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4619A -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4619A
KR20050014619A KR1020030068834A KR20030068834A KR20050014619A KR 20050014619 A KR20050014619 A KR 20050014619A KR 1020030068834 A KR1020030068834 A KR 1020030068834A KR 20030068834 A KR20030068834 A KR 20030068834A KR 20050014619 A KR20050014619 A KR 20050014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application data
nonvolatile memory
storing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도홍
Original Assignee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14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61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3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4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non-volatile solid state storage medium, e.g. DVD, CD-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61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hard disk dr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HP(Multimedia Home Flatform)를 적용한 수신기의 별도의 비휘발성 저장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보관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부에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불러들이는 비휘발성 메모리 매니저; 및 상기 불러들인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Storing And Executing Applic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MHP(Multimedia Home Platform)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MHP를 적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별도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위성, 지상파 또는 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이 확산되고 있으며, 또한 단순히 오디오 및 비디오를 보여주는 일반 디지털 방송 수신기 외에 미들웨어를 포팅(porting)한 고급사양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요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미들웨어 크게 표준규격과 비표준규격으로 나뉘는데, 표준규격에는 MHP(Multimedia Home Platform: 멀티미디어 홈 플랫폼), DASE(D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 ATVEF(Advanced Television Enhancement Form),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등이 있다. 또한, 비표준규격에는 Open TV, Media Highway, Liberate 등이 있다. 이러한 미들웨어를 채택하고 적용하는 이유는 다양한 인터렉티브 어플리케이션(interactive application)을 개발할 수 있고, 기존의 PC에서만 가능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종합적인멀티미디어 단말기를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MHP는 유럽의 디지털방송 표준화 단체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에서 제안한 미들웨어 표준규격으로 유럽과 한국위성방송 등에서 채택되어 있다. 특히 MHP는 개방형 표준으로서, 타 표준에 비해 시장 진입이 자유롭고 컨텐츠 공유도 가능하며, JAVA기술을 바탕으로 HTML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따라서, MHP의 사용이 유럽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MHP의 적용 수신기의 여러 장점 중 하나는 기존 단방향 디지털 방송의 단순한 오디오 및 비디오를 수신하는 것 이외에도 쌍방향 인터렉티브(interactive) 데이터 방송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MHP의 근간은 자바 가상 머신(JAVA Virtual Machine)에 의한 데이터 처리 및 어플리케이션 수행 능력에 있는데, 이를 통한 정보(information), 게임(game), T-커머스(T-commerce), 폴링(polling) 등의 여러 적용 분야가 있다.
상기 MHP의 자바 가상 머신은 HAVI(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규격을 가진 제한된 UI 리소스(user-interface resource) 및 적은 메모리 제한 사양을 가지고 있으나, 기존의 PC에서와 같은 자바 기술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쉽게 포팅 가능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MHP 데이터 수신 방식은 DVB 표준인 DSM-CC를 따르고 있다. 이는 방송 송출 수신 시스템 상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전달을 위해서 도 1에서와 같이 CAROUSEL(회전 목마) 형식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는 수신기의 휘발성 메모리인 램에 저장되어, 수신기를 Off 시킬 때 모두 지워지게 된다. 수신기에는 코드를 저장할 비휘발성 메모리인 플래시 메모리를 가지게 되는데, 이 외에도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여분의 메모리 여유 공간을 가지고 있다. MHP의 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작게는 수십 킬로바이트(Kbytes) 에서 많게는 수백 킬로바이트의 크기를 가지게 되는데 수신기의 제한된 플래시 메모리 크기에는 적은 수의 어플리케이션만을 담을 수 있었다.
따라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이들을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필요한 실정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MHP 적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소프트웨어 모듈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네이티브 모듈(10)과 MHP 모듈(20)을 포함한다.
네이티브 모듈(10)은 디지털 방송 스트림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트림 신호에서 영상 및 음성 정보들 및 그 외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EPG) 등을 역다중화하고 이를 디바이스상에 구현하기 위한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MHP 모듈(20)은 인터렉티브 기능을 갖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디바이스상에 구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현재 수신되고 있는 MHP 데이터 방송에서는 한 개의 어플리케이션만을 수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크기에 따라 램 영역을 차지하여, 프로그램 수행 영역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MHP는 방송 송출 업체의 어플리케이션을 수신받아 동작하기 때문에 방송 업체의 정책에 따라 일방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 받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으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기상의 비휘발성 메모리,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에 저장하고, 이를 언제든지 불러들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MHP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C에서 구현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수신기로 다운로드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방송 송출 수신 시스템상에서 CAROUSEL 형식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MHP 적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소프트웨어 모듈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저장 및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PC 상의 자바 어플리케이션 저장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PC상의 자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보관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부에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불러들이는 비휘발성 메모리 매니저; 및 상기 불러들인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매니저는 PC 상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와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방법은, 멀티미디어 홈 플랫폼이 동작하여, 수신된 방송 스트림 신호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신호를 인가 받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1 단계; 비휘발성 메모리 매니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네이티브 모듈 영역으로 복사하여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네이티브 모듈 영역에 복사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3 단계;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가 상기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의 날짜, 제목 및 인덱스 값을 화면에 표시하는 제4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리모콘키를 이용하여 선택 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 단계에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은 이후의 불특정 시간에 사용자가 리모콘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디렉토리 형식으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며 그것을 관리하는 작은 데이터 베이스 파일을 추가하고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PC상에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방법은, PC상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시리얼 통신 또는 이더넷을 통하여 상기 네이티브 모듈의 휘발성 메모리에 다운로드 하는 제1 단계; 비휘발성 메모리 매니저는 상기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하드디스크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및 날짜가 헤더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단계는, 방송 스트림 신호에서 제공받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와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에 태그를 삽입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은 각 채널에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매시간 새로운 영상 및 음성 신호가 제공되고 이들 신호가 비디오 장치 및 오디오 장치를 통하여 구현된다.
따라서, 수신된 상기 영상 및 음성 신호는 수신 장치의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잠시 머문 후에 사라지게 된다.
또한, MHP 모듈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들도 MHP 모듈의 휘발성 메모리에 있는 것으로, 방송 시간 이외에는 다시 불러올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충분한 비휘발성 메모리 공간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를 관리하여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저장 및 불러오기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면,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소프트 웨어 모듈은, 네이티브 모듈(500), MHP 모듈(520), 비휘발성 메모리 매니저(530),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540)를 포함한다.
네이티브 모듈(500)은 디지털 방송 스트림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트림 신호에서 영상 및 음성 신호들 및 그 외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EPG) 등을 역다중화하고 이를 디바이스상에 구현하기 위한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메뉴 태스크(501), EPG 태스크(502), 리모콘 태스크(503), 채널 번호 태스크(504), PSI 파싱 태스크(505), 루트 태스크(506), 디바이스 태스크(507), 모니터 태스크(508), 디멀티플렉싱 태스크(509), RTOS(510), 디바이스 드라이버(5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루트 태스크(506)는 사용하고자 하는 큐(queue)를 초기화(create)하고 태스크들을 초기화하고 시작(start)하며, 필요한 인터럽트(interrupt)를 가능하게(enable)하여 인터럽트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다. 하드웨어 초기화는 디바이스 태스크(507)에서 수행하도록 한다. 루트 태스크(506)는 초기화가 끝나면 일시정지(suspend) 모드로 들어가게 되어 전체 프로그램 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메뉴 태스크(501) 및 EPG 태스크(502)는 각각 그래픽 메뉴 및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담당하는 태스크로 그래픽 라이브러리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근(access)하도록 되어 있다. 메뉴 태스크(501)와 채널 번호 태스크(504)는 협동(cooperation) 구조를 갖고 있다. 메뉴 태스크(501)는 사용자 입력을 받아 채널 번호 태스크(504)로 전달하고, 채널 번호 태스크(504)는 받은 명령을 수행한 후 올바르게 수행되었는가 여부를 체크한다.
디바이스 태스크(507)는 채널 번호 태스크(504)로부터 초기화 명령을 받아 초기화를 수행하고, 리모콘 태스크(503)를 통하여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아 오디오 및 비디오 부분의 처리를 담당하는 태스크이다. 주로, IO 컨트롤(Input/Output control), 스크린 컨트롤(screen control) 및 IIC(Intergrated Internetwork Circuit)에 대한 처리를 담당한다.
PSI 파싱 태스크(505)는 방송신호에서 오는 PSI(Program & System Information)를 처리하는 부분으로 EPG 태스크(502)와 연관되어 있다. PSI 파싱 태스크(505)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EPG 데이터를 완성시켜 EPG 태스크(502)에서 EPG 화면 처리시 이용하도록 한다.
또한, 모니터 태스크(508)는 특정 칩의 동작 여부를 체크하는 태스크이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runing) 중에 외부의 이유로 인해 특정 칩이 동작을 정지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특정 칩이 동작을 멈추면서 CPU에게 이를 알릴 수는 없기 때문에 CPU측에서 폴링(polling)을 하여 동작여부를 체크 하여야 하는데, 모니터 태스크(508)가 이를 담당한다.
디멀티플렉싱 태스크(509)는 스트림 신호에서 영상 및 음성 정보들 및 그 외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EPG) 등을 역다중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RTOS(Real Time OS)(510)는 실시간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다.
디바이스 드라이버(511)는 상기 오디오 장치 및 비디오 장치 등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디바이스 태스크(507)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MHP 모듈(520)은 인터렉티브 기능 및 데이터 방송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 상기 네이티브 모듈(500)이 영상 및 음성 신호, EPG 신호 등을 디바이스상에 구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비해, 상기 MHP 모듈(520)은 인터렉티브 기능을 갖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디바이스상에 구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휘발성 메모리 매니저(530)는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부가되어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저장, 불러오기 기능 등을 관리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MHP 모듈(520) 영역의 휘발성 메모리에 위치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네이티브 모듈(500) 영역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가져와 저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날짜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이름, 허쉬값(Hash) 등을 이용하여 고유 키(Unique Key)값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540)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런칭(launching)하는 모듈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소프트 웨어 모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저장 및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MHP 모듈(520)이 동작하여(S110), 수신된 방송 스트림 신호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40).
다음, 비휘발성 메모리 매니저(530)는 MHP 모듈(520) 영역에서 동작하는 Object carousel 형식의 파일 시스템 데이터를 네이티브 모듈(500) 영역에서 동작하는 파일 시스템으로 복사하여 생성하고(S120), 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한다(S150). 이 경우, 날짜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이름 그리고 허쉬(Hash) 값을 이용한 고유키 값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다음,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540)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매니저(530)를 통해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의 날짜, 제목 및 인덱스 값을 화면에 표시(list up)한다(S130).
이때, 하드디스크의 FAT 테이블을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검색(serach)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540)를 통해 표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리모콘키를 이용하여 선택 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S140).
또한, 상기 S150 단계에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은 이후의 불특정 시간에 사용자가 리모콘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비휘발성 메모리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때에는 디렉토리 형식으로 저장하며 그것을 관리하는 작은(tiny) 데이터 베이스 파일을 추가하고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한 세부 동작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MHP 모듈(520) 영역에서 회전목마(Object carousel) 형식에 따라 생성된 램 베이스(ram base) 파일을 가져온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인 ram base 파일은 MHP 모듈(520)에서 디렉토리화 되어있다. 따라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특정 디렉토리(예를 들어, dev/oc)에 있는 ram base 파일을 가져올 수 있다.
다음, 가져온 ram base 파일에 따른 작은 데이터 베이스를 다음과 같이 생성한다.
Tiny database
{
Datetime date
Char app_name[256]
Hash key_value
}
마지막으로, 하드디스크 FAT 테이블에 파일을 디렉토리 "dev/hdd1"에 저장한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서와 같이, 먼저, 상기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540)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및 날짜 등을 하드 디스크의 FAT 테이블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한다(S210).
다음, 사용자가 리모콘키를 이용하여 삭제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S220).
다음, 비휘발성 메모리 매니저(530)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하드디스크 및 FAT 테이블에서 삭제한다(S230).
다음, 하드디스크 관리 유틸리티 메뉴에서는 남아있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정리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540)는 남아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240).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내장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때문에 램 영역의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실시간으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비실시간으로 언제든지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PC상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PC 상의 자바 어플리케이션 저장 구조를 나타낸 도이고, 도 7은 PC상의 자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모리 압축 기법이나 PVR 등에 적용되는 하드디스크(HDD)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저장 장치를 내장한 MHP 적용 수신기(300)를 이용하여 PC 상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저장 장치에 다운로드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는 MHP의 자바 가상 머신을 응용한 예로서, PC상의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직렬 포트, 이더넷 등을 통하여 이용 수신기의 저장장치에 다운로드하게 된다.
그러면,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PC상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PC상에 저장되어 있는 자바 어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시리얼 통신(Serial) 또는 이더넷(ethernet)을 통하여 상기 네이티브 모듈(500)의 휘발성 메모리에 다운로드한다(S310).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및 날짜 등은 헤더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네이티브 모듈(500)의 휘발성 메모리에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매니저(530)에 의해 하드디스크로 전송되어 저장된다(S320).
이때, 다운로드된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및 날짜 등의 정보를 FAT 테이블에 저장하게 되는데, 상기 수신된 방송 스트림 신호에서 제공받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와 구분하기 위해 태그(tag)를 삽입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PC에서 구현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비실시간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였다가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PC에서 구현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수신기로 다운로드 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디지털 방송 스트림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트림 신호에서 영상 및 음성 정보,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역다중화하고 이를 디바이스상에 구현하는 네이티브 모듈과,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디바이스상에 구현하는 멀티미디어 홈 플랫폼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보관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부에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불러들이는 비휘발성 메모리 매니저; 및
    상기 불러들인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매니저는, PC 상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와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3. 멀티미디어 홈 플랫폼이 동작하여, 수신된 방송 스트림 신호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신호를 인가 받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1 단계;
    비휘발성 메모리 매니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네이티브 모듈 영역으로 복사하여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네이티브 모듈 영역에 복사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3 단계;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가 상기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의 날짜, 제목 및 인덱스 값을 화면에 표시하는 제4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리모콘키를 이용하여 선택 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제3 단계에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은 이후의 불특정 시간에 사용자가 리모콘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방법.
  5. 제3항에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디렉토리 형식으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며 그것을 관리하는 작은 데이터 베이스 파일을 추가하고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방법.
  6. PC상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시리얼 통신 또는 이더넷을 통하여 네이티브 모듈의 휘발성 메모리에 다운로드 하는 제1 단계;
    비휘발성 메모리 매니저는 상기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하드디스크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저장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및 날짜가 헤더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저장 방법.
  8. 제6항에서,
    상기 제2 단계는,
    방송 스트림 신호에서 제공받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와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에 태그를 삽입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저장 방법.
KR1020030068834A 2003-07-30 2003-10-02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및 그 방법 KR200500146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884 2003-07-30
KR20030052884 2003-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619A true KR20050014619A (ko) 2005-02-07

Family

ID=3722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834A KR20050014619A (ko) 2003-07-30 2003-10-02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461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350B1 (ko) * 2005-09-16 2007-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실시간 데이터 처리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방법
KR100720558B1 (ko) * 2005-08-30 200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방송의 저장 및 실행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제어방법
KR100786073B1 (ko) * 2005-11-07 2007-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탈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64404B1 (ko) * 2007-07-12 2008-10-20 (주)옴니텔 디엠비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버츄얼 머신이 구동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558B1 (ko) * 2005-08-30 200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방송의 저장 및 실행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제어방법
KR100709350B1 (ko) * 2005-09-16 2007-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실시간 데이터 처리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방법
KR100786073B1 (ko) * 2005-11-07 2007-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탈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64404B1 (ko) * 2007-07-12 2008-10-20 (주)옴니텔 디엠비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버츄얼 머신이 구동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6198B2 (e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 method
US20060179465A1 (en) Handling feature availability in a broadcast
US6539437B1 (en) Remote control inputs to java applications
US9264757B2 (en) Service executing apparatus
US8244829B2 (en) Data transmitting apparatus, data receiving apparatus,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data receiving method
US20110302274A1 (en) Architecture of a network device for processing applications, and control method for the network device
EP1067458A1 (en) Running and testing applications
US7089554B2 (en) Program executing apparatus
US8813084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scheduling method thereof
US881966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function expansion method
JP2001028585A (ja) 配信コンテンツ生成方法、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コード変換方法
US20060080474A1 (en) Information processor
EP1763246A1 (en) Method of access to applications transmitted within data streams of different television channels and device giving access to broadcasted applications
CN101014101A (zh) 管理数据广播的应用的方法、类/接口结构及广播接收机
KR100870200B1 (ko) 통합 미들웨어형 디지털방송 수신장치
Peng et al. Digital television application manager
KR20050014619A (ko)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및 그 방법
US200802094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Start-up Time of Mhp Applications
Pravin et al. Set top box system with android support using Embedded Linux operating systempaper
US20130191853A1 (en) Program execution method and program execution apparatus
Peng et al. Integration of applications into digital television environment
Jaeger Set-top box software architectures for digital video broadcast and interactive services
KR100517994B1 (ko) 멀티미디어 홈 플랫폼과 네이티브 소프트웨어간의컨텍스트 스위칭을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스위칭 방법
KR100913696B1 (ko)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GB2471117A (en) A digital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a service request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