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571Y1 - Narrow table having of grooved goods - Google Patents

Narrow table having of grooved goo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571Y1
KR200485571Y1 KR2020160002047U KR20160002047U KR200485571Y1 KR 200485571 Y1 KR200485571 Y1 KR 200485571Y1 KR 2020160002047 U KR2020160002047 U KR 2020160002047U KR 20160002047 U KR20160002047 U KR 20160002047U KR 200485571 Y1 KR200485571 Y1 KR 2004855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object placing
present
placing groove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04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3676U (en
Inventor
김대준
Original Assignee
김대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준 filed Critical 김대준
Priority to KR2020160002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571Y1/en
Publication of KR201700036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67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5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57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4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or fastening typewriters or computer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사물 거치홈(7)이 형성된 협탁에 관한 것으로, 협탁(1)을 구성하는 테이블(6)의 상부면 일단에 소정 깊이와 소정 기울기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물 거치홈(7) 및/또는 꽂이구멍(8) 및/또는 구멍(9)과 통공(10)을 형성하여 태블릿 PC, 모바일 기기, 스마트폰, 전자기기, 스마트 기기, 필기구, 액자, 책자, 시트류, 기타 생활용품 등을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사물 거치홈(7)은, 소정 깊이와 소정 기울기를 갖는 바닥부(7c)와, 바닥부(7c) 양측에 형성되는 소정 기울기의 측면부(7a)(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공(10) 일측에 통공(10)과 연결되고 폭이 좁은 젠더 걸림공(1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tionary object having a plurality of object placing grooves 7 and a plurality of object placing grooves 7 formed at one end of a top surface of a table 6 constituting the stationery 1, A tablet PC, a mobile device, a smart phone, an electronic device, a smart device, a writing instrument, a frame, a booklet, a sheet, and other household goods by forming a through hole 8 and / or a hole 9 and a through- So that it can be easily mounted.
The object placing groove 7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portion 7c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side portions 7a and 7b of predetermined inclina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7c.
And may further include a gender locking hole 10a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10 at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10 and having a narrow width.

Figure 112016036222994-utm00004
Figure 112016036222994-utm00004

Description

사물 거치홈이 형성된 협탁{Narrow table having of grooved goods}{Narrow table having of grooved goods}

본 고안은 사물 거치홈이 형성된 협탁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테이블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치홈과 구멍을 형성하여 각종 사물을 간편하게 거치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 기기(휴대폰, 태블릿 PC 등)의 젠더가 간편하게 걸림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forming a table in a smart device (a mobile phone, a tablet PC Etc.) can easily be hooked.

일반적으로, 협탁은 침대(또는 책상) 등의 가구에 비치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가구로, 침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일들을 처리할 수 있어서 실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침대 부근에 배치되는 협탁의 경우 잠자리에 들기 전에 책을 보거나 신문을 읽다가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스텐드를 점멸할 수 있게 되고, 취침시 필요한 차와 음료 등을 올려놓는 보조 가구로도 사용된다.
Generally, a thimble is an auxiliary furniture which is stored in a furniture such as a bed (or a desk)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and is widely used indoors because it can handle various things without leaving the b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anknote placed near a bed, it can be used as an auxiliary furniture for reading a book or reading a newspaper before going to bed, blinking the stand while lying on a bed, and putting tea and drinks required for bedtime .

한편, 스마트폰이나 모바일 기기, 태블릿 PC, MP3, 휴대용 동영상 플레이어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는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생활기기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 중 스마트폰이나 모바일 기기와 같은 경우에는 어린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mobile devices, tablet PCs, MP3s, and portable video players are becoming indispensable devices for everyday life. In the case of smart phones or mobile devices, Is widely used.

이러한 스마트폰은 주로 상대방과의 통화를 목적으로 휴대하고 있지만, 통화 이외에 문자를 주고받거나 또는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셀카 등을 찍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요즘은 스마트폰에 MP3 기능과 동영상 플레이어, DMB 기능을 더 부가함으로써 단순한 통화나 문자전송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Such a smartphone is mainly used for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but it is mainly used for sending and receiving characters in addition to a call or using a camera function, and nowadays, a smartphone has an MP3 function, a video player and a DMB function So that various functions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o simple call or text transmission.

또한, 스마트폰에 DMB 기능이나 동영상 플레이어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DMB 시청 또는 동영상을 감상할 때 넓은 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와이드 기능을 부가하고 있으며, DMB 시청이나 동영상을 감상할 때 스마트폰을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자동적으로 와이드형으로 바뀌어 넓은 화면이 제공되고 있다.
In addition, by adding DMB function or video player function to smartphone, wide function is added so that it can be viewed as a wide screen when viewing DMB or moving image. When viewing DMB or moving image,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phone automatically changes to wide type, and a wide screen is provided.

그러나, 이와 같이 와이드형으로 바뀌는 넓은 화면을 이용하여 DMB 시청이나 동영상을 감상할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스마트폰을 한 손으로 계속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user views a DMB or a moving picture by using a wide screen that is changed to a wide type, the user must keep the smart phone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one hand.

즉, 스마트폰 자체에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DMB 시청 또는 동영상을 넓은 와이드 화면으로 감상하고자 할 경우에, 스마트폰을 가로방향으로 눕힌 상태에서 한 손 또는 양손으로 스마트폰의 가장자리를 파지하고 있어야 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에 무리가 가해지거나 심할 경우에는 손목 통증이나 어깨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In other words, since the smartphone itself does not have a separate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smartphone, when the user wants to watch the DMB or watch the video on a wide wide screen, The user must grasp the edge of the smartphone,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e user's hand or in the case of severe wrist pain or shoulder pain.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동영상 감상이나 DMB를 시청할 경우도 스마트폰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 위치에 맞도록 들고 있어야 하므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DMB 시청 또는 동영상 감상을 할 때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must be hel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s even when watching a video or watching a DMB using a smartphon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when watching a DMB using a smartphone or watching a video have.

또한, 종래의 협탁에는 스마트폰 등의 사물을 거치할 수 있는 방법이나 거치수단이 제공되지 않아 협탁 테이블 위에 단순히 얹은 상태로 사용하고 있어서 상기와 같은 불편함이 있으며, 충전이나 데이터 전송시에 사용하는 스마트폰 젠더의 경우 젠더를 잡아주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서 스마트폰과 분리시키는 경우 실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으며, 전화가 온 경우에도 상반신을 일으키거나 손으로 스마트폰을 들고 조작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필기구의 경우에도 협탁 테이블 위에 눕혀 보관하는 경우 손으로 잡기가 불편할 뿐 아니라 협탁 밑으로 쉽게 떨어지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a conventional means for storing objects such as smart phones is not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banking system, it is used simply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a table, which is inconvenient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smartphone gender, there is no separate means to catch gender, so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it often falls down to the floor of the room. Even if the phone is turned on, In the case of a writing instrument, when it is laid down on a table, it is inconvenient to hold it by hand, and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falling easily under the tabl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7648호(고안의 명칭: 슬라이드식 협탁, 2002. 06. 07. 실용신안공고)Register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7648 (Name of Design: Slide-type Alloy, 2002. 06. 07. Announcement of Utility Model Applica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4892호(발명의 명칭: 복합 협탁, 2004. 07. 21. 특허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64892 (entitl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29355호(발명의 명칭: 하이테크 디지털 다기능의 협탁, 2002. 04. 18. 특허공개)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0029355 (entitled " High Tech Digital Multifunctional < RTI ID = 0.0 >

본 고안은 테이블 상부면 일단에 스마트폰이나 필기구, 액자 등의 다양한 사물을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물 거치홈을 형성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물 거치홈이 형성된 협탁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tionary object mounting platform in which one or more object mounting grooves are formed at one end of a table so that various objects such as a smart phone, a writing instrument, a frame, and the like can be easily mounte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기기(휴대폰, 태블릿 PC 등)로부터 분리된 젠더가 걸림되는 협탁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nged snippet separated from a smart device (cell phone, tablet PC, etc.).

본 고안 협탁은,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는 테이블 일단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물 거치홈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bject mounting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one end of a table provided on a support.

본 고안 협탁은,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는 테이블 상부면 일단에 소정 깊이와 소정 기울기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물 거치홈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bject mounting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t one end of a table top surfac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support.

상기 사물 거치홈의 바닥에는, 꽂이구멍 또는 구멍 또는 통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a hole, a hole or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상기 사물 거치홈은, 소정 깊이와 소정 기울기를 갖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양측에 형성되는 소정 기울기의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bject placing groove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side portions of a predetermined inclina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상기 통공 일측에 통공과 연결되고 폭이 좁은 젠더 걸림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may further include a gender jam hol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at one side of the through-hole and having a narrow width.

본 고안은 테이블(6) 상부면 일단에 형성되는 사물 거치홈(7)에 태블릿 PC, 모바일 기기, 스마트폰(13), MP3, 휴대용 동영상 플레이어, 전자기기, 필기구(14), 액자, 책자, 각종 시트류, 기타 생활용품 등을 간편하게 거치, 보관, 정돈할 수 있으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mobile device, a smartphone 13, an MP3 player, a portable video player, an electronic device, a writing instrument 14, a picture frame, a booklet, a booklet, and the like in the object placing groove 7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6, Various kinds of sheets and other daily necessities can be easily mounted, stored, and arranged,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본 고안 사물 거치홈(7)은, 소정 깊이를 가지며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구성에 의해 거치되는 사물들이 앞으로 기울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This elevator mounting groove 7 has a predetermined depth and is inclined rearward, so that objects to be mounted are not tilted forward.

본 고안은 사물 거치홈(7) 바닥에 형성되는 구멍(9)이나 통공(10)을 이용하여 태블릿 PC, 모바일 기기, 스마트폰(13), MP3, 휴대용 동영상 플레이어 등의 스마트 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충전하거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te in which a smart device such as a tablet PC, a mobile device, a smart phone (13), an MP3 player, and a portable video player is mounted using a hole (9) or a through hole And the digital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본 고안은 통공(10) 일측에 작은 크기의 젠더 걸림공(10a)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마트 기기의 젠더(15)를 간편하게 걸어 놓을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use because the gender 15a of the smart device can be easily hung by forming a small size gender hole 10a at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10.

본 고안은 사물 거치홈(7)이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스마트폰(13) 등을 옆으로 눕혀 거치할 수 있어서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DMB 기능으로 TV를 시청할 때 넓은 화면(와이드 기능)으로 시청할 수 있으며, 손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손에 무리가 가해지거나 손목 통증 및 어깨 통증 등이 유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object mount groove 7 is formed horizontally long, the smartphone 13 can be laid down on the side so that it can be viewed with a wide screen (wide function) when watching a movie or watching a TV using the DMB function And it is not necessary to hold it by hand, so tha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s hand is not crowded, the wrist pain and the shoulder pain are not caused.

본 고안은 꽂이구멍(8)을 이용하여 필기구(14)를 세워 거치하거나 보관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필기구(14)가 테이블(6)을 이탈하거나 장소를 많이 차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writing instrument 14 can be erected or stored by using the holder hole 8 so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and the writing instrument 14 does not deviate from the table 6 or takes up a lot of space .

본 고안은 실내에 비치되는 협탁(1)의 거치홈(7)을 이용하여 사물을 거치할 수 있으므로 실내가 깔끔하게 정리정돈될 뿐 아니라, 별도의 거치대나 거치수단이 필요 없어 경제적인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rrange objects using the mounting grooves 7 of the alcove (1) provided in the room,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rooms neatly, an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radle or a mounting means, It is a very useful devise.

도 1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정면도.
도 3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측면도
도 4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평면도.
도 5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사물 거치홈의 구멍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 : 본 고안 다른 예로 도시한 사물 거치홈의 통공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사물 거치홈의 통공 부분 확대 단면도로, 젠더를 젠더 걸림공에 걸림시킨 상태도.
도 8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측면도.
도 9 : 본 고안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10 : 본 고안 다른 예로 도시한 사물 거치홈 부분 측면도.
도 11 : 본 고안 다른 예로 도시한 평면도.
도 12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사물 거치홈 부분 측면도.
도 13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14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측면도.
도 15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사물 거치홈의 꽃이구멍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6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사물 거치홈의 통공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7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측면도.
도 18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측면도.
Figure 1: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3: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e of the object mounting groove shown in this embodiment.
Fig. 6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through hole of the object mounting groove show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rough hole of the object mounting groove shown in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tate in which the gender is hooked on the gender hook.
Fig. 8: Side view of the state of use shown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object mounting groove portion show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the object mounting groove portion show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s yet another example.
Fig. 15: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6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through-hole of the object mounting groove show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s yet another embodiment.
Figure 18: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s yet another exampl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fferent from what is actually embodied in the schematized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협탁(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측면도이고, 도 4는 평면도이고, 도 5, 도 6은 사물 거치홈(7)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FIG. 3 is a side view, FIG. 4 is a plan view, and FIG. 5 and FIG. 6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a portion of the object mounting groove 7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 협탁(1)은 지지대(2) 상부에 설치되는 평판형 테이블(6)의 상부면 일단에 상부로 개방되는 소정 깊이(d1)의 사물 거치홈(7)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각종 사물을 간편하게 거치 및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t least one object placing groove 7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d1 is formed on one end of an upper surface of a flat table 6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table 2 to open upward, Can be easily mounted and stored,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상기 거치 사물로는, 사물 거치홈(7)에 삽입(투입)시켜 거치할 수 있는 크기의 각종 생활품, 예컨대, 태블릿 PC, 모바일 기기, 스마트폰(13), MP3, 휴대용 동영상 플레이어, 전자기기 등의 스마트 기기나, 필기구(14), 액자, 책이나 책자, 각종 시트류, 기타 생활용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stationary object include various kinds of living articles of a size that can be inserted (inserted) into the object placing groove 7, such as a tablet PC, a mobile device, a smart phone 13, an MP3 player, a portable video player, A smart device, a writing instrument 14, a frame, a book or a booklet, various sheets, and other daily necessities.

도 5는 상기 사물 거치홈(7)의 확대 단면도로, 상부로 개방되며, 바닥부와 양 측면부에 의해 소정 깊이(d1)의 거치공간이 형성된다.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which is opened to the top, and a seating space of a predetermined depth d1 is formed by the bottom portion and both side portions.

상기 사물 거치홈(7)의 깊이(d1)는, 거치되는 사물이 테이블(6) 전방으로(앞으로) 넘어지거나 크게 기울어지지 않는 깊이, 이를테면 사물 거치홈(7)에 의해 테이블(6)의 강도가 약화되지 않도록 테이블(6) 높이(h)의 1/2 ~ 2/3 깊이가 바람직하며, 상기 사물 거치홈(7)의 폭(W)은 사물 폭(두께) 보다 1.2 ~ 3배 크게 구성함으로써 거치되는 사물이 테이블(6) 후방으로 기울어져 거치 된다.
The depth d1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is set such that the depth of the object to be placed does not fall forward or tilts greatly toward the front of the table 6, Is preferably 1/2 to 2/3 of the height h of the table 6 so as not to weaken the height of the table 6 and the width W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is 1.2 to 3 times larger than the object width So that an object to be mounted is inclined rearward of the table 6 to be mounted thereon.

상기 사물 거치홈(7)의 상부 모서리 부분은 만곡형으로 구성하거나 상향할수록 미소하게 벌어지도록 구성하여 사물을 거치할 때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is formed in a curved shape or is formed so as to be slightly widened upward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when an object is placed.

도 6, 도 8은 사용 상태 측면도로, 거치 사물의 하나로 예시한 스마트폰(13)의 경우, 테이블(6)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거치하면, 스마트폰(13)의 하부가 사물 거치홈(7)으로 유입되어 전후 유동이 방지되므로 안정적인 거치가 달성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스마트폰(13)을 거치한 상태에서 조작하더라도 스마트폰(13)의 유동(특히 전후 유동)이 방지되며, 소정 기울기의 거치 각도에 의해 스마트폰(13)의 화면을 최적의 편안한 각도로 볼 수 있게 된다.
6 and 8 are side views of the used state of the smartphone 13 shown in Fig. 1, when the smart phone 13 is tilted rearwardly of the table 6, The flow of the smartphone 13 is prevented (in particular, the back and forth flow) even if the user operates the mobile phone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smartphone 13, It is possible to view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13 at an optimal comfortable angle by the angle.

상기 사물 거치홈(7)은 테이블(6)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함으로써 사물 거치홈(7) 내부로 이물이나 먼지 등이 유입될 경우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사물 거치홈(7)의 양단부에 폭이 좁은 스토퍼나 마구리 부재를 삽탈식, 또는 탈부착식으로 설치하여 미감을 향상시키고, 둥근 형태의 사물이 거치되는 경우 사물 거치홈(7)을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object placing groove 7 is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table 6, so that it can be easily removed when foreign matter, dust or the like flows into the object placing groove 7. Of course, a stopper or a waggon member having a narrow width may b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to insert the object into or out of a detachable manner so as to improve the aesthetics. In the case where a round object is placed, Of course.

본 고안은 도 4, 도 5와 같이 상기 사물 거치홈(7)의 바닥 부분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꽂이구멍(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namental hole 8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상기 꽂이구멍(8)은 도 5와 같이 상부 직경(L1)이 크고(넓고) 하부 직경(L2)이 작은(좁은) 테이프 형상의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도 9와 같이 필기구(14) 등을 수직으로 꽂아 거치할 수 있다. 물론, 사용의 불편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필기구(14) 등을 사물 거치홈(7)에 눕혀 거치 및 보관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협탁 밑으로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된다.
As shown in FIG. 5, the plug hole 8 is formed by forming a (narrow) tape-like hole whose upper diameter L1 is larger (wider) and lower diameter L2 is smaller You can plug it in. Of course, if the inconvenience of use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writing implement 14 or the like may be laid down and stored in the object mounting groove 7, and in this case, the writing implement 14 can not easily fall down under the table.

본 고안은 도 4와 같이 사물 거치홈(7)의 바닥(7c) 부분 타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9)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물 거치홈(7)에 거치되는 스마트폰(13)과 같은 스마트 기기의 충전이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케이블 등을 상기 구멍(9)을 통하여 연결하거나 다른 사물을 끼워 거치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hole 9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7c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as shown in Fig. 4, and the smart phone 13 ) Or a cable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hole 9 or other objects can be inserted and inserted.

본 고안은 사물 거치홈(7)의 바닥 중앙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사물 거치홈(7)에 거치되는 스마트폰(13)의 접속단자에 케이블(16)이 연결된 젠더(15, 접속 잭)를 접속시켜 스마트폰(13)을 충전하거나 다른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through hole 1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terminal of the smart phone 13 And a gender 15 (a connection jack) to which a cable 16 is connected, to charge the smartphone 13 or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other devices.

상기 통공(10)의 일측에는 통공(10)과 연결되면서 폭이 좁은 젠더 걸림공(10a)을 형성하여, 도 7과 같이 스마트폰(13)으로부터 분리된 젠더(15)를 걸어 놓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젠더(15)가 실내 바닥(11)으로 추락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젠더(15)를 스마트폰(13)에 편리하게 접속하거나 분리시킨 다음 젠더 걸림공(10a)에 걸어 보관할 수 있게 된다.
A narrow gender hole 10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10 so that the gender 15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13 can be hung as shown in FIG. So that the gender 15 does not fall down to the room floor 11 and thus the gender 15 can be conveniently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13 and then held in the gender locking hole 10a.

도 10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로, 같은 구성의 사물 거치홈(7)과 사물 거치홈(71)을 소정 거리, 예컨대 사물 거치홈(7) 폭(W)의 1.5 ~ 5배 범위로 이격시켜 형성하되, 도 11과 같이 평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더욱 많은 사물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사물 거치홈(7)의 바닥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꽂이구멍(8)과 구멍(9)을 형성할 수 있다.10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placing groove 7 and the object placing groove 71 having the same structur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1.5 to 5 times the width W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11, so that a greater number of objects can be stowed. At least one staking hole 8 and a hole 9 can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

도 12는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로, 같은 구성의 사물 거치홈(7)과 사물 거치홈(72)을 소정 거리로 이격시켜 평행하도록 형성하되, 전방에 위치하는 사물 거치홈(72)의 크기가 후방에 위치하는 사물 거치홈(7)의 크기보다 1/3~2/3 크기로 작게 구성함으로써, 보다 작은 크기의 사물을 전방의 사물 거치홈(72)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Fig. 12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2/3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located at the rear, the object of smaller size can be placed in the object placing groove 72 at the front.

상기에서 후방 사물 거치홈(7)의 깊이(d1)는 테이블(6) 전체 높이(h)의 2/3 전후 깊이가 바람직하며, 전방 사물 거치홈(72)의 깊이(d2)는 테이블(6) 전체 높이(h)의 1/3 전후 깊이가 바람직하다.
The depth d1 of the rear object fixing groove 7 is preferably about 2/3 of the total height h of the table 6 and the depth d2 of the front object fixing groove 72 is preferably the depth of the table 6 ) A depth of about 1/3 of the total height h is preferable.

도 13 내지 도 18은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으로, 사물 거치홈(7)을 테이블(6)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사물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Figs. 13 to 18 are view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placing groove 7 is inclined rearwardly of the table 6 so as to mount objects more effectively.

도 5와 같이 지지대(2) 상부에 설치되는 평판형 테이블(6)의 상부면 일단에 소정 깊이(d3)(d4)와 소정 기울기(θ1)(θ2)의 사물 거치홈(7)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각종 사물을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5, at least one object placing groove 7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d3) and a predetermined depth (? 1) (? 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table 6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ing table 2 So that various objects can be easily mounted.

상기 사물 거치홈(7)은 소정 깊이와 소정 기울기를 갖는 바닥부(7c)와, 바닥부(7c) 양측에 형성되는 소정 기울기(θ1)(θ2)의 측면부(7a)(7b)로 구성된다.
The object placing groove 7 is composed of a bottom portion 7c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side portions 7a and 7b of a predetermined inclination? 1 (? 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7c .

상기 사물 거치홈(7)의 깊이는 거치되는 사물이 테이블(6) 전방으로(앞으로) 넘어지거나 크게 기울어지지 않는 깊이, 이를테면 사물 거치홈(7)에 의해 테이블(6)의 강도가 약화되지 않도록 테이블(6) 높이(h)의 1/2 ~ 2/3 깊이가 바람직하며, 사물 거치홈(7)의 기울기는 거치되는 사물이 테이블(6) 후방(뒤로)으로 자연스럽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테이블(6) 후방(뒤로)으로 기울어지는 기울기이다.The depth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is set so as not to weaken the strength of the table 6 by a depth that the object to be placed does not fall forward or tilts greatly (for example, forward) The inclination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is preferably set so that the object to be mounted is tilted to the rear (back) of the table 6, 6) It is the slope that tilts backward (backward).

예컨대, 측면부(7a)의 기울기(θ2)는 상향할수록 테이블(6) 수직 가상선을 기준으로 5 ~ 35°벌어지는 기울기가 바람직하며, 측면부(7b)의 기울기는 테이블(6)의 수직 가상선을 기준으로 수직이거나 측면부(7a) 방향으로 0.5 ~ 5°기울기가 바람직하며, 바닥부(7c)는 측면부(7a)와 직각(90°)이거나 90°±5°기울기가 바람직하다.
For example, the inclination? 2 of the side surface portion 7a is preferably upwardly inclined by 5 to 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virtual line of the table 6, and the inclination of the side surface portion 7b is preferably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virtual line of the table 6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is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portion 7a or inclined by 0.5 to 5 degrees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surface portion 7a and the bottom portion 7c is preferably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portion 7a or inclined by 90 degrees ± 5 degrees.

상기 사물 거치홈(7)의 평균 깊이(d1)는 측면부(7a)의 깊이(d1)와 측면부(7b)의 깊이(d2)를 합산한 다음 제산한 깊이(d1+d2/2)이다.
The average depth d1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is the depth d1 + d2 / 2 divided by adding the depth d1 of the side portion 7a and the depth d2 of the side portion 7b.

본 고안은 상기 사물 거치홈(7)의 바닥(7c) 부분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꽂이구멍(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namental hole 8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7c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

상기 꽂이구멍(8)은 도 15와 같이 상부 직경(L1)이 크고(넓고) 하부 직경(L2)이 작은(좁고) 테이프 형상의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필기구(14) 등을 수직으로 꽂아 거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5, the plug holes 8 can be formed by vertically inserting the writing implement 14 or the like by forming a tape-like hole having a large (wider) upper diameter L1 and a lower (lower) diameter L2 smaller have.

본 고안은 도 16과 같이 사물 거치홈(7)의 바닥(7c) 일측이나 중앙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물 거치홈(7)에 거치되는 스마트 기기의 전원 케이블(15) 및 젠더(16)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케이블 등을 상기 통공(9)을 통하여 연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through hole 10 formed at one side or the center of the bottom 7c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as shown in FIG. A power cable 15, a gender 16, a cable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nd the like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9.

도 17은 본 고안 또 다른 실시 예의 측면도로, 같은 구성의 사물 거치홈(7)과 사물 거치홈(71)을 소정 거리로 이격시켜 형성하되, 도 10과 같이 평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더욱 많은 사물을 거치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바닥부(7c)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꽂이구멍(8)과 구멍(9)을 형성할 수 있다.
Fig. 17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side view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and the object placing groove 71, And at least one can hole 8 and a hole 9 can b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7c.

도 18은 본 고안 또 다른 실시 예의 측면도로, 같은 구성의 사물 거치홈(7)과 사물 거치홈(72)을 소정 거리로 이격시켜 평행하도록 형성하되, 전방에 위치하는 사물 거치홈(72)의 크기가 후방에 위치하는 사물 거치홈(7)의 크기보다 1/3~2/3 크기로 작게 구성함으로써 보다 작은 크기의 사물을 전방의 사물 거치홈(72)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18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placing groove 72 and the object placing groove 72 are form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and the object placing groove 72 3 to 2/3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bject mounting groove 7 located at the rear, so that a smaller size object can be mounted in the front object mounting groove 72.

상기에서 후방 사물 거치홈(7)의 깊이(d3)는 테이블(6) 전체 높이(h)의 2/3 전후 깊이가 바람직하며, 전방 사물 거치홈(72)의 평균 깊이(d4)는 테이블(6) 전체 높이(h)의 1/3 전후 깊이가 바람직하다.
The depth d3 of the rear article fixing groove 7 is preferably about 2/3 of the total height h of the table 6 and the average depth d4 of the front article fixing groove 72 is preferably set to about 6) A depth of about 1/3 of the total height h is preferable.

상기 협탁(1)은 테이블(6) 하단에 구성되는 서랍(3) 및/또는 수납부(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3)은 전면부에 손잡이(3a)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부재와 레일 부재가 장착되어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The station 1 may include a drawer 3 and / or a storage unit 5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able 6. The drawer 3 is provided with a handle 3a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The member and the rail member can be mounted and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상기 수납부(5)는 서랍(3)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성되고 바닥판(4a)에 의해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포함되며, 상기 공간에 또 다른 서랍이 설치될 수도 있다.
The storage compartment 5 may be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drawer 3 and include a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objects by the floor plate 4a, and another drawer may be installed in the space.

상기 지지대(2)는 판재이거나 기둥 형태의 사각부재일 수 있으며, 사각부재와 사각부재 사이를 판재(2a)로 막아 고정시킬 수 있다.
The support base 2 may be a plate or a quadrilateral member in the form of a column, and the plate member 2a may be provided between the quadrangular member and the quadrangular member to fix the plate.

본 고안은 테이블(6) 상부면 일단에 형성되는 사물 거치홈(7)에 태블릿 PC, 모바일 기기, 스마트폰(13), 전자기기, 스마트 기기, 필기구(14), 액자, 책자, 각종 시트류, 기타 생활용품 등을 간편하게 거치, 보관, 정돈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tablet PC, a mobile device, a smart phone 13, an electronic device, a smart device, a writing instrument 14, a frame, a booklet, various kinds of sheets , And other daily necessities can be easily mounted, stored and arranged.

본 고안 사물 거치홈(7)은, 소정 깊이를 가지며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구성에 의해 거치되는 사물들이 테이블(6)의 전방으로(앞으로) 쓰러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는다.The object mounting groove 7 has a predetermined depth and is tilted rearward so that objects to be mounted are not collapsed forward or forward of the table 6.

본 고안은 사물 거치홈(7)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므로 스마트폰(13) 등의 사물을 옆으로 눕혀 거치할 수 있어서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DMB 기능으로 TV를 시청할 때 넓은 화면(와이드 기능)으로 시청할 수 있으며, 손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손에 무리가 가해지거나 손목 통증 및 어깨 통증 등이 유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object mount groove 7 is formed to have a long length, objects such as the smart phone 13 can be laid down on the side so that the user can watch the moving image or the wide screen (wide function) And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hold it by his / her hands, so that the user's hand is not crowded or the wrist pain and shoulder pain are not caused.

본 고안은 통공(10) 일측에 작은 크기의 젠더 걸림공(10a)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마트 기기의 젠더(15)를 걸어 놓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젠더(15)가 바닥으로 낙하하지 않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The gender 15 of the smart device can be hooked on the side of the through hole 10 so that the gender 15 can be easily used .

본 고안은 꽂이구멍(8)을 이용하여 필기구(14)를 세워서 거치하거나 보관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며, 테이블(6)을 이탈하거나 거치 장소를 많이 차지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use because the writing utensil 14 can be erected and stored by using the holder hole 8 and does not take up much space or place the table 6.

본 고안은 사물 거치홈(7) 바닥이나 바닥부(7c)에 형성되는 구멍(9)이나 통공(10)을 이용하여 태블릿 PC, 모바일 기기, 스마트폰(13) 등의 스마트 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충전하거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te in which a smart device such as a tablet PC, a mobile device, or a smart phone 13 is mounted using a hole 9 or a through hole 10 formed in the floor or bottom portion 7c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And transmit / receive digital data.

본 고안은 실내에 비치되는 협탁(1)의 거치홈(7)을 이용하여 각종 사물을 거치할 수 있으므로 실내가 깔끔하게 정리정돈이 될 뿐 아니라, 별도의 거치대나 거치수단이 필요 없어 경제적인 등의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rrange various objects using the mounting grooves 7 of the alcove (1) provided in the room, so that not only the rooms are arranged neatly but also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radle or a mounting means, There are advantages.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1)--협탁 (2)--지지대
(2a)--판재 (3)--서랍
(3a)--손잡이 (4)(4a)--평판
(5)--수납부 (6)--테이블
(7)(71)(72)--사물 거치홈 (7a)(7b)--측면부
(7c)--바닥부 (8)--꽂이구멍
(9)--구멍 (10)--통공
(10a)--젠더 걸림공 (11)--실내 바닥
(13)--스마트폰 (14)--필기구
(15)--젠더 (16)--케이블
(d1)(d2)(d3)(d4)--깊이 (h)--높이
(L1)(L2)--직경 (W)--폭
(1) - Alloy (2) - Support
(2a) - plate (3) - drawer
(3a) - Handle (4) (4a) - Flat plate
(5) - a receiving part (6) - a table
(7) (71) (72) - Object fixing grooves (7a) and (7b)
(7c) - bottom part (8) - mounting hole
(9) - hole (10) - through hole
(10a) - a gang hook (11) - an indoor floor
(13) - Smart Phones (14) - Writing Instruments
(15) - Gender (16) - Cable
(d1) (d2) (d3) (d4) - Depth (h) - Height
(L1) (L2) - Diameter (W) - Width

Claims (5)

지지대(2) 상부에 설치되는 테이블(6)과, 테이블(6) 상부면 일단에 소정 깊이와 기울기로 이격 형성되는 사물 거치홈(7)(72)과, 사물 거치홈(7)(72)의 바닥에 통공(10)이 형성된 협탁에 있어서;
상기 사물 거치홈(7)의 깊이는 테이블(6) 높이(h)의 1/2 ~ 2/3이고, 사물 거치홈(7)의 폭(W)은 사물의 폭보다 1.5 ~ 3배 크게 구성하여 사물이 테이블(6) 후방으로 기울어져 거치되도록 하고, 상기 통공(10) 일측에는 통공(10)과 연결되고 폭이 좁은 젠더 걸림공(10a)을 형성하고, 사물 거치홈(72)의 크기는 사물 거치홈(7)의 크기보다 1/3~2/3 작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거치홈이 형성된 협탁.
A table 6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table 2 and a plurality of object placing grooves 7 and 72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inclination at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6, In which the through holes (10) ar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stator (1);
The depth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is 1/2 to 2/3 of the height h of the table 6 and the width W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is 1.5 to 3 time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object A gender hole 10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10 so as to have a narrow width and a size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2 Is formed to be 1/3 to 2/3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bject placing groove (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60002047U 2016-04-15 2016-04-15 Narrow table having of grooved goods KR20048557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47U KR200485571Y1 (en) 2016-04-15 2016-04-15 Narrow table having of grooved go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47U KR200485571Y1 (en) 2016-04-15 2016-04-15 Narrow table having of grooved go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676U KR20170003676U (en) 2017-10-25
KR200485571Y1 true KR200485571Y1 (en) 2018-01-26

Family

ID=6040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047U KR200485571Y1 (en) 2016-04-15 2016-04-15 Narrow table having of grooved goo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571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656B1 (en) * 2020-07-02 2021-04-27 한재용 Side-storage tab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905Y1 (en) * 2001-05-17 2001-10-15 장종국 Apparatus for array of power-code of desk
KR101211437B1 (en) * 2012-04-26 2012-12-12 주식회사 코아스 Pen case and, table with this
KR101549042B1 (en) * 2014-10-31 2015-09-02 주식회사 위노스 Table Mounted Holder for Cable and Pho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355A (en) 2002-03-11 2002-04-18 손영석 High-tech digital multifunction side table
KR20040064892A (en) 2003-01-10 2004-07-21 손영석 Complex narrow ta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905Y1 (en) * 2001-05-17 2001-10-15 장종국 Apparatus for array of power-code of desk
KR101211437B1 (en) * 2012-04-26 2012-12-12 주식회사 코아스 Pen case and, table with this
KR101549042B1 (en) * 2014-10-31 2015-09-02 주식회사 위노스 Table Mounted Holder for Cable and Phon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디자인공보 제30-0581555호(2010.12.09.공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676U (en)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1243B2 (en) Flexible kickstand and mount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825415B1 (en) Elevation adjustment structure of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8360382B2 (en) Stan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8646739B2 (en) Mount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
US20100320349A1 (en) Display device stand
TWM392292U (en) Support rack of flat tablet electronic device
US9743759B1 (en) Traveling tablet
KR200466549Y1 (en) Finger holder for mobile device
US20130327904A1 (en) Slot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Support
US9483075B2 (en) Handheld mount and stand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1778081B2 (en) Electronic device holder
KR101573528B1 (en) Folding type supporter for portable instrument
KR200485571Y1 (en) Narrow table having of grooved goods
KR20130003288U (en) Monitorshelf support
KR20120035810A (en) A hand held device protection case clip and standing. and holding apparatus with a tilt function
US20150208810A1 (en) Foldable chair having portable telephone holder
KR20150002726U (en) Resting Structure For Mobile Telephone
CN212413219U (en) Mobile phone support
US20220228707A1 (en) Apparatuses for holding and mounting mobile devices
KR101424938B1 (en) Multipurpose Supporter
CN216813660U (en) Storage rack
KR20110001588U (en) Support members mounted on cellular phone
KR200476202Y1 (en) Portable reading desk
CN107125939A (en) A kind of book end with mobile phone groove
JP3208950U (en) Smartphone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