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0418A - Mobile devices for using multi mobile devices and recording medium for it - Google Patents

Mobile devices for using multi mobile devices and recording medium for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0418A
KR20050080418A KR1020040008507A KR20040008507A KR20050080418A KR 20050080418 A KR20050080418 A KR 20050080418A KR 1020040008507 A KR1020040008507 A KR 1020040008507A KR 20040008507 A KR20040008507 A KR 20040008507A KR 20050080418 A KR20050080418 A KR 20050080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location registr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memory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5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86750B1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40008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750B1/en
Publication of KR20050080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4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750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가 분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무선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무선 단말에 각각 탑재 또는 분리되어 사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복수의 무선 단말 사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에 대한 것이다. 이로 인해, 기존의 1인 1폰 시스템을 1인 다(多)폰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 terminal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a unique code, and at least two or more wireless terminals in which the memory is separated, wherein the memory is mounted or used separately in the at least two or more wireless termina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terminal supporting the use of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Thus,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existing one-person one-phone system to one-person multi-phone system.

Description

복수의 무선 단말 사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Mobile Devices for Using Multi Mobile Devices and Recording Medium for It} TECHNICAL FIELD [0001] A mobile terminal for supporting the use of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and a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단말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가 이동 통신망 상의 저장매체로 등록 및 관리됨으로써 이동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한 명의 사용자가 적어도 두개 이상의 무선 단말을 통해 동일한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해당 무선 단말에 대한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상기 무선 단말에 이탈착되는 소정의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정보들을 적어도 두개 이상의 무선 단말이 상호 공유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provided by registering and managing a wireless terminal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a unique code with a storage medium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order to receive the sam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t least two or more wireless terminal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a unique code for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external memory detachable from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is stored in at least two radios. The terminals share each other.

무선 통신 또는 이동 통신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상에서 위치가 고정되거나 또는 위치 이동이 제한적인 유선 단말기(예컨대, 유선 전화기(Telephone)) 사이의 음성 통화 채널을 연결하는 기존의 유선 통신에 대하여, 소정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에 대한 휴대성(Portability)과 이동성(Mobility)을 부여한 것으로, 유선 상에서 유선 전화기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기존 유선 통신에 비해, 상기 무선 단말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통해 휴대가 간편하고 위치 이동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무선 단말의 자유로운 휴대성과 이동성은 상기 무선 단말을 언제 어디서나 사용 가능한 지극히 개인적인 통신수단으로 자리 매김 하였다. Wireless communication or mobile communication is based on existing wired communication that connects voice call channels between wired terminals (e.g., telephones) fixed in position or restricted in location movement on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In order to provide portability and mobility to a wireless terminal using a predetermined radio frequenc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wireless terminal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wired communication where the location of the fixed telephone is fixed on the wi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free to move the position. The free portability and mobility of such a wireless terminal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extremely personal communication means that can be used anytime and anywhere.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무선 단말의 자유로운 휴대성과 이동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무선 단말은 등산, 조깅, 운전, 스포츠, 야외파티, 하이킹, 낚시 등을 포함하는 활동성이 큰 활동영역에서는 여전히 휴대하기 불편하였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 제조업체에서는 손목에 차고, 목에 걸고, 손가락에 끼고, 머리에 쓰고, 귀에 거는 등 다양한 디자인의 무선 단말이 요구되나, 일부 개성 있는 신세대를 제외하고 상기와 같은 디자인의 무선 단말을 항상 휴대하는 것은 오히려 다른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However, in spite of the free portability and mobility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existing wireless terminal was still inconvenient to carry in a high activity area including mountain climbing, jogging, driving, sports, outdoor parties, hiking, fishing and the like. . Accordingly, wireless terminal manufacturers require wireless terminals of various designs, such as wearing on the wrist, hanging on the neck, wearing on the fingers, wearing on the head, and hanging on the ear. Carrying at all times can lead to other inconveniences.

따라서, 보편적인 활동영역에서는 기존의 무선 단말을 사용하고, 활동성이 큰 활동영역에서는 보다 휴대가 간편한 무선 단말을 사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bove problems can be solved by using an existing wireless terminal in a general active area and using a mor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 an active area with high activity.

그러나, 한 개의 이동전화 번호에 한 개의 무선 단말만 가입해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한 개의 이동전화 번호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무선 단말을 가입해 사용하는 것은 달성하기 어렵다. Howe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only one wireless terminal is subscribed to one mobile phone number, it is difficult to achieve at least two wireless terminals in one mobile phone number.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단말의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가 이동 통신망 상의 저장매체로 등록 및 관리됨으로써 이동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 상의 저장매체에 등록되는 무선 단말에 대한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상기 무선 단말에 이탈착되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한 명의 사용자가 적어도 두개 이상의 무선 단말을 통해 동일한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provided by registering and manag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a unique code of a wireless terminal with a storage medium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stor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a unique code for a wireless terminal registered in a storage medium o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n external memory detachable from the wireless terminal, one user can access the sam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t least two wireless terminals. To be provided.

본 발명은 단말기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가 분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무선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무선 단말에 각각 탑재 또는 분리되어 사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복수의 무선 단말 사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 terminal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a unique code, and at least two or more wireless terminals in which the memory is separated, wherein the memory is mounted or used separately in the at least two or more wireless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terminal that supports the use of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가 분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무선 단말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그리고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기반 휴대용 무선 단말과, 텔레매틱스(Telematics)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단말과, 손목에 차거나, 목에 걸거나, 손가락에 끼거나, 머리에 쓰거나, 귀에 걸거나, 몸에 걸치는 웨어러블폰(Wearable-Phone)과, 등산, 조깅, 하이킹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또는 낚시용으로 개발되는 모든 종류의 특수 무선 단말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wireless terminals in which the memory is separated include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and a PDA (PDA). A mobile communication-based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an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 -2000 terminal, and a smart phone; a vehicle wireless terminal including telematics; Wearable-phones that hang around the neck, on the fingers, on the head, on the ears, or over the body, and any type of specialty developed for sports or fishing, including climbing, jogging, and hiking It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는 ESN(Electronic Serial Number)), 기기 일련번호(Device Serial Number), 상기 무선 단말에 구비되는 NAM(Number Assignment Module) 파라미터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NAM 파라미터에 포함된 시스템 선호 정보, 프라이머리 및/또는 세컨더리 주파수 채널 정보 등이 상기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에 더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a unique code stored in the memory includes at least an electronic serial number (ESN), a device serial number (Device Serial Number), and a NAM (Number Assignment Module) parameter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Contain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ystem preference information, primary and / or secondary frequency channel information, etc. included in the NAM paramete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unique cod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읽기 전용 메모리(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및/또는 비휘발성 읽기/쓰기 메모리(예컨대,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FM))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무선 단말에 구비된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접속식 및/또는 비접촉식 접촉점(Contact Point)을 적어도 하나 이상(예컨대, 데이터의 전송(TX) 및/또는 수신(RX)을 위한 접촉점, 및 그라운드(GND) 접촉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may comprise at least one read only memory (e.g., Read Only Memory) and / or nonvolatile read / write memory (e.g.,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A connected and / or contact point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memory elements including only memory (EEPROM) and flash memory (FM), and connected to a memory interfac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At least one (eg, a contact point for transmitting (TX) and / or receiving (RX), and a ground (GND) contact point) of the dat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ISO/IEC 7816의 규격을 따르는 IC(Integrated Circuit)칩, 또는 무선 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또는 컴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멀티미디어 메모리 카드(Multimedia Memory Card; MMC),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MS), 시큐어 디지털(Secure Digital; S/D), 스마트 미디어(Smart Media; S/M)를 포함하는 전자칩 또는 전자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is an integrated circuit (IC) chip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compact flash (CF), multimedia, etc. according to ISO / IEC 7816. Includes an electronic chip or electronic card including a memory card (MMC), a memory stick (MS), a secure digital (S / D), and a smart media (S / M) It is desirable to.

또한, 상기 메모리는 소정의 메모리 소자를 구비한 무선 단말용 이탈착 장치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무선 단말에 이탈착되는 대표적인 장치에는 배터리와 안테나 등이 있는데, 상기 배터리 및/또는 안테나에 소정의 메모리 소자를 구비한 경우, 상기 배터리 및/또는 안테나가 상기 메모리의 기능 및 역할을 수행한다. Further, the memory is also preferably a detachable device for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memory element. For example, a representative device detachable from a wireless terminal includes a battery and an antenna. When the battery and / or the antenna includes a predetermined memory element, the battery and / or the antenna perform a function and role of the memory. .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shown below are for the preferred method among various method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drawings and description below.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title.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무선 단말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가 이동 통신망 상의 저장매체로 등록 및 관리됨으로써 이동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 및/또는 상기 위치등록정보와 연계 처리되는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 및 상기 외부 메모리를 수용하는 소정의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상기 외부 메모리로부터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위치등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판단부와,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 상의 저장 매체에 위치등록을 실행하는 위치등록부가 구비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llowing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ha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y registering and manag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wireless terminal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a unique code to a storage medium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de Divisio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Multiple Access (CDMA), comprising: an external memory for stor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a unique code for the wireless terminal and / 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cessed in association wit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 storage medium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predetermined memory interface for accommodating a memory,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memory, a determin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The case where the position registration part which performs position registration is provided in the following is demonstrat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거나, 상기 무선 단말에 이탈착되는 배터리 및/또는 안테나를 상기 위치등록정보가 구비되는 외부 메모리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a battery and / or an antenna detachable from the wireless terminal may be used as an external memory provided wit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s determined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법에 따른 무선 단말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of a wireless termi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따르는 무선 단말(100)은, 무선 단말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가 이동 통신망 상의 저장매체로 등록 및 관리됨으로써 이동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의 이동 통신 시스템(165)에 있어서, 본 발명을 따르는 무선 단말(100)은, 상기 무선 단말(100)로부터 분리 및/또는 이탈착되며,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를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155)와,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가 저장되지 않는 내부 메모리(145)와, 상기 외부 메모리(155)를 수용 및 이탈착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50)와,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외부 메모리(155)에 저장된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120)와, 및 상기 추출부(120)가 추출한 위치등록정보를 통해 이동 통신망 상의 저장매체로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위치등록부(1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provided by registering and manag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wireless terminal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a unique code with a storage medium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de Division Multiple Multip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65 of the Access (CDMA), the wireless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 or detach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uniquely identified for the wireless terminal 100. An external memory 155 for stor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number or a unique code, an internal memory 145 for stor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a unique code for the wireless terminal 100; Extract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external memory 155 through the memory interface 150 for accommodating and detaching the external memory 155 and the memory interface 150. And a location register 110 for performing location registration with respect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as a storage medium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n extraction unit 120 and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120. It is done.

또한, 본 발명을 따르는 무선 단말(100)은, 상기 무선 단말(100)로부터 분리 및/또는 이탈착되며,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와 상기 위치등록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데 요구되는 인증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155)와,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가 저장되지 않는 내부 메모리(145)와, 상기 외부 메모리(155)를 수용 및 이탈착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50)와,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외부 메모리(155)에 저장된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120)와, 상기 외부 메모리(155)로부터 추출한 위치등록정보와 연계 처리된 인증정보를 근거로 상기 위치등록정보가 해당 무선 단말(100)에서 사용 가능한 유효한 위치등록정보인지 판단하는 판단부(115)와, 및 상기 판단부(115)가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유효한 위치등록정보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통해 이동 통신망 상의 저장매체로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위치등록부(1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wireless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and / or detach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a unique code for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The external memory 155 for linking and sto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unique code for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not stored. An extraction unit configured to extract an internal memory 145, a memory interface 150 for accommodating and detaching the external memory 155, and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external memory 155 through the memory interface 150. 120 and a valid location where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can be used by the wireless terminal 100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cessed in association wit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external memory 155. The determination unit 115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nformation is information, and the determination unit 115 determine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s valid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the wireless terminal 100 as a storage medium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sition registration unit 110 for performing the position registration for.

도면1을 참조하면, 무선 단말(100)은 기본적으로 제어부(105)와 화면 출력부(125)와 키 입력부(130)와 음성 처리부(135)와 무선 처리부(140)와 메모리(145)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60)로 구성되며, 또한 외부 메모리(155)가 이탈착 되고 및/또는 상기 외부 메모리(155)로부터 위치등록정보를 추출하기 메모리 인터페이스(150)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wireless terminal 100 basically includes a control unit 105, a screen output unit 125, a key input unit 130, a voice processing unit 135, a wireless processing unit 140, a memory 145, and a power supply. It is composed of a battery 160 for supply, and is also provided with a memory interface 150 to which the external memory 155 is detached and / or extract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memory 155.

제어부(105)는 물리적으로 프로세서(예컨대,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 Unit; CPU),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와 실행 메모리(예컨대,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레지스터 메모리(register Memory))와 버스(BUS)로 이루어지며, 논리적으로 무선 단말(100)이 부팅되는 과정 및/또는 부팅된 후, 무선 단말(100)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메모리로부터 실행 메모리로 로드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및/또는 루틴(Routine)을 포함하는 단말 운영 시스템의 총칭이다. The controller 105 may be a physical processor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nd an execution memory (eg, a random access memory (RAM), or a register memory). ) And a bus BUS, which are logically booted and / or booted, and then loaded into the execution memory from the storage memory to the processor to perform a function specific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A generic term for a terminal operating system that includes a predetermined program and / or routine calculated by the program.

무선 단말(10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5)는 공지된 무선 단말(100) 특유의 기능, 또는 특정의 목적을 위해 무선 단말(100)에 구비되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고, 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무선 단말(100)을 통해 수행되는 모든 기능 및/또는 작업들은 제어부(105)를 통해 이루어지며, 그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105)는 무선 단말(100)에 구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수행부(예컨대, 화면 출력부, 키 입력부, 무선 처리부, 및/또는 음성 처리부 등)에 대한 제어 및 관리 기능, 그리고 상기 기능 수행부를 이용한 소정의 작업을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105 performs a function unique to the known wireless terminal 100, or a predetermined function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for a specific purpose, and performs the overall operation thereof.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 and management box. That is, all functions and / or tasks performed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100 are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ler 105, and in the process, the controller 105 performs at least one or more function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a control and management function for a unit (eg, a screen output unit, a key input unit, a wireless processing unit, and / or a voice processing unit, etc.), and a predetermined job using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기존 무선 단말(100)의 경우, 무선 단말(100)에 전원이 입력되어 부팅되면, 상기 제어부(105), 즉 단말 운영 시스템 상에는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고유식별번호(예컨대,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또는 기기 일련번호(Device Serial Number)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가 로딩된다. In the case of the existing wireless terminal 100, when power is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booted, the controller 105, that i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or the wireless terminal 100 (for example, an ESN (Electronic)) is provided on the terminal operating system. Serial number) and / or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device serial number is loaded.

그러나, 본 발명을 따르는 무선 단말(100)에 있어서, 무선 단말(100)에 전원이 입력되어 부팅되어 상기 단말 운영 시스템이 로딩되어도, 상기 단말 운영 시스템에는 상기와 같이 무선 단말(100)에 대한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가 로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owever,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power is input and booted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terminal operating system is loaded, the terminal operating system is unique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r unique code is not loaded.

화면 출력부(125)는 키 입력부(130)에서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 및/또는 제어부(105)의 제어 과정에서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각종 정보와 신호 등을 입력받아 무선 단말(100)에 구비된 화면(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creen output unit 125 receives at least one or more key data generated from the key input unit 130 and / or various information and signals generated and / or generated during a control process of the control unit 105.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erves to output to the screen (for example, LCD (Liquid Crystal Display)) provided in.

키 입력부(130)는 다수의 숫자키(Number Key)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키(Character Key),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Function Key)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무선 단말(100)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 데이터(Key Data)를 발생하여 제어부(105)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key input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number keys, a character key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at least one or more function keys, and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When a predetermined key is pressed, corresponding key data ar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ler 105.

음성 처리부(135)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제어부(105)를 통해 무선 처리부(140)로 전달하고, 무선 처리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제어부(105)를 통해 스피커에 음성 신호로서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음성 처리부(135)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 신호는 무선 처리부(140)에 포함된 음성 채널을 통해 적어도 두개 이상의 음성 통화 장치에 대한 음성 통화를 연결한다. The voice processor 135 encodes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and transmits the encoded audio signal to the wireless processor 140 through the controller 105, and decode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processor 140. And a function of outputting as a voice signal to the speaker via 105. In particular, the voice signal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voice processor 135 as described above connects voice calls to at least two voice call devices through the voice channel included in the wireless processor 140.

내부 메모리(145)는 무선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력 및/또는 출력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공간 및/또는 저장 영역의 총칭으로서, 일반적으로 ROM(Read Only memory)과 같은 읽기 전용 메모리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이나 FM(Flash Memory) 등의 읽기/쓰기 메모리 등의 형태로 무선 단말(10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ternal memory 145 may include a predetermined program code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 space in which information and / or data input and / or outputted when an operation by the program code is performed, and And / or a generic term for a storage area, typically wireless in the form of read-only memory such as read only memory (ROM) and read / write memory such as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or flash memory (FM).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100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부 메모리(145)에는 무선 단말(100)에 대한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가 저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100)에 이탈착되는 외부 메모리(155)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memory 145 does not stor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a unique code for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unique identification for the wireless terminal 100.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number or a unique co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tored in the external memory 155 detachable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가 저장된 외부 메모리(155)는 상기 무선 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100)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memory 155 in whic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unique code for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stored through the memory interface 150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Characterized in that extra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법에 따르면, 상기 외부 메모리(155)가 IC칩인 경우,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150)는 ISO/IEC 7816의 규격을 따르는 CAD(Card Acceptance Device)가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외부 메모리(155)가 전자칩 또는 전자카드인 경우,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150)는 각각의 전자칩 또는 전자카드의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메모리(155)를 수용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가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ternal memory 155 is an IC chip, the memory interface 150 is preferably a CAD (Card Acceptance Device) conforming to ISO / IEC 7816, or the external memory ( When the 155 is an electronic chip or an electronic card, the memory interface 150 is preferably a predetermined interface device that accommodates the external memory 155 based on the specifications of each electronic chip or the electronic card.

무선 처리부(140)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를 통해 무선 단말(100)과 이동 통신망 상의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 구간에서 송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adio processor 140 may process radio frequency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 radio communication section between the radio terminal 100 and a base station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radio frequency (RF).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법에 따르면, 무선 단말(100)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무선 단말(100)은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 파일롯 채널(Pilot Channel) 획득 세부 상태,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및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초기화 상태(Initialization Status)를 거쳐, 액세스 세부 상태 및/또는 통화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wer is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in a detailed system configuration state, a pilot channel acquisition detail state, a synchronization channel acquisition detail state, and timing. The transition detail state is switched to the access detail state and / or the call waiting state through a predetermined initialization state in which the transition detail state is sequentially performed.

상기 초기화 상태 중에서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는 무선 단말(100)에 전원이 입력되어 프로세서의 부팅 작업을 통해 내부 메모리(145)에 저장된 NAM 파라미터를 RAM으로 로드한 후, 해당 소프트웨어 블록을 수행하는 상태로서,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100) 시스템 부팅 과정에 해당하는데, 상기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에서 상기 NAM 파라미터의 시스템 선호 정보(=이동 통신사 선택 정보), 프라이머리 및/또는 세컨더리 주파수 채널 등의 정보를 획득한다. In the initializing state, a detailed system setting state is a state in which power is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to load a NAM parameter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145 into RAM through a boot operation of a processor, and then perform a corresponding software block. In general, this corresponds to a system booting process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In the system configuration detailed state, information such as system preference information (= mobile carrier selection information), primary and / or secondary frequency channels of the NAM parameter is obtained.

기존 무선 단말(100)의 경우, 상기 NAM 파라미터에 해당 무선 단말(100)에 대한 고유식별번호 및 기기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가 포함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NAM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고유식별번호 및 기기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가 NULL값으로 설정되거나, 위치등록이 불가능한 임의의 정보로 설정된다. In the case of the existing wireless terminal 100, the NAM parameter includes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nd a device serial number for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NAM parameter is included. And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device serial number is set to a NULL value, or is set to any information for which location registration is impossib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법에 따르면, 상기 NAM 파라미터의 위치등록정보가 위치등록이 불가능한 임의의 정보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정보는 외부 메모리(155)에 저장된 위치등록정보를 인증하는 정보의 기능 및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NAM parameter is set to arbitrary information that cannot be registered, the information is a function and role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external memory 155.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에서 상기 무선 단말(100)(예컨대, 제어부(105))로 외부 메모리(155)에 저장된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120)와 초기화 상태 이후 액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추출부(120)가 추출한 위치등록정보를 이동 통신망 상의 저장매체에 위치 등록하는 위치등록부(110), 및/또는 상기 외부 메모리(155)로부터 추출된 위치등록정보와 연계 처리된 인증정보를 근거로 상기 위치등록정보가 해당 무선 단말(100)에서 사용 가능한 유효한 위치등록정보인지 판단하는 판단부(115)가 로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unit 120 for extract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external memory 155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05) in the detailed system setting state; A location registration unit 110 for register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extractor 120 through an access channel to a storage medium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 or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external memory 155 after an initialization st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rmination unit 115 for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s valid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100 is loaded based on the cooperatively process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추출부(120)와 위치등록부(110) 및/또는 판단부(115)는 초기화 상태가 완료된 후, 액세스 세부 상태가 이루어지기 전에만 상기 무선 단말(100)로 로드되어도 무방하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or 120, the location register 110, and / or the determiner 115 may complete the initialization state only before the access detail state is achieved. May be loa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에서 상기 추출부(120)와 위치등록부(110) 및/또는 판단부(115)가 무선 단말(100)로 로드되면, 상기 추출부(12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상기 외부 메모리(155)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고유식별번호 및 기기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 및/또는 상기 위치등록정보와 연계 처리된 인증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traction unit 120, the location registration unit 110 and / or the determination unit 115 is loaded into the wireless terminal 100 in the detailed system setting state, the extraction unit 120 ) Is a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nd a device serial number for the wireless terminal 100 from the external memory 155 through the memory interface 150 and / 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cessed in conjunction wit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start the process of extract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추출부(120)가 메모리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상기 외부 메모리(155)로부터 상기 위치등록정보 및/또는 상기 위치등록정보와 연계 처리된 인증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은 액세스 세부 상태가 이루어지기 전에만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or 120 extracts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cessed in association wit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 or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memory 155 through the memory interface 150. The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before the access detail state is established.

상기와 같은 초기화 상태의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가 수행되면, 다음으로 상기 초기화 상태의 파일롯 채널 획득 세부 상태가 수행되는데, 상기 파일롯 채널 획득 세부 상태는 무선 단말(100)에서 프라이머리 주파수 채널을 튜닝한 후, 정해진 시간 내에 파일롯 채널을 복원(예컨대, 쇼트 PN 코드(Short PN Code)의 모든 PN 옵셋에 대한 초기 동기를 수행)함으로써, 기지국과 무선 단말(100) 사이의 파일롯 채널을 획득한다. When the system setting detailed state of the initializing state is performed, the pilot channel obtaining detailed state of the initializing state is performed, and the pilot channel obtaining detailed state is performed after tuning the primary frequency channel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pilot channe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obtained by restoring the pilot channe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performing initial synchronization for all PN offsets of the short PN code).

상기와 같은 초기화 상태의 파일롯 채널 획득 세부 상태가 수행되면, 다음으로 상기 초기화 상태의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가 수행되는데, 상기 초기화 상태의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는 동기 채널의 주기가 상기 파일롯 채널에서 쇼트 PN 코드의 한 주기와 정확히 일치하기 때문에 파일롯 채널이 획득되면, 동기 채널도 자동적으로 획득되며, 무선 단말(100)은 상기 동기 채널 획득 상태에서 정해지 시간(1초) 내에 기지국으로부터 SCM(Sync Channel Message)을 수신하는데, 상기 SCM에는 프로토콜 버전, SID, NID, 파일롯 PN 옵셋값, 롱코드 현재상태, 시스템 시각, 및 호출 채널 전송속도 등이 포함된다. When the pilot channel acquisition detail state of the initialization state is performed, the synchronization channel acquisition detail state of the initialization state is next performed. The synchronization channel acquisition detail state of the initialization state is that the period of the synchronization channel is short in the pilot channel. When a pilot channel is acquired because it exactly matches one period of the PN code, a synchronization channel is also automatically acquired, and the wireless terminal 100 receives the SCM (Sync Channel) from the base station within a time (1 second) determined in the synchronization channel acquisition state. Message), the SCM includes protocol version, SID, NID, pilot PN offset value, long code current state, system time, and call channel transmission rate.

상기와 같은 초기화 상태의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가 수행되면, 다음으로 상기 초기화 상태의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가 수행되는데, 상기 초기화 상태의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는 동기 채널이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단말(100)로 상기 SCM이 수신되면, 상기 SCM에 포함된 시스템 시각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100)의 내부 시간과 이동 통신 시스템의 시각을 일치시킨다. 만약 비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의 경우라면, 상기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When the synchronization channel acquisition detail state of the initialization state is performed, the timing conversion detail state of the initialization state is performed, and the timing conversion detail state of the initialization state is per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synchronization channel is obtained. When the SCM is received, the internal time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matches the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ystem time included in the SCM. In the case of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timing conversion detail state may be omitted.

무선 단말(100)에서 상기와 같은 일련의 초기화 상태가 수행되고, 상기 초기화 상태의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 이후 상기 무선 단말(100)에 로드된 상기 추출부(120)가 메모리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외부 메모리(155)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유효한 위치등록정보를 추출하였다면, 상기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 이후 상기 무선 단말(100)에 로드된 상기 위치등록부(110)는 상기 추출부(120)가 외부 메모리(155)로부터 추출한 위치등록정보를 역방향 링크의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을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며, 기지국은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제어국을 거쳐 교환국으로 전송하며, 교환국은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이동 통신 시스템 상의 저장매체인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 및/또는 방문자위치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에 등록한다. The series of initialization states as described above are perform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after the system setting detailed state of the initialization state, the extraction unit 120 loa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externally connected through the memory interface 150. If the valid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extracted from the memory 155, the location registration unit 110 loa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after the detailed system setting state may be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120.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external memory 155 is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through an access channel of a reverse link, and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to the switching center via a control station, and the switching center transmit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 with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and / or a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which are storage media o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법에 따르면, 상기 홈위치등록기 및/또는 방문자위치등록기에는 해당 이동통신망에 가입한 가입자 정보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위치등록정보는 상기 가입자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등록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location register and / or the visitor location register are provided with subscriber information subscrib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association with the subscriber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 단말(100)에는 상기 무선 단말(100)에 구비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외부 메모리(155)에 저장된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추출하는 기능; 및 상기 추출된 위치등록정보를 통해 이동 통신망 상의 저장매체로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무선 단말(100)용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소정의 기록매체가 구비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erminal 100 has a function of extract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external memory 155 through the memory interface 150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for the wireless terminal 100 to realize the function of performing a location registration for the wireless terminal 100 to the storage medium o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extracted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do.

또한, 상기 무선 단말(100)에는 상기 무선 단말(100)에 구비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외부 메모리(155)에 저장된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추출된 위치등록정보와 연계 처리된 인증정보를 근거로 상기 위치등록정보가 해당 무선 단말(100)에서 사용 가능한 유효한 위치등록정보인지 판단하는 기능; 및 상기 위치등록정보가 유효한 위치등록정보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통해 이동 통신망 상의 저장매체로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무선 단말(100)용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소정의 기록매체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wireless terminal 100 has a function of extract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external memory 155 through the memory interface 150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s valid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based on the extract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extracted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if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valid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 function of performing location registration with respect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a storage medium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program is provided.

도면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법에 따라 외부 메모리(155)에 저장된 위치등록정보를 추출하여 무선 단말(100)의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eferred process of performing location regist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by extract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external memory 155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무선 단말(100)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무선 단말(100)은 부트 로더(Boot Loader)를 통해 부팅작업을 개시하며(200), 상기 초기화 상태의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위치등록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단말 운영 시스템을 로딩한다(205). When power is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wireless terminal 100 starts a booting operation through a boot loader (200), and performs the detailed system setting state of the initialization state, thereby performing the wireless terminal ( The remaining terminal operating system other than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100 is loaded (20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단말 운영 시스템의 로딩 과정에서 상기 무선 단말(100)의 제어부(105)로 상기 추출부(120)와, 위치등록부(110) 및/또는 판단부(115)가 로딩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unit 120, the location registration unit 110 and / or the determination unit to the control unit 10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in the process of loading the terminal operat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 115) is loaded.

상기 과정에서 무선 단말(100)의 제어부(105)로 상기 추출부(120)가 로딩되면, 상기 추출부(120)는 상기 무선 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위치등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메모리(155)가 소정의 접촉점을 통해 무선 단말(100)에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한다(210). When the extraction unit 120 is loaded into the control unit 105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in the process, the extraction unit 120 is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memory interface 150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In operation 2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xternal memory 155 that store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10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a predetermined contact point.

만약 상기 무선 단말(100)에 상기 외부 메모리(155)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215), 상기 추출부(120)는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위치등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메모리(155)가 소정의 접촉점을 통해 무선 단말(100)에 연결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If the external memory 155 is not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215), the extractor 120 may provide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the memory interface 150.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stored external memory 155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a predetermined contact point is repea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단말(100)에 상기 외부 메모리(155)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100)은 상기 초기화 상태의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로 돌아간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memory 155 is not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wireless terminal 100 maintains the detailed system setting state of the initialization state or Or return to the system configuration detailed state.

반면 상기 무선 단말(100)에 상기 외부 메모리(155)가 연결되어 있다면(220), 상기 추출부(120)는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상기 외부 메모리(155)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위치등록정보 및/또는 상기 위치등록정보와 연계 처리된 인증정보를 추출한다(235). On the other hand, if the external memory 155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220), the extractor 120 is the wireless terminal 100 from the external memory 155 through the memory interface 150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and / or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cessed in association wit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235).

상기 과정에서 추출부(120)가 메모리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외부 메모리(155)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위치등록정보 및/또는 상기 위치등록정보와 연계 처리된 인증정보를 추출하면, 판단부(115)는 상기 위치등록정보와 연계 처리된 인증정보를 상기 초기화 상태의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에서 무선 단말(100)로 로드된 시스템 정보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로서 상기 위치등록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한다(230). In the process, when the extraction unit 120 extract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 or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memory 155 through the memory interface 150, The determination unit 115 compar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cessed in association wit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with the system information loaded into the wireless terminal 100 in the system setting detailed state of the initialization state,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Validate 230.

만약 상기 과정에서 외부 메모리(155)로부터 추출된 위치등록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다면(235), 위치등록부(110)는 화면 출력부(125)로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240), 상기 외부 메모리(155)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위치등록정보를 추출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 상의 저장 매체에 위치 등록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If the validity of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external memory 155 is not authenticated (235), the location registration unit 110 outputs an error message to the screen output unit 125 (240). The process of extract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from the memory 155 and register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 the storage medium o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terminated.

반면 상기 외부 메모리(155)로부터 추출된 위치등록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다면(245), 위치등록부(110)는 상기 추출부(120)가 외부 메모리(155)로부터 추출한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단말 운영 시스템으로 로드한다(250). On the other hand, if the validity of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external memory 155 is authenticated (245), the location registration unit 110 operate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120 from the external memory 155. Load into system 250.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외부 메모리(155)로부터 추출한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단말 운영 시스템으로 로드하는 것은, 기존 무선 단말(100)에서 NAM 파라미터에 포함된 위치등록정보를 단말 운영 시스템으로 로드하는 것과 동일한 효력을 발휘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ad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external memory 155 to the terminal operat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load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NAM parameter from the existing wireless terminal 100 to the terminal operating system. Has the same effect as

상기와 같이 외부 메모리(155)로부터 추출된 상기 위치등록정보가 단말 운영 시스템으로 로드되면, 위치등록부(110)는 상기 초기화 상태를 통해 무선 단말(100)과 기지국 사이에 링크된 역방향 링크의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100) 위치 등록을 위한 등록 액세스 세부 상태로 전환한 후(255), 외부 메모리(155)로부터 단말 운영 시스템으로 로드된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상기 액세스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한다(260). When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external memory 155 is loaded into the terminal operat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the location registration unit 110 accesses the access channel of the reverse link linked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initialization state. After switching to the registration access detailed state for registration of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by using (255),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loaded from the external memory 155 to the terminal operating system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ccess channel. (26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액세스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된 위치등록정보는 제어국을 거쳐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교환국으로 전송되며, 상기 교환국은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홈위치등록기 및/또는 방문자위치등록기에 등록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ccess channel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switching cen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via the control station, and the switching station transmit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and / or the like. Or register with the visitor location register.

상기와 같이 홈위치등록기 및/또는 방문자위치등록기에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위치가 등록되면, 이후 상기 무선 단말(100)에는 음성 통화 및/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화채널이 설정되며, 이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100)은 음성 통화 및/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cation for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registered in the home location register and / or the visitor location register,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then configured with a call channel for voice call and / or data communication.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services such as voice call and /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가 가능하며, 단말기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무선 단말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1인 1폰 시스템을 1인 다(多)폰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또한, 보편적인 활동영역에서는 기존의 무선 단말을 사용하고, 활동성이 큰 활동영역에서는 보다 휴대가 간편한 무선 단말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ing, and providing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memory for storing the terminal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unique code,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existing one-person one-phone system to a multi-person one phon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an existing wireless terminal in a general active area, and to use a wireless terminal that is more portable in an active area with high activity.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법에 따른 무선 단말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법에 따라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위치등록정보를 추출하여 무선 단말의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eferred process of performing location regist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by extract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an external memor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0 : 무선 단말 105 : 제어부100: wireless terminal 105: control unit

110 : 위치등록부 115 : 판단부110: location register 115: judgment unit

120 : 추출부 125 : 화면 출력부120: extraction unit 125: screen output unit

130 : 키 입력부 135 : 음성 처리부130: key input unit 135: voice processing unit

140 : 무선 처리부 145 : 내부 메모리140: wireless processing unit 145: internal memory

150 : 메모리 인터페이스 155 : 외부 메모리 150: memory interface 155: external memory

160 : 배터리 165 : 이동 통신 시스템 160: battery 165: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laims (14)

단말기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와,Memory for storing the terminal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unique code, 상기 메모리가 분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무선 단말을 포함하며, The memory includes at least two wireless terminals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메모리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무선 단말에 각각 탑재 또는 분리되어 사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복수의 무선 단말 사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And the memory is mounted or used separately in the at least two wireless terminals,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unique code, ESN(Electronics Serial Number) 및/또는 기기 일련번호, 및/또는 통신번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 사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A wireless terminal supporting the use of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electronic serial number (ESN) and / or device serial number, and / or communication numb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식별번호 또는 고유코드는,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unique code, 상기 무선 단말에 구비되는 NAM(Number Assignment Module)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시스템 선호 정보, 프라이머리 및/또는 세컨더리 주파수 채널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 사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At least one or more system preference information, primary and / or secondary frequency channel information included in a number assignment module (NAM) parameter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mory, IC 칩 및/또는 RFID 태그 및/또는 전자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 사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A wireless terminal supporting the use of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C chip and / or RFID tag and / or electronic car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mory, 컴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멀티미디어 메모리 카드(Multimedia Memory Card; MMC),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MS), 시큐어 디지털(Secure Digital; S/D), 스마트 미디어(Smart Media; S/M)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 사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Compact Flash (CF), Multimedia Memory Card (MMC), Memory Stick (MS), Secure Digital (S / D), Smart Media (S / M) Wireless terminal supporting the use of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memory, 상기 무선 단말의 배터리 및/또는 안테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 사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Wireless terminal supporting the use of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battery and / or antenna of the wireless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terminal,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이동통신기반 휴대용 무선 단말과,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 -2000 terminals, Smartphones A mobile communication-based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smart phone; 텔레매틱스(Telematics)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단말과, A vehicle wireless terminal including telematics, 손목에 차거나, 목에 걸거나, 손가락에 끼거나, 머리에 쓰거나, 귀에 걸거나, 몸에 걸치는 웨어러블폰(Wearable-Phone)과, Wearable-phones worn on the wrist, on the neck, on the fingers, on the head, on the ears, or over the body, 등산, 조깅, 하이킹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또는 낚시용으로 개발되는 특수 무선 단말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 사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A wireless terminal supporting the use of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special wireless terminal developed for sports or fishing, including climbing, jogging, hiking. 무선 단말기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기기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가 이동 통신망 상의 저장매체로 등록 및 관리됨으로써, 이동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의 이동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wireless terminal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device serial number is registered and managed by a storage medium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by enabling mobile communication of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provid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the system,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분리 및/또는 이탈착되며,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기기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를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부; An external memory unit which is separated and / or detach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and stores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device serial number for the wireless terminal;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기기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가 저장되지 않는 내부 메모리부;An internal memory unit for stor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device serial number for the wireless terminal; 상기 외부 메모리부를 수용 및 이탈착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 A memory interface accommodating and detaching the external memory unit;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an external memory unit through the memory interface; And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위치등록정보를 통해 이동 통신망 상의 저장매체로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위치등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 사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And a location registra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location registration for the wireless terminal with a storage medium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extracto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메모리부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xternal memory unit, IC 칩 및/또는 RFID 태그 및/또는 전자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 사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A wireless terminal supporting the use of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C chip and / or RFID tag and / or electronic card.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메모리부는,The method of claim 8 or 9, wherein the external memory unit, 상기 무선 단말의 배터리 및/또는 안테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 사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Wireless terminal supporting the use of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battery and / or antenna of the wireless terminal.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wireless terminal,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이동통신기반 휴대용 무선 단말과,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 -2000 terminals, Smartphones A mobile communication-based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smart phone; 텔레매틱스(Telematics)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단말과, A vehicle wireless terminal including telematics, 손목에 차거나, 목에 걸거나, 손가락에 끼거나, 머리에 쓰거나, 귀에 걸거나, 몸에 걸치는 웨어러블폰(Wearable-Phone)과, Wearable-phones worn on the wrist, on the neck, on the fingers, on the head, on the ears, or over the body, 등산, 조깅, 하이킹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또는 낚시용으로 개발되는 특수 무선 단말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 사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A wireless terminal supporting the use of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special wireless terminal developed for sports or fishing, including climbing, jogging, hiking. 무선 단말기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기기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가 이동 통신망 상의 저장매체로 등록 및 관리됨으로써 이동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의 이동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provided by registering and manag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wireless terminal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device serial number with a storage medium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분리 및/또는 이탈착되며,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기기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와 상기 위치등록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한는데 요구되는 인증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부; It is separated and / or detach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and associate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device serial number for the wireless terminal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n external memory unit for processing and storing;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기기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가 저장되지 않는 내부 메모리부;An internal memory unit for stor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device serial number for the wireless terminal; 상기 외부 메모리부를 수용 및 이탈착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A memory interface accommodating and detaching the external memory unit;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an external memory unit through the memory interface; 상기 외부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한 위치등록정보와 연계 처리된 인증정보를 근거로 상기 위치등록정보가 해당 무선 단말기에서 사용 가능한 유효한 위치등록정보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s valid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the wireless terminal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cessed in association wit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external memory unit; And 상기 판단부가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유효한 위치등록정보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통해 이동 통신망 상의 저장매체로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위치등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 사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And a location register configured to perform location regist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with a storage medium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when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s valid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Wireless terminal that supports the use of wireless terminals.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소정의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무선 단말기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기기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를 추출하는 기능; 및Extract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device serial number stored in an external memory through a predetermined memory interfac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And 상기 추출된 위치등록정보를 통해 이동 통신망 상의 저장매체로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And recording a program for a wireless terminal for realizing a function of performing a location registration for the wireless terminal with a storage medium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extracted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소정의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무선 단말기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기기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를 추출하는 기능;Extracting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device serial number stored in an external memory through a predetermined memory interfac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상기 추출된 위치등록정보와 연계 처리된 인증정보를 근거로 상기 위치등록정보가 해당 무선 단말기에서 사용 가능한 유효한 위치등록정보인지 판단하는 기능; 및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s valid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by the wireless terminal based on the extract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extracted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상기 위치등록정보가 유효한 위치등록정보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위치등록정보를 통해 이동 통신망 상의 저장매체로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And if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valid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 function of performing location registration for the wireless terminal on a storage medium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1020040008507A 2004-02-09 2004-02-09 Mobile Devices for Using Multi Mobile Devices KR1010867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507A KR101086750B1 (en) 2004-02-09 2004-02-09 Mobile Devices for Using Multi Mobile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507A KR101086750B1 (en) 2004-02-09 2004-02-09 Mobile Devices for Using Multi Mobile Devic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342A Division KR101086754B1 (en) 2009-02-09 2009-02-09 Mobile Devices for Using Multi Mobile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418A true KR20050080418A (en) 2005-08-12
KR101086750B1 KR101086750B1 (en) 2011-11-25

Family

ID=3726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507A KR101086750B1 (en) 2004-02-09 2004-02-09 Mobile Devices for Using Multi Mobile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7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477B1 (en) * 2007-05-17 2011-08-0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Communication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8510A1 (en) 1997-06-16 1998-12-23 Swisscom Ag Mobile device, chip card and method of communic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477B1 (en) * 2007-05-17 2011-08-0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Communication terminal
US8229399B2 (en) 2007-05-17 2012-07-24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US8666379B2 (en) 2007-05-17 2014-03-04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750B1 (en)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301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 in wireless terminal
CN103384243B (en) The method and apparatus that sip option message for capability discovery of rich is exchanged in portable terminal
US201200833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nsertion of sim card in a portable terminal
US8224292B2 (en) Apparatus for sensing smart-card in dual mode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N106888495B (en) Network access method and terminal
US2013008491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sim-to-sd adaptor
US2008000398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5765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of mode in dual mode terminal
US8577367B2 (en)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0628048B1 (en) Method for Changing SIM Lock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512107B2 (e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tting time according to pres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ime using the same
JP4859597B2 (en) Mobile device
KR101086750B1 (en) Mobile Devices for Using Multi Mobile Devices
JP2009055326A (en) Communication equipment
KR101086754B1 (en) Mobile Devices for Using Multi Mobile Devices
WO2011026422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100700945B1 (en) Method for revitalizing of specific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2566046B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CN115398984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wireless access technology by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multiple communication networks
EP2624528B1 (en) Device capable of having a plurality of SIM cards
CN105554306A (en) Mobile terminal and two-chip system upgrading method
KR10063936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unique number identification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20030044260A (en) Wireless SIM card interface system using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CN111491288B (en) Split type electronic device, host terminal, screen terminal and matching method
KR100703608B1 (en) Method for setting of environment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