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0802A - Furnish method for road-information - Google Patents

Furnish method for road-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0802A
KR20050080802A KR1020040008906A KR20040008906A KR20050080802A KR 20050080802 A KR20050080802 A KR 20050080802A KR 1020040008906 A KR1020040008906 A KR 1020040008906A KR 20040008906 A KR20040008906 A KR 20040008906A KR 20050080802 A KR20050080802 A KR 20050080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information
lane
road information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9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시중
지원철
Original Assignee
김시중
지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중, 지원철 filed Critical 김시중
Priority to KR1020040008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0802A/en
Publication of KR20050080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802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60Riveting or staking
    • B29C65/601Riveting or staking using extra riveting elements, i.e. the rivets being non-integral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도로의 상황에 마추어 지속적인 시간으로 도로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주행중 운전자에게 도로정보를 충분히 제공토록 하는 도로정보제공방법이 개시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the road information to the driver while driving, by providing the road information to the driver in a continuous time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of the road is disclosed.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도로의 차량 진행방향을 유도하는 연속적으로 진행된 차선에 의해 주행중 운전자에게 지속적인 도로정보가 부가되게 차선에 도로정보에 마추어 이종의 색깔로서 도로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to display the road information as a heterogeneous color in addition to the road information in the lane so that the continuous road information is added to the driver while driving by the continuously progressing lane to induce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ad.

여기서, 상기 도로정보는 U-턴이 허락되는 도로구역인 경우, 중앙선에 근접된 도로차선에서 주변도로차선과 이종의 색깔로 그 허락을 표시하여 지속적인 정보를 차선에서 제공하는 것이며, 연속된 주행방향이 유도되는 굴곡된 도로에서 굴곡의 출구에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경우, 그 굴곡의 입구부분에 근접된 도로차선에 이종의 색깔구역으로 이를 표시하여 횡단보도가 존재함을 지속적으로 경고하도록 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road information is a road area in which a U-turn is allowed, and the road information adjacent to the center line indicates the permission of the road lane and the heterogeneous color of the surrounding lane to provide continuous information in the lane. If there is a pedestrian crossing at the exit of the bend in the induced curved road, the road lanes near the entrance of the bend are marked with heterogeneous colored zones to continuously warn that the crosswalk is present.

또한, 상기 도로정보는 버스 전용차로의 종류에 따라 이종의 색깔로 구분하여 버스 전용차로의 종류에 따라 그 사용 구역을 구분하는 지속적인 정보를 버스전용차선에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ad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s-only lane provides continuous information to distinguish the use zone according to the type of bus-only lanes, divided into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type of bus-only lanes.

Description

도로정보제공방법{Furnish Method for Road-Information}Roa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Furnish Method for Road-Information}

본 발명은 도로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주행을 유도하는 도로차선에 주행중 운전자에게 지속적인 시간대의 정보를 부여하여 도로의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to a roa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a road by giving information of a continuous time zone to a driver while driving on a road lane for inducing driving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도로이용자에게 일정하게 양식화된 방법으로 각종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통의 안전과 원할한 소통을 도모함과 더불어, 도로구조를 보전하기 위하여 도로표지판이나 교통표지판 또는 신호등이 교통안절시설 또는 도로정보표시장치로서 설치된다.In general, road signs and traffic signs or signals are used to provide safety and smooth communication to traffic users by providing various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road users in a uniformly formatted manner. It is installed as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이러한 표시장치는 도로정보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로이용자의 시야에 포착되기 용이한 위치이면서, 주변의 가로등이나 가로수 등과 간섭되지 않을 것이 요구되어 도로내측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이 일반적이다.In order to display road information, such a display device is easily positioned in the field of view of a road user, and is generally installed to protrude upward in the road because it is required not to interfere with surrounding street lamps or roadside trees.

이와 더불어, 도로자체에도 양식화된 방법으로 도로 이용에 대한 규칙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것은 도로차선으로 나타내어 진다.In addition, the road itself also provides rules for road use in a stylized way, which is represented by road lanes.

예를 들어, 중앙선은 주황색 실선으로 표시되고, 이 중앙선을 위시하여 할당된 구역은 흰색의 차선으로 구분되며, 이것은 다시 차선변경이 가능한 파선과 차선변경이 허락되지 않은 실선으로 구분된다.For example, the center line is indicated by a solid orange line, and the area assigned to the center line is divided into a white lane, which is divided into a dashed line which can be changed again and a solid line which is not permitted to change lanes.

이에 의해, 운전자는 차선의 이용상태를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규칙화된 이용이 수행되는 것이고, 이러한 차선구분은 법규에 따른 운전자의 경험에 의해 획득된다.Thereby, the driver can know the state of use of the lane, and accordingly regular use is performed, and such lane segment is obtained by the driver's experience according to the law.

그러나, 이러한 차선에 따른 도로 이용에 있어서, 도로차선은 차량의 주행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 중점적으로, 그 정보의 제공이 미비하며, 특히 도로정보가 충분히 제공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use of roads along these lanes, the road lanes mainly focus on inducing driving of the vehicl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formation is not provided sufficiently, and in particular, the road information is not sufficiently provided.

또한, 도로에 표시된 도로정보는 주행중 운전자에게 있어서는 순간적으로 포착되는 시간대를 갖는 정보로서 지속적인 시간의 정보를 제공치 못하고, 다만 운전자에게 정보포착의 책임을 부담하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oa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road is information having a time zone that is momentarily captured by the driver while driving, and does not provide information of continuous time, but is responsible for capturing information to the driver.

U-턴을 예로 들면, 좌회전과 U-턴을 동시에 허락하는 도로정보가 있고 좌회전만을 허락하는 경우가 있는데, 도로 상방의 도로표시정보 또는 노면에 인쇄된 정보를 제대로 인식못하는 경우, 차선선택의 착오가 발생된다.As an example of a U-turn, there is road information that allows both a left turn and a U-turn at the same time, and only a left turn is allowed. When the road marking informa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road or the information printed on the road surface is not properly recognized, a mistake of lane selection is made. Is generated.

이것은 상기 노면에 인쇄된 정보나 도로상방에 표시된 정보는 운전자에 있어서는 주행중 순간적인 정보이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information printed on the road surface or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is instantaneous information for the driver.

즉, 주행중 도로정보 분석의 상당부분이 운전자에게 부담되어 있고, 예를 들어 운전자는 주행중에 전후좌우의 교통상황, 사각지대의 주의, 교통신호의 분석, 차량내부의 기기조작 등 종합적인 정보에서 최종주행을 판단하며, 이때 상기 도로표시 정보는 주행중 운전자에게 있어서는 순간적인 정보인 것이다.That is, a large part of the road information analysis while driving is burdened by the driver. For example, the driver may end up with comprehensive information such as traffic situation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attention of blind spots, analysis of traffic signals, and operation of equipment inside the vehicle. The driving indication is determined, and the road marking information is instantaneous information for the driver while driving.

이러한 순간적인 정보에서의 주행판단은 운전자에게 가중되며, 특히 초보운전자인 경우 더욱 심하게 되는 것으로, 차선선택 후 차선변경조차 부담을 주고 있는 실정에서 운전자에게 도로정보의 지속적인 정보제공이 필요한 것이다.The driving judgment in the instantaneous information is aggravated to the driver, especially for the novice driver,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road information to the driver in a situation in which the lane change is burdened even after the lane selection.

다른 예로서 굴곡구간, 예를 들어 교차로나 T-자형 삼거리에서 주행중 우회전시 갑자기 횡단보도가 돌출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운전자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인사사고의 위험성이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right turn while driving in a curved section, for example, an intersection or a T-shaped three-way intersection, a sudden crosswalk may protrude, and there is a risk of personnel accidents if the driver does not recognize it properly.

이 경우, 횡단보도의 표시가 단순히 도로표지판에 횡단보도 표식으로 마무리되고 있으며, 이 역시 주행중 운전자에게 순간적인 시간대의 정보만을 제공할 따름이고, 지속적인 시간대의 경고정보이 제공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display of the pedestrian crossing is simply finished by the pedestrian crossing marking on the road sign, which also provides the driver with the information of the instantaneous time zone while driving, and the warning information of the continuous time zone needs to be provided.

또 다른 예로서, 운전자의 오류가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버스 전용차로에 대한 차선정보이다.As another example, one of the most severe driver errors is lane information on a bus lane.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버스 전용차선은 색깔로 구분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색깔에 대한 정보가 실선이나 파선으로 구분된 차선자체의 정보보다 우선한다.In more detail, the bus-only lanes are color-coded, and in general, color information takes precedence over lane information divided by solid or dashed lines.

여기서, 파란색 차선인 경우 운전자는 이를 버스전용차선으로 인식하며, 그 선의 종류에 따른 버스전용차료의 종류는 추후에 입력되는 정보로서 색깔보다는 미비하다.Here, in the case of the blue lane, the driver recognizes this as a bus-only lane, and the type of the bus-only vehicl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line is input later, which is inferior to color.

즉, 버스 전용차로는 시간대별 버스전용차선과 전일시행 버스전용차선으로 구분되고, 이것은 선의 종류로 구분된다.That is, a bus-only lane is divided into a bus lane for each time zone and a bus lane for all day trips, which are classified into a line type.

예를 들어, 하나의 차선으로 그어진 버스 전용차선은 평일 오전 7시에서 10시까지 오후 5시에서 9시까지만 전용차로이며, 토요일 오전 7시에서 오후 3시까지 일요일 및 공휴일은 시행하지 않고 있다.For example, a bus lane with a single lane is a dedicated lane only from 7 am to 10 am on weekdays from 5 pm to 9 pm, and there are no Sundays and public holidays from 7 am to 3 pm on Saturdays.

한편, 두줄로 이루어진 버스 전용차선은 전일시행 버스전용차로이다.On the other hand, the two-lane bus lane is a bus lane dedicated to all day trips.

또한, 중앙선에 이웃된 가변 버스전용차선이 있으며, 이것은 별도의 신호장치를 도로 상방에 설치하고, 이 신호장치를 통해 버스 전용과 일반 차량의 진입을 구분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variable bus lane adjacent to the center line, and a separate signal device is installed above the road, and the signal device is used to distinguish between a bus and a general vehicle.

그런데, 운전자는 이러한 차선 종류보다 색깔에 먼저 인식되어 버스전용차선을 위반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던 것이며, 이것은 버스전용차로의 종류를 제대로 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식별수단의 미비에도 그 책임이 있다.By the way, the driver was perceived in color earlier than the lane type and violated the bus-only lane,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lack of an identification means that does not properly display the type of the bus lane.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로의 상황에 마추어 지속적인 시간으로 도로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주행중 운전자에게 도로정보를 충분히 제공토록 하는 도로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a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o provide the road information to the driver while driving, by providing the road information to the driver at a constant time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of the road. It is.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도로의 차량 진행방향을 유도하는 연속적으로 진행된 차선에 의해 주행중 운전자에게 지속적인 도로정보가 부가되게 차선에 도로정보에 마추어 이종의 색깔로서 도로 정보를 나타내는 도로정보제공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oa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displaying road information as a heterogeneous color in addition to road information in a lane so that continuous road information is added to a driver while driving by a continuously progressing lane which induces a vehicle traveling direction of a road.

여기서, 상기 도로정보는 U-턴이 허락되는 도로구역인 경우, 중앙선에 근접된 도로차선에서 주변도로차선과 이종의 색깔로 그 허락을 표시하여 지속적인 정보를 차선에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when the road information is a road area in which a U-turn is allowed, the road information adjacent to the center line may display the permission in a different color of the surrounding road lane and provide continuous information in the lane.

또한, 도로정보는 연속된 주행방향이 유도되는 굴곡된 도로에서 굴곡의 출구에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경우, 그 굴곡의 입구부분에 근접된 도로차선에 이종의 색깔구역으로 이를 표시하여 횡단보도가 존재함을 지속적으로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oad information, if there is a crosswalk at the exit of the bend on the curved road in which the continuous driving direction is induced, the crosswalk exists by displaying the heterogeneous colored zones in the road lane near the entrance of the bend. It is characterized by a continuous warning of the.

이와 더불어, 상기 도로정보는 버스 전용차로의 종류에 따라 이종의 색깔로 구분하여 버스 전용차로의 종류에 따라 그 사용 구역을 구분하는 지속적인 정보를 버스전용차선에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ad information may be divided into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type of bus lanes, and the bus lanes may provide continuous information for classifying the area of use according to the type of bus lanes.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 Other objects, features, and operational advantages, including the purpose, working effects, and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For refere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only presented by selecting the most preferred examples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various possible example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only by this embodimen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will be found.

예시도면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먼저 본 발명은 도로의 차량 진행방향을 유도하는 연속적으로 진행된 차선에 의해 주행중 운전자에게 지속적인 도로정보가 부가되게 차선에 도로정보에 마추어 이종의 색깔로서 도로 정보를 나타내는 도로정보제공방법이다.Exemplary Drawings Figures 1 to 3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ad in a lane so that the continuous road information is added to the driver while driving by a continuously progressing lane to induce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ad It is a roa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at represents road information as heterogeneous colors based on the information.

본 발명은 운전자의 시야에서 가장 많은 도로 정보를 주는 것은 도로자체의 차선이며, 시야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함과 더불어 차선자체가 운전자에게 지속적으로 시야에 포착되므로, 차선자체에 정보를 부여하여 지속적인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t road information in the driver's field of view is the lane of the road itself, and occupies the most part in the field of view, and the lane itself is continuously captured in the field of vision. To the driver.

즉, 도로차선이 차량의 운행방향을 유도하여 주므로, 차선자체가 운전자에게 가장 많은 시야 포착구역을 제공하기 때문이며, 운전자에게 있어서는 상술된 바와 같은 순간적인 시간대의 정보가 아니라, 지속적인 시간대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That is, since the road lane guide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lane itself provides the driver with the most field of view capturing area, and the driver provides the information of the continuous time zone rather than the instantaneous time zone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Because.

이것은 종래 차선에 보완적으로 색깔로 표시하여 주는 것과는 다르다.This is different from marking colors complementary to conventional lanes.

물론, 종래에도 주황색으로 구분된 중앙선이나, 파란색으로 구분된 버스전용차선으로 색깔로 구분된 차선의 정보가 있지만, 이것은 차량의 주행을 유도하기 위한 보완적 수단으로서 차선자체의 종속적인 차량운행유도 정보인 것이지, 본 발명과 같이 도로표시와 관련된 독립적인 도로정보는 아니다.Of course, conventionally, there is information of lanes, which are color-coded by orange-centered lines or blue-only bus lanes, but this is a complementary means for inducing driving of a vehicle. It is not independent road information related to road marking as in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도로정보는 U-턴이 허락되는 도로구역인 경우, 중앙선(10)에 근접된 도로차선에서 주변도로차선과 이종의 색깔로 소정의 구역만큼 도포하여 U-턴 허락차선(12)을 나타냄으로써, 지속적인 정보를 차선에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xemplary drawings for explaining this in more detail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ad area is allowed U-turn, the road close to the center line 10 By applying a predetermined area in the lane and the surrounding road lanes and different colors to indicate the U-turn allowable lane 12,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continuous information in the lane.

예를 들어, 도로의 말단에서 U-턴이 허락되는 도로구역인 경우, 중앙선(10)에 이웃한 차선을 녹색으로 U-턴 허락차선(12)을 표현하게 되면, 이 녹색의 도로차선은 운전자에게 지속적인 정보로서 U-턴의 허락정보를 주게되고, 운전자는 전방에 곧이어 U-턴 구역이 나타남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road zone where U-turns are allowed at the end of the road, the lane adjacent to the center line 10 is represented in green and the U-turn allowable lane 12 is represented. It gives the U-turn permission information as a continuous information, and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U-turn zone is displayed immediately ahead.

여기에서, 운전자에게 지속적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이종색깔의 도포구역은 실험적으로 결정될 것이다.Here, the heterogeneous application zone for displaying continuous information to the driver will be determined experimentally.

또한, 예시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도로정보는 연속된 주행방향이 유도되는 굴곡된 도로에서 주행방향 굴곡의 출구에 횡단보도(18)가 존재하는 경우, 그 출구의 전단계 부분에 근접된 도로경계차선(14)에 이종의 색깔구역으로 소정구역 만큼 도포하여 횡단보도 돌출차선(16)을 표시하여 횡단보도가 존재함을 지속적으로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 2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information includes a crosswalk 18 at the exit of the driving direction curve in the curved road where the continuous driving direction is induced. In this case, it is applied to the road boundary lane 14 adjacent to the previous step portion of the exit as a heterogeneous colored area by a predetermined area to display the crosswalk protruding lane 16 to continuously warn that the crosswalk is present. It is done.

이것은, 특히 심한 굴곡의 도로에서 주행방향 출구나 T-자형 3거리에서 횡단보도가 은폐되어 있는 경우, 이것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지속적으로 인식시키기 위함으로, 예를 들어 굴곡의 출구 전단계 구역에 적색의 횡단보도 돌출차선(16)을 두어 우회전시 횡단보도(18)가 돌출됨을 경고토록 한 것이다.This is especially true if the pedestrian crossing is hidden at driving exits or T-shaped three-way streets, especially on severely curved roads. The pedestrian crossing has a protruding lane 16 to warn that the pedestrian crossing 18 protrudes when turning right.

이것 역시, 단순히 인도변에 도로표지판이 설치되어 순간적인 정보를 주는 것과는 달리, 도로차선에서 횡단보도(18)가 돌출됨을 지속적으로 인식시켜 운전자에게 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This also provides the driver with information that prevents accidents by continuously recognizing that the crosswalk 18 protrudes from the road lane, instead of simply providing road information on the sidewalk. .

다음으로, 예시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도로정보는 버스 전용차로의 종류에 따라 이종의 색깔로 구분하여 버스 전용차로의 종류에 따라 그 사용 구역을 구분하는 지속적인 정보를 버스전용차선에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Figure 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information is divided into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type of bus-only lanes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bus-only lanes The bus lanes provide continuous information identifying the zones.

버스전용차선은 버서전용차선내에서도 종류에 따라 구분되어야 하며, 이것은 전술된 바와 같이 버스전용차선은 이미 파란색의 정보로서 사용자에게 버스전용차로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고, 이 내에서 종류에 따라 구분된 정보가 제공됨이 바람직하다.Bus-only lanes sh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types even in buser-only lanes. As described above, bus-only lanes are already blue and provide users with information on bus-only lanes. Is preferably provided.

예를 들어, 버스 전용차로가 시간대별 버스 전용차로와 전일 버스전용차로와 가변 버스전용차로로 구분될 경우, 시간대별 버스 전용차로는 종래의 파란색을 기본으로하고, 전일 버스전용차로는 도 3과 같이 파란색과 빨간색과의 조합으로 종일버스전용차선(20)을 표시하고, 가변 버스전용차로인 경우 파란색과 녹색의 조합(미도시) 등으로 표현하여 그 종류별 구분이 가능한 것이다.For example, when a bus lane is divided into a bus lane for each time zone, a bus lane for all-day buses and a lane for variable buses, the bus lanes for each time zone are based on the conventional blue color, and the bus lanes for full-day buses are shown in FIG. 3. As shown in the combination of blue and red all-day bus dedicated lanes 20, and in the case of a variable bus-only lane represented by a combination of blue and green (not show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y type.

이러한 색깔구분은 운전자인 경우, 차량의 진행을 유도하는 차선으로 인식함과 동시에 차선의 색깔에 의해 버스 전용차로의 종류를 인식하게 된다.When the driver distinguishes the color, the driver recognizes the type of bus lane based on the color of the lane and at the same time recognizes the lane as the driving lane.

여기서 상기 실시예들에 설명된 색깔의 구분은 색깔의 구분을 통하여 도로차선에서 지속적인 도로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설명한 것으로, 지정된 색깔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Here, the color division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is described as providing continuous road information in the road lane through color division,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ignated color.

상기 차선의 색깔은 채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야간 운전시 반사도롤 고려하여 색깔이 결정되어야 할 것으로, 색깔의 부여는 실험적으로 결정될 사항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lor of the lane is high in saturation, and the color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reflectivity roll at night driving, and the provision of color is an item to be determined experimentally.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차선에 정보를 부여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인식시킴으로써, 주행중 운전자에게는 도로정보가 시야에 지속적이면서도 가장 광범위에 하게 포착되는 차선을 통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giving information to the road lane and recognizing it to the driv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oad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driver while driving through the lane that is continuously and widely captured in the field of view.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정보제공방법의 제1실시예로서, U-턴 허락구역에 대한 것을 나타낸 개념도,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U-turn allowable area as a first embodiment of a roa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정보제공방법의 제2실시예로서, 굴곡구간의 횡단보도 돌출경고를 나타낸 개념도,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edestrian crossing protrusion warning of a curved section as a second embodiment of a roa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정보제공방법의 제3실시예로서, 버스전용차선정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bus-only lane information as a third embodiment of a roa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도로의 차량 진행방향을 유도하는 연속적으로 진행된 차선에 의해 주행중 운전자에게 지속적인 도로정보가 부가되게 차선에 도로정보에 마추어 이종의 색깔로서 도로 정보를 나타내는 도로정보제공방법.A roa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displaying road information as heterogeneous colors in addition to road information in a lane such that continuous road information is added to a driver while driving by a continuously progressing lane that induces a vehicle traveling direction of a road. 제 1 항에 있어서, 도로정보는 U-턴이 허락되는 도로구역인 경우, 중앙선에 근접된 도로차선에서 주변도로차선과 이종의 색깔로 그 허락을 표시하여 지속적인 정보를 차선에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정보제공방법.2. The road inform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road information is a road area in which a U-turn is allowed, the road information adjacent to the center line indicates the permission in a lane color different from the surrounding road lanes to provide continuous information in the lane. Roa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도로정보는 연속된 주행방향이 유도되는 굴곡된 도로에서 굴곡의 출구에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경우, 그 굴곡의 입구부분에 근접된 도로차선에 이종의 색깔구역으로 이를 표시하여 횡단보도가 존재함을 지속적으로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정보제공방법.The road information of claim 1, wherein when there is a pedestrian crossing at the exit of the bend on the curved road where the continuous driving direction is induced, the road information is indicated by a heterogeneous colored zone on the road lane near the entrance of the bend. Roa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by a continuous warning that the crosswalk exis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정보는 버스 전용차로의 종류에 따라 이종의 색깔로 구분하여 버스 전용차로의 종류에 따라 그 사용 구역을 구분하는 지속적인 정보를 버스전용차선에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정보제공방법.2. The roa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ad information is divided into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type of bus lanes, and the bus lane provides continuous information for classifying the area of use according to the type of bus lanes. How to Provide Information.
KR1020040008906A 2004-02-11 2004-02-11 Furnish method for road-information KR200500808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906A KR20050080802A (en) 2004-02-11 2004-02-11 Furnish method for road-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906A KR20050080802A (en) 2004-02-11 2004-02-11 Furnish method for road-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802A true KR20050080802A (en) 2005-08-18

Family

ID=3726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906A KR20050080802A (en) 2004-02-11 2004-02-11 Furnish method for road-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080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2310A (en) * 2017-03-15 2019-11-01 3M创新有限公司 Pavement marker system for lane identifi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2310A (en) * 2017-03-15 2019-11-01 3M创新有限公司 Pavement marker system for lane identification
CN110402310B (en) * 2017-03-15 2022-01-28 3M创新有限公司 Road marking system for lane recogn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8680B2 (en) Traffic light safety zone
US8305444B2 (en) Integrated visual display system
US20130113618A1 (en) Multipath transport data and control signaling
CA30149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ffic congestion relief using dynamic lighted road lane markings
WO2007108613A1 (en) Display control system of traffic light and display method
KR20130087141A (en) Network and control method using a central light
CN209842863U (en) Pedestrian crossing intelligent auxiliary system
KR20190114347A (en) Safety speed control system for children's protection zone
JP395129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KR102296204B1 (en) Smart led traffic light
KR200483183Y1 (en) Aware intelligence digital traffic light
KR100981466B1 (en) The traffic control system by the traffic lights fixed on the road surface
KR20050080802A (en) Furnish method for road-information
KR100212603B1 (en) Indication method and device of laying type in variable road
US11610482B2 (en) System to warn a motorist of the presence of a pedestrian in a crosswalk at a traffic intersection
US20220292961A1 (en) Warning Device And Signal Lamp
KR101848279B1 (en) Crosswalk with improved visibility and construction costs
JP2017134490A (en) Vehicula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KR20210125720A (en) Smart crosswalk system
KR200218350Y1 (en)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cars to move rapidly in intersection
KR102150259B1 (en) Road traffic signal system
KR20140033744A (en) Control system of traffic light
KR200191467Y1 (en) Traffic accident prevention device by rugged surface of pavement
KR200235946Y1 (en) redcolor a sign an electoric light attention warning buzer
KR200188400Y1 (en) A pedestrian light with subsidiary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