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712A - 정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712A
KR20050009712A KR10-2004-7019003A KR20047019003A KR20050009712A KR 20050009712 A KR20050009712 A KR 20050009712A KR 20047019003 A KR20047019003 A KR 20047019003A KR 20050009712 A KR20050009712 A KR 20050009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pokha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사미아키코
타케다타케시
스즈키타카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9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71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9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by using specially-adapted hardware at the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1Access control lists [AC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2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 for e-commerce

Abstract

본 발명은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임의의 장치에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격납(저장) 매체, 프로그램과 오브젝트에 관한 것이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가대(23) 위에 재치된 친구 포캬라 인형으로부터 판독출력한 유저 ID를 수취하고, 또 컨텐츠 ID륵 수취하면, 그 유저 ID에 대응해서 컨텐츠 ID가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ID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퍼스널컴퓨터(22)에 기억되어 있는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판독출력하고, 그것을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기억되어 있는 암호키를 이용하여 복호하고, 퍼스널컴퓨터(22)에 공급한다. 본 발명은 퍼스널컴퓨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시스템{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최근,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가 보급되어, 네트워크를 거쳐서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 등의 각종 컨텐츠 데이터가 배신(distribution)되게 되어 왔다. 유저(사용자)는 배신받은 컨텐츠 데이터를,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하드디스크에 기록하고, 필요에 따라서 이것을 재생, 출력할 수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컨텐츠 데이터는 통상 암호화되어 있고, 유저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컨텐츠의 암호를 복호하는데 필요한 암호키도 취득할 필요가 있다. 유저는 그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하여 컨텐츠를 시청한다.
그런데, 종래 이러한 암호키는 유저가 가지는 안전한(secure) 장치 {유저가 개찬(改竄)하는 것이 곤란한 장치}에 기억되어, 암호키가 부정하게 이용되는 것이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는 안전한 구조를 가지는 장치에서밖에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컨텐츠의 저작권을 확실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그렇게 하면 유저가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장치가 암호키를 가지는 안전한 장치에만 한정되어 버리게 된다.
이 때문에, 통상 암호키는 안전한 구조를 가지는 다른 장치에 이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유저가 임의의 장치에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저가 가지는 모든 장치를 안전한 장치로 구성하지 않으면 안되어, 코스트(비용)가 비싸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격납(저장) 매체, 프로그램과 오브젝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임의의 장치에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격납 매체, 프로그램과 오브젝트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임의의 장치에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처리 시스템은 판독 장치에, 오브젝트가 재치(탑재)되어 있을 때,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고, 식별 정보에 대응해서 컨텐츠의 사용을 관리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더 구비하고,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된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식별 정보에 대응해서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도록 할 수가 있다.
상기 오브젝트는 인형으로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은 판독 장치에 오브젝트가 재치되어 있을 때,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해서 컨텐츠의 사용을 관리하는 관리 수단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오브젝트에서 판독된 유저 식별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유저 식별 정보와 컨텐츠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해서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판정 수단에 의해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브젝트는 인형으로 할 수가 있다.
상기 관리 수단은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또 관리하고, 액세스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에 액세스하고 컨텐츠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송신 수단은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컨텐츠를,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로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처리 방법은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해서 컨텐츠의 사용을 관리하는 관리 스텝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오브젝트에서 판독된 유저 식별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유저 식별 정보와 컨텐츠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해서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프로그램 격납 매체의 프로그램은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해서 컨텐츠의 사용을 관리하는 관리 스텝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오브젝트에서 판독된 유저 식별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유저 식별 정보와 컨텐츠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해서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프로그램은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해서 컨텐츠의 사용을 관리하는 관리 스텝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오브젝트에서 판독된 유저 식별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유저 식별 정보와 컨텐츠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해서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오브젝트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유저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여 유저를 인증시키는 송신 수단과,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첨부하여 컨텐츠의 사용을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수단과,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유저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유저가 인증되고, 또한 요구 수단에 의한 요구에 포함되는 컨텐츠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유저가 컨텐츠를 사용하는 라이센스를 가진다고 판정된 경우에,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거쳐서 송신되어 오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센스는 상기 오브젝트에 기억되어 있도록 할 수가 있다.
상기 라이센스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기억되어 있도록 할 수가 있다.
상기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가 있다.
상기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은 오브젝트의 형상에 대응하는 화상으로 할 수가 있다.
상기 오브젝트는 인형으로 할 수가 있다.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인형으로 할 수가 있다.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유저가 사용할 수 있는 컨텐츠의 정보를 기억하도록 할 수가 있다.
상기 오브젝트가 재치되었을 때, 오브젝트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을 더 구비하고, 취득 수단은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유저 식별 정보를 취득할 수가 있다.
상기 판독 수단은 정보 처리 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도록 할 수가 있다.
상기 오브젝트가 판독수단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송신 수단은 검출 수단에 의해 오브젝트가 판독 수단으로부터 분리된 것이 검출된 경우, 오브젝트가 판독 수단으로부터 분리된 것에 대응하는 신호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 또 송신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처리 방법은 오브젝트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유저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여 유저를 인증시키는 송신 스텝과,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첨부해서, 컨텐츠의 사용을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스텝과, 송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송신된 유저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유저가 인증되고, 또한 요구 스텝의 처리에 의한 요구에 포함되는 컨텐츠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유저가 컨텐츠를 사용하는 라이센스를 가진다고 판정된 경우에,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거쳐서 송신되어 오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프로그램 격납 매체의 프로그램은 오브젝트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유저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여 유저를 인증시키는 송신 스텝과,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첨부하여 컨텐츠의 사용을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스텝과, 송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송신된 유저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유저가 인증되고, 또한 요구 스텝의 처리에 의한 요구에 포함되는 컨텐츠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유저가 컨텐츠를 사용하는 라이센스를 가진다고 판정된 경우에,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거쳐서 송신되어 오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프로그램은 오브젝트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유저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여 유저를 인증시키는 송신 스텝과,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첨부하여 컨텐츠의 사용을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스텝과, 송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송신된 유저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유저가 인증되고, 또한 요구 스텝의 처리에 의한 요구에 포함되는 컨텐츠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유저가 컨텐츠를 사용하는 라이센스를 가진다고 판정된 경우에,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거쳐서 송신되어 오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1 정보 처리 장치가, 에이전트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기억 수단에 기억된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하여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제2 정보 처리 장치가,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네트워크를 거쳐서 액세스하는 액세스 수단과,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액세스 수단에 의한 액세스에 대한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한 판정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판정 결과가 에이전트의 부재(不在)로 인해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인 경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캐릭터를 비표시로 하거나,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표시로 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은 제1 정보 처리 장치가, 에이전트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정보를 기억하고, 제2 정보 처리 장치가,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액세스하고, 제1 정보 처리 장치가, 기억된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하여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이용의 가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며, 제2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액세스에 대한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한 판정 결과를 수신하고, 제2 정보 처리 장치가, 수신된 판정 결과가 에이전트의 부재로 인해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인 경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캐릭터를 비표시로 하거나,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표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억 수단은 컨텐츠가 암호화된 암호화 컨텐츠의 키(key) 정보를 또 기억하고, 제어 수단은 기억 수단에 기억된 에이전트 정보가 에이전트의 부재를 나타내는 경우, 키 정보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의 송신을 금지할 수가 있다.
상기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액세스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에 액세스하고 컨텐츠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컨텐츠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할 수가 있다.
상기 기억 수단은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또 기억하고, 제어 수단은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액세스 정보를 송신할 수가 있다.
상기 기억 수단은 컨텐츠가 암호화된 암호화 컨텐츠의 키 정보를 또 기억하고, 제어 수단은 기억 수단에 기억된 에이전트 정보가 에이전트의 부재를 나타내는경우, 키 정보에 의한 암호화 컨텐츠의 복호를 금지할 수가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기억 수단에 기억된 에이전트 정보가 에이전트의 부재를 나타내는 경우, 컨텐츠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의 송신을 금지할 수가 있다.
유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이용이 허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판정 수단에 의해 컨텐츠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또 키 정보의 이용을 금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정보 처리 방법은 에이전트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정보를 기억하고, 기억된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프로그램 격납 매체의 프로그램은 에이전트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기억 스텝의 처리에서 기억된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프로그램은 에이전트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기억 스텝의 처리에서 기억된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정보 처리 장치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네트워크를거쳐서 액세스하는 액세스 수단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액세스 수단에 의한 액세스에 대한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한 판정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판정 결과가 에이전트의 부재로 인해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인 경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캐릭터를 비표시로 하거나,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표시로 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판정 결과가 에이전트가 존재하기 때문에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있는 것인 경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표시를 제어하고,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판정 결과가 에이전트가 존재하기 때문에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있는 것인 경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에이전트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갱신시키도록,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갱신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가 있다.
상기 수신 수단은 컨텐츠가 암호화된 암호화 컨텐츠의 키 정보를 또 수신하고 암호화 컨텐츠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암호화 컨텐츠를 키 정보에 의해 복호하는 복호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가 있다.
상기 수신 수단은 컨텐츠가 암호화된 암호화 컨텐츠의 키 정보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중 제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함과 동시에, 다른 정보 처리 장치중 제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암호화 컨텐츠를 또 수신하고 암호화 컨텐츠를 키 정보에 의해 복호하는 복호화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4 정보 처리 방법은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네트워크를 거쳐서 액세스하는 액세스 스텝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액세스 스텝의 처리에 의한 액세스에 대한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한 판정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판정 결과가 에이전트의 부재로 인해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인 경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캐릭터를 비표시로 하거나,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표시로 하는 표시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프로그램 격납 매체의 프로그램은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네트워크를 거쳐서 액세스하는 액세스 스텝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액세스 스텝의 처리에 의한 액세스에 대한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한 판정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판정 결과가 에이전트의 부재로 인해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인 경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캐릭터를 비표시로 하거나,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표시로 하는 표시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프로그램은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네트워크를 거쳐서 액세스하는 액세스 스텝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액세스 스텝의 처리에 의한 액세스에 대한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한 판정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판정 결과가 에이전트의 부재로 인해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인 경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캐릭터를 비표시로 하거나,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표시로 하는 표시 제어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브젝트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컨텐츠를 사용할 때 이용되는 오브젝트로서, 컨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기억하는메모리와, 컨텐츠에 관련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컨텐츠에 관련되는 인형이며,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오브젝트에 의해 취득 가능한 컨텐츠의 수가 기억되어 있도록 할 수가 있다.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한 정보에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라이센스가 포함되도록 할 수가 있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해서 설치된 판독 장치에 의해, 컨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판독된 경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판독 장치에 상기 오브젝트가 재치되어 있을 때,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처리 장치 및 제1 정보 처리 방법, 제1 프로그램 격납 매체와 제1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그것에 의거하여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허가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가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된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처리 장치 및 제2 정보 처리 방법, 제2 프로그램 격납 매체와 제2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오브젝트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 식별 정보가 취득되고,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된다. 또, 컨텐츠 식별 정보를 첨부하여, 컨텐츠의 사용이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요구된다.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유저가 인증되고, 또한 유저가 컨텐츠를 사용하는 라이센스를 가진다고 판정된 경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거쳐서 송신되어 오는 컨텐츠가 수신된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제1 정보 처리 장치가, 기억된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하여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고,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액세스에 대한 판정 결과를 수신하고, 판정 결과가 에이전트의 부재로 인해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인 경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캐릭터를 비표시로 하거나,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표시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정보 처리 장치 및 제3 정보 처리 방법, 제3 프로그램 격납 매체와 제3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에이전트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정보가 기억되고, 그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이용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제4 정보 처리 장치 및 제4 정보 처리 방법, 제4 프로그램 격납 매체와 제4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액세스에 대한 판정 결과가 수신되고, 그 판정 결과가 에이전트의 부재로 인해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인 경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캐릭터가 비표시로 되거나,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표시로 된다.
본 발명의 오브젝트에 있어서는, 메모리에 컨텐츠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식별 정보가 기억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형상이 컨텐츠에 관련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포캬라(pokyara) 서비스 서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퍼스널컴퓨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친구(친한 벗) 포캬라 인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친구 포캬라 인형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도 5의 IC 칩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유저가 친구 포캬라 인형을 취득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친구 포캬라 인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1의 포캬라 서비스 서버의 친구 포캬라 판매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판매 포캬라 인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판매 포캬라 인형의 IC칩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1의 퍼스널컴퓨터의 포캬라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도 1의 퍼스널컴퓨터의 포캬라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도 1의 퍼스널컴퓨터의 포캬라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도 1의 퍼스널컴퓨터의 포캬라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도 1의 퍼스널컴퓨터의 포캬라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친구 포캬라의 가방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판매 포캬라의 가방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포캬라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포캬라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메일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의 포캬라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메일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의 포캬라의 다른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스케쥴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의 포캬라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스케쥴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의 포캬라의 다른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갈아입기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의 포캬라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포캬라의 다른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포캬라의 다른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도 1의 포캬라 서비스 서버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9는 도 1의 포캬라 서비스 서버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0은 도 1의 포캬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유저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도 1의 포캬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친구 포캬라의 포캬라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도 1의 포캬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판매 포캬라의 포캬라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도 1의 컨텐츠 서버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4는 도 1의 퍼스널컴퓨터의 컨텐츠의 수신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5는 도 1의 컨텐츠 서버의 컨텐츠 제공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6은 도 1의 포캬라 서비스 서버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7은 도 1의 퍼스널컴퓨터의 라이센스를 취득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8은 도 1의 포캬라 서비스 서버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9는 도 1의 라이센스 서버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0은 도 1의 퍼스널컴퓨터의 컨텐츠 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1은 도 1의 포캬라 서비스 서버의 컨텐츠 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2는 도 1의 퍼스널컴퓨터의 선불 금액의 갱신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3은 도 1의 포캬라 서비스 서버의 선불 금액 갱신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4는 단말 내에 보존된 컨텐츠의 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5는 단말 내의 컨텐츠를 재생할 때의 포캬라 서비스 서버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6은 다른 단말로부터 컨텐츠의 제공을 받는 단말의 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7은 단말의 컨텐츠의 제공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8은 단말의 컨텐츠를 재생할 때의 포캬라 서비스 서버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9는 암호화 컨텐츠의 복사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0은 복사원(複寫元)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1은 복사처(복사할 곳)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2는 판매 포캬라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3은 판매 포캬라의 인증과 초기 데이터 취득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54는 인증 요구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5는 인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6은 초기 데이터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7은 판매 포캬라 인형의 IC칩에 격납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8은 초기 데이터 송신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9는 초기 데이터 취득 시에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0은 판매 포캬라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61은 컨텐츠 송신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2는 컨텐츠 서버에 기억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3은 컨텐츠 서버에 기억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4는 다운로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5는 다운로드 처리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6은 다운로드 리스트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7은 컨텐츠 송신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8은 다운로드 컨텐츠 송신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9는 컨텐츠 서버에 기억되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0은 프리뷰 컨텐츠 송신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1은 판매 포캬라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72는 리스트 표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3은 리스트 표시 처리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4는 재생 리스트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5는 라이센스 요구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6은 라이센스 송신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7은 라이센스 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8은 라이센스 재생 처리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구성예에 있어서는 인터넷(1)에,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ISP)(2)를 거쳐서 가정(3)의 LAN(Local Area Network)(21)이 접속되어 있다. LAN(21)에는 방(31) 내지 방(33)의 기기가 접속되어 있다. 이 예의 경우, 방(31)에서는 퍼스널컴퓨터(PC)(22)가 LAN(21)에 접속되어 있고, 퍼스널컴퓨터(22)에는 후술하는 친구 포캬라(상표) 인형(161)(도 4) 혹은 판매 포캬라(상표) 인형(181)(도 10)을 재치(재치)하는 가대(platform)(23)가 접속되어 있다.
또, LAN(21)은 유저 또는 무선에 의해 구성된다. 무선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11a, b, 또는 g, UWB(Ultra Wide Band), 혹은 블루투스(Blue Tooth) 등으로 규정되는 방식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유선인 경우 USB(Universal Serial Bus) 및 그 밖의 것으로 규정되는 방식을 이용할 수가 있다.
방(32)에 있어서는 텔레비전 수상기(TV)(24)가 LAN(21)에 접속되어 있고, 텔레비전 수상기(24)에는 가대(25)가 접속되어 있다. 방(33)에 있어서는 퍼스널 컴퓨터(26)가 LAN(21)에 접속되어 있으며, 퍼스널컴퓨터(26)에는 가대(27)가 접속되어 있다.
인터넷(1)에는 또한, ISP(4)를 거쳐서 직장(5)의 LAN(51)도 접속되어 있다. LAN(51)에는 퍼스널컴퓨터(52)가 접속되어 있으며, 퍼스널컴퓨터(52)에는 또한 가대(53)가 접속되어 있다.
인터넷(1)에는 또한, 판매 포캬라 인형(181)(도 10)에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6)가 접속되어 있다. 인터넷(1)에 접속되어 있는 컨텐츠 서버(7)는 친구 포캬라 인형(161)(도 4)에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한다. 인터넷(1)에 접속되어 있는 라이센스 서버(8)는 컨텐츠 서버(7)에 의해 공급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를 제공한다.
더욱이, 인터넷(1)에는 포캬라(상표) 서비스 서버(9)가 접속되어 있다. 이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친구 포캬라 인형(161) 혹은 판매 포캬라 인형(181)에 대응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는 포캬라에 관한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가 접속되어 있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는 또한, 친구 포캬라 인형(161)에 대한 인증 처리를 행하는 프라이빗 인증 서버(11), 판매 포캬라 인형(181)에 대한 인증 처리를 행하는 퍼블릭 인증 서버(12)가 접속되어 있는 것 이외에, 각종 과금 처리를 실행하는 과금 서버(13)도 접속되어 있다.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 프라이빗 인증 서버(11), 퍼블릭 인증 서버(12) 및 과금 서버(13) 중의 하나 이상에 대해, 필요에 따라 포캬라 서비스 서버(9)와 일체화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1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61)가 가장 가까운기지국(15)을 거쳐서 인터넷(1)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21)는 RO M(Read Only Memory)(12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128)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12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123)에는 또한, CPU(12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CPU(121), ROM(122) 및 RAM(123)은 버스(124)를 거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12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2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25)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126),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표시부) 및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127),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128), 모뎀, 터미널 어댑터 등으로 구성되는 통신부(129)가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129)는 인터넷(1)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거친 통신 처리를 행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25)는 또한, 필요에 따라서 드라이브(130)가 접속되고, 자기 디스크(141), 광 디스크(142), 광자기 디스크(143) 혹은 반도체 메모리(144) 등이 적절하게 장착되며, 그들로부터 판독된(리드된) 컴퓨터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서 기억부(128)에 인스톨(설치)된다.
퍼스널컴퓨터(22)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 기본적 구성은 도 2에 있어서의 포캬라 서비스 서버(9)와 마찬가지이다. 즉,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 내지 통신부(229)는 도 2의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CPU(121) 내지 통신부(129)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3의 퍼스널컴퓨터(22)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5)에는 접속부(230)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접속부(230)에는 가대(23)가 접속된다.
가대(23)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더라이터(241)를 내장하고 있으며, 거기에 재치된 포캬라 인형으로부터 전자(電磁) 유도에 의해 비접촉으로 정보를 판독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5)에는 필요에 따라서 드라이브(231)가 접속되며, 자기 디스크(251), 광 디스크(252), 광자기 디스크(253) 또는 반도체 메모리(254)가 장착된 경우, 그것으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서 기억부(228)에 인스톨된다.
이 정보 처리 시스템(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자기 자신을 인증시키기 위해서 각 유저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미리 구입한다. 이 친구 포캬라 인형(161)에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테나(172)를 가지는 IC칩(171)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 IC칩(171)에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보존유지하는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로서의 유저 ID, 및 그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식별하기 위한 포캬라 인형 식별 정보로서의 포캬라 ID가 기억되어 있다.
또, 유저 ID는 포캬라 ID와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유저가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취득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퍼스널컴퓨터(22)의 유저는 입력부(226)를 조작하여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대한 액세스를 지령한다. CPU(221)는 입력부(226)로부터 이 지령을 취득하면, 스텝 S1에 있어서 통신부(229)를 제어하고, LAN(21), ISP(2) 및 인터넷(1)을 거쳐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액세스시킨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액세스되어 온 퍼스널 컴퓨터(22)에 대해, 유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인터넷(1)을 거쳐서 제공한다(후술하는 도 9의 스텝 S21). 그래서, 유저는 입력부(226)를 조작하여 자기 자신의 성명, 주소, 생년월일, 성별, 전화번호, 팩스 번호, 메일 주소, 크레디트카드(신용카드) 번호, 은행 계좌 번호와 같은 유저 정보를 입력한다. 스텝 S2에 있어서 CPU(221)는 입력된 유저 정보를 통신부(229)로부터 인터넷(1)을 거쳐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송신한다. 또, 퍼스널컴퓨터(22)(다른 단말도 마찬가지)와 포캬라 서비스 서버(9) 사이의 통신은 필요에 따라서 암호화된다.
이 때,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퍼스널컴퓨터(22)에 대해, 친구 포캬라 인형의 후보(일람)를 송신한다(도 9의 스텝 S23). 그래서, 스텝 S3에 있어서 CPU(221)는 통신부(229)를 거쳐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친구 포캬라 인형의 후보를 수신하면, 이것을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출력하여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친구 포캬라 인형의후보가 표시된다. 도 8에는 A 내지 F의 6종류의 친구 포캬라 인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친구 포캬라 인형(161)은 이 중 도 8의 F에 대응하고 있다.
유저는 표시된 친구 포캬라 인형의 후보 중에서 자기 자신의 친구 포캬라 인형으로서 이용하는 것을, 입력부(226)를 조작해서 지정한다. CPU(221)는 스텝 S4에 있어서, 이 친구 포캬라 인형의 선택을 접수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CPU(221)는 스텝 S4의 처리에서 접수한 친구 포캬라 인형의 선택 정보를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송신한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그 선택된 친구 포캬라 인형에 대응하는 친구 포캬라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포캬라 서비스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송신한다(도 9의 스텝 S26).
스텝 S6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기억부(228)에 기억시킨다. 이 프로그램에는 친구 포캬라 인형에 대응하는 친구 포캬라(실재하는 친구 포캬라 인형에 대한 애니메이션 표시되는 버츄얼 인형으로서, 이하 이것을 캐릭터라고도 칭한다)를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데에 필요한 데이터(친구 포캬라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이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는 대응하는 친구 포캬라 인형과 동일한 화상으로 표현된다. 다시 말하자면, 친구 포캬라 인형은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버츄얼 인형으로서의 친구 포캬라와 동일한 형상(색 등을 포함한다)을 가지고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4의 친구 포캬라 인형(161)은 도 8의 F에 도시되는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에 대응하는 것이다.
유저는 스텝 S6의 처리에서 수신한 프로그램을 포캬라 서비스 서버(9)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른 기기에 인스톨한다. 도 1의 예인 경우, 텔레비전 수상기(24)와 퍼스널컴퓨터(26)에 이 프로그램이 인스톨된다. 또한, 직장(5)의 퍼스널컴퓨터(52)에도 인스톨된다.
텔레비전 수상기(24)는 예를 들면 메모리 스틱(상표)으로 대표되는 반도체 메모리를 장착하는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유저는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22)에 의해 메모리스틱에 그 프로그램을 기억시키고, 텔레비전 수상기(24)에 이 메모리스틱을 장착함으로써, 텔레비전 수상기(24)에 대해 이 프로그램을 인스톨할 수가 있다.
그 후,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유저가 스텝 S4의 처리에서 선택한 친구 포캬라 인형을 배송해 오기 때문에(도 9의 스텝 S27), 유저는 스텝 S8에 있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배송되어 오는 인형을 수취한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이상의 도 7의 퍼스널컴퓨터(22)의 처리에 대응해서, 도 9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즉, 스텝 S21에 있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CPU(121)는 퍼스널컴퓨터(22)의 유저가 인터넷(1)을 거쳐서 액세스해 왔을 때, 통신부(129)를 거쳐서 이 액세스를 접수하면, 그 퍼스널컴퓨터(22)에 대해 유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GUI를 인터넷(1)을 거쳐서 퍼스널컴퓨터(22)에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GUI에 의거하여 유저는 유저 정보를 송신해 간다(도 7의 스텝 S2). 그래서, 스텝 S22에 있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CPU(121)는 퍼스널 컴퓨터(22)로부터의 유저 정보를 수신하면 이것을 통신부(129)를 거쳐서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공급하여 등록시킨다. 이것에 의해,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유저 정보가 등록된다(그 상세한 것은 도 3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에, 스텝 S23에 있어서 CPU(121)는 친구 포캬라 인형의 후보를 기억부(128)로부터 판독출력(read out)하고, 퍼스널컴퓨터(22)에 대해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친구 포캬라 인형의 후보가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된 친구 포캬라 인형의 후보 중에서 1개의 친구 포캬라 인형을 유저는 선택하고, 그 선택 정보를 송신해 간다(도 7의 스텝 S5).
그래서, 스텝 S25에 있어서 CPU(121)는 유저에 대해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로서의 유저 ID를 할당한다. 또한, CPU(121)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친구 포캬라 인형에 포캬라 ID를 할당하고,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유저 정보에 대응하여 포캬라 정보로서 등록시킨다. 이 포캬라 정보에는 포캬라 ID 이외에 그 포캬라가 친구 포캬라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친구 포캬라 플래그), 혹은 그 포캬라가 가지는 파라미터 등이 포함된다. 이 파라미터는 그 친구 포캬라가 입고 있는 옷, 혹은 그 친구 포캬라가 가지고 있는 기능 등을 나타내고 있다. 또, 친구 포캬라 플래그는 친구 포캬라 인형(161)에 할당하는 포캬라 ID에 포함되도록 해도좋다.
다음에, 스텝 S26에 있어서 CPU(121)는 유저가 포캬라 서비스를 받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부(128)로부터 판독출력하고, 인터넷(1)을 거쳐서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한다. 이 때, CPU(121)는 유저 ID와 그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를 표시시키는 데에 필요한 포캬라 정보를 프로그램에 포함시켜 송신한다. 이 포캬라 정보에는 포캬라 ID 이외에 각종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화상의 기초로 되는 포캬라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퍼스널컴퓨터(22)에 의해 수신된다(도 7의 스텝 S6).
그리고, 스텝 S27에 있어서 CPU(121)는 스텝 S24의 처리에서 수신된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친구 포캬라 인형을 배송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21)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친구 포캬라 인형을 특정하는 정보(포캬라 ID)와, 그 유저의 주소, 이름 등을 출력부(127)를 구성하는 프린터로부터 출력한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관리자는 이 프린터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소정의 친구 포캬라 인형을 유저 앞으로 배송하는 수속을 행한다.
다음에, 스텝 S28에 있어서 CPU(121)는 유저에게 배포한 친구 포캬라 인형에 대한 대가에 대응하는 과금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21)는 과금 서버(13)에 대해, 유저 정보에 포함되는 크레디트카드 번호에 의거하여 친구 포캬라 인형의 대가에 대응하는 가격의 결제를 요구한다. 혹은, 또한 CPU(121)는 과금 서버(13)에 대해, 유저 정보에 포함되는 은행 계좌 번호로부터의 대가의 인출(감산)을 요구한다. 과금 서버(13)는 이 요구에 의거하여 그 유저의 크레디트카드 회사 혹은 은행에 대해, 친구 포캬라 인형에 대응하는 대가의 인출 처리를 요구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유저는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취득한다. 유저는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점포에 직접 나가서 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유저 정보는 그 점포에서 유저가 직접 입력하게 된다.
이상에 있어서는 퍼스널 컴퓨터(22)로부터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액세스하여 필요한 유저 정보를 미리 송신한 후, 친구 포캬라 인형의 배송을 받도록 하였지만, 다시 말하자면 미리 유저 등록을 한 후, 친구 포캬라 인형의 배송을 받도록 하였지만, 포캬라 ID만이 기억되어 있는 친구 포캬라 인형을 유저가 미리 구입한 후, 네트워크를 거쳐서 유저 등록을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해서 구입한 친구 포캬라는 이후, 유저의 에이전트로서 기능한다.
또한, 점포에는 친구 포캬라 인형(161) 이외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판매 포캬라 인형(181)도 판매되고 있다. 유저는 필요에 따라 이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여러 점포에서 구입할 수가 있다. 이 판매 포캬라 인형(181)도, 내부에 IC칩(191)을 내장하고 있다. IC칩(191)은 그 판매 포캬라 인형(181)이 가지는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도 11은 판매 포캬라 인형(181)이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경우의, IC칩(19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는 안테나(192)를 가지는 IC칩(191)에 포캬라 ID, 컨텐츠를 사용하는 조건을 규정하는 사용 조건이 기억되어 있다. 이 사용 조건에는 예를 들면 그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회수, 재생 가능한 기한 등이 포함된다.
더욱이, IC칩(191)에는 컨텐츠를 사용하기 위해 유저가 지불한 금액(구입 금액)에 대응하는 선불 금액도 필요에 따라 기억된다.
유저는 이와 같이 해서 친구 포캬라 인형(161) 또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취득하고, 컨텐츠의 제공을 받는 경우, 친구 포캬라 인형(161) 또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사용할 기기에 대응하는 가대에 재치한다(얹어놓는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22)를 사용하는 경우, 유저는 퍼스널컴퓨터(22)에 대응해서 접속되어 있는 가대(23)에 친구 포캬라 인형(161) 또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재치한다. 이 경우, 퍼스널 컴퓨터(22)는 도 12 내지 도 16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4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는 가대(23)에 포캬라 인형이 재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포캬라 인형이 재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재치될 때까지 대기한다.
포캬라 인형이 재치되면, 그 IC칩(171) 또는 (19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리더라이터(241)에 의해 판독출력되고, 접속부(230)를 거쳐서 CPU(221)에 송신되어 온다. 그래서, CPU(221)는 이 정보가 판독출력되어 올 때까지 스텝 S41의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가대(23) 위에 포캬라 인형이 재치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42로 진행되고, CPU(221)는 포캬라 인형의 IC칩(171) 또는 (19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한다. 재치된 포캬라 인형이 친구 포캬라 인형(161) 또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어느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 IC칩(171) 또는 (191)에는 포캬라 ID가 기억되어 있다(도 6 및 도 11). CPU(221)는 스텝 S43에 있어서 판독된 포캬라 ID를 통신부(229)를 제어하여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송신시킨다. 이 때 송신된 ID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있어서 유저(포캬라 인형)를 식별하는 데에 이용된다. 즉, 이 때의 포캬라 ID는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ID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유저 ID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포캬라 ID와 유저 ID의 양 쪽을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즉, 판독된 포캬라 ID는 LAN(21), ISP(2), 인터넷(1)을 거쳐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송신된다. 다시 말하자면, 친구 포캬라 인형(161)이 가대(23) 위에 재치된 경우, CPU(221)는 스텝 S43에 있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대한 로그인 처리(접속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유저는 키보드 등을 이용해서 ID를 입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대해 간단하게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입력 실수(미스)의 발생이 방지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키보드의 조작에 서투른 어린이, 여성, 노인 등도 액세스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포캬라 ID를 수신하면, 그 포캬라 ID가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후술하는 도 28의 스텝 S93). 또,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는 친구 포캬라의 ID 뿐만 아니라, 판매 포캬라의 ID도 등록되어 있다. 판독한 포캬라 ID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가방 정보를 판독출력하여 송신해 온다(도 28의 스텝 S98, S107).
또한,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포캬라 ID가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에러 정보를 송신해 온다(도 28의 스텝 S103).
그래서, 스텝 S44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에러 정보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44에 있어서, 에러 정보(도 28의 스텝 S103의 처리에서 송신된 정보)가 수신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45로 진행되고, CPU(221)는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 즉, 이 경우에는 포캬라 ID가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저는 포캬라에 의거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스텝 S44에 있어서 에러 정보가 수신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수신되었던 것이 도 28의 스텝 S98, S107의 처리에서 송신된 가방 정보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46으로 진행되고,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송신되어 온 가방 정보를 수신한다. 스텝 S47에 있어서 CPU(221)는 포캬라 도착 정보를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송신한다. 이 포캬라 도착 정보는 후술하는 도 28의 스텝 S99에 있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의해 수신된다.
스텝 S48에 있어서 CPU(221)는 가대(23) 위에 재치된 것이 친구 포캬라 인형(16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가방 정보에는 스텝 S43의 처리에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송신한 포캬라 ID가 친구 포캬라의 ID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친구 포캬라 플래그를 포함하고 있다.CPU(221)는 이 친구 포캬라 플래그에 의거하여 스텝 S48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
친구 포캬라의 가방 정보에는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캐릭터 정보, 메일 정보, 스케쥴 정보, 마음에 드는 정보, 일 정보, 추천 정보, 검색 정보, 컨텐츠 정보 및 친구 포캬라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판매 포캬라의 가방 정보에는 캐릭터 정보, 컨텐츠 정보 및 친구 포캬라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정보는 후술하는 도 31의 친구 포캬라의 포캬라 정보, 또는 도 32의 판매 포캬라의 포캬라 정보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 가방 정보로서 송신되어 오는 것이다. 이들 정보의 상세한 것은 도 31과 도 3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 친구 포캬라 또는 판매 포캬라의 가방 정보에는 필요에 따라, 서버 주소, 라이센스 ID, 암호키 등을 포함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더 포함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캐릭터 정보나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 등은 IC칩이나 퍼스널컴퓨터 등의 단말에 기억시키고, 변경이 있을 때 갱신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대역이 좁은 회선이나 데이터의 중량(重量)으로 과금이 행해지는 회선을 이용하는 경우에 유리하게 된다.
가대(23) 위에 재치된 것이 친구 포캬라 인형(161)인 경우에는 그 유저에 관한 처리가 실행된다. 이 경우, 스텝 S49로 진행되고, CPU(221)는 스텝 S46의 처리에서 수신한 가방 정보에 의거하여 포캬라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포캬라의 캐릭터를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즉, 퍼스널컴퓨터(22)의 기억부(228)에는 도 7의 스텝 S6의 처리에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수신한 포캬라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CPU(221)는 가방 정보에 포함되는 포캬라 ID에 대응되는 포캬라 정보 중의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 파라미터에 가방 정보에 포함되는 파라미터의 구체적인 값을 설정하고, 친구 포캬라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출력하며, 친구 포캬라(버츄얼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를 표시시킨다. 이 친구 포캬라의 포캬라는 가대(23) 위에 재치된 친구 포캬라 인형(161)에 대응한 화상으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친구 포캬라 인형(161)은 이 화상(캐릭터)에 대응하는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유저는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표시된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를 보았을 때, 그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가 가대(23) 위에 재치된 친구 포캬라(161)에 대응하는 것이라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인형과 외형이 같은 포캬라의 캐릭터가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이용하는 서비스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가 있다.
또, 버츄얼의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를 표시하기 위한 포캬라 정보를,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퍼스널컴퓨터(22)에 공급하도록 하였지만, 친구 포캬라 인형(161)에 그 포캬라 정보를 기억시켜 두도록 해도 좋다. 그와 같이 하면, 보다 신속한 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수신한 포캬라 정보, 특히 캐릭터 폴리곤, 텍스처, 모션과 같은 캐릭터를 표시하는 데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포캬라 화상 데이터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수신하였을 때, 친구 포캬라 인형(161){또는 퍼스널컴퓨터(22)}에 보존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대해 액세스가 행해질 때마다 포캬라 화상 데이터가 갱신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며, 갱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미 보존되어 있는 포캬라 화상 데이터가 이용되고, 갱신되어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포캬라 화상 데이터가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수신되어 보존된다.
더욱이, 포캬라 정보에는 전자 메일의 헤더 부분의 내용{후술하는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전자 메일의 발신인, 받은 날(수신 일시), 메일의 타이틀 과 같은 메일의 선택에 필요한 정보}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유저가 전자 메일의 기능을 선택한 시점에서, 메일 서버로서의 ISP(2)에 대해서 액세스가 행해지고, 전자 메일의 본문이 다운로드된다.
다음에, 스텝 S50에 있어서 CPU(221)는 그 친구 포캬라의 가방 정보에 의거하여, 친구 포캬라가 가지는 기능의 일람을 아이콘으로서 친구 포캬라 주위에 표시시킨다.
도 19와 도 20은 이 스텝 S49와 스텝 S50의 처리 결과의 표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맨처음에,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가 등장하는 등장구(登場口)(301)가 표시된다. 그리고,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등장구(301)로부터 친구 포캬라 인형(161)에 대응하는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가 등록하는 화상이 애니메이션으로서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는 친구 포캬라 인형(161)에 대응한 화상으로 되어 있다.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의 주위에는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그 유저)가 보존유지하고 있는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321-1∼321-7)이 표시된다. 도 20의 표시예에 있어서는 아이콘의 수는 7개로 되어 있지만, 그 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캐릭터(311)에 가방을 갖게 하고, 유저가 그 가방을 클릭했을 때 그 가방에 포함되는 아이콘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유저는 이와 같이 해서 표시된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 중에서, 소정의 아이콘을 입력부(226)를 구성하는 예를 들면 마우스 등을 조작하여 선택한다.
그래서, 스텝 S51에 있어서 CPU(221)는 1개의 기능이 선택될 때까지 대기한다. 1개의 기능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2로 진행되고, CPU(221)는 그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7개의 아이콘 중, 메일에 대응하는 아이콘(321-3)이 선택된 경우, CPU(221)는 메일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CPU(221)는 통신부(229)를 제어하여,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메일 정보의 판독출력을 요구한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메일 정보의 취득이 지령된 경우, 혹은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인터넷(1)을 거쳐서 ISP(2)(메일 서버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에 액세스하고 유저의 메일 정보를 판독출력하여,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한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한 메일 정보를 판독출력하여, 인터넷(1)으로부터 ISP(2), LAN(21)을 거쳐서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한다.
CPU(221)는 판독출력된 메일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을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도 21은 이 경우의 표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의 표시예에 있어서는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의 왼쪽 위쪽에 대사란(341)이 표시되고, 그 안에 「오늘은 새 메일이 4건 있군.」라는 메세지가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이 표시로부터 자기 앞으로 새 메일이 4건 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저가 입력부(226)의 마우스를 조작함으로써 메일의 판독출력을 지령하면, CPU(221)는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ISP(2)로부터 판독출력하여,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보존유지하고 있는 메일의 타이틀 정보를 윈도우(351)에 표시시킨다. 유저는 이와 같이 해서 표시된 메일 중에서 소정의 메일을 선택함으로써, 또한 그 메일의 내용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유저가 7개의 아이콘 중, 스케쥴러의 아이콘(321-5)을 선택하면,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액세스하여, 그 친구 포캬라의 유저의 스케쥴 정보를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판독출력하고,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할 것을 요구한다.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는 이 스케쥴 정보를 취득하면, 이것을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출력하여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윈도우(361)에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의 유저의 스케쥴을 표시시킨다.
유저가 마우스를 조작함으로써, 윈도우(361)에 표시되어 있는 스케쥴 중 소정의 날짜를 클릭하면, 그 날의 스케쥴이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윈도우(371)에 표시된다.
이 표시예에 있어서는 3월 1일의 스케쥴이 표시되어 있다.
유저가 7개의 아이콘 중에서 갈아입기 아이콘(321-2)을 선택하면,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액세스하여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의 갈아입기를 행하는 데에 필요한 GUI를 취득하고, 예를 들면 도 2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윈도우(381)에 표시시킨다. 유저는 이 윈도우(381)의 소정의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의 셔츠나 바지를 좋아하는 것으로 갈아입힐 수가 있다. 그 때 입고 있는 옷(복장)은 파라미터로서 기억된다. 따라서, 유저가 자기 자신의 분신으로서의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에 대해서 질려 버리는 바와 같은 일이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스텝 S52의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처리에 있어서는 유저의 선택에 대응하여 각종 처리가 실행되게 된다. 이 처리에 대해서는 나중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스텝 S53에 있어서 CPU(221)는 친구 포캬라 인형(161)이 가대(23)로부터 분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분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4로 진행되고, CPU(221)는 포캬라에 관한 처리의 종료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유저는 포캬라에 관한 처리를 종료시킬 경우에는 친구 포캬라(161)를 가대(23)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입력부(226)을 조작함으로써 처리의 종료를 지령한다.
스텝 S54에 있어서, 포캬라의 처리의 종료가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5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 실행된다.
CPU(221)는 예를 들면 1초 마다 등 비교적 짧은 시간 간격으로 정기적으로 리더라이터(241)를 제어하고, 가대(23) 위에 재치되어 있는 친구 포캬라(161)의 IC칩(171)으로부터 데이터의 판독출력을 지령함으로써, 데이터를 판독출력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친구 포캬라 인형(161)이 가대(23)로부터 분리되었다고 판정한다.
친구 포캬라 인형(161)이 가대(23)로부터 분리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 S54에 있어서 유저로부터 포캬라의 처리의 종료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5에 있어서 CPU(221)는 가방 정보의 변경 이력을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송신한다. 따라서, 이 이력은 친구 포캬라 인형(161)이 가대(23)로부터 분리된 것, 또는 유저로부터 포캬라의 처리의 종료가 지시된 것을,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통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이력은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있어서 등록된다(도 29의 스텝 S109).
또 이력에는 갱신한 스케쥴, 북마크, 캐릭터 정보(머리 모양, 옷 등) 및 유저의 사고(思考) 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들 이력이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직접 기록입력(라이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갱신 처리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 자신이 행하게 된다.
더욱이, 스텝 S56에 있어서 CPU(221)는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가 되돌아갈 화상을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도 26과 도 27은 이 경우의 표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6의 표시예에 있어서는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의 왼쪽 위에 대사란(391)이 표시되고, 그 안에 「그럼, 슬슬 돌아가자.」라는 메세지가 표시되어 있다. 그 후, 도 2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출구(401)가 표시되고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가 그 출구(401)로부터 되돌아가는 화상이 애니메이션 표시된다.
이와 같은 표시를 행함으로써, 유저는 친구 포캬라에 관한 처리가 종료된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가 있다. 즉, 친구 포캬라 인형(161)이 가대(23)로부터 분리된 경우, CPU(221)는 스텝 S54에 있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와의 접속을 해제하는 로그아웃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서비스의 개시 시에 인형과 동일한 포캬라(캐릭터)가 표시되고, 서비스가 종료될 때 그 표시가 종료되기 때문에, 유저는 로그인 및 로그아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유저가, 서비스를 받기 위해 필요한 조작을 틀린 기간에 입력해 버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장치가 고장나 있으면 오인해 버리는 바와 같은 일이 억제된다.
도 12로 되돌아가 스텝 S48에 있어서, 가대(23) 위에 재치된 것이 친구 포캬라 인형(161)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판매 포캬라 인형(181)이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7로 진행되고,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는 스텝 S46의 처리에서 수신한 가방 정보에 포함되는 판매 포캬라의 포캬라 정보에 의거하여, 포캬라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부(227)를 구성하는 표시부에 판매 포캬라의 캐릭터{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버츄얼 인형}를 표시한다. 즉, 후술하는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되는바와 같이,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는 판매 포캬라의 포캬라 정보와 컨텐츠 화상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고, 이 포캬라 정보와 컨텐츠 화상 데이터가 인증 정보에 포함되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보내져 온다. 이 판매 포캬라의 캐릭터도 판매 포캬라 인형(181)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화상{유저가 판매 포캬라 인형(181)에 대응하는 버츄얼 인형인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으로 된다.
스텝 S58에 있어서 CPU(221)는 스텝 S46의 처리에서 수신한 가방 정보에 포함되는 컨텐츠 화상 데이터(컨텐츠 이용 정보)를 추출하고, 그 컨텐츠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컨텐츠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유저가 구입한 판매 포캬라 인형(181)에 관계되어 있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화상이 출력부(227)에 표시되게 된다. 이 컨텐츠 화상에는 예를 들면 관계되어 있는 컨텐츠의 설명, 「이 곡을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경우, 액세스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라는 메세지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유저는 컨텐츠를 취득하는 경우, 표시된 컨텐츠 화상 중의 액세스 버튼을 입력부(226)를 구성하는 마우스 등으로 조작한다.
CPU(221)는 스텝 S59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에의 액세스가 지령(액세스 버튼이 조작)될 때까지 대기하고, 컨텐츠 서버에의 액세스가 지령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60으로 진행되며, CPU(221)는 IC칩(191)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 조건(도 11)을 판독출력한다. 그리고, 스텝 S61에 있어서 CPU(221)는 사용 조건이 만족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사용 조건에는 예를 들면 컨텐츠의 사용 기한이 포함되어 있다. CPU(221)는 내장된 타이머가 계시하는 현재의 일시(日時)를, 사용 조건에 규정되어 있는 사용 기한과 비교함으로써, 사용 조건이 만족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사용 조건으로서 최대 사용 가능 회수나 선불 금액이 규정되어 있는 경우, 그 값이 「0」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S61에 있어서 사용 조건이 만족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예를 들면, 현재의 일시가 사용 기한보다 앞이고, 또한 최대 사용 가능 회수 및 선불 금액이 「0」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62로 진행되고, CPU(221)는 IC칩(191)에 기억되어 있는 액세스할 곳의(이하, '액세스처'라 함)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 서버에 액세스하고, 컨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되는 컨텐츠 서버(6)에 컨텐츠 데이터의 송신이 요구된다.
이 요구에 의거하여, 컨텐츠 서버(6)는 인터넷(1)을 거쳐서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한다(후술하는 도 33의 스텝 S123). 그래서, 스텝 S63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는 컨텐츠 서버(6)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데이터를 통신부(229)를 거쳐서 수신한다. 이 컨텐츠 데이터는 기억부(228)에 공급되어 기억된다.
스텝 S64에 있어서 CPU(221)는 스텝 S63의 처리에서 수신하여 기억한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하고,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즉, 컨텐츠 서버(6)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컨텐츠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있고, CPU(221)는 이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취득한 라이센스 정보(도 32)에 포함되는 암호키를 이용하여 복호한다. 그리고, CPU(221)는 복호해서 얻어진 컨텐츠 데이터를 출력부(227)를 거쳐서 출력한다.
또, 암호화 컨텐츠와 암호키를 인터넷(1)을 거쳐서 전송하면, 제3자에게 도난당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컨텐츠를 재생(또는 복사)할 때마다, 암호화 컨텐츠의 암호키를 변경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 S65에 있어서 CPU(221)는 컨텐츠 출력의 종료가 입력부(226)로부터 입력되었는지의 여부(유저로부터 지령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컨텐츠 출력의 종료가 지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6으로 진행되어, 판매 포캬라 인형(181)이 가대(23)로부터 분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 처리는 도 13의 스텝 S53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스텝 S66에 있어서, 포캬라 인형(181)이 가대(23)로부터 분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65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 실행된다.
스텝 S65의 처리에서 컨텐츠 출력의 종료가 지령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 S66에 있어서 판매 포캬라 인형(181)이 가대(23)로부터 분리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67로 진행되고, CPU(221)는 컨텐츠 출력을 종료한다.
그리고, 스텝 S68에 있어서 CPU(221)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IC칩(191)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 조건을 리더라이터(241)를 제어하여 갱신시킨다. 예를 들면, 사용 조건에 최대 사용 가능 회수(재생 가능 회수)가 규정되어 있는 경우, 그 값이 1만큼 감소된다. 예를 들면, 최대 사용 가능 회수가 20회 등으로 규정되어 있는 경우 그 값은 1만큼 감소되고, 그 값이 「0」으로 되었을 때, 사용(재생) 불가로 된다.
다음에, 스텝 S69에 있어서 CPU(221)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 내의 IC칩(191)에 기억되어 있는 선불 금액이, 컨텐츠를 사용할 때마다 감산되는 바와 같은 시스템인 경우, 그 선불 금액을 소정의 금액만큼(1회 재생분에 대응하는 금액만큼) 감산하도록 갱신한다. 스텝 S68과 S69의 처리는 한쪽으로만 해도 좋다.
스텝 S70에 있어서 CPU(221)는 도 13의 스텝 S56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판매 포캬라의 캐릭터가 되돌아갈 화상을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가대(23)로부터 분리하거나, 컨텐츠 출력의 종료를 지령한 것에 의해, 컨텐츠 출력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61에 있어서, 사용 조건이 만족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사용 기한이 지난 경우, 사용 회수가 최대 사용 가능 회수에 도달해 있는 경우, 혹은 선불 금액이 「0」인 경우), 스텝 S71로 진행되고, CPU(221)는 소정의 메세지를 생성하여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재생 회수가 허용되어 있는 회수에 도달한 경우, 「컨텐츠는 N회 재생되었습니다. 또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금액의 지불이 필요합니다.」와 같은 메세지가 표시된다. 유저는 이 메세지의 표시에 의거하여, 컨텐츠를 더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입력부(226)를 조작하여 사용 조건의 갱신을 지령한다.
그래서, 스텝 S72에 있어서 CPU(221)는 사용 조건 갱신의 요구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사용 조건 갱신의 요구가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73에 있어서 CPU(221)는 가방 정보의 컨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액세스처 정보(도 18)에 의거하여, 인터넷(1)을 거쳐서 컨텐츠 서버(6)에 액세스한다. 스텝 S74에 있어서 CPU(221)는 컨텐츠 서버(6)에 대해 사용 조건으로서 최대 사용 가능 회수와 선불 금액의 갱신을 요구한다. 컨텐츠 서버(6)는 이 요구에 의거하여, 그 유저가 결제 가능한 유저라는 것이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통지되었을 때, 퍼스널컴퓨터(22)에 대해 갱신 데이터를 송신해 온다(도 33의 스텝 S127).
그래서, 스텝 S75에 있어서 CPU(221)는 컨텐츠 서버(6)로부터 갱신 데이터가 송신되어 왔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송신되어 온 경우에는 스텝 S76으로 진행되고, 컨텐츠 서버(6)로부터 송신되어 온 갱신 데이터를 수신하며, 그 데이터를 리더라이터(241)를 거쳐서 IC칩(191)에 공급하고, 최대 사용 가능 회수와 선불 금액을 갱신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유저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와 선불 금액의 갱신을 요구함으로써, 그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이용해서 몇 번이라도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불 금액의 갱신이 행해졌을 때, 컨텐츠 서버(6)로부터의 요구에 의거하여(도 33의 스텝 S125), 포캬라 서비스 서버(9)가 유저에 대해 과금 처리를 실행한다(도 28의 스텝 S105).
스텝 S75에 있어서, 갱신 데이터가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77로 진행되어 에러 처리가 실행된다.
즉, 그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사용하고 있는 유저가, 은행 계좌의 잔고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해, 선불 금액의 결제를 행할 수 없는 유저라고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의해 판정된 경우에는 컨텐츠 서버(6)는 퍼스널컴퓨터(22)에 대해 에러메세지를 통지해 온다(도 33의 스텝 S118). 이 경우에는 CPU(221)는 갱신 데이터가 보내져 오지 않기 때문에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CPU(221)는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예를 들면 「컨텐츠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와 같은 메세지를 표시시킨다.
스텝 S72에 있어서, 유저로부터 사용 조건 갱신의 요구가 요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73 내지 스텝 S77의 처리는 스킵(건너뜀)된다.
또, IC 칩을 내장하는 크레디트카드를 가대 위에 재치하고, 그 크레디트 카드로부터 선불 금액을 결제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도 28과 도 29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이상의 도 12 내지 도 16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는 퍼스널컴퓨터(22)의 처리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91에 있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CPU(191)는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포캬라 ID를 수취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수취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08로 진행되어, 포캬라의 이력을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포캬라의 이력이 수신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10으로 진행되며, CPU(121)는 컨텐츠 서버(6)로부터 결제의 요구를 받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결제의 요구를 받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9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
스텝 S91에 있어서, 포캬라 ID를 수취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CPU(121)는 스텝 S92로 진행되고, 퍼스널 컴퓨터(22)로부터 수취한{도 12의 스텝 S43의 처리에서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송신된} 포캬라 ID를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으로부터 검색한다.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는 예를 들면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저 정보와 포캬라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유저 정보(도 30)에는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ID, 유저의 성명, 주소, 생년월일, 성별, 전화번호, 팩스 번호, 메일 주소, 그 유저를 등록한 등록일 등 이외에, 유저의 크레디트카드 번호, 은행 계좌 번호 등이 기록되어 있다.
캐릭터 정보에는 친구 포캬라의 포캬라 정보(도 3l)와 판매 포캬라의 포캬라 정보(도 32)가 있다.
친구 포캬라의 포캬라 정보에는 그 유저가 가지는 친구 포캬라 인형의 포캬라 ID, 유저 ID, 그 포캬라가 친구 포캬라인지 판매 포캬라인지를 나타내는 친구 포캬라 플래그, 혹은 또한 그 포캬라의 옷에 관한 파라미터로 대표되는 그 포캬라를 표시하는 데에 필요한 포캬라의 캐릭터 데이터 등이 포함되어 있다.
포캬라 정보로서, 또 친구 포캬라가 가지는 각종 기능에 관한 정보도 등록되어 있다. 도 31의 예에서는 메일 정보, 스케쥴 정보, 마음에 드는 정보, 일 정보, 추천 정보, 검색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메일 정보는 그 유저 앞으로 지금까지 송신되어 온 메일, 혹은 그 유저가 지금까지 송신한 메일 등이 기억되어 있다.
스케쥴 정보에는 그 유저의 현재 및 과거의 스케쥴이나, 유저가 입력한 메모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이 스케쥴에는 포캬라가 실행하는 각종 이벤트 정보 등도 기록되어 있다.
마음에 드는 정보에는 유저가 북마크를 부가한 홈 페이지의 URL 등이 기억된다.
일 정보에는 유저가 자기 자신이 보존유지하는 단말(하드웨어)에 관하여 미리 등록해 두는 것에 의해, 받는 것이 가능한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이 일 정보 중에는 또한, 유저가 일시적으로 맡긴 데이터도 기억되어 있다.
추천 정보에는 친구 포캬라가 그 유저의 사고를 분석함으로써, 스스로 모은 추천 컨텐츠가 등록되어 있다.
검색 정보에는 검색 엔진이나, 유저가 미리 검색할 것을 지령한 판매 포캬라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포캬라 정보로서는 또한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가 네트워크 상(上)의 소정의 장치에 실제로 표시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현재 위치가 등록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가 네트워크 상의 장치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위치에서 동시에 표시되는 바와 같은 일이 방지된다(표시의 배타성이 실현된다). 다시 말하자면, 다른 유저가 진짜 유저의 친구 포캬라 인형(161)으로 감쪽같이 꾸민 다른 친구 포캬라 인형을 이용해서 유저의 정보를 훔치는 바와 같은 일이 억제된다. 즉,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현재 위치 이외로부터 친구 포캬라 ID가 송신되어 왔을 때,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네트워크 상의 장치에는 1개의 친구 포캬라의 포캬라만이 표시된다.
또한, 2개 이상의 장치로부터 동시에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대한 액세스가 행해지는 것에 의한 데이터의 부정합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시 말하자면, 1인의 포캬라가 복수의 장치를 왕래하도록 함으로써, 유저에 대해 배타적 액세스를 직감적으로 이해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포캬라 정보에는 또 그 유저가 취득한 컨텐츠 정보와, 그 컨텐츠를 사용하는 데에 필요한 라이센스 정보 등도 기록된다. 컨텐츠 정보에는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ID나 그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해 필요한 액세스 정보 등도 포함되어 있다. 라이센스 정보에는 라이센스를 식별하는 라이센스 ID,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를 복호하는 암호키, 라이센스를 취득할 때 액세스하는 라이센스 서버의 주소와 같은 정보가 기록된다.
판매 포캬라의 포캬라 정보(도 32)에는 포캬라 ID, 친구 포캬라 플래그, 캐릭터 정보, 컨텐츠 정보, 라이센스 정보 이외에 컨텐츠 이용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CPU(121)는 스텝 S92에 있어서의 검색의 결과, 포캬라 ID가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되어 있었는지의 여부를 스텝 S93에 있어서 판정한다. 포캬라 ID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94로 진행되고, CPU(121)는 수취한 포캬라 ID가 친구 포캬라의 ID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판정은 친구 포캬라 플래그로부터 행할 수가 있다.
포캬라 ID가 친구 포캬라의 ID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95로 진행되고, CPU(121)는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포캬라 정보(도 31)를 판독출력한다.
스텝 S96에 있어서 CPU(121)는 판독출력한 포캬라 정보에 기억되어 있는 친구 포캬라의 현재 위치로부터, 친구 포캬라의 현재 위치가 포캬라 서비스 서버(9)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친구 포캬라의 현재 위치가 포캬라 서비스 서버(9) 내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03으로 진행되고, CPU(121)는 퍼스널컴퓨터(22)에 대해 에러 정보를 송신한다.
즉, 이 경우 친구 포캬라의 현재 위치가 포캬라 서비스 서버(9) 내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외의 장치로부터, 친구 포캬라 인형(161)에 의거한 액세스가 있었던 것으로 되기 때문에, 위장의 액세스일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에러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스텝 S96에 있어서, 친구 포캬라의 현재 위치가 포캬라 서비스 서버(9) 내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97로 진행되고, CPU(121)는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가방 정보를 판독출력한다. 그리고, 스텝 S98에 있어서 CPU(121)는 판독출력한 가방 정보를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한다.
스텝 S99에 있어서 CPU(121)는 포캬라 도착 정보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퍼스널컴퓨터(22)는 가방 정보를 수신하면, 포캬라 도착 정보를 송신해 온다(도 12의 스텝 S47). 스텝 S98의 처리에서 가방 정보를 송신했음에도 불구하고 포캬라 도착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비정상적인 상태가 발생되고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그래서, 스텝 S103으로 진행되고, CPU(121)는 에러 정보를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한다.
이것에 대해, 스텝 S99에 있어서 포캬라 도착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00으로 진행되고, CPU(121)는 친구 포캬라의 현재 위치를 퍼스널컴퓨터(22) 상인 것으로 하여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갱신)한다. 즉, 지금 친구 포캬라가 퍼스널컴퓨터(22)에 도착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친구 포캬라의 현재 위치가 퍼스널 컴퓨터(22)로서 등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퍼스널컴퓨터(22)의 유저가 그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가 가지는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면, 그 선택된 포캬라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송신되어 온다(도 13의 스텝 S52).
스텝 S101에 있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CPU(121)는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의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선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02로 진행되어, 그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메일에 관한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는 메일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 정보가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된다. 스케쥴에 관한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는 등록되어 있는 스케쥴에 관한 정보가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된다.
스텝 S101에 있어서, 포캬라의 기능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02의 처리는 스킵되고, 처리는 스텝 S9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 실행된다.
스텝 S94에 있어서, 취득된 포캬라 ID가 친구 포캬라 인형(161)의 ID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판매 포캬라 인형의 ID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04로 진행되고, CPU(121)는 그 판매 포캬라 인형에 대응하는 서버{상술한 판매 포캬라 인형(181)에 대응하는 ID인 경우, 컨텐츠 서버(6)}에 통지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서버(6)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이 통지를 수취한 경우, 또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컨텐츠 데이터의 송신 요구를 받았을 때, 컨텐츠 데이터를판독출력하고,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한다(후술하는 도 33의 스텝 S121 내지 스텝 S123).
또,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각종 컨텐츠 제공자 혹은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판매 포캬라 인형에 관한 관리도 행하고 있으며,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는 도 3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든 판매 포캬라 인형(181)에 대응하는 버츄얼 판매 포캬라 인형의 캐릭터를 표시하는 데에 필요한 포캬라 정보로서 포캬라 ID, 컨텐츠 ID에 의해 특정되는 컨텐츠에 부수하는 컨텐츠 화상(예를 들면, 컨텐츠가 소정의 가수의 곡의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곡의 타이틀, 가사, 가수의 영상)을 표시시키는 데에 필요한 컨텐츠 화상 데이터(컨텐츠 이용 정보), 컨텐츠 정보 등이 등록되어 있다. 이 컨텐츠 정보 중에는 유저가 그 판매 포캬라 ID를 송신해 왔을 때, 유저로부터 액세스가 있었던 것을 통지하는 액세스처(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다. CPU(121)는 이 액세스처(통지처)에 통지를 행하게 된다.
다음에, 스텝 S105에 있어서 CPU(121)는 과금 처리를 실행한다. 즉, 이 시스템에 있어서는 유저가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가대(23) 위에 재치하여 소정의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때, 그때마다 그 서비스의 제공을 받기 위한 대가를 지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CPU(121)는 통신부(129)를 거쳐서 과금 서버(13)에 액세스하고, 그 유저의 크레디트카드 번호 또는 은행 계좌 번호에 대한 과금 처리를 요구한다. 과금 서버(13)는 이 요구에 의거하여, 소정의 금액의과금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관리자는 유저가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이용하는 것에 의거하여 수익을 올릴 수가 있다.
또, 이 과금 처리는 유저에 대해 행하는 것이 아니라,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판매한 관리자에 대해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에, 스텝 S106에 있어서 CPU(121)는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판매 포캬라의 가방 정보(도 18)를 판독출력하고, 스텝 S107에 있어서 그 가방 정보를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한다.
스텝 S107의 처리 후, 처리는 스텝 S9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 실행된다.
또, 예를 들면 판매 포캬라 인형(181)이 점(占)에 관한 포캬라 인형인 바와 같은 경우, 그 점의 컨텐츠의 데이터량이 그다지 많지 않을 때, 도 18의 가방 정보에 점의 컨텐츠의 데이터도 보존시켜 두고, 포캬라 호출 시에 그 컨텐츠의 데이터를 포캬라의 캐릭터와 동시에 표시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 S108에 있어서 CPU(121)는 포캬라의 이력을 수신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09로 진행되고, 포캬라의 이력을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하는(갱신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9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 실행된다.
이와 같이 해서, 예를 들면 도 13의 스텝 S55의 처리에서 포캬라의 이력이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송신되어 온 경우에는 그 이력에 의거하여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가 갱신되게 된다.
스텝 S110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로부터 결제의 요구(후술하는 도 33의 스텝 S125의 처리)를 받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11로 진행되고, CPU(121)는 컨텐츠 서버(6)로부터 요구된 유저에 대한 결제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21)는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의 유저 정보(도 30)에 등록되어 있는 그 유저의 크레디트카드 번호 또는 은행 계좌 번호에 관하여, 과거에 결제 불능으로 된 사례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그리고, 스텝 S112에 있어서 CPU(121)는 그 조사한 결과(결제 결과)를 컨텐츠 서버(6)에 통지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9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 실행된다. 다음에, 도 3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유저가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가대(23) 위에 재치하고, 컨텐츠의 제공을 받는 경우에 있어서의 컨텐츠 서버(6)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컨텐츠 서버(6)의 CPU(121)는 스텝 S121에 있어서 통신부(129)를 거쳐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의 액세스가 있었다는 통지(도 28의 스텝 S104에서 송신되는 통지)를 수취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통지를 수취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24로 진행되고, CPC(121)는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의 갱신 요구(도 16의 스텝 S74)을 수취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121)는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의 갱신 요구를 수취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시킨다.
스텝 S121에 있어서 CPU(1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통지를 수취하였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122로 진행되고, 그 통지에 기술되어 있는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컨텐츠 데이터의 송신 요구(도 14의 스텝 S62)를 받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컨텐츠 데이터의 송신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스텝 S123으로 진행되고, CPU(121)는 기억부(128)에 기억되어 있는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판독출력하고, 통신부(129)로부터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한다.
또, 이 컨텐츠 데이터는 미리 암호화된 상태에서 기억부(128)에 기억시켜 두어도 좋지만, 송신할 때마다 암호화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 S121에서 취득하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의 통지는 컨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 정보는 컨텐츠 ID여도 좋지만, 컨텐츠와 판매 포캬라 인형(181)이 1대1로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포캬라 ID여도 좋다.
스텝 S122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컨텐츠 데이터의 송신 요구를 받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23의 처리는 스킵된다.
즉,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통지를 받았다고 해도, 결국 그 통지에 기술되어 있는 퍼스널컴퓨터(22)의 유저가 컨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해 오지 않은 경우에는 컨텐츠 데이터의 송신은 행해지지 않게 된다.
스텝 S124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22)로부터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의 갱신의 요구를 받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25로 진행되고, CPU(1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대해 결제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의거하여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이용하고 있는 유저에 대해 결제 처리를 행하고, 그 결제 결과를 컨텐츠 서버(6)에 통지해 온다(상술한 도 29의 스텝 S111, S112).
스텝 S126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의 CPU(121)는 스텝 S125의 요구에 의거하여,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송신되어 온 통지에 의거하여 결제가 OK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결제가 OK였던 경우에는 스텝 S127로 진행되고, CPU(121)는 퍼스널컴퓨터(22)에 대해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을 갱신하기 위한 갱신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퍼스널컴퓨터(22)는 이 갱신 데이터에 의거하여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IC칩(191)의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을 갱신한다(도 16의 스텝 S76). 이것에 의해, 유저는 재차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126에 있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의 통지가 결제가 OK가 아니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28로 진행되고, CPU(121)는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 즉 이 때, CPU(121)는 퍼스널컴퓨터(22)에 대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없는 바와 같은 메세지를 출력한다. 유저는 이것에 의해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의 갱신을 할 수 없었던 것을 알 수가 있다. 이 메세지는 도 16의 스텝 S76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에 있어서 표시된다.
다음에, 가대(23) 위에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재치하고, 유저가 컨텐츠 서버(7)로부터 컨텐츠를 취득하며, 라이센스 서버(8)로부터 그 컨텐츠를 사용하는데에 필요한 라이센스를 취득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처리는 도 13의 스텝 S52에 있어서의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처리의 하나로서 실행된다. 즉, 이 처리는 유저가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가 가지는 기능 중, 컨텐츠 취득 처리의 기능을 선택했을 때 개시된다.
스텝 S13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는 컨텐츠 서버(7)에 액세스하여 컨텐츠의 송신을 요구한다. 액세스할 주소(어드레스)는 필요에 따라 유저가 조사하는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서버(7)는 액세스해 온 퍼스널 컴퓨터(22)에 대해 컨텐츠 ID와 라이센스 ID를 부가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해 온다(후술하는 도 35의 스텝 S142). 그래서, 스텝 S132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는 컨텐츠 서버(7)로부터 인터넷(1)을 거쳐서 송신되어 오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면, 스텝 S133에 있어서 그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부(228)에 공급하고 기억시킨다.
다음에, 스텝 S134에 있어서 CPU(221)는 지금 취득한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ID, 기억한 컨텐츠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기억부(228)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판독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및 지금 취득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를 발행하는 라이센스 서버{도 1의 시스템인 경우, 라이센스 서버(8)}의 네트워크 상의 주소{이 주소는 컨텐츠 서버(7)로부터 컨텐츠 데이터에 부수하여 송신되어 온다)를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 송신한다.
퍼스널컴퓨터(22)의 이와 같은 액세스에 대응하여 컨텐츠 서버(7)는 도 35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즉, 스텝 S141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7)의 CPU(121)는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액세스를 받으면, 스텝 S142에 있어서 기억부(128)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판독출력하고,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한다. 이 때, CPU(121)는 컨텐츠 ID와 그 컨텐츠를 사용하는 데에 필요한 라이센스를 식별하는 라이센스 ID도 동시에 송신한다. 또, 이 컨텐츠 데이터도 암호화되어 있다.
또한, 퍼스널컴퓨터(22)의 도 34의 스텝 S134의 처리에 대응하여,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도 36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맨 처음에, 스텝 S151에 있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CPU(121)는 퍼스널컴퓨터(22)가 스텝 S134의 처리에서 송신하는 컨텐츠 ID, 액세스 정보 및 라이센스 서버의 주소를 수신한다. 스텝 S152에 있어서 CPU(121)는 스텝 S151의 처리에서 수신한 컨텐츠 ID, 액세스 정보 및 라이센스 서버의 주소를, 함께 송신되어 온 친구 포캬라 ID에 대응시켜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기억한다.
다음에, 스텝 S153에 있어서 CPU(121)는 유저가 컨텐츠를 취득한 처리에 대응하는 과금 처리를 실행한다. 즉, 컨텐츠의 대가 분(分)의 금액의 결제를 과금 서버(13)에 요구한다. 과금 서버(13)는 이 요구에 의거하여, 유저에 대해 과금 처리를 실행한다.
또, 이 컨텐츠의 제공에 대한 과금 처리는 라이센스 제공 시에 과금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컨텐츠의 제공에 대해 과금하는 것이 아니라, 라이센스의 제공 시에 과금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유저는 금액의 걱정을 하지 않고 컨텐츠를 임의의 단말에 복수회 수신하여 기억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그 만큼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배신(distribution)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재생하고자 하는 장치에 컨텐츠를 미리 기억시켜 두는 것에 의해,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회선의 용량이 느려도, 고품질의 컨텐츠를 그 장치에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저는 이와 같이 해서 컨텐츠를 취득한 것 만으로는 컨텐츠를 이용할 수가 없다. 즉,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라이센스를 더 취득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퍼스널컴퓨터(22)는 라이센스를 취득하기 위해서, 도 37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도 도 13의 스텝 S52에 있어서의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처리의 하나로서 실행된다.
스텝 S17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액세스한다. 스텝 S172에 있어서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의 취득을 요구한다. 이 컨텐츠 ID는 도 34의 스텝 S132의 처리에서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라이센스의 취득을 요구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라이센스 서버에 액세스하여 라이센스를 취득한다. 그리고, 라이센스를 취득했을 때, 퍼스널컴퓨터(22)에 대해 라이센스의 취득을 통지해 온다(후술하는 도 38의 스텝 S194, S195).
그래서, 스텝 S173에 있어서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송신되어 온 라이센스 취득의 통지를 수신한다. CPU(221)는 이 통지의 결과를출력부(227)의 표시부에 출력하여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라이센스를 취득한 것을 알 수가 있다.
다음에, 도 37의 퍼스널컴퓨터(22)의 라이센스 취득 처리에 대응해서 실행되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처리에 대해서, 도 3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191에 있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CPU(121)는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라이센스 취득 처리의 요구(도 37의 스텝 S172의 처리에서 출력된 요구)를 수신한다. 스텝 S192에 있어서 CPU(121)는 유저가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유저가 컨텐츠를 취득하고 있는 경우,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그 컨텐츠에 대해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도 36의 스텝 S152). 그래서, 이 액세스 정보에 의거하여 CPU(121)는 유저가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가 있다.
스텝 S192에 있어서 유저가 컨텐츠를 취득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93으로 진행되고, CPU(121)는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서버에 액세스하여, 유저에 대한 라이센스의 발행을 요구한다. 도 36의 스텝 S152의 처리에서 유저가 컨텐츠를 이미 취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라이센스 서버의 주소도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되어 있다. 또한, 그 라이센스를 발행하는 라이센스 서버의 주소도 등록되어 있다.
라이센스 서버(8)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라이센스의 발행을 요구받으면, 라이센스를 발행하여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송신해 온다(후술하는 도 39의 스텝 S212).
그래서, 스텝 S194에 있어서 CPU(121)는 라이센스 서버(8)로부터 송신되어 온 암호키(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키)와 라이센스 ID를, 친구 포캬라 ID와 컨텐츠 ID에 대응시켜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기억한다.
다음에, 스텝 S195에 있어서 CPU(121)는 라이센스가 취득된 것을 유저{퍼스널컴퓨터(22)}에게 통지한다.
그리고, 스텝 S196에 있어서 CPU(121)는 라이센스 취득 처리에 대응하는 과금 처리를 실행한다. 즉, CPU(121)는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대가의 결제를 과금 서버(13)에 요구한다. 과금 서버(13)는 이 요구에 의거하여 결제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92에 있어서 유저는 컨텐츠를 갖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97로 진행되고 에러 처리가 실행된다. 즉, 이 경우에는 유저는 컨텐츠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라이센스를 취득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에러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CPU(121)는 퍼스널컴퓨터(22)에 대해 에러 메세지를 송신한다. 퍼스널컴퓨터(22)는 스텝 S173에 있어서, 이 경우 라이센스 취득의 통지가 아닌 에러 메세지를 수신하게 된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의 액세스에 대응해서, 라이센스 서버(8)는 도 39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211에 있어서, 라이센스 서버(8)의 CPU(1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라이센스 발행의 요구를 수취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라이센스 발행의 요구를 수취하였다고 판정되었을 때 스텝 S212로 진행되고, 요구에 포함되는 컨텐츠 ID에 대응되는 라이센스(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암호키와 라이센스 1D)를 기억부(128)로부터 판독출력하여,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송신한다.
스텝 S211에 있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라이센스 발행의 요구를 받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12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해서, 유저는 컨텐츠와 라이센스를 취득하면, 컨텐츠를 사용하는(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40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이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의 처리도 유저가 가대(23) 위에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재치하고, 하나의 기능을 선택한 경우의, 도 13의 스텝 S52의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처리의 하나로서 실행된다.
스텝 S23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액세스한다. 스텝 S232에 있어서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대해서 컨텐츠 ID를 지정하여, 컨텐츠의 재생을 요구한다. 이 요구에 의거하여,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유저가 컨텐츠와 라이센스를 취득하고 있으면, 컨텐츠 데이터가 보존유지되어 있는 액세스처에 액세스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예의 경우, 퍼스널컴퓨터(22)에 컨텐츠 데이터가 보존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퍼스널컴퓨터(22)에 컨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해 온다(후술하는 도 41의 스텝 S274). 스텝 S233에 있어서 이 요구를 수신하면, CPU(221)는 지정된 액세스처의 컨텐츠 데이터를 판독출력하여,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송신한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수신한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암호키를 이용하여 복호하고, 복호한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해 온다(후술하는 도 41의 스텝 S275, 스텝 S276).
그래서, 스텝 S234에 있어서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컨텐츠 데이터는 이미 복호되어 있다. 따라서, 퍼스널컴퓨터(22)는 암호키를 보존유지할 필요가 없고, 또한 그 암호키에 의거하여 복호하는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휴대성을 중요시하는 필요성에서 복잡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곤란한 휴대용의 기기에 있어서도,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스텝 S235에 있어서, CPU(221)는 스텝 S234의 처리에서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부(227)의 표시부와 스피커로부터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컨텐츠를 시청(視聽)할 수가 있다.
다음에, 스텝 S236에 있어서, CPU(221)는 선불 금액을 감액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는 친구 포캬라 인형(161)의 IC칩(171)에 대해, 상술한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IC칩(191)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행된다.
IC칩(171)에 선불 금액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처리는 생략된다.
스텝 S237에 있어서, CPU(221)는 감액된 선불 금액과 재생 회수를 포함하는이력을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송신한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이 이력에 의거하여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를 갱신한다(상술한 도 29의 스텝 S109).
퍼스널컴퓨터(22)의 도 40에 도시되는 플로우차트의 처리에 대응하여,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도 28의 스텝 S102의 선택된 포캬라의 기능에 대응하는 처리의 하나로서, 도 41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271에 있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CPU(121)는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컨텐츠 재생의 요구(컨텐츠 ID를 포함하고 있다)를 수취할 때까지 대기하고, 수취했을 때 스텝 S272에 있어서 요구를 송신해 온 유저는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를 취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요구에 포함되는 컨텐츠 ID에 대응해서, 라이센스 ID가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로부터 판정할 수가 있다. 물론 이 경우, 포캬라 ID와 유저 ID의 적어도 한 쪽은 도 12의 스텝 S43의 처리에서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송신되고, 도 28의 스텝 S91의 처리에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이미 수신되어 있다.
유저가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라이센스를 취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73으로 진행되고, CPU(121)는 스텝 S273에 있어서, 액세스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보존유지하는 소스에 액세스한다.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친구 포캬라를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고, 내장되는 기억부에 그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했을 때, 그 장치{지금의 경우, 퍼스널컴퓨터(22)}는 그 컨텐츠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송신하며(도 34의스텝 S134),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이 액세스 정보를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하고 있다(도 36의 스텝 S152). 따라서, CPU(121)는 이 액세스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금의 경우 CPU(121)는 퍼스널컴퓨터(22)에 액세스하고, 기억부(228)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의 판독출력을 요구한다.
이 요구에 의거하여, 퍼스널컴퓨터(22)는 컨텐츠 데이터를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지정된 위치{액세스처 정보에서 지정되는 기억부(228)}로부터 판독출력하여, 송신해 온다(도 40의 스텝 S233). 그래서, CPU(121)는 스텝 S274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를 보존유지하는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지금의 경우, CPU(121)는 퍼스널 컴퓨터(22)가 송신해 오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물론, 액세스해 온 퍼스널컴퓨터(22) 이외의 장치에 컨텐츠 데이터가 보존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장치에 액세스하여 컨텐츠 데이터가 수신된다).
스텝 S275에 있어서, CPU(121)는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데이터를 암호키를 이용하여 복호한다. 이 암호키는 그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서 필요한 라이센스의 하나로서 취득되고,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기억되어 있는 것이다(도 38의 스텝 S194).
다음에, 스텝 S276에 있어서, CPU(121)는 스텝 S275의 처리에서 복호한 컨텐츠를, 액세스해 온 퍼스널컴퓨터(22){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가 현재 위치하는 장치}에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컨텐츠 데이터가 퍼스널컴퓨터(22)에 있어서 수신되고 출력된다(도 40의 스텝 S234, S235).
이와 같이, 암호키를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기억시키도록 하면, 암호키가 외부로 나오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암호키가 도난당할 우려가 적어진다. 그 결과, 암호화 컨텐츠의 해독이 곤란하게 되어 시큐러티(보안성)가 향상된다.
그 후,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컨텐츠 재생이 종료된 타이밍에서 이력 정보가 송신되어 온다(도 40의 스텝 S237). 그래서, 스텝 S278에 있어서, CPU(121)는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송신되어 온 이력을 수신하고, 그 이력에 의거하여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의 정보를 갱신한다. 이 이력에는 컨텐츠의 재생 회수, 감액된 후의 선불 금액 등이 포함되어 있다.
스텝 S272에 있어서, 요구를 송신해 온 유저가 컨텐츠 ID에 대한 라이센스를 취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278로 진행되고, CPU(121)는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즉, 이 경우 에러 메세지가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된다}. 퍼스널컴퓨터(22)는 스텝 S234에서 컨텐츠 대신에 이 에러 메세지를 수신하고, 이것을 출력부(227)에 출력하여 표시시킨다.
또, 이상에 있어서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가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하도록 하였지만,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퍼스널컴퓨터(22)에 대해 키를 송신하고, 퍼스널컴퓨터(22)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유저의 에이전트로서 기능하는 친구 포캬라를 거쳐서 컨텐츠 서버로부터 암호화 컨텐츠를 자유롭게 다운로드할 수가 있고, 또한 친구 포캬라를 거쳐서 그 암호화 컨텐츠를 자유롭게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사가 행해진 경우,그 격납 장소가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된다. 친구 포캬라는 재생이 지시되면,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되어 있는 격납 장소를 참조하여 그 컨텐츠를 유저에 제공한다. 따라서, 유저는 그 컨텐츠를 시청하거나, 또 다른 장치에 복사하거나, 스트리밍으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재생에는 항상 친구 포캬라가 필요하게 된다.
또, 컨텐츠의 복사나 재생 시에 컨텐츠를 다른 키로 암호화하도록 함으로써, 키가 도난당했다고 하더라도 그것에 의거한 피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시큐러티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대한 로그인은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가대 위에 재치하는 것 이외에, 유저에 대해 할당된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제3자가 ID와 패스워드를 훔쳐서 진짜 유저로 위장하여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대해 액세스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진짜 유저가{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보존유지하는 유저가},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의 소정의 장치로부터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대해 로그인 하고 있는 경우에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나중에 로그인 해 온 유저에 대해, 친구 포캬라 인형(161)의 캐릭터의 실루엣(검은 그림자)만을 표시시킴으로써, 그 시점에 있어서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가 다른 장치에서 사용 중인 것을 유저에게 알리게 한다. 즉,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대한 액세스는 배타적이라는 것을 유저는 직감적으로 이해시킬 수가 있다.
그 결과, 친구 포캬라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도, 네트워크 상의 1대의 장치로만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되고, 유저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를 의식하지 않더라도 컨텐츠의 저작권을 지킬 수가 있게 된다.
친구 포캬라 인형(161)의 IC칩(171)에 선불 금액(또는 재생 회수)이 기억되고 있고, 컨텐츠를 재생할 때마다 그 선불 금액(또는 재생 회수)이 감산되어 가는 바와 같은 경우, 다음에 선불 금액(또는 재생 회수)이 0으로 되었을 때, 유저는 이후, 컨텐츠를 재생(사용)할 수가 없게 된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유저는 소정의 금액을 더욱 추가적으로 지불함으로써 컨텐츠를 재차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도 42와 도 4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2의 플로우차트의 처리는 유저가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가대(23) 위에 재치하고, 하나의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 있어서의 도 13의 스텝 S52의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처리의 하나로서 실행된다.
스텝 S30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대해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의 갱신을 요구한다. 이 요구에 의거하여,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에 대응하는 과금 처리를 행한 후,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을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해 온다(후술하는 도 43의 스텝 S322 내지 스텝 S326). 그래서, 스텝 S302에 있어서,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송신되어 온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을 수신한다. 스텝 S303에 있어서, CPU(221)는 수신한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을 리더라이터(241)를 거쳐서 IC칩(171)에 기억되어 있는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에 가산한다.
이와 같이 해서, 이후, 유저는 재차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의 범위 내에 있어서, 재차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도 42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는 퍼스널컴퓨터(22)의 처리에 대응해서 도 43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즉, 이 처리는 도 28의 스텝 S102의 선택된 포캬라의 기능에 대응하는 처리의 하나로서 실행된다.
스텝 S321에 있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CPU(121)는 퍼스널 컴퓨터(22)로부터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 갱신의 요구를 수취할 때까지 대기하고, 수취하였을 때 스텝 S322에 있어서 요구를 송신해 온 유저{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에 대응하는 유저}는 크레디트카드를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되어 있는 유저 정보로부터 판정할 수가 있다.
유저가 크레디트카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323으로 진행되고, CPU(121)는 유저의 요구로부터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을 추출한다. 스텝 S325에 있어서 CPU(121)는 스텝 S323의 처리에서 추출한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에 대응하는 금액은 결제 가능한 금액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크레디트카드에 의해 결제 가능한 금액인지의 여부가 여기서 판정된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금액 이상의 금액은 결제 불능으로 판정된다.
선불 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이 결제 가능한 금액인 경우에는 스텝 S325로 진행되고, CPU(121)는 그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를 실행한다. 즉, 이 때 CPU(121)는과금 서버(13)에 선불 금액에 대응하는 과금 처리를 요구한다. 과금 서버(13)는 이 요구에 대응하여 그 유저의 크레디트카드 번호에 의거하여 선불 금액의 인출의 처리를 실행한다.
물론, 이와 같은 처리는 크레디트카드가 아니라, 은행 계좌로부터의 인출 처리로서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 S326에 있어서, CPU(121)는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을 퍼스널 컴퓨터(22)에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22)는 이것을 수신하면, 친구 포캬라 인형(161)의 IC칩(171)의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을 갱신한다(도 42의 스텝 S303).
이어서 스텝 S327로 진행되고, CPU(121)는 유저의 이력을 갱신한다. 즉, 유저가 그 때 보존유지하는 선불 금액(또는 최대 사용 가능 회수)이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된다.
스텝 S322에 있어서 유저가 크레디트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 S324에 있어서 선불 금액이 결제 가능한 금액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328로 진행되고, CPU(128)는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 즉, 이 때 CPU(121)는 선불 금액을 갱신할 수 없다는 취지의 메세지를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한다.
퍼스널컴퓨터(22)는 도 42의 스텝 S302에 있어서, 선불 금액 대신에 이 메세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이 메세지가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유저는 이것에 의해 선불 금액의 갱신을 할 수 없었던 것을 알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은 선불 금액을 증액(갱신)하는 처리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IC칩(191)에 기억되어 있는 선불 금액에 대해서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IC칩(191)에 기억되어 있는 선불 금액의 갱신 처리를 행하는 경우, 친구 포캬라로부터 입금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과금 결제가 친구 포캬라로 일원화되므로 편리하게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유저는 판매 포캬라 인형(161)을 가대(23) 위에 재치함으로써,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액세스한다. 그리고,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메뉴를 표시시킨 후, 그 메뉴 중에서 예를 들면 「판매 포캬라 인형에 입금(쿠폰 구입)」의 항목을 선택시킨다. 이 선택이 행해졌을 때,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예를 들면 「입금하고자 하는 포캬라 인형을 가대에 올려 주십시오」와 같은 메세지를 퍼스널컴퓨터(22)에 표시시킨다. 유저는 이 메세지에 따라서, 가대에 재치되어 있는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분리(제거)하고, 그 대신에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재치한다. 단, 이 경우,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대응하는 장치로부터의 액세스(접속)를 그대로 계속시킨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또는 컨텐츠 서버(6)}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IC칩(191)에 대한 선불 금액의 갱신 처리를 행한 후, 재차 예를 들면 「친구 포캬라 인형을 가대에 올려 주십시오」와 같은 메세지를 퍼스널컴퓨터(22)에 표시시킨다. 유저가 이 메세지에 따라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가대(23) 위에 재치했을 때,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IC칩(191)에 대해 행한 선불 금액의 갱신 처리에 대응되는 과금 처리를, 친구 포캬라 인형(161)에 의거하여 실행한다.
혹은 또한, 판매 포캬라 인형(181)에 의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었던 경우에 있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입금(쿠폰 구입)하겠습니까」와 같은 메세지를 퍼스널컴퓨터(22)에 표시시키고, 「OK」버튼이 조작되었을 때, 친구 포캬라 인형(161)과 교체하는 조작을 촉구하는 메세지를 더 표시시키며, 판매 포캬라 인형(181) 대신에 친구 포캬라 인형(161)이 가대(23) 위에 재치되었을 때, 과금 처리를 실행시킨다. 그 후 재차, 친구 포캬라 인형(161) 대신에,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가대(23) 위에 재치시키는 조작을 촉구하는 메세지가 표시된다. 유저는 이 메세지에 따라,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가대(23) 위에 재치한다. 이 때, 선불 금액의 갱신 처리가 행해지고, 컨텐츠 재생이 재차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어서 친구 포캬라를 이용하여, 소정의 단말에 보존된 컨텐츠를 그 단말에서 재생하는 다른 처리예에 대해서, 도 4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컨텐츠는 예를 들면 상술한 도 34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는 처리에 의해, 단말로서의 퍼스널컴퓨터(22)의 기억부(228)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S40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는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의 타이틀(명칭)을 출력부(227)를 구성하는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유저는 입력부(226)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된 타이틀 중에서 소정의 컨텐츠를 재생 대상으로서 지정한다. 그래서, CPU(221)는 스텝 S402에 있어서 입력부(226)의 입력에 의거하여, 유저가 지정한 컨텐츠를 선택한다.
스텝 S403에 있어서, CPU(221)는 스텝 S402의 처리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통신부(229)를 제어하여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송신시킨다. 도 45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이 컨텐츠 ID에 대응하여 에러 정보(스텝 S425) 또는 암호키(스텝 S424)를 송신해 온다.
그래서, 스텝 S404에 있어서 CPU(221)는 에러 정보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에러 정보를 수신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409로 진행되고,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대해, 에러 정보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405로 진행되고, CPU(221)는 과금 처리에 필요한 과금 정보를 유저의 입력에 의거하여 취득하고, 과금 정보를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송신한다.
스텝 S406에 있어서,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가 송신해 온 암호키(스텝 S424의 처리에서 송신된 암호키)를 수신한다. 스텝 S407에 있어서, CPU(221)는 스텝 S406의 처리에서 수신한 암호키를 이용하여 스텝 S402의 처리에서 선택된 컨텐츠(암호화되어 있음)를 복호한다. 스텝 S408에 있어서, CPU(221)는 스텝 S407의 처리에서 복호한 컨텐츠를 출력부(227)로부터 출력시킨다.
도 44의 이상의 처리에 대응하여,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도 45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421에 있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CPU(121)는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송신되어 온(스텝 S403의 처리에서 송신된) 컨텐츠 ID를 수신한다. 스텝 S422에 있어서, CPU(121)는 스텝 S421에서 수신한 컨텐츠 ID에 대응한 라이센스를유저가 취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친구 포캬라의 포캬라 정보로서는, 켄텐츠 정보로서 컨텐츠 ID가, 또한 라이센스 정보로서 라이센스 ID가 등록되어 있다. CPU(121)는 수신한 컨텐츠 ID에 대응하여 라이센스 ID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도 31의 포캬라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한다.
스텝 S422에 있어서, 컨텐츠 ID에 대응한 라이센스가 취득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423으로 진행되고, CPU(121)는 퍼스널컴퓨터(22)가 스텝 S405의 처리에서 송신해 온 과금 정보를 수신하고, 과금 처리를 행한다. 스텝 S424에 있어서, CPU(121)는 라이센스 ID에 대응하는 암호키를 판독출력하고, 재생 단말{지금의 경우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한다. 이 암호키가 상술한 바와 같이, 퍼스널컴퓨터(22)에 있어서 스텝 S406에서 수신된다.
스텝 S422에 있어서, 컨텐츠 ID에 대응하여 라이센스가 취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425로 진행되고, CPU(121)는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CPU(121)는 에러 정보를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한다.
다음에, 컨텐츠를 보존하고 있지 않은 단말이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도 4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지금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26)에 컨텐츠가 등록되어 있고, 이 컨텐츠를 퍼스널컴퓨터(22)가 재생하는 것으로 한다.
스텝 S44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액세스하고,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되어 있는 각 컨텐츠의 액세스 정보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는 컨텐츠의 액세스처(컨텐츠를 보존유지하고 있는 장치)로서의 액세스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며, CPU(221)는 이것을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수신한다.
스텝 S442에 있어서, CPU(221)는 수신한 액세스 정보에 의거하여, 암호화 컨텐츠와 그것이 보존되어 있는 단말의 리스트를 출력부(227)에 표시한다. 유저는 입력부(226)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 중에서 소정의 컨텐츠를 선택한다. 그래서, 스텝 S443에 있어,서 CPU(221)는 입력부(226)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의 액세스 정보로부터 액세스처를 결정한다.
스텝 S444에 있어서, CPU(221)는 스텝 S443의 처리에서 결정한 액세스처에, 통신부(229)를 제어하여 직접 접속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지금의 경우,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는 컨텐츠를 격납하고 있는 퍼스널컴퓨터(26)에 액세스한다.
스텝 S445에 있어서,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대해 스텝 S443에 있어서 결정된(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송신한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암호키를 송신해 온다(후술하는 도 48의 스텝 S493).
그래서, 스텝 S446에 있어서,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암호키를 수신한다. 스텝 S447에 있어서, CPU(221)는 컨텐츠 제공 단말{지금의 경우, 퍼스널컴퓨터(26)}에 컨텐츠 ID를 송신한다.
스텝 S448에 있어서, CPU(221)는 컨텐츠를 보존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유저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행해진다.
컨텐츠를 보존하는 경우 스텝 S449로 진행되고, CPU(221)는 퍼스널컴퓨터(26)로부터 송신되어 온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를 수신하면, 이것을 기억부(228)에 보존한다.
스텝 S450에 있어서, CPU(221)는 액세스 정보의 갱신 정보를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송신한다. 즉, 지금 컨텐츠가 퍼스널컴퓨터(26)로부터 퍼스널컴퓨터(22)에 전송되었기 때문에, 그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처가 이후, 퍼스널컴퓨터(22)로 되도록{그 컨텐츠를 보존유지하고 있는 단말은 퍼스널컴퓨터(22)로 되도록}, 액세스처가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송신된다.
스텝 S451에 있어서, CPU(221)는 기억부(228)에 기억된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를 스텝 S446의 처리에서 수신한 암호키를 이용해서 복호하고 재생한다. 재생 출력은 출력부(227)로부터 출력된다.
스텝 S448에 있어서, 컨텐츠를 보존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452에 있어서 CPU(221)는 암호키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복호하면서, 출력부(227)로부터 스트리밍 재생한다.
이상의 도 46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는 퍼스널컴퓨터(22)의 처리에 대응하여, 퍼스널컴퓨터(22)에 대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퍼스널컴퓨터(26)는 도 47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맨처음에, 스텝 S47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6)의 CPU(221)는 포캬라 디먼(demon)를 기동한다. 스텝 S472에 있어서 포캬라 디먼은 다른 단말로부터 액세스를 받을 때까지 대기하고, 다른 단말로부터 액세스를 받은 경우{지금의 경우,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액세스를 받은 경우}, 스텝 S473으로 진행되고, 재생 단말로부터 컨텐츠 ID를 수신한다. 지금의 경우, 스텝 S447의 처리에서 퍼스널컴퓨터(22)가 송신한 컨텐츠 ID가 수신된다. 스텝 S474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6)의 CPU(221)는 접속원(接續元)으로 암호화 컨텐츠를 송신한다. 지금의 경우, 퍼스널컴퓨터(22)에 암호화 컨텐츠가 송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암호화 컨텐츠가 퍼스널컴퓨터(22)에 있어서 스텝 S449에서 보존되거나, 스텝 S452에서 복호하면서 스트리밍 재생되게 된다.
도 46의 퍼스널컴퓨터(22)의 처리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처리에 대해서,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CPU(121)는 스텝 S491에 있어서 재생 단말에 액세스 정보를 송신한다. 즉, CPU(121)는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되어 있는 액세스 정보를 판독출력하고, 이것을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한다. 퍼스널컴퓨터(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액세스 정보를 스텝 S441의 처리에서 수신한다.
스텝 S492에 있어서, 포캬라 서비스 서버(9)의 CPU(121)는 재생 단말{지금의 경우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컨텐츠 ID를 수신한다. 이 컨텐츠 ID는 도 46의 스텝 S445의 처리에서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송신된 것이다.
스텝 S493에 있어서 CPU(121)는 재생 단말로부터 액세스 정보의 갱신 정보를 수신한다. 이 갱신 정보는 도 46의 스텝 S450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로부터 송신된 것이다.
스텝 S495에 있어서 CPU(121)는 스텝 S494의 처리에서 수신한 액세스 정보를 포캬라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갱신)한다. 이와 같이 해서, 컨텐츠가 이동되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퍼스널컴퓨터(26)가 액세스처로서 등록되어 있던 컨텐츠의 액세스처가 퍼스널컴퓨터(22)로 변경되게 된다.
다음에, 도 49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암호화 컨텐츠를 다른 장치에 복사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26)가 보존유지하는 컨텐츠를 퍼스널컴퓨터(52)에 복사하는 것으로 한다.
스텝 S51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는 포캬라 서비스 서버(9)로부터 액세스 정보를 수신한다. 스텝 S512에 있어서, CPU(221)는 스텝 S511의 처리에서 수신한 액세스 정보에 의거하여, 암호화 컨텐츠와 그것이 보존된 단말의 리스트를 출력부(227)에 출력하여 표시시킨다.
유저는 이 표시를 보고, 복사원(複寫元)과 복사처(복사할 곳)를 입력부(226)를 조작함으로써 지정한다.
그래서, 스텝 S513에 있어서 CPU(221)는 입력부(226)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복사할 암호화 컨텐츠를 선택함과 동시에, 복사원으로서 퍼스널컴퓨터(26)를, 또한 복사처로서 퍼스널컴퓨터(52)를 각각 선택한다. 스텝 S514에 있어서 CPU(221)는 복사원 또는 복사처에 복사를 통지한다. 지금의 경우, 복사원은 퍼스널컴퓨터(26)이고, 복사처는 퍼스널컴퓨터(52)이므로, 각각에 복사의 통지가 행해진다.
이 통지에 의거하여, 도 50과 도 51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같이 복사원으로부터 복사처에 컨텐츠가 전송되고 복사된다.
스텝 S515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22)의 CPU(221)는 복사원 또는 복사처로부터의 통지에 의거하여, 복사가 정상적으로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에는 스텝 S516으로 진행되고, CPU(221)는 액세스 정보를 갱신한다. 즉, 이 경우, 컨텐츠가 양쪽에 격납된 것으로 되기 때문에, 액세스처로서 퍼스널컴퓨터(26)와 퍼스널컴퓨터(52)의 양쪽이 등록된다.
스텝 S515에 있어서, 복사가 정상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17로 진행되고, CPU(221)는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도 50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복사원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금의 경우, 이 처리는 퍼스널컴퓨터(26)에 의해 실행되게 된다.
스텝 S53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6)의 CPU(221)는 퍼스널 컴퓨터(22)로부터 스텝 S514의 처리에서 발행된 복사의 통지(복사 요구)를 수신한다. 스텝 S532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6)의 CPU(221)는 기억부(228)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를 판독출력하고, 스텝 S533에 있어서 그 컨텐츠를 통신부(229)로부터 퍼스널컴퓨터(52)에 송신시킨다. 송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때, CPU(221)는 그 취지를 퍼스널컴퓨터(22)에 통지한다.
도 51은 복사원의 처리에 대응해서 실행되는 복사처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지금의 경우, 이 복사처의 처리는 퍼스널컴퓨터(52)에 의해 실행된다.
퍼스널컴퓨터(52)는 스텝 S55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가 스텝 S514의 처리에서 발행한 복사의 통지(복사 요구)를 수신한다. 스텝 S552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52)의 CPU(221)는 복사원으로서의 퍼스널컴퓨터(26)가 스텝 S33의 처리에서 송신한 컨텐츠를 수신한다. 스텝 S553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52)의 CPU(221)는 스텝 S552의 처리에서 수신한 컨텐츠를 기억부(228)에 기록한다. 수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때, CPU(221)는 그 취지를 퍼스널컴퓨터(22)에 통지한다.
이상에 있어서는 유저가 방(31)의 퍼스널 컴퓨터(22)에 접속되어 있는 가대(23) 위에 친구 포캬라 인형(161) 또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재치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였지만, 유저는 사용하고자 하는 기기에 접속되어 있는 가대 위에 포캬라 인형을 재치하면 좋다. 예를 들면, 친구 포캬라의 캐릭터(311)에 대응해서,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는 경우, 유저는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방(32)에 배치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24)에 접속되어 있는 가대(25) 위에 재치함으로써, 텔레비전 수상기(24)를 제어할 수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가대(23) 위에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재치하고, 퍼스널컴퓨터(22)에 기록한 컨텐츠를 방(33) 위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유저는 방(33)의 퍼스널컴퓨터(26)에 접속되어 있는 가대(27) 위에,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재치한다. 이 때, 퍼스널컴퓨터(26)로부터 액세스를 받은 포캬라 서비스 서버(9)는 퍼스널 컴퓨터(22)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판독출력하고, 복호하여 퍼스널컴퓨터(26)에 송신해 온다. 따라서, 유저는 임의의 위치에서{사용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기기에 접속되어 있는 가대에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재치함으로써}, 컨텐츠를 사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직장(5)에 가지고 가서, 직장(5)에 배치되어 있는 퍼스널컴퓨터(52)에 접속되어 있는 가대(53) 위에 재치하면, 퍼스널컴퓨터(52)가 LAN(51)으로부터 ISP(4)를 거쳐서 인터넷(1)에 접속되고, 인터넷(1)으로부터 또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접속된다. 따라서, 유저는 예를 들면, 자택 앞으로 송신되어 온 메일도 직장(5)에서 확인할 수가 있다. 물론, 직장(5)으로부터 메일을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해서, 유저는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휴대하여 사용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가대에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재치함으로써, 그 장치로부터 에이전트로서 기능하는 친구 포캬라에 관한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되는 휴대전화기(61)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휴대전화기(61)에는 가대는 접속되지 않으며, 휴대전화기(61)는 리더라이터를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유저는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휴대전화기(61)에 근접 배치함으로써(접촉시킴으로써),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액세스할 수가 있다.
휴대전화기(61)의 경우, 가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가대 위에 항상 재치해 둘 수가 없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기(61)로부터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액세스하는 경우에는 휴대전화기(61)에 대해 친구 포캬라 인형(161)이 근접 배치되었을 때,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액세스(로그인)가 행해지고, 그 후 친구 포캬라 인형(161)이 휴대전화기(61)로부터 떨어졌다고 하더라도,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대한 액세스(접속)는 그대로 계속된다.
유저는 로그아웃 할 때, 휴대전화기(61)의 버튼 등을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메뉴를 표시시키고, 그 메뉴 중에서 로그아웃의 항목을 선택하여 로그아웃을 지령한다. 이 조작이 행해졌을 때 로그아웃이 실행된다.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유저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휴대전화기(61)의 근방에 배치한다(접촉시킨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일단 액세스(로그인)가 행해지면, 그 액세스(접속)는 이후, 메뉴로부터 로그아웃을 유저가 지시할 때까지 계속된다.
휴대전화기(61)에 내장되는 CPU는 일반적으로 퍼스널컴퓨터 등에 내장되는 CPU에 비해 그 능력이 낮기 때문에, 친구 포캬라 혹은 판매 포캬라의 캐릭터를 표시시키는 경우의 해상도, 색(色) 수, 폴리곤 수, 코머 수 등은 퍼스널 컴퓨터 등에 표시시키는 경우에 비해, 간이한 포맷의 것으로 변경된다.
포캬라 데이터는 예를 들면 XML 베이스의 데이터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에, Java(등록상표)를 이용하여 캐릭터를 표시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i모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휴대전화기(61)와 함께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휴대한다고 하면, 친구 포캬라 인형(161)이 너무 크면 휴대에 불편하게 된다. 그래서,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예를 들면 키 홀더에 의해 보존유지할 수 있는 키(열쇠) 정도의 크기로 하고,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61)의 스트랩에 액세서리와 같이 하여 매달도록 할 수가 있다.
IC칩은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친구 포캬라 인형(161)을 휴대전화기(61)의 스트랩에 매달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하는 것은 가능하다.
휴대전화기 이외에 PDA, 디지털 스틸 카메라, 캠코더, 비디오테이프 레코더, DVD 레코더, 하드디스크 레코더, 카 네비게이션 장치, 컴퓨터게임 기기와 같은 각종 장치로부터, 포캬라 서비스 서버(9)에 대해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 있어서는 주로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에이전트로서 기능하는 친구 포캬라는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유저의 기호를 분석하고, 유저로부터의 지시가 없어도 유저가 좋아하는 컨텐츠를 인터넷(1)에 접속되어 있는 각종 서버로부터 취득한다. 따라서, 유저는 친구 포캬라를 거쳐서 이 추천 정보를 볼 수가 있다. 친구 포캬라는 추천 정보의 열람이 지령되었을 때, 그때까지 검색된 컨텐츠를 소개하는 판매 포캬라를 표시시킨다. 유저는 이 판매 포캬라를 거쳐서 추천 정보로서 그때까지 취득된 컨텐츠의 제시를 받을 수가 있다. 즉, 이 경우에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거치게 하지 않고 판매 포캬라가 표시되게 된다.
유저가 판매 포캬라의 포털 사이트에 액세스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 과금은 판매 포캬라가 아니라 친구 포캬라를 거쳐서 행해지게 된다.
더욱이, 판매 포캬라의 포캬라 ID를 북마크하고, 예를 들면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 「마음에 드는 정보」로서 등록해 두면, 그 판매 포캬라의 URL에 신속하게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친구 포캬라 인형(161) 및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인형의 형태로 하였지만, 동물, 건축물 및 그 외의 오브젝트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판매 포캬라 인형의 변형예로서 예를 들면, 콤팩트 디스크(CD)나, DVD(Digital Versatile Disc)의 재킷을 오브젝트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그 재킷(오브젝트)에 IC칩이 내장된다. 따라서, 그 쟈켓을 가대 위에 재치하면, 그 재킷에 대응하는 판매 포캬라의 캐릭터가 가대에 접속되어 있는 장치에 표시되게 된다. 이 경우의 판매 포캬라는 예를 들면 그 재킷이 CD 재킷인 경우, 그 CD에 수록되어 있는 컨텐츠로서의 노래를 부르고 있는 가수의 캐릭터로 된다.
이 판매 포캬라의 캐릭터는 유저와 의사적(疑似的)으로 회화(會話)를 하거나, 대응하는 가수의 홈페이지를 소개하는 처리를 행한다.
혹은 또한, 판매 포캬라는 그 재킷에 수용되어 있는 IC칩에 기록되어 있는 쿠폰에 의거하여, 그 가수의 최신 노래(컨텐츠)를 유저에게 시청(試聽)시킨다. 또한, 이 IC칩에는 그 CD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에 관한 해설이나, 가수의 프로모션 정보 등도 기억되어 있으며, 판매 포캬라는 이것을 소개한다.
혹은 또한, 그 재킷이 DVD 재킷인 바와 같은 경우, 그 DVD에 수록되어 있는 영화의 주인공의 캐릭터가 판매 포캬라로서 등장한다. 그 재킷의 IC칩에는 그 영화에 관한 제작 과정의 상세한 정보, 쿠폰 등이 기억되어 있으며, 판매 포캬라는 그 쿠폰에 의거하여 영화에 관계되는 상품을 판매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판매 포캬라에 컨텐츠를 취득할 권리를 부여하고, 유저는 판매 포캬라를 구입하는 것에 의해, 컨텐츠를 좋아하는 장소에서 언제든지 재생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판매 포캬라의 IC칩에는 취득할 수 있는 컨텐츠의 종류를 나타내는 서비스 ID가 격납된다. 예를 들면, 악곡 40곡 분을 취득할 수 있는 서비스 ID를 가지는 판매 포캬라를 구입한 유저는 컨텐츠 서버에 기록되어 있는 2500곡의 악곡 중에서, 좋아하는 40곡을 취득할 수가 있다.
도 52에 이 서비스의 예를 도시한다. 서비스 A는 악곡 A 내지 악곡 C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유저는 포캬라 1 내지 포캬라 3 중의 어느 하나의 판매 포캬라 인형을 구입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 A의 제공을 받을 수가 있다. 서비스 A에 있어서, 유저의 퍼스널컴퓨터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포캬라의 화상은 버추얼 포캬라 A로 된다.
서비스 B는 악곡 D 내지 악곡 F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유저는 포캬라 4, 또는 포캬라 5 중의 어느 하나의 판매 포캬라 인형을 구입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 B의 제공을 받을 수가 있다. 서비스 B에 있어서, 유저의 퍼스널컴퓨터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포캬라의 화상은 버츄얼 포캬라 B로 된다.
서비스 C는 악곡 E 내지 악곡 I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유저는 포캬라 6 내지 포캬라 9 중의 어느 하나의 판매 포캬라 인형을 구입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 C의 제공을 받을 수가 있다. 서비스 C에 있어서, 유저의 퍼스널컴퓨터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포캬라의 화상은 버츄얼 포캬라 C로 된다.
도 53에, 판매 포캬라 인형을 사용하여 컨텐츠를 취득할 때의 처리의 흐름을도시한다. 스텝 S611에 있어서 유저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사용할 기기에 대응하는 가대에 재치한다.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22)를 사용하는 경우, 유저는 퍼스널컴퓨터(22)에 대응해서 접속되어 있는 가대(23)에,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재치한다. 그리고,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IC칩으로부터 포캬라 ID, 카드 ID 및 서비스 ID가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된다.
스텝 S63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는 포캬라 ID, 카드 ID 및 서비스 ID를 취득한다. 스텝 S632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는 도 5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인증 요구 처리를 행한다.
스텝 S633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는 인증 요구를 컨텐츠 서버(6)에 송신하고, 스텝 S651에 있어서 이것이 수신된다.
스텝 S652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는 도 55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인증 처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포캬라의 인증이 행해진다. 스텝 S653에 있어서, 인증 결과를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하고, 스텝 S634에 있어서 이것이 수신된다.
스텝 S635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는 도 5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초기 데이터 취득 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사용하여 취득된 악곡(컨텐츠)의 일람, 다운로드 가능 회수를 나타내는 카운터의 값이 판매 포캬라 인형(181)으로부터 취득되지만(스텝 S622, S623), 취득되는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있다. 이들 데이터는 컨텐츠 서버(6)에 기억된 키를 사용하여 복호할 수가 있지만, 퍼스널컴퓨터(22)에서는 복호할 수가 없다.
스텝 S636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는 스텝 S623에 있어서 송신된 데이터를 서비스 정보로서 컨텐츠 서버(6)에 송신하고, 스텝 S654에 있어서 이것이 수신된다. 스텝 S655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는 도 58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초기 데이터 송신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사용하여 취득된 악곡(컨텐츠)의 일람, 다운로드 가능 회수를 나타내는 카운터의 값이 복호되고, 초기 데이터로서 퍼스널컴퓨터(22)에 기억된다. 스텝 S656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는 퍼스널컴퓨터(22)에 초기 데이터를 송신하고, 스텝 S637에 있어서 이것이 수신된다.
또한, 판매 포캬라 인형(181)이 가대(23)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컨텐츠 서버(6)과의 접속은 해제되고, 로그아웃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에, 도 5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53의 스텝 S631의 인증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70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이 가대(23)에 재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재치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스텝 S701에 있어서 판매 포캬라 인형(181)이 가대(23)에 재치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CPU(221)는 스텝 S702로 진행되고,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포캬라 ID와 서비스 ID를 취득한다.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IC칩 안에는 상술한 포캬라 ID 이외에, 서비스의 종류(예를 들면 서비스 A)를 나타내는 서비스 ID와, 그 IC칩을 특정하는 카드 ID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있으며, 스텝 S702에 있어서는 암호화된 채로 이들 데이터가 취득된다.
스텝 S703에 있어서 CPU(221)는 스텝 S702에 있어서 취득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증 요구를 생성하고, 컨텐츠 서버(6)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해서,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인증의 요구가 컨텐츠 서버(6)에 대해서 송신된다.
다음에, 도 5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53의 스텝 S652의 인증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721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의 CPU(121)는 인증 요구를 수신하고, 스텝 S722에 있어서 복호키를 사용하여 포캬라 ID, 카드 ID 및 서비스 ID를 복호한다. 포캬라 ID, 카드 ID 및 서비스 ID를 복호하는 복호키는 미리 서버(6)의 기억부(128)에 기억되어 있다.
스텝 S723에 있어서 CPU(121)는 스텝 S722에 있어서 복호된 ID가 정당한 ID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때, 정당한 ID인지의 여부의 판정은 다음과 같이 해서 행해진다. 서버(6)의 기억부(128)에는 서비스 ID에 대응하는 카드 ID가 기술된 데이터베이스가 기억되어 있으며, 그 서비스 ID에 대응하는 카드 ID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기억부(128)에 기억되는 판매된 포캬라 인형의 포캬라 ID의 일람이 기술된 데이터베이스에 의거하여, 포캬라 ID의 정당성이 체크된다.
스텝 S723에 있어서 정당한 ID라고 판정된 경우, CPU(121)는 스텝 S724로 진행되고, 퍼스널컴퓨터(22)에 인증 결과로서 인증 OK를 송신한다. 스텝 S723에 있어서 정당한 ID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CPU(121)는 스텝 S725로 진행되며, 퍼스널컴퓨터(22)에 인증 결과로서 인증 NG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해서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인증이 행해진다.
다음에, 도 56을 참조하여 도 53의 스텝 S635의 초기 데이터 취득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74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의 CPU(221)는 인증 결과를 수신한다. 스텝 S742에 있어서 CPU(221)는 수신된 인증 결과가 인증 OK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742에 있어서 인증 OK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743으로 진행되고, 판매 포캬라 인형(181)으로부터 카운터 및 다운로드필 악곡을 취득한다.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IC칩 안에는 도 5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판매 포캬라 인형(181)은 예를 들면 40곡의 컨텐츠를 취득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서비스 ID가 부여되어 있으며, 컨텐츠가 취득되면 컨텐츠 ID 및 취득 일시가 격납된다. 이 예에서는 서기 2002년 3월 7일 13시 12분에, 컨텐츠 ID 「10001」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취득되어 있고, 다운로드필 악곡은 컨텐츠 ID 「10001」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1개의 컨텐츠가 취득(다운로드)되면, 다운로드 가능 회수를 나타내는 카운터의 값이 1만큼 감소된다. 다운로드 가능 회수의 초기값은 40이며, 이 예에서는 이미 1개의 컨텐츠와 라이센스가 다운로드되어 있기 때문에, 카운터의 값은 39로 되어 있다.
또, 도 5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정보는 암호화되어서 격납되어 있으며, 스텝 S743에 있어서는 정보는 암호화된 채로 취득된다.
스텝 S744에 있어서 CPU(221)는 카운터 및 다운로드필 악곡에 소정의 헤더를 부가하고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컨텐츠 서버(6)에 송신한다.
한편, 스텝 S742에 있어서 인증 OK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즉 인증 NG인 경우, CPU(221)는 스텝 S745로 진행되어,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IC칩에 격납된 다운로드필 악곡을나타내는 컨텐츠 ID와 다운로드 가능 회수를 나타내는 카운터의 값이 암호화된 채로 컨텐츠 서버(6)에 송신된다.
다음에, 도 5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53의 스텝 S655의 초기 데이터 송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761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의 CPU(121)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스텝 S762에 있어서 카운터, 다운로드필 악곡을 복호한다. 또, 카운터, 다운로드필 악곡을 복호하는 복호키는 미리 컨텐츠 서버(6)의 기억부(128)에 기억되어 있다.
스텝 S763에 있어서 CPU(221)는 포캬라 리소스(자원)를 취득한다. 포캬라 리소스는 퍼스널컴퓨터의 출력부에 표시되는 캐릭터의 3차원 화상의 정보, 그 포캬라의 회화 데이터, 그 캐릭터의 명칭 등의 정보에 의해 구성되는 데이터이며, 미리 컨텐츠 서버(6)의 기억부(128)에 기억되어 있다. 포캬라 리소스는 서비스마다 존재하고, 서비스 ID에 대응하여 특정된다.
스텝 S764에 있어서 CPU(121)는 카운터, 다운로드필 악곡 및 포캬라 리소스의 소정의 헤더를 부가하고, 초기 데이터로서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한다. 송신된 초기 데이터는 퍼스널컴퓨터(22)의 기억부(228)에 기억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사용하여 취득(다운로드)된 악곡의 일람과 다운로드 가능 회수가 퍼스널컴퓨터(22)에 의해 인식된다. 또한,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IC칩에 포함되는 정보를 암호화하고, 컨텐츠 서버(6)에서만 복호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정보의 개찬(改竄)을 방지할 수가 있다.
스텝 S764에 있어서, 송신된 포캬라 리소스에 의거하여 퍼스널컴퓨터(22)의 출력부(227)의 표시부에는 도 5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화상이 표시된다. 도 59에는 이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버츄얼 포캬라(501)가 표시되어 있으며, 그 대사로서 대사란(502)이 표시되어 있다. 대사란(502)에는 「EGC의 라이브가 4월 20일에 하라주쿠의 루이더에서 있다고 한다」라는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포캬라 리소스를 갱신하는 것에 의해, 항상 최신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함으로써,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구입한 유저는 예를 들면 자신이 흥미를 가지고 있는 아티스트의 최신 정보를 취득할 수가 있다. 더욱이, 정보의 제공은 유저가 쉽게 친숙해지기 쉬운 형식으로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도 60을 참조하여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사용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행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처리는 도 53을 참조하여 상술한 처리가 종료된 후에 행해진다. 스텝 S831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22)는 컨텐츠 서버(6)에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하고, 스텝 S861에 있어서 이것이 수신된다. 다운로드 요구의 송신은 예를 들면 유저가 퍼스널컴퓨터(22)의 입력부(226)을 조작하고, 소정의 커멘드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 S862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는 도 61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컨텐츠 리스트 송신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863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는 퍼스널컴퓨터(22)에 컨텐츠 리스트를 송신하고, 스텝 S832에 있어서 이것이 수신된다.
스텝 S833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는 도 6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다운로드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다운로드 또는 프리뷰(시청)되는 컨텐츠가 지정되고, 컨텐츠 서버(6)에 송신된다. 스텝 S834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는 컨텐츠 서버(6)에 다운로드 요구 또는 프리뷰 요구를 송신하고, 스텝 S864에 있어서 이것이 수신된다.
스텝 S865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는 도 6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컨텐츠 송신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퍼스널컴퓨터(22)에 컨텐츠가 송신되고, 스텝 S835에 있어서 이것이 수신된다. 또한, 서비스 정보가 송신되고, 스텝 S836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에 의해 수신되고, 스텝 S811에 있어서 판매 포캬라 인형(181)에 의해 수신된다.
다음에, 도 61을 참조하여 도 60의 스텝 S862의 컨텐츠 리스트 송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901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의 CPU(121)는 서비스 ID에 대응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한다.
컨텐츠 서버의 기억부(128)에는 예를 들면 도 6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가 기억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서비스 ID, 라이센스, 다운로드필 ID가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면, 1행 째에는 컨텐츠 ID 「1001」에 대응하는 서비스 ID로서 「100」이 기술되어 있고, 서비스 ID 「100」를 가지는 판매 포캬라이면 컨텐츠 ID 「1001」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취득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라이센스로서 「XXXX」가 기술되어 있으며, 컨텐츠 ID 「1001」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라이센스 「XXXX」를 이용하여 복호할 수 있다는 것을나타낸다.
다운로드필(포캬라) ID로서 「A」,「B」 및 「C」가 기술되어 있으며, 포캬라 ID는 「A」,「B」 및 「C」의 판매 포캬라가 컨텐츠 ID 「1001」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이미 다운로드 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욱이, 컨텐츠 서버의 기억부(128)에는 도 6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가 기억되어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에는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곡명, 금주의 매상 포인트, 누계의 매상 포인트, 수록 앨범명, 이 곡이 신곡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곡 플래그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이 곡의 아티스트명, 작사자명, 작곡자명 및 연주 시간이 기억되어 있다.
더욱이, 이 곡을 소개하는 라이너노츠 파일에의 패스, 이 곡의 음악 파일(예를 들면 WAV 파일)에의 패스, 가라오케 데이터 파일에의 패스 및 재킷 사진 파일에의 패스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이 곡의 발매(릴리스) 날짜, 장르명, 프리뷰 개시 프레임 번호, 프리뷰 종료 프레임 번호가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면, 스텝 S631(도 53)에 있어서 수신된 서비스 ID가 「100」인 경우, 스텝 S901에 있어서 컨텐츠 ID 「1001」과 「1003」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컨텐츠 리스트가 생성된다. 컨텐츠 리스트에는 그 컨텐츠의 곡명, 아티스트명, 수록 앨범명, 매상 포인트 등이 포함된다.
스텝 S902에 있어서 CPU(121)는 컨텐츠 리스트를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해서, 다운로드 가능한 악곡의 일람이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된다.
다음에, 도 6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60의 스텝 S833의 다운로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921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22)의 CPU(221)는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한다. 스텝 S922에 있어서 CPU(221)는 다운로드 가능 회수는 1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다운로드 가능 회수는 스텝 S637(도 53)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로부터 송신되고, 퍼스널컴퓨터(22)에 기억된 초기 데이터 중의 카운터의 값을 참조하여 취득된다.
스텝 S922에 있어서 다운로드 가능 회수는 1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CPU(221)는 스텝 S923으로 진행되고, 다운로드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도 6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도 65에는 버츄얼 포캬라(501)와 대사란(511)이 표시되어 있으며, 그 왼쪽 위쪽에 다운로드 리스트 화면(510)이 표시되어 있다.
도 66은 다운로드 리스트 화면(510)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필드(531)는 표시되는 컨텐츠의 아티스트명이 표시되는 필드이며, 유저는 필드(531)에 소망하는 아티스트명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필드(536)에 그 아티스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곡명과 매상 실적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이 예에서는 아티스트 「마츠시타 아야」에 대한 컨텐츠가, 그 곡명과 매상 실적에 대해서 일람 표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필드(531)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아티스트명이 입력되도록 하였지만, 필드(531)에 예를 들면 장르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필드(536)에 그 장르에대응하는 컨텐츠의 곡명과 매상 실적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필드(532)에는 다운로드 가능 회수(악곡수)가 표시된다. 이 예에서는 「나머지 X곡」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또, 이 화면에 있어서 유저는 필드(533)에 곡명을 입력하거나 또는 필드(534)에 앨범명을 입력한 다음에, 검색 버튼(535)을 클릭하는 것에 의해 소망하는 컨텐츠(악곡)을 검색할 수가 있다.
도 64로 되돌아가 스텝 S924에 있어서, CPU(221)는 컨텐츠가 지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지정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컨텐츠의 지정은 예를 들면 도 66의 필드(536) 내의 곡명을 1회 클릭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스텝 S924에 있어서 컨텐츠가 지정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925로 진행되고, CPU(221)는 프리뷰(시청)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프리뷰의 지시는 예를 들면 유저가 도 66의 프리뷰 버튼(537)을 클릭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스텝 S925에 있어서 프리뷰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926으로 진행되고, CPU(221)는 프리뷰 요구를 컨텐츠 서버(6)에 송신한다.
스텝 S925에 있어서 프리뷰가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927로 진행되고, CPU(221)는 다운로드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다운로드의 지시는 예를 들면 유저가 도 66의 다운로드 버튼(538)을 클릭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스텝 S927에 있어서 다운로드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928로 진행되고, CPU(221)는 컨텐츠 서버(6)에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한다.
스텝 S926 또는 스텝 S928의 처리 후에, CPU(221)는 스텝 S929에 있어서, 스텝 S924에 있어서 지정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ID를 컨텐츠 서버(6)에 송신한다.
스텝 S922에 있어서 다운로드 가능 회수가 1이상이 아닌, 즉 더 이상 다운로드할 수 없다고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 S927에 있어서 다운로드가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930으로 진행되고, CPU(221)는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소망하는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행해진다.
다음에, 도 67을 참조하여 도 60의 스텝 S865의 컨텐츠 송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951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의 CPU(121)는 다운로드 요구 또는 프리뷰 요구를 수신하고, 스텝 S952에 있어서 컨텐츠 ID를 수신한다.
스텝 S953에 있어서, CPU(121)는 스텝 S951에 있어서 수신된 데이터는 다운로드 요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다운로드 요구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954로 진행되고, 도 68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다운로드 컨텐츠 송신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스텝 S953에 있어서 다운로드 요구가 아니라고(프리뷰 요구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955로 진행되고, CPU(121)는 도 70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프리뷰 컨텐츠 송신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도 68을 참조하여 도 67의 스텝 S954의 다운로드 컨텐츠 송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971에 있어서 CPU(121)는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다운로드용 데이터를 취득한다.
컨텐츠 서버의 기억부(128)에는 도 6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악곡 프린지(fringe) 데이터(601)는 그 악곡의 연주 시간 등의 정보가기술된 파일군이고, 가사 데이터(602)는 그 악곡의 가사가 기술된 파일군이며, 라이너노츠(603)는 그 악곡의 내용을 소개하는 코멘트 등이 기술된 파일군이다. 재킷 사진(604)은 그 악곡의 CD 쟈켓 사진에 의거하여 만들어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파일(예를 들면 JPEG 파일)군이며, 악곡 데이터(605)는 그 악곡의 음악 파일(예를 들면 WAV 파일)군이다. 악곡 프린지 데이터(601) 내지 악곡 데이터(605)는 악곡 마다의 복수의 파일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컨텐츠 ID에 대응하여 각 파일이 특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서버의 기억부(128)에는 도 6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가 기억되어 있으며, 컨텐츠 ID가 특정되면 그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라이너노츠 파일에의 패스, 악곡 데이터 파일에의 패스, 가라오케 데이터(악곡 프린지 데이터 및 가사 데이터) 파일에의 패스, 재킷 사진 파일에의 패스가 특정된다. 스텝 S971에 있어서 CPU(121)는 악곡 프린지 데이터(601) 내지 악곡 데이터(605) 중에서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파일을 특정하고, 그들 파일을 머지(merge)하여 다운로드용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스텝 S972에 있어서 CPU(121)는 스텝 S971에서 취득한 다운로드용 데이터를 컨텐츠로서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한다. 송신된 컨텐츠는 스텝 S835(도 60)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에 수신되고, 기억부(228)에 기억된다. 또, 이 때 송신되는 컨텐츠는 암호화되어 있으며, 암호화된 채로 기억부(228)에 기억된다. 암호화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컨텐츠를 복호하는 키(라이센스)가 필요하게 되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다운로드용 데이터를 수신한 퍼스널컴퓨터(22)의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65에 도시되는 표시 화면의 대사란(511)에 다운로드의 진척 상황(예를 들면, 「다운로드 X% 완료」)이 표시된다.
스텝 S973에 있어서 CPU(121)는 이 컨텐츠는 다운로드필인지(다운로드를 마쳤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때, 스텝 S654(도 53)에 있어서 취득된 서비스 정보 중의 다운로드필 악곡에 의거하여, 이 컨텐츠가 다운로드필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S973에 있어서 이 컨텐츠는 다운로드필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974로 진행되고, CPU(121)는 스텝 S654(도 53)에 있어서 취득된 서비스 정보 중의 다운로드필 악곡을 갱신한다. 예를 들면, 컨텐츠 ID 「1002」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송신한 경우, 다운로드필 악곡에 「1002」가 추가된다.
스텝 S975에 있어서, CPU(121)는 스텝 S654(도 53)에 있어서 취득된 서비스 정보 중의 카운터의 값을 감소시킨다.
스텝 S976에 있어서, CPU(121)는 스텝 S974와 스텝 S975에서 갱신된 서비스 정보를 퍼스널컴퓨터(22)에 송신한다. 송신된 서비스 정보는 스텝 S836(도 60)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에 수신되고, 스텝 S811에 있어서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IC칩에 격납된다.
스텝 S977에 있어서, CPU(121)는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이 때, 도 62에 도시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 다운로드필 ID가 갱신된다. 예를 들면, 포캬라 ID 「A」의 판매 포캬라를 이용하여 컨텐츠 ID 「1003」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경우, 3행째의 다운로드필 ID에 「A」가 추가된다.
한편 스텝 S973에 있어서, 이 컨텐츠는 다운로드필이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974 내지 스텝 S977의 처리는 스킵된다.
이와 같이 해서, 다운로드되는 컨텐츠가 송신되고, 그것에 수반하여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IC칩의 정보도 갱신된다.
다음에, 도 70을 참조하여 도 67의 스텝 S955의 프리뷰 컨텐츠 송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991에 있어서, CPU(121)는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프리뷰용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때, 도 69의 악곡 프린지 데이터(601) 내지 악곡 데이터(605) 중에서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파일이 특정되지만, 도 63의 데이터베이스 내의 프리뷰 개시 프레임 번호와 프리뷰 종료 프레임 번호에 의거하여, 파일 중에서 소정 부분의 데이터가 추출되고, 프리뷰용 데이터로서 머지된다.
또한, 미리 화질이나 음질이 약간 저하된 프리뷰용의 악곡 프린지 데이터(601) 내지 악곡 데이터(605)를 준비해 두고, 그들 중에서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파일이 특정되어 프리뷰용 데이터로서 머지되도록 해도 좋다.
스텝 S992에 있어서, CPU(121)는 퍼스널컴퓨터(22)에 스텝 S991에서 취득한 프리뷰용 데이터를 컨텐츠로서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해서, 컨텐츠의 프리뷰(시청)가 행해진다. 프리뷰에 있어서는 판매 포캬라 인형의 IC칩 내에 격납되는 다운로드 가능 회수(카운터의 값)는 감소되지 않기 때문에, 유저는 부담없이 악곡을 시청할 수가 있다. 또한, 프리뷰용 데이터를 수신한 퍼스널컴퓨터(22)에 있어서는 데이터의 재생이 행해진다. 이 때, 퍼스널 컴퓨터(22)의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65에 도시되는 표시 화면의 대사란(511)에 컨텐츠의 라이너노츠의 내용이 표시된다.
유저는 취득(다운로드)한 컨텐츠를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이용하여 재생할 수가 있다. 재생에 사용하는 기기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기기여도 좋고, 그것과는 다른 기기여도 좋다.
예를 들면, 컨텐츠를 이미 다운로드한 퍼스널컴퓨터(22)를 사용하는 경우, 유저는 퍼스널컴퓨터(22)에 대응하여 접속되어 있는 가대(23)에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재치한다. 또한, 컨텐츠를 아직 다운로드하고 있지 않은 퍼스널컴퓨터(26)를 사용하는 경우, 유저는 퍼스널컴퓨터(22)에 대응하여 접속되어 있는 가대(27)에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재치한다. 그리고, 도 53을 참조하여 상술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지고, 퍼스널컴퓨터(22) 또는 (26)에 초기 데이터가 기억된다.
또, 이 예에서는 사용하는 기기를 퍼스널컴퓨터(22) 또는 (26)으로 하고 있지만, 사용하는 기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도 71을 참조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110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 또는 (26)는 도 7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리스트 표시 처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되고, 유저에 의해 재생해야 할 컨텐츠가 지정된다. 이 때, 퍼스널컴퓨터(22) 또는 (26)의 기억부(228)에 지정된 컨텐츠가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검색된다.
예를 들면, 유저가 퍼스널컴퓨터(22)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컨텐츠는 이미기억부(228)에 기억(다운로드)되어 있지만, 유저가 퍼스널컴퓨터(26)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컨텐츠는 기억부(228)에 존재하지 않는다.
컨텐츠가 기억부(228)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텝 S1102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6)로부터 컨텐츠 서버(6)에 대해 컨텐츠 ID가 송신되고, 스텝 S1131에 있어서 이것이 수신되며, 스텝 S1132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는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컨텐츠 송신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는 도 67을 참조하여 상술한 컨텐츠 송신 처리와 마찬가지인 처리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1133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는 퍼스널컴퓨터(26)에 컨텐츠를 송신하고, 스텝 S1103에 있어서 이것이 수신된다.
한편, 예를 들면 유저가 퍼스널컴퓨터(22)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컨텐츠는 이미 기억부(228)에 기억(다운로드)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S1102, S1131, S1132, S1133 및 S1103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스텝 S1104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 또는 (26)는 도 75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라이센스 요구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105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 또는 (26)는 컨텐츠 서버(6)에 라이센스 요구를 송신하고, 스텝 S1134에 있어서 이것이 수신된다. 스텝 S1135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는 도 7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라이센스 송신 처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하는 암호키인 라이센스가 송신된다.
스텝 S1106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는 퍼스널컴퓨터(22) 또는 (26)에 대해 라이센스를 송신하고, 스텝 S1106에 있어서 이것이 수신된다. 스텝 S1107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 또는 (26)는 도 7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라이센스 재생 처리를 행한다. 그 결과, 컨텐츠가 재생된다.
다음에, 도 7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71의 스텝 S1101의 리스트 표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1201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22) 또는 (26)의 CPU (221)는 재생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출력부(227)의 표시부에 도 7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화상이 표시된다.
도 73에는 버츄얼 포캬라(501)와 대사란(562)이 표시되어 있으며, 그 왼쪽 위쪽에 재생 리스트 화면(561)이 표시되어 있다.
도 74는 재생 리스트 화면(561)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필드(581)는 표시되는 컨텐츠의 아티스트명이 표시되는 필드이며, 유저는 필드(581)에 소망하는 아티스트명을 입력함으로써 필드(583)에 그 아티스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곡명과 구입일(취득일)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이 예에서는 아티스트 「마츠시타 아야」에 대한 컨텐츠가 그 곡명과 구입일에 대해서 일람 표시되어 있다.
필드(538)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에서, 기억부(228)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의 곡명과 구입일은 진하게 표시되고, 기억부(228)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의 곡명과 구입일은 흐리게 표시된다.
필드(538)의 제1행째의 곡명 「분홍빛 사랑」과 그 구입일 「2002/02/02」는 흐리게 표시되어 있고, 이 컨텐츠가 과거에 이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사용하여 취득되어 있지만, 현재 사용 중인 퍼스널컴퓨터의 기억부(228)에는 기억되어 있지 않은, 즉 이 컨텐츠는 다른 기기로 다운로드된 것을 나타낸다. 필드(538)의 제2행째의 곡명 「1000번의 KISS」와 그 구입일 「2002/04/04」는 진하게 표시되어 있고, 이 컨텐츠가 과거에 이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사용하여 취득되어 있고, 현재 사용 중인 퍼스널 컴퓨터의 기억부(228)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필드(581)에, 표시될 컨텐츠의 아티스트명이 입력되도록 하였지만, 필드(581)에 예를 들면 장르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필드(583)에 그 장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곡명과 구입일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필드(582)에는 소지곡(所持曲) 수가 표시된다. 소지곡 수는 이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사용해서 다운로드(취득)한 컨텐츠의 수를 나타내고, 이 예에서는 「Y곡」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72로 되돌아가 스텝 S1202에 있어서, CPU(221)는 재생할 컨텐츠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지시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재생할 컨텐츠의 지시는 유저가 예를 들면 입력부(226)를 조작하고, 도 74에 도시되는 재생 리스트 화면 중의 소망하는 곡명을 더블클릭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스텝 S1202에 있어서 재생할 컨텐츠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CPU(221)는 스텝 S1203으로 진행된다.
스텝 S1203에 있어서, CPU(221)는 재생할 컨텐츠가 단말(사용 중인 기기)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재생할 컨텐츠로서, 도 74의 필드(583)의 제1행째의 컨텐츠(곡명 「분홍빛 사랑」)가 지시된 경우, 재생할 컨텐츠는 단말 내에는 없다고 판정되어 스텝 S1204로 진행되며, CPU(221)는 지시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ID를 컨텐츠 서버에 송신하고,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
이 때, 컨텐츠 서버(6)로부터 퍼스널컴퓨터(22) 또는 (26)에 대해 컨텐츠가 송신된다. 이 컨텐츠 송신 처리(도 71의 스텝 S1132)는 도 67과 도 68을 참조하여 상술한 컨텐츠 송신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지만, 지금의 경우, 스텝 S973(도 68)에 있어서 이 컨텐츠는 다운로드를 마쳤다고 판정되기 때문에, 스텝 S974 내지 스텝 S977의 처리는 스킵된다.
한편, 예를 들면 재생할 컨텐츠로서, 필드(538)의 제2행째의 컨텐츠(곡명 「1000번의 KISS」)가 지시된 경우, 재생할 컨텐츠는 단말 내에 있다고 판정되고, 스텝 S1204의 처리는 스킵된다.
이와 같이 해서 재생할 컨텐츠가 지정되고, 그 컨텐츠가 단말 내에 없는 경우,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행해진다.
다음에, 도 7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71의 스텝 S1104의 라이센스 요구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122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 또는 (26)의 CPU(221)는 지정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ID를 취득한다. 스텝 S1222에 있어서, CPU(221)는 스텝 S1221에서 취득된 컨텐츠 ID에 소정의 헤더를 부가하고, 라이센스 요구를 컨텐츠 서버(6)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해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라이센스의 요구가 행해진다.
다음에, 도 76을 참조하여 도 71의 스텝 S1135의 라이센스 송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1241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6)의 CPU(121)는 라이센스 요구를 수신한다. 스텝 S1242에 있어서, CPU(121)는 컨텐츠는 다운로드필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때, 도 62에 도시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컨텐츠가 다운로드필인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스텝 S1243에 있어서, CPU(121)는 컨텐츠를 1회만 재생할 수 있는 라이센스를 생성한다. 이 라이센스의 생성은 예를 들면 OpenMGX, Windows,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스텝 S1244에 있어서, CPU(121)는 퍼스널 컴퓨터(22) 또는 (26)에 라이센스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해서,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하는 키인 라이센스가 송신된다.
다음에, 도 7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71의 스텝 S1107의 라이센스 재생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126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2) 또는 (26)의 CPU(221)는 라이센스를 수신한다. 스텝 S1262에 있어서, CPU(221)는 취득한 라이센스에 의거하여 컨텐츠를 복호하고 재생한다.
이 때, 퍼스널컴퓨터(22) 또는 (26)의 출력부(227)의 표시부에는 도 7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화상이 표시된다. 도 78에는 버츄얼 포캬라(501)와 대사란(562)이 표시되어 있으며, 버츄얼 포캬라(501)의 왼쪽 위쪽에는 재생 리스트 화면(561)이 표시되고, 버츄얼 포캬라(501)의 왼쪽 아래쪽에는 이 컨텐츠의 재킷 사진(563)이 표시되어 있다. 표시 화면의 대사란(562)에 재생 중인 컨텐츠의 가사가 표시되고, 버츄얼 포캬라(501)가 소정의 동작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컨텐츠의 재생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컨텐츠를 재생하는 라이센스를 컨텐츠 서버(6)에 의해 관리할 수가 있다. 또한, 컨텐츠는 암호화되어 있으며, 재생하기 위해서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사용하여 라이센스를 취득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컨텐츠가 부정하게 복사되어도 재생되는 일없이 컨텐츠의 저작권이 보호된다. 한편,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구입한 유저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을 가대에 두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컨텐츠를 재생할 수가 있다. 컨텐츠가 재생될 때, 반드시 컨텐츠 서버(6)에 있어서, 판매 포캬라의 ID가 정당한 ID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기 때문에, 보다 강고하게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가 있다.
이상에 있어서는 취득한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컨텐츠 서버(6)에 의해 관리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라이센스를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IC칩 내에 격납하고, 컨텐츠를 재생할 때 판매 포캬라 인형(181)으로부터 라이센스를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저는 판매 포캬라 인형(181)의 서비스 ID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자유롭게 취득하고, 재생할 수가 있다.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되어 온 식별정보에 대응해서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경우,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유저가 임의의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을 실현할 수가 있다.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와 함께 오브젝트에서 판독된 유저 식별 정보가 수신된 경우,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해서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을 때,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임의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유저에 대해서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컨텐츠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오브젝트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함과 동시에, 컨텐츠 식별 정보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해서 컨텐츠의 사용을 요구하고,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거쳐서 송신되어 오는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임의의 장치에서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기억된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하여,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도록 하고,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액세스에 대한 판정 결과를 수신하고, 판정 결과가 에이전트의 부재로 인해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인 경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캐릭터를 비표시로 하거나,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표시로 하도록 함으로써, 1개의 장치에서만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에이전트의 존재에 관한 에이전트 정보를 기억하고,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1개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만 컨텐츠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컨텐츠를 유저에게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액세스에 대한 판정 결과를 수신하고, 판정 결과가 에이전트의 부재로 인해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인 경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캐릭터를 비표시로 하거나,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표시로 하도록 함으로써, 저작권의 관리에 대해 특별한 고려를 하는 일없이,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컨텐츠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유저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141), (251)(플로피디스크를 포함), 광 디스크(142), (252){CD-ROM (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 광자기 디스크(143), (253){MD(Mini-Disk)를 포함}, 혹은 반도체 메모리(144), (254)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로 유저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122), (222)이나, 기억부(128), (228)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1의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임의의 장치에서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제2의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를 보호하면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컨텐츠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임의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컨텐츠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제3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임의의 장치에 의해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4의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 1개의 장치에만 컨텐츠를 이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을 실현할 수가 있다
제5의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컨텐츠를 이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컨텐츠를 이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6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저작권의 보호에 대해서 특별히 유저에게 의식시키는 일없이, 컨텐츠를 유저가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7의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에게 보다 깊게 컨텐츠를 즐기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47)

  1. 미리 설정된 식별 정보를 보존유지하는 오브젝트와;
    컨텐츠를 사용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상기 오브젝트가 보존유지하는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로 이루어지는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판독 장치에 상기 오브젝트가 재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고,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해서 상기 컨텐츠의 사용을 관리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된 상기 오브젝트의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상기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해서 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4. 미리 설정된 식별 정보를 보존유지하는 오브젝트와;
    컨텐츠를 사용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상기 오브젝트가 보존유지하는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로 이루어지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판독 장치에 상기 오브젝트가 재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5.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오브젝트에서 판독된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유저 식별 정보와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해서 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상기 액세스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컨텐츠에 액세스하고, 상기 컨텐츠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로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오브젝트에서 판독된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상기 유저 식별 정보와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해서 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상기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9.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오브젝트에서 판독된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상기 유저 식별 정보와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해서 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상기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 격납 매체.
  10.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오브젝트에서 판독된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상기 유저 식별 정보와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해서 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상기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1.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오브젝트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유저 식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유저를 인증시키는 송신 수단과;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첨부하여, 상기 컨텐츠의 사용을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유저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유저가 인증되고, 또한 상기 요구 수단에 의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유저가 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라이센스를 가진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송신되어 오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는 상기 오브젝트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는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은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에 대응하는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유저가 사용 가능한 컨텐츠의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재치되었을 때, 상기 오브젝트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유저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유저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판독 수단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판독 수단으로부터 분리된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판독 수단으로부터 분리된 것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 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2.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오브젝트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상기 유저 식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유저를 인증시키는 송신 스텝과;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첨부하여, 상기 컨텐츠의 사용을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스텝과;
    상기 송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송신된 상기 유저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유저가 인증되고, 또한 상기 요구 스텝의 처리에 의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유저가 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라이센스를 가진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송신되어 오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3.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프로그램으로서,
    오브젝트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상기 유저 식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유저를 인증시키는 송신 스텝과;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첨부하여, 상기 컨텐츠의 사용을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스텝과;
    상기 송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송신된 상기 유저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유저가 인증되고, 또한 상기 요구 스텝의 처리에 의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유저가 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라이센스를 가진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송신되어 오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 격납 매체.
  24.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오브젝트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상기 유저 식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유저를 인증시키는 송신 스텝과;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첨부하여, 상기 컨텐츠의 사용을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스텝과;
    상기 송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송신된 상기 유저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유저가 인증되고, 또한 상기 요구 스텝의 처리에 의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유저가 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라이센스를 가진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송신되어 오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25.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됨과 동시에, 컨텐츠를 사용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로 이루어지는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에이전트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액세스하는 액세스 수단과,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수단에 의한 액세스에 대한 상기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한 판정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판정 결과가, 상기 에이전트의 부재로 인해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인 경우, 상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캐릭터를 비표시로 하거나,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표시로 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6.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됨과 동시에, 컨텐츠를 사용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로 이루어지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에이전트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액세스하고,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기억된 상기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컨텐츠의 이용의 가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에 대한 상기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한 판정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수신된 상기 판정 결과가 상기 에이전트의 부재로 인해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인 경우, 상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캐릭터를 비표시로 하거나,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표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7. 컨텐츠를 이용하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에이전트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컨텐츠가 암호화된 암호화 컨텐츠의 키 정보를 또 기억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에이전트 정보가 상기 에이전트의 부재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키 정보의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의 송신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상기 액세스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컨텐츠에 액세스하고, 상기 컨텐츠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또 기억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액세스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컨텐츠가 암호화된 암호화 컨텐츠의 키 정보를 또 기억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에이전트 정보가 상기 에이전트의 부재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키 정보에 의한 상기 암호화 컨텐츠의 복호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에이전트 정보가 상기 에이전트의 부재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컨텐츠의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의 송신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3. 제27항에 있어서,
    유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컨텐츠의 이용이 허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컨텐츠의 이용이 허가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또 상기 키 정보의 이용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4. 컨텐츠를 이용하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에이전트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정보를 기억하고,
    기억된 상기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5. 컨텐츠를 이용하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프로그램으로서,
    에이전트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상기 기억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억된 상기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 격납 매체.
  36. 컨텐츠를 이용하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에이전트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상기 기억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억된 상기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37.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액세스하는 액세스 수단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수단에 의한 액세스에 대한상기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한 판정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판정 결과가 상기 에이전트의 부재로 인해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인 경우, 상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캐릭터를 비표시로 하거나,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표시로 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판정 결과가 상기 에이전트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있는 것인 경우, 상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판정 결과가 상기 에이전트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있는 것인 경우,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에이전트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갱신시키도록,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갱신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컨텐츠가 암호화된 암호화 컨텐츠의 키 정보를 또 수신하고,
    상기 암호화 컨텐츠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암호화 컨텐츠를 상기 키 정보에 의해 복호하는 복호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컨텐츠가 암호화된 암호화 컨텐츠의 키 정보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중 제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중 제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암호화 컨텐츠를 또 수신하고,
    상기 암호화 컨텐츠를 상기 키 정보에 의해 복호하는 복호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1.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액세스하는 액세스 스텝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스텝의 처리에 의한 액세스에 대한 상기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한 판정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상기 판정 결과가 상기 에이전트의 부재로 인해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인 경우, 상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캐릭터를 비표시로 하거나,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표시로 하는 표시 제어 스텝을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42.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액세스하는 액세스 스텝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스텝의 처리에 의한 액세스에 대한 상기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한 판정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상기 판정 결과가 상기 에이전트의 부재로 인해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인 경우, 상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캐릭터를 비표시로 하거나,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표시로 하는 표시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 격납 매체.
  43.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액세스하는 액세스 스텝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스텝의 처리에 의한 액세스에 대한 상기 에이전트 정보에 의거한 판정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상기 판정 결과가 상기 에이전트의 부재로 인해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인 경우, 상기 에이전트를 나타내는 캐릭터를 비표시로 하거나, 또는 부재를 나타내는 표시로 하는 표시 제어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44.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컨텐츠를 사용할 때 이용되는 오브젝트로서,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컨텐츠에 관련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컨텐츠에 관련되는 인형이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오브젝트에 의해 취득 가능한 컨텐츠의 수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한 정보에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라이센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47.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해서 설치된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판독된 경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상기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KR10-2004-7019003A 2002-05-29 2003-05-29 정보 처리 시스템 KR200500097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56052 2002-05-29
JP2002156052 2002-05-29
PCT/JP2003/006726 WO2003100683A1 (fr) 2002-05-29 2003-05-29 Systeme de traitement d'inform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712A true KR20050009712A (ko) 2005-01-25

Family

ID=2956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003A KR20050009712A (ko) 2002-05-29 2003-05-29 정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240587A1 (ko)
EP (1) EP1508866A4 (ko)
KR (1) KR20050009712A (ko)
CN (1) CN1669039A (ko)
TW (1) TWI237977B (ko)
WO (1) WO2003100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5607A (ja) * 2005-03-31 2006-10-19 Sony Corp コンテンツ情報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情報提供サーバ,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情報提供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90070269A1 (en) * 2007-09-06 2009-03-12 Shaunt Mark Sarkissia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cure digital transactions
US9129284B2 (en) * 2007-09-06 2015-09-08 Shaunt Mark Sarkissia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cure digital transactions
DE202019104317U1 (de) * 2019-08-06 2020-09-11 Tiger Media Deutschland Gmbh System für einen gesteuerten Zugriff auf digitale Medieninhalte sowie Datenserv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7953A (en) * 1993-09-14 1997-10-14 Spyrus, In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for portable data storage media
WO1996027155A2 (en) * 1995-02-13 1996-09-06 Electronic Publishing Resourc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nd electronic rights protection
JPH1021144A (ja) * 1996-07-03 1998-01-23 Hitachi Ltd ディジタル著作物配布システム及び不正な複製物の検出方法
CN100383824C (zh) * 1998-03-26 2008-04-23 夏普公司 数据配送系统
US7246246B2 (en) * 1998-04-17 2007-07-17 Iomega Corporation System for keying protected electronic data to particular media to prevent unauthorized copying using a compound key
US20040016796A1 (en) * 1998-11-25 2004-01-29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banking apparatus and method
JP3679671B2 (ja) * 2000-01-31 200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20010056359A1 (en) * 2000-02-11 2001-12-27 Abreu Marcio Mar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product recall information, product warnings or other product-related information to users of products
US20020049717A1 (en) * 2000-05-10 2002-04-25 Routtenberg Michael D.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JP2002063092A (ja) * 2000-06-09 2002-02-28 Tomy Co Ltd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サーバ、玩具、情報提供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7076467B1 (en) * 2000-08-04 2006-07-1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Network-base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to a client computer and charging only for data that is used by the client computer user
US7552333B2 (en) * 2000-08-04 2009-06-23 First Data Corporation Trusted authentication digital signature (tads) system
JP2002091971A (ja) * 2000-09-11 2002-03-29 Sony Corp エージェント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装置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
JP2002175466A (ja) * 2000-12-06 2002-06-21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通信装置、情報処理端末、情報供給装置、情報供給方法、情報供給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で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20020178074A1 (en) * 2001-05-24 2002-11-28 Gregg Bloom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package delivery and storage
US20020178063A1 (en) * 2001-05-25 2002-11-28 Kelly Gravelle Community concept for payment using RF ID transponders
JP3947919B2 (ja) * 2002-05-23 2007-07-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100683A1 (fr) 2003-12-04
CN1669039A (zh) 2005-09-14
TWI237977B (en) 2005-08-11
TW200412113A (en) 2004-07-01
EP1508866A4 (en) 2006-06-07
EP1508866A1 (en) 2005-02-23
US20050240587A1 (en)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223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인형, 오브젝트, 프로그램 격납 매체 및 프로그램
JP4574097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レファレンスサーバ
TWI229801B (e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pparatus and method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of information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information transmission, ma
US20090210517A1 (e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4588020B2 (ja) 端末機器、再生機器、再生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454786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50009712A (ko) 정보 처리 시스템
JP200405491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格納媒体、プログラム、並びにオブジェクト
JP2008251007A (ja) コンテンツ実行システム、携帯情報端末、外部機器、コンテンツ実行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005043A (ja) 情報管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050017A (ja) 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0128636A (ja) 情報記録システム及び可搬型記録媒体
JP2007102806A (ja) 販売促進用のコンテンツデータ試視聴システム
JP2009089297A (ja) コンテンツ取得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2013069342A (ja) 情報記録システム及び情報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