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3601A - Electron Gun For CRT - Google Patents

Electron Gun For C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3601A
KR20050023601A KR1020030059946A KR20030059946A KR20050023601A KR 20050023601 A KR20050023601 A KR 20050023601A KR 1020030059946 A KR1020030059946 A KR 1020030059946A KR 20030059946 A KR20030059946 A KR 20030059946A KR 20050023601 A KR20050023601 A KR 20050023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hield cup
electron gun
cathode ray
elec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9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9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3601A/en
Publication of KR2005002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601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8Schematic arrangements of the electrodes for beam forming; Place and form of the elec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44Electron guns characterised by beam passing apertures or combinations
    • H01J2229/4848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67Control electrodes for flat display tubes, e.g. of the type covered by group H01J31/123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PURPOSE: An electron gun is provided to prevent a deterioration of an alignment caused due to the magnetic piece arranged at the bottom surface of a shield cup during assembly of electron gun. CONSTITUTION: An electron gun comprises a plurality of in-line type cathodes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 radiating electron beams; a shield cup(16) opposed to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s; and a magnetic piece(16a)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hield cup opposed to the electrode. A shield cup opposed electrode(20) has a surface where a magnetic piece opposed portion is opened.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전자총 {Electron Gun For CRT}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Electron Gun For CRT}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차폐용 쉴드컵 저부 배면에 형성되는 쉴드 디스크로 인한 얼라인먼트 열화 방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ing alignment deterioration due to a shield disk formed on the bottom of a shielding shield bottom.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 구조를 간략히 설명한다. 칼라 음극선관은 전면에 장착되는 패널(1)과 상기 패널의 내면에 적색(R), 녹색(G), 청색(B)의 형광체가 도포된 형광면(1a)과, 상기 형광면의 후방에서 형광면으로 입사되는 전자빔의 색 선별 기능을 갖는 새도우 마스크(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치된 펀넬(3)과, 상기 펀넬의 후방으로 후퇴되어 있는 관 형상의 넥크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자빔(4)을 발사하는 전자총(5)과, 상기 펀넬의 외측을 둘러싸며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설치된 편향요크(6)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color cathode ray tube structure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color cathode ray tube includes a panel (1)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a fluorescent surface (1a) coated with phosphors of red (R), green (G), and blue (B)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and a fluorescent surface behind the fluorescent surface. A shadow mask 2 having a color sorting function of an incident electron beam is provided. And a funnel (3) coupled to the rear of the panel and installed to maintain the interior in a vacuum state, and an electron gun (5) mounted inside the tubular neck portion that is retracted to the rear of the funnel to emit an electron beam (4) And a deflection yoke 6 which surrounds the outer side of the funnel and is arranged to deflect the electron beam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도 2는 상기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음극(8)과, 상기 음극에서 일정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제1전극(9)과, 상기 제1전극에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제2전극(10), 제3전극(11), 제4전극(12)과, 상기 제4전극에서 일정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집속전극(13,14) 및 양극(15)과, 상기 양극 끝단에 부착되어 누설자계를 차폐하기 위한 쉴드컵(16)과 전자총을 지지하는 BSC(17)로 구성된다. 상기 각 전극들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비드글라스(18)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전자총은 펀넬의 네크부를 구성하는 네크글라스(7)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네크글라스는 외부로부터 전자총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스템(19) 부분과 융착되어 음극선관에 장착된다.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electron gun for the cathode ray tube. As shown, a cathode 8 for generating an electron beam, a first electrode 9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athode, a second electrode 10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electrode, The third electrode 11, the fourth electrode 12, the focusing electrodes 13 and 14 and the anode 15 disposed to b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ourth electrode, and attached to the ends of the anode to shield the leakage magnetic field. It consists of a shield cup 16 for the BSC 17 for supporting the electron gun. Each of the electrodes is fixed by the bead glass 18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the electron gun is inserted into the neck glass 7 constituting the neck portion of the funnel, the neck glass stem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electron gun from the outside (19) It is fused with a part and mounted in a cathode ray tube.

한편,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비 균일자계인 셀프 컨버젼스(Self-Convergence)형 편향요크에 의해 스크린 화면 전면에 화상을 재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reproduces the image on the entire screen screen by the self-convergence type deflection yoke, which is a non-uniform magnetic field.

도 3은 편향요크에 의한 편향자계 분포와 화면상의 소정의 위치에서의 전자 빔의 형상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요크의 수평 편향자계는 핀 쿠션(Pin- Cushion, HB)형 자계를 형성하고, 수직 편향자계는 바렐(Barrel, VB)형 자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별도의 다이나믹 컨버젼스 없이도 인라인으로 배열된 세 전자빔을 형광막의 형광체에 일치시키게 된다.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istribution of the deflection magnetic field due to the deflection yoke and the shape of the electron beam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3, the horizontal deflection magnetic field of the deflection yoke forms a pin-cushion (HB) type magnetic field, and the vertical deflection magnetic field forms a barrel (VB) type magnetic field. Thus, the three electron beams arranged inline are matched to the phosphors of the fluorescent film without a separate dynamic convergence.

그러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향요크에 의해 형성된 자계는 중앙부보다 수평방향의 주변부로 갈수록 자계 밀도가 높아지므로 인라인으로 배열된 세 전자빔 각각이 자계 밀도의 크기에 따라서 단면에 왜곡이 생기게 된다. 도 4는 세 전자빔 각각에 미치는 편향자계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적색(R) 및 청색(B) 전자빔은 편향요크의 핀쿠션 자계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할로(Halo) 현상과 블루밍(Bloom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as shown in FIG. 3,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deflection yoke has a higher magnetic field density toward the peripher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center portion, so that each of the three electron beams arranged inline causes distortion in the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density.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fluence of a deflection magnetic field on each of three electron beams.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red (R) and blue (B) electron beams are forc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y the pincushion magnetic field of the deflection yoke. This causes halo and blooming.

도 5는 스크린 주변부에서 세 전자빔 각각에 대하여 발생하는 할로 현상과 블루밍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전자빔 중 안쪽 전자빔(21', 22)에는 할로(Halo)현상이 발생하고, 바깥쪽 전자빔(21, 22')에는 블루밍(Bloom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할로 현상과 블루밍 현상은 포커싱 특성 열화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스크린 주변부로 갈수록 심하게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또한 형광막이 여기 됨으로써 형성되는 화상의 해상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FIG.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halo phenomenon and a blooming phenomenon occurring for each of three electron beams in the periphery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5, a halo phenomenon occurs in the inner electron beams 21 ′ and 22 of the three electron beams, and a blooming phenomenon occurs in the outer electron beams 21, 22 ′. These halo and blooming phenomena are a major cause of deterioration of focusing characteristics. This phenomenon becomes more severe toward the periphery of the screen, which also causes a decrease in the resolution of the image formed by excitation of the fluorescent film.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전자총의 코마(Coma)수차를 줄이는 다양한 기술이 소개된 바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보 특공평4-52586호에 의하면, 인라인형 전자총의 쉴드컵 저면에 전자빔의 인라인 배열방향과 평행하게 세 전자빔의 경로를 좁히는 상, 하 평판전극을 주렌즈방향 또는 형광막측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또한, 특개소51-61766호에 의하면, 전자총을 구성하는 전극의 일부전극 사이에 사중극렌즈를 형성하여 전자빔의 편향에 대응하여 정전 사중극렌즈의 강도를 편향신호에 따라 가변시켜 전 화면에 화면의 균일화를 도모하였다. 또한, 특개소51-64368호에 의하면, 예비 집속렌즈를 형성하는 전극의 영역 내에서 비점수차렌즈를 설치하여 전 형광면에서의 균일한 전자빔 단면을 형성하도록 하거나, 또는, 특개평10-116569호에 개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총의 제 1, 2전극의 전자빔 통과공을 각각 종횡비를 다르도록 형성하여 형광면의 중앙부와 주변부에 랜딩되는 전자빔의 왜곡의 방지를 도모하였다. 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various techniques for reducing the coma aberration of the electron gun have been introduced.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4-52586 shows that the upper and lower flat electrodes on the bottom of the shield cup of the inline electron gun narrow the paths of the three electron beams in parallel with the in-lin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electron beam. It is installed to face up. In addition,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1-61766, a quadrupole lens is formed between some electrodes of an electrode constituting the electron gun, and the intensity of the electrostatic quadrupole lens is varied according to the deflection signal in response to the deflection of the electron beam, thereby displaying on the entire screen The homogenization of was aimed at. Further,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1-64368, an astigmatism lens is provided in the region of the electrode forming the preliminary focusing lens so as to form a uniform electron beam cross section on all fluorescent surfaces, or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16569. As disclosed, the electron beam passing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f the electron gun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aspect ratios, thereby preventing distortion of the electron beam landing o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fluorescent surface.

상술한 문제 해결을 위한 두번째 시도로써, 이른바 전극 또는 넥크부에 자성편을 설치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자성편 부착 기술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10-116570호에 의하면, 전자총을 구성하는 전극의 일부에 자성편을 설치함과 동시에 넥크부의 외벽에 자계발생 장치를 장착하여 이로부터 편향신호에 동기하는 자계를 발생시켜 자성편을 여기시킴으로써 전자빔의 편향수차를 보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2001-91314호에 의하면 세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의 양측의 전자빔의 중심과 중앙공의 중심사이에 위치하도록 쉴드컵의 배면 상에 4개의 원형상의 자성체를 형성하여 편향수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As a second attempt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technique of installing a magnetic piece on an electrode or neck portion has been propos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 magnetic piece attachment techniqu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116570 discloses that a magnetic piece is provided on a part of an electrode constituting the electron gun and a magnetic field genera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the neck to deflect therefrom. Disclosed is a configuration for correcting deflection aberration of an electron beam by generating a magnetic field synchronous with a signal to excite the magnetic piece. In addition, according to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1-91314, four circular magnetic bodies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hield cup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centers of the electron beams on both sides of the electron gun emitting three electron beams and the center hole. It was configured to correct th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코마 수차를 줄이는 것은, 편향 자계에 의한 전자빔의 편향수차를 보전하기 위하여 전자빔 통과공의 형상을 변형시키거나, 편향요크에 인가되는 신호에 동기하여 전자렌즈의 배율을 가변시키는 등의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제조 및 전자빔의 제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reducing the coma aberration may modify the shape of the electron beam through hole in order to preserve the deflection aberration of the electron beam due to the deflection magnetic field, or may vary the magnification of the electron lens in synchronization with a signal applied to the deflection yoke. It is made through such a process,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and control of the electron beam is difficult.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자성편 부착 기술은, R, B빔의 편향수차를 보전하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의 효과는 있을 수 있으나, 자성편이 전극 면에 부착되는 경우, 자성편이 부착된 전극 면과 쉴드컵 배면을 서로 부착하는 과정에서 얼라이먼트가 유지되지 못하게 된다. 이처럼 얼라이먼트가 유지되지 못함으로 인해, 수직방향 자계의 등전위선이 급격히 변하여 빔의 진행경로를 상당히 왜곡시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The magnetic piece attachment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may have some effect in preserving deflection aberration of the R and B beams. However, when the magnetic piece is attached to the electrode surface, the magnetic surface is attached to the electrode surface and the shield cup. Alignment cannot be maintained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backs to each other. Since the alignment is not maintained as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quipotential lines of the vertical magnetic field are rapidly changed to distort the path of the beam considerably.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자성편이 부착된 구조의 전자총의 제조 과정에서 전극과 쉴드컵간의 얼라인먼트 유지성이 우수한 전자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related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 gun having excellent alignment retention between an electrode and a shield cup in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electron gun having a magnetic piece attached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성편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얼라인먼트 열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편향자계로 발생되는 전자빔의 편향수차를 효과적으로 보전할 수 있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that can prevent alignment deterioration caused by a magnetic piece and effectively maintain deflection aberration of an electron beam generated by a deflection magnetic fiel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전자빔을 방사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인라인(In-line) 형 음극과 복수의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쉴드 컵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쉴드 컵의 전극 대향면상에 형성된 자성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쉴드 컵 대향 전극의 대향면에는 상기 자성편에 대향하는 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echnica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in-line cathode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 emitting an electron beam, and a shield cup formed opposite to at least one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comprising: a magnetic piece formed on an electrode opposing surface of the shield cup, wherein a portion opposing the magnetic piece is opened on an opposing surface of the shield cup opposing electrod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로써, 전자빔을 방사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인라인(In-line) 형 음극과 복수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쉴드 컵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에서 (a)는 전자총의 쉴드컵 대향면에 형성된 전극(20)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상기 전극에 투시된 자성편(16a)이 부착된 쉴드컵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쉴드 컵 대향 전극의 대향면은 쉴드컵 저면에 부착된 자성편에 대향하는 부분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도 6의 (b)에서처럼, 자성편은 전극 대향면 개구부(20a) 안쪽에 위치하게 한다. 이는 전자총 조립시 상기 쉴드컵 저면에 형성된 자성편이 전자빔 방출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되어 쉴드컵과 전극과의 얼라인먼트가 열화 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때, 상기 쉴드컵 대향면에 형성된 전극면의 개구부는 도 6의 (a)에서와 같이 두개의 마주보는 직선과 두개의 마주보는 원호가 교차 연결된 형태의 개방공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형상의 개방공을 트랙형 개방공이라 한다.FIG. 6 is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line cathodes for emitting an electron beam,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shield cup formed to fac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 shows the shape of the electrode 20 formed on the shield cup opposing surface of the electron gun, (b) shows the shield cup shape attached to the magnetic piece 16a projected on the electrode. . As shown, the opposing surface of the shield cup opposing electrode is formed such that a portion facing the magnetic piec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hield cup is opened. That is, as shown in (b) of FIG. 6, the magnetic pieces are positioned inside the electrode facing surface opening 20a. This is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alignment between the shield cup and the electrode by forming a magnetic piec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ield cup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electron beam emission direction when the electron gun is assembled. At this time, the opening of the electrode surface formed on the shield cup opposing surface is preferably formed as an open hole in the form of two opposite straight lines and two opposing arcs cross-connected, as shown in Figure 6 (a), such a shape The opening hole of the track is called a track opening hole.

한편, 상기 자성편은 쉴드컵 저면에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전자빔 왜곡의 보정량이 다름을 실험적으로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gnetic piece can be experimentally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correction of the electron beam distor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hield cup.

도 7의 (a)와 (b)는 쉴드컵 저면에 부착되는 자성편의 위치에 따라 R(적색), B(청색) 전자빔 왜곡의 보정량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편은 세 전자빔 통과공 홀(R,G,B) 중 중심 홀(G)을 기준으로 소정의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그 중 자성편에 의한 전자빔 왜곡의 보정량이 최대가 되는 지점은 도 7의 (b) 위치에 따른 보정량 값에서와 같이 "C"점이다. 상기 "C"점은 세 전자빔 통과공 중심 홀에서 수평방향으로는 약 4mm, 수직방향으로는 약 3.5mm만큼 이격된 지점이다. 이처럼 상기 자성편은 전자빔 왜곡을 보정하는데 최대의 효율을 갖기 위해서는 적어도 쉴드컵 저면의 전자빔 통과홀 중심에서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게 부착되어야 한다.7 (a) and 7 (b) show values of correction amounts of R (red) and B (blue) electron beam distortions depending on the positions of the magnetic piece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hield cup. As shown, the magnetic piece may be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hole G among the three electron beam through hole holes R, G, and B. The point at which the correction amount of the electron beam distortion caused by the magnetic piece is maximized is the point “C” as in the correction amount value according to the position (b) of FIG. 7. The point “C” is a point spaced apart by about 4 m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bout 3.5 mm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hree electron beam through hole center holes. As such, the magnetic pieces should be attached at leas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electron beam through hole at the bottom of the shield cup to have maximum efficiency in correcting the electron beam dist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쉴드컵 저면에 형성된 자성편은 트랙형으로 형성된 전극면의 개구부 안쪽에 위치하여 상기 쉴드컵과 전극간의 얼라인먼트는 유지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위치는 상기 도 7에서 처럼 편향수차를 보전할 수 있는 최대의 위치가 아니기 때문에 전자빔 왜곡의 보정에 있어서는 그다지 많은 효과를 가져오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편향수차를 보전할 수 있는 품질의 산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쉴드컵과 전극간의 얼라인먼트 유지하면서 동시에 편향수차를 보전하는데 최대한의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쉴드컵 대향면 전극의 형상을 변경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piec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ield cup is located inside the opening of the electrode surface formed in the track shape, so that the alignment between the shield cup and the electrode can be maintained. However, since such a position is not the maximum position capable of preserving the deflection aberration as shown in FIG. 7, the effect of the correction of the electron beam distortion does not bring much effect.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persion of the quality to preserve the deflection aberration occurs.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the maximum effect of maintaining alignment between the shield cup and the electrode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ing deflection aberration,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shape of the shield cup opposing electrode as follow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로써, 쉴드컵 대향면에 형성된 전극의 또다른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은 트랙형 개구부면에서 직선부가 일정 길이 만큼의 홈을 갖는 도피부(20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도피부는 도 7에서 상술한 자성편의 최적 위치를 만족하게 되어 쉴드컵과 전극간의 얼라인먼트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향수차를 최적으로 보전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도피부는 전자총 동작시 발생되는 주 렌즈경에 영향을 주게된다.8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shape of an electrode formed on a shield cup opposing surface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lectrode is formed with an elongated portion 20a 'having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track-shaped opening surface. The cover part formed as described above satisfies the optimum position of the magnetic piec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to maintain alignment between the shield cup and the electrode, and to optimally maintain deflection aberration. In addition, the escape portion affects the main lens mirror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 gu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전극 형상과 실시예 2의 전극 형상에 따른 렌즈경과 진행되는 전자빔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 (a)의 트랙형 전극은 개구부 수직폭(V)이 작아 렌즈의 밀도가 높아져, 전자총 조립시 얼라인먼트가 정확하게 유지되지 못하게 되면 진행되는 빔 왜곡(4a)이 심하게 나타난다. 도피부가 형성된 도 9 (b)의 전극은 개구부의 수직폭이 트랙형의 전극보다 더 크므로 렌즈경(d)이 커져 상기 실시예 1의 전극과 동일한 얼라인먼트를 갖을 때와 비교하여 보면 빔 왜곡(4b)이 심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9 shows the shape of the lens mirror and the traveling electron beam according to the electrode shape of Example 1 and the electrode shape of Exampl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track-shaped electrode of FIG. 9 (a) has a small opening vertical width (V), so that the density of the lens is high, so that when the alignment is not maintained accurately during assembly of the electron gun, the beam distortion 4a that proceeds appears severely. In the electrode of FIG. 9 (b) having the skin portion, the vertical width of the opening is larger than that of the track-shaped electrode, so that the lens mirror d becomes larger and has the same alignment as the electrode of the first embodiment. 4b) does not appear severely.

이 때, 상기 전극은 도 10에서와 같이 전극의 개방공 수직폭 중 최대 수직폭을 Vmax라 하고, 최소 수직폭을 Vmin이라 할 때, 상기 전극의 최대 수직폭 대비 최소 수직폭의 비가 0.42 < Vmin/ Vmax < 0.79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극의 개방공 최대 수평폭(Hmax) 대비 최대 수직폭(Vmax)의 비는 0.45 < Vmax/Hmax < 0.84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자총을 조립하는데 있는 조립공정의 용이함과 음극에서 발생된 전자빔의 경로를 고려한 것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maximum vertical width of the vertical openings of the electrodes is Vmax and the minimum vertical width is Vmin, the ratio of the minimum vertical width to the maximum vertical width of the electrode is 0.42 <Vmin. It is preferable to satisfy the range of / Vmax <0.79.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maximum vertical width (Vmax) to the maximum horizontal width (Hmax) of the opening hole of the electrode preferably satisfies the range of 0.45 <Vmax / Hmax <0.84. This takes into account the ease of the assembly process in assembling the electron gun and the path of the electron beam generated at the cathode.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쉴드컵 대향면 전극의 또다른 개구부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은 여러 가지 개구부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다만, 이때에도 쉴드컵에 부착된 자성편과 접하지 않도록 개구부 내로 자성편이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opening shape of the shield cup facing surface electrod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electrode may have various opening shapes. However, eve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ic piece is formed in the opening so as not to contact the magnetic piece attached to the shield cup.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총의 쉴드컵과 상기 쉴드컵과 대향하는 전극의 개구부를 트랙형으로 형성하여 전자총 조립시 쉴드컵 저면에 설치된 자성편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얼라인먼트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alignment deterioration caused by the magnetic piec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hield cup when assembling the electron gun by forming the shield cup of the electron gun and the opening of the electrode facing the shield cup in a track shape. have.

또한, 상기 트랙형 전극의 개구부에 도피부를 형성하여 얼라인먼트 열화로 발생될 수 있는 전자빔 왜곡을 효과적으로 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preserve the electron beam distortion that may be caused by alignment degradation by forming a coating in the opening of the track-like electrode.

도 1은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을 나타낸 도.1 is a view showing a typical color cathode ray tube.

도 2는 종래의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Figur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lectron gun for a conventional cathode ray tube.

도 3은 종래의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자계를 가시화시켜 나타낸 도. 3 is a view showing a visualized deflection magnetic field for deflecting a conventional electron beam;

도 4는 종래의 핀 쿠션 자계에 의해 전자빔이 편향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ectron beam is deflected by a conventional pin cushion magnetic field.

도 5는 종래의 음극선관 스크린에 나타난 전자빔 형상을 나타낸 도. 5 is a view showing an electron beam shape shown in a conventional cathode ray tube scree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로, 전자총의 쉴드컵 대향면에 형성된 전극의 형상과 상기 전극에 투시된 자성편이 부착된 쉴드컵 형상을 나타낸 도.6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electrode formed on the shield cup opposing surface of the electron gun and the shield cup shape attached to the magnetic pieces projected on the electr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로, 전자총의 쉴드컵 대향면에 형성된 전극의 또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Figure 7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other shape of the electrode formed on the shield cup opposing surface of the electron gun.

도 8은 쉴드컵 저면에 부착되는 자성편의 위치에 따라 R(적색), B(청색) 전자빔 왜곡의 보정량 값을 나타낸 도.FIG. 8 is a diagram showing values of correction amounts of R (red) and B (blue) electron beam distortion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piece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hield cup. FIG.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전극 형상과 실시예 2의 전극 형상에 따른 렌즈경과 진행되는 전자빔의 모습을 나타낸 도.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electron beam and the lens mirror according to the electrode shape of Example 1 and the electrode shape of Exampl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의 쉴드컵 대향면에 형성된 전극의 개방공 크기를 나타낸 도. 10 is a view showing the size of the open hole of the electrode formed on the shield cup opposing surface of the electron gu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으로, 전자총의 쉴드컵 대향면 전극의 또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FIG. 11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other shape of the shield cup facing surface electrode of the electron gu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 패널 2: 새도우 마스크 1: panel 2: shadow mask

3: 펀넬 4: 전자빔 3: funnel 4: electron beam

5: 전자총 6: 편향요크 5: electron gun 6: deflection yoke

7: 넥크부 8: 음극7: Neck part 8: cathode

9: 제 1전극 10: 제 2전극9: first electrode 10: second electrode

11: 제 3전극 12: 제 4전극11: third electrode 12: fourth electrode

13,14:집속전극 15: 양극13, 14: focusing electrode 15: anode

16: 쉴드컵 17: BSC16: Shield Cup 17: BSC

18: 비드글라스 19: 스템핀18: Bead glass 19: Stem pin

20: 본 발명의 쉴드컵 대향면 전극 20: Shield Cup Opposing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전자빔을 방사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인라인(In-line) 형 음극과 복수의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쉴드 컵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In the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comprising a plurality of in-line cathode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 emitting an electron beam, and a shield cup formed to fac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상기 쉴드 컵의 전극 대향면상에 형성된 자성편을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magnetic piece formed on the electrode opposing surface of the shield cup, 상기 쉴드 컵 대향 전극의 대향면에는 상기 자성편에 대향하는 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facing the magnetic piece is open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hield cup counter electro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쉴드 컵 대향 전극의 대향면 상에는 트랙형의 개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ck-shaped opening hole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hield cup counter electrod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쉴드 컵 대향 전극의 대향면 상에는 도피부가 형성된 개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hield cup opposing electrode formed with an escape portion.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쉴드 컵 대향 전극의 대향면 상의 개방공은 개방공 수직폭 중 최대 수직폭을 Vmax라 하고, 최소 수직폭을 Vmin이라 할 때, 상기 전극의 최대 수직폭 대비 최소 수직폭의 비가 0.42 < Vmin/ Vmax < 0.79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The open hole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hield cup counter electrode has a maximum vertical width of Vmax, and a minimum vertical width of Vmin, and a minimum vertical width of 0.42 <Vmin /. A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s, characterized by satisfying a range of Vmax <0.79.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쉴드 컵 대향 전극의 대향면 상의 개방공은 개방공 개방공 수직폭 중 최대 수직폭을 Vmax라 하고, 최대 수평폭을 Hmax라 할때, 상기 전극의 개방공 최대 수평폭(Hmax) 대비 최대 수직폭(Vmax)의 비가 0.45 < Vmax/Hmax < 0.84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The open hole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hield cup counter electrode has a maximum vertical width of Vmax of the open hole open hole vertical width, and a maximum horizontal width of Hmax, with a maximum vertical width relative to the maximum horizontal width Hmax of the electrode. A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s, wherein the ratio of the width Vmax satisfies the range of 0.45 < Vmax / Hmax < 0.84.
KR1020030059946A 2003-08-28 2003-08-28 Electron Gun For CRT KR200500236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946A KR20050023601A (en) 2003-08-28 2003-08-28 Electron Gun For C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946A KR20050023601A (en) 2003-08-28 2003-08-28 Electron Gun For C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601A true KR20050023601A (en) 2005-03-10

Family

ID=3723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946A KR20050023601A (en) 2003-08-28 2003-08-28 Electron Gun For C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360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2958A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beam passageways with barrel-like segment
KR20050023601A (en) Electron Gun For CRT
EP0900447B1 (en) Color picture tube
KR100596234B1 (en) Electron Gun For CRT
US7148614B2 (e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KR100708630B1 (en) Electron gun and color cathode ray tube utilizing the same
KR100768174B1 (e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KR100232156B1 (en) Electron gun for color crt
KR200271014Y1 (en) Electron gun for colored cathode ray tube
GB2144903A (en) Cathode-ray tube with electron gun having an astigmatic beam forming region
KR19990038061A (en) Electron gun for colored cathode ray tube
KR100294500B1 (en) electronic gun for cathode ray tube
US7105996B2 (en) Electron gun for color CRT
KR900001711B1 (en) Color crt&#39;s electron gun
KR100370070B1 (en) Color cathode ray tube
KR100751306B1 (e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100617212B1 (e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100594646B1 (en) Electron gun of CRT
KR100596230B1 (en) Electron Gun of Color Cathode Ray Tube
KR100814807B1 (e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KR20000038581A (en) Electric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JPH0917353A (en) Cathode-ray tube
JPH10199444A (en) Color cathode-ray tube
KR20000008878A (e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ray tube
KR20030034516A (en) Electron gun for beam index type cathode ray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