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7285A - Method for changing camera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hanging camera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7285A
KR20050067285A KR1020030098165A KR20030098165A KR20050067285A KR 20050067285 A KR20050067285 A KR 20050067285A KR 1020030098165 A KR1020030098165 A KR 1020030098165A KR 20030098165 A KR20030098165 A KR 20030098165A KR 20050067285 A KR20050067285 A KR 20050067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ll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06045B1 (en
Inventor
진정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8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045B1/en
Publication of KR20050067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2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04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통화 모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여부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카메라 모듈의 동작이 검출되면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같이 수행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카메라 모듈이 일정 범위 이상 회전한 것을 감지하거나 카메라 모듈 렌즈의 외부 노출을 감지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기능을 수행중일 때라도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대상물을 촬영하고 이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기능을 수행중일 때라도 전화가 오면 통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era mode switch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camera module is operated in a call mode; And a second process of performing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together by switching.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mera module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range or detects an external exposure of the camera module lens, so that ev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ing a call function, it simultaneously performs a camera function to shoot an object and transmit the same. It can be effective. In addition, ev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when a call comes in, the call function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드 전환 방법{METHOD FOR CHANGING CAMERA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Camera mode switch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module {METHOD FOR CHANGING CAMERA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일 때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같이 수행하는 방법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일 때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같이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e switch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in particular, a method of performing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by switching to a camera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all mod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erforming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by switching to a call mode when in a camera mode.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휴대폰이나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말한다. 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fers to a device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that allows a user to make a call or exchange data while moving.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벨소리 종류, 벨소리 크기, 알람, 잠금, 송수신 제한 등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메뉴를 제공한다. Recent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ing used regardless of age or sex and are becoming indispensable items for modern people.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various menus so that a user can directly set and operate a ring type, a ring size, an alarm, a lock,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restriction as the technology develops.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 주요 기능은 물론 상대방과 통화를 하는 것이지만 여러 가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기능과 더불어 다른 여러 가지 부가 기능들도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들 중에는 상기이동 통신 단말기에 카메라를 구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물의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거나 촬영한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everal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main function of course is to talk to the other party, but there are also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as well as a function for exchanging various information. Among the additional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a camera to capture and store an image of an object desired b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ransmit a captured image.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드는 별도의 전용 카메라 키를 사용하여 동작 시키거나,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거하여 메뉴를 거쳐 동작시키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일 때 대상물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일단 통화를 종료하고, 별도 카메라 전용 키나 키 입력에 따른 메뉴 단계를 거쳐 카메라 모드로 변경하여 대상물을 촬영하고 다시 통화를 시도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로 동작하여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고 있을 때 착신호가 수신되어 통화가 연결되면 카메라 기능이 중단되기 때문에, 통화를 하지 않고 카메라 기능을 계속 수행하거나 카메라 기능을 중지하고 착신호를 연결한 후 통화를 종료하고 다시 카메라 기능을 수행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The camera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may be operated using a separate dedicated camera key or may be operated through a menu based on a user's key input. However, in order to shoot an object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an end of a call is terminated, and a change is made to a camera mode through a menu step according to a separate camera-specific key or key input, and the object is taken and a call is made again. It was. 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operates in camera mode and performs a camera function, when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and the call is connected, the camera function is interrupted. Therefore, the camera function is continued without the call or the camera function is stopped and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end the call and perform the camera function again after connect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일 때도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by switching to a camera mode even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is in a call mo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일 때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switching to a call mode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is in a camera mode and simultaneously performing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통화 모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여부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카메라 모듈의 동작이 검출되면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같이 수행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era mode switch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the first step of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in the call mode, and the first step of the camera module When the operation is detected, the method includes a second process of switching to the camera mode and performing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together.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모드에서 착신호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착신호가 검출되면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같이 수행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era mode switch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the first step of detecting an incoming call in the camera mode, and when the incoming call is detected in the first step to switch to the call mode and call function and camera And a second process of performing a function togeth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간단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는 키입력부(110),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부(115), 카메라 모듈(120), 동작 검출부(125), 송수신부(130), 음성처리부(135), 송수신통화 메모리부(140), 메모리부(145) 및 제어부(예컨대, MSM)(150)를 포함한다.       1 is a simple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illustrated camera module includes a key input unit 110,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display unit 115, a camera module 120, an operation detector unit 125, a transceiver unit 130, and a voice processing unit 135.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call memory unit 140, a memory unit 145, and a controller (eg, MSM) 150.

키입력부(110)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키,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155)로 출력한다. 그리고 소정 위치에 셔터(Shutter)를 설치한다.       The key input unit 110 has a key matrix structure (not shown) and includes a character key, numeric keys, and various function keys to output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55. And a shutter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LCD 표시부(115)는 LCD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가 촬영한 대상물의 영상을 화면에 출력한다.       The LCD display unit 115 includes an LCD, and outputs various display data gener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mage of an o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screen.

카메라 모듈(120)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 되어 있으며, 회전이 가능하고 카메라 모드 수행 시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대상물의 이미지를 캡쳐(Capture)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 camera module 120 is built in or exter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capable of rotating and capturing an image of an object input through a lens when the camera mode is performed.

동작 검출부(125)는 카메라 모듈(120)의 동작여부를 검출하여 동작이 검출되면 동작 정보 신호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The motion detector 125 detects whether the camera module 120 operates and outputs an motion informa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50 when motion is detected.

송수신부(130)는 RF(Radio Frequency)부로서,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한다. 송수신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The transceiver 130 is a radio frequency (RF) unit, and refers to a comprehensive component of a high frequency processor, an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or, and a baseband processor. The transceiver 130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text data, video data, and contro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음성처리부(135)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송수신부(13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The voice processing unit 135 modulates the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and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into voice data, and demodulates the encoded voice data input from the transceiver 130 into the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speaker.

송수신통화 메모리부(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송신과 수신 통화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ll memory unit 140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lls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메모리부(145)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The memory unit 145 stores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어부(15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동작 검출부(125)가 카메라 모듈(120)의 동작을 검출하여 출력한 동작 정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있을 때도 상기 동작 정보 신호가 입력되면,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같이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요청이 있을 경우 카메라 모드에서 촬영한 대상물의 영상을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overall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a camera mode when a motion information signal input by the motion detector 125 detects and outputs the motion of the camera module 120. If the operation information signal is input ev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the controller 150 switches to the camera mode and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the call function and the camera function together. When the user requests a key input, the camera controls to transmit the image of the object photographed in the camera mode.

제어부(150)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를 수행하고 있을 때 착신호의 수신을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해 검출한다. 제어부(150)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착신호가 검출되면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같이 수행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150 detects reception of an incoming call through a paging channe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ing a camera mode. When the incoming call is detected through the paging channel, the controller 150 switches to the call mode and performs the call function and the camera function togethe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를 수행할 때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by switching to a camera mode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performs a call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있다(S210).       1 and 2,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a call mode (S210).

동작 검출부(125)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 수행 중에 카메라 모듈(120)이 회전하거나, 카메라 모듈(120)의 렌즈 커버 제거를 통한 카메라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는 동작을 검출한다(S220).        The motion detector 125 detects an operation in which the camera module 120 rotates or the camera lens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removing the lens cover of the camera module 120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the call mode (S220).

제어부(150)는 상기 과정(S220)에서 동작 검출부(125)가 카메라 모듈(120)의 동작여부를 검출하여 카메라 모듈(120)의 동작이 검출되면 출력한 동작 정보 신호가 입력되면, 통화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230). 이 때 동작 정보 신호는 동작 검출부(125)가 카메라 모듈(120)의 회전 또는 카메라 모듈(120)의 카메라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신호이다. 상기 동작 정보 신호는 카메라 모듈(120)의 잘못된 회전에 따른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120)이 일정 범위 이상(예컨대, 5ㅀ이상) 회전하면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ler 150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120 by the operation detector 125 in the step S220, and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signal outputted when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120 is detected is inputted, the call mode state Control to perform the camera mode in step (S230). In this case, the motion information signal is a signal that the motion detection unit 125 detects the rotation of the camera module 120 or that the camera lens of the camera module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outputs it. The operation information signal may be output when the camera module 120 rotates more than a predetermined range (for example, 5 dB or more) in order to prevent a mal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an incorrect rotation of the camera module 120.

제어부(150)는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도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메뉴 키의 입력이 있는 검사한다(S240). 제어부(150)는 상기 과정(S240)에서 메뉴 키의 입력이 있으면, 그 키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250). 여기서 해당 기능은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한 대상물의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이 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150 checks whether a menu key is input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S240). If there is an input of a menu key in step S240, the controller 150 performs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key (S250). The function may b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 image of an object photographed using a camera function.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한 키 입력 신호 또는 카메라 모듈(120)의 카메라 렌즈 커버가 닫히는 것에 따른 카메라 기능의 종료를 검사하고(S260), 카메라 기능이 종료되면 통화 모드만 수행하면서 통화 종료 여부를 검사한다(S270).       The controller 150 checks the end of the camera function according to the key input signal or the camera lens cover of the camera module 120 clos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S260). Check whether it is terminated (S270).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도시된 정면도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120)은 배경 쪽을 향하고 있고, LCD 표시부(115)는 통화 모드 상태임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3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in a call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A, the camera module 120 capable of rot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aces the background, and the LCD display 115 displays a screen indicating that the call mode is in a state.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일 때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카메라 모듈(120)이 통화 모드 상태에서 배경 쪽을 향하고 있다가 통화자 쪽으로 회전한 상태이며, LCD 표시부(115)는 통화자의 모습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이는 통화 상태에서 동작 검출부(125)가 카메라 모듈(120)의 회전이 일정 범위 이상임을 검출하여, 동작 정보 신호를 제어부(150)로 출력함으로써 제어부(150)가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제어한 것이다.       3B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performs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simultaneously by switching to a camera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is in a call mode. Referring to FIG. 3B, the camera module 1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 3A faces the background side in the call mode and rotates toward the caller, and the LCD display 115 shows the caller. The screen showing is displayed. It detects that the rotation of the camera module 120 is a predetermined range or more in a call state, and outputs an operation informa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50 so that the controller 150 simultaneously performs the call function and the camera function. It is controll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를 수행할 때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있다(S310).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by switching to a call mode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performs a camera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4,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a camera mode (S310).

제어부(150)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위한 착신호가 수신되는지 검출한다(S320).        The controller 150 detects whether an incoming call for call connection is receiv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paging channel (S320).

제어부(150)는 상기 과정(S320)에서 착신호의 수신이 검출되면 카메라 모드 상태에서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330).        When the reception of the incoming call is detected in step S320,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o simultaneously perform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in the camera mode state (S330).

제어부(150)는 통화가 종료 여부를 검사한다(S340). 제어부(150)는 통화가 종료되지 않으면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통화가 종료되면 카메라 기능만 수행하면서 카메라 모드 종료 여부를 검사한다(S350).       The controller 150 checks whether the call is terminated (S340). If the call is not terminated, the controller 150 performs the call function and the camera function at the same time, and when the call is terminated, performs only the camera function and checks whether the camera mode ends (S350).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회전 가능한 카메라 모듈(120)은 통화자 쪽을 향하고 있고, LCD 표시부(115)는 카메라 모듈(120)이 통화자의 모습을 촬영하고 있는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5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in a camera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A, the rotatable camera module 120 of the illust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aces the caller, and the LCD display 115 displays a screen in which the camera module 120 photographs the caller. It is displaying.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를 수행할 때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도 5b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LCD 표시부(115)는 카메라 모듈(120)이 통화자의 모습을 촬영하고 있는 화면과 그 화면의 상단에 통화 상태임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이는 카메라 모드 상태에서 제어부(150)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수신된 착신호를 검출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제어한 것이다.       5B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performs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simultaneously by switching to a call mode when performing a camera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B, the LCD display 115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 5B displays a screen on which the camera module 120 is capturing a caller's appearance and a screen indicating that a call state is at the top of the screen. Doing. This is to control the controller 150 to perform the call function and the camera function simultaneously by detecting the incoming call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camera mode state.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카메라 모드 동작 중에 착신호의 검출에 따라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 이외에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simultaneously performing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according to detection of an incoming call during camera mode opera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카메라 모듈이 일정 범위 이상 회전한 것을 감지하거나 카메라 모듈 렌즈의 외부 노출을 감지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기능을 수행중일 때라도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대상물을 촬영하고 이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기능을 수행중일 때라도 전화가 오면 통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mera module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range or detects an external exposure of the camera module lens, and simultaneously performs a camera function to capture an object ev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ing a call function. And it has the effect of transmitting it. In addition, ev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when a call comes in, the call function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간단한 블록 구성도.       1 is a simple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를 수행할 때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by switching to a camera mode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performs a call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3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in a call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를 수행할 때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3B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performs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simultaneously by switching to a camera mode when performing a call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를 수행할 때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by switching to a call mode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performs a camera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5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in a camera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를 수행할 때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5B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performs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simultaneously by switching to a call mode when performing a camera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In the camera mode switch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통화 모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 여부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       A first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the camera module is operated in a call mode; 상기 제1과정에서 카메라 모듈의 동작이 검출되면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같이 수행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a second process of switching to a camera mode and performing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is detected in the first process. 제1항에 있어서, 제1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process is 상기 카메라 모듈의 회전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외부에 노출되는 동작을 검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camera module or the movement of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to the outside.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In the camera mode switch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카메라 모드에서 착신호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       A first process of detecting an incoming signal in a camera mode; 상기 제1과정에서 착신호가 검출되면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같이 수행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a second process of switching to a call mode and performing a call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when an incoming call is detected in the first process. 제3항에 있어서, 제1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process is 페이징 채널을 통해 착신호를 검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Detecting an incoming signal through the paging channel.
KR1020030098165A 2003-12-27 2003-12-27 Method for changing camera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KR100606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165A KR100606045B1 (en) 2003-12-27 2003-12-27 Method for changing camera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165A KR100606045B1 (en) 2003-12-27 2003-12-27 Method for changing camera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285A true KR20050067285A (en) 2005-07-01
KR100606045B1 KR100606045B1 (en) 2006-07-28

Family

ID=3725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165A KR100606045B1 (en) 2003-12-27 2003-12-27 Method for changing camera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04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756A1 (en) * 2013-03-29 201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756A1 (en) * 2013-03-29 201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6045B1 (en) 200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144B1 (en) Method for sensing a position of folder in a rotation touchable phone having a camera
CA2442132C (en) Folding built-in camera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that has photographing control function and photographing control method used in the terminal
EP162465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mode in a portab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portable terminal
KR100703332B1 (en) Method for changing operation mode in wireless terminal
US20060274039A1 (en)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JP2005323241A (en) Mobile telephone set
KR100606045B1 (en) Method for changing camera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KR100678130B1 (en) Method for perform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2005004285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using touch screen
KR20060136235A (en) Method for perform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10066342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zoom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1066339B1 (en) Wire and wireless terminal having remote monitor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678027B1 (en) Mobile terminal having camera function and its image processing method
KR10060606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60597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and a method for changing camera mode using the same
KR100605996B1 (en) Control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KR1006976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y using motion sensing
KR100605869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motioning in wireless terminal typing slide
KR101215314B1 (en) mobile device with screen saver and method for photography using the same
JP2006157410A (en)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mode
KR100744344B1 (en)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data
KR10100286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tive mode in wireless terminal typing slide
KR20040081962A (en)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camera by using short message service of mobile phone
KR100557094B1 (en) Method for adjusting inverted image in display system
KR100689409B1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external display unit of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