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503A - 위폐 판별 기능과 이권종 합산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폐 판별 기능과 이권종 합산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503A
KR20050009503A KR1020030048836A KR20030048836A KR20050009503A KR 20050009503 A KR20050009503 A KR 20050009503A KR 1020030048836 A KR1020030048836 A KR 1020030048836A KR 20030048836 A KR20030048836 A KR 20030048836A KR 20050009503 A KR20050009503 A KR 20050009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banknote
unit
color pattern
counterfe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옥
Original Assignee
노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옥 filed Critical 노희옥
Priority to KR1020030048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9503A/ko
Publication of KR20050009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50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1Testing electronic circuits there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1Electronic funds transfer with electronic means providing security
    • Y10S902/07Means to identify counterfeit mone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권종 분류 합산 지폐 계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지폐의 진위 여부를 감지하는 마그네틱 감지부와, 지폐의 진위 여부를 감지하는 자외선 감지부와, 급지되는 지폐의 갯수를 카운팅하고 위폐와 진폐 여부를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부 및 계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폐계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 감지부, 자외선 감지부, 적외선 감지부에서 측정된 자료와 비교하기 위한 자료로서의 다수의 지폐 종류의 지폐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가지고 있는 권종 메모리와, 적외선 감지부에 의해 계수되는 지폐의 이권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지폐의 가로 크기를 감지하는 이미지 크기 감지부와, 지폐의 특정 부분의 컬러 패턴을 감지하여 지폐의 특정 부분의 컬러 패턴을 평균 아날로그 컬러 패턴 정보로 데이터화하는 컬러 패턴 감지부와, 컬러 패턴 감지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입력된 아날로그 컬러 패턴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부와, 이권종 합산 모드시에 이미지 크기 감지부와 컬러 패턴 감지부의 감지결과를 가지고 계수되는 지폐를 권종별로 분리 계수하여 최종적으로 분리 계수된 권종의 액면을 합산처리하는 합산 처리부와, 지폐가 이미지 크기 감지부를 통과할때 이미지 크기 감지부의 출력 신호 레벨을 이미지 스캔하여 기준레벨 이미지로서 저장하는 메모리와, 자외선 감지부, 마그네틱 감지부, 이미지 크기 감지부 및 적외선 감지부의 감지 결과와 컬러 패턴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감지결과를 종합하여 계수되는 지폐의 이권종 및 위폐 여부를 판단하고 합산 처리부로부터 지폐의 액면이 합산된 정보가 입력되면, 지폐의 액면을 합산한 액수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기존에 사용되던 마그네틱 감지부, 자외선 감지부 등의 감지 결과와 크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지폐의 크기정보 를 종합하여 계수되는 지폐의 이권종 및 위폐 여부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또는 여러 권종의 지폐를 투입할 때 각 권종의 액면을 합산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이권종 및 위폐 판별 기능과 이권종 지폐의 합산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폐 판별 기능과 이권종 합산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 및 그 방법{BILL COUNTING DEVICE WHICH CAN DISCRIMINATE COUNTERFEIT NOTE FROM THE BILL AND SUM THE DENOMINATION OF THE BILL AND MEHTOD THEREOF}
본 발명은 이권종 분류 합산 지폐 계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권종 및 지폐의 진위 여부를 감지하고 지폐의 권종에 따라 액수를 합산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이권종 분류 합산 지폐 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한국은행의 발표에 따르면 2002년 상반기에만 총 1141장의 위조지폐가 적발7되었다. 대부분이 1만원권의 위조지폐로 99.5%가 스캐너와 컬러프린터를 이용한 위조이다. 돈 1만원을 위조하는 데에는 얼마 시간도 노력도 얼마 들지 않기 때문에 위조지폐를 만들려는 시도는 끊이지 않고 있고 프린터기 등의 기술의 발달로 판별하기도 점점 더 어려워 지고 있다.
사실 80년대 이전에는 위조지폐가 너무도 조악하게 만들어져서 누구나 판별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다지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런데 시간이 점점 흐르면서 그 수법도 다양해지고 기술도 세련되져서 이제는 자세히 알지 않으면 은행원도 당할 정도라고 한다.
게다가 그것이 평소 접해본 일 없는 외국의 돈이라면, 일반인의 구별은 불가능하다. 올해에도 평상시에는 하얀 백지 상태지만 화학약품을 처리하면 지폐모양으로 바뀌는 신종위조지폐가 300만달러이상 적발되었다.
홍콩느와르 영화의 단골 소재로 등장했던 위조지폐가 이제 우리 생활 속으로 들어와 버린 것이다. 게다가 잦아진 해외여행으로 피해사례도 늘어나고 있는 요즈음, 세계각국의 위조지폐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겠다.
국제적으로 가장 많이 유통되는 돈이 달러이기 때문에 달러화를 위조하려는 시도는 수십 년간 계속 되어왔다.
사례를 들어 보면, 1988년에 발행된 진폐를 위조한 위조지폐가 대표적이다. 이 지폐 역시 1981년과 1985년형의 위폐보다 개량되어 대량으로 전 세계 각지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특히 동남아를 비롯하여 우리나라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이 위폐의 특징은 종이의 지질이 얇고 탄력이 없으며, 색감이 약간 변색된 느낌을 주며, 인쇄 상태는 정교하기는 하지만 진폐에 비하여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진폐와의 차이는 매우 미묘한 정도라서 구분이 쉽지는 않다. 지폐의 인물 하단 좌측부분같은 경우가 진폐와 위폐를 구분할 수 있는 지점이다.
위조달러가 세계적으로 확산되자 1996년도에 위조방지요소를 보강한 신권을 발행하였으나, 약 2년만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대단히 정교한 1996년의 초 정밀형 신권 위조지폐가 발견되었다. 인쇄상태가 매우 정교하여 특별한 주의가 요망되기는 하나, 종이의 지질과 인쇄상태에서 미세한 차이가 난다.
한편, 변조지폐라 함은 보통 소액화폐를 고액화폐로 변조하거나 돈을 분리해서 두 장으로 쓰는 일 등을 말하는데 우리나라에서도 1만원권 지폐를 앞면과 뒷면을 분리하여 분리된 면에 창호지에 붙여 접어서 사용하다가 적발된 예가 종종 있어왔다.
미국지폐는 권 종 구분없이 동일한 크기와 색상을 사용하므로 변조하기가 쉽다. 1달러 또는 5달러 소액화폐 액면표시를 탈색하여 100달러 등으로 변조하는 것이며, 이러한 변조지폐는 관심을 가지면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1불지폐를 100불권으로 변조한 것도 있는데, 원래 100불에는 프랭클린의 초상화가 있고 1불에는 워싱턴의 초상화가 있는데 변조지폐의 초상화는 1불의 워싱턴을 그대로 둔 채 숫자만 바꾸어 100불지폐로 변조하였다.
화폐를 보면 거의가 인물초상이 들어가 있는데 이것은 그 나라를 대표하는 인물을 압축적으로 표현함과 동시에 화폐의 위ㆍ변조를 막기 위한 목적도 있다. 인물 초상은 개개인의 인상과 개성이 뚜렷해 위ㆍ변조가 어렵기 때문이다. 초상에 수염을 많이 그려 넣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미국에는 100만불짜리 지폐는 없다. 발행권 중 가장 큰 권종은 십만불권이지만 이것 역시 은행간 자금결제용으로만 발행되어 시중에 유통되지 않았으며, 일반적으로 백불 이하의 권종이 유통되고 있다.
백만불권은 미국에서 관광용 기념상품으로 만들어진 모조지폐이다. 언뜻 보면 법정통화와 같은 느낌을 주기는 하나 금액을 상당히 크게 기재를 한다거나 지폐의 크기를 달리하여 법정통화와 구별이 되도록 하였다. 최근 발행되는 모조지폐는 지폐내에 유통불능 통화(NON-NEGOTIABLE)라는 영문표기가 되어 있으며 이러한 모조지폐를 법정통화(진폐)라 하여 환전을 요구하거나 감정을 의뢰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지폐계수기는 일반적으로 지폐를 계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이다. 지폐계수를 위해서 지폐계수기 내부에 지폐를 공급하는 공급 로울러와 공급된 지폐를 이송하는 급지로울러와, 상기 공급로울러와 급지로울러에 의해 공급된 지폐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로울러와, 상기 공급로울러, 급지로울러 및 반출로울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이와 같은 로울러를 통과한 지폐의 갯수를 세는 계수기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지폐계수기에 위폐나 이권지폐의 선별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의 내장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위폐 기술의 발달로 위폐가 진폐와 구분하기 어렵게 제조되면서 기존의 지폐계수기로는 진폐로부터 위폐를 정확히 검출하기 어려워졌다. 특히 UV 인쇄의 여부만으로 위폐와 진폐를 검지하는 무의미해졌다. 이는 위폐기술의 발달(특히 달러화)로 위폐 인쇄시에 UV 인쇄를 채택하여 위폐를 제조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지폐에 설치되어 있는 마그네틱을 검지하여 지폐의 진위 여부를 검지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들은 UV 검지 및 크기 검지와 복합적으로 사용되어 지폐의 진위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채택된 것이 컬러 센서이다. 이는 지폐의 특정 부분의 색상을 발광 및 수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빛을 감지하여 이를 데이터화하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수단으로 이용한다.
그러나, 국내의 지폐는 길이가 차이가 나며, 달러화의 경우에는 크기가 동일하다. 또한, 마그네틱의 경우에도, 지폐의 한 곳만의 마그네틱을 감지하기 위하여 지폐가 지나가는 양면에 각각 마그네틱 감지부를 설치하여 마그네틱을 감지하여야 하며, 또한, 마그네틱이 손상된 진폐의 경우에는 위폐로 잘못 판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폐가 사용된 기간이 길면 길수록 색감의 차이가 심하며, 마그네틱이 손상된 지폐도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기능(크기, 색감 차이, 마크네틱, UV인쇄 여부를 판단하여 위폐, 변조 지폐 및 이권종 지폐를 구별하는 방법) 등은 통합되어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고 있으나, 지폐의 사용기간에 비례하여 마그네틱 성분 및 칼라 등이 변화가 심하고, 위폐 기술의 진일보로 인하여 위폐를 진폐로 감지하고, 진폐를 위폐로 감지하는 문제점이 간혹 발생된다.
또한, 전술한 기술들을 채용한 지폐계수기의 경우 동일한 액면을 가진 지폐(이하, 동권종 지폐라 칭함)만을 계수하고 계수한 숫자를 카운트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 다른 액면을 가진 지폐(이하, 이권종 지폐라 칭함)가 동권종 지폐 사이에 끼워져 있는 경우에는 차액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외선 감지, 지폐의 크기, 마그네틱 감지 및 지폐의 특정 부분의 색 패턴을 감지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지폐의 진위 여부를 감지하고, 이권종으로 구성된 지폐의 경우에도 지폐의 액면을 합산하여 계수할 수 있도록 한 이권종 분류 합산 지폐계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권종 분류 합산 지폐 계수기를 개략적인 블록으로 표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권종을 분류 합산하여 계수하고, 위폐를 판별해 내는 단계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 : 권종 메모리 12 : 적외선 감지부
13 : 마그네틱 감지부 14 : 자외선 감지부
15 : 이미지 크기 감지부 16 : 아날로그 스위치
17 : 제1 A/D 변환부 18 : 표시부
19 : 키입력부 20 : 데이터버스
21 : 메인모터 22 : 스태커모터
23 : 포토커플러 24 : 스타트 감지부
25 : 앤드 감지부 26 : 엔코더 감지부
27 : 전원부 28 : 메모리
29 : 직렬 통신부 30 : PC
31 : 보조 표시부 32 : 중앙 제어부
33 : 합산 처리부 34 : 컬러 패턴 감지부
35 : 제2 A/D 변환부
따라서 본 발명은 지폐의 진위 여부를 감지하는 마그네틱 감지부와, 지폐의 진위 여부를 감지하는 자외선 감지부와, 급지되는 지폐의 갯수를 카운팅하고 위폐와 진폐 여부를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부 및 계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폐계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 감지부, 자외선 감지부, 적외선 감지부에서 측정된 자료와 비교하기 위한 자료로서의 다수의 지폐 종류의 지폐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가지고 있는 권종 메모리와, 적외선 감지부에 의해 계수되는 지폐의 이권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지폐의 가로 크기를 감지하는 이미지 크기 감지부와, 지폐의 특정 부분의 컬러 패턴을 감지하여 지폐의 특정 부분의 컬러 패턴을 평균 아날로그 컬러 패턴 정보로 데이터화하는 컬러 패턴 감지부와, 컬러 패턴 감지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입력된 아날로그 컬러 패턴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부와, 이권종 합산 모드시에 이미지 크기 감지부와 컬러 패턴 감지부의 감지결과를 가지고 계수되는 지폐를 권종별로 분리 계수하여 최종적으로 분리 계수된 권종의 액면을 합산처리하는 합산 처리부와, 지폐가 PDA 센서를 통과하지 않을 때 PDA 센서의 출력 신호 레벨을 이미지 스캔하여 기준레벨 이미지로서 저장하는 메모리와, 자외선 감지부, 마그네틱 감지부, 이미지 크기 감지부 및 적외선 감지부의 감지 결과와 컬러 패턴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감지결과를 종합하여 계수되는 지폐의 이권종 및 위폐 여부를 판단하고 합산 처리부로부터 지폐의 액면이 합산된 정보가 입력되면, 지폐의 액면을 합산한 액수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대하여 다음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권종 분류 합산 지폐 계수기를 개략적인 블록으로 표시한 블록도이다.
마그네틱 감지부(13)는 지폐 표면의 마그네틱을 감지한다. 이는 지폐계수기 내로 진입되는 지폐의 진위 여부를 감지하는 데에 이용된다.
자외선 감지부(14)는 지폐에 사용되는 인쇄 잉크의 자외선(UltraViolet) 인쇄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인 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해낸 위폐의 경우에는 UV 잉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지폐계수기 내로 진입되는 지폐의 위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적외선 감지부(12)는 급지되는 지폐의 갯수를 카운팅하고 지폐의 두께를 측정한다. 지폐에 사용되는 종이는 일반 용지와 두께 광택 등의 재질에 차이가 나기 때문에 위폐와 진폐 여부를 감지하는 주요 요소가 된다.
이미지 크기 감지부(15)는 지폐계수기의 지폐 급지측에 다수의 포토다이오드가 좌측 및 우측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는 PDA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계수되는 지폐의 이권종인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레벨 이미지 스캔 메모리 방식에 의해 지폐의 크기를 감지한다.
아날로그 스위치(16)는 마그네틱 감지부(13), 자외선 감지부(14), 적외선 감지부(12) 및 이미지 크기 감지부(15)에서 수집된 정보가 입력되는 순서에 따라 해당 아날로그 정보를 스위칭시켜 제1 A/D 변환부(17)로 전송하여 순차적으로 상기마그네틱 감지부(13), 상기 자외선 감지부(14), 상기 적외선 감지부(12) 및 상기 이미지 크기 감지부(15)에서 감지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하나의 제1 A/D 변환기(17)로 다수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A/D 변환부(1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6)를 통해 상기 마그네틱 감지부(13), 상기 자외선 감지부(14), 상기 적외선 감지부(12) 및 상기 이미지 크기 감지부(15)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정보 및 비교 정보 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권종 메모리(11)는 진폐와 위폐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국의 지폐자료를 가지고 있다. 예컨대, 미국의 달러화, 영국의 파운드화, 일본의 엔화, 중국의 위엔화, 유럽연합의 유로화 등의 각국 지폐자료 및 원화 등의 지폐자료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지폐자료는 가로 세로 크기, 두께, 색의 패턴, 마그네틱의 유무, 마그네틱의 위치 및 자외선 인쇄 여부, 자외선 인쇄의 강도 여부 및 기타 각국의 지폐의 진위를 구별하기 위한 특징적인 자료로서, 전술한 감지부들에서 측정된 자료와 비교하기 위한 자료로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가지고 있다.
컬러 패턴 감지부(34)는 지폐의 경유 지점의 하면 또는 상면의 일측에 배치되며, 빛을 발광시키는 백색광 다이오드에서 지폐의 특정 부분으로 발광되어 반사되는 빛을 지폐의 삼원색(블루, 레드, 그린)으로 이루어진 컬러 센서 다이오드에서 이 빛을 수광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수광된 빛을 분석하면, 지폐의 특정 부분의 컬러 패턴을 감지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컬러 패턴 신호를 생성한다.
제2 A/D 변환부(35)는 상기 컬러 패턴 감지부(34)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컬러 패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컬러 패턴 신호를 중앙 제어부(32)로 전송한다.
합산 처리부(33)는 이권종 합산 모드시에 이미지 크기 감지부(15)와 컬러 패턴 감지부(34)의 감지결과를 중앙 제어부(32)로부터 수신받고, 그에 따라 계수되는 지폐를 권종별로 분리 계수하여 최종적으로 분리 계수된 권종의 액면을 합산처리한다. 합산 처리된 액수 정보는 중앙 제어부(32)가 표시부(18) 및 보조 표시부(31)를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지폐의 액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메모리(28)는 지폐가 PDA 센서를 통과하지 않을 때 PDA 센서의 출력 신호 레벨을 이미지 스캔하여 기준레벨 이미지로서 저장한다. 즉, 최초 계수되는 지폐의 크기가 이미지 크기 감지부(15)에 의해 감지되면, 중앙 제어부(32)는 이미지 크기 감지부(15)에 의해 감지되어 메모리(28)에 저장된 지폐의 크기 정보와 권종 메모리(11)에 저장되어 있는 각 권종의 크기를 비교하여 현재 투입되는 지폐의 권종을 자동 설정하는 것이며, 이러한 지폐의 권종 설정은 사용자의 키입력부(19) 조작에 의해서도 구현 가능하다.
중앙 제어부(32)는 자외선 감지부(14), 마그네틱 감지부(13), 이미지 크기 감지부(15) 및 적외선 감지부(12)의 감지 결과와 컬러 패턴 감지부(34)에서 감지되는 감지결과를 종합하여 계수되는 지폐의 이권종 및 진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미지 크기 감지부(15)와 컬러 패턴 감지부(34)에서 입력된 지폐의 권종 정보 및 권종의 액면 정보를 합산 처리부(33)로 전송하여 합산된 정보를 받아 표시부(18) 및 보조 표시부(31)에 합산된 액면 정보, 즉 계수된 지폐의 총액을 디스플레이한다.또한, 중앙 제어부(32)는 포토커플러(23)가 지폐가 놓여진 것을 감지하면, 전원부(27)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메인모터(21)와 스태커모터(22)를 구동하도록 한다.
컬러 패턴 감지부(34)는 지폐가 경유하는 지점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일측에 배치되며, 지폐의 특정 부위로 빛을 발광하는 백색광 다이오드와 백색광 다이오드에서 발광되어 지폐의 특정 부분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지폐의 삼원색(블루, 레드, 그린)으로 이루어진 컬러 센서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지폐의 특정 부분의 컬러 패턴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지폐의 특정 부분의 컬러 패턴으로 진폐와 위폐를 분별하는 것은 일반인의 육안으로 거의 불가능하지만, 지폐의 일정부분의 색도를 본 발명에 따른 백색광 트랜지스터에서 발광하고 다시 반사되어 입력된 컬러 패턴을 데이터화하여 각 권종의 지폐의 진폐와 위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컬러 패턴의 주된 색을 판별하여 권종을 구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검지된 지폐의 세로 크기는 원화 지폐의 경우에는 각 지폐의 액면에 따라 가로 길이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해당 지폐의 권종을 판별할 수 있는 데이터가 된다. 그러나, 예컨대 미국 달러화의 경우에는 모든 지폐의 가로 및 세로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전술한 엔코더 감지부(26)에서 감지한 세로 길이와 함께 가로 길이도 만족시켜야만 진폐로 판별하게 되며, 권종 구분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달러화의 경우 두 조건 즉, 진폐의 범주에 들어가는 가로크기 및 세로크기 중에 하나라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위폐로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기술이 달러화, 엔화, 파운드화 및 유로화 등의 자료를 입력한 각각의 권종 메모리(11)의 구성에 따라 이 자료를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세계 각국의 유통화에 적용 가능함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각 기능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한묶음의 지폐를 지폐계수기의 계수대에 올려놓으면, 스타트 감지부(24)는 지폐가 로딩되었음을 감지하여 지폐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지폐 감지신호를 수신한 중앙 제어부(32)는 설정에 따라 운용자로부터 키입력부(19)를 통해 스타트 키가 입력된 경우, 또는 자동으로 인식하여 포토커플러(23)를 통해 메인모터(21)와 스태커모터(22)를 구동시킨다. 메인모터(21)와 스태커모터(22)는 지폐가 이송되고 적재되는 동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동력은 전원부(27)에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메인모터(21)와 스태커모터(22)가 동작하도록 한다.
이때 적외선 감지부(12)는 진입되는 지폐를 카운팅하고 지폐의 두께를 측정하여 측정된 정보를 중앙 제어부(32)로 전송한다, 엔코더 감지부(26)는 지폐의 세로 길이를 검지한다. 예컨대, 우리 나라의 지폐, 즉 원화는 세로의 길이가 모든 권종이 일정하다. 즉 원화의 경우에 세로 길이가 원화의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위폐임을 의미하며, 세로 길이를 측정하여서는 권종을 구별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검지된 정보는 중앙 제어부(32)로 전송되고 중앙 제어부(32)로 하여금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검지된 지폐의 세로 크기는 동일하다. 그러나, 원화 지폐의 경우에는 각 지폐의 액면에 따라 가로 길이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해당 지폐의 권종을판별할 수 있는 데이터가 된다. 그러나, 예컨대 미국 달러화의 경우에는 모든 지폐의 가로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세로 길이와 가로길이도 달러의 조건에 맞아야만 진폐로 판단하게 되며, 두 조건 즉, 지폐의 가로크기 및 세로크기 중에 하나라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위폐로 판별하게 된다.
중앙 제어부(32)는 자외선 감지부(14), 마그네틱 감지부(13) 및 컬러 패턴 감지부(34)로부터 지폐의 자외선 검출 여부 및 자외선의 농도 정보, 마그네틱의 검출 여부 및 컬러 패턴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종합하여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지폐가 위폐로 판단되면, 해당 지폐가 스택되는 장소 이외의 장소 또는 지폐가 스택되는 곳으로 이송하고, 에러 메시지, 예컨대 부저음을 울려 해당 지폐가 위폐임을 알린다. 또한, 데이터버스(20)를 통해 표시부(18)에 해당 지폐가 위폐임을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알리고, 보조 표시부(31)측에도 해당 지폐가 위폐임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미지 크기 감지부(15) 내의 PDA 센서는 지폐계수기의 지폐 급지측에 다수의 포토다이오드가 좌측 및 우측으로 배열 설치되어 계수되는 지폐들의 가로 크기를 검지하고, 컬러 패턴 감지부는 색도 이미지 패턴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검출된 데이터는 중앙 제어부(32)로 전송되고 중앙 제어부(32)는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단한다.
아무리 정교한 위폐라 할지라도, 가장 미묘하면서도 가장 진폐를 모방하기 힘든 것이 컬러 패턴이다. 이와 같은 컬러 패턴은 일반인의 육안으로는 거의 분별이 불가능하지만, 지폐의 일정부분의 색도를 본 발명에 따른 백색광 다이오드에서발광하고 다시 반사되어 입력된 컬러 패턴을 데이터화하여 각 권종의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중앙 제어부(32)가 판단하여 위폐가 아닌 경우면, 중앙 제어부(32)는 엔코더 감지부(26) 및 이미지 크기 감지부(15)에서 감지하여 메모리(28)에 저장한 지폐의 크기 정보와 권종 메모리(11)에 저장되어 있는 각 권종의 크기를 비교하여 현재 투입되는 지폐의 권종을 자동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키입력부(19) 조작에 의해서 지폐의 권종을 설정한다. 즉, 이와 같은 권종의 설정은 자동으로 인식하여 계수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키입력부(19)의 키조작에 의하여 수동으로 계수된 지폐의 갯수만을 단순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2)의 이권종 여부 판단 정보들은 RS-232c, USB, IEEE 1394와 같은 직렬 통신부(29)를 통해 PC(30)로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고, 또한 보조 표시부(31)를 통해 경보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권종 및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지폐의 마지막 부분을 감지하는 앤드 감지부(26)에서 이를 감지할 때까지 수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권종을 분류 합산하여 계수하고, 위폐를 판별해내는 단계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일정량의 지폐를 계수대에 올려놓으면, 스타트 감지부(24)가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한다(단계 202). 감지신호에 의해 중앙 제어부(32)가 포토커플러(23)를 통해 메인모터(21)와 스태커모터(22)를 구동시켜 지폐가 빠른 속도로 진입되도록 한다(단계 204). 이때 상기 적외선 감지부(12)는 진입되는 지폐를 카운팅하고 지폐의 두께를 측정하여 측정된 정보를 중앙 제어부(32)로 전송한다(단계 206), 엔코더 감지부(26)는 지폐의 세로 길이를 검지한다(단계 208).
우리 나라의 지폐, 즉 원화는 세로의 길이는 일정하다. 즉 원화의 경우에 세로 길이가 원화의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위폐임을 의미한다. 즉, 지폐의 세로크기 정보 및 지폐의 두께 정보가 중앙 제어부(32)로 전송되면, 중앙 제어부(32)는 측정한 지폐의 세로 길이 정보 및 지폐의 두께를 종합하여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10). 이와 같은 지폐의 세로크기 정보는 원화 지폐인 경우에는 동일한 크기를 갖기 때문에 권종에 상관없이 동일한 값을 갖는다. 따라서, 판단 결과 진폐의 크기 범위에 들지 않는 것을 위폐로 판단하여 다음 단계로 진행하며, 지폐의 두께 정보도 마찬가지로 지폐의 두께에 설정되어 있는 재질의 종이가 아니면, 위폐라고 판단한다.
상기 단계 210에서의 판단 결과, 해당 지폐가 위폐로 판단되면, 해당 진폐가 스택되는 장소 이외의 장소 또는 진폐가 스택되는 장소로 이송하고(단계 212), 에러음, 예컨대 부저음을 울려 해당 지폐가 위폐임을 알린다(단계 214). 또한, 데이터버스(20)를 통해 표시부(18)에 해당 지폐가 위폐임을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알린다(단계 216).
단계 210에서의 판단 결과, 해당 지폐가 진폐로 판단되면, 이미지 크기 감지부(15)는 지폐들의 가로 크기를 검지하고 검지된 데이터를 중앙 제어부(32)로 전송한다(단계 218).
마그네틱 감지부(13)는 마그네틱 처리된 지폐의 마그네틱 처리 여부를 검지한다(단계 220). 지폐의 마그네틱 처리 여부는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사용된다.
자외선 감지부(14)는 자외선 처리된 지폐의 자외선 처리 여부를 검지한다(단계 222). 지폐의 자외선 처리 여부는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데에 사용된다.
컬러 패턴 감지부(34)는 자외선 감지부(14)에서 감지한 감지 데이터와 비교하여 컬러 패턴을 검지하고 이로서 위폐를 판별한다(단계 224). 즉, 아무리 정교한 위폐라 할지라도, 가장 미묘하면서도 가장 진폐를 모방하기 힘든 것이 컬러 패턴이다.
전술한 단계 220 내지 224에서 검출한 지폐의 자외선의 검출 여부 및 자외선의 농도 정보, 및 컬러 패턴의 데이터 정보, 마그네틱 정보 등을 중앙 제어부(32)로 전송함으로써, 중앙 제어부(32)로 하여금 입력된 지폐의 위폐 여부를 판별하도록 한다(단계 226).
단계 226에서의 판단 결과, 진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계 212로 진행하여 단계 212 내지 단계 216을 실행한다.
단계 226에서의 판단 결과, 진폐로 판단되면, 운용자가 키입력부를 통해 권종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합산할 것인지 아니면 권종설정이 된 상태에서 카운트만을 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28).
단계 228에서의 판단결과, 권종 설정이 된 경우면 지폐의 갯수를 카운트한다(단계 230). 카운트가 완료되면, 카운트된 갯수 또는 설정 권종에 카운트된 갯수를 곱한값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232). 즉, 만원권으로 권종이 설정되고 10장이 카운트되었다면, 100,000원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228에서의 판단결과, 권종 설정이 않된 경우면, 권종 메모리(11)에 입력된 각 지폐의 정보와 각각의 마그네틱 감지부(13), 자외선 감지부(14), 이미지 크기 감지부(15), 적외선 감지부(12) 및 엔코더 감지부(26)에서 측정되어 메모리(28)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권종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234)
단계 234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권종에 포함되지 않는 권종의 경우에는 단계 212로 진행하여 단계 212 내지 단계 216을 수행한다. 단계 234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권종에 포함되는 권종을 제1 권종 내지 제9 권종까지의 권종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액면을 설정하여 지폐의 권종별로 카운트한다(단계 236a, 단계 236b, 단계 236c). 권종의 분류는 단순히 이미지 크기에 따라 분류할 수 있지만, 컬러 패턴 검지 결과로도 지폐의 권종을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류된 권종별로 지폐의 갯수를 카운트한다.
단계 236에서 설정된 권종의 구분에 따른 액면을 합산하고(단계 238), 합산된 액수를 표시부(18) 및 보조 표시부(31)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240).
이때,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고 권종을 구분하는 것은 각각의 지폐 정보(각국의 지폐 정보)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원화 지폐 뿐만 아니라, 달러화 등의 각국의 지폐에 적용 가능함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되던 마그네틱 감지부, 자외선 감지부 등의 감지 결과와 크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지폐의 크기정보 를 종합하여 계수되는 지폐의 이권종 및 위폐 여부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또는 여러 권종의 지폐를 투입할 때 각 권종의 액면을 합산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이권종 및 위폐 판별 기능과 이권종 지폐의 합산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지폐의 진위 여부를 감지하는 마그네틱 감지부(13)와, 지폐의 진위 여부를 감지하는 자외선 감지부(14)와, 급지되는 지폐의 갯수를 카운팅하고 위폐와 진폐 여부를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부(12) 및 계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폐계수기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감지부(13), 상기 자외선 감지부(14) 및 상기 적외선 감지부(12)에서 측정된 자료와 비교하기 위한 자료로서의 다수의 지폐 종류의 지폐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가지고 있는 권종 메모리(11)와;
    상기 적외선 감지부(12)에 의해 계수되는 지폐의 이권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지폐의 가로 크기를 감지하는 이미지 크기 감지부(15)와;
    상기 지폐의 특정 부분의 컬러 패턴을 감지하여 상기 지폐의 특정 부분의 컬러 패턴을 평균 아날로그 컬러 패턴 정보로 데이터화하여 지폐의 진위를 구별하고 권종을 구별하는 지폐의 특정 부분에 대한 컬러 패턴 감지부(34)와;
    상기 컬러 패턴 감지부(34)로부터 연속적으로 입력된 아날로그 컬러 패턴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부(35)와;
    이권종 합산 모드시에 상기 이미지 크기 감지부(15)와 상기 컬러 패턴 감지부(34)의 감지결과를 가지고 계수되는 지폐를 권종별로 분리 계수하여 최종적으로 분리 계수된 권종의 액면을 합산처리하는 합산 처리부(33)와;
    지폐가 상기 이미지 크기 감지부(15)를 통과하지 않을 때 상기 이미지 크기감지부(15)의 출력 신호 레벨을 이미지 스캔하여 기준레벨 이미지로서 저장하는 메모리(28)와;
    자외선 감지부(14), 마그네틱 감지부(13), 이미지 크기 감지부(15) 및 적외선 감지부(12)의 감지 결과와 상기 컬러 패턴 감지부(34)에서 감지되는 감지결과를 종합하여 계수되는 지폐의 이권종 및 위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합산 처리부(33)로부터 지폐의 액면이 합산된 정보가 입력되면, 지폐의 액면을 합산한 액수를 표시부(18)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중앙 제어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위폐 판별 기능과 이권종 합산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
  2. 지폐의 진위 여부를 감지하는 마그네틱 감지부(13)와, 지폐의 진위 여부를 감지하는 자외선 감지부(14)와, 급지되는 지폐의 갯수를 카운팅하고 위폐와 진폐 여부를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부(12) 및 계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폐계수기의 위폐 판별 및 이권종을 합산하여 계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폐를 로딩시키면, 상기 적외선 감지부(12)에서 감지한 지폐의 두께 정보와 엔코더 감지부(26)에서 감지한 지폐의 세로 길이 정보를 가지고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 제어부(32)는 측정한 지폐의 세로 길이 정보 및 지폐의 두께를 종합하여 상기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단계와;
    상기 제1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해당 지폐가 위폐로 판단되면, 위폐로 판단된 지폐를 해당 진폐가 스택되는 장소 이외의 장소 또는 진폐가 스택되는 장소로 이송하고 부저음을 울려 해당 지폐가 위폐임을 알리고, 문자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18)에 디스플레이하는 알림 단계와;
    상기 제1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지폐가 진폐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크기 감지부(15)는 지폐들의 가로 크기를 검지하고, 상기 마그네틱 감지부(13)는 상기 지폐의 마그네틱 처리 여부를 검지하며, 상기 자외선 감지부(14)는 상기 지폐의 자외선 처리 여부를 검지하고, 컬러 패턴을 검지하는 컬러 패턴 감지부(34)는 상기 지폐의 컬러 패턴을 검지하는 검지 단계와;
    상기 검지 단계의 자료를 가지고 지폐의 위폐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단계와;
    상기 제2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지폐가 진폐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크기 감지부(15)에서 측정되어 메모리(28)에 저장된 상기 지폐의 가로 크기 정보 및 검지 단계에서 측정되어 메모리(28)에 저장된 정보와 권종 메모리(11)에 입력된 각 지폐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지폐가 기설정된 권종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 단계와;
    상기 제3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권종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권종을 분류하고 각각의 액면을 권종별로 액면을 합산하여 합산된 액수를 표시부(18)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의 위폐 판별 및 이권종 합산 방법.
KR1020030048836A 2003-07-16 2003-07-16 위폐 판별 기능과 이권종 합산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 및그 방법 KR20050009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836A KR20050009503A (ko) 2003-07-16 2003-07-16 위폐 판별 기능과 이권종 합산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836A KR20050009503A (ko) 2003-07-16 2003-07-16 위폐 판별 기능과 이권종 합산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 및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140U Division KR200328153Y1 (ko) 2003-07-16 2003-07-16 위폐 판별 기능과 이권종 합산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503A true KR20050009503A (ko) 2005-01-25

Family

ID=3722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836A KR20050009503A (ko) 2003-07-16 2003-07-16 위폐 판별 기능과 이권종 합산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9503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835B1 (ko) * 2005-02-25 2006-06-12 씨케이테크놀로지 (주) 지폐 계수기의 계수 방법
KR100603184B1 (ko) * 2004-05-21 2006-08-11 노희옥 자외선센서를 이용한 이권종 및 위폐감별 지폐계수 분류장치
KR100718672B1 (ko) * 2007-02-06 2007-05-15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혼합지폐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수방법
KR100774491B1 (ko) * 2005-07-14 2007-11-08 세미테크 주식회사 신분증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WO2008140275A1 (en) * 2007-05-15 2008-11-20 Lg N-Sys Inc. Apparatus for media recognition and method for media kind distinction with the same
KR100879611B1 (ko) * 2007-05-15 2009-01-21 엘지엔시스(주) 지폐판독장치 및 이의 지폐판독방법
KR100923082B1 (ko) * 2007-12-21 2009-10-2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의 권종 감별 장치 및 방법
KR101140699B1 (ko) * 2010-06-03 2012-05-03 한국조폐공사 디지털 포렌직 기술을 이용한 보안 인쇄물 위조식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4095B1 (ko) * 2011-08-09 2013-04-12 주식회사 씨텍 화폐처리기
KR101385358B1 (ko) * 2007-12-07 2014-04-1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인식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의 자동화기기
KR101387875B1 (ko) * 2007-05-14 2014-04-2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인식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매체 인입방향 추정방법
KR101387858B1 (ko) * 2007-05-15 2014-04-2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인식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매체 인입방향 추정방법
CN105096446A (zh) * 2015-07-20 2015-11-25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折角钞光变油墨鉴伪识别的方法及系统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184B1 (ko) * 2004-05-21 2006-08-11 노희옥 자외선센서를 이용한 이권종 및 위폐감별 지폐계수 분류장치
KR100587835B1 (ko) * 2005-02-25 2006-06-12 씨케이테크놀로지 (주) 지폐 계수기의 계수 방법
KR100774491B1 (ko) * 2005-07-14 2007-11-08 세미테크 주식회사 신분증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0718672B1 (ko) * 2007-02-06 2007-05-15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혼합지폐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수방법
KR101387875B1 (ko) * 2007-05-14 2014-04-2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인식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매체 인입방향 추정방법
US8548220B2 (en) 2007-05-15 2013-10-01 LG CNS Co. Ltd. Apparatus for media recognition and method for media kind distinction with the same
KR100879611B1 (ko) * 2007-05-15 2009-01-21 엘지엔시스(주) 지폐판독장치 및 이의 지폐판독방법
WO2008140275A1 (en) * 2007-05-15 2008-11-20 Lg N-Sys Inc. Apparatus for media recognition and method for media kind distinction with the same
KR101387858B1 (ko) * 2007-05-15 2014-04-2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인식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매체 인입방향 추정방법
KR101385358B1 (ko) * 2007-12-07 2014-04-1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인식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의 자동화기기
KR100923082B1 (ko) * 2007-12-21 2009-10-2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의 권종 감별 장치 및 방법
KR101140699B1 (ko) * 2010-06-03 2012-05-03 한국조폐공사 디지털 포렌직 기술을 이용한 보안 인쇄물 위조식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4095B1 (ko) * 2011-08-09 2013-04-12 주식회사 씨텍 화폐처리기
CN105096446A (zh) * 2015-07-20 2015-11-25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折角钞光变油墨鉴伪识别的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9408B2 (ja) 紙葉類識別方法および装置
EP08079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S paper currency
KR101792690B1 (ko) 지폐 처리 장치
KR100661440B1 (ko) 종이류 특징 검출 장치 및 종이류 특징 검출 방법
KR20050009503A (ko) 위폐 판별 기능과 이권종 합산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 및그 방법
KR200394238Y1 (ko) 지폐 계수 겸용 고속 스캐너
KR20010009029A (ko) 지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101992387B1 (ko) 계수기용 통합센서모듈 구조
KR200328153Y1 (ko) 위폐 판별 기능과 이권종 합산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
KR100812254B1 (ko) 지폐 감별기
KR100613423B1 (ko) 지폐 계수기
KR100813144B1 (ko) 위조지폐 감별 지폐계수기
KR200394059Y1 (ko) 지폐 계수기
KR20000036310A (ko) 미국달러의 위조여부 판별장치 및 방법
KR100603184B1 (ko) 자외선센서를 이용한 이권종 및 위폐감별 지폐계수 분류장치
KR100481680B1 (ko) 이권종 및 위폐판별기능과 이권종 지폐의 합산기능을 갖는지폐계수기
JP2000149086A (ja) 紙幣の計数・識別装置
KR100857880B1 (ko) 자성잉크 유무를 검출하는 지폐 계수장치
KR100638574B1 (ko) 위폐감별기능을 갖는 지폐 계수장치
JPS62206435A (ja) 紙葉類の鑑別装置
KR101884866B1 (ko) 이권종 분류 및 위폐 식별 계수기
KR100718672B1 (ko) 혼합지폐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수방법
EP3291186B1 (en) A bank note handling machine
KR20040090056A (ko) Ccd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이권종 분류 및 위폐 식별계수기
KR20190120024A (ko) 지폐 계수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