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0978A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exhibition inform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exhibition inform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0978A
KR20050040978A KR20030075829A KR20030075829A KR20050040978A KR 20050040978 A KR20050040978 A KR 20050040978A KR 20030075829 A KR20030075829 A KR 20030075829A KR 20030075829 A KR20030075829 A KR 20030075829A KR 20050040978 A KR20050040978 A KR 20050040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exhibition
communication terminal
exhi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75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해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7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0978A/en
Publication of KR2005004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978A/en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시물에 접근한 이동통신 단말로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전시물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hibition inform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exhibits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의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되어 이동통신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방문지의 전시물 영역 각각에 설치되는 정보 중개장치 및 방문지별 전시물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정보 중개장치와 접속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를 포함하여, 정보 중개장치의 요청에 따라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가 전시물 상세 정보를 검색하여 전송하면, 정보 중개장치가 해당 전시물 상세정보를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한다.Exhibi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perform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s and manages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installed in each of the exhibition area of the visited place and the exhibited information for each visited site, information mediation Including an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connected to the device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retrieves and transmit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at the request of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and the information relay device transmit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d.

본 발명에 의하면 전시물 영역마다 각각 정보 중개장치를 설치하고, 설치된 정보 중개장치를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에서 관리함으로써, 정보의 갱신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is provided for each exhibition area, and the installed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is managed by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so that the information can be easily updated and managed.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Exhibition Inform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hibition Inform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시물에 접근한 이동통신 단말로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전시물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hibit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hibit inform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exhibits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ing an exhibit. will be.

놀이동산, 동물원, 전시회, 박물관 등에서는 방문자에게 각 전시물 또는 동물 등에 대한 상세 정보를 고정된 인쇄물 또는 배포물 형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인쇄물(배포물)에는 방문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만큼 상세한 정보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며, 배포물의 경우 종이가 낭비되고 쓰레기가 증가하는 등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방문자는 더욱 구체적인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인터넷 검색 등을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Amusement parks, zoos, exhibitions and museums provide visitors with detailed information about each exhibit or animal in a fixed print or distribution form. However, such printed matters (distributions) generally do not have detailed information as long as they can satisfy the needs of visitors, and in the case of distributions, paper is wasted and garbage is becoming a social problem. In addition, the visitor has a hassle to use the Internet search to obtain more specific informa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시물 관련 정보를 호스트 서버에 저장하여 두고, 호스트 서버에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장착한 후,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에게 해당 전시물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다(공개번호 10-2003-0033516).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exhibition-relat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host server,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is mounted on the host server, and then the data transmission for providing the exhibition-related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equipped with the Bluetooth module. The technology has been filed with the Korean Patent Office (Publication No. 10-2003-0033516).

상기 특허출원의 공개공보에 기재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호스트 서버는 정보 제공 영역 내에서 데이터 수신 단말과의 연결 설정 및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블루투스 모듈, 정보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다수의 블루투스 모듈들의 연결 스케쥴링 및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단말은 호스트 서버의 블루투스 모듈과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도록 하여 호스트 서버로부터 정보 콘텐츠 및 연결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정보 콘텐츠 및 연결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content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application, the host server includes a plurality of Bluetooth modules for performing a connection setting with a data receiving terminal and a wireless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function in an information providing area, a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contents, It includes a serv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scheduling and data flow of a plurality of Bluetooth modules. In addition, the data receiving terminal outputs the information content and the connection-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Bluetooth module for receiving information content and connection-related information from the host server to enabl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Bluetooth module of the host server A part is provided.

그런데,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3-0033516호는 각 전시물마다 각각 정보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호스트 서버가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전시물을 원격 제어 및 관리하기 어려우며, 데이터 수신 단말은 호스트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 콘텐츠를 일회적으로 출력하기 때문에 이를 방문자가 추후에 개인적으로 참고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33516 has a host server having a database for storing the information content for each exhibit, it is difficult to remotely control and manage a plurality of exhibits, the data receiving terminal is a host Since it outputs the information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once, i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visitor cannot personally refer to it later.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10-2002-0097339호에는 관광객들에게 무선 통신의 혼선과 잡음의 영향을 줄이면서 여러 나라의 언어로 이루어진 관광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관광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10-2002-0097339호에 의하면, 각 관광물을 식별하기 위해 서로 다른 식별 정보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식별 정보를 주기적으로 무선 신호로 변조하여 무선 송신하는 송신 단말기와, 송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기 저장된 식별정보가 있는 경우, 그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기저장된 관광물 안내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로 재생하는 수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관광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97339 describes a wireless tour guid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ourist guide information in various languages while reducing the effects of crosstalk and noise in wireless communication. Doing. According to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2-0097339, a transmitting terminal which sets diffe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identify each tourist thing, periodically modulates the s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a wireless signal, and transmits wirelessly; When there is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analy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previously stored tour gu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produced in a language selected by the user. Provide a wireless tour guide service using the receiving terminal.

즉, 상기 공개공보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관광객이 소지하고 있는 수신 단말에 관광물 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관광물에 인접한 경우 수신 단말기가 송신 단말기로부터 관광물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관광물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관광객이 선택한 언어로 송출하는 것으로, 관광객의 단말기에 모든 관광물 정보가 저장되어야 함은 물론, 각 관광물 정보가 다수의 언어로 저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단말기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 the touris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reception terminal possessed by the tourist, and when the neighbor is close to the tourist product, the reception terminal receives the touri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ransmission terminal, and cor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extracts the tourist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in the language selected by the tourist.In addition, all tourist information must be stored in the tourist terminal, and each tourist information must be stored in multiple languages. There are disadvantages.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 및 그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전시물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 및 다수의 전시물 영역 각각에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된 정보 중개장치를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에 접속되도록 설치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이 정보 중개장치에 접근하면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로부터 해당 전시물 관련 정보를 전송받아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전시물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and problems, and is an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for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n each of a plurality of exhibits and an information relay device equipped wit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n each of a plurality of exhibit areas.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pproaches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the related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effectively display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The technical challenge is to enable management and control.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로부터 정보 중개장치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된 전시물 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이메일 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전시물 정보를 활용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tilize and share the exhibition information by transmitt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n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 e-mail server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ere is to help.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에서 정보 중개장치로 전시물 정보를 전송할 때, 정보 중개장치에 접근한 이동통신 단말 번호별로 전송된 전시물 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추후에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에 접속하여 자신이 열람한 전시물 정보를 재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the exhib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approaching the information mediation apparatus when transmitt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from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to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later The purpose of this is to access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through the Internet so that the exhibit information can be reconfirmed and used.

본 발명에 의한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되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방문지의 전시물 영역 각각에 설치되는 정보 중개장치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접속되며, 방문지 정보, 상기 방문지별 전시물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정보 중개장치와 접속되어 상기 정보 중개장치를 식별번호별로 관리하는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중개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영역에 접근하면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로 전시물 상세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는 상기 정보 중개장치의 요청에 따라 전시물 상세정보를 검색한 후 상기 정보 중개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 중개장치는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로부터 수신한 전시물 상세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xhibi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perform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installed in each of the exhibition area of the visit and the mobile A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toring and managing visit destination information and exhibition information for each visit destination, and accessing the information relay device to manage the information relay device by identification numbe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roaches an area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information broker requests the exhibition details information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and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searches for the exhibition details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information relay. After transmitting to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the information The intermediary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s received from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exhibi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10)은 기지국(20)을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30)과 접속되어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적외선 통신(IrDA),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탑재되어, 동일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탑재된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through the base station 20 to perform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and is equipped wit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infrared communication (IrDA), Bluetooth,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device equipped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전시물 정보제공 센터(40)는 놀이동산, 동물원, 전시회, 박물관 등(이하, '방문지'라 함)에 관한 정보 및 각 전시장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시물 상세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다수의 정보 중개장치(50)와 접속되어 정보 중개장치(5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전시물 관련 상세 정보를 검색한 후 정보 중개장치(50)로 전송한다.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는 전시장의 규모, 위치 등을 고려하여 각 전시장마다 설치할 수 있다.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an amusement park, a zoo, an exhibition, a museu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isitor) and at least one detailed information of at least one exhibition included in each exhibition hall. In addition, it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to retrieve the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hibition at the request of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and transmits to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may be installed in each exhibition hall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exhibition hall.

정보 중개장치(50)는 전시물이 위치한 영역 각각에 설치되며, 적외선 통신(IrDA),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탑재되어, 동일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10)이 접근하면, 이동통신 단말(10)과 정해진 통신 규격에 의해 통신하고,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로 해당 전시물 상세 정보를 요청하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로부터 전시물 상세 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한다. 전시물 상세 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는 정보 중개장치(50)로부터 전송받은 전시물 상세 정보를 타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거나, 이메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areas where the exhibits are located, and is equipped wit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infrared communication (IrDA), Bluetooth, etc.,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equipped with the sam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pproaches. When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standard, requesting the corresponding exhibition detailed information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and transmitting the detailed exhibition information from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e module transmit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having receive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object may transmit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object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o an e-mail server.

한편, 이동통신 단말(10)이 정보 중개장치(50)에 접근함에 따라 정보 중개장치(50)가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로 전시물 상세 정보를 요청할 때, 정보 중개장치(50)는 접근한 이동통신 단말(10) 번호를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는 해당 정보 중개장치(50) 식별번호 및 이에 따른 전시물 상세 정보를 정보 중개장치(50)에 접근한 이동통신 단말(10) 번호별로 관리 및 저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10) 또는 개인용 컴퓨터(60) 등을 이용한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을 통해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에 접속하여 자신이 이용한 전시물 상세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Meanwhile,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pproaches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when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request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s from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accesses the information relay device 5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number may be transmitted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and in this case,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may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and the corresponding exhibition information. And manages and stores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at has accessed 50). Accordingly, if desired, the user may access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through a wireless or wired Internet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r the personal computer 60 to view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used by the user.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10)은 방문지에 방문한 개개인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도록 하거나, 방문지에서 원하는 방문자에게 임대하여 이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DA, 셀룰러 폰, PCS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어느 경우이더라도 이동통신 단말(10)은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이 장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n individual visited at a visited place or may rent and use a desired visitor at a visited place. For example, a PDA, a cellular phone, a PCS, or the like may be used. In any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hould be equipped wit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의 상세 구성도이다.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xhibition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shown in FIG. 1.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는 각 기능 수단의 동작 및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0), 전시물 관리수단(410), 정보 중개장치 관리수단(420), 전시물 정보 전송수단(430), 이용내역 관리 수단(440), 부가 정보 처리수단(450) 및 데이터베이스(46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46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시물 정보 데이터베이스, 정보 중개장치 데이터베이스, 이용내역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데이터베이스는 하나의 테이블로 구성하거나 각각 별도의 테이블로 구성하고 상호 참조하도록 할 수 있다.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includes a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function means and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the exhibition managing means 410,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managing means 420, and the exhibit.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430, usage history management means 440,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450 and database 460. Although not shown, the database 460 may include an exhibition information database, an information intermediary database, and a usage history database. These databases may be configured as one table or may be configured as separate tables and cross-referenced to each other.

전시물 관리수단(420)은 방문지 정보, 방문지별 전시물 상세정보(예를 들어, 동물원의 경우 각 동물의 분류, 크기, 수명, 서식장소, 분포지역 등)를 운용자에 의해 입력받거나 온라인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수집한 후 데이터베이스(460)에 저장하며, 전시물이 추가되거나 상세정보가 변경된 경우 데이터베이스(460)를 갱신한다. 전시물 상세정보는 각 전시물 영역마다 설치된 정보 중개장치(50)의 고유 식별번호별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이 조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식으로 작성할 수 있다.The exhibit management means 420 receives visitation information and detailed exhibit information for each visi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zoo, the classification, size, lifespan, habitat, distribution area, etc. of each animal) by an operator or by using an online search engine. After collecting and storing the data in the database 460, the database 460 is updated when the exhibit is added or the detailed information is change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s is preferably stored accor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installed in each exhibit area, and may be written in the form of text, image, video, or a multimedia message in combination thereof.

정보 중개장치 관리수단(420)은 각 전시물이 위치하는 영역마다 설치된 정보 중개장치(50) 관련 정보를 고유 식별번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 및 관리하며, 정보 중개장치 관리수단(420)이 추가되거나 철거된 경우 데이터베이스(460)를 갱신한다. 또한, 정보 중개장치(50)가 전시물 상세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정보 중개장치(50)가 허가된 정보 중개장치인지 확인한다.The information intermediary management unit 420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installed in each area in which the exhibit is located in the database 420 accor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management unit 420 If added or removed, the database 460 is updated. 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requests the exhibit detailed information, it is checked whether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is an authorized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전시물 정보 전송수단(430)은 정보 중개장치(5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460)로부터 해당 전시물 상세 정보를 검색하여 정보를 요청한 정보 중개장치(50)로 전송한다.The exhibit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430 retrieve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 from the database 460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information broker 50 and transmits th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exhibit to the requested information broker 50.

이용내역 관리수단(440)은 정보 중개장치(50)가 전시물 정보를 요청할 때 이동통신 단말(10) 번호를 함께 전송받아, 이동통신 단말(10) 번호별로,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가 이용한 전시물 내역 및 각 전시물 상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60)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내역을 제공한다.The usage history management means 440 receiv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number together when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requests the exhibition information, an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number, used b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Exhibit details and each exhibit detailed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database 460, and the stored details are provid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부가정보 처리수단(450)은 정보 중개장치(50)가 요청한 전시물 상세 정보에 이동통신 단말(10)의 응답을 요구하는 부가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이동통신 단말(10)이 이에 응답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10)의 응답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10) 번호별로 저장한다. 이후, 응답 신호를 전송한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10)을 대상으로 지정된 규칙을 적용하여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10)을 선택한다. 이동통신 단말(10)의 응답 신호는 정보 중개장치(50)를 통하여 전송되거나 이동통신 시스템(3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If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450 includes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ing the respon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requested by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responds to this, The response signal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stored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number. Thereafter, the at least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selected by applying a specified rule to the at least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hich has transmitted the response signal. The response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o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예를 들어, 전시물 상세 정보에 퀴즈가 포함되어 있고,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가 퀴즈의 답을 입력한 경우, 이는 이동통신망 또는 정보 중개장치(50)를 통해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로 전송된다.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10)이 일정 시간동안 퀴즈에 참여하고 난 후, 부가정보 처리 수단(450)은 퀴즈에 참여한 이동통신 단말(10) 중 정답을 입력한 이동통신 단말(10)을 추출하고, 추출된 이동통신 단말(10) 중에서 지정된 숫자만큼 무작위로 선출하여, 선출된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에게 특정 혜택을 주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 includes a quiz, and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puts the answer of the quiz, it is sent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Is sent. After the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participate in the quiz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450 extrac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putting the correct answer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participating in the quiz.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number is randomly selected from the extra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to provide specific benefits to the sel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user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시물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위하여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의 전시물 관리수단(410)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정보 중개장치(50)가 설치된 각 전시물의 상세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S100).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exhibi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the exhibit managing means 410 of the exhibit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is provided with an information relay device 50 online or offline. The detailed information of each installed exhibit should be collected and stored (S100).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가 방문지를 관람하던 중,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된 정보 중개장치(50)와 통신 가능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정보 중개장치(50)와 이동통신 단말(10) 간에 정해진 통신 규격에 의해 접근을 확인하고 통신로를 형성한다(S101).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equipped wi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area with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equipped wi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while the user visits the visit place, the mobile terminal 10 communicates with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The access is confirmed by the communication standard determined between the terminals 10 and a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S101).

정보 중개장치(50)는 이동통신 단말(10)의 접근을 인지함에 따라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로 해당 전시물의 상세정보를 요청하는데(S102), 이때 정보 중개장치(50)의 고유 식별번호가 함께 전송된다.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request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object to the exhibit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as it recognizes the approac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102), where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is provided. Is sent together.

전시물 정보제공 센터(40)의 정보 중개장치 관리수단(420)은 정보를 요청한 정보 중개장치(50)가 허가된 장치인지 확인하고, 전시물 정보 전송수단(430)은 정보 중개장치(50) 식별번호를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전시물 상세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정보 중개장치(50)로 전송한다(S103).The information intermediary management unit 420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confirms whether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that has requested the information is an authorized device, and the exhibit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430 identifies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identification number. Reference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S103).

전시물 상세정보를 수신한 정보 중개장치(50)가 이를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하면(S104), 이동통신 단말(10)은 전시물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S105),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전시물 상세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이 조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having receive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s transmi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10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display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s (S105),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it. do. Exhibit details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text, image, video, or a multimedia message in combination thereof.

이동통신 단말(10)에 디스플레이된 전시물 상세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이를 타 이동통신 단말 또는 이메일 서버로 전송하고자 하면, 이동통신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수신 단말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입력받고(S106), 이를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 서비스 센터,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 등과 같은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며(S107), 이동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인 메시지 전송 절차에 따라, 수신 단말 또는 수신 이메일 주소를 확인한 후 해당 수신처로 전시물 정보를 전송한다(S108).When the user who check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ispla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ants to transmit it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 e-mail ser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receives a receiving terminal number or an e-mail address from the user (S106). , And transmits it to a message center such as a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and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107).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ecks the receiving terminal or the receiving e-mail address according to a general message transmission procedure and then displays the exhibit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destination. Transmit (S108).

본 실시예에서는 방문지에서 열람한 전시물 상세정보를 타 이동통신 단말 또는 이메일로 전송함으로써 전시물 상세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전시물 상세 정보를 자신의 이메일로 전송하는 경우 방문을 마친 후 전시물 정보를 재참조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can be shared by sending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viewed from the visitor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e-mail, and when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is transmitted to his or her e-mail, the exhibit information is re-referenced after the visit. You can do it.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시물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위하여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의 전시물 관리수단(410)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정보 중개장치(50)가 설치된 각 전시물의 상세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S20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exhibit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the exhibit managing means 410 of the exhibit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is provided with an information relay device 50 online or offline. The detailed information of each installed exhibit should be collected and stored (S201).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가 방문지를 관람하던 중,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된 정보 중개장치(50)와 통신 가능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정보 중개장치(50)와 이동통신 단말(10) 간에 정해진 통신 규격에 의해 접근을 확인하고 통신로를 형성한다(S202).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equipped wi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area with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equipped wi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while the user visits the visit place, the mobile terminal 10 communicates with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The access is confirmed by the communication standard determined between the terminals 10 to form a communication path (S202).

정보 중개장치(50)는 이동통신 단말(10)의 접근을 인지함에 따라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로 해당 전시물의 상세정보를 요청하는데(S203), 이때 정보 중개장치(50)의 고유 식별번호 및 정보 중개장치(50)에 접근한 이동통신 단말(10) 번호(MIN)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request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object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as it recognizes the approac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203), where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is provide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number (MIN) that accesses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together.

전시물 정보제공 센터(40)의 정보 중개장치 관리수단(420)은 정보를 요청한 정보 중개장치(50)가 허가된 장치인지 확인하고, 전시물 정보 전송수단(430)은 정보 중개장치(50) 식별번호를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전시물 상세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정보 중개장치(50)로 전송(S204)하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의 이용내역 관리수단(440)은 이동통신 단말(10) 번호(MIN)별로 전시물 이용 내역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05). 이때, 방문지 이름, 전시물 상세 정보 전송 시간 등을 이용 내역으로서 함께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formation intermediary management unit 420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confirms whether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that has requested the information is an authorized device, and the exhibit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430 identifies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identification number. With reference to, extract the exhibition details stored in the database, and transmits them to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S204), the usage history management means 440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10) stores the use history of the exhibits by number (MIN) (S205).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the name of the visit place,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s, and the like as the usage history.

전시물 상세정보를 수신한 정보 중개장치(50)가 이를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하면(S206), 이동통신 단말(10)은 전시물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S207),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전시물 상세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이 조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having receive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206),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display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 (S207)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do. Exhibit details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text, image, video, or a multimedia message in combination thereof.

이후,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60) 또는 이동통신 단말(10)를 이용한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에 접속하여,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10) 번호를 입력하여 전시물 정보 이용 내역을 확인하고자 하면(S208), 이용내역 관리수단(440)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이용내역을 검색한 후(S209) 개인용 컴퓨터(60) 또는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하고(S210), 개인용 컴퓨터(60) 또는 이동통신 단말(10)은 수신한 전시물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211).Thereafter, the user accesses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using the personal computer 6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puts hi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number, and displays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If you want to check (S208), the usage history management means 440 retrieves the usage history stored in the database (S209) and transmits to the personal computer 6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210), personal computer 6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displays the received exhibition details (S211).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자신이 방문지에서 열람한 전시물 상세정보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재확인하고 재참조할 수 있으며, 개인의 이메일 계정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정보 저장을 위한 기억공간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s viewed at the place of visit can be reconfirmed and rereferenced without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through wired and wireless Internet, and the storage space for storing information is not available because the personal email account is not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s not needed separately.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시물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위하여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의 전시물 관리수단(410)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정보 중개장치(50)가 설치된 각 전시물의 상세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S30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exhibit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the exhibit managing means 410 of the exhibit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is an information relay device 50 online or offline. Collect and store the detailed information of each exhibit installed (S301).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가 방문지를 관람하던 중,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된 정보 중개장치(50)와 통신 가능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정보 중개장치(50)와 이동통신 단말(10) 간에 정해진 통신 규격에 의해 접근을 확인하고 통신로를 형성한다(S302).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equipped wi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area with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equipped wi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while the user visits the visit place, the mobile terminal 10 communicates with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The access is confirmed by the communication standard determined between the terminals 10 and a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S302).

정보 중개장치(50)는 이동통신 단말(10)의 접근을 인지함에 따라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로 해당 전시물의 상세정보를 요청하는데(S303), 이때 정보 중개장치(50)의 고유 식별번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request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object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recognizes the access (S303). In this case,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is provided. Can be sent together.

전시물 정보제공 센터(40)의 정보 중개장치 관리수단(420)은 정보를 요청한 정보 중개장치(50)가 허가된 장치인지 확인한 후, 정보 중개장치(50) 식별번호를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전시물 상세정보를 추출하고, 전시물 정보 전송수단(430)은 이를 정보 중개장치(50)로 전송한다(S304). 여기에서, 전시물 상세 정보는 퀴즈 등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10)의 응답을 유도할 수 있는 부가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부가정보는 전시물 상세정보를 참조하여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formation intermediary management unit 420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confirms whether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requesting information is an authorized device,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with reference to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identification number. Extracting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s, the exhibit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430 transmits it to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S304). Here,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 includes additional information that can induce a respon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uch as a quiz, and this additional information is preferably created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

전시물 상세정보를 수신한 정보 중개장치(50)가 이를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하면(S305), 이동통신 단말(10)은 전시물 상세정보 및 부가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S306),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전시물 상세정보 및 부가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이 조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information broker 50 receiving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transmi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305),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display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S306), and the user displays it. Make sure to check. Exhibit details and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text, image, video, or a multimedia message combining them.

본 실시예에서, 전시물 상세정보는 이동통신 단말(10)의 응답을 유도하는 부가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부가정보에 대하여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로부터 응답 신호가 입력되면(S307), 이동통신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정보 중개장치(50)로 전송하고(S308), 정보 중개장치(50)는 이를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로 전송한다(S309). 이동통신 단말(10)을 통한 사용자의 응답 신호는 단계 S308 및 S309와 같이, 정보 중개장치(50)를 통해 전달되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가 정보 중개장치(50)와의 통신 영역을 이탈한 경우를 대비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를 메시지 수신자로 하여 일반적인 메시지 전송 방식에 의해 사용자의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 includes additional information for inducing a respon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hen the response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ith respect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S307), the moving information is moved. Th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n input signal of the user to the information relay device 50 (S308), and the information relay device 50 transmits it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S309). The response signal of the us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as in steps S308 and S309, and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pens a communication area with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In case of departure,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the user's response may be transmitted by using the general message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exhibit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as a message receiver.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40)의 부가정보 처리수단(450)은 요구에 응답한 이동통신 단말(10) 번호별로 응답 신호(퀴즈의 경우, 입력한 답안)를 저장하고,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10)을 선출한다(S310). 이후, 선출된 이동통신 단말(10) 번호를 수신측 번호로 하여 이동통신망으로 추첨 결과 메시지(S311)를 전송하고, 이동통신망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10)로 추첨 결과 메시지를 전송한다(S312). 추첨 결과 메시지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작성할 수 있다.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450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40 stores a response signal (an input answer in the case of a quiz) for each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responding to the request, and at least one or mor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selected (S310). Thereafter, the drawing result message S311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sel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number as the receiving side numb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s the drawing result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312). . The drawing result message may be a multimedia message in the form of text, image, video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추첨 결과 메시지는 정보 중개장치(5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ottery result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50).

본 실시예는 전시물 상세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에게 제공할 뿐 아니라, 전시물과 관련된 퀴즈 등에 사용자가 참여하도록 하고, 참여한 결과를 정해진 규칙에 적용하여 특정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에게 특별한 혜택을 주는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방문지 이용률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is embodiment not only provide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s to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but also allows the user to participate in quizzes related to the exhibits, and applies the result of the participation to a predetermined rule to provide a special benefit to the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visit rate utiliz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놀이동산, 동물원, 전시회, 박물관 등과 같은 방문지에서 전시물의 구체적인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전시물 영역마다 각각 정보 중개장치를 설치하고, 설치된 정보 중개장치를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에서 관리함으로써, 정보의 갱신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exhibits can be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a visit place such as an amusement park, a zoo, an exhibition, a museum. Furthermore, by installing an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for each exhibition area and managing the installed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in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information can be easily updated and managed.

또한,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한 전시물 상세 정보를 타 이동통신 단말 또는 이메일로 전송함으로써, 정보의 공유 및 재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이용한 전시물 상세정보를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에서 관리하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자신이 이용한 전시물 상세정보를 재참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transmitting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r e-mail, information sharing and reuse is possible,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s used by the user is managed in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s used by the user through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can be referred agai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of an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의 상세 구성도,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xhibition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시물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exhibi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시물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exhibit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시물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exhibit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이동통신 단말 20 : 기지국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base station

30 : 이동통신 시스템 40 :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30: mobile communication system 40: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50 : 정보 중개장치 60 : 개인용 컴퓨터50: information relay device 60: personal computer

70 : 인터넷 400 : 제어부70: internet 400: control unit

410 : 전시물 관리 수단 420 : 정보 중개장치 관리 수단410: exhibit management means 420: information intermediary management means

430 : 전시물 정보 전송 수단 440 : 이용 내역 관리 수단430: exhib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440: usage history management means

450 : 부가정보 처리 수단 460 : 데이터베이스450: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460: database

Claims (20)

방문지에 존재하는 전시물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As a system for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f exhibits present in the visit,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방문지의 전시물 영역 각각에 설치되는 정보 중개장치; 및An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mounted wit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perform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installed in each exhibition area of the visited place; And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접속되며, 방문지 정보, 상기 방문지별 전시물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정보 중개장치와 접속되어 상기 정보 중개장치를 식별번호별로 관리하는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An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toring and managing visit destination information and exhibition object information for each visit destination, and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to manage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by identification number; 를 포함하며,Including; 상기 정보 중개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영역에 접근하면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로 전시물 상세정보를 요청하고,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roaches an area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information relay device request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exhibits from the exhibit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는 상기 정보 중개장치의 요청에 따라 전시물 상세정보를 검색한 후 상기 정보 중개장치로 전송하며,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searches for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at the request of the information relay and transmits the detailed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relay. 상기 정보 중개장치는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로부터 수신한 전시물 상세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And the information relaying device transmit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received from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는 상기 방문지 정보, 방문지별 전시물 상세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전시물 관리수단;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may include: exhibition management means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visiting information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each exhibition in a database; 상기 정보 중개장치를 상기 식별번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정보 중개장치가 전시물 상세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정보 중개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 중개장치 관리수단; 및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management means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and for authenticating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when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requests detailed information on an exhibit; And 상기 정보 중개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시물 상세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정보 중개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전시물 정보 전송수단;Exhibit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for retrieving exhibit detailed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and transmitting the exhibit detailed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relay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information relay;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Exhibi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전시물 상세정보는 상기 정보 중개장치의 고유 식별번호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exhibits is a displa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for each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formation relay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전시물 상세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식으로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exhibits is a text, image, video or multimedia message forma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reation of a multimedia message forma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는 상기 정보 중개장치가 전시물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정보 중개장치의 통신 영역에 접근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 번호를 상기 정보 중개장치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 번호별로 전시물 상세정보 이용 내역을 저장하며,When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requests the exhibit informati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receiv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that has accessed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from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and displays the details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Store information usage,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이용내역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별 이용 내역을 제공하기 위한 이용내역 관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requests the usage history through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usage history management means for providing a usage history for each user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internet. Exhibit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전시물 상세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응답을 요구하는 부가정보를 포함하며,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exhibit includes additional information for requesting a respons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는, 상기 정보 중개장치가 요청한 전시물 상세 정보가 부가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부가정보에 응답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응답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 번호별로 저장하고, 응답 신호를 전송한 하나 이상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지정된 규칙을 적용하여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을 선택하는 부가정보 처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The exhibition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when the exhibition detailed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includes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sponds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e response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And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for selecting one or mo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y applying a specified rule to the one or mo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toring and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는, 상기 부가정보 처리수단의 이동통신 단말 선출 결과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 응답에 대한 선출 사실을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선출된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The exhibition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transfers the fact of selection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sponse to the sel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ion result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Exhibi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부가정보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응답 신호는 상기 정보 중개장치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And a response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one of the information relay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정보 중개장치로부터 수신한 전시물 상세정보를 수신처를 지정한 후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object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relay de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fter designating a destination.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방문지의 전시물 영역 각각에 설치되는 정보 중개장치;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접속되며, 방문지 정보, 상기 방문지별 전시물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정보 중개장치와 접속되어 상기 정보 중개장치를 식별번호별로 관리하는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를 포함하는 전시물 상세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An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mounted wit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perform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installed in each exhibition area of a visited place; And an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toring and managing visit destination information and exhibition object information for each visit destination, and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to manage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by identification number. As a method for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exhibits, including: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가 상기 방문지 정보 및 상기 방문지별 전시물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Collecting, by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the visit place information and the exhibit information for each visit place;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정보 중개장치와 통신 가능한 영역에 접근한 경우, 상기 정보 중개장치가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로 전시물 상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Requesting, by the information relay devic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exhibit from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roaches an area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information relay device;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가 상기 정보 중개장치의 식별번호를 참조하여 전시물 상세정보를 검색한 후, 상기 정보 중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Searching, by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by referr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formation relay devic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relay device; And 상기 정보 중개장치가 상기 수신한 전시물 상세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by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apparatus, the received exhibition detail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방법.Exhibi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전시물 상세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식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방법.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exhibits is a text, image, video or multimedia messag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media message format.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전시물 상세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수신 주소가 입력되면, 상기 전시물 상세정보를 메시지 내용으로 하여 상기 전시물 상세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방법.After transmitting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message receiving address is in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the exhibition details are displayed using the details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as a message content.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메시지 수신 주소는 이동통신 단말 번호 또는 이메일 계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방법.And the message receiving address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or an e-mail account.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정보 중개장치가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로 전시물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보 중개장치와 통신 가능한 영역에 접근한 이동통신 단말 번호를 상기 정보 중개장치로부터 전송받고,In the step of request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information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the information relay device receiv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that has approached the communication area with the information relay device from the information relay device,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가 상기 정보 중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 번호별로 이용내역을 저장하는 단계;Storing, by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the usage history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after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broker;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에 접속하여, 상기 이용 내역을 요구함에 따라,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가 이동통신 단말 번호별 이용내역을 추출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방법.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ccesses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through a wired / wireless internet using a personal computer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quests the usage details,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extracts usage history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personal computer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이용내역은 방문지 이름, 이동통신 단말 번호, 전시물 상세 정보 전송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방법.The usage information includes a visited place nam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and a transmission time of exhibition information.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전시물 상세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응답을 요구하는 부가정보를 포함하며,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exhibit includes additional information for requesting a respons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정보 중개장치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시물 상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부가정보에 대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로부터 응답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After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transmits the exhibit detailed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a response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input signal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Transmitting to;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가 상기 부가정보에 대하여 응답한 이동통신 단말 번호별로 상기 응답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Storing, by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the response signal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responsive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가 상기 응답 신호에 정해진 규칙을 적용하여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을 선출하는 단계; 및Selecting, by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one or mo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y applying a rule defined to the response signal; And 상기 선출된 이동통신 단말로 선출 사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the fact of selection to the el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방법.Exhibi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 comprising.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정보 중개장치를 통해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방법.The step of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through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Way.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한 메시지 전송방식에 의해 상기 전시물 정보 제공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방법.The transmitting of the input signal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to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by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ow to provide exhibit information.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선출 사실을 포함하는 메시지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방법.And the message including the fact of selection is text, image, video, or multimedia message format.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선출 사실을 포함하는 메시지는 상기 정보 중개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방법.And a message including the fact of selec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information intermediary device.
KR20030075829A 2003-10-29 2003-10-2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exhibition inform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0409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5829A KR20050040978A (en) 2003-10-29 2003-10-2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exhibition inform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5829A KR20050040978A (en) 2003-10-29 2003-10-2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exhibition inform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978A true KR20050040978A (en) 2005-05-04

Family

ID=37242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75829A KR20050040978A (en) 2003-10-29 2003-10-2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exhibition inform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0978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708B1 (en) * 2005-12-13 2007-06-04 재단법인 그래픽스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user centric pavilion information on mobile device
KR100973408B1 (en) * 2008-02-11 2010-07-30 (주)성삼 System and method for experience and guide
KR101143606B1 (en) * 2010-08-11 2012-05-09 주식회사 저스트아이디어 System, user terminal unit and method for guiding display information using mobile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708B1 (en) * 2005-12-13 2007-06-04 재단법인 그래픽스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user centric pavilion information on mobile device
KR100973408B1 (en) * 2008-02-11 2010-07-30 (주)성삼 System and method for experience and guide
KR101143606B1 (en) * 2010-08-11 2012-05-09 주식회사 저스트아이디어 System, user terminal unit and method for guiding display information using mobi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05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regional community service based on mobile blog in mobile terminal
US20080301568A1 (en) Method for Proposing the Meeting in the Regional Community Service System Based on Mobile Blog Through a Mobile Terminal
EP2138943B1 (en) Sharing user defined location based zones
KR20060085860A (en) System and method for gallery guide by realtime information proffering using stored data
US8811230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mplementing a virtual posting service
KR20000072447A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visitor guide information service using the mobile terminal and Blue-tooth technology
US8903936B2 (en) Sharing user defined location based zones
CN104137426A (en) Situ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with server and user terminal, and method thereof
JP5027754B2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erver
JP2015064867A (en) Content selection system, content selection method, and management device
WO2009127928A2 (en) Multimedia, multichannel, universally accessible, location-aware electronic informational system
KR2005004097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exhibition inform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891054B1 (en)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by using rfid and method thereof
JP2001285526A (en) Two-way communication system
KR20040102614A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of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user terminal with individual cyberspace
JP2006202103A (en) Album preparing system
JP2005292196A (en) System and method for bidirectionally providing information
KR100813948B1 (en) Study and position data providing method using potable study termi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030006527A (en) Demand picture message transmission method by mobile phone
KR20080017735A (en) A system of learning using mobile unit and a method thereof
KR20140065542A (en) Sns utilizes expert consultation system
Díez-Díaz et al. An accesible and collaborative tourist guide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mobile devices
KR100494004B1 (en) Method for operating meeting service using a location inform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JP2007179218A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er device
KR20030033516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Information Supply Method Using Bluetoo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