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065Y1 - Lighted Mirror - Google Patents

Lighted Mirr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065Y1
KR200485065Y1 KR2020150006128U KR20150006128U KR200485065Y1 KR 200485065 Y1 KR200485065 Y1 KR 200485065Y1 KR 2020150006128 U KR2020150006128 U KR 2020150006128U KR 20150006128 U KR20150006128 U KR 20150006128U KR 200485065 Y1 KR200485065 Y1 KR 200485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irror
user
illumination
mirr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12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1065U (en
Inventor
장정호
Original Assignee
장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호 filed Critical 장정호
Priority to KR2020150006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065Y1/en
Publication of KR201700010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6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06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21V27/02Cable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H05B33/0833
    • H05B37/02
    • H05B37/0227
    • H05B37/027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거울 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경우에 조명장치를 점등할 수 있도록 구현한 조명 거울에 관한 것으로, 테두리 부분의 내측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거울유리판의 테두리를 삽입해서 감싸도록 하기 위한 거울프레임부재; 상기 거울프레임부재의 테두리 부분과 거울유리판이 접하는 부분에 고정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하기 위한 조명부재; 및 상기 조명부재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재를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덮개부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lluminating mirror which is provided with a lighting device capable of emitting light and which is capable of lighting an illuminating device when the user uses the illuminating device. In the illuminating mirror, an inserting groove is formed inside the rim, A mirror frame member for inserting and enclosing an edge of the mirror frame member; An illumination member fixedly formed at a portion of the mirror frame member where the mirror glass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mirror glass member and emitting power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a lid member which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lluminating member and covers and protects the illuminating member.

Description

조명 거울{Lighted Mirror}Lighted Mirror

본 고안은 조명 거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거울 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경우에 조명장치를 점등할 수 있도록 구현한 조명 거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lluminating mirr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lluminating mirror in which an illuminating device capable of emitting light is installed in a mirror frame so that the illuminating device can be turned on when the user uses the illuminating mirror.

거울은, 투명창의 배면에 반사물질이 도포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통상 테두리부재를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벽면 등에 설치되어 사용하게 되며, 보통 집안의 거실이나 화장실, 세면장, 또는 노래방 등 사람이 붐비는 공공장소에 설치된다.The mirror is made by applying reflection material to the back of the transparent window. It is usually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in the state of being joined through the frame member, and it is usually used in a living room, a toilet, a washroom, Respectively.

조명거울은, 거울의 좌우 측면과 상단에 벌브 형태의 형광램프가 설치된 형태로 단순히 거울 주변에 조명을 출력할 뿐이고, 사용자에 대해 수직면으로 균일한 조도(밝기)를 제공한다.The illuminating mirror is provided with a bulb-shaped fluorescent lamp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irror and outputs only the illumination around the mirror and provides a uniform illumination (brightness) to the user in the vertical plane.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2687호(2005.04.15. 등록)는 램프가 구비된 거울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내부에 램프가 구비되며 거울면 외측을 통해 빛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도록 된 거울에 있어서, 중앙표면이 거울창으로 형성되고 그 테두리 주연부가 투명 또는 불투명창으로 된 투과창이 형성되는 거울경과, 거울경의 테두리 외면을 지지하게 되며 거울경과 소정폭 이격상태에서 커버판에 의해 후면을 마감하며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게 되는 커버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의 내부 공간부에 구비된 램프결합대에 설치되어 전원 인가할 시에 불빛을 제공하는 램프와, 커버프레임의 일측에 제공되며 램프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거울의 폭(두께)을 최대한 얇게 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벽면에 설치 시에 보통의 거울두께와 차이가 없어 설치가 편리하고 공간점유율을 차지하지 않아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82687 (registered on Apr. 15, 2005) discloses a mirror equipped with a lamp, which is provided with a lamp inside and a mirror that can radiate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side of the mirror surface A mirror surface in which a center surface is formed as a mirror window and a peripheral edge of which is a transparent or opaque window is formed to support an outer surface of a mirror surface and a mirror surface and a rear surface is closed by a cover plate in a predetermined gap state A cover frame provided on an inner space of the cover frame and provided with a lamp for providing light when a power is applied, and a lamp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ver frame, And a switch.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since the width (thickness) of the mirror can be made as thin as possibl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the mirror and the ordinary mirror when the mirror is installed on the wall, so that the mirror is easy to install and does not occupy space.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0-0010538호(2010.10.27. 공개)는 거울의 프레임 내측 면에서 조명을 설치하여 빛이 나오도록 함으로써 주부나 가족들이 거울을 볼 적에 시각적인 즐거운 빛의 변화가 있어 분위기 연출을 가능하게 하며, 야간에 전원을 인가 할 시에 디자인된 틀의 내측 면에서 빛의 변화로 한층 세련된 주거환경의 시각을 극대화시키고 즐거운 주거문화를 한층 더 빛낼 수 LED 발광 거울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주, 야간에 리모컨으로 거울 틀 내의 LED조명을 디밍할 수가 있으며, 밝기를 자유롭게 조절기능을 겸비한 일체형 아크릴 또는 인조대리석 프레임과, 투과성 인조대리석을 통한 LED바 조명에 관한 것으로 상하 내측 면에 LED바 전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공간 확보를 하며, 좌우는 전기부품을 설치를 하도록 형성되고, 배면의 거울에 탈부착 할 수 있도록 나무 졸대로 고정 설치가 되며, 전원을 인가하면 거울표면에 간접조명이 비추어 얼굴을 비추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orean public utility model 2010-0010538 (published on Oct. 27, 2010) installed the light from the inside of the frame of the mirror so that the light is emitted, so that when the housewife or family watches the mirror, And a LED illuminating mirror capable of maximizing the view of a residential environment more refined by the change of light o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designed at the time of power supply at night and further illuminating a pleasant residential culture.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it relates to an integrated acrylic or artificial marble frame capable of dimming LED lights in a mirror frame with a remote control at night or night and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brightness freely, and LED bar lights through a transparent artificial marble, It has a space to secure the LED bar bulb to the surface. It is formed to install the electric part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t is fixed to the wood sol to be detachable to the mirror on the backside. When the power is applied, So as to illuminate the face.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명 거울은, 거울과 수평한 방향으로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조명장치가 발광할 경우 빛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적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눈부심을 일으킬 수 있고, 조명의 세기를 조절할 수 없어 장시간 사용 시에 눈에 피로를 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거울을 이용하지 않을 때에도 항상 조명이 켜져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낭비되는 전력소모가 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In the conventional illuminating mirror as described above, when an illuminating device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irror, when the illuminating device emits light, the light directly enters the user's eye, which can cause gla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power consumption is wasted because the light can be always turned on even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mirror, and therefore, the user is wasting energy for a long time.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2687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82687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0-0010538호Korean public utility model 2010-0010538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울 틀에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설치하고, 사용자가 이용할 경우에 조명장치를 점등할 수 있도록 구현한 조명 거울에 관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drawback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emitting light at an oblique angle to a mirror frame, To an illumination mirror.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테두리 부분의 내측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거울유리판의 테두리를 삽입해서 감싸도록 하기 위한 거울프레임부재; 상기 거울프레임부재의 테두리 부분과 거울유리판이 접하는 부분에 고정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하기 위한 조명부재; 및 상기 조명부재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재를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조명 거울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rror frame member for inserting and enclosing a rim of a mirror glass plate by forming an insertion groove in an inner side of a rim portion; An illumination member fixedly formed at a portion of the mirror frame member where the mirror glass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mirror glass member and emitting power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a cover member fixedly mounted on the lighting member and covering and protecting the lighting member.

일 실시 예에서, 테두리 부분에 라인홈을 형성하고 테두리 부분의 일측 내부에 장착공간을 형성하며, 테두리 부분의 내측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거울유리판의 테두리를 삽입해서 감싸도록 하기 위한 거울프레임부재; 상기 거울프레임부재의 라인홈에 삽입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기 위한 조명부재; 및 상기 거울프레임부재의 장착공간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조명부재에 전원을 공급하고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a mirror frame member is provided for forming a line groove in a rim portion, forming a mounting space inside one side of a rim portion, forming an insertion groove in an inside of a rim portion and inserting and enclosing a rim of the mirror glass plate. An illumination member inserted into the line groove of the mirror frame member to emit light; And a control member fixed to the mounting space of the mirror frame memb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illumination member and controlling light emiss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거울프레임부재는, 조명부재와 제어부재를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선을 설치하기 위한 연결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mirror frame member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assage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line for connecting the lighting member and the control memb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조명 거울은, 상기 거울프레임부재의 테두리 부분에 삽입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거울프레임부재에 근접할 시에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재로 전달해 주기 위한 센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llumination mirror is inserted into a rim portion of the mirror frame member to detect proximity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close to the mirror frame member and to transmit the sensed signal to the control member And a sensor memb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재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조명부재에 필요로 하는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외부의 전원 온/오프 및 밝기 조절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을 온시켜 주거나 오프시켜 주며,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조명부재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변화시켜 상기 조명부재의 발광 밝기를 조절해 주기 위한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ember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converting the power into a power source necessary for the lighting member;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to b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external power on / off and brightness control, and adjusting the intensity of power supplied to the lighting memb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a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거울프레임부재의 테두리 부분에 삽입 설치된 스위치의 전원 온/오프 또는 센서부재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을 온시켜 주거나 오프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turns on or off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 power on / off state of a switch inserted in a rim of the mirror frame member or a sensing signal of a sensor member do.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재는, 외부의 리모컨으로부터 송신되는 전원 온/오프 명령 및 밝기 조절 명령을 수신받아 상기 전원제어부에 전달해 주기 위한 무선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ember further includes a wireles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power on / off command and a brightness adjusting command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remote controller and transmitting the power on / off command and brightness adjusting command to the power control un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조명 거울은, 상기 거울프레임부재의 테두리 부분에 삽입 설치되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영상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제어부재로 전달해 주기 위한 카메라부재;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영상데이터들을 다수 개의 사용자 얼굴 표정으로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영상데이터들을 미리 표준화하여 사용자 얼굴 표정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사용자 얼굴 표정별로 이에 대응하는 음악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미리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부재; 및 상기 거울프레임부재의 테두리 부분에 삽입 설치되어, 음악데이터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해 주기 위한 스피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llumination mirror includes a camera member inserted in a rim portion of the mirror frame member to convert a photographed image of a user's face into image data and transmit the image data to the control member; In order to divide the image data of the user's face into a plurality of user facial expressions, the image data of the user's face is standardized in advance and stored in a database for each user's facial expression, A memory for storing the data in a database in advance; And a speaker member inserted in a rim portion of the mirror frame member for receiving music data and outputting the music data to the outsid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카메라부재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전달받은 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얼굴 표정을 상기 메모리부재로부터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 얼굴 표정에 대응하는 음악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재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스피커부재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ember may confirm the user facial express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received by receiving the image data from the camera member, from the memory member, and store the music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facial expression of the user in the memory Reads out from the member, and transfers it to the speaker memb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메모리부재로부터 확인한 사용자 얼굴 표정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조명부재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변화시켜 상기 조명부재의 발광 밝기를 조절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ember adjusts the light emission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member by varying the intensity of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illumination member corresponding to the user's facial expression determined from the memory member do.

본 고안에 의하면, 거울 틀에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설치하고, 사용자가 이용할 경우에 조명장치를 점등할 수 있도록 구현한 조명 거울을 제공함으로써, 조명이 발광할 경우 빛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적으로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눈부심이 없고, 조명의 세기를 조절하여 장시간 사용 시에 눈에 피로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근접센서를 설치하여 거울 근처에 사람이 근접할 경우에 조명이 켜지도록 하여 낭비되는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거울 틀에 카메라와 스피커를 삽입 설치하여,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읽고 이에 대응하는 음악을 틀어주어 사용자의 기분을 편안하게 해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emitting light at an oblique inclination is provided on a mirror frame, and an illumination mirror is provided so as to illuminate the illumination device when a user uses the device. Thus, Since it does not come directly into the eyes of the user, there is no glare, and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can be adjusted to prevent fatigue in the eyes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f a proximity sensor is installed,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In addition, by installing a camera and a speaker in a mirror frame, the user can read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user and play music corresponding to the facial expression, thereby making the user feel comfortable.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거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거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거울프레임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거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있는 제어부재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있는 제어부재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거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llumination mirr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4 are views for explaining an illumination mirr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irror frame member in Fig. 2;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llumination mirr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member in Fig. 6 as a first example. Fig.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member in Fig. 7 as a second example. Fig.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n illumination mirr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such effects or merely include such effects.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거울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n illumination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거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llumination mirr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조명 거울(100)은, 거울프레임부재(110), 조명부재(120), 덮개부재(140)를 포함한다.1, an illumination mirror 100 includes a mirror frame member 110, an illumination member 120, and a cover member 140. [

거울프레임부재(110)는, 테두리 부분의 내측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거울유리판(113)의 테두리를 삽입해서 감싸주며, 테두리 부분과 거울유리판(113)이 접하는 부분에 조명부재(120)를 고정 형성한다.The mirror frame member 110 has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side the rim portion to cover and enclose the rim of the mirror glass plate 113 and to fix the illumination member 120 to a portion where the rim portion and the mirror glass plate 11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일 실시 예에서, 거울프레임부재(110)는, 예를 들어 원목재, 철재, 플라스틱재 등의 단단한 소재를 사용하여, 거울유리판(113)을 감싸주어 거울유리판(113)이 깨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irror frame member 110 may be made of a rigid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a raw wood material, a stee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so as to cover the mirror glass plate 113 to protect the mirror glass plate 113 from breaking have.

조명부재(120)는, 상부에 덮개부재(140)를 고정 설치하고, 거울프레임부재(110)의 테두리 부분과 거울유리판(113)이 접하는 부분에 고정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한다.The lighting member 120 is fixed to a portion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where the rim portion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and the mirror glass plate 11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mits light.

일 실시 예에서, 조명부재(120)는, 거울유리판(113) 정면에 거울프레임부재(110)의 테두리 부분과 거울유리판(113)이 접하는 부분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The illumination member 120 may b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irror glass plate 113 at a portion where the mirror glass member 113 and the rim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일 실시 예에서, 조명부재(120)는, 예를 들어 LED 칩을 기판위에 탑재한 전자부품으로서 다수 개의 LED를 구비하여 형성된 LED 모듈을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면 스스로 빛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오토바이, 조명 등에 쓰일 수 있으며, 일측이 긴 바 형태(예를 들면, LED 모듈바)로 제작되어 필요에 따라 3 LED로 절단한 후에 납땜하여 거울프레임부재(110)의 크기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어두운 곳에서도 편리하게 사용자가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ing member 120 may emit light by itself when power is supplied by using, for example, an LED module formed by a plurality of LEDs as an electronic component on which an LED chip is mounted, (For example, an LED module bar), which is cut into 3 LEDs according to need, soldered and cu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And can be used in a dark pla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view the image.

일 실시 예에서, 조명부재(120)는, 거울프레임부재(110)의 테두리 부분과 거울유리판(113)이 접하는 부분에 LED 모듈바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바를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ing member 120 may form a mounting bar for mounting the LED module bars at the edge portions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and the portions where the mirror glass plates 11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일 실시 예에서, 설치바는, 후면에 양면테이프가 부착되어 거울유리판(113)에 설치되며, 양측면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덮개부재(140)의 양측면과 체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unting bar is mounted on the mirror glass plate 113 with a double-sided tape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thereof, and coupling grooves or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so that the mounting bar can be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lid member 140.

덮개부재(140)는, 조명부재(1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조명부재(120)를 덮어서 보호해 준다.The lid member 14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ing member 120 to cover and protect the lighting member 120.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재(14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조명부재(120)가 빛을 발광할 때에 사용자의 눈을 보호해주며, 조명부재(120)가 은은하게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d member 140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which protects the user's eyes when the illuminating member 120 emits light and allows the illuminating member 120 to gently emit light have.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재(140)는, 전면부를 볼록한 형태로 형성하여, 조명부재(120)의 빛을 더 넓게 확산시켜 주어, 조명부재(120)가 먼 곳까지 빛을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d member 140 may be formed in a convex shape in the front surface portion, so that the light of the illumination member 120 may be diffused more widely so that the illumination member 120 may emit light to a far distance .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재(140)는, 예를 들어 방열판으로 형성하여, 조명부재(120)로부터 나오는 열을 낮춰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얼굴에 빛을 비춰 줄 수 있다. 이때, 방열판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다양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d member 140 may be formed, for example, as a heat sink to lower the heat from the illumination member 120, as well as illuminate the user ' s face. At this time, the heat sink may be made of various metal materials such as copper and aluminum.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재(140)는, 거울프레임부재(110)를 관통하여 거울프레임부재(110)에 조명을 부착한 종래의 볼 조명 거울과 달리 거울프레임부재(110)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설치되며, 거울프레임부재(110)가 최대한 돋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d member 140 is configured to prevent damage to the mirror frame member 110, unlike a conventional ball illumination mirror that passes through the mirror frame member 110 and attaches illumination to the mirror frame member 110 And the mirror frame member 110 can be maximized.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거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s. 2 to 4 are views for explaining an illumination mirr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조명 거울(100)은, 거울프레임부재(110), 조명부재(120), 제어부재(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거울프레임부재(110), 조명부재(120), 제어부재(130), 덮개부재(14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2 and 3, the illumination mirror 100 includes a mirror frame member 110, an illumination member 120, and a control member 130. Here, the mirror frame member 110, the illumination member 120, the control member 130, and the cover member 140 will not be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components similar to those of FIG. 1, .

거울프레임부재(110)는, 테두리 부분에 라인홈(111)을 형성하고, 라인홈(111)에 조명부재(120)를 삽입 설치하고, 테두리 부분의 일측 내부에 장착공간(112)을 형성하며, 장착공간에 제어부재(130)를 고정 형성하고, 테두리 부분의 내측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거울유리판(113)의 테두리를 삽입해서 감싸준다.The mirror frame member 110 has a line groove 111 formed in a rim portion and a lighting member 120 inserted in a line groove 111. A mounting space 112 is formed in one side of a rim portion , A control member 130 is fixedly formed in a mounting space, and an inserting groove is formed inside the rim portion to insulate and cover the rim of the mirror glass plate 113.

일 실시 예에서, 라인홈(111)은, 거울유리판의 방향으로 일정 각도(예를 들어, 30도 ~ 135도)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ne grooves 111 may be formed at an angle (for example, 30 to 135 degrees) in the direction of the mirror glass plate.

바람직하게는, 라인홈(111)은, 조명부재(120)가 발광하는 빛이 사용자의 눈으로 바로 비추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90도~135도로 기울어져 형성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ine grooves 111 may be formed by being inclined by 90 to 135 degrees so that the light emitted by the illumination member 120 is not shone directly to the user's eyes.

일 실시 예에서, 장착공간(112)은, 거울프레임부재(110) 테두리 부분의 하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unting space 112 may be formed within the lower portion of the rim portion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조명부재(120)는, 거울프레임부재(110)의 라인홈(111)에 삽입 설치되어, 빛을 발광한다.The illumination member 120 is inserted into the line groove 111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and emits light.

제어부재(130)는, 거울프레임부재(110)의 장착공간에 고정 형성되어, 조명부재(120)에 전원을 공급하고 발광을 제어해 준다.The control member 130 is fixed to the mounting space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to supply power to the illumination member 120 and control the light emission.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130)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거울(100)의 구성요소에 더 포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ember 130 may further be included in the components of the illuminating mirror 100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조명 거울(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llumination mirror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140, as shown in Fig.

덮개부재(140)는, 일측이 라인홈(111)에 삽입 형성되어, 조명부재(120)가 깨지거나 조명부재(120)에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조명부재(120)를 보호해 준다.One end of the cover member 140 is inserted into the line groove 111 to protect the illumination member 120 such that the illumination member 120 is broken or dust is not introduced into the illumination member 12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조명 거울(100)은, 반사부재(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lluminating mirror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ing member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반사부재는, 라인홈(111)의 일측(바깥쪽 부분)에 삽입 형성되어, 조명부재(120)의 빛을 거울유리판(113)쪽으로 반사시켜 준다.The reflecting member is inserted into one side (outer portion) of the line groove 111 to reflect the light from the illuminating member 120 toward the mirror glass plate 113.

일 실시 예에서, 반사부재는, 예를 들어 유리 또는 금속으로 형성된 반사판을 사용하여, 조명부재(120)의 빛을 거울유리판(113)쪽으로 반사시켜 주며, 거울유리판(113)쪽으로 반사된 빛이 또다시 반사판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반사부재는, 조명부재(120)에서 발광하는 빛이 거울유리판(113)과 반사판 사이에서 계속해서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적은 전력으로도 조명부재(120)가 밝은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flecting member reflects the light of the illumination member 120 toward the mirror glass plate 113 using a reflector formed of, for example, glass or metal, and reflects light toward the mirror glass plate 113 It can be reflected again by the reflection plate. In other words, the reflection member allows the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member 120 to be continuously reflected between the mirror glass plate 113 and the reflection plate, so that the illumination member 120 can emit bright light even with a small power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조명 거울(100)은, 거울프레임부재(110)에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조명부재(120)를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설치하고, 사용자가 이용할 경우에 조명부재(120)를 점등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조명부재(120)가 발광할 경우 빛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적으로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눈부심이 없고, 조명부재(120)의 세기를 조절하여 장시간 사용 시에 눈에 피로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센서부재(210)를 설치하여 거울 근처에 사람이 근접할 경우에 조명이 켜지도록 하여 낭비되는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거울프레임부재(110)에 카메라부재(310)와 스피커부재(330)를 삽입 설치하여,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읽고 이에 대응하는 음악을 틀어주어 사용자의 기분을 편안하게 해줄 수 있다.
The illumination mirror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llumination member 120 capable of emitting light to the mirror frame member 110 is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obliquely, and when the user uses the illumination member 120, The light does not directly enter the eye of the user when the illumination member 120 emits light, so there is no glare and the intensity of the illumination member 120 is controlled to prevent fatigue And the sensor member 210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lighting is turned on when a person is close to the mirror, thereby wasting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camera member 310 and the speaker member 330 are inserted into the mirror frame member 110, and the user's facial expression is read and the corresponding music is played, thereby making the user feel comfortable.

도 5는 도 2에 있는 거울프레임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irror frame member in Fig. 2;

도 5를 참조하면, 거울프레임부재(110)는, 연결통로(11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mirror frame member 110 includes a connecting passage 114.

연결통로(114)는, 조명부재(120)와 제어부재(130)를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선을 설치해 준다.The connection passage 114 provides a connection line for connecting the illumination member 120 and the control member 130.

일 실시 예에서, 연결통로(114)는, 거울프레임부재(110)의 라인홈(111)과 장착공간(112) 사이에 관통하도록 형성하여, 연결선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ssage 114 may be formed to penetrate between the line groove 111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and the mounting space 112 so that the connection line may pass therethrough.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거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llumination mirr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조명 거울(200)은, 거울프레임부재(110), 조명부재(120), 제어부재(130), 센서부재(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거울프레임부재(110), 조명부재(120), 제어부재(13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6, the illumination mirror 200 includes a mirror frame member 110, a lighting member 120, a control member 130, and a sensor member 210. The mirror frame member 110, the illumination member 120, and the control member 130 will not be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components similar to those of FIG. 2, and only the other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센서부재(210)는, 거울프레임부재(110)의 테두리 부분에 삽입 설치되어, 사용자가 거울프레임부재(110)에 근접할 시에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재(130)로 전달해 준다.The sensor member 210 is inserted into a rim portion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and senses the proximity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close to the mirror frame member 110 and outputs a sensed signal to the control member 130 It delivers.

일 실시 예에서, 센서부재(210)는, 거울프레임부재(110) 테두리 부분의 전면에 삽입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테두리 부분의 전면 하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member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frame portion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and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front of the frame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센서부재(210)는, 예를 들어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열감지센서 등의 감지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member 210 may sense a proximity of a user, for example, using a sensor such as an infrared sensor, a laser sensor, or a thermal sensor.

일 실시 예에서, 센서부재(210)는, 열감지센서를 이용할 경우에, 평상시에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다가 사용자가 거울로 근접할 시에 변화되는 온도를 감지하여 열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열감지신호를 제어부재(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재(130)는, 센서부재(210)로부터 열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원을 조명부재(120)로 공급하여 빛을 발광시켜 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using a thermal sensor, the sensor member 210 senses the ambient temperature at normal times, senses the temperature that is changed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irror, generates a thermal sensed signal, And may transmit a thermal sensed signal to the control member 130. At this time, the control member 130 receives the heat sensing signal from the sensor member 210 and supplies power to the illumination member 120 to emit light.

도 7은 도 6에 있는 제어부재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member in Fig. 6 as a first example. Fig.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재(130)는, 전원공급부(131), 전원제어부(13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control member 13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31 and a power control unit 132.

전원공급부(131)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부재(120)에 필요로 하는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해 준다.The power supply unit 131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nd converts the power into a power source required for the illumination member 120, and supplies the power.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131)는, 외부의 상용전원(예를 들어, 교류 220V)을 직류전원(예를 들어, DC 5V)으로 변환시켜 조명부재(12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131 may convert the external commercial power supply (e.g., AC 220V) to a DC power supply (e.g., DC 5V) to provide the necessary power to the lighting member 120 .

전원제어부(132)는, 외부의 전원 온/오프 및 밝기 조절에 따라 전원공급부(131)의 전원 공급을 온시켜 주거나 오프시켜 주며, 전원공급부(131)에서 조명부재(120)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변화시켜 조명부재(120)의 발광 밝기를 조절해 준다.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32 turns on or off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131 according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on / off and brightness control.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32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131, Thereby adjusting the light emission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member 120 by changing the intensity.

일 실시 예에서, 전원제어부(132)는, 거울프레임부재(110)의 테두리 부분에 삽입 설치된 스위치(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의 전원 온/오프 또는 센서부재(2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131)의 전원 공급을 온시켜 주거나 오프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32 controls the power on / off of a switch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serted in a rim portion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131 may be turned on or off.

일 실시 예에서, 전원제어부(132)는, 센서부재(210)가 감지신호를 생성한 경우에 전원공급부(131)의 전원 공급을 온시켜 조명부재(120)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센서부재(210)가 감지신호를 생성하지 않은 경우에 전원공급부(131)의 전원 공급을 오프시켜 조명부재(120)가 발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32 may turn on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131 to enable the lighting member 120 to emit light when the sensor member 210 generates a sensing signal,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131 may be turned off to prevent the illumination member 120 from emitting light when the sensor member 210 does not generate a detection signal.

일 실시 예에서, 전원제어부(132)는, 스위치의 전원 온 시에 전원공급부(131)의 전원 공급을 온시켜 조명부재(120)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스위치의 전원 오프 시에 전원공급부(131)의 전원 공급을 오프시켜 조명부재(120)가 발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ower control unit 132 may turn on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131 to turn on the lighting member 120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It is possible to turn off the power supply of the supply unit 131 and prevent the illumination member 120 from emitting light.

도 8은 도 7에 있는 제어부재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member in Fig. 7 as a second example. Fig.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재(130)는, 전원공급부(131), 전원제어부(132), 무선수신부(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131), 전원제어부(132)는 도 6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8, the control member 13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31, a power control unit 132, and a radio reception unit 133. [ Here, the power supply unit 131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32 will not be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components similar to those of FIG. 6, and only other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무선수신부(133)는, 외부의 리모컨으로부터 송신되는 전원 온/오프 명령 및 밝기 조절 명령을 수신받아 전원제어부(132)에 전달해 준다.The wireless receiving unit 133 receives a power on / off command and a brightness adjusting command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remote controller, and transmits the power on / off command and the brightness adjusting command to the power control unit 132.

일 실시 예에서, 무선수신부(133)는, 외부의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온 명령과 밝기 조절 명령을 수신받아 전원제어부(132)에 전달하여 전원공급부(131)의 전원 공급을 온시켜 주며, 조명부재(120)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여 조명부재(120)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The wireless receiving unit 133 receives the power on command and the brightness adjusting command from the external remote controller and transmits the power on command and the brightness adjusting command to the power control unit 132 to turn on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ing unit 131,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member 120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illumination unit 120. [

일 실시 예에서, 무선수신부(133)는, 외부의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오프 명령을 수신받아 전원제어부(132)에 전달하여 전원공급부(131)의 전원 공급을 오프시켜 주며, 이에 조명부재(1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시켜 줄 수 있다.
The wireless reception unit 133 receives the power off command from the external remote controller and transmits the power off command to the power control unit 132 to turn off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unit 131, The supplied power can be turned off.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조명 거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n illumination mirr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조명 거울(300)은, 거울프레임부재(110), 조명부재(120), 제어부재(130), 센서부재(210), 카메라부재(310), 메모리부재(320), 스피커부재(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거울프레임부재(110), 조명부재(120), 제어부재(130), 센서부재(210)는 도 2 및 도 5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9 and 10, the illumination mirror 300 includes a mirror frame member 110, an illumination member 120, a control member 130, a sensor member 210, a camera member 310, a memory member (not shown) 320, and a speaker member 330. Here, the mirror frame member 110, the illumination member 120, the control member 130, and the sensor member 210 will not be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components similar to those of FIGS. 2 and 5, .

카메라부재(310)는, 거울프레임부재(110)의 테두리 부분에 삽입 설치되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영상데이터로 변환시켜 제어부재(130)로 전달해 준다.The camera member 310 is inserted into a rim portion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photographs a user's face, converts the photographed image into image data,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control member 130.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부재(310)는, 거울프레임부재(110) 테두리 부분의 전면(바람직하게는, 테두리 부분의 상부)에 삽입 설치되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mera member 310 may be inserted into the front surface (preferably, the upper part of the rim portion) of the rim portion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so that the user's face can be photographed.

메모리부재(320)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영상데이터들을 다수 개의 사용자 얼굴 표정으로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영상데이터들을 미리 표준화하여 사용자 얼굴 표정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사용자 얼굴 표정별로 이에 대응하는 음악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미리 저장해 둔다.In order to divide the image data of the user's face into a plurality of user facial expressions, the memory member 320 standardizes in advance the image data of the user's face and stores the database in database for each user facial expression, Music data corresponding to each facial expression is converted into a database and stored in advance.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재(320)는, 예를 들어 무표정, 웃는 표정, 슬픈 표정, 우울한 표정, 화난표정 등의 다양한 사용자의 얼굴 표정들을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memory member 320 may store and store various facial expressions of the user, such as expressionless, smiling, sad, depressed, angry, and the like.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재(320)는, 예를 들어 신나는 음악, 차분한 음악, 우울한 음악 등의 음악들을 분류하여 분류한 음악의 음악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mory member 320 may store and store music data of music classified and categorized as, for example, exciting music, soothing music, and depressed music.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재(32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이 웃는 표정일 경우에, 차분한 음악의 음악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얼굴 표정이 슬픈 표정일 경우에, 신나는 음악의 음악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mory member 320 may store and store the music data of the calm music in a database, for example, when the user's facial expression is a smiling facial expression. In the case where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user is a sad expression, Music data of exciting music can be stored in a database.

스피커부재(330)는, 거울프레임부재(110)의 테두리 부분에 삽입 설치되어, 음악데이터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해 준다.The speaker member 330 is inserted into the edge portion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and receives music data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일 실시 예에서, 스피커부재(330)는, 거울프레임부재(110) 테두리 부분의 전면 또는 측면에 삽입 설치될 수 있으며,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메모리부재(320)로부터 음악데이터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해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peaker member 330 may be inserted into the front or side of the rim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and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pieces of music data received from the memory member 320 And output it to the outside.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130)는, 카메라부재(310)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전달받은 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얼굴 표정을 메모리부재(320)로부터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 얼굴 표정에 대응하는 음악데이터를 메모리부재(320)로부터 판독하여 스피커부재(330)로 전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ember 130 confirms the user facial express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member 310, from the memory member 320, and corresponds to the confirmed user facial expression From the memory member 320 and transmit the music data to the speaker member 330. [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130)는, 메모리부재(320)로부터 확인된 사용자 얼굴 표정이 우울한 표정이거나 슬픈 표정일 경우에, 메모리부재(320)에 저장된 신나는 음악데이터를 스피커부재(330)로 전달하여 전달된 신나는 음악데이터를 스피커부재(330)에서 외부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ember 130 may be configured to cause the exciting music data stored in the memory member 320 to be transmitted to the speaker member 330 (e.g., a music file), if the user facial expression identified from the memory member 320 is a depressed or sad expression And output the exciting music data delivered from the speaker member 330 to the outside.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130)는, 메모리부재(320)로부터 확인된 사용자 얼굴 표정이 신나는 표정일 경우에, 메모리부재(320)에 저장된 차분한 음악데이터를 스피커부재(330)로 전달하여 전달된 차분한 음악데이터를 스피커부재(330)에서 외부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ember 130 delivers calm music data stored in the memory member 320 to the speaker member 330 for transmission (e.g., when the user facial expression identified from the memory member 320 is an exciting expression) So that the user can output the subtle music data from the speaker member 330 to the outside.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130)는, 메모리부재(320)로부터 확인한 사용자 얼굴 표정에 대응하여 전원공급부(131)에서 조명부재(120)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변화시켜 조명부재(120)의 발광 밝기를 조절해 줄 수 있다.The control member 130 changes the intensity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131 to the illumination member 120 in response to the user's facial expression identified from the memory member 32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ight emission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diode.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130)는, 메모리부재(320)로부터 확인한 사용자 얼굴 표정이 우울한 표정이거나 슬픈 표정일 경우에, 전원공급부(131)에서 조명부재(120)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높여 조명부재(120)를 평상시보다 더 밝게 발광하도록 하거나, 조명부재(120)의 다수 개의 LED 모듈 중 일부만 반짝거리도록(즉, 발광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고 즐거운 마음을 갖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member 130 controls the intensity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31 to the illumination member 120 in the case where the user facial expression identified from the memory member 320 is a depressed expression or a sad expression It is possible to raise the lighting member 120 to make it brighter than usual, or to make only a part of the plurality of LED modules of the lighting member 120 shine (i.e., emit light), thereby making the user feel comfortable and pleasant.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130)는, 메모리부재(320)로부터 확인한 사용자 얼굴 표정이 기쁜 표정일 경우에, 전원공급부(131)에서 조명부재(120)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여 조명부재(120)를 평상시보다 은은하게 발광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차분한 마음을 갖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member 130 adjusts the intensity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31 to the illumination member 120 when the user facial expression identified from the memory member 320 is a happy expression, The member 120 can be made to emit light softer than usual so that the user can feel calm.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조명 거울(300)은, 거울에 사람이 접근했을 시에, 제어부재(130)가 카메라부재(310)를 구동시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며,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메모리부재(320)에 저장한 다음에, 사용자 얼굴 표정별 데이터베이스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파악하고, 메모리부재(320)에 저장된 음악데이터에서 얼굴 표정에 대응하는 음악데이터를 스피커부재(330)로 전달하여, 전달 받은 음악데이터를 스피커부재(330)에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illumination mirror 3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a person approaches the mirror, the control member 130 drives the camera member 310 to photograph the user's face, And then stores the music data corresponding to the facial expression in the music data stored in the memory member 320 into the speaker member 330 So that the received music data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from the speaker member 330.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lemented only by the above-described apparatuses and / or methods, but ar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s are recorded, And such an embodimen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200, 300: 조명 거울
110: 거울프레임부재
111: 라인홈
112: 장착공간
113: 거울유리판
114: 연결통로
120: 조명부재
130: 제어부재
131: 전원공급부
132: 전원제어부
140: 덮개부재
210: 센서부재
310: 카메라부재
320: 메모리부재
330: 스피커부재
100, 200, 300: Illumination mirror
110: Mirror frame member
111: Line Home
112: mounting space
113: Mirror glass plate
114: connecting passage
120:
130: control member
131: Power supply
132:
140: lid member
210: absence of sensor
310: absence of camera
320: Missing memory
330: speaker member

Claims (10)

삭제delete 테두리 부분에 라인홈(111)을 형성하고 테두리 부분의 일측 내부에 장착공간(112)을 형성하며, 테두리 부분의 내측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거울유리판(113)의 테두리를 삽입해서 감싸도록 하기 위한 거울프레임부재(110);
상기 거울프레임부재(110)의 라인홈(111)에 삽입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기 위한 조명부재(120);
상기 거울프레임부재(110)의 장착공간(112)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조명부재(120)에 전원을 공급하고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130); 및
상기 조명부재(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재(120)를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덮개부재(140)를 포함하되,
상기 라인홈(111)은 상기 거울유리판(113)의 방향으로 90도 내지 135도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재(140)는, 상기 조명부재(120)로부터 나오는 열을 낮춰주기 위한 방열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거울.
A line groove 111 is formed in the rim portion, a mounting space 112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rim portion, and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side the rim portion to insert and cover the rim of the mirror glass plate 113 A mirror frame member 110;
An illumination member 120 inserted into the line groove 111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to emit light;
A control member 130 fixed to the mounting space 112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to supply power to the illumination member 120 and control light emission; And
And a lid member (140) provided on the lighting member (120) for covering and protecting the lighting member (120)
The line grooves 111 are formed at an angle of 90 to 1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mirror glass plate 113,
Wherein the cover member (140) is formed of a heat sink for lowering heat from the illumination member (1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프레임부재(110)는,
조명부재(120)와 제어부재(130)를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선을 설치하기 위한 연결통로(1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거울.
The mirror frame member (110)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irror frame member (110)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passage (114)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line for connecting the lighting member (120) and the control member (13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프레임부재(110)의 테두리 부분에 삽입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거울프레임부재(110)에 근접할 시에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재(130)로 전달해 주기 위한 센서부재(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거울.
3. The method of claim 2,
A sensor for detecting the proximity of the user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irror frame member 110 and transmitting the sensed signal to the control member 130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irror frame member 110, Member (210). ≪ / RTI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13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조명부재(120)에 필요로 하는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31); 및
외부의 전원 온/오프 및 밝기 조절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131)의 전원 공급을 온시켜 주거나 오프시켜 주며, 상기 전원공급부(131)에서 상기 조명부재(120)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변화시켜 상기 조명부재(120)의 발광 밝기를 조절해 주기 위한 전원제어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거울.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member (130)
A power supply unit 131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converting the power into a power source required for the lighting member 120 and supplying the power; And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131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external power on / off and brightness control, and the intensity of power supplied to the illumination member 120 from the power supply unit 131 is changed And a power control unit (132) for adjusting the light emission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member (1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132)는,
상기 거울프레임부재(110)의 테두리 부분에 삽입 설치된 스위치의 전원 온/오프 또는 센서부재(2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131)의 전원 공급을 온시켜 주거나 오프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거울.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power control unit (132)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131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power on / off state of a switch inserted in a rim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or a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member 210 Lighting mirro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130)는,
외부의 리모컨으로부터 송신되는 전원 온/오프 명령 및 밝기 조절 명령을 수신받아 상기 전원제어부(132)에 전달해 주기 위한 무선수신부(1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거울.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member (130)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receiving unit (133) for receiving a power on / off command and a brightness adjusting command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remote controller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power on / off command and brightness adjusting command to the power control unit (13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프레임부재(110)의 테두리 부분에 삽입 설치되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영상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제어부재(130)로 전달해 주기 위한 카메라부재(310);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영상데이터들을 다수 개의 사용자 얼굴 표정으로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영상데이터들을 미리 표준화하여 사용자 얼굴 표정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사용자 얼굴 표정별로 이에 대응하는 음악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미리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부재(320); 및
상기 거울프레임부재(110)의 테두리 부분에 삽입 설치되어, 음악데이터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해 주기 위한 스피커부재(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거울.
6. The method of claim 5,
A camera member (310) inserted in a rim portion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for photographing a user's face and converting the photographed image into image data and transmitting the image data to the control member (130);
In order to divide the image data of the user's face into a plurality of user facial expressions, the image data of the user's face is standardized in advance and stored in a database for each user's facial expression, A memory member 320 for databaseing and storing in advance a database; And
Further comprising a speaker member (330) inserted in a rim portion of the mirror frame member (110) for receiving music data and outputting the music data to the outsi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130)는,
상기 카메라부재(310)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전달받은 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얼굴 표정을 상기 메모리부재(320)로부터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 얼굴 표정에 대응하는 음악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재(320)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스피커부재(33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거울.
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member (130)
The memory member 320 receives the image data from the camera member 310 and confirms the user facial express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mage data from the memory member 320 and outputs the music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facial expression to the memory member 320. [ And transmits the read light to the speaker member (33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130)는,
상기 메모리부재(320)로부터 확인한 사용자 얼굴 표정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공급부(131)에서 상기 조명부재(120)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변화시켜 상기 조명부재(120)의 발광 밝기를 조절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거울.
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member (130)
The intens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illumination member 120 from the power supply unit 131 is changed according to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user determined from the memory member 320 to control the light emission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member 120 Features illuminated mirrors.
KR2020150006128U 2015-09-14 2015-09-14 Lighted Mirror KR20048506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128U KR200485065Y1 (en) 2015-09-14 2015-09-14 Lighted 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128U KR200485065Y1 (en) 2015-09-14 2015-09-14 Lighted Mirr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65U KR20170001065U (en) 2017-03-22
KR200485065Y1 true KR200485065Y1 (en) 2017-11-23

Family

ID=5849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128U KR200485065Y1 (en) 2015-09-14 2015-09-14 Lighted Mirr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065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064A (en) 2020-10-16 2022-04-26 백승욱 Lighting mirror
KR102396536B1 (en) 2021-05-05 2022-05-12 이병갑 Mirror assembly with indirect lighting
KR20220063449A (en) 2020-11-10 2022-05-17 주식회사 알토 Inhouse mirror having inside light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973B1 (en) * 2003-07-18 2005-09-09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Apparatus having half mirror and computer interface for providing information
KR200382687Y1 (en) 2005-01-27 2005-04-22 최종국 A mirror with a lamp
KR20100010538A (en) 2008-07-23 2010-02-02 김덕진 Cadence handguard and the hat which has this
KR20110116352A (en) * 2010-04-19 2011-10-26 김광환 Led lamp for dazzling prevention
KR20120005909A (en) * 2010-07-09 2012-01-17 주식회사 에스엠시 Mirror with led
KR20140006458A (en) * 2012-07-05 2014-01-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Light emitting apparatus having sensitivity fun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064A (en) 2020-10-16 2022-04-26 백승욱 Lighting mirror
KR20220063449A (en) 2020-11-10 2022-05-17 주식회사 알토 Inhouse mirror having inside lighting unit
KR102396536B1 (en) 2021-05-05 2022-05-12 이병갑 Mirror assembly with indirect ligh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65U (en)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07832B (en) Lamp fitting
CN104042158B (en) Closestool with the seat hinge being illuminated
JP4637102B2 (en) Energy-saving lamp with sensor
US20080158878A1 (en) Flow-Through LED Lighting System
US20040226209A1 (en) Picture frame with integrated lighting
JP2011165577A (en) Luminaire and lighting system
KR200485065Y1 (en) Lighted Mirror
KR200465860Y1 (en) A Mirror with LED Lighting
CN102168833B (en) Lighting fixture
KR100874592B1 (en) Multi-functional led stand
CN207635081U (en) A kind of minute surface lamps and lanterns
JP5205023B2 (en) Floor unit
JP5659115B2 (en) Lighting device
JP4654924B2 (en) Human body detection type automatic switch
CN2878896Y (en) Integral inductive headlamp
JP7217736B2 (en) lighting equipment
JP2009195526A (en) Panel with illuminating device
CN218565365U (en) Human body induction lamp with display function
CN218154107U (en) Induction type lamp
KR100312191B1 (en) sign board
CN218866321U (en) Induction luminous alarm clock
KR200281737Y1 (en) Multi-ability mirror used also as a fram
CN209839778U (en) Double-light-source intelligent control desk lamp
CN206988948U (en) A kind of plant's night special LED electricity-saving lamps
KR200285339Y1 (en) Picture frame sticked a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