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4630A -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 Google Patents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4630A
KR20050034630A KR1020047007809A KR20047007809A KR20050034630A KR 20050034630 A KR20050034630 A KR 20050034630A KR 1020047007809 A KR1020047007809 A KR 1020047007809A KR 20047007809 A KR20047007809 A KR 20047007809A KR 20050034630 A KR20050034630 A KR 20050034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ortion
handle
towing
bag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8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미틀먼데이비드디.
나이콜룩코리오.
오쉬아제임스에드워드주니어
Original Assignee
티알쥐 액세서리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알쥐 액세서리스 엘엘씨 filed Critical 티알쥐 액세서리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047007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4630A/en
Publication of KR2005003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63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0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 A45F5/102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with means, e.g. a hook, receiving a carrying element of the hand article to be carried
    • A45F5/1026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with means, e.g. a hook, receiving a carrying element of the hand article to be carried the carrying element being flexible, e.g. plastic ba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45C2013/265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the handle being adjustable in rotation to a tow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0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 A45F5/102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with means, e.g. a hook, receiving a carrying element of the hand article to be carried
    • A45F5/1026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with means, e.g. a hook, receiving a carrying element of the hand article to be carried the carrying element being flexible, e.g. plastic bag handle
    • A45F2005/104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with means, e.g. a hook, receiving a carrying element of the hand article to be carried the carrying element being flexible, e.g. plastic bag handle and supported near the lateral ends of the grip surface of the carrying handl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A towing member for a piece of towable baggage (22) is provide with towing handle (26) that is pivotal in two dimensions relative to an arm portion (24) of the towing member (20) and can be locked in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ositions. The pivotal relation of the towing handle and the arm potion enables the towing handle to be rotated into a position where a person can grasp the towing handle in a comfortable position by his or her side when the piece of baggage is being towed and also improves the maneuverability of a towable piece of baggage by reducing the need for a person to twist his or her wrist when steering the piece of baggage. The invention also allows the towing handle of retractable towing members to lies flush with the baggage and will not become snagged on other items.

Description

견인식 가방용 피벗 핸들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Pivot Handle for Towed Bag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Cross Reference of Related Application

본 특허출원은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10/238,390호,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10/072,042호 및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09/705,171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이들 참고 문헌 모두의 개시 내용 전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병합되어 있다.This patent application claims priority to US Patent Application No. 10 / 238,390, US Patent Application No. 10 / 072,042, and US Patent Application No. 09 / 705,171. The entire disclosure of all of these references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기술 분야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손으로 견인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견인용 부재의 암(arm)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며 복수의 위치에서 로킹(locking)될 수 있는 견인용 핸들을 구비한 견인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견인용 핸들과 견인용 부재의 암 부분 사이의 피벗식 결합은, 표면을 따라서 가방을 견인할 때 다른 경우보다 더 편안한 위치에서 사람이 견인용 핸들을 파지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luggage that can be towed by han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ing member having a towing handle that is pivotally attached to an arm portion of the towing member and can be locked in a plurality of positions. The pivotal engagement between the towing handle and the arm portion of the towing member allows a person to grip the towing handle in a more comfortable position than otherwise when towing the bag along the surface.

다양한 종류의 가방에는 여행할 때 사람이 가방을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휠(바퀴)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형적으로, 견인식 가방에는 견인용 핸들을 가방에 연결해주는 암 부분을 갖는 견인용 부재가 또한 구비된다. 견인용 핸들을 가방에 연결해주는 암 부분의 길이는 가방을 견인할 때 가방이 사람의 다리 및 발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Various types of bags are typically equipped with one or more wheels (wheels) that allow a person to tow the bag when traveling. Typically, the towed bag is also provided with a towing member having an arm portion connecting the towing handle to the bag. The length of the arm that connects the tow handle to the bag prevents the bag from touching the human leg and foot when towing the bag.

휠이나 또는 견인용 부재가 영구적으로 구비되지 않은 가방도 휴대용 견인 카트를 이용하여 견인될 수 있다. 전형적인 카트는 가방을 견인할 수 있게 하는 휠과 견인용 부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가방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Bags that are not permanently provided with wheels or towing members can also be towed using a portable towing cart. A typical cart may be removably attached to a bag to provide a wheel and a towing member to tow the bag.

견인용 부재가 가방의 일체형 부분이던지 또는 견인용 카트의 일부분이던지 간에 상관없이, 대다수의 견인용 부재는 견인용 핸들이 견인되는 가방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연장되고 또한 가방 쪽으로 후퇴될 수 있게 한다. 견인용 부재를 연장시키고 또한 후퇴시킬 수 있는 기능은 가방이 견인되지 않을 때 견인용 부재가 튀어나오지 않도록 한다. 또, 견인용 부재가 후퇴 위치에 있으면, 여행 중에 가방을 보다 수월하게 자동차의 트렁크 내에 또는 항공기의 오버헤드 컴파트먼트 내에 집어넣을 수 있다.Regardless of whether the towing member is an integral part of the bag or part of the towing cart, the majority of the towing member allows the towing handle to selectively extend and retract toward the bag. The ability to extend and retract the towing member ensures that the towing member does not protrude when the bag is not towed. In addition, when the towing member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the bag can be more easily put in the trunk of the vehicle or in the overhead compartment of the aircraft during the travel.

견인식 가방의 휠과 견인용 부재가 가방에 영구적으로 고정된 경우에는, 견인용 핸들에 의해서 연결되며, 가방의 내부 컴파트먼트에 견고하게 부착된 별개의 수직으로 향하는 관형 리셉터클 안으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평행한 망원경식 폴(telescoping pole)로 이루어진 연장 가능한 견인용 부재가 휠 달린 가방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방의 휠들 사이에 중앙에 위치된 단일의 관형 리셉터클로부터 연장되고 수축되는 단일 폴의 망원경식 견인용 부재를 이용하는 것도 또한 알려져 있다. 어느 경우이든지 간에, 영구적으로 고정된 견인용 부재를 갖는 가방은 전형적으로, 견인용 부재가 후퇴되었을 때 견인용 핸들이 가방의 외부 표면과 동일 평면상에 있도록 견인용 핸들을 위한 리셉터클을 구비한다. 이는 가방이 견인되지 않을 때, 견인용 핸들이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견인용 핸들이 다른 물건에 걸리게 될 가능성을 줄이는 한편, 가방의 미적인 외관을 개선시켜준다.If the wheels and towing members of the towed bag are permanently fixed to the bag, they are connected by a towing handle and slide into a separate vertically facing tubular receptacle firmly attached to the bag's internal compartment. It is common for wheeled bags to be provided with extendable towing members consisting of parallel telescoping poles. It is also known to use a single pole telescopic traction member that extends and contracts from a single tubular receptacle located centrally between the wheels of the bag. In either case, a bag having a permanently fixed towing member typically has a receptacle for the towing handle such that when the towing member is retracted, the towing handle is coplanar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This prevents the tow handle from popping out when the bag is not towed and reduces the likelihood of the tow handle being caught by another object, while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bag.

아마 견인용 카트보다 더 일반적으로, 다른 유형의 가방은 가방에 대해서 선회하도록 힌지 고정된 바(bar) 또는 폴과 같은 망원경식이 아닌 연장 가능한 견인용 부재를 이용한다. 전형적으로, 이와 같이 힌지 고정된 견인용 부재는 가방을 견인하지 않을 때에는 가방의 일측면에 대해서 견인용 부재를 유지시키며 원할 때에는 견인용 부재를 해제시켜서 견인용 부재가 위쪽으로 선회하여 연장된 위치가 되도록 하는 소정 형태의 걸쇠(clasp)를 구비한다.Perhaps more generally than towing carts, other types of bags use non-telescopic extendable towing members, such as bars or poles, hinged to pivot against the bag. Typically, the hinged towing member thus retains the towing member relative to one side of the bag when not towing the bag and releases the towing member if desired so that the towing member pivots upward to extend the position. It is provided with clasps of the desired shape.

견인용 부재의 종류에 상관없이, 연장 가능한 견인용 부재에는 보통 이 견인용 부재를 연장된 위치에서 로킹시키는 메커니즘이 구비된다. 이러한 로킹 메커니즘은 당해 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스프링 탑재식 디텐트, 캠 록(cam lock), 및 다른 끼워맞춤 록(interference lock)과 같은 장치들을 포함한다. 어떤 로킹 메커니즘은 해제 메커니즘을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로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많은 스프링 탑재식 디텐트 메커니즘과 같은 다른 로킹 메커니즘은 디텐트를 후퇴시킬 수 있는 충분한 힘을 견인용 핸들에 가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해제된다. 또, 어떤 견인용 부재는 이 견인용 부재를 그 후퇴된 위치에서 로킹시킬 수 있는 로킹 메커니즘을 구비한다.Regardless of the type of towing member, the extendable towing member is usually provided with a mechanism for locking the towing member in an extended position. Such locking mechanism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include devices such as spring loaded detents, cam locks, and other interference locks. Some locking mechanisms can be unlocked by manually operating the release mechanism. Other locking mechanisms, such as many spring loaded detent mechanisms, are automatically released simply by applying sufficient force to the towing handle to retract the detent. In addition, some towing members have a locking mechanism capable of locking the towing member in its retracted position.

여행할 때 가방을 들고 다니는 대신에 가방을 견인할 수 있다는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가방을 견인하는 것은 거추장스러우며 불편할 수 있다. 가방을 견인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대부분의 견인용 부재의 견인용 핸들의 위치 설정 및 그 형상에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중 폴(dual-pole) 형태의 견인용 부재의 견인용 핸들의 경우에는 그 폴들 사이를 잇는 브리지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이러한 견인용 핸들은 가방이 견인되는 표면에 대체로 수평으로 배향되며, 가방이 견인되는 경로에 수직으로 뻗어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사람이 대체로 자신의 손목을 어느 한 방향으로 거의 그 회전 한계까지 비튼 상태로 자신의 등 뒤에서 견인용 핸들을 파지해야 한다. 이런 가방을 먼 거리 견인해야 할 때, 이러한 자세는 불편해질 수 있고, 그 사람은 종종 피곤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1회 이상 손을 바꾸는 것이 필요함을 알게 된다.Despite the convenience of towing a bag instead of carrying it when traveling, towing a bag can be cumbersome and inconvenient. One reason why towing a bag can be inconvenient is in the positioning and shape of the towing handle of most towing members. As mentioned above, in the case of a tow handle of a tow member in the form of a dual pole, it is common to have a bridge between the poles. Thus, this towing handle is oriented generally horizontally to the surface from which the bag is towed and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path from which the bag is towed. In such a configuration, a person generally has to grip the towing handle behind his back with his wrist twisted almost in one direction to its limit of rotation. When you need to tow these bags over long distances, these postures can be uncomfortable, and the person often finds it necessary to change his hands more than once to avoid getting tired.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견인용 핸들의 구성과 관련된 불편함에 관계없이, 이러한 장치의 다른 측면의 효용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견인용 핸들을 다른 배향(orientation)으로 하는 것은 종종 가능하지 않다. 예를 들면, 보다 편안하게 되도록 연장 가능한 견인용 부재의 핸들을 형성하게 되면, 견인용 부재가 후퇴되었을 때 핸들이 가방으로부터 튀어나오게 되거나, 또는 핸들을 위한 더 큰 리셉터클이 필요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된 견인용 핸들의 구성과 관련된 또 다른 단점은, 견인용 핸들을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파지력으로 인해서, 견인하는 사람이 자신의 손목을 더 이상 비틀 수 없기 때문에 견인되는 가방의 조작성은 제한되게 된다.Regardless of the inconvenience associate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towing handle as described above, it is often not possible to make the towing handle in a different orientation without compromising the utility of the other side of the device. For example, by forming a handle of the towable member that is extendable to be more comfortable, the handle may protrude from the bag when the tow member is retracted, or a larger receptacle for the handle is needed. Another disadvantage associate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towing handle described above is that, due to the gripping force required to hold the towing handle, the operability of the towed bag is limited because the towing person can no longer twist his wrist.

도 1은, 암 부분이 연장된 위치에 있고, 암 부분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대체로 수직 평면내에 견인용 핸들의 핸드 그립이 놓이도록 견인용 핸들이 암 부분에 대해서 회전된 상태에 있는, 휠이 달린 백팩(backpack)에 고정된 제1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의 사시도.1 shows the wheeled, with the arm portion in an extended position, with the tow handle rotated relative to the arm portion such that the hand grip of the tow handle lies in a generally vertical plane that includes the central axis of the arm portion. Perspective view of the tow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fixed to a backpack.

도 2는, 암 부분이 후퇴된 위치에 있고, 견인용 핸들의 핸드 그립이 수평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견인용 핸들이 암 부분에 대해서 회전된 상태에 있는, 휠이 달린 백팩에 고정된 제1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의 사시도.FIG. 2 shows a first embodiment secured to a backpack with wheels in which the arm portion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and the tow handle is rotated relative to the arm portion such that the hand grip of the tow handle is orie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erspective view of the towing member.

도 3은 제1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의 견인용 핸들의 평면도.Fig. 3 is a plan view of the towing handle of the tow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1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의 견인용 핸들 및 피벗 메커니즘의 측면도.4 is a side view of the pull handle and the pivot mechanism of the pull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제1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의 견인용 핸들 및 피벗 메커니즘의 저면도.5 is a bottom view of the pull handle and the pivot mechanism of the pull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견인용 핸들과 암 부분과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제1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의 부분 횡단면도.Fig. 6 is a partial cross sectional view of the tow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towing handle and the arm portion;

도 7은 제2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the towing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8은 암 부분에 대해서 견인용 핸들이 제1 배향 상태일 때의 견인용 핸들과 암 부분의 말단 단부를 나타내는, 제2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의 부분 정면도.Fig. 8 is a partial front view of the towing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ing the towing handle and the distal end of the arm portion when the towing handle is in the first orientation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도 9는 도 7의 라인 9-9에 대해서 취해진 제2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의 횡단면도.9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towing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taken with respect to line 9-9 of FIG.

도 10은 암 부분에 대해서 견인용 핸들이 제1 배향 상태일 때의 견인용 핸들과 암 부분의 말단 단부를 나타내는, 제2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의 부분 측면도.Fig. 10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towing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ing the towing handle and the distal end of the arm portion when the towing handle is in the first orientation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도 11은 암 부분에 대해서 견인용 핸들이 제2 배향 상태일 때의 견인용 핸들과 암 부분의 말단 단부를 나타내는, 제2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의 부분 측면도.Fig. 11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towing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ing the towing handle and the distal end of the arm portion when the towing handle is in the second orientation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도 12는 견인용 부재의 제3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과 커넥터의 분해도.Fig. 12 is an exploded view of the towing handle and the connector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towing member.

도 13은 커넥터에 대한 제1 위치에서 핸들이 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3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과 커넥터의 사시도.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ll handle and the connector of the third embodiment, showing the locked state of the handle in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도 14는 커넥터에 대한 제1 위치에서 핸들이 로킹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3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과 커넥터의 사시도.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ll handle and the connector of the third embodiment, showing the unlocked state in the first position relative to the connector;

도 15는 커넥터에 대한 제1의 로킹 가능한 위치와 제2의 로킹 가능한 위치 사이에서 핸들이 로킹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3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과 커넥터의 사시도.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wing handle and the connector of the third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unlocked between a first lockable position and a second lockabl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도 16은 커넥터에 대한 제2 위치에서 핸들이 로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3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과 커넥터의 사시도.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wing handle and the connector of the third embodiment, showing the locked state of the handle in the second position relative to the connector;

도 17a는 핸들이 제1의 로킹된 위치에 있는, 제4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과 커넥터의 사시도.1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wing handle and connector of the fourth embodiment, with the handle in a first locked position;

도 17b는 도 17a의 위치에 대해서 단일 피벗 축만이 사용된 제2의 로킹된 위치에 있는 제4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과 커넥터의 사시도.FIG. 17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wing handle and connector of the fourth embodiment in a second locked position where only a single pivot axis is used relative to the position of FIG. 17A;

도 17c는 도 17a의 위치에 대해서 두 피벗 축 모두가 사용된 제3의 로킹된 위치에 핸들이 있는, 제4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과 커넥터의 사시도.FIG. 17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wing handle and connector of the fourth embodiment, with the handle in a third locked position where both pivot axes are used relative to the position in FIG. 17A; FIG.

도 18은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제4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과 커넥터의 사시도.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wing handle and connector of a fourth embodiment showing the whole structure;

도 19는 핸들 영역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 18의 실시예의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18 detailing the handle region.

도 20은 핸들 그립의 2방향(2축) 로킹 메커니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 19의 실시에의 절취도.FIG. 20 is a cutaway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19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idirectional (biaxial) locking mechanism of the handle grip; FIG.

도 21a는 로킹된 위치에 있는 2축 로킹 메커니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20과 동일한 부분을 약간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상세 절취도.FIG. 21A is a detailed cutaway view of the same portion of FIG. 20 from a slightly different angle,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iaxial locking mechanism in the locked position; FIG.

도 21b는 로킹 메커니즘이 로킹이 해제된 위치에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1a와 동일한 도면.FIG. 21B is the same as FIG. 21A except that the locking mechanism is in the unlocked position; FIG.

도 22는 패들(paddle) 구조의 상세도.Figure 22 is a detailed view of the paddle structure.

도 23은 추가적인 내부 구조가 보이도록 단부 캡 중 하나를 제거한 상태로 도 21a와 동일 부분을 나타내는 절취도.FIG. 23 is a cutaway view of the same portion of FIG. 21A with one of the end caps removed to show additional internal structure. FIG.

도 24는 제1의 관형 섹션(tubular section)의 근접 단부에서 분해 구조를 보여주는, 도 18의 분해 부분의 상세도.FIG. 24 is a detailed view of the disassembled portion of FIG. 18 showing the disassembled structure at the proximal end of the first tubular section. FIG.

도 25는 도 24의 도면을 반대 각도로 보여주는 도면.25 shows the view of FIG. 24 at an opposite angle;

본 발명의 견인용 부재는 견인식 가방과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견인용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상기 견인용 부재의 암 부분에 연결되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소정 위치에서 로킹될 수 있는 견인용 핸들이 구비된다.The tow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used with a towed bag.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towing member is connected to an arm portion of the towing member so as to be pivotable about at least one axis, and in some embodiments is provided with a towing handle that can be lock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견인용 핸들과 견인용 부재의 암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으로 인해 사용자는 가방을 견인할 때 편안한 위치에서 견인용 핸들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견인용 핸들과 견인용 부재의 암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은, 가방의 방향을 바꿀 때 사용자가 견인용 핸들을 붙잡은 상태를 조정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써 견인되는 가방의 조작성을 높여줄 수 있다. 또, 견인용 핸들과 암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은, 견인용 핸들이 튀어나오지 않으면서 가방의 사용과 관련된 다른 간섭을 유발하지 않도록 암 부분이 후퇴될 때 견인용 핸들이 재위치 설정될 수 있게 한다.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towing handle and the arm portion of the towing member allows the user to grip the towing handle in a comfortable position when towing the bag. Further,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towing handle and the arm portion of the towing member can enhance the operability of the towed bag by not having to adjust the state in which the user grasps the towing handle when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bag. In addition,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towing handle and the arm portion allows the towing handle to be repositioned when the arm portion is retracted so that the towing handle does not protrude and cause no other interference associated with the use of the bag. .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견인용 부재는 암 부분과 견인용 핸들을 포함한다. 암 부분은 견인용 핸들을 가방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견인용 핸들은 암 부분에 대해서 선회될 수 있도록 암 부분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암 부분은 견인용 핸들이 선택적으로 가방으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가방 쪽으로 후퇴될 수 있게 하는 곡선의 단일 폴 형태의 망원경식 부재를 이용한다. 제1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은 T 형상이며, 피벗 메커니즘은 암 부분의 길이에 의해서 규정되는 암 부분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견인용 핸들이 선회될 수 있게 한다.Generally, the tow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rm portion and a towing handle. The arm portion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towing handle to the bag, and the towing handle is connected to the arm portion so that it can pivot about the arm portion. In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m portion utilizes a curved single pole shaped telescopic member that allows the towing handle to selectively extend from the bag and also be retracted towards the bag. The towing handle of the first embodiment is T-shaped, and the pivot mechanism allows the towing handle to pivot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arm portion defined by the length of the arm portion.

견인용 핸들을 암 부분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은 가방을 견인하게 위해서 견인용 부재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해서 그 크로스바 또는 핸드 그립부(grip portion)가 후측 상방으로 뻗도록 선회될 수 있다. 그래서, 핸들이 수평 방향으로 좌우로 배향되는 견인용 부재와 달리, 제1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은 사용자가 측면에서 그 손으로 붙잡고 손바닥이 허리를 향하는 상태로 파지할 수 있다. 그래서, 제1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은 서류 가방을 들고 가는 것과 유사하게 자연스러우면서 편안한 방법으로 파지될 수 있다. 핸드 그립의 후측 상방으로의 경사는 사용자가 그 손목을 운동 범위내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부가적인 편안함을 제공한다. 또, 견인용 핸들과 암 부분 사이의 선회식 상대 운동은 가방을 이동할 때 사용자가 자신의 손목을 비틀어야 할 필요를 줄여준다.By allowing the tow handle to pivot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arm portion, the tow handle of the first embodiment has its crossbar or hand grip portion rearward to the user who uses the tow member to tow the bag. It may be pivoted to extend upwards. Thus, unlike the traction member in which the handle is oriented left and r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raction handl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gripped by the user holding the hand on the side with the palm facing the waist. Thus, the towing handl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gripped in a natural and comfortable manner similar to carrying a briefcase. The inclination upwards of the rear hand grip provides additional comfort by allowing the user to center his wrist within the range of motion. In addition, the pivotal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traction handle and the arm reduces the need for the user to twist his wrist when moving the bag.

제1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는 가방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도록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견인용 핸들을 후퇴시키고 싶을 때 견인용 핸들을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할 때, 견인용 핸들은 핸드 그립이 수평방향으로 좌우로 배향되도록 선회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가방의 외부 표면에 바로 인접하게 견인용 부재를 바람직하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tow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adapted to be permanently secured to the bag and preferably includes a receptacle for receiving the towing handle therein when it is desired to retract the towing handle. In doing so, the towing handle may be pivoted such that the hand grip is orie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side to side, which is generally preferred because the towing member may preferably be placed directly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암 부분은 대향의 근접 단부와 말단 단부를 갖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암 부분의 근접 단부는 가방에 동작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2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은 암 부분에 대해서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견인용 핸들이 선회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암 부분의 말단 단부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견인용 부재의 제2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이 암 부분에 대해서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기 때문에, 견인용 부재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모든 이점들을 제공하는 한편, 또한 그에 대한 개선을 이루게 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m portion has a predetermined length having opposite proximal and distal ends, and the proximal end of the arm portion is operably fixed to the bag. The towing handle of the second embodiment is operably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rm portion to allow the towing handle to pivot about at least two pivot axes relative to the arm portion. Since the towing hand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owing member can pivot about at least two pivot axes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owing member is as discuss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first embodiment. While providing all the advantages, there are also improvements to it.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견인용 부재는 견인용 핸들과, 상기 견인용 핸들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암 부분과, 피벗 메커니즘, 및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암 부분은 견인용 핸들을 가방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적용된다. 견인용 핸들이 암 부분을 통해서 가방에 고정될 때 가방으로부터 이격되며 외부에 있는 암 부분의 일부에 대해서 피벗 축을 중심으로 견인용 핸들이 선회될 수 있도록 피벗 메커니즘은 견인용 핸들을 암 부분에 연결한다. 로킹 메커니즘은 견인용 핸들과 암 부분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또한 로킹된 위치와 로킹이 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암 부분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로킹 메커니즘은 그 로킹된 위치에 있을 때 암 부분의 일부에 대해서 피벗 축을 중심으로 한 견인용 핸들의 선회를 제한하지만, 로킹이 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는 피벗 축을 중심으로 한 견인용 핸들의 선회를 제한하지 않는다.In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wing member includes a towing handle, an arm portion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towing handle, a pivot mechanism, and a locking mechanism. The arm portion is constructed and applied to secure the towing handle to the bag. The pivot mechanism connects the tow handle to the arm so that when the tow handle is secured to the bag through the arm part, it is spaced from the bag and the tow handle can pivot about the pivot axis with respect to a portion of the outer arm part. . The locking mechanism is operably connected to the towing handle and the arm portion, and can also be selectively moved relative to the arm portion between the locked position and the unlocked position. The locking mechanism restricts the pivoting of the tow handle about the pivot axis when in the locked position, but restricts the pivoting of the tow handle around the pivot axis when in the unlocked position. I never do that.

제4 실시예에서, 암 부분은 대향의 근접 단부와 말단 단부를 갖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암 부분의 근접 단부는 가방에 동작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4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은 암 부분에 대해서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견인용 핸들이 선회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암 부분의 말단 단부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로킹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로킹 메커니즘은 견인용 핸들과 암 부분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로킹 메커니즘은 또한 로킹된 위치와 로킹이 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암 부분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로킹되었을 때, 로킹 메커니즘은 2축 내에서의 운동을 방지한다. 로킹이 해제되었을 때, 로킹 메커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축 내에서의 운동을 해제하며, 바람직하게는 2축 모두 내에서의 운동을 해제한다. 로킹 메커니즘은 서로의 내부로 다시 망원경식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암 부분의 요소를 또한 해제시킬 수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the arm portion has a predetermined length having opposite proximal and distal ends, and the proximal end of the arm portion is operably fixed to the bag. The towing handle of the fourth embodiment is operably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rm portion to enable the towing handle to pivot about at least two pivot axes relative to the arm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locking mechanism. The locking mechanism is operably connected to the towing handle and the arm portion. The locking mechanism can also be selectively moved relative to the arm portion between the locked position and the unlocked position. When locked, the locking mechanism prevents movement within two axes. When locking is released, the locking mechanism releases movement in at least one axis, preferably releases movement in both axes. The locking mechanism can also release the elements of the arm part so that they can telescope back into each other.

본 발명의 원리적인 이점과 특징을 위에서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완전하면서 철저한 이해 및 인식이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the principal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a more complete and thorough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by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기재된 명세서에서 참조 문자들은 몇몇 도면에 걸쳐서 상응하는 부분을 지칭한다.Reference characters in the written specification refer to corresponding par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본 발명의 견인용 부재의 제1 실시예는 특히 가방과 일체형 부분을 이루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20)는 휠 달린 백팩(22)에 부착되며, 암 부분(24)과, 견인용 핸들(26) 및 피벗 메커니즘(28)으로 구성된다. 휠 달린 백팩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견인용 부재는 이러한 용도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른 유형의 휠 달린 가방, 임의의 유형의 휠 달린 백, 및/또는 가방 운반용의 휠 카트(wheeled cart)에도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tra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adapted to form an integral part with a bag.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owing member 20 of the first embodiment is attached to a wheeled backpack 22, an arm portion 24, a towing handle 26 and a pivot mechanism 28. It consists of Although shown as attached to a wheeled backpack, the towing member is not limited to this use and may also be used for other types of wheeled bags, any type of wheeled bags, and / or wheeled carts for carrying bags. Can b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암 부분(24)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 있는 복수의 관형 섹션(30, 32, 34)으로 형성된 곡선의, 후퇴 가능한 단일 폴 형태의 망원경식 부재이다. 관형 섹션(30, 32, 34) 각각은 타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망원경 방식으로 하나의 부재가 다른 부재의 내부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된다. 마모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관형 섹션(30, 32, 34)은 바람직하게는 강철, 알루미늄,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가장 넓은 횡단면을 갖는 관형 섹션(34)은 백팩(22)의 내부에 고정되며, 나머지 관형 섹션(30, 32)은 이 관형 섹션(34)으로부터 암 부분(24)의 길이를 따라서 중심축 A-A를 규정하는 아치형 경로를 따라서 망원경식 운동을 한다. 로킹 메커니즘(도시되지 않음)은 바람직하게는, 암 부분이 완전히 연장된 상태가 되면, 암 부분을 그 연장된 위치에서 자동으로 로킹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로킹 메커니즘은 당해 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특정 유형의 로킹 메커니즘이 본 견인용 부재의 동작에 관련된 것은 아니다. 백팩(22)에 고정되는 관형 부재(34)의 반대편에서, 가장 작은 횡단면을 갖는 말단 관형 섹션(30)은 견인용 핸들(26)을 지지하도록 자유롭게 남아있는 단부(38)를 갖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견인용 핸들(26)을 암 부분(24)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자유단(38) 근처에는 한 쌍의 구멍(39)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arm portion 24 of the first embodiment is a curved, retractable, single-pole telescopic member formed of a plurality of tubular sections 30, 32, 34 that are slidably engaged. Each of the tubular sections 30, 32, 34 has an elliptical cross section and is configured to slide one member into the inside of the other member in a telescopic manner. In order to reduce wear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sufficient strength, the tubular sections 30, 32, 34 are preferably made of steel, aluminum, or other suitable material. The tubular section 34 having the widest cross section is fixed inside the backpack 22, and the remaining tubular sections 30, 32 have a central axis AA along the length of the arm portion 24 from this tubular section 34. Telescopic movement follows a defined arch path. The locking mechanism (not shown) is preferably configured to automatically lock the arm portion in its extended position when the arm portion is fully extended. Such locking mechanism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certain types of locking mechanisms are not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towing membe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ubular member 34 fixed to the backpack 22, the end tubular section 30 with the smallest cross section has an end 38 freely remaining to support the towing handle 26. As described later, a pair of holes 39 are provided near the free end 38 in order to fix the traction handle 26 to the arm portion 24.

견인용 핸들(26)은 바람직하게는 T형상이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재료로 형성된다. T형상의 견인용 핸들(26)은, 바람직하게는 스템의 중심축 B-B를 따라서 크로스바 또는 핸드 그립(42)으로부터 수직하게 뻗어있는 스템(40)으로 구성된다. 견인용 핸들(26)의 스템(40)은 중심축에 수직인 편평한 원형의 접촉 표면(44)으로 끝난다. 원통형의 관통 구멍(46)이 중심축을 따라서 스템(40)과 핸드 그립(42)을 관통한다. 관통 구멍(46)의 상단에서 바람직하게는 견인용 핸들(26)에 카운터 보어(52)가 형성된다. 견인용 핸들(26)의 접촉 표면(44), 관통 구멍(46) 및 카운터 보어(5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벗 메커니즘 부분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암 부분(24)에 사용되는 로킹 메커니즘을 로킹 해제시키기 위한 릴리이스 메커니즘(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해서, 견인용 핸들(26)의 상단에는 바람직하게는 오목한 공동(recessed cavity)(48)과 한 쌍의 막힌 구멍(50)이 형성된다. 견인용 핸들의 제1 실시예는 T 형상이지만, 다른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템은 접촉 표면(44)이 핸드 그립에 대해서 중앙에 위치하도록 핸드 그립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면서 곡선을 이룰 수 있거나, 또는 2개의 스템이 핸드 그립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됨과 동시에 베어링 표면에서 합류되도록 곡선을 이룰 수 있다.The pull handle 26 is preferably T-shaped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The T-shaped pull handle 26 preferably consists of a stem 40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rossbar or hand grip 42 along the center axis B-B of the stem. The stem 40 of the pull handle 26 ends with a flat circular contact surface 44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A cylindrical through hole 46 penetrates the stem 40 and the hand grip 42 along the central axis. At the top of the through hole 46, a counter bore 52 is preferably formed in the handle 26 for towing. The contact surface 44, the through hole 46 and the counter bore 52 of the pull handle 26 form a pivot mechanism portion, as described below. Finally, in order to accommodate a release mechanism (not shown) for unlocking the locking mechanism used for the arm portion 24, an upper end of the towing handle 26 is preferably recessed cavity ( 48 and a pair of blind holes 50 are formed.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owing handle is a T shape, but other shapes may also be used. For example, the stem can be curved whil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hand grip such that the contact surface 44 is centered relative to the hand grip, or the two stems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hand grip and at the bearing surface simultaneously. Curves can be made to join.

견인용 핸들(26)의 접촉 표면(44)과, 관통 구멍(46), 및 카운터 보어 외에, 피벗 메커니즘(28)은 바람직하게는 커넥터(54)와, 저널-핀 또는 피벗 핀(56), 및 너트(58)를 포함한다. 견인용 핸들(26)과 마찬가지로, 커넥터(54)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일단부에는 상부의 편평한 접촉 표면(60)과 그 반대편 단부에는 베이스(62)를 구비한다. 커넥터(54)의 접촉 표면(60)은 바람직하게는 견인용 핸들(26)의 접촉 표면(44)의 면적과 면적이 동일하다. 커넥터(54)는 또한, 접촉 표면(60)으로부터 수직으로 커넥터(54)를 관통하며 견인용 핸들(26)의 관통 구멍(46)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중앙 보어(64)를 구비한다. 커넥터(54)의 베이스(62)는 가장 작은 관형 섹션(30)의 자유단(38)의 횡단면과 유사한 횡단면을 가지며, 환형의 림(66)으로 끝이 난다. 한 쌍의 평행한 편평부(68)가 중앙 보어(64)에 평행하게 베이스(62)의 대향 측면 상에 형성되며, 한 쌍의 동축상의 막힌 구멍(70)이 편평부(68)에 수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o the contact surface 44 of the towing handle 26, the through hole 46, and the counter bore, the pivot mechanism 28 preferably includes a connector 54, a journal-pin or pivot pin 56, And a nut 58. Like the pull handle 26, the connector 54 is preferably forme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preferably has an upper flat contact surface 60 at one end and a base 62 at the opposite end. The contact surface 60 of the connector 54 preferably has the same area as th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44 of the pull handle 26. The connector 54 also has a central bore 64 that penetrates the connector 54 perpendicularly from the contact surface 60 and has a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46 of the towing handle 26. The base 62 of the connector 54 has a cross section similar to the cross section of the free end 38 of the smallest tubular section 30 and ends with an annular rim 66. A pair of parallel flats 68 is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base 62 parallel to the central bore 64, and a pair of coaxial blind holes 70 are perpendicular to the flats 68. Is formed.

피벗 메커니즘(28)의 저널-핀(56)은 바람직하게는 강철이나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며, 견인용 핸들(26)의 관통 구멍(46) 및 커넥터(54)의 중앙 보어(64)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원통형의 외경을 갖는다. 저널-핀(56)은 바람직하게는 그 축방향의 대향 단부 중 하나에는 헤드(72)를, 또 그 축방향의 대향 단부 중 다른 하나에는 나사부(74)를 구비한다. 나사부(74)는 피벗 메커니즘(28)의 너트(5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또 저널-핀(56)은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의 관통 구멍 또는 중앙 보어(76)를 갖는다.The journal-pin 56 of the pivot mechanism 28 is preferably formed of steel or aluminum and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through bore 46 of the pull handle 26 and the diameter of the central bore 64 of the connector 54. It has the same cylindrical outer diameter. The journal-pin 56 preferably has a head 72 at one of its axially opposite ends and a threaded portion 74 at the other of its axially opposite ends. The threaded portion 74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nut 58 of the pivot mechanism 28. The journal-pin 56 preferably also has an axial through hole or central bore 76.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20)는 견인용 핸들(26)의 관통 구멍(46)과 커넥터(54)의 중앙 보어(64)를 관통하여 저널-핀(56)을 통과시켜서 저널-핀의 헤드(72)가 견인용 핸들(26)의 카운터 보어(52) 내에 들어가고 너트(58)가 저널-핀의 나사부(74) 상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조립된다. 그래서, 저널-핀(56)은 견인용 핸들(26)의 접촉 표면(44)이 커넥터(54)의 접촉 표면(60)과 동일 평면상의, 회전 슬라이딩 맞물림 관계가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견인용 핸들(26)을 커넥터(54)에 부착한다. 커넥터(54)의 베이스(62)는 커넥터의 림(66)이 자유단(38)과 맞물려질 때까지 가장 작은 관형 섹션(30)의 자유단(38) 안으로 삽입된다. 커넥터(54)는 바람직하게는, 자유단(38)의 구멍(39)을 통해서 커넥터(54)의 막힌 구멍(70)까지 삽입되는 한 쌍의 스크류 또는 리벳(78)에 의해서 관형 섹션(30)의 자유단(38)에 고정된다. 하지만, 다른 연결 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 관형 섹션(30)의 자유단(38)에 고정된 커넥터는 암 부분(24)의 말단 단부를 구획 형성한다.As shown in FIG. 6, the towing member 20 of the first embodimen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46 of the towing handle 26 and the central bore 64 of the connector 54 to allow the journal-pin 56 ), The head 72 of the journal-pin enters into the counter bore 52 of the pull handle 26 and the nut 58 is assembled by screwing onto the threaded portion 74 of the journal-pin. Thus, the journal-pin 56 is adapted to allow the contact surface 44 of the tow handle 26 to be in a rotational sliding engagement coplanar with the contact surface 60 of the connector 54. 26) to the connector 54. The base 62 of the connector 54 is inserted into the free end 38 of the smallest tubular section 30 until the rim 66 of the connector engages with the free end 38. The connector 54 is preferably tubular section 30 by a pair of screws or rivets 78 which are inserted through the holes 39 of the free ends 38 to the blocked holes 70 of the connectors 54. It is fixed to the free end 38 of the. However, other connecting means can also be used. The connector fixed to the free end 38 of the tubular section 30 defines the distal end of the arm portion 24.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저널-핀(56)은 암 부분(24)의 중심축 A-A와 일직선으로 정렬되며, 견인용 핸들(26)은 이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다. 망원경식 관형 섹션(30, 32, 34)의 구성은 암 부분(24)이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장된 위치에서는, 견인용 핸들(26)이 백팩(22)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위치하며, 그래서 백팩이 사람의 발에 부딪히는 일 없이 사람이 백팩을 견인할 수 있게 한다. 후퇴된 위치에서는, 암 부분(24)의 관형 섹션(30, 32, 34) 각각이 서로 다른 섹션의 안으로 후퇴되며, 그에 따라 견인용 핸들(2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팩(22)의 상단에 구비된 리셉터클(80) 안으로 후퇴된다. 견인용 핸들(26)의 형상은 백팩(22)을 견인할 때 스템(40)이 사람의 검지와 중지 사이로 뻗어있는 상태로 사람이 핸드 그립(42)을 그 손안에 잡을 수 있게 한다. 또, 견인용 핸들(26)은 그 핸드 그립(42)이 후방 상부로 뻗도록 선회될 수 있으며, 그래서 사람이 그 손목을 비틀지 않고도 견인용 핸들을 파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백팩(22)을 싣거나 질 때, 견인용 핸들(26)은 백팩의 리셉터클(80) 안으로 선회되어 후퇴될 수 있는데, 이곳에서 견인용 핸들은 백팩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게 되며 다른 물건 등에 걸리지 않게 된다. 피벗 핀(56)의 중앙 보어(76)와 견인용 핸들(26) 내의 막힌 구멍(50)과 오목부(48)는, 암 부분(24)이 백팩(22) 안으로 후퇴될 수 있게 하는 로킹 메커니즘(도시하지 않음)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릴리이스 메커니즘이 견인용 핸들 상에 위치할 수 있게 하며 피벗 핀의 중앙 보어(76)를 관통하게 한다. 견인용 핸들(26)과 암 부분(24) 사이의 피벗식 연결은 또한, 사람이 자신의 손목을 비틀지 않고도 백팩(22)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가방을 견인할 때 피로를 감소시키며 가방의 전체적인 조작성을 향상시킨다.By configuring as described above, the journal-pin 56 is aligned in line with the central axis A-A of the arm portion 24, and the towing handle 26 is free to pivot about it. The configuration of the telescopic tubular sections 30, 32, 34 allows the arm portion 24 to move between an extended position and a retracted position. In the extended position as shown in FIG. 1, the towing handle 26 is located far from the backpack 22, so that the person can tow the backpack without hitting the person's foot. In the retracted position, each of the tubular sections 30, 32, 34 of the arm portion 24 is retracted into the different sections, such that the towing handle 26 is shown in the backpack 22 as shown in FIG. 2. Retracted into the receptacle 80 provided at the top of the. The shape of the towing handle 26 allows a person to hold the hand grip 42 in his hand with the stem 40 extending between the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of the person when towing the backpack 22. The towing handle 26 may also be pivoted such that the hand grip 42 extends rearwardly upwards, allowing a person to grip the towing handle without twisting the wrist. Further, when the backpack 22 is loaded or unloaded, the tow handle 26 can be pivoted into the receptacle 80 of the backpack and retracted, where the tow handle is placed on the same plane as the backpack and the like. It is not caught. The central bore 76 of the pivot pin 56 and the blind holes 50 and recesses 48 in the towing handle 26 allow the arm portion 24 to retract into the backpack 22. The release mechanism allows the release mechanism to be positioned on the towing handle and to penetrate the central bore 76 of the pivot pin to release (not shown). The pivotal connection between the tow handle 26 and the arm portion 24 also allows a person to change the orientation of the backpack 22 without twisting his wrist, thereby reducing fatigue when towing the bag. Reduces and improves the overall operability of the bag.

본 발명의 견인용 부재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특히 가방과 일체형 부분을 이루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7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100)는 바람직하게는 암 부분(102)과, 견인용 핸들(104) 및 중간 부재(106)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100)는 제1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20)와 유사한 방식으로 견인식 가방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견인용 부재가 가방에 부착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하지만, 제2 실시예도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또는 당해 업계에 알려진 다른 방법으로 가방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ra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first embodiment, is particularly adapted to form an integral part with the bag. As shown in Figs. 7 to 11, the traction member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arm portion 102, a traction handle 104 and an intermediate member 106.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towing member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towed bag in a manner similar to the towing member 20 of the first embodiment. Thus, in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no detailed description is given of how the tow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bag. However,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attached to the bag in a manner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or in other ways known in the art.

도 8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100)의 암 부분(102)은 바람직하게는 제1 실시예의 암 부분(24)과 흡사하게 곡선의 망원경식 부재이다. 하지만, 제1 실시예의 암 부분(24)과 달리, 제2 실시예의 암 부분(102)은 바람직하게는 가방 내의 단일의 리셉터클(도시하지 않음) 안으로 슬라이딩되고 또 리셉터클로부터 밖으로 슬라이딩되는 이중-폴 부재이다. 암 부분(102)은 가방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지는 근접 단부(도시하지 않음)와 가방 쪽으로 후퇴될 수 있고 또한 가방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될 수 있는 반대편의 말단 단부(108)를 갖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알루미늄, 강철 또는 다른 적절한 강도의 재료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관형 부재(110)는 암 부분(102)의 근접 단부를 암 부분의 말단 단부(108)에 연결시킨다. 암 부분(102)의 관형 부재(110)는 서로 근접한 상태로 암 부분(102)의 길이를 따라서 병렬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암 부분(102)의 대향의 근접 단부와 말단 단부(108)에서 서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그래서, 암 부분(102)의 2개의 관형 부재(110)는 종래의 단일 폴 부재와 흡사하게 기능하며, 주로 미관상 단일의 관형 부재 대신에 2개의 부재가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하게는 관형 부재 각각의 말단 모서리(114)에 근접하게 관형 부재(110) 각각을 관통하여 관통 구멍(112)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8 to 11, the arm portion 102 of the towing member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preferably a curved telescopic member, similar to the arm portion 24 of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unlike the arm portion 24 of the first embodiment, the arm portion 102 of the second embodiment preferably slides into a single receptacle (not shown) in the bag and slides out from the receptacle. to be. The arm portion 102 has a predetermined length having a proximal end (not shown) that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bag and an opposite distal end 108 that can be retracted toward the bag and also extend away from the bag. . A pair of tubular members 110 formed of aluminum, steel or other suitable strength materia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onnect the proximal end of the arm portion 102 to the distal end 108 of the arm portion. The tubular members 110 of the arm portion 102 extend in parallel along the length of the arm portion 102 in proximity to each other, preferably at opposite proximal and distal ends 108 of the arm portion 102. It is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Thus, the two tubular members 110 of the arm portion 102 function similarly to conventional single pole members, and two members are mainly used instead of a single tubular member. Finally, through holes 112 are formed through each of the tubular members 110, preferably near the distal edge 114 of each of the tubular members.

암 부분(102)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재료로 형성된 한 쌍의 말단 단부 캡(116)을 또한 포함한다. 단부 캡(116) 각각은 소켓 접속 방식으로 관형 부재(110) 중 하나의 말단 단부 안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부(118)를 구비한다. 숄더(120)가 베이스부(118)에 인접하게 단부 캡(116) 각각에 형성되며, 단부 캡이 관형 부재(110) 안으로 더 이상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관형 부재 각각의 말단 모서리(114)에 대해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각 단부 캡(116)의 베이스부(118)를 관통하여 제1의 관통 구멍(122)이 형성된다. 단부 캡의 베이스부가 관형 부재 안으로 삽입되고 단부 캡의 숄더(120)가 관형 부재의 말단모서리(114)와 맞물려질 때, 각 베이스부의 관통 구멍(122)은 각 관형 부재(110)의 관통 구멍(112)과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예를 들면, 리벳과 같은 패스너(124)가 각 관형 부재(110)의 관통 구멍(112) 및 각 단부 캡의 베이스부(118)의 제1의 관통 구멍(122)을 관통하며, 그에 따라 단부 캡을 관형 부재에 고정시킨다.The arm portion 102 also includes a pair of end end caps 116, preferably formed of a polymeric material. Each of the end caps 116 has a base portion 118 configured to slide into the distal end of one of the tubular members 110 in a socket connection manner. A shoulder 120 is formed in each of the end caps 116 adjacent the base portion 118, and for the distal edge 114 of each of the tubular members to prevent the end caps from sliding further into the tubular member 110. Is configured to interlock. A first through hole 122 is formed through the base portion 118 of each end cap 116. When the base portion of the end cap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member and the shoulder 120 of the end cap is engaged with the distal edge 114 of the tubular member, the through hole 122 of each base portion is a through hole of each tubular member 110. In line with 112). For example, a fastener 124 such as a rive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of each tubular member 110 and the first through hole 122 of the base portion 118 of each end cap, and thus the end portion. Secure the cap to the tubular member.

단부 캡(116) 각각은 단부 캡의 숄더(120)에 수직하게 배향된 평삭반 접촉 표면(126)을 또한 포함한다. 이 접촉 표면(126)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둘레를 갖는다. 제2의 관통 구멍(128)이 각 단부 캡(116)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접촉 표면에 수직하게 중심이 맞춰진다. 단부 캡의 제2의 관통 구멍(128)은 동축상에 있다. 제2의 관통 구멍은 접촉 표면(126) 반대편의 각 단부 캡(116)의 측면에 형성된 카운터 보어(130)를 구비한다. 그래서 카운터 보어(130)는 오목한 환상의 쉘프(shelf)(132)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단부 캡(116)이 암 부분(102)의 관형 부재(110) 각각에 부착되면, 단부 캡의 접촉 표면(126)은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향된다.Each of the end caps 116 also includes a planar contact surface 126 oriented perpendicular to the shoulder 120 of the end cap. This contact surface 126 preferably has a circular perimeter. A second through hole 128 is formed through each end cap 116 and is centered perpendicular to the contact surface. The second through hole 128 of the end cap is coaxial. The second through hole has a counter bore 130 formed in the side of each end cap 116 opposite the contact surface 126. The counter bore 130 thus forms a concave annular shelf 132. As described above, when each end cap 116 is attached to each of the tubular members 110 of the arm portion 102, the contact surfaces 126 of the end caps are spaced apart and oriented parallel to each other.

견인용 부재(100)의 제2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104)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재료와 금속으로 형성된다. 견인용 핸들(104)은 T 형상이며,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고 대향의 자유단(136)을 갖는 그립부(134)를 포함한다. 견인용 핸들(104)의 스템부(138)도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그립부(134)와 일체를 이룬다. 스템부(138)는 그립부(134)와 교차하며, 바람직하게는 그립부(134)로부터 수직으로 뻗어있다. 원형의 접촉 표면(140)이 견인용 핸들의 스템부(138)의 단부에 형성된다. 견인용 핸들(104)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형성되며 스템부의 접촉 표면(140)에 중심이 맞춰지고 이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한 핸들 피벗 샤프트(142)를 포함한다. 피벗 샤프트(142)는 스템부의 접촉 표면으로부터 그 말단 단부에 인접한 샤프트의 나사부(144)로 돌출한다. 핸들 피벗 샤프트(142)의 반대편 단부(146)는 핸들 그립부(134)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폭이 좁아지거나, 널링(knurling)처리 되거나 혹은 결이 형성되며(도시하지 않음), 견인용 핸들(104)의 그립부(134) 및 스템부(138)는 핸들 피벗 샤프트의 둘레에 몰딩되어 핸들 피벗 샤프트를 견인용 핸들의 그립부와 스템부에 고정시킨다.The traction handle 104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raction member 100 is preferably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and a metal. The pull handle 104 is T-shaped and includes a grip portion 134 forme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having an opposite free end 136. The stem portion 138 of the pull handle 104 is also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and is preferably integral with the grip portion 134. Stem portion 138 intersects grip portion 134 and preferably extends vertically from grip portion 134. A circular contact surface 14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tem portion 138 of the pull handle. The pull handle 104 also preferably comprises a handle pivot shaft 142 that is formed of metal and centers on and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contact surface 140 of the stem portion. The pivot shaft 142 projects from the contact surface of the stem portion to the threaded portion 144 of the shaft adjacent its distal end. The opposite end 146 of the handle pivot shaft 142 extends to the handle grip 134 and is preferably narrowed, knurled, or grained (not shown), and the towing handle ( The grip 134 and stem 138 of 104 are molded around the handle pivot shaft to secure the handle pivot shaft to the grip and stem portions of the towing handle.

견인용 부재(100)의 중간 부재(106)는 바람직하게는 단일체로서 폴리머 재료로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및 제2의 접촉 표면(146, 148)이 중간 부재(106)의 대향 단부에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제3의 원형 접촉 표면(150)이 중간 부재(106)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의 접촉 표면(146, 146)에 수직하게 배향된다. 제1의 관통 구멍(152)이 제1의 접촉 표면(146)의 중앙으로부터 제2의 접촉 표면(148)의 중앙으로 수직하게 중간 부재(106)를 관통한다. 제2의 관통 구멍(154)이 제3의 접촉 표면(150)의 중앙으로부터 수직하게 중간 부재(106)를 관통한다. 제2의 관통 구멍(154)은 제3의 접촉 표면(150)의 반대측에서 중간 부재(106)에 형성된 카운터 보어(156)를 구비한다. 카운터 보어(156)는 오목한 환상 쉘프(158)를 형성한다.The intermediate member 106 of the traction member 100 is preferably formed of a polymeric material as a single piece. A pair of first and second contact surfaces 146, 148 are formed at opposite ends of the intermediate member 106 and aligned parallel to each other. A third circular contact surface 150 is formed in the intermediate member 106 and is orient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surfaces 146, 146. The first through hole 152 penetrates the intermediate member 106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contact surface 146 to the center of the second contact surface 148. The second through hole 154 penetrates the intermediate member 106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third contact surface 150. The second through hole 154 has a counter bore 156 formed in the intermediate member 106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contact surface 150. Counterbore 156 forms a concave annular shelf 158.

암 부분(102)과, 견인용 핸들(104), 및 중간 부재(106) 이외에, 제2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100)는 견인용 부재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숄더-볼트(160), 숄더-볼트 너트(162), 및 핸들 피벗 샤프트 너트(164)를 또한 포함한다. 견인용 핸들(104)은 중간 부재(106)를 통해서 견인용 부재(100)의 암 부분(102)에 조립된다.In addition to the arm portion 102, the towing handle 104, and the intermediate member 106, the towing member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 shoulder-bolt 160 used to couple the components of the towing member to each other. ), Shoulder-bolt nut 162, and handle pivot shaft nut 164. The towing handle 104 is assembled to the arm portion 102 of the towing member 100 via the intermediate member 106.

제2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조립은, 먼저 견인용 핸들(104)의 접촉 표면(140)이 중간 부재(106)의 제3의 접촉 표면(150)에 대해서 맞물리도록 견인용 핸들(104)의 핸들 피벗 샤프트(142)를 중간 부재(106)의 제2의 관통 구멍(154) 안으로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핸들 피벗 샤프트 너트(164)가 중간 부재(106)의 카운터 보어(156) 안으로 삽입되고, 중간 부재의 오목한 환상 쉘프(158)와 살짝 맞물려질 때까지 핸들 피벗 샤프트(142)의 나사부(144)에 나사 체결된다. 그에 따라, 핸들 피벗 샤프트 너트(164)는 견인용 핸들(104)의 접촉 표면(140)을 중간 부재(106)의 제3의 접촉 표면(150)에 대해서 유지시킨다. 핸들 피벗 샤프트 너트(164)는 바람직하게는 자체 로킹식의 너트이며, 바람직하게는 조립되고 난 후에는 견인용 핸들(104)과 핸들 피벗 샤프트 너트가 과도한 토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과도한 너트의 풀림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중간 부재(106)에 대해서 중간 부재의 제2의 관통 구멍(154)의 축을 중심으로 함께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도록 와셔(도시하지 않음)가 사용된다. 견인용 핸들(104)의 핸들 피벗 샤프트(142)와 핸들 피벗 샤프트 너트(164)는 중간 부재(106)의 제1의 관통 구멍(152)이 방해받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그 크기가 정해짐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Assembly of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towing member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firstly engages the contact surface 140 of the towing handle 104 with the third contact surface 150 of the intermediate member 106. By inserting the handle pivot shaft 142 of the pull handle 104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54 of the intermediate member 106. The thread of the handle pivot shaft 142 is then inserted until the handle pivot shaft nut 164 is inserted into the counter bore 156 of the intermediate member 106 and slightly engaged with the concave annular shelf 158 of the intermediate member. 144) is screwed. Accordingly, the handle pivot shaft nut 164 holds the contact surface 140 of the pull handle 104 relative to the third contact surface 150 of the intermediate member 106. The handle pivot shaft nut 164 is preferably a self locking nut, and preferably, after being assembled, the towing handle 104 and the handle pivot shaft nut do not require excessive torque and do not loosen the excessive nut. A washer (not shown) is used to freely pivot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member 106 about the axis of the second through hole 154 of the intermediate member without causing it. The handle pivot shaft 142 and the handle pivot shaft nut 164 of the towing handle 104 are also sized such that the first through hole 152 of the intermediate member 106 remains unobstructed. You have to understand.

상술한 바와 같이 견인용 핸들(104)이 중간 부재(106)에 조립되고 나면, 중간 부재는 숄더-볼트(160) 및 숄더-볼트 너트(162)를 이용하여 견인용 부재(100)의 암 부분(102)에 조립된다. 이는 먼저 중간 부재(106)의 제1 및 제2의 접촉 표면(146, 148)을 암 부분(102)의 단부 캡(116)의 접촉 표면(126)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중간 부재의 제1의 관통 구멍(152)을 단부 캡 각각의 제2의 관통 구멍(128)과 일렬로 정렬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다음에, 숄더-볼트(160)가 단부 캡(116) 각각의 제2의 관통 구멍(128) 및 중간 부재(106)의 제1의 관통 구멍(152)을 관통하도록 하나의 단부 캡(116)의 카운터 보어(130) 안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숄더-볼트 너트(162)는 다른 단부 캡(116)의 카운터보어(130) 안으로 삽입되고, 여기서 숄더-볼트 너트(162)는 숄더-볼트(160)에 나사 체결된다. 패들 피벗 샤프트 너트(164)와 마찬가지로, 숄더-볼트 너트(162)는 바람직하게는 자체 로킹식의 너트이다. 숄더-볼트 너트(162)가 숄더-볼트(160)에 조여짐에 따라, 숄더-볼트의 헤드와 숄더-볼트 너트는 단부 캡(116)의 오목한 환상 쉘프(132)에 대해서 맞물려지며, 그에 따라 단부 캡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한다. 중간 부재(106)는 중간 부재의 제1 및 제2의 접촉 표면(146, 148)과 단부 캡(116)의 접촉 표면(126) 사이에 미소한 억지끼워맞춤(interference fit)이 존재하도록 그 크기가 정해진다. 숄더-볼트 너트(162)는 단부 캡(116)과 중간 부재(106) 사이의 갭을 없애는데 필요한 만큼만 숄더-볼트(160)에 조여지지, 숄더-볼트의 축을 중심으로 한 중간 부재와 단부 캡 사이의 선회 이동을 현저히 방해하는 수준까지는 조여지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Once the towing handle 104 is assembled to the intermediate member 106 as described above, the intermediate member uses the shoulder-bolt 160 and the shoulder-bolt nut 162 to arm portions of the towing member 100. Is assembled to 102. This first places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surfaces 146, 148 of the intermediate member 106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126 of the end cap 116 of the arm portion 102 and then the firs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106. This is accomplished by aligning the through holes 152 with the second through holes 128 in each of the end caps. Next, one end cap 116 such that the shoulder-bolt 160 passe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28 of each of the end caps 116 and the first through hole 152 of the intermediate member 106. ) Is inserted into the counter bore 130. Then, the shoulder-bolt nut 162 is inserted into the counterbore 130 of the other end cap 116, where the shoulder-bolt nut 162 is screwed to the shoulder-bolt 160. As with paddle pivot shaft nut 164, shoulder-bolt nut 162 is preferably a self locking nut. As the shoulder-bolt nut 162 is tightened to the shoulder-bolt 160, the head of the shoulder-bolt and the shoulder-bolt nut engage with the concave annular shelf 132 of the end cap 116, thus Act to move the end caps in a direction proximate to each other. The intermediate member 106 is sized such that there is a slight interference fi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surfaces 146, 148 of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contact surface 126 of the end cap 116. Is determined. The shoulder-bolt nut 162 is tightened to the shoulder-bolt 160 only as necessary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end cap 116 and the intermediate member 106, between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end cap about the axis of the shoulder-bol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not tightened to a level that significantly hinders their movement.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100)가 조립되고 나면, 견인용 핸들(104)은 견인용 부재의 암 부분(102)에 대해서 2개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들 축 중 제1의 축은 견인용 부재(100)의 암 부분(102)의 단부 캡(116)에 대해서 견인용 핸들(104)과 중간 부재(106)가 함께 선회하는 중심이 되는 숄더-볼트(160)의 축이다. 이 제1의 축은 최종적으로 견인용 부재(100)가 부착되는 가방의 휠의 회전축에 대체로 평행한 상태로 유지된다. 2개의 축 중 제2의 축은 견인용 부재(100)의 중간 부재(106)에 대해서 견인용 핸들(104)과 핸들 피벗 샤프트 너트(164)가 자유롭게 회전하는 중심이 되는 핸들 피벗 샤프트(142)의 축이다.After the towing member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the towing handle 104 can be pivoted about two axes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102 of the towing member. The first of these axes is a shoulder-bolt that is the center of pivot of the handle 104 and the intermediate member 106 with respect to the end cap 116 of the arm portion 102 of the towing member 100 ( 160) axis. This first axis is hel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wheel of the bag to which the towing member 100 is finally attached. The second of the two axes is the handle pivot shaft 142 which i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handle 104 and the handle pivot shaft nut 164 freely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member 106 of the towing member 100. wet.

제2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100)의 견인용 부재(100)의 다축(multi-axis) 선회 운동은 견인용 핸들(104)이 견인용 부재의 암 부분(102)에 대해서 도 10과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배향이 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도 10에서, 견인용 핸들(104)은 그 그립부(134)가 제1의 축에 평행하게 배향된 배향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배향에서, 견인용 핸들(104)은 제1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20)에 관하여 설명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가방 안으로 수월하게 후퇴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용 핸들(104)은 제1의 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제2의 축은 연직 방향으로 뻗으며 견인용 핸들의 그립부(134)는 수평방향으로 뻗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1의 축과 제2의 축 모두에 대해서 선회되었다. 이러한 배향에서, 견인용 핸들(104)의 그립부(134)는 가방의 경사각에 상관없이 사람이 자신의 손목을 구부리지 않고도 가방을 견인할 수 있도록 이상적으로 위치된다.The multi-axis pivoting motion of the towing member 100 of the towing member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such that the towing handle 104 is shown in FIGS. 10 and 11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102 of the towing member. It makes it possible to have an orientation as shown in FIG. In FIG. 10, the traction handle 104 is shown in an orientation with its grip 134 oriented parallel to the first axis. In this orientation, the towing handle 104 can be easily retracted into the bag in a manner similar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towing member 20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the tow handle 104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nd the grip portion 134 of the tow handle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pivoted about both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In this orientation, the grip portion 134 of the towing handle 104 is ideally positioned to allow a person to tow the bag without bending the wrist, regardless of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bag.

견인용 부재의 제3 실시예는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견인용 핸들(200)과 커넥터(202)를 포함한다. 도 12는 견인용 부재의 제3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200)과 커넥터(202)의 분해도를 나타낸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towing member includes the towing handle 200 and the connector 202 shown in FIGS. 12 to 16. 12 shows an exploded view of the pull handle 200 and the connector 202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ull member.

전체적으로, 견인용 부재의 제3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200)은 하부 부분(204), 상부 부분(206), 2개의 단부 캡(208) 및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을 포함하며, 이들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재료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202)은 바람직하게는 T 형상을 이룬다. 견인용 핸들(200)의 하부 부분(204)은 견인용 핸들의 핸드 그립(212)의 절반을 구성하며, 바람직하게는 견인용 핸들의 중심축을 따라서 핸드 그립부로부터 수직으로 뻗어있는 일체로 형성된 스템(214)을 포함한다. 스템(214)은, 원통형 샤프트(216)를 형성하며 로킹 돌출부(218)로 끝나는 목부(necked portion)를 구비한다. 로킹 돌출부(218)는 본질적으로 그 단말면(terminal face)(222)에 형성된 2개의 교차 채널(220)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 채널들(220)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수직이며 견인용 핸들의 대칭축에서 교차한다. 후술하는 이유들로 인해서, 채널(220)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그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로부터 약간 간격이 벌어지는 대향 벽을 구비한다. 관통 구멍(226)이 견인용 핸들(200)의 중심축과 일렬로 정렬되며, 하부 부분(204)을 관통한다. 마지막으로, 사람이 견인용 핸들을 붙잡는 힘을 증대시키고 견인용 핸들의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해서 견인용 핸들(200)의 하부 부분의 핸드 그립(212)부에 복수의 홈(228)이 형성된다.Overall, the towing handle 200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towing member includes a lower portion 204, an upper portion 206, two end caps 208, and an unlocking / release button 210, These elements are preferably formed of a polymeric material. Similar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towing handle 202 of the third embodiment is preferably T-shaped. The lower portion 204 of the towing handle 200 constitutes half of the hand grip 212 of the towing handle, preferably an integrally formed stem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hand grip portion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towing handle ( 214). The stem 214 has a necked portion that forms a cylindrical shaft 216 and ends with a locking protrusion 218. The locking protrusion 218 is essentially cylindrical in shape with two intersecting channels 220 formed in its terminal face 222. These channels 220 are preferab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intersect at the axis of symmetry of the towing handle. For the reasons described below, each of the channels 220 preferably has opposing walls that are slightly spaced from each other as they extend radially from their central axis. The through hole 226 is aligned in lin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towing handle 200 and penetrates through the lower portion 204. Finally, a plurality of grooves 228 are formed in the hand grip 212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owing handle 200 in order to increase the holding force of the towing handle and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towing handle.

견인용 핸들(200)의 상부 부분(206)은 견인용 핸들의 핸드 그립(212)의 상반부(上半部)를 형성하는 대체로 반-원통형 쉘 형상을 갖는다. 타원형 외주를 갖는 개구부(230)가 상부 부분(206)의 중앙을 관통한다.The upper portion 206 of the towing handle 200 has a generally semi-cylindrical shell shape that forms the upper half of the hand grip 212 of the towing handle. An opening 230 having an elliptical outer circumference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206.

견인용 핸들(200)의 단부 캡(208)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동일하며 바람직하게는 타원형 둘레를 갖는 편평한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카운터싱크(countersink) 스크류 구멍(232)이 단부 캡(208) 각각을 관통한다.The end caps 208 of the towing handle 200 are preferably formed of flat plates that are identical to each other and preferably have an elliptical perimeter. Preferably a pair of countersink screw holes 232 pass through each of the end caps 208.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은 타원 형상의 돌출부(234)를 포함하며, 그 둘레에는 경계부 림(236)이 형성된다. 타원 형상의 돌출부(234)는 견인용 핸들(200)의 상부 부분(206)의 타원형 개구부(23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타원형 개구부보다 조금 작게 그 치수가 정해진다. 하지만,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의 림(236)은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 전체가 견인용 핸들(200)의 상부 부분(206)의 타원형 개구부(230)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타원형 개구부보다 조금 더 크게 치수가 정해진다.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의 반대편 단부는 버튼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외팔보를 이루는 로드(238)를 포함한다.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의 로드는 바람직하게는 그 형상이 원통형이다.The unlock / release button 210 includes an elliptical protrusion 234, around which a boundary rim 236 is formed. The elliptical protrusion 234 is dimensioned slightly smaller than the elliptical opening so as to pass through the elliptical opening 230 of the upper portion 206 of the pull handle 200. However, the rim 236 of the unlock / release button 210 prevents the entire unlocking / release button 210 from passing through the elliptical opening 230 of the upper portion 206 of the towing handle 200. It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val opening. The opposite end of the unlock / release button 210 includes a rod 238 that makes up a cantilever from the rest of the button. The rod of the unlock / release button 210 is preferably cylindrical in shape.

견인용 부재의 제3 실시예의 커넥터(202)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재료로 형성된 2개의 동일한 커넥터 절반부(240)와, 로킹 부재(242)를 포함한다. 커넥터 절반부(240)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주위 융기 모서리(246)에 의해서 거의 둘러싸인 공동(cavity)(244)을 포함한다. 공동(244)에는 편평한 표면(248)이 형성되며, 이 편평한 표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한 쌍의 관형 포스트(tubular post)(250)가 돌출한다. 커넥터 절반부(240) 각각은 그 주위 융기 모서리(246)에 형성된 반-원통형 저널 표면(252)을 또한 포함한다. 저널 표면(252)보다 조금 더 큰 반경을 갖는 반-원통형 채널(254) 홈(recess)이 저널 표면에 바로 인접하게 정렬된 상태로 공동(244)에 형성된다. 저널 표면(252)은 견인용 핸들(200)의 스템(214)의 원통형 샤프트(216)의 길이와 직경에 일치하도록 그 치수가 정해진다. 더 작은 반-원통형 개구부가 저널 표면(252)과 일직선으로 정렬된 상태로 커넥터 절반부(240) 각각의 주위 융기 모서리(246)의 반대측에 형성된다.The connector 202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towing member preferably comprises two identical connector halves 240 forme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locking member 242. Each of the connector halves 240 preferably includes a cavity 244 that is nearly surrounded by a peripheral raised edge 246. A cavity 244 is formed with a flat surface 248, from which a pair of tubular posts 250 protrude perpendicularly. Each connector half 240 also includes a semi-cylindrical journal surface 252 formed at its raised ridge edge 246. A semi-cylindrical channel 254 recess having a radius slightly larger than the journal surface 252 is formed in the cavity 244 in alignment with the journal surface immediately adjacent. The journal surface 252 is dimensioned to match the length and diameter of the cylindrical shaft 216 of the stem 214 of the pull handle 200. A smaller semi-cylindrical opening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eripheral raised edge 246 of each of the connector halves 240 in alignment with the journal surface 252.

커넥터(242)의 로킹 부재(242)는 그 형상이 대체로 직사각형이며 한 쌍의 대향되는 평행한 표면(262)을 구비한다. 한 쌍의 타원형 슬롯(264)이 대향의 평행한 표면(262)의 하나의 표면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표면까지 로킹 부재(242)를 관통한다. 로킹 부재(242)는 또한 대향의 상단부(266)와 하단부(268)를 구비하며, 그 하단부에 상단부 쪽으로 뻗어있는 원통형의 막힌 구멍(270)을 구비한다.The locking member 242 of the connector 242 is generally rectangular in shape and has a pair of opposing parallel surfaces 262. A pair of elliptical slots 264 penetrates the locking member 242 from one surface of the opposing parallel surface 262 to the other surface. The locking member 242 also has an opposite top end 266 and a bottom end 268, and at its bottom end has a cylindrical blocked hole 270 extending toward the top end.

견인용 부재의 제3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200)과 커넥터(202)의 다양한 구성요소가 설명되었으며, 이제 이러한 구성요소의 조립이 논의될 것이다. 견인용 부재의 제3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200)은 먼저,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의 로드(238)를 위로부터 견인용 핸들의 하부 부분(204)의 관통 구멍(226)안으로 슬라이딩 삽입함으로써 조립된다. 이러한 삽입이 끝나면, 견인용 핸들(200)의 상부 부분(206)이 견인용 핸들의 하부 부분(204)과 맞물려진다. 이것이 완료됨에 따라,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의 타원 형상 돌출부(234)는 상부 부분(206)의 개구부(230)를 통과하여 돌출한 상태로 위치한다. 견인용 핸들(200)의 상부 부분(206)과 하부 부분(204)이 서로 맞물리고 나면,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의 림(236)이 견인용 핸들의 상부 부분의 개구부(230)보다 더 크기 때문에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은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 사이에 붙들리게 된다. 견인용 핸들(200)의 상부 부분(206)과 하부 부분(204)이 서로 맞물려지면, 단부 캡(208)의 스크류 구멍(232)을 통해서 삽입되는 스크류 패스너(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단부 캡(208)이 견인용 핸들의 핸드 그립(212)의 대향 단부에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부 캡(208)이 부착되면, 견인용 핸들(200)의 상부 부분(206)과 하부 부분(204)은 서로 고정되며 단부 캡을 제거하지 않고는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Various components of the towing handle 200 and the connector 202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towing member have been described, and assembly of such components will now be discussed. The towing handle 200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towing member first first moves the rod 238 of the unlocking / release button 210 from above into the through hole 226 of the lower portion 204 of the towing handle. Assembled by sliding insertion. After this insertion, the upper portion 206 of the towing handle 200 is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204 of the towing handle. As this is completed, the elliptical protrusion 234 of the unlock / release button 210 is positioned to protrude through the opening 230 of the upper portion 206. After the upper portion 206 and the lower portion 204 of the towing handle 20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rim 236 of the unlock / release button 210 is opened 230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owing handle. As it is larger, the unlocking / release button 210 is held betwee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When the upper portion 206 and the lower portion 204 of the towing handle 20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end cap is made using a screw fastener (not shown) inserted through the screw hole 232 of the end cap 208. 208 is attached to the opposite end of the hand grip 212 of the towing handle. When the end cap 208 is attach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ortion 206 and the lower portion 204 of the towing handle 200 are fixed to each other and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removing the end cap.

커넥터(202)가 견인용 핸들(200)의 하부 부분(204)에 조립된다. 이는 먼저, 견인용 패들(200)의 하부 부분(204)의 스템(214)의 샤프트(216)를 하나의 커넥터 절반부(240)의 저널 표면(252)에 대해서 위치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커넥터(202)의 로킹 부재(242)는, 그 대향의 평행한 표면(262) 중 하나가 커넥터 절반부(240)의 편평한 표면(248)에 맞물리고 로킹 부재의 막힌 구멍(270)이 견인용 핸들(200)로부터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커넥터 절반부(240)의 포스트(250)는 로킹 부재(242)의 타원형 슬롯(264) 안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그 후에 커넥터 절반부 각각의 얼라인먼트 핀(258)을 상대편 커넥터 절반부의 얼라인먼트 구멍(260)과 정렬시키고 절반부 각각의 주위 융기 모서리(246)가 상대편 융기 모서리에 맞물려질 때까지 절반부를 서로 근접 이동시킴으로써 커넥터 절반부(240)의 나머지 하나가 이 조립체에 부착된다. 커넥터 절반부(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려질 때 각 커넥터 절반부의 포스트(250)가 반대편 커넥터 절반부의 포스트와 로킹 부재(240)의 타원형 슬롯(264) 내에서 맞물려지도록 그 치수와 형상이 정해진다. 이는 커넥터 절반부(240)의 편평한 표면(248)이 로킹 부재(242)를 그 사이에서 죄는 것을 방지한다. 그래서, 로킹 부재(242)는 커넥터 절반부(240)의 공동(244)에 의해 형성되는 커넥터(202)의 내부 공간 내에 갇혀있음에도 견인용 핸들(200)의 스템(214) 쪽으로 및 스템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병진 운동할 수 있게 유지된다. 견인용 패들(200) 그 자체는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로킹된 때를 제외하고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커넥터(202)에 대해서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도록 유지되지만, 로킹 돌출부(218)가 커넥터 절반부(240)의 반-원통형 채널(254)의 사이에 갇히기 때문에 커넥터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The connector 202 is assembled to the lower portion 204 of the towing handle 200. This is first done by positioning the shaft 216 of the stem 214 of the lower portion 204 of the towing paddle 200 with respect to the journal surface 252 of one connector half 240. The locking member 242 of the connector 202 then engages one of its opposing parallel surfaces 262 with the flat surface 248 of the connector half 240 and the closed hole 270 of the locking member. It is positioned to 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towing handle 200. In this position, the post 250 of the connector half 240 will partially protrude into the elliptical slot 264 of the locking member 242. Finally, the alignment pins 258 of each of the connector halves are then aligned with the alignment holes 260 of the mating connector halves and the halves of each other until the peripheral ridge edges 246 of each half engage the opposite ridge edges. By moving in close proximity, the other of the connector halves 240 is attached to this assembly. The connector halves 240 are dimensioned and shaped such that the posts 250 of each connector half engage in the elliptical slots 264 of the locking member 240 with the posts of the opposite connector halves when engaged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It is decided. This prevents the flat surface 248 of the connector half 240 from clamping the locking member 242 therebetween. Thus, the locking member 242 is directed away from and away from the stem 214 of the towing handle 200 even though it is confined with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nector 202 defined by the cavity 244 of the connector half 240. It remains free to translate. The towing paddle 200 itself remains freely pivotable about the connector 202 about its central axis except when locked as discussed below, but the locking protrusion 218 is retained by the connector half (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because it is trapped between the semi-cylindrical channels 254 of 240.

상기와 같이 조립되면, 제3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200)과 커넥터(202)는 바람직하게는 견인용 부재의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유형의 견인용 부재의 암 부분(도시하지 않음)의 말단 단부에 부착된다. 견인용 부재의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3 실시예의 커넥터(202)는 바람직하게는 암 부분의 관형 단부 안으로 뻑뻑하게 슬라이딩되도록 그 치수가 정해진다. 이것이 완료되면, 릴리이스 부재(272)가 커넥터 절반부(240)의 반-원통형 개구부(256)에 의해 형성된 커넥터(202)의 베이스에 있는 개구부를 통과하여 로킹 부재(242)의 막힌 구멍(270) 안으로 삽입된다. 릴리이스 부재(272)는 눌려질 때 견인용 부재의 암 부분이 그 부착된 가방 안으로 후퇴될 수 있도록 로킹 메커니즘(도시하지 않음)을 작동시키기에 적합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릴리이스 부재와 로킹 메커니즘은 당해 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별도로 언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들 요소의 특정 구성 및 상세 사항이 본 발명에 관련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제3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200)과 커넥터(202)는 견인용 핸들 쪽으로 스프링에 의해 편향되는 유형의 릴리이스 부재와 연계되어 동작하도록 특별히 구성됨을 이해해야 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커넥터(202)가 견인용 부재의 암 부분에 조립되고 나면, 한 쌍의 패스너(도시하지 않음)가 암 부분의 말단 단부 및 커넥터 절반부(240)의 관형 포스트(250)를 통해 삽입되어 커넥터를 견인용 부재의 암 부분에 고정시키며, 그에 따라 조립 과정이 완료된다.When assembled as above, the towing handle 200 and the connector 202 of the third embodiment are preferably arm portions of the towing member of the typ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owing member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owing member, the connector 202 of the third embodiment is preferably dimensioned to slide stiffly into the tubular end of the arm portion. When this is completed, the release member 272 passes through the opening in the base of the connector 202 formed by the semi-cylindrical opening 256 of the connector half 240 to block the opening 270 of the locking member 242. ) Is inserted into The release member 272 is suitably configured to operate a locking mechanism (not shown) so that when pressed the arm portion of the towing member can be retracted into its attached bag. Such release members and locking mechanism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except as noted, the specific construction and details of these elements are not relevant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ow handle 200 and connector 202 of the third embodiment are specifically configur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release member of the type biased by a spring towards the tow handle. Once the connector 202 has been assembled to the female portion of the towing member as discussed above, a pair of fasteners (not shown) may remove the distal end of the female portion and the tubular post 250 of the connector half 240. Inserted through to secure the connector to the arm portion of the towing member, thereby completing the assembly process.

완전히 조립되고 나면, 견인용 핸들(200)은 제3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의 커넥터(202) 및 암 부분에 대해서 2가지 배향 상태로 선택적으로 로킹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달성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견인용 핸들(200)과 커넥터(202) 조립체가 커넥터 절반부(240) 중 하나를 제거한 상태로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의 제1 배향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견인용 핸들(200)은 그 핸드 그립(212)이 커넥터 절반부(240)의 편평한 표면(248)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향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릴리이스 부재(272)의 편향력은 로킹 부재(242)의 상단부(266)가 견인용 핸들(200)의 로킹 돌출부(218)에 형성된 채널(220) 중 하나의 안으로 이동할 때까지 커넥터(202)의 로킹 부재(242)로 하여금 견인용 핸들(200) 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로킹 부재(242)가 각 채널(220)의 대향 벽(224) 사이에 위치됨에 따라, 채널의 대향 벽과 로킹 부재의 맞물림에 의해서 견인용 핸들(200)은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커넥터(202)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하지만, 각 채널(220)의 대향 벽(224)은 견인용 핸들(200)이 그 제1의 배향 상태로 로킹될 때 커넥터(202)에 대해서 대략 20도의 원호를 그리면서 조금 선회할 수 있도록 로킹 부재(242)의 대향의 평행한 표면들(262) 사이보다 조금 더 이격되도록 구체적으로 그 치수가 정해진다.Once fully assembled, the towing handle 200 can be selectively locked in two orientations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202 and the arm portion of the towing member of the third embodiment. To illustrate how this condition is achieved, the towing handle 200 and connector 202 assembly is shown in FIGS. 13-16 with one of the connector halves 240 removed. As shown in the first orientation of FIG. 13, the pull handle 200 is positioned such that the hand grip 212 is oriented generally parallel to the flat surface 248 of the connector half 240. In this position, the biasing force of the release member 272 is such that the upper end 266 of the locking member 242 moves into one of the channels 220 formed in the locking protrusion 218 of the towing handle 200. Causes the locking member 242 of the connector 202 to move towards the towing handle 200. As the locking member 242 is positioned between the opposing walls 224 of each channel 220, the engagement handle 2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202 about its central axis by engaging the opposing wall of the channel with the locking member. Free rotation with respect to is prevented. However, the opposing wall 224 of each channel 220 is locked so that it can pivot slightly, drawing an arc of approximately 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202 when the towing handle 200 is locked in its first orientation. It is specifically dimensioned to be a little further apart than between opposing parallel surfaces 262 of member 242.

원하는 경우에, 견인용 핸들(200)은 커넥터(202)와 견인용 부재에 대해서 제2의 배향 상태로 선택적으로 로킹될 수 있다. 이는 견인용 핸들(200) 상의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의 타원 형상 돌출부(234)를 누르고 그 핸들을 도 16에 나타낸 제2의 배향 상태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려지면,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의 로드(238)는 견인용 핸들(200)의 스템(214)의 로킹 돌출부(218)의 채널(220)안으로 연장되어 커넥터(202)의 로킹 부재(242)와 맞물린다. 이러한 작용은 릴리이스 부재(272)가 로킹 부재(242)에 가하는 편향력을 극복하여 로킹 부재를 견인용 핸들(20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며, 그에 따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킹 부재의 상단부(266)를 견인용 핸들의 로킹 돌출부(218)의 각 채널(220)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러면, 견인용 핸들(200)은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이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는 한 커넥터(202)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If desired, the towing handle 200 may be selectively locked in a second orienta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202 and the towing member. This is accomplished by pressing the elliptic protrusion 234 of the unlocking / release button 210 on the towing handle 200 and rotating the handle to the second orientation shown in FIG. When the unlocking / release button 210 is pressed as shown in FIG. 14, the rod 238 of the unlocking / release button 210 is connected to the locking protrusion () of the stem 214 of the towing handle 200. It extends into the channel 220 of 218 to engage the locking member 242 of the connector 202. This action overcomes the biasing force that the release member 272 exerts on the locking member 242 to move the locking member away from the traction handle 200 and thus, as shown in FIG. 266 is separated from each channel 220 of the locking protrusion 218 of the pull handle. The towing handle 200 can then be fre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202 as long as the unlocking / release button 210 remains pressed.

원한다면, 견인용 핸들(200)은 견인용 부재의 커넥터(202)와 암 부분에 대해서 그 제2의 배향 상태로 로킹될 수 있다. 이는 견인용 핸들(200)이 그 제2의 배향 상태로 회전되고 난 후에 견인용 핸들의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이 눌려진 상태를 해제시키는 것만으로 이루어진다.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이 해제되면, 릴리이스 부재(272)의 편향력은 로킹 부재(242)의 상단부(266)가 견인용 핸들(200)의 로킹 돌출부(218)에 형성된 채널(220) 중 다른 채널 안으로 들어갈 때까지 다시 한번 로킹 부재(242)를 견인용 핸들(200) 쪽으로 밀게 된다. 그래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220)의 대향 벽(224)과 로킹 부재(242)의 맞물림에 의해서 견인용 핸들(200)은 다시 한번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커넥터(202)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각 채널(220)의 대향 벽(224)이 로킹 부재(242)의 대향의 평행한 표면들(262) 사이보다 조금 더 이격되도록 그 치수가 정해지기 때문에, 견인용 핸들(200)은 그 제1의 배향 상태로 로킹될 때 커넥터(202)에 대해서 대략 20도의 원호를 그리면서 선회할 수 상태로 유지됨을 이해해야 한다.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은 견인용 부재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견인용 핸들(200)의 배향이 원하는 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도록 언제든지 눌려질 수 있다. 또,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이 눌려짐에 따라, 커넥터(202) 내에서의 로킹 부재(242)의 움직임은 릴리이스 부재(272)가 견인용 핸들(200)로부터 멀어지게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함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로킹 해제/릴리이스 버튼(210)을 누름으로써, 릴리이스 부재(272)는 견인용 부재의 암 부분이 가방 안으로 후퇴될 수 있도록 로킹 메커니즘을 작동시킨다.If desired, the towing handle 200 may be locked in its second orientation relative to the connector 202 and the arm portion of the towing member. This is achieved only by releasing the state in which the unlocking / release button 210 of the towing handle is pressed after the towing handle 200 is rotated to its second orientation state. When the unlocking / release button 210 is released, the biasing force of the release member 272 is determined by the channel (top) 266 of the locking member 242 formed on the locking protrusion 218 of the towing handle 200. Once again, the locking member 242 is pushed toward the towing handle 200 until it enters the other channel of 220. Thus, as shown in FIG. 16, by engaging the locking wall 224 with the opposing wall 224 of the channel 220, the traction handle 200 once again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202 about its central axis. Free rotation is prevented. As discussed above, because the opposing wall 224 of each channel 220 is dimensioned so that it is slightly more spaced apart between the opposing parallel surfaces 262 of the locking member 242, the pull handle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200 remains pivotable, drawing an arc of approximately 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202 when locked in its first orientation. The unlock / release button 210 can be pressed at any time so that the orientation of the towing handle 200 relative to the rest of the towing member can be adjusted as desired. In addition, as the unlocking / release button 210 is pressed, the movement of the locking member 242 in the connector 202 is elastic such that the release member 272 is away from the towing handle 200. It'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it's a good idea Thus, by pressing the unlock / release button 210, the release member 272 activates the locking mechanism so that the arm portion of the towing member can be retracted into the bag.

상술한 바와 같이, 견인용 부재의 제3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200)은 견인용 부재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선회될 수 있다. 하지만, 견인용 핸들(200)은 또한 견인용 부재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 복수의 배향 상태 중 하나의 배향 상태로 로킹될 수도 있다. 이러한 로킹 특징은 가방을 견인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원하는 경우에 견인용 부재의 축에 대해서 토크를 가할 수 있게 하며, 그래서 예를 들면 연석과 같이 고르지 않는 지면 위로 가방을 견인할 때 뜻하지 않게 가방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towing handle 200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towing member can be pivoted in a manner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rest of the towing member. However, the towing handle 200 may also be locked to one of a plurality of alignment states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towing member. This locking feature allows the towing person to torque against the axis of the towing member if desired, so that the bag accidentally falls when towing the bag over an uneven ground, such as curbstones, for example. To prevent them.

본 발명의 견인용 부재의 제4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특히 가방과 일체형 부분을 이루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제4 실시예는 대체로 제2 실시예와 그 외관 및 동작이 유사하지만,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로킹 메커니즘과 록 릴리이스를 그 구조에 포함한다. 제4 실시예에서, 로킹 메커니즘은 사용자에 의한 단일 버튼 작동에 의해서 핸들의 로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그리고 허용된 두 운동축 모두를 따라서 핸들이 자유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된다. 도 17 내지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구조는 버튼이 2개의 다른 위치로 되는 것만을 허용하며, 그래서 버튼이 눌려지면, 두 운동축 모두가 동시에 해제된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당해 업자는 아래에 설명되는 구조가 하나의 축을 따라서 행해지는 운동만을 해제하고 또한 다른 축을 따라서 행해지는 제2의 운동을 해제할 수 있게 특정의 버튼 눌림을 가능케 하도록 변경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1의 소정 깊이까지의 버튼의 눌림은 하나의 회전축을 해제시키며, 더 깊은 깊이까지의 버튼의 눌림은 제2의 회전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버튼(예를 들면, 각 축에 하나씩)이 사용될 수도 있다.The fourth embodiment of the tra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is particularly adapted to form an integral part with the bag. The fourth embodiment is generally similar in appearance and operation to the second embodiment, but, like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locking mechanism and a lock release in its structure.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locking mechanism is specifically designed to unlock the handle by a single button actuation by the user and to allow the handle to freely move along both permitted axes of mo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7 to 25, this structure only allows the button to be in two different positions, so that when the button is pressed, both axes of movement are released simultaneously.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the practitioner may be modified to allow certain button presses to allow the structure described below to release only the movements performed along one axis and also to release the second movement along the other axis. I will understand how. For example, pressing a button to a first predetermined depth releases one axis of rotation, and pressing of a button to a deeper depth may release the second axis of rotation. Optionally, a plurality of buttons (eg, one for each axis) may be used in other embodiments.

도 18의 개략도에는 2축 내에서 핸들의 자유로운 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소정 위치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로킹되거나 로킹이 해제될 수 있는 2축 내에서의 운동을 허용하는 로킹 핸들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4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700)는 바람직하게는 암 부분(702)과 핸들(704) 및 중간 부재(706)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4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700)는 제2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102)와 유사한 방식으로 견인식 가방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암 부분(702)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3개의 관형 섹션(802, 902 및 602)으로 형성된다. 관형 섹션(802, 902 및 602)은 바람직하게는 타원형 또는 8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제1 실시예의 암 부분(24) 또는 제2 실시예의 암 부분(102)과 유사한 방식으로 망원경식으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안으로 슬라이드되며 곡선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제4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견인용 부재를 가방에 부착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 중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은 부분은 다른 실시예와 유사한 설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제4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또는 당해 업계에 알려진 다른 방식으로 가방에 확실하게 부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18 shows an embodiment of a locking handle that allows movement within two axes that can be selectively locked or unlocked to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ositions to allow free movement of the handle within two axes. have. The towing member 700 of the fourth embodiment preferably consists of an arm portion 702, a handle 704, and an intermediate member 706.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towing member 700 of the fourth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towed bag in a manner similar to the towing member 102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arm portion 702 is also preferably formed of three tubular sections 802, 902 and 602. The tubular sections 802, 902 and 602 preferably have an oval or eight-shaped cross section and are preferably telescopic in a manner similar to the arm portion 24 of the first embodiment or the arm portion 102 of the second embodiment. One slides into the other and is configured to form a curve. In describing the fourth embodiment, portions not explicitly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thod for attaching the towing member to the bag are considered to have a design similar to that of the other embodiment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urth embodiment can be securely attached to the bag in a manner similar to the second embodiment or in other ways known in the art.

도 19 내지 도 22는 본 시스템의 핸들(704) 및 이 핸들이 부착되는 제1의 관형 부재(802)의 설계에 대한 절취도를 나타낸다. 제2 실시예의 암 부분(102)과 마찬가지로, 제4 실시예의 최외측의 제1의 관형 섹션(802)은 바람직하게는 가방 내의 단일 리셉터클 안으로 및 단일 리셉터클로부터 밖으로 슬라이딩하는 이중 폴 부재이다. 제1의 관형 섹션(802)은 제2의 관형 섹션(902)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지는 근접 단부(808)와 가방 쪽으로 후퇴될 수 있고 가방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될 수 있는 반대편의 말단 단부(708)를 갖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한 쌍의 이격된 관형 부재(710)는 알루미늄, 강철, 플라스틱 또는 다른 적절한 강도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이에 국한되지는 않음), 제1의 관형 섹션(802)의 근접 단부(808)를 관형 섹션(802)의 말단 단부(708)에 연결한다. 제1의 관형 섹션(802)의 관형 부재(710)는 서로 근접 상태로 제1의 관형 섹션(802)의 길이를 따라서 대체로 평행한 방식으로 병렬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대향의 근접 단부(808) 및 말단 단부(708)에서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는 근접 단부(808)에서는 단부 캡(811)의 사용에 의해서 그리고 말단 단부(708)에서는 아래에서 논의되는 연결 구조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서, 제1의 관형 섹션(802)의 2개의 관형 부재(710)는 종래의 단일 폴 부재와 흡사하게 기능하며, 2개의 부재는 주로 미관상 단일의 관형 부재 대신에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하게는 각 관형 부재(710)를 관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712)이 형성됨으로써 이 관형 부재는 전체적으로 중공형으로 간주된다. 제1의 관형 섹션(802)은 전체적으로 제2의 관형 섹션(902) 안으로 슬라이딩되고, 제2의 관형 섹션(902)은 다시 제3의 관형 섹션(602) 안으로 슬라이딩되는데, 이 제3의 관형 섹션(602)은 가방에 있는 암 부분(702)의 리셉터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개수의 관형 섹션이 사용될 수 있으며, 망원경식 연결은 다른 구조에 의해서 다른 방식으로 얻어질 수도 있다.19-22 show cutaway views of the design of the handle 704 of the present system and the first tubular member 802 to which it is attached. Like the arm portion 102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outermost first tubular section 802 of the fourth embodiment is preferably a double pawl member that slides into and out of a single receptacle in the bag. The first tubular section 802 is proximal end 808 slidably engaged with the second tubular section 902 and an opposite distal end 708 that can be retracted toward the bag and extend away from the bag. Has a predetermined length. The pair of spaced tubular members 710 may be made of, but not limited to, aluminum, steel, plastic, or other suitable strength material, and may include the proximal end 808 of the first tubular section 802. To the distal end 708 of the tubular section 802. The tubular members 710 of the first tubular section 802 extend in parallel in a generally parallel manner along the length of the first tubular section 802 in proximity to each other, preferably opposite proximal ends 808. And distal ends 708 are firmly coupled to one another. This can be done by the use of end caps 811 at the proximal end 808 and by the connection structure discussed below at the distal end 708. Thus, the two tubular members 710 of the first tubular section 802 function similarly to conventional single pole members, and the two members are mainly used in place of a tubular single tubular member. Finally, at least one through hole 712 is preferably formed through each tubular member 710 so that the tubular member is generally considered hollow. The first tubular section 802 slides entirely into the second tubular section 902, and the second tubular section 902 again slides into the third tubular section 602, which is the third tubular section. 602 may be a receptacle of arm portion 702 in a bag. In other embodiments, any number of tubular sections may be used, and the telescopic connection may be obtained in different ways by other structures.

제1의 관형 섹션(802)은 한 쌍의 말단 단부 캡(716)을 또한 포함하며, 이 말단 단부 캡(716)은 폴리머 재료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단부 캡(716) 각각은 대체로 엘보우 형상이며, 소켓 접속 방식으로 하나의 관형 부재(710)의 말단 단부(708) 위로 슬라이딩되는데 적합하게 구성되는 베이스부(718)를 구비한다. 숄더(도시하지 않음)가 베이스부(718)에 인접하게 각 단부 캡(716)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단부 캡이 관형 부재 위로 더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 관형 부재(710)의 말단 모서리(708)에 대해서 맞물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의 관통 구멍(722)이 각 단부 캡(716)의 베이스부(718)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의 관통 구멍(722)은 단부 캡(716)의 베이스부가 관형 부재(710)에 삽입되고 단부 캡(716)의 숄더가 관형 부재(710)의 말단 모서리(708)와 맞물려질 때 각 관형 부재(710)의 관통 구멍(712)과 전체적으로 정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부 캡은 관통 구멍(722)을 포함할 필요가 없고, 대신에 그 내부 구조가 중실형을 이룰 수 있다. 단부 캡(716)은 당해 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수단에 의해서 적합한 관형 부재(710)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수단에는 접착제, 패스너, 용접 또는 다른 유형의 고정 수단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The first tubular section 802 also includes a pair of end end caps 716, which may be formed from, but are not limited to, polymeric materials or metals. Each of the end caps 716 is generally elbow shaped and has a base portion 718 that is adapted to slide over the distal end 708 of one tubular member 710 in a socket connection manner. A shoulder (not shown) may be formed in each end cap 716 adjacent the base portion 718, and the distal edge of each tubular member 710 to prevent the end cap from sliding further over the tubular member. And may be engaged with respect to 708. A first through hole 722 may be formed through the base portion 718 of each end cap 716. The through hole 722 of this base portion is each tubular when the base portion of the end cap 716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member 710 and the shoulder of the end cap 716 engages the distal edge 708 of the tubular member 710. It is generally aligned with the through hole 712 of the member 710. In other embodiments, the end cap does not need to include the through hole 722, but instead its internal structure may be solid. End cap 716 may be attached to suitable tubular member 710 by any mean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dhesives, fasteners, welding or other types of fastening means, and the like. .

단부 캡(716) 각각은 단부 캡의 베이스부에 수직하게 배향된 평삭반 접촉 표면(726)을 또한 포함한다. 이 접촉 표면(726)은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원형의 둘레를 갖는다. 제2의 관통 구멍(728)이 각 접촉 표면(726)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접촉 표면(726)에 수직하게 중심이 맞춰진다. 이 관통 구멍(728)은 나중에 불릿 샤프트(bullet shaft)(691)를 수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부 캡(716)을 중실형으로 만들기 위해서 관통 구멍(728)이 제거될 수 있다. 제2의 관통 구멍(728)은 만약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의 관통 구멍(722)과 대체로 비슷한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Each of the end caps 716 also includes a planar contact surface 726 oriented perpendicular to the base portion of the end cap. This contact surface 726 preferably has a generally circular perimeter. A second through hole 728 may be formed through each contact surface 726 and is preferably centered perpendicular to the contact surface 726. This through hole 728 can later be used to receive the bullet shaft 691. In other embodiments, through holes 728 may be removed to make end cap 716 solid. The second through hole 728 is preferably, if formed, of approximately the same diameter as the first through hole 722 but is not required.

접촉 표면(726)에는 대체로 원형이며 접촉 표면(726)의 직경보다 조금 작은 직경을 갖는 칼라(791)가 부착된다. 그리고 칼라(791)에는 슬롯 링(slotted ring)(751)이 부착되며, 이 슬롯 링(751)도 대체로 원형이며 칼라(791)의 직경보다 더 크지만 접촉 표면(726)의 직경보다는 조금 작은 외경을 갖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더 크거나 더 작은 슬롯 링(751)도 사용될 수 있다. 제2의 관통 구멍(728)은 존재하는 경우에 칼라(791) 및 슬롯 링(751)을 통해서 연속되어 슬롯 링(751)과 칼라(791)를 중공 상태가 되게 한다. 제2의 관통 구멍(728)이 제거되는 경우에도, 슬롯 링(751)은 여전히 전체적으로 중공 형상이 되어 링이 개구부를 감싸게 한다. 각 슬롯 링(751)은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753)을 포함한다. 슬롯(753)은 슬롯 링(751)의 반경을 따라서 슬롯 링(751)의 측면을 절취하며, 그래서 링이 감싸는 개구부를 슬롯 링(751)의 외부의 공간에 연결한다(혹은 이와 달리, 외부의 공간까지 완전히 연결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 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한다). 각 슬롯(753)은 소정의 폭과 깊이로 이루어진다. 그 폭은 패들(771)(나중에 논의됨)의 두께와 같거나 더 크도록 사전 설정된다. 그 깊이는 임의의 깊이가 될 수 있고 슬롯 링을 완전히 관통하도록 되거나, 또는 그 보다 짧은 임의의 깊이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그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슬롯의 내부로부터 비틀려질 필요없이 슬롯(753)의 폭과 유사한 폭의 물체에 맞물려져서 유지시키기에 충분하다. 하나의 단부 캡(716)의 슬롯 링(751)은 다른 단부 캡(716)의 슬롯 링(751)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이에 대체로 평행하다.The contact surface 726 is attached with a collar 791 having a diameter that is generally circular and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tact surface 726. A slot ring 751 is attached to the collar 791, which is also generally circular and has an outer diameter that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llar 791 but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tact surface 726. In other embodiments, larger or smaller slot rings 751 may also be used. The second through hole 728, if present, continues through the collar 791 and the slot ring 751 to make the slot ring 751 and the collar 791 hollow. Even when the second through hole 728 is removed, the slot ring 751 is still entirely hollow so that the ring surrounds the opening. Each slot ring 751 includes at least one slot 753 therein. The slot 753 cuts the side of the slot ring 751 along the radius of the slot ring 751 so that the opening that the ring wraps connects to the space outside of the slot ring 751 (or otherwise, Openings in that direction even if not completely connected to the space). Each slot 753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Its width is preset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paddle 771 (discussed later). The depth can be any depth and can be completely through the slot ring, or any depth shorter. However, the depth is preferably sufficient to engage and maintain an object of a width similar to the width of slot 753 without having to be twisted from the inside of the slot. The slot ring 751 of one end cap 716 is spaced apart and generally parallel to the slot ring 751 of the other end cap 716.

도 19로부터, 견인용 부재(700)의 제4 실시예의 견인용 핸들(704)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재료 및/또는 금속으로 형성되지만, 당해 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견인용 핸들(70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셋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T"형상이며, 대향의 자유단(736과 737)과 스템부(738)를 갖는 그립부(734)를 포함한다. 견인용 핸들(704)의 스템부(738)는 바람직하게는 그립부(734)와 일체로 형성되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립부(734)와 스템부(738) 모두는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중공 구조를 갖는다. 스템부(738)는 그립부(734)와 교차하며 바람직하게는 이로부터 수직으로 뻗는다. 원형의 접촉 표면(740)이 그립부(734)로부터 떨어진 스템부(738)의 단부에 형성된다.19, the pull handle 704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ull member 700 is preferably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and / or a metal, but may be formed of any materia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raction handle 704 is generally "T" shaped (although offset as shown in the figure) and includes grip portion 734 having opposing free ends 736 and 737 and stem portion 738. . The stem portion 738 of the pull handle 704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grip portion 734, but is not required. Both grip portion 734 and stem portion 738 preferably have an overall hollow structure. Stem portion 738 intersects and preferably extends perpendicularly from grip portion 734. A circular contact surface 74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tem portion 738 away from the grip portion 734.

견인용 부재(700)의 중간 부재(706)는 바람직하게는 당해 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수단으로 나중에 서로 결합되는 2개의 절반부로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지만, 이와 달리 임의의 다른 개수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중간 부재(706)는 전체적으로 "T"형 구조이며, 중간 부재(706)의 대향 단부에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상의 제1 및 제2의 원형 접촉 표면(746, 748)을 포함한다. 제3의 원형 접촉 표면(750)이 중간 부재(706)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의 접촉 표면(746, 748)에 수직 배향된 상태로 이격되어 있다. 중간 부재(706)는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중공형이다. 또, 상기 3개의 접촉 표면 각각은 이들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다. 이 관통 구멍은 융기 모서리(846, 848, 850)에 의해서 한정되며, 이들 융기 모서리(846, 848, 850)는, 융기 모서리에서의 관통 구멍의 크기가 중간 부재의 특정의 암 부분이 부착되는 칼라의 외경에 일치하는 한편 내부의 중공 섹션이 큰 개방 영역을 제공하도록 직경과 두께를 갖도록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측면 융기 모서리(846, 848)는 단부 캡(716) 상의 칼라(791)를 둘러싸고 상부 융기 모서리(850)는 피벗 샤프트(742) 상의 칼라(873)를 둘러싸며, 슬롯 링(773과 751)은 중간 부재(706)의 중공 내부에 있으면서 융기 모서리(846, 848, 850)의 측면에 의해서 중간 부재의 중공 내부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당해 업자는 칼라/융기 모서리 구조가 중간 부재(706)의 직선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회전 운동을 제공함을 알 것이다.The intermediate member 706 of the traction member 700 is preferably formed of a polymeric material in two halves that are later joined to each other by any mean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ut may alternatively be formed of any other number of parts. have. The intermediate member 706 is of overall "T" shaped structure and includes one phase of first and second circular contact surfaces 746, 748 formed at opposite ends of the intermediate member 706 and spaced parallel to each other. A third circular contact surface 750 is formed in the intermediate member 706 and spaced apart in a vertical orienta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surfaces 746, 748. The intermediate member 706 is preferably entirely hollow. In addition, each of the three contact surfaces has a through hole therethrough. These through holes are defined by ridge edges 846, 848, and 850, and these ridge edges 846, 848, and 850 are collars in which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at the ridge edge is attached to a particular arm por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The hollow section inside is designed to have a diameter and a thickness to provide a large open area while match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Specifically, the side raised edges 846 and 848 surround the collar 791 on the end cap 716 and the upper raised edge 850 surround the collar 873 on the pivot shaft 742 and the slot ring 773. 751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hollow interior of the intermediate member by the sides of the raised edges 846, 848, 850 while in the hollow interior of the intermediate member 706. The skilled person will appreciate that the collar / ridged edge structure provides rotational motion while prevent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intermediate member 706.

도 20과 21은 그립부(734)와 스템부(738)의 일부분을 제거한 상태로 도 19에 나타낸 영역의 내부 구조를 보여준다. 그립부(734) 내에는, 일 단부(737)에 개구부(739)를 포함한다. 개구부(739)에는 이를 관통하여 버튼 메커니즘(741)의 일부가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버튼 메커니즘(741)은 상기 개구부(739)를 통해서 일정 거리만큼 돌출한 버튼 메커니즘 구조의 일부분을 포함한다. 이 부분은 버튼 커버(743)로 덮여질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이 부분이 개구부(739)를 통해서 연장되는 위치로 버튼 메커니즘(741)을 편향시키는 편향 메커니즘(745)(본 경우에는 스프링)이 배치된다. 버튼 메커니즘(741)은 일반적으로 편향 메커니즘(745)에 의해서 편향될 때 버튼 메커니즘이 개구부(739) 너머로 부분적으로 돌출하지만 개구부(739)를 통해서 자유롭게 빠지지는 않도록 립(lip), 숄더, 또는 유사한 부분을 또한 구비한다.20 and 21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rea shown in FIG. 19 with portions of grip 734 and stem 738 removed. The grip 734 includes an opening 739 at one end 737. A portion of the button mechanism 741 is disposed through the opening 739.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utton mechanism 741 includes a portion of the button mechanism structure that protrudes a distance through the opening 739. This portion may be covered with the button cover 743. Also generally, a deflection mechanism 745 (in this case a spring) is arranged which deflects the button mechanism 741 to a position where this portion extends through the opening 739. The button mechanism 741 is generally a lip, shoulder, or similar portion such that when deflected by the deflection mechanism 745, the button mechanism partially protrudes beyond the opening 739 but does not fall freely through the opening 739. Also provided.

견인용 핸들(704)은 핸들 그립부(734)에 대체로 수직인 관계로 스템부(738)에 걸쳐서 뻗어있는 핸들 피벗 샤프트(742)와 핸들 누름 핀(747)을 또한 포함한다. 핸들 피벗 샤프트(742)는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관형 구조이며, 핸들 누름 핀(747)이 슬라이딩식 이동을 할 수 있는 중앙 관통 구멍(842)을 갖는다. 피벗 샤프트(742)는 또한 버튼 메커니즘(741)에 대해서 대체로 자유로운 부동(浮動) 상태에 있지만 대체로 스템부(738)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누름 핀(747)은 사용자에 의한 버튼 메커니즘(741)의 눌림에 의한 운동을 피벗 샤프트(742)에 있는 관통 구멍(842)을 통한 누름 핀(747)의 직선 변위로 변환하도록 설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는 누름 핀(747)을 그 일측에 소정의 각을 갖는 성형 헤드(749)를 구비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버튼 메커니즘(741)은 그에 상응하는 크기의 오목부(751)는 갖는데, 편향 메커니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버튼 메커니즘(741)이 개구부(739)를 통해서 버튼 메커니즘(741) 쪽으로 편향될 때 오목부(751) 안으로 성형 헤드(749)가 위치된다. 사용자에 의해 버튼 메커니즘(741)이 편향 부재(745)의 편향력을 거슬러서 눌려짐에 따라, 맞물림 면들은 서로 접한 상태로 슬라이딩하여, 누름 핀(747)을 스템부(738)와 피벗 샤프트(742)를 통해서 피벗 샤프트(742)의 축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 선형 변위하게 한다. 당해 업자는 도시된 버튼 메커니즘(741)이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다양한 유형의 버튼 메커니즘들 중의 하나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버튼 메커니즘은 다른 방향으로(예를 들면, 누름 핀의 변위 방향으로 직선으로) 가압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적절한 설계 선택에 의해서, 임의의 이러한 버튼의 운동은 피벗 샤프트(742)의 축을 따라 이루어지는 누름 핀(747)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당해 업자는 이러한 운동이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3 실시예의 버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는 것을 또한 인식할 것이다.Traction handle 704 also includes a handle pivot pin 747 and a handle pivot shaft 742 extending across stem portion 738 in a generally perpendicular relationship to handle grip portion 734. The handle pivot shaft 742 is preferably generally tubular and has a central through hole 842 through which the handle push pin 747 can make a sliding movement. Pivot shaft 742 is also in a generally free floating state with respect to button mechanism 741 but is generally rigidly attached to stem portion 738. The push pin 747 is designed to convert the movement by the user's pressing of the button mechanism 741 into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push pin 747 through the through hole 842 in the pivot shaft 742.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is is done by designing the push pin 747 with a forming head 749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on one side thereof. And the button mechanism 741 has a recess 751 of a corresponding size when the button mechanism 741 is deflected through the opening 739 toward the button mechanism 741 by a deflection mechanism (not shown). Molding head 749 is positioned into recess 751. As the button mechanism 741 is pressed against the biasing force of the biasing member 745 by the user, the mating surfaces sl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pushing the push pin 747 into the stem portion 738 and the pivot shaft 742. ) To linearly displace by a distance along the axis of the pivot shaft 742.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button mechanism 741 shown is only one of many different types of button mechanisms that may be used. In other embodiments, the button mechanism may be designed to press in different directions (eg, in a straight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displacement of the push pin), and by appropriate design choices, the movement of any of these buttons may be pivot shaft 742. It can be converted into a linear motion of the push pin 747 along the axis of. The practitioner will also recognize that this exercise is also achieved by the button of the third embodiment, which may alternatively be used.

누름 핀(747)과 관통 구멍(842)이 원형이 아닌 횡단면을 갖거나, 누름 핀(747)이 피벗 샤프트(742)에 대해서 피벗 샤프트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 혹은 관통 구멍(842) 내에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누름 핀(747)과 관통 구멍(842) 모두는 일반적으로 그 횡단면이 다각형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횡단면이 정사각형이다.The push pin 747 and the through hole 842 have a non-circular cross section, or the push pin 747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pivot shaft relative to the pivot shaft 742 or within the through hole 842. It is preferable to prevent rota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both the push pin 747 and the through hole 842 are generally polygonal in cross section and more preferably square in cross section.

누름 핀(747)의 베이스에는 패들(771)이 고정된다. 패들(771)은 도 22에는 다른 구조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도면에서는 핸들(704) 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패들(771)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면 형상이며, "화살촉"형상일 수 있으나, 당해 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패들(771)은, 누름 핀(747)의 선형 변위가 패들(771)의 선형 변위를 야기하고 누름 핀(747)이 패들(771)에 대해서 피벗 샤프트(742)의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누름 핀(747)에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는 누름 핀(747)을 중공형으로 만들고 패들 핀(890)을 패들(771)의 모서리에 부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패들의 상세 사항이 도 22에 도시어 있다. 패들 핀(890)은 바람직하게는 패들 핀(890)이 누름 핀(747)의 중공 중심 내에서 피벗 샤프트(742)의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원통형 구조 또는 다른 유형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조립하기 위해서, 패들 핀(890)이 누름 핀(747)의 중공 중심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나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들 핀(890)을 누름 핀(747) 안으로 가능한 한 깊숙이 삽입하도록 패들(771)은 편향 메커니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누름 핀(747) 쪽으로 편향된다. 패들(771)의 직선 운동은 누름 핀(747)이 버튼 메커니즘(741)에 의해서 변위될 때 패들(771)의 모서리 및/또는 패들 핀(890)에 대해서 가압하는 누름 핀(747)의 외부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The paddle 771 is fixed to the base of the push pin 747. Paddle 771 is shown in FIG. 22 in a separate state from other structures but in another view as being within handle 704. Paddle 771 is generally a plan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be an "arrowhead" shape, but other shapes may be used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Paddle 771 is such that linear displacement of push pin 747 causes linear displacement of paddle 771 and push pin 747 can rotate freely about axis of pivot shaft 742 with respect to paddle 771. Is attached to the push pin 747.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is is done by making the push pin 747 hollow and attaching the paddle pin 890 to the edge of the paddle 771. Details of these paddles are shown in FIG. 22. Paddle pin 890 is preferably of cylindrical or other type structure such that paddle pin 890 can freely rotate about the axis of pivot shaft 742 within the hollow center of push pin 747. To assemble this structure, a paddle pin 890 is located inside the hollow center of the push pin 747. The paddle 771 is then biased towards the push pin 747 by a deflection mechanism (not shown) to insert the paddle pin 890 as deep as possible into the push pin 747 as shown in FIG. 21. The linear motion of the paddle 771 is an external structure of the push pin 747 that presses against the edge of the paddle 771 and / or the paddle pin 890 when the push pin 747 is displaced by the button mechanism 741. Is achieved by

피벗 샤프트(742)의 베이스에는, 슬롯 링(751)과 구조가 유사한 슬롯 링(773)과 칼라(873)가 포함된다. 슬롯 링(773)은 일반적으로 이 슬롯 링을 관통하는 적어도 2개의 공통 평면상의 평행한 슬롯(874)을 포함한다. 슬롯(874) 각각은 패들(771)의 두께와 비슷한 폭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슬롯 링(751)에 있는 슬롯(753)과 유사하다. 제2 관통 구멍(728)이 단부 캡(716)의 접촉 표면 및 그 결부된 칼라(846 또는 848) 및 슬롯 링(751)을 관통할 수 있는 것과 매우 흡사한 방식으로 관통 구멍(842)이 상기 칼라(873)와 상기 슬롯 링(773)을 관통한다.The base of the pivot shaft 742 includes a slot ring 773 and a collar 873 that are similar in structure to the slot ring 751. Slot ring 773 generally includes parallel slots 874 on at least two common planes through the slot ring. Each of slots 874 has a width similar to the thickness of paddle 771 and is generally similar to slot 753 in slot ring 751. The through-hole 842 is formed in a manner very similar to that the second through-hole 728 can penetrate the contact surface of the end cap 716 and its associated collar 846 or 848 and the slot ring 751. It passes through the collar 873 and the slot ring 773.

핸들의 2축 운동의 로킹 및 로킹 해제는 패들(771)을 버튼 메커니즘(741)의 누름 및 누름의 결여에 기초하여 두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도 21a에 도시된) 제1의 위치에서, 패들(771)은 상기 슬롯 링(751) 각각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753) 및 슬롯 링(773)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973)(하지만, 일반적으로 2개의 평행한 슬롯)에 위치된다. (도 21b에 도시된) 제2의 위치에서는, 패들이 슬롯으로부터 슬롯 링(751)이 슬롯 링(773)을 둘러싸면서 그 위에 있는 개구부 내의 공간으로 직선 변위되었다. 패들(771)은 중간 부재(706)의 중공 내부 안으로 변위되었고, 슬롯(874 및 753)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이들 위치는 각각 "로킹" 위치 및 "로킹 해제" 위치에 해당된다.Th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biaxial movement of the handle is obtained by moving the paddle 771 between the two positions based on the lack of pressing and pressing of the button mechanism 741. In a first position (shown in FIG. 21A), paddle 771 includes at least one slot 753 in each of slot slots 751 and at least one slot 973 in slot ring 773 ( However, they are generally located in two parallel slots). In the second position (shown in FIG. 21B), the paddle has been linearly displaced from the slot into the space in the opening above the slot ring 751 surrounding the slot ring 773. Paddle 771 has been displaced into the hollow interior of intermediate member 706 and is away from slots 874 and 753. These positions correspond to the "locked" position and the "unlocked" position, respectively.

로킹 및 로킹 해제 동작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동작 중에 중간 부재(706)와, 피벗 샤프트(742) 및 단부 캡(716)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 가장 쉽다. 중간 부재는 피벗 샤프트(742)의 칼라(873)를 중심으로 중간 부재의 융기 모서리(850)를 회전시킴으로써 피벗 샤프트의 접촉 표면(973)과 스템부(738)의 접촉 표면(740)이 중간 부재(706)의 접촉 표면(750)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방법으로, 단부 캡(716)의 접촉 표면(726)도 적절한 융기 모서리(846 또는 848)를 적절한 칼라(791) 위에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접촉 표면(746 또는 748)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it is easiest to describe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intermediate member 706 with the pivot shaft 742 and the end cap 716 during operation. The intermediate member rotates the raised edge 850 of the intermediate member about the collar 873 of the pivot shaft 742 so that the contact surface 973 of the pivot shaft and the contact surface 740 of the stem portion 738 are the intermediate member. It is desirable to allow free rotation on the contact surface 750 of 706. In the same way, the contact surface 726 of the end cap 716 can also rotate freely on the contact surface 746 or 748 by causing the appropriate raised edge 846 or 848 to rotate over the appropriate collar 791.

패들(771)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핸들(704)은 제2 실시예에 의해서 허용된 운동과 유사한 2개의 상관 운동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 중간 부재(706) 및 스템부(738)가 회전하는 중심이 되는 제2 실시예의 2개의 핀의 사용은 단부 캡(716)의 칼라(791)를 중심으로 한 융기 모서리(846 및/또는 848)의 회전 및 중간 부재(706)의 융기 모서리(850) 상의 피벗 샤프트의 칼라(873)의 회전으로 대체된다. 특히, 핸들(704)은 피벗 샤프트(742)와 함께 중간 부재(706)에 대해서 회전함으로써 피벗 샤프트(742)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 중간 부재(706)와 핸들(704)은 단부 캡(716)의 접촉 표면(726)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운동은 핸들이 2개의 다른 축(일반적으로 두 축은 수직임)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운동과 유사하다. 이들 축은 대체로 가방에 대해서 제2 실시예의 축과 유사한 정렬 상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배열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구조에 의해서 이들 두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만이 허용되며, 다른 모든 운동은 중간 부재(706)와, 핸들(704) 또는 단부 캡(716)의 구조에 의해서 방지된다는 것도 또한 알 수 있다.Assuming no paddle 771 is present, handle 704 can rotate at two correlated movement angles similar to the motion allowed by the second embodiment. In this case, however, the use of the two pins of the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intermediate member 706 and the stem 738 are rotated, is a raised edge 846 about the collar 791 of the end cap 716. And / or rotation of 848 and rotation of collar 873 of the pivot shaft on raised edge 850 of intermediate member 706. In particular, the handle 704 can rotate about the axis of the pivot shaft 742 by rotating about the intermediate member 706 with the pivot shaft 742.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member 706 and the handle 704 can rotate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contact surface 726 of the end cap 716. This movement is similar to the movement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second embodiment, which allows the handle to rotate about two different axes (generally two axes are vertical). These axes are generally in an alignment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bag, but this arrangement is not essential.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structure permits only rotational movements around these two axes, all other movements being prevented by the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member 706 and the handle 704 or the end cap 716. have.

패들(771)이 존재하지 않을 때 실행 가능한 운동은 패들(771)이 중간 부재(706)의 중공 내에 있을 때 실행 가능한 운동과 동일하며, 그래서 패들(771)이 로킹 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의 운동과 일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버튼 메커니즘(741)을 누를 수 있으며, 이는 존재하는 어떠한 편향력도 극복할 수 있고 이는 다시 핸들의 그립부(734)로부터 멀어지게 일직선으로 누름 핀(747)의 이동을 유발시키며, 누름 핀(747)의 이동은 다시 패들(771)을 그립부(74)로부터 멀리 밀어내어 패들을 슬롯 내부로부터 이동시킨다. 슬롯으로부터 자유로워지면, 누름 핀(747)은 패들(771) 둘레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패들(771)은 바람직하게는 당해 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방법으로 그 동일 축에 대해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데, 예를 들면 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른 핀이 패들(771)에 있는 관통 구멍(891)을 통과하도록 중간 부재(706)의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이는 도 20의 지면(紙面)에 수직할 수 있다). 패들(771)과 중간 부재(706) 조합체는 또한 단부 캡(716)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The executable motion when the paddle 771 is not present is the same as the executable motion when the paddle 771 is in the hollow of the intermediate member 706, so that the motion when the paddle 771 is in the unlocked position Matche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user can press the button mechanism 741, which can overcome any deflection forces present, which in turn moves the push pin 747 straight away from the grip portion 734 of the handle. The movement of the push pin 747 again pushes the paddle 771 away from the grip 74 and moves the paddle from within the slot. Once freed from the slot, the push pin 747 can rotate freely around the paddle 771. Paddle 771 is preferably prevented from moving about the same axis in any manner known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rough holes 891 in which other pins are in paddle 771 to prevent its rotation. It may be attached to the interior of the intermediate member 706 so as to pass through it (which may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of FIG. 20). Paddle 771 and intermediate member 706 combination may also be free to rotate relative to end cap 716.

방해되는 위치로부터 패들(771)이 이동되고 나면, 핸들(704)은 견인용 부재의 암 부분(702)에 대해서 2개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의 견인용 부재(700)의 다축 선회는 핸들(704)이 도 17a, 17b 및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될 수 있게 한다.Once the paddle 771 is moved from the obstructed position, the handle 704 can be pivoted about two axes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702 of the towing member. The multi-axis pivoting of the towing member 700 of the fourth embodiment allows the handle 704 to be oriented as shown in FIGS. 17A, 17B and 17C.

슬롯 링(773과 751)은 핸들의 그립부(734)를 소정의 위치로 로킹시키기 위한 패들의 로킹 위치를 제공한다. 패들(771)이 핸들의 그립부(734) 쪽으로 후퇴되면, 인접한 슬롯 링(751) 각각에 있는 각 슬롯으로 들어간다. 이러한 슬롯으로의 진입은 (슬롯이 패들의 두께 정도의 폭만을 갖기 때문에) 슬롯 링(751)의 중실부(solid portion)가 운동을 막으므로 본질적으로 패들이 단부 캡 사이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누름 핀이 핸들의 그립부(734)에 대해서 일직선으로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핸들의 그립부는 이제 단부 캡(716)의 접촉 표면에 수직한 축에 대해서 위치가 로킹된다.Slot rings 773 and 751 provide a locking position of the paddle for locking the grip portion 734 of the handl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paddle 771 is retracted toward grip portion 734 of the handle, it enters each slot in each of adjacent slot rings 751. Entry into this slot essentially prevents the solid portion of the slot ring 751 from rotating (since the slot is only about the width of the paddle's thickness), thus preventing the paddle from rotating about the axis between the end caps. prevent. In addition, because the push pin can only move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grip portion 734 of the handle, the grip portion of the handle is now locked in position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end cap 716.

패들(771)을 슬롯 링(773) 내의 2개의 평행한 슬롯 안으로 후퇴시킴으로써 피벗 샤프트(742)에 대해서 유사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패들(771)의 견고한 설계는 슬롯(973)을 통과하여 배치될 때 피벗 샤프트(742)가 패들(771)에 대해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패들(771)이 이 지점에서 피벗 샤프트(742)의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면, 패들(771)이 피벗 샤프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으므로 핸들(704)은 로킹되지 않지만(패들(771)은 중간 부재(706)와의 사이에 부착이 되어 있지 않으므로 중간 부재(706)와 함께 회전할 수 없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패들이 피벗 샤프트(742)상의 슬롯 링(773)의 슬롯(973) 내에 있으면, 패들(771)은 또한 단부 캡(716)상의 슬롯 링(751)의 슬롯(753) 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패들(771)이 슬롯 링(751)에 의해서 차단되므로 슬롯 링(751)은 패들(771)이 피벗 샤프트(74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또, 로킹 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 이 축에서 패들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설계는 바람직하게는 로킹된 위치에 있을 때에도 이 축에서 패들의 운동을 또한 방지한다). 이러한 차단은 누름 핀(747)과 피벗 샤프트(742)가 피벗 샤프트(742)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Similar results can be obtained for pivot shaft 742 by retracting paddle 771 into two parallel slots in slot ring 773. The rigid design of the paddle 771 prevents the pivot shaft 742 from rotating about the paddle 771 when placed through the slot 973. Now, if the paddle 771 is able to rotate freely about the axis of the pivot shaft 742 at this point, the handle 704 is not locked because the paddle 771 can rotate with the pivot shaft (the paddle ( 771 cannot rotate with intermediate member 706 since it is not attached to intermediate member 706),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lot of slot ring 773 on pivot shaft 742 ( Once in 973, paddle 771 is also in slot 753 of slot ring 751 on end cap 716. Thus, the paddle 771 is blocked by the slot ring 751 so that the slot ring 751 prevents the paddle 771 from rotating about the pivot shaft 742 (and when in the unlocked position). The design which prevents the paddle from rotating in this axis also preferably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paddle in this axis even when in the locked position). This blocking prevents the push pin 747 and the pivot shaft 742 from rotating about the axis of the pivot shaft 742.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피벗 샤프트(742)는 그 축상의 누름 핀(74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래서 누름 핀(747)과 피벗 샤프트(742)가 서로 결합되고 어느 것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으므로 두 축에서의 핸들(704)의 운동은 방지된다. 이는 로킹된 위치에 해당되며, 핸들(704)은 이 위치에 있을 때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없다.As discussed above, the pivot shaft 742 is preferably designed such that it cannot rotate about the push pin 747 on its axis, so that the push pin 747 and the pivot shaft 742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which Neither can it rotate freely, so movement of the handle 704 in both axes is prevented. This corresponds to the locked position, and the handle 704 cannot move in either direction when in this position.

어느 슬롯이라도 패들(771)과 일직선으로 정렬된다면, 패들(771)은 슬롯(973과 753) 내의 위치로 편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들(771)은 들어갈 수 있는 슬롯이 있는 경우에는 그 슬롯 내의 위치로 복귀하려고 한다. 슬롯 링(773과 751)은 사용자가 그립부(734)를 약간 이동시킬 수 있게 버튼 메커니즘(741)을 누르고, 그리고 나서 버튼 메커니즘(741)을 해제시키며, 그 후에 링 내에 슬롯이 있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원래의 위치와 원하는 위치 사이에 슬롯이 없다고 가정한다. 패들(771)이 한 세트의 슬롯과 일직선을 이루지 않을 때 버튼 메커니즘(74)이 해제되면, 패들(771)은 슬롯 안으로 후퇴할 수 없고, 슬롯 링(773 및/또는 751)의 표면까지만 후퇴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패들(771)이 일련의 슬롯과 일직선으로 정렬되고 슬롯 안으로 들어가서 그립부(734)의 움직임을 방지할 때까지, 패들(771)은 링의 표면 위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으며, 그립부(734)의 운동을 막지 않는다.If any slot is aligned in line with paddle 771, paddle 771 is preferably biased to a position in slots 973 and 753. The paddle 771 attempts to return to a position within that slot if there is a slot into it. Slot rings 773 and 751 press the button mechanism 741 to allow the user to move the grip portion 734 slightly, and then release the button mechanism 741, and then move to the desired position with the slot in the ring. As can be seen, assume that there is no slot between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desired position. If the button mechanism 74 is released when the paddle 771 is not aligned with a set of slots, the paddle 771 cannot retreat into the slot and only retract to the surface of the slot rings 773 and / or 751. do. In this position, the paddle 771 can move smoothly over the surface of the ring until the paddle 771 is aligned with the series of slots and enters the slot to prevent the grip 734 from moving, and the grip portion 734 Does not prevent movement).

도 20과 2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슬롯 링(773과 751)의 크기 때문에, 패들(771)을 한 세트의 슬롯(973 또는 753) 안으로 후퇴시키기 위해서는, 하나의 슬롯 링이 패들(771)이 다른 슬롯 링 안으로 후퇴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패들(771)은 제2 세트의 슬롯(973 또는 753) 안으로도 후퇴될 수 있어야 함을 또한 알 수 있다. 이는 사용자도 두 운동축 모두를 자유 상태로 또는 로킹 상태로 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도 몇 가지 이점을 제공하는 한편, 당해 업자는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일련의 슬롯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여전히 차단되는 경우에도, 패들(771)은 일련의 슬롯 안으로 들어가도록 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0 and 21, because of the size of the slot rings 773 and 751, one slot ring is used to retract the paddle 771 into a set of slots 973 or 753.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the paddle 771 should be retractable into the second set of slots 973 or 753 as it prevents it from being retracted into another slot ring. This means that the user has also set both axes free or locked. While this structure also provides some advantages,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in other embodiments, paddle 771 may be adapted to enter a series of slots even if it is still blocked from entering another series of slots. .

슬롯(973과 753)은 사용자가 핸들(704)의 위치가 로킹되기를 원하는 사전 선정된 위치에 일치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핸들(704)은 그 위치가 로킹되기를 바라는 소정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 상태는 도 17a와 17b, 및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의 위치를 바꿀 수 있는 자유를 제공해 주는데, 도 17a 및 17b는 하나의 축을 공유하는 2개의 다른 위치가 달성되는 방법을 나타내며, 도 17c는 2개의 축 모두가 조정된 로킹된 위치를 나타낸다. 핸들(704)이 도 17a, 17b 및 17c의 위치에서 로킹 메커니즘에 의해서 고정되므로, 사용자는 핸들(704)을 사전 선택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손목의 근육 조직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Slots 973 and 753 may be selected to match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 the user wishes to lock the position of handle 704. In this way, the handle 704 can be moved to the desired position where it wishes to be locked. This locking state gives the user the freedom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handle as shown in FIGS. 17A, 17B and 17C, which show how two different positions sharing one axis are achieved. 17C shows the locked position with both axes adjusted. Since the handle 704 is secured by the locking mechanism in the positions of FIGS. 17A, 17B and 17C, the user does not need to use muscle tissue of the wrist to hold the handle 704 in the preselected position.

제4 실시예의 몇몇 형태에서는, 버튼 메커니즘(741)의 누름에 의해서 암 부분(702)을 연장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로킹 메커니즘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단부 캡(716) 중 적어도 하나에 추가적인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캡 내에 불릿 샤프트(691)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제2의 관통 구멍(728) 내에서 및 단부 캡(716) 안으로 일직선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사용자가 버튼 메커니즘(741)을 누름에 의해서 패들(771)이 중간 부재(706) 안으로 가압됨에 따라, 불릿 샤프트(691)는 단부 캡(716) 안으로 가압될 수 있다. 패들(771)의 화살촉 형상은 버튼 메커니즘(741)이 누름 핀(747)에 작용하는 것과 매우 흡사한 방법으로 불릿 샤프트(601)의 대향 경사면에 작용할 수 있다. 그러면, 불릿 샤프트(601)는 다시 제1의 관형 섹션(802)을 관통하여 연장된 핸들 샤프트(811)를 누를 수 있다. 제1의 관형 섹션(802)의 근접 단부(808)를 나타내는 도 24 및 25로 넘어가면, 핸들 샤프트(811)는 신장되어 키 패들(key paddle)(603)을 동작시키는 상호작용 캡(605)을 누를 수 있으며, 이 키 패들(603)은 확장 핀(607)을 단부 캡(811)에 있는 구멍(609) 안으로 후퇴시킨다. 확장 핀(607)은 바람직하게는 핸들 샤프트(811)가 버튼 메커니즘(741)의 변위에 의해서 변위되지 않았을 때, 구멍(609)으로부터 돌출하여 제2의 관형 섹션(902)에 있는 개구(809)를 관통하도록 편향된다. 이 개구(809)를 관통하면, 관형 섹션(802와 902)은 서로에 대해서 연장된 상태로 고정되며, 확장 핀(607)이 두 관형 섹션의 서로에 대한 이동을 차단하므로 후퇴되지 않을 수 있다.In some forms of the fourth embodiment, it may also be desirable to press the button mechanism 741 to release the locking mechanism that holds the arm portion 702 in an extended state. This may be accomplished by including an additional structure in at least one of the end caps 716. As shown in FIG. 23, a bullet shaft 691 may be included in the end cap, which is designed to be able to slide straight in the second through hole 728 and into the end cap 716. As the paddle 771 is pressed into the intermediate member 706 by the user pressing the button mechanism 741, the bullet shaft 691 can be pressed into the end cap 716. The arrowhead shape of the paddle 771 may act on the opposite inclined surface of the bullet shaft 601 in a manner very similar to that of the button mechanism 741 acting on the push pin 747. The bullet shaft 601 may then press the handle shaft 811 extending through the first tubular section 802 again. Turning to FIGS. 24 and 25 showing the proximal end 808 of the first tubular section 802, the handle shaft 811 is extended to operate an interaction cap 605 to operate a key paddle 603. This key paddle 603 retracts the expansion pin 607 into the hole 609 in the end cap 811. The expansion pin 607 is preferably an opening 809 in the second tubular section 902 protruding from the hole 609 when the handle shaft 811 is not displaced by the displacement of the button mechanism 741. Deflected to pass through. Through this opening 809, the tubular sections 802 and 902 are secured in an extended stat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may not retreat because the expansion pins 607 block the movement of the two tubular sections with respect to each other.

버튼 메커니즘(741)이 사용자에 의해서 눌려지면, 그에 따라 두 선회 축에서의 핸들의 그립부(734)의 운동을 해제시킴과 동시에, 암 부분(702)이 역방향으로 망원경식으로 포개어질 수 있도록 암 부분의 로킹을 해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당해 업자는, 예를 들면 암 부분(702)이 연장될 수 있도록 록을 해제하는 것과 같이, 또 다른 로킹 메커니즘을 해제하기 위해서 구성 요소들의 운동은 더 변환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논리적인 연속선상에서, 견인용 부재(700)의 임의의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운동을 로킹 해제시키기 위해서 단일 버튼 누름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래서, 견인용 부재(700)의 단일 버튼 해제가 달성될 수 있다.When the button mechanism 741 is pressed by the user, the arm portion allows the arm portion 702 to be telescopically folded in the reverse direction, while releasing the movement of the grip portion 734 of the handle in both pivot axes. It is possible to unlock it. The skilled person will also understand that the movement of the components can be further transformed to release another locking mechanism, such as for example to release the lock so that the arm portion 702 can be extended. On a logical continuation line, a single button press may be used to unlock the motion of other portions of any portion of the traction member 700. Thus, a single button release of the towing member 700 can be achieved.

당해 업자는 도 17 내지 도 25에 도시된 제4 실시예는 핸들의 2축에서의 운동을 해제시킬 수 있는 로킹 메커니즘, 및 다른 로킹 메커니즘의 선택적인 해제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과도한 실험 없이 다른 구조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히 버튼 누름에 의해서 2축 운동만이 해제될 뿐 다른 운동으로 변환되지 않는다면, 패들(771)은 "화살촉"이 아닌 다른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또, 2개의 운동축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버튼 메커니즘의 누름을 가능케 하는 로킹 메커니즘으로서, 패들과 슬롯 링의 로킹 메커니즘이 사용될 필요는 없고, 다른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간략하게 논의된 바와 같이, 2개의 운동축이 동시에 해제될 필요는 없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축 운동 중 하나가 다른 축 운동보다 먼저 해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먼저 해제할 운동을 선택하거나, 2개의 축 모두를 동시에 해제하도록 선택할 수 있거나, 혹은 운동 해제와 관련된 다른 상호 관계가 이용될 수도 있다.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understands that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s. 17 to 25 is only one embodiment for the locking mechanism capable of releasing movement in two axes of the handle, and the selective release of the other locking mechanism. will be. Other structures can also be used without undue experimentation. For example, paddle 771 may have a shape other than "arrowhead", especially if only two-axis movements are released by button presses and not converted to other movements. In addition, as a locking mechanism that enables the pressing of the button mechanism to release the two axes of movement, the locking mechanism of the paddle and the slot ring need not be used, and other structures may be used. Moreover, as discussed briefly, two axes of motion need not be released simultaneously, in other embodiments, one of the axis motions may be released before the other axis motion, and the user first selects the motion to release or For example, one may choose to release both axes at the same time, or other interrelationships related to the release of motion may be used.

본 발명이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연계되어 설명되었지만, 이를 상세하게 설명된 모든 것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설명된 실시예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당해 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it should not be taken as limiting all of the details described.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other embodiments that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understood to be inclu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으로 견인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 분야, 보다 구체적으로, 견인용 부재의 암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며 복수의 위치에서 로킹될 수 있는 견인용 핸들을 구비한 견인용 부재에 이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travelable luggage, more specifically, towing, which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arm portion of the towing member and which can be locked in a plurality of positions. It can be used for the member.

Claims (54)

가방과With bag 상기 가방에 연결되며 휠 회전축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휠과,At least one wheel connected to the bag and having a wheel axis of rotation; 대향의 근접 단부와 말단 단부를 구비한 소정 길이를 갖는 암 부분으로서, 상기 암 부분의 근접 단부는 가방에 동작 가능하게 고정되는 암 부분과,A arm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aving opposite proximal and distal ends, the proximal end of the arm portion being operatively fixed to the bag;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을 하도록 상기 암 부분의 상기 말단 단부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견인용 핸들을A traction handle operably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rm portion for pivoting about at least two pivot axes relative to the arm portion; 포함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Hand towing bag contain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하나는 상기 휠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Wherein said one of said at least two pivot axes is oriented substantially parallel to said wheel axis of rot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은 서로 교차하는 제1의 축 및 제2의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Wherein said at least two pivot axes comprise a first axis and a second axis that intersect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암 부분이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보다 상기 암 부분이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견인용 핸들이 상기 가방에 더 가까이 위치하도록 상기 암 부분은 상기 가방에 대해서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The arm portion is between an extended and retract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g such that the tow handle is located closer to the bag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than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extended position. Hand towing bag, characterized in that movabl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암 부분은 상대적인 망원경식 이동이 가능하도록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된 적어도 2개의 망원경식 섹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대적인 망원경식 이동은 상기 암 부분이 상기 연장된 위치와 상기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The arm portion consists of at least two telescopic sections slidably attached to each other to allow relative telescopic movement, wherein the relative telescopic movement is movable between the extended and the retracted positions of the arm portion. Hand towing bag characterized by lett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핸들을 상기 암 부분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부재로서,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핸들이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제1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하도록 상기 암 부분에 선회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핸들이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제2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하도록 상기 핸들에도 또한 선회식으로 연결되는 중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An intermediate member operatively connecting the handle to the arm portion, the pivot member pivoting on the arm portion such that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handle pivot about a first axis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relative to the arm portion; And an intermediate member also pivotally connected to the handle such that the handle pivots about a second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arm portion. Bag.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1의 축은 상기 휠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며,The first one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is orient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heel axis of rotation,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2의 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1의 피벗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내에 배향되는The second one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is oriented in a pla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pivot axis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Hand towing bag,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1의 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2의 피벗 축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And said first one of said at least two pivot axes intersects said second pivot axis of said at least two pivot ax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견인용 핸들은 T형상이며, 대향의 자유단을 갖는 기다란 핸드 그립과 상기 대향의 자유단 사이에서 상기 핸드 그립과 교차하며 이로부터 돌출하는 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스템은 상기 핸들을 상기 암 부분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The towing handle is T-shaped and includes an elongated hand grip having an opposite free end and a stem intersecting with and projecting from the hand grip between the opposite free end, the stem extending the handle to the arm portion. Hand towing bag,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vely connected to.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암 부분이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보다 상기 암 부분이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견인용 핸들이 상기 가방에 더 가까이 위치하도록 상기 암 부분은 상기 가방에 대해서 상기 연장된 위치와 상기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The arm portion is in the extended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g such that the pull handle is located closer to the bag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than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extended position. Hand towing bag, characterized in that movable between.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핸드 그립의 상기 대향의 자유단은 상기 대향의 자유단 중 하나의 단부로부터 상기 대향의 자유단 중 다른 하나의 단부로 뻗어있는 핸드 그립 축을 한정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견인용 핸들과 상기 암 부분 사이의 선회 운동은 상기 암 부분이 상기 연장된 위치에 있고 상기 가방이 손으로 견인될 때 상기 핸드 그립 축이 상기 휠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내에 수평으로 배향되도록 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견인용 핸들과 상기 암 부분 사이의 선회 운동은 또한 상기 암 부분이 상기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핸드 그립 축이 상기 휠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The opposite free end of the hand grip defines a hand grip axis extending from one end of one of the opposite free ends to the other end of the opposite free end, the traction about the at least two pivot axes Pivoting movement between the dragon handle and the arm portion causes the hand grip axis to be oriented horizontally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wheel axis of rotation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extended position and the bag is towed by hand, the at least The pivoting movement between the towing handle and the arm portion about two pivot axes also allows the hand grip axis to be oriented parallel to the wheel axis of rotation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Bag towing by hand.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핸들을 상기 암 부분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부재로서,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핸들이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제1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하도록 상기 암 부분에 선회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핸들이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제2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하도록 상기 핸들의 상기 스템에도 또한 선회식으로 연결되는 중간 부재를An intermediate member operatively connecting the handle to the arm portion, the pivot member pivoting on the arm portion such that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handle pivot about a first axis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relative to the arm portion; An intermediate member also pivotally connected to the stem of the handle such that the handle pivots about a second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arm portion. 더 포함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Hand towing bag that contains mor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1의 축은 상기 휠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며,The first one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is orient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heel axis of rotation,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2의 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1의 피벗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내에 배향되는The second one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is oriented in a pla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pivot axis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Hand towing bag, characterized in that. 가방과With bag 상기 가방에 연결되며 휠 회전축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휠과,At least one wheel connected to the bag and having a wheel axis of rotation; 대향의 근접 단부와 말단 단부를 구비한 소정 길이를 갖는 암 부분으로서, 상기 암 부분의 근접 단부는 가방에 동작 가능하게 고정되는 암 부분과,A arm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aving opposite proximal and distal ends, the proximal end of the arm portion being operatively fixed to the bag; 견인용 핸들과,Towing handle, 상기 견인용 핸들이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을 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견인용 핸들을 상기 암 부분의 상기 말단 단부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단을Means for operatively connecting the traction handle to the distal end of the arm portion in a manner such that the traction handle pivots about at least two pivot axes relative to the arm portion. 포함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Hand towing bag containing.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제1의 축은 상기 휠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며,A first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is orient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heel axis of rotation,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제2의 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1의 피벗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내에 배향되는A second one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is oriented in a pla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pivot axis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Hand towing bag, characterized in that.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1의 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2의 피벗 축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And said first one of said at least two pivot axes intersects said second pivot axis of said at least two pivot axes.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암 부분이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보다 상기 암 부분이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견인용 핸들이 상기 가방에 더 가까이 위치하도록 상기 암 부분은 상기 가방에 대해서 상기 연장된 위치와 상기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The arm portion is in the extended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g such that the pull handle is located closer to the bag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than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extended position. Hand towing bag, characterized in that movable between.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견인용 핸들은 T형상이며, 대향의 자유단 중 하나의 단부로부터 상기 대향의 자유단 중 다른 하나의 단부로 뻗어있는 핸드 그립 축을 한정하는 대향의 자유단을 포함하는 기다란 핸드 그립을 포함하며, 상기 견인용 핸들을 상기 암 부분의 상기 말단 단부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단은 상기 암 부분이 상기 연장된 위치에 있고 상기 가방이 손으로 견인될 때 상기 핸드 그립 축이 상기 휠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내에 수평으로 배향되도록 하며, 상기 견인용 핸들을 상기 암 부분의 상기 말단 단부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단은 또한 상기 암 부분이 상기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핸드 그립 축이 상기 휠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The towing handle is T-shaped and includes an elongated hand grip including an opposing free end defining a hand grip axis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opposing fre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opposing free end; Means for operatively connecting the traction handle to the distal end of the arm portion is a plane in which the hand grip axis is perpendicular to the wheel axis of rotation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extended position and the bag is towed by hand. Means for oriented horizontally within, and operatively connecting the towing handle to the distal end of the arm portion, the hand grip axis parallel to the wheel axis of rotation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Hand towing bag, characterized in that the orientation.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을 조작하는 방법으로서,As a method of operating a bag towed by hand, 적어도 하나의 휠과, 암 부분, 및 견인용 핸들을 구비한 가방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은 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가방에 연결되고, 상기 암 부분은 대향의 근접 단부와 말단 단부를 갖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암 부분의 상기 근접 단부는 상기 가방에 동작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견인용 핸들은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암 부분의 상기 말단 단부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암 부분이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보다 상기 암 부분이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견인용 핸들이 상기 가방에 더 가까이 위치하도록 상기 암 부분은 상기 가방에 대해서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견인용 핸들은 핸드 그립 축을 한정하는 기다란 핸드 그립을 포함하는, 가방을 제공하는 단계와,Providing a bag having at least one wheel, an arm portion, and a towing handle, the at least one wheel being connected to the bag to rotate about a wheel axis of rotation, the arm portion being opposite proximal ends And a proximal end having a distal end, wherein the proximal end of the arm portion is operably fixed to the bag and the towing handle is pivotable about at least two pivot axes relative to the arm portion.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rm portion, such that the tow handle is closer to the bag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than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extended position. The arm portion is movable between an extended position and a retract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g, and the towing handle moves the hand grip axis. Providing a bag comprising a definite elongated hand grip, 상기 암 부분이 상기 연장된 위치에 있고 상기 가방이 손으로 견인될 때, 상기 핸드 그립 축이 상기 휠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내에서 수평으로 뻗는 상태로 상기 견인용 핸들의 상기 핸드 그립이 배향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견인용 핸들을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선회 이동시키는 단계와,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extended position and the bag is towed by hand, the hand grip of the towing handle is oriented with the hand grip axis extending horizontally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wheel axis of rotation. In a manner, pivoting the towing handle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about the at least two pivot axes; 상기 암 부분이 상기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핸드 그립 축이 상기 휠 회전축에 평행하게 뻗는 상태로 상기 견인용 핸들의 상기 핸드 그립이 배향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견인용 핸들을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선회 이동시키는 단계를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the handgrip of the tow handle is oriented in such a way that the hand grip axis extends parallel to the wheel axis of rotation so that the at least two tow handles are oriented. Pivoting about the arm portion about a pivot axis 포함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을 조작하는 방법.How to operate a towing bag with a containing hand.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암 부분에 대한 상기 견인용 핸들의 선회 운동은,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휠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제1의 축과,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1의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내에 배향되는 제2의 축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을 조작하는 방법.The pivoting movement of the towing handle relative to the arm portion about the at least two pivot axes is a first axis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orient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heel axis of rotation, and the at least two And a second axis oriented about a second axis oriented in a pla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of the pivot axis. 견인용 핸들과,Towing handle, 상기 견인용 핸들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견인용 핸들을 가방에 고정하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된 암 부분과,An arm portion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towing handle and adapted to secure the towing handle to a bag; 상기 견인용 핸들이 상기 암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sub) 부분에 대해서 피벗 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견인용 핸들을 상기 암 부분에 연결하는 피벗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암 부분의 상기 서브 부분은 상기 견인용 핸들이 상기 암 부분을 통해서 상기 가방에 고정될 때 상기 가방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가방의 외부에 있는 상기 피벗 메커니즘과,A pivoting mechanism for connecting the towing handle to the arm portion in such a manner that the towing handle can pivot about a pivot axis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sub portion of the arm portion, the pivot mechanism The sub-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bag when the towing handle is secured to the bag through the arm part and with the pivot mechanism external to the bag; 상기 견인용 핸들과 상기 암 부분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로킹된 위치와 로킹 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로킹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로킹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견인용 핸들이 상기 피벗 축을 중심으로 상기 암 부분의 상기 서브 부분에 대해서 선회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로킹 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견인용 핸들이 상기 피벗 축을 중심으로 상기 암 부분의 상기 서브 부분에 대해서 선회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 상기 피벗 메커니즘을A locking mechanism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towing handle and the arm por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selectively movable relative to the arm portion between a locked position and an unlocked position, wherein the towing handle is in the locked position. Restricting pivoting about the sub-part of the arm portion about the pivot axis and restricting pivoting about the sub-part of the arm part about the pivot axis when in the unlocked position. Does not pivot mechanism 포함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을 위한 견인용 부재.Towing member for a hand towing bag including.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암 부분이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보다 상기 암 부분이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견인용 핸들이 상기 가방에 더 가까이 위치하도록, 상기 암 부분이 상기 가방에 부착될 때 상기 암 부분은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을 위한 견인용 부재.The arm portion is extended when the arm portion is attached to the bag such that the tow handle is closer to the bag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than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extended position. A towing member for a hand towing bag, characterized by being movable between a position and a retracted position.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견인용 부재는 릴리이스 버튼을 더 포함하며,The tow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release button, 상기 연장된 위치와 상기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암 부분을 이동시킬 수 있게 릴리이스 버튼이 눌려질 수 있도록 상기 암 부분은 상기 연장된 위치와 상기 후퇴된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로킹될 수 있으며,The arm portion can be selectively locked in the extended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such that the release button can be pressed to move the arm portion between the extended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상기 릴리이스 버튼은 또한 상기 릴리이스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로킹 메커니즘을 상기 로킹된 위치로부터 상기 로킹 해제된 위치로 이동시키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을 위한 견인용 부재.And said release button is further adapted to move said locking mechanism from said locked position to said unlocked position when said release button is pressed. 제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릴리이스 버튼은 상기 견인용 핸들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을 위한 견인용 부재.And the release button is provided on the towing handle.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피벗 메커니즘은 상기 견인용 핸들이 상기 암 부분의 상기 서브 부분에 대해서 상기 피벗 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360°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을 위한 견인용 부재.And the pivot mechanism allows the tow handle to rotate at least 360 ° about the pivot axis with respect to the sub-part of the arm portion.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견인용 핸들은 T형상이며, 대향 단부를 갖는 기다란 핸드 그립과 상기 핸드 그립 대향 단부의 중간의 상기 핸드 그립과 교차하며 이로부터 돌출하는 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피벗 축은 상기 스템을 관통하며 상기 견인용 핸들의 상기 핸드 그립에 대체로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을 위한 견인용 부재.The towing handle is T-shaped and has an elongated hand grip having opposing ends and a stem intersecting with and protruding therefrom from the hand grip in the middle of the hand grip opposing end, wherein the pivot axis passes through the stem and the towing A towing member for a hand towing ba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generally perpendicular to said hand grip of the for handle. 견인식 가방으로서,As a towing bag, 내부 컴파트먼트를 갖는 가방부와,A bag portion having an internal compartment, 상기 가방부에 대해서 휠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가방부에 장착된 적어도 2개의 휠과,At least two wheels mounted to the bag unit to rotate about a wheel axis with respect to the bag unit; 제1항에 기재된 견인용 부재를 포함하며,Comprising the tow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피벗 축은 상기 휠 축에 대체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식 가방Said pivot axis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said wheel axis 가방과,Bag, 상기 가방에 연결되며 휠 회전축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휠과,At least one wheel connected to the bag and having a wheel axis of rotation; 대향의 근접 단부와 말단 단부를 구비한 소정 길이를 갖는 암 부분으로서, 상기 암 부분의 상기 근접 단부는 상기 가방에 동작 가능하게 고정되는 암 부분과,A arm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aving opposite proximal and distal ends, the proximal end of the arm portion being operatively fixed to the bag;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을 하도록 상기 암 부분의 상기 말단 단부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견인용 핸들과,A traction handle operably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rm portion for pivoting about at least two pivot axes relative to the arm portion; 상기 견인용 핸들을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로킹 해제 및 로킹시키는 로킹 메커니즘을A locking mechanism for unlocking and locking the towing handle against the arm portion; 포함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Hand towing bag containing. 제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하나는 상기 휠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Wherein said one of said at least two pivot axes is oriented substantially parallel to said wheel axis of rotation. 제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은 대체로 수직한 관계로 서로 교차하는 제1의 축 및 제2의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Wherein the at least two pivot axes comprise a first axis and a second axis that intersect each other in a generally vertical relationship. 제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암 부분이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보다 상기 암 부분이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견인용 핸들이 상기 가방에 더 가까이 위치하도록 상기 암 부분은 상기 가방에 대해서 상기 연장된 위치와 상기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The arm portion is in the extended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g such that the pull handle is located closer to the bag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than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extended position. Hand towing bag, characterized in that movable between.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암 부분은 상대적인 망원경식 이동이 가능하도록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된 적어도 2개의 망원경식 섹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대적인 망원경식 이동은 상기 암 부분이 상기 연장된 위치와 상기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The arm portion consists of at least two telescopic sections slidably attached to each other to allow relative telescopic movement, wherein the relative telescopic movement is movable between the extended and the retracted positions of the arm portion. Hand towing bag characterized by letting.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로킹 메커니즘은 또한 상기 암 부분이 상기 연장된 위치에서 로킹될 수 있도록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And the locking mechanism is further operatively connected such that the arm portion can be locked in the extended position. 제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핸들을 상기 암 부분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부재로서,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핸들이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제1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하도록 상기 암 부분에 선회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핸들이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제2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하도록 상기 핸들의 상기 스템에도 또한 선회식으로 연결되는 중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An intermediate member operatively connecting the handle to the arm portion, the pivot member pivoting on the arm portion such that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handle pivot about a first axis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relative to the arm portion; And an intermediate member also pivotally connected to the stem of the handle such that the handle pivots about a second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arm portion. Bag towing by hand. 제3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1의 축은 상기 휠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며,The first one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is orient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heel axis of rotation,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2의 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1의 피벗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내에 배향되는The second one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is oriented in a pla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pivot axis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Hand towing bag, characterized in that.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로킹 메커니즘은 또한 상기 암 부분이 상기 후퇴된 위치에서 로킹될 수 있도록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And the locking mechanism is further operatively connected such that the arm portion can be locked in the retracted position.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암 부분은 상기 가방으로부터 곡선을 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And the arm portion curves away from the bag. 제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핸들을 상기 암 부분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부재로서,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핸들이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제1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하도록 상기 암 부분에 선회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핸들이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제2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하도록 상기 핸들에도 또한 선회식으로 연결되는 중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An intermediate member operatively connecting the handle to the arm portion, the pivot member pivoting on the arm portion such that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handle pivot about a first axis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relative to the arm portion; And an intermediate member also pivotally connected to the handle such that the handle pivots about a second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arm portion. Bag. 제3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8,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1의 축은 상기 휠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며,The first one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is orient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heel axis of rotation,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2의 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1의 피벗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내에 배향되는The second one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is oriented in a pla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pivot axis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Hand towing bag, characterized in that. 제3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9,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1의 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2의 피벗 축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And said first one of said at least two pivot axes intersects said second pivot axis of said at least two pivot axes. 제4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0, 상기 암 부분이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보다 상기 암 부분이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견인용 핸들이 상기 가방에 더 가까이 위치하도록 상기 암 부분은 상기 가방에 대해서 상기 연장된 위치와 상기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The arm portion is in the extended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g such that the pull handle is located closer to the bag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than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extended position. Hand towing bag, characterized in that movable between. 제4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상기 핸드 그립의 상기 대향의 자유단은 상기 대향의 자유단 중 하나의 단부로부터 상기 대향의 자유단 중 다른 하나의 단부로 뻗어있는 핸드 그립 축을 한정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견인용 핸들과 상기 암 부분 사이의 선회 운동은 상기 암 부분이 상기 연장된 위치에 있고 상기 가방이 손으로 견인될 때 상기 핸드 그립 축이 상기 휠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내에 수평으로 배향되도록 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견인용 핸들과 상기 암 부분 사이의 선회 운동은 또한 상기 암 부분이 상기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핸드 그립 축이 상기 휠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The opposite free end of the hand grip defines a hand grip axis extending from one end of one of the opposite free ends to the other end of the opposite free end, the traction about the at least two pivot axes Pivoting movement between the dragon handle and the arm portion causes the hand grip axis to be oriented horizontally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wheel axis of rotation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extended position and the bag is towed by hand, the at least The pivoting movement between the towing handle and the arm portion about two pivot axes also allows the hand grip axis to be oriented parallel to the wheel axis of rotation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Bag towing by hand. 제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견인용 핸들 내의 버튼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며,Further comprising a button mechanism in said towing handle, 상기 버튼 메커니즘의 일부분은 상기 견인용 핸들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하여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And a portion of the button mechanism extends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towing handle. 제4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버튼 메커니즘이 눌려질 때 상기 로킹 메커니즘은 로킹 해제되며,The locking mechanism is unlocked when the button mechanism is pressed, 상기 버튼 메커니즘이 해제될 때 상기 로킹 메커니즘은 로킹되도록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And said locking mechanism is biased to lock when said button mechanism is released. 제4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누름 핀이 관통하는 피벗 샤프트를 더 포함하며,Further comprising a pivot shaft through which the push pin penetrates, 상기 버튼 메커니즘이 눌려지면 상기 누름 핀의 선형 변위가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Hand towing bag,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button mechanism is pressed causes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push pin. 제4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5, 상기 누름 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패들을 더 포함하며,And a paddle rotatably attached to the push pin, 상기 패들의 선형 변위는 상기 로킹 메커니즘의 로킹 또는 로킹 해제를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And the linear displacement of the paddle causes locking or unlocking of the locking mechanism. 제4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견인용 핸들은 T형상이며, 대향의 자유단을 갖는 기다란 핸드 그립과 상기 대향의 자유단 사이에서 상기 핸드 그립과 교차하며 이로부터 돌출하는 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스템은 상기 견인용 핸들을 상기 암 부분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The towing handle is T-shaped and includes an elongated hand grip having an opposite free end and a stem intersecting with and projecting from the hand grip between the opposite free end, wherein the stem causes the towing handle to Hand-traction bag,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arm portion. 제4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7, 상기 버튼 메커니즘은 상기 대향의 자유단 중 하나의 단부를 통하여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And the button mechanism extends through an end of one of the opposing free ends. 제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견인용 핸들은 T형상이며, 대향의 자유단을 갖는 기다란 핸드 그립과 상기 대향의 자유단 사이에서 상기 핸드 그립과 교차하며 이로부터 돌출하는 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스템은 상기 견인용 핸들을 상기 암 부분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The towing handle is T-shaped and includes an elongated hand grip having an opposite free end and a stem intersecting with and projecting from the hand grip between the opposite free end, wherein the stem causes the towing handle to Hand-traction bag,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arm portion. 제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로킹 메커니즘은 패들과 적어도 2개의 슬롯 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And said locking mechanism utilizes a paddle and at least two slot rings. 제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로킹 메커니즘은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동시에 로킹시키거나 또는 로킹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And said locking mechanism locks or unlocks said at least two pivot axes simultaneously. 제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로킹 메커니즘은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2의 축과 별개로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 중 상기 제1의 축을 로킹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And the locking mechanism unlocks the first one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separately from the second one of the at least two pivot axes. 가방과With bag 상기 가방에 연결되며 휠 회전축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휠과,At least one wheel connected to the bag and having a wheel axis of rotation; 대향의 근접 단부와 말단 단부를 구비한 소정 길이를 갖는 암 부분으로서, 상기 암 부분의 근접 단부는 상기 가방에 동작 가능하게 고정되는 암 부분과,A arm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aving opposite proximal and distal ends, the proximal end of the arm portion being operatively fixed to the bag;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암 부분의 상기 말단 단부에 연결된 견인용 핸들과,A traction handle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rm portion in a manner such that it can pivot about at least two pivot axes relative to the arm portion; 상기 견인용 핸들을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한 운동을 방지하도록 로킹시키는 수단을Means for locking said towing handle to prevent movement about said at least two pivot axes; 포함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Hand towing bag containing.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을 조작하는 방법으로서,As a method of operating a bag towed by hand, 적어도 하나의 휠과, 암 부분, 및 견인용 핸들을 구비한 가방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은 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가방에 연결되고, 상기 암 부분은 대향의 근접 단부와 말단 단부를 갖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암 부분의 상기 근접 단부는 상기 가방에 동작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견인용 핸들은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암 부분의 상기 말단 단부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암 부분이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보다 상기 암 부분이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견인용 핸들이 상기 가방에 더 가까이 위치하도록 상기 암 부분은 상기 가방에 대해서 상기 연장된 위치와 상기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견인용 핸들은 핸드 그립 축을 한정하는 기다란 핸드 그립을 포함하는, 가방을 제공하는 단계와,Providing a bag having at least one wheel, an arm portion, and a towing handle, the at least one wheel being connected to the bag to rotate about a wheel axis of rotation, the arm portion being opposite proximal ends And a proximal end having a distal end, wherein the proximal end of the arm portion is operably fixed to the bag and the towing handle is pivotable about at least two pivot axes relative to the arm portion.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rm portion, such that the tow handle is closer to the bag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than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extended position. The arm portion is movable between the extended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g, and the towing handle is hand Providing a bag, the long hand grip defining a grip axis; 상기 암 부분이 상기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핸드 그립 축이 상기 휠 회전축에 평행하게 뻗는 상태로 상기 견인용 핸들의 상기 핸드 그립이 배향되도록, 상기 견인용 핸들을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제1의 위치로 선회 이동시키는 단계와,The pull handle is about the at least two pivot axes so that the hand grip of the pull handle is oriented with the hand grip axis extending parallel to the wheel axis of rotation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Pivoting to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상기 견인용 핸들을 상기 제1의 위치에서 로킹시키는 단계와,Locking the towing handle in the first position; 상기 견인용 핸들을 로킹 해제시키는 단계와,Unlocking the towing handle; 상기 암 부분이 상기 연장된 위치에 있고 상기 가방이 손으로 견인될 때, 상기 핸드 그립 축이 상기 휠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내에서 수평으로 뻗는 상태로 상기 견인용 핸들의 상기 핸드 그립이 배향되도록, 상기 견인용 핸들을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상기 암 부분에 대해서 제2의 위치로 선회 이동시키는 단계와,So that when the arm portion is in the extended position and the bag is towed by hand, the hand grip of the tow handle is oriented with the hand grip axis extending horizontally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wheel axis of rotation, Pivoting the towing handle to a secon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about the at least two pivot axes; 상기 견인용 핸들을 상기 제2의 위치에서 로킹시키는 단계를Locking said towing handle in said second position 포함하는 손으로 견인하는 가방을 조작하는 방법.How to operate a towing bag with a containing hand.
KR1020047007809A 2004-05-21 2002-10-08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KR200500346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07809A KR20050034630A (en) 2004-05-21 2002-10-08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07809A KR20050034630A (en) 2004-05-21 2002-10-08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630A true KR20050034630A (en) 2005-04-14

Family

ID=3723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809A KR20050034630A (en) 2004-05-21 2002-10-08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463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3279B2 (en) 2015-03-17 2018-12-04 Eddie Bauer LLC Collapsible rolling lugg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3279B2 (en) 2015-03-17 2018-12-04 Eddie Bauer LLC Collapsible rolling lugg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02195A1 (en)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US7832532B2 (en)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US6830135B2 (en) Handle assembly having a single handle rod of wheeled luggage
US6301746B1 (en) Telescoping handle assembly for luggage and other luggable items
US6857511B2 (en) Single handle rod based retractable handle assembly for wheeled luggage
US8074541B2 (en) Portable tool kit with auto-release clasp and expandable tools
US20060272126A1 (en) Spinning handle grip assembly for towable luggage item
US6874604B2 (en) Adjustable luggage handle system with locking pin
US6145417A (en) Convertible plier tool
US7438308B2 (en) Ergonomic telescoping handle assembly for wheeled luggage
US20060076203A1 (en) Luggage handle system with pivot grip
US20020050429A1 (en)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EP2168641A1 (en) Stick knob
US20020144874A1 (en)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EP1852031B1 (en) Rotatable towing arrangement
US20020014382A1 (en) Combination carrying handle and retractable handle
EP1588643B1 (en) Luggage with pivotable handle
US20050087415A1 (en) Rotatable handle for towable luggage
US20050241900A1 (en) System for an adaptable handle to transport wheeled luggage
KR20050034630A (en)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JP2006517418A (en) Swivel handle for towable baggage
CN213502759U (en) Folding joint
AU2002348532A1 (en)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EP1604083B1 (en) Selectively rotatable handle assembly for towable luggage
NZ533119A (en)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