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5978A - 정보 처리 센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센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제공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5978A
KR20050015978A KR1020040038625A KR20040038625A KR20050015978A KR 20050015978 A KR20050015978 A KR 20050015978A KR 1020040038625 A KR1020040038625 A KR 1020040038625A KR 20040038625 A KR20040038625 A KR 20040038625A KR 20050015978 A KR20050015978 A KR 20050015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rrent position
moving
public transportation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까끼바라세이지
야마다구니히로
도오야마야스히로
가와우찌히로시
Original Assignee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5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97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현재 위치 정보로부터 이동 수단을 결정하고, 결정된 이동 수단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센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정보 처리 센터(C)는 휴대 단말(M)로부터 송신되는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수신 현재 위치를 기초로 휴대 단말을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를 결정하고, 결정 이동 부재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검색하여 이 검색 정보를 휴대 단말에 송신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센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제공 시스템{INFORMATION PROCESSING CENTE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TMATION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정보 센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정보 제공 시스템이 있다. 이 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휴대 단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로부터 진행 방향과 이동 속도가 산출되어 사용자가 이동 수단에 대해 입력하지 않아도 상기 이동 수단이 예를 들어 공공 교통 기관, 자동차나 도보로서 특정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2-304408호 공보
그런데,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위치 및 이동 수단이 특정되어 특정된 이동 수단에 따른 지역 범위를 산출하고, 그 범위 내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는 취득할 수 있는 지역 범위 내의 정보에는 이동 수단에 있어서는 필요없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가 있어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번거로울 때가 있다. 또한, 반대로 취득할 수 있는 지역 범위 내의 정보만으로는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것에 대처하기 위해, 현재 위치 정보로부터 이동 수단을 결정하여 결정된 이동 수단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센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처리 센터는 청구항 1의 기재에 따르면,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22, 703, 711)과,
이 통신 수단에 의한 수신 현재 위치를 기초로 휴대 단말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결정하는 이동 수단 결정 수단(704, 705, 714, 715, 718, 719)과,
결정 이동 수단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검색하는 정보 검색 수단(708, 720, 721, 724, 725, 726)을 구비하고,
통신 수단은 검색 정보를 송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휴대 단말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결정하고, 결정한 이동 수단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한 정보를 휴대 단말에 송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 수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처리 센터는 청구항 2의 기재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이동 수단 결정 수단은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현재 위치의 변화 정도를 기초로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이 산출 이동 속도를 기초로 이동 수단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의 변화 정도를 기초로 하는 이동 속도로부터 휴대 단말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결정하므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처리 센터는 청구항 3의 기재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이동 수단 결정 수단은 수신 현재 위치가 공공 교통 기관의 노선 네트워크와 일치하는 경우에 이동 수단을 공공 교통 기관으로 결정한다.
이와 같이, 공공 교통 기관의 노선 네트워크와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휴대 단말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이 공공 교통 기관으로 결정되므로, 이동 수단이 공공 교통 기관인 경우에도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처리 센터는 청구항 4의 기재에 따르면,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이동 수단 결정 수단은 공공 교통 기관의 시각표 정보와 송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수신 현재 위치의 변화 방향을 기초로 공공 교통 기관을 특정하고,
정보 검색 수단은 특정 공공 교통 기관에 관한 시각 정보를 검색한다.
이와 같이, 공공 교통 기관의 시각표 정보와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의 변화 방향으로부터 휴대 단말을 이동시키는 공공 교통 기관이 특정되고, 특정된 공공 교통 기관에 관한 시각 정보를 검색한다. 따라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특정 공공 교통 기관의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처리 센터는 청구항 5의 기재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이동 수단 결정 수단은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수신 현재 위치가 도로 네트워크와 일치하는 경우에 이동 수단을 자동차로 결정하고(719),
정보 검색 수단은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수신 현재 위치의 변화 방향을 기초로 자동차의 이동 방향에 관한 도로 교통 정보를 검색한다(720, 721).
이와 같이 도로 네트 워크와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휴대 단말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이 자동차로 결정되어 현재 위치의 변화 방향으로부터 자동차의 이동 방향에 관한 도로 교통 정보를 검색하므로, 이동 수단이 자동차인 경우에도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관한 도로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처리 센터는 청구항 6의 기재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이동 수단 결정 수단은 이동 속도가 소정 속도 이하일 때에 휴대 단말은 그 사용자의 도보에 수반하여 이동하고 있다고 결정된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의 변화 정도를 기초로 하는 이동 속도가 소정 속도 이하일 때에 이동 수단이 도보로 결정된 경우에도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도보의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처리 센터는 청구항 7의 기재에 따르면,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이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현재 위치의 변화 정도를 기초로 이동 속도를 산출하여 이 산출 이동 속도가 높을 때 상기 이동 수단을 고속 이동 부재로 결정하는 고속 이동 부재 결정 수단(713)과,
수신 검출 현재 위치가 공공 교통 기관의 노선 네트워크와의 대조에 의해 일치할 때, 상기 고속 이동 부재를 상기 공공 교통 기관으로 결정하는 공공 교통 기관 결정 수단(714, 715)과,
수신 검출 현재 위치와 이 수신 검출 현재 위치의 공공 교통 기관의 이동에 수반하는 변화 방향을 기초로 상기 공공 교통 기관의 시각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공 교통 기관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공공 교통 기관 특정 수단(716, 717)과,
이 공공 교통 기관 특정 수단에 의해 구체적으로 특정된 공공 교통 기관에 관한 시각표 정보를 검색하는 시각표 정보 검색 수단(708)을 구비하고,
통신 수단은 시각표 정보 검색 수단으로 검색한 시각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의 사용자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이 공공 교통 기관에 따를 때, 휴대 단말의 사용자는 현재 위치의 변화 정도를 기초로 하는 이동 속도로부터 고속 이동 부재로 이동하고 있다고 결정된다. 다음에, 공공 교통 기관 노선 네트워크와 현재 위치로부터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공공 교통 기관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결정되어 공공 교통 기관의 시각표 정보와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의 변화 방향으로부터 그 공공 교통 기관이 구체적으로 특정된다. 그 특정된 공공 교통 기관의 시각표 정보를 정보 처리 센터의 기억 장치로부터 검색하여 휴대 단말에 송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승차하고 있는 공공 교통 기관의 시각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처리 센터는 청구항 8의 기재에 따르면,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이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현재 위치의 변화 정도를 기초로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이 산출 이동 속도를 기초로 이동 수단이 고속 이동 부재인지 저속 이동 부재인지에 대해 판정하는 이동 부재 판정 수단(713)과,
이동 부재 판정 수단이 고속 이동 부재라 판정하였을 때, 수신 검출 현재 위치를 공공 교통 기관의 노선 네트워크와 대조하여 고속 이동 부재가 공공 교통 기관인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는 공공 교통 기관 판정 수단(714, 715)과,
공공 교통 기관 판정 수단이 공공 교통 기관이라 판정하였을 때에, 수신 검출 현재 위치와 이 수신 검출 현재 위치의 공공 교통 기관의 이동에 수반하는 변화 방향을 기초로 공공 교통 기관의 시각표 정보를 이용하여 공공 교통 기관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공공 교통 기관 특정 수단(716, 717)과,
공공 교통 기관 판정 수단이 공공 교통 기관과 다르다고 판정되었을 때, 수신 검출 현재 위치를 도로 네트워크와 대조하여 자동차인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는 자동차 판정 수단(718, 719)과,
이동 부재 판정 수단이 저속 이동 부재라 판정하였을 때, 수신 검출 현재 위치를 공공 교통 기관의 역 주변 지도 데이터와 대조하여 저속 이동 부재가 공공 교통 기관의 역 주변에 위치하는지 판정하는 저속 이동 부재 위치 판정 수단(722, 723)과,
공공 교통 기관 특정 수단이 공공 교통 기관을 구체적으로 특정하였을 때 이 공공 교통 기관에 관한 시각표 정보를 검색하여 저속 이동 부재 위치 판정 수단이 역 주변에 위치한다고 판정하였을 때에 역의 시각표 정보를 검색하는 시각표 정보 검색 수단(708, 724)과,
자동차 판정 수단이 자동차라 판정하였을 때에, 수신 검출 현재 위치와 이 수신 검출 현재 위치의 자동차의 이동에 수반하는 변화 방향을 기초로 자동차의 이동 방향에 관한 도로 교통 정보를 검색하는 도로 교통 정보 검색 수단(720, 721)을 구비하고,
통신 수단은 시각표 정보 검색 수단 또는 도로 교통 정보 검색 수단에 의한 검색 정보를 송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의 사용자는 검출 현재 위치의 변화 정도를 기초로 하는 이동 속도로부터 고속 이동 부재 혹은 저속 이동 부재로 이동하고 있다고 판정된다. 여기서 이동 수단이 고속 이동 부재라 판정되는 경우에는, 공공 교통 기관의 노선 네트워크와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그 이동 부재가 공공 교통 기관인지 판정된다. 이 판정에 있어서 그 이동 부재가 공공 교통 기관일 때, 시각표 정보와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의 변화 방향으로부터 그 공공 교통 기관이 구체적으로 특정된다. 그리고, 그 특정된 공공 교통 기관의 시각표 정보를 정보 처리 센터의 기억 장치로부터 검색하여 휴대 단말에 송신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공 교통 기관에 의해 이동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승차하고 있는 공공 교통 기관의 시각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공 교통 기관의 노선 네트워크와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그 이동 부재가 공공 교통 기관과 다르다고 판정되었을 때, 도로 네트워크와 휴대 단말로부터 그 이동 부재가 자동차인지 판정된다. 그 이동 부재가 자동차일 때,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의 변화 방향을 기초로 하는 그 자동차의 이동 방향의 도로 교통 정보를 검색하여 휴대 단말에 송신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동차에 승차하고 있을 때, 자동차의 이동 방향에 관한 도로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위치의 변화 정도를 기초로 하는 이동 속도로부터 저속 이동 부재라 판정되었을 때, 공공 교통 기관의 역 주변 지도 데이터와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공공 교통 기관의 역 주변에 위치하는지 판정된다. 이 판정의 결과,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공공 교통 기관의 역 주변에 위치할 때 가장 가까운 공공 교통 기관의 역의 시각표 정보를 검색하여 휴대 단말에 송신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보로 이동하고 있고, 공공 교통 기관의 역 주변에 위치할 때에 가장 가까운 공공 교통 기관의 시각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청구항 9의 기재에 따르면,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현재 위치 검출 수단(12)과, 검출 현재 위치를 송신하는 현재 위치 송신 수단(14, 203, 205)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M)과,
이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현재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22, 703, 711)과, 통신 수단에 의한 수신 현재 위치를 기초로 휴대 단말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결정하는 이동 수단 결정 수단(705, 706, 713, 714, 715, 718, 719)과, 결정 이동 수단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검색하는 정보 검색 수단(708, 720, 721, 724, 725, 726)을 구비하여 통신 수단에 의해 검색 정보를 송신하도록 한 정보 처리 센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휴대 단말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결정하고, 결정한 이동 수단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한 정보를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이동 수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사용자는 정보 처리 센터로부터 그 이동 수단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처리 방법은 청구항 10의 기재에 따르면,
휴대 단말(M)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고,
이 수신 현재 위치를 기초로 휴대 단말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결정하고,
결정 이동 수단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검색하여 이 검색 정보를 송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휴대 단말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결정하고, 결정한 이동 수단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한 정보를 휴대 단말에 송신하므로 사용자의 이동 수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속 이동 부재라 함은, 예를 들어 사람의 이동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이다.
또한, 상기한 각 수단의 괄호 내의 부호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의 기재의 구체적 수단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이 정보 제공 시스템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정보를 송신하는 휴대 단말(M)과 정보 처리 센터(C)로 이루어진다.
휴대 단말[이하, 휴대 단말(M)이라 함]로서는 휴대 전화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휴대 단말(M)은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10)와, 조작부(11)와, 현재 위치 검출 장치(12)와, 기억부(13)와, 무선 통신부(14)와, 표시부(15)를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10)는 도2, 도4, 도6 및 도10에 도시하는 흐름도에 따라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 실행 중에 있어서 현재 위치 검출 장치(12)의 검출 출력, 조작부(11)의 조작 입력이나 기억부(13)의 기억 데이터 등을 기초로 인증 송신 처리,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처리나 표시 처리 등을 행한다.
조작부(11)는 그 조작에 의해 조작 입력 정보를 마이크로 컴퓨터(10)에 입력한다. 현재 위치 검출 장치(12)는 GPS 수신 장치로 이루어지고, 이 현재 위치 검출 장치(12)는 위성 항법 시스템의 인공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M)의 현재 위치를 현재 시각과 함께 검출한다. 또한, 현재 위치 검출 장치(12)는 GPS 수신 장치 대신 휴대 단말의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발신되는 전파를 동시에 수신하고, 각 기지국과 휴대 단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얻게 된 거리로부터 삼각 측량의 원리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M)의 위치를 특정하는 것이라도 좋다.
기억부(13)는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출력 데이터를 기억하는 반도체 메모리이다. 무선 통신부(14)는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출력을 송신하여 수신 데이터를 마이크로 컴퓨터(10)에 입력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14)는 휴대 단말의 기지국을 거쳐서 정보 처리 센터(C)(후술하는)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표시부(15)는 마이크로 컴퓨터(10)에 의한 제어를 기초로 상기 휴대 단말(M)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를 정보로서 표시한다.
정보 처리 센터(C)는 휴대 단말(M)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이 정보 처리 센터(C)는 서버(20)와, 기억 장치(21)와, 무선 통신 장치(22)를 구비하고 있다. 서버(20)는 도3, 도5, 도7 내지 도9 및 도11에서 도시하는 서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 실행 중에 있어서 기억 장치(21)의 기억 데이터나 무선 통신 장치(22)의 통신 데이터를 기초로 인증 데이터의 대조 처리, 공공 교통 기관 노선 네트워크 매칭 처리, 공공 교통 기관 시각표 정보 매칭 처리나 검색 데이터 송신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한다.
기억 장치(21)는 하드디스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기억 장치(21)에는 공공 교통 기관 노선 네트워크 데이터, 시각표 정보 데이터, 시각표 정보 데이터,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 공공 교통 기관 역 좌표 데이터나 지역 정보 데이터 등이 서버(20)에 의해 판독 가능하게 기억되어 있다.
무선 통신 장치(22)는, 예를 들어 루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무선 통신 장치(22)는 전화 회선을 거쳐서 휴대 단말의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22)는 서버(20)로부터의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혹은 휴대 단말(M)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22)는 도로 교통 정보 시스템(V)(이하, VICSV라고도 함)으로부터 도로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서버(20)에 입력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휴대 단말(M)의 조작부(11)의 입력에 의해 마이크로 컴퓨터(10)가 도2의 흐름도에 따라서 조작 입력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개시하면, 우선 사용자 인증 출력 처리 루틴(100)(도2 및 도4 참조)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정보 처리 센터(C)에서는 서버(20)가 도3의 흐름도에 따라서 서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다. 현단계에서 서버 프로그램이 사용자 인증 출력 처리 루틴(600)(도3 및 도5 참조)으로 진행하면, 이 사용자 인증 처리 루틴(600)의 처리가 사용자 인증 출력 처리 루틴(100)의 처리에 대응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사용자 인증 처리 루틴(600)의 처리를 사용자 인증 출력 처리 루틴(100)과의 대응에 있어서 설명한다.
도4의 인증 데이터 출력 처리 루틴(100)에서는 스텝 101에 있어서 변수 데이터(n)가 n = 0으로 클리어된다. 계속해서, 스텝 102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M)의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인증 요구가 송신된다. 이에 수반하여, 무선 통신부(14)는 마이크로 컴퓨터(10)로부터 상기 인증 요구를 정보 처리 센터(C)의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M)에서는 스텝 102에서의 상기 처리 후, 스텝 103에서 변수 데이터가 n = n + 1 = 1로 가산 갱신되어, 스텝 104에 있어서 n ≤ 3을 기초로 아니오(NO)라 판정된다. 여기서, 스텝 104에 있어서, n > 3을 판정 기준으로 한 것은 외란 등의 영향도 고려하여 서버(20)가 무선 통신부(14)의 인증 요구를 무선 통신 장치(22)를 거쳐서 확실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후, 스텝 102 내지 스텝 104의 순환 처리가 반복되어 상기 인증 요구가 반복하여 출력된다. 이에 수반하여, 무선 통신부(14)가 상기 인증 요구를 반복하여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한다. 그리하여, 스텝 103에 있어서 변수 데이터(n)가 n = n + 1 = 4로 가산 갱신되었을 때, 스텝 104에서의 판정이 예(YES)가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인증 요구의 마이크로 컴퓨터(10)로부터의 출력이 종료된다.
정보 처리 센터(C)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22)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4)로부터 송신되는 인증 요구를 수신하면, 서버(20)는 사용자 인증 처리 루틴(600)(도5 참조)의 스텝 601에 있어서 예라 판정한다.
이 스텝 601에 있어서의 예라는 판정에 수반하여, 스텝 602에 있어서 서버(20)가 인증 요구 응답을 출력하고, 이에 수반하여 무선 통신 장치(22)가 무선 통신부(14)에 인증 요구 응답을 송신한다.
휴대 단말(M)에서는 정보 처리 센터(C)에 있어서의 스텝 602의 송신 인증 요구 응답을 수신하면, 스텝 105에 있어서 예라 판정된다. 이에 수반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스텝 106에 있어서 변수 데이터(m)가 m = 0으로 클리어된다. 계속해서, 스텝 107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M)의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가 인증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이에 수반하여, 무선 통신부(14)는 마이크로 컴퓨터(10)로부터 상기 인증 데이터를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M)에서는 스텝 107에서의 상기 처리 후 스텝 108에서 변수 데이터가 m = m + 1 = 1로 가산 갱신되고, 스텝 109에 있어서 m ≤ 3을 기초로 아니오라 판정된다. 여기서 스텝 109에 있어서, m > 3을 판정 기준으로 한 것은 외란 등의 영향도 고려하여 서버(20)가 무선 통신부(14)의 인증 데이터를 무선 통신 장치(22)를 거쳐서 확실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후, 스텝 107 내지 스텝 109의 순환 처리가 반복되어 상기 인증 데이터가 반복 출력된다. 이에 수반하여, 무선 통신부(14)가 상기 인증 데이터를 반복하여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한다. 그리하여, 스텝 108에 있어서 변수 데이터(m)가 m = m + 1 = 4로 가산 갱신되었을 때, 스텝 108에서의 판정이 예가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인증 데이터의 마이크로 컴퓨터(10)로부터의 출력이 종료된다.
정보 처리 센터(C)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22)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4)로부터 송신되는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면, 스텝 603에 있어서 서버(20)는 예라 판정된다. 스텝 603에 있어서의 예라는 판정에 수반하여, 스텝 604에 있어서 상기 인증 데이터가 서버(20)의 대조 데이터(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로 이루어짐)와 대조된다. 이 대조의 결과, 인증 데이터가 상기 대조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인증 데이터는 정규 신호가 아니므로 스텝 604에서의 판정이 아니오가 되고, 스텝 606에 있어서 상기 인증 데이터는 비정규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에 수반하여, 무선 통신 장치(22)가 인증 데이터를 비정규 신호와 함께 무선 통신부(14)에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4)에 인증 데이터가 비정규 신호와 함께 송신되면, 스텝 110에 있어서 아니오라 판정되고, 다시 스텝 106으로부터 시작되는 인증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4)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하여 상술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스텝 604에 있어서, 상기 인증 데이터가 서버(20)의 대조 데이터와 대조되어 인증 데이터가 상기 대조 데이터와 일치하면, 상기 인증 데이터는 정규이므로 서버(20)가 스텝 604에 있어서 예라 판정한다. 그에 수반하여, 서버(20)는 스텝 605에 있어서 상기 인증 데이터는 정규 신호로서 출력하고, 무선 통신 장치(22)는, 인증 데이터는 정규 신호로서 무선 통신부(14)에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4)가 인증 데이터는 정규 신호라 수신하면, 스텝 110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예라 판정하여 사용자 인증 출력 처리 루틴(100)의 처리 및 사용자 인증 처리 루틴(600)의 처리가 종료된다.
계속해서, 휴대 단말(M)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0)는 현재 위치 검출 장치(12)의 검출 현재 위치를 데이터로서 출력하여, 정보 처리 센터(C)의 기억 장치(21)에 기억이 완료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용 이동 수단과 매칭을 행하기 위한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처리 루틴(200)(도2 및 도6)의 처리를 한다.
한편, 정보 처리 센터(C)에 있어서는, 서버(20)가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처리 루틴(200)의 처리에 대응하여 현재 위치 정보 수신 및 데이터 베이스 매칭 처리 루틴(700)(도3 및 도7)의 처리를 행한다. 이하, 현재 위치 정보 수신 및 데이터 베이스 매칭 처리 루틴(700)의 처리를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처리 루틴(200)의 처리와의 대응에 있어서 설명한다.
도6의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처리 루틴(200)에서는, 스텝 201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상기 휴대 단말(M)의 사용자의 데이터 베이스 매칭 요구를 출력한다. 이에 수반하여, 무선 통신부(14)는 마이크로 컴퓨터(10)로부터 데이터 베이스 매칭 요구를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한다.
정보 처리 센터(C)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22)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4)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베이스 매칭 요구를 수신하면, 서버(20)는 현재 위치 정보 수신 및 데이터 베이스 매칭 처리 루틴(700)의 스텝 701에 있어서 예라 판정한다. 이에 수반하여, 스텝 702에 있어서, 서버(20)가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요구를 출력하고, 무선 통신 장치(22)가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요구를 무선 통신부(14)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M)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14)가 정보 처리 센터(C)에 있어서의 스텝 702의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요구를 수신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0)가 스텝 202에 있어서 예라 판정한다. 이에 수반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스텝 203에 있어서 현재 위치 검출 장치(12)에서 검출한 현재 위치 정보(P1)를 출력하고, 무선 통신부(14)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P1)를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한다.
정보 처리 센터(C)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22)가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위치 정보(P1)을 수신하면, 스텝 703에 있어서 예라 판정된다. 이에 수반하여, 서버(20)는 스텝 704에 있어서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P1)을 기억 장치(2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와 대조하여 공공 교통 기관 노선 네트워크와 일치하는지의 매칭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일치하는 공공 교통 기관 노선 네트워크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705에 있어서 예라 판정되고, 서버(20)는 스텝 706에 있어서 기억 장치(2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기초로 공공 교통 기관 노선 네트워크 상의 현재 위치 정보(P1)을 주행하고 있는 공공 교통 기관인지 시각표 정보 매칭 처리를 행한다. 이 때, 해당하는 공공 교통 기관이 하나이면, 휴대 단말(M)의 사용자가 승차하고 있는 열차가 특정되어 스텝 707에 있어서 예라 판정된다. 이에 수반하여, 서버(20)는 스텝 708에 있어서 기억 장치(21)에 기억되어 있는 시각표 정보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승차하고 있는 열차 등이 각 역으로 도착하는 시각 정보 등을 검색한다.
한편, 스텝 705에 있어서, 일치하는 공공 교통 기관 노선 네트워크가 없는 경우에는 아니오라 판정되어 서버(20)는 스텝 710(도8참조)에 있어서 현재 정보 송신 요구를 출력하고, 이에 수반하여 무선 통신 장치(22)는 무선 통신부(14)에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요구를 송신한다.
또한, 스텝 707에 있어서, 휴대 단말(M)의 사용자가 승차하고 있는 열차의 수가 하나로 특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20)는 아니오라 판정하여 상기 스텝 710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요구를 출력하고, 무선 통신 장치(22)는 무선 통신부(14)에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요구를 송신한다.
휴대 단말(M)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14)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22)로부터 송신되는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요구를 수신하면, 스텝 204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0)가 예라 판정한다. 이에 수반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스텝 205에 있어서 현재 위치 검출 장치(12)에서 검출한 현재 위치 정보(P2)를 출력하고, 무선 통신부(14)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P2)를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한다.
정보 처리 센터(C)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22)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4)로부터 송신되는 현재 위치 정보(P2)를 수신하면, 스텝 711에 있어서 서버(20)는 예라 판정한다. 스텝 703에서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P1)와 스텝 711에서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P2)에 의해, 서버(20)는 스텝 712에 있어서 휴대 단말(M) 사용자의 이동 방향(D)과, 이동 거리(L)로부터 이동 속도(S)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스텝 712에서 이동 방향(D)과 이동 속도(S)를 산출한 후, 스텝 713에 있어서 서버(20)가 스텝 712에 있어서 산출된 이동 속도(S)가 10 m/초 이상인 경우에는 예라 판정한다. 스텝 713의 판정 후, 서버(20)는 스텝 714에 있어서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P2)를 기억 장치(2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기초로 공공 교통 기관 노선 네트워크에 일치하는 네트워크가 있는지 여부의 매칭 처리를 행한다.
스텝 714의 매칭 처리에 있어서, 현재 위치 정보(P2)와 일치하는 공공 교통 기관 노선 네트워크가 있는 경우에는 서버(20)는 스텝 715에 있어서 예라 판정하고, 스텝 716에 있어서 기억 장치(2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기초로 공공 교통 기관 노선 네트워크 상의 현재 위치를 주행하고 있는 공공 교통 기관이 있는지에 대해 검색한다.
이 때, 해당하는 공공 교통 기관이 있으면, 휴대 단말(M)의 사용자가 승차하고 있는 열차를 특정할 수 있어, 스텝 717에 있어서 서버(20)가 예라 판정한다. 스텝 717에 있어서, 휴대 단말(M)의 사용자가 승차하고 있는 열차를 특정할 수 있으면, 서버(20)는 스텝 708에 있어서 기억 장치(21)의 시각표 정보 데이터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열차의 각 역으로의 도착 시각 등의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스텝 715에 있어서, 현재 위치 정보(P2)와 일치하는 공공 교통 기관 노선 네트워크가 없는 경우, 서버(20)는 아니오라 판정하여 휴대 단말(M)의 사용자가 공공 교통 기관 이외의 고속 이동 수단인 자동차를 이용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다음에, 서버(20)는 스텝 718에 있어서, 현재 위치 정보(P2)를 기억 장치(21)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는 도로 네트워크와 일치하는지 여부의 매칭 처리를 행한다.
스텝 718에 있어서 일치하는 도로 네트워크가 있었던 경우, 서버(20)는 스텝 719에 있어서 예라 판정하고, 다음에 스텝 720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22)를 거쳐서 도로 정보 시스템(V)으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P2)의 이동 방향(D) 방면의 정체 정보 등의 도로 교통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현재 위치 정보(P2)가 고속 도로, 도시 고속 도로, 유료 자동차도 상이 되는 경우에는, 서버(20)는 스텝 721에 있어서 인터체인지, 서비스 영역, 파킹 영역, 정크션 등의 정보를 더불어 검색한다.
또한, 스텝 712에 있어서 산출된 휴대 단말(M) 사용자의 이동 속도(S)가 10 m/초 미만이면, 스텝 713에 있어서 서버(20)는 아니오라 판정하여 휴대 단말(M)의 사용자가 공공 교통 기관이나 자동차를 이용하지 않아 이동 수단은 도보라 판단한다. 다음에, 서버(20)는 스텝 722(도9 참조)에 있어서 현재 위치 정보(P2)를 기억 장치(21)에 기억되어 있는 공공 교통 기관 역 좌표와 일치하는지 여부의 매칭 처리를 행한다.
스텝 722에 있어서, 공공 교통 기관 역 좌표와 일치하는지 여부의 매칭 처리를 행한 결과, 일치하는 역이 있는 경우에는 서버(20)는 스텝 723에 있어서 예라 판정하고, 스텝 724에 있어서 해당하는 공공 교통 기관의 열차의 운행 상황을 검색한다.
스텝 723에 있어서, 서버(20)가 공공 교통 기관 역 좌표와 일치하는지 여부의 매칭 처리를 행한 결과, 일치하는 역이 없는 경우에는 서버(20)는 스텝 723에 있어서 아니오라 판정하고, 스텝 725에 있어서 현재 위치 정보(P2)를 중심으로 한 반경 500 m의 지역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스텝 725에 있어서, 현재 위치 정보(P2)의 반경 500 m 내에 가장 가까운 공공 교통 기관 역 좌표가 있으면, 서버(20)는 현재 위치 정보(P2)의 가장 가까운 공공 교통 기관의 운행 정보를 검색한다.
각 스텝 708, 720, 721, 724, 725 및 726에 있어서, 휴대 단말(M) 사용자의 이동 상황에 맞춘 정보 검색이 되면, 서버(20)는 스텝 709에 있어서 매칭 종료를 출력하고, 무선 통신 장치(22)는 매칭 종료를 무선 통신부(14)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M)에 있어서 무선 통신 소자(22)가 상기한 매칭 종료를 수신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0)가 스텝 206에 있어서 예라 판정하여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처리 루틴(200) 및 현재 위치 정보 수신 및 데이터 베이스 매칭 처리 루틴(700)이 종료된다.
이상과 같이,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처리 루틴(200) 및 현재 위치 정보 수신 및 데이터 베이스 매칭 처리 루틴(700)이 종료되면, 휴대 단말(M)에 있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10)가 검색 데이터 수신 처리 루틴(300)(도2 및 도10 참조)의 처리를 한다. 한편, 정보 처리 센터(C)에 있어서는, 서버(20)가 검색 데이터 수신 처리 루틴(300)의 처리에 대응하여 검색 데이터 송신 처리 루틴(800)의 처리(도3 및 도11 참조)를 행한다. 이하, 검색 데이터 송신 처리 루틴(800)의 처리를 검색 데이터 수신 처리 루틴(300)의 처리에 대응시켜 설명한다.
도10의 검색 데이터 수신 처리 루틴(300)에서는 스텝 301에 있어서 변수 데이터(q)가 q = 0으로 클리어된다. 계속해서, 스텝 302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0)가 현재 위치 정보 수신 및 데이터 베이스 매칭 처리 루틴(700)에서 검색된 상기 휴대 단말(M)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기초로 하는 검색 데이터(이후 검색 데이터라고도 함)의 송신 요구를 출력한다. 이에 수반하여, 무선 통신부(14)는 마이크로 컴퓨터(10)로부터의 상기 송신 요구를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M)에서는 스텝 302에서의 상기 처리 후, 스텝 303에서 변수 데이터가 q = q + 1 = 1로 가산 갱신되어, 스텝 304에 있어서 q ≤ 3을 기초로 아니오라고 판정된다. 여기서, 스텝 304에 있어서, q > 3을 판정 기준으로 한 것은 외란 등의 영향도 고려하여 서버(20)가 무선 통신부(14)의 송신 요구를 무선 통신 장치(22)를 거쳐서 확실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후, 스텝 302 내지 스텝 304의 순환 처리가 반복되어 상기 송신 요구가 반복 출력된다. 이에 수반하여, 무선 통신부(14)가 상기 송신 요구를 반복하여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한다. 그리고, 스텝 303에 있어서 변수 데이터(q)가 q = q + 1 = 4로 가산 갱신되었을 때, 스텝 304에서의 판정이 예가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송신 요구의 마이크로 컴퓨터(10)로부터의 출력이 종료된다.
정보 처리 센터(C)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22)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4)로부터 송신되는 검색 데이터 송신 요구를 수신하면, 서버(20)는 검색 데이터 송신 처리 루틴(800)(도11 참조)의 스텝 801에 있어서 예라 판정한다. 이 판정에 수반하여, 서버(20)는 검색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에 수반하여 무선 통신 장치(22)는 검색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4)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M)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14)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22)로부터 송신되는 검색 데이터를 수신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스텝 305에 있어서 예라 판정한다. 스텝 305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14)가 검색 데이터를 수신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0)가 검색 데이터를 표시부(15)에 표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부(11)의 입력에 의해 조작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휴대 단말(M)이 현재 위치 정보를 정보 처리 센터(C)에 송신한다. 그러면, 정보 처리 센터(C)에 있어서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이동 수단의 판정 처리, 이동 수단에 따른 정보의 검색을 하여 검색 정보를 휴대 단말(M)에 송신한다. 이에 수반하여, 휴대 단말(M)은 수신한 검색 정보를 표시부(15)에 출력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M)을 휴대한 사용자는 이동 수단에 대한 입력 조작을 하지 않아도 상기 사용자의 이동 수단에 따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사용자가 예를 들어 공공 교통 기관 중 하나인 열차에 승차하여 이동하고 있을 때에, 상기 사용자가 구체적으로 승차하고 있는 열차가 특정되므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열차가 목적역에 도착하는 시각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자동차에 승차하여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사용자가 고속으로 이동하고 있고, 또한 도로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 검색되어 상기 자동차의 현재 위치에서 이동 방향에 관한 도로 교통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승차하고 있는 자동차가 고속 자동차 도로, 도시 고속 도로, 유료 자동차도를 주행하고 있을 때에는 이동 방향의 서비스 영역 정보, 파킹 영역 정보, 인터체인지 정보, 정크션 정보를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도보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사용자의 주변에 공공 교통 기관의 역이 있는지 여부가 검색되어, 공공 교통 기관의 역이 있을 때에 그 공공 교통 기관에 관한 시각표 등의 운행 상황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주변에 공공 교통 기관의 역이 없을 때에는 상기 사용자 주변의 점포 등의 지역 정보를 알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12 내지 도15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휴대 단말(M)측의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처리 루틴(200) 및 정보 처리 센터측의 현재 위치 정보 수신 및 데이터 베이스 매칭 처리 루틴(700) 대신에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처리 루틴(200A) 및 정보 처리 센터측의 현재 위치 정보 수신 및 데이터 베이스 매칭 처리 루틴(700A)이 채용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처리 루틴(200A)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스텝 201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상기 휴대 단말(M) 사용자의 데이터 베이스 매칭 요구를 출력한다. 이에 수반하여, 무선 통신부(14)는 마이크로 컴퓨터(10)로부터 데이터 베이스 매칭 요구를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한다.
정보 처리 센터(C)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22)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4)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베이스 매칭 요구를 수신하면, 서버(20)는 현재 위치 정보 수신 및 데이터 베이스 매칭 처리 루틴(700A)(도13 내지 도15 참조)의 스텝 701에 있어서 예라 판정한다. 데이터 베이스 매칭 요구를 수신하면, 스텝 702에 있어서 서버(20)가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요구를 출력하고, 무선 통신 장치(22)가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요구를 무선 통신부(14)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M)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14)가 정보 처리 센터(C)에 있어서의 스텝 702의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요구를 수신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0)가 스텝 202에 있어서 예라 판정한다. 이에 수반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스텝 203에 있어서, 현재 위치 검출 장치(12)에서 검출한 현재 위치 정보(P1)를 출력하고, 무선 통신부(14)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P1)를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한다.
정보 처리 센터(C)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22)가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위치 정보(P1)를 수신하면, 스텝 703에 있어서 예라 판정된다. 이 판정에 수반하여, 서버(20)는 스텝 710에 있어서 다시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요구를 출력하여 무선 통신 장치(22)가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요구를 무선 통신부(14)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M)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14)가 정보 처리 센터(C)에 있어서의 스텝 710의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요구를 수신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0)가 스텝 204에 있어서 예라 판정한다. 이에 수반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스텝 205에 있어서 현재 위치 검출 장치(12)에서 검출한 현재 위치 정보(P2)를 출력하고, 무선 통신부(14)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 P2를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한다.
정보 처리 센터(C)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22)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4)로부터 송신되는 현재 위치 정보(P2)를 수신하면, 스텝 711에 있어서 서버(20)는 예라 판정한다. 스텝 703에서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P1)와 스텝 711에서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 P2에 의해, 서버(20)는 스텝 712에 있어서 휴대 단말(M) 사용자의 이동 방향(D)과, 이동 거리(L)로부터 이동 속도(S)를 산출한다. 이하, 서버(20)는 도14 및 도15에 도시하는 흐름도에 따라서, 현재 위치 정보 수신 및 데이터 베이스 매칭 처리 루틴(700A)의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센터(C)의 무선 통신 장치(22)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별도 부재로 구비해도 좋다.
본원 발명의 기술 구성에 따르면, 현재 위치 정보로부터 이동 수단을 결정하여 결정된 이동 수단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센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2는 도1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용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3은 도1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버의 작용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4는 도2의 사용자 인증 출력 처리 루틴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흐름도.
도5는 도3의 사용자 인증 처리 루틴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흐름도.
도6은 도2의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처리 루틴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흐름도.
도7은 도3의 현재 위치 정보 수신 및 데이터 베이스 매칭 처리 루틴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도3의 현재 위치 정보 수신 및 데이터 베이스 매칭 처리 루틴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9는 도3의 현재 위치 정보 수신 및 데이터 베이스 매칭 처리 루틴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도2의 검색 데이터 수신 처리 루틴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11은 도3의 검색 데이터 송신 처리 루틴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현재 위치 정보 송신 처리 루틴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흐름도.
도13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현재 위치 정보 수신 및 데이터 베이스 매칭 처리 루틴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현재 위치 정보 수신 및 데이터 베이스 매칭 처리 루틴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현재 위치 정보 수신 및 데이터 베이스 매칭 처리 루틴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M : 휴대 단말
C : 정보 처리 센터
10 : 마이크로 컴퓨터
11 : 조작부
12 : 현재 위치 검출 장치
13 : 기억부
14 : 무선 통신부
15 : 표시부
20 : 서버
21 : 기억 장치
22 : 무선 통신 장치

Claims (10)

  1.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이 통신 수단에 의한 상기 수신 현재 위치를 기초로 상기 휴대 단말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결정하는 이동 수단 결정 수단과,
    상기 결정 이동 수단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검색하는 정보 검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검색 정보를 송신하도록 한 정보 처리 센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 결정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현재 위치의 변화 정도를 기초로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이 산출 이동 속도를 기초로 이동 수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센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 결정 수단은 상기 수신 현재 위치가 공공 교통 기관의 노선 네트워크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 수단을 공공 교통 기관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센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 결정 수단은 상기 공공 교통 기관의 시각표 정보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수신 현재 위치의 변화 방향을 기초로 상기 공공 교통 기관을 특정하고,
    상기 정보 검색 수단은 상기 특정 공공 교통 기관에 관한 시각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센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 결정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수신 현재 위치가 도로 네트워크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 수단을 자동차로 결정하고,
    상기 정보 검색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수신 현재 위치의 변화 방향을 기초로 상기 자동차의 이동 방향에 관한 도로 교통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센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 결정 수단은 상기 이동 속도가 소정 속도 이하일 때에 상기 휴대 단말은 그 사용자의 도보에 수반하여 이동하고 있다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센터.
  7.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이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현재 위치의 변화 정도를 기초로 이동 속도를 산출하여 이 산출 이동 속도가 높을 때 상기 이동 수단을 고속 이동 부재로 결정하는 고속 이동 부재 결정 수단과,
    상기 수신 검출 현재 위치가 공공 교통 기관의 노선 네트워크와의 대조에 의해 일치할 때, 상기 고속 이동 부재를 상기 공공 교통 기관으로 결정하는 공공 교통 기관 결정 수단과,
    상기 수신 검출 현재 위치와 이 수신 검출 현재 위치의 상기 공공 교통 기관의 이동에 수반하는 변화 방향을 기초로 상기 공공 교통 기관의 시각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공 교통 기관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공공 교통 기관 특정 수단과,
    이 공공 교통 기관 특정 수단에 의해 구체적으로 특정된 공공 교통 기관에 관한 시각표 정보를 검색하는 시각표 정보 검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시각표 정보 검색 수단으로 검색한 시각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한 정보 처리 센터.
  8.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이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현재 위치의 변화 정도를 기초로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이 산출 이동 속도를 기초로 상기 이동 수단이 고속 이동 부재인지 저속 이동 부재인지에 대해 판정하는 이동 부재 판정 수단과,
    상기 이동 부재 판정 수단이 상기 고속 이동 부재라 판정하였을 때, 상기 수신 검출 현재 위치를 공공 교통 기관의 노선 네트워크와 대조하여 상기 고속 이동 부재가 상기 공공 교통 기관인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는 공공 교통 기관 판정 수단과,
    상기 공공 교통 기관 판정 수단이 상기 공공 교통 기관이라 판정하였을 때에, 상기 수신 검출 현재 위치와 이 수신 검출 현재 위치의 상기 공공 교통 기관의 이동에 따르는 변화 방향을 기초로 상기 공공 교통 기관의 시각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공 교통 기관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공공 교통 기관 특정 수단과,
    상기 공공 교통 기관 판정 수단이 상기 공공 교통 기관과 다르다고 판정하였을 때, 상기 수신 검출 현재 위치를 도로 네트워크와 대조하여 자동차인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는 자동차 판정 수단과,
    상기 이동 부재 판정 수단이 상기 저속 이동 부재라 판정하였을 때, 상기 수신 검출 현재 위치를 상기 공공 교통 기관의 역 주변 지도 데이터와 대조하여 상기 저속 이동 부재가 공공 교통 기관의 역 주변에 위치하는지 판정하는 저속 이동 부재 위치 판정 수단과,
    상기 공공 교통 기관 특정 수단이 상기 공공 교통 기관을 구체적으로 특정하였을 때 이 공공 교통 기관에 관한 시각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저속 이동 부재 위치 판정 수단이 역 주변에 위치한다고 판정하였을 때에 상기 역의 시각표 정보를 검색하는 시각표 정보 검색 수단과,
    상기 자동차 판정 수단이 자동차라 판정하였을 때에, 상기 수신 검출 현재 위치와 이 수신 검출 현재 위치의 상기 자동차의 이동에 수반하는 변화 방향을 기초로 상기 자동차의 이동 방향에 관한 도로 교통 정보를 검색하는 도로 교통 정보 검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시각표 정보 검색 수단 또는 상기 도로 교통 정보 검색 수단에 의한 검색 정보를 송신하도록 한 정보 처리 센터.
  9.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현재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현재 위치를 송신하는 현재 위치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과,
    이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현재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한 수신 현재 위치를 기초로 상기 휴대 단말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결정하는 이동 수단 결정 수단과, 상기 결정 이동 수단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검색하는 정보 검색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검색 정보를 송신하도록 한 정보 처리 센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0.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고,
    이 수신 현재 위치를 기초로 상기 휴대 단말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 이동 수단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검색하여 이 검색 정보를 송신하도록 한 정보 처리 방법.
KR1020040038625A 2003-08-07 2004-05-29 정보 처리 센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제공 시스템 KR200500159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06567 2003-08-07
JP2003206567A JP2005056002A (ja) 2003-08-07 2003-08-07 情報処理センター、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978A true KR20050015978A (ko) 2005-02-21

Family

ID=33549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625A KR20050015978A (ko) 2003-08-07 2004-05-29 정보 처리 센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33508A1 (ko)
EP (1) EP1505519A3 (ko)
JP (1) JP2005056002A (ko)
KR (1) KR20050015978A (ko)
CN (1) CN15811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74481C (zh) * 2005-07-25 2009-12-23 索尼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及方法
JP4825050B2 (ja) * 2006-05-12 2011-11-30 ヤフー株式会社 位置情報から移動手段を求め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90106101A1 (en) * 2007-10-19 2009-04-23 Green Kim R Public transportation usage tracking method and apparatus
JP5035019B2 (ja) * 2008-02-27 2012-09-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移動方法判定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移動手段判定方法
TWI649730B (zh) * 2009-02-20 2019-02-01 日商尼康股份有限公司 資訊取得系統、攜帶型終端、伺服器、以及攜帶資訊機器用程式
GB201106555D0 (en) * 2011-04-19 2011-06-01 Tomtom Int Bv Taxi dispatching system
JP2014115769A (ja) * 2012-12-07 2014-06-26 Ntt Docomo Inc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02084B2 (ja) * 2013-05-23 2016-10-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6360000B2 (ja) * 2015-05-22 2018-07-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移動手段推定モデル生成装置、移動手段推定モデル生成方法、移動手段推定モデル生成プログラム
CN105916106A (zh) * 2015-10-30 2016-08-31 乐视移动智能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手机屏幕的航班信息显示方法和系统
JP2019103338A (ja) * 2017-12-06 2019-06-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電力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0507B2 (en) * 1993-05-18 2004-03-02 Arrivalstar, Inc. Advance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vehicle signaling
JP3495118B2 (ja) * 1994-11-14 2004-02-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IL128479A (en) * 1996-08-13 2002-03-10 Schmier Kenneth J Information system for the arrival of public transport vehicles
CN100397384C (zh) * 1997-02-07 2008-06-25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车载终端装置
US6591263B1 (en) * 1997-04-30 2003-07-0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ulti-modal traveler information system
FR2765710B1 (fr) * 1997-07-04 1999-09-10 Jean Claude Decaux Systeme d'information pour renseigner les usagers d'un reseau de transport en commun relativement aux temps d'attente aux arrets de ce reseau
US6377890B1 (en) * 1998-11-30 2002-04-23 Mitsubishi Denki K.K. Navigator
DE19935645A1 (de) * 1999-07-29 2001-02-01 Bosch Gmbh Robert Navigationsverfahren und Navigationsgerät
US6674357B1 (en) * 1999-11-12 2004-01-06 The Transit Grapewine, Llc Informational messages display system for mass transit systems and method for same
US6700506B1 (en) * 2000-09-14 2004-03-02 Everyday Wireless, Inc. Bus arrival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s related thereto
GB0028029D0 (en) * 2000-11-17 2001-01-0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related system and appartus for providing travel-related inform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JP2002304408A (ja) * 2001-04-04 2002-10-18 Hitachi Ltd 移動端末
EP1450132A4 (en) * 2001-08-10 2009-09-02 Panasonic Corp REPORTING SYSTEM, CENTRAL APPARATUS, TERMINAL, MAP DATA TRANSMISSION SYSTEM, CENTRAL APPARATUS AND TERMINAL
CA2361858A1 (en) * 2001-11-13 2003-05-13 Daytech Mfg. Lt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duct for provisioning transit shelters
JP3651598B2 (ja) * 2002-01-07 2005-05-2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端末装置及び位置情報システム
US6845316B2 (en) * 2002-10-14 2005-01-18 Mytrafficnews.Com, Inc. Distribution of traffic and transit information
US6988032B2 (en) * 2003-04-29 2006-01-17 Lucent Technologies Inc. Generating vehicle traffic data from raw location data for mobile un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05519A2 (en) 2005-02-09
US20050033508A1 (en) 2005-02-10
CN1581153A (zh) 2005-02-16
EP1505519A3 (en) 2006-04-19
JP2005056002A (ja)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60976A1 (en) Navigation system, route searching method,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unit,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unit, car navigation apparatus, information recorded medium
US8019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updating of navigation system
US6810325B2 (en) Position locating system, server, position locating method, and program
US84232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ravel route in navigation system
US20110022305A1 (en) Car navigation apparatus,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car navigation system
CN1808178A (zh) 使用移动终端检测运动体的位置的方法和系统
US20090024322A1 (en) Navigation System for a Vehicle
CN111006678A (zh) 路径搜索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50015978A (ko) 정보 처리 센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제공 시스템
JP2006284246A (ja) タクシー経路検索システム
US6928365B2 (en) Navigation apparatus, navigation method, navig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JP200304450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3966321B2 (ja) 自動車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717843B1 (ko) 대중교통정보를 이용한 개인항법장치 및 그 방법
JP3871311B2 (ja) 位置特定システム、サーバ装置、位置特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531271B2 (ja) ナビゲーション方法,その経路提供装置,その経路案内装置,そのシステム
WO2006013790A1 (ja) 位置情報送信装置、位置情報受信装置、位置情報送信方法、及び位置情報送信用プログラム
JP2002165253A (ja) 移動無線通信端末
JP2002340584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交通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JP390096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情報センタ及び車載装置
JP376767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2000113393A (ja) 自動車の駐車場情報提供方法
JP3980455B2 (ja) 通信端末装置、その接続制御方法、そのプログラム
JP386473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情報センタ及び車載装置
JP4228759B2 (ja) 情報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