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129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cover for auto-conversion of photograph mod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cover for auto-conversion of photograph m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129A
KR20050036129A KR1020030071708A KR20030071708A KR20050036129A KR 20050036129 A KR20050036129 A KR 20050036129A KR 1020030071708 A KR1020030071708 A KR 1020030071708A KR 20030071708 A KR20030071708 A KR 20030071708A KR 20050036129 A KR20050036129 A KR 20050036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camera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7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6129A/en
Publication of KR20050036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129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 커버를 구비시켜 카메라 및 플래시라이트에 먼지가 침투되거나 외부 영향에 의한 흠집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카메라 커버 개방시 촬영 모드로 자동 전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촬영모드 자동 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슬라이딩 작동가능하게 결합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 상기 결합홈 내측의 본체부에 구비되는 카메라모듈; 상기 카메라모듈 상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을 개방 및 폐쇄하는 카메라 커버;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모듈에 접속된 촬상소자 구동부; 및 상기 촬상소자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촬영모드 자동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provided with a camera cover to prevent dust from infiltrating into the camera and the flash light or scratches due to external influences, and to automatically switch to a shooting mode when the camera cover is open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over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shooting mode that can provide the conveni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by the slide module A main body portion possibly coupled; A coupling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 camera module provided in the main body inside the coupling groove; A camera cover slidably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amera module to open and close the camera module; An imaging device driv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camera module; And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over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shooting mode including a processor for driving the imaging device driver.

Description

촬영모드 자동 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cover for auto-conversion of photograph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cover for auto-conversion of photograph mode

본 발명은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 커버를 구비하여 카메라 및 플래시라이트에 먼지가 침투되거나 외부 영향에 의한 흠집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카메라 커버 개방시 촬영 모드로 자동 전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촬영모드 자동 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over,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camera cover to prevent dust from penetrating into the camera and the flash light or to prevent scratches due to external influenc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over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o a shooting mode that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a shooting mode to provide convenience in use.

최근,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람들의 필수품이 되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람들의 기호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has become a necessity of people, and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eing released in various forms to fit the taste of people.

근래에,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 형태로서 바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이 출시되었다.In recent years, a ba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released as a form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와 같은 바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은 이전 무선전화기의 형태와 유사하게 제작되었으며, 배터리 용량에 따라 서서히 휴대가 용이하도록 콤펙트한 사이즈로 개선되었다. The ba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s manufactured similar to the form of the previous wireless telephone, and has been improved to a compact size so as to be easily carried according to the battery capacity.

그러나, 바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키패드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키패드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플립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시되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ba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keypad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keypad is easily damaged. To solve this problem, a flip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disclosed.

상기 플립형 이동통신 단말기은 바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지만, 이러한 플립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또한, 본체의 길이가 매우 길어서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Although the flip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lves the problem of the ba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flip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ha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carry because the length of the main body is very long.

근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길이를 줄이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를 갖도록 제안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었다. Recently, a clamshell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introduced to reduce the l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and to have various types of designs for the user's taste.

그러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또한, 통화나 휴대시 폴더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폴더와 하부폴더를 연결하는 힌지 부분이 쉽게 손상되거나 폴더의 개폐시 상/하폴더간의 접동충격에 의해 외부케이스와 내부 회로기판에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has a structur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folder when making a call or carrying, so that the hing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folder and the lower folder is easily damaged or the external shock caused by the sliding impac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olders.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damage to the case and the internal circuit board.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전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슬라이딩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이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게 본체부와 슬라이딩부로 구분되어, 슬라이딩부가 본체부 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Therefore, recently,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general problems. The conventional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s largely divided into a main body part and a sliding part, and is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liding part can slide on the main body part.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있어서,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카메라는 구비방식에 따라, 촬영시에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탈착형이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고정된 고정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function is introduc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detachable type that can be attached and used only when photographing, and a fixed type fix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러나, 탈착형 카메라의 경우, 촬영시마다 부착시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촬영동작이 어렵고 사용상 번거로우며 분실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형 카메라의 경우 카메라 렌즈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 이물질이 침투되거나 흠집 등의 발생으로 촬영영상을 최상으로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removable camera,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a quick shooting operation, cumbersome in use and lost because it must be attached to use each time shooting.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fixed camera, the camera lens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the best captured image due to the penetration of foreign matter or scratches.

이와 같이 종래에서는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되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휴대가 용이하며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protected from an external influence, being portable and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has not been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 커버를 구비하여 카메라, 플래시라이트에 먼지가 침투하거나 흠집 등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촬영영상을 최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촬영모드 자동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cover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shooting mode to provide a camera cov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to provide the best image by preventing dust or penetration into the camera, flashlight, etc.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이용을 위하여 카메라 커버를 개방할 경우 자동적으로 촬영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촬영모드 자동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over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shooting mode, which can provide convenience of use so that the camera cover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hooting mode when the camera cover is opened to use the camera. There is thi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슬라이딩 작동가능하게 결합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 상기 결합홈 내측의 본체부에 구비되는 카메라모듈; 상기 카메라모듈 상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을 개방 및 폐쇄하는 카메라 커버;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모듈에 접속된 촬상소자 구동부; 및 상기 촬상소자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촬영모드 자동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portion slidably coupled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by the slide module; A coupling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 camera module provided in the main body inside the coupling groove; A camera cover slidably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amera module to open and close the camera module; An imaging device driv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camera module; And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over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shooting mode including a processor for driving the imaging device driver.

또한, 상기 결합홈 일측 본체부에는 상기 카메라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전환되어 상기 프로세서로 신호를 보내는 촬영모드전환스위치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groove one side of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photographing mode switching switch which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amera cover to send a signal to the processor.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카메라 커버가 결합홈에서 개방될 경우, 줌키로서 작동하여 확대 모드와 와이드 모드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상기 촬상소자 구동부와 회로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배열된 네비게이션 버튼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mage pickup device driver circuitry to act as a zoom key to adjust the magnification mode and the wide mode when the camera cover is opened in the coupling groove,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housing. It includes arranged navigation buttons.

이하, 첨부한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영모드 자동 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over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shooting m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면에서, 도1 및 도2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모드 자동 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카메라 모드로 사용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또한,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모드 자동 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촬영 모드로 제어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and 2 are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over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shoot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S. 3 and 4 are respectively. The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used in the camera mod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over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shoot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in a shooting mode.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드 개폐형 이동통신단말기인 본체부(10)로서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제공한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camera function as the main body portion 10 which is a slide open / clo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본체부(10)는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모듈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 가능한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2)으로 구성된다.The main body 10 is composed of an upper housing 11 and a lower housing 12 which are slid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odule by a slide module.

도1을 참조하면, 상부 하우징(11)에는 상단에서 하단방향의 순서로 외부 안테나(13), 통화를 위한 리시버(14), 대화면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15), 복수개의 외부버튼(16), 네비게이션 버튼(17)이 결합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upper housing 11 has an external antenna 13, a receiver 14 for a call, a display unit 15 such as a large screen LCD, and a plurality of external buttons 16 in the order from top to bottom. The navigation button 17 is combined.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서 안테나(13), 리시버(13), 디스플레이부(15), 외부 버튼(16), 네비게이션 버튼(17)들은 상부 하우징(11)이 슬라이드되어 개방될 때 나타나는 키패드(미도시)를 MSM(Mobile Station Modem)과 같은 프로세서에 제어 및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MSM은 일반적인 컴퓨터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PCB 메인보드 상에 실장된 상태로 회로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PCB 메인보드에는 BBA(Baseband Analog Processor), 인터페이스(UI), 메모리, 스테레오 칩셋, 촬상소자 구동부 등이 장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5)는 STN LCD, 6만5천컬러 이상의 고선명 LCD, 유기EL 등이 사용 가능하다.Bas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13, the receiver 13, the display unit 15, the external button 16, and the navigation buttons 17 are keypads (not shown) that appear when the upper housing 11 is opened by sliding. Is controlled and operated by a processor such as Mobile Station Modem (MSM). The MSM acts like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a general computer terminal. The MSM is circuitry mounted on a PCB main board. The PCB main board is equipped with a baseband analog processor (BBA), an interface (UI), a memory, a stereo chipset, and an image pickup device driver. The display unit 15 may be an STN LCD, a high definition LCD of 65,000 colors or more, an organic EL, or the like.

상기 네비게이션 버튼(17)은 그의 테두리부를 네비게이션 버튼으로 사용하고, 촬상소자 구동부와 프로세서인 MSM에 회로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navigation button 17 uses its edge as a navigation button and is connected to the image pickup device driver and the processor MSM.

도2를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12)에는 상단에서 하단방향의 순서로 커메라 커버(20), 배터리(30)가 결합되어 있고, 하부 하우징(12)의 측면 또는 상부 하우징(11)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카메라 샷버튼(34)이 결합되어 있다.2, the lower housing 12 is coupled to the camera cover 20, the battery 30 in the order from the top to the lower direction, the side of the lower housing 12 or the side of the upper housing 11 The camera shot button 34 is coupled to either side of the camera.

상기 배터리(30)는 하부 하우징(12)의 배터리 장착부의 록킹 손잡이(31)에 결착된 것으로서, 소정 표면에 사용자의 중지, 약지, 소지 부위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목적의 우레탄, 고무 등의 재질의 그립(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그립(32)의 하부에는 통상의 배터리 접촉단(33)이 배치되어 있다.The battery 30 is attached to the locking knob 31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12, and made of a material such as urethane or rubber for the purpose of stably fixing the user's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the holding part on a predetermined surface. Grip 32 may be provided. Below the grip 32, a normal battery contact end 33 is arranged.

상기 카메라 커버(20)는 하부 하우징(12) 상단의 결합홈(29)에 슬라이드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The camera cover 20 is slidab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9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using 12.

상기 스피커부(20)의 케이싱 외표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쉽게 개폐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요철부(21)가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있고, 요철부(21)의 밑에 볼록형 거울(22)이 부착되어 있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of the speaker unit 20, a plurality of uneven parts 21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easily opened and closed using a user's finger, and a convex mirror 22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uneven parts 21. It is.

이와 같은 카메라 커버(20)는 도2에서처럼 상부 하우징(11)의 정면에서 볼 때에도 상부 하우징(11)의 상단 레이아웃보다 약간 튀어나온 상태로 존재한다. 카메라 커버(20)는 도3에서처럼 돌출시 상향으로 개방됨으로써 감추고 있던 카메라(40)와 플래시라이트(41)를 외부로 표출시킴과 동시에,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모드 스위치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담당한다. 여기에서, 카메라(40)와 플래시라이트(41)는 PCB 메인보드의 촬상소자 구동부에 회로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Such a camera cover 20 is present in a slightly protruding state than the top layout of the upper housing 11 even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upper housing 11 as shown in FIG. The camera cover 20 simultaneously exposes the camera 40 and the flash light 41, which are concealed by opening upward when projecting, as shown in FIG. 3, and simultaneously serves as a mode switch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Here, the camera 40 and the flash light 41 are connected to the imaging device driver of the PCB main board in a circuit.

상기 스피커부(20)는 결합홈(29)에 폐쇄 또는 안착(close)되어 있을 때, 카메라(40)와 플래시라이트(41)를 외부의 먼지, 흠집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결합홈(29)과 스피커부(20)의 결합 방식으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슬라이드 방식을 설명하고 있으나 힌지 방식도 가능한다.The speaker unit 20 protects the camera 40 and the flash light 41 from external dust and scratches when the speaker 20 is closed or seated in the coupling groove 29.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as a coupling method of the coupling groove 29 and the speaker unit 20, the slide method is described, but a hinge method is also possible.

상기 디스플레이부(15)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쪽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를 통해서 촬영되는 피사체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통상의 카메라와 동일한 포즈로 촬영을 할 수 있게 된다. The display unit 15 is arranged to face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shoot in the same pose as a normal camera while visually checking a subject photograph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

이때, 사용자는 익숙한 방식대로 엄지손가락으로 네비게이션 버튼(17) 중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줌키(zoom key)를 눌러서 확대 모드(tele mode)와 와이드 모드(wide mode)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user can adjust the tele mode and the wide mode by pressing the zoom keys located at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navigation buttons 17 with the thumb in a familiar manner.

또한, 사용자는 요철부(21)를 통해 스피커부(20)를 용이하게 슬라이드 방식으로 돌출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user easily protrudes the speaker unit 20 through the uneven portion 21 in a slide manner.

한편, 상기 카메라 커버(20)는 카메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스위치의 역할을 담당한다. 외형적으로 볼 때, 스피커부(20)가 하부 하우징(12) 상단의 결합홈(29)으로부터 돌출될 때 모드스위치가 온(ON) 상태가 되고, 원래의 자리로 되돌아 갈 때 모드스위치가 오프(OFF)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결합홈(29)의 일측에는 상기 스피커부(2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카메라(40) 및 플래시라이트(41)를 외부로 표출시킬 때, 상기 스피커부(20)와 접촉되어 촬영모드를 인식하여 상기 MSM과 같은 프로세서로 촬영모드신호를 전달하는 촬영모드전환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 촬영모드전환스위치는 상기 카메라 커버(20)의 이동에 의하여 온/오프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amera cover 20 serves as a mode switch to select the camera mode. In external terms, the mode switch is turned on when the speaker unit 20 protrudes from the engaging groove 29 i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housing 12, and the mode switch is turned off when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OFF) state is turned on. In other words, when one side of the coupling groove 29 is moved to the speaker unit 20 upwards to expose the camera 40 and the flash light 41 to the outside, it is in contact with the speaker unit 20 And a photographing mode switch for recognizing a photographing mode and transferring a photographing mode signal to a processor such as the MSM. The photographing mode changeover switch is configured to be turned on / off by the movement of the camera cover 20.

카메라 모드의 전환 동작은 도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카메라 촬영 모드로 제어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Switching operation of the camera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camera photograph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카메라 커버(20)가 결합홈(29)에서 돌출(개방)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0), 돌출되었음을 판단하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MSM과 같은 프로세서는 촬영모드전환스위치가 온 되었음을 인식하여 촬영모드를 수행하고(S11), 촬영모드로 자동 전환된다(S12). 상기 카메라 커버(20)가 돌출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통상적인 이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13).As shown in Figure 5, by the us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mera cover 20 is protruded (opened) from the coupling groove 29 (S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truding processor such as MS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ognizing that the shooting mode switch is turned on to perform the shooting mode (S11), and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shooting mode (S1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mera cover 20 does not protrude, the normal use state is maintained (S13).

상기 프로세서가 카메라 모드를 수행 할 때. 카메라 모드에서 프로세서는 화면을 90°로 회전한 상태로 피사체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네비게이션 버튼 중 줌키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상응하여, 카메라 렌즈를 줌작동시키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화면 확대 및 축소 작동을 수행한다When the processor is in camera mode. In camera mode, the processor displays the subject on the display with the screen rotated by 90 °, and zooms the camera lens in response to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zoom key of the navigation buttons, or enlarges the screen in software. Perform the shrink oper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커버의 이동과 동시에 촬영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카메라 커버를 여는 것만으로 바로 카메라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the camera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hooting mode at the same time as the camera cover is moved, and the camera can be immediately photographed by simply opening the camera cov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카메라 커버를 활용하여 카메라, 플래시라이트의 먼지, 흠집 등을 막을 수 있을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ust, scratches, etc. of the camera, flashlight by using a camera cover.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카메라 커버를 여는 것만으로 바로 카메라 촬영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convenient camera shooting by simply opening the camera cover.

도1 및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모드 자동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배면도.1 and 2 are respectively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over for automatically switching shooting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과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촬영모드 자동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카메라 모드로 사용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Figure 3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over for automatic switching mode shoot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d in the camera mode, respectively.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카메라 촬영 모드로 제어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5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over is controlled in a camera shoot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본체부 11 : 상부 하우징10 main body 11 upper housing

12 : 하부 하우징 13 : 안테나12 lower housing 13 antenna

14 : 리시버 15 : 디스플레이부14 receiver 15 display unit

16 : 외부 버튼 17 : 네비게이션 버튼16: external button 17: navigation button

18 : 제1스피커 20 : 스피커부 18: first speaker 20: speaker

28 : 제2스피커 29 : 결합홈 28: second speaker 29: coupling groove

Claims (3)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슬라이딩 작동가능하게 결합한 본체부;A main body unit slidably coupling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by the slide module;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A coupling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결합홈 내측의 본체부에 구비되는 카메라모듈;A camera module provided in the main body inside the coupling groove; 상기 카메라모듈 상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을 개방 및 폐쇄하는 카메라 커버; A camera cover slidably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amera module to open and close the camera module;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모듈에 접속된 촬상소자 구동부; 및An imaging device driv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camera module; And 상기 촬상소자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프로세서A processor for driving the imaging device driver 를 포함하는 촬영모드 자동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over for automatic switching mode includ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홈 일측 본체부에는 상기 카메라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전환되어 상기 프로세서로 촬영신호를 보내는 촬영모드전환스위치를 더 포함하는The main body of one side of the coupling groove further includes a shooting mode switching switch which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amera cover and sends a shooting signal to the processor. 촬영모드 자동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over for automatic switching of shooting mode.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본체부는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카메라 커버가 결합홈에서 개방될 경우, 줌키로서 작동하여 확대 모드와 와이드 모드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상기 촬상소자 구동부와 회로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배열된 네비게이션 버튼을 포함하는 When the camera cover is opened in the coupling groove, the navigation button is connected to the image pickup device driver and is arranged in the front of the housing so as to operate as a zoom key to adjust the magnification mode and the wide mode. Containing 촬영모드 자동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cover for automatic switching of shooting mode.
KR1020030071708A 2003-10-15 2003-10-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cover for auto-conversion of photograph mode KR200500361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708A KR20050036129A (en) 2003-10-15 2003-10-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cover for auto-conversion of photograph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708A KR20050036129A (en) 2003-10-15 2003-10-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cover for auto-conversion of photograph m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129A true KR20050036129A (en) 2005-04-20

Family

ID=3723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708A KR20050036129A (en) 2003-10-15 2003-10-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cover for auto-conversion of photograph m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6129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065B1 (en) * 2005-12-28 2007-03-12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Slide type mobile terminal
KR100703332B1 (en) * 2005-06-07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hanging operation mode in wireless terminal
KR100751942B1 (en) 2006-01-06 200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Protecting apparatus of camera lens for mobile terminal
KR101117784B1 (en) * 2005-03-09 2012-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Camera protecting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CN107124514A (en) * 2017-05-15 2017-09-01 上海与德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ontrol structure, method and the mobile terminal of the camera of mobile terminal
CN111465235A (en) * 2020-04-15 2020-07-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Electronic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784B1 (en) * 2005-03-09 2012-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Camera protecting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KR100703332B1 (en) * 2005-06-07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hanging operation mode in wireless terminal
KR100693065B1 (en) * 2005-12-28 2007-03-12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Slide type mobile terminal
KR100751942B1 (en) 2006-01-06 200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Protecting apparatus of camera lens for mobile terminal
CN107124514A (en) * 2017-05-15 2017-09-01 上海与德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ontrol structure, method and the mobile terminal of the camera of mobile terminal
CN111465235A (en) * 2020-04-15 2020-07-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7020B2 (en) Foldable cellular telephone
US7599722B2 (en) Mobile camera phone with adjustable focal length
KR100606003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526555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5003612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cover for auto-conversion of photograph mode
KR200174762Y1 (en) Camera lens mounting device of mobile phone
KR100941537B1 (en) Mobile phone
KR100716715B1 (en) A Rotating Bar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s
KR20050094575A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tereo speaker and camera
KR20010026579A (en) Digital camera phone
JP2004173299A (en) Mobile telephone set
JP2004166298A (en) Mobile telephone
KR20050010577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