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9435A - Text communication device has text to speech converting function for walkie-talkie - Google Patents

Text communication device has text to speech converting function for walkie-talki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9435A
KR20050039435A KR1020030074902A KR20030074902A KR20050039435A KR 20050039435 A KR20050039435 A KR 20050039435A KR 1020030074902 A KR1020030074902 A KR 1020030074902A KR 20030074902 A KR20030074902 A KR 20030074902A KR 20050039435 A KR20050039435 A KR 20050039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data
signal
radio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9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창권
Original Assignee
한 성 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 성 운 filed Critical 한 성 운
Priority to KR1020030074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9435A/en
Publication of KR20050039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435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무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 방향성의 단조로운 음성 통신만이 이루어지던 종전의 무전기에서 탈피하여 문자통신이 가능해지도록 하면서도 종전의 무전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무전기의 이어 잭(ear jack)에 간단히 연결시켜 음성을 통한 통신과 문자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문자통신모드에서 수신되는 문자열은 LCD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면서 동시에 음성으로 변환되어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신호를 음성신호로의 변환기능을 갖는 무전기의 문자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strial radio, and in particular, it is easy to use a conventional radio while allowing the user to use a conventional radio while leaving the conventional radio in which only one-way monotonous voice communication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connect and communicate text through voice, and the text string received in text communication mode is displayed on LCD screen, and at the same time, it converts text signal to voice signal and converts it into voice signal. It relates to a text communication device.

Description

문자신호를 음성신호로의 변환기능을 갖는 무전기의 문자 통신 장치{text communication device has text to speech converting function for walkie-talkie}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onverting a text signal into a voice signal {text communication device has text to speech converting function for walkie-talkie}

본 발명은 산업용 무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 방향성의 단조로운 음성 통신만이 이루어지던 종전의 무전기에서 탈피하여 문자통신이 가능해지도록 하면서도 종전의 무전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무전기의 이어 잭(ear jack)에 간단히 연결시켜 음성을 통한 통신과 문자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문자통신모드에서 수신되는 문자열은 음성으로 변환되어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신호를 음성신호로의 변환기능을 갖는 무전기의 문자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strial radio, and in particular, it is easy to use a conventional radio while allowing the user to use a conventional radio while leaving the conventional radio in which only one-way monotonous voice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onverting a text signal into a voice signal so that a text string received in a text communication mode can be converted into a voice and listened to. .

일반적으로, 무전기는 사용주파수와 용도에 따라 산업용, 생활용, 및 간이 주파수 공용 통신 무전기로 구분되며, 산업용은 일반 무선국과 간이 무선국으로 다시 나눌 수 있는데 일반 무선국은 사용 목적에 따라 주파수가 할당되어 있거나 할당받아 사용하는 것이고, 간이 무선국은 정부에서 지정하는 주파수 대역에 한해 사업자 등록증을 가진 사람만이 사용한다.In general, radios are divided into industrial, domestic, and simple-frequency communication radios according to their frequency and use. Industrials can be divided into general radio stations and simple radio stations. A simple radio station is used only by a person with a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 for the frequency band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이때, 산업용 무전기는 136 ~ 172Mhz, 444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반 무선국용은 경찰, 소방서, 및 군사용으로, 간이 무선국용은 건물경비, 공장경비, 방송계 등에서 주로 사용한다.At this time, the industrial radio uses 136 ~ 172Mhz, 444Mhz frequency band, general radio station is used for police, fire department, and military, simple radio station is mainly used in building security, factory security, broadcasting.

또한, 생활용 무전기는 일반 소비자의 무선통신 활성화를 위해 국내에서는 1995년 첫 선을 보였으며 27Mhz 대역의 단파 주파수를 사용하는 제 1형 생활 무선국과 440Mhz 대역의 초단파/극초단파 주파수를 사용하는 제 2 형으로 구분된다.In addition, the domestic radio was first introduced in 1995 in Korea to activate wireless communication of general consumers. It is a type 2 living radio station that uses a shortwave frequency of 27Mhz and a second type that uses microwave and microwave frequencies of 440Mhz. Are distinguished.

이때, 통상적으로 무전기는 상호 연결을 위한 기지국이나 중계국이 필요치 않고 통화요금이 부과되지 않으면서 상호간 교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반면, 비교적 단거리에서만 상호 교신을 수행할 수 있고 장거리의 원격지에서는 상호 교신을 수행할 수 없는 상호 교신 거리의 제한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radio generally has the advantage that it does not need a base station or relay station for the interconnection and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out being charged a call charge, bu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ly in a relatively short distance and mutually in a long distance The disadvantage is that there is a limit on the distance of communication which cannot be performed.

또한, 상기 무전기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은 휴대폰 등의 유료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에 비해 아주 기본적인 기능 즉, 음성만을 단방향성(송신시 수신불가, 수신시 송신불가)으로 송수신하는 기능만을 갖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radio have only a very basic function, that is, a function of transmitting / receiving only one-way voice (non-receipt at the time of transmission, not at the time of reception) as compared with the function provided by a pay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이러한, 무전기를 주로 사용하는 공장이나 군대의 경우 가급적 소음의 발생을 줄이면서도 의사소통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공장이나 창고 혹은 빌딩의 경비 중 많은 숫자의 침입자가 발생시 이를 발견한 경비원이 다른 경비원에게 원조를 요청할 때 종래의 무전기를 통해 음성으로 의사소통을 하게 되면 침입자들로부터 위해를 당하거나 검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상황을 맞을 수 도 있다.In the case of a factory or a military which mainly uses a radio, there may be a case where communication should be performed while reducing noise, for example, when a large number of intruders occur in the expense of a factory, a warehouse, or a building. When a security guard finds a voice communication through a conventional radio when he asks for assistance from another security guard, he may face a situation that could result in harm from intruders or difficulties in arrest.

또한, 같은 예로써 야전지대에 배치되어 있는 군인의 경우 잠복 혹은 경계근무 중 아니면 작전수행 중 같은 부대원들과의 의사소통에서 발성을 통한 음성통신은 아군의 작전수행에 어려움을 줄 수 있는 상황이 있을 수 도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soldiers deployed in the field, voice communication through voice communication in the communication with other members of the military during latent or guard duty or during operation may cause difficulties for allied operations. Can also be.

그러나, 기존의 무전기는 음성이외에 다른 어떠한 형태의 통신기능도 구비되어 있지 못하다는 그 기능상의 제한으로 인해 한계상황에서도 발성을 통한 의사소통만이 무전기를 통한 유일한 의사소통의 방식이었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However, due to its functional limitation that the existing radio is not equipped with any other form of communication function other than voice, there is a problem that communication in the limit situation was the only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the radio.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근래 들어 제안되어진 선행기술로 대표적인 것이 무전기와 일명 핸드폰이라 칭하는 모바일기기가 결합된 것인데, 이러한 기술들의 원천적인 목적은 핸드폰의 사용 중 이동통신 서비스망의 부하 량 급증에 따른 통화 품질의 저하에 대비하고자 하는 기술들로써, 산악회나 복수의 이동수단(차량, 이륜차)을 통한 단체의 드라이빙시 사용하기 적합한 기술들이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representative technique proposed in recent years is a combination of a radio and a mobile device called a mobile phone. The original purpose of these technologies is a call caused by a sudden increase in the lo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network. As a technique to be prepared for the deterioration of quality, it is suitable for use in driving of a group through mountainous or a plurality of vehicles (vehicles, motorcycles).

이러한 기술들은 대체적으로 문자통신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무전기 단말기 자체를 핸드폰과 일체형의 무전기로 전량 교체하여야 하는 금전적인 부담감이 문제점으로 제시되었으며, 더욱이 군부대인 경우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른 무전기 단말기(핸드폰과 일체형)를 사용하기에는 금전적인 부담 이외에 군 내부 기밀의 보안 유지의 어려움에 의해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Although these technologies are generally considered to be capable of text communication, the financial burden of replacing the radio terminal itself with a mobile phone and an integrated radio has been presented as a problem. Moreover, in the case of military units, the radio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cell phone) In addition to the financial burden to use the (one-in-one) with the difficulty of maintaining the security of the internal secret of the military has been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용 무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 방향성의 단조로운 음성 통신만이 이루어지던 종전의 무전기에서 탈피하여 문자통신이 가능해지도록 하면서도 종전의 무전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무전기의 이어 잭(ear jack)에 간단히 연결시켜 음성을 통한 통신과 문자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문자통신모드에서 수신되는 문자열은 음성으로 변환되어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신호를 음성신호로의 변환기능을 갖는 무전기의 문자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relates to an industrial radio, in particular, to use a conventional radio as it is possible to escape from the conventional radio that was only monodirectional monodirectional voice communication to enable text communication Simply connect it to the ear jack of the radio so that communication and text communication can be done through voice and the text signal received in text communication mode is converted into voice to listen to text signal to voice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conversion fun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신호를 음성신호로의 변환기능을 갖는 무전기의 문자 통신 장치의 특징은, 4극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른 이어폰 소켓을 구비하고 있는 무전기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소켓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지는 이어폰 잭의 수신단자와 송신단자를 통해 텍스트 디지털 신호를 변복조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 변복조부와; 임의의 특정 기능을 요청하거나 숫자나 영문 혹은 한글자모를 입력시킬 수 있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 또는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를 통해 수신되는 텍스트 디지털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음절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음성 데이터 테이블과; 입력되는 오디오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폰 잭의 수신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이어폰측으로 전달하는 음향변환부; 및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요청신호를 인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거나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키버튼 신호에 따른 텍스트 신호를 문자열로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생성된 텍스트 문자열에 따른 텍스트 디지털 신호를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를 통해 무전기측으로 송신하되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를 통해 텍스트 디지털 신호의 수신시 해당 텍스트 디지털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음성 데이터 테이블에서 억세스하여 조합한 후 이를 상기 음향변환부에 입력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데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character communication apparatus of a radio having a function of converting a text signal into a voice signal, the radio having an earphone socket according to a four-pole interface method. A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for modulating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text digital signal through a reception terminal and a transmission terminal of an earphone jack which is inserted into the socke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cket; A keypad for requesting a specific function or inputting numbers, alphabets or Korean alphabets;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ext input through the keypad or text digita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An audio data table for storing audio data for syllables as digital data; An audio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input audio digital data into audio analog data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audio digital data to the earphone si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of the earphone jack; And recognizing a request signal input through the keypad to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or generating a text signal according to a key button signal input through the keypad as a string and displaying the text signal on the display unit or a text digital signal according to the generated text string.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audio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digital signal through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or to the transceiver and inputs the audio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digital signal from the voice data table. To include mea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신호를 음성신호로의 변환기능을 갖는 무전기의 문자 통신 장치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를 인식하는 버튼인식부와; 상기 버튼인식부를 통해 인식되는 텍스트 신호 혹은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를 통해 수신되는 텍스트 디지털 신호를 문자열로 생성하는 문자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의 동작상태 검출 및 상기 버튼인식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라 시스템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문자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텍스트 문자열에 따른 텍스트 디지털 신호를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를 통해 무전기측으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를 통해 텍스트 디지털 신호의 수신시 해당 텍스트 디지털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음성 데이터 테이블에서 억세스하여 조합한 후 이를 상기 음향변환부에 입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 있다.An additional feature of the text communication device of the radio having a function of converting a text signal into a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trol means is a button for recognizing a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keypad A recognition unit; A text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text signal recognized through the button recognition unit or a text digita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ata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as a character string; And controlling the overall system opera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and the user request signal input through the button recognition unit, and the text digital signal according to the text string generated by the character generation unit to the radio side through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and combines audio and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digital signal in the voice data table when the text digital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and inputs the audio digital data to the sound conversion unit.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신호를 음성신호로의 변환기능을 갖는 무전기의 문자 통신 장치의 적용 예시도이며, 도 2는 첨부한 도 1의 요부 확대 사용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신호를 음성신호로의 변환기능을 갖는 무전기의 문자 통신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of a text communication device of a radio having a function of converting a text signal into a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It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onverting a text signal into a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 1에서 참조번호 100으로 지칭되는 장비는 통상의 무전기로써, 이어폰 소켓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The equipment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100 in FIG. 1 is a conventional walkie-talkie, which is provided with an earphone socket.

통상 이어폰 소켓 혹은 이어폰 잭이라 칭하는 소자는 3극 인터페이스 방식과 4극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방식은 4극 인터페이스 방식이 적용된 것이다.Devices commonly referred to as earphone sockets or earphone jacks are divided into three-pole interface and four-pole interface, the method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ur-pole interface.

또한, 참조번호 200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신호를 음성신호로의 변환기능을 갖는 무전기의 문자 통신 장치(이하, 문자 통신 장치로 칭함)이며, 참조번호 200a로 지칭되는 이어폰 잭은 상기 무전기(100)에 구비되어 있는 이어폰 소켓에 압입되어 지는 소자로서 상기 문자 통신 장치(200)와 상기 무전기(100)간에 4극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속수단이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200 is a text communication device of the radio having a function of converting a text signal into a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ext communication device), the earphone jack referred to by reference number 200a is the radio (100) It is a device that is pressed into the earphone socket provided in the) is a connection means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 to the four-pole interface method between the text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the radio 100.

또한, 참조번호 300은 상기 문자 통신 장치(200)를 통해 상기 무전기(100)와 연결되되 상기 무전기(100)를 통한 음성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320)와 이어폰(310)으로 구성되는 헤드 셋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300 is a headset which is connected to the radio 100 through the text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composed of a microphone 320 and an earphone 310 for performing voice communication through the radio 100. It shows an embodiment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진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통신 장치를 무전기에 적용시킨 예인데, 첨부한 도 1에서 참조번호 A로 지칭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통신 장치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1 is an example in which the text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adio, and the text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A in FIG. 1 is described in detail. Looking at it, as shown in Figure 2 attached.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통신 장치(200)는 참조번호 210으로 지칭되는 상부케이스와 참조번호 220으로 지칭되는 하부케이스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10)와 하부케이스(220)는 힌지(참조번호 미부여)를 중심으로 절첩 되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text communica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n upper case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210 and a lower case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220, and the upper case 210. The lower case 220 is folded around the hinge (not given reference number).

상기 상부케이스(210)의 내측 접촉면에는 문자통신을 위한 디스플레이소자인 LCD(2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케이스(220)의 내측 접촉면에는 문자 송신을 위한 키패드(205)가 구비된다.The inner contact surface of the upper case 210 is provided with an LCD 211 which is a display element for text communication, and the inner contact surface of the lower case 220 is provided with a keypad 205 for text transmission.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220)의 일 측면에는 기 설정되어 있는 특정 문자메시지를 상기 키패드(205)의 조작 없이 혹은 상기 키패드(205)에 구비되어 있는 특정 기능버튼의 조작 후 신속하게 송출 할 수 있도록 하는 경보버튼(221)과, 음성모드에 따른 통신 시 음성 송출을 위한 통화버튼(222)이 구비되어진다.In addition, on one side of the lower case 220 so as to be able to quickly send out a specific text message set in advance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keypad 205 or after the operation of a specific function button provided on the keypad 205. An alarm button 221 and a call button 222 for voice transmission during communication in the voice mode are provided.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외관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통신 장치(200)의 구성을 첨부한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우선, 참조번호 200a로 지칭되는 이어폰 잭은 4극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수신단(Rx)과 송신단(Tx)과 전압공급단(Vcc) 및 접지단(Gnd)으로 구성되어 진다.Referring to Figure 3 attach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acter communic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appearance as shown in Figure 2 attached, first, the earphone jack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200a is a four-pole interface receiving end It consists of (Rx), a transmitter (Tx), a voltage supply (Vcc) and a ground (Gnd).

상기 이어폰 잭(200a)의 수신단(Rx)은 참조번호 300으로 지칭되는 헤드 셋의 이어폰(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어폰 잭(200a)의 송신단(Tx)은 참조번호 300으로 지칭되는 헤드 셋의 마이크(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짐으로써, 상기 무전기(100)의 이어폰 소켓(참조번호 미부여)에 압입되어진 이어폰 잭(200a)을 통해 사용자는 헤드 셋(300)의 마이크(320)와 이어폰(310)을 사용하여 음성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receiving end Rx of the earphone jack 200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arphone 310 of the headset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300, and the transmitting end Tx of the earphone jack 200a i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300.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phone 320 of the headset, the user through the earphone jack (200a) is pressed into the earphone socket (not given reference number) of the radio 100, the user of the microphone 320 of the headset 300 And the voice communication is made using the earphone 310.

이때, 상기 이어폰 잭(200a)의 수신단(Rx)과 송신단(Tx)은 참조번호 201로 지칭되는 데이터 변복조부에 연결되어지는데, 상기 이어폰 잭(200a)의 수신단(Rx)은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201)의 데이터 복조부(참조번호 미부여)에 연결되어 상기 무전기(10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중 기 설정된 방식 예를 들어 PWM(펄스 폭 변조)방식에 의해 변조되어진 텍스트 신호를 검출하여 복조한 후 이를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eceiving end (Rx) and the transmitting end (Tx) of the earphone jack 200a is connected to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201, the receiving end (Rx) of the earphone jack 200a is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 Connected to a data demodulation unit (not given a reference number) of 201) and detects and demodulates a text signal modulated by a preset method, for example, a PWM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from among the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100. This is then output as a digital signal.

또한,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201)의 데이터 변조부(참조번호 미부여)는 상기 이어폰 잭(200a)의 송신단(Tx)에 연결되어 있어 입력되는 텍스트 문자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방식 예를 들어 PWM(펄스 폭 변조)방식에 의해 변조한 후 상기 무전기(100)를 통해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ata modulator (not given a reference number) of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201 is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Tx) of the earphone jack 200a to input the input text character digital signal, for example, PWM ( Pulse width modulation) and then modulates the signal through the transceiver 100.

또한, 참조번호 205로 지칭되는 키패드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키패드와 그 배열이 유사하며, 기능키에 의하여 숫자, 영문, 한글 등의 텍스트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어지고, 기능키 선택에 따른 모드 변경을 위하여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5"번 버튼을 중심으로 "2", "4", "6", "8"은 방향키 조정을 위한 버튼으로 사용되며 "5"번 버튼은 모드확정 혹은 다른 목적의 기능선택을 위한 버튼으로 사용된다.In addition, the keypad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205 is similar to the keypad of a general mobile phone, and is implemented to input text such as numbers, English, Korean, etc. by function keys, and change the mode according to the function key sel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2", "4", "6", and "8" are used as buttons to adjust the direction keys and the "5" button is used for mode confirmation or other purposes. Used as a button for selecting a function.

또한, 참조번호 211로 지칭되는 LCD는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201)의 데이터 복조부를 통해 수신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키패드(205)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를 송출 전 확인하기 위한 표시기능 및 각종 동작모드의 선택을 위한 표시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an LCD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211 may display a text received through the data demodulation unit of the data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201 or display functions for confirming before sending the text input through the keypad 205 and various operation modes. The display function for the selection of.

또한, 참조번호 206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패드(205)에서 출력되는 버튼 선택신호 및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경보버튼(221)을 통한 사용자 요청을 인식하여 이를 기준으로 텍스트 입력 혹은 기타 기능선택 등등의 사용자 요구사항을 인식하는 버튼인식부이다.Also, reference numeral 206 recognizes a user's request through the button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keypad 205 and the alarm button 221 shown in FIG. 2 by the user, and selects a text input or other function based on this. A button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user requirements.

또한, 참조번호 203은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버튼인식부(206)에서 출력되는 텍스트 문자 데이터 혹은 상기 데이터 복조부를 통해 수신되는 텍스트 문자 데이터를 기준으로 완성된 텍스트 문자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LCD(211)측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데이터 변조부측으로 출력하는 문자생성부이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203 generates a completed text character based on the text character data output from the button recognition unit 206 or the text character data received through the data demodulator according to the input control signal and the LCD ( 211) or a character generator for outputting to the data modulator side.

또한, 참조번호 207은 인간의 언어표현에 대한 최소 단위인 음절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음성 데이터 테이블이며, 참조번호 208은 입력되는 오디오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폰 잭의 수신단자(Rx)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이어폰(310)으로 전달하는 음향변환부이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207 is a voice data table for storing audio data of syllables, which is the minimum unit for human language expression, as digital data, and reference numeral 208 converts the input audio digital data into audio analog data to convert the earphone. It is a sound conversion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earphone 310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Rx) of the jack.

이때, 상기 음향변환부(310)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 converter)를 사용할 수도 있고, 후술하는 제어부의 TTS모듈의 기능에 따라 증폭기를 통한 증폭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ound conversion unit 310 may use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 / A converter), or may be configured as an amplification means through an amplifier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of the TTS module of the controller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문자생성부(203)와 LCD(211)사이에는 상기 문자생성부(203)에서 생성되어진 문자데이터를 LCD(211)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CD구동부(204)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201)의 동작상태 검출 및 상기 버튼인식부(20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라 시스템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문자생성부(203)를 통해 생성된 텍스트 문자열에 따른 텍스트 디지털 신호를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201)를 통해 무전기측으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201)를 통해 텍스트 디지털 신호의 수신시 해당 텍스트 디지털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음성 데이터 테이블(207)에서 억세스하여 조합한 후 이를 상기 음향변환부(208)에 입력시키는 제어부(202)로 구성되어진다.In addition, an LCD driver 204 is provided between the character generator 203 and the LCD 211 to display the character data generated by the character generator 203 on the LCD 211. It detects the operation state of the unit 201 and controls the overall system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 request signal input through the button recognition unit 206, the text digital signal according to the text string generated by the character generation unit 203 Is transmitted to the radio side through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201, and when the text digital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201, audio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digital signal is accessed from the voice data table 207. And a controller 202 for inputting it to the acoustic transducer 208.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통신 장치(20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어폰 잭(200a)의 전압공급단(Vcc)을 통해 유입되는 무전기(100)의 배터리 전압을 구동전원으로 사용하며, 비 휘발성 메모리 소자(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어부(202)가 구동되어진다.Although not shown, the text communica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uses the battery voltage of the transceiver 100 introduced through the voltage supply terminal Vcc of the earphone jack 200a as a driving power source. The controller 202 is driven by an operating program stored in a nonvolatile memory device (not shown).

또한, 상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의 실시 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통신 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에 국한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communica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신호를 음성신호로의 변환기능을 갖는 무전기의 문자 통신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자신이 휴대하는 무전기(100)의 이어폰 소켓에 이어폰잭(200a)을 압입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후 헤드셋(300)을 착용하게 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text communication device of the radio having a function of converting a text signal into a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is the earphone jack 200a to the earphone socket of the radio (100) After press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to wear the headset 300.

이때, 사용자는 헤드셋(300)과 이어폰잭(200a)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문자 통신 장치(200)에 구비되어진 통화버튼(222)을 누르고 발성하게 되면 무전기(100)를 통해 음성메시지가 송출되어지며 수신 동작은 상기 통화버튼(222)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발신자의 음성메시지를 듣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call button 222 provided in the text communication device 200 provided between the headset 300 and the earphone jack 200a, the voice message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ceiver 100. The receiving operation is configured to listen to the caller's voice message without pressing the call button 222.

상기의 통화버튼(200)은 무전기의 동작 특성상 단방향성 통신 방식에 따라 무전기(100)에 구비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통화버튼(222)의 작동 여부는 무전기(100) 내부의 처리장치가 인식하게 된다.The call button 200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at provided in the walkie-talkie 100 according to a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method due to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walkie-talkie, and the operation of the call button 222 is handled inside the walkie-talkie 100. The device will recognize it.

임의의 상황에서 사용자는 문자 통신 장치(200)의 상하부 케이스(210, 220)를 힌지를 중심으로 펼친 후에 키패드(205)를 조작하여 문자 통신 모드로 시스템을 세팅하게 된다.In any situation, the user unfolds the upper and lower cases 210 and 220 of the text communication device 200 around the hinge and then operates the keypad 205 to set the system to the text communication mode.

이러한 세팅과정의 키버튼 조작은 운영 프로그램의 제작 혹은 편집에 의해 다양해 질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설명은 생략한다.Key button manipulation of the setting process can be varied by the production or editing of the operating program,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사용자가 키패드(205)를 조작하여 문자열을 생성시키는 과정 중 버튼인식부(206)에서는 사용자 요청을 인식하여 이를 기준으로 텍스트 입력사항을 문자생성부(203)측에 전달하게 된다.Dur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a character string by the user operating the keypad 205, the button recognition unit 206 recognizes a user request and transmits text input items to the character generation unit 203 based on the request.

상기 문자 생성부(203)는 상기 버튼인식부(206)를 통해 인식되는 텍스트를 조합형 혹은 완성형의 타입으로 문자열을 생성하여 LCD구동부(204)를 통해 LCD(211)에 디스플레이시키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05)를 조작하여 송출명령을 입력시키면 이를 상기 버튼인식부(206)를 통해 인식하는 제어부(202)는 상기 문자생성부(203)측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문자열을 데이터 변복조부(201)내부의 데이터 변조부측으로 전달시키게 된다.The character generator 203 generates a text string recognized by the button recognition unit 206 in a combined or completed type, and displays the text on the LCD 211 through the LCD driver 204. The control unit 202 which recognizes the transmission command by operating the keypad 205 through the button recognition unit 206 may convert the character string temporarily stored on the character generation unit 203 into the data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201. It is delivered to the internal data modulation section.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201)내부의 데이터 변조부는 입력받은 문자열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예를 들어 PWM 방식에 따라 변조한 후 참조번호 200a로 지칭되는 이어폰 잭의 송신단(Tx)을 통해 무전기(100) 측으로 전달하면 상기 무전기(100)는 해당 데이터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The data modulation unit inside the data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201 modulates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for example, a PWM method, and then, via the transmitter terminal Tx of the earphone jack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200a, the radio 100. The radio 10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signal to the side.

반면에, 주파수를 공유하고 있는 임의의 무전기 단말기에서 상술한 과정에 따른 문자송출이 이루어지는 경우 문자송출에 따른 신호는 무전기(100)에 구비되어 있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어 상기 이어폰 잭(200a)의 수신단(Rx)을 통해 수신되어지는데,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201)내부의 데이터 복조부는 수신되는 데이터 중 PWM 방식에 의해 변조되어진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제어부(202)에 통보하고, 복조하여 출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haracte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performed in any radio terminal sharing the frequency, the signal according to the character transmission i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provided in the radio 100 to receive the receiver jack of the earphone jack (200a) The data demodulation unit in the data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201 is notified to the control unit 202 when the digital data modulated by the PWM method is received among the received data, and demodulated and output. do.

상기 제어부(202)에 서는 이를 인식한 후 문자생성부(203)를 구동시켜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201)내부의 데이터 복조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조합형 혹은 완성형의 타입으로 문자열을 생성하여 LCD구동부(204)를 통해 LCD(211)에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The controller 202 recognizes this and then drives the character generator 203 to generate a character string in a combined or completed type based on a signal output from the data demodulator in the data modulation / demodulator 201. It is displayed on the LCD 211 through the driver 204.

이때, 사용자가 문자에 따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문자로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음성으로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참신시 동작모드를 음성전환 모드로 설정하면,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201)내부의 데이터 복조부를 통해 PWM 방식에 의해 변조되어진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제어부(202)에 통보하며 수신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게 되는데, 상기 제어부(202)는 문자생성부(203)을 구동시키지 않고서 직접 데이터 복조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기준으로 참조번호 207로 지칭되는 음성데이터 테이블에서 대응하는 신호를 억세스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a user inputs a signal according to a text, instead of confirming the text by text, if the user wants to listen to the voice, when the novelty operation mode is set to a voice switching mode, the data demodulation unit inside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201 is performed. When the digital data modulated by the PWM method is received, the controller 202 is notified and the demodulated signal is output by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The controller 202 directly controls the data demodulator without driving the character generator 203. A signal output through the input signal is input and a corresponding signal is accessed from the voice data table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207.

억세스되어진 음성데이터는 제어부(202) 내부의 TTS모듈에 의해 음성신호로 변환되어진 후 음향변환부(208)에 전달되어지고, 상기 음향변환부(208)는 상기 제어부(20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가청범위의 신호로 변환하여 이어폰(310)쪽으로 전달하게 된다. The ac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voice signal by the TTS module inside the control unit 202 and then transferred to the sound conversion unit 208, and the sound conversion unit 208 receiv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02.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udible range and transmitted to the earphone 310.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well known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claims. Anyone who owns it can easily find ou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를 위한 문자 통신 장치를 제공하면, 기존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던 무전기를 교체 없이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이어폰 소켓에 간단히 연결시킴에 따라 음성 통신뿐만 아니라 문자 통신까지 가능하도록 하며 더욱이 문자통신모드에서 수신되는 문자열은 음성으로 변환되어 청취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By providing a text communication device for a rad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simply connecting to the earphone socket while using a conventional radio as it is without replacement to enable not only voice communication but also text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 string received in the text communication mode is converted into a voice to listen to the effect of maximizing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를 위한 문자 통신 장치의 적용 예시도1 i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text communication device for a rad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첨부한 도 1의 요부 확대 사용 예시도Figure 2 is an enlarged example of the main portion of Figure 1 attach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를 위한 문자 통신 장치의 구성 예시도3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xt communication device for a rad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무전기 200 : 문자 통신 장치100: radio 200: character communication device

200a : 이어폰 잭 201 : 데이터 변복조부200a: earphone jack 201: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202 : 제어부 203 : 문자생성부202: control unit 203: character generation unit

204 : LCD구동부 205 : 키패드204: LCD driver 205: keypad

206 : 버튼인식부 207 : 음성 데이터 테이블206: button recognition unit 207: voice data table

208 : 음향 변환부 210 : 상부케이스208: sound conversion unit 210: upper case

211 : LCD 220 : 하부케이스211: LCD 220: lower case

221 : 경보버튼 222 : 통화버튼221: alarm button 222: call button

300 : 헤드 셋 310 : 이어폰300: Headset 310: Earphone

320 : 마이크 320: microphone

Claims (2)

4극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른 이어폰 소켓을 구비하고 있는 무전기에 있어서:For radios with earphone sockets according to the 4-pole interface method: 상기 이어폰 소켓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지는 이어폰 잭의 수신단자와 송신단자를 통해 텍스트 디지털 신호를 변복조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 변복조부와;A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configured to modulate and transmit and receive a text digital signal through a reception terminal and a transmission terminal of an earphone jack which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socke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임의의 특정 기능을 요청하거나 숫자나 영문 혹은 한글자모를 입력시킬 수 있는 키패드와;A keypad for requesting a specific function or inputting numbers, alphabets or Korean alphabets;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 또는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를 통해 수신되는 텍스트 디지털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ext input through the keypad or text digita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음절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음성 데이터 테이블과;An audio data table for storing audio data for syllables as digital data; 입력되는 오디오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폰 잭의 수신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이어폰측으로 전달하는 음향변환부; 및 An audio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input audio digital data into audio analog data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audio digital data to the earphone si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of the earphone jack; And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요청신호를 인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거나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키버튼 신호에 따른 텍스트 신호를 문자열로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생성된 텍스트 문자열에 따른 텍스트 디지털 신호를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를 통해 무전기측으로 송신하되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를 통해 텍스트 디지털 신호의 수신시 해당 텍스트 디지털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음성 데이터 테이블에서 억세스하여 조합한 후 이를 상기 음향변환부에 입력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신호를 음성신호로의 변환기능을 갖는 무전기의 문자 통신 장치. Recognizing the request signal input through the keypad to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or to generate a text signal according to the key button signal input through the keypad as a string to display on the display unit or to display the text digital signal according to the generated text string Control means for transmitting to the radio side through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accessing and combining the audio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digital signal from the voice data table when receiving the text digital signal through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and input it to the sound conversion unit. Text communication device of a radio having a function for converting a text signal to a voice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를 인식하는 버튼인식부와;The control means includes a butt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keypad; 상기 버튼인식부를 통해 인식되는 텍스트 신호 혹은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를 통해 수신되는 텍스트 디지털 신호를 문자열로 생성하는 문자생성부; 및A text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text signal recognized through the button recognition unit or a text digita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ata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as a character string; And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의 동작상태 검출 및 상기 버튼인식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청신호에 따라 시스템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문자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텍스트 문자열에 따른 텍스트 디지털 신호를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를 통해 무전기측으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를 통해 텍스트 디지털 신호의 수신시 해당 텍스트 디지털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음성 데이터 테이블에서 억세스하여 조합한 후 이를 상기 음향변환부에 입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신호를 음성신호로의 변환기능을 갖는 무전기의 문자 통신 장치. The operation of the system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and the user request signal input through the button recognition unit, and the text digital signal according to the text string generated by the character generator is transmitted to the radio side through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And a controller for accessing and combining the audio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digital signal from the voice data table when the text digital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data modulator. A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converting a text signal into a voice signal.
KR1020030074902A 2003-10-25 2003-10-25 Text communication device has text to speech converting function for walkie-talkie KR200500394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902A KR20050039435A (en) 2003-10-25 2003-10-25 Text communication device has text to speech converting function for walkie-talki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902A KR20050039435A (en) 2003-10-25 2003-10-25 Text communication device has text to speech converting function for walkie-talk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435A true KR20050039435A (en) 2005-04-29

Family

ID=3724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902A KR20050039435A (en) 2003-10-25 2003-10-25 Text communication device has text to speech converting function for walkie-talki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943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502B1 (en) * 2007-11-20 2009-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Headset,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in headset
KR100915839B1 (en) * 2009-04-23 2009-09-07 성진씨앤티(주) Multilater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502B1 (en) * 2007-11-20 2009-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Headset,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in headset
KR100915839B1 (en) * 2009-04-23 2009-09-07 성진씨앤티(주) Multilater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8211B2 (en)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mobile telephone 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 telephone
US5930729A (en) Range extension accessory apparatus for cellular mobile telephones
US6173195B1 (en) Wireless mobile telephone adapter for automobiles
JP2000013294A (en) Radio handset
KR20050039435A (en) Text communication device has text to speech converting function for walkie-talkie
KR20050039434A (en) Text communication device for walkie-talkie
JP4812711B2 (en) Apparatus comprising first and second radio repeaters
JP4805241B2 (en) Wireless repeater
KR200295056Y1 (en) Telephone conversation apparatus using a bluetooth
KR20010084261A (en) Auxiliary Dial-Button Apparatus of Cellular Phone
JPH11150762A (en) Hand-free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870000296B1 (en) On-vehicle loudspeaker telephone set
KR19980066556A (en) Linkage device of door phone and cordless phone
KR100397506B1 (en) cellular-phone having an equipment for controlling a remote transmission voice quantit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200225418Y1 (en) Telephone headset
KR200249758Y1 (en) Wireless hand-free device for hand-phone
KR19980019647A (en) Hand-free Integrated Car Stereo
KR200189256Y1 (en) a relay device for a handphone and a car-audio
KR200202242Y1 (en) Radio Transmission and Receiv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Phone
JP2000049927A (en) Hand-free device for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15914A (en) Telephone conversation apparatus and method by bluetooth
KR20040015913A (en) Telephone conversation apparatus and method by bluetooth
KR200228526Y1 (en) Wireless hand-free device for hand-phone
KR200203580Y1 (en) Hand free device for hamd phone
JP2986285B2 (en) Cordless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