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794A -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그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그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794A
KR20050095794A KR1020047015768A KR20047015768A KR20050095794A KR 20050095794 A KR20050095794 A KR 20050095794A KR 1020047015768 A KR1020047015768 A KR 1020047015768A KR 20047015768 A KR20047015768 A KR 20047015768A KR 20050095794 A KR20050095794 A KR 20050095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rofile
power
profile information
main body
body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쓰야 아다치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5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79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5Power saving in memory, e.g. RAM, cach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체장치로부터 코맨드입력 및 전력공급되는 주변장치에 있어서, 필요한 기능을 발휘하면서 소비전력을 삭감할 수 있는 주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변장치는, 본체장치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기능동작하는 기능유니트와, 상기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부와,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기억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와, 상기 본체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 및 기능유니트에 관한 지령을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상기 본체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본체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의 선택정보에 따라 상기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그 프로그램{PERIPHERAL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ITS MAIN BOD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AND ITS PROGRAM}
본 발명은, 본체장치로부터 코맨드가 입력되고, 또한 본체장치로부터 전력공급되는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그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래, 디지털 스틸 카메라, PDA 등의 휴대정보기기의 보급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뿐만 아니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 PDA 등의 휴대정보기기에서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형의 주변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일본 특개소 62-217314호 공보에 종래예 1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9를 사용하여, 종래예 1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종래예 1의 주변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I/O슬롯을 가진 본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있어서, 901은 본체장치이다. 본체장치(901)는, 제어부(902), 복수의 I/O슬롯(903∼906), 각각의 I/O슬롯(903∼906)의 전원배선의 접속부에 배치된 리드 릴레이(907∼910)를 가진다. I/O슬롯(903∼906)에 삽입된 종래예 1의 주변장치는, 본체장치(901)로부터 전원이 공급된다. 본체장치(901)는, 프로그램제어에 의해, 각각의 리드 릴레이(907∼910)를 개폐한다. I/O슬롯(903∼906)은, 각각의 리드 릴레이(907∼910)의 개폐에 의해, 삽입된 주변장치에 공급하는 전원을 각각 독립하여 온 오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장치(901)는, I/O슬롯에 삽입되어 있지만 동작이 필요없는 주변장치의 전원을 오프함으로써, 그 소비전력을 줄일 수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2001-209764호 공보에 종래예 2의 주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예 2의 주변장치는 IC 카드이다. 종래예 2의 주변장치는, 본체장치가 거치형 (据置型) 기기이면 높은 내부 클록을 선택하고, 본체장치가 전지구동형 기기이면 낮은 내부 클록을 자동적으로 선택한다.
그러나, 주변장치가 고기능이 될수록, 그 회로가 대규모가 되기 때문에, 1개의 주변장치의 소비전력이 증대한다. 이러한 경우, 개개의 주변장치를 단위로 하여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는 기능만을 가진 종래예 1의 본체장치로는 전력제어가 불충분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다기능인 주변장치가 등장하여,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 있더라도, 종래예 1의 본체장치에서는, 주변장치의 전체회로가 동작하여 불필요하게 전력을 소비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전력공급원인 본체장치가, 휴대정보기기 등의 한정된 전력으로 동작하고 있는 장치인 경우에는, 상기 소비전력의 문제는 더욱 심각하였다.
종래예 2의 주변장치는, 본체장치에 따라서 내부 클록을 변경할 수 있다. 종래예 2의 IC 카드는, 특정한 본체장치에 접속한 경우에는 효율적으로 소비전력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많은 제조자를 포함한 업계에서 표준화된 IC 카드(주변장치)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IC 카드가 제품화되어, 각각의 IC 카드는 널리 각종 본체장치에 접속될 가능성이 있다. IC 카드에 따라서는, 그 IC 카드의 전력을 줄이는 데에 적합한 요소가 내부 클록 이외의 요소인 경우가 있다. IC 카드에 따라서는, 내부 클록을 변경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전지구동형 본체장치이더라도, IC 카드가 고속의 내부 클록으로 동작하는 것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종래예 2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는, 그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가 상품화되었을 때에 상정되어 있지 않은 접속상대의 주변장치 및 본체장치에 대하여 적절하게 전력제어를 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임의의 본체장치와의 접속에 있어서, 본체장치의 공급가능전력량에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주변장치, 그 제어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본체장치와의 접속에 있어서, 본체장치의 기능 등에 따라서, 예를 들면 성능을 우선시키거나 또는 소비전력을 우선시켜, 자동적으로 최적의 환경으로 설정하는 주변장치, 그 제어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주변장치와의 접속에 있어서, 주변장치의 기능 등에 따라서, 예를 들면 성능을 우선시키거나 또는 소비전력을 우선시켜, 주변장치를 자동적으로 최적의 환경으로 설정하는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주변장치와의 접속에 있어서, 본체장치의 공급가능전력량에 따라서, 주변장치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억제하는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본체장치 및 주변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주변기기의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에 저장된 전력프로파일정보 리스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3의 본체장치와 주변장치와의 사이에서 전송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송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2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의 전력제어방법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본체장치 및 주변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3의 주변기기의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에 저장된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본체장치 및 주변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의 전력제어방법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종래예 1의 주변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I/O슬롯을 가진 본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도시를 목적으로 한 개략적 표현에 의해 묘사되어 있고, 반드시 거기에 표시된 요소의 실제의 상대적 크기나 위치를 충실히 묘사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음을 고려하기 바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의 구성을 가진다. 하나의 관점에 의한 본 발명의 주변장치는, 본체장치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기능동작하는 기능유니트와, 상기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부와,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기억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와, 상기 본체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 및 기능유니트에 관한 지령을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상기 본체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본체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의 선택정보에 따라서 상기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한다.
「전력프로파일정보」란, 소비전력에 영향을 주는 동작조건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전형적으로는, 주변장치는 본체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다른 관점에 의한 본 발명의 주변장치는, 본체장치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기능동작하는 기능유니트와,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기억하는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와, 상기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부와,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기억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와, 상기 본체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 및 기능유니트에 관한 지령을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상기 본체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본체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의 선택정보에 따라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로부터 대응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상기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에 격납하고,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에 격납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해독하고, 해독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한다.
다른 관점에 의한 본 발명의 주변장치는, 본체장치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기능동작하는 기능유니트와,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기억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와, 상기 본체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본체장치가 지정한 전력프로파일 또는 허용하는 전력프로파일의 범위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기능유니트에 관한 지령을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로부터, 상기 본체장치가 지정하거나 또는 허용하는 전력프로파일과 동일한 또는 근사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추출하는 전력프로파일판단부와, 상기 전력프로파일판단부가 추출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기억하는 상기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와, 상기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본체장치가 지정하거나 또는 허용하는 전력프로파일의 범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력프로파일판단부에 전송하고,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에 기억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해독하고, 해독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한다.
본체장치는, 1개의 전력프로파일을 지정하거나 또는 허용하여도 좋고, 복수의 또는 임의의 범위의 전력프로파일을 지정하거나 또는 허용하여도 좋다. 본체장치가 복수의 또는 임의의 범위의 전력프로파일을 지정 또는 허용한 경우, 「동일」이란, 전형적으로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의 1에 해당하는 것 또는 지시된 범위에 포함되는 전력프로파일인 것을 의미하며, 「근사」란 동일하지는 않지만,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의 1에 근사한 것 또는 지시된 범위에 가까운 것을 의미한다. 「근사」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근사한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추출하면 된다. 또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중에서, 지정된 전력프로파일로부터 저소비전력을 실현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로서, 가장 근사한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추출하더라도 좋다.
다른 관점에 의한 상기의 본 발명의 주변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전력프로파일판단부는, 상기 본체장치로부터 보내진 전압의 값에 기초하여,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변경한다.
예를 들면 주변장치는, 본체장치로부터 보내진 전원전압의 값이 낮을수록,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저소비전력의 것으로 변경한다.
다른 관점에 의한 상기의 본 발명의 주변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는, 파워 앰프의 최대출력치, 무선통신의 전송레이트, 및 상기 기능유니트의 사용의 유무중의 적어도 1개를 요소로서 가지며,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의 상기 요소에 관하여 상기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한다.
다른 관점에 의한 본 발명의 본체장치는, 주변장치가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인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상기 주변장치에 요구하며, 상기 주변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로부터 본체장치에 적합한 1개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선택하여, 선택한 전력프로파일정보의 선택정보를 상기 주변장치에 송신한다.
다른 관점에 의한 상기의 본 발명의 본체장치에 있어서는, 전원전압의 값에 따라서, 다른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한다.
다른 관점에 의한 상기의 본 발명의 본체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는, 파워 앰프의 최대출력치, 기능유니트의 클록주파수의 값, 및 상기 기능유니트의 사용의 유무중의 적어도 1개를 요소로서 가진다.
다른 관점에 의한 본 발명의 주변장치의 제어방법은, 본체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상기 본체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과, 상기 본체장치로부터 송신된 전력프로파일정보의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의 선택정보에 따라서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 스텝을 가진다.
다른 관점에 의한 본 발명의 주변장치의 제어방법은, 본체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상기 본체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과, 상기 본체장치로부터 송신된 전력프로파일정보의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의 선택정보에 따라서 전력프로파일메모리로부터 대응하는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추출하여,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해독하고, 해독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에 기초하여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 스텝을 가진다.
다른 관점에 의한 본 발명의 주변장치의 제어방법은, 본체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본체장치가 지정한 전력프로파일 또는 허용하는 전력프로파일의 범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에 기억된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로부터, 상기 본체장치가 지정하거나 또는 허용하는 전력프로파일과 동일한 또는 근사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추출하는 상기 전력프로파일판단 스텝과, 추출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에 기초하여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 스텝을 가진다.
다른 관점에 의한 본 발명의 본체장치의 제어방법은, 주변장치가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인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상기 주변장치에 요구하고, 상기 주변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로부터 본체장치에 적합한 1개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선택하여, 선택한 전력프로파일정보의 선택정보를 상기 주변장치에 송신한다.
다른 관점에 의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상기의 주변장치의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기능유니트」란, 1개의 통합된 상품기능을 발휘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무선통신모듈, 메모리모듈 등이다. 사용자가 인식하지 않는 기능요소(예를 들면 래치 회로)보다 큰 단위이다.
본 발명은, 임의의 본체장치와의 접속에 있어서, 본체장치의 기능 등에 있던 기능을 발휘하고, 또한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주변장치, 그 제어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작용이 있다.
본 발명은, 임의의 주변장치와의 접속에 있어서, 주변장치가 본체장치의 기능 등에 있던 기능을 발휘하고 또한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지 않도록,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작용이 있다.
발명의 신규인 특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특히 기재한 것이 명백하지만, 구성 및 내용의 쌍방에 대하여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이나 특징과 같이, 도면과 함께 이해되는 바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되어 평가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기재한다.
≪실시예 1≫
도 1∼도 4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그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실시예 1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본체장치 및 주변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01은 본체장치, 102는 주변장치이다. 본체장치(101)는 표시부(111), 제어부(112), 인터페이스부(113)를 가진다. 주변장치(102)는, 인터페이스부(121), 기능블록(122), 전력제어부(123),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124),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125), 주변장치정보 레지스터(126)를 가진다. 기능블록(122)은, 기능유니트(131)를 가진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본체장치(101)는 컴퓨터, 주변장치(102)는 IC 카드이다. 기능유니트(131)는 무선통신모듈이다. 본체장치(101)와 주변장치(102)는, 본체장치(101)를 마스터로 하고, 주변장치(102)를 슬레이브로 하는 마스터/슬레이브방식의 통신을 한다. 본체장치(101)는, 주변장치(102)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체장치(101)의 전력공급능력에 따라서, 주변장치(102)의 동작조건을 변경한다.
인터페이스부(121)는, 본체장치(101)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본체장치(101)로부터 송신된 정보가, 본체장치(101)가 결정한 전력프로파일정보의 레지스터번호이면,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124)로 전송하고, 기능유니트에 대한 지령이면, 기능유니트(131)에 전송한다.
전력제어부(123)는,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124)에 기억된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읽어내어, 읽어낸 전력프로파일정보에 기초하여 기능유니트(131)의 소비전력을 제어한다.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125)는,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 리스트를 저장한다. 여기서 전력프로파일정보는, 복수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에 있어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표준화된 포맷의, 전력제어를 위한 정보이다. 임의의 본체장치와 임의의 주변장치와의 사이에서,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송수신할 수가 있다.
주변장치정보 레지스터(126)는, 주변장치가 어떤 기능유니트를 가졌는지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이하, 전력프로파일정보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125)에 저장된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이다. 도 2에 있어서, 201은 레지스터번호, 202는 전력소비레벨(4비트), 203으로부터 205는 기능유니트의 기능에 관한 정보이고, 203은 무선통신의 전송레이트(2비트), 204는 스피커용 파워 앰프의 출력최대치(3비트), 205는 무선통신용 파워 앰프의 출력최대치(3비트), 또한, 206은 각 기능유니트의 온/오프정보(16비트)이다. 여기서 상단은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125)에 저장된 데이터이고(2진수로 표시하고 있다), 하단(괄호쓰기)은 상단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서 붙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3의 본체장치(101)와 주변장치(102)와의 사이에서 전송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송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301은 전송되는 데이터가 전력프로파일정보인 것을 나타내는 코맨드 코드 또는 리스판스 코드, 302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정보량, 202∼206은 도 2에 나타낸 전력프로파일정보를 나타내고, 202는 전력소비레벨(4비트), 203은 무선통신의 전송레이트(2비트), 204는 스피커용 파워 앰프의 출력최대치(3비트), 205는 무선통신용 파워앰프의 출력최대치(3비트), 206은 각 기능유니트의 온/오프정보(16비트)이다. 또한 303은 기타 정보이다.
전력소비레벨(202)은, 소정의 조건으로 기능유니트(131)를 동작시킨 경우의 소비전력을 나타낸다. 전력소비레벨(202)은 상대적인 전력소비레벨을 나타낸다. 전력소비레벨(202)이 "0000"(2진수표시)이면, 주변장치(102)는 기능을 모두 정지하고,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전력소비레벨(202)이 "1111"(2진수표시)이면, 주변장치(102)는 최대소비전력으로 동작하고, 또는 전력제어부(123)는 전력소비레벨(202)에 기초한 전력제어를 하지 않고, 다른 요소{예를 들면, 무선통신의 전송레이트(203)}에 기초한 전력제어를 한다.
주변장치(102)는, 그 전력소비레벨(202)을 16단계로 전환하여도 좋고, 전력소비레벨(202)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4단계로 전환하여도 좋다. 전력소비레벨(202)이 예를 들어 "1000"(2진수표시)이면, 주변장치(102)는, 그 전력소비레벨을 중간 레벨로 설정한다(예를 들면 0∼3의 4단계에서의 2). 전력소비레벨(202)이 절대적인 전력소비레벨을 나타내더라도 좋다. 전송데이터는, 예를 들면 코맨드 코드 또는 리스판스 코드(301), 정보량(302) 및 전력소비레벨(202)만으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각 기능유니트의 기능에 관한 정보(203∼205)는, 기능유니트(131)를 동작시키는 조건을 나타낸다.
무선통신의 전송레이트(203)는 무선통신의 전송레이트의 상대치를 나타낸다. 무선통신의 전송레이트(203)가 "00"(2진수표시)이면, 주변장치(102)는 무선통신의 전송레이트를 가장 낮은 값으로 설정하여, 소비전력을 최저로 한다. 무선통신의 전송레이트(203)가 "11"(2진수표시)이면, 주변장치(102)는 무선통신의 전송레이트를 가장 높은 값으로 설정하여, 소비전력을 최대로 하여, 가장 빠른 응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스피커용 파워 앰프의 출력최대치(204)는 스피커용 파워 앰프의 출력최대치의 상대치를 나타낸다. 스피커용 파워 앰프의 출력최대치(204)가 "000"(2진수표시)이면, 주변장치(102)는 스피커를 동작시키지 않고, 스피커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스피커용 파워 앰프의 출력최대치(204)가 "111"(2진수표시)이면, 주변장치(102)는 스피커용 파워 앰프의 출력최대치(204)를 최대로 설정하고, 소비전력을 최대로 하여, 스피커가 가장 큰 소리를 내도록 한다. 한편, 스피커를 갖고 있지 않은 주변장치(102)는, 스피커용 파워 앰프의 출력최대치(204)를 무시한다.
무선통신용 파워 앰프의 출력최대치(205)는 무선통신용 파워 앰프의 출력최대치의 상대치를 나타낸다. 무선통신용 파워 앰프의 출력최대치(205)가 "000"(2진수표시)이면, 주변장치(102)는 기능유니트(무선통신모듈)(131)의 파워 앰프를 동작시키지 않고, 파워 앰프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무선통신용 파워 앰프의 출력최대치(205)가 "111"(2진수표시)이면, 주변장치(102)는 무선통신용 파워 앰프의 출력최대치(205)를 최대로 설정하여, 소비전력을 최대로 하고, 기능유니트(무선통신모듈)(131)가 가장 원거리까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각 기능유니트의 온/오프정보(206)는, 기능유니트(131)를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기능유니트의 온/오프정보(206)(16비트)의 각 비트는 각각 하나의 특정한 기능유니트에 대응되고 있다. 1개의 비트가 1이면, 그 비트에 대응되는 기능유니트는 액티브이고, 그 비트가 0이면, 그 비트에 대응되는 기능유니트는 동작하지 않고, 전력제어부(123)는 그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최저로 한다.
그 밖의 정보(303)는 옵션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표준화된 전력프로파일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요소 또는 기능유니트에 관한 정보 등이다.
주변장치(102)는, 주변장치가 갖고 있지 않은 요소의 정보를 무시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본 실시예 1에서는, 스피커를 갖고 있지 않은 주변장치에 있어서의 스피커용 파워앰프의 출력최대치(204)는 무시되고, 또한 기능유니트는 1개이기 때문에, 온/오프정보(206)의 선두의 1비트만이 사용되게 된다.
다음에 실시예 1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의 전력제어방법의 플로우챠트이다. 스텝 401에서, 주변장치(102)가 본체장치(101)에 접속되었다고 하는 정보가 본체장치(101)에 전해진다. 스텝 402에서, 본체장치(101)는 주변장치(102)에 주변장치정보를 문의한다. 주변장치정보란, 주변장치(102)가 어떤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주변장치(102)가 무선통신모듈을 가진 IC 카드라고 하는 정보이다. 스텝 403에서, 주변장치(102)는 주변장치정보 레지스터(126)로부터 읽어낸 주변장치정보를 본체장치(101)에 통지한다. 이에 따라, 본체장치(101)는 접속된 주변장치(102)가 무선통신모듈을 가진 IC 카드인 것을 인식한다.
스텝 404에서, 본체장치(101)는 주변장치(102)에 전력프로파일정보를 문의한다. 스텝 405에서, 주변장치(102)는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125)로부터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도 2)를 읽어내어, 읽어낸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에 기초하여 도 3에 나타내는 전송데이터를 작성하여, 본체장치(101)에 통지한다. 여기서, 본체장치(101)로의 전송데이터는 도 3의 202∼206(전력프로파일정보)의 부분이 「0010010000101000000000000000」(레지스터번호 O)의 전송데이터와, 「0100010001001000000000000000」(레지스터번호1)의 2개의 전송데이터이다. 이에 따라, 본체장치(101)는 접속된 주변장치(102)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예와 같이 전력프로파일정보가 복수 있는 경우는, 레지스터번호가 작은 순서로 전송데이터가 송부되고, 수신한 순서로 전력프로파일정보의 레지스터번호를 알 수가 있다.
스텝 406에서, 본체장치(101)는 요구사양을 수신한 주변장치정보를 기초로 결정하거나, 혹은 미리 내장한 요구사양을 추출하여 결정한다. 요구사양이란, (1)본체장치(101)가 주변장치(102)에 공급가능한 전력, (2)주변장치(102)에 요구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면, 본체장치(101)가, 복수종류의 주변장치에 대한 요구사양을 미리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주변장치정보가 무선통신모듈을 가진 IC 카드였을 때는, 무선통신모듈을 가진 IC 카드용의 요구사양을 뽑아낸다.
여기서는, 결정한 요구사양이 (1)주변장치에 공급가능한 전력이 최대150mW, (2)기능유니트의 무선통신출력전력이 5mW이상인 것으로 한다. 또, 요건사양은, 모든 조건을 지정하여도 좋고 1개의 조건만을 지정하여도 좋다.
스텝 407에서, 본체장치(101)는 요구사양에 기초하여 최적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한다. 본 예에서는 요구사양이 주변장치(102)에 공급가능한 전력이 최대 150mW, 기능유니트의 무선통신출력전력이 5mW 이상이기 때문에, 레지스터번호 "0" 의 전력프로파일정보가 선택된다. 스텝 408에서, 본체장치(101)는 결정한 전력프로파일정보의 레지스터번호를 주변장치(102)에 통지하고, 필요한 전력을 주변장치(102)에 공급한다.
스텝 409에서, 주변장치(102)는 결정된 전력프로파일정보의 레지스터번호를 수신한다. 스텝 410에서, 주변장치(102)는 수신한 레지스터번호에 대응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124)에 저장한다. 스텝 411에서, 전력제어부(123)는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124)에 저장된 전력프로파일정보에 기초하여 기능유니트(131)의 소비전력을 제어한다. 본 예의 경우 주변장치(102)가 레지스터번호 "O"을 수신하기 때문에,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124)는 전력프로파일정보「0010010000101000000000000000」를 기억하고, 이 전력프로파일정보에 따라, 전력제어부(123)는 전송레이트1OOkbps, 무선통신출력전력 1OmW에서 기능유니트(무선통신모듈)(131)를 동작시킨다.
실시예 1의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본체장치가 요구사양에 기초하여 최적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자동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 대신에, 공급가능한 전력의 범위내에서 사용자에게 임의의 요구사양을 설정하게 하여도 좋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단시간에 큰 소비전력을 소비하는 동작을 요구사양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낮은 소비전력으로 장시간 사용하는 요구사양을 설정한다.
한편 실시예 1의 주변장치의 기능유니트는, 무선통신모듈이지만, 이 대신에, USB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카메라 모듈에서도 다른 기능 모듈이더라도 좋다.
실시예 1의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그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주변장치가 본체장치에 접속되었을 때에 본체장치는 요구사양에 기초하여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하고 있다. 이 대신에, 주변장치가 접속된 상태로 본체장치의 전원이 온이 되었을 때에 요구사양에 기초하여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하여도 좋고, 또한 일정시간간격으로 본체장치의 공급가능한 전력을 검출하여(예를 들면 전원인 전지의 전압을 감시하여), 이것에 기초하여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체장치의 공급가능한 전력이 일정 값 이하가 된 경우에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재결정하는 것도 좋다. 본체장치가 전지로 구동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유용하다.
실시예 1의 본체장치의 요구사양은, 본체장치가 주변장치에 공급가능한 전력, 주변장치에 요구하는 기능의 허용범위이다. 이에 대신하여, 본체장치가 주변장치에 공급가능한 전력, 주변장치에 요구하는 기능을 지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본체장치는 요구사양과 동일한 또는 근사한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주변장치의 전력프로파일정보 및 본체장치의 요구사양에 기초하여, 본체장치가 최적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임의의 주변장치와의 사이에서, 주변장치에 대하여 본체장치가 요구하는 기능을 발휘시키고 또한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지 않도록 제어가능하였다.
≪실시예 2≫
도 5, 6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그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실시예 2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본체장치 및 주변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예 1(도 1)과 다른 점은, 주변장치에 기능유니트를 1개 추가한 것이다. 그 이외의 점에서, 실시예 2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는, 실시예 1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와 동일하다. 도 5(실시예 2)에 있어서, 도 1(실시예 1)과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있어서, 101은 본체장치, 502는 주변장치이다. 본체장치(101)는 표시부(111), 제어부(112), 인터페이스부(113)를 가진다. 주변장치(502)는, 인터페이스부(121), 전력제어부(123),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124), 주변장치정보 레지스터(126), 기능블록(522),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525)를 가진다. 기능블록(522)은, 제 1 기능유니트(531), 제 2 기능유니트(532)를 가진다.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본체장치(101)는 컴퓨터, 주변장치(502)는 IC 카드이다. 제 1 기능유니트(531)는 메모리모듈(플래쉬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기능유니트(532)는 무선통신모듈이다. 본체장치(101)와 주변장치(502)는, 본체장치(101)를 마스터로 하고, 주변장치(502)를 슬레이브로 하는 마스터/슬레이브방식의 통신을 한다. 본체장치(101)는, 주변장치(502)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하, 전력프로파일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주변기기(502)의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525)에 저장된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이다. 도 6(실시예 2)에 있어서, 도 2(실시예 1)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의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는 4개의 전력프로파일정보(레지스터0∼레지스터3에 대응하는 부분)를 가지며, 또한 제 1 기능유니트 및 제 2 기능유니트의 2개의 기능유니트를 가진 것에 대응한 기능유니트의 온/오프정보(205)의 1비트째와 2비트째의 부분이 효율적으로 작용하는 점이 실시예 1과 다르다.
다음에 실시예 2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의 전력제어방법의 설명에 있어서는 기본적인 흐름이 실시예 1과 같기 때문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도 4의 플로우챠트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스텝 401∼스텝 404는 실시예 1이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405에서, 주변장치(502)는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525)로부터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도 6)를 읽어내고, 읽어낸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에 기초하여 전송데이터를 작성하여, 본체장치(101)에 통지한다. 본체장치(101)로의 전송데이터는 도 3의 202∼206(전력프로파일정보)의 부분이 「0010010000101000000000000000」 (레지스터번호"0") 의 전송데이터와, 「0100100001001100000000000000」(레지스터번호"1"의 전송데이터와, 「0110110001100100000000000000」(레지스터번호"2")의 전송데이터와, 「1000110001101100000000000000」(레지스터번호 "3") 의 전송데이터이다. 이에 따라, 본체장치(101)는 접속된 주변장치(102)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와 같이 전력프로파일정보가 복수 있는 경우는, 레지스터번호가 작은 순서로 전송데이터가 송부되고, 수신한 순서로 전력프로파일정보의 레지스터번호를 알 수가 있다.
스텝 406에서, 본체장치(101)는 요구사양을 수신한 주변장치정보를 기초로 결정하거나, 혹은 미리 내장한 요구사양을 뽑아내어 결정한다. 요구사양이란, (1)본체장치(101)가 주변장치(102)에 공급가능한 전력, (2)주변장치(102)에 요구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면, 본체장치(101)가, 복수종류의 주변장치에 대한 요구사양을 미리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주변장치정보가 무선통신모듈을 가진 IC 카드였을 때는, 무선통신모듈을 가진 IC 카드용의 요구사양을 뽑아낸다.
여기서는, 결정한 요구사양이, (1)주변장치(502)에 공급가능한 전력이 최대 250mW, (2)주변장치(502)에 요구하는 기능으로서, 제 2 기능유니트(532)의 전송레이트가 150kbps이상, 제 2 기능유니트(532)의 무선통신출력전력이 15mW이상, 제 1 기능유니트(531) 및 제 2 기능유니트(532)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407에서, 본체장치(101)는 요구사양에 기초하여 최적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한다. 본 예에서는 요구사양이 주변장치(502)에 공급가능한 전력이 최대 250mW, 제 2 기능유니트(532)의 전송레이트가 150kbps이상, 제 2 기능유니트(532)의 무선통신출력전력이 15mW이상, 제 1 기능유니트(531) 및 제 2 기능유니트(532)를 함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레지스터번호"1"의 전력프로파일정보가 선택된다. 스텝 408에서, 본체장치(101)는 결정한 전력프로파일정보의 레지스터번호를 주변장치(102)에 통지하고, 필요한 전력을 주변장치(502)에 공급한다.
스텝 409에서, 주변장치(502)는 결정된 전력프로파일정보의 레지스터번호를 수신한다. 스텝 410에서, 주변장치(502)는 수신한 레지스터번호에 대응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124)에 저장한다. 스텝 411에서, 전력제어부(123)는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124)에 저장된 전력프로파일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기능유니트(531), 제 2 기능유니트(532)의 소비전력을 제어한다. 본 예의 경우 주변장치(502)는 레지스터번호"1"을 수신하기 때문에,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124)는 전력프로파일정보 「0100100001001100000000000000」을 기억하여, 전력제어부(123)는 제 1 기능유니트(메모리모듈)(531)를 동작가능하게 하고, 전송레이트 200kbps, 무선통신출력전력 20mW에서 제 2 기능유니트(무선통신모듈)(532)를 동작시킨다.
실시예 2의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본체장치가 요구사양에 기초하여 최적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자동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대신하여, 공급가능한 전력의 범위내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 싶은 기능을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본체장치가 주변장치에 공급가능한 전력이 300mW 이하인 경우, 본체장치의 디스플레이에 「(1)메모리기능만을 사용(소비전력 1OOmW) (2)메모리기능 및 무선통신 기능 양쪽을 사용(무선통신용 파워 앰프의 출력최대치는 20mW. 소비전력200mW) (3)무선통신 기능만을 사용(무선통신용 파워 앰프의 출력최대치는 40mW. 소비전력 300mW)」이라는 선택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1)∼(3) 중에서 1개를 선택한다.
한편 실시예 2의 주변장치의 기능유니트는, 메모리모듈 및 무선통신모듈이지만, 이 대신에, USB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카메라 모듈이라도 다른 기능 모듈이더라도 좋다.
실시예 2의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그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주변장치가 본체장치에 접속되었을 때에 본체장치는 요구사양에 기초하여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하고 있다. 이에 대신하여, 주변장치가 접속된 상태로 본체장치의 전원이 온이 되었을 때에 요구사양에 기초하여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하여도 좋고, 또한 일정시간간격으로 본체장치의 공급가능한 전력을 검출하여(예를 들면 전지의 전압을 감시하여), 이것에 기초하여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체장치의 공급가능한 전력이 일정 값 이하가 된 경우에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재결정하는 것도 좋다. 본체장치가 전지로 구동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유용하다.
실시예 2의 본체장치의 요구사양은, 본체장치가 주변장치에 공급가능한 전력, 주변장치에 요구하는 기능의 허용범위이다. 이에 대신하여, 본체장치가 주변장치에 공급가능한 전력, 주변장치에 요구하는 기능을 지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본체장치는 요구사양과 동일한 또는 근사한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다기능인 주변장치의 전력프로파일정보 및 본체장치의 요구사양에 기초하여, 본체장치가 최적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임의의 주변장치와의 사이에서, 주변장치에 대하여 본체장치가 요구하는 기능을 발휘시키고 또한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지 않도록 제어가능하였다.
≪실시예 3≫
도 7, 8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그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실시예 3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본체장치 및 주변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예 2(도 5)와 다른 점은, 주변장치에 전력프로파일판단부를 추가하여, 본체장치에 대신하여 전력프로파일판단부가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로 설정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한다. 그 이외의 점에서, 실시예 3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는, 실시예 2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와 동일하다. 도 7(실시예 3)에 있어서, 도 5(실시예 2)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있어서, 701은 본체장치, 702는 주변장치이다. 본체장치(701)는, 표시부(111), 인터페이스부(113), 제어부(712)를 가진다. 주변장치(702)는, 인터페이스부(121), 전력제어부(123),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124), 주변장치정보 레지스터(126), 기능블록(522),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525), 전력프로파일판단부(727)를 가진다. 기능블록(522)은, 제 1 기능유니트(531), 제 2 기능유니트(532)를 가진다.
실시예 3에 있어서는, 본체장치(701)는 컴퓨터, 주변장치(702)는 IC 카드이다. 제 1 기능유니트(531)는 메모리모듈(플레쉬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기능유니트(532)는 무선통신모듈이다. 본체장치(701)와 주변장치(702)는, 본체장치(701)를 마스터로 하고, 주변장치(702)를 슬레이브로 하는 마스터/슬레이브방식의 통신을 한다. 본체장치(701)는, 주변장치(702)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프로파일판단부(727)는, 본체장치(701)의 요구사양에 기초하여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로부터 최적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하여, 결정한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124)에 전송한다.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124)는, 전력프로파일판단부(727)가 전송한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기억한다.
다음에 실시예 3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본체장치 및 주변장치의 전력제어방법의 플로우챠트이다. 스텝 801에서, 주변장치(702)가 본체장치(701)에 접속되었다고 하는 정보가 본체장치(701)에 전해진다. 스텝 802에서, 본체장치(701)는 주변장치(702)에 주변장치정보를 문의한다. 예를 들면, 주변장치(702)가 메모리모듈 및 무선통신모듈을 가진 IC카드라고 하는 정보이다. 스텝 803에서, 주변장치(702)는 주변장치정보 레지스터(126)로부터 읽어낸 주변장치정보를 본체장치(701)에 통지한다. 이에 따라, 본체장치(701)는 접속된 주변장치(702)가 메모리모듈 및 무선통신모듈을 가진 IC 카드인 것을 인식한다.
스텝 804에서, 본체장치(701)는 요구사양을 수신한 주변장치정보를 기초로 결정하거나, 혹은 미리 내장한 요구사양을 뽑아내어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요구사양을 추출하여 주변장치(702)에 요구사양을 통지한다.
예를 들면, 본체장치(701)가, 복수종류의 주변장치에 대한 요구사양을 미리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주변장치정보가 무선통신모듈을 가진 IC 카드였을 때는, 무선통신모듈을 가진 IC 카드용의 요구사양을 뽑아낸다.
여기서는, 요구사양이 (1)주변장치(702)에 공급가능한 전력이 최대 250mW, (2)주변장치(502)에 요구하는 기능으로서, 제 2 기능유니트(532)의 전송레이트가 150kbps이상, 제 2 기능유니트(532)의 무선통신출력전력이 15mW이상, 제 1 기능유니트(531) 및 제 2 기능유니트(532)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805에서, 주변장치(702)는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525)로부터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도 6)를 읽어낸다. 스텝 806에서, 주변장치(702)의 전력프로파일판단부(727)는 요구사양에 기초하여 최적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한다. 본 예에서는 요구사양이 주변장치(702)에 공급가능한 전력이 최대 250mW, 제 2 기능유니트(532)의 전송레이트가 150kbps이상, 제 2 기능유니트(532)의 무선통신출력전력이 15mW이상, 제 1 기능유니트(531) 및 제 2 기능유니트(532)를 함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레지스터번호"1" 의 전력프로파일정보가 선택된다.
스텝 807에서, 전력프로파일판단부(727)는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124)로 결정한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전송하고,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124)는 전송된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기억한다. 스텝 808에서, 주변장치(702)는 결정한 전력프로파일정보를 본체장치(701)에 통지한다.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124)는 전력프로파일정보「0100100001001100000000000000」를 기억하고, 본체장치(701)에의 전송데이터는 도 3의 202∼206(전력프로파일정보)의 부분이 「0100100001001100000000000000」(레지스터번호 "1")이다.
스텝 809에서, 본체장치(701)는 필요한 전력을 주변장치(702)에 공급한다. 스텝 810에서, 주변장치(702)의 전력제어부(123)는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124)에 저장된 전력프로파일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기능유니트(531), 제 2 기능유니트(532)의 소비전력을 제어한다. 전력제어부(123)는 제 1 기능유니트(메모리모듈)를 동작가능하게 하고, 전송레이트 200kbps, 무선통신출력전력 20mW에서 제 2 기능유니트(무선통신모듈)(532)를 동작시킨다.
한편 실시예 3의 주변장치의 기능유니트는, 메모리모듈 및 무선통신모듈이지만, 이 대신에, USB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카메라모듈이더라도 다른 기능모듈이더라도 좋다.
실시예 3의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그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주변장치가 본체장치에 접속되었을 때에 주변장치는 요구사양에 기초하여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하고 있다. 이에 대신하여, 주변장치가 접속된 상태로 본체장치의 전원이 온이 되었을 때에 요구사양에 기초하여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하여도 좋고, 또한 일정시간간격으로 본체장치의 공급가능한 전력을 검출하여(예를 들면 전지의 전압을 감시하여), 이것에 기초하여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체장치의 공급가능한 전력이 일정값 이하가 된 경우에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재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체장치가 전지로 구동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유용하다.
실시예 3의 본체장치의 요구사양은, 본체장치가 주변장치에 공급가능한 전력, 주변장치에 요구하는 기능의 허용범위이다. 이에 대신하여, 본체장치가 주변장치에 공급가능한 전력, 주변장치에 요구하는 기능을 지정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주변장치는 요구사양과 동일한 또는 근사한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 있어서는, 주변장치의 전력프로파일정보 및 본체장치의 요구사양에 기초하여 주변장치가 최적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선택함으로써, 본체장치는 개개의 주변장치의 기능 등의 정보가 없어도, 각 주변장치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주변장치와의 사이에서, 주변장치에 대하여 본체장치가 요구하는 기능을 발휘시키고 또한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지 않도록 제어가능하였다.
또, 이상의 각 실시예 1∼3에 있어서, 전력프로파일정보가, 전력소비레벨과 복수의 기능유니트의 기능에 관한 항목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전력프로파일정보가, 전력소비레벨만인 경우, 혹은, 기능유니트의 기능에 관한 항목이 하나뿐인 경우라 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1∼3의 주변장치의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매체 또는 통신로를 통해 주변장치에 로드함으로써, 그 주변장치에 실시예 1∼3과 같은 기능을 발휘시켜, 동일한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임의의 본체장치와 주변장치와의 접속에 있어서, 주변장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에 기초하여, 본체장치가 최적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선택함으로써, 본체장치에 필요한 기능을 발휘하면서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임의의 본체장치와 주변장치와의 사이에서, 본체장치의 요구사양에 기초하여, 주변장치가 최적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판단함으로써, 본체장치에 필요한 기능을 발휘하면서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발명을 어느 정도 상세하게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바람직한 형태의 현 개시내용은 구성의 세부에 있어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각 요소의 조합이나 순서의 변화는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일탈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장치로부터 주변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의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그 프로그램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3)

  1. 본체장치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기능동작하는 기능유니트와,
    상기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부와,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기억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와,
    상기 본체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 및 기능유니트에 관한 지령을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상기 본체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본체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의 선택정보에 따라서 상기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장치.
  2. 본체장치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기능동작하는 기능유니트와,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기억하는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와,
    상기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부와,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기억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와,
    상기 본체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 및 기능유니트에 관한 지령을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상기 본체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본체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의 선택정보에 따라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로부터 대응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상기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에 저장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해독하고, 해독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장치.
  3. 본체장치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기능동작하는 기능유니트와,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기억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와,
    상기 본체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본체장치가 지정한 전력프로파일 또는 허용하는 전력프로파일의 범위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기능유니트에 관한 지령을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로부터, 상기 본체장치가 지정하거나 또는 허용하는 전력프로파일과 동일한 또는 근사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추출하는 전력프로파일판단부와,
    상기 전력프로파일판단부가 추출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기억하는 상기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와,
    상기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본체장치가 지정하거나 또는 허용하는 전력프로파일의 범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력프로파일판단부에 전송하고,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에 기억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해독하고, 해독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프로파일판단부는, 상기 본체장치로부터 보내진 전압의 값에 기초하여,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는, 파워 앰프의 최대출력치, 무선통신의 전송레이트, 및 상기 기능유니트의 사용의 유무중의 적어도 1개를 요소로서 가지며,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전력프로파일 레지스터의 상기 요소에 관하여 상기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장치.
  6. 주변장치가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인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상기 주변장치에 요구하고, 상기 주변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로부터 본체장치에 적합한 1개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선택하여, 선택한 전력프로파일정보의 선택정보를 상기 주변장치에 송신하는 본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전원전압의 값에 따라서, 다른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는, 파워 앰프의 최대출력치, 기능유니트의 클록주파수의 값 및 상기 기능유니트의 사용의 유무중의 적어도 1개를 요소로서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장치.
  9. 본체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상기 본체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과,
    상기 본체장치로부터 송신된 전력프로파일정보의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의 선택정보에 따라서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 스텝을 가진 주변장치의 제어방법.
  10. 본체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상기 본체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과,
    상기 본체장치로부터 송신된 전력프로파일정보의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의 선택정보에 따라서 전력프로파일메모리로부터 대응하는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추출하여,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해독하여, 해독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에 기초하여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 스텝을 가진 주변장치의 제어방법.
  11. 본체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본체장치가 지정한 전력프로파일 또는 허용하는 전력프로파일의 범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전력프로파일정보메모리에 기억된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로부터, 상기 본체장치가 지정하거나 또는 허용하는 전력프로파일과 동일한 또는 근사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추출하는 상기 전력프로파일판단 스텝과,
    추출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에 기초하여 기능유니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 스텝을 가진 주변장치의 제어방법.
  12. 주변장치가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인 1개 또는 복수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를 상기 주변장치에 요구하고, 상기 주변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전력프로파일정보리스트로부터 본체장치에 적합한 1개의 전력프로파일정보를 선택하여, 선택한 전력프로파일정보의 선택정보를 상기 주변장치에 송신하는 본체장치의 제어방법.
  13. 컴퓨터에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기재된 주변장치의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047015768A 2003-02-05 2004-02-05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그 프로그램 KR200500957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28557 2003-02-05
JPJP-P-2003-00028557 2003-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794A true KR20050095794A (ko) 2005-10-04

Family

ID=32844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768A KR20050095794A (ko) 2003-02-05 2004-02-05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그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01236B2 (ko)
EP (1) EP1598732A4 (ko)
JP (1) JPWO2004070593A1 (ko)
KR (1) KR20050095794A (ko)
CN (1) CN100419634C (ko)
TW (1) TWI347523B (ko)
WO (1) WO200407059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620B1 (ko) * 2008-01-11 2011-04-11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전원 제어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KR101256760B1 (ko) * 2009-01-05 2013-04-23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디바이스
US10990498B2 (en) 2018-03-19 2021-04-27 SK Hynix Inc. Data storag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036273B2 (en) 2018-01-11 2021-06-15 SK Hynix Inc.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2599A2 (en) * 2005-02-01 2006-08-10 Ravikiran Sureshbabu Pasupulet A method and system for power management
EP2033067A1 (en) * 2006-06-15 2009-03-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of balancing power consumption between loads.
ITMI20070997A1 (it) * 2007-05-17 2008-11-18 Incard Sa Ic card con clock a bassa precisione
US9137806B2 (en) 2007-09-21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employing fractional time reuse
US9066306B2 (en) * 2007-09-21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power control
US8824979B2 (en) 2007-09-21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employing fractional frequency reuse
US9078269B2 (en) 2007-09-21 2015-07-07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HARQ interlaces
US9374791B2 (en) * 2007-09-21 2016-06-21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power and attenuation profiles
US20090080499A1 (en) * 2007-09-21 2009-03-2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employing fractional code reuse
JP4379516B2 (ja) * 2007-11-26 2009-12-09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力制御システム、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948095B2 (en) * 2007-11-27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frequency selective transmission
US9072102B2 (en) 2007-11-27 2015-06-30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daptive path loss adjustment
JP5159396B2 (ja) * 2008-04-03 201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17542B2 (ja) * 2008-06-12 2013-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65013B2 (en) * 2009-10-22 2016-02-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cheduling based on power consumption
US8661268B2 (en) * 2010-02-22 2014-02-25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ly providing power to a device
EP2383630B1 (en) * 2010-04-30 2018-09-26 BlackBerry Limited Configuring cable lines to provide data and power
US9065584B2 (en) 2010-09-29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rise-over-thermal threshold
US9800087B2 (en) * 2013-10-28 2017-10-24 Virtual Power Systems, Inc. Multi-level data center consolidated power control
CA2851983C (en) 2014-05-21 2016-08-16 Blackberry Limited Management of power delivered over a port
US10545557B2 (en) * 2014-12-30 2020-01-28 Citrix Systems,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obile device power management
US9978018B2 (en) * 2015-04-22 2018-05-22 Aeris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execution of user commands in relation to power management
US10042405B2 (en) * 2015-10-22 2018-08-07 Qualcomm Incorporated Adjusting source voltage based on stored information
JP6626384B2 (ja) * 2016-03-23 2019-12-25 ローム株式会社 給電装置および給電方法、制御回路、acアダプタ、電子機器
DE102016119446A1 (de) 2016-10-12 2018-04-12 Fujitsu Technology Solutions Intellectual Property Gmbh Schnittstellenanordnung zum Anschluss eines Peripheriegeräts an eine Schnittstelle eines Host-Systems, Verfahren und elektronisches Gerät, insbesondere Computersystem
US10915484B2 (en) * 2017-02-24 2021-02-09 Digital 14 Llc Peripheral disconnection switch system and method
US20210109754A1 (en) * 2019-10-11 2021-04-15 Lenovo(Singapore) Pte.Ltd Context based power scheme se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7314A (ja) 1986-03-18 1987-09-24 Nec Corp I/oスロツト電源供給方式
US5768147A (en) * 1995-03-23 1998-06-1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voltage requirements of a removable system resource
JP3347538B2 (ja) 1995-07-21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源制御システム
JP3492057B2 (ja) * 1995-12-14 2004-02-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チップicカード及びそれを用いたicカードシステム
US5812860A (en) * 1996-02-12 1998-09-2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multiple voltages and frequencies selectable based on real time criteria to control power consumption
JP3164001B2 (ja) * 1996-12-04 2001-05-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Pcカード装置
US6012103A (en) * 1997-07-02 2000-01-04 Cypress Semiconductor Corp. Bus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5987617A (en) * 1997-09-30 1999-11-16 Intel Corporation Low ICC enumeration scheme for bus powered USB device
JPH11296266A (ja) * 1998-04-03 1999-10-29 Canon Inc 携帯用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そのドッキング制御方法
JPH11316625A (ja) * 1998-04-30 1999-11-16 Toshiba Corp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及び外部ユニットへの電力供給制御方法
US6279114B1 (en) * 1998-11-04 2001-08-21 Sandisk Corporation Voltage negotiation in a single host multiple cards system
JP2001027916A (ja) * 1999-05-12 2001-01-30 Fujitsu Ltd 電子機器及び電源制御装置並びに電源供給制御方法
JP4070924B2 (ja) 2000-01-24 2008-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Icカード、および、その端末装置
JP3461323B2 (ja) * 2000-03-28 2003-10-27 シャープ株式会社 Pcカード
US6971035B2 (en) * 2000-08-29 2005-11-29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multi-function electronic apparatus that is adapted to receive power from a host system
US6946817B2 (en) * 2001-03-01 2005-09-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and charg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71755B1 (ko) * 2001-04-25 2007-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JP4316838B2 (ja) 2002-05-16 2009-08-19 富士通株式会社 デバイスドライバおよびデバイス
US6963986B1 (en) * 2002-06-21 2005-11-08 Cypress Semiconductor Corp. Device enumeration current redu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620B1 (ko) * 2008-01-11 2011-04-11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전원 제어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KR101256760B1 (ko) * 2009-01-05 2013-04-23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디바이스
US11036273B2 (en) 2018-01-11 2021-06-15 SK Hynix Inc.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990498B2 (en) 2018-03-19 2021-04-27 SK Hynix Inc. Data storag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01236B2 (en) 2008-07-15
US20050120250A1 (en) 2005-06-02
CN1871573A (zh) 2006-11-29
TW200415471A (en) 2004-08-16
WO2004070593A1 (ja) 2004-08-19
CN100419634C (zh) 2008-09-17
TWI347523B (en) 2011-08-21
JPWO2004070593A1 (ja) 2006-05-25
EP1598732A4 (en) 2010-01-06
EP1598732A1 (en)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95794A (ko)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 본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그 프로그램
US7574615B2 (en) Method of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 network interface
KR20120096858A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원격 시동
US20090058719A1 (en) Method of switching electronic apparatus between different modes according to connection status of wireless conne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JPWO2006117966A1 (ja) カード型電子装置及びホスト装置
US20060075270A1 (en) Computer power control
US7051144B2 (en) Portable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rein
KR102256136B1 (ko) 오프셋모드를 활용하여 코어전원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형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090063791A1 (en) Computer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and data processing apparatus
US2003011420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N101847043A (zh) 共用存储设备的方法及移动终端
US6085982A (en) PC card capable of switching card information structures
US20100103849A1 (en) Power-saving control method for wireless lan
KR100849215B1 (ko) 전원제어장치, 방법, 및 상기 전원제어장치를 구비하는시스템
KR100736405B1 (ko) Fifo없이 dma를 수행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와 상기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처리방법
EP1686510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907175B2 (ja) Pcカード装置
TWI459187B (zh) 電腦系統
US20050017790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n internal voltage converter, and method therefor
JP4057360B2 (ja) 多機能icカード及びその制御方法
JPH11167439A (ja) 多段階の電源選択状態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
JP2003030127A (ja) Sdioホストコントローラ
KR100920581B1 (ko) 저전력 모드를 갖는 시스템온칩 및 그 구동방법
KR200330224Y1 (ko) 음향이 발생하는 usb 저장 장치
KR20020064409A (ko)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모드 전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