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977Y1 - The drone showcase with a blower function - Google Patents

The drone showcase with a blower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977Y1
KR200488977Y1 KR2020160007250U KR20160007250U KR200488977Y1 KR 200488977 Y1 KR200488977 Y1 KR 200488977Y1 KR 2020160007250 U KR2020160007250 U KR 2020160007250U KR 20160007250 U KR20160007250 U KR 20160007250U KR 200488977 Y1 KR200488977 Y1 KR 200488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s
wind
dron
mounting portion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25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1866U (en
Inventor
정연모
송백기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60007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977Y1/en
Publication of KR201800018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6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97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057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disklik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47F5/0807Display panels, grids or rods used for suspending merchandise or cards supporting articles; Movable bracke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B64C2201/12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론을 거치가능하도록 구성된 거치부, 드론이 거치된 상태로 드론의 구동부가 구동하여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드론에 파워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드론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송풍 기능을 갖는 드론 진열장는 거치하여 바람을 방생시키는 기능을 이용하여 거치 및 선풍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절약하고 선풍기를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s display unit including a mounting part configured to be able to mount a dron, and a power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on so that the driving part of the dron is driven by the driving of the dron while the dron is station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one display unit having a blowing function can perform a role of a stationary and an electric fan by using a function of installing a wind and generating a wind, thereby saving space and replacing an electric fan.

Description

송풍 기능을 갖는 드론 진열장{THE DRONE SHOWCASE WITH A BLOWER FUNC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s having a blowing function,

본 고안은 드론 진열장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을 거치하여 드론으로 송풍 기능을 수행하는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case for a dr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case for carrying out a blowing function to a drone through a drone.

최근들어 드론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드론을 이용한 촬영, 감시, 배송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발하게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Recently, the development of drone has been done a lot, and it is actively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shooting, monitoring, and shipping using a drone.

개인용 드론 또한 산업용 드론과 마찬가지로 많은 제품들이 개발되어 있으며, 최근들어 지속적으로 그 수요가 늘고 있고, 고사양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드론을 이용하고 충전하는 기술에 대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99423호에 나타나 있다.Personal drones As with industrial drones, many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and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them and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high-end drones. On the other hand, a technique of charging and using such a drone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599423.

그러나, 드론을 사용하지 않는 때, 드론의 보관시에도 드론의 기능을 활용하는 기술은 개발되어있지 않았다.However, when the drones were not used, there was no technology developed to utilize the functions of the drones when storing the drones.

본 고안은 종래의 드론의 보관시에 드론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송풍 기능을 갖는 드론 진열장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ones display case having a blowing function for solving the problem that drones can not be utilized in storing conventional drones.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드론을 거치가능하도록 구성된 거치부, 드론이 거치된 상태로 드론의 구동부가 구동하여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드론에 파워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드론 진열장이 제공될 수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drone display case may be provided which includes a mounting part configured to be able to mount the dron, and a power supply part that supplies power to the dron so that the driving part of the dron is driven by the dron, have.

이때 거치부는, 드론의 구동부의 구동시 수평방향으로 바람이 발생될 수 있도록 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unting part can be mounted so that wind can be gene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driving part of the drone is driven.

또한 거치부는, 드론이 거치시 드론의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접촉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terminal configured to allow the dron to make electrical contact with the live part of the drones.

나아가 거치부는, 바람의 방향이 바뀔 수 있도록 드론이 거치된 채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mounting part can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the drone mount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wind can be changed.

여기서 드론 진열장은 거치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거치부가 지지부와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drone showcas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mount portion from the ground, and the moun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driving portion configur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the support portion.

또한 거치부는, 드론의 구동시 발생되는 바람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단면의 형상이 바람의 방향에 수직인 폭이 바람의 방향의 폭보다 좁게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mount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ounting portion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wi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wind so as to reduce the resistance to wind generated when the drone is driven.

그리고 거치부는 복수의 드론이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part can be configured so that a plurality of drones can be mounted.

여기서 거치부는 복수의 드론이 각각 바람을 발생시킬 때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직선배열로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rein the mounting portion can be configured to be mounted in a linear array so that interference can be minimized when a plurality of drones generate wind respectively.

또한 거치부는 복수의 드론이 각각 바람을 발생시킬 때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평면배열로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ount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mounted in a planar arrangement so that interference can be minimized when a plurality of drones generate wind, respectively.

한편 바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드론의 구동부의 출력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generating an output control signal of the driving unit of the drone so as to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wind.

이때, 무선통신무의 발생신호를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ler includ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a signal for generating no wireless communication.

구체적으로 거치부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프레임 및 복수의 드론을 고정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돌출되어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un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ram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frame so as to fix the plurality of drones.

또한, 복수의 고정부는 각각 다른 크기의 드론을 거치할 수 있도록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can b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spacing so as to respectively mount drone of different sizes.

나아가 복수의 고정부는, 복수의 드론이 거치되었을 때, 인접하는 드론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정거리 이격되어 프레임상에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may be provided on the fram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drones when a plurality of drones are mounted.

본 고안에 따른 송풍 기능을 갖는 드론 진열장는 거치하여 바람을 방생시키는 기능을 이용하여 거치 및 선풍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절약하고 선풍기를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one display unit having a blowing function can perform a role of a stationary and an electric fan by using a function of installing a wind and generating a wind, thereby saving space and replacing an electric fan.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A 부분인 접촉단자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contact terminal which is part A of the first embodiment.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first embodiment.
5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 기능을 갖는 드론 진열장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drone showcase having a blo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name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may be referred to as other names in the art. However, if there is a functional similarity and an equivalence thereof, the modified structure can be regarded as an equivalent structure.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s added to respective components ar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owever, the contents of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in which these symbols are described do not limit the respective components to the ranges within the drawings. Likewise, even i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structure on the drawing is partially modified is employed, it can be regarded as an equivalent structure if there is functional similarity and uniformity. Further, in view of the level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f it is recognized as a component to be include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인 송풍 기능을 갖는 드론 진열장(1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and function of the drone showcase 10 having the blowing function, which is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A 부분인 접촉단자(130)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tact terminal 130 which is the A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송풍 기능을 갖는 드론 진열장(10)는 거치부(100), 지지부(200), 회전구동부(300), 무선통신부(400), 전원부(140), 리모트 컨트롤러(500)를 포함하여 구될 수 있다. 드론(20)이 거치된 상태로 드론(20)의 구동부를 구동시켜 바람을 발생시키며, 이때 발생된 바람의 방향이 수평방향이 될 수 있도록 드론(20)을 거치하여 송풍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drone display unit 10 having a blow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unit 100, a support unit 200, a rotation driving unit 30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a power supply unit 140, 500). ≪ / RTI > The dron 20 is driven to drive the driving unit of the dron 20 to generate wind and the blow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mounting the dron 20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generated wind is horizontal .

거치부(100)는 드론(20)을 거치한 상태로 드론(20)의 구동부를 선풍기와 같은 송풍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거치부(100)는 프레임(110), 고정부(120), 접촉단자(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unting portion 10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use the driving portion of the drones 20 as a blower such as a fan with the drones 20 mounted thereon. The mounting portion 100 includes a frame 110, a fixing portion 120, and a contact terminal 130.

프레임(110)은 드론(20)이 거치될 때 드론(20)이 배열되는 기본적인 틀을 제공한다. 프레임(110)은 복수의 드론(20)이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드론(20)이 거치되었을 때 드론(20)간의 간섭 또는 드론(20)의 구동부를 구동시키면, 블레이드에서 발생되는 바람간의 간섭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또는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적절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2개의 드론(20)이 거치되는 프레임(110)이 나타나 있다.The frame 110 provides a basic framework in which the drones 20 are arranged when the drones 20 are mounted. The frame 110 is struct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drones 20 can be mounted thereon and when interference is caused between the drones 20 when the respective drones 20 are mounted or the driving portion of the drones 20 is driven, The wind can be constructed in an appropriate size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windings can be minimized or interference can not occur. In this embodiment, a frame 110 on which two drones 20 are mounted is shown for the sake of explanation.

프레임(110)은 드론(20)이 거치되었을 때 각각의 드론(20)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선풍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각의 드론(20)이 평면배열로 거치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선배열로 하여 단순하게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높이 방향으로 더 긴 형상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드론(20)의 구동부가 구동되는 때에도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세로 프레임(110) 각각에서 드론(20)의 몸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frame 110 is installed in a plane arrangement so that the wind generated by each of the drones 20 when the drones 20 are mounted is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user so that the drones 2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fan And may be arranged in an appropriate size to accommodate the need. It can be simply constituted by a linear array. The frame 1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er shap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may be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shap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on 20 in each of the two vertical frames 110 so that the frame 110 can be firmly supported even when the driving portion of the dron 20 is driven. So that the body can be fixed.

이때 프레임(110)의 각 부분의 단면의 형상은 드론(20)의 구동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한 저항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단면의 형상이 바람의 방향에 수직인 폭이 바람의 방향의 폭보다 좁게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each part of the frame 110 is such that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wind direction so that the resistance due to wind generated when the drone 20 is driven can be minimized Lt; / RTI >

고정부(120)는 드론(20)을 지지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고정부(120)는 프레임(11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드론(20)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거치되어 드론(20)의 구동부가 작동되더라도 견고하게 드론(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드론(20)의 하측에서부터 드론(20)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120)는 드론(20)이 복수로 거치되었을 때, 드론(20)간의 간섭 및 발생되는 바람의 간섭이 최소화 되는 간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가정용 드론(20)의 크기중 대형에 속하는 드론(20)의 크기를 기준으로 고정부(120)간 간격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고정부(120)는 각각 다른 크기의 드론(20)이 거치되는 경우에 적절하게 간격조절을 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12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be fixed by supporting the drones 20. [ The fixing part 12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rame 110 and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dron 20 so that the dron 20 can be firmly fixed even when the driving part of the dron 20 is operated. So as to support the dron 20 from the lower side of the dron 20 so as to support the dron 20. The fixing portion 1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drones 20 are mounted in a plurality,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drones 20 and the generated wind interferences are minimiz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xing portions 120 is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of the drones 20 belonging to the large size among the sizes of the household drones 20. [ Also, the fixing portion 120 may be configured to be slidable on the frame 110 so as to appropriately adjust the spacing when the drone 20 of different size is mounted.

접촉단자(130)는 드론(20)이 거치되었을 때 드론(20)에 파워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접촉단자(130)는 드론(20)이 고정부(120)에 거치되었을 때 드론(20)에 구비되어 있는 충전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촉단자(130)는 별도의 어댑터를 두지 않고,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10)의 가로간격은 드론(20) 자체에 구비된 충전부에 접촉할 수 있는 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b)에는 드론(20)이 거치되었을 때 드론의 충전부(21)와 접촉단자(130)가 접촉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드론의 충전부(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120)가 슬라이딩 하는 경우, 이에 따라 접촉단자(130)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와같은 접촉단자(130)의 구성은 일 예일 뿐, 드론(20)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어탭터를 두어 드론(20)과 연결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act terminal 130 is configured such tha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drones 20 when the drones 20 are mounted. The contact terminal 130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charging unit provided on the drones 20 when the drones 20 are mounted on the fixing unit 120. [ The contact terminal 130 may be provided on the frame 110 as shown in FIG. 3 (a) without a separate adapter. At this time, the horizontal interval of the frame 1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width capable of contacting the charging unit provided in the drone 20 itself. 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part 21 of the drones and the contact terminal 1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drones 20 are mounted. At this time, the charging part 21 of the dron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xing portion 120 slides, the contact terminal 130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slidable.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ct terminal 130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contact terminal 130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drones 2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rones 20 by a separate adapter.

지지부(200)는 프레임(11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드론(20)을 구동하여 바람을 발생시키더라도 프레임(110)의 흔들림이나 기울어짐, 또는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구성되며, 적절한 무게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와같은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가능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support unit 20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frame 110 from the ground and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frame 110 by driving the drones 20 so as to prevent the frame 110 from shaking, Size, and can be constructed with an appropriate weight. However, since such a configura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회전구동부(300), 무선통신부(400) 및 제어부(미도시)는 지지부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rotation driving unit 3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inside the support unit.

회전구동부(300)는 거치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거치부(100)는 지지부(200)와 거치부(100)의 사이에 구비되며 지지부(200)가 지면에 접촉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거치부(100)가 고정부(120)와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300)는 모터, 액추에이터 등 기계식 또는 전기식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otation driving unit 300 is configured to rotate the mounting unit 100. The stationary part 100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 200 and the stationary part 100. The stationary part 100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stationary part 120 in a state in which the stationary part 20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 The rotation driving unit 300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by a motor or an actuator, such as a mechanical or an electric motor.

무선통신부(400)는 거치되어 있는 드론(20)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신호에 따라 드론(20) 구동부의 출력을 조절하여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복수의 드론(20)이 있는 경우 일부만을 구동시켜 최종적으로 바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드론(20)의 구동부의 출력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400)는 후술할 리모트 컨트롤러(500)와 통신하여 외부로부터 구동입력을 받로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와같은 무선통신부(400)의 구성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drones 20 that are stationary. Accordingly, in order to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wind by adjusting the output of the driving unit of the drones 20 according to the signal or to drive only a part of the plurality of drones 20 when there is the plurality of drones 20, And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driving input from the outside in communication with a remote controller 500 to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may be variously appli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어부는 거치부(100)의 회전, 드론(20)의 충전이나 드론(20)을 구동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거치부(100)를 회전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드론(2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드론(20)의 충전은 별도의 입력이 없더라도 드론(20)을 거치시키면 드론(20)에 파워를 인가하여 자동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rotation of the mounting unit 100, charging of the drones 20, and control of driving the drones 20. [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signal for rotating the stationary part 100 or to drive the drone 20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In this cas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input, the charging of the drone 20 can be performed by applying power to the drone 20 when the drone 20 is mounted.

전원부(14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제어부, 구동부 및 드론(20)의 구동부가 구동되어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드론 진열장(10)에 파워를 전달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40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s power to the drone display case 10 so that the control unit, the driv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of the drones 20 are driven to generate wind.

리모트 컨트롤러(5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술한 무선통신부(4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remote controller 500 is configured to receive input from a user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described above.

다만, 이와같은 제어부, 전원부(140) 및 리모트 컨트롤러(500)의 구성은 널리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owever, since the configurations of the control unit, the power supply unit 140, and the remote controller 500 are widely us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use stat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제1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드론(20)의 구동부를 발생시켜 바람을 발생시키며, 바람의 방향 및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드론(20)은 비행시 아랫방향으로 바람이 발생하므로, 드론(20)의 밑면이 사용자가 바람을 발생시키는 방향이 되도록 거치된다.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출력이 조절되며, 이때 드론(20)의 출력은 드론(20) 자체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출력제어부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바람의 방향을 조절할 때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구동부(300)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the figure, the driving unit of the drone 20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to generate wind, and the wind direction and intensity can be adjusted. Since the wind is gener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t the time of flight of the drones 20, the bottom surface of the drones 20 is set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d generated by the user is generated. In this state, the output of the dron 20 is controlled by the user's input. At this time, the output of the dron 20 can utilize the function of the output control unit built in the dron 20 itself. On the other hand, when the wind direction is adjusted,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driving unit 300 can be generated so that the wind can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때 전원부(140)에서는 드론(20)을 구동시키는 파워 및 드론(20)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파워를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론(20)의 구동부가 구동하여 송풍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드론(20)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unit 140 can supply power for driving the drone 20 and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built in the drone 20. Accordingly, the driving unit of the drones 20 is driven to exhibit the blowing function and the battery of the drones 20 can be charged.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제2 실시예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0)는 하나의 기둥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측의 일단은 지지부(200)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구동부(300)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5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the figure, the mounting part 100 may be formed in a single column shape, and one end of the lower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driving part 300 provided in the supporting part 200 to be rotatable.

도 5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부(120)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집게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크기가 다른 드론(20)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a), the fixing portion 120 can be configured to be vertically movable in a clamping manner, and can be configured to firmly hold the drones 20 of different sizes.

도 5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드론(20)이 거치된 경우, 선택적으로 거치되더라도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120)가 바람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몸체부측을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b), when the drones 20 are mounted, the functions can be exerted even if the drones 20 are selectively mounted. In order to prevent the fixing portion 120 from affecting the wind, As shown in FI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송풍 기능을 갖는 드론(20) 진열장은 드론(20)을 거치해놓음과 동시에 드론(20)을 충전할 수 있으며, 충전과 동시에 선풍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드론(20)을 거치하는 공간을 두지 않고 거치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ones 20 having a blow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rge the drones 20 while loading the drones 20, and can be used as an electric fan at the same time as charging.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se the space because it can be mounted without placing a space for mounting the drones 20 of the apparatus.

20: 드론
21: 드론 충전부
10: 드론 진열장
100: 거치부
110: 프레임
120: 고정부
130: 접촉단자
140: 전원부
200: 지지부
300: 회전구동부
400: 무선통신부
500: 리모트 컨트롤러
20: Drones
21: Drone charging part
10: Drone Showcase
100:
110: frame
120:
130: contact terminal
140:
200:
300:
400:
500: Remote controller

Claims (10)

드론을 거치가능하도록 구성된 거치부;
상기 거치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거치부를 상기 지지부와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구동부; 및
상기 드론이 거치된 상태로 상기 드론의 구동부가 구동하여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드론에 파워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프레임; 및
복수의 드론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돌출되어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각각 다른 크기의 드론을 거치할 수 있도록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진열장.
A mount configured to be able to mount the drone;
A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mounting portion from the ground;
A rotation driv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mounting part relative to the supporting part; An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ones so that the driving unit of the drones is driven to generate wind while the drones are stationary,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fram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frame so as to fix the plurality of drones,
Wherein the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ar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spacing so as to respectively receive drums of different siz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드론의 구동부의 구동시 수평방향으로 바람이 발생될 수 있도록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진열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Wherein the drones are mounted such that wind can be gener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driving unit of the dron is drive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드론이 거치시 상기 드론의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접촉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진열장.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nd a contact terminal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tact the charging portion of the dron when the dron is stationary.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바람의 방향이 바뀔 수 있도록 상기 드론이 거치된 채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진열장.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Wherein the drones are rotatable while the drones are mount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wind can be changed.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드론의 구동시 발생되는 바람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단면의 형상이 상기 바람의 방향에 수직인 폭이 상기 바람의 방향의 폭보다 좁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진열장.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Wherein a width of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is narrower than a width of the wind direction so as to reduce resistance to wind generated when the drone is drive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복수의 드론이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진열장.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allow a plurality of drones to be mounted.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복수의 드론이 각각 바람을 발생시킬 때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평면배열로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진열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mounted in a planar arrangement so as to minimize interference when the plurality of drones generate wind respectively.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드론의 구동부의 출력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진열장.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generating an output control signal of a driving unit of the dron so as to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wind.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의 발생신호를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드론 진열장.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remote controller includ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a signal genera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삭제delete
KR2020160007250U 2016-12-13 2016-12-13 The drone showcase with a blower function KR20048897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50U KR200488977Y1 (en) 2016-12-13 2016-12-13 The drone showcase with a blower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50U KR200488977Y1 (en) 2016-12-13 2016-12-13 The drone showcase with a blower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66U KR20180001866U (en) 2018-06-21
KR200488977Y1 true KR200488977Y1 (en) 2019-04-11

Family

ID=6274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250U KR200488977Y1 (en) 2016-12-13 2016-12-13 The drone showcase with a blower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977Y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718B1 (en) * 2014-07-16 2016-07-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Containing and charging apparatus of pole type for unmanned vtol aircraft and method for containing and charging unmanned vtol aircraft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66U (en)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7905B2 (en) Gimbal and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205781793U (en) The Cloud Terrace
CN201956006U (en) Flat-plate display device
CN104049441A (en) Camera stabilizing and balancing device and control system thereof
CN105438492A (en) Integrated type platform camera and unmanned aerial vehicle
JP6287648B2 (en) An imaging device capable of handheld shooting
CN205067943U (en) Stabilizer is shot to disconnect -type
CN201288186Y (en) Multifunctional electromagnetic biological cultivation case
JP6470231B2 (en) Load test equipment, load system
CN106218909A (en) Aircraft and system of taking photo by plane
KR200488977Y1 (en) The drone showcase with a blower function
KR101879355B1 (en) 3D Printer for education
CN204477650U (en) A kind of wear type The Cloud Terrace being convenient to install
CN203894524U (en) Video camera steady balancing device and control system thereof
KR102036887B1 (en) Support frame and displyay apparatus and television having the same
KR20170098391A (en) Anion generator for mounting on baby carriage
CN211088365U (en) Fixing device for installing storage battery
CN102780798B (en) Multifunctional projection mobile phone rack
CN207382445U (en) A kind of portable video recording equipment of computer based on Internet of Things
JP2013172927A (en) Motor unit of electric solar shading device
JP6189825B2 (en) Motor unit for electric solar shad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motor unit for electric solar shading device
CN208159855U (en) A kind of frog cultivation feeder
CN203865428U (en) Stick feeder
CN210328232U (en) Easy dismouting wisdom energy management control panel
JP5832575B2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