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669Y1 - Portable biometric recognition device - Google Patents

Portable biometric recogni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669Y1
KR200486669Y1 KR2020180001234U KR20180001234U KR200486669Y1 KR 200486669 Y1 KR200486669 Y1 KR 200486669Y1 KR 2020180001234 U KR2020180001234 U KR 2020180001234U KR 20180001234 U KR20180001234 U KR 20180001234U KR 200486669 Y1 KR200486669 Y1 KR 200486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housing
recognizer
portab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23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관
Original Assignee
김동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관 filed Critical 김동관
Priority to KR2020180001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66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66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K9/00885
    • G06K9/00006
    • G06K9/00221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식이 가능한 생체정보 인식기 및 상기 생체정보 인식기가 부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외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생체정보 인식기의 주변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생체정보 인식기의 주변 장치를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아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기를 들어, 생체정보 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a housing to which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is attached, wherein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handle on the outside,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for holding a peripheral device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inside the housing and carrying the portable devic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Information recognition apparatus.

Description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PORTABLE BIOMETRIC RECOGNITION DEVICE}[0001] PORTABLE BIOMETRIC RECOGNITION DEVICE [0002]

본 고안은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보다 구체적으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식이 가능한 생체정보 인식기 및 상기 생체정보 인식기가 부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외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생체정보 인식기의 주변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생체정보 인식기의 주변 장치를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아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기를 들어, 생체정보 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a housing to which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is attached, wherein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handle on the outside,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for holding a peripheral device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inside the housing and carrying the portable devic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Information recognition apparatus.

최근 출입통제, 근태관리, 빌딩통합시스템, 금융자동화기기, 컴퓨터보안 분야, 전자상거래 인증, 공항정보 시스템 등에 있어서, 생체 인식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In recent years, biometrics devices have been proposed in access control,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building integration systems, financial automation devices, computer security fields, e-commerce authentication, airport information systems, and the like.

생체 인식 장치는 각 개인마다 다른 지문, 홍채, 얼굴 등 개인의 독특한 생체 정보를 추출하여 기존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본인임을 인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생체 인식 장치는 개인의 신체 특징과 같은 생체 정보를 이용한 것으로 인증을 위한 정보를 별도로 암기하거나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The biometric device is a device that extracts unique biometric information of a person such as a fingerprint, iris, or face for each individual and compares the biometric information with previously stored data to authenticate the user. Such a biometric device use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an individual's body characteristic, and there is no inconvenience of memorizing or carrying information for authentication separately.

또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직접 장치에 스캐닝하여야 하므로 기존의 패스워드 및 아이디 카드와 같은 보안 시스템보다 높은 보안 수준을 유지할 수 있어, 대리인증이 불가능하므로 본인의 인증이 필수적인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must be directly scanned to the devi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higher level of security than a conventional security system such as a password and an ID card, and the authentication can not be performed.

그러나, 기존의 생체정보 인식 장치는 고정형으로 설치되므로 상기 생체정보 인식 장치가 설치된 특정 공간에서만 사용자 인식을 진행할 수 있었다. 또한, 고정형으로 설치된 생체정보 인식 장치가 홍채 스캐닝이나 안면 스캐닝을 통해 사용자 인식을 수행하는 경우, 생체정보 인식기 앞에 안면이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사용자마다 신장이 상이함에 따라, 사용자가 생체정보 인식기 앞에 안면 인식영역이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까치발을 들거나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However, since the existing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is installed in a fixed form, the user recognition can be performed only in a specific space in which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is installed. In addition, when the fixed typ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performs user recognition through iris scanning or facial scanning, the face should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At this tim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has to crouch or flex his / her waist in order to position the face recognition area in front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as the user is different in height.

한편, 고정형으로 설치하지 않고 이동하며 사용하는 경우, 생체정보 인식 장치와 장치 충전 케이블 및 통신장치 등을 별도로 소지하고 다니며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시 생체정보 인식 장치와 부가적인 장치들을 한번에 들거나 이동하며 사용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In the meantim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used without being fixedly installed, it is necessary to carry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the device charging cable,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separately. Therefore, when us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and the additional devices, There was a difficult discomfort.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체정보 인식 장치가 획득한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장치 및 상기 생체정보 인식 장치의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케이블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한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를 안출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cquired by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to a management server and a space for storing a battery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and a cable for charging the battery And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이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9607호에는 생체인식기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외부에 노출되고 생체정보인 홍체가 비접촉되는 생체정보 입력창; 내부에 위치하고, 홍채의 곡선형태에 따라 반사되어 투과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무선신호 송수신부; 및 곡선형태를 기 저장된 기준이 되는 생체정보인 지문의 융선과 골 또는 홍채의 곡선형태와 비교하여 인증여부를 결정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49607 discloses a biometric identifier. Briefly, the contents are a biometric information input window in which the irregularities, which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are biometric information, are not contacted; A wireless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located insid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dapted to receive a transmitted wireless signal reflected by the curved shape of the iris; And an authentication unit for comparing the curved shape with a ridge of the fingerprint, which is biometric information that is a previously stored reference, and a curved shape of the bone or ir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authenticate.

상기 선행기술은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생체정보를 기준이 되는 생채정보와 비교하여 인증하는 것에 대해 기재되어 있을 뿐, 생체 인식기를 휴대하고 이동하며 사용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The prior art describes that biometric information obtained from a user is compared with biometric information to be authenticated, and authentication is not described, but a configuration for carrying and using the biometric recognizer is not described.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9607호 (2014.01.09.)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49607 (Apr.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휴대하고 다니며 사용자 생체정보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that can carry and carry out user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또한, 내부에 생체정보 인식기의 무선통신장치, 배터리 및 배터리 충전기와 같은 생체정보 인식기의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having a space in which a device for assisting an operation of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such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f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a battery, and a battery charger can be housed.

또한, 장치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한 손잡이 및 어두운 곳에서도 식별가능하도록 한 반사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including a knob for facilitating movement of the apparatus and a reflecting means for discriminating even in a dark place.

본 고안은, 생체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식이 가능한 생체정보 인식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는, 외부에 생체정보 인식기가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일측면을 연결하되, 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부;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결합 및 분리가 되도록 형성된 잠금부; 및 상기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를 어두운 곳에서 식별하기 위한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생체정보 인식기의 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는 연결홀; 및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는, 방수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잠금장치가 제1하우징에 부착되기 위한 잠금부 연결부; 및 상기 제2하우징에 잠금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 고정수단;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결합되도록 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 및 평면, 저면, 우측면, 좌측면, 배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는, 제2하우징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구비되는 경우, 길이방향이 제2하우징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되, 일단이 상기 생체정보 인식기의 중심과 하단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며, 타단은 상기 생체정보 인식기의 하단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를 제공하여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including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 through biometric information,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housing attached to the outside so as to protrude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A second housing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and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o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with respect to the connected shaft, A locking portion formed to be engaged and disengag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d a reflection unit for identifying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in a dark place, wherein the first housing includes: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a cable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can pass; And a concave portion into which the protrusion can be inserted, the concave portion including a waterproof packing, and 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locking portion connecting portion for attaching the locking device to the first housing; And locking securing means for securing the locking device to the second housing; And a locking device for allowing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wherein the second housing includes: a protrus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ss; And a handle on at least one of a flat surface, a bottom surface, a right side surface, a left side surface, and a rear surface, wherein when the handle is provided on a left side surface and a right sid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lower end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comprises: .

본 고안에서, 상기 생체정보 인식기는, 홍채, 안면, 지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를 스캐닝 할 수 있는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includes an apparatus and a display device capable of scanning at least one of biometric information of an iris, a face, and a fingerprin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는, 휴대하고 다니며 사용자 생체인식을 할 수 있으므로, 장소에 따른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자 생체인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rry and carry out user biometric identific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biometric identific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place.

또한, 내부에 생체정보 인식기를 동작하는데 필요한 무선통신장비, 배터리 및 배터리 충전기 등을 내부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the battery, and the battery charger necessary for operat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can be housed therei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convenient to carry and mov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손잡이 위치에 따른 사용자의 팔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ight side view of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the inside of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hape of a user's arm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 handle of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출원인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applicants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to describe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can be mad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details of the known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add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는 생체정보 인식에 필요한 생체정보 인식기와, 생체정보 인식기의 무선통신장치, 배터리 및 배터리 충전기 등을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에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사용자 생체인식을 할 수 있는 장치이다.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necessary for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a battery, a battery charger, and the like in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Therefore, it is a device that can freely move from the outside and perform user biometric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internal view of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는 생체정보 인식기(200), 제1하우징(110), 제2하우징(120), 연결부(130), 손잡이(150) 및 반사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a first housing 110, a second housing 120, a connection unit 130, A handle 150 and a reflector 160. [

생체정보 인식기(200)는 홍채 스캐너, 안면 스캐너, 지문 스캐너 등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을 포함하며, 사용자에게 생체정보 확인에 따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includes at least one means for collect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such as an iris scanner, a facial scanner, a fingerprint scanner, and the like.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and a speaker . ≪ / RTI >

또한, 생체정보 인식기(200)는 스캐닝된 사용자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고,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식을 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수집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인증여부를 관리하는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생체정보 인식기(200)에 무선통신수단이 연결될 경우 상기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관리서버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인증여부를 전송할 수 있다.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scanned user information and comparing the scanned user information with previously stored user information to recognize the user. The controller may transmit the collected user information and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the user information, and may include communication means.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And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하우징을 이루며, 제1하우징(110) 또는 제2하우징(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우징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120)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한 상자형태일 수 있으며, 제1하우징(110)은 제2하우징(120)의 덮개 및 뚜껑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hou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has a housing space Lt; / RTI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second housing 120 may be in the form of a box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the first housing 110 may include a cover and a lid of the second housing 120, It can be the same form.

여기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일측면이 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130)가 형성된 면과 대응되는 면이 잠금부(170)에 의해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one side by a connecting part 130 and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n which the connecting part 130 is formed is separated or separated by a locking part 170. [ Can be combined.

연결부(130)는 힌지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은 제1하우징(110)에 부착되고, 타측은 제2하우징(120)에 부착된다. 연결부(130)에 의해 일측면이 연결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부(130)의 중앙부에는 연결부(130)의 일측과 타측이 회전할 수 있는 회전 축이 형성되어 있다.The connection part 1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inge, one side is attached to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other side is attached to the second housing 120.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130 are rotatably supporte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art 13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can be rotated about the ax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A rotary shaft is formed.

잠금부(170)는 잠금장치 연결부(171), 잠금장치 고정부(172) 및 잠금장치(17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 연결부(171)는 제1하우징(1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잠금장치 고정부(172)는 제2하우징(120)에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170 may include a locking device connection portion 171, a locking device fixing portion 172, and a locking device 173. 3, the lock connecting portion 171 may be formed i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lock fixing portion 172 may be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120. As shown in FIG.

잠금장치(173)의 일단은 잠금장치 연결부(171)에 연결되어 있되, 잠금장치 연결부(171)의 축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되며, 타단은 잠금장치 고정부(17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잠금장치(173)가 잠금장치 고정부(172)에 삽입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결합 및 잠금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One end of the locking device 173 is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connection part 171 and is rotatable by the shaft of the locking device connection part 171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device fixing part 172 and fixed So that engagement and locking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can be maintained when the locking device 173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device fixing portion 172.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결합된 상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에 가까운 형태일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의 정면, 즉 제1하우징(110)에 생체 인식기(200)가 부착되어 사용자 생체정보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hexahedro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hexahedron, The recognizer 200 can be attached to perform user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은 일측면은 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면에 형성된 잠금부(170)의 잠금을 해제하여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고,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 내부에 생체정보 인식기(200)의 동작에 필요한 장치들을 수납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are unlock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while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part 130,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can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from each other.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제1하우징(110)은 생체정보 인식기(200)에 연결된 전원케이블, 무선통신케이블 등과 같은 생체정보 인식기(200)를 보조하기 위한 장치츨 연결하는 케이블 선이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케이블 선이 통과할 수 있는 연결홀(115)을 구비할 수 있다. 4, the first housing 110 includes a first cable 110 connected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a cable for connecting the first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such as a power cable, a wireless communication cable, And a connection hole 115 through which the cable can pass so as to be housed in the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또한, 제1하우징(110)은 제2하우징(120)과의 결합을 위한 오목부(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하우징은 상기 오목부(111)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111)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결합되었을 때, 결합을 더 공고히 하고 결합부로 빗물들이 들어가지 않도록 방수패킹(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수패킹으로는 압출고무, 실리콘 패킹, 고무 패킹 등이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110 may include a concave portion 111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housing 120 and the second housing may include a protrusion 121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111. [ . ≪ / RTI > The concave portion 111 may further include a waterproof packing (not shown) so that whe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are coupled, the joint is further strengthened and the rainwater does not enter the joint portion. As the waterproof packing, extrusion rubber, silicone packing, rubber packing and the like can be adopted.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를 얼굴 앞에 위치하기 편리하도록 한 손잡이(1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50)는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의 양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의 이동과 운반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을 위한 손잡이는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의 평면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andle 150 for allowing the user to conveniently place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in front of the face. Preferably, the handle 15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100. Further,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for facilitating movement and transportation of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for movement is provided on the plane of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100.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장치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손잡이 위치에 따른 사용자의 팔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showing a shape of a user's arm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andl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는 손잡이(150)가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장치(100)의 중심에 제2하우징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된 것이고, b는 손잡이(150)가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장치(100)의 하부에 제2하우징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된 것이며, c는 손잡이(150)가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장치(100)의 상부에 제2하우징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된 것이다. 5A shows a state where the handle 15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and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claws 150 ar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100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일반적으로 사람이 양손에 한 물체를 들고 앉아있거나 서있을 때, 팔이 쭉 펴진 상태 또는 팔꿈치가 완전히 구부러진 상태보다는 팔꿈치가 약간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편안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손잡이(150)의 위치가 생체정보 인식기(200)가 부착된 높이보다 손잡이(150)의 높이가 낮은 곳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의 손잡이(150)를 양손에 쥐고, 팔을 뻗어 팔꿈치가 약간 구부러진 상태에서 생체정보 인식기(200)가 사용자 안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자 자연스럽고 편안한 자세로 사용자 생체 인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Generally, when a person is sitting or standing with an object in both hands, it is comfortable to keep the elbows slightly bent rather than the arms extended or the elbows fully ben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knob 15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height at which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is attached. Accordingly, when the user grasps the handle 150 of the portable typ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100 with both hands and extends the arm so that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is positioned on the user's face in a state where the elbows are slightly ben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user biometric authentication in the posture.

도 5를 참고하면, a)는 손잡이(150)가 생체정보 인식기(200)의 중심부 높이에서부터 생체정보 인식기(200)와 높이 길이와 비슷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1)는 팔을 가장 편안한 자세로 뻗은 상태에서 안면 또는 홍채인식을 진행할 수 있다. 5, a) is formed such that the knob 150 is of a height similar to the height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from the center height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At this time, the user 1 can perform face or iris recognition while the arm is extended in the most comfortable posture.

b)는 손잡이(150)가 생체정보 인식기(200)의 하단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1)는 안면 또는 홍채인식을 진행하기 위하여 팔을 굽히지 못하고 뻗는 자세를 취하여야 한다. 이때, 사용자(1)는 팔을 살짝 구부린 상태보다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b), the knob 150 is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lower end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At this time, the user 1 should take a posture in which the user can not bend his / her arms in order to proceed with face or iris recognition. At this time, the user 1 feels discomfort rather than a slightly bent state of the arm.

c)는 손잡이(150)가 생체정보 인식기(20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1)는 안면 또는 홍채인식을 진행하기 위하여 팔을 직각에 가까운 형태로 굽히는 자세를 취하여야 한다. 이때, 사용자(1)는 팔을 살짝 구부린 상태보다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c), the knob 150 is formed at a height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At this time, the user 1 should take a posture in which the arm is bent at a right angle close to the face or iris recognition. At this time, the user 1 feels discomfort rather than a slightly bent state of the arm.

따라서,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구비되는 손잡이(100)는 일단이 생체정보 인식기(200)의 중심과 하단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되, 타다단은 생체정보 인식기(200)의 하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측면과 우측면에 구비되는 손잡이(150)는 제2하우징(1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되되, 그 길이가 생체정보 인식기(200) 길이의 0.7배 내지 1.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handle 100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is positioned at a height between the center and the lower end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and the other ends are position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s 150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120 and the length thereof is 0.7 to 1.5 times the length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또한, 팔을 편안히 뻗은 상태에서 사용자 생체 인식이 원활하도록 생체정보 인식기(200)는 제1하우징(110)의 외부에 돌출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l00)와 홍채 및 안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생체정보 인식기(200)가 홍채 및 안면의 스캐닝을 진행하기 어렵게 되어 사용자 생체정보 인식이 어려워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housing 110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11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biometric informa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and the iris is increased, it is difficult for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to scan the iris and the face, which may make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이때, 사용자가 팔꿈치를 온전히 구부려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와 홍채 및 안면 사이의 거리를 가까워지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팔꿈치를 온전히 구부린 상태에서 물품을 들고있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한 자세이므로,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생체정보 인식을 진행할 수 있도록, 생체정보 인식기(200)가 외부에 돌출되는 형태로 부착되어 생체정보 인식기(200)와 홍채 및 안면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팔꿈치가 약간 구부러진 상태에서 생채정보 인식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user can fully bend the elbow to make the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100 and the iris and the face close to each other. However, since it is uncomfortable for the user to hold the article while fully bending the elbow,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may be attached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200 so as to allow the user to recognize the biometric information in a comfortable pos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ris 200 and the face becomes closer to allow the user's elbow to be recognized in a slightly bent state.

다음으로, 반사부(160)는 고휘도의 반사판 또는 LED를 사용하여, 제1하우징(110) 또는 제2하우징(12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반사부(160)는 사용자가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를 어두운 환경에서도 식별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Next, the reflector 16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first housing 110 or the second housing 120 using a high-brightness reflector or LED. The reflector 160 is provided to enable the user to identify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even in a dark environment.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는 내부에 수납되는 물품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흡수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충격흡수수단은 제1하우징(110)의 내부와 제2하우징(120)의 내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라텍스, 우레탄 등의 충격을 흡수하며 무겁지 않은 소재를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hock absorbing means (not shown) for preventing an impact of articles stored therein. The shock absorbing means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respectively. Preferably, the shock absorbing means absorbs shocks such as latex and urethane, and is not heavy.

또한, 충격흡수수단은 도 4에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에 수납되는 물품 무선통신수단(400), 배터리(300) 및 배터리 충전기(310)의 형태와 일치하는 형태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4, the shock absorbing means may include a conca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rticl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400, the battery 300 and the battery charger 310 housed in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100 have.

다음으로,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의 소재로는 PVC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를 휴대하기 편하도록 가볍되, 내부에 무선통신장치, 배터리 및 배터리케이블과 같은 물품이 수납되어도 지탱할 수 있는 견고한 소재를 채용할 수 있다. Next, it is preferable to adopt PVC as the material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possible to adopt a rigid material that is light enough to carry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100 and can be supported even when an article such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battery, and a battery cable is stored therein.

상술한 구성을 통해, 특정 교육을 이수해야 하는 사람들의 인증과정 및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사람의 인증 등과 같은 사용자 인증을 생체정보 인식을 통해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user authentication such as the authentication process of the persons who have to complete the specific education and the authentication of the person aboard the vehicle can be easily performed through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예를 들어, 특정 교육을 이수해야하는 프로그램에서 야외강의 및 실내강의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실내에서는 의자에 앉아 있는 사용자에게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의 손잡이 또는 하우징을 잡고 생체정보 인식을 통한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an outdoor lecture and an indoor lecture are repeatedly performed in a program that requires a specific education, a user sitting in a chair may be provided with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It is possible to hold the handle or the housing of the recognition apparatus 100 and conduct authentication of the user through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다음으로 사용자들은 옆 사용자에게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를 하우징과 손잡이를 통해 옆 사용자들에게 건내줄 수 있으며, 실내강의에 참석한 사용자들은 본인의 자리에 착석한 상태로, 생체인식을 통해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Next, the user can present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100 to a side user through a housing and a handle, and the users attending the lecture can sit in the seat of the user, You can perform your identity verification.

또한, 야외에서 인증이 필요할 경우에도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를 들고 이동하여, 야외에서 교육을 이수하는 사용자들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탈자를 방지 및 교육의 대리 이수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authentication is required outdoors,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can be moved by carrying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and authenticate users who are trained in the field. This can prevent abductees and prevent the attendance of education.

또한,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인증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 차량의 창문을 통해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를 건내받아 생체인증을 통해 운전자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승용차가 아닌 대형차량도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에 구비된 손잡이(160)를 통해 하차하지 않고도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100)를 건내받아 생체인증을 통한 운전자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required to perform the authentication of the driver who boarded the vehicle, the driver can carry out the driver authentication process through the biometric authentication by carrying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00 through the window of the vehicle without getting off the vehicle . In addition, a large-sized vehicle other than a passenger car can carry out the driver authentication process by biometrics authentication through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without getting off the handle 160 provided in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apparatus 100 have.

본 고안의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기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인식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진행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Through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restriction of the space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authentication should proceed through the biometrics of the user.

100 :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
110 : 제1하우징
115 : 연결홀
120 : 제2하우징
130 : 연결부
150 : 손잡이
160 : 반사부
170 : 잠금부
171 : 잠금장치 연결부
172 : 잠금장치 고정부
173 : 잠금장치
200 : 생체정보 인식기
300 : 배터리
310 : 배터리 충전기
400 : 무선통신수단
100: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110: first housing
115: Connection hole
120: second housing
130:
150: Handle
160:
170:
171:
172: Locking device fixing portion
173: Locking device
200: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300: Battery
310: Battery charger
400: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Claims (2)

생체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식이 가능한 생체정보 인식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는,
외부에 생체정보 인식기가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일측면을 연결하되, 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부;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결합 및 분리가 되도록 형성된 잠금부; 및
상기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를 어두운 곳에서 식별하기 위한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생체정보 인식기의 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는 연결홀; 및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는, 방수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잠금장치가 제1하우징에 부착되기 위한 잠금부 연결부; 및 상기 제2하우징에 잠금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 고정수단;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결합되도록 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 및 평면, 저면, 우측면, 좌측면, 배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는,
제2하우징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구비되는 경우, 길이방향이 제2하우징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되, 일단이 상기 생체정보 인식기의 중심과 하단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며, 타단은 상기 생체정보 인식기의 하단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
A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including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 through biometric information,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comprises:
A first housing attached to the outside so as to project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A second housing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and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o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with respect to the connected shaft,
A locking portion formed to be engaged and disengag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d
And a reflection unit for identifying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in a dark place,
The first housing includes: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a cable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can pass; And a concave portion into which the protrusion can be inserted,
Wherein the recess comprises a waterproof packing,
The locking portion
A locking portion connecting portion for attaching the locking device to the first housing; And locking securing means for securing the locking device to the second housing; And a locking device for allowing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to be engaged,
The second housing includes:
A protrus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ss; And a handle on at least one of a flat surface, a bottom surface, a right surface, a left surface, and a rear surface,
The handle
Wherein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hou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one end being located at a height between the center and the lower end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And is locat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lower end.
청구항 1에 있어,
상기 생체정보 인식기는,
홍채, 안면, 지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를 스캐닝 할 수 있는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생체정보 인식 장치.
In claim 1,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r includes:
An apparatus capable of scanning at least one of biometrics information of iris, face, and fingerprint, and
Wherein the portabl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ing device comprises a display device.
KR2020180001234U 2018-03-21 2018-03-21 Portable biometric recognition device KR20048666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34U KR200486669Y1 (en) 2018-03-21 2018-03-21 Portable biometric recogni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34U KR200486669Y1 (en) 2018-03-21 2018-03-21 Portable biometric recogni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669Y1 true KR200486669Y1 (en) 2018-06-19

Family

ID=6274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234U KR200486669Y1 (en) 2018-03-21 2018-03-21 Portable biometric recogni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669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7942A1 (en) * 2003-09-17 2005-06-23 Lafleur Bernard B. Rapid depolyment portable interactive kiosk
JP2009070110A (en) * 2007-09-13 2009-04-02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Portable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KR20100110132A (en) * 2009-04-02 2010-10-12 김성열 Portable identification certificating apparatus
KR101349607B1 (en) 2013-07-16 2014-01-09 한솔테크닉스(주) Biometrics device
US20150150349A1 (en) * 2011-05-05 2015-06-04 Rollaguard Security, Llc Security ca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7942A1 (en) * 2003-09-17 2005-06-23 Lafleur Bernard B. Rapid depolyment portable interactive kiosk
JP2009070110A (en) * 2007-09-13 2009-04-02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Portable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KR20100110132A (en) * 2009-04-02 2010-10-12 김성열 Portable identification certificating apparatus
US20150150349A1 (en) * 2011-05-05 2015-06-04 Rollaguard Security, Llc Security case
KR101349607B1 (en) 2013-07-16 2014-01-09 한솔테크닉스(주) Biometrics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5895B2 (en) Multi-factor and multi-mode biometric physical access control device
US10264865B2 (en) Luggage
AU2008299811B2 (en) Smart wallet
JP5630318B2 (en) Smart entry system
US8717429B2 (en) Method of automatically unlocking an opening member of a motor vehicle for a hands-free system, and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N1972186B (en) A mobile identity authentication system and its authentication method
ES2244088T3 (en) EXCLUSIVE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
KR101530654B1 (en) Key fob with protected biometric sensor
US7481364B2 (en) Biometric identification device with smartcard capabilities
CN103958290A (en) Rf biometric ignition control system
US20070220272A1 (en) Transaction authentication card
WO2007018151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06268831A (en)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memory key with fingerprint authentication
CN102385766A (en) Palmprint-based authentication unlocking method, terminal and system
CN112585600A (en) User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using neuromuscular signatures
CN209637423U (en) Intelligent automatic identification automatic door unit
US20190180543A1 (en) Wireless Biometrics-Based Locking System
KR200486669Y1 (en) Portable biometric recognition device
Kader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igital calling bell with door lock security system using fingerprint
JP2022036337A (en) Smartphone case and authent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113799733A (en) Method, control device, system and vehicle for controlling vehicle from outside of vehicle
US20180225435A1 (en) Portable device with biometric activation
US201100678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safety of electrically operated folding partitions
JP2003041822A (en) Appliance unlocking system
CN207718453U (en) A kind of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