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9805A - The rf battery having radio frequency transceiver - Google Patents

The rf battery having radio frequency transce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9805A
KR20050049805A KR1020030083545A KR20030083545A KR20050049805A KR 20050049805 A KR20050049805 A KR 20050049805A KR 1020030083545 A KR1020030083545 A KR 1020030083545A KR 20030083545 A KR20030083545 A KR 20030083545A KR 20050049805 A KR20050049805 A KR 20050049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ign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5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71858B1 (en
Inventor
이성섭
정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비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비전자
Priority to KR1020030083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858B1/en
Priority to US10/752,264 priority patent/US7483673B2/en
Publication of KR2005004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8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85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에 있어서, 전력선 모뎀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으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검출하고 이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전원라인을 통해 송신하며, 전원라인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로 출력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과,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와 무선 송수신 모듈의 동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력선 모뎀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RF 배터리가 장착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으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검출하여 RF 신호로 변환한 후 전원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며,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검출하여 통신 데이터로 변환한 후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에서 상기 통신 데이터에 해당하는 기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 communication data is detected from a power line of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based on a power line modem method. Converts into a signal and transmits it through the power line, receives a RF signal from the power line, converts it into communication data and outputs it to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 power supply for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battery for supplying, based on the power line modem method detects the communication data from the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he RF battery is converted into RF signal and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consisting of the power line RF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fter detecting the number to the communication data conversion makes it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a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data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Description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알에프 배터리{THE RF BATTERY HAVING RADIO FREQUENCY TRANSCEIVER}RF Battery with Wireless Transceiver Module {THE RF BATTERY HAVING RADIO FREQUENCY TRANSCEIVER}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와 RF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 모듈을 일체화하여 RF 배터리를 구현하고, 전력선 모뎀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RF 배터리가 장착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으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검출하여 RF 신호로 변환한 후 전원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며,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검출하여 통신 데이터로 변환한 후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에서 상기 통신 데이터에 해당하는 기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t / receive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implement an RF battery by integrating a battery for power supply and a wireless transmit / receive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and based on a power line modem method. Detects communication data from a power line of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he RF battery, converts the communication data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s the same through an antenna formed by a power line. The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s detected and converted into communication dat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 enabling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to perform a functio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data.

편리함을 추구해 가는 사회 분위기와 맞물려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는 원격제어장치(일명, 리모콘(Remocon)이라 함.)와 같은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수요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The demand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remote control devices (also called remote controllers) that provide convenience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 social atmosphere that seeks convenience, is increasing greatly.

일반적인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는 비교적 구현이 용이하고 경제적으로도 부담이 되지 않는 적외선 데이터(Infrared Data : IrDA),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A gener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perform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using infrared data (Infrared Data: IrDA), ultrasonic waves, etc., which are relatively easy to implement and do not burden economically.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는 통신의 특성상 통신거리에 있어서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상의 제약, 즉 물리적인 장애물을 넘어서는 동작할 수 없어 반드시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간(예를 들면, 리모콘과 피제어기기 사이)에 직접적인 시야 및 거리가 확보되어야 하는 제약성이 있다.However,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not only has a limitation in communication distan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but also cannot operate beyond space limitations, i.e., physical obstacles, so that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eg, a remote controller and There is a constraint that a direct field of view and distance between the controlled devices must be secured.

따라서, 최근 들어 각광받는 가정 자동화(Home Automation)와 컴퓨터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원격제어 및 멀티미디어 분야에서는 공간상의 제약을 뛰어넘는 새로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RF 통신을 이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in the field of home automation and computer-based home remote control and multimedia, a need for a new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that overcomes space limitations has emerged. Therefore,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using RF communication has been used. Doing.

그러나, 이러한 RF 통신의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는 초기 개발 장비 투자 및 개발 비용이 많이 들고 개발 완료시에도 각종 전파 법규의 제약이 많아 필요시 개발 완료된 무선 데이터 통신모듈을 구입하여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of the RF communication is a situation in which the initial development equipment investment and development costs are high, and the development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odule is required to purchase and use the develope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odule if necessary due to the limitations of various radio laws.

그리고, 가정 자동화 시스템 등에 있어서는 적외선 통신의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 이외에도 RF 통신의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를 새로이 구비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다.In addition, in home automation systems and the like, there is an economic burden of providing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for RF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for infrared communication.

즉, 종래에는 적외선 신호의 작동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해 적외선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RF 통신의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는 아래와 같은 불편함과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in the related art,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for RF communication which converts an infrared signal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s and receives an infrared signal in order to expand the operating range of the infrared signal has been proposed, but such a device has the following inconveniences and various problems.

첫째로, 종래 적외선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RF 신호 변환장치는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에 직접 내장 설치되거나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에 근접한 장소에 위치 및 외장 설치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RF 신호 변환장치가 적외선 통신의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에 근접한 장소에서만 작동 가능하므로 반드시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시야내에 존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First, a conventional RF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an infrared signal into an RF signal may be directly installed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that transmits an infrared signal, or may be installed in a location and an exterior of a location close to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Since the RF signal converter can operate only in a location close to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of the infrared communication, it must be present in the field of view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그리고, RF 신호 변환장치가 내장된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경우에는 그 가격이 상당히 고가여서 경제적인 부담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incorporating an RF signal conversion device, the price is quite expensive, and there is an economic burden.

둘째로, RF 신호 변환장치가 내장된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는 배터리 수납 케이스에 장착되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RF 신호 변환장치에서의 RF 통신을 위한 별도의 안테나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안테나가 배터리 수납 케이스의 크기에 제한받아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깊숙한 곳에 위치됨에 따라 여타 장애물에 의한 RF 신호의 송수신에 방해를 받게 되며, 결국 RF 신호의 송출을 제한하여 유효 작동 범위가 좁아질 수 밖에 없다. Secondly, in the case of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built-in RF signal converter,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is powered by a battery mounted in a battery storage case, and is separately provided for RF communication in the RF signal converter. As the antenna is limited to the size of the battery storage case and located deep inside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the antenna is disturb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RF signal by other obstacles, thereby limiting the transmission of the RF signal. The effective operating range can only be narrowed.

셋째로,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외부에 미학적인 목적이나 여타 기능적인 이유로 은분 등 금속 성분을 띄는 라벨을 붙이는 경우 또는 에어 스프레이(Air Spray)를 이용하여 도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금속 성분에 의해 신호의 간섭을 받게 되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RF 신호의 송출을 제한하여 유효 작동 범위가 좁아질 수 밖에 없게 된다.Third, there is a case of labeling a metallic component such as silver powder on the exterior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for aesthetic purposes or other functional reasons, or painting using an air spray. Since the interference of the RF signal as described above to limit the effective operating range is bound to narrow.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와 RF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 모듈을 일체화하여 RF 배터리를 구현하고, 전력선 모뎀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RF 배터리가 장착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으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검출하여 RF 신호로 변환한 후 전원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며,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검출하여 통신 데이터로 변환한 후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에서 상기 통신 데이터에 해당하는 기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n RF battery by integrating a battery for power supply and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s, and based on the power line modem method the RF battery Detects and converts communication data from the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RF signal and transmits it through an antenna consisting of a power line, and detects and converts the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to communication data.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module that enables 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to perform a functio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dat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RF 배터리의 전원단자와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단자의 결합에 따라 형성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을 통신 데이터의 RF 송수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 모듈의 안테나로 사용함으로써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 내부에 별도의 안테나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한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power terminal of the RF battery and the power terminal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by using the antenna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for the R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mmunication data wireless data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antenna inside a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준 크기의 RF 배터리를 구현함으로써 각종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배터리 수납 케이스에 장착하기만 하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간에 RF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짐에 따라 원래의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원거리의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lement a standard size RF battery, as long as it is mounted on the battery storage case of variou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s, the RF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s as the origin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s it i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t / receive module that enables longer distanc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송수신 모듈과 배터리를 고정 접속하여 일체화하거나 또는 무선 송수신 모듈과 배터리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일체화한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integrated with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nd a battery by being fixedly connected or integrated with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nd a battery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가 1차전지 또는 2차전지로서, 1차전지의 경우 교환이 가능하고, 2차전지의 경우 일반 충전기를 통해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is a primary battery or a secondary battery, in the case of the primary battery can be replaced, the secondary battery RF battery provided with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to enable charging through a common charger Is in provid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에 있어서, 전력선 모뎀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으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검출하고 이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전원라인을 통해 송신하며, 전원라인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로 출력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과,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와 무선 송수신 모듈의 동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ased on a power line modem method from a power line of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that detects communication data, converts it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s it through a power line, receives an RF signal from the power line, converts it into communication data, and outputs it to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a wireles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transceiver modul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는, 이 RF 배터리의 전원라인과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체적인 PCB 패턴의 전원라인을 무선 송수신 모듈의 RF 송수신용 안테나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line of the RF battery and the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of the entire PCB pattern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sed as an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의 무선 송수신 모듈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으로부터 캐리어 신호를 추출하여 통신 데이터를 검출하고, 이 통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RF 제어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전원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며, 안테나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여 RF 제어 데이터를 검출하는 RF 송수신 회로부와, 무선 송수신 모듈의 온/오프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각각의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ID 신호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부와,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으로부터 추출되는 캐리어 신호를 RF 신호의 송신을 위한 인에이블 신호로 인식하여 RF 송수신 회로부에서 검출된 통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RF 제어 데이터를 RF 송수신 회로부로 출력하고, RF 송수신 회로부에서 검출된 RF 제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통신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RF 신호의 전송 여부를 표시해 주고 알려 주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해 주고 알려주는 표시부 및 부저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회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less transceiver module of the RF battery including the wireless transceiv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a carrier signal from a power line of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to detect communication data, and converts RF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data into RF. Converts into a signal and transmits it through an antenna made of a power line, and receives an RF signal from the antenna to detect RF control data, and sets an on / off operation mode of a wireless transmit / receive module, respectively,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 switch unit for setting an ID signal for identifying a device and a carrier signal extracted from a power line of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re recognized as an enable signal for transmitting an RF signal, and correspond to communication data detected by the RF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unit. Outputs the RF control data to the RF transceiver circuit, and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commun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RF control data to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operating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indicating and transmitting the RF signal, and indicat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The display unit and the buzzer to in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charging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of the battery by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의 무선 송수신 모듈내 RF 송수신 회로부가,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에 연결되어 RF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고,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으로부터 캐리어 신호를 검출하는 RF 송수신 안테나와, RF 송수신 안테나의 전원라인으로부터 검출된 캐리어 신호를 필터링하여 이 캐리어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순수 캐리어 신호를 추출하는 검출용 필터부와, 검출용 필터부에서 추출된 순수 캐리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 순수 캐리어 신호에 해당하는 통신 데이터를 제어부로 출력하거나, 후술될 수신용 필터부에서 추출된 순수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 순수 RF 신호에 해당하는 RF 제어 데이터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A/D 변환부와, 제어부의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배터리의 전압을 일정 레벨 승압하는 DC/DC 변환부와,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통신 데이터에 대응하는 RF 제어 데이터를 아날로그 RF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와, 제어부의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D/A 변환부에서 변환된 RF 신호를 DC/DC 변환부에서 승압된 전압에 따라 일정 레벨 증폭하여 RF 송수신 안테나로 출력하는 송신용 증폭부와, 제어부의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RF 송수신 안테나의 전원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DC/DC 변환부에서 승압된 전압에 따라 일정 레벨 증폭하는 수신용 증폭부와, 수신용 증폭부에서 증폭된 RF 신호를 필터링하고 이 RF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여 순수 RF 신호를 추출하여 A/D 변환부로 출력하는 수신용 필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F transceiver circuit unit in the RF transceiver module of the RF battery including the RF transceiv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ower line of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from a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n RF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for detecting a carrier signal, a detection filter unit for extracting a pure carrier signal by filtering a carrier signal detected from a power line of the RF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and removing noise included in the carrier signal, and a detection filter unit Converts the pure carrier signal extracted from the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the commun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pure carrier signal to the control unit, or converts the pure RF signal extracted from the receiving filter unit to be described later into a digital signal An A / D converter for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RF control data to the controller, and A DC / DC converter which operates according to a signal and boosts the battery voltage by a predetermined level, a D / A converter that converts RF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communication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into an analog RF signal, and A transmission amplifier which operates according to the enable signal and amplifies a predetermined level of the RF signal converted by the D / A converter according to the voltage boosted by the DC / DC converter and outputs the RF signal to the RF transceiver antenna, and the enable signal of the controller And amplifying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power line of the RF transmitting / receiving antenna by a predetermined level according to the voltage boosted by the DC / DC converter, and filtering the RF signal amplified by the receiving amplifier.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receiving filter unit for removing the noise contained in the signal to extract the pure RF signal and output to the A / D conver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가 장착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는 전력선 모뎀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전원라인으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검출하고 이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며, 반대로 전원라인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로 출력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160)과, 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와 무선 송수신 모듈(160)의 동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40)가 일체로 구성된 RF 배터리(120)를 장착하게 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perform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s based on a wireless power line modem method Detects the communication data from the power line of the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converts it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s it, and conversely, receives the RF signal from the power line, converts it into communication data, and outputs it to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RF battery 1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60 and the battery 140 for supplying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60.

이러한 RF 배터리(120)를 장착한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 상호간에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제1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와 제2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200) 간에는 각 RF 배터리(120,220)내 무선 송수신 모듈(160,260)의 동작을 통해 RF 신호의 무선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For example, each RF battery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seco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200 illustrated in FIG. 1. Wireless data communication of the RF signal is performed through operations of the wireless transmit / receive modules 160 and 260 in the 120 and 220.

즉, 제1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리모콘과 같은 원격제어장치이고, 제2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200)가 피제어기기(예를 들면, TV, VCR, PC, 프린터, 모바일 기기, MP3 등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대상의 전자기기)인 경우라면, 제1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RF 배터리(120)내 무선 송수신 모듈(160)에서 전력선 모뎀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제1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전원라인으로부터 원격제어를 위한 통신 데이터를 검출한 후 RF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제2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200)로 출력한다.That is, the first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is a remote control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ler for performing infrared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200 is a controlled device (for example, a TV, a VCR, a PC, a printer). , An electronic device to be controlled including a mobile device, MP3, etc.), based on a power line modem method in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60 in the RF battery 120 of the first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After detecting the communication data for remote control from the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is converted into an RF signal and output to the seco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200 through the antenna.

그러면, 제2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200)의 RF 배터리(220)내 무선 송수신 모듈(260)에서 전력선 모뎀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검출한 후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원라인을 통해 제2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200)의 제어부(미도시)로 출력함으로써 제2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200)에서 통신 데이터에 따른 해당 동작이 원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n,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60 in the RF battery 220 of the seco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200 detects an RF signal received through an antenna based on a power line modem method and converts the RF signal into communication data to supply a power line. By outputting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seco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200 through the seco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200 so that the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data can be made remotely.

여기서,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무선 송수신 모듈(160)은 전력선 모뎀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전원라인에 존재하는 통신 데이터, 즉 잡음으로 동작하는 특정 데이터 주파수를 추출하여 이 특정 데이터 주파수에 대응되는 통신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Here, the wireless transmit / receive module 160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extracts communication data existing in a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that is, a specific data frequency operating based on noise, based on a power line modem method. Thus, commun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is specific data frequency is converted into an RF signal.

상기 전력선 모뎀 방식이란 별도의 통신라인을 사용하지 않고 통신신호를 수십KHz∼수MHz의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기존의 전원라인에 전원과 함께 실어 송신하고, 이 통신신호를 고주파 필터를 통해 분리하여 수신하는 방식으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망을 구성하여 가정 자동화나 공장 자동화 등에 사용하거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거리 통신망을 구성하여 원격지의 장치를 원격제어한다.The power line modem method converts a communication signal into a high frequency signal of several tens of kilohertz to several MHz without using a separate communication line, and transmits the power signal to an existing power line with power. The communication signal is separated and received through a high frequency filter. In this way, a local area network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is configured to be used for home automation or factory automation, or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is used to remotely control a remote device.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전력선 모뎀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전원라인에 존재하는 통신 데이터를 검출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인 경우에는 통신 데이터의 송출을 위해 30∼50KHz의 캐리어 신호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통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30∼50KHz의 캐리어 신호가 전원라인에 잡음 형태로 실리게 되므로 이 캐리어 신호를 추출하여 통신 데이터를 검출하고, 이 통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RF 제어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로 작용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전원라인을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data existing in the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is detected using the power line modem metho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is an apparatus for performing infrared communication. In this case, a carrier signal of 30-50KHz is necessary for the transmission of communication data, and a carrier signal of 30-50KHz corresponding to such communication data is loaded on the power line in the form of noise so that communication data is extracted. It detects and converts the RF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data into an RF signal so as to be transmitted wirelessly through the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serving as an antenna.

수신의 경우에도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전원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로부터 RF 제어 데이터를 검출하고,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에서 이 RF 제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는 단방향은 물론 양방향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reception, the RF control data is detected from the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receives the commun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RF control data. In addition, the RF battery includ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both directions as well as in both directions.

한편, 무선 송수신 모듈(160)에서 사용하는 RF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로서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 내부에 구성되는 별도의 안테나가 아니라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외곽을 따라 흐르는 전원라인이 안테나의 역할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보다 큰 안테나를 통해 외부 신호나 장애물의 방해없이 RF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RF signal used in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60, the power line flowing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not a separate antenna configured inside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antenna serves as an antenna, and accordingly, a larger antenna can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without interfering with an external signal or an obstac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의 전체 구조와 이 RF 배터리 및 일반 배터리와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 사이의 전원라인 연결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전원라인에 의한 안테나의 효과를 나타낸 개념 도면이기도 하다.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wer lin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RF battery and a general battery and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showing the effect of the antenna by the power line. It is also a conceptual drawin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배터리(120)의 (-)단자는 일반 배터리(140-1)의 (+)단자와(이때, 일반 배터리를 다수개 직렬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RF 배터리(120)의 (+)단자와 일반 배터리(140-1)의 (-)단자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전원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As shown therein, the (-) terminal of the RF battery 120 is connected to the (+) terminal of the general battery 140-1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nnect a plurality of general batteries in series), the RF battery 120 The (+) terminal of) and the (-) terminal of the general battery 140-1 ar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RF 배터리(120)의 (+)(-)단자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전원단자와 연결되며, 이 전원단자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외곽, 다시 말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PCB(111) 패턴의 전원라인(110)과 연결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 (-) terminal of the RF battery 120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and this power terminal is an outer portion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that is,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t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110 of the PCB 111 pattern of the device 10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전체적인 PCB(111) 패턴의 전원라인(110)을 안테나로 사용함에 따라 종래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배터리 수납 케이스의 크기에 제한받아 깊숙한 곳에 위치했던 안테나 보다 그 크기가 커지고, 상기 깊숙한 곳을 벗어난 외부의 방해물이 적은 곳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RF 신호의 송수신을 방해하는 간섭과 같은 장애물이 없어져 RF 신호의 작동 범위를 보다 멀리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line 110 of the entire PCB 111 pattern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is used as an antenna, and thus, the power line 110 of the convention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is limited to the size of the battery storage case of the convention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The size of the antenna is larger than that of the antenna, and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obstacles outside the deep areas is reduced, thereby eliminating obstacles such as interference that interferes wit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RF signal, thereby further extending the operating range of the RF signa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과 배터리가 고정 접속되는 RF 배터리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과 배터리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RF 배터리의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RF 배터리(120)는 무선 송수신 모듈(160)과 배터리(14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접속하여 일체화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일체화하도록 한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RF battery in which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and a battery are fixed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of a structure of an RF battery in which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and a battery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illustration, the RF battery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60 and the battery 140 by fixed connection as shown in FIG. 3 or as detachable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Do it.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배터리(140-1)의 표준 크기를 갖도록 무선 송수신 모듈(160)과 배터리(140)를 일체화하여 하나의 패키지(150)로 구성된 RF 배터리(120)를 구현한다. 즉, 배터리(140)의 크기는 상관없이 배터리 수납 케이스의 크기만을 고려하여 무선 송수신 모듈(160)과 배터리(140)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2 and 3, the RF battery 120 configured as a single package 150 by integrat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60 and the battery 140 to have a standard size of the general battery 140-1. ). That is, the size of the wireless transceiver module 160 and the battery 140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battery storage case irrespective of the size of the battery 140.

상기 RF 배터리(120)는 하나의 패키지(150)를 이루고 있는데, 이 패키지(150)로서 수축 튜브, 스티커, 부착 외장재 등과 같은 외장재료로써 금속을 포함한 모든 외장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금속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패키지(150)의 몸통을 (-)전극 또는 (+)전극으로 하여 공통 접속하도록 한다.The RF battery 120 constitutes one package 150. As the package 150, any exterior material including metal may be used as an exterior material such as a shrink tube, a sticker, and an exterior packaging material. The body of the package 150 is a (-) electrode or a (+) electrode to be connected in common.

상기와 같이 금속을 이용한 외장재료 패키징이 가능한 것은 종래와 같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 내부에 안테나가 존재하지 않고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전원라인(110)을 안테나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The packaging of the exterior material using the metal as described above is possible because the antenna does not exist inside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and uses the power line 110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as an antenna as in the related art.

한편, RF 배터리(120)내 배터리(140)의 (+)단자는 무선 송수신 모듈(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때 배터리(140)가 1차전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충전 가능한 2차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에 따른 RF 배터리(120)는 무선 송수신 모듈(160)과 배터리(140)를 고정 접속하여 일체화된 형태를 취할 뿐만 아니라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일체화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 terminal of the battery 140 in the RF battery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60, in which case the battery 140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 primary battery,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Can also be used.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RF battery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only take an integrated form by fixedly connect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60 and the battery 140, but may also take an integrated form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have.

그러므로, 충전이 불가능한 일회용 1차전지를 배터리(140)로 사용하는 경우 무선 송수신 모듈(160)의 형태를 배터리(140)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외장 PCB(Printed Circuit Board)로 구현하여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40)의 (+)단자와 무선 송수신 모듈(160)의 접촉단자가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통해 접속되게 하여, 즉 무선 송수신 모듈(160)과 배터리(140)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하여 1차전지의 수명이 다했을 때 새로운 1차전지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when using a non-rechargeable disposable primary battery as the battery 140, an external PCB (Printed Circuit) that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positive (+) (-) terminal of the battery 140 to the form of the wireless transceiver module 160 Boar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so that the (+) terminal of the battery 140 and the contact terminal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60 are connected through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that is,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module 160 and the battery 14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so that a new primary battery can be replaced when the life of the primary battery reaches its end.

그리고, 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를 배터리(140)로 사용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40)의 (+)단자와 무선 송수신 모듈(160)의 접촉단자가 납땜용접과 같은 접합방식을 통해 고정 접속되게 하여, 즉 무선 송수신 모듈(160)과 배터리를 고정 접속하여 일체화시켜, 이 일체화된 RF 배터리(120) 자체를 일반 가정에 구비되어 있는 충전기로 충전가능하도록 한다.And, when using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s the battery 140, as shown in Figure 3 the (+) terminal of the battery 140 and the contact terminal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60 has a bonding method such as solder welding In this case,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60 and the battery ar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integrated RF battery 120 itself can be charged by a charger provided in a general home.

여기서, 배터리(140)가 2차전지인 경우에도 무선 송수신 모듈(160)과 배터리(140)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Herein, even when the battery 140 is a secondary battery,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60 and the battery 140 may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도 5은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160)의 블록 구성도로서, 전력선 모뎀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전원라인으로부터 캐리어 신호를 추출하여 통신 데이터를 검출하고, 이 통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RF 제어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전원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며, 상기 안테나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여 RF 제어 데이터를 검출하는 RF 송수신 회로부(161)와, 무선 송수신 모듈(160)의 온/오프(On/Off)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각각의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ID(Identification) 신호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부(162)와,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전원라인으로부터 추출되는 캐리어 신호를 RF 신호의 송신을 위한 인에이블 신호로 인식하여 RF 송수신 회로부(161)에서 검출된 통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RF 제어 데이터를 RF 송수신 회로부(161)로 출력하고, 상기 RF 송수신 회로부(161)에서 검출된 RF 제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통신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제어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3)와, 제어부(163)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RF 신호의 전송 여부를 표시해 주고 알려 주며, 배터리(140)의 충전상태를 표시해 주고 알려주는 표시부(164) 및 부저부(165)와, 제어부(163)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배터리(140)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회로부(166)로 구성된다.5 is a block diagram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60. Based on a power line modem method, a carrier signal is extracted from a power line of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to detect communication data, and correspond to the communication data. Converts the RF control data into RF signals and transmits them through an antenna formed of a power line, and receives RF signals from the antennas to detect RF control data and to turn on the RF transceiver module 160. A switch unit 162 for setting an on / off operation mode, an identification signal for identifying eac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a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RF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data detected by the RF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unit 161 by recognizing the extracted carrier signal as an enable signal for transmitting the RF signal A control unit 163 which outputs to the RF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unit 161 and outputs commun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RF control data detected by the RF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unit 161 to the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a control unit. The display unit 164 and the buzzer unit 165 and the control unit 163 of the control unit 163 to display and inform whether or not to transmit the RF signal by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163). The charging circuit unit 166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o control charging of the battery 140.

도 6은 상기 RF 송수신 회로부(161)의 상세 블록 구성도로서,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전원라인에 연결되어 RF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고,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전원라인으로부터 캐리어 신호를 검출하는 RF 송수신 안테나(171)와, RF 송수신 안테나(171)의 전원라인으로부터 검출된 캐리어 신호를 필터링하여 이 캐리어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순수 캐리어 신호를 추출하는 검출용 필터부(172)와, 검출용 필터부(172)에서 추출된 순수 캐리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 순수 캐리어 신호에 해당하는 통신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63)로 출력하거나, 후술될 수신용 필터부(178)에서 추출된 순수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 순수 RF 신호에 해당하는 RF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63)로 출력하는 A/D 변환부(173)와, 제어부(163)의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배터리(140)의 전압을 일정 레벨 승압하는 DC/DC 변환부(174)와, 제어부(163)에서 출력되는 통신 데이터에 대응하는 RF 제어 데이터를 아날로그 RF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175)와, 제어부(163)의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D/A 변환부(175)에서 변환된 RF 신호를 DC/DC 변환부(174)에서 승압된 전압에 따라 일정 레벨 증폭하여 RF 송수신 안테나(171)로 출력하는 송신용 증폭부(175)와, 제어부(163)의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RF 송수신 안테나(171)의 전원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DC/DC 변환부(174)에서 승압된 전압에 따라 일정 레벨 증폭하는 수신용 증폭부(177)와, 수신용 증폭부(177)에서 증폭된 RF 신호를 필터링하고 이 RF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여 순수 RF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A/D 변환부(173)로 출력하는 수신용 필터부(17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 송수신 회로부(161)는 금속캔(179)으로 외곽처리되게 된다. 6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RF transceiver circuit 161, which is connected to a power line of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and a carrier from a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A detection filter unit for extracting a pure carrier signal by filtering a carrier signal detected from an RF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171 for detecting a signal and a power supply line of the RF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171 to remove noise included in the carrier signal ( 172 and the pure carrier signal extracted by the detecting filter unit 172 into digital signals to output commun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pure carrier signal to the control unit 163, or the receiving filter unit 178 to be described later. A / D conversion unit 173 and the control unit 163 converts the pure RF signal extracted from the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RF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pure RF signal to the control unit 163. A DC / DC converter 174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enable signal to boost the voltage of the battery 140 by a predetermined level, and converts RF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63 into an analog RF signal. The RF signal converted by the D / A converter 175 by the D / A converter 175 and the enable signal of the controller 163 is converted according to the voltage boosted by the DC / DC converter 174. Amplifying a predetermined level and outputting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power line of the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171 and the transmitting amplifier 175 and the enable signal of the control unit 163 to the RF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171 A receiving amplifier 177 that amplifies a predetermined level according to the voltage boosted by the / DC converter 174, and filters the RF signal amplified by the receiving amplifier 177 and removes noise included in the RF signal. Extract for extracting the pure RF signal to the A / D converter 173 It consists of the portion 178.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 unit 16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ubjected to the outer processing with the metal can 179.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배터리 수납 케이스에 장착되는 RF 배터리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RF 배터리(120)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배터리 수납 케이스(120-1)에 탈부착되며, RF 배터리(120)의 패키지(150) 상부 표면에 스위치부(162)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스위치 삽입구(162-1)가 형성되어 슬라이드 스위치(Slide Switch) 또는 딥 스위치(Dip Switch)등 찌르기 형태의 스위치(162-2)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표시부(164)도 형성되어 있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RF battery mounted in a battery storage case of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F battery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storage case 120-1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A switch insertion hole 16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age 150 of the RF battery 120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switch unit 162 so that a slide switch or a dip switch is formed. The switch 162-2 of the back sticking form is comprised, and the display part 164 is also formed.

한편, 상기 RF 배터리(120)의 패키지(150) 표면에 접촉띠와 같은 접촉부(167)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접촉부(167)는 무선 송수신 모듈(160)에 있어서 RF 신호의 송신을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배터리 수납 케이스(120-1) 내부에 돌출 형성된 돌기 형태의 인터럽트 단자(167-1)와 접촉되도록 구현한다.On the other hand, a contact portion 167 such as a contact strip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ckage 150 of the RF battery 120, the contact portion 167 is enabled for the transmission of the RF signal in the wireless transceiver module 160. As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detecting a signal, the signal is implemented to be in contact with a protrusion type interrupt terminal 167-1 protruding inside the battery accommodating case 120-1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이에 따라,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에서 임의의 통신 데이터가 선택 출력되는 경우 이 통신 데이터의 출력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가 상기 인터럽트 단자(167-1)를 통해 접촉부(167)에 인가되면, 접촉부(167)가 이를 검출하여 RF 신호의 송신을 위한 인에이블 신호로서 제어부(163)에 출력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arbitrary communication data is selectively output from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when an interrup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f the communication data is applied to the contact unit 167 through the interrupt terminal 167-1, the contact unit ( The 167 detects this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163 as an enable signal for transmission of the RF signal.

상기와 같이 접촉부(167)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면 제어부(163)에서는 접촉부(167)를 통해 통신 데이터를 직접 입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If the contact unit 167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63 controls to directly input and output communication data through the contact unit 167.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160)내 스위치부(162)는 슬라이드 스위치 및 딥 스위치 등 찌르기 형태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만 무선 송수신 모듈(160)을 온 동작 모드로 설정하여 회로보호 및 불필요한 소비전력(대기전류시 배터리의 소모전류)의 낭비를 막고 무선 송수신 모듈(16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각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마다 고유 ID 신호를 설정하도록 한다. 또한, 퓨즈(Fuse) 기능을 추가하여 RF 배터리(120)의 쇼트(Short) 및 과전류시 배터리(140)를 보호하고, 배터리(140)의 누액과 폭발을 방지하여 배터리(14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The switch unit 162 in the wireless transmit / receive module 160 uses a stick switch such as a slide switch and a dip switch to protect the circuit by setting the wireless transmit / receive module 160 to an ON operation mode only whe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s requir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waste of power consumption (current consumption of the battery during standby current) and to protect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60, and to set a unique ID signal for eac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In addition, by adding a fuse (Fuse) function to protect the battery 140 in the short (short) and over-current of the RF battery 120, and prevent the leakage and explosion of the battery 140 to protect the battery 140 Make sure

상기 제어부(163)는 통신 데이터와 이에 대응되는 RF 제어 데이터가 변환 테이블을 통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부(162)에 의해 설정된 ID 신호를 RF 제어 데이터에 부가하여 RF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원치않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163 is a communication data and the corresponding RF control data is preset through a conversion table, by controlling to transmit the RF signal by adding the ID signal set by the switch unit 162 to the RF control data Prevent unwante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alfunctions.

상기 RF 배터리(120)의 표면에 형성된 표시부(164)는 발광 다이오드(LED) 표시소자로 이루어져 배터리(140)의 충전상태에 따라 청색↔황색↔적색으로 표시되어 충전상태를 알려 주고, 저전압 경고등으로 작용하여 저전압에 따른 충전 요구시기도 알려 준다.The display unit 164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F battery 120 is made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display element and displayed in blue ↔ yellow ↔ red according to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140 to inform the state of charge and as a low voltage warning light. It also tells you when it's time to charge for low voltage.

상기 부저부(165)는 가청음의 볼륨 조절이 가능한 가청음 송출 스피커로 이루어져 배터리(140)의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충전완료 가청음을 발생하고,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임의의 작동 버튼 또는 키 조작시 키 톤(Key Tone)을 발생하며, 음색을 달리한 저전압 경고음을 발생하여 저전압에 따른 충전 요구시기도 알려준다.The buzzer 165 is composed of an audible sound emitting speaker capable of adjusting the volume of the audible sound, and when the charging of the battery 140 is completed, the audible complete sound is generated, and any operation button or key manipulation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is performed. It generates key tones and generates low-voltage warning sounds with different tones to indicate when to charge according to low voltage.

그리고, 표시부(164) 및 부저부(165)는 RF 신호의 송신 완료시에 이를 LED 표시소자에 의한 표시와 가청음 송출 스피커에 의한 가청음 발생으로 알려 준다.Then, the display unit 164 and the buzzer unit 165 informs of the occurrence of an audible sound by the display by the LED display element and the audible sound transmitting speaker when the RF signal is transmitted.

또한, 제어부(163)는 파인더(Finder) 기능을 위한 제어신호의 출력에 따라 부저부(165)의 가청음 송출 스피커에 의한 가청음 발생을 제어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에 대한 파인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파인더란 RF 배터리가 내장된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 즉 해당 제품을 잃어버렸을 경우 상대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호출을 통해 소리 또는 빛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알려 주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63 controls the generation of an audible sound by the audible sound transmitting speaker of the buzzer 165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control signal for the finder function to perform a finder function for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In this case, the finder is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n RF battery is built, that is, when a corresponding product is lost, a call or a correspond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is used to notify its location by sound or light.

상기 도 6에 도시된 RF 송수신 회로부(161)에 있어서, RF 송수신 안테나(171)는 밴드패스필터(Band Pass Filter), 고주파 차단용 코일, 즉 전력선 모뎀 방식 기반의 전력선 데이터 변환 커플링 코일 및 DC 블록킹 캐패시터(Blocking Capacitor)가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전원라인에 연결되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에서 사용하는 캐리어 신호를 검출하고, RF 신호에 대한 고주파적 임피던스 매칭 및 RF 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In the RF transceiver circuit 161 illustrated in FIG. 6, the RF transceiver antenna 171 may include a band pass filter, a high frequency blocking coil, that is, a power line data conversion coupling coil and a DC. A blocking capacitor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to detect a carrier signal used in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performs high frequency impedance matching and RF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RF signal.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무선 송수신 모듈(160)에 있어서, RF 송수신 안테나(171)를 통해 송수신되는 RF 신호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전원라인에 대해 고주파적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져야 하고, RF 배터리(120)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장애(EMI) 신호와의 간섭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RF 배터리(120)에서 발생되는 불요 복사파에 의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에 장애를 미치지 않아야 한다.In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F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RF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171 should be a high frequency impedance matching to the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RF battery ( The interference with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ignal generated by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should be minimized, and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be disturbed by unnecessary radiation generated by the RF battery 120. It should not be crazy.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160)이 RF 배터리(120)로서 배터리(140)와 일체화되도록 충분히 소형화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160)은 무선 집적 회로, 소형 RF 모듈, ASIC, COB(Chip on Board), 하이브리드 IC 등을 이용하여 소형 제작 구현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60 should be miniaturized sufficiently to be integrated with the battery 140 as the RF battery 120. Accordingly, the wireless transmit / receive module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miniaturization using a wireless integrated circuit, a small RF module, an ASIC, a chip on board (COB), a hybrid IC, and the lik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RF 배터리는 도 7에 도시된 하나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쉽게 구할 수 있는 표준 크기의 배터리 크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배터리 수납 케이스(120-1)의 크기를 고려하여 배터리(140)의 크기가 AAA 표준 크기보다 작은 크기인 2/3 AAA 크기로 이루어지고 알카라인(Alkaline) 배터리 이상의 고용량의 정격을 갖도록 하며, 무선 송수신 모듈(160)의 크기는 1/3 AAA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RF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battery size of the standard size and the battery storage case 120-1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can be easily obtained by the user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The size of the battery 140 is 2/3 AAA size, which is smaller than the AAA standard size, and has a capacity of higher capacity than that of an alkaline battery, and the size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60 is It should be 1/3 AAA size.

또한, 배터리(140)의 크기에 상관없이 배터리 수납 케이스(20-1)의 크기만을 고려하여 무선 송수신 모듈(160)의 크기를 1/3 AAA 크기 이상으로 구현하여 배터리(140)와 일체화시켜 배터리 수납 케이스에 함께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battery 140, considering only the size of the battery storage case 20-1 by implementing a size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60 to 1/3 or more AAA size or more integrated with the battery 140 battery It can be mounted together in the storage case.

AA 크기 등 여타 크기의 배터리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RF 배터리(120)를 구현할 수 있다.In the case of other sized batteries such as AA size, the RF battery 120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결국, 배터리의 크기에 제한을 갖지 않는 다양한 크기의 배터리와 무선 송수신 모듈을 전기적 결합하여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된 RF 배터리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an RF battery configured in one package may be implemented by electrically coupling various sizes of batteries and wireless transceiver modules without limiting the size of the battery.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여기서,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리모콘과 같은 원격제어장치이고, 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와 RF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가 피제어기기(예를 들면, TV, VCR, PC, 프린터, 모바일 기기, MP3 등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대상의 전자기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 상호간의 RF 신호의 송수신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is a remote control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 for performing infrared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s with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is a controlled device (for example, TV, VCR, In the case of a PC, a printer, a mobile device, an electronic device to be controlled including an MP3, and the lik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F signals betwee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s will be described.

먼저,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배터리 수납 케이스(120-1)에 배터리(140)와 무선 송수신 모듈(160)이 일체화하여 하나의 패키지(150)로 구성된 RF 배터리(120)를 장착하게 되면, RF 배터리(120)의 전원라인을 통해 배터리(140)의 전원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에 직류적으로 공급되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동작이 가능해지게 된다.First, when the battery 140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60 are integrated into the battery storage case 120-1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to mount the RF battery 120 configured as one package 150. The power of the battery 140 is directly supplied to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through the power line of the RF battery 120 to enable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임의의 작동 버튼 또는 키를 눌러 이에 해당하는 통신 데이터가 선택 출력하게 되면, RF 송수신 회로부(161)내 RF 송수신 안테나(171)를 통해 상기 통신 데이터에 대응하는 캐리어 신호를 검출하게 되고, 이 검출된 캐리어 신호는 제어부(163)에서 RF 신호의 송신을 위한 인에이블 신호로서 인식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a user presses any operation button or key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and selects and outputs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ata, the communication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RF transceiver antenna 171 in the RF transceiver circuit 161. The carrier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arrier signal is detected, and the detected carrier signal is recognized by the controller 163 as an enable signal for transmission of the RF signal.

이때, 접촉부(167)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면, 제어부(163)는 접촉부(167)를 통해 인에이블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ontact unit 167 is formed, the controller 163 may detect the enable signal through the contact unit 167.

즉,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임의의 작동 버튼 또는 키를 눌러 이에 해당하는 통신 데이터가 선택 출력하게 되면, 이 통신 데이터의 출력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가 배터리 수납 케이스(120-1) 내부에 형성된 돌기 형태의 인터럽트 단자(167-1)를 통해 RF 배터리(120)의 패키지(150) 표면에 형성된 접촉부(167)에 인가되어 무선 송수신 모듈(160)의 제어부(163)에 RF 신호의 송신을 위한 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되게 된다.That is, when any operation button or key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is pressed to selectively output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ata, an interrup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f the communication data is formed in the battery storage case 120-1. It is applied to the contact portion 167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ckage 150 of the RF battery 120 through the interrupt terminal 167-1 of the projection type to transmit the RF signal to the control unit 163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60. It is output as an enable signal.

이후, 제어부(163)는 상기 캐리어 신호의 검출에 따른 인에이블 신호 또는 접촉부(167)를 통해 검출되는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RF 신호의 송신을 위한 인에이블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63 enters an enable state for transmitting the RF signal by the enable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carrier signal or the enable signal detected through the contact unit 167.

그러므로, 무선 송수신 모듈(160)내 RF 송수신 회로부(161)는 제어부(163)의 제어에 따라 RF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게 되는데, 즉 먼저 RF 송수신 회로부(161)내 검출용 필터부(172)는 RF 송수신 안테나(171)를 통해 수신 및 검출되는 캐리어 신호를 필터링하여 이 캐리어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순수 캐리어 신호를 추출한다.Therefore, the RF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unit 161 in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60 control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RF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3. That is, the detection filter unit 172 in the RF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unit 161 is The carrier signal extracted through the RF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171 is filtered to remove the noise included in the carrier signal, thereby extracting the pure carrier signal.

즉, 적외선 통신의 경우 통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30∼50KHz의 캐리어 신호가 전원라인에 연결된 RF 송수신 안테나(171)에 수신되게 되는데, 이 안테나를 이루고 있는 밴드패스필터, 고주파 차단용 코일 및 DC 블록킹 캐패시터를 통해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캐리어 신호를 검출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infrared communication, the carrier signal of 30-50KHz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data is received by the RF transmitting / receiving antenna 171 connected to the power line. The bandpass filter, the high frequency blocking coil, and the DC blocking capacitor forming the antenna are included. Through the carrier signal of the specific frequency band is detected.

이어, A/D 변환부(173)는 검출용 필터부(172)에서 추출된 순수 캐리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 순수 캐리어 신호에 해당하는 통신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63)로 출력한다.Subsequently, the A / D converter 173 converts the pure carrier signal extracted by the detection filter unit 172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commun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pure carrier signal to the controller 163.

그러면, 제어부(163)는 통신 데이터와 이에 대응되는 RF 제어 데이터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변환 테이블로부터 상기 통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RF 제어 데이터를 읽어와 D/A 변환부(175)로 출력한다.Then, the controller 163 reads the RF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data from the conversion table in which the communication data and the RF control data corresponding thereto are preset, and outputs the RF control data to the D / A converter 175.

이때, 제어부(163)는 스위치부(162)에서 설정된 해당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 즉 피제어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ID 신호를 입력받아 RF 제어 데이터와 함께 D/A 변환부(175)로 출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63 receives an ID signal for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the controlled device set by the switch unit 162, and outputs it to the D / A converter 175 together with the RF control data. .

그리고, 접촉부(167)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면, 제어부(163)는 접촉부(167)를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제어부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여 이 통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RF 제어 데이터를 D/A 변환부(175)로 출력할 수도 있다.If the contact unit 167 is formed, the control unit 163 directly receives communication data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through the contact unit 167 to receive RF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data. The output may also be output to the D / A converter 175.

그리고, DC/DC 변환부(174)는 제어부(163)의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배터리(140)의 전압을 승압한다. 즉 1.2V의 전압을 5V의 전압으로 승압하여 송신용 증폭부(176) 및 수신용 증폭부(177)의 증폭 레벨을 결정해 주며, 특히 무선 송신출력을 높여 원거리 특성을 갖게 해 준다 In addition, the DC / DC converter 174 operates in response to the enable signal of the controller 163 to boost the voltage of the battery 140. That is, the voltage of 1.2V is boosted to the voltage of 5V to determine the amplification level of the transmitting amplifier 176 and the receiving amplifier 177, and in particular, increases the wireless transmission power to have a long-range characteristic.

이때, DC/DC 변환부(174) 등 모든 조건은 대기모드에서 전력 손실이 거의 없어 배터리(140)의 대기전류가 없게 된다.At this time, all conditions such as the DC / DC converter 174 is almost no power loss in the standby mode, there is no standby current of the battery 140.

계속해서, D/A 변환부(175)는 제어부(163)에서 출력되는 통신 데이터에 대응하는 RF 제어 데이터 및 ID 신호를 아날로그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용 증폭부(176)로 출력한다.Subsequently, the D / A converter 175 converts the RF control data and the I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63 into an analog RF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RF signal to the transmission amplifier 176.

이후, 송신용 증폭부(176)는 제어부(163)의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D/A 변환부(175)에서 변환된 RF 신호를 DC/DC 변환부(174)에서 승압된 전압에 따라 일정 레벨 증폭하여 RF 송수신 안테나(171)로 출력한다. 즉 전원라인(110)에 연결된 RF 송수신 안테나(171)를 통해 RF 신호가 무선으로 상대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로 송출되게 되는 것이다.Thereafter, the transmitting amplifier 176 operates according to the enable signal of the controller 163 to convert the RF signal converted by the D / A converter 175 according to the voltage boosted by the DC / DC converter 174. It amplifies a predetermined level and outputs the RF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171. That is, the RF signal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RF transceiver antenna 171 connected to the power line 110.

한편, 상대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 즉 피제어기기에서는 RF 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RF 신호로부터 해당 통신 데이터를 검출하여 피제어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unterpart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i.e., the controlled device, receives the RF signal, detects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ata from the received RF signal,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d device.

즉, RF 송수신 회로부(161)내 수신용 증폭부(177)는 제어부(163)의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RF 송수신 안테나(171)의 전원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DC/DC 변환부(174)에서 승압된 전압에 따라 일정 레벨 증폭하여 수신용 필터부(178)로 출력한다.That is, the reception amplifier 177 in the RF transceiver circuit 161 operates according to the enable signal of the controller 163 to convert an RF signal received from a power line of the RF transceiver antenna 171 into a DC / DC converter ( Amplified by a predetermined level according to the voltage step-up at 174 and output to the receiving filter unit 178.

그러면, 수신용 필터부(178)는 수신용 증폭부(177)에서 증폭된 RF 신호를 필터링하고 이 RF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여 순수 RF 신호를 추출한 후 A/D 변환부(173)로 출력한다.Then, the reception filter unit 178 filters the RF signal amplified by the reception amplifier unit 177, removes the noise included in the RF signal, extracts the pure RF signal, and then transfers the signal to the A / D converter 173. Output

이후, A/D 변환부(173)는 수신용 필터부(178)에서 추출된 순수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 순수 RF 신호에 해당하는 RF 제어 데이터 및 ID 신호를 상기 제어부(163)로 출력한다.Thereafter, the A / D converter 173 converts the pure RF signal extracted by the receiving filter unit 178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the RF control data and I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re RF signal to the controller 163. Output

이에 따라, 제어부(163)는 ID 신호의 확인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가 맞는지 확인하고, 맞다면 변환 테이블로부터 상기 RF 제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통신 데이터를 읽어와 전원라인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제어부로 통신 데이터를 출력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63 confirms whether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is correct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 ID signal, and if it is correct, reads the commun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RF control data from the conversion table and perform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power line. Output communication data to the control unit of the device 100.

이때, 제어부(163)는 접촉부(167)를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제어부로 통신 데이터를 직접 출력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3 may directly output communication data to the controller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through the contact unit 167.

상기와 같이 제어부(163)에서 통신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제어부로 출력하게 되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100), 즉 피제어기기에서는 해당 통신 데이터에 따른 선택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rol unit 163 outputs the communication data to the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that is, the controlled device performs a sel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data.

이상,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와 RF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 모듈을 일체화하여 RF 배터리를 구현하고, 전력선 모뎀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RF 배터리가 장착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으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검출하여 RF 신호로 변환한 후 전원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검출하여 통신 데이터로 변환한 후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에서 상기 통신 데이터에 해당하는 기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n RF battery by integrating a battery for power supply and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n which an RF battery is mounted based on a power line modem method. Detects and converts communication data from the power line of the device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s it through an antenna consisting of a power line, detects and converts an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to communication data and then transmits the communication data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This function enables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operation.

그리고, RF 배터리의 전원단자와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단자의 결합에 따라 형성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을 통신 데이터의 RF 송수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 모듈의 안테나로 사용함으로써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 내부에 별도의 안테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by using the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power terminal of the RF battery and the power terminal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s an antenna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for R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mmunication data,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antenna.

그리고, 표준 크기의 RF 배터리를 구현함으로써 각종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배터리 수납 케이스에 장착하기만 하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간에 RF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짐에 따라 적외선 통신의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원거리의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In addition, by implementing an RF battery having a standard size, the RF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es by simply attaching it to the battery storage cases of variou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es. It can be applied to a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more remot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그리고,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체적인 PCB 패턴의 전원라인을 안테나로 사용함에 따라 종래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배터리 수납 케이스의 크기에 제한받아 깊숙한 곳에 위치했던 안테나 보다 그 크기가 커져 송신 출력의 효율적인 방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깊숙한 곳을 벗어난 외부의 방해물이 적은 곳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RF 신호의 송수신을 방해하는 간섭과 같은 장애물이 없어져 RF 신호의 작동 범위를 보다 멀리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the power line of the overall PCB pattern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is used as an antenna, the size is larger than that of the antenna located deep in the limited range of the battery storage case of the convention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thereby achieving efficient radiation of transmission output. By placing them in a place where there are few external obstacles outside, the obstacles such as interference that interfere wit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RF signal can be eliminated, thereby extending the operating range of the RF signal farther.

또한, RF 배터리의 패키지에 접촉띠와 같은 접촉부를 형성하여 RF 신호의 송신을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검출함에 따라 필요한 통신 데이터만을 송신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줄이고, RF 배터리에 표시부의 구현으로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모니터링하여 RF 배터리의 사용에 안정성 및 신뢰성을 제공하며, RF 배터리에 부저부의 구현으로 RF 신호의 송신 여부를 확인하고, ID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작동하길 원하지 않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contact portion, such as a contact strip, on the package of the RF battery to detect an enable signal for transmitting the RF signal, only necessary communication data is transmitted,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waste of power. By monitoring the charging status, it provides stability and reliability in the use of the RF battery.The buzzer is implemented in the RF battery to check whether the RF signal is transmitted and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which does not want to operat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ID signal. You can prevent it.

또한, RF 배터리에 스위치부의 구현으로 무선 송수신 모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무선 송수신 모듈을 오프 모드로 동작시켜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줄이고 무선 송수신 모듈의 보호를 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transceiver module is not used as an implementation of the RF battery, the wireless transceiver module may be operated in an off mode,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waste of power and protecting the radio transceiver modu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가 장착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블록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의 전체 구조와 이 RF 배터리 및 일반 배터리와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 사이의 전원라인 연결 상태를 보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wer lin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RF battery and a general battery and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과 배터리가 고정 접속되는 RF 배터리의 구조를 보인 도면.3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RF battery in which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and a battery are fixed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과 배터리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RF 배터리의 구조를 보인 도면.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RF battery in which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and a battery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 배터리내 무선 송수신 모듈의 블록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in the RF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모듈내 RF 송수신 회로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6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RF transceiver circuit unit in a radio transceiv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배터리 수납 케이스에 장착되는 RF 배터리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RF battery mounted to a battery storage case of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 120 : RF 배터리100: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120: RF battery

140 : 배터리 160 : 무선 송수신 모듈140: battery 160: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61 : RF 송수신 회로부 162 : 스위치부161: RF transceiver circuit section 162: switch section

163 : 제어부 164 : 표시부163 control unit 164 display unit

165 : 부저부 166 : 충전회로부165: buzzer 166: charging circuit

167 : 접촉부 171 : RF 송수신 안테나167: contact portion 171: RF transceiver antenna

172 : 검출용 필터부 173 : A/D 변환부172: detection filter unit 173: A / D conversion unit

174 : DC/DC 변환부 175 : D/A 변환부174: DC / DC converter 175: D / A converter

176 : 송신용 증폭부 177 : 수신용 증폭부176: transmitting amplifier 177: receiving amplifier

178 : 수신용 필터부 179 : 금속캔178: receiving filter unit 179: metal can

Claims (27)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에 있어서,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전력선 모뎀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으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검출하고 이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전원라인을 통해 송신하며, 상기 전원라인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로 출력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과,Based on a power line modem method, communication data is detected from a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verted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ted through a power line, and an RF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wer line to convert into communication data and wirelessly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outputting to a data communication device,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와 무선 송수신 모듈의 동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과 배터리가 일체화되어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transceiver module and the battery is integrated into one pack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로서 수축 튜브, 스티커, 부착 외장재, 금속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The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shrink tube, a sticker, an exterior packaging material, and a metal are used as the package.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과 배터리가 고정 접속되도록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The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and the battery are integrated to be fixed.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과 배터리가 서로 탈부착되게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and the battery is integrated with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과 배터리가 일반 배터리의 표준 크기가 되도록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The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transceiver module and the battery is integrated so that the standard size of the normal batter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배터리 수납 케이스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의 크기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wireless transceiver module is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battery storage cas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체적인 PCB 패턴의 전원라인을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의 RF 송수신용 안테나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An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uses the power line of the entire PCB pattern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s an antenna for RF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은,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으로부터 캐리어 신호를 추출하여 통신 데이터를 검출하고, 이 통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RF 제어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전원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며, 상기 안테나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여 RF 제어 데이터를 검출하는 RF 송수신 회로부와,Extracting a carrier signal from a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to detect communication data, converting the RF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data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ting it through an antenna formed of a power line, and receiving the RF signal from the antenna RF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 unit for receiving the RF control data to detect; 무선 송수신 모듈의 온/오프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각각의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ID 신호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부와, A switch unit for setting an on / off operation mode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nd setting an ID signal for identifying eac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으로부터 추출되는 캐리어 신호를 RF 신호의 송신을 위한 인에이블 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RF 송수신 회로부에서 검출된 통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RF 제어 데이터를 RF 송수신 회로부로 출력하고, 상기 RF 송수신 회로부에서 검출된 RF 제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통신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Recognizing the carrier signal extracted from the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as an enable signal for transmitting the RF signal, and outputs the RF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data detected by the RF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 to the RF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output commun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RF control data detected by the RF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unit to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RF 신호의 전송 여부를 표시해 주고 알려 주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해 주고 알려주는 표시부 및 부저부와, A display unit and a buzzer which operat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o indicate whether or not to transmit the RF signal, and to display and inform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회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operat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of the battery.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이, The wireless transceiver module, RF 신호의 송신을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와 직접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접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 And a contact unit for detecting an enable signal for transmitting an RF signal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rect communication data with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접촉부가 RF 배터리의 패키지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배터리 수납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인터럽트 단자와 접촉되어 RF 신호의 송신을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on the package surface of the RF battery is in contact with the interrupt terminal formed inside the battery storage cas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enable signal for transmitting the RF signal RF battery.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RF 송수신 회로부는,The RF transceiver circuit unit,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에 연결되어 RF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고,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으로부터 캐리어 신호를 검출하는 RF 송수신 안테나와, An RF transceiver antenna connected to a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and detect a carrier signal from a power line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상기 RF 송수신 안테나의 전원라인으로부터 검출된 캐리어 신호를 필터링하여 이 캐리어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순수 캐리어 신호를 추출하는 검출용 필터부와,A detection filter unit for extracting a pure carrier signal by filtering a carrier signal detected from a power line of the RF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to remove noise included in the carrier signal; 상기 검출용 필터부에서 추출된 순수 캐리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 순수 캐리어 신호에 해당하는 통신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거나, 후술될 수신용 필터부에서 추출된 순수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 순수 RF 신호에 해당하는 RF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A/D 변환부와,The pure carrier signal extracted by the detection filter un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o output commun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pure carrier signal to the controller, or the pure RF signal extracted by the receiving filter unit to be described later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 A / D converter for outputting RF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pure RF signal to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의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배터리의 전압을 일정 레벨 승압하는 DC/DC 변환부와, A DC / DC converter which operates according to an enable signal of the controller to boost a voltage of a battery by a predetermined level;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통신 데이터에 대응하는 RF 제어 데이터를 아날로그 RF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와, A D / A converter converting RF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into an analog RF signal; 상기 제어부의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D/A 변환부에서 변환된 RF 신호를 DC/DC 변환부에서 승압된 전압에 따라 일정 레벨 증폭하여 상기 RF 송수신 안테나로 출력하는 송신용 증폭부와, A transmission amplifier which operates according to the enable signal of the controller and amplifies the RF signal converted by the D / A converter by a predetermined level according to the voltage boosted by the DC / DC converter and outputs the RF signal to the RF transceiver antenna; 상기 제어부의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RF 송수신 안테나의 전원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DC/DC 변환부에서 승압된 전압에 따라 일정 레벨 증폭하는 수신용 증폭부와, A receiving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power line of the RF transceiver antenna by a predetermined level according to the voltage boosted by the DC / DC converter by operating according to the enable signal of the controller; 상기 수신용 증폭부에서 증폭된 RF 신호를 필터링하고 이 RF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여 순수 RF 신호를 추출한 후 상기 A/D 변환부로 출력하는 수신용 필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comprising: a reception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RF signal amplified by the reception amplifier unit, removing noise included in the RF signal, extracting a pure RF signal, and outputting the pure RF signal to the A / D converter; RF battery provided with. 제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2, wherein 상기 RF 송수신 안테나가,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PCB 패턴의 전원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And the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is a power line of a PCB pattern of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스위치부가 슬라이드 스위치, 딥 스위치 등 찌르기 형태의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RF switch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unit uses a switch of the type, such as a slide switch, a dip switch.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스위치부의 찌르기 형태의 스위치를 통해 퓨즈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a fuse function through the switch of the switch type.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치가 삽입되는 스위치 삽입구가 RF 배터리의 패키지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The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insertion port is inserted into the switch is inserted into the switch outer surface of the RF battery packag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표시부가 발광 다이오드(LED) 표시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An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unit is made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display element.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부저부가 가청음 송출 스피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The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uzzer is made of an audible sound transmitting speaker.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부저부내 가청음 송출 스피커의 볼륨 및 음색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and tone control of the audible sound transmitting speaker in the buzzer. 제9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or 12, 상기 제어부가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통신 데이터와 이에 대응되는 RF 제어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변환 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And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conversion table in which communication data of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F control data corresponding thereto are preset.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가 파인더 기능을 위한 제어신호의 출력에 따라 상기 부저부의 가청음 송출 스피커에 의한 가청음 발생을 제어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에 대한 파인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And the control unit performs a finder function for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by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an audible sound by the audible sound transmitting speaker of the buzzer according to the output of a control signal for the finder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터리가 1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is a primary battery.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배터리가 1차전지인 경우 배터리의 (+)단자와 무선 송수신 모듈의 접촉단자가 탄성부재를 통해 접속되어 배터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 When the battery is the primary battery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 terminal of the battery and the contact terminal of the wireless transceiver module is connected through the elastic member to enable the removable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터리가 2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is a secondary battery. 제2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배터리가 2차전지인 경우, 배터리의 (+)단자와 무선 송수신 모듈의 접촉단자가 접합방식을 통해 고정 접속되어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When the battery is a secondary battery, the (+) terminal of the battery and the contact terminal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is a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charging is possible by a fixed connection through a bond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이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performs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이 양방향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RF 배터리.An RF battery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wherein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performs two-way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KR1020030083545A 2003-11-24 2003-11-24 RF Battery with Wireless Transceiver Module KR1005718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545A KR100571858B1 (en) 2003-11-24 2003-11-24 RF Battery with Wireless Transceiver Module
US10/752,264 US7483673B2 (en) 2003-11-24 2004-01-06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battery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545A KR100571858B1 (en) 2003-11-24 2003-11-24 RF Battery with Wireless Transceiver Modu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629U Division KR200342786Y1 (en) 2003-11-24 2003-11-24 The rf battery having radio frequency transcei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805A true KR20050049805A (en) 2005-05-27
KR100571858B1 KR100571858B1 (en) 2006-04-19

Family

ID=38665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545A KR100571858B1 (en) 2003-11-24 2003-11-24 RF Battery with Wireless Transceiver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18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6542A1 (en) * 2018-03-26 2019-10-03 Humavox Ltd. A battery pack module for use in wireless charging syste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676B1 (en) * 2020-10-13 2022-04-11 정명찬 the remote control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6542A1 (en) * 2018-03-26 2019-10-03 Humavox Ltd. A battery pack module for use in wireless charging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1858B1 (en)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7381B1 (en) The battery modem using short range wireless
TWI601431B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ging system, power circuit substrate, power supply method, human body wearing device, hearing aid, and power circuit integrated circuit substrate
US9559405B2 (en) Devices and methods related to a display assembly including an antenna
EP3131178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9130394B2 (en) Wireless power for charging devices
CN105594230B (en) Hearing aid and hearing aid charging system
KR101812437B1 (en) Devices for conveying wireless power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US20180262055A1 (en) Wireless power conversion system
US20120098484A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battery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s with the same
US20090214064A1 (en) RF power supply for hearing aids
CN104428972A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small device wireless charging modes
KR20090008158A (en) Power reception control device, power reception device,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charge control device,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KR20010074181A (en) Battery charging system and an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US11907785B2 (en) Electronic card with electronic function circuit
US20010016506A1 (en) Wireless hands-free system of cellular phome
JP2005237155A (en) Battery charger applicable to multiple-voltage specifications, battery charging system, and battery unit
US7483673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battery devices
KR100571858B1 (en) RF Battery with Wireless Transceiver Module
KR200342786Y1 (en) The rf battery having radio frequency transceiver
CN111381010A (en) Monitoring system
KR102216278B1 (en) Suppementary battery for wir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20180124274A (en) Wireless charge patch apparatus and wireless charge receiver for both magnetic induction and magnetic resonance
CN209748223U (en) earphone charging box subassembly
CN211319197U (en) Touch device, intelligent equipment and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CN220731153U (en) Passive driving circuit of ink screen and mobile phone sh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