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620Y1 -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620Y1
KR200484620Y1 KR2020170001006U KR20170001006U KR200484620Y1 KR 200484620 Y1 KR200484620 Y1 KR 200484620Y1 KR 2020170001006 U KR2020170001006 U KR 2020170001006U KR 20170001006 U KR20170001006 U KR 20170001006U KR 200484620 Y1 KR200484620 Y1 KR 200484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unit
rear cover
housing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00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채열
Original Assignee
임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열 filed Critical 임채열
Priority to KR2020170001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62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62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의 리어커버를 분리하기 위한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리어커버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홀딩유닛 및 압착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를 통하여 밀착단계, 고정단계, 압착단계, 가열단계 및 분리단계를 거쳐 모바일기기를 하우징에 고정하고 리어커버를 압착시킨 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모바일기기를 수리하는 경우 작업자가 손쉽고 빠르게 리어커버를 분리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리어커버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separating jig assembly for separating a rear cover of a mobile device and a rear cover separating method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separating jig assembly for separating a rear cover of a mobile device from a mobile unit comprising a housing, a holding unit hinged to the housing, The mobile device can be fixed to the housing through the contact step, the fixing step, the pressing step, the heating step, and the separation step through the separation jig assembly, and the rear cover can be squeezed and separate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and quickly To a mobile device separation jig assembly capable of separating a rear cover and a rear cover separation method using the same.

Description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0001]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0002]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의 리어커버를 분리하기 위한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홀딩유닛 및 압착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를 통하여 밀착단계, 고정단계, 압착단계, 가열단계 및 분리단계를 거쳐 모바일기기를 하우징에 고정하고 리어커버를 압착시킨 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모바일기기를 수리하는 경우 작업자가 손쉽고 빠르게 리어커버를 분리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separating jig assembly for separating a rear cover of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device separating jig assembly for separating a rear cover of a mobile device from a housing, a holding unit hinged to the housing, The mobile device can be fixed to the housing through the fixing step, the pressing step, the heating step, and the separation step, and the rear cover can be squeezed and then separate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and quickly remove the rear cover To a mobile device separation jig assembly.

스마트폰, 태블릿피씨와 같은 모바일기기는 사용자에게 화상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 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근래에는 베터리 일체형 모바일기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를 결합하기 위하여 볼트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수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가 조립되고 있다.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a tablet PC is composed of a main body provided with a display panel for providing image information to a user. In recent years, since a battery-integrated mobile device has become widespread, a bolt is not used to couple it, Mobile devices are being assembled by using mobile phones.

따라서 이러한 모바일기기의 고장이나 부품교체를 위하여 분리하기 위해서는 이 접착제의 접착력을 약화시켜 분리시켜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separate such a mobile device for failure or replacement of parts,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should be weakened and separated.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537994호 『스마트폰 분해 방법』이 있는데,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is the " smartphone disassembly method " of Patent No. 10-1537994,

상기 종래기술은 분해 대상 스마트폰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분해 대상 스마트폰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을 분해하기 위한 혼합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을 스마트폰에 투입하는 단계 및 스마트폰을 분리하는 단계를 거쳐, 강화유리와 LCD 기판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전면부와 중간 베젤 부분을 에나멜 희석제 및 접착제거제의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분해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The above-described prior art discloses a method for disassembling a smartphone, which comprises preparing a disassembly target smartphone, heating the disassembly target smartphone, preparing a mixed solution for disassembling the smartphone, A method of safely disassembling a front bezel and a middle bezel portion of a smartphone including a tempered glass and an LCD substrate using a mixed solution of an enamel diluent and an adhesive agent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분해 대상 스마트폰 전체를 가열한 후 혼합용액을 투입하여 접착제를 녹이는 것으로서, 이러한 혼합용액을 투입하기 위하여 스트로 또는 스포이드를 사용해야 하며, 혼합용액 투입 시 스마트폰이 완벽하게 고정되지 않아 공정의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증가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 작업 완성도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entirety of the smartphone to be disassembled is simply heated and then the mixed solution is injected to melt the adhesive. In order to inject the mixed solution, a straw or an eyedropper must be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time is increased and the work completion degree is changed by the skill of the worker.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

분리하고자 하는 모바일기기가 안착되고, 히팅부재가 구비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힌지결합되어 모바일기기를 흔들림없이 고정하는 홀딩유닛, 고정된 모바일기기의 리어커버를 압착시키는 압착유닛 및 압착된 모바일기기에 열을 가하여 리어커버를 분리하는 히팅유닛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하우징에 모바일기기를 고정시킨 후, 이 하우징에 결합된 홀딩유닛 및 압착유닛, 히팅유닛을 동작하여 리어커버를 분리시킬 수 있는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 holding unit hinged to the housing to fix the mobile unit without shaking, a compression unit for compressing the rear cover of the fixed mobile unit, And the rear cover is detached by applying heat to the rear cover, so that the operator can fix the mobile device to the housing, and then the holding unit and the compression unit, which are coupled to the housing,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paration jig assembly.

또한 상기 홀딩유닛이 하우징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운동을 통하여 모바일기기를 안착부에 정위치 고정시키고, 고정된 모바일기기를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된 압착유닛을 통하여 리어커버를 압착시킴으로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신속하게 모바일기기로부터 리어커버를 분리시킬 수 있는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the holding unit is hinged to the housing to fix the mobile device to the seating unit through hinge movement, and the fixed mobile device is pressed on the rear cover through the compression unit hinged to the housing,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device separation jig assembly capable of quickly separating a rear cover from a mobile devic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device separation ji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모바일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A housing having a seat for seating the mobile device;

하우징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에 놓여지는 모바일기기를 고정하는 홀딩유닛;A holding unit hing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to fix the mobile device to be placed on the seat;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홀딩유닛에 의해 고정된 모바일기기의 리어커버를 압착하는 압착유닛;A compression unit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pressing the rear cover of the mobile device fixed by the holding unit;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압착된 모바일기기에 열을 가하여 모바일기기로부터 리어커버를 분리하는 히팅유닛;A heating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for separating the rear cover from the mobile device by applying heat to the pressed mobile device;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는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device separation ji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모바일기기를 안착하는 하우징에, 홀딩유닛, 압착유닛 및 히팅유닛을 모두 구비하여, 작업자가 모바일기기를 하우징에 안착시킨 후 각각의 구성들을 동작함으로서 리어커버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일정하고 신속하게 리어커버를 분리시킴으로서 공정의 간소화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holding unit, the compression unit, and the heating unit are all provided in the housing for seating the mobile device, and the operator can put the mobile device in the housing and operate the respective components to separate the rear cover,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process and shorten the time by separating the rear cover constantly and promptly irrespective of whether or not the rear cover is detached.

특히 홀딩유닛 및 압착유닛이 상기 하우징의 힌지결합되고, 히팅유닛이 하우징에 구비됨에 따라 작업자가 모바일기기를 안착부에 올려놓고, 홀딩유닛을 먼저 힌지운동시키고, 압착유닛을 힌지운동시켜 모바일기기를 압착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며, 일률적으로 모바일기기를 고정 및 압착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particular, as the holding unit and the compression unit are hinged to the housing and the heating unit is provided in the housing, the operator puts the mobile device on the seating part, hinges the holding unit first, and hinges the compression unit, So that the mobile device can be fixed and squeezed in a more convenient and quick manner.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밀착단계, 고정단계, 압착단계, 가열단계 및 분리단계를 통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모바일기기로부터 리어커버를 분리시킴으로서 부품 교체 및 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remove the rear cover from the mobile device by using the above-described mobile device separation jig assembly through the adhesion step, the fixing step, the compression step, the heating step and the separation step, There i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의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커버 분리방법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커버 분리방법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의 가이드핀의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 조립방법의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 조립방법의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장치의 상세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device separation ji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device separation ji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of a rear cover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view of the rear cover sepa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ji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ji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view of the guide pin of the assembling ji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of a mobile device assembl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etailed view of a method of assembl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etailed view of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embodiments) which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tak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digit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considering simplicity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sinc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B)는 하우징(B10)과, 이 하우징(B10)에 구비되는 홀딩유닛(B20) 및 압착유닛(B30), 그리고 히팅부재(B1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mobile device separation jig assembly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B10, a holding unit B20 and a compression unit B30 provided in the housing B10, and a heating member B14 have.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하우징(B10)은 모바일기기(M)가 놓여질 수 있는 안착부(B16)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안착부(B16)에 히팅부재(B14)가 구비되어 하우징(B10)에 놓여지는 모바일기기(M)를 가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ousing B10 is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B16 on which the mobile device M can be placed. The seating portion B16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mber (B14) for heating the mobile device (M) placed on the housing (B10).

특히 상기 히팅부재(B14)를 하우징(B10) 하부, 즉 안착부(B16)에 위치함으로서, 반복되는 사용 시 히팅부재의 온도가 내려가 재가열을 해야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Particularly, since the heating member B14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B10, that is, at the seating portion B16,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problem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member must be reduced during repeated use to reheat.

또한 상기 하우징(B10)의 전면에는 제어부(B11)가 구비되어, 가열온도 및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B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control unit B11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B10, and a display unit B13 for setting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and outputting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can be provided.

상기와 같은 하우징(B10)에는 안착부(B16)에 놓여지는 모바일기기(M)를 고정하기 위한 홀딩유닛(B2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홀딩유닛(B20)은 상기 하우징(B10)의 일측에 제1 힌지결합부(B21)를 형성하여 힌지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홀딩유닛(B20)에는 모바일기기(M)의 측면을 고정하는 제1 홀더(B23)와 제2 홀더(B24)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제1 홀더(B23)에는 제1 고정볼트(B26)가 구비되어 모바일기기(M)의 크기에 맞게 제2 홀더(B24)로부터 제1 홀더(B23)의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housing B10 is provided with a holding unit B20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M placed on the seating unit B16. The holding unit B2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B10 A first holder B23 and a second holder B24 for fixing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M are provided in the holding unit B2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B21 and B21 can be hinge- The first holder B23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bolt B26 to keep the distance of the first holder B23 from the second holder B24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mobile device M So that it can be adjusted and fixed.

즉, 상기 제1 홀더(B23)는 제2 홀더(B24)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홀더(B23)와 제2 홀더(B24)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안착공(B27)의 크기를 모바일기기(M)의 크기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first holder B23 slides from the second holder B24 and the size of the first air bore B27 formed between the first holder B23 and the second holder B24, (M).

또한 상기 제1 홀더(B23) 또는 제2 홀더(B24)에는 각각 복수개의 유격홈(B221)이 더 구비되어, 모바일기기 측면에 형성되는 버튼이 눌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holder B23 or the second holder B24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learance grooves B221 so as to prevent the button formed on the side of the mobile device from being pressed.

또한 이 경우, 상기 모바일기기(M)는 리어커버(M1) 부분이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뒤집힌 상태로 안착부(B16)에 놓여진다.In this case, the mobile device M is placed on the seat B16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cover M1 is turned upside down.

다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홀딩유닛(B20)을 통해 모바일기기(M)를 고정하면, 상기 하우징(B10)의 타측에 제2 힌지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압착유닛(B30)을 상기 제2 힌지결합부를 기준으로 힌지운동하여 상기 홀딩유닛(B2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When the mobile unit M is fixed through the holding unit B20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compression unit B30,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B10 by the second hinge engaging unit, And is hinged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unit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holding unit B2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압착유닛(B30)은 상기 하우징(B10)의 타측에 제2 힌지결합부를 형성하여 힌지운동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압착유닛(B30)의 중앙에는 상기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를 압착할 수 있는 복수개의 압착부재가 구비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mpression unit B30 is configured to be hinged by forming a second hinge coupling part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B10. In the center of the compression unit B30,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capable of pressing the rear cover M1 are provided.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압착유닛(B30)에는 모바일기기(M)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제2 안착공(B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안착공(B34)에는 상기 제2 안착공(B3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압착부재가 구비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mpression unit B30 is provided with a second air bearing hole B34 for exposing the mobile device M, and the second air bearing hole B34 is formed with the second air bearing hole B34, And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provided movably along the guide rail.

즉, 상기 제2 안착공(B34)의 주변에는 이동공(B3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이동공(B341)에 제2 고정볼트(B36)가 구비되고, 제2 고정볼트(B36)가 상기 이동공(B341)을 관통하여 압착부재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압착유닛(B30)을 홀딩유닛(B20) 상부에 위치시킨 후 제2 고정볼트(B36)를 조정하여 상기 압착부재가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에 맞게 위치이동시킨 후 고정하게 된다.That is, a moving hole B341 is formed around the second air bearing hole B34, a second fixing bolt B36 is provided on the moving hole B341, and a second fixing bolt B36 is provided on the The pressing unit B3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ing unit B20 and then the second fixing bolt B36 is adjusted by moving the pressing unit B30 through the moving hole B341, The rear cover M1 is positioned and fixed.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압착유닛(B30)은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는 주압착가이드(B30-1)와, 상기 주압착가이드(B30-1) 상부에 결합되는 보조압착가이드(B30-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보조압착가이드(B30-2)에 상기 압착부재(B33)가 구비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mpression unit B30 includes a main compression bonding guide B30-1 hinged to the main body and an auxiliary compression guide B30-2 coupled to the top of the main compression bonding guide B30-1 And the pressing member B33 is provided in the auxiliary pressing guide B30-2.

이는 상기 모바일기기의 크기에 따라 압착부재(B33)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보조압착가이드(B30-2)는 상기 주압착가이드(B30-1)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주압착가이드(B30-1)를 상기 홀딩유닛(B20) 상부로 힌지운동 시킨 후, 상기 보조압착가이드(B30-2)를 좌우 방향으로 조절하여 모바일기기에 맞게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후에 상기 압착부재(B33)를 상하로 이동하여 모바일기기에 상기 압착부재가 정위치 할 수 있도록 조정하도록 한다.This is for fine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member B33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bile device. The auxiliary pressing guide B30-2 is slidably movab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on the main pressing guide B30-1 After the main pressing guide B30-1 is hing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lding unit B20, the auxiliary pressing guide B30-2 is adjusted to the left and right to move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mobile device, Thereafter, the pressing member B33 is moved up and down to adjust the pressing member to be positively positioned on the mobile device.

이 때 상기 압착부재는 흡착판(B331)과, 이 흡착판(B331)을 동작하는 흡착노브(B3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다 효과적인 흡착을 위하여 상기 압착유닛(B30)의 타측에는 핸들부재(B37)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sing member includes a suction plate B331 and an absorption knob B332 for operating the suction plate B331. A handle member B37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mpression unit B30 for more effective adsorption .

이 핸들부재(B37)는 상기 압착유닛(B30)을 상기 홀딩유닛(B20) 및 하우징(B10)에 밀착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The handle member B37 is for closely fixing the compression unit B30 to the holding unit B20 and the housing B10.

이렇게 압착유닛(B30)의 압착부재가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를 흡착하면, 상기 하우징(B10)에 구비되는 히팅부재(B14)를 동작하여 모바일기기(M)로 열을 전달하고, 이렇게 전달된 열이 상기 모바일기기(M)의 바디(M2)와 리어커버(M1) 사이의 접착부재(M3)를 녹여 접착력을 저하시키게 된다.When the pressing member of the compression unit B30 sucks the rear cover M1 of the mobile device M, the heating member B14 provided in the housing B10 is operated to transmit heat to the mobile device M And the heat transferred in this manner melts the adhesive member M3 between the body M2 of the mobile device M and the rear cover M1 to lower the adhesive force.

상기 접착부재(M3)의 접착력이 저하되면, 앞서 모바일기기(M)를 고정하는 방식의 역순으로, 먼저 상기 압착유닛(B30)을 들면 압착유닛(B30)에 구비되는 압착부재가 상기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를 흡착하여 들어 올리게 되며, 이로서 상기 모바일기기(M)로부터 리어커버(M1)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 M3 is lowered, a pressing member provided in the compression unit B30 is pressed against the mobile device M30 by pressing the compression unit B30 in the reverse order of the previous method of fixing the mobile device M The rear cover M1 can be separated from the mobile device M by the suction of the rear cover M1.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B)를 이용한 리어커버(M1) 분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1 to 4,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method of separating the rear cover M1 using the mobile device separation jig assembly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각 단계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각 단계는 밀착단계(B100), 고정단계(B200), 압착단계(B300), 가열단계(B400) 및 분리단계(B500)로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each step may be briefly described. Each step may consist of an adhesion step B100, a fixing step B200, a pressing step B300, a heating step B400, and a separation step B500.

각각의 단계에 대하여 상기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B)와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More specifically, for each step together with the mobile device separation jig assembly B,

먼저 상기 밀착단계(B100)는 상기 모바일기기(M)를 히팅부재(B14)에 밀착되도록 안착부(B16)에 밀착시키는 단계로,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가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뒤집어서 모바일기기(M)를 안착부(B16)에 올려놓는 단계를 말한다.The contact step B100 is a step of bringing the mobile device M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ating part B16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eating member B14 so that the rear cover M1 of the mobile device M is exposed upward And placing the mobile device M on the seat B16.

그 후 상기 고정단계(B200)를 통하여 모바일기기(M)를 안착부(B16)에 고정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하우징(B10)의 홀딩유닛(B20)을 힌지운동시키고, 제1 안착공(B27)에 모바일기기(M)가 꽉 끼워지도록 제1 홀더(B23)를 제1 고정볼트(B26)를 통해 고정하는 단계를 말한다.The mobile unit M is fixed to the seating unit B16 through the fixing step B200 because the holding unit B20 of the housing B10 is hinged, And fixing the first holder B23 through the first fixing bolt B26 so that the mobile device M is tightly fitted into the first holder B23.

이렇게 안착부(B16)에 모바일기기(M)기가 고정되면, 다시 압착단계(B300)를 통하여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를 압착시키게 된다.When the mobile device M is fixed to the seating part B16, the rear cover M1 of the mobile device M is compressed through the pressing step B300.

이 압착단계(B300)는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를 압착유닛(B30)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압착유닛(B30)을 힌지운동하여 상기 홀딩유닛(B20) 상부에 위치시키고, 압착유닛(B30)에 구비되는 압착부재를 모바일기기(M)에 맞게 위치를 조정한 후, 압착노브를 통해 압착판이 상기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를 흡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pressing step B300 is to fix the rear cover M1 of the mobile device M by using the compression unit B30 and as described above, the compression unit B30 is hinged to the holding unit B30 B21 and the compression member provided in the compression unit B30 is adjusted to fit the mobile device M and then the compression plate is pressed against the rear cover M1 of the mobile device M through the compression knob So that it can be adsorbed.

이 다음 가열단계(B400)를 통해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와 바디(M2) 사이에 구비되는 접착부재(M3)의 접착력을 저하시키는데, 그 전에 보다 작업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압착판이 리어커버(M1)를 정확하게 흡착하였는지 압착유닛(B30)을 살짝 들어올려 확인할 필요가 있다.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 M3 between the rear cover M1 and the body M2 of the mobile device M is lowered through the subsequent heating step B400.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compression plate accurately adsorbs the rear cover M1 by slightly lifting the compression bonding unit B30.

다시 압착유닛(B30)이 리어커버(M1)를 완벽하게 흡착한 경우에, 상기 핸들부재(B37)를 통해 상기 압착유닛(B30)을 고정하고, 하우징(B10)에 구비되는 제어판을 동작하여, 하우징(B10)의 히팅부재(B14)가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mpression unit B30 is fixed via the handle member B37 and the control board provided in the housing B10 is operated again when the compression unit B30 completely sucks the rear cover M1, So that the heating member B14 of the housing B10 can radiate heat.

이렇게 히팅부재(B14)의 열이 완전히 전달 완료되면, 상기 핸들부재(B37)를 회전시켜, 리어커버(M1)가 모바일기기(M)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상기 압착유닛(B30)을 점차적으로 들어올린 후, 분리가 완료되면 압착유닛(B30)을 회전시켜 리어커버(M1)를 상기 모바일기기(M)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단계(B500)를 거치게 된다.When the heat of the heating member B14 is completely transferred, the handle member B37 is rotated to gradually lift the compression unit B30 until the rear cover M1 is separated from the mobile device M The separating step B500 of separating the rear cover M1 from the mobile device M by rotating the compression unit B30 is completed.

이렇게 분리단계(B500)가 완료되면, 결과적으로 상기 리어커버(M1)는 상기 압착유닛(B30)에 고정되게되고, 상기 모바일기기(M)의 바디(M2)는 안착부(B16)에 위치함으로서 작업자가 손으로 이들을 각각 분리하여 부품교체 또는 고장수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separation step B500 is completed, the rear cover M1 is fixed to the compression unit B30 and the body M2 of the mobile device M is positioned on the seating part B16 The operator must separate them by hand to allow for parts replacement or troubleshooting.

나아가 상기와 같이, 모바일기기를 수리하는 경우에는 수리 완료 후, 다시 재조립을 위한 공정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D)를 이용함으로서 고장에 따른 수리공정을 간소화 시키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완성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bile device is repaired, a process for reassembling is required after completion of the repair.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assembly jig assembly D to simplify the repair process due to failure, Regardless of the skill level of the player.

먼저 상기 모바일기기(M)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D)는 도 5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지그(D10)와, 상기 조립지그(D10)에 탈착 결합되는 탭지그(D20) 및 상기 탭지그(D20)에 형성된 노출공(D21)에 투입되는 스탬프지그(D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5 to 9, the jig assembly D for assembling the mobile device M includes an assembly jig D10, a tab jig D20 detachably coupled to the assembly jig D10, And a stamping jig D30 which is inserted into the exposure hole D21 formed in the jig D20.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조립지그(D10)는 모바일기기(M), 특히 조립을 위한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가 안착되는 안착면(D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조립지그(D10) 상부에 탭지그(D20)가 결합될 수 있다.First, the assembly jig D10 is provided with a seating surface D11 on which a mobile device M, particularly a rear cover M1 of a mobile device M for assembly, is seated is formed And a tab jig D20 can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assembly jig D10.

상기 안착면(D11)은 상기 조립지그(D10)에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조립하고자 하는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리어커버(M1)가 흔들림 없이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eating surface D11 has a groove shape formed in the assembly jig D10 and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ear cover M1 of the mobile device M to be assembled so that the rear cover M1 is seated Lt; / RTI >

또한 상기 안착면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이들 모두에는 모바일기기에 따라 달라지는 단자를 간섭하지 않기 위한 확장홈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the upper, lower, or both of the seating surfaces are further provided with an extension groove for not interfering terminals that vary depending on the mobile device,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이러한 조립지그(D10)의 상부에는 탭지그(D20)가 체결되게 되는데, 이 탭지그(D20)는 중앙에 노출공(D2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노출공(D21)의 크기는 후술하는 스탬프지그(D30)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출공(D21)의 크기는 조립하고자 하는 모바일기기(M)의 크기와도 동일하게 이루어져, 모바일기기(M), 특히 모바일기기(M)의 바디(M2)가 상기 노출공(D21)에 삽입되는 경우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안착면(D11)에 위치하는 리어커버(M1)와 모바일기기(M)의 바디(M2)가 정위치 결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tab jig D20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assembly jig D10. The tab jig D20 has an exposure hole D2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size of the exposure hole D21 is determined by a stamp The size of the exposure hole D21 is the same as the size of the jig D30 and more preferably the size of the exposure hole D21 is the same as the size of the mobile device M to be assembled so that the size of the mobile device M, When the body M2 of the mobile device M is inserted into the exposure hole D21, the rear cover M1 positioned on the seating surface D11 and the body of the mobile device M M2 can be positively engaged.

또한 상기 탭지그(D20)를 조립지그(D10) 상부에 체결함에 있어, 상기 조립지그(D10)와 탭지그(D20)가 서로 정위치결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립지그(D10)의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정위치고정돌기(D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탭지그(D20)의 하면, 즉 상기 조립지그(D10)와 맞닿는 면에는 상기 정위치고정돌기(D13)에 대응하는 정위치고정홈(D23)이 형성되어 상기 탭지그(D20)를 조립지그(D10)에 안착시키면 자연스럽게 탭지그(D20)와 조립지그(D10)가 정위치 결합되어 상기 안착면(D11)과 노출공(D21)이 오차 없이 대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fix the tab jig D20 to the upper part of the assembly jig D10 so that the assembly jig D10 and the tab jig D20 can be positively engaged with each other, The fixing jig D1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 jig D2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xing jig D10. The tab jig D20 is naturally positively engaged with the assembly jig D10 so that the seating surface D11 and the exposure hole D21 are offset from each other by an error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아울러 상기 탭지그(D20)의 노출공(D21) 주변에는 작업자의 손가락 등이 투입될 수 있는 확장공(D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확장공(D211)의 크기 및 모양응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The extension hole D211 is formed around the exposure hole D21 of the tab jig D20 so that the operator's finger can be inserted into the extension hole D211. ,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its rights.

나아가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모바일기기(M)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면, 상기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와 바디(M2)는 서로 접착부재(M3)를 통해 접착 및 밀봉되는 바, 리어커버(M1)를 안착면(D11)에 놓은 후 먼저 접착부재(M3)를 상기 리어커버(M1)에 부착시켜 다음 공정에서 모바일기기(M)의 바디(M2)가 상기 접착부재(M3)의 다른 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rear cover M 1 and the body M 2 of the mobile device M are bonded and sea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adhesive member M 3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The rear cover M1 is first placed on the seating surface D11 and then the adhesive member M3 is first attached to the rear cover M1 so that the body M2 of the mobile device M is pressed against the adhesive member M3, respectively.

이 때 상기 접착부재(M3)를 상기 리어커버(M1)에 삐뚤어지지 않게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접착부재(M3)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립지그(D10)에는 상기 가이드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핀(D14)이 구비되어, 리어커버(M1)를 안착부에 놓은 후, 상기 가이드핀(D14)에 접착부재(M3)를 결합시키면, 후술하는 스탭프지그에 의해 가압이 발생하여도, 상기 접착부재(M3)가 틀어지지 않고, 상기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에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order to attach the adhesive member M3 to the rear cover M1 in a non-distorted manner, a guide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adhesive member M3, and the assembly jig D10 is provided with the guide A plurality of guide pins D14 corresponding to the holes are provided so that the rear cover M1 is plac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then the adhesive member M3 is coupled to the guide pin D14. The adhesive member M3 can be accurately fixed to the rear cover M1 of the mobile device M without being tilted.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핀(D14)은 복수개의 제1 고정핀(D141)과 제2 고정핀(D1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고정핀(D142)에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D143)가 더 구비되어 상기 조립지그(D10) 내부로 함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guide pin D14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ixing pins D141 and a second fixing pin D142, and the second fixing pin D142 has an elastic member D143 formed of a spring And can be recessed into the assembly jig D10.

이는 상기 제1 고정핀(D141)은 상기 접착부재(M3)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고정핀(D142)은 상기 리어커버(M1)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고정핀(D142)이 복수개로 구비되어 리어커버(M1)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first fixing pin D141 is for fixing the adhesive member M3 and the second fixing pin D142 is for supporting a side surface of the rear cover M1. D142 are provided to prevent the rear cover M1 from shaking.

또한 상기 제2 고정핀(D142) 중 상기 모바일기기의 상부측면과 하부측면에 밀착되는 제2 고정핀(D142)은 모바일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구비되어, 모바일기기마다 다르게 형성되는 단자 위치에 따라 모바일기기의 놓는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pin D142,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surface and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among the second fixing pins D142 are provid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mobile devic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device is placed.

또한 상기와 같이, 접착부재(M3)가 부착된 리어커버(M1)에 모바일기기(M)의 바디(M2)를 부착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리어커버(M1)와 모바일기기(M)를 부착시키게 되는데,As described above, the body M2 of the mobile device M is attached to the rear cover M1 having the adhesive member M3 attached thereto, so that the rear cover M1 and the mobile device M are attached to each other However,

이는 앞서 언급한 스탬프지그(D30)를 통해 해결될 수 있다.This can be solved by the above-mentioned stamp jig D3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탬프지그(D30)는 상기 노출공(D21)에 투입되어 상기 모바일기기(M) 또는 접착부재(M3)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D31)와, 상기 가압부(D31) 상부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핸들링 할 수 있는 손잡이부(D3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가압부(D31)는 상기 노출공(D21)에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노출공(D21)과 동일한 크기(원활한 움직임을 위하여 약간의 유격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로 이루어지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stamping jig D30 includes a pressing portion D31 that is inserted into the exposure hole D21 to press the mobile device M or the adhesive member M3, The pressing portion D31 has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exposing hole D21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D31 can be inserted into the exposing hole D21 It is preferable that a slight clearance is generated.

따라서 상기 접착부재(M3)를 상기 리어커버(M1)에 부착하는 경우, 그리고 상기 접착부재(M3)가 부착된 리어커버(M1)에 모바일기기(M)의 바디(M2)를 부착하는 경우, 상기 스탬프지그(D30)를 상기 노출공(D21) 상부에서 관통하여 작업자가 가압하면, 상기 가압부(D31)가 상기 접착부재(M3) 또는 바디(M2)를 가압하여 보다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가압력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다.Therefore, when the adhesive member M3 is attached to the rear cover M1 and the body M2 of the mobile device M is attached to the rear cover M1 to which the adhesive member M3 is attached, When the worker presses the stamp jig D30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exposure hole D21 and the pressing portion D31 presses the adhesive member M3 or the body M2 to be more firmly attached And has an effect of applying a pressing force.

또한 이 경우에, 상기 리어커버 측면에 밀착되는 가이드핀(D14)에 의해 상기 바디를 올려놓으면, 상기 바디와 리어커버는 상기 가이드핀(D14), 보다 상세하게는 제2 고정핀(D142)에 의하여 이격되도록 놓여지며, 이렇게 이격된 바디를 스탬프지그를 통해 가압하면, 상기 제2 고정핀(D142)이 함몰되어 바디와 접착부재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리어커버를 흔들림없이 잡을 수 있음과 동시에 바디 또한 정위치 고정할 수 있어 조립의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In this case, when the body is mounted by the guide pin D14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over, the body and the rear cover are fixed to the guide pin D14, more specifically to the second fixing pin D142 When the thus separated body is pressed through the stamp jig, the second fixing pin D142 is recessed so that the body and the adhesive member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ear cover can be caught without shaking The body can also be fixed in place, thereby improving the completeness of assembly.

또한 상기 스탬프지그(D30), 노출공(D21) 및 안착면(D11)이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순차적으로 조립하고자 하는 구성품을 올려놓아도 흔들림없이 고정이 됨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공정을 간소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since the stamp jig D30, the exposure hole D21, and the seating surface D11 ar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the components to be assembled sequentially are fixed without being shaken regardless of the skill of the operator, So that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다시 상기와 같이, 모바일기기(M)를 새로 조립 또는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해 분리한 모바일기기(M)를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기기(M)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를 이용하는데,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내면, 안착단계(D100), 제1 고정단계(D200), 제1 결합단계(D300), 제1 부착단계(D400), 제2 결합단계(D500), 제2 고정단계(D600) 및 제2 부착단계(D700)로 나타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jig assembly for separating the mobile device M is used to assemble the mobile device M in which the mobile device M is separated for the new assembly, replacement, or repair. The first fixing step D200, the first coupling step D300, the first attachment step D400, the second coupling step D500, the second fixing step D600, and the second fixing step D600. 2 attachment step (D700).

각각의 단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Describing each step in more detail,

먼저 안착단계(D100)는 모바일기기(M)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D)의 조립지그(D10)에 리어커버(M1)를 안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조립지그(D10)에 구비되는 안착면(D11)에 상기 리어커버(M1)를 올려놓는 단계를 말한다.The seating step D100 is a step of seating the rear cover M1 on the assembly jig D10 of the jig assembly D for assembling the mobile device M and includes a seating surface D11 And the rear cover M1 is placed on the rear cover M1.

이렇게 리어커버(M1)가 놓여지면, 제1 고정단계(D200)를 통하여 상기 리어커버(M1)에 접착부재(M3)를 부착시키기 위한 사전작업을 진행하게 된다.When the rear cover M1 is thus placed, a preliminary work for attaching the adhesive member M3 to the rear cover M1 is performed through the first fixing step D200.

먼저 상기 접착부재(M3)는 양면에 접착성분이 도포된 것으로서, 작업의 편의를 위해 일면만 상기 접착성분을 보호하기 위해 가접된 비접착면(M31)을 벗긴 후, 이 부분이 상기 리어커버(M1)에 닿을 수 있도록 상기 조립지그(D10)에 올려놓게 된다.First, the adhesive member M3 is coated with an adhesive component on both sides. For convenience of operation, the non-adhesive surface M31 is peeled off to protect the adhesive component only on one side, M1 on the assembly jig D10.

또한 보다 정확한 위치에 올려놓기 위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재(M3)에는 가이드공이 구비되어 있고, 이 가이드공이 상기 조립부재에 구비되는 가이드핀(D14)에 체결됨에 따라 접착부재(M3)가 정위치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부재(M3)는 상기 모바일기기(M)의 크기에 맞게 커팅이 이루어지며, 리어커버(M1)에 접합되지 않는 외각부분에 상기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member M3 is provided with a guide hole. When the guide member M3 is fastened to the guide pin D14 provided on the assembly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member M3 is cut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mobile device M and the guide hole is formed in an outer portion that is not joined to the rear cover M1 .

이렇게 접착부재(M3)를 올려놓은 후, 상기 조립지그(D10) 상부에 탭지그(D20)를 고정하는 제1 결합단계(D300)를 거치고, 이후 제1 부착단계(D400)를 통하여 상기 스탬프지그(D30)를 노출공(D21)을 통하여 하부방향(리어커버(M1)가 놓여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접착부재(M3)와 리어커버(M1)를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After the adhesive member M3 is mounted on the fixing jig D10, a first bonding step D300 for fixing the tab jig D20 to the upper part of the assembly jig D10 is performed. Then, the first fixing step D400, The rear cover D30 is pressed downward through the exposing hole D2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ar cover M1 is placed so that the adhesive member M3 and the rear cover M1 can be firmly attached.

이렇게 접착부재(M3)가 리어커버(M1)에 부착이 완료되면, 다시 제2 결합단계(D500)를 거치게 되는데, 이 제2 결합단계(D500)는 먼저 결합된 스탬프지그(D30)와 탭지그(D20)를 제거하고, 리어커버(M1)에 부착된 접착부재(M3)의 반대쪽면의 비접착면(M31)을 제거하고, 탭지그(D20)를 다시 조립지그(D10)에 결합시키는 단계이다.When the attachment of the adhesive member M3 to the rear cover M1 is completed, the second joining step D500 is performed again by first joining the stamp jig D30 and the tab jig D30, Removing the non-adhesive surface M31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M3 attached to the rear cover M1 and bonding the tab jig D20 to the assembly jig D10, to be.

이렇게 탭지그(D20)가 결합되면, 노출공(D21)에 모바일기기(M)의 바디(M2)를 투입시키는 제2 고정단계(D600)를 통하여 리어커버(M1)와 모바일기기(M)의 바디(M2)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정위치고정시킨 후, 제2 부착단계(D700)를 통해 스탬프지그(D30)를 노출공(D21)을 관통하여 다시 한번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D31)가 상기 모바일기기(M)의 바디(M2)를 가압함으로서, 모바일기기(M)와 접착부재(M3)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모바일기기(M)의 바디(M2)와 리어커버(M1)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When the tab jig D20 is engaged, the rear cover M1 and the mobile device M are inserted through the second fixing step D600 in which the body M2 of the mobile device M is inserted into the exposure hole D21. The stamp jig D30 penetrates the exposure hole D21 through the second attaching step D700 and presses the stamping jig D30 once again so as to press the pressing part D31, The pressing force of the body M2 of the mobile device M improves the adhesion between the mobile device M and the adhesive member M3 and consequently the body M2 of the mobile device M and the rear cover M1 To be attached.

또한 상기 노출공(D21)에 구비되는 확장공(D211)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기기(M)의 바디(M2)를 노출공(D21)에 삽입 또는 부착 완료된 모바일기기(M)를 노출공(D21)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작업자의 손가락이 투입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body M2 of the mobile device M is inserted into or attached to the exposure hole D21 through the extension hole D211 provided in the exposure hole D21 and the mobile device M is inserted into the exposure hole D21 , The operator's finger can be insert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can be improved.

나아가 도10 및 도 11은 이러한 모바일기기(M) 조립공정에 있어서,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공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모바일기기(M)의 바디(M2)와 리어커버(M1)를 결합한 후, 압착 및 가열을 통해 접착부재(M3)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가열장치(F)에 관한 것이다.10 and 11 relate to a process and an apparatus for enhancing the adhesive force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mobile device M and the body M2 and the rear cover M1 of the mobile device M, (F) which improves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 (M3) through compression and heating.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열장치(F)는 가열본체(F10)와, 모바일기기(M)를 올려놓을 수 있으며, 상기 가열본체(F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압착지그(F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heating device F includes a heating main body F10 and a pressing jig F20 capable of placing the mobile device M and slidable from the heating main body F10.

이러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가열본체(F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설정부(F11)를 통하여 가열본체(F10)와 압착지그(F20) 사이에 구비되는 가열부(F13)를 예열하고, 예열이 완료되면, 상기 가열부(F13)를 잡아당겨 압착지그(F20)에 모바일기기(M)를 조립하게 된다.First, the heating unit F13 provided between the heating body F10 and the pressing jig F20 is preheated through the setting unit F11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ing body F10, When the preheating is completed, the heating unit F13 is pulled to assemble the mobile device M in the compression jig F20.

이 때 상기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M1)가 상기 압착지그(F20)의 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하고, 다시 가열부(F13)를 밀어넣은 후 설정부(F11)를 통해 상기 압착지그(F20)를 하강시키면, 압착지그(F20)에 조립된 모바일기기(M)의 압착 및 가열이 완료되고, 이를 통하여 접착부재(M3)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방수 및 방진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리어커버(M1)와 모바일기기(M)의 바디(M2)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rear cover M1 of the mobile device M is close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mpression jig F20 and the heating unit F13 is pushed back and then the compression jig F20 are lowered so that the pressing and heating of the mobile device M assembled to the compression jig F20 is completed and thereby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 M3 is improved so that the waterproof and dustproof performance can be exhibited. M1 and the body M2 of the mobile device M. [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odification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 :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
M : 모바일기기 M1 : 리어커버
M2 : 바디 M3 : 접착부재
M31 : 비접착면
B10 : 하우징 B11 : 제어부
B13 : 디스플레이부 B14 : 히팅부재
B16 : 안착부 B20 : 홀딩유닛
B21 : 제1 힌지결합부 B221 : 유격홈
B23 : 제1 홀더
B24 : 제2 홀더 B26 : 제1 고정볼트
B27 : 제1 안착공 B30 : 압착유닛
B30-1 : 주압착가이드 B30-2 : 보조압착가이드
B31 : 제2 힌지결합부 B33 : 압착부재
B331 : 흡착판 B332 : 흡착노브
B34 : 제2 안착공 B341 : 이동공
B36 : 제2 고정볼트 B37 : 핸들부재
B100 : 밀착단계 B200 : 고정단계
B300 : 압착단계 B400 : 가열단계
B500 : 분리단계
D : 조립용 지그 어셈블리
M : 모바일기기
M1 : 리어커버 M2 : 바디
M3 : 접착부재 M31 : 비접착면
D10 : 조립지그 D11 : 안착면
D13 : 정위치고정돌기 D14 : 가이드핀
D141 : 제1 고정핀 D142 : 제2 고정핀
D143 : 탄성부재
D20 : 탭지그 D21 : 노출공
D211 : 확장공 D23 : 정위치고정홈
D30 : 스탬프지그 D31 : 가압부
D33 : 손잡이부 D100 : 안착단계
D200 : 제1 고정단계 D300 : 제1 결합단계
D400 : 제1 부착단계 D500 : 제2 결합단계
D600 : 제2 고정단계 D700 : 제2 부착단계
F : 가열장치 F10 : 가열본체
F11 : 설정부 F13 : 가열부
F20 : 압착지그
B: Mobile device separation jig assembly
M: Mobile device M1: Rear cover
M2: Body M3: Adhesive member
M31: Non-adhesive surface
B10: Housing B11: Control section
B13: Display unit B14: Heating member
B16: Mounting part B20: Holding unit
B21: first hinge coupling part B221:
B23: First holder
B24: second holder B26: first fixing bolt
B27: First air hole B30: Compression unit
B30-1: Main crimp guide B30-2: Auxiliary crimp guide
B31: second hinge coupling part B33: compression member
B331: Suction plate B332: Suction knob
B34: Construction of the second eye B341:
B36: second fixing bolt B37: handle member
B100: adhesion step B200: fixing step
B300: compression step B400: heating step
B500: Separation step
D: Assembly jig assembly
M: Mobile devices
M1: Rear cover M2: Body
M3: Adhesive member M31: Non-adhesive surface
D10: Assembly jig D11: Seat face
D13: Fixed position fixing protrusion D14: Guide pin
D141: first fixing pin D142: second fixing pin
D143: Elastic member
D20: Tab jig D21: Exposed hole
D211: Extension hole D23: Fixed position fixing
D30: Stamp jig D31:
D33: Handle part D100: Seal step
D200: First fixing step D300: First fixing step
D400: first attachment step D500: second attachment step
D600: second fixing step D700: second fixing step
F: Heating device F10: Heating body
F11: Setting section F13: Heating section
F20: Compression jig

Claims (4)

모바일기기(M)가 안착되는 안착부(B16)가 구비되는 하우징(B10);
상기 하우징(B10)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안착부(B16)에 놓여지는 모바일기기(M)를 고정하는 홀딩유닛(B20);
상기 하우징(B10)의 타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홀딩유닛(B20)에 의해 고정된 모바일기기의 리어커버(M1)를 압착하는 압착유닛(B30);
상기 하우징(B10)에 구비되어, 압착된 모바일기기(M)에 열을 가하여 모바일기기(M)로부터 리어커버(M1)를 분리하는 히팅유닛(B1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홀딩유닛(B20)은
상기 하우징(B10)의 일측에 제1 힌지결합부(B21)를 형성하여 힌지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모바일기기의 측면을 각각 고정하는 제1 홀더(B23)와 제2 홀더(B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홀더(B23)에 제1 고정볼트(B26)가 구비되어 모바일기기(M)의 크기에 맞게 제1 홀더(B23)를 이동시켜 제2 홀더(B24)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안착공(B27)의 크기를 조절하며,
상기 홀딩유닛(B20)의 일측에는 모바일기기의 버튼이 삽입되는 유격홈(B221)이 형성되고,
상기 히팅유닛(B14)은 안착부(B16)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M)를 안착부에 올려놓으면 열을 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압착유닛(B30)에는
모바일기기(M)를 노출시키는 제2 안착공(B34)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유닛(B30)을 상기 홀딩유닛(B20)과 밀착시키는 핸들부재(B37)와, 상기 모바일기기(M)의 리어커버에 밀착되어 흡착시키는 압착부재(B33)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안착공(B34) 주변에는 이동공(B341)이 형성되고, 이 이동공(B341)에 압착부재를 고정하는 제2 고정볼트(B36)가 더 구비되어,
상기 압착유닛(B30)을 홀딩유닛(B20) 상부에 위치시킨 후 제2 고정볼트(B36)를조절하여 모바일기기에 맞게 상기 압착부재(B33)의 위치를 이동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
A housing B10 having a seating portion B16 on which the mobile device M is seated;
A holding unit B20 hing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B10 to fix the mobile device M placed on the seating unit B16;
A compression unit B30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B10 to compress the rear cover M1 of the mobile device fixed by the holding unit B20;
A heating unit B14 provided in the housing B10 for separating the rear cover M1 from the mobile device M by applying heat to the pressed mobile device M;
, ≪ / RTI >
The holding unit (B20)
A first holder B23 and a second holder B24 which are hinged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B10 so as to be hingeable and which respectively fix the side surfaces of the mobile device, And a first fixing bolt B26 is provided on the first holder B23 to move the first holder B23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mobile device M, Adjusts the size of the start B27,
The holding unit B20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with a clearance groove B221 into which a button of a mobile device is inserted,
The heating unit B14 is provided in the seating part B16 so that heat can be applied when the mobile device M is placed on the seating part,
In the compression unit B30
A handle member B37 for forming a second relief hole B34 for exposing the mobile device M and closely contacting the compression unit B30 with the holding unit B20, And a pressing member (B33) which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to be adsorbed,
A moving hole B341 is formed around the second air bearing hole B34 and a second fixing bolt B36 for fixing the pressing member to the moving hole B341,
Wherein the pressing unit B30 is positioned above the holding unit B20 and then the second fixing bolt B36 is adjusted to move the pressing member B33 in accordance with the mobile device to fix the pressing unit B33. Separation jig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유닛(B20)은 상기 하우징(B10)으로부터 힌지운동하여 안착부(B16)에 위치하여 모바일기기(M)를 고정하고, 상기 압착유닛(B30)이 상기 홀딩유닛(B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힌지운동하여 고정된 모바일기기의 리어커버(M1)를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ing unit B20 is hinged from the housing B10 to be positioned at the seating unit B16 to fix the mobile device M and the compression unit B30 is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ing unit B20 And the rear cover (M1) of the fixed mobile device is compressed by the hinge movemen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유닛(B30)은
상기 하우징(B10)에 힌지결합되는 주압착가이드(B30-1)와, 상기 주압착가이드(B30-1)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압착가이드(B30-2)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착부재(B33)가 상기 보조압착가이드(B30-2)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mpression unit (B30)
A main compression bonding guide B30-1 hinged to the housing B10 and an auxiliary compression guide B30-2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compression guide B30-1, And the member (B33) is provided on the auxiliary compression bonding guide (B30-2).
삭제delete
KR2020170001006U 2017-03-03 2017-03-03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20048462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006U KR200484620Y1 (en) 2017-03-03 2017-03-03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006U KR200484620Y1 (en) 2017-03-03 2017-03-03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620Y1 true KR200484620Y1 (en) 2017-09-29

Family

ID=6057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006U KR200484620Y1 (en) 2017-03-03 2017-03-03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620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3733A (en) * 2019-02-01 2019-04-16 北京大秦新天下电子有限公司 Laser tears screen machine clamp open
WO2019112208A1 (en) * 2017-12-08 2019-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Separable electronic device and process method therefor
KR20200000531U (en) * 2018-08-31 2020-03-10 (주)리젠아이 Universal assembly jig for mobile
KR20200135104A (en) * 2019-05-23 2020-12-02 주식회사 한테크 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of smartphone front panel and backcov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506B1 (en) * 2014-11-10 2015-09-02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Disassembleing and assembling device for repairing a handheld terminal
KR20160095590A (en) * 2015-02-03 2016-08-11 한성운 Mobile Phone Case Calibration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506B1 (en) * 2014-11-10 2015-09-02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Disassembleing and assembling device for repairing a handheld terminal
KR20160095590A (en) * 2015-02-03 2016-08-11 한성운 Mobile Phone Case Calibration Equipmen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2208A1 (en) * 2017-12-08 2019-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Separable electronic device and process method therefor
US11325213B2 (en) 2017-12-08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parable electronic device and process method therefor
KR20200000531U (en) * 2018-08-31 2020-03-10 (주)리젠아이 Universal assembly jig for mobile
KR200491666Y1 (en) 2018-08-31 2020-05-26 (주)리젠아이 Universal assembly jig for mobile
CN109623733A (en) * 2019-02-01 2019-04-16 北京大秦新天下电子有限公司 Laser tears screen machine clamp open
CN109623733B (en) * 2019-02-01 2024-03-26 北京大秦新天下电子有限公司 Clamp of laser screen removing machine
KR20200135104A (en) * 2019-05-23 2020-12-02 주식회사 한테크 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of smartphone front panel and backcover
KR102222762B1 (en) * 2019-05-23 2021-03-04 주식회사 한테크 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of smartphone front panel and backco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620Y1 (en)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200485135Y1 (en) Manufacturing jig assembly for mobile device
KR102076285B1 (en) Lamination method capable of corner display of window substrate and lamination apparatus therefor
KR102278254B1 (en) Bonding app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urve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30237296A1 (en) Mobile phone film positioner and a mobile phone film with positioning structure
KR101549506B1 (en) Disassembleing and assembling device for repairing a handheld terminal
KR20140010919A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JP2012085290A (en) Three-dimension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08002388A3 (en) Electronic adapter for electro-active spectacle lenses
WO2016184086A1 (en) Dwell clamp
JP2011095695A (en) Press method and press tool
PL2144730T3 (en) Lens deblocking method
WO2015045250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WO2017154049A1 (en) LCD backlight device
CN108965669A (en) A kind of camera module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KR20180073987A (en) Display Device Including Cover Window and Preparation Method for the Same
EP2390403B1 (en) Method for mounting a panel of an appliance, especially of a domestic appliance
CN109229524B (en) Film pasting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product
US200900651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minating ultraviolet curing type waveguide material
CN101309308A (en) Ultrathin mobile phone and assembling process thereof
KR200496985Y1 (en)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20090018439A (en) Dome sheet having actuator for portable phone keyp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82132A (en) Smart phone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TW201331668A (en) Bonding apparatus for LCD panel
KR100532287B1 (en) Partcle removing apparatus for camera modul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