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334Y1 - Moving Cart - Google Patents

Moving C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334Y1
KR200489334Y1 KR2020190000023U KR20190000023U KR200489334Y1 KR 200489334 Y1 KR200489334 Y1 KR 200489334Y1 KR 2020190000023 U KR2020190000023 U KR 2020190000023U KR 20190000023 U KR20190000023 U KR 20190000023U KR 200489334 Y1 KR200489334 Y1 KR 200489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upport
support
plate
vertical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0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이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호 filed Critical 이민호
Priority to KR2020190000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33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33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10Heavy object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44Clamping or supporting circumferent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러 개의 박스, 냉장고, 컴프레서 또는 열교환기 등 부피가 큰 중량물을 적은 인원의 작업자가 손쉽게 운반할 수 있게 하는 무동력식 이동대차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물품의 저면을 받치기 위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그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끝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손으로 잡고서 상기 물품의 저면을 받치고 있는 받침판을 뒤로 젖힐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 상기 수직지지대가 경사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직지지대에 설치되는 경사받침대; 상기 경사받침대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wered moving truck that allows a small number of workers to easily carry bulky heavy items such as several boxes, refrigerators, compressors or heat exchangers. The composition is;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article; A vertical support extending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pl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A grip portion which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vertical support and grips the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article by hand, An inclined pedestal installed on the vertical suppor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pport plate so that the vertical support can be supported in an inclined state; And a wheel installed on the inclined pedestal.

Description

이동대차{Moving Cart}Moving Cart}

본 고안은 이동대차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여러 개의 박스, 냉장고, 컴프레서 또는 열교환기 등 부피가 큰 중량물을 적은 인원의 작업자가 손쉽게 운반할 수 있게 하는 무동력식 이동대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tru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motorized truck that allows a small number of operators to easily carry bulky heavy items such as a plurality of boxes, refrigerators, compressors or heat exchangers.

여러 개의 박스, 냉장고, 열교환기 등 부피가 큰 중량물을 근거리에서 이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동대차 또는 카트가 널리 이용된다.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이동대차가 보급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이동대차는 물건의 밑면을 받치기 위한 것으로서 바퀴가 부착되는 받침판과, 물건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끝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수직지지대가 엘(L)자 형태로 연결된 구성을 가진다. 사용자는 물건 밑에 받침판을 끼워넣은 다음 기울임으로써 무게중심이 바퀴의 축 위에 올라오도록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육중한 물건을 옮길 수 있게 된다. Mobile carts or carts are widely used as a means for moving bulky heavy objects such as several boxes, refrigerators, heat exchangers, etc. in close proximit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 to be transported, various types of mobile trucks are available. In general, a widely used moving car is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an object, a support plate to which the wheels are attached, and a vertical support having a handle at the end for supporting the side of the article, I have. The user is able to move massive objects with little force by placing the base plate under the item and tilting it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rises above the axis of the wheel.

부피와 중량이 어느 정도 컨트롤 가능하다면 위에 설명된 이동대차를 이용하여 얼마든지 물건을 근거리 사이에서 운반할 수가 있다. 그러나 부피가 중량이 콘트롤하기에 부담스러울 정도를 넘어서게 되면, 여러 작업자가 협동하여 일을 하여야 하며 작업 자체도 위험요소가 있다. If the volume and weight are controllable to some extent, the object can be transported as close to the object as possible using the moving bogie described above. However, if the volume exceeds the level of weight control, multiple workers must work together and the work itself is also a risk factor.

그리고 종래의 대차는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을 직립한 상태로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운반 경로상에 물품보다 높이가 낮은 장소(천장 또는 게이트)를 통과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운반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가로로 눕히는 경우에는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좁은 곳을 통과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Conventional bogies generally transport the article to be transported in an upright state, which is very difficult to transport if it is required to pass through a place (ceiling or gate) that is lower in height than the article on the transport path.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pass through a narrow place because the width is widened when it is laid down horizontally.

그리고 높이가 높은 물품은 무게중심이 위쪽에 있기 때문에 운반 과정에서 전도의 위험이 컸다. 따라서 여러명의 작업인원이 협력하여 운반하여야 했다. And, the height of the item is at the top of the center of gravity, so there was a great risk of falling during the transportation process. Therefore, several workers had to cooperate and carry it.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0-2018-0058378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10-2018-0058378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21904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21904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중량물을 편리하게 근거리 사이에서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이동대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무게중심을 넓은 면적으로 분포시킴으로써 사용상 안전성을 높이며 적은 인원으로도 큰 물품을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이동대차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ing vehicle that allows heavy objects to be conveniently transported in close proximity. More 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arriage which is capable of transporting a large article with a small number of persons by increasing the safety in use by distributing the center of gravity over a wide area.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높이가 있는 물품을 운반시 무게중심을 낮춤으로써 전도의 위험을 줄이고 운반시 전고를 낮춤으로써 낮은 지역을 통과하기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risk of conduction by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when transporting high-height items and to facilitate passage through the lower area by lowering the overall height during transportation.

위와 같은 목적은, 물품의 저면을 받치기 위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그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끝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손으로 잡고서 상기 물품의 저면을 받치고 있는 받침판을 뒤로 젖힐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 상기 수직지지대가 경사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직지지대에 설치되는 경사받침대; 상기 경사받침대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대차에 의해 달성된다. The above-mentioned object is achieved by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an article; A vertical support extending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pl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A grip portion which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vertical support and grips the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article by hand, An inclined pedestal installed on the vertical suppor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pport plate so that the vertical support can be supported in an inclined state; And a wheel installed on the inclined pedestal.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경사받침대는,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pedestal includes:

일단이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향해 연장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타단에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측에 연결되는 경사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And a slant fram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at the other end of the bottom frame.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수직지지대의 단부에서 상기 수직지지대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연장대; 상기 제1연장대의 단부에서 상기 제1연장대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연장대; 상기 제2연장대 상에 바(bar) 형태로 설치되는 손잡이봉;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ur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comprises a first extension extending at an end of the vertical support at an angle to the vertical support;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obliquely to the first extension at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And a handle bar installed in the form of a bar on the second extension bar.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직지지대에는 물건을 임시로 묶을 수 있는 밴드를 끼울 수 있는 밴드고리가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support may be provided with a band ring for inserting a band that temporarily binds the object.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물건의 저면을 받침판으로 받친 다음,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경사받침대에 설치된 바퀴가 땅에 닿을 때까지 기울이게 되면, 물건이 안정적으로 이동대차 위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이동대차를 이동시킴으로써 물건을 옮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부피와 중량이 큰 물건의 무게중심을 맞추기 위하여 노력하지 않고 편안하게 물건을 근거리 사이에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bottom of the objec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and the wheel provided on the inclined support is tilted using the handle to tilt the ground, the object is stably placed on the moving carriage. Therefore, in this state, the object can be moved by moving the moving truck using the hand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arry goods between close to each other easily and effortlessly in order to match the center of gravity of a bulky and heavy object.

본 고안에 의하면 높이가 물품을 운반함에 있어서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도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물품의 높이를 낮춘 상태에서 운반할 수 있어서 높이가 낮은 문을 통과할 수 있게 하며, 천장이 낮은 구간도 쉽게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 이동대차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lowered when the article is carried by the height. Therefore, the risk of falling can be greatly reduced, the goods can be transported in a lowered height, allowing passage through low-height doors, and a moving truck with the advantage of allowing easy passage through low ceiling sections do.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대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대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대차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대차의 일부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ing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moving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moving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side view of a moving tru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고, 이후에 도 4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Fir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nd then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받침판(10)은 물품(G)의 저면을 받치기 위한 것으로서 얇고 강한 금속판재로 되어 있을 수 있다. The support plate 10 is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cle G and may be made of a thin and strong metal plate.

수직지지대(20)가 받침판(10)의 일측에 그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직지지대(20)의 길이는 운반하고자 하는 주된 물품(G)의 높이에 준하여 결정된다. 받침판(10)과 수직지지대(20) 사이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아대가 설치될 수 있다. A vertical support 20 extends to one side of the receiving plate 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The length of the vertical support 2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main article G to be transport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vertical support (20), a rod for strength reinforcement can be provided.

수직지지대(20) 보다 높은 물품의 운반도 가능하지만 엇비슷한 것이 안정적일 것이다. 본 실시예상 수직지지대(20)의 길이는 작업자의 신장 정도로 설계된다. Transport of the article higher than the vertical support 20 is possible, but the stitches may be stable. The length of the vertical support 20 of this embodiment is designed to be the degree of extension of the operator.

수직지지대(20)는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한쌍의 수직바와, 이 수직바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지지대(20)의 하단에는 받침판(10)과 직각을 이루도록 판형상의 물품받이대(11)가 설치될 수 있다. 수직바에는 물품의 측면과 저촉시 물품을 보호하기 위한 쿠션 소재의 완충커버(21)가 설치될 수 있다. The vertical support 20 may include a pair of vertical bars spaced apart in parallel, and a connecting bar for maintaining a constant spacing between the vertical bars. A plate-shaped article receiving table 11 may b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20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receiving plate 10. The vertical bar may be provided with a cushioning cover 21 for protecting the article from the side of the article.

손잡이부(30)가 수직지지대(20)의 끝에 설치된다. 손잡이부(30)는 작업자가 양 손으로 잡고서 물품(G)의 저면을 받치고 있는 받침판(10)을 뒤로 젖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 handle 3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vertical support 20. The grip portion 30 allows the operator to grip the back side of the support plate 10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article G by holding it with both hands.

손잡이부(30)는 수직지지대(20)의 단부에서 수직지지대(20)에 대하여 소정 각도(M)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연장대(32)와, 제1연장대(32)의 단부에서 제1연장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N)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연장대(33)와, 제2연장대(33) 상에 바(bar)형태로 설치되는 손잡이봉(31)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30)는 받침판(10)과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큰 토크를 얻을 수 있게 하며 2단계로 꺾여 있음으로써 손으로 잡기에 편리하게 되어 있다. The handle 30 includes a first extension bar 32 extending obliquely at an angle M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upport 20 at the end of the vertical support 20 and a second extension bar 32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bar 32 A second extension bar 33 extending obliquely at a predetermined angle N relative to the first extension bar and a handle bar 31 installed in the form of a bar on the second extension bar 33 have. Since the handle 30 extend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upport plate 10, a large torque can be obtained and the handle 30 is folded in two stages.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지지대(20)에는 물건을 임시로 묶을 수 있는 밴드(B)를 끼울 수 있는 밴드고리(70)가 설치될 수 있다. 밴드고리(70)는 수직지지대(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support 20 can be provided with a band loop 70 for interposing a band B which can temporarily bind an object. The band rings 7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20, respectively.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받침판(10)의 상면(10a)에 올려놓은 물품(G)을 경사지게 눕힌 상태로 운반하도록 하는 경사받침대(40,60)에 있다. 경사받침대(40,60)는 수직지지대(20)가 경사진 상태로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받침판(1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직지지대(20)에 설치되는 프레임이다. 경사받침대(40,60)에는 바퀴(50)가 설치된다. 바퀴(50)는 일반 캐스터가 될 수 있으며 방향전환 및 멈춤기능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3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바퀴(50)는 4각구도로 4개가 설치된다.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lies in the inclined supports 40 and 60 for transporting the article G placed o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support plate 10 in an inclined manner. The inclined supports 40 and 60 are frames installed on the vertical support 2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pport plate 10 so that the vertical support 20 can be supported on the ground in a slanted state. A wheel 50 is mounted on the slant pedestals 40, 60. The wheel 50 may be a general castor and may have a turning and stop function, and more than two wheels may be installed. As shown, four wheels 50 are installed in a quadrilateral.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경사받침대(40,60)는 일단이 수직지지대(20)의 하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손잡이부(30)를 향해 연장되는 바닥프레임(40)과, 상기 바닥프레임(40)의 타단에서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상측에 연결되는 경사프레임(6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지지대(20), 바닥프레임(40) 및 경사프레임(60)은 측면에서 볼 경우 각각 직삼각형의 빗변, 밑변 및 높이와 같은 구도로 설치된다. 경사프레임(60)의 길이에 의해 수직지지대(20)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K)는 얼마든지 조정 가능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경사프레임(60)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고, 필요한 각 연결부위에는 힌지구조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pedestals 40 and 60 include a bottom frame 40 extending toward the handle 30 in a state wher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20, And an inclined frame 60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20 at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frame 60. The vertical support 20, the bottom frame 40, and the inclined frame 60 are each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such as a hypotenuse, a base, and a height of an equilateral triangl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angle K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20 and the ground surface due to the length of the inclined frame 60 will be adjustable as much as possi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oblique frame 60 can be adjusted in a stepwise manner, and a hinge structure may be provided at each necessary connection portion.

바닥프레임(40) 역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한쌍의 세로바와 이를 연결하는 가로바(41)로 구성된다. 바퀴(50)를 설치하기 위한 바퀴설치판(51)이 가로바(41)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될 수 있다. The bottom frame 40 also comprises a pair of longitudinal bars spaced apart in parallel and a transverse bar 41 connecting them. The wheel mounting plate 51 for installing the wheel 50 can be fixedly installed using the horizontal bar 41. [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이동대차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use state of the moving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20)를 화살표(A1) 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지면(E)에 놓여있는 물품(G)의 저부로 받침판(10)을 끼워넣는다. 필요에 따라 밴드로써 물품(G)을 밴드고리(70)에 묶는다. The support plate 10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article G placed on the paper surface E with the vertical support 20 sta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1 as shown in Fig. And binds the article G to the band loop 70 as a band if necessary.

이후 수직지지대의 하단인 피봇부(22)를 중심으로 하여 손잡이봉(31)을 잡고서, 도 2의 화살표(A2) 방향으로 수직지지대(20)를 젖힌다. 경사받침대(40,60)에 설치된 바퀴(50)가 지면(E)에 닿을 때까지 수직지지대(20)를 젖히면 도 2에서와 같이 물품(G)이 경사지게 누워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물품(G)을 원하는 지점으로 이끌고 가서 반대 과정을 통해 물품을 세워놓으면 된다. The vertical support 20 is pivo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2 in Fig. 2 by holding the pull rod 31 about the pivot portion 22 which is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When the vertical support 20 is tilted until the wheel 50 mounted on the inclined supports 40 and 60 touches the ground E, the article G is in an inclined state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the article G is led to the desired point and the article is set up through the reverse process.

도시된 것처럼 손잡이봉(31)이 수평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N)로 경사지게 되어 있으므로 힘을 주기가 용이하여 리어커를 끌고가듯 편리하게 물품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물품의 무게중심이 크게 낮아져 운반시 가속도가 생겨도 안정감을 갖게 된다. 운반시 물품의 전체 높이가 낮아져 천장이 낮은 지역도 통과하기 쉬워짐은 물론이다. Since the handle bar 31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as shown in the figure, the force can be easily given and the article can be conveniently moved as if dragging the rear wheel. In addition, si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article is significantly lowered, the article has a sense of stability even when acceleration occurs during transportation. Of course, the overall height of the item is lowered during transport, making it easier for low-ceiling areas to pass through.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수직지지대(20)의 하단에 있는 피봇부(22)에 힌지(81) 방식으로 화살표(A2)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끔 피봇받침판(80)이 설치된다. 피봇받침판(80)은 바닥면에 맞닿도록 이루어져 피복받침판(80)을 중심으로 수직지지대(20)의 회전 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물품(G)을 받쳐놓고 회전시키면서 눕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pivot support plate 80 is provided on the pivot portion 22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20 so as to be rotatable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A2 in the hinge 81 manner. The pivot support plate 80 is configured to abut the bottom surface of the pivot support plate 80 so that the pivot support plate 80 can have a slip prevention function when the vertical support 20 is rotated around the cover support plate 80 and can stably support the product G, .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 few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expressed in the claims. For example,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freely combined and practi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ny combination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받침판 11 : 물품받이대
20 : 수직지지대 21 : 완충커버
22 : 피봇부 30 : 손잡이부
31 : 손잡이봉 40,60 : 경사받침대
40 : 바닥프레임 50 : 바퀴
60 : 경사프레임 70 : 밴드고리
80 : 피봇받침판
10: base plate 11: article receiving base
20: vertical support 21: buffer cover
22: pivot portion 30: handle portion
31: handle bar 40,60: inclined support
40: floor frame 50: wheel
60: oblique frame 70: band ring
80: pivoted base plate

Claims (4)

물품의 저면을 받치기 위하여 금속판재로 형성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그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되,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한쌍의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되는 연결바, 및 상기 받침판의 하부면에 맞닿아 받침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판형상의 물품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끝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손으로 잡고서 상기 물품의 저면을 받치고 있는 받침판을 뒤로 젖힐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수직지지대가 경사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직지지대에 설치되는 경사받침대;
상기 경사받침대에 설치되는 바퀴;
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받침대는,
일단이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향해 연장되되,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한쌍의 세로바와, 상기 세로바를 연결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되는 가로바를 포함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타단에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측에 연결되는 경사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지지대와 바닥프레임 및 경사프레임은 측면을 기준으로 직삼각형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프레임의 가로바 사이의 폭방향 양측에 바퀴설치판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바퀴설치판에 바퀴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수직지지대의 단부에서 상기 수직지지대에 대하여 받침판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연장대; 상기 제1연장대의 단부에서 상기 제1연장대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연장대; 및 상기 제2연장대 상에 바(bar) 형태로 설치되는 손잡이봉;
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에 피봇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봇부에 힌지 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받침판이 구비되되, 상기 피봇받침판은 바닥면에 맞닿아 수직지지대의 회전 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피봇받침판을 중심으로 수직지지대가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대차.
A base plate formed of a metal plate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article;
A pair of vertical bars extending parallel to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plate, a plurality of connecting 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between the vertical bars, A vertical support including a plate-shaped article pedestal mount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pedestal plat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A grip portion which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vertical support and grips the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article by hand, And
An inclined pedestal installed on the vertical suppor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pport plate so that the vertical support can be supported in an inclined state;
A wheel installed on the inclined pedestal;
/ RTI >
The inclined pedestal includes:
A bottom frame including a pair of longitudinal bars extending in parallel with one another and extending toward the pull tab in a state in which th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connect the vertical bars; And a slant fram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at the other end of the bottom frame, wherein the vertical support, the bottom frame and the slant frame have a right triangle structure with respect to a side surface,
Wherein wheel mounting plate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horizontal bars of the floor frame, wheels are fixed to the wheel mounting plate,
Wherein the handle comprises a first extension extending at an end of the vertical support in an inclined mann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pport plat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upport;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obliquely to the first extension at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And a handle bar installed in the form of a bar on the second extension bar;
/ RTI >
Wherein the pivot support plate has a pivot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and a pivot support plate rotatably supported by the pivot portion by a hinge mechanism, the pivot support plate abuts against a bottom surface to prevent slipping when the vertical support is rotated, And the vertical support is rotated about the pivot support pl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의 외부면에는 물품의 측면과 접촉 시 물품을 보호하기 위한 쿠션 소재의 완충커버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대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cushioning cover for protecting the article when it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article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에는 물건을 임시로 묶을 수 있는 밴드를 끼울 수 있도록 밴드고리가 수직지지대의 상,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대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band link is install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a vertical support so that a band capable of temporarily binding an object can be inserted into the vertical support.
KR2020190000023U 2019-01-02 2019-01-02 Moving Cart KR20048933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23U KR200489334Y1 (en) 2019-01-02 2019-01-02 Moving C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23U KR200489334Y1 (en) 2019-01-02 2019-01-02 Moving C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334Y1 true KR200489334Y1 (en) 2019-06-03

Family

ID=6681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023U KR200489334Y1 (en) 2019-01-02 2019-01-02 Moving C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33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930B1 (en) * 2021-02-22 2021-04-23 (주)베이비파스텔 soft box type illumination apparatus for wireless contro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845Y1 (en) * 2002-12-23 2003-05-22 고춘산 Hand cart
KR20060021904A (en) 2003-06-25 2006-03-08 오우브이디이 키네그램 악티엔개젤샤프트 Optical safety element and system for visualising hidden information
WO2007088017A1 (en) * 2006-02-02 2007-08-09 Facility Service Gmbh Transporting and lifting apparatus for gas cylinders
KR20110066309A (en) * 2009-12-11 2011-06-17 주식회사 금창 Variableness way transfer truck
KR20180058378A (en) 2016-11-24 2018-06-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Buffer circuit, semiconductor appratus and system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845Y1 (en) * 2002-12-23 2003-05-22 고춘산 Hand cart
KR20060021904A (en) 2003-06-25 2006-03-08 오우브이디이 키네그램 악티엔개젤샤프트 Optical safety element and system for visualising hidden information
WO2007088017A1 (en) * 2006-02-02 2007-08-09 Facility Service Gmbh Transporting and lifting apparatus for gas cylinders
KR20110066309A (en) * 2009-12-11 2011-06-17 주식회사 금창 Variableness way transfer truck
KR20180058378A (en) 2016-11-24 2018-06-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Buffer circuit, semiconductor appratus and system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930B1 (en) * 2021-02-22 2021-04-23 (주)베이비파스텔 soft box type illumination apparatus for wireless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6560B2 (en) Dolly for large appliances
US5078415A (en) Mobile carrier for gas cylinders
US5536034A (en) Convertible bulk hand truck and table top
US3540753A (en) Hand truck
US6186523B1 (en) Configurable horizontal doll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450514B1 (en) Dolly for moving large sheets
US4052084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US6880837B2 (en) Dolly for moving articles including lateral filing cabinets
US9296406B2 (en) Material panel dolly and workstation
US10471980B1 (en) Stackable knock-down material cart with adaptable forklift mounts
KR200489334Y1 (en) Moving Cart
US11034372B1 (en) Elevated forklift mount for a material cart
US4298099A (en) Merchandise order picking system and work table
US2548806A (en) Load lif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US11242077B2 (en) Dolly for ladders and other objects
KR100775672B1 (en) A moving carrier which being piled one on another
US20080054581A1 (en) Hand truck having a collapsible and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JP2006103516A (en) Hand-pushed truck
CN214565403U (en) Adjustable commodity circulation conveyor
JP3201977U (en) Hand-held carriage
CN216424468U (en) Travelling bogie convenient to article of taking
RU202328U1 (en) Pushcart
KR200440748Y1 (en) Multi functional cart with two wheel
US20020070518A1 (en) Hand truck attachment for retaining cargo
JPS6225459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