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022Y1 - Light blocking film using touch type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Light blocking film using touch type for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022Y1
KR200485022Y1 KR2020170002980U KR20170002980U KR200485022Y1 KR 200485022 Y1 KR200485022 Y1 KR 200485022Y1 KR 2020170002980 U KR2020170002980 U KR 2020170002980U KR 20170002980 U KR20170002980 U KR 20170002980U KR 200485022 Y1 KR200485022 Y1 KR 200485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brightness
touch
touch pane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98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대로
정연곤
남상욱
Original Assignee
(주)에핏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핏라이트 filed Critical (주)에핏라이트
Priority to KR2020170002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02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02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7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the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 controlling the colour, i.e. a spectral characteristic, of the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7Sunglare reduction by coatings, interposed foils in laminar windows, or permanent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1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차폐 필름이 개시된다. 본 필름은 전기적 자극에 의해 명도가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변색액정; 상기 변색액정을 수용하는 액정필름; 및 터치 방식을 이용해 상기 변색액정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도록, 상기 액정필름의 일면에 결합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터치 방식을 이용해 필름의 명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필름의 영역을 나누어 각각의 영역의 명도가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빛의 강약 또는 위치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적절히 차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차폐 필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Disclosed is an automotive shielding film using a touch method. The film may include a discoloring liquid crystal that is adjusted to have brightness by electric stimulation; A liquid crystal film for accommodating the discolored liquid crystal; And a touch panel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film to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color change liquid crystal using a touch method. Accordingly, the lightness of the film can be adjusted by using the touch method, and the brightness of each region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by dividing the region of the film, so tha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can be appropriately block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ielding film for an automobile.

Description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차폐 필름{Light blocking film using touch type for automobi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shielding film for a vehicle,

본 고안은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차폐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의 썬바이저 및 유리창에 필름 형태로 부착되어, 터치 방식을 이용해 햇빛 또는 타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는 차폐 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elding film for a vehicle using a touch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ielding film for preventing sunlight or glare caused by a headlight of another vehicle by using a touch method, .

일반적으로 썬팅이란 유리에 착색필름을 부착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자동차의 유리에 적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일반주택, 또는 고층빌딩 등의 유리에도 적용되고 있다.In general, tinting refers to the attachment of a colored film to a glass, which is mainly applied to automobile glass, and has recently been applied to glass such as a general house or a high-rise building.

썬팅 필름은 윈도우 틴티드 필름(Windows tinted film) 또는 글래스 트리트먼트 필름(Glasstreatment film)이라고 하며, 국내에서는 태양 빛을 막아 준다는 의미로 '썬팅 필름'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썬팅 필름의 제조에는 자외선 차단코팅, 스크래치(흠집) 방지, 적외선 흡수코팅, 금속(알루미늄, 니켈, 크롬, 티타늄 등)피막 삽입, 폴리에스터 필름 염색, 복합접착 등의 여러 가지 기술이 적용된다.Tinting film is called Windows tinted film or Glasstreatment film, and it is called 'Tinting film' in Korea to prevent sunlight. Various techniques such as ultraviolet barrier coating, scratch prevention, infrared absorbing coating, metal (aluminum, nickel, chromium, titanium, etc.) coating, polyester film dyeing, and composite adhesion ar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such a thin film.

그리고 썬팅의 가장 직접적인 효과는 피부를 거칠게 하고, 실내 부속품의 탈색이나 변색의 원인인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이며, 적외선과 태양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단열기능이 있다.. 그리고 야간 운전 때 뒤차의 헤드라이트 불빛을 반감시켜 시야확보에도 도움을 주고,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키는 기능도 있다. 이와 같은 썬팅 필름은 그 유용성 때문에 실제적으로 대부분의 차량에 부착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And the most direct effect of sunking is to cut the ultraviolet rays that cause skin discoloration and discoloration of the interior parts, roughen the skin, have an insulation function that effectively blocks infrared and solar heat, It helps to secure visibility by halving, and it also has the function of keeping individual privacy. Such tanning films are actually attached to most vehicles due to their usefulness and are widely used worldwide.

그러나 종래에는 하나의 특정 색상의 착색필름을 유리와 유리 사이에 개입 시켜 반영구적으로 고정시킨 구조이었기 때문에 두 유리 사이에 한번 썬팅을 하고 나면 사용자의 임의대로 썬팅색상을 바꿀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ly, since a coloring film of a specific color is interposed between glass and glass and fixed semi-permanentl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once the glass is tinted between the two glasses, the color of the tinting can not be changed at the user's discretion.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039888호 (발명의 명칭: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039888 (Title: Glass Tinting System Using Liqui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터치 방식을 이용해 필름의 명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필름의 영역을 나누어 각각의 영역의 명도가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빛의 강약 또는 위치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적절히 차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차폐 필름을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adjusting the brightness of a film using a touch method and dividing an area of a film so that the brightness of each area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And a shielding film for automobiles capable of appropriately shielding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depending on the strength or position of ligh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폐 필름은 전기적 자극에 의해 명도가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변색액정; 상기 변색액정을 수용하는 액정필름; 및 터치 방식을 이용해 상기 변색액정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도록, 상기 액정필름의 일면에 결합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otive shielding film comprising: a decolorable liquid crystal that is adjusted in brightness by electrical stimulation; A liquid crystal film for accommodating the discolored liquid crystal; And a touch panel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film to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color change liquid crystal using a touch method.

여기서 상기 변색액정은, 상기 전기적 자극의 세기가 증가하면 명도가 감소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터치패널은, 터치의 중복횟수에 따라 단계를 구분하여 상기 전기적 자극의 세기를 달리하도록 마련되며,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변색액정에 한 단계 높은 전기적 자극을 가하도록 하되, 가장 높은 단계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가장 낮은 단계의 전기적 자극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color of the decolored liquid crystal is provided such that the brightness decreases as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timulus increases. The touch panel is divided into step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touch, It is possible to make electrical stimulation by one step higher than that of the decolored liquid crystal. If the touch is detected at the highest level,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lowest level can be applied.

또한, 상기 터치패널은, 투명하게 마련되어 상기 액정필름의 일면을 덮도록 마련되며, 복수의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가 감지되면, 감지된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변색액정의 명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The touch panel is transparent and covers one side of the liquid crystal film. The touch panel senses the touch by dividing a plurality of areas, and when the touch is sensed, the brightness of the color change liquid cryst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area Can be controlled.

그리고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변색액정의 전 영역의 명도를 일괄적으로 변화시키는 제1 모드 또는 영역을 구분하여 변화시키는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어느 두 지점의 터치가 동시에 이루어지면,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The touch panel is configured to operate in a first mode for collectively changing the brightness of the entire region of the color-changing liquid crystal or in a second mode for dividing and changing an area,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또한,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밝기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색액정은,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빛의 밝기를 기반으로 상기 명도가 조절될 수 있다.The light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light sensor for sensing brightness of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and the lightness of the color change liquid crystal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brightness of light sensed by the light sensor.

그리고 상기 터치패널은, 상향하는 드래그가 감지되는 경우, 상향 정도에 따라 상기 전기적 자극의 세기 증가하도록 하여 상기 변색액정의 명도가 감소하도록 하고, 하향하는 드래그가 감지되는 경우, 하향 정도에 따라 상기 전기적 자극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하여 상기 변색액정의 명도가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upward drag is sensed, the touch panel increases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upward direction, thereby decreasing the brightness of the color-changing liquid crystal. When the downward drag is sensed, The intensity of the stimulus is decreased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decolored liquid crystal can be increased.

또한, 상기 터치패널은, 곡면 형상의 자동차 유리에 부착 가능하도록, 플렉시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 panel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attachable to a curved automobile glass.

그리고 상기 변색액정은, 상기 조절되는 명도에 따른 가시광선 투과율 또는 태양에너지 차단율을 표시할 수 있다.The color change liquid crystal may display a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r a solar energy cutoff rate according to the adjusted brightness.

이에 의해, 터치 방식을 이용해 필름의 명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필름의 영역을 나누어 각각의 영역의 명도가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빛의 강약 또는 위치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적절히 차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차폐 필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lightness of the film can be adjusted by using the touch method, and the brightness of each region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by dividing the region of the film, so tha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can be appropriately block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ielding film for an automobil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폐 필름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폐 필름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썬바이저에 부착된 자동차용 차폐 필름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유리에 부착된 자동차용 차폐 필름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유리에 부착된 자동차용 차폐 필름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폐 필름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변경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폐 필름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에서의 드래그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에서의 드래그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provided for explaining an automotiv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automotiv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ielding film for a vehicle attached to a sun vi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utomotive shielding film attached to a windsh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ield film for automobiles attached to a side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ea of a shield fil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e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shielding film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ag in the firs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rag in the secon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도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for allowing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썬바이저에 부착된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유리에 부착된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유리에 부착된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FIG. 1 is a side view provided for explaining an automotive shielding fil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utomotive shielding fil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utomotive shielding film 10 attached to a sun vi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 Fig. 5 is a view provided for explaining the shielding film 10 attached to a side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은 터치 방식을 이용해 명도를 조절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햇빛의 강약에 따라 적절하게 햇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automotive shielding fil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appropriately cut off sunlight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sun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by adjusting the brightness using a touch method.

이를 위해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은 변색액정(100), 액정필름(200) 및 터치패널(3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o this end, the automotive shielding film 10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decoloring liquid crystal 100, the liquid crystal film 200, and the touch panel 300.

변색액정(100)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변색액정(100)은 전기변색물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기변색물질에 의해 전류가 흐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투명하고, 전기적 자극에 의해 전류가 흐르면 산화 또는 환원에 의해 색을 띄게 되고, 불투명하게 변화할 수 있다.The decoloring liquid crystal 100 is provided to block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For this purpose, the color-changing liquid crystal 100 may be provided as an electrochromic material. When the current is not flow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the electrochromic material is transparent. When current flows through the electrical stimuli, Can change.

액정필름(200)은 변색액정(10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전기변색물질을 수용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액정필름(200)은 유리 또는 필름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액정필름(200)이 유연한 필름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액정필름(200)은 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liquid crystal film 200 is provided to receive the electrochromic material so that the discolored liquid crystal 1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For this purpose, the liquid crystal film 200 may be provided as a glass or a film. In order to provide a flexible automotive shielding film 10 as shown in FIG. 2, the liquid crystal film 200 may be provided as a flexible film have.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film 200 may be formed to be transparent.

한편, 터치패널(300)은 터치 방식을 통해 변색액정(100)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터치패널(3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touch panel 300 is provided to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decoloring liquid crystal 100 through a touch method. For this, the touch panel 300 may be provided with a capacitive touch screen.

터치패널(300)은 투명하게 마련되어 액정필름(200)의 일면을 덮도록 마련되며, 사용자가 자동차 내부에서 터치할 수 있도록 자동차 내측을 향하는 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touch panel 300 is provided to be transparent so as to cover one side of the liquid crystal film 200 and may be coupled to a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automobile so that the user can touch the inside of the automobile.

터치패널(300)은 손가락과 같은 전도성이 있는 물체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해 터치패널(300)을 터치하면 변색액정(100)에 가해지는 전기적 자극의 세기를 변화시켜, 명도가 변화하도록 할 수 있다.The touch panel 300 can sense a touch of a conductive object such as a finger. As shown in FIG. 1, when a user touches the touch panel 300 using a finger, the brightness of the electric stimulus applied to the color-changing liquid crystal 100 may be changed to change the brightness.

따라서, 자동차 운전자는 운전 중 터치패널(300)에 터치함으로써 간편하고 신속하게 썬바이저 또는 유리의 명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운행 중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easily and quickly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sunvisor or the glass by touching the touch panel 300 during operation, thereby ensuring safety of the driver while driving.

그리고 터치패널(300)은 곡면의 자동차 유리에 부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플렉시블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The touch panel 300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touch panel 300 can be attached to a curved surface of an automobile glass.

이를 통해,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은 자동차 내부의 썬바이저, 전면 유리 또는 측면 유리에 필름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automotive shielding film 10 can be attached in the form of a film to a sun visor, a front glass or a side glass inside the automobile.

더불어, 한가지 첨언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폐 필름으로서 실시도 가능하지만, 자동차 유리 자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자동차 유리의 표면에 적용하여 자동차 유리 표면에 터치 방식을 이용해 명도를 조절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햇빛의 강약에 따라 적절하게 햇빛을 차단하도록 하는 변형실시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utomotive shielding fil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as a shielding film as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automobile glass itself, the automotive shielding film 10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automobile glass, It is possible to modify the brightness by using the touch method to shield the sunligh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sun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차 내부의 썬바이저가 투명재질로 마련되는 경우, 자동차 내부를 향하는 일면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유리의 일부에 부착하여 썬바이저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sun visor inside the automobile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it can be attached to one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automobile. Also, as shown in FIG. 4, the display device may be attached to a part of the windshield so as to function as a sun visor.

도 5의 경우와 같이, 측면 유리 전체에 부착하여, 차량의 썬팅 필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As in the case of Fig. 5, it may be attached to the whole of the side glass so as to serve as a tanning film for the vehicle.

또한, 자동차용 차폐 필름(10) 영역을 구분하여 개별적으로 명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할 도 7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brightness of the shielding film 10 for an automobile can be divided and the brightness of the shielding film 10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In this regard, the brightness of the shielding film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첨언하면, 액정필름(200)이 판유리로 마련되어,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이 유리에 부착되는 구조가 아닌, 썬바이저 또는 측면 유리 자체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cidentally,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liquid crystal film 200 may be provided as a sun glass or a side glass itself, instead of a structure in which the automotive shielding film 10 is attached to the glass.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변경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ea of a shield film 10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e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provided for explain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automotive shielding fil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The automotive shielding film 10 may be operated in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제1 모드는 일면에 터치패널(300)이 부착된 변색액정(100)의 모든 영역이 일괄적으로 명도가 조절되도록 동작하는 모드를 말한다.The first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all the areas of the decoloring liquid crystal 100 to which the touch panel 300 is attached on one side are operated to adjust brightness in a batch.

반면, 제2 모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300)의 영역을 구분하여 명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터치패널(300)은 제1 영역(310), 제2 영역(320), 제3 영역(330) 및 제4 영역(3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mode, as shown in FIG. 6, the area of the touch panel 300 is divided to adjust the brightness. To this end, the touch panel 3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area 310, a second area 320, a third area 330, and a fourth area 340.

물론 구분된 영역의 개수는 5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Needless to say, the number of the divided regions may be five or more.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치패널(300)은 멀티 터치 기능을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이용해 터치패널(300)에 동시에 터치하는 경우, 터치패널(300)은 이를 인식하여 모드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may be selected by the user. To this end, the touch panel 300 has a multi-touch function. 7,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nel 300 using two fingers at the same time, the touch panel 300 recognizes it and can change the mode.

여기서, 동시에 터치한다는 것은 첫 번째 터치 이후에 일반적인 사람이 느끼지 못할 정도의 짧은 시간 내에 두 번째 터치가 함께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Here, touching at the same time means that the second touch is performed together within a short time after the first touch such that a general person can not feel it.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이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 동시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패널(300)은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 동시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패널(300)은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When the automotive shielding film 10 is operating in the first mode, if the simultaneous touch is detected, the touch panel 300 can operate in the second mode. If the simultaneous touch is detected when the automobile shielding film 10 is operating in the second mode The touch panel 300 may operate in the first mode.

도 7의 (a)와 같이,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가 터치패널(30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면, 터치패널(300)은 변색액정(100)에 가해지는 전기적 자극의 세기가 증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7A, when the user touches one of the touch panel 300 in the first mode, the touch panel 300 detects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timulus applied to the decoloring liquid crystal 100 Can be adjusted to increase.

터치패널(300)은 터치의 중복횟수에 따라 단계를 구분하여 전기적 자극의 세기를 달리하도록 하며, 사용자로부터 터치가 감지되면 한 단계 높은 전기적 자극을 가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패널(300)을 터치함으로써 변색액정(100)의 명도가 감소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다만, 가장 높은 단계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가장 낮은 단계의 전기적 자극을 가하도록 한다. The touch panel 300 distinguishes the step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overlapping of the touches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is different, and when the touch is sensed by the user, the touch panel 300 performs a highe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decoloring liquid crystal 100 to decrease by touching the touch panel 300. [ However, when the touch is detected at the highest level, the lowest level electrical stimulation is applied.

예를 들어, 명도를 4단계로 나누어 1단계(가시광선 투과율 70%), 2단계(가시광선 투과율 50%), 3단계(가시광선 투과율 40%), 4단계(가시광선 투과율 25%)로 나눌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1단계에서 터치패널(30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변색액정(100)이 2단계의 명도가 되도록 하여 단계적으로 명도가 감소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ness is divided into four steps, namely, a first step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70%), a second step of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50%, a third step of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40%, and a fourth step of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25% Can be divided. If the user touches any one point of the touch panel 300 in the first stage, the decoloring liquid crystal 100 may be adjusted to have a two-step brightness so that the brightness decreases stepwise.

다만, 4단계의 명도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다시 1단계의 명도가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명도를 증가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된다.However, if a touch is detected in the brightness of the fourth level, the brightness of the first level is adjusted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brightness to increase.

또한, 터치패널(300)은 더블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더블 터치란 손가락을 터치하고 빠른 시간 내에 다시 한번 터치하는 동작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마우스를 이용한 더블 클릭과 같은 동작을 말한다.In addition, the touch panel 300 is provided to recognize a double touch. A double touch refers to an operation of touching a finger and touching it again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generally refers to a double click operation using a mouse.

만약, 사용자로부터 더블 터치가 인식되면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이 초기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며, 초기 상태는 변색액정(100)이 가장 투명하도록 변색액정(100)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If the double-touch is recognized by the user, the shielding film 10 for the automobile is returned to its initial state, and the initial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no electrical stimulus is applied to the decoloring liquid crystal 100 so that the decoloring liquid crystal 100 is most transparent .

한편,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변색액정(100)과 터치패널(300)은 영역을 구분하여 동작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각각의 영역의 명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When operating in the second mode, the color-changing liquid crystal 100 and the touch panel 300 are operated by dividing the regions, so that the user can individually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respective regions.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300)은 제1 영역(310), 제2 영역(320), 제3 영역(330) 및 제4 영역(340)으로 나뉠 수 있고, 사용자가 제1 영역(310)을 터치하는 경우, 제2 영역(320), 제3 영역(330) 및 제4 영역(340)의 명도는 변하지 않고, 제1 영역(310)의 명도만이 감소한다.6, the touch panel 3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rea 310, a second area 320, a third area 330, and a fourth area 340, 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area 310, the brightness of the second area 320, the third area 330, and the fourth area 340 does not change and only the brightness of the first area 310 decreases do.

마찬가지로, 제2 영역(320), 제3 영역(330) 및 제4 영역(340) 또한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각각의 영역은 서로 다른 명도를 가질 수 있다.Likewise, the second region 320, the third region 330, and the fourth region 340 may also be individually adjusted, and each region may have a different brightness.

또한, 제1 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더블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전기적 자극을 해제하여 제1 영역(310), 제2 영역(320), 제3 영역(330) 및 제4 영역(340) 전체가 가장 낮은 단계의 명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double touch is performed, the first region 310, the second region 320, the third region 330, and the fourth region 340 are entir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electrical stimulation, The brightness of the lowest level can be obtained.

한편, 이러한 영역의 구분은 필름에 가해지는 전원의 공급이 각각의 영역에 병렬 연결되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division of the regions can be achieved by supply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film in parallel in each region.

도 8을 참조하면, 전원으로부터 가해지는 전기적 자극이 병렬 연결되고, 각각의 영역에 가해지는 전기적 자극은 스위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electrical stimulation applied from a power source is connected in parallel, and electrical stimulation applied to each region can be controlled by a switch.

만약,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도 8의 (a)와 같이, "SW1", "SW2", "SW3", "SW4"를 포함하는 모든 스위치가 연결된 상태가 되어, 모든 영역에 가해지는 전기적 자극이 동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When operating in the first mode, all switches including "SW1", "SW2", "SW3", and "SW4" are connected as shown in FIG. 8A, The electric stimuli may be the same.

반면에, 도 8의 (b)와 같이,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1 영역(310)을 터치하는 경우, "SW1" 스위치만 연결되도록 하여 전기적 자극을 가함으로써, 제2 영역(320), 제3 영역(330) 및 제4 영역(340)은 명도가 그대로 유지되고, 제1 영역(310)만이 명도가 변화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operating in the second mode, as shown in FIG. 8 (b), 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area 310, only the switch SW1 is connected and electrical stimulation is applied, The third region 330 and the fourth region 340 may be maintained such that the first region 310, the second region 320, the third region 330, and the fourth region 340 are changed in brightness.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에서의 드래그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에서의 드래그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rag in a firs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ag in a secon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터치패널(300)은 터치와 더불어 드래그 방식으로 변색액정(100)의 명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touch panel 300 is provided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decoloring liquid crystal 100 in a drag manner.

사용자는 터치를 통해 운전 중 신속하게 썬바이저 또는 유리의 명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단계를 구분하여 명도를 조절하게 되므로, 미세한 조절이 불가능하다. The user can quickly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sunvisor or the glass during driving through the touch, but this method is not able to finely adjust since the brightness is controlled by dividing the step.

따라서, 변색액정(100)의 명도를 보다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해 터치패널(300)은 변색액정(100)에 가해지는 전기적 자극의 세기를 드래그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Accordingly, in order to more finely control the lightness of the decoloring liquid crystal 100, the touch panel 300 is provided to adjust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timulus applied to the decoloring liquid crystal 100 by a drag method.

도 9를 참조하면,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이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패널(30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로 상향 또는 하향하여 드래그하여 명도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9, when the automotive shielding film 10 operates in the first mode, the user can continuously adjust the brightness by dragging the touch panel 300 up or down while touching any one point of the touch panel 300 have.

도 9의 (a)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향하여 드래그하는 경우, 아래를 향할수록 명도가 증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드래그되는 길이의 정도에 따라, 변색액정(100)에 가해지는 전류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a), when the user drags the finger upwar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brightness to increase toward the bottom. That is,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lor-changing liquid crystal 100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length to be dragged.

또한, 도 9의 (b)와 같이 손가락을 상향하여 드래그하는 경우, 위를 향할수록 명도가 증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nger is dragged upward as shown in FIG. 9 (b), the brightness can be adjusted so as to increase toward the upward direction.

이를 통해, 터치 방식과 더불어 드래그 방식이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미세하게 명도를 조절하여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햇빛 또는 전조등에 의한 눈부심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drag method i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touch method, the user can adjust the brightness more finely and suitably prevent glare caused by sunlight or a head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그리고 터치패널(300)은 조절되는 명도에 따른 가시광선 투과율 또는 태양에너지 차단율을 표시할 수 있다. The touch panel 300 may display th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r the solar energy cutoff rate according to the brightness to be adjusted.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300)은 정보표시영역(α)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표시영역(α)에는 가시광선 투과율 및 태양에너지 차단율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touch panel 300 may include an information display area?, And information such as visible light transmittance and solar energy cutoff rate may be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display area? have.

따라서, 사용자는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의 명도를 연속적으로 조절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변화가 이루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continuously check the brightness of the shield film 10 for the automobile while checking the degree of change.

또한, 정보표시영역(α)에는 자외선 투과율, 적외선 투과율 등 또한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ultraviolet transmittance, the infrared transmittance and the like can also be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display area?.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모드와 마찬가지로,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이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패널(30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로 상향 또는 하향하여 드래그하여 명도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10, when the automotive shielding film 10 operates in the second mode, the user may drag the touch panel 300 up or down while touching any one point of the touch panel 300 The brightness can be continuously adjusted.

다만, 제2 모드의 경우, 명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영역을 먼저 터치하고, 터치패널(300)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여 드래그하면, 변색액정(100)의 명도가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econd mode, in order to change the brightness, an area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is first touched, and a touch of the touch panel 300 is touched and dragged to continuously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decoloring liquid crystal 100 .

예를 들어, 제1 영역(310)을 불투명하게 조절하려는 경우, 제1 영역(310)을 먼저 한번 터치한 후에, 제1 영역(310), 제2 영역(320), 제3 영역(330) 및 제4 영역(340)을 포함하는 전 영역 중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여 드래그하면, 제1 영역(310)의 명도만이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region 310 is to be opaque, the first region 310, the second region 320, the third region 330, Only the brightness of the first area 310 can be adjusted by touching and dragging any one of the first area 310 and the entire area including the fourth area 340.

도 10의 (a)와 같이,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여 하향 드래그하면, 제1 영역(310)의 명도가 증가하도록 조절될 수 있으며, 도 10의 (b)와 같이, 상향하여 드래그하면 제1 영역(310)의 명도가 감소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a), when a point is touched and dragged downward, the brightness of the first area 310 can be adjusted to increase. As shown in FIG. 10 (b) The brightness of the region 310 can be adjusted to decrease.

첨언하면, 드래그의 좌우를 인식하여, 각각의 영역 내에서 우측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명도가 감소하고, 좌측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명도가 증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cidentally,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ag are recognized, and when the dragging is performed rightward in each area, the brightness decreases and, in the case of dragging to the left, the brightness increases.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은 광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센서(미도시)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빛의 밝기를 기반으로 변색액정(100)에 가해지는 전기적 자극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automotive shielding fil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optical sensor (not shown). The optical sensor (not shown) can sense the brightness of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stimulus applied to the decoloring liquid crystal 100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brightness of the sensed light.

예를 들어, 야간 주행 시, 반대편 차선에서 상향등을 켜고 다가오는 차량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운전자의 눈을 향해 입사되는 빛을 인식하여,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변색액정(100)에 자동으로 전기적 자극을 가할 수 있고,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driving at night, an upward light is turned on in the opposite lane, and suddenly, light coming into the driver's eyes due to an approaching vehicle is recognized. Even if the touch is not performed, an electrical stimulus can be automatically applied to the decoloring liquid crystal 100 So that the driver's glare can be prevented.

따라서, 본 자동차용 차폐 필름(10)은 터치, 드래그 방식 또는 광센서를 이용해 명도를 조절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햇빛 또는 마주오는 차량의 전조등에 따라 적절하게 빛을 차단하여 안전 운행 할 수 있는 자동차용 차폐 필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automotive shielding film 10 can be used for an automobile which can be operated safely by appropriately blocking the light according to the sun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or the headlight of the opposite vehicle by adjusting the brightness using a touch,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shielding film.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자동차용 차폐 필름
100 : 변색액정 200 : 액정필름
300 : 터치패널 310 : 제1 영역
320 : 제2 영역 330 : 제3 영역
340 : 제4 영역 α : 정보표시영역
10: Automotive shielding film
100: discolored liquid crystal 200: liquid crystal film
300: touch panel 310: first area
320: second area 330: third area
340: fourth area?: Information display area

Claims (8)

전기적 자극에 의해 명도가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변색액정;
상기 변색액정을 수용하는 액정필름; 및
터치 방식을 이용해 상기 변색액정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도록, 상기 액정필름의 일면에 결합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변색액정은,
상기 전기적 자극의 세기가 증가하면 명도가 감소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터치패널은,
터치의 중복횟수에 따라 단계를 구분하여 상기 전기적 자극의 세기를 달리하도록 마련되고,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변색액정에 한 단계 높은 전기적 자극을 가하도록 하되, 가장 높은 단계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가장 낮은 단계의 전기적 자극을 가하도록 하며,
상기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고 기설정된 시간 내에 다시 한번 터치가 감지되면, 더블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더블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전기적 자극이 중단되도록 하여 상기 변색액정이 투명한 상태의 초기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며,
상기 터치패널은,
투명하게 마련되어 상기 액정필름의 일면을 덮도록 마련되며, 복수의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가 감지되면, 감지된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변색액정의 명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변색액정의 전 영역의 명도를 일괄적으로 변화시키는 제1 모드 또는 영역을 구분하여 변화시키는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어느 두 지점의 터치가 동시에 이루어지면,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로 변경되며,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할 경우, 상기 변색액정의 영역을 구분하여 명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변색액정의 각각의 영역에 병렬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폐 필름.
A color change liquid crystal which is adjusted so that lightness is controlled by electric stimulation;
A liquid crystal film for accommodating the discolored liquid crystal; And
And a touch panel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film so as to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color change liquid crystal using a touch method,
The color-
The brightness is reduced as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increases,
The touch panel includes:
Wherein the step of dividing the plurality of touches causes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to be varied, and when the touch of the user is sensed, a stepwise high electric stimulus is applied to the discoloration liquid crystal, The lowest level of electrical stimulation is applied,
The touch panel includes:
If the touch of the user is detected and the touch is detected once agai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is recognized that the touch is double-touched. If the double touch is recognized, the electrical stimulation is stopped so that the color change liquid crystal returns to the transparent state In addition,
The touch panel includes:
Wherein the liquid crystal layer is formed to be transparent so as to cover on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film and detects a touch by dividing a plurality of regions into a plurality of regions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color change liquid cryst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region,
The touch panel includes:
A first mode for collectively changing the brightness of the whole area of the color-changing liquid crystal or a second mode for dividing and changing the area, wherein when the user touches any two points at the same time, Or the second mode,
The touch panel includes:
Wherein when the first mode is operated in the second mode, power is supplied to each region of the color-changing liquid crystal in parallel in order to divide the region of the color-change liquid crystal and change the brightnes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밝기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색액정은,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빛의 밝기를 기반으로 상기 명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폐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ptical sensor for sensing the brightness of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The color-
Wherein the brightness is adjusted based on brightness of light sensed by the optical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은,
상향하는 드래그가 감지되는 경우, 상향 정도에 따라 상기 전기적 자극의 세기 증가하도록 하여 상기 변색액정의 명도가 감소하도록 하고, 하향하는 드래그가 감지되는 경우, 하향 정도에 따라 상기 전기적 자극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하여 상기 변색액정의 명도가 증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폐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panel includes:
When the upward drag is detected,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timulus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upward,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decolored liquid crystal is decreased, and when the downward drag is detected,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timulus is decreased according to the downward degree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discolored liquid crystal is increa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은,
곡면 형상의 자동차 유리에 부착 가능하도록, 플렉시블 소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폐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panel includ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a curved automobile gla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액정은,
상기 조절되는 명도에 따른 가시광선 투과율 또는 태양에너지 차단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폐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lor-
Wherein th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r the solar energy cutoff rate according to the adjusted brightness is displayed.



KR2020170002980U 2017-06-13 2017-06-13 Light blocking film using touch type for automobile KR20048502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980U KR200485022Y1 (en) 2017-06-13 2017-06-13 Light blocking film using touch type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980U KR200485022Y1 (en) 2017-06-13 2017-06-13 Light blocking film using touch type for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022Y1 true KR200485022Y1 (en) 2017-12-20

Family

ID=61259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980U KR200485022Y1 (en) 2017-06-13 2017-06-13 Light blocking film using touch type for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022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5205A (en) * 2018-11-02 2019-03-08 北京奥特易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A kind of liquid crystal film with hand control function
CN115128858A (en) * 2022-06-27 2022-09-30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Vehicle window with partitioned dimming function, dimm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4089599A1 (en) * 2022-10-25 2024-05-02 Gentex Corporation Switchable vanity mirror in electrochromic sun viso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8376A (en) * 1989-09-19 1991-08-16 Texas Instr Inc <Ti> Circuit for measuring speed and position using magnetoresistance effect
KR20100060795A (en) * 2008-11-28 2010-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ling of input/output through touch
JP2011257992A (en) * 2010-06-09 2011-12-22 Fujitsu Component Ltd Conversion device and program
KR20120039888A (en) 2010-10-18 2012-04-26 류철하 The separation which uses the liquid cut, [thing] system
KR20120092247A (en) * 2011-02-11 2012-08-21 마승우 Smart blinds
KR20160011303A (en) * 2014-07-21 2016-02-01 오병윤 controlling transmittance for Blind using liquid crystal with current control
KR20170033304A (en) * 2014-06-19 2017-03-24 에이지피 아메리카 에스.에이. Panoramic extended windshield with integrated non-moving blin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8376A (en) * 1989-09-19 1991-08-16 Texas Instr Inc <Ti> Circuit for measuring speed and position using magnetoresistance effect
KR20100060795A (en) * 2008-11-28 2010-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ling of input/output through touch
JP2011257992A (en) * 2010-06-09 2011-12-22 Fujitsu Component Ltd Conversion device and program
KR20120039888A (en) 2010-10-18 2012-04-26 류철하 The separation which uses the liquid cut, [thing] system
KR20120092247A (en) * 2011-02-11 2012-08-21 마승우 Smart blinds
KR20170033304A (en) * 2014-06-19 2017-03-24 에이지피 아메리카 에스.에이. Panoramic extended windshield with integrated non-moving blind
KR20160011303A (en) * 2014-07-21 2016-02-01 오병윤 controlling transmittance for Blind using liquid crystal with current contro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5205A (en) * 2018-11-02 2019-03-08 北京奥特易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A kind of liquid crystal film with hand control function
CN115128858A (en) * 2022-06-27 2022-09-30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Vehicle window with partitioned dimming function, dimm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4089599A1 (en) * 2022-10-25 2024-05-02 Gentex Corporation Switchable vanity mirror in electrochromic sun vi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311B1 (en) Windshield with electrically controllable sunvisor
CN104512221B (en) The digital sunshading board of automobile glass
KR200485022Y1 (en) Light blocking film using touch type for automobile
JP2020510232A (en) Composite pane including functional element with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KR102502363B1 (en) Composite pane comprising a functional element having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and having a concentration gradient of an active material
KR102345633B1 (en) Apparatus for actuating functional elements with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US20090015740A1 (en) Window darkening system
KR102488847B1 (en) Composite pane glass with functional elements that can be converted into segments and have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US20090116098A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tint of glass
WO2014124592A1 (en) Shading device, vehicle and glass shading method
US11673374B2 (en) Laminated pane with functional element having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US11524558B2 (en) Vehicle window, glass structure and adjustment method thereof
US20220024187A1 (en) Laminated pane with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and laminated pane assembly
BR112020023455A2 (en) functional element with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CN107757497A (en) A kind of inside rear-view mirror and automobile
US20240103321A1 (en) Glazing unit with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hav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switching regions
CN105955352B (en) Control method and light transmission equipment
US20240116276A1 (en) Glazing unit which has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and multiple independent switching regions
KR20190129995A (en) Intelligent transmittance control system
KR20240048523A (en) Glazing unit with temperature-dependent switching behavior and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KR20230130455A (en) window transparency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EP3862202A1 (en) Active opacity controllable thin films for windshields
KR20240070599A (en) Functional device with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TR201903071U5 (en) AUTOMATIC SUN VISOR SYSTEM DEVELOPED FOR WINDSCREEN IN MOT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