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1050A - Dual camera phone - Google Patents

Dual camera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1050A
KR20050011050A KR1020030049889A KR20030049889A KR20050011050A KR 20050011050 A KR20050011050 A KR 20050011050A KR 1020030049889 A KR1020030049889 A KR 1020030049889A KR 20030049889 A KR20030049889 A KR 20030049889A KR 20050011050 A KR20050011050 A KR 20050011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s
image data
image
frame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정근
류원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49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1050A/en
Publication of KR20050011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050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dual camera phone is provided to photograph images of subjects located in different directions by using two cameras and to synthesize images obtained from the two cameras into one picture in order to store the synthesized picture. CONSTITUTION: Two rotary cameras(102,104) are installed to photograph subjects. An image signal processor(120) processes photographing signals outputted from the rotary cameras(102,104), and records a part only of a processed image signal of each rotary camera in 2-split designated areas of a frame memory(122) according to a selection mode to generate 2-split image data of one frame. A display unit(124) displays the 2-split image data. A key input unit(116) receives a split display command. A control unit(118) controls driving of the rotary cameras(102,104) according to the split display command, and receives the 2-split image data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or(120) to display the 2-split image data at the display unit(124). A memory part(114) stores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processed 2-split image data.

Description

듀얼 카메라 폰{DUAL CAMERA PHONE}Dual camera phone {DUAL CAMERA PHON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개의 카메라를 가지는 듀얼 카메라 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camera phone having two cameras.

오늘날의 휴대폰들은 음성 통화의 기본 기능 이외에 모바일 게임을 수행할 수 있으며, 화상 통화, TV 수신, 카메라 촬영과 같은 부가 기능들을 탑재함으로서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다.Today's mobile phones can play mobile games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of voice calls, and are equipped with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video calling, TV reception, and camera shooting to satisfy various needs of consumers.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여 메일 전송하거나 바탕화면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제작된 카메라 폰은 하나의 카메라만을 탑재하고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사진촬영을 반복하여야 하며 단말기 혹은 카메라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The camera phone, which is designed to take a predetermined image, send an e-mail, or use as a wallpaper, has only one camera.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n image of a subject located in different directions, the photographing must be repeated and the terminal or the camera must be moved.

또한 현재의 카메라 폰에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피사체를 각각 촬영하여 이를 하나의 영상화면으로 편집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In addition, in the current camera phone, there is no method of photographing subjects locat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editing them as one image screen according to a user's need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얻기 위해 두 개의 카메라를 내장하며, 두 개의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합성하여 저장할 수 있는 듀얼 카메라 폰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to integrate the two cameras to obtain the image of the subject locat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o synthesize the images obtained from the two cameras into one screen To provide dual camera phon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 camera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폰의 블럭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dual camera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분할 표시화면 예시도.3 is an exemplary screen division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화면 예시도.4 is an exemplary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폰은,Dual camera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듀얼 카메라 폰에 있어서,In the dual camera phone,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두 개의 회전형 카메라와;Two rotatable camera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상기 카메라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촬상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선택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호 처리된 각 카메라의 영상신호 일부만을 프레임 메모리의 2분할 지정영역에 기록하여 한 프레임의 2분할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신호 처리부와;An image signal for processing the image pickup signal output from each of the cameras, and recording only a portion of the image signal of each of the cameras processed in the two-part designation region of the frame memory according to a selection mode to generate two-part image data of one frame A processing unit;

상기 2분할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wo divided image data;

화면분할 표시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와;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screen division display command;

화면분할 표시명령에 따라 상기 카메라들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로부터 2분할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와;A controller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cameras according to a screen division display command and receiving two-division image data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and displaying the divided image data on the display unit;

촬상된 영상과 편집 처리된 2분할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memory for storing the picked-up image and the edited bi-division image data.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신호 처리된 각 카메라의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중 수직방향의 1/2 지점을 기준으로 그 상하에 위치하는 일부 영상신호만을 발췌하여 한 프레임의 2분할 영상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서, 서로 다른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서로 다른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편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only some video signals located above and below a half of the vertical direction among the video signals of each frame-processed video signal of each camera, thereby generating two divided image data of one frame. There is a feature that can edit different images taken from the camera into a single imag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폰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폰의 표시부(124)에 표시되는 화면분할 표시화면을 각각 예시한 것이다.First, Figure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 camera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block diagram of a dual camera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illustrate screen division display scree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4 of the dual camera phon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폰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를 촬상하여 주는 카메라(102,104)가 휴대폰 본체의 좌우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카메라(102,104)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형으로 설계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피사체를 두 개의 카메라(102,104)를 통해 촬영 가능하며, 동일 피사체를 두 개의 카메라(102,104)로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dual camera phon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cameras 102 and 104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re locat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Such cameras 102 and 104 are designed to be rotatable as is already known and are rotatable by the user. Therefore, the user can photograph the subjects located in different directions through the two cameras 102 and 104, and the same subject can be photographed by the two cameras 102 and 104.

이러한 듀얼 카메라 폰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RF(Radio Frequency) 모듈(module)(110)은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112)에 제공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112)가 제공하는 신호를 RF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dual camera phone with reference to FIG. 2, the RF module 110 demodulates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ANT to the baseband processor 112. The signal provided by the baseband processor 112 is modulated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ANT.

베이스밴드(BB) 처리부(112)는 RF 모듈(110)의 출력신호를 다운 컨버젼한 후에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8)에 제공하고, 제어부(118)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에 업 컨버젼하여 RF모듈(110)에 제공한다.The baseband (BB) processor 112 down-converts the output signal of the RF module 110 and then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o the controller 118 and converts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118 into an analog signal. After the up-conversion to the RF module 110.

제어부(118)는 후술할 메모리부(114)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시된 듀얼 카메라 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18)는 사용자의 화면분할 표시명령에 따라 상기 카메라들(102,104)의 구동을 제어하고, 후술하는 영상신호 처리부(120)로부터 2분할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부(124)에 표시하여 준다. 도시한 카메라 폰이 CDMA 방식을 채용한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118)는 예를 들어 퀄컴(QUALCOMM)사의 MSM(Mobile System Modem)칩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제어부(118)는 베이스밴드 처리부(112)로부터 제공된 디지탈신호 중 오디오에 해당되는 디지탈 신호를 복원하여 오디오 데이타로서 코덱(CODEC:Coder-Decoder)에 제공하거나, 코덱으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데이타를 압축한 후에 베이스밴드 처리부(112)로 제공한다.The controller 118 gener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ual camera phone shown based on the control program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14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8 controls the driving of the cameras 102 and 104 according to a screen division display command of a user, receives two-division image data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n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24. Mark it. If the illustrated camera phone employs a CDMA scheme, the control unit 118 may use, for example, an MSM (Mobile System Modem) chip from Qualcomm. For reference, the controller 118 restores a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audio among the digital signals provided from the baseband processor 112 and provides it to the codec (Coder-Decoder) as audio data, or the audio data provided from the codec. After compression is provided to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12.

메모리부(114)는 적어도 제어부(118)의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와 촬상된 영상 및 편집 처리된 2분할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부(114)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스태틱 램(Static RAM)과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Programmable ROM)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14 stores at least the control program data of the control unit 118, the picked-up image, and the edited two-part image data. The memory unit 114 may be composed of a flash memory, a static RAM, an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 and the like.

키패드(key pad)(116)는 사용자에 의한 각종 명령입력이나 다이얼링 등을 위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그 키 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제어부(118)로 전송한다. 이러한 키패드(116)에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별도의 듀얼 표시모드, 파노라마 표시모드 선택 기능키를 각각 구비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메뉴상에서 키 입력을 통해 듀얼 혹은 파노라마 표시모드를 선택 입력할 수도 있다.The keypad 116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for inputting various commands or dialing by a user, and transmits data according to the key input to the controller 118. The keypad 116 may be provided with separate dual display mode and panoramic display mode selection function keys, respectively,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some cases, a dual or panoramic display mode may be selected and input through key input on the menu.

한편 카메라 1,2(102,104)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출력하여 준다. 이러한 카메라 1,2(102,104)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폰 본체의 좌우측에 위치하며 촬상각도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 조절될 수 있는 회전형으로 제작된다.On the other hand, the camera 1,2 (102,104) captures and outputs the subject. These cameras 1,2,102,104 are locat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mera phone main body as shown in Figure 1 and is manufactured in a rotatable type in which the imaging angle can be manually adjusted by the user.

영상신호 처리부(120)는 카메라(102,104)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촬상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선택모드(예를 들면 듀얼 표시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호 처리된 각 카메라의 영상신호 일부만을 후술하는 프레임 메모리(122)의 2분할 지정영역에 기록하여 한 프레임의 2분할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120 processes a captured image signal output from each of the cameras 102 and 104, and according to a selection mode (for example, a dual display mode), a frame memo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rame memory) which describes only a part of the image signal of each camera processed by the signal. The video data is recorded in the two-split designation region of 122), and two-split image data of one frame is generated and output.

표시부(124)는 제어부(1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1,2(102,104) 각각에서 촬영된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The display unit 124 is used to display frame image data photographed by each of the cameras 1 and 2 102 and 10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8.

이하 상술한 구성의 듀얼 카메라 폰의 동작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ual camera phon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우선 사용자는 키패드(116)를 통해 카메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18)는 두 개의 카메라(102,104)중 하나의 카메라를 구동시킨다. 카메라 구동에 따라 피사체 영상이 촬상되어 출력되고, 이와 같이 촬상된영상은 영상신호 처리부(120)에서 한 프레임의 표시 가능한 영상신호로 처리되어 표시부(124)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영상신호 표시과정은 하나의 카메라를 가지는 일반적인 카메라 폰에서의 영상신호 표시과정과 동일하다.First, the user can select a camera mode via the keypad 116. When the camera mode is selected, the controller 118 drives one of the two cameras 102 and 104. The subject image is captured and output as the camera is driven, and the captured image is processed by the image signal processor 120 into a displayable image signal of one frame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4. The video signal display process is the same as the video signal display process in a typical camera phone having a single camera.

만약 사용자에 의해 듀얼 표시모드 선택이 있으면, 제어부(118)는 또 하나의 카메라를 구동시킨다. 나머지 카메라가 구동하게 되면 카메라 1,2(102,104)는 서로 다른 방향의 피사체를 각각 촬상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카메라 1,2(102,104)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촬상신호는 영상신호 처리부(120)에서 표시가능한 영상신호로 처리된다. 이와 같이 각 카메라(102,104)에서 촬상되어 신호 처리된 영상 프레임의 예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서 (a)는 카메라 1(102)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낸 것이며, (c)는 카메라 2(104)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영상신호 처리부(120)는 도 3의 (a),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된 각 카메라의 영상신호중에서 미리 약정된 구역의 영상신호만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메모리의 2분할 지정영역에 기록하여 한 프레임의 2분할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된 각 카메라의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a,c)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1/2 지점을 기준으로 그 상하에 위치하는 일부 영상신호만을 발췌하여 (b)와 같이 한 프레임의 2분할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이외에도 단순히 (a)영상에 (c)영상을 오버레이하는 방법으로도 (b)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최초 촬상영역에서 카메라 1(102)을 회전시킴으로서 (b)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If the user selects the dual display mode, the controller 118 drives another camera. When the remaining cameras are driven, the cameras 1,2 and 102 and 104 respectively photograph and output subjects in different directions. In this manner, the image signals output from the cameras 1,2,102 and 104 are processed into image signals that can be displayed by the image signal processor 120. 3 shows an example of an image frame picked up by each of the cameras 102 and 104 and signal processed. In FIG. 3, (a) shows an image of a su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1 (102), and (c) shows an image of a su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2 (104). As shown in (a) and (c) of FIG. 3,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120 includes only the image signal of a predetermined region among the image signals of the respective cameras processed as shown in (b) of the frame memory. Two-split image data of one frame is generated by recording in a two-split designated area.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only some video signals located above and below the video signals a and c of the frame unit of each camera, which are proc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asis of 1/2 poi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xtracted two-segment image data of one frame was generated as shown in (b). In addition, the image of (b) may be obtained by simply overlaying (a) the image on the (a) image. In this case, the image of (b) can be obtained by rotating the camera 1 102 in the initial imaging area.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신호 처리부(120)에 의해 2분할 영상 데이터 생성이완료되면, 이러한 2분할 영상 데이터는 제어부(118)를 통해 표시부(124)에 표시된다.When the two-segmented image data generation is completed by the image signal processor 120 as described above, the two-segmented image dat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4 through the controller 118.

따라서 카메라 폰 사용자는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도 3의 (b)와 같은 2분할 합성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camera phone user can capture the subjects located in different directions to obtain two-part composite data as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하나의 2분할 화면을 얻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두 개의 카메라(102,104)로 하나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촬상된 두 화면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화면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o obtain a single split screen by photographing the subjects located in different directions, but when taking a single subject with two cameras (102,104), the image of the two screen images It can also be processed as a video screen of.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카메라 1,2(102,104)가 하나의 피사체를 동시 촬영한다면 a와 b의 영상이 얻어질 것이다. 만약 카메라 1,2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영역을 각각 화면 표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면, 두 개의 촬상화면간에는 d와 같이 겹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영상신호 처리부(120)는 신호 처리된 각 카메라의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a,b)중 겹치는 부분(d)의 영상신호를 기준으로 그 좌우 영역 각각에 각 카메라의 영상신호 일부를 배치하여 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c)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표시부(124)에 표시 가능한 수평 및 수직방향의 사이즈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4에서는 표시가능한 수평방향의 사이즈를 120으로 가정하였다. 그리고 두 카메라(102,104)에 의해 촬상된 화면이 겹치는 부분의 사이즈(20)는 실험에 의해 알 수 있는 값이기 때문에 그 겹치는 부분의 사이즈값을 기준으로 그 좌우 영역에 위치하는 카메라의 영상신호 일부를 배치하여 120 사이즈를 갖는 하나의 화면(c)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4, if two cameras 1,2 and 102 and 104 simultaneously photograph one subject, images of a and b will be obtained. If the cameras 1 and 2 are arranged to display the respective areas as shown in Fig. 4, overlapping portions such as d occur between the two captured screens. In this case, the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120 arranges a part of the video signal of each camera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regions based on the video signal of the overlapping part (d) of the video signals (a, b) in the frame unit of each camera processed by the signal. To generate one frame of image data (c). The reason for doing this is becaus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ze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4 are fixed. In FIG. 4, it is assumed that the displayable horizontal size is 120. Since the size 20 of the overlapped portion of the screen image captured by the two cameras 102 and 104 is a value that can be determined by experiment, a part of the video signal of the camera positioned in the left and right regions based on the size value of the overlapping portion is determined. One screen c having a size of 120 may be generated by arranging it.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개의 카메라(102,104)로부터 얻어진 영상 a와 b를 하나의 파노라마 화면으로서 표시부(124)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크기의 표시부(124)에 파노라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파노라마 화면 전체를 축소하여 표시하면 된다. 이와 같은 모드를 본 발명에서는 파노라마 표시모드로 언급하였다.In some cases, the images a and b obtained from the two cameras 102 and 104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4 as one panoramic screen. In this case, the entire panoramic screen may be reduced in size so that the panoramic scree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4 having a fixed siz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Such a mode is referred to as a panorama display mod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의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합성할 수 있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두 화면을 하나의 영상화면으로 편집할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ynthesize images captured by two cameras into on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njoy the effect of editing the two screens into one video screen as needed.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의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두 개의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합성하여 저장할 수 있는 편리함도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wo cameras, there is an advantage of taking an image of a subject locat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it is convenient to synthesize and store images from two cameras into one screen. There is also.

Claims (3)

듀얼 카메라 폰에 있어서,In the dual camera phone,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두 개의 회전형 카메라와;Two rotatable camera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상기 카메라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촬상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선택모드에 따라서 상기 신호 처리된 각 카메라의 영상신호 일부만을 프레임 메모리의 2분할 지정영역에 기록하여 한 프레임의 2분할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신호 처리부와;An image signal for processing the image pickup signal output from each of the cameras, and recording only a portion of the image signal of each of the cameras processed in the two-part designation region of the frame memory according to a selection mode to generate two-part image data of one frame. A processing unit; 상기 2분할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wo divided image data; 화면분할 표시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와;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screen division display command; 화면분할 표시명령에 따라 상기 카메라들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로부터 2분할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와;A controller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cameras according to a screen division display command and receiving two-division image data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and displaying the divided image data on the display unit; 촬상된 영상과 편집 처리된 2분할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 폰.And a memory for storing the captured image and the edited bi-division image dat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ideo signal processor, 신호 처리된 카메라 각각의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1/2 지점을 기준으로 그 상하에 위치하는 일부 영상신호만을 발췌하여 한 프레임의 2분할 영상 데이터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 폰.Dual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it extracts only part of video signals located above and below a half of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video signals in each frame unit. paw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ideo signal processor, 신호 처리된 카메라 각각의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겹치는 부분의 영상신호를 기준으로 그 좌우 영역 각각에 각 카메라의 영상신호 일부를 배치하여 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 폰.Dual camera pho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deo signal of each camera is arranged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regions based on the video signal of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video signal of each frame-processed camera to generate one frame of video data. .
KR1020030049889A 2003-07-21 2003-07-21 Dual camera phone KR200500110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889A KR20050011050A (en) 2003-07-21 2003-07-21 Dual camera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889A KR20050011050A (en) 2003-07-21 2003-07-21 Dual camera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050A true KR20050011050A (en) 2005-01-29

Family

ID=3722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889A KR20050011050A (en) 2003-07-21 2003-07-21 Dual camera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105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338B1 (en) * 2005-09-09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ual display equipment and method of taking picture using same
KR100684447B1 (en) * 2005-11-28 200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outer-watch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erminal
KR101681840B1 (en) * 2015-08-26 2016-12-12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Real time overlay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multiple camera ima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338B1 (en) * 2005-09-09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ual display equipment and method of taking picture using same
KR100684447B1 (en) * 2005-11-28 200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outer-watch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erminal
KR101681840B1 (en) * 2015-08-26 2016-12-12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Real time overlay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multiple camera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97163B2 (en) mobile phone
KR100627018B1 (en) On screen display control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readble media recording program
KR10143315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thereof
US744340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KR10067233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ual display equipment and method of taking picture using same
JP3809723B2 (en) Compound equipment
US20070053657A1 (en) Video playback device, playback method and video playback program
KR100575924B1 (en) Method for compositing picture with background scenes of device having camera
US834514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ocus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6894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unding taken?image in mobile terminal having camera
KR100819243B1 (en) Method of taking and storing a picture image on digital-camera-enabled phone
JP3804766B2 (en)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ortable telephone
JP4243041B2 (en) Telephone
US7760239B2 (e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apturing camera image and digital broadcasting image and method for the same
US2005001805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ynamic image preparation method and dynamic image preparation program
KR1006294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wide image by using plural camera-phone
KR20050011050A (en) Dual camera phone
KR1006426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a part of pictur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B2398695A (en) Overwriting a background with a foreground image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70058896A (en) Method for generating a picture frame image using a screen capture function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minal
KR10062071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function of composing image
KR100735330B1 (en) Method for editing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JP2004304763A (en) Image compositing apparatus, image compositing method and program
KR20030090889A (en) Magnification image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held terminal integrated digital camera
JP2007043727A (en) Imag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