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903A -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의 조사설문지 및 조사방법 - Google Patents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의 조사설문지 및 조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903A
KR20050029903A KR1020030066172A KR20030066172A KR20050029903A KR 20050029903 A KR20050029903 A KR 20050029903A KR 1020030066172 A KR1020030066172 A KR 1020030066172A KR 20030066172 A KR20030066172 A KR 20030066172A KR 20050029903 A KR20050029903 A KR 20050029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food
habits
survey
ha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기철
이라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030066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9903A/ko
Publication of KR20050029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90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의 조사설문지 및 조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험자에게 특정한 음식과 활동에 대해 식별번호가 표기된 조사메뉴를 제공하여 해당 식별번호를 기재용지에 기재하도록 함으로써 조사결과의 입력에 소요되는 노력이나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명과 섭취분량 및 음식번호가 기재된 음식메뉴로부터 해당되는 피험자의 음식번호가 검색되는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음식번호가 각각의 요일마다 아침, 점심, 저녁, 간식별로 나누어 기재용지에 기재되는 기재단계와; 상기 기재단계에서 기재된 음식번호가 칼로리 분석소프트웨어에 입력되는 입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습관 조사방법과,
활동명과 종류나 강도 및 활동번호가 기재된 활동메뉴로부터 해당되는 피험자의 활동번호가 검색되는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활동번호와 활동시간이 각각의 요일마다 기재용지에 기재되는 기재단계와; 상기 기재단계에서 기재된 활동번호 및 활동시간이 칼로리분석 소프트웨어에 입력되는 입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습관 조사방법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의 조사설문지 및 조사방법 {Inquiry paper and method for meal and activity habit }
본 발명은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의 조사설문지 및 조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특정한 음식과 활동에 대해 식별번호가 표기된 조사메뉴를 제공하여 해당 식별번호를 기재용지에 기재하도록 한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의 조사설문지 및 조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의 식사습관 및 활동습관을 조사하는 것은 피험자의 영양상태 분석이나 생활 습관의 교정 및 비만, 당뇨, 고혈압 등 질환의 개선 등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일이다.
식사습관의 분석을 통해 평소 즐겨 먹는 음식, 많이 섭취하는 영양소, 부족한 영양소, 섭취하는 칼로리의 총량 등을 알 수 있고, 활동습관의 분석을 통해서는 평소의 운동 습관이나 출퇴근, 업무 등의 활동으로 소비하는 칼로리의 총량을 알 수 있다.
또한, 두 가지 분석을 비교, 평가하여 식사를 통해 섭취하는 칼로리와 활동을 통해 소비하는 칼로리 사이의 균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의사나 영양사, 운동처방사 등은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피험자의 잘못된 식습관을 개선하고 부족한 활동이나 운동을 보충할 수 있는 식사처방, 운동처방을 내릴 수 있다.
이러한 식사, 활동 습관의 조사에 있어서 기존의 방법들은 대체로 일대일 상담이나 설문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활용되어 왔다.
일대일 상담은 간호사나 의사가 직접 환자를 대면한 상태에서 환자의 식사, 활동 습관을 문진하는 형식으로, 시간의 제약상 현실적으로 꼼꼼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환자에게 미리 소정 양식의 설문지를 제공하여 이를 미리 작성해 오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이는 대체로 표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날짜와 요일, 끼니 등이 구분된 공란 형식의 표로써, 해당 날짜 혹은 요일, 끼니에 해당하는 식사 내용, 활동 및 운동량을 피험자가 직접 기재 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표 1>
9/15 월 9/16 화 9/17 수 9/18 목 9/19 금 9/20 토 9/21 일
아침 토스트 2개우유 1개 - 김밥 1줄오렌지 주스 계란후라이시리얼 1그릇우유 1개 (생략) (생략) (생략)
점심 된장찌개공기밥 1공기김치 1접시멸치볶음햄구이 3개 해물스파게티1인분피클 5개 자장면 1그릇단무지군만두 4개 부대찌개1인분공기밥 1공기콩자반 약간계란찜 약간 (생략) (생략) (생략)
저녁 설렁탕 1그릇공기밥 1공기깍두기 1접시계란찜 반개 공기밥 1공기근대국 1그릇감자볶음김구이 5장 김치볶음밥1인분샐러드 1접시뱅어포 4장 삼겹살 1인분소주 반병공기밥반그릇각종 야채 (생략) (생략) (생략)
간식 커피 2잔사과 1개과자 1봉지 아이스크림1개 커피 1잔초코렛 1개 베이글 1개 (생략) (생략) (생략)
운동 조깅 1시간 - 수영 1시간 - 산책 30분 - 등산 3시간
기타 직업 : 회사원출퇴근 형태 : 자가용흡연, 음주 여부 : 1주일에 1~2회 음주(약 소주 1병)평균 수면 시간 : 7시간
그러나, 상기 설문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기재의 자유로움에 의해 실질적이고 정확한 조사가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반대로 음식의 종류나 활동의 종류 등이 제약 없이 표현되어 섭취분량의 주관적 판단, 음식명이나 활동의 불명확한 전달 등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많은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전문가가 일일이 음식의 섭취량, 활동 시간 등을 계산하여 영양 섭취 비율이나, 칼로리 등을 산출하는 것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매우 단순하며 지루한 작업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러한 부분은 상용 칼로리 분석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대로 환자가 자유롭게 기재한 내용을 소프트웨어의 형식에 맞춰 입력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소모되는 일이다.
일본 공개번호 특개2003-30332호, 30333호, 30334호에 기재된 칼로리 관리장치는 터치패널과 터치팬 및 마이크로폰이 구비되어 터치팬을 통한 수동입력과, 음성인식을 통한 음성입력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칼로리 관리장치는 터치패널 유닛 및 음성인식 유닛 등 여러가지 모듈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장치의 가격이 올라가게 되고, 입력시에 대화형 방식에 의해 다수의 단계를 거쳐서 음식명과 섭취량을 입력하게 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활동에 의해 소비되는 칼로리에 대한 정보가 없이 섭취한 음식에 대해서만 입력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체 칼로리 사이의 균형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을 편리하고 빠르게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피험자가 미리 기재해 온 식사 및 활동 내역을 간편하게 상용 소프트웨어에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사습관 조사를 통한 섭취 칼로리량뿐만 아니라 활동습관 조사를 통해 소비되는 칼로리량을 분석하여 전체 칼로리의 균형 여부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식사습관 조사방법은,
음식명과 섭취분량 및 음식번호가 기재된 음식메뉴로부터 해당되는 피험자의 음식번호가 검색되는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음식번호가 각각의 요일마다 아침, 점심, 저녁, 간식별로 나누어 기재용지에 기재되는 기재단계와; 상기 기재단계에서 기재된 음식번호가 칼로리 분석소프트웨어에 입력되는 입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활동습관 조사방법은,
활동명과 종류나 강도 및 활동번호가 기재된 활동메뉴로부터 해당되는 피험자의 활동번호가 검색되는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활동번호와 활동시간이 각각의 요일마다 기재용지에 기재되는 기재단계와; 상기 기재단계에서 기재된 활동번호 및 활동시간이 칼로리분석 소프트웨어에 입력되는 입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식사습관 조사방법 중 상기 기재단계는 3일이상 기재되며, 술이나 패스트 푸드를 주 3회이상 먹는 경우 기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식은 한식, 양식, 중식, 일식, 음료, 과일 등의 음식 종류별로 분류하고, 다시 이를 다시 주식, 부식, 국, 탕, 일품요리, 빵, 차, 유제품, 과일 등의 음식 특징별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활동습관 조사방법은 활동을 출근퇴근, 직업활동, 운동, 취미여가, 기본생리 등의 활동 종류별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운동은 규칙적으로 행하여 지는 것만을 기재하도록 하며, 계획중이거나 희망했던 희망운동을 포함시킬 수 있다. 평일의 활동이 비슷한 경우 평일활동 동일란에 표시하고, 월요일, 토요일, 일요일에 대해 작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음식 및 활동메뉴는 음식 및 활동의 사진이 포함되어 피험자가 알아보기 쉽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사방법에 사용되는 설문지는 음식명과 섭취분량 및 음식번호가 기재된 음식메뉴와, 요일이 기재된 가로 항목과, 아침, 점심, 저녁, 간식으로 구성되는 세로 항목으로 구성되어 음식번호가 기재되는 기재용지로 구성되는 식사습관 조사설문지와; 활동명과 종류나 강도 및 활동번호가 기재된 활동메뉴와, 요일이 기재된 가로 항목과, 출근퇴근, 직업활동, 운동, 취미여가, 기본생리로 구성되는 세로 항목으로 구성되어 활동번호 및 활동시간이 기재되는 기재용지로 구성되는 활동습관 조사설문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의 조사설문지 및 조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사습관 및 활동습관 조사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식사습관, 활동습관을 조사하는 과정은 피험자가 메뉴를 보고 해당되는 식별번호를 찾아내는 검색단계(S1)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식별번호를 기재용지에 기재하는 기재단계(S2)와, 상기 기재단계에서 작성된 기재용지를 소프트웨어에 입력하는 입력단계(S3)와, 입력된 데이타를 처리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처리단계(S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검색단계(S1)는 먼저 피험자가 식사습관과 활동습관 조사메뉴를 제공받는 것으로 시작된다.
상기 조사메뉴는 소책자 혹은 카탈로그 형식으로 미리 특정한 음식과 활동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어서, 피험자가 정해진 음식과 활동 내에서 선호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방법은 각각의 조사메뉴와 기재용지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사습관 조사방법에 사용되는 음식메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사습관 조사방법에 사용되는 기재용지이다.
먼저, 도 2의 음식메뉴를 살며보면 한식, 양식, 중식, 일식, 음료, 과일 등과 같이 음식을 종류별로 구분 지은 다음, 음식의 특징별로 주식, 부식, 국, 탕, 일품요리, 빵, 차, 유제품, 과일 등으로 대분류(11)로 구분하였다.
상기 대분류(11)는 다시 이를 세분화한 소분류(13)로 구분되는데, 예를 들면 대분류(11) 주식은 쌀밥, 콩밥, 잡곡밥, 현미밥 등의 소분류(1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식사습관 조사메뉴는 피험자가 알아보기 쉽도록 각 소분류(13)에 해당하는 각각의 음식이 음식명과 사진(15)으로 표현되어 음식을 정확히 식별하고 섭취분량을 사진을 통해 상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음식에는 각각 음식의 섭취량(17)을 표현할 수 있는 단위, 예를 들면 그릇, 대접, 인분, 조각, 개 등이 함께 제공되며 각 음식에 대한 섭취량(17)을 결정하면 그에 해당하는 음식번호(19)가 결정된다. 즉, 하나의 식별번호인 음식번호(19)는 어떤 음식을 얼마만큼 먹었는지 나타낼 수 있다.
만약 피험자가 콩밥 1공기를 먹었다면 대분류(11) 주식을 찾은 다음, 사진(13)과 소분류(13)된 음식명을 통해 콩밥을 검색하고, 섭취량(17) 1공기에 해당하는 음식번호 '0016'을 찾으면 검색이 완료된다.
검색된 음식번호(19)를 기재하는 기재용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일이 기재된 가로 항목(21)과, 아침, 점심, 저녁, 간식으로 구성되는 세로 항목(23)으로 구성되는 표가 작성되어 있다.
피험자가 콩밥 1공기를 월요일 아침에 섭취하였다면 음식메뉴에서 음식번호 '0016'을 찾아서, 기재용지의 표에서 가로 항목(21) 월요일과 세로 항목(23) 아침이 만나는 지점에 음식번호(29)를 기재하면 된다.
도 4는 도 3의 작성예로서, 일주일간 작성된 것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3일이상 기재되어야 하며, 술이나 패스트 푸드를 주 3회이상 먹는 경우에 별도로 기입하여야 한다. 또한, 평소 거르는 끼니가 있거나 간식을 먹지 않는 경우는 공란으로 비워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활동습관 조사방법에 사용되는 활동메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활동습관 조사방법에 사용되는 기재용지이다.
활동습관 조사메뉴도 식사습관 조사메뉴와 유사하여, 활동의 종류가 출퇴근, 직업, 운동, 취미여가, 기본생리 등의 대분류(31)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활동의 종류는 다시 세부적인 각각의 활동 내역이 소분류(33)으로 구분되어 활동명과 활동사진(35)로 표현된다.
상기 소분류(33) 활동명은 각 활동에 대한 강도를 구분할 수 있도록 강도(37)의 표시나 유형이 기재되어 있다. 피험자는 주어진 활동의 종류에서 활동명 및 활동사진(35)을 통해 쉽게 자신의 활동을 선택할 수 있다. 식사습관과 마찬가지로 소분류(33)된 활동명과 강도(37)에 따라서 고유한 식별번호인 활동번호(39)가 제공되는 데 이로써 활동의 종류, 유형,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피험자가 걷기 및 지하철을 통해 출퇴근을 한다면, 대분류(31)의 출근퇴근 중 걷기와 지하철을 검색하고 걷기 강도 중 자신에게 해당되는 보통걸음을 선택하면 활동번호(39)는 '002'와 '008'이 된다.
검색된 활동번호(39)를 기재하는 기재용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일이 기재된 가로 항목(41)과, 출근퇴근, 직업활동, 운동, 취미여가, 기본생리로 구성되는 세로 항목(43)으로 구성되는 표가 작성되어 있다. 표의 각 칸에는 활동번호(49)와 활동시간(47)이 기재된다.
피험자가 보통걸음으로 걷기 및 지하철을 통해 월요일 출퇴근을 하였다면, 활동메뉴에서 활동번호 '002' 및 '008'을 찾아서, 기재용지의 표에서 가로 항목(41) 월요일과 세로 항목(43) 출근퇴근이 만나는 지점에 활동번호(49)를 기재하면 된다.
도 7은 도 6의 작성예로서, 일주일간 작성된 것이다. 세로 항목(43) 중 운동은 규칙적으로 행하여 지는 것만을 기재하도록 하며, 계획중이거나 희망했던 희망운동의 활동번호(45)를 기재할 수 있다.
또한, 평일의 활동이 비슷한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평일활동 동일(46)란에 표시하고, 월요일, 토요일, 일요일에 대해서만 작성하도록 하여 간편하게 기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피험자, 환자 등이 미리 작성해온 식사습관, 활동습관 기재용지를 받아서 의사나 간호사는 식별번호인 음식번호 및 활동번호를 간단하게 일률적으로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입력한다.
이를 통해 예전처럼 환자가 기재해온 내용을 보고 각각에 대한 내용을 다시 소프트웨어 상에서 찾아서 선택하고 섭취량, 활동량을 별도로 체크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 조사결과를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노력이나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사습관 및 활동습관 조사방법은 피험자에게 음식의 종류와 음식사진, 섭취분량, 식별번호가 기재된 음식습관 조사메뉴와, 활동의 종류와 활동사진, 종류나 강도, 식별번호가 기재된 활동습관 조사메뉴 및 각 식별번호를 기재할 기재용지를 제공함으로써 조사결과를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소프트웨어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입력하는 데 소요되는 노력이나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사습관 및 활동습관 조사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사습관 조사방법에 사용되는 음식메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사습관 조사방법에 사용되는 기재용지이고,
도 4는 도 3의 작성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활동습관 조사방법에 사용되는 활동메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활동습관 조사방법에 사용되는 기재용지이고,
도 7은 도 6의 작성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31 : 대분류 13,33 : 소분류
15 : 음식사진 17 : 섭취량
19,29 : 음식번호 21,41 : 가로 항목
23,43 : 세로 항목 35 : 활동사진
37 : 강도 39,49 : 활동번호
45 : 희망운동 활동번호 46 : 평일활동 동일

Claims (13)

  1. 음식명과 섭취분량 및 음식번호가 기재된 음식메뉴로부터 해당되는 피험자의 음식번호가 검색되는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음식번호가 각각의 요일마다 아침, 점심, 저녁, 간식별로 나누어 기재용지에 기재되는 기재단계와;
    상기 기재단계에서 기재된 음식번호가 칼로리 분석소프트웨어에 입력되는 입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습관 조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단계는 3일이상 기재되며, 술이나 패스트 푸드를 주 3회이상 먹는 경우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식사습관 조사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식은 한식, 양식, 중식, 일식, 음료, 과일 등의 음식 종류별로 분류된 것을 특징으로 식사습관 조사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종류별로 분류된 음식은 다시 주식, 부식, 국, 탕, 일품요리, 빵, 차, 유제품, 과일 등의 음식 특징별로 분류된 것을 특징으로 식사습관 조사방법.
  5. 활동명과 종류나 강도 및 활동번호가 기재된 활동메뉴로부터 해당되는 피험자의 활동번호가 검색되는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활동번호와 활동시간이 각각의 요일마다 기재용지에 기재되는 기재단계와;
    상기 기재단계에서 기재된 활동번호 및 활동시간이 칼로리분석 소프트웨어에 입력되는 입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습관 조사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활동은 출근퇴근, 직업활동, 운동, 취미여가, 기본생리 등의 활동 종류별로 분류된 것을 특징으로 활동습관 조사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운동은 규칙적으로 행하여 지는 것만이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활동습관 조사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운동은 계획중이거나 희망했던 희망운동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활동습관 조사방법.
  9.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단계는 평일의 활동이 비슷한 경우 평일활동 동일란이 표시되고, 월요일, 토요일, 일요일에 대해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습관 조사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메뉴 또는 활동메뉴는 음식 또는 활동의 사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의 조사방법.
  11. 음식명과 음식사진, 섭취분량 및 음식번호가 기재된 음식메뉴와; 요일이 기재된 가로 항목(21)과, 아침, 점심, 저녁, 간식으로 구성되는 세로 항목(23)으로 구성되어 음식번호가 기재되는 기재용지로 구성되는 식사습관 조사설문지.
  12. 활동명과 활동사진, 종류나 강도 및 활동번호가 기재된 활동메뉴와; 요일이 기재된 가로 항목(41)과, 출근퇴근, 직업활동, 운동, 취미여가, 기본생리로 구성되는 세로 항목(43)으로 구성되어 활동번호 및 활동시간이 기재되는 기재용지로 구성되는 활동습관 조사설문지.
  13. 음식명과 음식사진, 섭취분량 및 음식번호가 기재된 음식메뉴와, 요일이 기재된 가로 항목(21)과, 아침, 점심, 저녁, 간식으로 구성되는 세로 항목(23)으로 구성되어 음식번호가 기재되는 기재용지로 구성되는 식사습관 조사설문지와;
    활동명과 활동사진, 종류나 강도 및 활동번호가 기재된 활동메뉴와, 요일이 기재된 가로 항목(41)과, 출근퇴근, 직업활동, 운동, 취미여가, 기본생리로 구성되는 세로 항목(43)으로 구성되어 활동번호 및 활동시간이 기재되는 기재용지로 구성되는 활동습관 조사설문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의 조사설문지.
KR1020030066172A 2003-09-24 2003-09-24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의 조사설문지 및 조사방법 KR20050029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172A KR20050029903A (ko) 2003-09-24 2003-09-24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의 조사설문지 및 조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172A KR20050029903A (ko) 2003-09-24 2003-09-24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의 조사설문지 및 조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903A true KR20050029903A (ko) 2005-03-29

Family

ID=3738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172A KR20050029903A (ko) 2003-09-24 2003-09-24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의 조사설문지 및 조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990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629A (ko) 2016-11-25 2018-06-05 (주)이오아시스 식사일기를 위한 영양 분석 시스템
KR20180093141A (ko) 2017-02-09 2018-08-21 주식회사 롭썬컴퍼니 색상 기반 음식 이미지 분석을 통한 식사일기 시스템
KR20180138237A (ko) 2017-06-19 2018-12-31 (주)이오아시스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KR20230082145A (ko) 2021-12-01 2023-06-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양소 섭취량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629A (ko) 2016-11-25 2018-06-05 (주)이오아시스 식사일기를 위한 영양 분석 시스템
KR20180093141A (ko) 2017-02-09 2018-08-21 주식회사 롭썬컴퍼니 색상 기반 음식 이미지 분석을 통한 식사일기 시스템
KR20180138237A (ko) 2017-06-19 2018-12-31 (주)이오아시스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KR20230082145A (ko) 2021-12-01 2023-06-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양소 섭취량 측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nnison et al. Fruit and vegetable intake in young children
US66524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of food and medicine to provide outputs relative to a user profile
JP2018200730A (ja) 栄養摂取量のユーザ特異的な調整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314206B2 (en) Diet and calories measurements and control
US20050247213A1 (en) Method of identifying particular attributes of food products consistent with consumer needs and/or desires
US20120290327A1 (en) Medical health information system for health assessment, weight management and meal planning
US20080033827A1 (en) Nutrition / diet control system
US7908181B2 (en) Method for customizing a nutrition plate
WO20020130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eal plan
Phan et al. Motivations for meal and snack times: Three approaches reveal similar constructs
US20070276618A1 (en) Method for Supporting Dietary Habits, a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Therefor
Holzmann et al. Nutrition apps: Quality and limitations
KR20130102239A (ko) 건강 식단정보 제공시스템
Kouvari et al. The validity of technology-based dietary assessment method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 systematic review
Falciglia et al. Nutrition education for postpartum women: A pilot study
JP3143571U (ja) 栄養診断システム
JP2007133525A (ja) 食事指導支援システム
Krijger et al. Lifestyle screening tools for children in the community setting: A systematic review
JP2004074604A (ja) レシピカード、その作成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50029903A (ko)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의 조사설문지 및 조사방법
KR101971712B1 (ko)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KR20210052123A (ko) 사용자 맞춤형 식품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Liu et al. Pictogram-based method of visualizing dietary intake
Sudo et al. Relationship between needs driving eating occasions and eating behavior in midlife women
Mihrete Association between fast food consumption and obesity and high blood pressure among office work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