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3163A - 회전식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3163A
KR20050073163A KR1020040001384A KR20040001384A KR20050073163A KR 20050073163 A KR20050073163 A KR 20050073163A KR 1020040001384 A KR1020040001384 A KR 1020040001384A KR 20040001384 A KR20040001384 A KR 20040001384A KR 20050073163 A KR20050073163 A KR 20050073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lay device
wireless terminal
portable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1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3163A/ko
Priority to US11/001,136 priority patent/US20050153668A1/en
Priority to CNA2004101036647A priority patent/CN1638407A/zh
Priority to JP2005001274A priority patent/JP2005198314A/ja
Priority to EP05000240A priority patent/EP1553748A3/en
Publication of KR20050073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1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하는 면에 표시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보조 표시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 반전이 가능한 제3 하우징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식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제2 하우징이 열린 상태에서도 사용자 방향으로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하우징과 대면하게 위치시켜 화상통화 시 단말기에 설치된 표시 장치들을 모두 활용함으로써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향후 단말기의 기능을 더욱 다양하게 확장시킴에 있어서, 단말기 상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의 제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회전식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ROTARY TYP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 표시 장치의 전후면 반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산업의 발달로 다양한 기능과 형태를 갖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형태로는 바형(bar type) 단말기, 바형의 단말기에 플립 커버(flip cover)가 결합된 플립형(flip type)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서로 회전함으로써 소정 각도로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 등이 있으며, 소형화에 유리한 폴더형 단말기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 시장에서 주류를 차지해 가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축 A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폴더(102)로 구성된다. 상기 폴더(102)에는 표시 장치(121)가 설치되며, 상기 표시 장치(121) 일측으로 스피커 장치(12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폴더(102)가 닫힌 상태에서 벨소리 등 각종 신호음의 출력을 위하여 상기 폴더(102)에 관통홀(125)이 측면 혹은 상부(미도시)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200)는 본체(201)와, 상기 본체(2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축 A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폴더(202)로 구성된다. 상기 폴더(202)에는 표시 장치(221)가 설치되며, 상기 표시 장치(221) 일측으로 스피커 장치(22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폴더(20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피커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벨소리 등 각종 신호음의 출력을 위하여 외부 면에는 스피커 홀(2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폴더(202)가 상기 본체(201)에 닫힌 상태에서도 송수신 신호 상태, 배터리 잔량, 현재 시각 등 개략적인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보조 표시 장치(229)가 상기 폴더(202)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이 점차 다양화되면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에 부합하도록 단말기의 기능이 향상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면서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소형 카메라 기능이 보편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서비스가 상용화되기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휴대성을 고려하여 표시 장치의 면적은 한정되기 때문에, 화상통화에 다소 불편한 점이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화상으로 나타나는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통화하기 위해 작게나마 자신의 모습을 표시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하였을 경우, 화상통화는 더욱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자신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된 화상에 의해 상대방의 모습이 가려져 화상통화의 이점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통화 시 단말기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들을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써, 화상통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하는 면에 표시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보조 표시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면 반전이 가능한 제3 하우징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표시 장치(329)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3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표시 장치(329)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300)는 제1 하우징(301)과, 상기 제1 하우징(3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30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302)에는 표시 장치(321)가 설치되며, 상기 표시 장치(321) 일측으로 스피커가 내장된 제3 하우징(320)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하우징(302)의 하단에는 소정의 카메라 렌즈(304)가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304)는 상기 제2 하우징(302)의 회전축 A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320)은 하단에 형성된 힌지 돌기(331)를 상기 제2 하우징(302) 단부의 관통홀(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30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 하우징(320)은 상기 제2 하우징(302) 회전축(A1)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A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3 하우징(320)의 일면에는 스피커 홀(323)이 형성된다.
상기 제3 하우징(320)의 타면에는 상기 표시 장치(321)보다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작은 보조 표시 장치(329)가 설치된다. 상기 제2 하우징(302)이 상기 제1 하우징(301) 상에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보조 표시 장치(329)는 단말기(300)의 상태 정보 등 개략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상기 제3 하우징(320)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보조 표시 장치(329)는 상기 제2 하우징(302)이 상기 제1 하우징(301)으로부터 열린 상태에서도 상기 표시 장치(321)와 함께 사용자에게 일정 정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 렌즈(304)를 이용한 화상통화 시, 상대방의 모습은 상기 표시 장치(321) 상에 디스플레이 시키고, 상기 보조 표시 장치(329) 상에는 사용자자신의 모습을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제한된 표시 장치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화상통화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300)의 제2 및 제3 하우징(302, 320)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302)의 내부에는 소정의 구동모터(333)와 기어모듈(335)이 구비된다. 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제3 하우징(320)의 회전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함이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은 별도의 구동모터(333)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상기 제3 하우징(320)을 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보조 표시 장치(529)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5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보조 표시 장치(529)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500)는 제1 하우징(501)과, 상기 제1 하우징(5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50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502)에는 표시 장치(521)가 설치되며, 상기 표시 장치(521) 일측으로 스피커장치가 내장된 제3 하우징(520)이 설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502)의 하단에는 카메라 렌즈(504)가 설치된다.
상기 제3 하우징(520)은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힌지 돌기(531)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502) 단부의 양측에서 각각 힌지 암(525)이 연장되고, 상기 힌지 암(525)의 단부 내측에는 각각 상기 힌지 돌기(531)와 상응하는 힌지 홀(533)이 형성된다. 상기 제3 하우징(520)의 회전축(A2)은 상기 제2 하우징(502)의 회전축(A1)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3 하우징(520)의 일면에는 스피커 홀(523)이 형성된다.
상기 제3 하우징(520)의 타면에는 상기 표시 장치(521)보다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작은 보조 표시 장치(529)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 표시 장치(529)는 상기 제2 하우징(502)이 상기 제1 하우징(501) 상에 닫힌 상태에서 단말기의 상태 정보 등 개략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상기 제3 하우징(520)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보조 표시 장치(529)는 상기 제2 하우징(502)이 상기 제1 하우징(501)으로부터 열린 상태에서도 상기 표시 장치(521)와 함께 사용자에게 일정 정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 렌즈(504)를 이용한 화상통화 시, 상대방의 모습은 상기 표시 장치(521) 상에 디스플레이 시키고, 상기 보조 표시 장치(529) 상에는 사용자 자신의 모습을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제한된 표시 장치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화상통화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상기 제3 하우징에 설치된 보조 표시 장치(529)는 상대방의 모습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된 표시 장치(521)는 사용자의 모습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실시 예들에서는 카메라와 스피커가 각각 폴더의 하단과 제3 하우징에 내장된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적절한 곳에 설치 및 내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단말기의 외측을 향하게 설치된 보조 표시 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제2 하우징이 열린 상태에서도 보조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방향으로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화상통화 시 단말기에 설치된 표시 장치들을 모두 활용함으로써 화상통화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향후 단말기의 기능을 더욱 다양하게 확장시킴에 있어서, 단말기 상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의 제한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제2 및 제3 하우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Claims (6)

  1.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하는 면에 표시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보조 표시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 반전이 가능한 제3 하우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제3 하우징의 타면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화상통화 기능을 제공하고, 화상통화 시 상기 보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와 동일한 방향으로 사용자의 모습을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단부 면에 형성되는 힌지 홀;
    상기 제3 하우징의 일단부 면에 상기 힌지 홀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힌지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축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단부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힌지 암;
    상기 힌지 암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 홀;
    상기 제3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상기 힌지 홀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힌지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축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이 회전하여 전후면을 반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20040001384A 2004-01-09 2004-01-09 회전식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50073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384A KR20050073163A (ko) 2004-01-09 2004-01-09 회전식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11/001,136 US20050153668A1 (en) 2004-01-09 2004-12-02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rotatable display device
CNA2004101036647A CN1638407A (zh) 2004-01-09 2004-12-24 具有可转显示器件的便携式无线终端设备
JP2005001274A JP2005198314A (ja) 2004-01-09 2005-01-06 回転式表示装置が具備された携帯用無線端末機
EP05000240A EP1553748A3 (en) 2004-01-09 2005-01-07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an additional rotata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384A KR20050073163A (ko) 2004-01-09 2004-01-09 회전식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163A true KR20050073163A (ko) 2005-07-13

Family

ID=3458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384A KR20050073163A (ko) 2004-01-09 2004-01-09 회전식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153668A1 (ko)
EP (1) EP1553748A3 (ko)
JP (1) JP2005198314A (ko)
KR (1) KR20050073163A (ko)
CN (1) CN16384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5191B (en) * 2003-04-10 2004-12-11 Benq Corp Notebook having a rotatable display module
US7212844B2 (en) * 2003-10-24 2007-05-01 Motorola Inc. Cellular telephone with improved mechanical design
JP4807512B2 (ja) * 2006-10-17 2011-11-02 博久 矢埜 電磁波緩和携帯電話
US9319497B2 (en) * 2013-01-02 2016-04-19 Sony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CN108536478A (zh) * 2018-03-30 2018-09-1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0324452B (zh) * 2018-03-31 2021-08-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CN110417958A (zh) * 2018-05-04 2019-11-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8632414A (zh) * 2018-05-25 2018-10-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CN108881560B (zh) * 2018-08-24 2023-04-25 南昌黑鲨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8467B2 (ja) * 1992-09-08 2002-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機
US6137525A (en) * 1997-02-19 2000-10-24 Lg Electronics Inc. Personal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2118628A (ja) * 2000-10-05 2002-04-19 Zenji Tsuchikawa 携帯電話機
JP2002218030A (ja) * 2001-01-17 2002-08-0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2002247164A (ja) * 2001-02-14 2002-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DE10108089A1 (de) * 2001-02-19 2002-09-05 Jens M Ottow Mobiltelephon
US20020158812A1 (en) * 2001-04-02 2002-10-31 Pallakoff Matthew G. Phone handset with a near-to-eye microdisplay and a direct-view display
JP4071452B2 (ja) * 2001-04-13 2008-04-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無線機
US20030006942A1 (en) * 2001-07-05 2003-01-09 Damion Searls Ergonomic auxiliary screen and display subsystem for portable handheld devices
WO2003009269A2 (en) * 2001-07-18 2003-01-30 Daniel Dunn Multiple flat panel display system
KR100403370B1 (ko) * 2001-09-29 2003-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
KR20030046891A (ko) * 2001-12-07 2003-06-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상폴더 외부에 터치스크린과 기능키를 구비하는 폴더형이동통신단말기
US7012610B2 (en) * 2002-01-04 2006-03-14 Ati Technologies, Inc. Portable device for providing dual display and method thereof
JP2003244301A (ja) * 2002-02-18 2003-08-29 Nec Corp 携帯情報端末
US7565182B2 (en) * 2002-10-22 2009-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ell phone
US7230585B2 (en) * 2002-10-28 2007-06-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wo-way display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53748A2 (en) 2005-07-13
EP1553748A3 (en) 2005-07-20
JP2005198314A (ja) 2005-07-21
CN1638407A (zh) 2005-07-13
US20050153668A1 (en)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57661A (ko)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EP1553748A2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an additional rotatable display device
JP2004064728A (ja) カメラが備えられた移動端末機
KR20040077291A (ko)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JP4112402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640838B1 (ko) 회전형 카메라모듈의 비고정식 접점구조 및 이를 적용한휴대폰
KR100819277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639507B1 (ko) 더블 폴더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36395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31936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397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101153511B1 (ko) 호환 가능한 분리형 카메라 및 그에 따른 칩셋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KR200339127Y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46601Y1 (ko) 회전 카메라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664157B1 (ko) 회동가능한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447628B1 (ko) 카메라 장착 휴대폰
KR200340063Y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8573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안정화 장치
KR100531877B1 (ko) 카메라 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KR20060073577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0212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겸용 스피커
KR20060034016A (ko) 촬영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80273A (ko) 휴대용 단말기의 로고회전장치
KR20050003824A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20050068963A (ko)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