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704Y1 -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704Y1
KR200490704Y1 KR2020180006197U KR20180006197U KR200490704Y1 KR 200490704 Y1 KR200490704 Y1 KR 200490704Y1 KR 2020180006197 U KR2020180006197 U KR 2020180006197U KR 20180006197 U KR20180006197 U KR 20180006197U KR 200490704 Y1 KR200490704 Y1 KR 200490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air
vertical portion
elastic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6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화식
박제모
Original Assignee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80006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7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7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5/00Other dwell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세워진 장파이프부와 후방에 세워진 단파이프부의 상부가 크랭크 형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측면파이프; 상기 장파이프부와 단파이프부의 일정 높이 측면에 각각 설치된 탄성돌기; L자형으로 절곡되어 세로부분과 수평부분으로 구성되고 세로부분이 상기 장파이프부의 외부에 삽입되며, 세로부분의 측면에는 상기 장파이프부의 탄성돌기가 삽입고정되어 높이조절이 되도록 둘 이상의 돌기고정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전방 받침프레임; L자형으로 절곡되어 세로부분과 수평부분으로 구성되고 세로부분이 상기 단파이프부의 외부에 삽입되며, 세로부분의 측면에 상기 단파이프부의 탄성돌기가 삽입고정되도록 돌기고정홀이 형성되고, 수평부분의 측면에 둘 이상의 돌기고정홀이 형성된 한 쌍의 후방 받침프레임; 양측에 탄성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후방 받침프레임의 수평부분의 내부에 각각 삽입된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의 탄성돌기가 상기 후방 받침프레임의 수평부분의 돌기고정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되어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측면파이프의 사이 너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A stand up assisting apparatus for the old and sick person}
본 발명은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앉아 있는 노약자가 바닥에서 일어서고자 할 때 노약자의 주변에 계단식 손잡이가 구비된 기립 보조장치를 설치하여 노약자가 계단식 손잡이를 잡고 혼자 힘으로 일어서도록 하는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기능적인 활동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일어서는 동작은 일상생활활동에서 수행되는 반복적인 행동(걷기, 돌기, 계단 오르기 등)의 가장 기본적인 전제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건강한 성인의 경우 하루에 약 60(±22)회 정도 기립동작을 무의식 중에 수행한다.
정상인은 기립동작을 쉽고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으나, 근골격계에 문제가 있는 노인과 심혈관 질환, 뇌졸중 편마비 등으로 움직임의 제한을 받는 환자 등의 노약자는 타인의 보조 없이 혼자서 일어서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쉽지 않아 삶의 질이 급격히 악화된다. 노약자가 기립동작을 할 때 신체의 무게중심이 안정된 위치에서 불안정한 위치로 급히 이동하게 되므로 노약자는 일어서는 동작 중에 넘어져서 다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93416호 노약자용 기립 보조의자가 개발되었다.
상기 노약자용 기립 보조의자는 기립동작을 할 때 좌판 하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를 동작시켜 좌판을 기울임으로써 사용자가 기립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는 노약자가 특별한 장치가 설치된 의자에 앉아 있을 때에만 도움을 받도록 구성된 것으로, 방바닥이나 마루바닥에서 생활하며 의자나 침대를 사용하는 좌식생활에 익숙하지 않은 대부분의 노약자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는 의자이고, 기립 보조의자의 구조상 다양한 체격의 노약자들이 사용하기 어렵고, 무게가 무거워서 근골이 약한 노약자가 혼자서 사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피가 크고 접는 기능이 없어 보관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9341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방바닥 생활을 하는 근골격계에 문제가 있는 노인과 심혈관 질환, 뇌졸중 편마비 등으로 타인의 보조가 없으면 기립이 어려운 대부분의 노약자들이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 혼자서 일어서는 것을 보조하고,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높이 및 너비의 조절이 가능하고, 쉽게 접어 보관이 편리한 기립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였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는, 전방에 세워진 장파이프부와 후방에 세워진 단파이프부의 상부가 크랭크 형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측면파이프(100); 상기 장파이프부와 단파이프부의 일정 높이 측면에 각각 설치된 탄성돌기(123); L자형으로 절곡되어 세로부분과 수평부분으로 구성되고 세로부분이 상기 장파이프부의 외부에 삽입되며, 세로부분의 측면에는 상기 장파이프부의 탄성돌기(123)가 삽입고정되어 높이조절이 되도록 둘 이상의 돌기고정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전방 받침프레임(110); L자형으로 절곡되어 세로부분과 수평부분으로 구성되고 세로부분이 상기 단파이프부의 외부에 삽입되며, 세로부분의 측면에 상기 단파이프부의 탄성돌기(123)가 삽입고정되도록 돌기고정홀(125)이 형성되고, 수평부분의 측면에 둘 이상의 돌기고정홀이 형성된 한 쌍의 후방 받침프레임(120); 양측에 탄성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후방 받침프레임(120)의 수평부분의 내부에 각각 삽입된 연결대(130); 및 상기 연결대(130)의 탄성돌기가 상기 후방 받침프레임(120)의 수평부분의 돌기고정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되어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측면파이프(100)의 사이 너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를 이용하면 노약자나 환자들이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 혼자서 방바닥 등에서 일어설 수 있고, 장치로서 높이 및 너비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체격의 노약자들이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가볍고 구조가 단순하여 노약자가 혼자서 사용하기 쉬우며, 분리와 재조립이 용이하여 보관이 편리하고, 차량 등에 적재하여 휴대하기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접은 형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분리 후 접은 상태의 설명도.
이하에서는 상기에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접은 형태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분리 후 접은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측면파이프(100)는 하나의 파이프가 절곡되어 전방에 수직으로 세워진 장파이프부와 후방에 수직으로 세워진 단파이프부 및 장파이프부와 단파이프부의 상부에 크랭크 형상으로 상부손잡이부와 하부손잡이부가 연결된 것으로, 사용자의 양측면에 하나씩 세워지는 구성이다.
측면파이프의 후방에 있는 하부손잡이부는 상부손잡이부보다 낮기 때문에 사용자는 앉은 상태에서 기립보조장치를 몸 뒤로부터 앞으로 밀어 넣어 위치를 잡은 후에 후방의 하부손잡이부를 먼저 잡고 몸을 반쯤 일으킨 후 전방의 상부손잡이부를 잡고 일어서게 된다.
장파이프부와 단파이프부의 일정 높이 측면에는 탄성돌기(123)가 각각 설치된다. 탄성돌기는 후면에 설치된 지지판에 스프링이 삽입된 돌기가 파이프의 표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외측 파이프에 형성된 돌기고정홀에 돌기가 삽입되면 돌기가 삽입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돌기고정홀에 삽입고정된 탄성돌기는 외부에서 눌러주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뒤로 물러나 파이프를 돌리면 쉽게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전방 받침프레임(110)은 L자형으로 절곡되어 세로부분과 수평부분으로 구성되고, 세로부분이 장파이프부의 외부에 삽입되며, 세로부분 측면에는 돌기고정홀이 길이방향으로 둘 이상 형성된다. 장파이프부의 탄성돌기(123)가 전방 받침프레임(110)의 돌기고정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전방 받침프레임(11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전방 받침프레임은 사용자가 측면파이프(100)를 잡고 일어설 때 장파이프부를 지지하면서 사용자의 체중을 안정되게 넓게 측면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첨부한 도면에서는 받침프레임이 L자형으로 절곡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수평부분을 한번 더 절곡된 ㄷ자형 또는 십(十)자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방 받침프레임(120)도 L자형으로 절곡되어 세로부분과 수평부분으로 구성되고, 세로부분이 단파이프부 외부에 삽입된다. 후방 받침프레임의 세로부분 양측에 돌기고정홀(125)이 형성되어 단파이프부의 탄성돌기(123)가 삽입고정되고, 수평부분 측면에는 둘 이상의 돌기고정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연결대(130)는 양측에 탄성돌기가 설치된 파이프로서, 연결대의 양단부가 후방 받침프레임(120)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한 쌍의 후방 받침프레임(120)을 상호 연결한다. 연결대(130)의 탄성돌기가 후방 받침프레임(120)의 수평부분의 돌기고정홀 중 하나에 삽입고정되어 연장대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측면파이프(100) 사이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후방 받침프레임(120)은 사용자의 체중을 안쪽으로 분산시키며, 이를 바깥쪽으로 더 넓게 보강하기 위해 수평보강대(140)가 설치된다.
수평보강대(140)는 상기 한쌍의 후방 받침프레임의 수평부분 측면에 나란하게 각각 고정되는 파이프로서 상부에 돌기고정홀이 길이방향으로 둘 이상 형성된다. 수평보강대(140)의 내부에는 수평보강연장대(150)가 삽입되며, 수평보강연장대 단부의 상부에 탄성돌기가 형성된다. 수평보강연장대의 탄성돌기가 수평보강대(140)의 돌기고정홀 중 하나에 삽입고정되어 수평보강연장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필요 시 길게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파이프의 날카로운 단부에 의해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통 형태의 단부캡(160)이 전방 받침프레임(110), 후방 받침프레임(120) 및 수평보강연장대(15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단부캡은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측면파이프(100)를 잡고 일어설 때 미끄러지지 않고 편안하게 잡을 수 있도록 측면파이프의 손잡이부의 외주면에 손잡이봉(170)이 각각 결합된다. 손잡이봉은 실리콘, 스펀지, 고무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 후에 장치를 보관하기 쉽도록 형태를 바꿀 수 있다. 이를 위해 돌기고정홀이 전방 받침프레임(110)과 후방 받침프레임(120)의 반대측에도 형성되며, 전후방 받침프레임(120)을 돌려 반대측 돌기고정홀에 고정시키면 양측의 측면파이프(100)가 겹쳐져 크기가 줄어들어 보관과 휴대가 편리해지고, 사용시에는 전후방 받침프레임을 펼쳐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방법으로 연결대(130)에 삽입한 한 쪽 후방 받침프레임(120)을 뽑아 도 4와 같이 서로 겹쳐놓을 수도 있다. 이때, 전방 받침프레임(110)의 수평부분의 단부에 자석(180, 미도시)을 설치하여 양측 구성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붙어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노약자나 환자들이 혼자서 방바닥에서 일어서는 것을 돕는 장치로서 높이 및 너비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체격의 노약자들이 사용할 수 있고, 가볍고 구조가 단순하여 노약자가 혼자서 사용하기 쉬우며, 분리와 재조립이 용이하여 보관이 편리하고, 어디에서든지 펼쳐서 장치를 쉽게 사용할 수 있어 노약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다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측면파이프 110 : 전방 받침프레임
120 : 후방 받침프레임 123 : 탄성돌기
125 : 돌기고정홀 130 : 연결대
140 : 수평보강대 150 : 수평보강연장대
160 : 단부캡 170 : 손잡이봉
180 : 자석

Claims (4)

  1. 전방에 세워진 장파이프부와 후방에 세워진 단파이프부의 상부가 크랭크 형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측면파이프(100);
    상기 장파이프부와 단파이프부의 일정 높이 측면에 각각 설치된 탄성돌기(123);
    L자형으로 절곡되어 세로부분과 수평부분으로 구성되고 세로부분이 상기 장파이프부의 외부에 삽입되며, 세로부분의 측면에는 상기 장파이프부의 탄성돌기(123)가 삽입고정되어 높이조절이 되도록 둘 이상의 돌기고정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전방 받침프레임(110);
    L자형으로 절곡되어 세로부분과 수평부분으로 구성되고 세로부분이 상기 단파이프부의 외부에 삽입되며, 세로부분의 측면에 상기 단파이프부의 탄성돌기(123)가 삽입고정되도록 돌기고정홀(125)이 형성되고, 수평부분의 측면에 둘 이상의 돌기고정홀이 형성된 한 쌍의 후방 받침프레임(120); 및
    양측에 탄성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후방 받침프레임(120)의 수평부분의 내부에 각각 삽입된 연결대(130); 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대(130)의 탄성돌기가 상기 후방 받침프레임(120)의 수평부분의 돌기고정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되어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측면파이프(100)의 사이 너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후방 받침프레임(120)의 수평부분의 측면에 두개 이상의 돌기고정홀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수평보강대(140)와,
    상기 수평보강대(140)의 내부에 삽입되고, 주변에 탄성돌기가 설치된 수평보강연장대(150)가 더 포함되어,
    상기 수평보강연장대(150)의 탄성돌기가 상기 수평보강대(140)의 돌기고정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됨으로써 후방 받침프레임(120)을 보강하고, 상기 수평보강연장대(150)가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기립 보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받침프레임(110), 후방 받침프레임(120) 및 수평보강연장대(150)의 단부에 원통 형태의 단부캡(160)과 상기 측면파이프(100)의 손잡이부에 손잡이봉(170)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기립 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전방 받침프레임(110)의 각 단부에 자석(180)이 결합되어 기립 보조장치를 분해하여 겹쳐놓으면, 상기 한 쌍의 전방 받침프레임(110)이 서로 붙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기립 보조장치.
KR2020180006197U 2018-12-31 2018-12-31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 KR200490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6197U KR200490704Y1 (ko) 2018-12-31 2018-12-31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6197U KR200490704Y1 (ko) 2018-12-31 2018-12-31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704Y1 true KR200490704Y1 (ko) 2019-12-18

Family

ID=69022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6197U KR200490704Y1 (ko) 2018-12-31 2018-12-31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7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8916A (en) * 2020-09-17 2022-03-23 Ann Buckingham Christine Toilet Fr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771A (ja) * 2000-08-29 2002-03-05 Nippon Kosan Kk 歩行補助具
WO2011143333A2 (en) * 2010-05-12 2011-11-17 Stander Inc. Collapsible mobility assistance device
KR20120072154A (ko) * 2010-12-23 2012-07-03 박미진 충격흡수가 가능한 접이식 보행차
KR20180093416A (ko) 2017-02-13 2018-08-22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용 기립 보조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771A (ja) * 2000-08-29 2002-03-05 Nippon Kosan Kk 歩行補助具
WO2011143333A2 (en) * 2010-05-12 2011-11-17 Stander Inc. Collapsible mobility assistance device
KR20120072154A (ko) * 2010-12-23 2012-07-03 박미진 충격흡수가 가능한 접이식 보행차
KR20180093416A (ko) 2017-02-13 2018-08-22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용 기립 보조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8916A (en) * 2020-09-17 2022-03-23 Ann Buckingham Christine Toilet Frame
US11786087B2 (en) 2020-09-17 2023-10-17 Christine Anne Buckingham Toilet fr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7888B2 (ja) 歩行器用の便座
JP5036369B2 (ja) 介護補助装置
US8708363B1 (en) Folding walker
US20130319488A1 (en) Folding walker with height adjustable crutches
US8714171B1 (en) Walker handrail extension
KR101061563B1 (ko) 보행 보조기
EP3541245B1 (en) Portable frame and chair
US5499645A (en) Dual stair step walker with assist bar
US20100243011A1 (en) Walking aid combined with a toilet seat
US10016324B1 (en) Walker
US10080700B1 (en) Walker harness
KR101839501B1 (ko) 보행 교정기
CN105853156A (zh) 康复助行器
KR20120062049A (ko) 착석 및 기립의 보조가 가능한 보행보조기구
KR200490704Y1 (ko)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
US4307715A (en) Ambulatory aid
KR101966342B1 (ko)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KR20200046592A (ko) 노약자 또는 환자용 보행 보조기구
US20220331190A1 (en) Walker with a foldable foot rest or collapsible step
KR102075321B1 (ko) 접이식 보행보조기
KR102184228B1 (ko) 능동 및 수동 겸용 기립 보조 장치
KR200362325Y1 (ko)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JPH1128220A (ja) 上体支持装置
CN209899991U (zh) 一种辅助病人/老人室外走动的行步车
KR20140018020A (ko) 보행보조기를 구비한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