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첫째, 상표/상품의 입력(2-2)과정과 상표/상품의 가공(2-3)이 있다. 이에 상표 유사성 판단(5-1), 상품 유사성 판단(5-2)과 그 판단 결과를 보고서로 작성(5-3)한다.First, there is a process of inputting a trademark / good (2-2) and processing of a trademark / good (2-3). In this regard, a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5-1), a product similarity judgment (5-2), and a result of the judgment are prepared in a report (5-3).

둘째, 첫째 과정과는 독립적으로 등록 가능성 판단(5-4)과정을 수행하고, 등록 가능성 판단 보고서를 작성(5-5)할 수도 있다. Second, independent of the first proces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process (5-4) and to prepare a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report (5-5).

셋째, 보고서가 출력(5-6)되고, 이 보고서를 전송하고, 그 전송 받은 자로부터의 출원 의사를 수신(5-7)하면 온라인 전자 출원 과정(5-8)/(530)이 진행될 수 있다.Third, when the report is output (5-6), the report is transmitted and the application intention from the recipient (5-7) is received, the online electronic filing process (5-8) / (530) can proceed. have.

도 6은 등록 가능성 판단 프로세서에 대한 개념 흐름도이다.6 is a conceptual flowchart for a registerability determination processor.

첫째, 상표/지정 상품의 입력(2-2)하고, 상표/상품에 대한 가공(2-3)이 있다.First, there is input of a trademark / designated product (2-2), and processing for the trademark / product (2-3).

둘째, 첫 번째 등록 요건에 대한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11-1)에 상표/상품이 입력되고, 판단 엔진은 첫 번째 등록 요건에 대한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규칙 DB (11-3) 및 첫 번째 등록 요건에 대한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자료 DB(11-2)을 활용하여 첫 번째 등록 요건에 의한 등록 가능성 여부 판단 (11-4)하고, 판단 근거 보고서 작성(11-5)한다.Second, a trademark / product is entered into the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engine 11-1 for the first registration requirement, and the determination engine determines the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rule DB (11-3) and the first registration for the first registration requirement. Using the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judgment data DB (11-2) on the requirements, it is determined whether registration is possible by the first registration requirement (11-4), and a judgment basis report is prepared (11-5).

둘째, 2번째 부터 최종 등록 요건에 대한 상기의 첫 번째 판단 과정 수행(11-6)한다.Second, perform the first decision process (11-6) above for final registration requirements from the second.

셋째, 각 등록 요건별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에나 나온 결과 종합(11-7)하여, 등록 가능성 여부 종합적 판단(11-8)하고, 판단 근거 보고서 작성(11-9)하며, 이 결과를 출력(11-10)한다. Third, the results of the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engines for each registration requirement are synthesized (11-7), the comprehensive judgment on whether registration is possible (11-8), the judgment basis report preparation (11-9), and the results are output ( 11-10).

이하, 상술한다.This will be described below.

구성Configuration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7 is as follows.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400/1-1)은 크게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400-1), 등록 가능성 판단 DB(400-2)(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규칙 DB(400-2)) 및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자료 DB(400-2a~400-2n)) 및 보고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표의 등록 요건은 복수 개 있으므로(상표법은 광의로는 거절 이유가 아니어야 하며, 협의로는 상표법 제 6조, 제7조, 제8조의 요건들) 그 각 요건들을 판단하는 세부 엔진들도 복수 개 있어야 한다.The registerability determination system 400 / 1-1 is largely divided into a registerability determination engine 400-1, a registerability determination DB 400-2 (detail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rule DB 400-2), and a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Data DB (400-2a ~ 400-2n)) and reporting system. Since there are a plurality of trademark registration requirements (trademark law should not be the reason for rejection in a broad sense, and in consultation the requirements of Articles 6, 7, and 8 of the Trademark Law), there are also a number of detailed engines that judge the requirements. There should be dogs.

이 시스템은 물론, 상표/상품의 입력 과정(2-1), 상표/상품의 입력(2-2), 상표/상품의 가공(2-2)을 포함하여야 하며, 상표 DB(700), 판단 결과 출력 시스템(300-4), 보고서 작성 시스템(300-5)가 있으며, 온라인 전자 출원 시스템(300-6)이 결합할 수 있다.This system should, of course, include the trademark / goods entry process (2-1), trademark / goods entry (2-2), trademark / goods processing (2-2), trademark DB (700), judgment There is a result output system 300-4, a report preparation system 300-5, and an online electronic filing system 300-6 may combine.

외부의 제 3자가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400/1-1)에 접근할 수 있는데 이때, 외부와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400/1-1)은 1)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400/1-1)이 존재하는 서버, 2) 적어도 1개 이상의 사용자(출원인, 고객, 회원 등) 단말기, 3)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1000)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An external third party may access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system 400 / 1-1, whereby the external an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system 400 / 1-1 may be: 1)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system 400 / 1-1. This server consists of 2) at least one user (applicant, customer, member, etc.) terminal, 3) a network 1000 system connecting them.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400-1)Registerability Determination Engine 400-1

각국의 상표법 상의 상표의 등록 요건을 판단하는 엔진을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400-1)이라 한다. 이 엔진은 각 세부적인 등록 요건을 판단하는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400-1a~400-1n) 및 이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400-1a~400-1n)에서 나온 결과를 종합하여 처리하는 엔진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engine that determines the registration requirements of the trademarks in each country's trademark law is called a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engine 400-1. This engine combines and processes the results from the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engine 400-1a to 400-1n and each of the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engines 400-1a to 400-1n to determine each detailed registration requirement. It consists of.

필터링과 DBDB with filtering

필터링(filtering)이란 특정한 상표를 일정한 속성을 가지는 DB 검색을 통하여 원하는 조건을 만족하거나, 만족하지 않는 것을 추출,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자료 DB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상표와 지정 상품을 각 등록 요건(실제는 등록 불가 요건임)을 판단하는 엔진에 입력하여, 그 요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Filtering refers to extracting and removing a certain trademark by satisfying or not satisfying a desired condition by searching a DB having a certain property. And, to perform filtering, data DB is essential. The trademark and the designated product are inputted into an engine that determines each registration requirement (actually, a non-registration requirement) and proceeds in a manner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corresponds to the requirement.

가령 상표 등록 요건의 일례로 상표가 현저한 지리적 명칭만으로 구성되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고 하자. 이때 주어진 상표가 이 요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현저한 지리적 명칭을 담은 DB가 필요하며, 상표가 현저한 지리적 명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엔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 판단의 결과를 출력해 주는 것이 보고 시스템이다.For example, suppose a trademark registration requirement is that a trademark should not consist solely of distinguished geographical names. In order to know whether a given trademark falls under this requirement, a database with a prominent geographical name is required, and an engin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rademark corresponds to a prominent geographical name is needed. In addition, the reporting system outputs the result of this judgment.

작동 프로세서Working processor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400-1)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engine 400-1 is as follows.

첫째, 상표 및 지정 상품을 입력 받는 단계이다. 이때, 입력 이전에 상표의 가공(2-3) 과정을 거칠 수 있다.First, it is a step of receiving a trademark and a designated product. At this time, the processing of the trademark may be performed (2-3) before inputting.

둘째, 각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400-1a~400-1n)에서 등록 가능성을 판단한다. Second,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is determined by each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engine 400-1a to 400-1n.

이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400-1a~400-1n)의 이름을 “관용표장 규정 적용 여부 판단 엔진”이라 붙일 수 있다. 규칙 DB를 구성하는 규칙의 한 예는 “상표(홍옥)가 상품 DB에서 지정 상품(사과)이 속하는 분류의 하부 구성 요소일 때는 관용 표장이다.”가 될 수 있다.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자료 DB(400-2a~400-2n)는 상품 DB가 된다. 이 경우 특정한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400-1a~400-1n)의 적용 결과를 수치화할 수 있다.The names of the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engines 400-1a to 400-1n may be referred to as "engineership mark determination application engines." An example of a rule that constitutes a rule DB may be "a common mark when the trademark (ruby) is a sub-component of the classification to which the designated product (apple) belongs in the product DB."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judgment data DB400-2a-400-2n becomes a product DB.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result of the specific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engines 400-1a to 400-1n may be digitized.

셋째, 각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400-1a~400-1n)에서 나온 결과를 종합하여 등록 가능성 유무를 판단한다. 등록 가능성은 각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기준 중 어느 한 기준에라도 해당된다면 등록 가능성은 부인되는 것이 원칙이므로, 이를 반영하여 각 판단 결과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Third, the result of each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engine 400-1a to 400-1n is synthesized to determine whether registration is possible. If the possibility of registration is applicable to any one of each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criterion, the possibility of registration is denied. Therefore, the result can be weighted accordingly.

넷째, 판단 결과를 출력한다. 출력 시 종합적인 판단 이외에도 각 세부 요건별 판단 및 그 판단의 근거에 대한 보고서를 출원인 등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Fourth, the determination result is output. In addition to the comprehensive judgment at the time of printing, a report on the judgment of each detailed requirement and the basis of the judgment may be provided to the applicant.

특수한 경우Special case

선행 상표가 문제 시 되는 경우 조건부 등록 가능성에 대한 판단을 해 줄 수 있다.If a preceding trademark is a concern, a judgment can be made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conditional registration.

예를 들면, 1) 선등록 상표라도 그 선등록 상표가 무효심판 또는 취소 심판에 계류 중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심판이나 소송의 결과에 따라 법규의 적용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에 대한 보고서를 합성하여 출원인 등에게 출력해 줄 수 있다.For example: 1) A pre-registered trademark may provide information that the pre-registered trademark is pending an invalid trial or cancellation trial, in which case the consequences of application of the law may vary depending on the outcome of the trial or litigation. The report can be synthesized and output to the applicant.

2) 소멸한 지 1년이 되지 않았지만 일정한 기간 안에 소멸이 예상되거나, 기타 소멸 상표에 적용되는 법규가 출원인 등의 상표와의 관계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보고서를 합성하여 출력해 줄 수 있다.2) It may be less than one year since it is expired, but a report on how the law is expected to expire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or other extinguished trademarks works in relation to the trademarks of the applicant or the like may be printed.

3)선출원 상표가 문제되는 경우, 상표법 상에는 소멸된 출원은 후원을 배제하는 효과가 없으므로, 출원인 등에게 그 선출원에 대한 법적 지위, 효과 또는 차후에 발생되는 가능성에 대한 시나리오별로 보고서를 합성하여 출력해 줄 수 있다.3) If an application trademark is a problem, the application that has expired under the trademark law has no effect of excluding sponsorship. Therefore, the applicant can compose and output a report to the applicant, etc. by scenario on the legal status, effect, or possibility of future occurrence of the application. Can be.

등록 가능성 판단 DB(400-2)Registration possibility judgment DB (400-2)

기본 등록 가능성 판단 DB(400-2)Basic registration possibility judgment DB (400-2)

등록 가능성 판단 DB(400-2)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DB 400-2 may include the following elements.

첫째, 각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400-1a~400-1n)을 위한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자료 DB(400-2a~400-2n)이다. First,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data DB (400-2a to 400-2n) for each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engine (400-1a to 400-1n).

둘째, 각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규칙 DB(400-2)이다. 이 판단 규칙은 상표 유사성 판단 규칙(100-2)처럼 각 세부 등록 요건별로 그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규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령, 현저한 지리적 명칭의 경우, 규칙의 한 예로 1) 각국의 심사 기준 상에 나오는 항목에 해당하는 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규칙, 2) 지리적 명칭의 약어에 해당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규칙, 3) 외국의 현저한 지리적 명칭의 경우 이를 표현하는 한국어가 다수 있을 수 있으므로, 표준화된 명칭과 일정한 수준의 유사성 범위 내에 있는 경우(예를 들면 파리-빠리, 파리스) 여부를 판단하는 규칙 등이 있을 수 있다.Second, each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rule DB 400-2. This decision rule is composed of rule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apply to each detailed registration requirement, such as trademark similarity decision rule 100-2. For example, in the case of prominent geographic names, an example of the rule is 1) rules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y correspond to items on the judging criteria of each country, 2) rules for judging whether they correspond to abbreviations of geographic names, and 3) In the case of a prominent geographic name in a foreign country, there may be many Koreans expressing it. Therefore, there may be a rul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tandard name is within a certain level of similarity (eg, Paris-Paris, Paris).

확장expansion

학습learning

인공 지능 이론에서 중요하게 취급되는 학습 메커니즘을 각DB를 갱신하고, 등록가능성의 판단을 좀더 정밀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출원 심사, 심판, 소송 등에서 등록 여부에 대한 판단이 있는 경우, 그 자료들을 각 등록 요건별로 학습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학습 루틴이 존재하며, 입력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DB 갱신과 아울러 각 등록 요건 판단 메커니즘을 더 정밀화한다. 이 과정이 축적되면 등록 요건 판단 메커니즘은 더욱더 충실해 진다.Learning mechanisms that are important in artificial intelligence theory can be used to update each database and to refine the judgment of registerability. If there is a judgment on whether to register in an application review, trial, or lawsuit, the materials can be learned for each registration requirement. For this purpose, there is a learning routine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ased on the input data, the DB update is made and the registration mechanism determination mechanism is further refined. As this process accumulates, the mechanism for determining registration requirements becomes even more substantial.

보고 시스템Reporting system

보고 시스템의 구성은 유사성 판단 시스템(300/1-1)과 개념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등록 가능성 판단 요소가 복수 개 있으므로, 그 각각의 요건에 대한 판단 결과를 요건별로 보고하는 것과, 이들을 종합하여 보고하는 체계로 나뉘어 표현될 수도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reporting system is conceptually the same as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300 / 1-1. However, since there are a plurality of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elements, they may be divided into a system for repor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each requirement for each requirement and a system for reporting the combined results.

상표 등록 요건 별 판단 방법How to judge by trademark registration requirement

상표 등록 요건은 일반적 등록 요건과 구체적 등록 요건으로 양별해서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 등록 요건은 통상 타 상표와의 관계성과는 별도로 그 특정한 대상 상표 자체 또는 그 상표의 지정 상품과의 관계성만을 고려하여 등록 요건을 판단한다. 구체적 등록 요건은 주로 타 상표(그 상표의 지정 상품과의 관계를 고려할 수도 있다.)와의 관계성 하에서 구체적으로 비교 판단하여 등록 여부를 결정하는 요건이다.Trademark registration requirements can be identified separately from general registration requirements and specific registration requirements. The general registration requirement usually determines registration requirements by considering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fic target trademark itself or the designated product of that trademark, apart from its relationship with other trademarks. The specific registration requirements are mainly the requirements for determining whether to register by making a comparative comparison under the relationship with other trademarks (you may also consider the relationship with the designated product of that trademark).

보통명칭과 관용명칭Common and Common Names

보통명칭Common name

보통명칭인지의 여부는 다음과 같이 판단한다.Whether it is a common name is judged as follows.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400-1)에 입력되는 상표(가공된 상표, 절단된 상표를 포함한다. 유사 여부 판단, 등록 가능성 판단, 침해 여부 판단 등 상표 관련 판단 과정에서 판단 엔진에 입력되는 상표는 본 의미로 사용된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지정 상품명칭과 동일한 경우에는 보통명칭으로 출력한다. 영어 등의 일부 외국어로 번역된 것과 동일한 경우에도 보통 명칭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지정 상품명칭의 상위 카테고리와 동일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보통 명칭의 여부는 주어진 상표를 한영사전 또는 영한사전을 조회하여 상표가 지정 상품의 다른 언어 표현과 동일하면 보통 명칭이 된다.Trademarks entered into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engine 400-1 (including processed trademarks and cut-off trademarks. If part or all of same) is same as designated product name, it is output as common name. Even if it is the same as that translated into some foreign language, such as English, it can be judged by a normal name, and even if it is the same as the upper category of the designated brand name. The common name is the common name if the trademark is identical to other language expressions of the designated product by querying the Korean or English-Korean dictionary for a given trademark.

관용표장Common emblem

관용표장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관용표장을 위한 DB를 구축한다. 첫째, 상표명의 파쇄이다. 등록된 상표명 또는 출원중인 상표명 기타 사용되고 있는 상표명을 각 지정상품, 사용 상품별 또는 지정상품이 속하는 상품군, 사용상품이 속하는 상품군별로 그룹핑한 것을 기준으로 상표들을 파쇄하여 할당한다. 상표명을 음절, 어절, 단어, 기타 지정된 단위로 파쇄하여 각 지정상품, 사용 상품별 또는 지정상품이 속하는 상품군, 사용상품이 속하는 상품군별로 그 파쇄된 음절, 어절, 단어, 기타 지정된 단위 명칭을 각 범주에 할당하면, 각 범주에 음절군이 대응된다. 이때, 각 범주에서 압도적으로 다수 포함되어 있는 음절, 어절, 단어, 기타 지정된 단위의 명칭 등은 관용표장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들이 관용표장DB를 구성한다.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a common mark, a DB for a common mark is construc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is the destruction of the brand name. Trademarks are assigned by shredding them based on groupings of registered or pending trademarks and other trade names in use, grouped by each designated product, by product used, by product group to which the product belongs, and by product group to which the product belongs. The brand name is broken into syllables, words, words, and other designated units, and the broken syllables, words, words, and other designated unit names are assigned to each category by each designated product, used product, or product group to which the designated product belongs. When assigned, syllable groups correspond to each category. At this time, syllables, words, words, and names of other designated units that are overwhelmingly included in each category are likely to be common marks. These constitute a common emblem DB.

NICE 분류/상품 사전/사전 DB(720-2)/HS 코드/코드 DB(720-3)와 보통명칭 관용 명칭NICE classification / product dictionary / dictionary DB (720-2) / HS code / code DB (720-3) and common name common name

NICE 분류 및 HS 코드/코드 DB(720-3)에는 상품들이 대응되어 있는데, 이 NICE 분류나 HS코드는 전세계적으로 표준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국어로 표현된 NICE 분류나 HS코드를 활용하면 상품 명칭의 대응 외국어 표현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외국어로 된 보통 명칭을 찾을 수 있다. Products correspond to the NICE classification and the HS code / code DB 720-3, which are standardized worldwide. Therefore, by using the NICE classification or HS code expressed in each language, the corresponding foreign language expression of the product name can be obtained. In this case, you can find the common name in a foreign language.

NICE분류나 구 상품분류표보다 더 상세한 상품분류표가 있는 경우 이를 통해서 보통명칭과 관용명칭을 찾아 낼 수 있다. 더 상세한 분류의 예로 HS 코드/코드 DB(720-3)집, 상품 정보지(물가정보 등), 상품 사전/사전 DB(720-2), 국내 또는 국외의 상품 분류집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국제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분류코드체계로서는 HS(Harmonized System, 통일상품분류체계), SITC(Standard International Trade Classification, 국제표준무역분류), UNCCS(United Nations Common Coding System, UN 일용분류시스템), UN/SPSC(UN/Standard Products and Services Classification, UN 표준상품서비스분류), NICE(상품 서비스 국제분류표), SKTC(Standard Korean Trade Classification, 한국표준무역분류)등이 있으며, 식별코드체계로서는 EAN/UCC(European Article Number/Uniform Code Council), UPC(Universal Product Code)등이 있다. 이들을 통합하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분류 체계 상에서 비교 대상이 되는 상품이 있는 경우, 그 상품 사이의 거리를 평가하는 방법을 통하여 상품의 유사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If you have a more detailed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than the NICE classification or the old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you can find common and common names. Examples of more detailed classifications may include an HS code / code DB 720-3 collection, a product information sheet (price information, etc.), a product dictionary / dictionary DB 720-2, and a domestic or foreign product classification collection. 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codes used internationally are Harmonized System (HS), Standard International Trade Classification (SITC), United Nations Common Coding System (UNCCS), UN / SPSC (UN / Standard Products and Services Classification), NIC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Goods Services), SKTC (Standard Korean Trade Classification) and EAN / UCC (European Article Number / Uniform Code Council) and Universal Product Code (UPC). These can be combined to achieve the goal. In addition, if there is a product to be compared on these classification systems, whether or not the similarity of the product can be confirmed through a method of evalu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roducts.

또한, NICE분류 등보다 훨씬 더 상세하게 상품을 분류하고 있는 상품학 사전이나 상품 정보 DB를 활용할 수 있다. 상품 정보 DB의 한 예로서는 각종 상품들에 대한 가격 등이 나와 있는 “물가 정보지”, “직업 분류표”, 통계청이 활용하고 있는 각종 소비자 물가 조사 위한 상품 세목, 기타 상품 분류표/분류표 DB(720-7)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a product studies dictionary or product information DB that classifies products in much more detail than NICE classification. Examples of the product information DB include the “price sheet”, the “occupation table” which shows the prices of various commodities, the product details for the survey of various consumer prices us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other product classification table / categorization DB DB (720). -7) may be an example.

기술적 표장Technical emblem

기술적 표장(descriptive mark) 인지 여부는 다음과 같은 DB를 통하여 필터링 한다.Whether or not it is a descriptive mark is filtered through the following DB.

첫째, 절대적 성질 표시 표장인지 여부는 성질 표시에 대한 각종 사전 DB을 활용한다. 각종 언어로 된 사전에서 형용사와 동사를 그대로, 음역하는 경우(세제에 “리졸브” 등), 어미 변화 또는 용언의 변화된 형태(이들을 “활용형”이라 한다.)로 나타나는 것은 성질 표시 표장일 가능성이 높다. 기술적 표장 여부의 판단을 위해 다음과 같은 것들이 필요하다.First, whether it is an absolute property label or not is used in various dictionary DBs for property labels. When transliterations of adjectives and verbs in the various languages of the language are used as transliterations (such as “resolve” in the detergent), it is possible that the appearance of a term or a changed form of a verb (these are called “convenient forms”) is a mark of nature. high. The following are necessary to determine technical marks:

통상 기술적 표장에는 형용사나 동사 그 자체나 그들을 변형한 모습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영어 등의 인도 유럽 어족의 경우에는 형용사나 동사 그 자체 또는 그들의 통상적인 변형(수동형, 최상급 형 등)이 압도적이며, 한국어와 같은 언어 계통은 영어와 같은 굴절어 계통과는 달리 심한 변형을 거친다. 그러므로, 동사와 형용사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어느 나라의 언어인가에 대한 판단과, 그 언어의 특징에 부합하여 변형된 언어 처리를 위한 엔진이 존재하여야 한다. 이는 특히, 한국어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Technical marks are often used as adjectives, verbs, or variations of them. In Indo-European languages such as English, adjectives, verbs themselves, or their common variations (passive, superlative, etc.) are overwhelming, and language systems such as Korean undergo severe modifications, unlike English systems such as English. Therefore, in order to judge verbs and adjectives, there must be an engine for judging which language is used and for processing a language adap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This is especially true of Korean.

첫째, 한국어 및 외국어의 형용사나 동사에 대한 DB이다. 이 DB에는 1) 국어 사전의 전부 또는 사용빈도가 일정 이상 되는 형용사, 동사 및 이들의 활용형이 있을 수 있다. 2) 외국어 사전의 경우에는 그 외국어의 국내에서의 인지 정도에 따라서 다른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영어 등의 친숙한 언어의 경우에는 초등, 중학, 고교 또는 대학 수준의 어휘(초중고교에 대해서는 교육부 지정 필수 어휘가 정해져 있다. 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임의 지정도 가능하다.)에 대해서만 상기의 국어 사전에서처럼 적용할 수 있다.(물론, 전부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First, it is a database of adjectives and verbs in Korean and foreign languages. This DB may include adjectives, verbs, and their conjugations in which all or frequently used Korean dictionaries are used. 2) In the case of a foreign language dictionary, different standards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foreign language in Korea. In the case of a familiar language such as English, the elementary, middle school, high school or university level vocabulary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high school vocabulary is mandatory. (Of course, it can be applied to everything.)

둘째, 분야별 전문어 DB이다. 전문 분야는 상품류 단위 또는 그 하부에 있는 상품군 단위를 기준으로 전문어 사전을 구축할 수 있다. 즉, 기술 용어 사전 등에서 그 분야별 분류 체계가 있고, 그 체계를 상품류 구분/구분표 DB(720-1)와 매칭시켜서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호별 전화번호부를 분석, 통계 처리하여 식별력 없는 부분을 추출해 내듯이 각 분야별 전문어를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하여 그 전문 분야와 관계하는 지정 상품에 대해서만 식별력이 없는 부분을 찾아 낼 수 있다. 제약 분야에서 “pharma” 등이 한 예가 될 수 있다.Second is the terminology DB for each field. The specialized field may build a terminology dictionary based on a product group unit or a product group unit below it. That is, there is a classification system for each field in the technical terminology dictionary, etc., and the system may be used by matching the system with the merchandise classification / classification table DB 720-1. In this case, just by analyzing and statistically processing the telephone directory of each other and extracting the part without identification, each part of the field can be processed in a similar manner to find the part without identification only for the designated product related to the area of specialization. In the pharmaceutical field, for example, “pharma” is an example.

셋째, 지정 상품별 성질 표시 표장인지 여부는 시소러스 사전 DB를 활용할 수 있다. 시소러스 사전은 하나의 표제어에 대하여 동의어, 유사어, 관련어 및 관련 표현을 묶어 놓은 사전을 말한다.Third, thesaurus dictionary DB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property mark is indicated by the designated product. A thesaurus is a dictionary that combines synonyms, synonyms, related words, and related expressions for a heading.

넷째, 기술적 표장임을 이유로 거절된 상표 DB(710-3)를 활용할 수 있다. 기술적 표장이란 특정한 상품의 성질이나 형상을 표현하는 것이 많으므로 특정한 상품이 그 성질이나 특성을 가지면 기술적 표장이며, 그 성질이나 특성을 가지지 않으면 품질오인 또는 수요자를 기만할 염려가 있는 상표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DB는 국내 또는 국외의 심사기준의 예시, 심사 참고 자료, 심사, 심판 또는 법원 등에서 판단된 자료 등이 될 수 있다.Fourth, it is possible to use the trademark DB 710-3 rejected because of the technical marks. Since technical marks often express the nature or shape of a particular product, a technical mark is a technical mark if a particular product has its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and if it does not have the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t is likely to become a trademark that may mislead the quality or the consumer. Because it is high. This DB may be an example of domestic or foreign audit standards, reference materials for examination, data judged by a judge, a judge or a court.

다섯째, 각국의 상표법의 기술적 표장의 구성 요소별로 DB를 구성할 수 있다. 산지는 지리적 명칭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품질이나 효능은 통상 형용사나 동사 자체 또는 활용형으로 표현되며, 원재료는 상품학에서 재료 관련 DB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수량, 가격 등은 숫자 또는 숫자의 대응 표현으로 구성되며, 시기를 표현하는 어휘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시간 관련 DB로 처리할 수 있다. 생산방법, 가공방법, 사용방법은 동사, 동사의 활용형 또는 전문적 기술 분야의 경우에는 전문어 사전 DB를 활용하여 필터링 할 수 있다.Fifth, a DB can be constructed for each component of the technical mark of each country's trademark law. The place of origin is closely related to the geographical name, and the quality or efficacy is usually expressed as an adjective or verb itself or as a form of utilization. Raw materials can be obtained from a material related DB in commodity science. Since the vocabulary expressing the timing is limited, it can be processed with time-related DB. The production method, processing method, and usage method can be filtered by using the terminology dictionary DB in the case of verbs, verbs used or specialized technical fields.

현저한 지리적 명칭A prominent geographical name

가령 상표 등록 요건 중에서 현저한 지리적 명칭, 지도 또는 그 약어만으로 구성된 상표가 아님이 상표 등록 요건 중의 하나라고 하자. 그러면, 첫째, 법률 또는 심사 지침에서 규정하고 있는 현저한 지리적 명칭에 해당하는 지리적 명칭의 범위에 해당하는 현저한 지리적 명칭 DB가 있어야 한다. 이 현저한 지리적 명칭 DB는 그 지리적 명칭의 현저한 약어가 있을 경우 그 약어를 병렬적으로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지도 등에 대한 것은 그림 또는 도형의 문제이고, 텍스트의 문제가 아니므로 이는 도형편에서 다룬다.) 지리적 명칭에 대한 총체적인 정보는 지도 DB, 우편번호부 DB, 행정 구역 체제 DB 또는 관광지 DB에서 추출할 수 있고, 법률 또는 심사 지침에 나오는 기준으로 이 DB를 필터링 하면 현저한 지리적 명칭 DB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사람의 수작업이 필요할 수도 있다.For example, one of the trademark registration requirements is that the trademark registration requirement does not consist solely of a prominent geographical name, map, or abbreviation. First, there must be a prominent geographic name DB that falls within the range of geographic names corresponding to the prominent geographic names defined in the law or examination guidelines. This prominent geographic name DB should include the abbreviation in parallel if there is a prominent abbreviation of that geographic name. (As for maps, etc., it is a matter of figure or figure, and not of text. This is dealt with in figure.) Overall information about geographical name can be extracted from map DB, postal directory DB, administrative area system DB or tourist destination DB. In addition, filtering this database by criteria found in legal or judging guidelines can create a significant geographical name database. Of course, human intervention may be necessary.

흔한 성, 명칭Common surname

흔한 성, 명칭 등은 세계 각국의 성씨 사전을 활용할 수 있다. 이 요건이 각국 단위로 적용될 때는 각국의 성씨 사전 또는 전화번호부 DB을 활용하여 판단한다. 외국 성씨도 판단의 대상으로 포함하는 경우는 그 성씨가 그 나라에서 얼마나 많이 있는가에 대한 정보 DB를 활용하면 된다. 이 정보 DB는 각국의 관청 등에 등록한 외국인, 비자 발급 기록, 관광인명부 등 외국인의 성씨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기반으로 형성된 DB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Common surnames, names, etc. can be used by surname dictionaries from around the world. When this requirement is applied at each country level, it is determined by using the surname dictionary or telephone directory database of each country. If a foreign surname is also included in the judgment, a database of information on how many surnames are in the country can be used. This information DB can be determined by using a DB formed based on information on foreigners' surnames such as foreigners registered in government offices, visa issuance records, and tourist lists.

기타 등록 요건Other Registration Requirements

공서양속 위반Violation of public law

공서양속에 반하는 가의 여부는 심사 실무 또는 속어 비어 사전 DB 등을 활용할 수도 있다. Whether it is against public order or morals, you can use the review practice or slang dictionary database.

국기 등National flag

대한민국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호,2호,3호 및 제 외국의 동일 취지의 규정에 대해서도 각 규정 별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400-1a~400-1n) 및/또는 그 DB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명한 국제 기관의 경우 각국 특허청에의 심사 기준 등에서 구체적으로 예시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는 별도로 UN 등에 등록되어 있는 국제 기구 중 일정 가입국수 또는 일정 회원 수 이상의 것들 만에 대한 DB을 구축할 수 있다. 공익 단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For the provisions of Article 7 (1) 1, 2, 3 of the Korean Trademark Act and the same purpose of foreign countries,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engines 400-1a to 400-1n and / or its DB for each regulation Can be built. For example, prominen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re often exemplified in the examination standards of each country's patent offices.In addition, DB f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egistered in the United Nations, etc., for only a certain number of registered members or a certain number of members is established. Can be. The same is true for public interest organizations.

저명 상표 DBDistinguished Brand DB

국내 또는 국외의 저명 상표에 대한 DB(이하 저명 상표 DB라 한다.)를 구축할 수 있다. 저명 상표는 각국의 특허청 또는 관세청에서 발간한 자료를 통해 DB화 할 수 있다.DB for domestic or foreign famous trademark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amous trademark DB) can be established. Prominent trademarks can be made through DB published by the patent office or customs office of each country.

기타Etc

그 외에도 각 등록 요건에 맞는 DB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들 각종 DB는 실제 심사, 심판, 소송 과정에서 역사적으로 축적된 판단 사례 및 실제 심사를 위한 지침 등을 입력함으로써 만들어 질 수 있다. 또한, 이는 실시간 또는 일정한 기간 단위로 갱신될 수 있다.In addition, a DB suitable for each registration requirement can be formed, and these various DBs can be created by inputting actual cases, judgments, judgment cases historically accumulated during the litigation process, and guidelines for actual examination. It can also be updated in real time or on a regular basis.

또한, 각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400-1a~400-1n)은 법규의 각 조항과 대응될 수 있으며, 판단의 결과를 법규의 각 조항과 관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Also, each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engine 400-1a to 400-1n may correspond to each clause of the law, and may store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relation to each clause of the law.

선등록 상표 등과 유사한 상표 DBTrademark DB similar to registered trademark

선등록 상표, 소멸한 지 1년 이내의 상표와 유사한 상표, 선출원 상표(이들을 “선행 상표”라는 말로 통칭한다.)와 동일 유사한 상표에 대해서도 DB로 구축할 수 있다. 이 DB의 속성은 자료의 추가와 삭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는데 있다.It is possible to build a DB for trademarks similar to the registered trademarks, trademarks similar to the ones that have been extinguished for less than one year, and registered trademark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riority trademarks"). The property of this DB is that data addition and deletion occur frequently.

선행 상표 DB는 특허청에서 발행한 상표 관련 공보 등을 원천으로 하여 가공하는 방식으로 만든다. 특허청에서는 상표에 대한 각종 공고가 있으며, 이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CD-ROM 등)으로 전자적(디지털 방식) 또는 인쇄 방식으로 발생하며, 이를 취합, 추출, 또는 입력의 방식으로 선행 상표 DB를 갱신할 수 있다. 이 갱신된 자료를 본 발명 사상의 실시에 관련된 자 또는 시스템에게 전송해 줄 수 있으며, 전송 받은 자의 컴퓨터는 자신의 DB를 갱신할 수 있다.The preceding trademark DB is made by processing a trademark-related publication issued by the JPO as a source. The JPO has various notices regarding trademarks, which are generated online or offline (CD-ROM, etc.) by electronic (digital) or printing methods, and can update the preceding trademark DB by collecting, extracting, or inputting them. have. The updated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person or system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uter of the person who receives the data can update his DB.

외국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400/1-1)Foreign registration possibility judgment system (400 / 1-1)

한국 상표가 특정한 외국, 가령 일본에 등록 가능한 지를 알아 보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본질적 구성은 한국 상표의 한국에의 등록 가능성을 알아보는 시스템과 각 국가별 등록 요건의 차이에 기인한 세부적인 구성의 차이만을 제외한다면 대동 유사하다. 이는 다음과 같은 프로세서를 거친다.It is a system to find out whether a Korean trademark can be registered in a specific foreign country such as Japan.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is system is very similar except for the system for checking the possibility of Korean trademark registration in Korea and the difference in the detailed composi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registration requirements for each country. This goes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ors:

첫째, 상표와 상품 및 등록 가능성을 알아보려는 국가를 선택한다. 본 시스템은 국가를 인식하고, 그 국가에 대한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400/1-1)이 내부에 있는 경우 그 내부의 시스템에 문의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본 시스템과 연동 가능한 그 외국 또는 기타의 위치에 존재하는 그 국가에서의 등록 가능성을 판단해 줄 수 있는 시스템에 상표와 지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지정 상품에 대한 통일된 코드(NICE분류에 의할 경우 그 분류 코드)가 있는 경우에는 코드만을 제공해 줄 수 있고, 지정 상품의 동일성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최근접 지정 상품을 지정 상품으로 하여 그 상품에 대하여 등록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그 국가의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400/1-1)이 문의하기 위해서 상표의 가공(2-3) 절차를 밟을 수도 있다.First, select a country to look for trademarks, products and registration possibilities. The system recognizes a country, and if there is a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system 400 / 1-1 for that country, it can query the system therein. Otherwise, information about trademarks and designated products is transmitted to a system that can determine the likelihood of registration in that country at a foreign or other location compatible with the system. In this case, if there is a uniform code for the designated product (classification code according to NICE classification), only the code can be provided. If the identity of the designated product is not maintained, the nearest designated product is designated as the designated product. The possibility of registration can be determined for the product. At this time,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system (400 / 1-1) of the country may go through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trademark (2-3).

둘째, 그 국가를 기준으로 하는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400/1-1)에 등록 가능성을 문의한다. 그 국가를 기준으로 하는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400/1-1)이 모든 등록 요건이 아니라 일부 제한된 등록 요건 만을 검토하여 주는 경우도 있다. 가령 예를 들면, 일본의 한 사이트(가령 일본 특허청)에서 상표의 유사 검색만 해주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등록 가능성 전체에 대한 판단보다는 유사 판단만으로 해 줄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그 시스템에 입력 가능할 수 있도록 상표를 가공(일본어로 번역, 음역 등을 할 것이다.)하는 과정이 전제될 수 있다. 이때, 세부 등록 요건 중 그 국가와 한국이 동일한 요건을 가지고 있는 경우, 등록 요건 중 공통되는 일부에 대해서는 한국의 기준 하에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는 특히 그 나라에서 한국에 있는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400/1-1)이 제공해 주는 등록 요건 판단을 제공해 주지 않을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Second,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system 400 / 1-1 based on the country is inquired of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In some cases, the country-based registration likelihood determination system (400 / 1-1) reviews only some limited registration requirements, not all registration requirements. For example, a site in Japan (such as the Japan Patent Office) may only perform a similarity search for a trademark, and in this case, a similarity judgment may be made rather than a judgment on the whole possibility of registration. For this purpose, the process of processing a trademark (translating into Japanese, transliteration, etc.) may be presumed so that the system can be inputted into the system. At this time, if the country and Korea have the same requirements in the detailed registration requirements, some of the common registration requirements may be determined under Korean standards. This may be particularly useful if the country does not provide a registration requirement determination provided by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system 400 / 1-1 in Korea.

셋째, 그 등록 가능성의 결과를 출력하고, 선택적으로 근거 자료를 그대로 또는 한국어로 번역하여 출력한다. 내부의 시스템이 아닌 외부에서 등록 가능성에 대한 판단(유사 여부에 대한 판단을 포함한다.)을 한 경우는 그 정보를 본 시스템으로 전송 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해 줄 수 있다.Third, the result of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is output, and optionally, the source data is translated as it is or translated into Korean. When the determination of the possibility of registration (including the likeness or not) is performed outside of the internal system,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ystem and output to the user.

이는 특히, 마드리드 의정서 하에서 상표의 국제 등록 시 지정국의 선택 과정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즉, 특정한 국가에서 등록 가능성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가 있으면, 상표의 국제 출원(마드리드 의정서 하에서의 상표를 외국에 출원하는 것을 말한다.)과정의 일부(특히 출원서 작성 부분) 또는 전부를 온라인에서 처리하는 경우에 지정국의 선택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다.This can be particularly useful in the designation process of designated countries in international registration of trademarks under the Madrid Protocol. In other words, if there is minimal information about the possibility of registration in a particular country, the processing of part (especially the part of the application) or the entirety of the international application of the trademark (the application of the trademark under the Madrid Protocol to a foreign country) is carried out online. May be applied in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designated country.

도 5와 도 6을 중심으로 유사 판단/등록 가능성 판단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imilarity determination / registration determin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첫째, 상표/상품의 입력(2-2)과정과 상표/상품의 가공(2-3)이 있다. 이에 상표 유사성 판단(5-1), 상품 유사성 판단(5-2)과 그 판단 결과를 보고서로 작성(5-3)한다.First, there is a process of inputting a trademark / good (2-2) and processing of a trademark / good (2-3). In this regard, a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5-1), a product similarity judgment (5-2), and a result of the judgment are prepared in a report (5-3).

둘째, 첫째 과정과는 독립적으로 등록 가능성 판단(5-4)과정을 수행하고, 등록 가능성 판단 보고서를 작성(5-5)할 수도 있다. Second, independent of the first proces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process (5-4) and to prepare a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report (5-5).

셋째, 보고서가 출력(5-6)되고, 이 보고서를 전송하고, 그 전송 받은 자로부터의 출원 의사를 수신(5-7)하면 온라인 전자 출원 과정(5-8)/(530)이 진행될 수 있다.Third, when the report is output (5-6), the report is transmitted and the application intention from the recipient (5-7) is received, the online electronic filing process (5-8) / (530) can proceed. have.

도 6은 등록 가능성 판단 프로세서에 대한 개념 흐름도이다.6 is a conceptual flowchart for a registerability determination processor.

첫째, 상표/지정 상품의 입력(2-2)하고, 상표/상품에 대한 가공(2-3)이 있다.First, there is input of a trademark / designated product (2-2), and processing for the trademark / product (2-3).

둘째, 첫 번째 등록 요건에 대한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11-1)에 상표/상품이 입력되고, 판단 엔진은 첫 번째 등록 요건에 대한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규칙 DB (11-3) 및 첫 번째 등록 요건에 대한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자료 DB(11-2)을 활용하여 첫 번째 등록 요건에 의한 등록 가능성 여부 판단 (11-4)하고, 판단 근거 보고서 작성(11-5)한다.Second, a trademark / product is entered into the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engine 11-1 for the first registration requirement, and the determination engine determines the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rule DB (11-3) and the first registration for the first registration requirement. Using the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judgment data DB (11-2) on the requirements, it is determined whether registration is possible by the first registration requirement (11-4), and a judgment basis report is prepared (11-5).

둘째, 2번째 부터 최종 등록 요건에 대한 상기의 첫 번째 판단 과정 수행(11-6)한다.Second, perform the first decision process (11-6) above for final registration requirements from the second.

셋째, 각 등록 요건별 세부 등록 가능성 판단 엔진에나 나온 결과 종합(11-7)하여, 등록 가능성 여부 종합적 판단(11-8)하고, 판단 근거 보고서 작성(11-9)하며, 이 결과를 출력(11-10)한다. Third, the results of the detailed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engines for each registration requirement are synthesized (11-7), the comprehensive judgment on whether registration is possible (11-8), the judgment basis report preparation (11-9), and the results are output ( 11-10).

보고 시스템Reporting system

개념과 필요성Concept and Necessity

보고 시스템이란 출원인 발견 시스템(510)에서 발견한 출원인 정보, 상표 정보, 지정 상품 정보 및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400/1-1)에서 판단한 상표의 등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출원인에게 통지하고, 그 응답을 받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일체의 시스템을 말한다. The reporting system is the applicant information, the trademark information, the designated product information, and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system (400 / 1-1) found by the applicant discovery system (510) to inform the applicant of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of the trademark, and responds It refers to any system for the purpose of receiving a message.

보고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reporting system

보고 시스템은 1) 보고서 작성 시스템(300-5), 2) 발송 및 수신 시스템, 3) 상표 합성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reporting system consists of 1) a report preparation system 300-5, 2) a sending and receiving system, and 3) a trademark synthesis system.

보고서 작성 시스템(300-5)Report Writing System (300-5)

보고서를 작성하는 시스템으로 보고서를 자동적으로 합성한다. 보고서의 내용으로는 1) 출원인 표시, 상표의 표시, 지정 상품의 표시 및 기타 서지 사항에 관한 정보 표시, 2) 등록 가능성에 대한 일체의 분석 정보 표시, 3) 동일 유사한 상표에 대해서 동일 유사한 지정 상품에 관한 2 이상의 출원인에 대한 정보, 4) 경쟁사나 경쟁 관계에 있는 자에 대한 정보, 5) 온라인 출원 시스템에 대한 안내, 사용법, 또는 접속점(contact point, 예를 들면 온라인 출원 시스템이 있는 웹사이트 주소 등) 또는 6) 기타 관련 정보가 될 수 있다.The report generation system automatically synthesizes the report. The content of the report includes the following: 1) Applicant's label, Label, Designated Goods, and other bibliographic information; 2) Display of any analytical information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registration; 3) Same or similar designated product for the same trademark. Information about two or more applicants, 4) information about competitors or competitors, 5) guidance, usage, or contact point for the online filing system, for example, the address of a website with an online filing system. Etc.) or 6) other relevant information.

보고서를 자동으로 합성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DB의 보고서 작성 기술이나 전자 카탈로그 제작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3)의 동일 유사한 상표에 대해서 동일 유사한 지정 상품에 관한 2 이상의 출원인에 대한 정보 부분의 표현 방법은 1) 그 출원인에 대한 주소, 전화번호, 전자 우편 주소, 웹사이트 등 그 출원인에 대한 수집 가능한 일체의 정보가 부가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종이 등에 출력하여 발송하는 경우 특히 그러하다), 2) 그 일체의 정보가 연결되어 있는 곳으로 하이퍼링크 시켜 놓을 수도 있다. 또한 3) 출원인이 다른 출원인에 대한 정보를 원한다는 의사 표시를 본 시스템이 수용하는 경우, 본 시스템이 그 의사 표시를 수용하여 다른 출원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해 내어 그 출원인에게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In order to automatically synthesize a report, a typical DB report writing technique or an electronic catalog production technique can be used. 3) The method of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part for two or more applicants for the same or similar designated goods for the same or similar trademarks of (1) may be: May be added (especially when sending out on paper, etc.), or 2) hyperlinking to a place where all the information is connected. 3) If the system accepts the intention that the applicant wants information about another applicant, the system may accept the intention and extract information about the other applicant and transmit it to the applicant.

발송 및 수신 시스템Sending and receiving system

발송 및 수신 시스템이란 작성된 보고서를 출원인에게 발송하고, 그 출원인의 응답을 수신하는 기능을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The sending and receiving system refers to a system that functions to send a completed report to the applicant and receive the applicant's response.

오프라인 발송Offline shipping

오프라인 발송이란 종이 등에 출력된 형태나 기타 오프라인 매체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유무선 네트워크(1000)를 통하지 않고 발송하는 것을 말한다. 우편 발송이 가장 간단한 예에 속한다. 이를 위해서는 출원인에 대한 접속점(contact point)를 확보, 확인하여 결정하는 단계, 보고서를 출력하는 단계, 보고서를 발송하는 단계로 이루어 진다.Offline shipment refers to a form output on paper or other offline media to be sent to the user without the wired / wireless network 1000. Mailing is one of the simplest examples. To this end, the process includes obtaining, confirming and determining a contact point for the applicant, outputting a report, and sending a report.

온라인 발송Online shipping

온라인 발송이란 유무선 네트워크(1000)를 통하여 발송하는 것으로, 전자 우편 또는 기타의 메시지 전달 수단을 통하여 출원인에게 전달한다.The online delivery is the transmission through the wired / wireless network 1000 and is delivered to the applicant through electronic mail or other message delivery means.

온라인 출원 시스템Online filing system

상표 합성 시스템Brand synthesis system

상표 합성 시스템이란 네트워크(1000) 기술을 활용하여 상표를 제작하여 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는 특히, 등록 가능성이 낮다고 평가되는 상표에 대하여, 특히 식별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상표에 대하여 식별력이 있는 수단을 부가하여 새로운 상표를 만들어 등록 가능성을 높여 주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The trademark synthesis system refers to a system for producing a trademark using the network 1000 technology. In particular, it refers to a system that serves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registration by creating a new trademark by adding a discriminating means to a trademark which is judged to be low in registration, particularly a trademark which is judged to be inferior in discrimination.

본 시스템은 통상, 기술적 표장만이나 현저한 지리적 명칭만으로 된 상표는 등록가능성이 낮으므로, 그 “만”에 주목하여, 새로운 기호, 문자, 도형, 입체적 형상, 또는 색채를 결합하여 상표 전체적으로 식별력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this system has a low possibility of registering a trademark that has only a technical mark or only a prominent geographical name, and thus, pays attention to the “only” and combines a new symbol, character, figure, three-dimensional shape, or color to acquire the overall identification power of the trademark. It helps to do it.

본 상표 합성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The trademark synthesis system goes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첫째, 출원인의 상표에 대한 등록 가능성을 판단하고, 이 가능성이 일정한 기준 이하인 경우에 출원인에게 등록 가능성에 대한 일체의 판단 정보 및 식별력을 제고할 수 있는 각종 수단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First, the applicant's registration possibility of the trademark is judged, and if the possibility is below a certain standard, the applicant is sent any judgment information on the possibility of registration and information on various means for improving the identification power.

둘째, 출원인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식별력을 제고할 수 있는 수단을 활용하겠다는 동의를 한다. Secondly, the applicant agrees to use the means to enhance his or her discriminating ability online or offline.

온라인의 경우에는 실시간 또는 일정한 시간을 두고 본 시스템의 식별력 제고 요소의 제안과 출원인의 선택과 동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러한 제안과 선택의 과정은 수 차례 반복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상에서 출원될 상표에 대해서 식별력 제고 수단의 결합을 보여 줄 수 있는 그래픽 프로그램(플러그인 포함)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on-line, it can go through the proposal of the system's identification factor and the applicant's selection and consent in real time or at a certain time. This proposal and selection process can be repeated several times. In this case, a graphic program (including a plug-in) may be used to show a combination of identification enhancing means for a trademark to be applied online.

오프라인의 경우에도 우편 등의 방식으로 식별력이 있는 상표의 추가적 구성 요소를 제안하고, 사용자의 선택과 동의를 표시하는 문서 또는 기타 수단의 응답을 본 시스템을 관장하는 또는 본 시스템과 관계하는 자에게 발신할 수 있다.Offer additional components of discernible trademarks, such as by mail, even when offline, and send responses to documents or other means expressing your choice and consent to those in charge of or related to the system. can do.

온라인 결제 시스템Online payment system

상표 등록 출원 과정 및 상표 합성 시스템의 이용 기타 본 발명의 각종 시스템을 활용하는데 있어 비용의 청구가 각 과정 또는 각 시스템 단위로 결합할 수 있다. 결제는 신용카드, 휴대폰 결제, 온라인 송금 기타 통상 인터넷 상에서 활용되는 통상의 결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방식(송금 및 입금 확인)도 결제 수단으로 삼을 수 있다.The Trademark Registration Application Process and Use of the Trademark Synthesis System Others In order to utilize the various systems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ges can be combined for each process or for each system unit. Payment may be made by credit card, mobile phone payment, online remittance, or other common payment method commonly used on the Internet. In addition, an offline method (transfer and deposit confirmation) can also be used as a payment method.

온라인 출원 시스템Online filing system

온라인 출원 시스템이란 온라인으로 상표 등록 출원을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에는 출원을 위한 각종 요소인 상표, 지정 상품의 결정 이외에도, 출원인에 대한 정보 및 각종 서식 사항, 위임장 기타 출원을 위한 법정 요건 사항에 대응되는 서류 기타 임의의 제출 서류에 대한 출원인으로부터의 전송 또는 입력이 필요하다. The online application system refers to a system for applying for trademark registration online. This includes, in addition to the determination of trademarks and designated products, which are various elements for the application, information or information on the applicant, forms of power of attorney or other documents that correspond to statutory requirements for the application or any other submitted documents. This is necessary.

온라인 출원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전송 또는 입력되는 사항을 수신하여 법정 출원 서식에 맞도록 가공, 변형 또는 재입력한다.The online filing system receives the information sent or input from the user and processes, modifies, or re-enters it to fit the legal filing form.

출원인의 상표를 이미지 파일로 처리하는 것이 기본적이므로, 출원인이 문자나 기호만으로 구성된 상표를 출원하는 경우, 그 문자나 기호의 입력을 받아들여 자동적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ince the applicant's trademark is basically processed as an image file, when the applicant applies for a trademark consisting of letters or symbols only, the applicant may enter an input of the characters or symbols to automatically generate an image.

이 과정을 통해서, 서지 사항 부분, 상표 및 지정 상품 기타 제출되어야 할 각종 서류가 결정 나게 되며, 이를 출력하여 오프라인 방식으로 또는 온라인 방식으로 특허청에 출원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process, bibliographic details, trademarks, designated products, and other documents to be submitted are determined, which can be printed out and filed with the Patent Office in an offline or online manner.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할 경우,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출원할 수 있다.In case of filing wit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for electronic filing.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상표 유사 판단 및 상품 유사 판단이 가능하여 출원 전에 선출원 또는 선등록 상표와 유사한 상표가 있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 유사 여부에 대한 언어 공학적 판단이 결합되어 유사 판단의 근거에 대한 자료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고서를 자동으로 작성하여 사용자들에게 제시해 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의견서 등을 쉽게 작성할 수 있으며, 유사 판단에 객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수작업으로 하던 유사 판단을 자동화함으로써 시간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유사 판단을 위한 형태소 분석 엔진 및 기타 본 명세서에서 제시한 각종 분석 엔진 등은 다른 나라의 상표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외국 상표의 분석 및 유사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특히, 마드리드 의정서 시스템하에서 지정국의 지정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First, trademark similarity judgment and product similarity judgment can be made to search whether there is a trademark similar to the prior application or registered trademark before application. By combining linguistic engineering judgments about similarity, the data on the basis of similarity judgment can be automatically identified, and the report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and presented to users. This makes it easy to write opinions and increase objectivity in similar judgment. In addition, time cost can be reduced by automating manual similarity judgments. In addition, the morphological analysis engine for similar judgment and other various analysis engines present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to trademarks of other countries, thereby enabling analysis and similar judgment of foreign trademarks. This will be particularly effective in designating designated countries under the Madrid Protocol system.

둘째, 상표의 등록가능성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게 되어 국내외를 불문하고 상표 관련 업계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상표의 등록 가능성을 미리 알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등록 요건을 갖추지 못한 상표 등록 출원으로 인한 낭비를 제거할 수 있어 출원의 효율성이 증가된다.Secon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ossibility of registering a trademark in advance so that not only the trademark industry but also the general public can find out the possibility of registering the trademark in advan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waste caused by the trademark registration application that does not meet the registration requirements,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application.

본 명세서에서 각 세부적인 시스템의 발명의 효과는 개념 및 필요성 부분에서도 자주 언급하였다.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of each detailed system are often mentioned in the concept and necessity sections of this specification.

도 1 :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ystem and network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 상표 유사성 판단 시스템 및 상품 유사성 판단 시스템에 대한 구성 및 상표 유사성 및 상품 유사성 판단 절차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nd trademark similarity and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procedure for a trademark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and a product similarity determination system.

도 3 : 상표 DB를 포함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각종 DB에 대한 설명 도면이다.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various DB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trademark DB.

도 4 : 상표 및 상품 유사성 판단 규칙 형성 과정 및 갱신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trademark and product similarity judgment rule and updating the same.

도 5 : 유사 판단 및 등록 가능성 판단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similarity determination and a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process.

도 6 : 등록 가능성 판단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process.

도 7 : 등록 가능성 판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registrat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system.

Claims (1)

온라인 상에서 출원인의 상표 입력(2-2) 단계와 출원인의 지정 상품 입력(2-2) 단계와 입력된 상표 및 상품의 등록 가능성을 자동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등록 가능성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와 등록 가능성에 대한 근거 보고서를 자동으로 합성하여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의 등록가능성 판단 방법An online step of inputting an applicant's trademark (2-2) and an applicant's designated product input (2-2),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registration of the inputted trademarks and products, and outputting a result of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online; Method for determining the trademark registration possibility, comprising the step of automatically synthesizing the evidence report of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KR1020040029248A 2004-04-27 2004-04-27 Method for trademark search including similarity decision and trademark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0501038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248A KR20050103836A (en) 2004-04-27 2004-04-27 Method for trademark search including similarity decision and trademark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248A KR20050103836A (en) 2004-04-27 2004-04-27 Method for trademark search including similarity decision and trademark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836A true KR20050103836A (en) 2005-11-01

Family

ID=3728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248A KR20050103836A (en) 2004-04-27 2004-04-27 Method for trademark search including similarity decision and trademark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3836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435B1 (en) * 2009-07-23 2012-06-15 공윤옥 Registered trademark notific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possibility of immortality cancellation
JP2018113002A (en) * 2017-01-15 2018-07-19 cotobox株式会社 Trademark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CN110069555A (en) * 2019-05-06 2019-07-30 重庆天蓬网络有限公司 A kind of determination method of trade mark registration success rate
CN113032524A (en) * 2021-03-23 2021-06-25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Trademark infringement identif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435B1 (en) * 2009-07-23 2012-06-15 공윤옥 Registered trademark notific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possibility of immortality cancellation
JP2018113002A (en) * 2017-01-15 2018-07-19 cotobox株式会社 Trademark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CN110069555A (en) * 2019-05-06 2019-07-30 重庆天蓬网络有限公司 A kind of determination method of trade mark registration success rate
CN113032524A (en) * 2021-03-23 2021-06-25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Trademark infringement identif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ber Basic content analysis
KR102158352B1 (en) Providing method of key information in policy information document, Providing system of policy information,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US6243723B1 (en) Document classification apparatus
CN100535898C (en) System and method for question-reply type document search
Pu et al. Subject categorization of query terms for exploring Web users' search interests
KR100926118B1 (en) Method on Providing Trademark Information
US20070220042A1 (en) Note Overlay System
Mahlberg Lexical items in discourse: Identifying local textual funct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JP4347226B2 (en) Information extraction program, recording medium thereof, information extrac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extraction rule creation method
MXPA04012757A (en) Query recognizer.
KR101813047B1 (en) Method for analyzing the emotion and disposition
CN101088082A (en) Full text query and search systems and methods of use
CN113591476A (en) Data label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machine learning
Smith-Yoshimura et al. Implications of MARC tag usage on library metadata practices
KR20050103836A (en) Method for trademark search including similarity decision and trademark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0926125B1 (en) Method on Provding Trademark Information
Agarwal et al. Detecting Fake Review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 survey
Fissette Text mining to detect indications of fraud in annual reports worldwide
KR20210119728A (en) Method on Provding Trademark Information
JP4934819B2 (en) Information extractio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thereof
Traboulsi et al. Text corpora, local grammars and prediction
JP2005070864A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device,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computer and recording medium
Garimella et al. Reflection of Demographic Background on Word Usage
Zarifi et al. Gender identification of short text author using conceptual vectorization
KR1004630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target web site having icons arranged according to frequency number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