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857A - Handover method using interworking interoperability function and isup for minimization of mute interval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 Google Patents

Handover method using interworking interoperability function and isup for minimization of mute interval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857A
KR20050090857A KR1020040016135A KR20040016135A KR20050090857A KR 20050090857 A KR20050090857 A KR 20050090857A KR 1020040016135 A KR1020040016135 A KR 1020040016135A KR 20040016135 A KR20040016135 A KR 20040016135A KR 20050090857 A KR20050090857 A KR 20050090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asynchronous
handover
synchro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1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12675B1 (en
Inventor
주재영
주영호
김현욱
김영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6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2675B1/en
Priority to PCT/KR2005/000676 priority patent/WO2005112306A1/en
Priority to JP2007502718A priority patent/JP4764415B2/en
Priority to CN2005800129350A priority patent/CN1973455B/en
Priority to US10/592,341 priority patent/US7983676B2/en
Priority to BRPI0508153-0A priority patent/BRPI0508153A/en
Publication of KR20050090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8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67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묵음구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호연동 운용부 및 ISUP을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handover method using an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and ISUP for minimizing a silent peri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networks.

본 발명의 핸드오버 방법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호연동 운용부를 통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트래픽을 할당하는 단계, 비동기 교환기와 동기 교환기 간의 중계선 및 트렁크가 설정된 후 비동기 교환기가 무선망 제어기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로 핸드오버를 지시하여,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접속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이 역방향 트래픽을 전송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이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기지국/기지국 제어기가 교환기를 통해 상호연동 운용부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이 타이머 구동을 만료하고 보코더를 절환하는 단계, 비동기 교환기와 동기 교환기간의 보코더를 절환하는 단계 및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간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handove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quests a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locates traffic, and after the relay line and trunk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the synchronous exchange are established, The asynchronous exchange instructs the mobile terminal to handover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controller, the mobile terminal connecting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reverse traffic, and the mobile terminal running a timer Step, when the base station / base station controller notifies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pires timer operation and switches the vocoder, and switches the vocoder of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the synchronous exchange period.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ystems.

본 발명에 의하면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의 음성통화중 핸드오버시 묵음 구간을 최소화하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quality of service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silence period during the handover during the voice call from the asynchronous network to the synchronous network.

Description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묵음 구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호연동 운용부 및 교환기간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Handover Method Using Interworking Interoperability Function and ISUP for Minimization of Mute Interval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Handover Method Using Interworking Interoperability Function and ISUP for Minimization of Mute using Interoperable Operation Unit and Interval Exchange Message Transmission Protocol to Minimize Silen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Networks Interval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인 이동통신 단말의 묵음 구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호연동 운용부 및 교환기간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ISUP)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over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an interlocking operation unit and an exchange period message for minimizing a silent peri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are mixed. A handover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transport protocol (ISUP).

현재 이동통신망은 2세대 또는 2.5세대망이라 불리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CDMA 이동통신 시스템)과 3세대망이라 불리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WCDMA 이동통신 시스템)이 공존하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Currently,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as a form in which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lled a second generation or 2.5 generation network and a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lled a third generation network coexist.

이러한 이동통신망 기술의 발전과 함께, 동기 방식의 시스템과 비동기 방식의 시스템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Dual Band Dual Mode Terminal; DBDM 이동통신 단말)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함에 의해 비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및 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각각에서 각기 다른 방식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DBDM 이동통신 단말은 안테나,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인 동기 모뎀부,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인 비동기 모뎀부 및 공통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y, a dual band dual mode terminal (DB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being used in both a synchronous system and an asynchronous system has been developed. This allows different types of services to be used in each of the asynchronous system domain and the synchronous system domain. The DB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antenna, a synchronous modem unit which is a module for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 asynchronous modem unit which is a module for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common module.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초기 단계에 있으며, 시스템 구현에 막대한 투자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을 서비스할 수 없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에 중첩된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이 제한되기 때문에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비동기 영역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던 중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동기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핸드오버가 필요하다.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in the early stage of service, and because a huge investment cost is required to implement the system, it cannot be serviced in a large area, and thus,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superimposed o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ly, since the servic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limited, a hand for providing a continuous service when the subscriber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ves to a synchronous area where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not provided while using the service in the asynchronous area. Over is needed.

최근에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이동하는 단말에 대한 다양한 핸드오버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중 이동통신 단말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음성 통화에 사용되는 비동기 보코더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음성 통화에 사용되는 동기 보코더로 절환하여야 하며, 비동기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또한 마찬가지로 보코더 절환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모두 보코더가 절환된 후에 음성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Recently, various handover methods for terminals moving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e been studied. During the hand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uld switch the asynchronous vocoder used for the voice call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the synchronous vocoder used for the voice call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imilarly, a vocoder switching process is required. Then, bo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 able to make a voice call after the vocoder is switched.

그런데 현재는 이동통신 단말의 보코더 절환 시점과 이동통신 시스템의 보코더 절환 시점 간에 시간적인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중 묵음 구간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re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vocoder switching time poi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vocoder switching time poi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silent section occurs during the hand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rvice quality is deteriorat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에서 음성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호연동 운용부에 의해 접속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과 이동통신 시스템의 보코더 절환 시점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묵음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is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a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voice call service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a is connected by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n interoperation unit. As a result, there is a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 handover method that can minimize the silent period by making the vocoder switching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sam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재되어 있고,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호연동 운용부에 의해 접속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가능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음성통화 중 묵음구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비동기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전송을 요청하고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동기 교환기로 핸드오버를 지시하고, 상기 동기 교환기가 상기 기지국 제어기/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방향 트래픽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동기 교환기로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동기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핸드오버 지시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비동기 교환기로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동기 교환기 간의 중계선이 설정되는 단계; 상기 비동기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초기 주소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동기 교환기 간의 트렁크 설정이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비동기 교환기가 상기 무선망 제어기로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할당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단계; 상기 무선망 제어기가 상기 노드B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핸드오버를 지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접속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비동기 교환기로 액세스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로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프레임 또는 프리엠블을 전송하고,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접속을 완료함에 따라,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교환기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고, 상기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타이머 구동을 만료하고 보코더를 절환하는 단계;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동기 교환기간의 보코더를 절환하는 단계; 및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노드B/무선망 제어기간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 mixed,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 connected by an interlocking operation unit. A handover method for minimizing a silent period during a voice call of a dual band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the asynchronous exchange transmits a handover request message to the interoperation unit. Requesting and receiv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transmis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to the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The interoperation operator instructing a handover to the synchronous exchange, and the synchronous exchange requesting a handover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 base station; Assigning, by the base station / base station controller, an omnidirectional traffic channe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to the handover request to the synchronous exchange; The synchronous exchange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for a handover instruction to the interoperation operator, and the interoperation operator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for a handover request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thereby establishing a relay line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the synchronous exchange. Becoming; The asynchronous exchange transmitting an initial address message to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and receiving a response thereto, thereby establishing a trunk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the synchronous exchange; Reporting, by the asynchronous exchange, that resource allocation for handover has been completed to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Instructing the wireless network controller to handov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ode B,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witches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nected mode; Transmitting, by the interoperation operator, an access signal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a frame or preamble through a reverse traffic channel to the base station / base station controller and reporting that handover is completed; Driving a timer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letes the connection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porting, by the base station / base station controller,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 to the exchange, and notifying the interoperation operator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piring timer driving and switching a vocoder; Switching a vocoder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a synchronous exchange period; And releasing a connection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a Node B / wireless network controll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10)은 듀얼 밴드 듀얼 모드(이하, 'DBDM'이라 함) 이동통신 단말로서,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와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 가능한 형태이며,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인 동기 모뎀부,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인 비동기 모뎀부 및 공통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과 각각 무선 접속하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ual band dual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B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a type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viding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t comprises a synchronous modem unit which is a module for, asynchronous modem unit which is a module for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common module, and wirelessly connected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respectively, Data service is available.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은 이동통신 단말(10)과의 무선 구간 통신을 위한 기지국으로서의 노드 B 및 노드 B의 제어를 위한 무선망 제어기(노드B/RNC, 210), 무선망 제어기(210)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10)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교환을 수행하는 비동기 교환기(MSC, 220), 무선망 제어기(RNC)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240) 사이에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 트랙을 유지하고 액세스 제어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230), SGSN(230)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240)을 통해 연결되고, IP망(70)에 접속되어 외부 패킷과의 연동을 지원하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250)을 포함한다.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is a wireless network controller (Node B / RNC, 210) for controlling Node B and Node B as a base station for wireless section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ireless network controller 210 Is connected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MSC, 220),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and the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network 240 to perform a call exchange for providing a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t is connected through a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230, a SGSN 230, and a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network 240 that maintains a location tr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performs access control and security functions. And a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250 connected to the IP network 70 to support interworking with external packets.

또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은 이동통신 단말(10)과 무선 구간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 및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TS/BSC, 310), 하나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기(MSC, 320), 기지국 제어기(BSC)와 접속되어 가입자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330),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330)와 IP망(70) 간의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코어망(DCN, 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BTS / BSC, 310) for controlling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for supporting the wireless section communication, and connected to one or more base station controller to perform a call exchange A packet data service node (PDSN, 330), a packet data service node (330), and an IP network (70), which are connected to an exchange (MSC) 320,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to provide a packet data service to a subscrib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ata core network (DCN, 340) to support the connection between.

아울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교환기(220, 320)는 상호연동 운용부(Interworking Interoperability Function; IIF, 60)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으며, 상호연동 운용부(60)는 비동기 교환기(220)로부터 전송되는 비동기 메시지를 동기 메시지로 변환하여 동기 교환기(320)로 전송하고,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관리한다.In addition, the switch 220 and 320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are interconnected by an interworking interoperability function (IFF) 60, and the interoperable operating unit ( 60 converts an asynchronous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into a synchronous message, and transmits the asynchronous message to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비동기 교환기(220) 및 동기 교환기(320)는 또한, No.7 공통신호망(40)에 상호 접속되고, 이를 통해 듀얼스택 홈위치 등록기(D-HLR, 50)와 접속되며, 듀얼스택 홈위치 등록기(50)는 DBDM 이동통신 단말(10)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비동기 및 동기 교환기(220, 320)이 핸드오버 등의 서비스 수행시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The asynchronous exchanger 220 and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are also interconnected to the No. 7 common signal network 40 and thereby connected to the dual stack home position register (D-HLR) 50, and the dual stack home position. The register 50 stores and manages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bscription information of the DB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corresponding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bscription information, and the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exchanges 220 and 320 provide services such as handover. It can be referred to when executing.

이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에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영역에 위치하여 음성통화를 이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10)은 현재 접속되어 있는 노드B와의 신호세기 및 인접 기지국과 송수신되는 신호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노드B로 보고하며, 노드B와의 신호세기가 지정된 문턱값 이하로 저하되면, 노드B는 RNC를 통해 비동기 교환기(220)로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보고한다. 이때, 노드B/RNC(210)는 비동기 교환기(220)로 이동통신 단말(10)이 검출한 인접 셀 정보, 기지국 ID 등을 함께 전송한다.In such a network configur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located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area and using the voice call periodically checks the signal strength of the currently connected NodeB and the signal strength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f the signal is measured and reported to NodeB, and the signal strength with NodeB falls below a specified threshold, NodeB reports that a handover event has occurred to RX 220 via RNC. In this case, the Node B / RNC 210 transmits the neighbor cell information, the base station ID, etc. det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the asynchronous switch 220.

비동기 교환기(220)는 RNC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RNC로부터 수신한 인접 셀 정보, 기지국 ID 등을 참조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내의 인접 셀간 핸드오버인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의 핸드오버인지 판단한다. When the asynchronous switch 220 receives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from the RNC,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determines whether it is a handover between adjacent cells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with reference to neighbor cell information, base station ID, and the like received from the RNC.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handover is performed.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내의 인접 셀간 핸드오버인 경우 비동기 교환기(220)는 인접 셀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한편,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의 핸드오버인 경우에는 IIF(60)를 통해 동기 교환기(320)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IIF(60)는 비동기 메시지를 동기 메시지로 변환하여 동기 교환기(320)로 전송하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미리 구축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이 데이터베이스에는 교환기 정보, 신호점, 데디케이트 채널(Dedicate Channel) 관련 중계선 정보 등이 포함된다. IIF(60)는 비동기 교환기(220)로부터의 핸드오버 요청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정보에 따라 핸드오버 대상 교환기(320)를 선택하며, 핸드오버 대상 교환기 ID 등을 포함하는 빌링(Billing) ID를 생성하여 이후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활용한다.In the case of handover between adjacent cells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performs handover to the adjacent cell, and in the case of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through the IIF 60. Handover is made to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To this end, the IIF 60 converts an asynchronous message into a synchronous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must be previously built and managed in a database. The database contains exchange information, signaling points, and trunk line information for the dedicated channel. The IIF 60 selects the handover target exchange 320 according to the handover request from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and generates a billing ID including a handover target exchange ID and the like. It is used in the subsequent handover process.

이와 같은 핸드오버 절차를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handover proced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as follows.

도 2는 이동통신 단말의 음성 통화 중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비동기 교환기와 동기 교환기가 상호연동 운용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교환기간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인 ISUP을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ver method between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a voice cal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n asynchronous exchange and a synchronous exchange are connected by an interoperation unit, and a message exchange protocol during an exchange. The case where ISUP is used is shown.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영역에서 음성통화를 이용하고 있던 이동통신 단말(10)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게 되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의 노드B로부터의 신호 세기 및 인접 기지국(또는 노드B)과의 신호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노드B로 보고한다. 이에 따라, 현재 이동통신 단말(10)과 접속되어 있는 노드B에서 이동통신 단말과 노드B와의 신호세기가 지정된 값 이하인 것을 확인하면 RNC를 통해 비동기 교환기(220)로 핸드오버를 요청한다(IU Reloc Required)(S101).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using the voice call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moves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moved from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Signal is detected from the Node B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and the signal strength with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or Node B) periodically measured and reported to the Node B. Accordingly, when the Node B current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onfirms that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Node B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value, the handover is requested to the asynchronous exchanger 220 through the RNC (IU Reloc). Required) (S101).

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IU Reloc Required)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핸드오버 관련 메시지를 포함한다. 또한, RNC는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인접 기지국 정보(기지국 ID), 인접 셀 정보 등을 함께 전송하며, 비동기 교환기(220)는 이 정보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내의 인접 셀간 핸드오버인지 또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의 핸드오버인지 판단하게 된다. RNC가 비동기 교환기(220)로 전송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IU Reloc Required)는 메시지 타입, 핸드오버 타입, 핸드오버 원인, 소스 기지국 제어기 ID, 타깃 기지국 제어기 ID, RAB(Radio Access Bearer) 정보 및 무선구간 관련 정보와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또한, RNC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Old BSS To New BSS Information 파라미터에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전송한다.This handover request message (IU Reloc Required) includes a handover related message used in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addition, the RNC transmits neighbor base station information (base station ID), neighbor cell information, etc.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gether, and the asynchronous switch 22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dicates whether handover between neighbor cells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andover is made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IU Reloc Required) that the RNC sends to the asynchronous switch 220 includes the message type, handover type, handover cause, source base station controller ID, target base station controller ID, radio access bearer (RAB) information, and radio. It includes parameters such as section relate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RNC additionally transmits the handover related information used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the Old BSS To New BSS Information parameter included in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비동기 교환기(220)는 상호연동 운용부(60)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비동기 메시지를 전송한다(MAP Prep Handover Req)(S102). 이때, 상기 비동기 메시지에 확장 컨테이너를 추가하여 이동통신 단말(10)의 비동기 식별번호(MSISDN)을 함께 전송하며, 이 메시지는 인보크 ID, 타깃 셀 ID, 타깃 무선망 제어기 ID, MSISDN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Upon receiving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transmits an asynchronous message requesting a handover to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60 (MAP Prep Handover Req) (S102). In this case, the expansion container is added to the asynchronous message to transmit the asynchronous identification number (MSISD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message includes parameters such as an invoke ID, a target cell ID, a target radio network controller ID, and an MSISDN. It includes.

이후, 상호연동 운용부(60)는 비동기 교환기(220)로부터 수신한 비동기 가입자 정보(MSISDN)을 참조하여,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50)로 가입자 정보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다(Call Data Request)(S103). 즉, 이동통신 단말(10)의 동기망 식별자(MIN, ESN)를 요청하는 것이다. 단계 S103에서 상호연동 운용부(60)는 듀얼스택 홈위치 등록기(50)로 비동기 메시지(MAP_SEND_IMSI)를 이용하여 가입자의 동기망 식별자 정보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Subsequently,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60 refers to the asynchronous subscriber information (MSISDN) received from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and requests to transmit subscriber information to the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50 (Call Data Request). (S103). That is, to request the synchronization network identifier (MIN, ES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operation S103,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60 may request the subscriber's synchronization network identifier information using the asynchronous message MAP_SEND_IMSI to the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50.

상호연동 운용부(60)의 가입자 정보 요청을 받은 듀얼스택 홈위치 등록기(50)는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해당 가입자의 동기망 식별자 정보(MIN, ESN)를 추출한 후 상호연동 운용부(60)로 전송한다(Call Data Req Ack)(S104). 여기에서, 가입자의 동기망 식별자 정보를 요청하는 동기망 메시지(Call Data Request)는 빌링 ID, 디지트(즉, MSISDN)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그 응답 메시지(Call Data Req Ack)는 ESN, MIN, MSCID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한편, 가입자의 동기망 식별자 정보를 요청할 때 비동기 메시지(MAP_SEND_IMSI)를 이용하는 경우 이 메시지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는 인보크 ID, MSISDN, IMSI, ESN 등을 포함한다.The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50 receiv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interlocking operation unit 60 searches the database, extracts the subscriber's synchronization network identifier information (MIN, ES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60. (Call Data Req Ack) (S104). Here, the call data request for the subscriber's sync network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s a parameter such as a billing ID, a digit (ie, MSISDN), and the response message (Call Data Req Ack) is an ESN, MIN. , Parameters such as MSCID.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asynchronous message (MAP_SEND_IMSI) when requesting the subscriber's synchronization network identifier information, the parameters included in this message include the Invoke ID, MSISDN, IMSI, ESN.

듀얼스택 홈위치 등록기(50)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이를 수신한 상호연동 운용부(60)는 동기 교환기(320)로 핸드오버를 지시하며(Facilities Directive2)(S105), 동기 교환기(320)는 기지국 제어기/기지국(310)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한다(Handoff Request)(S106).Receiv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from the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50, the interlocking operation unit 60 instructs the handover to the synchronization switch 320 (Facilities Directive2) (S105), the synchronization switch 320 is the base station controller Request handover to the base station 310 (Handoff Request) (S106).

이와 같이, 상호연동 운용부(60)는 동기 교환기(320)로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Facilities Directive2)를 전송하기 전, 빌링(Billing) ID를 생성하여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Facilities Directive2)에 포함하며, 핸드오버 구간별 내부 교환기 서킷 ID(InterMSCCircuitID)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여기에서, 빌링 ID는 비동기 교환기(220)와 접속할 동기 교환기(320)의 ID 정보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rlocking operation unit 60 generates a billing ID and includes the billing ID in the handover instructions message (Facilities Directive2) before transmitting the handover instructions message (Facilities Directive2) to the synchronization exchanger 320. The switch includes an internal exchange circuit ID (InterMSCCircuitID) for each handover section. Here, the billing ID includes ID information of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to be connected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교환기(320)로부터 핸드오버 요청을 받은 기지국/기지국 제어기(310)는 전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로 널(NULL) 프레임을 전송(null Forward Traffic Channel frames)함으로써 전방향 채널이 할당되게 되고(S107), 이어서 기지국/기지국 제어기(310)는 교환기(320)로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Handoff Request Ack)를 전송한다(S108). 또한, 교환기(320)는 상호연동 운용부(60)로 핸드오버 지시에 대한 응답 메시지(Facilities Directive2 Ack)를 전송하고(S109), 상호연동 운용부(60)는 비동기 교환기(220)로 단계 S102의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MAP Prep Handover Resp)를 전송한다(S110). 이에 따라 비동기 교환기(220)와 동기 교환기(320) 간의 중계선이 설정되게 된다.The base station / base station controller 310 receiving the handover request from the switch 320 transmits a null frame to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forward traffic channel. The base station / base station controller 310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Handoff Request Ack) to the switch 320 (S108). In addition, the exchange 320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Facilities Directive2 Ack) to the handover instruction to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60 (S109), and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60 transmits the step S102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unit 220. In step S110, a response message (MAP Prep Handover Resp) for a handover request is transmitted. Accordingly, the relay line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and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is set.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호연동 운용부(60)는 논리적인 중계선 설정 식별자인 데이케이트 채널과 물리적인 중계선과의 매핑 관계를 설정하고, 이 정보를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Facilities Directive2)의 내부 교환기 서킷 ID(InterMSCCircuitID)로 설정하여 동기 교환기(320)로 전송하며, 동기 교환기(320)로부터 응답 메시지(Facilities Directive2 Ack)가 전송되면 비동기 교환기(220)와 동기 교환기(320) 간에 중계선이 설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호연동 운용부(60)와 동기 교환기(320) 간에 송수신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Facilities Directive2)는 빌링 ID, ESN, 내부 교환기 서킷 ID, MIN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그 응답 메시지(Facilities Directive2 Ack)는 CDMA 채널 데이터, CDMA 채널 리스트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60 establishes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a date channel, which is a logical trunk line setting identifier, and a physical trunk line, and sets this information to an internal exchange circuit of a handover request message (Facilities Directive2). It is set to ID (InterMSCCircuitID) and transmitted to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When a response message (Facilities Directive2 Ack) is transmitted from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a relay line is established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and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Facilities Directive2)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60 and the synchronization exchanger 320 includes parameters such as billing ID, ESN, internal exchange circuit ID, MIN, and the like, and the response message (Facilities Directive2 Ack). ) Includes parameters such as CDMA channel data, CDMA channel list, and the like.

이어서, 비동기 교환기(220)가 상호연동 운용부(60)로 초기 주소 메시지인 IAM(Initial Address Message)를 전송하고, 상호연동 운용부(60)가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ACM(Address Completion Message)를 전송함으로써 비동기 교환기(220)와 동기 교환기(320) 간에 트렁크 설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의해 호가 라우팅되게 된다(S111, S112). 트렁크 설정을 위한 교환기간 메시지는 ISUP에 의해 송수신된다.Subsequently,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transmits an initial address message (IAM), which is an initial address message, to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60, and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60 transmits an address completion message (ACM) as a response thereto. By doing so, the trunk setup is made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and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whereby the call is routed (S111, S112). The exchange duration message for trunk establishment is sent and received by the ISUP.

이와 같이, 교환기간 중계선 및 트렁크가 설정된 후, 비동기 교환기(220)는 노드B/RNC(210)로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할당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하고(IU Relocation Command)(S113), 이를 수신한 노드B/RNC(210)는 이동통신 단말(10)의 비동기 모뎀부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요청한다(Handover from UTRAN Command)(S114). 여기에서, 자원 할당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메시지(IU Relocation Command)는 메시지 타입, RRC 컨테이너, 해제할 RAB 리스트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As such, after the switching period relay line and trunk are established,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reports that the resource allocation for handover is completed to the Node B / RNC 210 (IU Relocation Command) (S113), and the node receiving the same. The B / RNC 210 requests to perform handover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Handover from UTRAN Command) (S114). Here, the message (IU Relocation Command) reporting that resource allocation is completed includes parameters such as message type, RRC container, RAB list to release, and the like.

이후,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는 동기 모뎀부로 채널 할당 정보를 전송하고(Channel Assignment)(S115), 상호연동 운용부(60)는 비동기 교환기(220)로 액세스 신호를 요청하는데(MAP Process Access Signaling Req)(S116), 엑세스 신호는 인보크 ID, 응용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APDU), 선택된 무선 자원 정보 등을 포함한다.Subsequently,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channel assignment information to the synchronous modem unit (Channel Assignment) (S115), and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60 requests an access signal to the asynchronous exchanger 220 (MAP Process Access Signaling). Req) (S116), the access signal includes an invoke ID, an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APDU), selected radio resource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기지국 제어기(310)로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프레임 또는 프리엠블을 전송하고(Reverse Traffic Channel Frames or Traffic Channel Preamble)(S117),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며(Handoff Completion Message)(S118), 이를 수신한 기지국/기지국 제어기(310)가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BS Ack Order)(S119). 그러면, 동기 모뎀부는 비동기 모뎀부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Call Connection)(S120).In addition,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frame or preamble through the reverse traffic channel to the base station / base station controller 310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verse Traffic Channel Frames or Traffic Channel Preamble) (S117), handover The base station / base station controller 310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BS Ack Order) (S119). Then, the synchronous modem unit notifies the asynchronous modem unit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completed (Call Connection) (S120).

현재는,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접속이 완료되는 단계(S120) 이후에 보코더를 절환하는데, 이렇게 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이 보코더를 절환하는 시점에 이르기까지 묵음 구간이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보코더 전환 시점에 이동통신 단말의 보코더를 절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이 지정된 시간으로 세팅된 타이머를 구동하도록 한다(S121).Currently, the synchronous coder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witches the vocoder after the step of completing the connection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120), so that the silent section occurs until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witches the vocode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be able to switch the voco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e time of switching the voco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rive a timer set to a specified time (S121).

한편, 기지국/기지국 제어기(310)는 교환기(320)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고(Handoff Complete)(S122), 교환기(320)는 상호연동 운용부(60)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Mobile On Channel)(S123).Meanwhile, the base station / base station controller 310 reports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d to the switch 320 (Handoff Complete) (S122), and the switch 320 notifies the interworking operation unit 60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d. (Mobile On Channel) (S123).

이동통신 시스템의 보코더 절환 시점은 비동기 교환기(220)가 상호연동 운용부(60)로부터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받는 단계(S123) 후에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가 비동기 모뎀부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접속 완료를 보고한 후, 비동기 교환기가 동기 교환기로부터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시간동안 이동통신 단말의 타이머를 구동하도록 하여, 타이머 구동이 완료되면 이동통신 단말의 보코더가 절환되도록 하는 동시에(S124) 이동통신 시스템의 보코더 또한 절환되도록 한다(S125).Vocoder switching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made after the step (S123) that the asynchronous switch 220 is reported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d from the interlocking operation unit 6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After reporting the completion of the connection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asynchronous exchange causes the tim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un for a time reporting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d from the synchronous exchange, and when the timer is completed, the voco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witches. At the same time (S124), the voco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lso switched (S125).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과 이동통신 시스템의 보코더가 동시에 절환되게 되고 묵음 구간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voco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 simultaneously switched and the occurrence of the silent section can be minimized.

다음에, 상호연동 운용부(60)가 비동기 교환기(220)로 접속을 해제할 것을 요청하고(MAP Send End Signal Req)(S126), 비동기 교환기(220)로 동기 교환기(320)와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 후(ANSWER)(S127), 비동기 교환기(220)와 노드B/RNC간에 접속이 해제된다(IU Release Command, IU Release Complete)(S128, S129).Next, the interlocking operation unit 60 requests to release the connection to the asynchronous switch 220 (MAP Send End Signal Req) (S126), and the asynchronous switch 220 to the synchronous switch 32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transmitt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access (ANSWER) (S127), the connection is released between the asynchronous switch 220 and the NodeB / RNC (IU Release Command, IU Release Complete) (S128, S129).

이상에서 설명한 절차에 의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성통화 중인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가 완료되고 난 후, 호 해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 해제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에 있는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먼저 요청되거나,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으로 핸드오버한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먼저 요청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에 있는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이 호 해제를 요청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After the handover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voice call is completed by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the call release process will be described. The call release may be requested first from the subscrib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a or first from the subscrib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nded 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a. A case in which a subscrib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s call release is described.

이동통신 단말이 호를 해제함에 따라, 비동기 교환기(220)와 동기 교환기(320) 간의 호가 해제되고(Call Release)(S130), 교환기 간의 트렁크 접속이 해제되게 되게 된다(Release)(S131). 이 후, 비동기 교환기(220)는 상호연동 운용부(60)로 접속 해제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고(MAP Send End Signal Resp)(S132), 상호연동 운용부(60)는 동기 교환기(320)로 호 해제 요청 메시지(Facilities Release)를 전송하며(S133), 이 메시지를 수신한 동기 교환기(320)가 이에 응답함에 따라(Facilities Ack)가 교환기간에 설정되어 있던 중계선 설정이 해제되게 된다(S134). 여기에서, 호 해제 요청 메시지(Facilities Release)는 내부 MSC 서킷 ID, 해제 이유, 빌링 ID, MIN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그 응답 메시지(Facilities Ack)는 빌링 ID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leases the call, the call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and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is released (Call Release) (S130), and the trunk connection between the exchange is released (Release) (S131). Thereafter,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reports that the disconnection is completed to the interlocking operation unit 60 (MAP Send End Signal Resp) (S132), the interlocking operation unit 60 calls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The release request message (Facilities Release) is transmitted (S133), and as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receiving the message responds thereto (Facilities Ack), the relay line set up in the exchange period is released (S134). Here, the call release request message (Facilities Release) includes parameters such as internal MSC circuit ID, release reason, billing ID, MIN, etc., and the response message (Facilities Ack) includes parameters such as billing ID.

본 발명에서, 비동기 교환기는 RNC의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핸드오버인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인지를 결정한다. 또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로 확인된 경우 상호연동 운용부(IIF)를 컨버터로 하고 교환기간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인 ISUP을 이용하여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면서 핸드오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상호연동 운용부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synchronous exchange determines whether the handover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the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handover request of the RNC. In addi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performed, the handover is performed while the interworking operation unit (IIF) is used as a converter and the message is exchanged with the exchange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ISUP, which is a message exchange protocol. In order to do this, the interoperational operation unit must construct and store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in advance in a database.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이 보코더를 절환한 후부터 이동통신 시스템이 보코더를 절환하기까지 묵음 구간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의 보코더를 동시에 절환하도록 함으로써,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의 핸드오버시 묵음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ilent period 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witches the vocoder until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witches the vocoder, by simultaneously switching the voco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voice call service When using the handover, the silence period can be minimiz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중첩되어 있고, 두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가 상호연동 운용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교환기간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인 ISUP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이 음성 통화 중에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묵음 구간을 최소화함으로써 핸드오버 중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superimposed o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exchanges of the two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re connected by the interoperation unit, and handover is performed using the ISUP which is the message exchange protocol of the exchange period. When the dual band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a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a during a voice call, the quality of service during handover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silence perio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묵음 구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ver method between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for minimizing a silent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DBDM 이동통신 단말 20 :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10: DB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40 : No.7 공통신호망30: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40: No.7 common signal network

50 : 듀얼스택 홈위치 등록기 60 : 상호연동 운용부50: dual stack home position register 60: interlocking operation unit

70 : IP 망 210 : 노드B/무선망 제어기70: IP network 210: Node B / wireless network controller

220 : 비동기 교환기 230 : SGSN220: asynchronous exchange 230: SGSN

240 : GPRS망 250 : GGSN240: GPRS network 250: GGSN

310 : 기지국/기지국 제어기 320 : 교환기310: base station / base station controller 320: switchboard

330 :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340 : 데이터 코어망330: packet data service node 340: data core network

Claims (16)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재되어 있고,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호연동 운용부에 의해 접속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가능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음성통화 중 묵음구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핸드오버 방법으로서,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 mixed, and where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 connected by an interlocking operation unit,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a handover method for minimizing a silent period during a voice call of a possible dual band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비동기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전송을 요청하고 수신하는 단계;Sending, by the asynchronous exchange, a handover request message to the interoperation unit, and the interoperation unit requesting and receiving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동기 교환기로 핸드오버를 지시하고, 상기 동기 교환기가 상기 기지국 제어기/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단계;The interoperation operator instructing a handover to the synchronous exchange, and the synchronous exchange requesting a handover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방향 트래픽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동기 교환기로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Assigning, by the base station / base station controller, an omnidirectional traffic channe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to the handover request to the synchronous exchange; 상기 동기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핸드오버 지시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비동기 교환기로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동기 교환기 간의 중계선이 설정되는 단계;The synchronous exchange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for a handover instruction to the interoperation operator, and the interoperation operator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for a handover request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thereby establishing a relay line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the synchronous exchange. Becoming; 상기 비동기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초기 주소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동기 교환기 간의 트렁크 설정이 이루어지는 단계;The asynchronous exchange transmitting an initial address message to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and receiving a response thereto, thereby establishing a trunk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the synchronous exchange; 상기 비동기 교환기가 상기 무선망 제어기로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할당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단계;Reporting, by the asynchronous exchange, that resource allocation for handover has been completed to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상기 무선망 제어기가 상기 노드B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핸드오버를 지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접속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Instructing the wireless network controller to handov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node B,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witches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nected mode;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비동기 교환기로 액세스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by the interoperation operator, an access signal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로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프레임 또는 프리엠블을 전송하고,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단계;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a frame or preamble through a reverse traffic channel to the base station / base station controller and reporting that handover is completed;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접속을 완료함에 따라,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Driving a timer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letes the connection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교환기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고, 상기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단계;Reporting, by the base station / base station controller,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 to the exchange, and notifying the interoperation operator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타이머 구동을 만료하고 보코더를 절환하는 단계;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piring timer driving and switching a vocoder;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동기 교환기간의 보코더를 절환하는 단계; 및Switching a vocoder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a synchronous exchange period; And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노드B/무선망 제어기간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Releasing a connection between the asynchronous switch and a Node B / wireless network controller;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Handover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동기 교환기 간의 트렁크 설정이 이루어지는 단계는 상기 비동기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ISUP 메시지인 IAM(Initial Address Message)을 전송하고,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비동기 교환기로 ISUP 메시지인 ACM(Address Completion Message)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In the step of establishing a trunk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the synchronous exchange, the asynchronous exchange transmits an initial address message (IAM), which is an ISUP message, to the interoperable operating unit, and the interoperable operating unit is an ISUP message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Handove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by transmitting a Completion Messag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노드B/무선망 제어기간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비동기 교환기로 접속을 해제할 것을 요청하고, ISUP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 교환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되었음을 보고하는 과정; 및The step of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the Node B / wireless network controller may include requesting that the interoperable operating unit release the connection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using the ISUP message, the synchronous exchang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porting that you are connected; And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노드B/무선망 제어기 간에 접속이 해제되는 과정;Disconnec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a Node B / wireless network controller; 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Handover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망 제어기가 상기 비동기 교환기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핸드오버 관련 메시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인접 셀 정보, 인접 기지국 정보와, 핸드오버 타입, 핸드오버 원인, 소스 기지국 제어기 ID, 타깃 기지국 제어기 ID, RAB 정보, 무선구간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The step of transmitting a handover request message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by the wireless network controller may include a handover related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neighbor cell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ighbor base station information, handover type, And a parameter including a handover cause, a source base station controller ID, a target base station controller ID, RAB information, and radio section related informatio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비동기 교환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인접 셀 정보, 인접 기지국 정보를 참조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내의 핸드오버인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The asynchronous exchange further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handover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the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y referring to the neighbor cell information and the neighbor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동기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식별번호(MSISDN)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In the step of the asynchronous exchange to send a handover request message to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handove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also transmits asynchronous identification number (MSISD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수신하는 가입자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망 식별자(MIN, ES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The subscriber information received by the interoperation manager from the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includes a synchronization network identifier (MIN, ES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는 동기 메시지 또는 비동기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And requesting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by the interoperation manager using one of a synchronous message and an asynchronous messag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는 상기 동기 교환기로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접속할 동기 교환기의 ID 정보를 포함하는 빌링(Billing) ID를 생성하여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며, 핸드오버 구간별 내부 교환기 서킷 ID(InterMSCCircuitID)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The interlocking operation unit generates a billing ID including the ID information of the synchronous exchange to be connected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before transmitting the handover instruction message to the synchronous exchang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billing ID in the handover instruction message. A handover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with an internal exchange circuit ID (InterMSCCircuitID) for each over interv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동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빌링 ID, ESN, 내부 교환기 서킷 ID, MIN을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는 CDMA 채널 데이터, CDMA 채널 리스트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The handover request message transmitted by the interoperation manager to the synchronous exchange includes a parameter including a billing ID, an ESN, an internal exchange circuit ID, and a MIN, and the response message sent by the synchronous exchange to the interoperation manager is CDMA. And a parameter including a channel data and a CDMA channel lis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동기 교환기가 상기 무선망 제어기로 자원 할당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자원 할당 완료 메시지는 메시지 타입, RRC 컨테이너, 해제할 RAB 리스트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In the step of the asynchronous exchange transmitting a resource allocation complete message to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the resource allocation complete message further comprises a parameter including a message type, an RRC container, and a list of RABs to be released.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액세스 신호는 인보크 ID, 응용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APDU), 선택된 무선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The access signal includes an invoke ID, an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APDU), and selected radio resource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노드B/무선망 제어기 간에 접속이 해제되는 단계 이후,After the step of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the Node B / wireless network controller, 착신 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호 해제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호 해제 요청을 수신한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교환기간 트렁크 접속 해제 및 호 해제를 요청하고,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하 호 해제를 요청하지 않은 교환기로 호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호 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비동기 교환기 및 동기 교환기간에 설정되어 있던 중계선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When a call release request is received from an incoming or outgo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exchange receiving the call release request requests the trunk interworking connection release and call release to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unit, and does not request the interoperation operation load call release. And a relay line set during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the synchronous exchange period as the exchange receiving the call release request message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to the interoperation unit. Handover method.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호 해제 요청 메시지는 내부 MSC 서킷 ID, 해제 이유, 빌링 ID, MIN을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빌링 ID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And the call release request message includes a parameter including an internal MSC circuit ID, a release reason, a billing ID, and a MIN, and the response message includes a parameter including a billing I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노드B/무선망 제어기간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이후,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의 이동통신 단말이 호를 해제함에 따라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동기 교환기 간의 호가 해제되는 단계;Releasing the call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the synchronous exchange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a releases the call after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the Node B / Wireless Network Controller;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동기 교환기 간의 트렁크 접속이 해제되는 단계; 및Releasing a trunk connection between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the synchronous exchange; And 상기 비동기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접속 해제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함에 따라,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동기 교환기로 호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동기 교환기 상기 호 해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함으로써 상기 중계선 설정이 해제되는 단계;As the asynchronous exchange reports that the disconnection is completed to the interoperation operator, the interoperation operator transmits a call release request message to the synchronous exchange, and the relay line setup is established by responding to the call release request message. Released; 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Handover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호 해제 요청 메시지는 내부 MSC 서킷 ID, 해제 이유, 빌링 ID, MIN을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빌링 ID 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The call release request message includes a parameter including an internal MSC circuit ID, a release reason, a billing ID, and a MIN, and the response message includes a parameter including a billing ID.
KR1020040016135A 2004-03-10 2004-03-10 Handover Method Using Interworking Interoperability Function and ISUP for Minimization of Mute Interval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KR1006126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35A KR100612675B1 (en) 2004-03-10 2004-03-10 Handover Method Using Interworking Interoperability Function and ISUP for Minimization of Mute Interval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PCT/KR2005/000676 WO2005112306A1 (en) 2004-03-10 2005-03-10 Inter-system handover
JP2007502718A JP4764415B2 (en) 2004-03-10 2005-03-10 Inter system handover
CN2005800129350A CN1973455B (en) 2004-03-10 2005-03-10 Inter-system handover
US10/592,341 US7983676B2 (en) 2004-03-10 2005-03-10 Inter-system handover
BRPI0508153-0A BRPI0508153A (en) 2004-03-10 2005-03-10 intersystem hand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35A KR100612675B1 (en) 2004-03-10 2004-03-10 Handover Method Using Interworking Interoperability Function and ISUP for Minimization of Mute Interval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857A true KR20050090857A (en) 2005-09-14
KR100612675B1 KR100612675B1 (en) 2006-08-14

Family

ID=3727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135A KR100612675B1 (en) 2004-03-10 2004-03-10 Handover Method Using Interworking Interoperability Function and ISUP for Minimization of Mute Interval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12675B1 (en)
CN (1) CN1973455B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306B1 (en) * 2006-09-04 2013-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of cell information
KR101406363B1 (en) * 2007-06-22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Handover method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2486B1 (en) * 1998-12-22 2003-04-01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ple technology vocoder and an associat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350481B1 (en) * 1999-12-30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hand-off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3528507A (en) 2000-03-23 2003-09-24 シーメンス モービル コミュニケイションズ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Handover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306B1 (en) * 2006-09-04 2013-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of cell information
KR101406363B1 (en) * 2007-06-22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Handover method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2675B1 (en) 2006-08-14
CN1973455A (en) 2007-05-30
CN1973455B (en)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9794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handover method in which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are capable of handov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764415B2 (en) Inter system handover
US200801376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Handover Only Trunk Line Between Mobile Switching Centers For Handover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JP4657286B2 (en) Method for handov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mixed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networks
KR100612675B1 (en) Handover Method Using Interworking Interoperability Function and ISUP for Minimization of Mute Interval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KR100561685B1 (en) Method for Management of Handover Only Trunk Line Between Mobile Switching Center for Handover Using Interworking Interoperability Function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KR100612677B1 (en) Method for Handov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During Active State
KR100612676B1 (en) Handover Method for Minimization of Mute Interval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KR100612679B1 (en) Handover Method Using Interworking Interoperability Function for Minimization of Mute Interval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KR101005176B1 (en)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589947B1 (en) Method for Processing of Radio Resource Information for Handover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JP4882029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handover method in which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are capable of handov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89948B1 (e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Handover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ndover Method During Termination Alerting
KR100601851B1 (e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Handover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ndover Method in the Same
KR100625658B1 (en) Method for Handov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Waiting for Answer of Called Subscriber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589950B1 (e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Handover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ndover Method During Waiting for Answer of Called Subscriber
KR100976935B1 (en)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612678B1 (en) Method for Handov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Termination Alerting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589953B1 (en) Hand Over Method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548734B1 (en) Method for Management of Handover Only Trunk Line Between Mobile Switching Center for Handover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KR101217886B1 (en)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048182A (en) Method for acquirement of subscriber information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048186A (en) Method for transcoding of voice for handover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