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263A -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message sending mode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message sending m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263A
KR20050089263A KR1020040014592A KR20040014592A KR20050089263A KR 20050089263 A KR20050089263 A KR 20050089263A KR 1020040014592 A KR1020040014592 A KR 1020040014592A KR 20040014592 A KR20040014592 A KR 20040014592A KR 20050089263 A KR20050089263 A KR 20050089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message
data
inputting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5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4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9263A/en
Publication of KR2005008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263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02F2001/4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using cation excha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번호입력 방법이,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일정숫자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숫자를 포함하는 번호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된 번호들 중 선택된 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inputting a number in a message transmission mode of a mobile terminal, inputting a predetermined number in a message transmission mode, searching and outputting a number including the predetermined number, and selecting a selected number from the output numb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consists of sending a message to.

Description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번호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MESSAGE SENDING MODE}  How to enter number in message transmission mode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MESSAGE SENDING MOD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편리하게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essage transmission in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veniently entering a number in a message transmission mode.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메시지 모드로 전환하여 문장을 작성한 후 수신번호를 입력한다. 상기 수신번호입력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번호를 직접입력하거나 또는 폰 북 전체를 검색등의 과정을 통해 상기 수신번호를 입력해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신번호 입력과정에서 번호를 외워 직접입력하거나 폰 북 전체를 검색하여 번호를 검색하는 과정은 여러 번의 키 조작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다. When a message is transmitted from a general portable terminal,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switches to the message mode, writes a sentence, and inputs a received number. When the reception number is input,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must input the reception number directly or through the process of searching the entire phone book.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retrieving the number by memorizing the number directly or searching the entire phone book is not only necessary to operate a number of keys but also inconveniences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모드에서 간편하게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asily entering a number in a message mode of a mobile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번호입력 방법이,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일정숫자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숫자를 포함하는 번호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된 번호들 중 선택된 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 number input method in a message transmission mode of a mobi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inputting a predetermined number in the message transmission mode, searching for and outputting a number including the predetermined number, and outputting the numb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selected number.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번호입력 방법이, 일정숫자 입력 시, 상기 일정숫자를 포함하는 번호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된 번호 중 해당번호를 선택 후 메시지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모드에서 상기 선택된 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number input method in the message transmiss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to achieve the above object, when inputting a certain number,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nd outputting a number including the predetermined number, and selecting a corresponding number from the output number message Switching to a mode, and 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selected number in the message mo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represent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amera.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은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RF unit 123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RF unit 123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The data processor 120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That is, the data processor 123 may be configured of a modem and a codec CODDEC.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The audio processor 125 reproduces the receiv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120 or transmits a transmissio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phone to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120.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입력된 일정숫자를 포함하는 번호를 폰 북에서 검색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emory 130 may include program memory and data memories. The program memory may store programs for controlling a genera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grams for searching and outputting a number including a predetermined number input from the phone 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memory also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s.

제어부110은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1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일정숫자 일력 시 상기 일정숫자를 포함하는 번호를 폰 북에서 검색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may include the data processor 12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o search for and output a number including the predetermined number in the phone book when a certain number of calenda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부(camera module)14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The camera module 140 includes a camera sensor for capturing image data, converting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analog image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Herein, it is assumed that the camera sensor is a CCD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addition, the camera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or may be separately implemented.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5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15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40. The image processor 150 processe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40 in units of frames, and outputs the fram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size of the display unit 160.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50 includes an image codec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ssing the fram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in a set manner or restoring the compressed frame image data to the original frame image data. The image codec may be a JPEG codec, an MPEG4 codec, a wavelet codec, or the like.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processor 150 has an On Screen Display (OSD) function, and may output on-screen display data according to a screen size display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표시부160은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입력된 일정숫자를 포함하는 번호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키입력부1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The display unit 160 display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50 on the screen, and displays the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10. The display unit 160 may use an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60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nd an LCD display device. In this cas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using a touch screen method, the LCD may operate as an input unit.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60 controls to display numbers including a predetermined number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put unit 127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 시 사용자가 키입력부127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 정보를 처리한 후 RF부123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123 및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 시 상기 제어부110은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링 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160 상에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1, when a user performs a dialing operation through a key input unit 127 and sets a transmission mode,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is and dials the received data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After processing the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an RF signal through the RF unit 123 and output. Thereafter, when the other subscriber generates the response signal, the counter subscriber detects this through the RF unit 123 and the data processor 120. Thereafter, a user establishes a voice call path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25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In addition, in the incoming mode,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e incoming mode through the data processor 120 and generates a ring signal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25. Thereafter, when the user responds,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a voice call path is formed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25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In the outgoing and incoming modes, voice communica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mmunicating packet data and image data in addition to the voic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performing a standby mode or text communication, the controller 110 displays text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or 120 on the display 160.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번호입력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모드에서 번호입력방법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SMS(Short Message Service) 모드뿐만 아니라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모드등 번호입력을 통한 전송모드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umber input process in a message transmission mod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inputting a number in an SMS (Short Message Service) mod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Applicab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대기모드인 201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SMS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전송할 문장을 작성하는 203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통화모드 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27에 구비된 메뉴 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통화메뉴의 종류를 표시한다. 상기 통화메뉴의 종류 중 SMS모드 선택 시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SMS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SMS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는 전송할 문장을 작성한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selects the SMS mode in step 201, which is a standby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and proceeds to step 203 in which a sentence is transmitted. Alternatively, if the user inputs a menu key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27 in the call mode,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displays the type of the call menu. When the SMS mode is selected among the types of the call menu,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controls to switch to the SMS mode. In the SMS mode, the user writes a sentence to send.

상기 문장 작성 후 상기 사용자가 확인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수신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창을 표시한다. 상기 수신번호 입력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일정숫자를 입력 시 상기 제어부110은 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폰 북에서 상기 입력된 일정숫자를 포함하는 번호들을 검색하는 2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폰 북의 검색과정을 통해 상기 일정숫자를 포함하는 번호들을 검출 시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검색된 번호들을 표시하는 2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번호들 중 해당번호를 선택 시, 상기 제어부110은 2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발신번호를 입력 후 상기 선택된 수신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209단계를 진행한다. If the user inputs a confirmation key after writing the sentence,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is in step 204 and displays a window for inputting a reception number. When the user inputs a certain number in the reception number input mode,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is in step 205 and proceeds to step 206 in which the phone book searches for numbers including the input fixed number. When detecting numbers including the predetermined number through the search process of the phone book,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display the retrieved numbers. When the user selects the corresponding number among the displayed numbers,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it in step 208 and enters the calling number and then proceeds to step 209 in which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elected reception number.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번호입력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모드에서 번호입력방법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SMS(Short Message Service) 모드뿐만 아니라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모드등 번호입력을 통한 전송모드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umber input process in a message transmission mod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inputting a number in an SMS (Short Message Service) mod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Applicab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대기모드 또는 통화모드인 301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일정숫자를 입력 시, 상기 제어부110은 3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폰 북에서 상기 입력된 일정숫자를 포함하는 번호들을 검색하는 3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폰 북의 검색과정을 통해 상기 일정숫자를 포함하는 번호들을 검출 시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검색된 번호들을 출력하는 3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번호들 중 해당번호를 선택 시, 상기 제어부110은 3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번호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27에 구비된 메뉴 키를 입력 시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메뉴종류를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뉴종류 중 SMS 선택 시 상기 제어부110은 3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SMS 모드로 전환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inputs a certain number in step 301, which is a standby mode or a call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302 and selects a phone book stored in the memory 130. In step 303, a number is searched for a number including the input fixed number. When detecting the number including the predetermined number through the search process of the phone book,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output the retrieved numbers. When the user selects a corresponding number among the displayed numbers,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305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display the selected number. At this time, when the user inputs a menu key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27,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displays a menu type. When the user selects the SMS from the menu types,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is in step 306 and switches to the SMS mode.

상기 SMS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는 307단계에서 전송할 문장을 작성한다. 상기 문장을 작성한 후 확인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번호를 수신번호로 하여 상기 작성된 문장을 전송하는 308단계를 진행한다. In the SMS mode, the user writes a sentence to be transmitted in step 307. After writing the sentence and inputting a confirmation key,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transmits the written sentence using the selected number as a reception number.

상기 문장작성 후 확인키를 입력 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수신번호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표시된 수신번호를 취소한 후 다시 일정번호를 입력하여 해당수신번호를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다. When the confirmation key is input after the sentence is written,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display the selected reception number. At this time, the user may cancel the displayed received number and input a certain number again to search for and use the corresponding received number.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embodiment such as a mobile terminal has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모드에서 일정숫자 입력만으로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직접 번호를 입력하거나 폰 북 전체를 검색해하는 불편함을 줄여 사용자에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directly entering a number or searching the entire phone book by inputting a number using only a predetermined number in the message mode of the mobile terminal.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번호입력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umber input process in a message transmission mod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번호입력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umber input process in a message transmission mod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번호입력 방법에 있어서,A number input method in a message transmission mode of a mobile terminal,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일정숫자를 입력하는 과정과,Inputting a certain number in the message transmission mode, 상기 일정숫자를 포함하는 번호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과정과,Searching for and outputting a number including the predetermined number; 상기 출력된 번호들 중 선택된 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And transmitting a message to a selected number among the output numbers.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번호입력 방법에 있어서,A number input method in a message transmission mode of a mobile terminal, 일정숫자 입력 시, 상기 일정숫자를 포함하는 번호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과정과,Searching for a number including the predetermined number and outputting the predetermined number; 상기 출력된 번호 중 해당번호를 선택 후 메시지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Switching to a message mode after selecting a corresponding number among the output numbers; 상기 메시지 모드에서 상기 선택된 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And 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selected number in the message mode.
KR1020040014592A 2004-03-04 2004-03-04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message sending mode KR200500892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592A KR20050089263A (en) 2004-03-04 2004-03-04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message sending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592A KR20050089263A (en) 2004-03-04 2004-03-04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message sending m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263A true KR20050089263A (en) 2005-09-08

Family

ID=3727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592A KR20050089263A (en) 2004-03-04 2004-03-04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message sending m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926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7509A (e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in video telephone mode of wireless terminal
KR100678248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78130B1 (en) Method for perform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100630165B1 (en) Method for searching phone number in wireless terminal
KR100678261B1 (en)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in wireless terminal
KR100557096B1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wireless terminal with both camera
KR20060136235A (en) Method for perform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100724892B1 (en) Method for calling using inputted character in wireless terminal
KR100640348B1 (en) Method for displaying of call list in wireless terminal
KR100547769B1 (en) How to send a phone number during a call on your mobile device
KR100630184B1 (en) Method for calling using message in wireless terminal
KR20050089263A (en)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message sending mode
KR10060606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f power off in wireless terminal
KR100810362B1 (en) Method for performing file of external memory in wireless terminal
KR100605956B1 (en) Method for sending short message service in wireless telephone
KR10100286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tive mode in wireless terminal typing slide
KR100689409B1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external display unit of wireless terminal
KR100557152B1 (en) Method for executing of multi abbreviated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KR100547807B1 (en) How to send a message from your mobile device
KR100663531B1 (en) Method for displaying clock in wireless terminal
KR100605875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number while taking over ?he telephone in wireless terminal
KR20050053887A (en) Method for searching data in wireless terminal
KR100678030B1 (en) Method for performing automatic response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67080A (en) Method for deleting message in mobile telephone
KR100741427B1 (en) Method for displaying of messages in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